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회 자주 안오면 많이 아쉽습니다 사식도 먹고 싶고.. 다들 뭐하며 지내는지도 궁금하고.. 밖의 사회공기도 마시고 싶고.. 힘든 생활에 잠시나마 위안이 되고 휴식이 되는 면회라 많이 와줬으면 했죠 군대 얘깁니다
@long_story Жыл бұрын
아 ㅋㅋ
@하이브리드샘이솟-v8n Жыл бұрын
아... ㅠㅠ 죄도없이 갇혀사는 구나
@코코미단 Жыл бұрын
막줄보고 다시 읽어봤는데 다 말이되네ㅋㅋㅋㅋㅋㅋㅋㅅㅂ
@earthu7650 Жыл бұрын
폰 풀리기 전엔 ㄹㅇ 어케 버텼는지
@내추럴햄력 Жыл бұрын
@@코코미단 ㄹㅇ임
@김수현-g8i5d Жыл бұрын
영화에서 보면 교도관은 일지에 먹고 싶은거 적는 중이라고 들었습니디
@user-nm3fl2qz5z Жыл бұрын
신세계
@모든부동산-h6p Жыл бұрын
ㅋㅋㅋ훈련소 생각나네여 ㅋㅋ
@민주-m7t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베리바리굳 Жыл бұрын
@진성현 사료야 뭐야ㅋㅋㅋㅋㅋㅋㅋㅋㅋ
@peterlee0304 Жыл бұрын
@@베리바리굳 제육이 사료면 개꿀이지
@Alphakwe Жыл бұрын
교도관분들 수고하십니다
@Always_appreciation Жыл бұрын
예외적으로 무기수, 관심대상수용자(조폭, 문제수 등)는 옛날처럼 대화내용을 옆에서 들으면서 기록을 합니다 다만, 모든 내용을 기록하지는 않고 단순 대화내용을 간략하게 적는데 죽을 것 같다, 죽고싶다는 등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이 나오면 반드시 기록해야 합니다(업무 참고용)
@Mexicano-DelioRodriguez Жыл бұрын
면회할때 교도관이나 경찰 뒷담까면 어떻게 되나요?
@Always_appreciation Жыл бұрын
@@Mexicano-DelioRodriguez 중요한 내용이면 접견 중지시킬 수 있지만 그런 경우는 못 봤습니다 그리고 애당초 접견시간이 10분 정도로 짧아서 그렇게 누구 험담할 겨를이 없더군요
@dallo_come Жыл бұрын
오 이건 진짜 생각도 못해봤는데 썸네일 보고 궁금해졌어요! 궁금증유발이! ㅋㅋㅋㅋㅋ 아 그리고 해결도 됐음요
@lee-np3ns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던거였는데ㅎㅎ ㅋㅋ
@워어든 Жыл бұрын
이거 궁금했는데ㅋㅋㅋ
@건전한닉네임 Жыл бұрын
돌발 상황 방지를 위해서 하는 줄 알았는데 비대면으로 바뀌었군요
@yj810104 Жыл бұрын
아직 드라마에서 면회 장면 보여주면 교도관은 옆에서 글 같은 것을 적기에 현재도 그럴거라 생각하긴 했었는데 아예 없어졌군요. 가서 면회해본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djrjdeve1293 Жыл бұрын
현재도 그러고 있어요 징벌받은 수용자들이 면회할때는
@Mexicano-DelioRodriguez Жыл бұрын
면회할때 교도관이나 경찰 뒷담까면 어떻게 되나요?
@userskekskekskekskek Жыл бұрын
@@Mexicano-DelioRodriguez 교도관이나 경찰이 슬퍼해요😢😢
@lpg1430 Жыл бұрын
@@userskekskekskekskek 아하..!
@대구사람-t8t Жыл бұрын
@@Mexicano-DelioRodriguez 그게 허위 사실일 경우 접견을 중지시킬 수 있습니다. 접견 중지사유예요.
@hj9746 Жыл бұрын
경험담 하나 백발의 할머니가 아드님을 명절이라 면회 오셨는데 명절음식을 가지고 오셨는데 전이랑 기타등등 근데 아드님 못드림 여러이유가 있는데 부패등의 이유로 안으로 못넣어주심 사식 넣어주려고 신청하셨는데 안된다고 거절 당하셨다고 함 (그런 경우가 얼마나 있겠느냐많은 부패가 쉬운 음식을 넣어줄경우 일부러 부패시켜 섭취해서 외부병원 이용등의 악용? 혹은 밀주제작? 같은 이유로 안된다고함) 나 외정문 근무중(경교대였음) 할머니 울면서 나가시는데 올라가실때 지팡이집고 힘들어 보여서 접견실까지 부축해서 모셔다 드렸음 그래서 내려오시면서 나보고 음식 대신 먹으라고 주심 안된다고 거절했는데 아들 못먹였으니 손주같은 사람 준다면서 울면서 주시길래 일단 받고 중본에 보고해서 즉시 취식하는 조건으로 그자리에서 나눠먹었음 겁나 맛났음 경험담 둘 경교대가 접견실 근무를 서고있는데 경교대한테 이것저것 주는 분들이 많은데...경교대는 무슨수를 써도 안쪽으로 음식이나 물건 못넣어 줍니다...직접 신청하세요....경교대는 권한이 단1도 없어요...물론 경교대도 교정 안으로 출입을 하긴 합니다만 재소자들이 머무는곳은 못가요 근처에도 못가요 근데 먹을꺼 주면서 전해줄수 없냐고 부탁하시는데...억만금을 줘도 전해줄 방법이 없어요...그리고 간혹 고생한다면서 저희한테 먹을꺼 주시는분들도 계시는데 뭐 받아먹으면 저희도 혼나요 특히나 부패되는건 절대 안되요, 지금은 경교대가 없어져서 의미없는 말이긴 한데 교도관 얘기 나오니 생각나네 ㅋㅋ
@Rifieke Жыл бұрын
@@user-vu8gf4dw6s 힘내
@juuly3066 Жыл бұрын
점심..제육.. 너무 귀여워요 ㅋㅋㅋㅋㅋㅋ
@bluefog1 Жыл бұрын
경교대때 저 업무 해본적 있는데..수용자 면회자 대화 적습니다. 물론 다 적지는 못하고 주요 내용 적고, 면회시간 끝났는데...계속 하면 어느정도 알려주는 역활? 도 합니다
@chucky4258 Жыл бұрын
역할
@pqlamz10 Жыл бұрын
몇년도였나요? 관리등급 몇급이었나요? 흉악범이었나요?
@Kim_h313 Жыл бұрын
@@pqlamz10 s2 예상합니다
@exo10anniversary5 Жыл бұрын
역할
@bella__swan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궁금했던 거ㅋㅋㅋ
@맹맛초코 Жыл бұрын
역전재판의 면회실이 생각나네ㅋㅋㅋ
@O5-13_Death_ Жыл бұрын
이의있음!
@채운-t3l Жыл бұрын
이런 건 대체 어떻게 조사하는 걸까 정보력이 놀랍다ㅋㅋㅋ
@얼리버드타이얼드 Жыл бұрын
그냥 아는사람중에 교도관 알기만하면 되죠 큰 정보력은 아닌데
@가리비-r7f Жыл бұрын
구글 뒤지거나 관련기관에 전화해보면 대부분 알려줘서 그리 놀라울 건 아닙니다
@남자임-r7m Жыл бұрын
지인중에 감방간사람있으면 쉽습니다
@epsdm Жыл бұрын
요즘은 기관에 서면으로 질의하면 엥간한 곳은 금방 답변 오고 정보공개청구 같은걸 이용할 수도 있음
@user-cm1el1te9d Жыл бұрын
캬
@babo4752 Жыл бұрын
현직자인데 2006년 이후로 입회 안하는 게 아니고 그 후로도 입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든 수용자한테 하는 건 아니고 특정 요주인물들 대상으로 합니다. 녹음, 녹화도 하는데 옆에 들어가서 무슨 대화 하는지를 적습니다.
@유니카-m9p Жыл бұрын
오 해결되었어요.ㅎㅎㅎ
@tech-network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었는데 시원하게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Xoul_Toy Жыл бұрын
쓰리데이즈 같은걸 보면 아내가 살인범으로써 수감되있는 상황에서 가족면회가 군대 면회실 마냥 거의 오픈 되다 시피 있는 곳에서 면회하게 되는데, 또 어떤 작품을 보면 우리나라랑 다를 거 없이 철창과 유리벽을 두고 면회를 진행하게 되더라고요. 거기서 느껴진건 오픈된 곳에서 면회 하나, 보호된 곳에서 면회 하나 그것은 죄질의 차이는 아니었던건가 싶었어요. 그렇다고 면회 전 사전에 '면회 시 불화가 일어날 리는 없는가?' 같은 질문지를 줄리는 없고. 무슨 차이일까요?
@감자마루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는데ㅜㅋㅋㅋㄱㅋㅋ
@brocklesnar07376 ай бұрын
1:25 ~
@유재훈-b5c Жыл бұрын
우와
@ttmg24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얼음식혜를 양껏 1리터씩 드링킹하고싶은데 파멸적인 열량때문에 못하는게 아쉬워 알아보니 식혜는 제로칼로리 제품이 없는거였습니다. 엿기름대신 스테비아 등으로 대체 가능한진 모르겠으나 왜 아직 안나왔고, 쌀을 식혜 재료로 쓰는데 이때 쌀의 탄수화물이 식혜가 되면 식혜에 녹아들어 쌀은 먹어도 칼로리가 얼마 안된다든지 음료 자체의 열량이 결과적으로 더 높아지는지 그런게 궁금해졌어요ㅋㅋ
@suhyeonkim3069 Жыл бұрын
스테비아같은걸로 하면 식혜 특유의 맛이 안나오고 맛을 재현해도 제로면 건더기 하나 없을꺼임
@fgrrrsfgd Жыл бұрын
저 엿기름으로 띄우고 설탕대신 스테비아 쓰는데 맛있어요. 오히려 설탕보다 입에 먹고나서 남는 끈적함이 없어서 더 좋았어요 ㅋ
@@fgrrrsfgd 와.. ㅋㅋ 상상만 해보건데 실행력이 강한분이시군요. 어머니께 식혜 한번 그렇게 만들어보자고 해봐야겠네요. 정말 궁금한 맛이에요
@cookieyummy6089 Жыл бұрын
식혜 제조 원리상 당류 배제는 불가능합니다. 제로칼로리 식품 원리는 단 맛을 느낄 수 있는 분자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람이 흡수를 못 하거나 소화에 에너지가 더 소모되는 감미료만 쓰는데, 탄수화물 덩어리인 쌀에서 제로칼로리를 만들라는건 사람한테서 수분 싹 빼고 나머지 부분으로 철근 만들어오라는 식의 주문입니다. 그리고 엿기름은 감미료처럼 그 자체로 단 맛을 내는게 아니라 쌀 전분을 분해해주는 효소입니다. 식혜에 설탕이 들어가는건 사람들이 식혜의 원래 맛보다 더 단 맛을 원하기 때문에 넣는거고, 엿기름 대신 감미료를 넣으면 쌀은 들어가도 그만 안 들어가도 그만인 그냥 달콤한 숭늉이 됩니다.
@lilililil1443 Жыл бұрын
접견 지원근무 갔을 때 입회근무 들어갈거라했는데 접견 취소돼서 안했음.상황따라 입회하는 경우도 있는듯?
@Choboo2 Жыл бұрын
영화보다 영화같은 실화를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는... 면회 끝날 때 쯤 되면 아쉬워 할 듯 아... 다음화 언제나오냐 ㅋㅋ
@kim0523v Жыл бұрын
저게 평범한 수용자는 그냥 시선계호하고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소위 문제수들이나 공범이나 보안상 필요한 경우만 녹음 녹화합니다. 면회도 맞는 말이지만 현장에선 접견이라는 말을 씁니다.
@0오잉또잉0 Жыл бұрын
썸네일에 점심제육 뭔데 ㅋㅋㅋㅋㅋ
@타트-892 Жыл бұрын
근데 장소 변경 면회... 범죄자가 몸 불편한걸 굳이 신경써서 면회장소를 바꿀필요가 있나? 면회는 필수적인거도 아닌데 힘들다해도 장소 바꾸지말고 어디 라꾸라꾸 침대에 태워서 데려오면 될거아님
@parkcat Жыл бұрын
오목하고있는게 아닐까요?
@프링글스-e2v Жыл бұрын
반대로 매체에서 변호인 면담중에 유리벽으로 막혀있는 것도 구치소라는 걸 보여주기 위한 연출이네요
본인은 어렸을 때 군대 면회도 저렇게 칸막이 쳐놓고 하는 건 줄 알았다. 그래서 드라마에서 군대 면회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난 그게 휴가인 줄 알았다.
@rala0710 Жыл бұрын
경찰서 유치장 면회는 아직 경찰관이 입회 기록하는 듯 합니다.
@zezetjddn Жыл бұрын
범죄저지르고 간 곳인데 노약자를 위해?!
@hahahahahahahahahahahahhahaha Жыл бұрын
법무부 철밥통을 어떻게 믿냐ㅋㅋㄱㅋ
@ingrove4304 Жыл бұрын
제육은 인정이긴해
@이찬우-d5w Жыл бұрын
다음 주제 : 버스 운전기사의 생리현상 대처법
@자두-s8f Жыл бұрын
교도소 간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의외로 범죄자들 인권을 많이 생각해주네요? 인권을 위해 특별한사항 아니면 음성,녹음 확인도 안하고, 대화하는데 불편할까봐 비켜주고~ 누가 교도관인지 범죄자인지 모르겠네
@Always_appreciation Жыл бұрын
너무 지나치죠 피해자 가족이 보면 뒷목 잡고 쓰러질 겁니다
@Son_ssi Жыл бұрын
미결수는 죄가 확정되지도 않은 수감자인데요? 만약에 죄가 없는 사람이면 어쩌려고?
@이수빈-u5k Жыл бұрын
영화나 드라마의 교도소 면회 장면을 보면 면대면 뿐만 아니라 전화기를 통해서 대화하는 경우도 있던데 녹취하기 위함인지, 중범죄를 저지른 죄수의 면회일 경우인지,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ㅎ
@사물궁이 Жыл бұрын
네. 녹음 목적이고, 딜레이가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수화기가 아니라 아이패드, 갤럭시 패드 같은 장치가 놓여져 있다고 하네요. 거길 통해 소통한다고 합니다.
@Mexicano-DelioRodriguez Жыл бұрын
면회할때 교도관이나 경찰 뒷담까면 어떻게 되나요?
@Teodour0616 Жыл бұрын
@@Mexicano-DelioRodriguez 교도관이 슬퍼합니다
@ct56kr Жыл бұрын
퇴근하고 싶다고 생각하시는 중
@romy8045 Жыл бұрын
라떼는 수기 작성 했는데 도둑놈들이 자꾸 소곤소곤 대화해서 짜증날때 많았음
@hyoobee11 ай бұрын
아무리 흉악한 범죄자도 접견 면회가 잡히면 웃음기가 떠나질 않는다고 하던데
@taktakbballe Жыл бұрын
범죄자놈들 인권은 왜챙겨주는지 세금이아깝다 콩밥에 김치만줘야되는데
@jajfbeiqbdhrhfv Жыл бұрын
김치가 얼마나 고급음식인데 라면에 김치없이 줘야됨
@user-ew4bu2ts2d Жыл бұрын
@@jajfbeiqbdhrhfv?라면이 얼마나 맛있는데 맨밥만 줘야지
@Wabu_2279 ай бұрын
그 감정에는 저도 동의지만 우리가 누가 인권이있어야하고 없어야하는지에 대해 선택할 권리가 없습니다, 아무리 인간말종이라도 최소한의 인권은 보장해야되는게 국제법입니다. 우리가 인권을 보장할사람 보장안하는 사람을 구별하기 시작하면 사람의 인권의 가치가 떨어지기때문에 그래서는 안됩니다 (그러면 우리가 북한이랑 다를게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