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 징비록-징비록, 시대가 부른 역사…"나라에 변고가 생겨도 책임지는 이가 없다". 20150220

  Рет қаралды 61,774

KBS Drama

KBS Drama

Күн бұрын

‘징비록’은 임진왜란 당시 도체찰사 겸 영의정이었던 서애 류성룡(1542~1607) 나라를 강하게 만들어 환란을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후세에 전하고자 집필한 저서이다.
이 동명의 저서를 바탕으로 하고 잇는 이번 드라마는 전란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노량해전까지를 다룬다.
특히, 드라마 속 류성룡을 연기한 배우 김상중은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로 ‘나라에 변고가 생겼는데 책임지는 이가 없다면 이 나라는 허깨비 나라가 되지 않겠습니까. 후학들이 무엇을 배우겠습니까.’를 꼽았다.

Пікірлер: 157
@uujnv00kfft89
@uujnv00kfft89 4 жыл бұрын
선대왕들도 못한 일을 서출 왕이 해냈으니 얼마나 뿌듯했을까
@노미현-l6y
@노미현-l6y Жыл бұрын
방계이지 서출은아닌데요?ㅋㅋㅋ 선조 어머니가 정인지 후손으로 아버지도 정승까지 올랐던 사람입니다ㅋㅋ
@sophisticate80486
@sophisticate80486 Ай бұрын
적서에서 서출 맞음.
@dsjocj11
@dsjocj11 Жыл бұрын
대사 중에 "나라에 변고가 생겼는데 책임지는 이가 없다면 이 나라는 허깨비 나라가 되지 않겠습니까. 후학들이 무엇을 배우겠습니까" 라는 대사.. 지금의 정치지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여러가지 재난이 발생했는데, 책임지는 지도층 하나도 없고, 국민들이 알아서 각자도생해야하는 상황인거 같음.
@양파-c5j
@양파-c5j 4 жыл бұрын
5:07 선조 "성룡이 잘하네~"
@오용태-m9s
@오용태-m9s 4 жыл бұрын
개뿔 지들이 잘못한걸 바로잡은게 무슨 은혜야? 류성룡 말이 백번 옳다
@eagleshappy6427
@eagleshappy6427 4 жыл бұрын
이때의 조선조정이 얼마나 미개한 판단이었나 보여준 대표적 사례인듯
@문재훈-y7v
@문재훈-y7v 4 жыл бұрын
근데 종계변무에서 이인임이 이성계의 아버지라고 기록된건만 잘못된거지 시역을 저질른건 명백한 사실임...
@sophisticate80486
@sophisticate80486 Ай бұрын
성공하면 혁명.
@이게뭐야-y3v
@이게뭐야-y3v 4 жыл бұрын
4:20 갑분싸메이커ㅋㅋㅋ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4 жыл бұрын
6:26 이양반 카메라 원샷받지만 이후로 드라마에서 아무비중없음. 계속 "전하~~"하는게 대사의 전부ㅋㅋ
@요리왕방아깨비
@요리왕방아깨비 3 жыл бұрын
쯔은하아
@disastermoon420
@disastermoon420 3 жыл бұрын
정도전 득보아범
@surplusking2425
@surplusking2425 4 жыл бұрын
지금이랑 좀 많이 비슷하네..일강 체제에서 열강 체제로 바뀌어 가는 지금 상황을 생각해보면 더더욱..
@장성택김경수
@장성택김경수 4 жыл бұрын
안동에서...추위에 떨며...
@j.c.s7762
@j.c.s7762 4 жыл бұрын
대체 한글은 창제만 되었지 언제부터 사용된걸까요?
@과카몰리-n3x
@과카몰리-n3x 4 жыл бұрын
장칼있으마 근대화이전까진 중인 밑으로만 간간히 쓰고 양반이상부터는 천것들 문자라고 안썼지 않음?
@dinos119
@dinos119 4 жыл бұрын
현재 쓰는 한글은 일제시대때 주시경 선생이 재정리해서 쓰기 시작한것이고..그 이전에는 주요 문자는 아니더라도 간간히 쓰였지요. 정조가 세손시절 훈민정음으로 쓴 편지가 남은걸 봐선 왕족들도 간간히 쓰긴 한듯...애초에 왕, 그것도 최고의 성군으로 불리던 왕이 만들걸 누가 감히 쉽게 천하다고 여길수 있을지
@과카몰리-n3x
@과카몰리-n3x 4 жыл бұрын
dinos119 아하
@Choisejin716
@Choisejin716 4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에 한글이 창제되긴했지만 사대부나 양반들은 평민들이 글을아는것을 자신들과 같이 여겨지는걸 싫어해서 양반들에 의해 천시되어집니다
@gatsbyjay1707
@gatsbyjay1707 4 жыл бұрын
쭉 썼어요. 왕실 내에서도 항상 가르쳤고, 왕이 한글편지 쓴거 남아있는 것도 많아요. 본격적으로 민중들이 사용한것은 조선 후기 부터.
@완순박-d1p
@완순박-d1p 2 жыл бұрын
이성계가 고려 우왕 창왕 공양왕 시해하고 왕이 된건 사실임.
@angotaeddi
@angotaeddi 3 жыл бұрын
4:20 눈치라는게 있는건지..
@parkwar
@parkwar Жыл бұрын
근데 결론적으로 공양왕을 죽인건 이성계가 맞자나
@강석덕-w4z
@강석덕-w4z 4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이 살았어도 선조가 살려 두었을까요
@dgl3283
@dgl3283 4 жыл бұрын
@@김재걸-m2g 선조에게는 동인은 다 적으로 돌리는 셈. 탕평을 추구했던 선조이기에 그러진 않았겠죠. 마찬가지로 활약한 권율도 대우해줬으니.
@Prosexer911
@Prosexer911 4 жыл бұрын
선조는 문재앙 보다 물러 터짐ㅉ
@북한산들개들
@북한산들개들 4 жыл бұрын
김재걸 ㅋㅋㅋㅋㅋㅋㅋㅋ이미 나라 일본 됬을수도 있어요 ㅋ
@vedo7065
@vedo7065 4 жыл бұрын
이순신이 살앗던들 조선이 달라졋을까
@정기웅-k3p
@정기웅-k3p 4 жыл бұрын
죽일려면 죽일 명분이 있어야 죽이죠 아무리 선조가 보고에 ㅈ같아도 임진왜란 영웅을 아무명분 없이 못죽죠.
@hangunyoung6694
@hangunyoung6694 4 жыл бұрын
저는 누구보다 이순신을 잘알고 있어요 그가 나라를 구하고자 거북선을 만들었는데
@goldberg6610
@goldberg6610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순신이 맘만 달리 먹었다면 임금자리 꿰찼을까?
@kkdas_22
@kkdas_22 4 жыл бұрын
불가능한건 아님 막강한 군대에다가 비상한 두뇌 게다가 이순신 밑에는 정통성을 보장할 무의공 이순신 양녕대군의 후손이 있었음
@mintizend
@mintizend 4 жыл бұрын
게다가 백성들의 지지도 한 몫 했을꺼 같은데요? 의병들도 이순신의 거병에 동참했을테고 물론 역사의 이러한 가정은 없지만 현실성은 조금(?) 있네요
@kkdas_22
@kkdas_22 4 жыл бұрын
@@mintizend 그렇죠 역사에 만약이라는 말은 없지만 이런 상상을 해보는게 역사를 배우는데의 재미가 아닐까요?
@승언이-v9h
@승언이-v9h 4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이 충성심이 강한분이라서 그런 마음 절대 안먹었을거 같네요 겨우 현감이었던 사람을 수군 절도사까지 올려줬는데 나중에 견제를 좀 하긴 했지만 이순신 장군도 선조에게 입은 은혜도 많고 해서..
@WAYN-q7y
@WAYN-q7y 4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제일 중요한게 이순신 장군이 거느렸던 부대 자체가 해군이라서....역사적으로 봤을때 이성계, 박정희, 전두환 등등 쿠데타를 일으켜 성공했던 군인 모두가 육군 소속이었던 걸 보면 힘들거라고 봅니다. 결국 국가원수가 있는 곳이 육지임을 생각해보면 아무리 해군 전력이 강하다 해도 해상물류를 끊거나 해안 지역을 점령하는 것 이외에는 깃발 꽂아 점령할 수 있는게 결국 제한되죠. 장보고도 청해진과 그 주변에 절대적 영향력을 끼쳤을 뿐 반란은 성공하지 못했죠.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1604
@전병철-u8b
@전병철-u8b Жыл бұрын
선조는 300년만에 환생하니 그의 이름은 이승만이었다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예전 회상들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사당에서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책 집필 중
@하나둘-l7h
@하나둘-l7h 3 ай бұрын
명에 조공을 주면 오히려 몇 배로 받는데
@sunjohnny1923
@sunjohnny1923 4 жыл бұрын
류성룡 너무 미화했음.
@유뻐기
@유뻐기 3 жыл бұрын
왜요?
@hydrocynus415
@hydrocynus415 Жыл бұрын
​@@유뻐기류성룡이 옳은 말만 한것처럼 왜곡함
@김민수-b1f7i
@김민수-b1f7i 7 ай бұрын
​@@유뻐기ㅅㅏ람의 암과 명이있죠.심지어 오래된사람의 업적과흑역사를 까려고하면 그증거.심지어 친인척들의 변호동 만만치않아요. 역사적으로보면 원균가문의 행태(이건 검색좀하시간..저도 쓸데없는 일에휘말리고싶지않으니.판사님전 절대 원균이란사람 욕한적없습니다)역사란게그래요..에휴 유성룡은 뭐 마냥 이순신 친우인것같습니까.드라마는 진짜 그상황을미화한거고. 사실적으로보면 유성룡은 현대한민국의 최고의 정치인, ..아닙니다 그건 너무 막말인거같긴하네
@대타출연
@대타출연 Ай бұрын
일단 임진왜란 예측부터가 좀 병크인데 여기선 크게 안다룸 그걸
@전병철-u8b
@전병철-u8b Жыл бұрын
우왕,창왕,공양왕 사약 내린건 맞잖아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사신들이 왔는데
@전병철-u8b
@전병철-u8b Жыл бұрын
참나 명나라에 굽신걸리는걸 보니..
@버두고
@버두고 4 жыл бұрын
장군의 자살설을 주장하는 이들의 근거가 장군이 갑옷을 입지 않고 출전했다인데 그 증거가 관통상이죠 철갑옷이라면 관통당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Utillity
@Utillity 3 жыл бұрын
은둔설이 차라리 더 설득력 있을 것 같기도 함.. 전 후에 전쟁영웅들은 실세를 꿰차거나 왕한테 토사구팽 당하거나 둘 중 하나인데 지칠때로 지친 이순신은 은거.. 그냥 시체 중 하나를 대신 의복입히고 죽었다고 조정에 알렸을수도.? 실제로 조선시대때 반역자로 몰리거나 처벌받을 상황에 처하면 거짓으로 상났다고(죽었다고) 꾸민 사례들도 있음.
@user-cp1mt3pm6v
@user-cp1mt3pm6v 3 жыл бұрын
다들 모르는게 노량해전은 이순신이 전사했기 때문에 마지막전투인거임. 아직 경상도에 소탕해야할 왜적들이 많은데 자신의 안위를 먼저 생각해서 은둔이나 자살을 하실 분이 아니란건 다들 알거고요. 게다가 노량해전은 조선수군이 초근접전투를 치뤘던 3대전투중 하나인데 그중 2번 조총에 맞으셨으니 전혀 이상할게 없어요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조총?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각혈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1589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Cg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가계부 가짜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200
@김세은-l2t
@김세은-l2t 2 жыл бұрын
3
@JINRO100
@JINRO100 4 жыл бұрын
배가 판옥선이 아닌데
@장성택김경수
@장성택김경수 4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의 최대 피해자 이자 최대 구원자...백성들... 몽골에너도....백성만이 길이요 진리지...재인...
@장성택김경수
@장성택김경수 4 жыл бұрын
200년만에 이지경에 이르다니...세종때...정예군이 30만 넝었는 데...중국본토를 점령하고도 남았었는 데...그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인가...얼마나 망가지는 가...
@이름없음-w6n
@이름없음-w6n 4 жыл бұрын
연산군때 다 말아먹음
@JBKWAKbottle
@JBKWAKbottle 4 жыл бұрын
뭔 말같지도 않은 소리를 하고 있어
@Railroader-1
@Railroader-1 4 жыл бұрын
왜 말이안됨? 세종때 4군 6진을 개척할정도로 강성한 정예군을 가진 국가였는데 겨우200년만에 저렇게 처참히 무너지는게 안타까울따름이지
@harrypp_pharm8356
@harrypp_pharm8356 4 жыл бұрын
중국본토를 점령하고도 남았다... 망상이 좀 심하시네요...
@최현욱-p8w
@최현욱-p8w 4 жыл бұрын
정예군 30만 같은 소리하고 있네ㅋㅋㅋ 세종때 대마도 정벌 할때도 온 국토를 탈탈 털어서 1만8천명 겨우 모집했고 이마저도 패배해서 이종무 파직하라는 상소가 빗발쳤는데 뭔 얼어죽을 30만은 30만이여ㅋㅋㅋㅋㅋ 말이 되는 소릴 해야지ㅋㅋㅋㅋㅋㅋㅋ
UFC 287 : Перейра VS Адесанья 2
6:02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486 М.
Маусымашар-2023 / Гала-концерт / АТУ қоштасу
1:27:3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390 М.
영혼을 갈아 만든 5000년 한국사 한번에 다보기 (3시간 순삭ver.)
3:38:11
로빈의 역사 기록 / Robin's Historical Records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통합본] 지도로 보는 한-흉노 전쟁
21:58
이오 IO
Рет қаралды 92 М.
The Best Drunk Food in Japan with Ty Demura
11:26
Munchies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专访胡佛历史学者林孝庭(上):蒋介石日记与国共恩仇
1:00:46
美国之音中文网
Рет қаралды 459 М.
UFC 287 : Перейра VS Адесанья 2
6:02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48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