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사회 [ 무너진다 vs 무너지겠냐 ]

  Рет қаралды 1,338,543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 영상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혹은 토요일 저녁에 게시됩니다.
. 댓글에 관한 규정
- 욕설, 가짜 뉴스 유포 등은 유튜브 정책에 의해 자동 삭제됩니다.
- 과도한 혐오 표현, 타인에 대한 공격은 삭제됩니다.
. 비즈니스 문의 : scopepublic@naver.com
. BGM : Feeling Alright - Gavin Luke

Пікірлер: 3 500
@kjh1918
@kjh1918 2 жыл бұрын
학벌이 무너지는게 아니라 이젠 '학벌만 가지고는 안된다' 정도의 분위기 아닐까요
@njhr
@njhr 2 жыл бұрын
이게맞다
@user-lc9bd4bv7r
@user-lc9bd4bv7r 2 жыл бұрын
살기힘들다 진짜 걍 3차대전일어나서 전부 사회주의 됬음 좋겠다 어차피 내삶에는 변함없을텐대
@user-hv7xk8uf2v
@user-hv7xk8uf2v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학벌 = 능력임 학벌 좋으면 실력도 좋음 경험상
@user-ki8eg6wm4b
@user-ki8eg6wm4b 2 жыл бұрын
기술이 필요해요.. 공부만 가지고는 안돼는
@user-gp9dt1rb7k
@user-gp9dt1rb7k 2 жыл бұрын
@@user-ki8eg6wm4b ㅇㅈ... 학벌, 기술까지 다 되야함...
@cooksim4039
@cooksim4039 2 жыл бұрын
"학벌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지불한 비용중 가장 큰 비용은 다양성이다"라는 말이 참 와닿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nton503hvt
@anton503hvt 2 жыл бұрын
모든 제국의 몰락은 다양성의 결렬에서 출발하던데...
@user-fu1yq2le7m
@user-fu1yq2le7m 2 жыл бұрын
@@anton503hvt 헉..
@user-jf6fp7tp1p
@user-jf6fp7tp1p 2 жыл бұрын
문과계열은 점점 몰락하고 있고 이공계는 학벌 우선이지만 지거국만 되도 점점 입지가 올라가고 있죠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2 жыл бұрын
다양성의 부재는 어떤 집단에서든 잠깐은 좋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몰락을 가져오죠
@user-umop23erty
@user-umop23erty 2 жыл бұрын
@@user-jf6fp7tp1p 그것도 다양성의 상실이죠
@heeonelee1218
@heeonelee1218 2 жыл бұрын
자극적인 제목으로 관심을 끌고 초 중반부 200페이지 가량 논문과 이야기들로 구성하고 마지막 10페이지 정도 결론 얘기하는 경제/시사 책보다 훨씬 시간 효율있고 핵심있어요!! 영상마다 알찬 지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4 ай бұрын
학교가 머가중요함 ㅋㅋㅋ 일하는거 다 똑같은데
@user-ur3gj4ym1v
@user-ur3gj4ym1v 2 жыл бұрын
현실 반영을 잘 하신것 같고 하나의 논문을 읽은 것 같은 완성도에 감탄했습니다. 인생에 중요한 시기에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깊은 통찰력과 분석력에 기립박수라도 치고 싶습니다. 구독은 이미 했고 좋아요 누르고 가요! 응원합니다!!
@user-yw5tm2fx4g
@user-yw5tm2fx4g 2 жыл бұрын
진로 교육한답시고 마인드맵 그리기,진로 계획표 그리기 같은 거나 시키고,,,물론 완전 도움이 안된다고는 할 수 없지만 고작 1시간 2시간,지금까지 꿈 같은 거 제대로 생각도 안 해본 애들한테 꿈을 정하라고 하면 다들 공무원 쓰고 있음.제발 더 자주,더 많이,더 친화적으로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해주는 사회 분위기가 됐으면 좋겠음
@user-co6jw8vv9p
@user-co6jw8vv9p 2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wt2lh4wi4p
@user-wt2lh4wi4p 2 жыл бұрын
ㅆㅇㅈ
@user-og2zu9jk6n
@user-og2zu9jk6n 2 жыл бұрын
ㅇㅈ 직접 경험해본 적이 없는데 어떻게 가만히 앉아서 책읽고 영상보면서 꿈을 정하라는건지.. 물론 가끔 어디 진로박람회 잡월드 가기는 하는데 그건 경험이라고 하기에도 좀 민망한거같음. 그리고 꿈만 좇아서 직업을 선택하기에는 위험 리스크가 너무 큼.. 무슨 직업을 해도 무난하게 먹고산다 싶으면 사실 다들 언제든지 자기 꿈을 찾아서 떠날텐데 그렇지 못하니까 먹고살기위해 꿈 이런건 그냥 뒷전이 돼버리는듯.. 나도 고딩인데 솔직히 난 문학과 심리학과 철학과 뭐 정외과..요런 학과 아니면 아예 예체능 쪽 하면 재밌을거같다고 생각했음 근데 다들 뜯어 말리더라..ㅋㅋ 아사한다고.. 특히 예체능은 그냥 뜬구름 잡는거라고 ㅋㅋ 짜피 문과라 그나마 낫다는 상경계 가기로 하긴 했는데 잘 풀려서 취업 된다고 해도 별로 행복할 거 같지 않음 학창시절때는 그냥 하라는대로 공부만 하고 커서는 내가 좋아하는지 아닌지도 모르는 일을 매일매일 영혼없이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면 벌써 암울하고 답답함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평생 지루한거 하다가 가는건가 싶음
@msk6966
@msk6966 2 жыл бұрын
그시간에 유퀴즈보는게 100배 도움됨
@user-pt9fz3dx4v
@user-pt9fz3dx4v 2 жыл бұрын
@@user-og2zu9jk6n ㄹㅇ 책으로는 전달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임
@jin.24.
@jin.24. 2 жыл бұрын
학벌의 가치가 소멸했다기 보단 학벌 외의 능력들도 가치를 인정받게 되고 있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사회가 요구하는게 어떤 분야던지 성실하게 능력을 쌓아가는 사람들이 흥하는건 똑같더군요.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한 5년동안은 학벌이 중요한 기둥으로 있을듯
@rikicha4808
@rikicha4808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죠ㅎ 학벌토대가 남긴 하는데...다른 가치들이 더 다양하게 평가되는듯
@ytw2495
@ytw2495 2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맞는데 학벌의 가치가 많이 심하고 급격하게 떨어진건 맞음
@goodluck8524
@goodluck8524 2 жыл бұрын
과거 : 학력 (+@) 현재 : 학력 + @@@
@ashlnn85
@ashlnn85 2 жыл бұрын
학벌의 가치는 결국 사회초년생에게는 첫 직장 취업이 어디냐의 문제인데 그런측면에서 보자면 학벌은 기본전제고 학벌외의 이력서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면접에서 주고받으며 평가하는건 예전부터 그래왔음 인력시장도 결국 수요와 공급임 채용인원보다 지원자가 많으면 효율성의 문제때문에 서류에서 학벌로 1차 걸러내는방식은 여전히 고수할거고 반대로 채용인원보다 지원자가 적으면 그냥 지원만 해도 뽑히는것
@Zzanggu_is_dry
@Zzanggu_is_dry 2 жыл бұрын
정말 딱 문제라고 생각했던 부분..거기다가 함께 엮인 다양한 문제까지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 문제에 대해서 더 관심을 가져야 겠어요. 남일이 아니라 누구보다 청년인 저희의 문제니까요..
@tv1468
@tv1468 Жыл бұрын
와.. 설명을 진짜 잘하십니다!! 그저 책이나 칼럼을 읽는 정도로 이렇게 깔끔하고 핵심만 얘기할 수 있나싶네요ㅎㅎ
@jaguarflieger
@jaguarflieger 2 жыл бұрын
몇년 전만 해도 대학 진학에 관심없다는건 그냥 미숙한 생각으로 취급받았었는데 확실히 시대가 변하고 있긴 한 것 같네요
@Cpt_Hunk
@Cpt_Hunk 2 жыл бұрын
대학진학에 관심이 없지만 내 관심직종이 있고 오히려 대학에서 관련 지식을 얻을 수 없으니 알아서 하겠다면 다행. 아니면 어질어질한거고,
@user-kn8tb2sr3v
@user-kn8tb2sr3v 2 жыл бұрын
대학가라 제발.. 같은 돈이라도 환경이 다르다..
@spop7061
@spop7061 2 жыл бұрын
냉정히 말할게.. 학벌이 좋으면 사회에서 성공하는게 아니라 성공할 애들이 학벌이 좋은거다 잘 봐라 공부 잘하려면 성실하고 책임감 있고 자기관리 잘하고 집중력 뛰어나고 문해력과 암기력, 사고력을 비롯한 지능도 어느정도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근데 이건 사회에서도 요구하는 능력 아님?? 회사에 입사하거나 사업을 한다 쳐도 위에서 말한 능력은 성공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질이다 이게 없는 놈들에게 성공이란 요원한거고 그래서 좋은 대학 나온 애들이 성공할 가능성도 높은거임
@Nadomolrang
@Nadomolrang 2 жыл бұрын
부모님 세대에 비하면 학벌 주의가 좀 덜 해지겠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바뀌지 않을 거 같음 서연고 사람들이랑 일반 사람들이랑 비교해 보면 딱 차이점이 있음 서연고 출신들은 자기 성취감, 자기애가 일반인들 보다 평균적으로 강해 항상 행동력이 있음 또 그들만의 네트워크가 잘 잡혀 있으니 이게 진짜 강점인거 같음 미래에 자식들에게 내심 좋은 학교 바라길 원할 거 같음 인생에 도움 되는 자기 성취감 느껴 보라고
@user-oq9fs4zg1l
@user-oq9fs4zg1l 2 жыл бұрын
@@spop7061 유튜버는 그 모든게 필요없고 자기 관심있는 것만 잘하면 되는 거일 수도 있다는 점.. 심지어 그런 능력들 열심히 키워서 회사 취업하는 것보다 유튜버하는게 돈 더 많이 벌 수도 있음. 회사 취업하는게 경쟁이 점점 심해져서 리스크 평준화되면 투자입장에서도 유투버가 더 안전자산일 수 있다는 거인 듯. 지금 20대의 현실은 능력을 갖추는게 맞는데 10년 후는 모른다는 의미인듯
@sooyounglee2571
@sooyounglee2571 2 жыл бұрын
요즘 느낀거는 학벌도 학벌이지만 자기가 원하는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철저히 갖추는게 가장 중요한 것 같네요
@skatass
@skatass Жыл бұрын
추가적으로 자기가 그 직업을 원하는 이유가 단순히 적은 노력으로 많은 돈, 흔히 이야기하는 놀듯이 하면서 꽁돈을 벌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반드시 무너진다고 생각하네요.
@user-ao1717
@user-ao1717 Жыл бұрын
학벌은 여전할텐데 중요한건 이제 ㄹㅇ 네임드 대학말곤 다 뒤질거임 ㅋㅋ
@user-pq6zu5fg2p
@user-pq6zu5fg2p Жыл бұрын
각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평생 자기분야만 공부해도 부족할 정도의 정보가 생겼으니..
@Jesseyello
@Jesseyello Жыл бұрын
그 전문성을 갖추고 있느냐 마느냐를 확인하는 방법이 학벌임.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Жыл бұрын
@@Jesseyello 일단 명문대 애들 공부량 자체가 다름.
@vilncal
@vilncal Жыл бұрын
평소에 학벌사회에 불만을 품으면서 복잡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한번에 정리되는 영상이었네요. 제 생각을 다시 정리할수 있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molasuwon1232
@molasuwon1232 2 жыл бұрын
대단! 이 많고도 중대한 이야기를 단 12분여만에 빠르고 조리있게 하다니.
@user-nd3dr5li5g
@user-nd3dr5li5g 2 жыл бұрын
참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다양성을 살리는 교육, 실패를 해도 다시 딛고 일어날 수 있는사회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참 고민이 많이되네요.
@user-nd3dr5li5g
@user-nd3dr5li5g 2 жыл бұрын
음 일단 사회 시선이라고 생각해요 좀 잘안되서 늦을 수도 있는건데 하던게 잘안되서 남들보다 뒤쳐진 사람들에 대한 시선이 안좋은 거 같아요. 물론 자기 속도로 사는 사람들은 잘되더라구요.
@user-nd3dr5li5g
@user-nd3dr5li5g 2 жыл бұрын
@mon mon 날카로운 질문이였어요. 더 깊게 생각하게 됐네요. 생각해보니 실패를 딛고 일어나기 쉽냐 어렵나는 판단하기 힘든게 맞는거 같아요. 우리 사회가 실패를 두려워하는게 더 맞는 얘기인거 같네요.
@user-vx9qx6zv2k
@user-vx9qx6zv2k 2 жыл бұрын
@@cuvhowbndlk ㅇㅈ ㅋㅋㅋㅋㅋ
@user-yc3tl2wj8v
@user-yc3tl2wj8v 2 жыл бұрын
@mon mon 쉽고 어렵고 차이는 투자받기 쉽냐 어렵냐 차이. 1.마이크로소프트,페이스북 같은 기업들이 벤처기업을 엄청난 기업을 인수합병 소식이 심심치 않게 들림 우리나라는 대기업이 벤처기업 기술빼앗고 없애 버림. 최근에 와서야 인수 합병이 활성화 되고 있는 정도. 2. 대기업 과 중소기업이 일할때 정당한 임금을 받기 힘듬. 대기업은 국내중소기업은 거의 종으로 취급함. 기획이고 일정이고 자기들 마음대로 조정함 대기업이 외국기업 일할때는 기획 일정 제대로 조율 못하면 추가금 지불함. 이것도 많이 좋아지고 있지만 금액부터 많이 차이남. 3. 대기업이 국내기업에 일줄때 자회사(재벌친족지분)를 거쳐저 줌. 자회사에서 기획관리비로 40% 정도 떼감. 우리나라가 영어권이였으면 미국진출이 더 활발했을거고 이스라엘처럼 미국에서 투자받는 벤처도 엄청나게 늘어났을듯.
@jw.c5373
@jw.c5373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이미망했죠 이민가는거말곤답없습니다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2 жыл бұрын
안정성만 추구해온 결과가 다양성을 지우셨다는 말이 이렇게 콕콕 박힙니다 항상 먼저 나아가서 주제에 대한 고찰과 식견을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kkm011010
@kkm011010 2 жыл бұрын
내가 보는 유튜브 채널 중 가장 효율적인 채널. 항상 영상보면서 공감과 탄식을 하고 갑니다.
@user-ei8re1kw7v
@user-ei8re1kw7v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채널~! 이게 바로 살아있는 지식 과 정보다...
@rkdtjdwls7875
@rkdtjdwls7875 2 жыл бұрын
32살 직장인입니다 딱 이 생각을 가지고 살고있었는데 영상보는내내 너무 공감되었습니다 ㅠㅠ 90년대생 화이팅 ㅠㅠㅠ
@user-dn7vv7zp4k
@user-dn7vv7zp4k 2 жыл бұрын
울지마렴
@user-wp4yv5hc3v
@user-wp4yv5hc3v 2 жыл бұрын
91년생은 안끼엇으면...
@user-wr2vs1rf6p
@user-wr2vs1rf6p 2 жыл бұрын
화이팅 !!!
@skim4264
@skim4264 2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ㅠ
@hyosukim1404
@hyosukim1404 2 жыл бұрын
91년생 양띠 직장인입니다. 동갑이네요 ㅎㅎ 반갑습니다 정말 모두 파이팅입니다 !
@user-fk9cp1ff6e
@user-fk9cp1ff6e 2 жыл бұрын
이게 어딜봐서 지식한입이야. 지식만찬이지. 늘 감사합니다.
@user-gu2hu8tr5w
@user-gu2hu8tr5w 2 жыл бұрын
지식폭탄
@dh12077
@dh12077 Жыл бұрын
학벌로 연연하는 사회보다 그냥 자기가 하고 싶은거 하면서 돈 벌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게 하고 다양한 진로에 대해 가르쳐주는 사회가 되었으면 함. ㅠㅠ 초딩, 심하면 유딩 때부터 취업하려고 공부한다는 게 말이 되나? 공부가 정말 맞지 않는 애들까지 억지로 공부하며 대학 와서도 꾸역꾸역 공부하고 시험치고 취업 준비할 때도 공부하고 이게 뭐임 부모님께 공부 말고 다른 길로 가고 싶다고 하면, 니가 뭔 재능이 있냐 그냥 공부나 해라 공부가 제일 편하고 좋은거다라며 가스라이팅함 이상적인 부모님들은 애들 하고 싶은 거 하라고 놔두겠지만 대부분은 공부 강요하는 경우가 많을거임 제발 이딴 인식 좀 없어졌으면 좋겠다 인생 한 번인데 하고 싶은거 하면서 살아야지 뭘 인생 낭비하면서 억지로 해야 하나...
@nihon_univHAHAHA
@nihon_univHAHAHA 3 ай бұрын
wakatte tv
@sprinter8982
@sprinter8982 Жыл бұрын
이전에는 학벌주의가 그저 학력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만으로 끝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것이 취직과 결합하여 어떤 형태로 사회의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모두에게 모순만 남는 사회체제를 만드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또 학벌사회가 사회 구성원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대기업의 신규 채용 감소나 개인 창업 등의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ev3ce1jx5n
@user-ev3ce1jx5n 10 ай бұрын
저런 네트워크라 함은 최소 상위 10프로 이상의 대학들 중에서도 경영이나 취업에 관련있는 학과들에서만 취직과 관련하여 그러한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되는데 , 사실 그 정도 대학갈 정도로 공부하고 들어가면 다들 얼마나 고되게 공부했는지를 알기 때문에 유대감도 쌓이고 이미 실력과 노력이 증명된 증명서를 들고 있는 꼴이라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 대학 진학을 기피할 것이 아니라 봅니다 .
@peacefullime139
@peacefullime139 2 жыл бұрын
근데 학벌이 안중요한 업에서는 괜찮겠지만 어딜가든 배운사람이랑 안배운사람 대화해보면 차이는 많이 남.. 대학을 안나오더라도 책도 읽고 자기계발은 꾸준히 했음 좋겠다.
@user-ui6jt7ss7j
@user-ui6jt7ss7j 2 жыл бұрын
그 대학을 나왔다고 해서 인생자체가 그 대학 수준에 맞춰살면 안된다고 봅니다,,,,그리고 아무리좋은 대학을 나와도 꾸준히 책을 읽으며 지식을 쌓고 자기계발을 안하면 일정 시기 이후에는 굉장히 덜떨어진 사람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적인부분에서요)
@user-wk6fy2lq7r
@user-wk6fy2lq7r 2 жыл бұрын
이런분들이 많아야 사회가 유지됨.계속 그런 스텐스로 살아주세요~ 책으로 사회를 배우고, 유투브로 사회를 배우고, 막대한 시간을 투자해 공부하면서 사회를 배워주세요~~ ^^
@user-ui6jt7ss7j
@user-ui6jt7ss7j 2 жыл бұрын
@@user-wk6fy2lq7r 자기계발을 꼭 하라고 적어놨는데 이해를 못하시는건지 아니면 덜떨어지신건지 모르겠네요, 책은 꾸준히 읽으며 사람을 만나며 사회생활을 하고 또 그 사회와 활동하는 단체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인지해가며 살아가라는것인데 토끼님은 책을 굉장히 멀리 하시는분 같네요~~^^,맨날 사회생활로만 살아오셔서 인문사회와 자기계발 책을 추천드려요^^
@user-wk6fy2lq7r
@user-wk6fy2lq7r 2 жыл бұрын
@@user-ui6jt7ss7j저거 비꼬는글 아닌가요??? 지보다 지식 떨어지면 수준낮아서 대화 못 하겠다는 뜻 아닌가?? 사회가 정해준 틀에 갇혀서 사세요~ 책 많이 읽으면 성공하는줄아는 등 그런분들이 많아야 사회가 유지되니까요 ㅎㅎ
@user-ix3dg4hj9l
@user-ix3dg4hj9l 2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사는 방식이 틀린데...대화차이라는게 저마다 분야가틀리는데..거기서 탑이될수있잖아요..
@supe-tv
@supe-tv 2 жыл бұрын
토요일이 기다려지는 이유는 지식한그릇때문입니다! 이번주도 감사히 잘 먹겠습니다😀
@ih8222
@ih8222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돈을 공부하는 남자 수페티비에 수페입니다
@Hxxxxxxxxxxxx
@Hxxxxxxxxxxxx 2 жыл бұрын
저도 먹어야 하니까 한입만 드세요
@SSS-gg3rz
@SSS-gg3rz 2 жыл бұрын
@@Hxxxxxxxxxxxx ㅋㅋㅋㅋㅋ
@minime4644
@minime4644 2 жыл бұрын
댓글 너무 센스있네요! 지식한입이 아니라 한그릇... 저도 공감합니다
@user-ri9fn6df4o
@user-ri9fn6df4o 2 жыл бұрын
@@Entropy_0822 조헌병 어서오고
@1minuteshotping
@1minuteshotping 2 жыл бұрын
적성과 하고 싶은 일을 못 찾아 대학이라는 길을 선택했었는데, 참 생각이 많아지는 영상이었어요.
@IQ20626
@IQ20626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을 해보니까 시대는 변화하고 있는데 아직은 학벌사회임 그리고 진짜 어린 친구들 한테 말해주고 싶은게 공부를 열심히 하고 좋은학교를 가는게 나쁠건 하나도 없다 점 그로 인해서 더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점
@woo_yeon22
@woo_yeon22 2 жыл бұрын
뼈를 때리면서도 정확한 정보! 객관적 시점! 적절한 견해! 이 채널의 최고 매력이 아닐까요? 감사합니다ㅎ
@trillion9698
@trillion9698 2 жыл бұрын
무너지는것 보단 학벌말고도 다른 중요한것들이 많이 강조 되고 있지
@bono9110
@bono9110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학벌만이 아닌 전체적인 능력을 보는 회사들이 늘어나고있음
@leeroa0001
@leeroa0001 2 жыл бұрын
학벌도 좋고 다른거도 좋아야지
@bono9110
@bono9110 2 жыл бұрын
@@leeroa0001 이게 베스트긴 한데 70년대처럼 학벌만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났지용
@leeroa0001
@leeroa0001 2 жыл бұрын
@@bono9110 맞아요 학벌은 여전히 중요하죠. 근데 학벌만이 아니라는거죵 이제는..
@handle2yo2
@handle2yo2 2 жыл бұрын
맞죠 하지만 보통 학벌 좋은 사람들이 스펙도 좋다는 사실...
@realspongeman
@realspongeman Жыл бұрын
이게 1년 전 영상이라니. 정말 양질의 컨텐츠입니다. 잘보고 갑니다 구독했습니다!!
@tataggu
@tataggu Жыл бұрын
학벌만큼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간편하고 확실한 대체수단이 없다면 지속될 것 같습니다.
@carlosj8637
@carlosj8637 2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없어지지는 않고 그 기능이 바뀔거라 봅니다. 예전에는 필수 사회관문이자 신분처럼 받아들여졌었다면, 이제는 대학들도 얼만큼 전문지식과 네트워크를 제공할수 있는지에 더불어 가성비가 하나의 중요판단기준이 될거 같습니다...
@user-wj5xg1mj6h
@user-wj5xg1mj6h 2 жыл бұрын
네 다음 지잡대
@user-ir9ge2rv1m
@user-ir9ge2rv1m 2 жыл бұрын
@@user-wj5xg1mj6h 뻘짓 하지 말고 그 시간에 구구단이나 외워라
@user-nq7zg4vq2x
@user-nq7zg4vq2x 2 жыл бұрын
@icm 헐 그동안 당연히 얼만큼이 맞다고 생각해왔는데 국립국어원에 검색해보니 진짜로 얼마큼이 옳은 표기라고 나와있네요ㄷㄷ 덕분에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md8on4yy2n
@user-md8on4yy2n 2 жыл бұрын
@@user-wj5xg1mj6h 초중고 똑같이 나와 지잡대가 어쩌니 하는 그 단어들 하며 대화 주제가 이미 노예들 같아. 니 몸과 혼을 니 모르는 새 이 나라가 묶어놨어. 넌 모르지
@user-rr3ue2ss6j
@user-rr3ue2ss6j 2 жыл бұрын
@@user-wj5xg1mj6h 인서울이고, 취업도 해서 제가 이런말을 할 자격이 있나 모르겠지만 취준에 3년퍼부운 공대생으로서 소신있게 말하자면 지방과 중소를 키우지않으면 절대 미래가없어요 우리나라는 간간히 중소에서 중견, 코스피로 크는 고마운기업들이 있지만, 숫자가 기업숫자들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습니다. 아직도 고효율을 추구할수밖에 없지만 국가입장에서는 가능성있는 기업들을 하나하나 색출해내는 역량을 더더욱 키우고, 지방대학도 좀더 키워야해요 말하는 근거 -중소기업 99퍼이상 지방대가 당연 다수 아니 좀 지잡대 타령좀하지 마세요 입사하면 다 고학력자들밖에 없는게 얼마나 씁쓸한 현실인지 아십니까?
@Jing_zzang
@Jing_zzang 2 жыл бұрын
절대 안무너지지 싶은데. 보통 고학력자들이 신기술이나 트렌드를 선도하는 경향이 큰 걸로 알고있는데 기술의 선두주자인 점만 들더라도 절대 무너지지 않을듯
@user-cf3of2fi4f
@user-cf3of2fi4f 2 жыл бұрын
@@Dearest. 그러면 세계적으로 도태되고 국내 달러가 적어지겠지. 그대로 서민한테 피해가 와닿게되고 시위를 하겠죠?
@KAKAO_
@KAKAO_ 2 жыл бұрын
취업시장은 학벌 더높아졌습니다만 파이는 줄어들었어요. 즉 예전엔 학벌 = 취업 = 성공 이었는데 요즘은 학벌 = 취업 =성공? 입니다.
@Dmitchury
@Dmitchury 2 жыл бұрын
그 신기술과 트렌드를 선도하는 사람이 0.001프로 일꺼라고 영상에서 얘기하고 있구 그 이외에는 필요없어 질것 같다는게 예상이라는거 같네요
@captainmichaelj2321
@captainmichaelj2321 2 жыл бұрын
관점을 한국내부로만 보면 그렇죠, 세계, 미국은 딱히 그렇지않아요.
@meta3539
@meta3539 2 жыл бұрын
@@KAKAO_ 학벌의 진짜 좋은점은 취업이 아닙니다. 지금 한국을 이끌어가는 정치인, 기업인들 죄다 명문대 출신인거 생각해보세요. 엘리트 계층에게 지식을 요구하는 것은 바뀔수가 없습니다.
@user-jm7dm4vc8q
@user-jm7dm4vc8q 4 ай бұрын
와우 참 생각 정리하는 데 도움 되는 영상입니다. 제작하시느라 너무 고생 많으셨어요
@user-vm5qj2lz1o
@user-vm5qj2lz1o 2 жыл бұрын
많이공감되는군요 궁금했던부분의 해답에도 더가까워졌습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user-mt3ip6it1c
@user-mt3ip6it1c 2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좋은만큼 좋은사람과 똑똑한분들을 만날기회가 많아져서 없어지진 않을거같음
@lan6473
@lan6473 2 жыл бұрын
@@Udjskskebehshhwbhw 사실 자기학교밀어주는 것도 요즘은 눈치보이고 쉽지않죠
@HanSoo0116
@HanSoo0116 2 жыл бұрын
@@Double_shot.Z 근데 그게 절대 안됨 당장 세종대왕만 봐도 당시엔 훈민정음 싫어했으니까요..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2 жыл бұрын
환경이 달라지니 만나는 사람이 바뀜 기회도 많고 무엇보다도 자신감
@lan6473
@lan6473 2 жыл бұрын
@@user-di4hh7ne7i 자신감은 맞는듯
@Dnhgj
@Dnhgj 2 жыл бұрын
@@Double_shot.Z 모두가 행복한 사회는 절대 불가능함…
@user-fr9sj1ue4m
@user-fr9sj1ue4m 2 жыл бұрын
50이 될때까지 살아보니 학벌 보단 생존능력이 더 중요해요. 무조건적인 경쟁에 뛰어드는것 보다는 경쟁을 피해 가는게 더 나아요. 학벌보다 중소기업에서 쌓은 경력이 대기어 취업에 더 유리해요. 중딩 딸들에게 공부 얘기 안합니다. 그냥 오늘 하루 재밌게 보내라는 얘기 많이 해요. 하고 싶은 걸로 진로 따라가라고.
@user-bl4or8ys2b
@user-bl4or8ys2b 2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부모님이시네요. 그 마음 변치말고 자녀분들한테 단단한 마음 심어주시길 바랍니다.
@user-ul4cc4pt8o
@user-ul4cc4pt8o 2 жыл бұрын
인생2회차십니다. 본인의 그릇을 인정하는게 정말어렵고 용기있는일인데. 누구나 다공부잘할순없죠. 노력하는것조차 재능인데. 본인의 분수를알고 버릴건버리고 재능을빨리발견하는게 정말 중요하다생각합니다
@user-lu4in3ks2t
@user-lu4in3ks2t Жыл бұрын
자식들은 진짜 복받았다
@uscitizenkr
@uscitizenkr Жыл бұрын
중소기업 경력으로 대기업을 가나요?
@soojinkim7979
@soojinkim7979 Жыл бұрын
멋져요🎉
@user-vl2ql4mz9b
@user-vl2ql4mz9b 2 жыл бұрын
미래 예측으로 봤을때 극소수의 상위층이 아니면 학벌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해석되네요. 다양성을 통해서 좋아하는 일, 창의성이 늘어나는 사회가 됬음 좋겠네요
@user-ew1sc8go5r
@user-ew1sc8go5r Жыл бұрын
학벌보다 열정이 더 중요한것같아요. 분야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성공을 보장할 확률이 높아요. 지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이랄까요 ㅎㅎㅎㅎ
@user-ds5bz3mi3r
@user-ds5bz3mi3r 2 жыл бұрын
와 12분짜리 영상인데 1분 20초인줄 알았어요 진짜 몰입감 장난 아니고 깊이도 엄청나네요. 이런 보석같은 영상을 띄워주다니 유튜브가 간만에 일하네요 정말 잘 봤습니다!
@blrusian
@blrusian 2 жыл бұрын
대단히 인상적인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anggonam
@anggonam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점점 중요해지는 이유가 예전에는 면접도 3차, 4차등 여러번에 걸쳐서 사람을 보면서 그사람의 인간성 등을 알수있었지만 점점 빨리빨리가 중요시 되는 사회에서 학벌만큼 좋은 정보가 없죠. 심지어 최근에는 AI면접이라고 온라인으로 면접을 보기도 하는데 자신의 수준을 단기간 안에 표현할수있는건 학벌 뿐이라고 생각해요
@croissant8460
@croissant8460 2 жыл бұрын
성실하고 스스로 배우는법만 습득하면 뭐든지 할수 있는 시대가 곧 오네요
@user-qm3ws1pd1n
@user-qm3ws1pd1n 2 жыл бұрын
지금 출산율을 보니 20만에 들어갔던데 몇년정도면 학벌이 문제가 아니라 나라에 문제가 많겠죠. 부양인구는 많고 그걸 받치는 인구는 적어지고 있으니 큰일났습니다
@user-ly8qh8mz7d
@user-ly8qh8mz7d 2 жыл бұрын
ㅇㅈ 이게맞다
@sooooo6300
@sooooo6300 2 жыл бұрын
나이 쳐먹을동안 가진거 없는 노인들 살처분해야함
@Viola666vvv
@Viola666vvv 2 жыл бұрын
@@sooooo6300 ㅇㅈ하는 부분임 나이가 늙어서 자기를 안써줬다? 변명임 일자리를 찾는것도 자신의 능력임
@user-km7rl9ld5g
@user-km7rl9ld5g 2 жыл бұрын
@@sooooo6300 ? 그럼 나이먹은 사람을 적은 인구가 부양해야되는 나라현실이 아니라 나이먹은 사람들이 잘못된 거임?
@user-fn9zi3vz4e
@user-fn9zi3vz4e 2 жыл бұрын
타 선진국들처럼 적극적으로 이민을 받아서 노동 인구를 늘려야하는데 우리나라는 타 민족에 대한 편견과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널리 펴져있어서 그게 현실적으로 힘들죠...
@jih3629
@jih3629 2 жыл бұрын
참 깊이 잇고 폭도 넓은 분석이네요. 저도 90년대생인데 90년생부터 국민연금못받는다는 기사보고 답답하더라구요. 중소기업도 사장외제차굴릴 돈으로 설비,복지,급여등을 개선안하면 계속 인력난격을거라고봅니다.
@jihyelee4251
@jihyelee4251 2 жыл бұрын
나도. 내고 있는데 90년생 ㅜㅜ
@tracygrace6866
@tracygrace6866 2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공산당을 가장 열심히 지지하는 4050들....
@user-gu7km3bz8y
@user-gu7km3bz8y 2 жыл бұрын
그냥 이민 가시는게 나을지도
@user-vn8cp1lm3b
@user-vn8cp1lm3b Жыл бұрын
얘들아 국민연금 위험은 느그가 다 자초한거야? 6.25때는 머 상황이좋아해서 애많이 낳았냐? 지들이 안낳아서 부양받을 가족안만들어놓고 기성세대탓ㅋㅋㅋㅋㅋㅋㅋ 학력이좋다고? 응 고려시대 사람도 느그시대오면 학력좋아져~ 시대잘만나서 느그가 학력이좋은거지 실력으로 좋아진거냐? 집값이높다고? 응~ 지방인프라 전보다 좋아졌는데 눈높아져서 서울로 모여서그래 일자리가 서울에 모여있다고? 응 그럼 집값감수하고 살아야지 모두가 살고싶어하는 서울을 당연히 갖게겠다는 도둑놈 심보야
@user-fi8pf2wj2n
@user-fi8pf2wj2n 2 жыл бұрын
댓글을 1시간 넘게 봤는데.. 생각 외의 반응으로 갈리네. 지금 학생이거나 취준생 정도의 젊은 친구들이 학벌사회가 절대 안 없어질 거라 하고 오히려 30대 이상 사회 경험이 있는 사람들일 수록 막상 겪어 보니 학벌 별 거 없다는 의견이 많군. 하긴.. 지금까지 명문대 가려고 생고생했거나 졸업장을 땄는데 그 성취와 고생한 걸 덜 인정받는다는 느낌에 오히려 꼰대들보다 더 학벌 맹신 성향이 있는 걸 이해 못할 바 아니긴 하지. 막상 살아 보면.. 대기업 다니다가 그만 두고 여행 유투버하는 사람, 일부러 대학 안 가고 초밥 기술 배워서 연 2억씩 버는 30대, 단지 몸 가꾸는 걸 좋아해서 헬스 좀 하던 친구가 5개씩 매장 내고 잘 먹고 잘 사는 경우, 20대 중반에 고졸로 9급 세무공무원에 합격하고 10년 경력 채운 뒤 세무사 1차 시험 면제 받고 2차 합격해서 세무사가 된 전문직 등등 입이 아파서 다 말을 못 할 지경인데.. 고작.. 학벌 좋으면 취직 잘 된다느니.. 이런 ㅠㅠ 그리고 인맥이 뭐? 그 인맥으로 성공할 정도라면 정치를 하거나 해야지. 어차피 학벌과 상관 없이 어느 분야에서건 일정한 성취를 거두면 자연스레 쌓이는 게 인맥. 차라리 동네 조기축구회나 가까운 맘까페 애들 엄마가 정말 도움되는 인맥일 수도 있는 걸...무슨 대단한 인맥이라도 되는 양 ㅠㅠ
@junhyeongjunhyeong
@junhyeongjunhyeong 2 жыл бұрын
이제 4학년 학교 다니는데 아무리 봐도 학벌 주의 사라지고 대학도 어지간한 대학은 다 사라질거 같음
@ohih2314
@ohih2314 2 жыл бұрын
@@junhyeongjunhyeong 아무리 봐도 학벌주의가 사라진다 하셨는데 그 이유가 있으신지 님의 경험을 듣고싶어서요 궁금하네요
@junhyeongjunhyeong
@junhyeongjunhyeong 2 жыл бұрын
@@ohih2314 유튜브나 구글때문에 찾고 싶은 정보를 찾는게 너무 쉬워짐 특히 코로나 이후로 온라인 강의 하면서 부터 너무 좋은 자료들을 무료로 얻을 수 있어서 굳이 대학을 안나와도 학문적 지식을 얻기에 너무 충분함 대학은 그냥 딱 인적 네트워크랑 공부한거 인증서 발급하는 기관 정도인거 같음
@user-vb1ds7nb5s
@user-vb1ds7nb5s 2 жыл бұрын
@@ohih2314문과는 중경외시미만은 안쳐줌 중경외시도 올1등급인데 취업도 안되고 죄다 대졸백수하거나 공무원하거나 애초에 문과는 다 공무원준비하는데 의미가있을까 사무직도 줄이고 있고 윤석열 공무원개편까지 10년뒤면 그냥 일하면서 먹고살기만해도 잘사는사람일듯
@user-xv5yk4tl8f
@user-xv5yk4tl8f Жыл бұрын
단순히 기업의 희망사항이 노력에서 재능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대학은 필요가 없어진거같음
@user-rb9tt5hh3z
@user-rb9tt5hh3z 2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대본 진짜 잘쓰십니다 대단해요
@rururara
@rururara 2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가는 영상이네요. 저소득층에 태어나서 고졸에다가 중소기업 10년동안 다녔습니다. 이젠 회사에 회의감이 들어요. 미래가 없다는게 실감이 나서요.. 곧 퇴사하고 10년동안 갈고닦은 그나마 있는 기술로 플랫폼이든 뭐든 각자도생의 길을 걸을려고 합니다. 제 인생이 사회적 현상에 같이 반응해서 나아가는게 조금 신기하네요.
@samayulhyultv
@samayulhyultv 2 жыл бұрын
꼭 성공하시기를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
@user-rr3ue2ss6j
@user-rr3ue2ss6j 2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user-ie2bc2zt1z
@user-ie2bc2zt1z 2 жыл бұрын
와우~ 10년은 존중 받아야 합니다!!! 화이팅!!!
@rururara
@rururara 2 жыл бұрын
@혜민 중소기업 한군데만 오래다녔다는 소릴 한적없는데 없는 사실 만드시네요 ^^ 다음에 말하거나 댓글 다실때는 여러번 생각하고 신중하게 댓글을 다시기 바랍니다. 멍청하다고 바로 비방하는걸 보니 머리를 안쓰시는것같네요. 사회적으로 기본 매너를 지키지 않으면 저한테서 빈말 듣습니다. ㅎㅎ
@bbiri_deux
@bbiri_deux 2 жыл бұрын
꼴랑 밑바닥 10년 하고 이런생각을하다니 ㅎㅎㅎ
@user-tw6gu1gg9i
@user-tw6gu1gg9i 2 жыл бұрын
늘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필연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모집인원이 미달되는 지방소재 대학교의 개수와, 상위권 대학교 졸업의 메리트가 함께 감소할것같네요. 4차 산업혁명에 맞춰서 대학교네임보다는 학과에 중점을 두고, 실질적인 기술과 역량을 갖추는것이 취업시장이나 개인커리어에서 더 유용할것같습니다.
@user-ev9eh1tt5j
@user-ev9eh1tt5j 2 жыл бұрын
이걸로 다양한 토론을 해봤는데 결국 답은 고부가가치 산업을 해당 국가가 많이 가졌느냐 못가졌느냐로 판가름이 난다고 생각해요. 간단한 예시로 유튜브 크리에이터 이야기를하지만 반대로 하이엔드 기술자들이 창업을통해 유튜브란 플렛폼을 못만들었으면 없을 직업이죠. 결론은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공부를해서 고부가가치 사업을 팡팡 터트리는 국가가 되면 좋겠네요
@sangyongpark2137
@sangyongpark2137 2 жыл бұрын
결국 위너는 플랫폼 소유자들이죠 ㅋ 그 안에있는 유통업자들이나 입점자들이 아무리 날고기어봐야 설계된 판에서 움직이는 자에 불과합니다. 이런 플랫폼을 만들려면 절대다수의 고학력내지 고지능자들이 필요하고 그렇지 못한자들은 그냥 플랫폼을 소비하거나 그 안에 조그만 가게하나 정도내면서 살아가는거죠.
@alxososnddux
@alxososnddux 2 жыл бұрын
@@sangyongpark2137 원래 그렇지 않았나요? 상장기업들이 적지않은 주도권을 쥐고, 자영업자 및 다양한 기업들이 세상을 채우는거요
@sangyongpark2137
@sangyongpark2137 2 жыл бұрын
@@alxososnddux바로 그걸 지적을 한 거예요. 과거에도 결국 주로 배운 사람들이나 집안이 되는자로서 좋은 교육을 받은 자들이 주로 시장을 선점하고 나머지는 그들이 깔아놓은 판안에서 움직이죠. 현재와 미래는 그게 더 심해집니다. 이제는 하이테크 사회라 기술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세상을 좌지우지하는 플랫폼 기업을 만들기 힘들죠. 이런 지식은 대학 그것도 좋은 대학의 교육을 통해서 가장 효과적으로 습득이 됩니다. 현재까지에 따르면요. 그래서 학력이 쓸모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 되는 겁니다. 빌 게이츠나 일론 머스크가 마음만 먹으면 요식업을 창업할 수는 있겠지만 놀부부대찌개 회장은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같은 회사를 절대로 만들수가 없습니다.
@sangyongpark2137
@sangyongpark2137 2 жыл бұрын
@@alxososnddux이제는 노동이 아닌 완전 지식및기술집약적 산업시대로 넘어가기 때문에 고등교육을 못 받은 자들이 사회의 최상위층에 서는건 더더욱 힘들어 집니다. 배우지 못하고 지식이 없으면 그냥 그들이 깔아놓은 판에서 움직이는 장기말로 살아가는 거예요. 이게 미래에는 더더욱 심해질 것이고 학력이 필요없어진다는 말은 이런 계층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사실상 장기말로 살아갈려고 해도 어느정도의 지식은 필요합니다.지식이 없는 단순 노동자들의 대부분은 수십년안에 기계로 완전 대체가 될 거구요. 학력이 옛날에는 좋은 스승 밑에서의 도제식 수업에서 근대 이후로는 좋은 대학으로 바뀌었어요. 미래에는 형태가 달라질지 모르지만 결국 학력이라는 개념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고 쓸모없어지는 일은 더더욱 없을 겁니다.
@user-vf5ft6vg7w
@user-vf5ft6vg7w 2 жыл бұрын
밑에 베댓이랑 비슷한 생각임... 취준하다보면 대학은 기본스펙이고, 거기서 얼마나 타지원자들이랑 비교해서 차별성이 있는지가 중요한데, 대학까지 공부만 했고 진짜 어릴때부터 해야하는 진로에 대한 고민을 지금까지 하고있다는게 답답함.... 그리고 회사면접가면 왜 이업무에 지원했어요? 진짜 그러니까 다들 취업잘되는과 가려고하지.... 나도 내가 무슨일을 잘하는지 모르겠고 그냥 하나씩 겪어보면서 알아가는것같아요 ㅠㅠㅋㅋㅋㅋㅋ진짜 학벌상관없이 다들 힘내세요 ㅠㅠㅠ
@review2024
@review2024 2 жыл бұрын
미래를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은 들지만 실질적으로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 주제였네요 오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wildhunt8083
@wildhunt8083 2 жыл бұрын
학벌사회만 무너지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무너지고 있음
@puroresura
@puroresura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분석력이 쩔어..
@PDH_0325
@PDH_0325 2 жыл бұрын
다른분들이 대부분 그렇겠지만 부모님의 강요아닌 강요로 대학을 가기 위해 공부만 했지만 막상 진학하고 인턴생활을 경험하며 제 적성에 안맞는걸 느끼고 나니깐 정말 허무하더라고요 결국 제 적성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는 다른 직업을 바라보고 있는 상황인데 학력과는 전혀 상관없는 직업이다보니 제가 예전부터 이 일을 빨리 시작했다면 지금의 난 어땟을까 생각이 듭니다ㅠ.. 본인이 원하는 인생을 사는게 정말 중요한거 같아요
@user-qo9mv7oh3n
@user-qo9mv7oh3n 2 жыл бұрын
뭐든 좋아하는 일 꾸준히 하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그게 공부 일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학벌사회를 강조하는건 반대합니다
@user-tr3ir8bb4d
@user-tr3ir8bb4d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정말 공감하면서 잘 보고 갑니다.
@MrBoogie4444
@MrBoogie4444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마지막 2분은 진짜 미쳤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미래를 그대로 꿰뚫은것 같습니다
@emily3915
@emily3915 2 жыл бұрын
최고 퀄리티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bycw3547
@bycw3547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정확하고 좋은 통찰입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damse3151
@damse3151 2 жыл бұрын
이젠 학벌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전문가가 더 각광받을 거 같습니다. 교육 환경이 학업 중심이 아닌 개개인의 흥미와 성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이었으면 좋겠네요
@Sa-0
@Sa-0 Жыл бұрын
이상 고졸백수 담새님의 희망사항 이였습니다..
@Sa-0
@Sa-0 Жыл бұрын
고졸쉑 ㅋ
@user-km3uh1ur5p
@user-km3uh1ur5p Жыл бұрын
다양한 분야에서 더 좋은 학벌을 원할듯
@user-xw5uj6vr2z
@user-xw5uj6vr2z Жыл бұрын
기성세대 욕하면서 그들이 만든 제도 안에서 하버드나 다니는듯 대학 부심 쩌는 분들 학벌 사회보단 돈 이다 돈 많으면 장땡
@user-je7sl2zg7z
@user-je7sl2zg7z Жыл бұрын
​@@Sa-0 이분 대기업 다니시는데? ㅋㅋㅋ
@user-zw7hc7js8g
@user-zw7hc7js8g 2 жыл бұрын
자식을 키우는 부모입장에서 많은 생각이 드는 주제였습니다 어떻게해야 좋은부모가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더해집니다
@JK-xy3zn
@JK-xy3zn Жыл бұрын
무너지지않을수는 있는데 무너져야 대한민국이 발전할것같습니다.
@LMS_KR
@LMS_KR 2 жыл бұрын
7:29 진짜 이 말 너무 공감합니다. 입학 첫날부터 너희는 대학에 가기위에 이 학교에 온 것이다, 일단 대학 가고 생각해라 등등 오히려 학교가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해 주지 않으니... ㅠㅠ
@NEWTYPEBLACK
@NEWTYPEBLACK 2 жыл бұрын
학벌 경쟁 산을 오로는 걸 포기하고 각자 마음에 드는 산을 찾는 등반가가 늘어나는 말이 정말 맘에드네요,,,,
@user-uh5jf2xy5v
@user-uh5jf2xy5v 2 жыл бұрын
별 대단치도 않은 대학을 위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을 기회를 박탈당하고 현재 애매하게 살고 있는 성실했던 모범생들 힘내길
@user-ux2nq6kj7r
@user-ux2nq6kj7r 2 жыл бұрын
통찰력 무엇...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user-nm1yh5td2j
@user-nm1yh5td2j 2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고졸로 살아가다가 결국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먹고 살아가는데 학벌이 중요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기성세대가 남긴 시스템은 대부분의 분야에서 학벌을 필수로 요구합니다. 제발 좀 더 다양한 사회가 오기를…
@user-jb5ky8ou4p
@user-jb5ky8ou4p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 능력이 있다면 사회는 보상할 것. 그저 능력없는 인간만이 학벌을 탓하지.
@General_NAM
@General_NAM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기성세대가 될땐 또 달라질 시스템 안에서 행복하시기를..ㅎ
@user-mg1yk3mp5d
@user-mg1yk3mp5d 2 жыл бұрын
@@user-jb5ky8ou4p 새로운 능력을 만들어줄 사회가 필요합니다
@human-being1
@human-being1 Жыл бұрын
@@user-jb5ky8ou4p 능력이 탁월하지 않다면 학벌은 웬만해선 발목을 잡음
@user-lv3lv2li8o
@user-lv3lv2li8o Жыл бұрын
​@@user-jb5ky8ou4p 환경이 능력을 만들어주고 그 능력이 학벌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학벌이 자식의 환경을 만들어준다
@UC_86axYCtp2T0-RPSdcB8sg
@UC_86axYCtp2T0-RPSdcB8sg 2 жыл бұрын
팩트) 우리가 아는 성공한 스타트업의 창업주들은 대부분 명문대나 명문대 중퇴다.
@Bbrnbrbrne
@Bbrnbrbrne 2 жыл бұрын
그니까 빌게이츠도 그렇고 하버드 중퇴 이러는데ㅋㅋㅋㅋㅋㅆㅂ 애들은 빌게이츠도 대학교 자퇴했데!!이지럴하는 애들 꽤 있는듯
@hemeligand4281
@hemeligand4281 2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말씀입니다
@user-qw4wi3zt1w
@user-qw4wi3zt1w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fz8jb8sl7r
@user-fz8jb8sl7r 2 жыл бұрын
무너진다기 보단 몇 년 전부터 능력주의 사회로 변해가는 느낌이 드네요. 미술 전공이라 더 크게 느껴지는건지.. 다만 학벌이 높을 수록 능력이 좋은 경우가 많으니 학벌은 효율적인 판단 지표로써 계속 사용될 것 같긴 합니다.
@yeri2717
@yeri2717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무너진다기보다는 다른것들도 많이 보기 시작하는 느낌 학벌만능주의가 아니고
@adequate135
@adequate135 2 жыл бұрын
그걸 우리는 무너졌다고 하기로 했어요
@user-je2gg7jk1f
@user-je2gg7jk1f 2 жыл бұрын
@@user-dn7nl3un8d 그게 무너지는거죠
@user-ep1dg5xt2r
@user-ep1dg5xt2r 2 жыл бұрын
제가 미대에서 컴공으로 넘어가는데 미대는 확실히 학벌이 덜 중요하긴 합니다 프로그레머는 고졸은 면접보기도 힘들아요
@smith183
@smith183 2 жыл бұрын
윗댓에 예술계와 일반사회를 비교하고 자빠졌누.. 본인들이 회사 오너라고 생각해보세요 검증이 안된 신입은…사회는 냉정합니다~~
@lineherz
@lineherz 2 жыл бұрын
7:18 정말 공감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하나같이 얘기하는게 우리나라는 다양성이 다른 나라에 비해 너무나 뒤떨어진다인데 역시 공통된 의견이 여기서도 나오네요.
@puyoungchang2291
@puyoungchang2291 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에는 현재 우리나라의 분단 상황으로 인해 청년들이 가는 군대로 인해 사회 전체에 만연한 '군대문화'도 창의성과 다양성 저하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00년 1월 군번인데 군대가니까 80~90년대 마인드로 살아가고 있는 직업 군인들을 보고서 느낀게 많았고, 군대 제대하고 회사 들어가니 당시 기성 세대의 '까라면 까' 문화에 지쳤습니다. ㅠㅠ
@onlyjesus6421
@onlyjesus6421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대단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ld8hi5qu5m
@user-ld8hi5qu5m 7 ай бұрын
무자식이 상팔자 입니다. 고생 해서 자식 키워 놓아 봤자, 아무 쓸모 없습니다.
@drmphy
@drmphy 2 жыл бұрын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것은 고등학교 때 온갖 욕구를 억제하면서 공부를 꾸준히 하면서 성과도 좋았다는 방증이다 어차피 대학교에서 배운 거 회사에서 쓸 일은 없지만 그런 사람이 회사 조직에서도 적응을 잘 할 가능성이 높지 고등학교 때만 공부를 안했을 뿐 대학교 가서 공부를 열심히 했을 수도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 그런 사람을 골라내는 노력을 하느니 그냥 학벌 좋은 사람들로만 뽑는 것이 인사 업무가 훨씬 효과적임 억울해도 소용 없다 입장이 바뀌면 니들도 똑같이 학벌 보고 뽑을 수 밖에 없다
@comssa
@comssa 2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 다시 느끼고 있습니다 24살부터 대학도 다니면서 기술도배우고 힘들었는데 후회하지 않습니다
@rkdwns565
@rkdwns565 2 жыл бұрын
내용은날카롭지만 발음은 귀여운 그이. 매력적.
@emily3915
@emily3915 2 жыл бұрын
각자 가고싶은 길을 찾아서 오른다라,, 다소 불안정하지만 하고싶은일 하면서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user-lk4uz4ci5l
@user-lk4uz4ci5l 2 жыл бұрын
대학을 넘어 대학원에 드는 시간 비용에 비해 평범한 사람이 월급쟁이로는 사는 이득이 없어지는게 진짜..구구절절 맞는말
@user-md2ko7iq4t
@user-md2ko7iq4t 2 жыл бұрын
외모가 뛰어나고 옷을 잘 입는 일반인들이 인플루언서로 칭해지며 하나의 직업이 되고 경제적인 활동까지 하는 것을 보면 사회보다 더 빠르게 가치의 기준이 바뀌고 있는 것 같다. 정말 다양성의 사회
@user-rs3wh5qx2o
@user-rs3wh5qx2o 2 жыл бұрын
@혜민 돈 주니까 존중해주는거지 돈 주는 애들은 그냥 돈주나? 그만한 기브앤테이크가 확실하니까 하겠지 그걸 부정하는건 걍 꼰대임 마음에 안든다고 그 기브앤테이크는 사라지지않음 막는다고 막히는것도 아니고
@user-kl6fl1ug3r
@user-kl6fl1ug3r 2 жыл бұрын
정말 외모도 공부잘하고 뭐 잘하는것처럼 하나의 재능이 될수있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음
@kimmj5401
@kimmj5401 Жыл бұрын
이 글 보니까 삼성인가 어디 대기업 다니는 사람이 BTS 성공한게 짜증난다 세상이 미쳐돌아간다 이런글 쓴거 봤는데 확실히 이제는 공부만 한다고 성공하는 사회는 아님 자기가 뭘 해야 성공하는지 정확히 아는사람만 성공하는듯
@user-kdg3hsjab8n
@user-kdg3hsjab8n Жыл бұрын
그런 것도 그저 다수의 착각임 그런 사람들은 실제 비율상 얼마안되고 오히려 그런 직종일수록 빈부격차가 큼 근데 절대 다수가 오직 극소수의 성공사례만 보고 트렌드를 오인하며 잘못된 방향성을 잡는게 부기지수임 트렌드가 바꼈다고 호들갑떨기보다 극소수를 보편화하는 미디어의 과장을 먼저 인식할 필요가 있음 특히 sns는 평범이라는 기준을 왜곡시켜버리고 다수를 불행하게 만듦
@user-eb4eb8ge4i
@user-eb4eb8ge4i 10 ай бұрын
​​​@@user-kdg3hsjab8n이게맞죠 연예인 혹은 지망생 분들 중에서 우리나라 평균 월급 이상 버는 분 얼마나 되겠음,, 그 중에서 성공한 상위 1프로 이내만 잘 나가고 미디어에 노출되는거지 나머지는 다른 일 하면서 하는게 현실이죠
@user-vp6kk1ej3w
@user-vp6kk1ej3w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세계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정작 본인 학과와 접목된 진로를 찾는 경우는 드물다고 들었습니다. 이로부터 한국 사회의 학벌사회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는데 우리는 그 문제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와 해결방안은 무엇인지를 고민해보고 개선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user-sn3bc6nq5u
@user-sn3bc6nq5u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합니다. 앞으로의 세상은 인공지능, 로봇에 의해서 사람은 일자리가 점점 더 잃게 될 것이고,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더욱 가속화 되겠죠. 우리 아들은 어떤 세상에 살게 될지. 어떤 공부를 해야 할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wjstksksable
@wjstksksable 2 жыл бұрын
가끔 학창시절 대학 진학을 목표로 과외, 학원에 들인 시간과 돈 그리고 대학에서 쓰인 시간과 돈을 다 합쳐서 다른걸 했으면 훨씬 성공하지 않았을까.. 아니 적어도 지금 보단 여유있게 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시대네요.
@jihyelee4251
@jihyelee4251 2 жыл бұрын
킹정
@user-ul4cc4pt8o
@user-ul4cc4pt8o 2 жыл бұрын
남들하니까 그걸해야된다는.. 그런생각에 정말 내또래많은친구들 시간,비용다날렸다. 대학진학에 제대로간친구는 아주 극극소수일뿐. 그게 내그릇인걸 인정하기까지 5년은걸린거같다. 지금은잘살고있지만 평생후회되는일.. 멍청하게 남들하니까 나도한거
@user-qp4rf7er4w
@user-qp4rf7er4w 2 жыл бұрын
'SKY+카이스트+포스텍'급 까지는 학벌이 중요할거 같은데 그 아래는 진짜 별로 안중요해 질것 같습니다. 그냥 그 아래는 알아서 각자도생하는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진짜 수능공부/학벌이 아니라 순수 자기분야 실력이 있어야 살아 남는 구조로 가는거 같습니다... 점점
@user-vc5uc6ji4j
@user-vc5uc6ji4j 2 жыл бұрын
서성한까지는 넣어줘라..
@hu3028
@hu3028 2 жыл бұрын
@@user-vc5uc6ji4j ㅋㅋㅋㄹㅇ 짜피 수능 몇문제차이
@user-wf7fd8fv2g
@user-wf7fd8fv2g 2 жыл бұрын
요즘 sky 하위권 = 옛날 서성한 ㅇㄱㄹㅇ 옛날에 괴수들은 sky 가고 한두문제 실수한 사람들은 서성한 갔다면 요즘은 괴수들은 sky는 당연히 가는거고 남은자리 실력 안되는 애들이 지균 기균으로 어거지로 들어감 옛날엔 서울대 나왔다 하면 학점 개판치고 스펙 하나도 없어도 어쨋든 취업은 됬는데 요즘은 서울대라고 다 쳐주지도 않음
@swiper11
@swiper11 2 жыл бұрын
지잡대 갈바엔 가지마라 돈아깝다
@Niuuuuuuuuuuuu
@Niuuuuuuuuuuuu Жыл бұрын
@@user-wf7fd8fv2g 현실은 대기업기준 sky아래 인서울은 다 비슷하게 봅니다
@user-nk7hn1rv6b
@user-nk7hn1rv6b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봤습니다~ 혹시 다음 영상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주실수 있나요?
@jbkim7569
@jbkim7569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 채널 컨텐츠 정말 잘 만드심!
@useridhweee
@useridhweee 2 жыл бұрын
대학진학율이 줄어드는 건 긍정적 현상이라고 봅니다. 대학진학준비부터 대학졸업까지 많으면 15년의 시간과 그에 준하는 비용이 투자되는데 그동안 청소년 학생들은 주입식 사교육으로 인해 한창 머리가 말랑말랑할 때 습득이 중요한 창의력 배양, 토론기술 습득, 감수성은 뒷전이 되었고 이런 능력들이 이제 주입식 지식보다 훨씬 중요한 자산이죠,,앞으로 우리나라가 청소년 공교육에서 위 기술들을 배양하는 교육과 더불어서 고등학교부터 코딩하는 능력 등 실무적인 기술을 함께 체계적이고 사교육을 압도하는 양질의 교육을 한다면 허송세월하는 대학준비 및 대학졸업 비용도 줄고, 사교육도 줄고, 보다 더 어린나이에 중소든 창업이든 도전을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kyh2059
@kyh2059 2 жыл бұрын
대학 진학율이 떨어지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것은 아니지만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에 대한 집착을 생각해보면 정말 다행이긴 하죠... 앞으로는 정말 대학교에서 하고 싶은 공부가 있는 학생들만 대학교에 진학해서 대학교의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이 더 부각되는 시스템이 형성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py4gj3xm4s
@user-py4gj3xm4s 2 жыл бұрын
원래 대학이란게 더 공부하고 싶어서 다니는 건데 한국에서는 대학진학이 커리어라는 문화가 있어서 지잡대는 안갈려하고 인서울만 고집하니.....
@pagma3276
@pagma3276 2 жыл бұрын
그 말랑말랑한 시기에 적절한 교육을 하는 곳이 없고. 굳이 그런 교육을 하는게 어떤 부분에서 자산이란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결국 적절한 돈과 여가..개인의 삶은 교육과 상관없는데 세상이 편안하니 그냥 말랑말랑한 추상적인 긍정을 하는게 아닐까요..... 우리나라에선 답이 없다라고 하는게 옳은듯..몇ㅁ멍이 해낸다고 나머지가 도전해야하는게 아니니... 무슨교육이건 생계에는 허송세월일수밖에 없지 않나요....어렵네요
@afa7038
@afa7038 2 жыл бұрын
이제 고3이지만 사실 입시라는 환경 자체가 주입식을 요구하는 것은 맞지만 주입식 자체가 합리적이라는 것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코딩을 안다고 해서 과연 실무능력이 높아지고 더욱더 경쟁력있는 기업과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을까요? 컴퓨터를 활용한 디지털 기술을 익혀야지요 코딩 전문가들이 만들어 놓은 기술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모두가 코딩을 다 잘할 필요가 없다는 거죠 현재 대한민국의 성장이유가 주입식을 통한 빠른 기술습득이라 생각합니다! 무조건 서구의 흐름을 따라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2 жыл бұрын
인구가 계속 줄고 있는 추세니 무명에 가까운 지잡대는 없애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jae-woo-park
@jae-woo-park 2 жыл бұрын
우리 사회가 변하고 있는데 기성세대가 이런것을 알아야 변화할려고 할텐데 여러 사람들에게 말해주고싶은걸 시~원하게 긁어 주네요 영상 너무 좋아요 최고에요!!
@user-me4go9if8u
@user-me4go9if8u 6 ай бұрын
학벌만능주의 땜에 지가 잘 하는 거 찾지도 못하고 맞지도 않는 공부 한다고 어릴 때부터 모든 인력 자원 전부 입시로 때려 넣으니 애초에 미친경쟁에 미래가 안 그려지니 자살1위,출산율 바닥1위 함 사회적 비용이 어마어마함 미친 나라인 거 같다 그렇게 학력에 미친 나라인데 노벨상도 없고 연구성과가 세계적인 것도 아니고 그냥 지들 기득권 유지하기에만 급급함
@user-ze9wb1ee6x
@user-ze9wb1ee6x 4 ай бұрын
학벌만능주의 아니면 우리는 지금 필리핀처럼 살고 있었다ㅣ
@user-qajKxmdmelat193p
@user-qajKxmdmelat193p Ай бұрын
​@@user-ze9wb1ee6x우리나라는 너무 급격하게 성장해서 문제임 그야말로 사람들을 갈아넣어서 성장함 차근차근 기반을 닦으며 성장했어야 하는데 덕분에 그 후유증이 지금 다 나오는 중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Жыл бұрын
학벌과 학력은 다른 개념입니다. 학벌이라고 한다면 같은 대졸중에서도 얼마나 좋은 대학을 나오냐라는 것입니다.
@coconenn3
@coconenn3 2 жыл бұрын
무언가를 배우고 생각하고 나름 연구하는것을 좋아하지만 정작 "공부"는 못하는 저, 개인적으로는 대학교는 더 나아간 공부(학문)를 하기 위한 장소로 필수 존재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생각하는 대학교 간 격차는 커리큘럼으로 차이가 나야하고, 그 차이는 수강자의 결과물로 나타나야하며, 그 결과물이 곧 취업으로의 티켓 역할을 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는 있지만... 현실과 이상은 당연히 다르다는 생각이 드는것은 사실이네요. 스스로 고졸, 전문대 휴학생이라 남들보다 뒤떨어지기에 핑계를 찾는건가 라는 생각도 들고..
@user-sk9qo4tg2p
@user-sk9qo4tg2p 2 жыл бұрын
현재 예비고2 학생인데 너무 유익하네요. 지식한입 최고입니다 ㅎㅎ
@tiffanylky
@tiffanylky Жыл бұрын
학생 때 노력을 보는게 학벌주의라 절대 없어질거같지 않음. 물론 낮은학벌에서도 성공하는사람이 없진 않지만 좋은대학 가는거만큼 그이상으로 노력해야함 ㅇㅇ
@fermiona0513
@fermiona0513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ys7xn5xs2x
@user-ys7xn5xs2x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학벌이 중요한게 인맥도 인맥이지만 상위 직업가는데 거의 모든 학문의 기초이기 때문에 없어지는 일은 없을거라 봅니다. 일단 1차적으로 거르는게 수능이죠.
@Yes_you_
@Yes_you_ 2 жыл бұрын
점점 가면갈수록 대학가는게 쉬워져서.. 과연 학벌이 과거만큼 중요해질까요
@lemon-lq6eu
@lemon-lq6eu 2 жыл бұрын
@@Yes_you_ 학벌의 기준이 과거처럼 대학을 나왔냐가 아니라 어떤 대학 어느과를 나왔냐로 점점 기준이 좁아질 뿐 학벌은 당분간은 계속 유지될 것 같아요. 논란은 있겠지만 대학간판이 직원의 능력과 성실함과 거의 비례하더라고요.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2 жыл бұрын
나는 수능으로 대학 입학을 결정하는 것 보다 대학 입학의 관문은 넓게 열어주되 졸업의 문을 좁혀야 한다고 봅니다. 솔직히 한국의 대학들이 세계의 유수 대학들과 경쟁이 안되는게 졸업이 너무 쉽기 때문이죠. 오죽하면 먹고 대학생이라는 말이 나오겠습니까? 치열한 경쟁을 통해 우수한 엘리트 학생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시험 난이도와 과제 수준을 확 끌어 올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jakej5227
@jakej5227 2 жыл бұрын
@@Yes_you_ 학벌이 과거보다 더 중요해질겁니다 개나소나 쉽게 가는 지잡대는 대학으로도 취급안해줘서 결국 도태되거나 학교 자체가 없어질 일이 많으며 상대적으로 명문대만이 살길이죠.. 덜해지진 않을거같은데요
@이상
@이상 2 жыл бұрын
학벌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겠다만 능력이 꼭 비례하진 않은 케이스가 있는게 문제 반대로 학교네임이 낮아도 능력은 출중한 케이스가 있는데 그것을 잘 추려내야 하는것이 중요 내가봣을땐 전공능력을 평가하는게 맞다 생각함 고학력인데 가끔 갑갑한 소리하는 몇 업계종사자 보면 대학간판은 그리 중요한가 싶음
@sushini--
@sushini-- 2 жыл бұрын
학벌은 단순하게 학벌로만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많은 대기업들이 명문대생을 선호하는 이유는 단순히 학벌때문이 아닙니다. 높은 등급을 맞으려면 머리도 머리지만 끈기와 인내력의 싸움도 필요하죠 ... 그 과정을 잘 견뎌낸 학생들이 명문대를 가는거고 이 핑계 저 핑계대면서 끈기와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못가는거죠 살면서 겪어보니 상위권 대학 친구들은 무슨일을 하더라도 대충하는 습관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저도 국내에서 누구나 들어도 알만한 대학을 나왔지만 주변 친구들에게 많이 배우기도 합니다. 근데 주변 친구들 중에 나이 서른이 넘어서도 아직까지도 별 뜻없이 살아가는 친구들도 있고요... 이런친구들은 대부분... 말 안해도 알겠지만 진짜 아직까지도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자기 할일 안 하는 친구들이더라고요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대기업 똑똑한 간부들이 이거 하나 모를까 싶네요 ... 학벌은 단순히 학벌이 아니고 그사람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나타내주는 지표가 됩니다. 물론 학벌 좋은사람만 열심히 살았단 얘기는 절대 아니고 그 시간에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열심히 해서 기술을 배웠거나 프로게이머, 아이돌 등등 공부랑 멀어보이기도 한 직업군들 자체도 성공한 사람들은 엄청난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노력을 한거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도 당연히 사회적으로 인정 받고 오히려 돈도 훨씬 많이 받죠... 학벌주의.. 부정하고 욕만할게 아니라 냉정히 본인이 무엇을 열심히 했는가 반성부터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2 жыл бұрын
저는 성균관대 컴공과 나와서 효성 개발자로 8년다니다 핀란드 헬싱키로 취업이민간 40대 아재임..... 얘들아!! 탈조선해서 좋은 나라로 이민가려해도 학벌이랑 경력 왠만큼 따는게 정말 유리하다 생각함.....
@adfrd8242
@adfrd8242 2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결국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한데 문제 해결 능력은 지능, 끈기, 실행력 등의 변수로 측정이 될텐데 학벌이 어느 정도 이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주변 사람이 나를 만든다고 좋은 학벌을 갖게 되면 주변에 멋진 친구들과 시간을 보냈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따라서 대학 생활을 하며 성장하는 폭도 더 클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adfrd8242
@adfrd8242 2 жыл бұрын
학벌'만' 보는게 잘못된거지 학벌'도' 보는게 잘못된것이라면 그 어떤 스펙도 보면 안되는거죠..
@shinyworld7788
@shinyworld7788 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노력했고 성실했다는 의미겠죠. 다만 다양성이나 혁신에 필요한 괴짜는 아니겠죠.
@vhan-
@vhan- 2 жыл бұрын
말씀이 일부는 맞다고 생각합니다만 일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전 개인적으로 학벌은 필수적이며 중요한 항목이라 생각합니다. 단, 공정이란 전제조건 아래에서 말입니다. 학벌주의의 반대가 나온 이유는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겠지만 어디까지나 저의 관점으로는 영상에 나온 이유와 더불어 학벌의 공정에 관한 의심이 피어올랐기 때문입니다. 크게 보았을 때 사회계층간의 불화로도 볼 수 있는데 최근 4,5년 사이에 뉴스를 보았을 때 고위계층자녀의 부정입학사례가 다수 적발되어 사회적 불씨가 지펴졌습니다. 그럼 사람들, 특히 젊은이 층은 이런 학벌이란 것에 관해 '내가 지금하고 있는 공부에 의미가 있나? 부자집이나 정치인 자식들은 놀고 먹어도 부모님 빽으로 지금 내가 이 고생하면서 공부해서 얻을 수 있는 학벌보다 더 좋고 높은 학벌을 얻을 수 있을 텐데? 내가 더 끈기를 가졌고 내가 더 노력했는데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거지? 이런 불합리한 학벌이란 걸 믿을 수 있나?' 이런 회의감과 부정적인 생각이 무의식속에 내제되게 됩니다. 그것을 밑바탕으로 여러 요인이 겹치게 되어 지금의 상황이 만들어진게 아닐까 싶습니다.
@kotraner
@kotraner 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소프트웨어 IT쪽 인력에 한해서는 학벌이 별로 상관이없더군요. 근데 사회에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가 더 많아지니...이런 추세가 더 깨지는거같습니다
@hwang4017
@hwang4017 Жыл бұрын
e다양성을 살리는 교육, 실패를 해도 다시 딛고 일어날 수 있는사회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참 고민이 많이되네요. 학벌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지불한 비용중 가장 큰 비용은 다양성이다"라는 말이 참 와닿네요.
@initiationon
@initiationon 2 жыл бұрын
과거에 비해 많이 무너진 것도 사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무너지지 않은 것도 현실
@euphorim
@euphorim 2 жыл бұрын
학벌만큼 가성비 좋은 지표가 없다는 말에 동의할 수 밖에 없네요... 개인의 역량이나 살아온 시간의 효율성 같은 걸 바로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학벌을 대체할 만한게 당장 떠오르지가 않아요 ㅜㅜ
@user-pe9fq5hq9o
@user-pe9fq5hq9o 2 жыл бұрын
학벌은 기본에 플러스 알파인거지 학벌은 중요함. 군대만 갔다와도 느낄수 있음 상위권 대학과 고졸의 마인드, 가치관,논리적,합리적 생각 등 하늘과 땅 차이임. 머리 쓰는 능력,생각하는 능력 역시도.. 군대 내에선 별 차이 안나겠지만 이들이 장기적으론 각 분야에 투입된다면 큰 차이를 냄이 분명
@user-me5el2pv6y
@user-me5el2pv6y 4 ай бұрын
개소리 ㄴㄴ
@imd0nghyun64
@imd0nghyun64 21 күн бұрын
@@user-me5el2pv6y고졸이랑 긁힘?
@user-yt6gv6gj2v
@user-yt6gv6gj2v 2 жыл бұрын
그 짤 생각나네 30년전:1종 운전면허증 >합격 현재: 각종 자격증과 토익,봉사활동,경력 >불합격 ???:엥 ㅉㅉ 요즘것들은 노오오오력을 안해 그러고는 욕만하지 ㅉㅉ 대기업말고 중소기업도 다 있구먼
지방소멸, 한국이 더 심각하다?
11:19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824 М.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680 М.
기업이 학벌을 보는 이유 | 면발남
10:36
면접왕 이형
Рет қаралды 139 М.
이렇게 살면 인생 망합니다
10:21
북토크
Рет қаралды 101 М.
청와대를 버리는 이유
11:07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부모가 부자면 아이는 어떻게 자랄까?
12:04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어쩌면 나 그리웠나봐... 이렇게 나쁜 네가...
12:01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733 М.
BTS가 되지 못하면 한국을 떠나세요. | 손주은 | 동기부여 | 오디오북 | 미래이야기
7:25
진짜 한국인 평균을 알아보자
9:59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국뽕없이 보는 IMF 외환위기 사태
12:46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Айбек бейтаныс қызбен көлікке мініп кетті”
25:04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13 М.
ХЕЧ БУЛМАСА МЕХНАТГА БИТТА ЛАЙК БОСИНГ
0:12
Муниса Азизжонов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