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퍼런스를 너무나도 차용하는거 같단 생각이 들긴 했는데 교수님도 똑같은 생각이셨네요 레퍼런스가 없으면 시도하기 두려워하는 사회문화적인 특성인거 같기도 해요
@김욱-c3h8 ай бұрын
건축학과 학생입니다 존홍 교수님 서리풀 수장고 공모전 심사위원이실때 봤었던 분인데 해외(사무소)에서 활약하시는 분들 인터뷰를 많이 해주는 컨텐츠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건축계에서 이렇게 목소리를 내주는 분들이 나와주셨으면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hoshw15378 ай бұрын
다 필요없고 업무에 BIM 쓸 수 있게 시스템 구축 해줬음 좋겠음 잡무 넘 많음. Cad로 시간 안에 모든 것을 할 수 없는데 모든 업무가 cad 기반이다보니 디자인에 쓸 시간도 없고 변화에 대한 대응이 오지게 느림. 해외는 BIM 매니저가 따로 있고 설계에 사용되는 자체 머신러닝AI까지 있어서 업무효율 올리고 업무 시간 안에 디자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글하고 있는데 한국은 이게 안됨. 이전에 구축된 시스템으로 단체로 멍청해지고 있다고 생각이 듦 그나마 수직으로 규모가 큰 건물은 변경에 대응이 빠르니까 조지게 많은 듯 하고, 수평으로 규모가 큰 건물이나 비정형 건물은 Cad 기반 회사에서는 디자인하는 과정 그리고 디자인 변경과정에 들이는 시간이 많을 수 밖에 없으니 좋은 디자인이 나오기 어려울듯 용적률은 솔직히 dynamo나 grasshopper 사용할 줄 알면 maximum 용적률의 새로운 디자인을 box 형태가 아닌 것으로 제안할 수 있을 텐데
@JYC-z9z7 ай бұрын
웬만한 대형이 아니면 bim손도 못대죠 지금당장 돈이 안되니까.. 반대로 나중에 대중화가 된다면 그땐 큰 변화가 생기겠네요
@hoshw15377 ай бұрын
@@JYC-z9z 네 그래서 희망사항 정시 퇴근과 같은 일을 반복하는 쓸데없는 잡무 줄여주기를 바라는, 그리고 디자인 할 수 있는 시간을 더 확보하길 바라는 ‘희망사항’ 🙏
@hoshw15377 ай бұрын
@@JYC-z9z 그리고 요즘은 소형 사무소도 BIM 예전보다 많이 씁니다
@brklyniteАй бұрын
이거지 222
@김유선-e7eАй бұрын
건축계 내부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많이 필요한 것 같은데 이런 영상이 반갑습니다.
@mjj90517Ай бұрын
패션계처럼 건축쪽도 걸음마단계라고 생각해요. 해외패션브랜드 따라하기 급급하던 국내브랜드들이 슬슬 오리지널리티 갖춰나가듯이요. 수수료구조도 개선해야겠지만 간삼이나 해안 제외하고는 대형사무소들 디자인보면 한숨나옵니다
@eeod-m8oАй бұрын
난 건축을 생각하는 일반 대중들의 시선이나 인식에도 타국과 많은 차이가 있다 생각함
@crazily2000Ай бұрын
한국 재벌들이 좋은 국산 현대 좋아하던가요? 페라리 좋아하건가요?
@russellbertrand72438 ай бұрын
건축과는 상관없는 분야에 종사하지만 우연히 발견한 영상에 몰입해서 보았네요. 인적자원이 가장 중요한 이 나라에서 왜 그런 훌륭한 인적자원들이 해외와 비교하며 자괴감을 느끼고, 또 해외로 떠나려 고민하는지 또 한 번 느낍니다. 일종의 자기혐오라는 말이 참 씁쓸하네요.
@maaandoo86478 ай бұрын
건축설계직 11년차 입니다. 대학다닐때 사회나가서 내가 만들어야될 건축물들을 꿈꾸며, 취업을하고 일을 시작해보면 대학 때 꾸었던 꿈들은 다 포기하게됩니다. 좋은 건축주분들도 계시지만 대부분 건축주 분들은 최저의 단가와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결과물이 나오길 원하기 때문이죠. 건출설계는 사람의 재산을 다루고 국가의 법을 해석하고 도면에 표현해야하는데 빠른 시간안에 하려다 보면 법테두리만 맞추게 될 수밖에 없고 디테일이라던지 디자인은 신경쓰기어렵고 타협하게됩니다. 슬픈 현실입니다.
@오귀스트-q7f8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도대체가 남이 하는 일은 존중해주지 않음 건축 뿐이 아니라 디자인 등 그냥 인터넷 보고 자기들도 하겠구나 이럼 뭐가 이렇게 비싸냐고 어짜피 프로그램으로 다 하는거 아니냐고. 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고 돈 많이 버는거 아니냐는 그래서 직원 더 뽑을수 있지 않냐는 무식한 소리 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고 시공사는 자기들 편한대로만 할려고 하고 있고 프로페셔널 하게 하는거 없고 자기가 가져다 준것대로 사진 대로 하면서 뭔 설계냐고 하는 사람이 있고 소리만 질러대고 한국사회에서 존중받기는 정말 힘든 직업군인듯 해요 의료복지 치안 ? 사회 인프라 불편 인종차별?? 뭐 이런거 다 불편해져도 솔찍히 이거 알아주는 나라로 떠나고 싶음 어짜피 존중받지 못하는 삶을 지속하고 싶지도 않고 인생 걸어온 일을 무시 당하면서 억지로 살기 싫고 국가는 그냥 캐드만 가르쳐서 학원에서 취업 시킨다고 교육 하는 멍청한 짓을 하고 있고 한국은 정신 차려야됨 인테리어나 건축이나 전문 고급 인력들이 한국에서 다 떠서 외국으로 가버리기 전에 연구원들도 연구 예산 삭감해서 한국을 다 떠버리는데 그런 고급 인재들이 다 떠나가버리는 국가는 존속할수 있냐고
@MinSeokSong-f8d8 ай бұрын
비단 건축분야만이 아니고 거의 모든 이공계, 자연계열에서 이런이유로 인재유출이 심각하죠.. 사람들이 한국에서 머무르려고, 일하려고 하지 않는게 제가 볼때는 진짜 큰 문제인데 참 이나라는 어떻게 될지 ㅋㅋ
@오귀스트-q7f8 ай бұрын
@@MinSeokSong-f8d 그냥 잠재적 으로 망하고 있음 뭐 아무리 말해도 듣지도 않으니 그냥 망하게 두고 생각 있는 사람들은 떠야죠
@오귀스트-q7f8 ай бұрын
@@user-cp3lh2vt5p 뭐 한국 떠야할듯
@sososo5471Ай бұрын
맞음... ㅠㅠ 건축소장이 한말이 생각나는데 돈 벌어야 하는데, 이상적인 아이디어는 비현실이라고 하는 분들이 대부분이었음... 그나마 그렇게 말하는 분은 나은데, 아이디어가 레퍼런스기반 아니면, 겁나 까는 사람 쁀임.. 그저 지금 한국 사회에서 돈버는 방법에만 맞춰진 설계만.. 하는 중인게 현실.. 한국에서 디자인쪽은 어떤 분야 중에서 젤 등한시되는듯 ㅜ
@오귀스트-q7fАй бұрын
@@sososo5471 한국 다뜹시다. 그래야 정신 차리지 ,,
@김천-m1r24 күн бұрын
IT업계도 비슷한데... 건축분야도 비슷하군요. 전반적 사회문제.
@rakeeraАй бұрын
건축에만 해당하는 일이 아닌듯.. 건축은 특히나 한국의 환경이 아직 너무 열악한것 같습니다. 문제는 도시 발전은 이미 포화이기에 성숙한 건축이 결여된 도시들로 가득찬 나라가 된 것이 안타깝죠
@하늘나무숲Ай бұрын
설계비가 작은것은 한국이 제조업 중심 국가라서 그래요.그래서 디자인이나 소프트웨어가 제값을 못 받아요. 법적인 문제도 있구요. 좋게말하면 아직은 사회구조가 성장하지 못한거고, 나쁘게 말하면 천민자본주의 중심국가라 디자인이나 소프트파워가 천시되는거예요.
@contemporaryJAPANARCHITECTURE6 ай бұрын
솔직히 말해서 한국에 건축가가 어딨냐..건축설계사만 있을뿐이지.
@달콤한쓰나미Ай бұрын
솔직히 한국에 건축주가 어딨노? 부동산 투기업자만 있을뿐이지 ㅋㅋ
@contemporaryJAPANARCHITECTUREАй бұрын
일본건축학회 세미나같은데 가서 뒷풀이하면 새로나온 신간이나 작품얘기하느라 정신없는데, 대한건축학회 논문발표 뒷풀이가면 주식얘기 넥타이 브랜드 얘기에 날 새는줄 모르는게 우리나라 건축학과 교수들임. tv나와서 입바른 소리 하는척하는 홍대 건축학과 그 유뭐시기 교수도 마찬가지고. @@달콤한쓰나미
시장이 작고 아직 성숙하지 못하니까 비싸게 못받는 것 아닌가요? 비싸게 안받아서 평판이 낮다..? 어떤 창작자 건 처음 부터 비싸게 받을 순 없죠. 계기가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단 한명이라도 프리츠커가 나오면 그때부터 좀 바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funornothing10548 ай бұрын
프리츠커가 나올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고 말씀하는거임.
@hhk2948 ай бұрын
한국 사람들이 자동차 안타서 한국에 페라리나 람보르기니가 없는거 같으세요? 외제차 누구보다 환장하는게 한국인들인데? 그렇다고 현대차가 무능한가요? 현대차 디자이너들 죄다 독삼사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에서 모셔온 헤드들로 차있는데? 시장과 대중의 눈높이가 낮은데다 자기만의 기준도 없고, 무지성 국까까지 섞인 결과물이지. 시장 수준이 낮은데 프리츠커 얘기하고있네.. .ㅋㅋ 아파트 성애자들이 99퍼센트인 한국에서 뭔 프리츠커 같은 소리야, 프리츠커 따려면 아파트 브랜드가 따야지. ㅋㅋㅋ 시장이 작다고? 강남 아파트 시공비랑 프리츠커 상탄 건축가들 프로젝트 시공비랑 평당 따지면 별 차이 안날걸 ㅋㅋㅋ 님이 말하는 말에 왜 한국이 프리츠커 못따는 이유가 명확히 있네. 프리츠커 따야지 설계비 많이 줄거라이거지? 그게 바로 권위와 브랜드에 굴종하는 전형적인 한국인의 모습이지, 자기만의 생각과 가치판단은 없고, 누가 만들어준 감투에 복종하려는 습성. 그런 인간들이 득실득실대는 나라에 어떻게 프리츠커를 탈만한 건축을 계속하는게 가능할지? 야마모토 리켄 강남에한 건축물들 줜나게 욕하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제 그가 프리츠커 땃으니 다시보니 선녀다 ㅇㅈㄹ 하려나? ㅋㅋㅋ
@maaandoo86478 ай бұрын
건축설계 현직 11년차 근무중인 사람입니다. 님 의견도 맞습니다. 제가 말씀드리자면 현직에서 있으면서 느낀건 대부분 건축설계를 맡기러 온사람들은 건축물이 지어졌을때의 사업성만 생각하고 설계단계는 중요하게 생각하고있지않습니다. 최저의 설계비와 최단시간의 설계로 최대한 싸게 최대한 빨리하길원합니다. 그래서 시간에 쫒겨 창의성이란 것이 발휘되지못할 뿐더러 일부 말하는 도장집이라는 설계사무실도 생기는 것입니다. 결국 단가면에서 뒤처지게되고 디자인적으로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baaksungjune78347 ай бұрын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악순환이 선순환으로 바뀌어 윈윈이 되면서 풍요로운 건축계, 사회가 될 수 있음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bigbang77728 ай бұрын
아니 이건 솔직해져야 하는게 3% 기준으로 말하는 건축사가 하는 일이 별로 없음 디자인도 안해 인테리어도 안하고 가구도 안하고 구조설계도 안해 설비도 설계안해 토목 조경 아무것도 설계안하고 내역서도 못만듬 심지어 시공도면 샵드로잉도 직접 못침 진짜 말그대로 원래 있는 레퍼런스 차용해서 법에 위반되지만 않도록 조금씩 손보는 수준인데 대체 얼마나 받으려고 하는걸까여 이게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사실 행정편의 관료주의 다 버리고 모든 건축물 디자인 설계심의 다 때려서 건축사들이 설계온거 80% 이상은 빠꾸시키고 돈도 주지 말아야함 그중에서 단 20%만 공사비 10% 준다고하면 많은 사람들이 동의 할듯 3%만 받는건 그만큼 일이 적고 책임도 적다는 거임 그게 불만이면 업무량도 늘리고 책임도 늘리는거로 합의봐야지
@maaandoo86478 ай бұрын
건축설계직 11년차 입니다. 님의 생각도 동의합니다. 현직에 있으면서 3% 받는곳은 소위말하는 도장집이라 말하는 곳으로 추정됩니다. 단가로 법테두리만 맞추는 곳이죠. 대부분 건축주들이 선호하는 이유는 지어진 건물에 대한 사업성만 생각하고 건축설계는 더 싸게 더 빠르게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조금 줄어드는 추세라지만 아직 많은 부분 남아있습니다. 도장집은 소위 말하면 박리다매고 퀄리티라는게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도장집들때문에 예전부터 다른 능력있는 사람들도 수주하기 힘들어졌습니다. 그리고 허가권자(구청,시청,기타등등)가 경험없는 사람들이 다수라 허가도 법테두리만 맞으면 허가가됩니다. 결국 제도적, 사회적인식 기타 등등 많은 것들이 변화되어야합니다.
@sangmoonnam2358 ай бұрын
오해가 있으신데 우리나라 대형설계사들 설계비 4프로 정도 받으면 해외설계사보다 일 두 배로 많이 하고 구조, 기계전기, 토목, 인테리어, 스펙, BIM 등 다 작성합니다. 해외사는 계획 설계만 해도 우리나라 회사보다 휠씬 더 많이 받아가요. 소위 말하는 허가방 도면은 동네 근생 같은 소규모 건축물에 제한된 얘깁니다. 인허가에 필요한 최소 도서만 꾸리고 1프로 정도 받습니다. 3프로 받는 허가방이 있다면 재벌됐을 겁니다. 그리고 공사 샵드로잉은 해외는 건축가가 안 그립니다. 못 그리고요 시공사와 제품 업체에서 그리는 겁니다. 보통 시공사가 그려서 설계자에게 디자인 컨펌만 받습니다. 공사 품질 및 하자는 백프로 시공사 책임이고요. 우리나라 건축가들은 시공사가 할 일을 무보수로 떠맡고 있는 겁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부정확한 샵을 그려 법적 책임까지 지고 있어요. 우리나라 건축가들은 착취 당하고 있으면서도 우물 안 개구리라 모릅니다. 내역도 마찬가지입니다. 해외에서 내역은 기본적으로 시공사가 하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설계사가 내역에 대한 책임까지 지고 있어요. 바보같은 짓입니다.
@EAgleHitomi12 күн бұрын
@@sangmoonnam235진짜 외국 설계사들 일하는거 보면 뒷목 잡죠... 돈은 돈대로 받고... 우리는 설계사가 무상(?)으로 해주는 짜잘한거까지 다 청구하더라고요ㅎㅎ 심지어 비싸기까지...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