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don’t want to fail, do this” Video creating AI Sora from an incumbent in video industry (2)

  Рет қаралды 49,952

오목교 전자상가

오목교 전자상가

4 ай бұрын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shocked by OpenAI's new video 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Sora AI' is increasing. Unlike the past, this AI boast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It can produce everything from video sources so realistic that they can be mistaken for actual filming to large-scale production videos costing millions of won. In relation to this, at 'Omokgyo Electronics Market', we met with a current employee in the video industry who is producing a documentary and heard about the amazing perfection of Sora AI and the future of the video industry. Will the video industry really come to an end like this? Check it out in the video!
#sora #soraai, #artificial intelligence

Пікірлер: 252
@Leibniz1
@Leibniz1 3 ай бұрын
완전히 없어지진 않더라도 일자리는 줄어드는 거죠 여러 명이 할 거 한 둘이 하게 되니 어떤 분야던 모두 다 살아남을 수는 없다고 봅니다. 공급이 늘어도 영상 수요도 무한대가 아니니...
@BhangRonBooks
@BhangRonBooks 3 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을 단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경쟁의 격화입니다. 먼저 일손을 덜어주는 비서로서 제 몫을 톡톡히 한다면 개나소나 다 1인 기업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분야이든 진입장벽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경쟁이 격해집니다. 그 다음으로 비서 혹은 조수 노릇을 하던 사람들이 밀려나면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분야에 몰리게 됩니다. 당연히 한 자리를 두고 많은 사람들이 다퉈야 하다보니 역시 마찬가지로 경쟁이 격해집니다. 이러나 저러나 경쟁에서는 벗어날 수 없을 뿐입니다.
@stephaniekim3040
@stephaniekim3040 3 ай бұрын
영화에서 봤던것처럼 대다수의 빈곤과 극소수의 부유층이 되는 세상이 올겁니다 . 미국에서 기업가들 사이에서 기본소득제 도입해야 된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건 아닐겁니다.
@hunenori
@hunenori 3 ай бұрын
매우 공감합니다... 챗gpt든 소라든 어떤 분야이든 ai툴의 도입으로,, 사람 1~3명이 할일을,, 한명의 조금 경험있는 사람이 혼자서 이것저것 다 커버할수있게됐습니다. 즉, 유튜브 채널이든 뭐 어떤 사업 분야든 예전에는 뭔가 사업/ 업무/ 일을 하려면 사람 3~7명이 필요했던 그러한 일들을 1~2명이 할수있게되면, 나머지 잔여 2~4, 5명이 잔여인력이 되고, 그 사람도 무언가 또 일을 하려고 1인 크리에이터든, 뭐 사업이든 뭐든 뭔가를 하려고 하면,, 그야말로 경쟁의 극한의 격화죠. 창업을 안한다해도,, 어차피 운전기사, 배달시장, 뭐 치킨 튀기는 것, 커피 내리는 바리스타도 로봇 자동화 될 산업 중에 하나인데, 취직을 할려고해도, 인구대비해서 일자리가 현저히 부족해질겁니다.. 결국엔 인구가 줄어야 일자리와 인구의 균형이 맞게 되는데... 어림잡아도 한 나라 기준,, 수만에서 수십만명까지도 잉여 근로자가 발생하고, 전 세계적으로 추산해도..... 수천만명에서 수억명?의 잉여인구가 발생하게 될 확률이 높다고봅니다.
@user-ch9vu5ob9i
@user-ch9vu5ob9i 3 ай бұрын
그리고 그 잔여인력이 지금처럼 인구감소로 빠진다면, 오히려 1인사업을 하고 ai와 로봇을 활용해야 할 만큼의 대량생산을 해야 할 당위성이 사라질지도...
@japanioi7242
@japanioi7242 3 ай бұрын
웃기지 마라 현장 기술직은 수십년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완벽에 가까운 구조물을 제작할 능력을 갖추게 되는데 이런 기술직엔 사람 자체가 증발했다 힘들고 거친일을 안하지 원자력 공사 조선업 해양플랜트 등등@@hunenori
@EUTELLO
@EUTELLO 3 ай бұрын
영상작업자로서 Ai가 이렇게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는게 너무 신나고 기대됩니다 사용하는 툴의 확장이라면 같은 영상제작자라도 다룰 수 있는 스킬이 엄청 늘어나는거기 때문에 배울 것도 많아지지만 그만큼 소화할 수 있는 업무의 범주도 늘어나는거라 매우 기대됩니다. 가격이 어느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ㅠㅠㅠ 한 5년 뒤에는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조용히 기대해봅니다. 좋은 컨텐츠 다뤄줘서 감사해요
@jiseo6298
@jiseo6298 3 ай бұрын
도전을 응원합니다
@jini6580
@jini6580 3 ай бұрын
오 이 영상 너무 맘에 듭니다.. 좋은 내용이네요.
@nabiman
@nabiman 3 ай бұрын
"영화배우 OOO가 후배를 위하는 자세로 찍은 야ㄷ 만들어줘"
@jaelee5352
@jaelee5352 3 ай бұрын
영상업계니 게임업계니 대체된다는 애기보다 훨씬 중요한 건, 얘가 학습데이터들만으로 물리세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이해하기 시작했다는 거임. 인공지능이 진짜 유의미한 '지능'이 되어가고 있다는 소리. 와닿지 않는다면 눈을 감고 움직이는 사물 여러가지를 뭐든 최대한 '정확하게 상상'해보시길. 불가능하지 않지만 엄격하게 따지면 인간에게도 시각적 상상을 명료하게 구체화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임. 그 구체화가 벌써 진행되서 세계에 대한 자기만의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난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인공'지능'의 탄생이 너무 가까이 와있는게 느껴짐
@producerminful
@producerminful 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개인적으로 AI 관련해 미래 음악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다루어 주셨으면 합니다. -밥그릇이 두려운 지나가는 음악 프로듀서가-
@Always.Happy-Day.Forever.
@Always.Happy-Day.Forever. 3 ай бұрын
이젠 내눈으로 직접 앞에서 실제로 본것이 아니라면 일단 의심부터 하고 접근해야할 시대가 오는건가...?
@maracazho
@maracazho 3 ай бұрын
댓글들 보니 크건 작건 각자 밥그릇에 영향받는 사람들은 날이 서있는 느낌이네요.
@sa_s3
@sa_s3 3 ай бұрын
■대체될 영상 1. 가상인물로 만든 영화 및 다큐 2. 실제 배우 얼굴로 진행시 초상권 합의 3. 동물영상 4. 애니, 광고, 게임트레일러 등 5. 단순 재미 영상 ■존속할 영상 1. 실제 연예인의 예능 2. 실제 다큐 3. 뉴스, 부동산 매매 실물. 4. 가족 영상, 실제 천문학 우주 등 AI가 아무리 재밌어도 실제 영상은 꼭 필요하죠. 자기 자녀돌잔치를 영상 찍지 않고 AI로 생성할 싸이코 부모가 없을 것이며 아무리 완벽한 AI 아이돌이 나와도 진짜 사람 아이돌을 좋아하는 감정이 사라지지 않죠.😂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3 ай бұрын
백수는 ai시대가 올수록 더욱 불안할것이고 직장인일수록 인간이 할수있는일은 사람을 필요로 하기에 별 타격 없겠네요.
@gloryday0
@gloryday0 3 ай бұрын
영화는 완벽히 대체 안됨 그냥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 될 뿐이지.
@user-ns8ek4yt5e
@user-ns8ek4yt5e 3 ай бұрын
ai와 로봇이 같이 쓰이면 인력의 사용은 더 줄어들 듯 해요. 먼 미래라고 믿고 싶긴 하네요. 근데 예측이 안되는 게.. 이거참
@sumfilm
@sumfilm 3 ай бұрын
기술자는 일부 대체 가능해도 창작자는 대체불가라 믿습니다!! 다들 파이팅입니다! 자 그래서 출연료가…
@user-tw4pi3pr6y
@user-tw4pi3pr6y 3 ай бұрын
와우 진짜 제 직업이 날라가는거 아냐? 란 생각이 들정도네요...물론 제 직종은 생성이 아니라 판독계열이긴 한데 참으로 놀라운 기술 발전인것같습니다..
@JJ-en8iy
@JJ-en8iy 3 ай бұрын
나와 관련없는 분야라서 흥미롭게만 보다가 3:32 보고나선 생각이 많아지네 근데 기술이 없어서 그렇지 이런식으로 뽑아준다고하면 나도 뭔갈 만들어보고 싶긴하다
@user-jw2fg8pv9i
@user-jw2fg8pv9i 2 ай бұрын
인문학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시대가 오는거같아요.
@hahahoho162
@hahahoho162 3 ай бұрын
재밌게 쓰기 좋겠네 ㅋㅋㅋㅋㅋ 빨리 내 타이포 만들어봐야지
@peloruskor
@peloruskor 3 ай бұрын
적응하는 사람은 당연히 좋겠죠. 그래도 관련산업에서 사람이 할일은 줄어들지않을까요. 아니면 대량의 아마추어들이 뛰어들었는데 결과물이 프로와 큰차이가 없다면 지금의 관련업계분들의 파이는 줄어들겠죠. 물론 극소수 최정상급프로페셔널은 살아남겠지만요.
@cherubimmedia9570
@cherubimmedia9570 3 ай бұрын
FPV 드론 150만원(고프로)이 시작가격입니다^^ - 지나가던 촬영감독
@MrBiotron
@MrBiotron 3 ай бұрын
영상 비전문가들중에서, 지금의 AI 소라 영상을 보고.."아! 나는 나중에 AI SORA를 이용해서 이런 걸 해봐야 겠다..."라고 생각하고 '실천'한 사람이 승리자가 되겠죠...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그건 기존 영상전문가들이 AI를 계속 안쓰거나 시장(개인이 수익을 낼수 있는)이 계속 커질때 얘기죠. 오히려 이번에 소라덕분에 AI관심없던 전문가나 영상제작회사들에서 AI도입하고 쓰기 시작하면서 비전공자 개인들과 격차가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AI덕분에 수주단가는 당연히 확 떨어지니까 파이는 그대로거나 오히려 줄거들거구요. 비전공자들중에서도 영상 AI로 예전부터 포트폴리오를 쌓고 결과물을 많이 만들어놓은 사람들이 많아요. 소라 나오고 나서 뒤늦게 시장에 뛰어든다고 경쟁이 되겠습니까? ㅎㅎ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이 너무 많은데 다가 2025년도면 수상하죠 이게 정말 대박이라면 출시일 없이 소리소문 없이 공개하고 한동안 독점 하는데 이렇게 데모를 푸는건 2025년도에 연기할 가능성이 90%쯤 되고 나오지도 않을 확률도 있죠 이번잇슈는 소라를 사용할 사람들의 승리가 아니라 소라만든 OPEN Ai겠죠 투자금 엄청 날거에요 저는 여기서 CDPR이 보이네요 솔직히 모두의 예상처럼 헛소리를해도 좋은 영상을 만들어주는 AI가 나오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신기술에 너무 디어서
@한국마인크래프트
@한국마인크래프트 3 ай бұрын
재업했으니 다 다시 봐야지 ㅎ
@_Faktil
@_Faktil 3 ай бұрын
지금은 슈퍼컴퓨터 수십대가 지구어딘가에있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전기엄청 써가면서 만들겠지만. 스테이블디퓨전같은 최적화되는 AI가 나오는건 시간문제겠죠. 사이버펑크하려고 산 그래픽카드들로 AI돌리는 시대…
@mrson-rf5xg
@mrson-rf5xg 3 ай бұрын
싸펑 😂
@star-sapphire
@star-sapphire 3 ай бұрын
결국 미래엔 AI 툴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응용해서 쓸 수 있는지가 중요해 지겠네요. 그런 사람들 중심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적은 인력으로 무슨 일이든 해결이 될테고~ 미리 겁 먹을 필요는 없겠지만, 그래도 시대의 흐름에 나름대로의 준비는 해야 할 듯
@pheobe718
@pheobe718 2 ай бұрын
다수의 인원이 수행하던 작업량이 절대적으로 줄어드는것이라서 결국 절대적인 창작자의 기획력이 너무 중요해지는 떄가 되겠네요 어쩌면 생각만 하던 창작물을 시도해볼 기회가 더 올것 같기도 하네요 애매한 능력의 사람들은 도태될 수 밖에 없는 미래가 오겠군요. 어쩌면 인구가 줄어드는게 다행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user-us4xd3hz9e
@user-us4xd3hz9e 3 ай бұрын
언리얼엔진은 게임 뿐 아니라 CG업계에도 큰 혁신을 불러왔는데 소라는 소스 영상, 인서트, 컨셉 이미지 등을 아주 쉽게 뽑을 수 있을거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2.5D 카메라를 이용한 CG 기술에 혁신을 불러오겠네요. 제작 과정 자체에 변화가 생길수도 있겠어요
@user-ll5nt6ms7u
@user-ll5nt6ms7u 3 ай бұрын
10:19 순식간에 길어진 아기의 팔 ㅋㅋ
@YDSnim
@YDSnim 3 ай бұрын
다시 올렸네
@chachacha393
@chachacha393 3 ай бұрын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 정말 가늠하기 어렵네요
@_Faktil
@_Faktil 3 ай бұрын
2:50 심지어 이런장면 만들려면 드론을 뛰우고 그 뒤에서 다른 드론이 똑같이 따라가야하는 드론 2대활용……
@G78145
@G78145 3 ай бұрын
영상 제작자 입지를 걱정하는데 그래픽 디자이너는 대체되기를 바라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AI반대하는 애들 얘기 그럴듯해보이지만 사실 알고보면 다 내로남불 지 밥그릇 싸움이죠 ㅋㅋ
@firewatch9277
@firewatch9277 3 ай бұрын
ai 관련 밥그릇 운운하는 애들이 제일 모르고 저지능자라 대화도 안됨 ㅋㅋ
@MrBrianJung
@MrBrianJung 3 ай бұрын
현재 사용하는 AI모델의 특징이 확정형이 아닌 확률형이다보니, 내가 원하는게 비슷하게 나올수는 있지만 그대로 재현하는건 애초에 불가능합니다. 이미지의 경우에는 컨트롤넷같은걸 써서 특정 동작을 그대로 모사하게 한다거나, 다양한 LORA를 이용해 이런 약점을 보강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근본은 확률이거든요. 영상의 경우에도 모델의 근본이 달라진게 아니다보니, 출연자가 말한것처럼 컨셉 트레일러를 제작한다거나 클립영상을 대체한다거나 하는건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커머셜이나 영화, 드라마 제작 자체를 이걸로 대체하는건 매우 어려울것 같습니다. 그게 가능해지려면 모델 자체가 확률형이 아닌 확정형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그건 현재 AI의 기술프레임웍 자체를 뛰어넘는거라 완전 다른 얘기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인간이 뭔가를 기억한다는게 그 장면을 컴퓨터가 이미지 저장하듯이 하는게 아니거든요. 다른 것들과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비슷하게 저장합니다. 정확한게 아니구요. 그런 인간의 신경모델을 모사한게 현재 AI모델이기때문에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컨셉 트레일러만 활성화되도 영상제작 관련 제반작업의 효율을 상당히 높일수 있어서, 대단히 유용한 생산성향상 수단으로 자리잡을건 확실합니다.
@beetvankim4983
@beetvankim4983 3 ай бұрын
영화나 드라마 제작도 사실 각 파트의 스태프가 제시해 준 안 가운데 최종 결정자인 연출자가 상상했던 것의 근사치를 고르는 시스템이 대부분이지요. AI는 프롬프트가 디테일 할수록 근사치로 재현을 해주고 그림이나 사진을 제공하면 그걸 그대로 영상물로 바꾸기까지 하는데 과연 드라마나 영화를 못 만들까요? 우선 광고영상이 가장 먼저 대체될 거라고 보고 드라마와 영화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실제 인간이 연기 하는게 아니기에 감동은 약할 수 있고 그렇다면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확률이 높죠.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3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결과를 받기까지의 시간'이 문제임 그래서 AI는 지금 투자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부터 대체되고 있는거임. 프로그래머 대체된다 대체된다 이러고 있지만, 대체 안됨. 왜? AI가 코드 짜는 시간보다 사람이 코드 짜는 시간이 더 빠르거든. 많은 양의 코드를 작성해야할때 지금단계의 AI는 사람이 '모르는걸' 알려줄 순 있어도, 사람보다 빠르게 짤 수가 없음. 근데 그림이나 영상의 경우는 아무리 실력이 좋아도 시간이 오래걸림. 그래서 그림, 영상부터 대체되는거임. 이 다음 스텝은 이제 모델링이 대체당할꺼임. 100%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3 ай бұрын
이 분야는 시간의 논리에 따라 정복순서가 정해짐. 돈으로 극복할 수 없는 시간을 정복하기 위해 AI가 쓰이는중임.
@user-sv3tr5bf4b
@user-sv3tr5bf4b 3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 해결하려면 Ai의 근본을 바꿔야하는데 이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님
@user-yq5bk4to7h
@user-yq5bk4to7h 3 ай бұрын
3:25 미쳤네 진짜;;;; 이게 초반 모델의 이해도라면 걍 나중에는 혼자서 아바타 만들겠는데용.. 과장아니라
@MOVE-ct7id
@MOVE-ct7id 3 ай бұрын
20년 지나면 어떤 세상이 되어있을지 가늠이 안되네요
@britz033
@britz033 3 ай бұрын
몇몇 사람들이 AI를 그냥 합성 같은걸로 평가절하하기도 하는데 원래 사람은 본인들의 다양한 경험,지식,보고 들은걸 '합성'해서 창작하는겁니다. 뭐 영혼에서 나오는 그딴게 아니예요. 당장 평생 남자만 본 사람은 절대 설명만으로 여자를 창작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어떻게 그렇게 창조적인가.. 그건 압도적인 정보량을 가지고 합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기본장착하고 있습니다. 눈,귀,촉감,맛,냄새.. 그런 다양한 입력장치로 그냥 길을 걷는 것만으로 수백 수천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습득합니다. 그리고 그걸 살아가면서 십수년, 수십년을 수집하는거예요. 그런 방대한 데이터 아래 창작을 하는겁니다. 지금 AI는? 아직 그런 다양한 데이터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테라를 넘는 페타 단위수준의 그림 같은걸 모아도 포즈를 취한 유사한 사진들이 절대적이고 자연스러운 여러상황, 냄새, 촉감, 분위기 이런건 하나도 입력받지 못합니다. 그런가운데 저정도로 만들어내고 있는거예요. 만약 좀더 인터페이스를 개선해서 구글맵만들듯이 직접 수집하는 장치를 돌린다면? 인간과 유사한 수준의 데이터를 받게 된다면? 진정한 창의력을 보게 될겁니다.
@user-nx7ew5ru8s
@user-nx7ew5ru8s 3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기술이 발전하면 그만큼 빨리 배워서 활용하면 그만 아닌가? 오히려 좋아 이런 느낌이었는데 요샌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다 보니 두려워지기 시작하네요 로봇 공학 발전 속도도 엄청나던데 살아 생전 특이점이 오나...싶기도 합니다
@Preciouskim9595
@Preciouskim9595 3 ай бұрын
배워서 활용하기도 전에 또 새로운게 나타날거 같은데요
@잇슐랭
@잇슐랭 3 ай бұрын
이것은 데자뷰....?
@Shineyongs.
@Shineyongs. 3 ай бұрын
유니티 3D엔진과 비슷하면서 확장된 느낌.. 현실에는 구현하기 힘들걸 가능한게 놀랍네
@pdjay8912
@pdjay8912 3 ай бұрын
kzbin.info/www/bejne/kJ-WhaR3e5mnhc0 ai로만든 쇼트필름입니다. 엔딩크레딧에 정보가 있네요. 근데 소라 나오면 모두 평정할듯 하네요..
@southpark2577
@southpark2577 3 ай бұрын
글쎄... 타자기가 나오며 글씨써주는 대필가들이 사라지듯.. 영상편집전문가들의작업이 유튜버도 혼자서 할수 있도록 대체되듯.. 상상력만 있다면 누구나 마음대로 영상으로 만들 수 있게되기에 제작자는 늘어나지만 전문영상제작자의 영역은 사라질듯
@user-cy6hk6ez1i
@user-cy6hk6ez1i 3 ай бұрын
인간과 협력하는 과도기는 길지 않아요 종국엔 인간이 치워지고 온전하게 ai만 있을겁니다
@UknongTV
@UknongTV 3 ай бұрын
언리얼 엔진 5!
@wamma-0224
@wamma-0224 3 ай бұрын
8:26 이때 소라가 출시되는 게 맞나요? 저도 관련 영상 만들면서 찾아봤는데 출시일 관련 언급을 본 적이 없어서 정보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TTL-oe5yz
@TTL-oe5yz 3 ай бұрын
개인이 무료로 사용하기에는 좋다. 하지만 어차피 큰 대행사는 개인과 거래하지 않는다. 기업은 어차피 외부에 맡긴다. 그러니 대행사가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수주할 가능성이 크다. 영상업자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좀 더 작아진 시장에서 실력 있는 사람이 더 많이 처리한다
@Zealot2049
@Zealot2049 3 ай бұрын
정리 : 일자리의 종류는 새롭게 생겨나겠으나, 거기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컷트라인은 지금보다 말도 안되게 높아진다. 비유하자면, 앞으로 농구선수는 전성기 시절 서장훈이나 현주엽급이 아닌 르브론 제임스, 샤킬 오닐급은 되어야 취업이 가능해진다. 그 아래 지망생~서장훈급은 Ai가 수십배 더 싸고 수백배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전성기의 서장훈급만 되어도 감지덕지 하겠지만, 이제는 그보다 훨씬 윗급의 샤킬 오닐이 되어야 당신은 취업할 수 있다. 당신은 과연 0.1%에 들어갈 수 있겠는가?
@flytothemars
@flytothemars 3 ай бұрын
​@@Zealot2049최소 대학원 석사 나온사람들만 채용되는 세상이 될수도....
@monstershonda
@monstershonda 3 ай бұрын
좀더 작아진이 아니라 엄청나게 줄어들겠죠. 말같지도않은 소리하마세요. ㅋㅋ 키오스크때문에 인력엄청줄였습니다.
@user-dg9ji7bf3l
@user-dg9ji7bf3l 3 ай бұрын
​@@0in813접근성이 더 좋아지고 있는만큼 공급이 이전보다 더 크게 증가하는건 문제 아닐까요? 종편과 유튜브, ott가 방송3사의 허리를 휘게 만들고 틱톡과 쇼츠가 범람하면서 그 종편과 ott도 시청률에 타격을 입고...개인이 손쉽게 적당한 영상을 마구잡이로 뽑아낸다면 그 속에서 나를 어필하기는 더 어려워지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user-dg9ji7bf3l
@user-dg9ji7bf3l 3 ай бұрын
​@@0in813그리고 수요가 무한하지 않다는 것도 문제겠네요. 인구와 시간은 한정된 자원인데 어떤 사람들은 무료로 풀리는 영상들에 많은 시간을 쓰게 되기도 할거구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순간이 오지 않을까요?
@JKh777
@JKh777 3 ай бұрын
먼 혹은 가까운 미래에는 ai가 인류를 위협 할 정도로 발전을 하겠지만, 결국 인류가 규제를 가할 수 밖에 없을거라고 본다. 아니라는 분들은 왜 아닌지 설명 좀 부탁. 그 생각이 진심으로 궁금해서 그럼
@phj9894
@phj9894 3 ай бұрын
미국,유럽이 AI 위험 하다고 해서 규제를 가햔다 치면 중국이 그 틈에 Ai 발전시켜서 빠르게 치고 올라올테니까요.
@jaelee5352
@jaelee5352 3 ай бұрын
규제라는 것 자체가 무의미함 도대체 정부의 관리감독을 어디에서 어디까지로 정할 것인지 불명확하고 무엇보다 쏟아지는 오픈소스 모델들의 개발은 도저히 막을 방법이 없음 지금 eu니 미국이니에서 규제한다는 얘기가 거진 시늉일 수 밖에 없는 이유임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하루라도 더 빨리 (진정한) agi를 보유한 집단의 모든 분야 경쟁력이 다른 국가들보다 1000년을 앞서게 될거임 핵무기와는 비교도 안되는 파괴력을 갖는 전략자원이란 말
@vpqnpr5797
@vpqnpr5797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저걸 무슨수로 규제할건데요
@user-cy7og3lu8l
@user-cy7og3lu8l 3 ай бұрын
핵으로 지구를 전멸 시키지 않는 이상 규제는 힘들다고 보면 됌.
@user-dg9ji7bf3l
@user-dg9ji7bf3l 3 ай бұрын
근데 오픈소스는 무슨 수로 규제하나요? 그걸 몰래 쓰는 사람은 어떻게 잡아요? 막는다고 막아지는게 아니라서 확고한 우위를 점할 때까진 계속 달릴듯 하네요
@user-uw1ur4ty3b
@user-uw1ur4ty3b 3 ай бұрын
와 개인이 아이디어만있다면 게임하나가 그냥나오겠내요 영화도 만들고
@hongjaeya
@hongjaeya 3 ай бұрын
제 생각엔 리얼타임 촬영기록 제작물을 원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테구요, 지금 몇개 영상을 살펴 봤지만, 아직은 시작 단계라... 몇몇 부분이 어색하고 이상한 곳이 상당히 많습니다. 지금 단계만으로 따지자면 뒤 패널 분들이 말씀하시는 그런 제작 도구로서의 확장의 단계..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AI라는걸 생각해 보신다면, AI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실수도 줄어듭니다. 리얼타임으로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수정을 거듭하면서 퀄리티는 점점 높아질거구요~ 명령하고 입력하는 방식 자체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면서 매우 간편하면서도 디테일하고 명령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알아듣는 수준도 개선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완전한 멸종까지는 아니고, AI를 잘 활용하고 제어하는 회사가 생겨날 것이고, 그런것을 잘 다루는 엔지니어들이 각광을 받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물론 그것도 대체되는 날이 언젠가는 오겠죠. 그렇다고 완전히 실제 장면을 기록하는 제작자가 사라지진 않을 것입니다. 그것 또한 나름대로 요구하는 니즈가 있을 것이고, 오히려 사람이 찍은 것 같은 느낌을 잘 담은 컨텐츠들이 인기가 많아 질 수도 있겠죠. 특히.. CG, 그래픽 디자인 회사들... 포스트 프로덕션 같은 스튜디오 회사들의 타격이 굉장히 커질 것입니다. 다만 두려운 것은... 이런 고퀄리티의 기술을 너무나 쉽게 제어 및 제작이 가능하다면 그만큼 그것을 이용한 범죄도 많아질 겁니다. 그게 정말 우리가 두려워 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그 때를 잘 준비하고 잘 분별해나가야겠죠.
@OULLIM_SP
@OULLIM_SP 3 ай бұрын
긍정적으로 생각해보면 오눌날 보컬로이드나 AI 계열의 서브컬쳐 음악과 사람이 직접 부르는 기성음악이 양립하듯이 변할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보컬로이드 같은 프로그램도 요즘 매우 발전하여 사람의 창법까지 따라할 만큼 손색이 없지만 정작 내가 좋아하는 아티스트, 프로의 손길이 닿은 작품을 보고싶어 여전히 기성음악 시장이 비교도 안되게 큰 것 처럼요ㅎ 결국 작품을 책임질 책임자 자리 만큼은 여전히 남을 것 같습니다.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보컬로이드가 발전이라는걸 했나요? 10년전에 씨유 나오는거보고 관심이 없어져서 생각도 못하고 있었는데 야마하가 아직 그걸 밀고 있나요? 미쿠는 버전업 하고 있나요? 기술이 발전하는건지 실력이 발전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OULLIM_SP
@OULLIM_SP 3 ай бұрын
​@kim63804 이후로 Synth V, vocaloid6 등 버전 업 및 경쟁제품의 등장과 AI의 융합으로 요즘은 꽤 출중합니다. 특히 Synth V AI 모델은 개인적으로 꽤 괜찮게 들려요.
@geonmin
@geonmin 3 ай бұрын
저분이 보컬로이드랑 ai노래랑 동일선상에 놓아서 그럼. 보컬로이드는 그대로인데 보컬ai는 퀄이 굉장히 좋습니다. 물론 학습 샘플은 필요합니다.
@Zealot2049
@Zealot2049 3 ай бұрын
정리 : 일자리의 종류는 새롭게 생겨나겠으나, 거기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컷트라인은 지금보다 말도 안되게 높아진다. 비유하자면, 앞으로 농구선수는 전성기 시절 서장훈이나 현주엽급이 아닌 르브론 제임스, 샤킬 오닐급은 되어야 취업이 가능해진다. 그 아래 지망생~서장훈급은 Ai가 수십배 더 싸고 수백배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전성기의 서장훈급만 되어도 감지덕지 하겠지만, 이제는 그보다 훨씬 윗급의 샤킬 오닐이 되어야 당신은 취업할 수 있다. 당신은 과연 0.1%에 들어갈 수 있겠는가?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Zealot2049 걱정할수준은 아닐거에요 전 픽사의 토잇.토리나올때 갑자기 영상학과가 생기고 3D 학원이 생기고 3D는 나만하는건줄알던 시기에도 비슷한 위협을느꼈지만 별거 아니더군요 샤킬오닐급일지라도 누구나 샤킬오닐이고 보통 조던 급이겠지만 진입장벽은 초딩 수준 요즘 힘든거 다들 싫어하잖아요
@mi_dong
@mi_dong 3 ай бұрын
저는 이 영상을 보고 모든 창작이라는게 취미의 영역이 되는 날이 올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고 먹고 살기 위해서가 아니고 그냥 재미로 만드는 사람과 재미로 보는 사람들만 있는 거죠.(돈의 개념이 사라진다는 것은 아니지만 굳이 생존을 위해서 돈을 꼭 벌 필요는 없는?) 아직은 부족하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정말 만들고 싶은 영상은 혼자서도 다 만들 수 있는 세상이 온다면, 그정도 세상에서까지 먹고 살려고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인간이 너무 이상하게 느껴질 것 같아요. 날씨 문제도 그렇고 인간의 수 문제도 있고 아직도 먹고 살기 힘든 나라도 많을테니 현실성이 없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만... 대부분의 현실은 그대로이고 ai 때문에 일자리가 엄청나게 줄어들기만 한다면 어떻게 될지...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그래서 계속 인구수 줄이겠다고 하는거에요.
@user-xf3uq3jk7t
@user-xf3uq3jk7t 3 ай бұрын
음악을 넣을 수 있으면 가사와 음악을 넣고서 타이포그래피 뮤직비디오 만들어달라고 해도 될듯 해보여요 영상은 하나도 모르고, 음악만 한다고 하면 이런 부분들이 싸게 먹힐듯 해보이네요 반대로 영상만 하고, 음악은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음악 제작 인공지능을 사용하듯...
@user-xf3uq3jk7t
@user-xf3uq3jk7t 3 ай бұрын
개인이 지불하는 비용이 낮아진단 얘기는, 그만큼 문턱이 낮아진다는거고, 곧 더 다양한(그리고 나쁘게 말하면 질 낮은...........)창작물들이 나온다는거니까요.
@bzunn6960
@bzunn6960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진입장벽이 낮아짐= 경쟁강도 상승이죠. 자기 색 없이 ai로만 제작한 게 양산된 영상들이 범람할텐데 그럼 공부와 기본이 필요할 거고 결국엔 기존에 하던 사람들이 유리한거죠. 그래서 저는 기존에 잘하시던 분들은 비용/시간을 아끼기 때문에 베네핏인거지 걱정할 필요 없다 생각합니다 ㅎㅎ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이미 되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bzunn6960 그렇게 일차원적으로 생각하면 안되죠 ㅎㅎ 경쟁력이 있는건 기존 전문가가 AI를 빨리 받아들이고 잘쓸때 얘기고..비전문가들이 AI를 쓴다고 그 분야 공부 안하고 AI만 쓰겠습니까? ㅎㅎ 어차피 돈을 지불하는 입장에서는 싸고 빠르게 좋은 결과물만 얻으면 되기 때문에 둘다 잘하는 사람이 만든 작업물을 사려고 하겠죠. 점점 더 요구하는 퀄과 속도는 올라가고 가격은 떨어지는겁니다. 유튜브 이후 영상 편집쪽 어떻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한번 보세요. 문제는 AI는 로봇과 함께 모든 직업을 대체할수 있거나 쓸수 있다는거고 남은 소수의 일자리를 두고 AI를 잘쓰면서 기존분야를 학습한 사람, 기존전문가중 AI를 잘쓰는 사람들끼리 경쟁하고 그중 일부만 살아남는거에요. 결국 현재 수준으로 돈을 벌수 있는 개인은 극소수만 살아남는겁니다.
@-mt3gv
@-mt3gv 3 ай бұрын
제발 내 일자리는 건들지마애아아아아ㅏ아
@user-yz6yq4vk8m
@user-yz6yq4vk8m 2 ай бұрын
9:35 배우가 직접 연기 안 하고 농땡이 치듯이 얼굴만 팔고 살까요? 본인 꿈이 캐릭터 연기에 몰입하는게 좋아서 배우의 길을 가는 것일텐데, 저 분이 말하는 건 배우들의 마음가짐을 쉽게 생각하는 경솔한 발언인 것 같습니다.
@user-no4jo1hz6s
@user-no4jo1hz6s 3 ай бұрын
우주가 시뮬이라는걸 슬슬 인정 해야하지 않을까~~~?
@babyratata6861
@babyratata6861 3 ай бұрын
글쎄요 지금 나온 수준에서 생각했을 때 창작자가 용이하게 쓸 수 있는 도구다! 라는 결론이 나오는거지 그 이상 발전 했을 때에는 이야기가 완전 다르죠. 에이아이는 10년 20년 계속 발전을 거듭할텐데 지금 보는 퀄리티는 에이아이 기술 역사상 가장 허접한 수준일겁니다. 불과 1~2년만에 어지간한 그래픽 아티스트는 아예 꿈도 못꿔볼 저 나비+드론 합성샷을 만들어 내고, 작업 시간은 아무리 오래 걸려야 반나절도 안 걸렸을거 같은데 저걸 현직 작업자가 혼자서 한다면 초고수 아니고서야 기본 1주는 넘게 걸리겠죠 에이아이가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발전할지가 관건이겠지만 이대로 계속 발전한다면 영상업계에 분명한 타격이 있을겁니다.
@hyoleekim
@hyoleekim 3 ай бұрын
맞아 실제를 촬영한다는 건 의미가 살아지지는 않지.
@user-zm8yi6xi6i
@user-zm8yi6xi6i 3 ай бұрын
참고로 6개월전 소라만든 회사에서 내논 동영상운 개판이었음 근데 고작 6개월만에 이발전 속도면 진짜 노답.........ai가 대본 만들고 ai가 더빙하고 ai가 영상을 만들고 ai가 편집까지 한다면.....
@user-jo6hl1pf7n
@user-jo6hl1pf7n 3 ай бұрын
이미 완성도는 낮지만 그렇게 할 수 있어요. 곡도쓰고 작사도하고 노래도하죠. 대본 써달라하면 써주고 시나리오 다 작성해주고 오류가 많이 나지만 영상도 뽑아주더군요. 목소리 더빙도 해주고 ..영상, 음악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요즘 직접 사용하면서 드는 생각은 희망과 공포예요. 그래도 희망에 더 걸어보고 싶네요
@monstershonda
@monstershonda 3 ай бұрын
AI 기술이발전하면 디자이너가 90% 이상 필요가없습니다.뭘 이용을합니까. 사업주만 좋은거죠. 키오스크 쓰는데 옆에 계산원을 줄였나요 아님 늘렸나요? 줄였죠. 콜센터도 AI가 하는데 그사람들 다른일 시켰나요? 사업주 입장에서 인건비를 줄일수있는건 엄청난 이득입니다. 사업소득이 되겠죠. 디자이너는 거의 죽었다고 보면됩니다. 다른일하세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다른 일도 사라지는데요?
@MOVE-ct7id
@MOVE-ct7id 3 ай бұрын
다른 일이 뭔지 써주셔야죠
@user-nq9oc4iu3j
@user-nq9oc4iu3j 3 ай бұрын
@@MOVE-ct7id번역쪽이랑 선생님 들도 위험함
@the8tontruck
@the8tontruck 3 ай бұрын
어지간한 사무직도 다 대체 가능 합니다
@philipuuu991
@philipuuu991 3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대체 안되는 직업은 정치인 밖에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y4cd1wl9k
@user-iy4cd1wl9k 3 ай бұрын
메이져영상제작자가 죽는게아니라 기타 하청 장비관련업체들이 죽을듯..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3 ай бұрын
AI가 님 프사 같은 건 학습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ridbdb
@ridbdb 3 ай бұрын
영상 단가가 낮아지겠지... ;;
@book6076
@book6076 3 ай бұрын
오히려 좋아? 너도나도 다할수잇는 직업은 어떻게 될까
@DEUS_VULT_33333
@DEUS_VULT_33333 3 ай бұрын
결국 파인튜닝에도 생성에도 자본과 시간이 오질나게 들어가서 직종이 사라질만한 수준의 범용성이 없기 때문에 현직자들의 비용을 줄이는 수준에서 그칠것같습니다 당장 음지 만화업계만 봐도 단순 프롬프트만으론 어림도없고 XL 터보 모델로 실시간 i2i + 후편집으로 작업을 하는데 수백만원짜리 컴퓨터를 사서 자기만의 파인튜닝 sdxl 모델을 만들어서 일을 해도 결국엔 그리는 시간 단축이 고작이니까요
@Tootlew
@Tootlew 2 ай бұрын
스마트폰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카메라 시장이 폭삭 주저앉은거랑 비슷하게 될듯 AI가 건드리는 분야마다
@user-wx5nm6vf5c
@user-wx5nm6vf5c 3 ай бұрын
아마추어정도가 힘들거라고 생각함 프로들 수준까지 대체를했다면 이미 거의대부분 직업이 대체당한거임 이럴경우 어차피 일할필요가 없는 사회가 이미 달성된거 ai가지고 작업해본사람이여야 이걸 이해하는데 texttoimg도 단어고르는게 실력임 ㅋㅋㅋ 그리고 몇백장 뽑아서 거기서 좋은이미지를 고름 이경우에도 결국 보는 눈이 필요함 단어야 공부하면되지만 보는눈을 기르려면 직접그려보는것도 좋고 경험치도 있어야됨 영상도 비슷할거라고 생각함 ai가 나오면 뭐함 그거가지고 작업도 안해보고 이분야는 대체당해서 안하고 저분야도 대체당해서 안하고 ㅋㅋㅋ 신포도질이나 하는데 개인에게 기회가 더열린거임 기업에서 개인이 ai라는 아마추어들을 데리고 1인기업처럼 살수있게 된거 여기서 더발달해서 모든게 프로수준이되면 그이후부터는 일할필요가있음? 모두가 다똑같을텐데 신포도질 하는게 참 어이없음 ㅋㅋ
@user-wx5nm6vf5c
@user-wx5nm6vf5c 3 ай бұрын
꺼억 잘벌고 있습니다 ai나오고 ㅋㅋ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ㅇㅇ당분간 초저비용+효율성의 1인기업, AI,로봇 및 관련 기술보유한 초거대기업 두부류가 살아남을거고.. 1인 기업들이 내는 생산성과 창의성을 능가하는 AGI들이 나오기 시작하면 님말대로 아예 일할필요가 없는 시대가 오는거지 ㄷㄷ
@hae-e
@hae-e 3 ай бұрын
접근성이 올라가니까 오히려 경쟁력있는 직업이 될수도 있을거같은데요?
@user-gi7yo7mf1l
@user-gi7yo7mf1l 3 ай бұрын
AI가 적응하듯 인간도 그에 맞게 적응해 나가겠죠. 30여년전 3D MAX와 연이어 라이트웨이브, 라이트 스케이프의 충격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이 설자리가 없어질거라 했지만, 그에 맞게 잘 적응하고 스스로를 발전시켰죠. 지금의 상황은 그 이상의 상상을 초월하는 단계같습니다. 아날로그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만이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생존할 가능성이 클거라 생각됩니다.
@user-kv8ho9zp7w
@user-kv8ho9zp7w 3 ай бұрын
얼마 안남은건 맞음 굳이 영상, 디자인 이쪽 뿐 아니라 이미,, 경리나 단순 사무직 이런것도 포함 오히려 사람이 직접 일을 해야하는데 기계를 쓰자니 너무 비싼 단순 노동이 살아남을 것 같은데요 ㅋㅋ 사람냄세가 꼭 필요한 서비스직이나... 아무리 낙관적으로 AI를 이용한다해도 결국에 디자이너 100명이 하던일을 20명이 AI를 활용해서 메꿀수있게 되는겁니다. 나머지 80명은 OUT..
@philipuuu991
@philipuuu991 3 ай бұрын
그냥 어떤 직업에 있어서 AI로 대체되어지는건 시간의 문제임 ㅋㅋ 이미 프로그래밍 쪽은 이미 ChatGPT를 안쓰는 사람들이 없어졌음.. 그리고 OpenAI사가 ChatGPT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AI의 특이점을 본게 분명함 ㅋㅋㅋㅋㅋㅋㅋ 실제로 ChatGPT 6~7까지는 개발단계에 들어서면 말도 안되는 사회적 파장이 있는것이 아닐까?? 유럽에서도 최근 AI에 관한 법률을 부랴부랴 만드는거보면 분명 우리가 모르는 뭔가 있음
@newstime777
@newstime777 3 ай бұрын
그때 되면 대본을 쓸 필요도 없겠지요. 그냥 Ai가 만든 영화를 고르기만 하면 될텐데..
@user-pk3xx3tf8p
@user-pk3xx3tf8p 3 ай бұрын
유니티 같은 기업은 사라지겠죠?
@_Faktil
@_Faktil 3 ай бұрын
인터랙티브경험과는 아직 많이 다릅니다. 시간이 지나면 또 다르겠지만 지금 유니티같은 게임엔진과 비교할수는없습니다. 초반에 언리얼엔진과 비교한건 실시간 렌더링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했을것이다 라고 예측하는 것 뿐이죠. 하지만 최근 실시간 AI 이미지렌ㄹ더링, 처리등에 대해서도 개발이 이루어지긴 하기때문에 먼 미래에는 영향을 받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sora는 아니에요!
@odh1138
@odh1138 3 ай бұрын
게임엔진과 결합해서 시너지를 내지 않을까요
@_Faktil
@_Faktil 3 ай бұрын
​@@odh1138 지금도 사실 리얼타임 렌더링에 딥러닝이 사용중입니다 DLSS나 언리얼엔진의 TSR등에서 업스케일링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저렇게 아예 새로운 씬을 생성하고 변형하는건 지금 시도들을 하고 있지만 시간이 조금은 걸릴것 같습니다 곧이요
@서진입니다
@서진입니다 3 ай бұрын
@TrinSevenZ
@TrinSevenZ 3 ай бұрын
웃을수있을때 웃어야지 곧 짤릴텐데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3 ай бұрын
아.ㅋㅋ 얘기 듣다보니,,, 결혼식때 신랑신부 연얘사진 막 보여주는데,,, 선 본 사람들은 그게 없잖아요..ㅋㅋㅋ 보여줄 사진이 거의 없음... 보여줄 사진을 얼굴만 합성해서 ai를 이용해 어디 여행 많이 다녀온 것처럼...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j7jv3vj7w
@user-mj7jv3vj7w 3 ай бұрын
전문가분도 미래는 아직 잘 모르겠다로~...
@Massan_Aguijjim
@Massan_Aguijjim 3 ай бұрын
20년 전에는 Aoi Sora가.... 이제는 Ai Sora가...
@Lechan897
@Lechan897 3 ай бұрын
라임이 좋네여~
@michellechoi8303
@michellechoi8303 3 ай бұрын
이런 댓글 안 달고는 못 배기는건가? AI sora 영상에는 다 이딴 댓글뿐임
@mifan6894
@mifan6894 3 ай бұрын
뭐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간만에 웃었네
@ana_sarca
@ana_sarca 3 ай бұрын
​@@michellechoi8303나이가 좀 드신거 같네요 유희가 사라져가고 있음
@user-cg2dm6kk5p
@user-cg2dm6kk5p 3 ай бұрын
인정
@kim-chibok
@kim-chibok 3 ай бұрын
2030년에서 왔습니다 지금 마블영화가 한달에 한편씩 나오고있습니다
@user-lc9nm7yz2i
@user-lc9nm7yz2i 3 ай бұрын
5년 후, 10년 후, 20년 후,,,,,,,,,,,,,,,,,,, 서열 1위는? AI 성장이 1+1=2가 아니다 보니. 5~10년 후만 보면 ... 사람이 직접 촬영한 것 말고,,, 는,,, 많이 사라 질 것 같습니다.
@user-bc5eu1wx2w
@user-bc5eu1wx2w 23 күн бұрын
이미지 ai 의 단점은 창작자의 의도 대로 아직은 만들 수 없다 에요....... 영상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잘은 모르지만
@dongjinenf3615
@dongjinenf3615 3 ай бұрын
Ai가 프로그램인가요? 작업진행된것이 메모리속에 저장되고 이게 축척된게 ai인가요? 컴퓨터속에 ai는 뭔가요? 보통 이건 cpu,이건 그래픽카트 이건 메모리,이건 모니터 이건 팬,이건 ssd저장하드 이건 ai? 이런식으로 부품으로 있나요?
@Chid417
@Chid417 3 ай бұрын
프로그램 코드덩어리입니다
@Artifgacky124
@Artifgacky124 3 ай бұрын
더 복잡한 행동패턴까지 프로그램이 가능하게 됐다고 보시면됨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그런건 인간으로 치면 육체에 해당하는거구요. 인공지능은 말그대로 인간의 정신 뇌안에서 사고를 하는 것 처럼 만들어진 알고리즘입니다.
@user-bk3gb6mq8i
@user-bk3gb6mq8i 3 ай бұрын
컴퓨터 칩을 물리적으로 뇌처럼 제작하는 연구도 진행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BDMJS5
@BDMJS5 3 ай бұрын
존 코너 찾아야게땅
@IGU_A
@IGU_A 3 ай бұрын
02:09 이걸보고 와 되게 잘 했다 라고 느껴질 수 있지만, 아주 조금이라도 드론에 관심이 있으면 fpv드론은 몸체가 앞으로 기울이면서 전진 하는걸 알것임. 보자마자 아, 아직까지 이런 디테일은 안되는구나 라고 느꼈고 예를 들어 드라마에서 서울 출신의 배우가 사투리로 연기 했을때 서울사람은 사투리 쓴다고 생각하지만 해당지역 사람들은 발음이 좀 어색하네 라고 생각하듯 되게 완벽해 보이지만 아직까진 사람 손을 꼭 거쳐야 하지 않나 싶음. 영상하는 사람인데 ㅈ됬슴다...ㅠㅠ
@user-bz3uz5rm5v
@user-bz3uz5rm5v 3 ай бұрын
근데 물리는 또 모르겠네요 언젠간 해결되겠지만 물리는 워낙 연산량이 많아서 인공지능의 수학능력은 아직 언어보다 더 딸려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user-bz3uz5rm5v곧 되겠죠 아님 이미 되는데 공개안하는걸수도 있구요. 이번에 공개한 소라도 이미 작년 3월에 만들어진 AI입니다.
@user-hc6bb2lv6r
@user-hc6bb2lv6r 3 ай бұрын
이런 지적도 AI가 학습해서 몇달도 안되서 수정완료 될거같네요ㅎㅎ 인간이 뭐가 부족하다 따지는건 의미가 없음... 그건 인간에게나 해당되는 능력의 한계고 AI는 무한히 발전하니까
@violetcrown8998
@violetcrown8998 3 ай бұрын
2024년 3월 2일 토요일 오전 5시 35분
@leesanghong80
@leesanghong80 3 ай бұрын
Db28a
@dongjinenf3615
@dongjinenf3615 3 ай бұрын
전기기사 1급 자격증 가지고 있는 사람한테, 정작 전기가 뭐야? 라고 질문하면 대답을 못하더군요.ㅠ
@HanSoLo94832
@HanSoLo94832 3 ай бұрын
진짜..문제만 풀어서 합격한건가....산기나 기사면 충분히 설명 할 수 있을텐데 ㅜ
@frexhd
@frexhd 3 ай бұрын
3:33 돌았냐....
@user-ll7wn8gh4v
@user-ll7wn8gh4v 3 ай бұрын
이 사람 머리에도 똑같은 게 들어있지. 내가 하는 일은 ai가 침범 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대체할수 없고 ) 디자이너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3 ай бұрын
그래서. 거스를 수 있음? 거대한 변화의 물결에 거스르려고 하지마라 그냥 해류타듯 쓸려나가는거야;; 현명한 사람은 배를 준비하고 돛을 달아 출항하겠지 전세계, 전국가, 전인류, 수천조의 규모로 자본을 쏟아붙고 있는데 무슨 수로 막음 이건 국가조차도 못막는 스케일이야
@user-ll7wn8gh4v
@user-ll7wn8gh4v 3 ай бұрын
@@user-adgsfh0408 막지못하면 대 제앙이지. 쳐맞으면 가만히 있어라? 이건 그냥 패배주의적 사고방식 아님? 돛 같은거 없어. ai는 인간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고있는거야. 님이 ai를 활용해서 무언가를 할수있다면 ..당신이 낀 그 자리를 학습할꺼야. 지금 ai 는 당신이 바라는데로 발전하지 않아. 몇달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잉 뜬다 했어. 지금도 그래? 그건 개발자가 카테고리를 나눠놨을뿐이고 그걸 이용해 더 근사치 값을 얻기위해서 심어놓은 프롬프트를 직접적 나열한것뿐이야. 그걸 ai가 학습한 상황에 그런건 에초에 의미가 사라졌어. 모든걸 학습할수있는 무궁무진한 것이 나타났는데 규제도 안하고 싸우지도 않고 받아들이기만 해라? 이걸 왜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개발하냐고? 인건비를 아낄수있으니까. 마지막까지 살아남는건 돈을 쥔 대기업오너들뿐이야. 정말 극소수만 살아남을 거라고. 내가 창작을 하면 뭐해. 어차피 ai가 학습할텐데. 그 누구도 창작하려 하지 않을꺼야. 이건 규제와 관리가 필요한 기술이야. 다시 말하지만 사람이 개입할 여지는 없어. 사람이 개입하는건 노동이고 그 노동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게 ai 야.
@user-ko7gu1pt6m
@user-ko7gu1pt6m 3 ай бұрын
소라넷 부활
@ppkk6163
@ppkk6163 3 ай бұрын
비트님 왜리 붊?
@OMG_electronics
@OMG_electronics 3 ай бұрын
흑 ㅠ
@ppkk6163
@ppkk6163 3 ай бұрын
놀리는게 아니라 진짜 어디 아픈가 싶어서..
@OULLIM_SP
@OULLIM_SP 3 ай бұрын
어쩌면 최근에 샘 알트먼의 인터뷰에서도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늘까 싶습니다. 최근 인터뷰에서 본인들이 만든 AI는 "사람을 대체할 제품이 아니라 능률을 올려주는 도구" 라고 표현 하였습니다. 애초에 사람을 지울 생각은 추호도 없다는 거죠. 아닌게 아니라 만약 AI가 발전해서 다수의 일자리를 빼앗게 될때 그 후폭풍과 소송등의 비용은 일개 기업 집단이 지기도 힘들테니 긍정적으로 생각해도 문제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ㅎ
@Chid417
@Chid417 3 ай бұрын
그거야 립서비스고 일자리 감소는 분명히 일어나지 않을까요..
@odh1138
@odh1138 3 ай бұрын
낙관적으로 보면 도구에서 끝나겠죠
@user-lz1pz1rn1u
@user-lz1pz1rn1u 3 ай бұрын
그니까 ai를 능률이 사람보다 훨씬 높은데 도대체 인간을 왜 고용하겠냐고요 이 양반아...
@user-dg9ji7bf3l
@user-dg9ji7bf3l 3 ай бұрын
10명 쓸 일을 2명이서 처리하면 나머지 8명은 어디로 가나요? 외주 맡길 일을 자체 해결하기 시작하면 프리랜서는 뭘 먹고 사나요? 소비자(인구)는 한정되어 있으니 시장규모가 무한히 성장할 수는 없는데 사람을 대체하지 않는다...? AI공포가 확산되는 걸 경계하는 발언이지 진실성이 있진 않은듯 하네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3 ай бұрын
그럼 대놓고 님들 이제 다 백수되고 돈버는 수단 우리가 다 뺏을거예요 ^^ 라고 얘기하겠음?ㅋㅋㅋㅋ 그리고 일개기업? 오픈 AI뒷배가 빌게이츠고 그 뒤에 있는게 누군지 모르나..ㅋㅋㅋ
@user-vs9um1jk8o
@user-vs9um1jk8o 3 ай бұрын
아오이 소라가 더 좋앙
@funbox4364
@funbox4364 3 ай бұрын
하나도 힘든데
@aiken757
@aiken757 3 ай бұрын
하.. 헐리우드 뉴스도 안보시나 답답하네요
@urialia2388
@urialia2388 2 ай бұрын
확실한건 유튜버들 퀄리티는 수직 상승 하겠다
@Historian154
@Historian154 Ай бұрын
결혼식을 왜 직접 가서 촬영하는게 왜 중요하니????? 당신은 밥을 식당가서 직접 먹어야 밥이니..
@hunenori
@hunenori 3 ай бұрын
네..맞는 말씀이긴한데...결혼식은 상류층만의 문화라서...^^ 유명 전문 촬영 전문가만 남겠지...않나...^6;; 여러가지로 인류시대의 최대 위기인건 맞는거 같습니다.
@user-tp8od1nc2f
@user-tp8od1nc2f 3 ай бұрын
사기치기에는 좋겟네요. 요즘 성공강의팔이들처럼
@Youtubekilla
@Youtubekilla 3 ай бұрын
게임쪽은 멸종 안할 듯 다른 쪽은 ㅂㅇ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3 ай бұрын
? 멸종 안하긴;; 지금 가장 빠르게 영향받고있는 분야인데 게임 리소스 제작하는 아티스트. 이제 걍 프롬포트 하나로 텍스쳐 머티리얼 적용됨. 배경 레벨디자인. 언리얼5에서 나온거지만, 이제 유기적으로 알아서 배치함. 애니메이션 모션 디자이너. 이제 AI기반 모션에 AI IK기반으로 유기적으로 붙임. 게임 '프로그래머' 는 멸종 안하겠지만, 게임 산업 자체로 보면 데미지가 꽤 클거임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3 ай бұрын
특히 기획이랑 백그라운드(모델링, 텍스쳐, 사운드 등 전반) 리소스 제작쪽은 무조건. 적어도 50%는 구조조정될게 분명함
@Youtubekilla
@Youtubekilla 3 ай бұрын
‘멸종’안한다고 스스로 첨언하셨네요 그리고 게임 ‘프로그래머’는 개발자 분야에서는 예전부터 이단이나 하타치 취급받던 분야 아닌가
@Youtubekilla
@Youtubekilla 3 ай бұрын
그리고 아직은 AI활용하는것 치고는 게임들이 너무 미완성인채로 나오는 작품들이 너무 많다 이런 영항 얘기 자체가 남의 집 얘기 탁상공론따위밖에 안됨 데미지 얘기도 개인적으로는 AI보다는 그동안 글로벌규모로 무리하게 사업 규모를 늘려놓은 풍선이 터지는 데미지지 ai는 쓸데없이 끄집어 오는거일수 있다고 생각한다
@user-uk1yx6rx6b
@user-uk1yx6rx6b 3 ай бұрын
​@@KZbinkilla 이제 이미지만 넣어도 게임 만들어 주는거 생김 수고링 ㅋㅋ
@user-xp5hc5ls3c
@user-xp5hc5ls3c 3 ай бұрын
한국 기업은 아무도 할 수 없다는게 진짜. it 나라라고 하더니. 이렇게 외국 사이트 보고 우와 하는 장면에 자괴감 느끼네.
@maracazho
@maracazho 3 ай бұрын
사실살 인터넷 보급률, 속도딸만 쳐왔죠. 그마저도 옛일이 되어버렸고. 벤처는 퇴색된 단어가 되었습니다. ㅎ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저게 일반인들이야 환호하고 유튜브에는 큰 변화가 있겠지만 일반인들이야 지금의 변화가 앞으로 3-4년 혹은 7년후에 세상이 변할거라고 보겠지만 20년 후에도 재자리 비슷하지 않을까요? 2025년에는 연기하고 막상 나올때 되면 이게 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 들면 사이버 펑크 같은거죠)그냥 거대한 장난감 같고 전문가가 먹고 사는 데에는 큰 영향은 없지 않을까요 전문가 기준에서는 말이죠 기획자 까지는 좋을 수도 있는데 아무 생각없이 저런거 만들어 하면 종이 비행기나 드론이나 자동차 씬 같은 건 3D조금 하면 하루 안에 할 수 있는 거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에는 20년 후에도 고만 고만 하지 않을까요? 잇슈만 많치 요즘 새상이 그렇게 빨리 변하지가 않네요 데모만 보면 사이버펑크인데 현실의 발전은 엄청 더디죠 영상을 공부 하시는 분이라면 김치국 마시지 말고 하는일에나 열심히 하는게 미래를 위해 좋을 거 같네요 누구나 다할 수 있다면 그건 전문 분야가 아니죠 디지틀은 아날로그를 이길수 없고 자동은 수동을 이길수 없고 효율은 비효율을 이길수 없죠 일반적으로는 반대일 거지만 상급 자일수록 공감 하실거 에요 AI로 만든영상 사람이 만들기 어렵다 이걸 돈으로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스톡영상 말잘했는데 아무리 퀄리티가 올라가도 필요한것이 아니면 무가치하죠 여러가지 데모에 낚여 참 많은 기술을 배웠는데 이역시 투자를 위한 데모로 보이네요 AI에서는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미래는 안 올거 같아요 sora는 나오지 않았지만 현업에 쓸만한 AI는 아무리 연구해도 없네요
@user-ck1pr5xi7r
@user-ck1pr5xi7r 3 ай бұрын
이미 그림쪽은 어중간한 아마추어들 다 줄초상났습니다...
@user-yk1nc5ke7r
@user-yk1nc5ke7r 3 ай бұрын
​@@user-ck1pr5xi7rai종사자도 아니고 예술업계종사자도 아니면 이딴 뇌피셜 댓글 쳐달지마세요 제발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user-yk1nc5ke7r 3D영상업 종사자입니다 오직 3D영상관련업으로 30년팟는데 실무에 활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분야와 툴을 다루고 평생 영상업만 공부했는데 10만시간 이상 연구했다면 삼성전자나 카이스트와 ai 이론작업이나 수많은 4차 산업 영상물을 만들었고 ces mcw 에도 여러작품 출품했는데 자격이 될까요 미천한전문 가가 이런글올려 죄송합니다 혹시 저이상의 작업자이신가요? 흔하디 흔한 30년따리가 주재가 넘었습니다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user-yk1nc5ke7r넵 30년차 3D 영상전문가입니다 평생 신기술만 공부했고 영상의 대부분의 업종을 해봤고 대부분의 툴을 쓰며 10만시간 이상 작업하였으며 삼성전자 카이스트와 ai기술 작업도 경험있으며 대기업 4차기술 영상을 만드는 전문가라 생각합니다 님은 저보다더 상급자이시겠죠 미천한 30년짜리가 나대서 죄송합니다
@kim63804
@kim63804 3 ай бұрын
@@user-yk1nc5ke7r 넵 고작 30년짜리 영상업은 대부분 다해본 영상을 만드는 대부분의 툴을 사용하는 삼성전자 카이스트와 AI연구를 협업한 CES MWC에 여러작품을 만든 3D전문가가 고작 10만시간 조금 넘게 작업을 경험한 TD 작업자가 주재넘게 나서서 죄송합니다 저보다 더 상급자이시겠죠? 고작 30년 따리가 주재 넘어 죄송합니다
@aeSEONGJU
@aeSEONGJU 3 ай бұрын
나비..합성은 그냥 장면 전환인데 저게 놀랍다고요?.. 음 건물이 산호가 되고 나비가 드론위에서 쉬면서 비행하는 영상이었다면 오.. 했을텐데 갈길이 머네요 이거 댓글 쓰면서 생각한겁니다.........
@jillvalentine4929
@jillvalentine4929 3 ай бұрын
ai가 쓴 이야기를 ai가 만든 사람이 연기하는 걸 굳이 볼 필요가 있을까? 카레맛 똥 똥맛 카레 뭐 이논란 느낌인데
@suhyunkoo5328
@suhyunkoo5328 3 ай бұрын
대백수 시대 열리나? ㅋㅋㅋ
@user-bk1hf9yq8y
@user-bk1hf9yq8y 3 ай бұрын
장비 업체들 ㅋㅋ
@ss-xq3hb
@ss-xq3hb 3 ай бұрын
Ai를 막긴 막아야겠다. 직업 다 사라지겠네. 그나마 망 상용료있어서 미국기업이 한국에는 쉽게 못 들어올테니 다행이긴 한데
@user-ewiduwuw
@user-ewiduwuw 3 ай бұрын
확실히 규제는 필요해보이네요.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우리는 정말 매트릭스 세계에 살고 있는 걸까?
21:44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 올레드 TV에 대해 알아봐요
3:24
LG전자 베스트샵 달성점
Рет қаралды 32
디자이너 입장에서 바라본 생성형 ai 대해서 SORA
17:02
유실장의 디자인 배우기
Рет қаралды 51 М.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