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미국인 유투버 올리버샘이 목수가 직업인 아버님을 인터뷰한 영상이 있었습니다. 주제는 왜 미국은 나무로 집을 지을까 였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첫 번째로는 콘크리로 집을 지으면 두세배 비싸지기 때문이고, 두 번째로는 디자인을 맘대로 할 수 없다 였습니다.. 미국은 한국이 항상 전쟁걱정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안그런 것처럼 반대로 우리는 미국은 항상 토네이도 걱정을 하고 살것 같지만 실제로 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하네요 토네이도 걱정 때문에 집을 비싸게 지을 필요 없다고...
@csApollo11 Жыл бұрын
미국 휴스턴에서 나무집 두 번 지어 본 현 소유주로서 매우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ㅎ 사실 업계 측면에서는 목재 집이 싸다고 해서 그렇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비싸게 지어서 비싸게 팔 수도 있는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심지어 여기는 영화배우들이 아예 커스텀으로 짓는 집들이 아니라면 새로 짓는 집들은 비싼 집들조차도 모두 나무집이에요. 제가 겪어 본 바로는 공급망 자체가 나무집 위주로 성립되어 있어서, 잘 쓰지 않는 재료들을 수급하기가 굉장히 어렵고, 건설사에게 요구해도 난색을 표하고 못 해주겠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 줘도 건설사는 새로운 재료에 대한 노하우도 없고 시공할 줄 아는 인력도 없고 귀찮고 어려운데 남는 건 없고, 그 사람에게 안 팔아도 다른 집 지을 사람들은 널리기까지 했으니 쉽게 거절하는 것이죠. 게다가 미국 집들은 보통 후분양제이기 때문에 그렇게 일반적이지 않은 집을 비싸게 지었다가 매수자가 빠져버리면 건설사가 계약금 조금만 받은 채로 그 평단가 비싼 집을 통째로 떠안아버릴 위험까지 존재하죠. 그렇기 때문에 극소수 재벌급 부자들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개인의 입장에서는 나무집밖에 선택권이 없어요. 게다가 비싸게 나무 외의 다른 재료로 지었다고 해서 팔 때 그 값을 받고 팔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그리고 2018년 이후에 짓는 프리미엄급 이상 집들은 hurricane rating이라고 해서 2by4를 못만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제 클립들을 사용해서 고정하고 묶습니다. 보통 홍보는 Cat 4 허리케인까지 버틸 수 있다고 홍보하고, 또 같은 이유로 한국인들 눈에는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로 휴스턴 집들은 처마가 굉장히 짧죠 ㅎ 지붕이 뜯겨나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 그렇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허리케인이 불 때 옛날 집들은 많이 쓰러져 나가는데 요즘 집들은 잘 버티는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sungkyumkim4785 Жыл бұрын
휴스턴 휴스턴 곧 도킹을 시작한다.
@TheAlbatro55 Жыл бұрын
공급망이랑 시공노하우 때문에 한국도 주택건설할때 똑같은 상뢍입니다.
@STRAIGHT_SH00TER Жыл бұрын
@@sungkyumkim4785 ㅋㅋㅋㅋㅋ
@user-ri2vp7qt7f Жыл бұрын
베트남 다닥다닥 성냥갑집도 공간활용도가 좋습니다. 지진과 태풍에도 잘 견디구요. 그런 게 없기도 하지만.
@whatthebeautyfulworkd Жыл бұрын
결국 그지역의 상황에따라 맞는 재료를 사용하는거군요
@Gioplat Жыл бұрын
- 재료가 변하면서, 지붕과 주택의 형식이 변했다는 것. - 엘리베이터라는 기술이 도입되면서 층고가 높아진 것. - 시대적 배경과 치안으로 인해 건축적인 요소들이 변화한다는 점. - 목구조는 당기는 힘에 약하기 때문에 풍압을 이기지 못하고 날아가 버린다. - 미국은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보다 목조와 같은 싸고 가벼운 재료를 사용한다. 미국 부동산을 다루는 스타트업 지오플랫입니다. 교수님에게 항상 좋은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kellyahns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번에 미국 건설업자한테 물어봤는데 “돈” 때문이라고 하더라구요. 이렇게 나무 판자로 지으면 훨씬 싸고 그리고 빨리 짓습니다. 거의 대부분 미국 신축 집들은 빠르면 6-7개월에도 지어지기도 합니다. 빨리 짓고 싸게 지어야 많이 이윤을 남기기때문입니다. 독일 같은 경우는 굉장히 집을 300년들 내다보고 짓기 때문에 엄청 공들여서 벽돌로 짓고 벽 두께도 18 인치가 넘는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미국도 오래된 하우스들은 벽돌로 지은 집들이 꽤 있습니다. 벽돌로 지은 집은 그런데 수리가 어렵습니다. 전기라인이나 파이핑도 다 벽돌을 부셔야 하는데 노동력이 엄청 비싼 미국에선 그걸 감당 하기 힘들수밖에 없구요. 또 하나 이유는 미국은 컨트랙터들이 집을 짓는데 회사가 고용한 노동자들은 정말 제대로 공부한 사람들이 아니라 그냥 잡부들이 많습니다. 특히 하이스쿨 졸업하고 시작하는 어린 애들도 많구요. 이러한 이유때문에 한 싱글홈 짓는데 2-3억도 안 들지만 땅값 좀 빼고 한 3억 남겨서 6억쯤에 팔지요. 서부는 지진 이유가 있지만 아마 미국 어디 지역이든 대부분 다 나무판으로 지어진 집일겁니다. 얼마나 얇은지 제 4살 아들이 벽을 쳤는데 구멍이 날정도 였어요 😅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목조주택이 싸기도 하고 토네이도 많은 중서부는 목조로 만드는 시스템이 아주 잘 되어있어서 금방 다시 만든답니다. 비용은 보험사가 내고. 토네이도가 강하면 콘크리트도 못버틴다고 하던데... 오히려 목조가 더 낫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습니다 그러니 목조로 쓰겠죠. 지하실 같은데에 대피하기도 한다는데 그럴 경우 콘크리트는 치우기 어려워 구조작업도 못한다고 한것 같기도... 아무래도 비용문제가 크겠죠 보험료도 쌀테니. 토네이도가 잦은 지역 사람들은 라이프스타일도 미니멀라이프라고 하더라구요. 물건 많이 안 가지고 필요한 것만 놓고 살고 팬트리 같은 것도 지하실에 놓는 경우가 많고.
@Amanda-w6q5i Жыл бұрын
삼풍때 구조 어려웠던거 생각하면 재난 많은 지역에서 안무너져서 목재로 짓는게 아니라 구조하기 쉬워서 목재를 쓰는게 맞는거 같네요 지진많은 일본에서 목재를 쓰니 지진에 강하다는 사람이 있던데 거짓이었군요
사람냄새 물씬나는 셜록현준 티비가 보기가 좋습니다. 앞으로 힐링할수 있고 따뜻함이 묻어나는 방송 더욱 기대하겠습니다~ 👍
@오픈마인드-v3t Жыл бұрын
미국에 목조주택이 많은 이유가 친환경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명쾌하게 설명해 주셨네요. 설명해 주신대로 레미콘 공장이 없어서고, 재료비가 싸기 때문이죠. 목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에서도 목재주택이 콘크리트 주택보다 싸죠. 콘크리트 주택에 비해서 목조 주택이 좋은 점이 거의 없습니다. 친환경도 아니고, 단열하기도 어렵고, 썩고, 벌레도 많이 생기고 벌레가 밖에서 들어오기도 하고요. 이 영상을 끝으로 모조주택이 콘크리트 주택보다 좋다는 선입견이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yejipiano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4계절 온도/습도차에 의해서 계속 집이 뒤틀리고 그에따라 창문틀도 뒤틀리고, 밖에서 작은 구멍 하나 뚫고 그 사이로 쥐를 비롯한 온갖 설치류, 벌레들이 드나듭니다. 한국에 살고 계신분들.. 진심으로 부럽습니다.
@Meruchida Жыл бұрын
친환경은 맞는 것 같아요. 토네이도가 오면 ㅋㅋㅋㅋ 자연으로 돌아가니 ㅋㅋㅋㅋㅋㅋ
@이성수-z9y Жыл бұрын
전원주택 많은 양평 거주중인데 다니다 보면 외벽 누수 보수한 목조주택들 많이 보임.
@kiyjy7 Жыл бұрын
진심 목조주택은 휜개미(특히 마른나무휜개미)한테 매우 취약하다고 하는...
@해선-j5f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가 문제가 된다면 벽돌집은 안되는지
@OliveOlea Жыл бұрын
목조 주택은 너무 예쁘고, 만들기도 쉽고 빨라서 좋지만.. 불안해서 별로더라구요!! 걸어다닐 때마다 삐걱삐걱.. 나무 틈 사이로 아랫층이 보인다던지.. 묘하게 불안하고 싫어요. 무족권 돌로 된 집이 최고야..
@almondblossom7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오늘 말씀해 주신 왜 이런 감정, 느낌이 들고 왜 이런 기분인지 생각해 보는 자신에 대한 관찰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ct8bp7yi8j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더, 미국 목조주택이 바람에 날라가도 보험이 들어 있어서 새로 지을 찬스가 된다는 점 허나 한국은 목조주택은 보험가입 대상이 아니고, 철근콘크리트 주택만 보험가입이 된다네요 ㅠㅠ
@moon_light1113 Жыл бұрын
아침에 봐도 이해가 쏙쏙 되고 넘 재밌어요...ㅎㅎ
@John-zilla Жыл бұрын
미국집들도 도심과 가까울수록 벽돌이나 시멘트로 지은 집들이 많이존재합니다. 근데 영화에서보이는 굉장히 쾌적한 집앞도로와 앞마당뒷마당이 존재하는 동네는 메인도심에서 거리가 있는 동네일가능성이 높기때문에 말씀해주신대로 가격측면과 효율측면으로 나무를 많이 사용하긴합니다.
@minkang8390 Жыл бұрын
나무로 뼈대를 짓고 정면과 일부는 벽돌을 쓰는게 보통. 또한 미국의 집들은 각주마다 다 다르고 또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은 베이스먼트(지하)를 짓는등 기후에 따라서 좀 다름.
@nopark3693 Жыл бұрын
저도 미국 동료들한테 왜 콘크리트 집 안쓰냐 물어보니, 굳이 왜?라는 반응이였습니다. 너 왜 나무 식탁써? 철근 콘크리트 식탁 안쓰고? 그게 더 튼튼한데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미국인들이 말하는 친환경이라는 것은 자연친환경 적인것 보다 본인 친환경 적인것이죠. 콘크리트 집은 새집 증후군 같은 문제가 있는데 목재는 없다 라는게 이들이 말하는 친환경입니다. 레미콘 부분은 약간의 이견이 있는데 미국집의 Driveway와 주차장바닥은 모두 콘크리트 입니다. 주마다 다른데 제가 살고 있는 미시건은 지하는 모두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고, 상층 지지는 H 빔으로 합니다. 1층 2층은 목재로 지어집니다. 고속도로 보수도 몇년 내내하고 도로공사 한번하면 조단위로 쓰는데 이것도 다 콘크리트로 합니다. 콘크리트 공급이 부족한것 같진 않아요. 그냥 목재가 싸고, 기능상도 충분하니 그대로 쓰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100년 넘어도 건재하구요.
@minsu227 Жыл бұрын
저질 정보가 판치는 유튜브 판에서 유현준 교수님 영상은.. 빛 그 자체입니다..
@seungwookkim2768 Жыл бұрын
호들갑 ㄴ
@cqcqp Жыл бұрын
@@seungwookkim2768ㄴㅇㅁ
@Amanda-w6q5i Жыл бұрын
여기도 저질까지는 아니지만 빛 그자체? 암흑속에서 사시는 듯
@seungwookkim2768 Жыл бұрын
@@cqcqpㅋㅋ
@엄마재흙먹어-i4o Жыл бұрын
@@헛소리하지마라뭐래 쇼츠만 봐도 제대로 된 지식없이 찍어내는 유튜버 존많인데 니가 안보인다고 해서 없는게 아니란다
@chaostar88 Жыл бұрын
현재 한국 건축물 보면 진짜 전통도 없고 아파트에 부실공사 투성이에 개판임..... 사람 사는 집을 무량판으로 30층 올리는 정신나간 짓거릴 하고 있으니....
@rylandgrace3125 Жыл бұрын
추가로 북미에 나무 건물이 많은 이유중에 하나가 임업 및 목가공 업종을 지원하기 위해서인 측면도 있습니다. 여전히 북미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며 북미 목재는 세계로 수출되는 상품입니다.
@kknd-d4p Жыл бұрын
그게 저렴하다는 말 아닐가요. 시멘트가 더싼데 아 임업을 지원해야지 하고 나무를 선택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rylandgrace3125 Жыл бұрын
@@kknd-d4p 아 그럼 북미 목재의 가격이 왜 저렴할까요? 환경 파괴를 유발하고 노동 집약적인 임업이 왜 아직 북미에서 큰 산업일까요. 정부와 관련 산업체들의 지원 및 장려로 시장의 파이가 커졌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해 진게 아닐까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의 논쟁인 듯 하네요.
@햇반먹고싶다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단 한국은 땅덩이가 좁고 모여살아서 시멘트 공장이 들어서고 생산하면 빠른시간내에 소모할수 있는 장소가 많습니다. 아무리 레미콘차로 보존한다고 해도 콘크리트는 몇시간이 지나면 굳기 시작하기 때문에 쓸모가 없어져 미국같이 땅덩이가 넓은곳은 운반과 저장이 용이하며 주위에서 쉽게 구할수 있어 가격이 싼 목조건물이 경제적입니다. 오히려 미국도 사람이 많은 대도시는 콘크리트 건물이 많죠^^
@rylandgrace3125 Жыл бұрын
@@햇반먹고싶다 그 부분은 영상에서 유교수님이 말씀하신 부분이고요. 저는 이러한 추가적인 이유도 있다고 주석을 달았죠.
@햇반먹고싶다 Жыл бұрын
@@rylandgrace3125 아 그래요? 영상 보려다가 딴길로 새서 ㅎㅎ
@hayeonkim7838 Жыл бұрын
오..이런 건축 자제에 대한 것들도 궁금했는데 여기서 다뤄주시니 젛 좋네요 ㅋㅋㅋ
@jnnifer6692 Жыл бұрын
구독눌렀어요 ~~시원시원하면서 디테일한 설명이 너무 좋았어요 토론토에서 제니퍼예요 👍👍👍👍
@johnlee4981 Жыл бұрын
붉은 벽돌로 1960,70년대에 지었던 것은 그당시 구할 수 있는 구조재료가 조적 벽돌이 제일 싸서 일것 입니다. 당시에는 수입목재 가격이 매우 비싸고, 주로 동남아에서 생산된 라왕, 미송 같은 무른 재료만 있어서 나무로 구조채를 만들기 부적절해서가 아닐까 합니다.
@spchebsdmvl5435 Жыл бұрын
질의응답 중에 보면 창의력에 대한 원리 중 1, 2번이 충돌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두개가 전혀 충돌해보이지 않습니다. 충돌한다는 건, 오직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이 세상에 단 하나만 존재할수 있는 상황이었을 때나 가능한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각각의 영상이었는지 아니면 하나의 영상에서 그렇게 2가지를 언급하셨던건지 기억은 희미하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단면적이라곤 생각하지 않고, 조금씩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런 방법으로도, 또 저런 방법으로도 증진시킬수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ㅎ
@vitamaxdh Жыл бұрын
100 만 축하드립니다~~~~
@비요뜨맛있당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친절한 QnA감사합니다..! 너무 교수님 패션도 말씀하시는것도 멋있으신거같아요 닮고 싶네요.. ㅜㅜ 좀 상관없는 질문일 수 있겠지만... 입고 계신 셔츠 뭔지 좀 알 수 있을까요 ? ㅜㅜ 이뻐요..ㅜㅜ 시계도 이번에 알게 되어서 너무 좋앗는데 ... ㅜㅜㅎㅎ
@Sonsorosongson Жыл бұрын
12:14 지나가던 건축학졸업생입니다. 월드트레이드 센터가 한번에 갑작스레 무너진 이유는 교수님 말씀도 맞지만 더 정확한 이유는 건축 구조 시스템상에 있습니다. WTC(월드트레이드센터)는 튜브시스템(Tube Structure)이란 건축구조 형식으로 지어졌는데 해당 구조의 특징은 내부에 기둥을 최소한으로 배치하고(비행기가 사라지다시피 없어진 이유입니다). 외부벽체를 따라 기둥을 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해당 구조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기둥없는 넓은 내부를(오피스건물에 특화. 다양한 내부 평면 계획가능) 쓸수있다는 장점이있지만. 단점으로는 그만큼의 동일한 기둥들이 외부에 둘러져 하중을 지지하게되니 창문이 극단적으로 좁아진다는 점(남아있는 사진을 보면 외부 철골제들이 굉장히 촘촘히 수직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확인할수 있습니다)과 911사태처럼 한곳이 뚫려 무너지게 되면 일반 기둥보 구조의 빌딩보다 버티기 힘들며. 층마다의 하중에 하중이 연속적으로 더해져 단시간안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진다는 단점을 갖게 됩니다. 알카에다가 지능적으로 건축구조적인 공부를 하고, 한번의 타격으로 최대의 피해를 줄수있는 건축물을 노린 부분이 여기서 보이는거죠. (물론 WTC가 그당시 미국의 상징이기도 한부분도 있고요) 튜브시스템의 대표적이 예가 WTC인데 지금은 무너져 볼수없는게 아쉽네요😂
@mieux460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당
@모가형 Жыл бұрын
늘 응원합니다
@어대식 Жыл бұрын
서울시 강서구 화곡본동은 종합건축물 전시장 같아요 꼭 한번 동네 구경하러 오세요 미로와 계단이 많아서 걷기에 재미가 있어요 터널과 계곡 숲 절도 많아요
@Proximadq2v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더당당하게 빈둥거리고잡담하며 창의력을 키우는걸로..!!!!😂
@Amon-tb3fl Жыл бұрын
주위환경과 기후 생활방식에 따라 달라진거겠죠 북미쪽은 넓은 대지에서 쭉 뻗은 나무를 싸게 구하기 쉬우니 목재 산업이 발달한거고 한국은 도심으로 몰려든 사람들로 인해 고층 아파트 지어야하니 콘크리트쪽으로 발달한거고요
@성엘리-p1d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때 1층건물만 있지. 고구려 고려시대에는 5층짜리 건물도 시내에는 많았다더군요. 그게 남아 있는게 없어 그렇지 있었답니다.
@CAPTAIN-NEMO-MSG2 ай бұрын
5층짜리요? 2층이 아니고요?? 근거는요?? 2층은 여러 그림에 남아있어서 사실로 보지만 5층은 재료와 난방 음식조리등 힘들텐데 이상하네요.
@jeehyunjang3746 Жыл бұрын
아~ 같은 이유로 캐나다, 밴쿠버에도 그리 목조주택이 많은거엿나봐요!!~~ 항상 궁금했었는게 감사합니당!!~
@rmsid9876 Жыл бұрын
진짜 넘 멋있다 ㅠㅠ 질문자의 의도를 넘겨짚지 않고 궁금한것만 딱 알려주시네요 다음 큐엔애이때는 멋있어지는 비결좀 힣힣
@brandlee5089 Жыл бұрын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것은 확실해요. 이렇게 이야기 나눠 주시니 좋네요 :) 다시 한번 100만 축하드려요!!!
@user-yeppy2001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인구감소로 빈 집들이 많아지고 있어요.경취좋은 경기도 등 별장들도 무수히 부동산 매물로 나와있는 상태입니다 교수님 이런 문제도 다루어 주세요.
@믿을윤-v4e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흥미로운 콘텐츠 제작해 주셔서 감사해요^^
@이명숙-c2q7q Жыл бұрын
셜록현준님구독자100만축하드려요❤
@saeeollee2286 Жыл бұрын
single family home은 나무로 지으면 시간과 가격면에서 젤 효율적이죠. 콘크리트나 벽돌은 일단 노동력도 더 많이 필요하고 날씨 안좋으면 쉬어가야 하고요. 지진 많이 일어나는 데는 규제도 많이 지켜줘야 하지요. 그래도 공립학교 같은 경우는 벽돌콘크리트로 지어요.. 큰건물이라 수용 인원이 많으니까 - 굳이 집을 벽돌콘크리트로 지을려하면 불가능한건 아니죠 - 저도 돈이 많으면 그렇게 짓고는 싶네요. 목재로 지은집 너무 춥고 termite나 rodent 관리도 해줘야 하고 습기에도 약하고🫠
@Travel_over_sea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시대를 상징한달까.. 그런 외관이 벽돌벽,타일,화강암판재,금속재 패널인듯 합니다. 어릴적엔 개인주택은 벽돌구조집이 많고 빌딩들은 비교적 낮은 빌딩들은 겉에 타일을 붙이고 (일본가니 많이 보이더군요) 큰 빌딩은 시멘트에 페인트를 바른 건물들을 많이 보다 어느때 부터인가 빌딩들엔 화강암판재를 쓰다 금속재 패널을 씌우는 식으로 변해가는게 느껴지더군요
@seoripul522 Жыл бұрын
잔다듬 이상의 거친면처리가 된 석재는 오염이 잘 돼서 유지비가 많이 들어요 주차하다 박아서 깨지면 그부분만 갈았을 때 티가 나기 때문에 그 면을 통으로 갈아야 해서 골치아파요 벽에 석재를 연결철물로 고정할 때도 자중이 많이 나가다보니 시공비가 많이 들어요 패널은 그에 비해 싸요 고층건물은 석재 탈락의 위험이 매우 크고 대형사고가 되기 쉬워서 페인트 마감이 보편적이에요
@Travel_over_sea Жыл бұрын
@@seoripul522 역시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군요 그러고 보면 타일 외장도 오래되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죠.. 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esnyder Жыл бұрын
4:32 이런 궁금증에 대해 오늘 마침 올O버쌤이라는 유튜버가 똑같은 주제로 영상을 올렸네요..교수님 말씀대로, 미국주택은 콘크리트나 벽돌보다 공사비가 저렴해서 나무로 집을 짓고, 또 하나가 토네이도가 닥치면 나무로 짓든 콘크리트로 짓든 박살나는 건 마찬가지라서 굳이 비싼돈주고 콘크리트로 짓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해품달-w2e Жыл бұрын
짓기 편하고 평수 잘 나오고 옥상도 있으니 공간활용도 좋고 빨간 벽돌은 구하기쉽게 가격이 저렴하고 그렇겠죠.창의력은 화장실이 최고죠. 지금은 휴대폰을 가지고 들어가서 생각을 안하는데 세상을 바꾼 발명품들은 아마도 화장실에서 생각하지 않았을까? 생각 합니다
@wolf-267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 도시외각이나 도심근처 주택 존나 못생겼음 오히려 지방에 전망좋은쪽 주택보면 ㄹㅇ 저런데서 살고싶다고 느낌
@고민수-f6x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립니다🎉🎉🎉😊
@꾸러기범고래 Жыл бұрын
미국에 살고 있습니다. 항상 주택지을때 1층만 콘크리트로 해놓고 2층부터는 목재로 올리길래 너무 궁금했는데 해결되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eunsookji5206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려요.🎉
@gyuchang_04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려요!🎉 혹시 팬미팅 할 생각있나요?😁😁
@얍-k2y Жыл бұрын
이전에 올려주신 영상 보고 작은 방의 책상을 돌려서 창문 쪽에 붙였어요. 큰 창이어서 블라인드 걷으면 밖에서 들여다 보는 기분이라 일부러 피했었거든요. 지금은 책상에 앉으면 창밖으로 상가 건물들이 보이고 시야가 트여서 괜히 운치있고 좋아요. 좋은 영향 받을 수 있을거 같아요! 감사해요!
@HY-cb1fm Жыл бұрын
그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재료로 집재료로 하지요 그리고 기능상 시멘트가 필요하면 비싸도 시멘트를 사용합니다
@isaacinbusiness Жыл бұрын
재미있습니다.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내도끼워죠 Жыл бұрын
형님 백만 축하 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ikhan1 Жыл бұрын
한가하고 빈둥거릴때는 새로운 생각들 새로운 노래 시 글들이 넘쳐나다가 아이들이 생기면서.. 노래 한곡 나오기가 어려워요 ㅎ 빈둥거리지? 않는데 창의적으로 보이는 사람은 정말 드문 거 같아요
@임정렬-y6m Жыл бұрын
즐거운 주말 잘 보내세요 🍧 👏🏾 🤗 😊
@billgimm2393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싸고 공급이 많은 자재를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나무집은 철물을 사용해서 못으로 결속합니다. 허리케인 타이라고 하죠.
@yjw6179 Жыл бұрын
목재로 만든 집은 구조변경이 편하더라고요. 미국은 아니지만 캐나다에서 홈스테이 할 때 집주인이 벽을 뚫고 밖으로 나가는 문을 만드는 게 충격적이었어요. 평생 콘크리트 아파트에서 산 한국인인 저는 벽을 뚫어서 문을 만든다는 건 상상도 못했거든요.
@언제나깨어있는자-p2g Жыл бұрын
잘못 아신것 아닌가요..? 목재집의 단점이 구조변경이 어렵다고 알고 있는데요..ㅠㅠ
@언제나깨어있는자-p2g Жыл бұрын
@@chuckberry7749 글쎄요.. 제 기억으로는 철콘과 목조의 장단점 중에서 목조의 단점으로는 구조변경이 어렵다는 얘기를 들은것 같아요..ㅠㅠ 혹시 콘크리트를 두드려 깨기 때문에 힘들다고 생각 하는것은 아니신지..? 목조는 구조 자체가 연결성을 띠기 때문에 그런것은 아닐까요..
@Rubyy.P-w3g Жыл бұрын
@@언제나깨어있는자-p2g 북미의 경우 어떤 집이던 건축물의 하중을 지탱하거나 전기나 플러밍등 건드리기 어려운 벽이나 모든 기둥을 제외하면 구조 변경이 가능합니당. 그런데 이걸 위해 구조를 분석하고 (건물 구조도가 있으면 편리) 허가받고 세금내고해서 공사하는게 번거로워서 잘 안할뿐이에요. 만약 다세대주택이나 콘도 벽과벽이붙은 건물(대부분 브릭이겠지만?)라면 건드리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싶을정도로 현실적으로 어려운 과정이 많아서 대충 불가능하다라고 말하기도해요. 그리고 북미 집들 ㅠ 설계도면이 유실되거나 없는게 많아서 건드리기가 쪼금 겁나요. 물론 돈의 문제일뿐 가능합니당
@Rubyy.P-w3g Жыл бұрын
@@chuckberry7749 저 실례지만 여쭙고 싶은게 있는데.. 비내력벽은 허가 없이 허무신다고 하셨는데 원래 아예 허가가 없어도 되는 건가요? 좀 지역별로도 다른것같기도 하던데.. 혹시 그렇게 구조가 변경된 집은 판매시에 불이익이나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지요?
@vincentr6567 Жыл бұрын
@@chuckberry7749 잘못되서x 잘못돼서o
@toddlee439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보고갑니다. 내용 중 추가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 글 남깁니다. 우리나라 옛 한옥집 지붕이 경사진 이유를 빗물의 배수라고 설명해 주셨는데 당연히 맞는 말씀이고, 추가로 우리나라 중북부는 겨울에 눈이 내리는 지역이기 때문에 적설로 인한 가옥의 붕괴를 막는 목적도 있습니다. 실제 국내외를 막론하고 전통적인 주택의 경우 해당 지역의 평균 적설량과 지붕이 올려진 각도가 비례하는 이유가 그 때문이죠.
@Lucete-y7d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밋어요!!!!
@박선혜-i4u Жыл бұрын
어제 올리버샘 영상에서도 미국에서 토네이도에도 목재건물을 짓는 이유에 대해 다뤘었는데 올리버샘 아버지가 목수셔서 "콘크리트로 집을 지을 경우 같은 금액으로 집을 더 크게 지을 수 있고, 모양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그런 것 같다"는 답을 하셨던걸로 기억나네요. 비슷한 맥락인거 같아요. 비용이 제일 큰 문제인 것 같네요. 교수님의 유튜브를 통해 견문을 넓혀갑니다. 감사합니다♡
@Gray-qv3ud Жыл бұрын
우선 가격은 당연한거긴한데 토네이도 지나가는 곳에 집들은 돈을 엄청 떄려박아서 만들지않는이상 별의미없는 돈지랄이됨 적당하게 지어봐야 나무집이랑 비슷하게 다시 지어야됨 벽금다가고 창틀부터 온집에있는 문들 전부다 어긋남 100만원짜리 집이나 1000만원짜리 집이나 걍 다날아가니 일본처럼 지진나도 끄떡없이 만들꺼아니면 싸게 지을수밖에 없음 1억밑으로는 다 날아간다고 가정하면 선택지는 2가지임 100만원자리 집과 1억짜리 집 저 둘사이의 선택지는 그냥 돈방비가 되는식임
@라이라아 Жыл бұрын
@@Gray-qv3ud ?? 그게 안전불감증 아닌가요? 비싸게 짓는게 부담스러워 싸게 대충 짓고 날라가면 다시짓고?? 왜 일본은 돈때려 박아 집을 짓는건가요?? 님보다 미국 마인드가 이해가 안되서 그럼. 날라가는게 집만 날라 가는게 아니라 생활 자체를 못하게 날라가는데 그러면 단순히 얼마의 피해금액이 나왔다 라고 생각 하기 보다. 장기적으로 ㅈ같은 상황이 계속 될텐데 . 이런 생각의 수준이 저기 동남아 산골동내 같은 생각인데.. 진짜 이해가 안되네 ;;;;
@Leg.O-c9g0 Жыл бұрын
양옥집에 생각보다 많은 사연(?)들이 있었네요 100만 축하드립니다!
@이재임-d8l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00만명 축하드립니다.^^
@하이브리드가짱이지 Жыл бұрын
붉은벽돌은 고온의 불에 구운 벽돌임. 유리막이 형성되어 표면이 잘 유지되고 방수기능도 있음. 별도의 미장이나 페인트칠 필요 없음.
@Popsicle_Girl Жыл бұрын
태풍이 많은 플로리다에는 집을 콘크리트로 지어요. 제가 살았던 하우스 3채 모두 콘크리트 하우스 였구요. 심지어 하나는 지은지 70년이 넘은 집이었는데 콘크리트로 튼튼하게 지어진 집이었어요. 저희집 뿐만 아니라 살았던 동네 이웃집들도 다 콘크리트 집이었답니다. 지역에 따라 건축 자재의 차이가 있어요. 주에 따라 건축법도 다르겠지요. 조지아주에 이사 와서 집을 지었는데 여기는 나무로 짓네요. 워낙 태풍 피해가 없는 곳이라서요. 나무집이 처음엔 좀 낮설었지만 외벽 1층은 다 밝은색 벽돌로 둘렀구요, 2층벽은 사이딩이긴 하지만, 넓은 뒷마당과 그림 같이 예쁜 집에 살다보니 어느새 익숙해 지는 것 같네요.
@gone2island819 Жыл бұрын
목조니 콘크리트니 뭐가 좋다 아니다 필요 없습니다. 비싸고 좋은 집과 싸고 형쳔 없는 집만 있습니다. 단점을 알면 보완을 하면 되는 거지 뭐가 좋다라는 것 자채가 단편적일 뿐이죠.
@costaking9067 Жыл бұрын
미국인 유투버 아바지가 직접 목재로 지으면서 왜ㅡ목조주택이 믾냐? 물어버니 싸고 빠르다. 딱 이거임😂
@준-f7g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a1so2ns12on7 ай бұрын
건축이야기가 이리도 재미가 있을까요...
@wkqpqorhdbns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파트와 지진에 대해 질문드려요! 우리나라 아파트 내진 설계가 실질적으로 지진이 났을 때 효과가 있는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저는 평소에 지진이 나는 상상을 하면서 불안해하는 편인데 셜록현준님도 아파트에 사시면서 그런 불안은 없으신가요? 그리고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안전한 층 수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nb10ra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합니다
@Akyar2022 Жыл бұрын
많이 쓰면 구하기 쉽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한국 임업이라는게 관상용/ 목재(건축)용으로 사용할수 있는게 없고 대부분 수입 ㅋ
@vincent5793 Жыл бұрын
붉은 벽돌을 많이쓴 이유는.... 점토가 붉은색(황토)이 많았는데, 그 점토를 틀에 모양을 잡아서 대형 가마에 넣고 불을 지펴서 구워내면 붉은 벽돌이 됩니다. 단가가 저렴했고, 구하기쉬워서 많이 사용했습니다. 70년대 아버지가 벽돌공장 다니셔서 보았습니다.
@jeongnoir Жыл бұрын
한국이 빨간벽돌인 이유 아기돼지삼형제중에서 셋째만 벽돌로 지어서 늑대가 못들어오기 때문임
@스윗-r3c Жыл бұрын
미국 목조건축에 그런이유가 숨어있었다니!!!너무 놀랍네요😅 ㅋ
@송기왕-q8k Жыл бұрын
내 친구 미쿡 오래된 목조 주택에서 살았는데 벌레 때문에 죽을 지경이었대요 알은 더 징그럽다고 목조가 확실히 친환경 적이구나 😅 생각했어요
@최진목-x6z7 ай бұрын
귀촌해서 집을 짓는데 보안카메라가 도처에 있고 집안에도 몇대를 달아놓은 상태라 굳이 높은 담장이 필요없다 싶더군요. 배꼽 높이 정도 올라오는 낮은 담장으로 만들었는데 시야도 좋아지고 외관도 이뻐서 좋습니다. 적벽돌은 제대로 골라서 사용하지 않으면 집을 짓자마자 낡아보일것 같고 가격이 싸지도 않아서 피했는데 개인적 취향이 많이 작용하는 자재같습니다.
@이건혁-z2r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00만 축하드립니다
@kereracumulus4223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김하나-v1q Жыл бұрын
신도시에 주택용 토지에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았는데 제가 본 땅은 2층제한이더라고요.하지만 욕심대로 방과 시설을 도면을 그리다보면 나중에는 지하층이 있으면 많은게 해결이 되더라고요.그런데 지하층관련된 법을 알아보는데 꼼수인지 합법인지 지하층의 용적률에 대해 헷갈림니다.어떤 시설로 사용한다고 하면 용적률에 포함이 안된다고 하고 주거시설로 사용하면 용적률에 포함이 된다고 해서 그렇구나 하다가 어떤 곳은 경사진 땅이 아닌데도 지하층에 주거시설을 건축하고 용적률에 포함이 안된다고 설명을 하더라고요.그리고 어떤 곳의 신도시 주거용주택광고글에는 지하층에 커뮤니티(탁구장, 미니수영장풀?, 헬스장, 게임방)을 넣은 사진으로 광고를 하더라고요.정리하자면 지하층에 주거시설(침실, 서재, 욕실 포함)이 대한국민 건축법상 지하층이 용적률에 포함이 되나요?
@knowever419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용
@Bella-xl9xv Жыл бұрын
1:28 이런 궁금증이 드실때 어디에서 어떤 자료를 어떠한 방식으로 찾아보시는 지도 궁금해요. 저도 건축 공부를 하고 유사업계에서 일하고 있는데 건축 디자인의 철학이나 디자인 구상에 참조할만한 관점이나 사람들의 심리, 공간과 인간 활동 범위/본성등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연구해보고 싶은데 관련 서적이나 자료가 많지 않은 것 같아서요. 분명 건축 관련 자료가 많을 것 같은데 제가 검색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지 서점이나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자료가 너무 한정적더라고요 ㅠㅠ
@fang3131 Жыл бұрын
심리 쪽은 최근 20여년 동안 지각심리학 분야에서 매우 연구가 많이 되었습니다. 요즘 좀 꺾였지만 몇 년 전까지 서적도 많이 나왔고 번역본도 많습니다. '공간혁명'이라는 책도 괜찮고 약간 마케팅 장난질이 느껴지는 책이기는 하지만 '공간의 심리학'이라는 책도 뒷부분에 관련 내용이 나옵니다.(좀 더 지각심리학 전반에 가까운 책이라 앞부분도 재미있기는 합니다) 10년 전 쯤에 '신경건축학(neuroarchitecture)'라는 이름으로 한참 나오기도 했었고 당시에는 정재승 교수가 적극적으로 소개를 했었습니다. 어떤 공간에 들어갔을 때 뇌 등 신경계까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관찰해서 연구하는 건데 뇌의 작동방식을 우리가 완전히 알지 못하는 문제 때문에 방법론적 한계는 있으나 지각심리학 연구를 바탕으로 꽤 흥미로운 주장들은 많이 있었습니다. 영어로 검색해보시면 대량의 자료를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물론 비판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아직 우리는 뇌가 어떻게 외부환경에 장기적으로 반응하는 지를 잘 모릅니다. 그외에 건축 관련 논문들도 건축이론 연구하는 쪽에서 꽤 많이 나옵니다. 계량적인 연구가 아닌 경우가 많아서 저는 좀 거부감이 있기는 합니다. 유현준 교수님도 몇 편 쓰신 것으로 알고 있고 관련하여 비판도 많이 받으셨습니다.(유현준 교수님은 전공이 건축이론이 아닙니다)
@Bella-xl9xv Жыл бұрын
@@fang3131 감사합니다! 구글이든 서점이든 제가 적절한 검색어를 몰라 자료를 찾지 못하는 느낌이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미스터신-u5o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립니다!
@lv99ant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마른나무 흰개미인가 뭔가 들어왔다고 하고 앞으로 온난화로 계속 덥고 습해질거라 역시 우리나라는 습도와 벌레에 취약한 목재보단 콘크리트가 좋지 않을까? 싶네요.
@표수경-k5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ngsamalucky6364 Жыл бұрын
100만구독자 축하드립니다^^
@crazyski83 Жыл бұрын
6:25 레미콘을 공장이 아니라, 현장에서 믹싱하는 방법도 있지않나요? 무슨 지하설비에 공구리치는거 믹서에 몰탈 날라주는거 한 적이 있는데요...
@gsarc Жыл бұрын
잘보았습니다~^^
@skeujeog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건축에 대해 아무런 지식이 없다가 셜록현준을 접하면서부터 궁금해진게 많은 구독자입니다 광명시에 종합운동장에서 보이는 이편한세상 아파트단지가 마치 의도적으로 주변에 있는 산의 외형과 비슷하게 설계되어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늘 하게 됩니다. 뭔가 재치있어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기괴하고 묘하다는 생각도 들어서 건축가의 시선에서 봤을 때 정말 그렇게 의도가 된 걸로 보이는지 또 만약 그렇다면 그 의도를 어떻게 평가하실지가 궁금합니다,,!
@allaboutart159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질문있어요~~! 미국에서 몇 년 살다가 한국 와서 젤 처음 불편하게 느꼈던 점이 주차장이었어요. 미국 주차장은 경계선을 사선으로 그어놔서 주차하기 너무 편했습니다. 한국 주차장처럼 주차하다 옆 차를 긁거나 기둥에 사이드미러를 부러뜨리기도 하고 90도로 꺾느라 몇 번씩 차를 넣었다 뺐다하지 않아도 됩니다. 통로가 넓지 않아도 되구요. 우리나라 주차장은 왜 사선으로 안 긋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교수님은 답을 알고 계시나요?
@joeunnal Жыл бұрын
북버지니아 사는데 정말 최근 새로 짓는 막 현대식 디자인들의 집들도 보면 다 나무로 짓더라구요. 뚝딱뚝딱 2-3개월이면 짓는데 놀랐어요. 여긴 우선 짓고 그 다음에 분양을 하던데 가격은 15억을 훌쩍 넘어요. 저 가격인데 왜 나무로 짓나 진짜 궁금했는데 딱 궁금했던 제목이라 바로 들어왔네요 ㅋㅋ 저렇게 나무로 몇 개월만에 지은 집에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도 너무 궁금해요. 참고로 여기 주변 (페어팩스)집들은 대부분 1970-80년대 사이에 지어졌더라구요. 싱글 주택들은 1950년대 지어진 집들도 많아서 그런 집들은 최근 허물고 새로 많이 짓는 것 같아요. 근데 타운하우스들은 양옆이 서로 붙어있는데 집이 막 70년 80년 지나가게 되면 어떻게 되는건지, 서로 붙어있으니까 재건축도 어려울텐데 (모두의 동의를 구해야하니..)그러지 못하면 100년도 넘게 살아도 괜찮은건지 궁금하네용..
@제니훈-r5d Жыл бұрын
토지값도 포함이라 그런거 아닐까요...? 단독주택은 대부분 그런거같던데
@jakeshin178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오래된 마을이나 도시에는 백년이 훨씬 넘는 목조 주택이나 건축물들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콘크리트에 비해서 구조변경이나 유지보수가 쉽고 자재 구하기가 쉬우니...
@dobrospapa5826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땅값이라고 봐야죠 ㅎㅎ
@fang3131 Жыл бұрын
목조나 철근 건물처럼 이른바 '건식'으로 짓는 건물들은 건축 속도가 빠른데 공장에서 많이 만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모든 제조업이 마찬가지지만 통제되지 않는 환경 하에서 규격 외 사이즈의 제품을 만들면 하자가 많이 나옵니다. 20세기 동안 제조공학이 엄청나게 노력을 한 결과 공장이라는 통제된 환경에서 규격화된 제품을 만들면 싸게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 거고요. 그래서 건식 공정으로 지으면 규격화된 부품을 사용해서 조립속도가 빠르고 하자가 적습니다. 다만 형상을 마음대로 만들기는 힘듭니다. 그리고 목조는 허물기가 쉬워서(폐기물도 갈아서 다시 합판을 만듭니다) 다시 짓는 부담이 적은 편입니다.
@beingler1185 Жыл бұрын
타운하우스들은 모두 HOA가있고 그 규정에 의해서 관리되지요. 개인적으로 내부 리모델링은 가능하지만, 개별적인 재건축은 아예 불가하지요. 단지 내 개별유닛의 재건축이 가능하려면 단지 전체가 Rental Property로서 한 회사가 소유권을 지닌 경우라면 가능하겠지요.
@jms506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립니다
@JWJ-qj1cb Жыл бұрын
4:44 영화는 트위스터 입니다 존잼이니 한번 보세요
@OsVf770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콘크리트 건물이 대부분인 이유는 골재와 석회석이 풍부하고 두시간 내에 레미콘 트럭이 도착 가능한 조건이 되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국토가 넓고 시멘트 공장이 멀면 골재와 포틀랜드 시멘트를 각각 준비해서 현장에서 믹스해 시공해야 하는데, 이러면 시간과 비용이 몇배는 더 많이 들게 되겠죠.
@2분과학3분과학 Жыл бұрын
건축에 대해서 아주 빠삭하게 알지 못한다면 집을 지을 때는 콘크리트로 최대한 네모로 단순한 구조로 지으세요 복잡한 구조는 언제나 하자와 관리가 어렵습니다
@seanpark8318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관광지들 건축물이랑 관광 차원에서 컨셉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도 리뷰해 주시면 재밌을거 같아요!!
@AmoebaCulture Жыл бұрын
주마다 다르지만 미국도 6층 이상의 건물은 목재로 건물 짓는건 불법입니다. 그래서 미국에선 7층짜리 다세대 주택이 없죠. 미국 도심의 특징이 2층짜리 개인 주택 옆에 5층짜리 콘도, 그리고 재개발된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이 공존하죠.
@mwl5587 Жыл бұрын
우산 까지 눈여겨 보신분이 계시다니~^^
@Boogunn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목조 주택이 많은 이유는 올리브쌤 영상에서도 나오는데 재료비만 콘크리트에 비해 3배 이상이라고 하더라고요 가격이 너무나도 중요해서 ......... 재료비만 그렇지 기간늘어나는 공사비용 전선 작업등 부가적인거 추가하면 가격이 비교가 안됨....
@mekopark3201 Жыл бұрын
양옥 생긴거 덧붙여보자면 옛날 한옥들은 ㅁ 구조가 많았음. 특히 도심에 있는 한옥들이 ㅁ자로 지붕을 지어 아래쪽에 칸을 5~7칸 넣고 중간을 마당으로 쓰고 그랬죠. 그런 건물서 살다가 양옥으로 바뀌면서 2층을 올리는 사람들이 많아짐. 이때 마당을(중정) 나무나 공구리로 방 높이까지 올리고(이때 선택적으로 지하실도 만듬) 거실로 만든뒤 집 테두리를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올려서 2층으로 올리거나 일정시대때 목조2층을 지었던 집이면 그대로 조적벽만 넣어서 2층으로 만듬. 그래서 네모난 집이 많죠.
@jj2j200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주택이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많은건 재료의 수급이 쉬운것도 있지만 전쟁국가라는것도 큰이유중에 하나입니다. 그 특징중의 하나가 아파트의 경우에 저수조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수변전 설비의 경우 지하에 위치하는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그걸 왜 지하에 설치하는지 납득할수가 없죠 ㅎㅎ
@분열정신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빨간벽돌을 쓰는집은 최소 1980년대에 그런집을 많이 지었죠 요즘엔 그런집이 없죠
@이민지-q4i Жыл бұрын
미국은 목재로 지을수밖에 없다고함 ㅋㅋㅋ 건설자재 수급문제고 건설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그래서 목재로 건설을 한다고함 워낙 넓어서 땅이 한국처럼 막 가까운곳애서 레미콘이 와서 공구리칠수있는 조건이 아님 ㅋㅋㅋ 콘크리트 레미콘차량 수급문제고 가장 크다고 볼수있음 워낙 땅이넓어서 ㅋㅋㅋ 그러니 목재로 지을수밖에
@김유건-p1j Жыл бұрын
통일되면 평양을 위한 도시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교수님이 평양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면 어떤 도시를 만들고 싶으신가요?
@choijiwoo0 Жыл бұрын
와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
@daviemo Жыл бұрын
토네이도에 여러번 습격을 받아도 나무로 짓는 이유가 궁금했는데 그런 이유였군요...!!
@roie.n Жыл бұрын
미국 주택에 관해 댓글이 핫 하네요 🔥만약 교수님이 미국주택에서 사신다면 이것만은 고치고 산다!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저라면 적어도 창 사이즈를 키우고, 소음과 우풍을 막을 수 있는 한국샷시로 고치고 싶을거같은데, 목재주택에서는 이 부분을 고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