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때문에 뒤집어졌다는걸 못느꼈던 거구나ㄷㄷ 아니 비행기가 뒤집어지면 피가 머리로 쏠릴텐데 어떻게 모를수가 있나 싶었는데
@Jin-n1y2 ай бұрын
물론 조종사의 실수가 맞지만 보잉이 저런 중요한 조작을 스위치로 만들다니… 에어버스도 예전에 착륙 복행 버튼을 이상한 위치에 둬서 사고난 적이 있습니다. 콕핏 설계는 중요한 건데 이런 실수들은 없었으면 좋겠네요
@LolitaGuildАй бұрын
기장이 왼손으로 조이스틱을 조종하는게 인체공학적이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라거-j7n2 ай бұрын
공학적으로 계산해봐야겠지만 받음각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음. 그리고 구조적으로 설계가 약할 수는 있지만 그것보단 축중심에서 전투기보다 훨씬 길기때문에 회전 모멘트(토크)가 훨씬 커 무리가 많이 갈 것으로 예상됨. 즉 동체에 붙어 있는 날개 단면으로 봤을땐 전투기와 항공 사이에 큰 차이가 없지만 그에 비해 각 주익의 날개비가 큰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절대적은 토크차이는 어마무시해 바로 문제가 생기지 않더라도 무리가 갈 것으로 예상됨.
@everydayonescoop2 ай бұрын
사후 대책에 대한 내용도 궁금 하네요. 정신차려라는 대책은 앞으로도 언제든 재발 가능하다는 이야기 이고 근본적 대책이 수립 되어야 할 텐데...
@AutoAimB2 ай бұрын
부기장은 어캐 되었나요?
@ChoisChoice-y7p2 ай бұрын
아직도 거꾸로 매달려 있다고 합니다
@vitna22632 ай бұрын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고있답니다 ,^^
@icewaffle78292 ай бұрын
@@ChoisChoice-y7p무솔리니형ㄷㄷ
@godelkurt834721 күн бұрын
배면비행을 할때 어떻게 모를수있지? 10초동안 그랬으면 관성작용도 없었을텐데
@user-czxs-fdd87H-zzs2 ай бұрын
부연설명 하자면 보잉과 에어버스는 조종측면에서 서로 반대의 사상을 갖고있음 보잉: 최종 결정권자는 인간 파일럿 에어버스 : 최종 결정권자는 컴퓨터 그래서 보잉항공기는 조종사의 실수로 레버가 잘못 눌릴경우 그대로 명령을 이행함. (조종사의 액션에 대해 컴퓨터가 간섭하지 않음) 이게 나쁜거냐 >? 아님 이건 순전히 항공사의 안전에 대한 사상이 다른것임. 에어버스는 만약 시스템이 맛탱이 가거나 (피토관 막힘등) 오류가 발생해도 조종사가 되돌리기 매우 어려움 (응 파일럿 저까.. 컴퓨터가 조종할께 ㅋ) 대표적인 게 에어프랑스 대서양 추락사고임.
@Jin-n1yАй бұрын
@@user-czxs-fdd87H-zzs 하지만 에어프랑스 사고는 좀 다릅니다. 이건 오히려 피토관의 입력값이 믿을 수 없다고 판단되어 자세보호시스템이 꺼져 잘못된 조종을 막을 수 없던 사고였죠. 한마디로 컴퓨터의 미개입 때문에 벌어진 사고죠
@givennamesurname990224 күн бұрын
에어프랑스는 조종사가 계속 기수를 들어올렸고 시스템이 그것을 통제하지 못해 일어났죠 조금 케이스가 다르죠 시스템이 맛탱이가 갔는데 조종사가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XL에어웨이즈독일 888T 추락사고가 합당하리라 봅니다 받음각 센서 3개 중 2개가 얼어버려 비행제어 컴퓨터는 피치트림을 수동조작하라고 했지만 조종사가 대처하지 못해서 추락했죠
@niceguy7045Ай бұрын
와... 운좋았엇네요 👍 👍 👍
@HL8364-f7p2 ай бұрын
BUS는 노멀적으로는 배면 안됩니다
@DaehounAn_LLM2 ай бұрын
며칠전 꿈에서 이랬는데
@김김-e2l27 күн бұрын
돌아버리겠네ㅋㅋㅋ
@이석범-g2p2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아나운서 해도 좋겠습니다.
@Persecutio2 ай бұрын
VASP 375 진짜 ㄹㅈㄷ이잖아!
@ormastes2 ай бұрын
보잉 정말 쓰레기네... 경쟁자가 없어서 망하는게 오래 걸렸지만. 이제라도 망하는게 당연한듯.
7:07 인지 부조화라는 용어는 그런 뜻이 아닌데요? 제발 모르면 좀 찾아보고 사용합시다ㅉㅉ
@앞병-z3u2 ай бұрын
특정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가 용어인데 이미 민간에서 다른 사용법을 알아들을 정도면 그냥 받아들여라 표준국어대사전에 있지도 않은 단어인데 다르게 쓰면 뭐 어떻다고 이 관짝에 발 한쪽 집어넣고 다니는 딸피쉑아
@앞병-z3u2 ай бұрын
응~표준어도 아닌 용어따위 내 맘대로 쓸거야~니가 뭔데 내가 알아들은 말 가지고 야랄임? ㅋㅋ 너 솔직히 말해봐 좀 다른거긴 한데 가스라이팅 패러다임 이런 단어 어떻게 쓰이는지 보면 발작하고 쓰러지지? 아니야? 오뚜기같은거에만 거품 무는건가 혹시 이미 표준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짜장면에도 발작하는건 아니지? ㅋ 너 그러다가 관짝에 발 한쪽 집어넣고 다니는 딸피라는 소리 들을 수도 있다? 조심해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