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미국입니다 몬 이곳에 인터넷에 발달로 이렇게 좋은 정보를 듣고 볼 수 있어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하고 저도 꼭 필요한 필요사항입니다 꼭 한번 연락 드리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응원, 감사합니다. 저도 캘리포니아 자주 가야하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답답합니다. 지구촌이랄까 10시간 남짓, 왔다갔다 했으나, 영 불편해졌습니다. 캘리포니아 쪽은 주차장을 용도변경하여 렌트 룸으로 개조를 많이 하던데..... 건축,리모델링,실내장식..... 재밋어요. 시청해주시니 감사합니다 ^^
@JT-HOUSE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합니다.. 기술사라니.. 저는 언제 거기까지 갈 수 있을지 너무 멋있습니다 선배님
@772homedesign Жыл бұрын
기술사에 뜻입니다 있다면 꼭 됩니다. 매일 단30분을 할애하여 공부하세요... 매일×30분×365일---> 꼭 취득 하세요^^
@JT-HOUSE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서 준비해보겠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yucheon4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정보 감사 합니다 즐겁게 시작 하는 하루 되세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덕분에 하루의 시작이 즐겁고, 기뻐요 . 태풍대비 잘 하세요 ㅡㅡ 고맙습니다 ^^
@joorhelee7431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응원, 감사합니다 ^^
@AnttoCochon_AjoommaMokgong8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잘 보고 갑니다~^^
@772homedesign8 ай бұрын
응원해주시니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rlgus85745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한 내용들이네요! 올려주신영상들 감사히 보겠습니다. ^^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칭찬 글 보니 기쁘네요 ^^ 고맙습니다!!!
@강현우-s7t3 жыл бұрын
진지하게 설명해주셔서 진지하게 잘들었습니다.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현우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V-bc7tv5 жыл бұрын
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khmcs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친절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칭찬 받으니 기쁘네요,,,, 고맙습니다 ^^
@JG-yt1cd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다음번에 스틸하우스에 대해서도 영상 부탁드립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말씀대로 스틸하우스에 대해 영상으로 올리겠습니다 ^^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어제(190707) 영상으로 올렸으니 보세요^^
@sung-minen3671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saxophone-musician4 жыл бұрын
건축주로서 경량철골조 주택의 일상 생활에서 나오는 수분.증기.등 판넬에 석고를 붙이는데 판넬과 석고사이에 거기에 틈새에 생기는 곰팡이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판넬을 지지할 벽돌쌓기나 블럭크쌓아야 하고 판넬 벽면에 보강을 해야하는데 않그러면 C형관과 판넬을 결합할려면 피스작업을 하겠지요 그 중간 공간에 뭘 채우는게 좋나요 단열재를 채움한다면 단가가 높아 지겠지요 하지만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은게 판넬주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건축을 완벽하게 지울려면 옳은 자재와 부실의 원인이 되게 하면 않되겠지요 잘듣고 갑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패널의 철판은 흡습을 전혀 못하므로,, 결로가 문제될 여지가 많음이 사실입니다. 시공 할때 이 점을 바로 알지못하면 결로의 문제가 생깁니다. 저의 채널 "결로"편에서 많은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
@박민기-c6f2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 구조물 단층 주택 장단점 리뷰 부탁합니다
@post70005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솔길-u8b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감사합니다 저는대지는계약햊는대막상집을지을려고하니걱정만댐니다 물런돈이문제죠
@오솔길-u8b4 жыл бұрын
그리고샌드위치파로집짖는학교는없나요 잊으면 알려주시면감사하곘읍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경험 많은 소장을 두고 직영하시는것도 고려해 보세요. 본인이 관리 능력만 있다면,, 절감됩니다.
@종숙최-m1m Жыл бұрын
5:53
@최명희-p6m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명희님.... 시청 감사합니다 ^^
@지정만-f9e2 жыл бұрын
칠칠구.참잘헤요만은경험말슴찰헤요마음통헤
@772homedesign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이희건-q2o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문의를 합니다. 판넯주택 내장시 각재를 고정하는데 에어타카로 못을 박아서 각재를 판넬에 고정하고 거기에 석고를 붙여 천정내장을 하고 벽체는 판넬에 석고대고 타카로 못으로 고정을 하는데 판넬 철판에 못을 박는게 정상 이 아닌 방법이고 스크류 나사못으로 고정을 해야 정상이라고 생각하는데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업자들의 선생님이신 박사님의 답변을 통해 시공의 기준이 세워지길 바랍니다.
@772homedesign2 жыл бұрын
타카못이 시공 편의상 시공자가 선호하지만 스크류 못에 비해 고정력이 떨어집니다. 그렇다고 타카못이 쑥쑥 빠지지 않으니, 타카로 하더라도 중요부분에 스크류못도 밖아, 보완하면 되겠습니다. 또, 패널의 접착 강화를 위해 본드, 실리콘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stock-holder4 жыл бұрын
제일 좋은 건 거실과 방을 확장하지 말고 집사방이 발코니로 쭉 둘러져 있으면 결로가 생길 수 없음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말씀 맞습니다만, 외관도 고려해야되므로 단열을 잘 하면 결로는 염려없습니다^^
@VIP-lx6qz5 жыл бұрын
화재에 취약해서 공사하면서 소화기는 현장에 꼭 있는게 좋음.. 특히 용접할때 조심..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100% 공감입니다 불조심!!!
@진돗개탄4 жыл бұрын
댓글 쭉 보니 참 지혜로우신 것 같네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칭찬받으니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user-ct8bp7yi8j4 жыл бұрын
경량목조주택도 벽체 방습시공이 내외부로 견고하게 되면, 합판이 습도조절 능력이 없다고 생각됩니다만 ~ 그래서 벽체로서 기능이 철판판넬과 합판판넬이 같더라도 시공결함을 생각하면 경량목구조가 좀더 좋은 구조인것이 맞는것 같은데 ~ ?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공감입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김정출-r2q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꾸벅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정출님,, 늘 시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jungsupyun56254 жыл бұрын
2년전에 경량철골구조로 지었는데.. 대만족 하며 살아요.. 하자도 거의 없고 단열도 끝내주네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경험의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경량철골등.... 모든 구조의 밝은면 또는 어두운 면을 부각 시킬 수 있습니다 어떤 구조라도 잘 시공하면 만족,,, 의견 감사합니다 ^^
@zero-v9q9o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 주택은 결로에 취악 할 수 있다는 예긴가요? 샌드위치 판넬로 집 지을려고 하는데 결로는 엄청 신경 쓰이네요~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적절한 통기구를 설치하고 주방,욕실등에 흡기배출(환풍기)기 등을 적절히 이용하면 결로 문제없습니다.
@zero-v9q9o3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네~ 결로에 대에 많이 말씀을 하시니 경량 철골주택이 결로를 안고 가야할 문제점이 아닌가해서 😟많이 되더라구요~
@붉은달-n7q3 жыл бұрын
저희 엄마집이 판넬집인데 결로하나 없이 10년 이상 지속됩니다. 추운 산골인데 한겨울도 난방 저희집보다도 더 좋아요.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재료, 공법이 뭐든 시공을 잘 하면 좋은 집이 됩니다. 비싼 재료라도 부실한 시공은 빵점 짜리 집이됩니다. 😀
@붉은달-n7q3 жыл бұрын
저도 귀촌하려 토지 매입하고 건축물 지으려는데 견적을 뽑을수가 없네요.완전 초짜라.어디서 부터 시작해야할지...지식을 나눠주실수는 없나요? 어느계절에 평탄화 작업 하는게 좋을지도 모르겠고 모든게 어설프네요.
@붉은달-n7q3 жыл бұрын
토지는 매입해놓은 상태입니다.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문자우선입니다 ^^ 채널 정보란에 연락처 있습니다
@최공희-o1w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목조, 철골 중 고민하고 있는 예비 건축주입니다 외부에 썬룸을 지을면 결로나 단열에 도움이 될까요? 2층으로 지으려는데 구조 올리고 그다음 할수있는 단열 방법 어떻게 하면 가장 좋을지 가르쳐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772homedesign3 ай бұрын
목조도 방식이 여러가지,, 철골조도 다양합니다. 선룸은 외벽 일부에 붙어 위치하므로 근본적인 외벽 단열과 고단열 창문,출입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적은 비용으로 고단열 주택이 가능 합니다. 위치가 가까우면 현재 진행중인 양평 현장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이기보님 반갑습니다,, 많은 분이 이런 소음에 의문을 갖습니다. 꽉 조여지고 밀착된 철재와 패널등이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과 수축을 하면서 딱딱 소리가납니다 특히 해떠서 지붕 온도 올라 갈때,,,오전10~11,, 또 해지고 식을때,,,, 따딱 딱 똑.... 원인을 아셨으니 소음공해는 있으나 쪼금도 염려 마세요, 구조적으로 아무문제 없습니다 ^^
@이기보-x1r5 жыл бұрын
저희집만그런줄알았네요 감사드립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이기보-x1r 님,, 아무 염려 않으셔도 됩니다
@박순영-x3i5 жыл бұрын
경양철골내부마감을원목루바로하면결로늘방지할수잇읍니까
@조규남-x4c5 жыл бұрын
올 봄에 2층으로 경량철골조로 건축을 계획하고 있던 터에 잘 봤습니다. 오늘 알게 돼서 구독했네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규남님,,,, 반갑습니다. 영상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qwertkim50334 жыл бұрын
2층 바닥은 어떻게 마무리 하시나요? 데크플레이트 깔고 콘크리트 타설하시는지 아님 합판깔고 단열재 깔고 방통 치시는지 궁금합니다
@jackpotchiken4 жыл бұрын
주택에 판넬을 사용하면? 처음엔 단열이 잘되지만 7~8년에서 10여년 지나면 단열이 취약해집니다. 내부의 습기가 판넬의 단열재(비드법단열재 1종)에 스며들어 점점 단열이 안되는 것입니다. 판넬건물 철거했을 때 판넬이 많이 무거운 것들이 있습니다.습기가 스며서이지요. 판넬은 공장이나 창고용으로 나온 자재이지 ,주택용 자재가 아닙니다. 집은 적어도 5십년 백년을 바라보고 지어야 자원절약을 위해서도 좋고 ,지구환경을 위해서도 좋습니다. 정 판넬로 지으시려거든 판넬과 판넬 사이 우레탄발포로 5m/m연결틈새를 메꿔주시고 실리콘으로 막아주세요.그리고 석고보드1p~2p하시면 훨 낫습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ksh66765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경량철골이며 샌드위치판넬 외단열 주택은 외부 마감은 어떤것이 가능할까요? 세라믹사이딩 같이 무게가 좀 나가는 마감재는 어떤 시공방법이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세라믹 사이딩의 전용 클립이 있습니다만,, 그 클립 고정부의 나사못이 힘 받는곳에 박혀야 안전 하겠습니다.
특유의 투명효과가 사라지나, 아트론(제품명), 은박 돗자리를 차광막 사이에 덮어주면 태양의 열선이 반사되므로 시원해 질 것입니다^^ 열반사 단열방법이 유효하리라 생각됩니다 ^^
@케이리즈5 жыл бұрын
궁굼한점 있습디다 조립식주택 방음및 울림 공사 어떤방법으로 보수하면 좋을까요 혹시 골조 까지 보강하면 비용이 많이 나가나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철재료 특성이 울림이 있어요,, 무거운 재료로 덧대주면 효과 있으나, 시공여건이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벽의 경우, 시멘트벽돌을 한켜 쌓는다거나,,, 석고보드를 두겹 붙여도 효과 있습니다. 바닥이 울리면 그 아래 층에 기둥을 적당한 곳에 설치하면 진동이 적어지고, 울림도 사라질 수 있습니다.
@케이리즈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제가 보기엔 옛날 방식으로 집을 공사 한거 같아요 불과 4년전 시공인대 한마디로 날림공사가 심하네요 건축주가 재가 아니라 머라고도 못하겠네요 판넬 한장 붙이는 시공한걸로 보이네요 혹시 나중에 골조 보강 해야 하나요
@케이리즈5 жыл бұрын
골조 보강 하게 되면 비용이 많이 나가죠 바닥 방습 공사 울림 방음 공사 언젠간 해야 하는집입니다 나중에 매매도 안대니까요 25평 입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 지금 글을 읽고,, 어떻다 말하기 어렵네요,, 실제를 보기전에는,,,구조는 보통 안전 여유치를 가산하므로 큰 염려마시기를......
@이광열-d5g4 жыл бұрын
판넬과 판넬 사이에 우레탄 품을 사묭하는 이유 밎 어떤 종류의 풍을 쓰야하는지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틈새바람을 막기위해 우레탄폼을 사용합니다.
@이광열-d5g4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단얼잋소음차단에도 않은 효과가 있는지요
@조영근-e5i4 жыл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초반에 잠깐 언급하셨던 플라스틱골재(플라스틱H형강?)에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국내생산회사나 더 자세한 정보를 알수있는 곳을 부탁드려요 그리고 이걸로 지으면 아무문제가 없을까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경량골재, 특수골재는 소규모 공사에서 비용 증가로 사용 예가 적습니다. 구조를 바꿔 ALC, 경량목조,철골조를 검토해 보세요
@조영근-e5i4 жыл бұрын
답변감사드립니다. 저도 경량철골조가 가장맘에 드는데 기초콘크리트에서 골조를 타고 일어나는 열교류 현상을 막고자해서 플라스틱골재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그럼 다른 대안으로 기초콘크리트와 골조사이에 방부목이나 합성목재를 2겹정도 넣으면 어떨까요? 경량목구조처럼 바닥을하고 그위에 철골조를 세우면..... 집을 반드시 경량철골조로 짓는다는 가정과 샌드위치판넬로 외단열을 한다는 가정하에 콘크리트기초와 골재 사이에 열교류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철골기둥의 열교현상에 너무 염려마세요. 단, 외피 단열을 두텁게하면 하부에서의 열교 별 영향 없습니다. 열교문제 보다 앞서 기둥 베이스플레이트의 견고한 고정이 더 중요합니다 ^^
현행 규정상, 2층부터 내진구조 설계 해야합니다. 1층은 무관하고,, 2층 으로서 해당된다면,, 구조설계비를 조금더 추가 요구를 합니다.
@오리오리-q9h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사라-j6q3 жыл бұрын
건축사님! 영ㅎ
@qwertkim50334 жыл бұрын
772님 궁금한게 또 있습니다. 경량철골조 2층으로 지을 때 2층 바닥은 경량각파이프 위에 합판깔고 단열재 깔고 엑셀파이프 깔고 방통 치는지. 아니면 철골조처럼 데크플레이트 깔고 철근 깔고 콘크리트타설 후 엑셀파이프 깔고 방통 치는지. 아니면 경량철골조 2층 바닥은 다른 방법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2층 바닥을 플레이트로 한다면 데크플레이트까지는 경량철골 골조팀에서 마무리 해주나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권장하기는,, 덱크플레이트를 깔면 좋습니다. 플레이트에 스터드 볼트 또는 10밀리 철근 용접까지 하면 일이 적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철골팀이 덱크플레이트, 지붕까지 합니다. ^^
@qwertkim50334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경량철골조는 어떤 흐름인지 대략 알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qwertkim5033 감사합니다 ^^
@자유의날개-w7h3 жыл бұрын
불나면 확 타버리고 태풍불면 홀랑 날라가버릴수있겠내요내요 수명도 짧을거같고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그럴 확율은 아주 적습니다만, 조금,,공감입니다 😀
@그맛이알고싶다-l1o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징크판넬로 상가를 만드려면 평당 어느정도 들까요? 자동차 세차장 3칸정도 만들고싶습니다. 바닥에 타일깔고 폴딩도어로 한50평 생각하고 있습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대략, 평당 240만원 정도 듭니다. 옥외 옵션은 제외됩니다.
@김나영-z3n6i4 жыл бұрын
제가 경량철골조로 주택을 지을 예정인데 걱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샌드위치판넬로 외단열을 할 경우 접합부의 철판을 잘라 단열재끼리 닿을 수 있게해야 열교현상을 줄이고 단열을 잘 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모든 시공사가 이렇게 제대로 시공하나요? 시공계획서같은것들이 있다면 똑바로 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텐데 그게 아니라면 판넬자르기 귀찮다고 그냥 붙여버릴 수도 있고 제가 이렇게 하는게 맞냐고 따져도 그쪽에서 이렇게해도 상관없는거라고 할까봐서요. 제가 요즘 건축에 대해 공부하면서 저희 어머니 아는시공사한테 이것저것 문의를 하는데 공부는 열심히하는데 똑바로 알아야지 하면서 비전문가라고 무시하는 기분이 듭니다. 벌써부터 이러는데 막상 공사들어가면 잘못하는거 따져도 이렇게 해도 상관없는거라고 배째라할까봐 걱정입니다. 시공사들 시공 제대로 하는지 계약전부터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 시공의 확인,,확신" ㅡㅡㅡ 질문의 핵심인데요, 꼭, 해당 시공자가 근래 시공한 집을 방문 해서, 잘 지어졌는지 보세요. 꼭 보세요. 답 나옵니다. 모서리 접합부는 우레탄폼 채워야합니다.기본 입니다.
@@772homedesign 전기배관시 난연관이 천장으로 연결되는데 그 부분을 통해 내부공기가 올라갈수 있겠네요. 이경우는 콘센트나 천장의 난연관 전선외 빈공간을 실리콘 처리하면 좋을까요? 전선에 실리콘이 열을 발생하지는 않을까요?
@772homedesign2 жыл бұрын
기본전선관을 통한 공가흐름은 미미하니 문제 안되며, 특히 최상층의 천정 조명기구 틈이 큰 구조일 경우 결로등 문제가 발생합니다.
@라칸-z9r5 жыл бұрын
건축에 대한 정확한 정보 잘 보고 있습니다. 다만 결로부분에 대하여 추가적인 제 생각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공기중에는 항상 수증기(물기가)가 있습니다. 말씀처럼 온도가 높은 공기에는 많은 수증기를 내포하고 있죠. 그런데 온도가 낮아지면 이슬점이 생깁니다. 건축물에 적용시켜보면 실내공기가(따뜻한공기) 외부의 찬 기운(밤새 차가워지는 벽체,유리창 등)과 만나면 결로가 생깁니다. 이것을 막기위해 단열재와 복층 유리창을 설치하여 찬 외기와 못만나게 하는 것이죠. 평상시 방안에 찬 것(시원한 음료수,얼음잔)을 두면 주변에 물방울이 엄청 생김니다. 공기중에 수증기가 차가운 것과 만나 이슬점이 낮아 지니 말이죠.시공사들이 흔히 결로에 대하여 사용하는 사람 잘못으로 몰아가지만 정작 단열재를 설치하였더라도 틈사이를 제대로 메꾸지 않고 마감하였다면 외부의 찬기운이 방안의 따뜻한 공기와 만나 결로가 생길수 밖에 없는것이죠. 그렇다고 방안의 온도를 외부 온도와 맞추면 결로는 생기지 않겠지만 추워서 살수 없는 것이죠. 결국 시공 하자를 이상한 논리로 소비자에개 전가시킨다는것을 보고 화가 많이 나더라구요. 모쪼록 좋은 방송 잘보고 있습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자세한 글, 고맙습니다, 내용에 공감하며, 핵심은 단열처리시,밀봉하여 습공기가 스며나가지 못하게 시공해야 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TV-on1wc5 жыл бұрын
내년 전원주택 건축에 부풀어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772건축이야기를 집중해서 보고있는데요 경량철골조로 지으려고 합니다 근데 최근 한 유튜버의 영상을 봤는데요 경량철골조는 우리나라의 계절상 지으면 문제가 생긴다는데 이유는 여름과 겨울 온도차로 판넬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틈이 갈수록 생겨 방수 문제가 생길거고 판넬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때 끽 하는 판넬 마주치는소리와 딱하는 알수없는 수축시 소음이 생긴다고 합니다 물론 어느정도 이해가 가는 얘기지만 이런 문제들이 많이 생길지 이걸 조금이라도 방지하려면 경량철골 건축시 어느점에 신경쓰고 조금더 완벽한 건축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각 구조공법별로 완전한 것은 없습니다. 말씀하신 단점이 신경쓰이면, 스틸하우스도 검토해 보세요. 공법이 쉬워 함께 참여해 시공도 가능하고 피스조임이므로 따딱 소리도 않나고 철판집보다 건습조절도 잘됩니다. 경량철골조도 요소요소에 우레탄폼 처리하면 훨신 개선됩니다^^
@강성혁-u3w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잉어콧털3 жыл бұрын
콘크리크건물은 발암물질이 걱정이고 목조주택은 뒤틀임이 문제입니다 완전한 건축물은 없습니다
@반석꽃농장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잘보았습니다~~ 농가주택 1층20평 2층10평 지으려고 준비합니다^^공사비는 평당 400~460만원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건축이 좋을지 영상부탁해도 될까요~~~^^
@@dhc1117님,,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기회되면 현장방문 설명회 미팅도 할 예정입니다. 영상으로 더 유익한 자료 올리겠습니다. ^^
@오자서-h4x4 жыл бұрын
50평2층판넬건물입니다 건물주가 건물 노후로 철거한다는데요 판넬 건물 수명이 어느정도인가요? 안전점금 신청하면 어디를 점금하나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안전은 주로 구조의 안전이 문제이니,, 철골 뼈대가 안전하면 되나,,, 꼭 철거가 ,, 이면에 헐고 다른 것을 하면 더 경제적 이득으로 인하여 철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김천수-d2d5 жыл бұрын
어떤 건축 시공방식이든 완벽한 시공방법은 없는 것 같아요~ 일장 일단이 있어요 단 건축주 마다 자기자본에 맞추어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건축사랑이랑 직접 살고 있는 집에 초대해서 식사도 하고 1년 이상 시간을 두고 서로 건축에 대해서 컨설팅을 받고 전원주택을 지으시면 실수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단 단열재랑 샤시는 고급제품을 사용하셔야 난방비 폭탄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꼭!! 후회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뭘 선택하면 양,음,, 장,단이 따라 다니니 100% 장점은 없나봅니다 ^^ 내취향에 맞는 집이 내겐 제일 좋은 집입니다 ^^
@고스트-x5i4 жыл бұрын
30평 샌드위치패널 단층 주택이라면 주기동용 아연각관은 한변길이 얼마짜리면 충분할까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기둥 간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100×100 ㅡ3.2T 정도면 좋습니다. 그러나,, 층고가 5미터다..... 뭐 이런 조건이라면 그정도로는 안되며,, 구조계산 해야합니다.
@김영순-c2t4 жыл бұрын
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댓글달아 주시는것도 짱입니다요 경량철구조로 농막을 지으려 합니다 벽체와 지붕의 각관 사이를 글라스울로 채우고 지붕 벽체 마감은 난연징크판넬로 하려합니다 이렇게 했을때의 문제점? 1층바닥 각관사이에 끼울 단열재는 외부로 노출되니 어떤것을 설치 하면 좋을지? 농막이지만 1층바닥을 기름보일러 시공도 가능할까요? 질문드립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바닥 각파이프 사이에 우레탄보드,,스티로폼 잘라 끼우고 틈에 폼 쏘세요, 혹한기 대비(상시 거주하면 제외) 온수난방은 피하세요. 하수관은 ㄴ자 부속사용하여 가로로 경사주어 약 2미터 정도 길이가되어야 침하에 하자 없습니다. 급수관도 충분한 보온과 함께 열선을 감아서 혹한시 대비하세요, 온도감지 센서 스위치가 있으니 영하로 내려가면 작동되게 셋팅가능 합니다 . 실내 급수관도 퇴수 밸브를 설치하여, 혹한때 사용 안할때 물을 다 빼야합니다. 온수기,양변기,급수배관... 참고하세요 ^^
@김영순-c2t4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바쁘실텐데 이렇게 자세히 답변해주시네요 행복하세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김영순-c2t님!!!! 농막 잘 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eunhasutv5 жыл бұрын
업자가 대충지은 목조주택 살때는 그러데로 단열잘되고 건습조절이 잘되어 쾌적하게 살았는데요. 건축주가 살려고 튼튼하게 지었다는 H빔과 판넬, 외부를 고벽돌로 마감한 집이 예뻐서 이사와 살아봤더니 겨울은 너무 건조해서 코가 막힐 정도고 여름에는 너무습해서 제습기 안돌리면 눅눅해서 힘들정도입니다. 집은 숨을 쉬어야 한다는데 철판은 숨을 쉬지 못해서 판넬집은 사람이 우비입고 있는 형상이 아닐까 하는데 그런지 궁금합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판넬집은 비닐우비,목조는 고어텍스우비,,,이 비유가 맞습니다. 철판은 습기 이동이 잘않되는 점이 있습니다. 제 동영상 경량철골에서도 언급했듯이 환기구, 창문을 통한 환기때 습기도 바뀝니다. 쾌적함은 목조가 좋습니다.
@eunhasutv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님! 상세하고 공감되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eunhasutv 님,,, 고맙습니다 ^^
@권형국-j7j5 жыл бұрын
그럼..콘크리트는요..? 집 은 운이 좋아야 할듯..목조 잘못지으면..나무 썩는 냄세부터..콘 크리트는 금가면..답답하고.. 모든 주택은 바람길 설계가 가장 즁요한데..이쁘게.고급자제로만 할려고 하니 하자가 나오는듯...어떤집이든 통풍 안돼면 10일이면 곰팡이핌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권형국-j7j 모든 공법을 잘 시공하면 문제 없습니다,, 단, 구조별 특성이 있습니다 ^^
@rain-pl8fn3 жыл бұрын
습하지 않나요 집안에 있으면 눅눅한 느낌이요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 점 입니다. 패널, 즉 금속판은 습기를 이동 못 시키며, 실내는 언제나 습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습하게됩니다...
@도화지-h3g5 жыл бұрын
경량철재로도 3층건물지을수있나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스틸하우스"로는 3층도 가능합니다만, 일반 경량철골조는 골격이 I beam,H형강이 구조재로 설계될겁니다.
열교현상은 없습니다. 미국경우 타이벡의 효과를 살리기 위해 OSB를 약8밀리 띄워 시공합니다. 우리는 그 틈에 폼까지 쏩니다. 잘 모르니.........^^
@멍때리기-j4w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고맙습니다. 일반적으로 시공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그 정도는 알아서 할까요? 아니면 건축주가 별도로 부탁해야 할까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멍때리기-j4w 님,,,반갑습니다. 원래 실력없고 능력없는 기술자는, 부탁을하든, 돈을더 주든 안되는 겁니다. 그러니 부탁안해도 잘 하는 분을 선택해야합니다
@TV-on1wc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정답.. 맞는 말씀이시네요
@김형덕여혜국민국민하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서산에 농막을 신고하고 6평이 아니고 9평을 놓았읍니다 3년후 연장해야되는데 연장이 안데네요 저는 부모님께서 35년전에 증여받아서 건축물대장도있읍니다 전에 건축물이 오래되어서 소멸되었어요 그래서 콘테이너를 놓고살고있는데 불법인가요 답변좀부탁드림니다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농막은 농지에,20평방 미터까지 허용 됩니다, 이후 존치여부는 관할 담당과 상의하시거나, 인근 설계 사무소에 자문을 먼저 받아보시면 해결방안이 나올겁니다,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
@어쩌다이기는춘섭씨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단열부분에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기초바닥(콘크리트)에서 기둥부분 골조를 통해 전달되는 냉기는 어떻게 단열처리하는게 좋은가요. 단열 대부분 외부(벽, 지붕)에서 전달되는 걸 차단하는건데, 기초바닥에서 철골조를 타고 전달되는 부분에 대해서 아무리 찾아봐도 없어서요. 그리고 유투브에 어떤교수님이 올리신 "판넬주택에서 절대 살면 안되는 이유"라고해서 샌드위치판넬 집은 창고같은 용도지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타고 하셨는데요. 열팽창으로 인한 쇠소리, 결로, 집은 숨을 셔야되는데 샌드위치판넬은 비닐봉투안에 사는것과 같다고 말씀하셨어요. 판넬집 지을바엔 차라리 작은 목조주택을 지으라고 하시네요. 경량철골조 주택을 맘에 두고있었는데 좀 충격이예요. 이말이 맞는건가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70% 맞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처마 통기구, 용마루 통기구설치와 용접접합부의 보완 으로 소음발생방지,, 적절한 단열처리로 결로및 보온기능을 향상 시킬수 있습니다. 가성비좋고, 내진 능력좋습니다. 더구나,,컨테이너하우스에 사는 분들은 더 단점이 많겠네요. 모든점이 다 좋은 집은 없습니다. 목조,콘크리트조도 단점이 있습니다. ^^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철골기둥경우,,, 기초로부터의 냉기전달은 문제 안되며, 문제는 외기로부터의 단열. 즉, 외피단열을 확실히 하면 문제 안됩니다. 겨울철 외기온도가, 기초의 표면 온도보다 더 낮습니다.
@bokwhanlee9212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구조 주택은 해변가, 습기 많은 지역,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공장 등에서는 피하는게 좋겠습니다.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공감입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CaptainJina3 жыл бұрын
그럼 제주도에 경량철골조는 안좋은건가요.? 집 사려고 보고있는데 마음에 드는 집이 경량철골조로 되있네요...
@한양댁3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직접 주택을 질수는없나요?
@772homedesign3 жыл бұрын
60평 이하의 주택은 직접 지을 수 있습니다....^^
@changmanpark42195 жыл бұрын
내용감사합니다. 1. 판넬주택의 경우 비가오면 시끄럽다고 하는데 혹시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을련가요? 2. 그리고 내부마감은 어떤 방법이 좋을련지요? 그냥 별도 마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면 무슨문제점이 있는지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조만간 영상으로 올리겠습니다 ^^
@호롱불-g8e4 жыл бұрын
저의 집이 경량철골인데, 업자가 지어 판 것이라 매우 엉성합니다.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집도 잘 가꾸어 불만족스런 부분을 해결하면 좋아집니다. 어떻게 효율적으로 치장하고 보완할지는 잘 심사숙고하세요 ^^
@호롱불-g8e4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예~^^
@DEADSTAR-f9z5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조 경우 용접하지 않고 브라켓으로 해도 튼튼할까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용접을 해야 튼튼합니다. 그래서 승용차는 볼트조임, SUV는 용접부위가 많습니다. 의견 주셔서 고맙습니다 ^^
@ehoghg41145 жыл бұрын
쇠도 제조방법에 따라 물성이 다 다르다고 하고 용접하면 물성이 변하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약하고 산화가 빨리 진행 된다고 합니다. 물리, 화학적 스트레스가 많은 곳 - 내연기관 실린더나 고로 등에는 주물 제작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저도 창고(미니급 굴착기 정도 들어가는 크기)와 주택을 직접 지으려고 하는데 요즘 각파이프 조인트 부분에 각관을 끼으고 볼트, 너트로 조이는 제품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제품정보 : m.kzbin.infovideos 왜 철도교량이나 큰 다리 접합부위를 용접이 아닌 컽에 철판 보강재를 대고 볼트, 너트로 조이지 않읍니까? 강풍이나 태풍급은 그 에너지가 건물에 미치는 스트레스가 결코 작지 않을 것 같은데 ~~ ?? 비용상승은 좀 있을 것 같으나 용접시간은 절약할 것 같고 !! 비전문가 시각에서 제 견해를 말씀 드립니다 ~ 건축기술사님 견해는 어떻고 현장에서 재대로 지어지는 건축공법은 어떤지요? (오두막 지으면서 ~ ^^ 별걸 다 ~ 그래도 창고는 표면적이 장난이 아니라서 ~ ^^ 에이 보는김이 지하 단층대도 보자 ~ ^^) ##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ehoghg4114님,,반갑습니다 조립 조인트부속이 비싸고, 곳곳에 경사부재가 있어야 튼튼하고 견고하게되니 어짜피 영업도 해야하며 조인트조립도 시간 쫌 걸립니다. 용접이 무난하다 생각됩니다 용접부위 열받은곳은 직결피스가 안들어갈정도로 강화되는 점이있으나..... 용접이 빠르고 신고합니다.
@DEADSTAR-f9z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고맙습니다.
@ehoghg41145 жыл бұрын
772건축기술사님 ~ 감사합니다 ~ ^^
@이형주-g7k5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 과 가건물은 다른건가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가건물은 일정기간 사용조건으로 건축법 적용 대부분 안받고, 철거가 용이한 구조로서 경량철골로 많이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구조와 용도(경량철골과 가건물)가 다른겁니다^^
@김성태-q5m5 жыл бұрын
경량 판넬 철골 건축시 층수 제한이나 높이 제한 같은게 잇는지 궁금합니다. 지역마다 다를까요?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그 제한은 도시계획확인원에 의해 지역,지구,, 등에 따른 제한에 의하고, 그 규모에 따라 가능 층수가 나오며, 그 층 수에 합당한 구조설계가 됩니다. 경량판넬 철골에 대한 층수제한은 따로 없습니다.
@김성태-q5m5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아 그렇군요... 근데 판넬로 너무 높게 올리면 태풍오면 날라갈거 같은 생각은 드네요 .. 기둥 앙카로 박아놓은거 보면 불안해 보이던데 공구리 기초할때 미리 튼튼한 지지대를 집어넣어 양생 후 조인하면 튼튼할 거 같네요.
골조재료의 규격,두께에따라서,, 또한 패널이 난연 몇급인지,비난연인지... 두께는 얼마인지, 등등 정해져야 알수 있습니다. 토탈.. 마감재등에 따라 다르나, 평당 350만원 내외 입니다.
@DavidKim-92 жыл бұрын
경량 목구조는 한국에 안맞는 구조라네요. 미국의 목구조를 도입한 것인데 기후조건 자체 (한국의 겨울날씨와 한국의 여름날씨를 갖고 있는 조건)가 미국 8개 분류 지역에 다 해당 안된다는...특히 겨울이 문제인 것이 저온저습해서 일교차가 큰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유럽과 북미는 일교차가 별로 없다네요. kzbin.info/www/bejne/pn26omOnZ5aJatk 경량 목구조 자체를 불법화해야 될지도...경량 철골조는 소음과 단열에 취약한 반면 경량 목구조는 구조 자체인 목재가 썩어 들어간다고 하네요. kzbin.info/www/bejne/kHLNfYOHh72an8U
@772homedesign2 жыл бұрын
각 구조별 특성에 맞는 시공을 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어떤 구조라도 단점이 있으니........ 또, 말씀한 것과 같이 그 지역 기후에 맞는 건축구조를 선택 함이 매우 중요합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손원우-i4v4 жыл бұрын
징코판넬이라는건 건축에있어서 어떠한장단점이 있나요
@772homedesign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1.외장이 끝남. 2.단열우수. 3.조립식,시공 빠름. 4.모던한 연출. 1.습기 이동 안됨. 2.화재시 취약( 난연도 있으나..) 3.외관에 흠이 나면 복구,수리불가. 이런 정도이니 참고하세요 ^^
@babymomo84774 жыл бұрын
@@772homedesign 감사합니다.
@현진정-b2i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전화 통화 가능 하시나요
@772homedesign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먼저 문자 주세요. 위치,간단한 내용. 010ㅡ3035ㅡ7997, 칠칠이 신현묵입니다.
@양택영5 жыл бұрын
대표님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ㅡㅡ 100각파이프 등 경량철제로 컨테이너를 축조 가능한지요 ㅡㅡ 건축법시행령제15조제5항제8호에 컨테이너 또는 이와 비숫한 것으로 된 가설건축물로서 임시사무실ㆍ임시창고 또는 임시숙소로 사용되는 것 ㅡㅡ이와 비슷한 것ㅡㅡ 시청에서는 인정하지못하겠다하고 저는 관련법령에 제한하지않으니 인정하는게 맞다하고요 ㅡㅡ 국민신문고에 판단을 구해보려하고 있습니다 대표님께서는 이 사안에 대해왠지 답이 있을거라 기대됩니다 바쁘실텐데 미안합니다 ㅡㅡ 김포거주합니다 010-9050-7010
@772homedesign5 жыл бұрын
컨테이너 또는 이와 비슷한 것,, 이므로 크기 규모가 만족되면 인정해야 합니다. 왜 안해주려는 쪽으로만 가는지...답답하시겠습니다
@권태휘-o9m2 жыл бұрын
결로, 곰팡이 발생은 우레탄 폼을 제대로 안쏜것, 그리고 열교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것 그 두가지 이유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