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는 안되겠다” 영국이 34년 만에 수도 재국유화 추진하는 이유|크랩

  Рет қаралды 163,908

크랩 KLAB

크랩 KLAB

Ай бұрын

#크랩 #템스강 #민영화 #kbs뉴스
영국 런던에서 열린 조정 경기 '옥스브릿지'에 특이한 지시가 내려졌습니다.
경기 후에 승리 팀이 강에 입수하는 것도 금지하고, 물이 튀지 않게 조심하라는 지침인데요.
강에서 치러지는 경기지만, 이처럼 물에 닿는 것을 주의하라고 한 이유는 템스강의 수질 때문입니다.
영국의 환경단체에 따르면 현재 템스강의 대장균 수치는 기준치의 10배가 넘는다고 하거든요.
한때 '템스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며 정화됐던 템스강은 어쩌다 오물로 뒤덮인 강이 된 것일까요? 크랩이 알아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1 000
@pastachio17
@pastachio17 Ай бұрын
민영화 하자고 외치는 사람 = 중간에서 떼먹을 게 많은 사람
@Murararide
@Murararide Ай бұрын
@@abts04010의료보험 민영화 ㅋㅋㅋㅋㅋㅋ 지하철도 규제로 인한 반강제 적자 때문에 민간철인 신분당선조차 매번 적자, 적자, 적자인데 ㅋㅋㅋㅋㅋ 적자 산업의 끝판왕인 국가의료보험을, 사실 이름만 보험이지 적자를 예상하고 시작한 ‘복지제도’인 한국의료보험을 민간으로 풀어준다고? 잘도 하겠다 ㅋㅋㅋㅋㅋㅋㅋ
@sssy950
@sssy950 Ай бұрын
@@Murararide 민영화하면 돈 되는 부분만 발라내고 나머지는 갖다 버린다. 공공성 따위는 없어지는거지
@abts04010
@abts04010 Ай бұрын
@@Murararide 민영화 단계라는게 있는건데 벌써 4단계 진입한건 팩트인듯??ㅠㅠ 적자를 예상한것 치고는 너무 오랫동안 보험금 잔고가 남아있긴했는데ㅠㅠ 적어도 보험료 얼마나 올라가는지 범국민적 합의는 있어야돼 ㅠㅠ
@user-ey6qn9zv6n
@user-ey6qn9zv6n Ай бұрын
검은 머리 외국인
@aeong1996
@aeong1996 Ай бұрын
​@dellyspice 그래서 민영화함? 안했는데 프레임 줜나게씌우네 ㅋㅋㅋㅋㅋㅋ
@SF-lg6ye
@SF-lg6ye Ай бұрын
전기, 가스, 수도, 철도 같은 기초 인프라는 민영화하면 안됨. 그 인프라 구축할 만한 자본을 가진 회사가 몇 없으니 결국은 독과점이 되니..
@johnniegwag4820
@johnniegwag4820 Ай бұрын
그리고 방송은 공영화해야됨
@SF-lg6ye
@SF-lg6ye Ай бұрын
@@johnniegwag4820 지상파 공영화하되 인권위나 소비자보호원처럼 독립성 갖게 해줘야죠!
@johnniegwag4820
@johnniegwag4820 Ай бұрын
@@SF-lg6ye 국가와 지자체만 방송사를 소유하고 자체방송해야됩니다. 그리고 국가나 지방정부의 입김서 자육 로워야죠 방송공영화 지방소멸을 막을수 있었으면 합니다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Ай бұрын
진짜 국민들 거지근성 지리긴 하네요. 우리나라보다 훨씬 잘 사는 국가들도 저 중에 한두개는 민영으로 돌리는데 우리는 석유나 가스가 나오는 국가도 아닌데ㅋㅋ 이 나라 세수의 9할을 전체 국민의 30%가 부담하고 40%의 국민들은 소득세를 아예 내지도 않죠ㅋㅋ 공짜 좋아하는 미띤 국민들ㅋㅋ
@sksmsskdu1
@sksmsskdu1 Ай бұрын
@@johnniegwag4820 공영화 해서 수신료 2500원 .. 역시 공영화야 앙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xl9vd7ym3v
@user-xl9vd7ym3v Ай бұрын
한국도 KT 민영화하고 뭔 짓거리가 났는지 생각해보면 국유기업 민영화가 어떤 결과를 낳는지 알 수 있다.
@user-wq3zh7dy7p
@user-wq3zh7dy7p Ай бұрын
인공위성 헐값에 홍콩에 매각
@kongintent3272
@kongintent3272 Ай бұрын
그런데 NTT, KDDI도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 된 케이스 인데 KT보다 DX전환에 적극적이고 잘나가잖아 경영자 철학 과 마음가짐 이라고봄
@ty_gogol_king
@ty_gogol_king Ай бұрын
​@@kongintent3272덕분에 일본인이 부담하는 통신비도 엄청 올랐지요
@kongintent3272
@kongintent3272 Ай бұрын
@@ty_gogol_king 기반 잘다진 덕분에 아시아퍼시픽에서 유일하게 티어1 ISP가 NTT, KDDI가 깔아둔 해외망 자료보면 KT가 상당히 뒤쳐짐 ㅠㅜ 그리고 한국에서만 논란인 망사용료는 일본에서는 일어나지않음
@kongintent3272
@kongintent3272 Ай бұрын
@@ty_gogol_king 님 일본에 거주하시고 이업계 종사 하시는 입장이신가요?
@5752380
@5752380 Ай бұрын
민영화하면 관리가 안됨... 감시가 안되는거임;; 벌금이고 뭐고 만들어놓아도 비리로 다 빠짐
@stern121
@stern121 Ай бұрын
관리가 안된다기 보다 수익을 내야 하니 국민들에겐 무조건 손해.
@cosmonaut6296
@cosmonaut6296 Ай бұрын
한국통신이었던 kt사례만 봐도 국회의원이 채용비리 청탁하잖아ㅋㅋ
@Panzer_Chocolatier.
@Panzer_Chocolatier. Ай бұрын
ㄹㅇ 민영화 하더니 탬스강이 19세기화 당하는중임
@cjoan9728
@cjoan9728 Ай бұрын
@@cosmonaut6296어느 국회의원 인데요? 당도 알려주셔야져!!
@user-rg4dz2kc9j
@user-rg4dz2kc9j Ай бұрын
@@cjoan9728 국민의힘 출신 ㄱ ㅅ ㅌ. 참고로 이번 총선에 나도 국민의힘 신동욱 찍었음. 욕하지 마삼.
@user-kf7tp5ui3c
@user-kf7tp5ui3c Ай бұрын
정부가 해결못한다고 민영화 하면 기업은 방법있나 요금 올려서 결국 국민이 내야 하는 것 이고 기업주는 소고기 사먹는건데 그럴바엔 정부가 끌어안고 요금 올려 해결 하는것이 욕은 좀 쳐먹더라도 나은방법일 것임
@cytokine5070
@cytokine5070 Ай бұрын
민영화=나 대신 욕먹어줘
@user-ry2bc4pl4l
@user-ry2bc4pl4l Ай бұрын
그리고 요금을 안올려서 한전은 빚이 백조단위를 넘어가게 되는데.. 문제는 정치인들이 지 욕먹고 지지율 떨어지는거 싫다고 국가기관에 빚을 천문학적으로 뒤집어쓰게 만드니 난리인거지. 우리나라 이런식으로 공공기관 부채만 따로 천조가 넘어감 ㅋㅋㅋㅋ 당장 비슷한걸로 노인 무임승차 이거 폐지안하면 교통공사랑 지하철도 절대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한데 민주주의에서? 정치인이? 이미 시행중인 포퓰리즘 정책을 어케 폐지함? ㅋㅋㅋㅋ
@user-ry2bc4pl4l
@user-ry2bc4pl4l Ай бұрын
그리고 국민수준 영향을 너무많이받는게 당장 우리나라 그렇게 전기요금 올리니까 욕을 아주 바가지로 바가지로 하더만 ㅋㅋㅋㅋ
@amen4247
@amen4247 Ай бұрын
어떤 정권은 표 때문에 기업 뿌리 썩어가는데 요금 안 올리고 폭탄만 몇 스택 쌓아 놓음 결국 올린 정권이 욕 덤탱이로 먹음. 국민들은 또 전 정권 탓하면서 욕함 ㅋㅋㅋ 이게 국민 수준임
@reang5995
@reang5995 Ай бұрын
민영화냐 국유화냐 중요한게 아님 한전이나 서울교통공사처럼 공기업 재정파탄나는 케이스도 있고, 대한항공처럼 민영화 진작에 안했으면 적자나서 세계에서 도태될뻔한 케이스도 있음 무슨 이상한 신념생겨서 민영화를 절대악마냥 보는게 제일 근시안적이고 위험한 생각임 제일 중요한건 민영화한 기업에 얼마만큼의 책임과 자유를 부여하느냐이지 무조건 민영화 반대하는 게 아님
@user-pw5co8vv9l
@user-pw5co8vv9l Ай бұрын
기업은 결국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데 전기 수도 이런 생활에 필수적인걸 민영화하면 서비스는 개차반되고 수익만 얻으려고 한다
@rjass5154
@rjass5154 Ай бұрын
민영화되면 소비자가 A회사, B회사 이렇게 마음대로 선택할 수도 없는 독과점인데...서비스 잘할 이유가 없죠. 적당히 하다가 소비자불만 높아지면 오히려 노후설비 교체에 거액이 필요하다고 앓는 소리 하며 요금 인상 기회로 삼고....., 민자고속도로 통행료가 더 높듯이 요금인상은 불가피
@Hanson0687
@Hanson0687 16 күн бұрын
의료 보험과 공공 인프라 만큼 민영화하면 안됨
@bookstoremaster1023
@bookstoremaster1023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들도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기업윤리라는 개념조차 없는데 민영화 하면 뭐 시민들이 편하거나 윤택해질리가..... 낙동강 페놀사건이랑 옥시 가습기살균제 살인사건 등 기업범죄가 어마어마한 규모에 엄청 많은 수인데
@sssy950
@sssy950 Ай бұрын
애초에 기업윤리 따윈 없습니다. 선진국은 법과 처벌이 엄격하니까 기업들이 법 지키는게 더 싸게 먹히니 지키는 겁니다 우린 처벌이 약하니 위법하는게 더 싸거든요
@confused_cat
@confused_cat Ай бұрын
​@@sssy950ㄹㅇ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7 күн бұрын
​@@sssy950원래 윤리가 처벌에서 생기는거임 ㅇㅇ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민영화 하자는 사람들 종종 나오는데, 그분들이 범인임!
@user-pj3qp7xp1t
@user-pj3qp7xp1t Ай бұрын
보수정권이 매번 들고나오는 민영화..
@reang5995
@reang5995 Ай бұрын
윤석열 민영화 한다한적 없는데
@user-pj3qp7xp1t
@user-pj3qp7xp1t Ай бұрын
@@reang5995 ㅋㅋ 의료민영화 시작 중입니다... 뜬금없이 비대면 진료 확대에 이번에 개편할 의료시스템 보세요.. 개인정보 민간기업에 넘겨주는 디지털 헬스케어법이 민간보험사랑 의료기업이 눈시뻘기게 기다리고 있던거구요 ㅎㅎ.. 우리나라 의료복지시스템 박살나면 정부탓도 있지만 무지한것도 모자라 정부 옹호하는 님같은분들 탓도 있습니다..
@anyugo2568
@anyugo2568 Ай бұрын
​​@@reang5995없다고? 무슨 근거로? ㄹㅇ? 찐으로?
@user-yc1zz8kw9h
@user-yc1zz8kw9h Ай бұрын
@@user-pj3qp7xp1t 문정권이 재생에너지 민간쪽으로 확장한다고 태양광같은거 민영화했다가 ㅈ망하긴 했지 ㅇㅇ 지원금은 지원금대로 퍼주고 말이죠 내가 낸 세금이 아깝네
@anz1004
@anz1004 Ай бұрын
당장 일본 가서 지하철 타다보면 우리나라 지하철 국유화가 정말 다행이란 생각이 참 많이 들죠. 일본은 철도 하나하나가 다른 회사가 운영 하다보니 환승에도 돈을 내야하고 여러 역이 난입해서 참 복잡합니다;;
@PRIMITIAE_030
@PRIMITIAE_030 Ай бұрын
ㄹㅇ
@YOU__
@YOU__ Ай бұрын
원래부터 사철이 좀 많은 나라긴 했는데 비슷한 포지션인 JR이랑 코레일이랑 요금 비교해보면 물가 고려해도 아니올시다인... 코레일 SR 합쳐도 모자를 판에 민영화라니 결사반대해야지요
@teio748
@teio748 Ай бұрын
@@YOU__근데 정부는 1980년대 부터 철도청 민영화 계획 있었음 결국 2005년 공사화되었고 코레일과 국가챨도공단으로 분리됨 민영화가 될지 안될지는 모르지만 된다면 영국처럼 정부가 운영권 판매하는 방식으로 갈 확률이 높다함
@asfinagtransport3325
@asfinagtransport3325 Ай бұрын
일본 지하철 거의 공영인데 무슨 헛소리람. ㅎㅎ
@teio748
@teio748 Ай бұрын
@@asfinagtransport3325 일단 오사카 메트로하고 도쿄메트로 제외하면 다 공영임 단지 운임이 한국에 비하면 비쌀 뿐.. 사실 우리나라가 소득 대비 운임 ㄹㅇ 싼 편은 맞음
@angie-jc2nd
@angie-jc2nd Ай бұрын
민영화 반대하면 거기다 대고 공산전체주의 소리나 하고 있는 것들이 문제지 ㅋㅋㅋㅋㅋㅋㅋ
@hengbokhagil
@hengbokhagil Ай бұрын
ㄹㅇ 오히려 반대인데 모르면 말을 말든가 뭐 반대하면 다 공산주의 ㅇㅈㄹ 하니까 답도 없음;;;
@uumuuqoyun
@uumuuqoyun Ай бұрын
ㄹㅇ 러시아보고 공산주의라 하질 않나 ㅋㅋㅋ
@Loop1025.
@Loop1025. Ай бұрын
심지어 그놈들이 공산주의라고 우기는 나라들 사회주의 이거나 독재임 ㅋㅋ
@dedododo9950
@dedododo9950 Ай бұрын
ㄹㅇ 에너지, 수자원 회사가 수십 수백 개 생겨나는 것도 아니라 민영화해도 사실상 독과점인데 어디에 시장경쟁과 자본주의 논리가 있겠음ㅋㅋㅋㅋ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Ай бұрын
그것도 맞는데 대기업을 무지성 까는것도 문제임
@user-nn8cp6sv4m
@user-nn8cp6sv4m Ай бұрын
이래서 국유 산업은 민영화 하면 안됨. 민영화 해서 잘된 케이스가 별로 없음. 우리나라도 국민들이 각성하고 깨어있어야함. 어느쪽이 유독 민영화 좋아하지. 실제로도 부분적으로도 성공했고.
@jekyun
@jekyun Ай бұрын
국유화가 마냥 좋다고 보는거 자체도 문제~~
@MetthewTheWolf
@MetthewTheWolf Ай бұрын
​@@jekyun 근데 민영화해서 좋은 꼴을 못본거같은데
@junojoe749
@junojoe749 Ай бұрын
@@jekyun 국유화가 곧 국민들의 소유라는 거여. 민영화에 '민'자 들어갔다고 착각들 하는데 이건 사유화 또는 재벌소유화가 정확한 뜻이지. 일본을 봐바. 전력회사 민영화시켜서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저수지 만들면 1조 바다에 버리면 300억이라 결국 태평양에 버리쟎어.
@user-tz6mg5xb6d
@user-tz6mg5xb6d Ай бұрын
​@@jekyun빠가새킼ㅋㅋㅋㅋㅋ
@dev-starcluster
@dev-starcluster Ай бұрын
​@@jekyun 국유화 해서 안 좋아진 경우 알려줘봐 마냥 좋다고 하면 안 된다고 하지 말고
@KIM-ii9qo
@KIM-ii9qo Ай бұрын
의료 전기 수도 민영화도면 어떤지 잘보여줌
@user-zf6bq6cc8b
@user-zf6bq6cc8b Ай бұрын
의료 자체는 국가 건국 때도 국유화 아님 의료보험이면 인정
@Hanson0687
@Hanson0687 16 күн бұрын
의료 보험이지 의료는 애초에 민간 기업이 맡고 있음...
@user-rt7co8mf5s
@user-rt7co8mf5s Ай бұрын
대처 또 당신입니까?
@JP711_
@JP711_ Ай бұрын
본인 장례식만 민영화 안한 그분...
@user-dx5rs8qi5v
@user-dx5rs8qi5v Ай бұрын
밀턴 프리드만, 하이예크를 신봉하는 아주 미친 놈들이 많아요. 정부 몸집이 커지는 만큼 정부의 관리와 간섭이 필요하지, 그렇지 않으면 아주 무정부주의를 하지. 간섭 및 관리를 하지 않으면 개판이 된다.
@teknolozik
@teknolozik Ай бұрын
"세계사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을 때, 대충 이ㅅㄲ들을 찍으면 정답이다"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Ай бұрын
신자유주의 빌런 레이건, 대처에 대한 환상을 철저히 버려야한다
@user-lmsdigk
@user-lmsdigk Ай бұрын
마거릿 대처는 삭감하지 말아야 할 예산을 깎는 것으로 유명해서, 학교 우유배급을 중단시켰고, 학교급식을 외주줘버리고 예산을 깎아서 당시에 엄청난 욕을 먹었는데, 이 템즈강 사태도 그런 것 중 하나였네요. 학교 급식은 미래의 노동인구가 될 아이들의 건강을 결정한다는 것에서 매우 중요한데 말이죠. 마치 한국의 연구개발 예산을 깎아서 가뜩이나 홀대되던 이공계를 절명케 한 어떤 술쟁이가 떠오르네요.
@youtuemaker
@youtuemaker Ай бұрын
감동..(입틀막)
@user-kc7in7gw5p
@user-kc7in7gw5p Ай бұрын
마거릿 대처때 북해산 브랜트유 가격상승때문에 정권이 유지된거지 그거 아니었으면 대처는 경제위기 악화로 망했죠
@hyeok631
@hyeok631 Ай бұрын
그리고 2000명 의대 증원 ㄷㄷ. 이공계 죽이기 !
@hayato23n
@hayato23n Ай бұрын
부패한 정부는 모든 것을 민영화 한다. 철도도 절대 민영화 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민영화라고 하면 와닿지 않아.. '공기업의 기업(민간기업)사유화'라고 해야 한다.
@dmkim7199
@dmkim7199 Ай бұрын
철도는 민영화가 맞음
@dmkim7199
@dmkim7199 Ай бұрын
특히 한국이나 일본같이 국토가 작은나라는 더욱
@hey2958
@hey2958 Ай бұрын
@@dmkim7199 철도 민영화한 영국에서 몇달 있다왔는데... 철도는 절대 민영화하면 안돼요😢 타기도 복잡하고.. 정말 해외 비행기표만큼 금액도 시간대에 따라 종류 빛 예매 시점에 따라 널뛰기에… 한국 철도 시스템이 생각났습니다.😂
@user-sy6rn6vp9r
@user-sy6rn6vp9r Ай бұрын
​@@dmkim7199글쎄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당장 코레일과 SRT의 운임요금, 서비스 등에서 SRT가 압도적이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결정적으로 우리는 유사시 전시상황을 같이 예측해야하고 철도는 전시 중 필수 군수비축물자입니다. 민영화 할래도 하면 안되는겁니다.
@neugeumma0702
@neugeumma0702 Ай бұрын
​@@dmkim7199철도 민영화하면 요금은 기본으로오르고 비슷한 역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남 현재 일본상황
@sksmsskdu1
@sksmsskdu1 Ай бұрын
전기 교통 가스 수도 민영화 되면 ㅈ된다 .. 전화 봐 kt 민영화 되고 요금 어케 됫냐 ㅋㅋ? 진짜 민영 함부로 하지말자 .. 요금은 둘제치고 관리도 재대로 안됨 ..
@impoorunii3795
@impoorunii3795 Ай бұрын
의료 민영화도
@sksmsskdu1
@sksmsskdu1 Ай бұрын
@@impoorunii3795 갓정
@Syjwidg728dhdsh
@Syjwidg728dhdsh Ай бұрын
Kt가 민영화라니...
@sksmsskdu1
@sksmsskdu1 Ай бұрын
@@Syjwidg728dhdsh 몰랏나? 한국이동통신 코리아 텔레콤 즐야서 kt .. 아닌가?
@Pinkcotton
@Pinkcotton Ай бұрын
이 짧은 글도 수정을 했음에도 됬 둘제 재대 세개가 남아있으면.. 도대체 뭘 고친거니...?
@user-nk4rn6wj6j
@user-nk4rn6wj6j Ай бұрын
한전 민영화 한다고 할때 개고생해서 안하게 됬는데.. 뒤로 다 빼먹잖아. 그래서 권력자가 돈 빼먹는 일이 쉬운거야. 한전에 전기 납품하는 민영발전소는 흑자인데 한전은 적자인 상황이야. 저거 남의 일이 아냐. 우리나라 환율 올라서 난리인데 한전 적자는 더 늘꺼야 여름되면 더 심각해질꺼야. 그때 민간 발전소는 흑자 낼꺼야. 이거 해결 해야 돼.
@kunzite2255
@kunzite2255 Ай бұрын
그것도 발전소를 다 민영화해서 그렇죠... 원래 발전까지 한전이 다 하고 있었는데.
@sssy950
@sssy950 Ай бұрын
발전 자회사들 다시 복귀시켜서 적자 메워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돈 되는 부분만 일부 민영화 한다음 적자 누적시켜서 민영화를 정당화하는 짓거리를 수십년째 해오고 있습니다
@user-gv7ns1os4q
@user-gv7ns1os4q Ай бұрын
@@user-jd5yv9bb8h이미 늦으면 전기 쓰지말까? 해결할 생각을 해야지
@jaejinlee5421
@jaejinlee5421 Ай бұрын
원전... 깔아야겠지?
@IlllIlllllIIII
@IlllIlllllIIII Ай бұрын
민영화 선동 ㅋㅋ 진짜 먹혔으면 나라 개박살났다 발전소만봐도 끄덕끄덕
@user-jq1fw2yy2e
@user-jq1fw2yy2e Ай бұрын
다른 것은 몰라도 공공재는 무조건 국유화해야 합니다. 민영화하는 순간 국민의 안전과 일상은 누군가에게 저당잡힌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maroon5337
@maroon5337 Ай бұрын
대처는 진짜 최악임
@user-do9gr2tc9v
@user-do9gr2tc9v Ай бұрын
그래놓고 장례식은 민영으로 안한게 함정 ㅌㅌㅌ
@user-bp7xc9ho1i
@user-bp7xc9ho1i Ай бұрын
@@user-do9gr2tc9vㅋㅋㅋㅋㅋ
@janghoonlee914
@janghoonlee914 Ай бұрын
철의 여인이라 하지만 진짜 최악임.. 견해에 따라 다르지만 운이 좋았던 능력 없는 여자 였음
@chs0087
@chs0087 Ай бұрын
혹시 그러면 긴축과 민영화 없이 어떤 방법으로 미국보다 50%, 서독보다 25%이상 적은 노동생산성, 10%이상의 인플레이션과 국가 예산의 30%이상을 차지하게된 복지비, 대규모 국유화로 적자만을 내게된 공기업들, IMF지원을 받아야할 정도의 재정 상태를 해결 할 수 있을까요?
@user-bp7xc9ho1i
@user-bp7xc9ho1i Ай бұрын
@@chs0087 브렉시트요 👍👍
@edith9867
@edith9867 Ай бұрын
민영화에 미친 집단은 딱 그 곳 뿐인데. 다 민영화 될까 봐 걱정하죠. 의료, 전기, 수도... 걱정 많잖아요.
@user-qp8wc1wt4v
@user-qp8wc1wt4v Ай бұрын
국힘당 정책이 민영화죠
@JPcanbeanything
@JPcanbeanything 16 күн бұрын
철도도요
@user-nh5jv3de4y
@user-nh5jv3de4y Ай бұрын
명박이가 인천공항 먹으려 그렇게 민영화추진했는데....깨시민이 있어 얼마나 다행이냐.
@TV-do2fb
@TV-do2fb Ай бұрын
또또 이명박이 민영화 하려했다는 헛소리를 아직도 하네ㅋㅋ 애초에 인천공항은 이명박 때 세계 1위 공항으로 만든건데 자기 업적을 자랑을 하면 오지게 했지 왜 민영화를 하냐고ㅋㅋㅋ 앞뒤가 맞는 소리로라도 선동을 해야 속아넘어가주는 척이라도 하지 이건 뭐...ㅋㅋㅋ 앞뒤 논리도, 사실관계도 전부 헛소리만 하고 있는데 스스로 깨어있는 시민이라고 정신승리하는건 대체ㅋㅋㅋㅋ 깨어있어서 광우병 소 먹고 지금 치매 걸린 상태고, 2014년부터 KTX 10만원, 맹장수술 960만원되는거 확정이라더니 그 돈 내고 타고 있나?ㅋㅋㅋ 그 때 데모 안하는 국민들이 노답이고 깨시민들이 그걸 막고있다더니 이미 가격 인상 확정됐다고 안녕들하십니까 하면서 대자보 쓴거 아니었음? 이명박 때 2008년에 광우병 전에 야당이 잡던 키워드가 민영화였는데 그 때도 "이미 이명박이 대중교통, 의료보험 민영화 통과시켜서 뒷돈 챙겼고 대중교통 개편, 환승 제도 및 교통 카드 도입이 민영화의 도입이다"라면서 대중교통 색상 딴 G(Green)R(Red)Y(Yellow)B(Blue)를 지ㄹ염ㅂ이라면서 매일 데모하고, 2009년부터 지하철 5천원, 감기 진료 같은 간단한 의료도 수십만원 든다더니 정작 이명박이 만든 대중교통 환승제도 덕분에 어디 한 번 가려면 환승 2~3번만 해도 3~4천원은 깨지던거 천원대로 확 줄여서 지금까지도 전국민이 그 혜택 보고 있고, 박근혜 정부 당선되니까 또 이명박 정부 초기에 했던 수법 그대로 "이미 박근혜 정부가 민영화 완료시켜서 2014년 1월 15일부터 지하철 5천원, 감기 진료 10만원, 맹장수술 960만원, 미용실 10만원 등등 모든 물가가 폭등한다"라면서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대자보 안붙은 학교가 없을 정도로 "안녕들하십니까"라고 대자보 써대고, 제대로 생각 박힌 사람이 그런 법안 통과된 적도, 검토된 적도 없다고 반박하면 저렇게 되고나면 니가 책임 질거냐고 쌍욕하더니 정작 2014년 1월은 커녕 아직까지도 그런 법안 검토된 적조차 없는데ㅋㅋ 그 때 욕하던 사람들은 지금 지하철 회당 5천원씩 내고 타고 다니나? 데모하러 갈 때도 이명박이 도입한 대중교통 환승해서, 너도나도 대자보 붙인 대학교에도 이명박이 도입한 국가장학금으로 학교 다녔겠지?ㅋㅋㅋ 그리고 한전이 원래 공기업 중에 몇 안되는 흑자 남기는 기업으로 세수 확보에 도움되고, 전세계 1위인 원전 기술 해외에 수주해서 연간 흑자 1조 넘게 남기던 공기업이었는데, 문재인 때 탈원전이라면서 현재 선진국들은 오히려 안전하게 원전 늘리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는 판에 원전을 싹 다 가동 중단 시켜버려서 매년 1조씩 외화 벌어오던 한전이 바로 다음 해에 한순간에 적자 1조 기업으로 바뀌었는데 그걸 지금에 와선 윤석열이 한전이 적자라 민영화하려고 하고 있다고 댓글 쓰네ㅋㅋㅋ 탈원전 정책 시행 직후에 한국은 자국에서도 원전 가동을 중단했는데 뭘 믿고 수주 맡기냐며 최우선 협상으로 한국이 확정적이었던 6천억짜리 수주 바로 취소되고 KAIST 등 국내 연구 중심 대학들 원자력공학과 싹 다 지원자 0명 미달 사태ㅋㅋ 그 여파로 전세계에서 한국이 원전 수주 싹쓸이하던거 아직까지도 신뢰 회복 안되고 5년동안 기술 개발은 커녕 가동조차 안했으니 프랑스 등 경쟁국들에 전부 따라 잡혀서 지금까지도 수주 거의 못따오고 한전은 적자 기업에서 못벗어나고 있는데 이건 또 윤석열 욕하고ㅋㅋㅋㅋㅋ 대체 뭘 바라는걸까?
@inseok1
@inseok1 Ай бұрын
​@@wl6784선동 같은 소리하네 펙트잖아 안찿아보고 글쓰지마하
@thom777
@thom777 Ай бұрын
MB만큼만 일하라고 그래 금융위기때 통화스왑으로 2000억달러 가져온것만으로 다 만회되니까
@teamsky7672
@teamsky7672 Ай бұрын
​@@wl6784역선동질 발동
@user-ct1gl6cq5f
@user-ct1gl6cq5f Ай бұрын
대신 인천대교를 민영화해서 가격이 미쳤죠 발전소 민영화 한거랑 같은 수법
@jupiter5331
@jupiter5331 Ай бұрын
전기.의료.수도 도로.교육등 민생과 직결된 일들은 민영화하면 안됨..
@TheCygnet14
@TheCygnet14 Ай бұрын
국민에게 필수적인 부분은 효율성이 좀 떨어지더라도 국가나 공기업이 하는게 맞음. 국가나 공기업이 해먹는 수준과 사기업이 해먹는 수준은 차원이 다름. 국가나 공기업은 같은 국가기관이 견제나 컨트롤이라도 되지. 사기업은 이건 뭐 나 사기업이요. 라면서 하고 싶은대로 해버림.
@Chi09nury
@Chi09nury Ай бұрын
민영화의 아주 안좋은 예시를 잘 알려주는 영국 ...
@kalmorning
@kalmorning Ай бұрын
경쟁이 없는 민영화는 안하느니만 못하다. 테임스워터는 악명이 자자한 매커리가 운영하던 곳이다. 지금 팔고 나갔는지 모르나 빚내서 주주 배당금 주던 곳이니 제대로 된 투자를 했을리 만무하고 그냥 빼째라를 시전하면서 빚만 잔뜩 쌓아놓고 있는 중. 배당금으로 투자한 돈에 이익까지 다 챙긴후 파산할것으로 보임.
@user-kv3hu6cq5v
@user-kv3hu6cq5v Ай бұрын
더빙 목소리 중독성있어요
@user-gt1on3px5j
@user-gt1on3px5j Ай бұрын
국유에 한정하면 세금으로 치장을 하니 일말의 양심이라도 있고 욕을 안먹기 위해, 메스컴 도배를 하지 않으려고 ‘어느 적정 수준’이라도 유지를 하려고 합니다. 민영으로 넘어가는 순간, 이익 창출과 이익 증대, 이익 우선에 밀려 ‘어느 적정 수준’은 계획에 없을 뿐더러 ’시도‘하려는 자는 매장 매도 되기 마련입니다. 역사가 증명 하지 않나.
@Warthog0927
@Warthog0927 Ай бұрын
대처가 망친것 영국군 제식소총 , 탬스강
@user-ep9rh1rg3r
@user-ep9rh1rg3r Ай бұрын
한국전력하고 의료보험 민영화되면 우찌되겠나..
@user-vh1xi5ol5s
@user-vh1xi5ol5s Ай бұрын
민영화하면 그 민영화된 기업은 성과로 세금 맥여야된다 성과없으면 매출에 60%이상 세금걷어들여야지 그럼 제대로 하던가 폭동 혁명 일어나던가 안정화 되던가 셋중 하나다
@yilee4462
@yilee4462 Ай бұрын
우유도둑여사의 업적 중 하나였군요. ㅎㅎ
@sfmania0
@sfmania0 Ай бұрын
그래서 한전 민영화하면 d진다
@user-wn6wt5ne5o
@user-wn6wt5ne5o Ай бұрын
한전 민영화 되었음. 49퍼센트 주식이 민영화 되었음.
@nicePotatos
@nicePotatos Ай бұрын
​@@user-wn6wt5ne5oㅋㅋㅋ 49퍼지분 매각이 민영환가요 49퍼팔려도 경영권은 정부소유인데? 그런논리면 삼전,현차는 미국기업이네요
@sol4793
@sol4793 Ай бұрын
당장 우리나라 고속도로만 봐도- 민영화 고속도로가 돈 더 받는만큼 좋을줄 알았는데, 무슨 ㅋㅋㅋ 돈은 돈대로 더 받으면서 관리는 더 안됨. 키로수 조금 줄어드는게 유일한 장점이라 왠만해선 이용안함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 Ай бұрын
국가귀속 한다 해도 되돌릴려면 또 수십년 또는 수세기 지나야 되돌릴수 있을듯 템스강이 18세기 이전에는 어땟는진 모르겠지만 무려 거의 2세기만에 되돌렸으니 이번에도 수십년~ 1세기 넘겨서 되돌릴수 있을듯 일단 원상 복구 하는데에 수백조~경 이상 들듯 노후 상하수도 교체와 지금까지 매립한 파이프 위치 등등 설계도면 확인 등 파이프 매립위치가 맞는지 확인 다 해봐야함 우리나라도 동사무소나 기타 등등 생기기 이전하고 수기로 작성한 도면 등 도면 실종 및 파쇄 등등 해서 매립 위치가 확인이 안되는 구간이 아직 많잖아 그러므로 영국의 경우 무려 30년 가까이 관리를 안해서 수십조~경까지 도달 할수도... 노후 상하수도 교체 비용만 총합 집계 발표 공개하길... 물론 영업이익 등등도 비교하고
@hi_hello_.
@hi_hello_. Ай бұрын
0:55 콜라 마시면 위장 속에 박테리아 없애나요?
@user-ri8yn7yo1chonig
@user-ri8yn7yo1chonig Ай бұрын
민영화하면.... 걍 국민들건강 나가리되는거지..
@user-my1jj9zm9f
@user-my1jj9zm9f Ай бұрын
요금재는 민영화 하면 안된다. 애초에 시장 진출이 어려워서 자연스레 독과점 상황이 되는데 효율화 시킨다고 민영화를 한다고? 공기업 효율화가 아니라 그냥 시장에 독과점 민영기업 하나 더 세우고 방치하는 것일 뿐임. 어느정도의 비효율을 감당해서라도 수도, 전기 같은 분야는 공기업이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해야한다.
@snow_ball_ing
@snow_ball_ing Ай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오래된 하수처리시설에 돈없는 지방정부가 투자하기 힘드니 소유는 지방정부, 운영은 DL이앤씨(대림), 한화, 금호건설, 태영건설 같은데서 운영하는 방식으로 많이 했고 고도정수처리시설 민자유치는 대전시가 할려다가 포기. 차도 몇년 지나면 교체하듯 하수처리시설이나 정수처리시설도 시간이 지나면 새로 투자해야하는데 투자비용을 1/n해서 수도, 하수도 요금에 반영하자니 반발은 심하고 욕만 들어먹을께 뻔하니 건설사는 국내 주택, 해외 플랜트(공장)건설 수익 이외에 새로운 수익원을 찾다보니 서로 이해관계가 맞아들어가 투자하고.. 비싼건 이유 없어도 싼건 다 이유가 있지요.
@junjeon660
@junjeon660 Ай бұрын
어릴때 한강을 가보며누악취에 쓰레기가 장난이 아니였는데 요즘 보면 정말 깨끗한게 대단하더라구요
@user-jn1lq2hq9l
@user-jn1lq2hq9l Ай бұрын
민간은 수익이 우선인데 공공시설을 주는거 자체가 문제임 다 알고도 주식보고 뇌물보고 준거임 우리나라 정신차리자 기본만 생각하면 답은 나온다
@user-kk2mq9hs9f
@user-kk2mq9hs9f Ай бұрын
영국에서 엉망진창이 된 일이 있다하면 여지없이 꼭 그 마녀가 튀어나오는 구만
@jks9110
@jks9110 Ай бұрын
지금 한전도 민영화 노리는 세력 엄청 많음. 국민들이 잘 감시해야됨
@TheNewYorkStockExchange
@TheNewYorkStockExchange Ай бұрын
신자유주의가 또!
@kimd9941
@kimd9941 Ай бұрын
신자유주의 운운하는거 까진 이해하겠는데 공공-필수 사업 민영화 요구하는 놈들은 아닥하고 봐라
@user-il6nv8yv7k
@user-il6nv8yv7k Ай бұрын
야들 철도까지 재국유화 했지 아마 ㅋㅋㅋㅋㅋ 민영화가 그리 좋은 거면 적자노선이나 돈 안되는 거 가져가서 지들이 살려놓으면 되는데 민영화 한다는 걸 보면 다 알짜배기 ㅋㅋ 누워서 헤엄치기 인 돈되는 것들만 가져가려고 하지 ㅋㅋㅋㅋㅋ 이제 둘다 겪어봤다 국유화-- 민영화 --국유화 ㅋㅋㅋㅋ 그럼 자연스레 뭐가 답이지는 알지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Ай бұрын
똥물+독극물이 1세기 전까지 흐르던 곳이 센강과 템즈강이었음. 이제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려하니 특단의 초치를 내리려는 듯.
@talase6828
@talase6828 Ай бұрын
박석순 교수님 오랜만이시네 ㅋㅋㅋ
@stern121
@stern121 Ай бұрын
우리도 국민의 힘..조심합시다. 호시탐탐 민영화해서 지들 주머니 채우려고 혈안이 된 것들....
@direc3607
@direc360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님아 범죄자들 득실한 민주당이 뭐가 그리좋음? ㅋㅋㅋㅋ 한번 물어나보자
@emersonlee7217
@emersonlee7217 Ай бұрын
@@direc3607 논점 이탈보소... 민영화 주장하는 세력이 국민의힘이라 이야기한건데.
@TV-wk5ft
@TV-wk5ft Ай бұрын
@@direc3607 에휴 이러니까 나라가 지금 골로가고 있지... 국가의 개입이 어느정도가 필요하니까 국유화해야하는데 느그 대통이랑 느그 당이 자꾸 모든걸 민영화 시키려고 꼼수 부리잖아. KT 민영화 시켜서 요금 올린 MB 가 좋냐? 한전도 민영화 돼봐라... 나라 진짜 산으로 간다
@TV-wk5ft
@TV-wk5ft Ай бұрын
@@direc3607ㅉㅉ
@shinwoori84
@shinwoori84 Ай бұрын
@@direc3607민주당 사람들이 저지른 범죄와 주요기관 민영화해서 국민들 호주머니 털리는 건 전혀 다른 문제 아님?? 논점 흐리지마
@user-xv7kx7sz9p
@user-xv7kx7sz9p Ай бұрын
도로나 다리 지하철도 민자건설로 짓는것도 민영화다 비싼 통행료와 지하철 요금을 낸다
@Ycmjg37143
@Ycmjg37143 Ай бұрын
근데 우리나라의 경우 도로나 다리 민영화라고 보긴 어렵죠. 왜냐하면 정부가 공사하기 어려우니깐 민간이 일단 공사하고 운영하고 계약기간 동안 운영하되 계약기간 끝나면 지자체나 국가가 소유권과 운영권을 가져가는 방식이에요. 신분당선, 우이신설선, 동북선, 신림선, 서해선, GTX(GTX-A는 그래도 서교공에서 100% 출자한 자회사가 운영합니다.)도 모두 이런 방식입니다. 9호선도 사실 이 방식이었었고요. 참고로 부마선도 민자로 건설중이지만 마찬가지로 민자회사가 계약기간동안만 선로 보수와 운영 등등을 하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다시 정부에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sk가 부실공사를 저질러 하저터널 붕괴사고가 낫거든요. 그러니 그걸 민자회사인 sk는 그걸 만회하기 위해 어떻게든 정부에 돌려주기 전까지는 이득을 내야하니깐 지하철 도입을 반대하고 있는 거고, 거기에 버스회사인 부산교통의 로비 등등까지 합쳐서 부마선엔 지하철이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TV-wk5ft
@TV-wk5ft Ай бұрын
공유지의 비극이죠 뭐.....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항상 어느정도에 통제가 필요합니다 사람들은 자연상태에서는 고삐 풀린 망아지죠... 적당한 통제가 개개인의 이익으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smithjack3497
@smithjack3497 Ай бұрын
신자유주는 완벽해서 숫자하나도 다르게 넣어서는 안된다.
@YOUJUNG2
@YOUJUNG2 Ай бұрын
아니 동네 계속도 아니고 템스강은 엄청 큰 강 아님? 경치도 유명한 강인데 언제 저렇게 더러워졌데;;;
@Coweol
@Coweol Ай бұрын
​@JulienWarton얘 왜이럼
@user-ut8pg4ly9t
@user-ut8pg4ly9t Ай бұрын
템즈강 가보면 한강급 강 아닙니다.... 생각보다 작아서 이게 템즈...? 합니다. 그냥 청계천 물줄기 대여섯개 합친규모에요
@ttota405
@ttota405 Ай бұрын
일본 철도 민영화=반성공(시코쿠, 홋카이도는 실패, 나머지는 성공) 한국 철도 민영화 예상=대실패
@user-ld9nx9tu7x
@user-ld9nx9tu7x Ай бұрын
반성공? 가서 지하철 타봄? ㄹㅇ 요금 장난없는데 ㅋㅋㅋㅋㅋㅋㅋ
@kongintent3272
@kongintent3272 Ай бұрын
​@@user-ld9nx9tu7x요금은 장난없는 대신에 새차 자주뽑고 정비 빡시게 돌리잖아 ㅋㅋㅋ
@user-vq4ux8nm7j
@user-vq4ux8nm7j Ай бұрын
@@kongintent3272 새 차 자주 뽑는다고 좋아하는 건 철덕밖에 없지 않음??
@kongintent3272
@kongintent3272 Ай бұрын
@@user-vq4ux8nm7j 맨날 도쿄메트로 타고 출근하니까 그런게 눈에 보인다는거지뭐...
@user-kc7in7gw5p
@user-kc7in7gw5p Ай бұрын
@@kongintent3272 그래서 JR 적자에 스크린도어도 없지 지하철은 꼭 필요한 SOC라 가격을 올려도 서민들은 어차피 타야함.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Ай бұрын
경기장소를 조정해야겠네
@seungjunrhee
@seungjunrhee Ай бұрын
0:20 케임브리지 재학생입니다. 옥스브리지는 그냥 SKY처럼 두 대학을 묶어 부를 때 쓰는 말이고, 옥스퍼드-케임브리지 간 연례 조정 경기의 이름은 The Boat Race입니다 😃
@newsky0
@newsky0 Ай бұрын
쥴리가 만들고싶은 대한민국
@aaswswsws
@aaswswsws 11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얼마전 ytn 민영화했고, 작년에 공공기관 보유 토지 꽤 많이 민영화 했습니다. 하나하나 다 민영화하는 중임…
@user-is8zs5mx8v
@user-is8zs5mx8v 22 күн бұрын
마가렛 대처에 암것도 모르면서 마구잡이식으로 빨던 시기가 있었지....철의 여왕이니...회의에 맨발로 한다던지...지가 신발 벗고 한다고 회의 참삭자들한테 다 벗어라 한게 멋지다고 했던 우리 언론들..하지만 실제는 민영화나 노동자 죽이기로 영국 내부에선 말들이 정말 많앗지..실제 영국 북부 탄광 노동자들은 대처 죽었다니깐 잔치를 했을 정도니
@leekunheeaudi
@leekunheeaudi Ай бұрын
보고있나. 민영화 무새들...
@user-bm5vt5yo8z
@user-bm5vt5yo8z Ай бұрын
역시 원조 해병국가인 대영오도기합짜세제국의 런던오도기합광역특별자치시의 해병천답다 프래스갱 기합레드코드와 해적푸드의 국가 해병-신사의 나라 기합!!! 여간 기합이 아니었다
@yoonpark8311
@yoonpark8311 Ай бұрын
가장 큰 문제가 돈이네요. 돈이 없으니 문제가 생기는군요...
@user-pw5rz1wl7u
@user-pw5rz1wl7u Ай бұрын
전기 의료 교통 수도 이 4개는 절대민영화 하면 안됨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Ай бұрын
민영화에 미친 정당이 하나 있지 ㅋㅋ 국민의힘이라고
@user-wk6ez2hn5p
@user-wk6ez2hn5p Ай бұрын
근거는? ㅋㅋㅋㅋ
@OrangeNet
@OrangeNet Ай бұрын
@@user-wk6ez2hn5p 대한석유공사(유공) 도 민영화해서 사위인 SK에게 던져준게 노태우고 (덕분에 지금 기름값 ㅈ같다) 이명박은 SRT도 팔아먹고, 천안논산간 도로라던지 나라 재산 친인척에게 다 팔아처먹고 또 박근혜가 마가릿 대처 따라한다고 수도 민영화 진행했는데 실제로 코오롱에서 처먹을려고 준비 다 했다가 여론에 밀려 못했지 덤으로 의료민영화도 할려고(삼성의료) 시범화네 뭐네 여러번 시도 했다가 결국 여론에 밀려 못했지 대충 뽑아도 이정도네? 더 할말 있냐?
@jjmj2475
@jjmj2475 Ай бұрын
응 아니야 문재인 원전 병크 잊지마
@hornofcat
@hornofcat Ай бұрын
@@jjmj2475re100뭔지 알지? 틀
@dev-starcluster
@dev-starcluster Ай бұрын
​@@jjmj2475 원전은 줄여가야 되는 발전소 중에 하나임
@IIllIIIllllllIlil
@IIllIIIllllllIlil Ай бұрын
민영화의 미래
@user-op9ci2ee8v
@user-op9ci2ee8v Ай бұрын
전기, 석유, 가스등 에너지. 수도, 발전, 군사 등 은 민간이 하면 안됩니다. 특히 운영이 어려워 외국에 채권을 팔면 투기세력에 좌지우지 됩니다.
@user-hx3lv1ix1o
@user-hx3lv1ix1o Ай бұрын
산업화 시대에는 지금보다 훨씬더 더러웠다는게 레전드
@user-wk6ez2hn5p
@user-wk6ez2hn5p Ай бұрын
민영화한다고 하는 특정당 지지세력이 드글드글하겠네 ㅋㅋㅋ
@user-kc6ii3fz9t
@user-kc6ii3fz9t Ай бұрын
명박이 그 새끼 수도 민영화하려코 난리쳤었는데 여론이 워낙 안좋아 포기했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끔짘하네
@zzitkkit4517
@zzitkkit4517 Ай бұрын
전기 수도 가스는 국가에서 관리해야지 민영화하면 요금폭탄에 관리까지 엉망되버림 지금 우리나라가 공과금이 다른나라에 비해서 훨씬 싼나라인데 그 이유가 국가소유 기업이라서 가능한거지 일본만봐도 전기세가 ㅈㄴ비쌈 일본전기는 죄다 민영화라서 식당에서도 콘센트꼽고 충전못함 그래서 일본여행갈땐 충전가능한 매장찾아서 충전해야되고 그외엔 함부로 충전했다가 절도죄 성립되서 처벌받고 우리나라가 헬조선 소리들어도 다른나라 살다오면 깨달을듯 우리나라만한곳 없다고
@user-oz1xv9pn9f
@user-oz1xv9pn9f Ай бұрын
민영화, 보수당, 신자유주주의... 시사하는 바가 크네요
@philippeauguste9796
@philippeauguste9796 Ай бұрын
2008,9년 즈음인가 한국 물부족 국가라고 온갖 쌩쇼했었던 거 생각나네 ㅋㅋㅋ
@Hanson0687
@Hanson0687 16 күн бұрын
공공재는 국유화해서 제대로 된 관리와 비리와 부패가 없어져야하는 것임...
@user-ch3oj8mb2m
@user-ch3oj8mb2m Ай бұрын
민영화 하자고 덤비는 놈들은 돈 받았거나, 직간접적으로 해당 기업 주주거나, 민영화 되면 돈 받거나. 셋 중 하나다.
@aakhs400
@aakhs400 Ай бұрын
민영화 하자는 놈은 삼대를 멸해야함 참고로 요즘은 민영화라고 하면 너무 알려져서인지 선진화, 효율화 등으로 말장난 하더라
@dldnjstkd2
@dldnjstkd2 Ай бұрын
정부에서 민영화 막으려고 요금올리면 난리치는 인간들이 민영화는 나쁘네 어쩌네 하는거보면 웃음도 안나옴
@CMyH7BTxHQ
@CMyH7BTxHQ Ай бұрын
당연하지 누가 내 돈 쓰면서 공공자원마냥 관리하나 돈벌이로 이용해먹을 생각만 하는 게 자본주의에서 당연한 것을
@Yepmaeniya
@Yepmaeniya Ай бұрын
마가렛이 또 대처했다.
@user-yy1np2li7v
@user-yy1np2li7v Ай бұрын
민영화보단 민영화+ 공영의 반반인 준공영제도가 좋은 듯 9호선이나 서울시내 버스도 준공영화의 대표적 예임 정치권에서 민영화하자는 건 감당할수 없는 부채나 빠른 도입추진을 위해서 주장하는거임 무조건 민영화= 나쁜것이라고 보는건 그리 좋은 시선은 아님. 이미 정치권에서 국민들이 민영화 안좋아하는데 자기들 지지율 떨어져가면서 그소리를 왜하겠음?
@el-uf3gu
@el-uf3gu Ай бұрын
120년전의 악몽.......
@jaydenwang4252
@jaydenwang4252 Ай бұрын
유럽답게 환경문제로 과징금 이빠이 물리면 알아서 회사 헐값에 국유화하고 차익이나 그 과징금으로 개선하면 좋을거같은데.. 저런거 보니까 남일이 아니네
@youngmoon8762
@youngmoon8762 Ай бұрын
이미 투자자들은 본전을 다 건졌기 때문에 망해도 상관없음. 국영화하면 오히려 정부가 망해가는 회사를 비싼 돈주도 다시 사야하는 것임.
@walkalonesky
@walkalonesky 23 күн бұрын
역시 대처군....
@ROUTE-ix4cn
@ROUTE-ix4cn Ай бұрын
템지스강 가즈아 ㅋㅋㅋㅋ
@shinwoori84
@shinwoori84 Ай бұрын
레이건과 대처가 동시기에 영미의 수장이었던 부작용이 아직도 전 세계를 괴롭히는 즁
@xIke661
@xIke661 Ай бұрын
웃긴건 이게 저기만 그런게 아님 ㅋㅋㅋㅋ 한강이랑 도쿄 오다이바 인근 해협도 저럼 ㅋㅋㅋㅋㅋ 한강은 수질 녹조랑 쓰레기 있고 일본도 똑같음 저런 강들이나 도시 근처에 있는 해협 강들은 수질 관리기 굉장히 힘들다 ㅁㄹ이 흐르지 못하고 진류되서 이게 오염되는게 큼
@it_Is_A_wONdErFUL_liFe
@it_Is_A_wONdErFUL_liFe Ай бұрын
공공 인프라를 국가가 운영하는 이유는 그 인프라가 사회에 꼭 필요하지만 그걸로 이윤추구를 하기 어려우니 국가가 세금으로 운영을 하는건데.. 그걸 민간기업한테 맡긴다는 발상은 참 어디서부터 시작된걸까... 정상적으로 운영되면 적자가 날 수 밖에 없는 것이 인프라인데도..
@blingblingggoblin
@blingblingggoblin Ай бұрын
왜 콜라로 균을 죽이려는 생각인거야 ㅋㅋㅋ
@user-ew3ng9jl6e
@user-ew3ng9jl6e Ай бұрын
이게 우리나라에서 상하수도는 무조건 공기업으로 따로 빼서 운영하는 이유 참고로 상하수도 공기업은 말만 공기업이지 사실상 각 시군구 산하 기관이고 직원들도 다 시군구청 소속 공무원임
@huslebnm
@huslebnm Ай бұрын
너무 단순화 아닌가 싶네요. 90년대에 수질이 좋아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전쟁변수도 큰 거 같은데 수질악화에...
@user-lv2iw7fg9i
@user-lv2iw7fg9i 18 күн бұрын
전기 교통 가스 수도 이런건 복지와 직관 되는 영역이다. 되도 않는 다른 복지 애쓸바에 저것들 그냥 지키고 있는것만으로도 최고의 복지다.
@user-yi6gs2sf1p
@user-yi6gs2sf1p Ай бұрын
하여간 세금 도둑놈들이 넘치네!
@user-lv2sk5co8c
@user-lv2sk5co8c Ай бұрын
민영화가 효율적이다.. 라고 주끼는 사람들은 구체적인 근거나 사례를 대보셈.. 막연히 혹은 당연히 그렇겟지.. 라고 생각하던데 틀렷음.. 민영화가 담보하는 건 가격인상 뿐..
@TAPIgom
@TAPIgom Ай бұрын
가이아나에 환경 탓하는 기자를 가진 나라답네요 역시 영국이야~
@Etoile-
@Etoile- Ай бұрын
공영화 최고~~~ 👍
@_balanceofpower
@_balanceofpower Ай бұрын
공공재를 민영화하면 국민들에게 피해가 돌아 온다는게 전세계 역사에서 증명되고 밝혀져 있다. 국내도 공공재 민영화를 통해 이득을 얻을 려는 세력이 많다. 정치하는 넘들의 민영화 시도를 경계하고 감시할 필요가 있다. 철도도 회사만 두개인척하는 민영화의 나쁜 사례.. 공항도 민영화 시도했었고 의료도 민영화 시도의 초기단계에 있다.
@dfdfedddd
@dfdfedddd Ай бұрын
76억 파운드에 인수해서 720억 파운드 배당금으로 빼먹었으니 엄청나게 노난거지. ㅋ
@user-ek7rh1we1v
@user-ek7rh1we1v Ай бұрын
저게 강이냐 하수구지...
@etsxgrrwwsfyjjfd4462
@etsxgrrwwsfyjjfd4462 Ай бұрын
산업혁명 시기 런던의 부활 ㅋㅋ
@sobang08
@sobang08 Ай бұрын
다시 18C 영국으로 돌아가는구나~~~~~~
Hot Ball ASMR #asmr #asmrsounds #satisfying #relaxing #satisfyingvideo
00:19
Oddly Satisfying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영국 음식 오해와 진실🥄ㅣ돈슐랭 / 14F
8:06
14F 일사에프
Рет қаралды 734 М.
북해 석유 끊긴 영국은 이제 망했습니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0:0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93 М.
현대판 영국 런던의 대영주, 25세 웨스트민스터 공작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