관찰하는데 거대한 세계라는 게 느껴졌습니다 | 전현수 원장과의 인터뷰 Ep.02

  Рет қаралды 132,767

SUNNEEDS : Growing together

SUNNEEDS : Growing together

2 жыл бұрын

#전현수 #인터뷰 #무아
Ep.01 편 보러 가기
• 지혜의 눈을 얻어서 궁극적 실재를 보는 ...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삭제!
* 배경음악
artlist.io
* 문의
이메일 : ootans@gmail.com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 open.kakao.com/o/g9Ntekoc
인스타그램 : / sunneeds_together

Пікірлер: 170
@kacho019
@kacho019 2 жыл бұрын
불교에 대한 깊은 경험이야기 참좋네요^^ 불교~어렵죠~ 역사적으로 부처님이 살았을때를 잘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흰두교(?)를 필두로 참나가 있다는 브라만이 지배한 철저한 계급사회 였었죠~~ 그당시에 왕의 아들로 우리가 아는 부처님이 처음 나타났습니다. 그분은 어릴때부터 모든 좋은 교육과 경험을 쌓고 살았죠~ 그러다 사문유관이라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늙은자 병든자 죽는자 승려들을 보고~ 출가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여 고행을 하시다 고행을 포기하니~ 결국엔 더없는 깨달음을 얻었다. 뭐 간단하지만 이정도가 ‘부처님’이 생긴 기술적 역사의 사실입니다. 저는 그부분도 중요하지만~ 부처님의 이야기는 불교가 아닌 부분에서 들어 보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부처님’은 그리 순탄한 삶을 살지 못하셨어요~ 왕가를 포함한 부처님 일가 민족이 살해를 당했으며 아끼던 제자들도 먼저 죽어가는 괴로움을 겪었죠~~ 그런 상황에서 괴로워도 괴로워하지 않았던 부처님의 경지~ 우리는 불교에서 그부분만 받아들이면 됩니다.~ 부처님은 돌아가실때 “자등명 법등명 하라”셨고 숫타니파타 경전에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하셨 습니다. 참나 무아 깨달음 부처 신 모든 것 그저 믿으십시요. 자기자신의 믿음은 전혀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어떠한 것이라도 사랑이라도 좋은 것이라도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는 강요로 다가갈수 있으며 괴로움이 생깁니다. 그저 믿으시고~ 그렇게 살아가시며 삶을~그 믿음과 원칙을 가지고 묵묵히 사는게 좋습니다.^^ 전현수 박사님의 말씀 모든게 다 좋았습니다.^^ 하지만 삶의 답은 불교에만 있지는 않습니다.^^ 기독교에도 있고~ 탈무드에도 있고 도덕경에도 있고~ 에크하르트 톨레에게도 있습니다~ 불교는 또하나의 방편(방법)일 뿐입니다.^^ 그런 경전이나 좋은 글을 쓸때 쓰시고~살때 사십시요~ 모든 것에서 자유자재할때 진짜 자유가 먼지 알게 됩니다^^ 자유를 알았다~~해도 자유롭지 못하는 구나~~가 또있습니다.ㅋ 끝없는 윤회(?)입니다.ㅋ 한예로 인디안들은 자유롭게 자연과 함께 살았어요~ 하지만 영국인들이 넘어와 땅을 나누고 주장하자~ 그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죽임을 당했습니다. 영국인들의 눈에는 아편같은 식물을 마구마구하며 이상한 의식을 하는게 또 안좋아 보였던거죠~ 역사는 이리보면 저렇고 저리보면 또 이렇습니다. 또역사는 승리자의 관점의 서술이기 때문에 이면을 또 알아야합니다. 우리에겐 윤봉길 의사께선 독립투사 이지만 일본인에겐 테러범인것 처럼요. 이부분도 나열하면 끝이없죠? 문제 삼으니 문제가 되어 다툼이 일어나죠~ 문제를 삼지않는 용기가 필요하며 문제를 고치려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용기 있게 박차고 일어나 겸손히 사는겁니다. 왜냐 역사적으로 지금 만큼 인간에게만 편리하고 좋은 세상이 없었거든요. 깨달음을 유튜브에서? 이 얼마나 대단한 세상입니까?ㄷㄷ
@user-xh9ob7uu1i
@user-xh9ob7uu1i 2 жыл бұрын
카톨릭신자였던 저도, 박사님 뵙고 이분 강의로 불교의 기본과 철학을 알았습니다. 모든분들이 박사님강의를 마음을 열고 들으면 큰 수행의 진전을 느끼실텐데. 기원합니다.
@user-nn8rx2nk7d
@user-nn8rx2nk7d 2 жыл бұрын
불교는 종교라기 보단 사유의 방법을 가르치는 현자의 도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기독교 관점에 빠져 나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사고의 자유를 누리는 특권을 누리고 있죠!! ㅋㅋㅋ
@user-pu5rz8lv4v
@user-pu5rz8lv4v 2 жыл бұрын
종교라는 뜻도 제대로 모르고 불교를 '종교라기보다는...' 이런식의 말을 하는 이들이 많은데 불교야 말로 진정한 종교이자 종교라는 단어에 가장 적확한 말이지요. 기타종교들은 신교라고 봐야지요.종은 마루종 글자그대로 다시말해 가장 높은 가르침이란 말입니다.종교란 단어도 잘 모르고 종교가 아니니 철학이니? 하는 말을 그냥 내뱉습니다만 불교야말로 가장 종교적이고 깊은 철학이지요.
@giantyl12
@giantyl12 Жыл бұрын
종교라기보다는 철학이짘ㅋㅋ
@dakagaya5643
@dakagaya5643 Жыл бұрын
종교는 그 말뜻과 다르게 인간을 가두는 그릇같고 불교는 우주끝까지 가는 깊은 사유
@NoRaengs99
@NoRaengs99 Жыл бұрын
종교이자 철학이자 과학.. 다른 종교들과 완벽히 차별화되는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2 ай бұрын
이래 보던 저래 보던 다 자기업식으로 보는 것일뿐
@user-dz9vq6ts8n
@user-dz9vq6ts8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ly5et4yc6j
@user-ly5et4yc6j 2 жыл бұрын
최곱니다 감사합니다
@user-md4xh5uz5p
@user-md4xh5uz5p 2 жыл бұрын
저는 지금 법화경을 공부중입니다,,,,그전에는 정말 1초도 쉬지 않고 파노라마처럼 늘 잠자리에서도 망상과 헛된 생각속에 머리가 쉴 틈이 없었다,,,,그러나 지금은 머리가 늘 백지처럼 비워져 있어 늘 마음이 편하다,,,,어쩌다 번뇌가 생기면 그 생각을 멈추고 알아차리고 그 망상을 멈추고 다시 고요함 속에 들어간다,,,,지금은 늘 머리가 투명하다,,,,법화경은 최상 법문
@user-kb6nj3kj9d
@user-kb6nj3kj9d 2 жыл бұрын
법화경을 인터넷서적에서 구입할수있는건가요? 제목이 법화경?제가 늘 생각이많아서 머리가 뜨겁구아프구 지금은 공황까지와서요..지푸라기도 잡고싶어서 여쭙씁니다. 저도 텅 비어지고싶네요
@user-md4xh5uz5p
@user-md4xh5uz5p Жыл бұрын
@@user-kb6nj3kj9d 법화경 사경 검색하면 나옵니다,,,,꼭 사경하시길 바랍니다^^
@user-kb6nj3kj9d
@user-kb6nj3kj9d Жыл бұрын
@@user-md4xh5uz5p 감사합니다 🙏
@user-md4xh5uz5p
@user-md4xh5uz5p Жыл бұрын
@@user-kb6nj3kj9d 처음에는 아마 힘드신 부분이 있더라도 그 고비를 넘기시면 정말 모든면에서 훨씬 좋아지고 부처님의 가피 반드시 있습니다,,,,응원합니다 ^^
@user-kb6nj3kj9d
@user-kb6nj3kj9d Жыл бұрын
@@user-md4xh5uz5p 네넹 😄 조언 ,응원 넘 감사합니다
@user-he5to9lf7t
@user-he5to9lf7t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인터뷰는 저절로 빠져드네요
@user-rq6eu1ue9j
@user-rq6eu1ue9j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님 ~~ 좋은 아침입니다 ☀️ 😄 주말아침 방가운 분과 함께여서 지금여기 소중한 시간임이 분명합니다 행복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
@user-qw7mk4jm9q
@user-qw7mk4jm9q 2 жыл бұрын
음? 되게 놀랬어요?? 낼이 기다려지네요~~😊
@suyounkim3507
@suyounkim3507 2 жыл бұрын
써니모닝 좋은 아침입니다 이틀째 인터뷰 해주신 것을 보면서 하루종일도 들을수 있겠다 생각이 들만큼 빠져 드네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user-sq1wu1of3b
@user-sq1wu1of3b 2 жыл бұрын
우와~전현수박사님 영상 너무 좋네요~~다음 영상도 기다려집니다~
@user-gh8lx2kv9z
@user-gh8lx2kv9z 2 жыл бұрын
이분 자세한 내용은 불교방송 보면 40강정도 강의가 있습니다!
@user-qi2op2ov2m
@user-qi2op2ov2m 2 жыл бұрын
pp
@Simone_jw
@Simone_jw Жыл бұрын
강의 어디서가면 40강이나 되는 걸 들을수있을까요?
@user-cc9mp5tw6w
@user-cc9mp5tw6w 2 жыл бұрын
컨트롤 할 수 없는 나, 무아🙏
@user-vf9ej6do5j
@user-vf9ej6do5j 2 жыл бұрын
불교는 괴로움을 해결하는 완벽한 시스템이다.👍
@user-tb1qf7cs2b
@user-tb1qf7cs2b 2 жыл бұрын
전현수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user-fx2zx9kp2f
@user-fx2zx9kp2f 2 жыл бұрын
다음편이 기다려지네요 빨리올라오길….^^
@Joyjys
@Joyjys 2 жыл бұрын
이 분 인터뷰 넘나 좋습니다 구체적이고 명료해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스토리텔링 같은 구구절절이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100wisdom6
@100wisdom6 2 жыл бұрын
전현수 박사님 영상으로 다시 뵙게 되니 반갑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써니즈님 늘 감사합니다 💕
@user-smile-
@user-smile-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경상도 사투리가 편안하고 듣기 좋습니다~♡ 써니즈님~고맙습니다~♡
@user-fy7rn9jh5m
@user-fy7rn9jh5m 2 жыл бұрын
20분이 눈 깜빡할새에 지나갔어요. 너무 푹 빠져서 듣고 봤습니다. 그 뒤에 뭐라하시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kyoungmeepark9744
@kyoungmeepark9744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님~~ 덕분에 저 혼자였다면 이번생에는 존재조차 몰랐을 훌륭하고 귀중한 여러 분들을 알게 되네요. 나날이 발전하시는 써니즈님 덕분에 저도 한걸음 아니 반걸음, 반걸음, 조금씩 조금씩 나아갑니다. 써니즈님 쌩유~~♡♡♡
@nowisreal
@nowisreal 2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
@user-of9xr6ky9f
@user-of9xr6ky9f 2 жыл бұрын
감동의 연속이에요. 고맙습니다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남을 해칠 마음을 갖지 말고 원한을 품지 말고 성내는 마음을 두지 마라 화가 나더라도 함부로 말하지 말고 남의 흠을 애써 찾지도 말고 약점이나 단점을 들추지도 말고 항상 자기 자신을 잘 단속하여 정의로써 자신을 살펴 나가라 악은 스스로 망하고 용서해도 자신이 지은 업보는 받는다 사필귀정 인과응보 자업자득 만고불변의 진리다 부메랑이다 자신에게 돌아간다 피할수 없다
@user-lt4kl7yw2b
@user-lt4kl7yw2b 2 жыл бұрын
꼭 큰스님 불경 강의 듣는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sati-kb6zo
@sati-kb6zo 2 жыл бұрын
전현수 박사님 쉽고 편하게 알기어려운 부처님법을 얘기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Hyunggeon
@Hyunggeon 2 ай бұрын
나한텐 아주 귀중한 채널이네요 감사합니다 써니즈
@user-jf2zp5uc1h
@user-jf2zp5uc1h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 깨달아 있었다ㅡ 지식과 기술, 문화, 언어,사회적 관계를 통해 때가 묻어 깨달음의 세계에서 멀어진것이다ㅡㅡㅡㅡ
@fkckfjdkvm
@fkckfjdkvm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ungwoo3557
@sungwoo3557 Жыл бұрын
전현수 박사님 영상을접하고 니까야도 보고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접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i1oh9xx9b
@user-li1oh9xx9b 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내가하는것이아니다 ..나라는거 없다 감사합니다
@bboin13
@bboin13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1,2편 모두 봤어요. 3시간동안이나 봤네요 검색도하고 기록도 하면서 좋은영상 너무 감사드려요
@user-zb2oz5bf2g
@user-zb2oz5bf2g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l9oc2bw4z
@user-tl9oc2bw4z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님 #3 빨리보고싶어요 예전엔 2009년에 에크하르테툴리님의 도덕경 강연을 우연한기회에 들었는데 너무 감동깊었는데 그당시도 이런 공부하시는분들중에 에크하르테툴레님을 거의 모르셨는데 지금은 아주 유명하신분이시죠 그 당시엔 더 알고싶고 공부하고싶어도 알방법이 없었고 요즘은 이런 통신체계가 있어서 마음이 일어나면 이렇게 공부할수있어서 변천하는세상과 이런시스템속에서 ㅆ니즈님과같은 분께서 스승의 연결 다리가 되어주심을 너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또 감사드립니다.
@user-my9nz9uh2w
@user-my9nz9uh2w Жыл бұрын
원장님의 높은 법문 감사합니다._()_
@user-gv4de5sc4s
@user-gv4de5sc4s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r1ym2fb1b
@user-fr1ym2fb1b 2 жыл бұрын
전현수박사님~💗 불교방송에서 훌륭한 말씀 많이 해주셔서 항상 감사했었는데 여기서도 봬니 너무 반갑고 좋으네요~🥰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써니즈님~♡ 구독♡ 좋아요♡ 꾸욱 누르고 감사한 맘으로 시청합니다~💕
@user-lg3lb5oc7x
@user-lg3lb5oc7x 2 жыл бұрын
찬찬히 듣다보니 내용이 정말 좋아요 편안하게 말씀하시니 스르륵 될 것같은 느낌이 드네요 잘 듣고 갑니다 써니즈님과 전현수 박사님 감사합니다
@user-db5dq7mu4r
@user-db5dq7mu4r 2 жыл бұрын
우와~ 너무 재밌습니다! 😍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user-ko2cs6cj7s
@user-ko2cs6cj7s 2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진진하네요. 수행적 관점에서 박사님 말씀을 다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는게 감사할 따름입니다. 다음 편 빨리 부탁드려요!!
@user-ne6gr8wz3x
@user-ne6gr8wz3x Жыл бұрын
@jhahn334
@jhahn334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도 친근한 사람이심을 느낍니다❤.깊은 말씀 감사합니다🙏
@fashion.over30
@fashion.over30 2 жыл бұрын
와!!!! 다음 영상도 나무너무 기대가 됩니다!! 이런 깨우침을 알려 주시고 전달해 주시는 두 분 께 무한 감사드립니다!!! 공부의 길은 끝이 없네요~ 알아도 알아도 재밌습니다.!!!
@junok1574
@junok1574 2 жыл бұрын
법륜스님께서 하시던 말씀이 박사님 말씀 듣다보니 이해가 되네요. 너무 유익한 영상 이였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됩니다^ㅡ^
@beholder00
@beholder00 2 жыл бұрын
완전 집중해서 봤습니다. 에피소드 03 올려주세요^^ 써니즈 항상 감사합니다!!!
@amor45
@amor45 2 жыл бұрын
우와… 저도 다음 편이 너무너무 기대됩니다! 듣는 동안 아는 내용인데도 뭔가 더 새롭고 훨씬 쉽게 다가왔어요! 진짜 멋진 법문이었어요!🙂 전현수 박사님, 써니즈님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user-le2hq2wu6x
@user-le2hq2wu6x 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날 되셔요♡♡~
@user-tn3vn2jk7b
@user-tn3vn2jk7b Жыл бұрын
심오한데 재미까지 있네요. 잘봤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uw9ow5uq3s
@user-uw9ow5uq3s 2 жыл бұрын
여러번 반복하면서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t8tf5st3b
@user-kt8tf5st3b 2 жыл бұрын
존경하는 전현수박사님 여기서도 뵙네요🤗
@user-vr8ro1wn4k
@user-vr8ro1wn4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iwon4784
@jiwon4784 2 жыл бұрын
귀에 마음에 쏙쏙 들어옵니다 영상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xs9sf1yg6s
@user-xs9sf1yg6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축복합니다
@user-qq2vd4uo9p
@user-qq2vd4uo9p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모닝 ☀️
@user-kd6bl6rf1e
@user-kd6bl6rf1e 2 жыл бұрын
다음편 기대됩니다.
@user-ek2io7go3j
@user-ek2io7go3j 2 жыл бұрын
참 좋군요
@user-zz5pc8lf3m
@user-zz5pc8lf3m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다음편이 기대되네요
@user-vr8ro1wn4k
@user-vr8ro1wn4k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user-fu2yo2if9c
@user-fu2yo2if9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lv6zx5ho2t
@user-lv6zx5ho2t 2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전헌수박사님 강의 많이 보는데 이렇게 뵈니 또 새롭고 재미있고 유익하네요. 다음편 기대됩니다.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user-op4nr9cz2o
@user-op4nr9cz2o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 좋은 방송입니다 고맙습니다
@user-li2zx5ep2o
@user-li2zx5ep2o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ejo_o_b
@hyejo_o_b 2 жыл бұрын
지금 법륜스님을 통해 불교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괴로움과 스트레스가 없는 삻을살수있는 법을 가르켜주셔서 수행중입니다 힘들지만 정진하면 된다 하셨습니다^^마음이 많이 편안해졌습니다
@myl5631
@myl5631 Жыл бұрын
돈 받고 설법하고 아는 척 많이 하는 보살들이 많은 집단들이 많아요. 여기저기
@seonkyukim5935
@seonkyukim5935 2 жыл бұрын
👍👍👍
@bym9677
@bym9677 2 жыл бұрын
삼법인인 는 자막을 만드실 때 꼭 띄어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언제나 좋은 콘텐츠에 감사드립니다.
@ronnypark5251
@ronnypark5251 2 жыл бұрын
True words aren't eloquent; eloquent words aren't true. Wise men don't need to prove their point; men who need to prove their point aren't wise.
@user-ok6op8vp9e
@user-ok6op8vp9e Жыл бұрын
무아 곧 우주 내몸을 이루는 세포 어느하나가 나 곧,내몸은 우주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무아ㆍ선정이라는것에 너무 집착하는 우리 불교문화가 일반대중에게 갈길을 잘못안내하는거 같습니다 그것이 학습된 불교문화만 안내하는 소극적인 자세에서 무아ㆍ선정을 강조하고 무아ㆍ참나에 집착하는 문화 그래서 본질은 모르고 특정수행만 끝도없이 막연한 수행만 강조하니 그보다는 자신의 에고의 특성과 중생상의 특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개선하는 노력을 먼저해야된다고 봅니다 정작 무아인걸 아는 사람은 무아라고 말안합니다 허구헌날 많은 사람들이 불자나 스님이나 뭘까 이게뭘까 생각하고 이게 무아다라고 군더더기을 말하고 아주 잘못됐습니다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그릇입니다 마음을 조복받는다는 표현하는데 대자연의 생명에너지을 흡수하고 발산하고 그때가 몸도 정화되서 몸이 형태만 있는것 처럼 에너지소통이 원활합니다 걷지도못하면 걸음마을 먼저 배워야되는데 뛰는걸 배울수 없듯이 부처의 깨달음을 아무리 배우고 익힌들 일체가 안되있습니다 자신의 성품을 보고 자신의 부정적인 모습 에고의 특성을 하나하나 고쳐서 스피커로 내보내야합니다 이런과정들을 통해 자신의 허물을 고쳐나가다가 보면 고치필요가 없을때가 옵니다 그때가 무아의 상태입니다 그때가 만물에너지와 자신의 마음과 육체가 다 통하게됩니다 말로 아무리 말해밨자 소용이없는겁니다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user-ep9cx8rp5d 그냥 생각을 짓지말고 사는게 좋습니다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user-ep9cx8rp5d 무관하게 일어나지만 관심을 가져야될것과 갖지말아야될것을 알고 행동하게되죠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user-ep9cx8rp5d 그러니 각자가 알아서하는거죠 ㅎ 말해뭐합니까
@petery7003
@petery7003 2 жыл бұрын
나: 나는 나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너: 없는 니가 어떻게 깨달아?
@user-yb7ww4ow2s
@user-yb7ww4ow2s 2 жыл бұрын
생각의 속성은 먼가요,먼가요?
@user-zh1wi8mt8x
@user-zh1wi8mt8x Жыл бұрын
마음수행으로 괴로움 없이 사는 1인 입니다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자는 기쁨에 넘쳐 고요하며 생사윤회가 멎은 절대평화에 이른다 열반 해탈
@user-yo4eq2io9s
@user-yo4eq2io9s Жыл бұрын
@user-lg4tj4ih6l
@user-lg4tj4ih6l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의 경전은 직접 읽어보고 싶은 생각은 있습니다 하지만 저가 게을러서 그기까지 따라 가기가 힘들어요
@user-hm2uz2cs2j
@user-hm2uz2cs2j 2 жыл бұрын
악! 끊는 솜씨, 일일 막장드라마!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2 ай бұрын
일불성 --->>> 일불승. 자막 오자 수정바랍니다. 법화사상은 일불승으로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을 뛰어 넘었다는 사상입니다. 구원불성, 즉 우리 모두가 이미 성불하였다는 엄청난 선언이지요. 고익진 교수님은 수행과 이론을 겸수한 대단한 분이셨습니다. 전현수 박사님은 니까야 아함에 머물고 계시지만 보살도로 결국 전향하실 겁니다.
@kimsthovan50
@kimsthovan50 2 жыл бұрын
거의 온 마음과 몸이 절대온도로 얼어붙은 상태에서 원장님의 깨달음의 과정 한마디 한마디를 들었습니다. 등에 소름이 돋았고, 깨달음이 단순한 이해가 아닌 궁극적인 본질을 들여다 보는 뭔가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수행해야 겠습니다. 죽음의 순간 내몸을 편안히 관찰하며 가는 스님들의 경지가 보였습니다. 그리고 큰스님의 노을이 해인사 뒷산에 걸린 의미를 알았습니다.
@yeon5613
@yeon5613 2 жыл бұрын
불교는 괴로움을 해결하는 완벽한 시스템이다
@sanggeunpark7204
@sanggeunpark7204 2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쓰신 책 소개와 인터뷰 1,2,3편 모두 잘 보았습니다. 국내에서 유명(?)한 분들을 직접 찾아가셔서 인터뷰 하시는 써니즈님의 노력에 감탄하고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이런 인터뷰를 보면서 소위 깨우쳤다고 하시는 분들의 한계점 또한 여실하게 드러나는 것을 보고 참으로 안타까우면서도 이런 인터뷰 영상을 통해 걸러낼 수 있기에 또한 감사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이하 저의 경험+의견으로 쓰는 글입니다) 일단 전현수 선생님께서는 좋은 정신과 선생님이시라고 생각이 되지만 말씀하신 내용만 가지고 미루어 보건데 결코 불교의 깨달음-돈오-를 하신 분은 아닌 것으로 보여집니다. 1) 이번 인터뷰에서 (무아)를 깨쳤다..라고 하시면서 체험담을 이야기 해 주셨는데... 그것은 불교에서 말하는 공-무아 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일단 말씀 하시는 내용을 보면 약간 애매하긴 한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말씀하시는 내내 (분명한 앎)이라는 것이 (있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분명한 앎이라는 것이 (있다)라고 느껴진다? 분명한 앎이라는 것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분명한 앎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렇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궁극적인 앎을 의미하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눈이 눈 자체를 볼 수 없죠? 혀가 혀 자체를 맛볼 수 없죠? 마치 이와 같이... 궁극적인 앎은 모든 것을 알지만 자기 자신을 대상화 해서 자기 자신을 느끼거나 알 수는 없습니다. 궁극적인 앎이 (있다) 혹은 (느껴진다) 라고 표현하면 그 순간 이미 대상화가 되어서 보고 있는 것이기에.. 그렇게 느껴지는, 보여지는, 있다라고 느껴지는 대상은 궁극적인 앎이 아닙니다. 만일 진짜 돈오를 하셨다면.. 궁극적인 앎에 나 자체가 계합이 되어서 (사실은 본래 나라고 느껴지는 느낌-에고-는 실제 내가 아니고 궁극적인 앎이 진실된 나? 라서 원래부터 분리된 적이 없음.. 그러나 우리는 분리된 것처럼 착각하고 평생을 살아왔기 때문에 이러한 평생의 착각이 깨어지는 순간 편의상 내가 궁극의 앎에 계합되었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 뿐이지 실제로 계합되고 말고 하는 과정 같은 것은 없음) 궁극적인 앎을 대상화 시켜서 보거나 느낄 수가 없습니다. 그냥..물리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그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2) 1번과 마찬가지로 (무아)를 (거대한 세계)라고 표현하셨죠.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어떤 거대한 세계라고.... 그것은 우리의 일상적인 의식에서 잠시 벗어난 일종의 신비체험 같은 것이라고 할수는 있겠지만 무아하고는 전혀, 일체의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거대한 세계라고 표현한다는 것은.. 이미 거대한 어떤 세계...공간 이라는 것이 (존재) 하고 있습니다. 단지 거기에 (나)라는 느낌이 없을 뿐이지...... 무엇인가를 대상화 해서 느끼고 있는 거죠.. 따라서 표현하신 것은 진정한 (공)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공)이라는 느낌이 드는 무엇, (내가 없다)는 느낌이 드는 어떤 상태를 체험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또 진정한 (무아) 라면....... (거대한 세계)를 느끼고 있는 나도 없어야 하죠? 하지만 분명히 거대한 세계를 느끼고 있는 내가 있잖아요? 그리고 (거대한 세계)라는 느낌-상태-세계 가 분명하게 존재하고 있잖아요? 따라서 그것은 무아도 아니고 공도 아닌 신비체험의 한 종류에 불과합니다. 굳이.... 제 멋대로 판단하자면 그리 높은 경지의 체험도 아닌 낮은 차원의 체험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던 욕계-색계-무색계 단계 중에서 욕계 상층부 혹은 색계 차원의 체험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무색계 차원의 체험만 되도 (xxx한 세계가 분명하게 느껴진다. 생생하게 느껴진다) 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비상 비비상 정도의 체험을 했다면 (xx한 세계가 있다) 라는 느낌도 들지 않고 그 경험에 대해서 뭐라고 말로 묘사하는 것도 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래서 그 차원의 체험을 한 경우 돈오와 상당히 헷갈리기 쉽습니다. 다만 돈오의 경우는 의식 레벨이 다운이 되고 희로애락에 휘둘리더라도 분명히 과거 상태로 100%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절대 변하지 않는 어떤 분명한 변화가 있는 반면 단순히 비상 비비상의 체험을 한거라면... 이 세상의 사람들과 뒤섞여 뒹굴다 보면 의식 수준이 곧바로 다운이 되서 100% 옛날 상태로 돌아간다는 분명한 차이가 있어서 구분할 수 있지요.. ㅋㅋㅋㅋ 인터뷰 3에 나오는 돈오하지 못하셨다고 판단한 몇가지 부분들은... 인터뷰 3번에 쓰도록 하겠습니다.
@user-zh1wi8mt8x
@user-zh1wi8mt8x Жыл бұрын
돈오돈수는 아니어도 돈오점수라도 ㅋㅋ
@user-pj4tz6wz7x
@user-pj4tz6wz7x Жыл бұрын
남을 자신의 기준으로 잣대를 대고 판단하는것이 참 보기좋네요
@TV-wm1cn
@TV-wm1cn 9 ай бұрын
그냥 자기 자신들의 근기에서 보면 참 좋을것을! 굳이.....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2 ай бұрын
선생께서는 전혀 전통불교를 모르시는군요. 언어는 사상적 맥락에 따라 뜻이 다른 겁니다. 조사선 한다고 주장하는 재가자들 주장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그건 그네들 사유체계 안에서만 긍정되는 언표입니다. 위빠사나의 진실은 그와는 전혀 다릅니다.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것과 같ㅅㅂ니다. 비교 불가한 영역을 억지 춘향식으로 비교하고 비판해 보아봤자 번짓수 잘못 짚은 겁니다.
@user-yg4iv5iv2m
@user-yg4iv5iv2m Ай бұрын
비틀비틀 걷는 사람이 똑바로. 걷는. 사람. 보며. 비낞하은. 꼴 이네요. 중국. 불교의 미망에서. 언제나. 벗어날려나. . . .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업보 윤회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심은대로 거둔다 죽음은 마지막이 아니고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억겁이 지나도 업보는 남아있고 인연으로 만나면 되돌려 받는다 사필귀정 인과응보 자업자득 만고불변의 진리다 부메랑이다 자신에게 돌아간다 피할수 없다
@user-dx2lp2jz5s
@user-dx2lp2jz5s 2 жыл бұрын
무아가 어떤현상인지 아무른설명을 하지못하시는데 무아를 깨달으셨다고 무아를 올려놓았네요 ///???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2 жыл бұрын
붓다의 무아와 한국 불교의 진아는 어떤차일까요?
@younghyunbaek5357
@younghyunbaek5357 2 жыл бұрын
방편으로 진아라 하신 것 같습니다 진짜 진아가 있다하면 힌두교지 불교가 아닙니다 진아도 조건따라 일어난 거라 사라지는 것이죠
@Wakeup82828
@Wakeup82828 Жыл бұрын
무아라면서 '내가' 무아를 깨치셨다는 건 모순 아닌가요? 그 깨칠 '나 '라는 것이 없잖아요.
@user-dc7fq4qo8l
@user-dc7fq4qo8l 2 жыл бұрын
수많은 생명이 나고죽는 연유가 무엇인지요?
@coolmoom5
@coolmoom5 2 жыл бұрын
가이없는 허공에서 한구절이 이에오니 허수아비 땅밟을새 크게둥근 거울이라 여기에서 묻지마라 알음알이 가지고는 이삼이라 여섯이요 삼삼이라 아홉인걸
@tv-qg4xd
@tv-qg4xd 2 жыл бұрын
써니즈님 각자들과의 인터뷰 너무 마음공부에 도움이 됩니다 저는 2017년에 깨달음을 하고 지금은 보림중인 사람입니다 깨달음의 핵심은 부처님의 불이법입니다 불이법이란 물속에 물고기가 들어있어 물과 물고기가 분리될수 없는 하나라는 뜻입니다 불이법은 하나님과 인간이 하나입니다 즉 하나님이 인간이고 인간이 곧 하나님인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과 인간이 분리될수 없기에 불이법은 시간이 없고 공간이 없고 거리가 없고 노력이 없고 조작이 없고 수행이 없고 명상이 없는것입니다 인간이 하나님이라면 하나님을 따로 찾을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물고기가 물속에서 물이 없다는 망상만 내려 놓으면 바로 물을 찾을수 있는겁니다 불이법은 시골농부 김영식님도 이야기하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써니즈님 저도 써니즈님 채널에 출연해 부처님의 불이법에 대해 다루었으면 영광이겠습니다 유튜브 김용철tv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2 жыл бұрын
그건 힌두교의 전변설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다 전별설 내지 전변설의 아류를 말하고 있어요. "다름"도 말할 수 있어야죠. 탐욕과 탐욕없음이 다르고, 부처와 중생이 다르다 등등
@user-op4nr9cz2o
@user-op4nr9cz2o 2 жыл бұрын
김용철님 보림중이신가요?
@tv-qg4xd
@tv-qg4xd 2 жыл бұрын
엄순자님 댓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도 본림중이고요 깨달음은 1일이면 누구나 할수 있습니다 제 유튜브 1일만에 부처님깨달음완성하기 제목 생활속의선tv 한번 보십시요
@TV-rd7ku
@TV-rd7ku 2 жыл бұрын
무아를 깨치면서 심상에 어떤것이 떠올랐나요?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바르고 참되게 후회 없는 인생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일용사 평상심 즉금당처 현전실재 산하대지 진면목 두두물물 참부처 배고프면 먹고 고단하면 잔다 보탤것도 없고 뺄것도 없다 구하면 잃는다 남에게 속지마라 놓아버리라
@user-jk4hg6fj9f
@user-jk4hg6fj9f Жыл бұрын
의학과 종교의 콜라보
@user-lw4ck7iy9m
@user-lw4ck7iy9m 2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이 깨달은 바를 일반인이 배우고 치료받으면 없던 정신병도 생길둣. 내가 보기에 누굴 가르치거나 치료할 생각말고 혼자 깨달음의 끝을 보길.. 똥물도 유심히 그 근본과 법칙을 살펴 보면 똥물박사가 될 뿐아니라 똥물에 대한 궁극의 깨달음이 옴.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사후 세계 영계 업보
@user-iv1hk9ey3u
@user-iv1hk9ey3u Жыл бұрын
깨달음 한생각 돌이키면 세수하다 코만지기 헤매면 세세생생 닦아도 무명과 아집만 더할뿐이다 보고 들은것을 떠나서 자신의 본래 모습을 보라 옳고 그름 다 떠났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스스로 한가하다 누가 극락이 어디냐고 묻는가 번뇌 끊어지면 마음자리 오롯한 것을 놓아버리라 쉬어라 한생각 일으키면 어기어 버린다 본바탕 천진한 마음을 지키는 것이 선정 정진 열반 해탈
@user-zf8gu8no5o
@user-zf8gu8no5o Жыл бұрын
나모아미따바
@anatta4169
@anatta4169 2 жыл бұрын
뒷부분 강의 내용도 있나요?
@sunneeds
@sunneeds 2 жыл бұрын
네. 총3편 있습니다. 채널로 들어오시면 보이실거에요.
@JOSHUA-bu5fh
@JOSHUA-bu5fh 2 жыл бұрын
무아랑 참나는 다른건가요?
@kacho019
@kacho019 2 жыл бұрын
글만 다르지 같은 겁니다~ 무아가 좋으시면 무아로~ 참나가 좋으시면 참나로~ 님이 무엇을 믿고 생각하시든지 다 옳지만 강요하고 강요당하며 살지는 마세요~~^^ 생각은 하되 행동이나 말씀으로 펼치지만 않으신다면 전혀 문제 될게 없습니다.^^
@user-xd9rc8tf9t
@user-xd9rc8tf9t 2 жыл бұрын
무아(無我)란 엄밀한 의미에서 '제법무아' 이며, 생각, 감정, 오감 즉, 오온이 늘 변화하기에 나라고 할만한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뜻으로 현상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하나의 개념이지만, (feat.무상,고,무아) 참나(實我)란 내 안에 신성(성령)을 의미하며, 한 생각이 일어나기전, 선험적 자아 '순수 의식'인 텅빈 알아차림, 신령한 알아차림의 초의식으로서 절대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하나의 실체입니다. "무아와 참나는 다른건가요?" => 정말 좋은 질문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JOSHUA-bu5fh
@JOSHUA-bu5fh 2 жыл бұрын
@@user-xd9rc8tf9t 네! 현상계의 본질 절대계의 본질 친절한 설명 감사드려요^^
@JOSHUA-bu5fh
@JOSHUA-bu5fh 2 жыл бұрын
@@kacho019 네! 깔꼼한 설명 감사드려요^^
@user-rb9vx8fv1v
@user-rb9vx8fv1v 2 жыл бұрын
무아을 통해 참나을 알게된다고 보면 되지 않을까요
@myl5631
@myl5631 Жыл бұрын
전 현수 님이 언급하신 그 분이 누구 입니까?
@user-hf1kx3ss3e
@user-hf1kx3ss3e 2 ай бұрын
고익진 교수님
@se_hyunJang
@se_hyunJang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내가 알아차리는... 또 그 알아차림에 의해 나를 존재케하는 그자리가 불성이요. 참나이자.. 성령입니다. 관습적이라 궁극적이라 하심도 참나의 나툼이요... 생각 감정 오감의 에고와 지금 세세히 알아차리고 있는 나를 알고 고요히 있지만 컵을 들려고 하는 생각이나 인지를 일으키는 순간이 존재하는 내가 에고를 통해 현상을 구현하니 이는 무상 고 무아, 아공을 아는 단계의 첫발 이십니다.
@user-dh8lw9rq4i
@user-dh8lw9rq4i 2 жыл бұрын
신라는 골품제라는 폐쇄적인 계급제를 채택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업설은 원래 불교의 개념인데,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생전의 업이 다음 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즉, 지금 잘 산다는 것은 이전 생에서 잘 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논리를 왕과 (진골) 귀족들이 가져와서 계급제를 합리화시키는 데 이용하였습니다. 즉, 본인들이 높은 계급을 가지고 온갖 특권을 누리는 것은 과거에 잘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일반 백성들은 다음 생에 왕족, 귀족으로 태어나려면 지금 잘 해야 한다는 것으로, 쉽게 말하면 "시키는 대로 잘 해라."는 논리로 이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게 업설의 본질 아닌가요?ㅋㅋ 더 높은 깨달음이 있는가?
@user-el6sl1ez3w
@user-el6sl1ez3w 2 жыл бұрын
제법 무아 는 없읍니다 속지 마세요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