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덕분에 발전?!" 그저 틀렸다는 지적으로 해결 안 돼... |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이야기하는 식민지 근대화론

  Рет қаралды 68,061

현재사는 심용환

현재사는 심용환

Жыл бұрын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한국사를 이야기할 수 있을까?
#심용환 #근현대사 #식민지근대화론

Пікірлер: 924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 이벤트 종료 ※ 🎁심용환 작가 개정판 출간 이벤트🎁 참여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당첨되신 분들께는 개별적으로 연락드리겠습니다 : )
@eeulk.2629
@eeulk.2629 Жыл бұрын
식민지배는 지엽적으로 어떤 수치가 올라갔다고 물리적 변화가 있었다고 그런 부분은 인정한다? 이런 관점의 문제는 수치화할 수 없는 것, 그 효과 및 영향력이 문화적으로 암묵적으로로 미치는 것들은 배제된다는 거죠. 감정을 배제하고 따져보자 하는 것도 제가 볼 때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인간의 판단이라는 것 자체가 이미 감정 내재적이기 때문에 이런 건 아예 첨부터 불가능합니다. 인간의 인지구조가 그렇다는 거죠. 그럼 공리주의적으로 측정, 측량할 수 있는 것들만 따지게 되는데, 앞서 언급했듯 이건 일부에 불과하죠. 그리고 그 수치라는 것도 좋은지 아닌지는 비교 대상이 있어야지 않겠습니까? 일제시대 당시 수치만을 보고 좋다 나쁘다 할 수 있나요? 일제시대가 아닌 경우의 수치를 우리는 모르니까요.
@aiur00
@aiur00 Жыл бұрын
역사이야기에 감정넣어서 가르치는게 정상인가요? 을사늑약 적산가옥 일제 강점기..등 미래시대에 증오를 심어주는 마귀심뽀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건지요 일제시대에 국호는 무언지? 그런거 부터 정상적으로 교육을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세상에 강점기라는 국호가 있나요? 제정신이 아닌 작자들이 미래세대에 증오심을 키우고 있는 본인부터 혐오와 왜곡을 멈추시길 바랍니다. 서대문 형무소 가보셨겠죠? 고문소 차려놓고 ar 안경 도입시켜서 악마들이 무고한 시민들을 잔인하게 고문하고 살육했던 거 처럼 철저한 악마교육중이던데 심용환님은 돈벌어 쳐드실라고 액션 고만 까시고 인간적인 교육하시길 바랍니다. 치하포 살인사건에 대해 모르실리 없는 분이 강도 살인마였던 작자가 어떻게 하여 민족의 영웅으로 된 것인지 임시정부는 초반부터 삐끄덕거려 서로 죽고 죽이는 집단인데 왜 눈 꼬옥 감고 계신건지? 코민테른 사건은 그저 단순한 별거 아닌것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있나요? 김구의 서북청년단과 백의사 단체는? 양심팔아 돈 많이 버시고 증오심은 당신 자녀들에게나 먼저 키워 넣어 주시길 바랍니다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Жыл бұрын
문학가가 단순하게 써놓은 애들 위인전식 역사의식 부터 뿌리뽑는게 우선입니다. 주구장창 김구, 안중근, 유관순만 외칠 정도로 독립운동사를 애들 위인전 수준 수박 겉핥기 밖에 못하는 이들이 단순한 애국 구호만 외쳐대는게 한국 대중 역사관을 단순무식하게 만들어놓는 원인입니다. 일본을 적대시하면서 정작 일본 근현대사에 대한 지식은 없다시피하고 그저 공상영화에나 나올법한 선악 구도로 모든걸 파악하는것도 문제입니다.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eeulk.2629 역사에는 가정이 없습니다 식민시대가 없었을 때 더 나아졌을 수도 더 부족했을 수도 있지만, 그 모든 건 어디까지나 가정일 뿐이죠. 역사에 대한 평가는 사족을 붙이기보다 드러난 사실과 통계를 바탕으로 이야기되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물론 자본주의 맹아론처럼 "한반도가 자체적으로 근대화를 할 역량이 있었느냐"는 논의는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일본제국의 지배가 한반도에 미친 영향을 평가할 때 "더 잘 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했다" 같은 건 민족주의적 감정에 호소하려는 주관적인 평가에 불과합니다. 반대로 "어차피 망했을 나라를 일본이 그만큼 살려준 거다" 같은 식민사관 역시 주관적인 평가구요. 일제시대의 영향을 평가하려면 오로지 역사 속에서 벌어진 그 기록만을 두고 평가함이 옳습니다. 기록에서 100만큼이 달라졌으면 딱 100만큼에 해당하는 평가만 받으면 그만이지, 200을 할 수 있었는데 왜 100밖에 못했냐, 혹은 50밖에 못할 걸 우리 때문에 100이나 했다, 이런 식으로 몰고 가서는 안 된단 이야기입니다. 역사에 가정법은 없습니다.
@sameMonday
@sameMonday Жыл бұрын
사실 전 그 방법을 몰라서.. 근현대사포함 역사를 너무좋아하고 대화하는걸 너무 좋아하지만 입다문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들 역사 특히 근현대사얘기하면 자기주장만하더군요 전 가운데서 듣는입장..ㅎㅎ 심용환님 책 바로 주문했습니다. 이벤트고 뭐고 그냥 심용환님이 유튜브하시는거 자체에 감사드립니다😊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자비로운 제국주의같은 것은 없다 - 식민지 근대론자 김용삼 -
@user-je6mh9ql9w
@user-je6mh9ql9w Жыл бұрын
매일 매일 배웁니다~😊
@user-ud5ce8vc2e
@user-ud5ce8vc2e Жыл бұрын
이것을 봐도 현실이 답답한 이유는 혐오라는 감정은 돈을 벌기에 너무나도 좋은 수단이기 때문에 없어질 수 없다는 것...
@user-gr3ix5ug6r
@user-gr3ix5ug6r Жыл бұрын
혐오는 민주당의 정치기반이니깐요
@WHC03
@WHC03 Жыл бұрын
@@user-gr3ix5ug6r 그 놈의 정치 좀 그만 끌고 와라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일본인을 혐오하게 계속 세뇌해서 그걸로 표를 팔아먹는 민주당의 수법... 표장사가 되는데 없어질 수가 없는거죠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WHC03 역사해석이 비틀어지는것은 대부분 정치전략에서 나오는것임. 분리해서 생각하면 해법이 안나옴.
@user-zx7hm9hf2g
@user-zx7hm9hf2g Жыл бұрын
​@@user-gr3ix5ug6r 누가보면 민주당만 그런 줄 알겠네ㅋㅋㅋ 총풍사건은? 그건 혐오나 감정과 관련이 없다 생각함?ㅋㅋㅋ 자기가 보고싶은 것만 보네ㅋㅋ
@user-ug6qc7ke5i
@user-ug6qc7ke5i 10 ай бұрын
심용환님이 지루하지 않게 설명을 잘 하십니다 식민지시대도 세금문제! 일본의 지배에 대해서도 설명이 박식하고 대단하십니다
@user-cj7bo2st2u
@user-cj7bo2st2u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은 많이 짠하고 울컥한 부분이 많았네요. "나쁜 것은 그냥 나쁜 것이다." 그 말이 참 마음 속 깊이 남게 되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연락처,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만, 일제가 나쁜것이 아니라 인간이 원래 나쁜것입니다.
@yoongheelee4312
@yoongheelee4312 Жыл бұрын
​@@_NakTa 아니죠 선한 사람도 많습니다 반면 나쁜 사람도 많죠 다만 일본인은 나쁨니다 모든 인간이 원래 나쁘기 때문에 일본의 악한 행위가 정당화 되어지면 안되죠
@deuxnom
@deuxnom Жыл бұрын
@@_NakTa인간이 원래 나쁘다기 보다는 나쁜 인간이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리고 타인 또는 타국을 수탈하고 지배해 온거죠. 반칙을 쓰는데 페어플레이 하는 선수가 이길 수 있나요? 인간은 원래 나쁘기 때문에 딱히 일제가 나쁜 건 아니다 의 늬앙스는 그냥 일본 편들기에 지나지 않네요.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deuxnom 현재의 한국사회 사상이 일본편들기에 기울어 있다면 난 또 다른 말을 했을것입니다. 지금의 한국은 반일에 미쳐있음.
@user-hv7hi3hr2t
@user-hv7hi3hr2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riee55
@riee55 Жыл бұрын
강의 너무너무 잘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쌤 최고👍
@jungamun6078
@jungamun6078 Жыл бұрын
작가님, 개정판 출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읽어보고, 배우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역사를 이야기하는 방법이..... (위에 다른분이 작성하신 댓글들만 쭉 읽어내려와봐도)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가 역사를 이야기할때, 이런것들에 좌지우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공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무조건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조목조목 정확한 역사적 사실 자료를 통한 반박이 중요한것 같아요. 작가님 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응원합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연락처,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wwl8803
@wwl8803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건 사실이나 진실은 그들에겐 별로 중요한게 아니고, 나의 이익에 부합하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
@Sukichuuu
@Sukichuuu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프란츠 파농의 한마디가 마음에 제일 와닿네요. "식민지배가 나쁜 이유는 나쁜 것이기 때문." 이 한마디가 혐오, 왜곡, 감정싸움 없이 식민지 근대화론을 말할 수 있는 부분 같습니다.
@user-co2ex7km5d
@user-co2ex7km5d Жыл бұрын
역사에 관심이 많다보니 선생님께서 출간하신 책들은 리더의 상상력, 친절한 한국사, 1페이지 한국사 365 등등 대부분 구매해서 읽어본 것 같습니다^^ 이번에 개정되서 나올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없이 한국사를 이야기하는법이라는 도서를 통해서 그동안 내가 역사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고 무지했던 부분들에 대해서 좀 더 폭넓게 이해해보고 올바른 생각을 통해서 역사를 바라보는 태도를 가지면서 접근하게 해줌은 물론 나를 성찰해보고 성숙한 태도를 가질수있게 해주는 좋은 역사서로 머릿속에 각인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역사에 대한 혐오와 왜곡된 부분이 더 이상 생기지 않게 하려면 제일 먼저 해야될 것은 우리들부터가 꾸준하게 역사에 대해서 올바르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끊임없이 고민해보고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연락처,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user-ch9gw4ov6i
@user-ch9gw4ov6i Жыл бұрын
이미 하나의 정보. 자신이 더 선호하는 정보에 사로잡힌 사람에겐 무슨 말을 해도 단박에 바뀌지는 않는다. 그들에겐 이미 그것이 정답이며, 진리이고, 바르게 선 논리이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의 주장만 계속해서 반복된다면 특정 사실에 대한 정보가 없는 사람들은 편향된 정보만을 얻게 될 것이다. 편향된 정보가 중첩되면 또 생각이 굳어버리는 사람들이 생겨날 것이다. 그렇기에 저는 이런 다양한 정보, 팩트체크를 해주는 내용이 담긴 영상은 잘못 생각하고 있는 사람을 바꾸기 위한 영상이 아니라 아직 결정하지 못한 사람에게 더 다양한 선택권을 주는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꼭 필요한 영상이라고도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도 한 쪽으로 치우친 듯한, 너무 감정적인 것 같은 댓글을 보면 '저는 이러이러한 정보를 알고 있으며, 그렇기에 당신과는 조금 다른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답글을 답니다. 혹시라도 그 댓글을 보고 답글을 펼쳐보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사람이 아직 어느 해석에도 정답이라는 표식을 달아 놓지 않았을 경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말이죠. 그렇지 않고 상대의 생각과 주장을 바꾸려고 하면 결국 감정싸움이 됩니다. 댓글 좋아요 알림이 떠서 눌러봤는데 답글이 많을 때면 백이면 백이 그런 상황이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바꾸려고 하지 않고, 상대가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라면 대립점이 생긴 사건, 상황, 인물과 연결된 먼 기록부터 차분히 얘기를 나눕니다. 역사란 하나의 조각으로 덩그러니 놓여있을 수 없고, 여러 사건과 논리가 복잡하게 뒤엉켜 있는 것이니, 그걸 하나하나 풀어가는 거죠. 일단 제 경험상으론 이게 상대의 생각을 나와 일치 시키는 데 가장 타율이 좋은 방식이었습니다. 결정적으로, 이렇게 하면 싸움이 안 나니까요.
@millersong3529
@millersong3529 4 ай бұрын
네 본인도 그러시는지 자기객괜화부터 철저히 하세요.
@HongBlues
@HongBlues 2 ай бұрын
문제는 다른 한편에서 보는 시각 또한 필요하다 라는 스탠스로 접근해서 얘기하는 사람 솔직히 잘 없음. 대부분 그전에 알고 있던건 다 구라야~ 라는 인식에서 시작한다는게 문제지. 근데 그게 객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시각이라고 착각하는거죠.
@Luia_Lee
@Luia_Lee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는 것이 많아지면 때로 정리해야되는 부분이 있는데 덕분에 많이 도움됐어요 :)
@jj-sw8yl
@jj-sw8yl Жыл бұрын
쉽게 단정짓지 않고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해보는 것입니다 ! 그러기 위해선 쌤 책 꼭 읽어야겠네요 😊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연락처,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user-bc1id4pq3k
@user-bc1id4pq3k Жыл бұрын
왜 이 영상에는 그 ㅇㅂ 및 극우들이 댓글을 안달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예전 고등학교 때 저렇게 식민주의사관에서 말하는 친구랑 토론한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식민지가 나쁜것이기 때문에 나쁘다라고 백번도 더 얘기했는데 항상 일부분만 떼어내서 그게 전부인냥 주장하고 본인이 막히면 "그럼 이부분은 일본때문에 발전한건 맞지? 이부분은 일본덕인거 인정하지?" 이런식으로 말했었는데 ㅋㅋㅋ
@hp0635
@hp0635 Жыл бұрын
니 댓글 위아래로 널렸는데
@seomelong
@seomelong Ай бұрын
넘쳐나는 수준을 넘어 감히 클릭하기 꺼려질 정도인데 님은 운이 좋으셨나봐요 이것들을 못봤다니
@torchddotchi
@torchddotchi Жыл бұрын
따봉 백개 박고싶네요
@DEEPWEB-.-
@DEEPWEB-.- 6 ай бұрын
역사라는 것은 그냥 "이벤트" 그냥 하나의 사건으로만 봐야지 현대인이 과거의 사건과 시대에 감정을 이입하기 시작하면 거기서 배우는 건 혐오 뿐, 어떻게 보면 역사를 배우는 건 현대인이 짊어지지 않아도 되는 역사적인 짐과 원한을 이어받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한 행위일 수도 있음.
@user-zh6gq4om7i
@user-zh6gq4om7i Жыл бұрын
뉴스하이킥에서 균형있고 객관적인 말씀에 감명 받아서 구독하게 되었습니다. 좀더 많은 국민들이 역사에 한측면을 침소봉대하는 세력들에게 속지않도록 역사학자로서 기여 부탁드립니다
@rnlduawlsk
@rnlduawlsk Жыл бұрын
애통하도 속상한것이 일부 많은 시민들은 그리생각한다는것이 화가난다..
@user-ug6qc7ke5i
@user-ug6qc7ke5i 10 ай бұрын
문과에 심용환님 같은 인재가 있음에 자랑 스럽습니다 아는 지식을 모르는 사람에게 하염없이 전하고자 애를 쓰시네요?
@user-pm9pn4li4i
@user-pm9pn4li4i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땡기는 제목과 목차네요. 꼭 읽어 보게쏨
@change9517
@change9517 Жыл бұрын
신장 자치구 개발된것도 다 중국덕분이고 위구르인들은 중국자본으로 잘산다! 하는거랑 비슷한거지 뭐
@user-yl8wv9gv9v
@user-yl8wv9gv9v Жыл бұрын
신장 자치구 개발된것도 다 중공의 투자 덕이고 위구르인들은 중국자본으로 잘 사는지 못사는지는 위구르인들이 판단할일이다.
@user-kh5vj2bb5o
@user-kh5vj2bb5o Жыл бұрын
사람을 납치해서 노예로 부려먹는 납치범이 있었음. 노예가 아프면 돈만 더 깨지니까 먹을걸 챙겨줬음. 시간이 지나 경찰이 납치범을 잡고 법정에 세움. 피해자가 나와서 노예였을때 당했던 일들을 진술하는데 납치범이 그래도 먹을거 잘 챙겨줬지 않냐고 반박함. 그 변명을 듣고 배심원이 "그래도 납치된 덕에 굶진 않았네?" 이러는거임. 과연 이게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행위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행위의 목적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일본이 조선을 근대화 시킨것은 우리를 위해서가 아니라 좀 더 수월하게 약탈할수있게 자기들을 위해 바꾼겁니다.
@Hermes00
@Hermes00 9 ай бұрын
님 말이 다 맞지만 그전에 하나는 빼먹었지 그 노예는 이전 주인한테 착취당하다 굶어죽기 직전이었다는거 이전 주인이 새로운 주인한테 팔아먹은거라는것
@user-xx1vo8io2e
@user-xx1vo8io2e 2 ай бұрын
​​@@Hermes00 굶어죽기 전이라 해도 그 아이에게 주인행세하고 실력적 지배를 한 것은 약취죠 허락 없이
@user-cl4tj7tg4c
@user-cl4tj7tg4c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미있어요
@who_dogs_let_out
@who_dogs_let_out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배웠네요 나쁜것이 왜 나쁜지를 묻는것 자체가 얼마나 멍청한짓인가를...
@yusangpo
@yusangpo Жыл бұрын
왕한테 지배받는거랑 일본에게 지배받는거랑 국가에 의해 수탈당하는건 똑같지않는가? 노동자에게 국가는 없다는 맑스말이 생각나네요 ㅎㅎ
@beacon30sec
@beacon30sec Жыл бұрын
진정 역사를 제대로 배워야합니다. 처맞을 시간에는 제대로 처 맞아야된다는걸,,새삼느낍니다.
@hdk4049
@hdk4049 Жыл бұрын
근데 저는 이런 역사적 논쟁도 신성시 할게 아니고 많은 토론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뭐만하면 성역화 시켜서 말 자체를 못하게 함. 그리고 지금도 그런 교육을 하는지 모르는데 선생이라는 사람들이 왜곡된 역사로 무지성 반일 교육 많이 했었습니다. 한국의 정기를 끊기 위해 말뚝을 박았다거나 corea 가 아니고 Korea가 된 이유가 일본때문이라던가
@seomelong
@seomelong Ай бұрын
그건 본인 지식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뜻인건데
@user-kn3jn2hm7o
@user-kn3jn2hm7o Жыл бұрын
근대화가 무조건 좋기만 한 건 아니라는 말씀은 정말로 동의하기 힘드네요.. 미개화도 무조건 나쁘지만은 않겠네요
@inkyuchoi8189
@inkyuchoi8189 Жыл бұрын
혐오와 감정없이 역사, 경제, 정치 등등의 현상을 바라보기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롤스의 정의론' 개념을 이해해서 개인의 지나친 소속감 및 이해관계를 끊어내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관심갖고 비판적인 자세로 의도적으로 입장바꿔서 토론을 꾸준히 해야죠!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닉네임, 연락처와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user-gx2ip9uk1b
@user-gx2ip9uk1b Жыл бұрын
진짜 제발 온 국민이 이 영상 좀 봤으면 좋겠네요 요새 별 이상한 사상들이 판을 쳐서 골치가 아픕니다
@jjin0327
@jjin0327 Жыл бұрын
정말요! 답답하고 속터지는 영상들도 너무 많고 또 그걸 그대로 거르지도 않은채 합리적 의심없이 받아드리는게 참.. 순진한건지 뭔지. 자신의 튼튼한중심에 사실로 입증된 사료를 찾아 제대로 된 책을 읽는것만이 답인듯 합니다. 저는 심쌤처럼 알고 있는 사실을 상대방 수준에 맞게 설명하질 못하니까요. 그게 보통 능력은 아니잖아요. 전 어른들께 유튜브 다운받게 하고 일단 현재사는 심용환을 강제 구독 시키고 중간중간 확인해요. 그래도 잘 안되는게 현실이긴 합니다만.. 뭐든 억지로 하면 오히려 부작용을 야기식길수도 있고해서.. 요즘은 심쌤 책을 읽으라고 해요. 제대로 된 보기드물게 치우치지 않은 역사학자니까 믿고 읽어 보라고 권유해요. 대화하다 보면 뒷목 잡을거같을 때가 많아서요.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Жыл бұрын
스스로 독립 못한 그 역효과 ㅎㅎ 자부심이 없어서 뭐든 스스로 하려했다 시리즈가 난무함
@change9517
@change9517 Жыл бұрын
@@user-mi3up4lu1e 그러게요 서로 돕고 살아야 하는데
@user-wz9ps9xq9e
@user-wz9ps9xq9e Жыл бұрын
​@@user-mi3up4lu1e스스로 독립하지 못한게 정말 큰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리틀보이와 팻맨께 감사드리는.......
@user-sj4yq7wl3q
@user-sj4yq7wl3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그런 사람들은 봐도 보고싶은것만 봐요. 팩트를 보고싶은게 아니라 결론을 정해놓고 거기에 근거를 찾으려하니 저런 말도 안되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거죠
@tlee9100
@tlee9100 Жыл бұрын
레전드 강의였습니다…감사합니다
@user-lg4dv3cj7y
@user-lg4dv3cj7y Жыл бұрын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역사얘기를 하려면 일단 심용환 작가님 책을 읽고 얘기한다...^^_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Жыл бұрын
비정상회담 보는데 영국이 인도를 근대화시켰다고 인도인 면전에다 싸지르는데 감정이 동하더라 우리나라 독립도 식민지 독립이 싫어 반대했던 처칠이 더 설쳤으면 민족의 원수될뻔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Жыл бұрын
그런 영국이 보도연맹 홀로코스트를 막으려 했죠. 물론 실제 보도연맹 홀로코스트를 종결 시킨게 하필이면 중공군…
@kitafuji
@kitafuji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이전에 올라왔던 개항기 관련 심작가님 영상이 조선까들의 합리화에 악용되고 댓글 창이 그들의 자화자찬과 다수의 한국인에 대한 조롱으로 도배되는 모습을 보며 많이 안타깝다 생각했습니다. 물론 조선은 지고지선이고 일제는 절대 악이라는 이분법 구도도 문제입니다만, 제발 그들도 이번 영상을 보고 맹목적인 조선 비하 및 일제 합리화를 자제했으면 좋겠네요
@mhl3298
@mhl3298 Жыл бұрын
이런 명확한 것조차 논란의 여지가 된다는 현실이 참 답답합니다
@kks4413
@kks4413 Жыл бұрын
개지1랄 ㄴㄴ 조선도 만주 따먹을려고 침략했다가 개쳐발렸음 그냥 힘이 있었냐 없었냐 차이일뿐임
@user-gv3td2hw6z
@user-gv3td2hw6z 9 ай бұрын
'논란의 여지'는 있는 거고 되는 건 '논란' 그 자체임
@dusi-kq4qe
@dusi-kq4qe 8 ай бұрын
식민지 수탈론보다는 근대화가 더 과학적이고 사실적임
@user-wp7zb6lg5l
@user-wp7zb6lg5l 7 ай бұрын
1945년에서 한국전쟁이 벌어진 50년까지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태평양 전쟁때 일본은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 기술력의 백분의 일이라도 한국이 갖고있었나요? 자동차한대 만드는데 해방되고도 몇십년이 걸렸습니다. 그 말은 기술력 0 상태에서 배우면서 시작했다는 겁니다. 일본의 유산같은게 아니라는거에요. 근대화설을 주장하시려면 근대화이 될만한게 뭐가 있었는지를 말하셔야죠?
@MAN_1N_THE_HIGH_CASTLE
@MAN_1N_THE_HIGH_CASTLE 2 ай бұрын
​@@dusi-kq4qe그래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고무나무, 농업 빼고 성행한 산업이 뭐가있노?
@hp0635
@hp0635 Жыл бұрын
성장지표에 관해서는 이건 말도 안되는 반박임. 전근대 행정에서 근대 행정으로 넘어오면서 인구가 성장했다? 근대 행정이 전근대와 다른건 그 자체로 이미 15퍼센트 이내의 정확도를 보장한다는거임. 근대 행정이 한번 시작되면 그 이후부터는 호구수에 잡히지 않았던 인구가 새로이 파악됨으로써 늘어나는 인구는 이미 거의 없음. 이 효과는 최초 단 한번에 한해 벌어지는 일임. 경제지표는 조금씩 성장하다가 확 꺾인다고? 그때 나온 그래프를 봐 한국이 세계경제 순위권에 진입하는 시기까지 다 긁어와놓고 앞부분을 조명하면 당연히 조금 성장한것처럼 보이지. 자본주의 체제니까 당연히 성장하는거다? 그래 그게 핵심 주장이라고 조선이 스스로 자본주의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가 일본이 자본주의 체제를 강제로 세웠으니 근대화다 라고 하는거라니까 의료기술의 발달이 있다 이것도 맞는 얘기긴 하지만, 의료기술의 발달이 그냥 사람들을 살려주지 않음. 지금 백날 의료기술 발달해봤자 적십자나 국경없는의사회 없으면 아프리카 빈국들 약 먹고 치료받을 수 있음? 못함. 근대의 약은 근대의 인프라와 행정망이 베이스로 필요함. 일본 입장에서 조선 침략을 어떻게 보는지 알아보려고 한적조차 없는 내가 이렇게 허점을 많이 찾을 수 있으면 이건 그냥 길 지나가는 일본인 아무한테나 물어봐도 한마디로 논파하겠다.
@user-ch6jy7hs1e
@user-ch6jy7hs1e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그냥 봉건시대가 무너지고 자본주의 시스템이 들어오면서 얻는 이득이 있었다고 말하면 되는데 강사분은 엄청 감정적으로만 설득하시네요
@kimruben1491
@kimruben1491 6 ай бұрын
저도 동의.. 마치 이성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을 하시는 척 하시는데 보는 내내 저것도 억지인데... 라는 생각이 듦. 물론 일제 식민지배가 필요했다거나 잘 했다는 얘긴 아님. 다만 인정할 건 인정하고 좀 갔으면.
@jambread848
@jambread848 4 ай бұрын
@@kimruben1491 인정할 걸 인정하면 조선이 바보 멍청이 상등신이었다는 걸 인정해야 하거든요. 민조크 민조크들은 그걸 인정하기 싫어해요.
@user-ny8mi3os4p
@user-ny8mi3os4p Ай бұрын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역사를 왜곡한 민족에게는 미래가 존재할까? 누구나 부끄러운 지난일들에 대한 변명을 하고 싶어하지만, 미래를 개척할려면 잘못된건 인정하고 잘한건 칭찬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무엇을 잘했고, 무엇을 잘못했는가? 우리가 아는 역사에서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변명인가..
@seonbi6353
@seonbi635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에 답이 있네요! 파농의 말에 식민지배=나쁜것, 남에게 지배를 당하는 자체가 나쁜것이라는 것…
@stimp2970
@stimp2970 Жыл бұрын
저것도 감상적이고 정치적인 수사입니다. 왜 같은 민족도 남이라는 생각을 못하시는지 ?
@user-zx2yx5bz7v
@user-zx2yx5bz7v Жыл бұрын
​@@stimp2970 타국이 하면 식민지배 우리안에서 하면 기득권의 통치
@mseiksby4541
@mseiksby4541 Жыл бұрын
다리를 놓는게 백번 나은거지 배타고 건널거라면서 정신승리질ㅋㅋㅋ
@mseiksby4541
@mseiksby4541 Жыл бұрын
탈식민주의의 근거 자체가 '민족'일텐데, 민족만큼이나 신기루에 가까운 허상이 어디있을까? 조두순도 유영철도 우리 민족이잖아. 조두순 유영철이 서울시장 하는 세상에서 사느니 동경대 출신 와타나베 신이치가 서울시장 하는 세상에서 사는게 훨씬 낫지 프란츠 파농? NL계의 대부 아님? 심용환씨 사상인증하신거로 알겠음
@sypark8176
@sypark8176 Жыл бұрын
@@mseiksby4541 ???????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Жыл бұрын
4:50 그래서 북한은 남겨진 시설기반으로 6-70년대까지도 부를 어느정도 유지했었음.
@user-bp5nt6bx5k
@user-bp5nt6bx5k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경제개발 시킬 생각이었으면 식민지로 만들었을까 싶네요.
@user-vw7rn8zy4i
@user-vw7rn8zy4i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일제의 식민지였다! 고 하는데, 일본사람은 조선땅을 식민지로 생각을 안했습니다 식민지로 생각했으면 근대화를 시켰을까요??????? 누구 좋으라고 ? 무슨 덕을 얻으려고? 결과적으로 일본은 손해보는 장사를 한겁니다 우리는 남는 장사를 한 거고 그냥 앉아서 수금한거지!!! !!!!!!!!!!!!
@user-ki8bw1in6i
@user-ki8bw1in6i 6 ай бұрын
무슨 소립니까 그게 식민지니까 근대화 해준거지 인프라 깔아주고 맹수 잡아주고 교육 해주고 경제 발전 해주고(폭발적 성장은 아니지만)
@ddd-dy6zh
@ddd-dy6zh 5 ай бұрын
@@user-vw7rn8zy4i 이렇게 유튜브로 댓글 싸지르지 말고 진지하게 책 읽어보고 공부해 보세요. 차라리 수치적 근거나 연구 자료들을 제시하면 몰라.
@ddd-dy6zh
@ddd-dy6zh 5 ай бұрын
@@user-rl2en3mw6s '병합'이라는 용어는 '식민지'를 정당화 시키기 위함입니다. 님처럼 세계사 '조금만' 공부한 사람들이 보기에 그럴듯 하게 보이도록요.
@ddd-dy6zh
@ddd-dy6zh 4 ай бұрын
@@user-vw7rn8zy4i 식민지를 뭐라고 생각하시죠? 다른 열강들도 자기 식민지를 죄다 근대화 시켰습니다만..?
@user-go9eb1om5g
@user-go9eb1om5g 9 ай бұрын
애정하는 심용환 님의 강의를 즐겨보고 있습니다. 기계적 중립을 지키려고 애쓰는 방송에 출연하는 어느 역사학자를 보면서 저게 과연 역사를 전공한 자의 올바른 태도일까 안타까웠는데 우리 심 선생은 초지일관 지금껏 하여온 대로 열심히 잘 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AHardDiamondMan
@AHardDiamondMan Жыл бұрын
개혁 이라는 말이 너무 긍정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안타깝네요 결국 그들이 해낸건 없는데 결국 어떻게 되든 간에 평범한 소시민의 삶이 이전에 비해서 나아지기만 하면 된다는 실질에도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민족적 자존심 이런거보다 당장 내일 내 입에 풀칠하는게 우선이고 살아남는게 우선인지라..
@Smile_77
@Smile_77 Жыл бұрын
팩트팩트 하면서 그 숫자 뒤에 사회와 삶과 역사를 등한시하면 잘못된 결론으로 갈 수 밖에요.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Жыл бұрын
묵묵히 나아가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junsu_sinbadx
@junsu_sinbadx Жыл бұрын
찢었다..❤
@yjkim9429
@yjkim9429 Жыл бұрын
채널 개설 초창기 지인에게 추천 받은 이후부터 계속 잘 보고 있습니다. 건강한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이벤트 참여하면서 상대방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진보와 보수는 방법의 차이일뿐 더 나은 세상을 만들려는 목적은 동일하니까요. 그 목적의식에 상호 동의가 없어서 그저 상대방을 무너뜨리려는 공격적 태도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지금 한국 정치, 종교, 사회 각 영역에서 진보와 보수가 제대로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닉네임, 연락처와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jambread848
@jambread848 Жыл бұрын
발전핝 부분을 그대로 인정해야 나빴던 부분을 지적해도 상대도 그대로 받아들일 겁니다. 인도나 동남아시아가 식민지 시기에 발전하거나 근대화된 부분을 그렇게 보면서, 조선만 나아진게 하나도 없다고 우기면 헛소리 입니다.
@user-wp7zb6lg5l
@user-wp7zb6lg5l 7 ай бұрын
1945년에서 한국전쟁이 벌어진 50년까지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태평양 전쟁때 일본은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 기술력의 백분의 일이라도 한국이 갖고있었나요? 자동차한대 만드는데 해방되고도 몇십년이 걸렸습니다. 그 말은 기술력 0 상태에서 배우면서 시작했다는 겁니다. 일본의 유산같은게 아니라는거에요. 근대화설을 주장하시려면 근대화이 될만한게 뭐가 있었는지를 말하셔야죠?
@jambread848
@jambread848 7 ай бұрын
@@user-wp7zb6lg5l 일일이 다 꼽을 수도 없어요. 근대적 학교제도, 근대적 회사제도, 근대적 재판제도(네 죄를 네가 알렸다~ 아시죠?), 상하수도, 근대 병원, 도로와 기차, 전신과 전화. 유럽 1600년 수준에서 유럽 1935년 정도로까지 300년 넘는 갭을 단 30여년 만에 좁힌겁니다. 일본인들이 가고도 조선인들이 그 시설들을 대부분 운영했어요.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일본인들이 조선인들한테 아무 것도 안 가르쳐주고, 조선인들을 전혀 키워주지 않았으면 대체 어떻게? 조선인들이 일본제국 안에서, 가장 일본제국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영합한 식민지였다는 건 아세요? '가오리빵쯔' 라는 말의 유래가 뭔지 알아요? 중국과 동남아에서, 얼마나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인인 체 하며 현지인들을 후려패고 착취하고 부려먹었는지 조선의 어두운 역사도 알아야 합니다.
@user-wp7zb6lg5l
@user-wp7zb6lg5l 7 ай бұрын
@@jambread848 문명이 전파되는 것은 물컵에 잉크를 떨어뜨리는것과 같아요. 자연스럽게 퍼지게 되어있어요. 일본이 아니었어도 한국은 근대화를 이룩하게 되어있어요. 애초에 일본의 근대화도 서양에서 배워 온거지 산업화가 일본에서 생겨난겁니까? 문맹 80%인데다 기차에선 석탄이 없고 철도에선 전쟁하느라 회수해갔고 삶의 질은 11년과 다를게 없고 신분제 노비제는 이미 폐지했습니다.
@user-yf5fz1ly8f
@user-yf5fz1ly8f 4 ай бұрын
​@@jambread848 가오리빵즈의 유래는 여러가지 있구요. 이미 명나라때부터 썼다는 기록도 있답니다. 님은 곡학아세하는 거에요
@jambread848
@jambread848 4 ай бұрын
@@user-yf5fz1ly8f 명나라때의 기록이 있다고요? 좀 알려주세요. 저도 궁금하네요.
@SAVE_US.Y2J
@SAVE_US.Y2J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힘쎈놈이 약한놈한테 와서 두들겨 패놓고 "넌 지금부터 내 노예다"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가면 가만있다 맞은 피해자는 자기의 주권을 잃어버린채 끌려다니는건데 이게 나쁜거 아님 뭐겠음... 사회적으로 그땐 그래도 되는 시기였었다라며 합리화 하는것도 모순이고 그때의 제국주의가 지금까지 이어졌다면 식민지화의 대한 주장은 옳을수도 있는데 그게 아니잖슴 어디서 조금 주워들은걸로 주장하고 내세우며 선동하려는건 나는 무지한놈이오라고 지 스스로 광고하는꼴밖에 안됨 개인적으로 역사라는게 정말 교묘하고 교활하다고 느낀게 결국 시간이 지나고 사회적 분위기가 꾸리꾸리하게 형성되면 어떤 역사를 보더라도 지들 멋대로 맘대로 해석하고 그걸 정당화하려는 세력이 많아진다는거지 그럴때일수록 진짜 냉정하고 독립되며 진지하게 100%는 못하더라도 나름의 객관성 있는 생각으로 목소리를 계속해서 내주어야 특정세력이나 정권에만 인정하려고 하는 것들의 야망에 계속해서 브레이크를 걸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크게 발전 안했다는게 팩트임 4:36 근거를 갖고와도 이렇고 앉아있네 ㄷㄷㄷ 공업시설도 북한에 치중되었고 곡창지대가 많은 남한은 엄청난 수탈을 겪었는데 '크게 발전'했다 이러는 수준 정말 한심하다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지금 니가 말한 팩트봐라 일본이 잘했다 긍정적이다 이런 말밖에 없지??? 그런데도 일제시대를 옹호한다는 말을 안했다고 눈가리고 아웅하는거보소 ㅋㅋㅋㅋㅋ 진짜 대단하다 주어는 없었다 뭐 이런 수준이네 그게 아니라면 일제시대때의 수탈과 전쟁범죄에 대해서도 똑같이 팩트로 읊어봐 그러면 내가 일제시대 옹호한다는 말 취소할게 공교육 하면서 일어난 한국어 말살과 창씨개명에 대해서도 설명해봐 항상 너처럼 얘기하는 인간들은 양비론을 주장하지만 실제로 가져오는 팩트는 일제시대를 긍정하는 것밖에 안 가져옴 그래놓고 양비론을 주장하면 설득력이 있냐?? 논리란게 있는지 의문이다 일제 비호하는 근거만 나열해놓으면서 '난 일제시대를 옹호한적 없어!!' 이러는 수준ㅋㅋㅋ 다시봐도 웃음벨이네 ㅋㅋㅋㅋㅋ 그런 수준낮은 함정은 그만파고 팩트만 나열할거면 좀 균형있게 나열해라 그래야 일제 옹호하지 않는다는 말에 힘이 실리지 ㅋㅋㅋㅋㅋ 와 진짜 레전드네 ㅋㅋㅋㅋㅋ 그리고 한반도 전체 영역을 봐야 한다고 얘기하는데 그 주장은 내가 존중한다 난 북한을 극혐하기도 하고 북한에 군수시설이 편중되었기 때문에 6.25 때 남북한 군사력 차이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지 니가 북한도 우리나라로 생각한다면그렇게 해 존중할게 그런데 분단은 48년부터야 팩트는 말해준다 ㅋㅋㅋㅋ 53년은 6.25 종전된 해임 ㅋㅋㅋㅋㅋ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팩트팩트 거리면서 틀린거는 죽어도 인정 안하는 수준 잘봣구요 ㅋㅋㅋㅋ 근대화가 되었다고 하는거 개웃기네 기간시설 만들어준 대신 수탈하면 근대화냐???? 연도부터 틀리면서 팩트거리는거 웃음벨이네 ㅋㅋㅋㅋㅋ 넌 죽어도 일제시대의 악행을 말 못하겠지 그러면서 옹호 안한다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수준밖에 안되는거야 나는 계속 묻잖아 철도 항구 세워주고 재산 인적자원 수탈해가면 그게 근대화냐구 무슨 정신상태길래 근대화를 이따위로 이해하냐 ㅋㅋㅋㅋ 내가 또 말했지 팩트팩트 거리면서 정작 일제시대 악행은 왜 눈감냐고 그런 수준이니까 피해망상이다이딴 소리나 지껄이지 ㄷㄷ 연도틀리면서 팩트팩트 ㅋㅋㅋㅋㅋ ㄹㅇ 수준보인다 그냥 그렇게 살아라 편중된 팩트나 보면서 ㅋㅋㅋㅋㅋ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와 가세연 구독자였네 ㅋㅋㅋㅋㅋ 미안해요 할배 틀딱을 못 알아봤네요 ㅋㅋㅋㅋㅋ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응 논리 딸리는 인간은 너죠? 일본 악행을 따박따박 나열해 보라구~ 글 못읽냐? 팩트무새 주제에 남북분단이 언제인지도 모르는 수준 대단하다 ㅋㅋㅋㅋ 기간시설 지어지고 수탈당하는게 근대화인지 대답부터 해라 니 논리는 딱 하나야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 있었다는것 그럼 둘의 경중을 따지는 작업은 왜 무시함? 기간시설 지어주고 성폭행하고 강제징용하고 토지몰수하면 부정적인 측면이 더 큰거 아님? 진짜 상식도 없는 주제에 어디서 수준을 논해 ㅋㅋㅋ 진짜 웃음벨이네 이러니 보수가 망조들지 상식이 없으니까 남북분단도 제대로 모르는 수준이니 이해해줄게 😂😂😂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9 ай бұрын
일제 이전의 조선왕조 시절에는 인구 절대다수가 초등교육도 받지못했습니다. 1912년에 조선에 보통학교는 187개뿐이였고 추정학령인구중에 보통학교 취학률은 1.8%였습니다. 조선병합 이후에 일제가 학교를 보급하려고 하는데 교사가 부족합니다. 조선 인구의 절대다수가 초등교육도 받지못했기에 남을 가르칠 조선인 교사도 턱없이 부족했던겁니다. 그래서 일제초기에는 일본 본토에서 일본인 교사들이 조선으로 넘어와서 조선인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당시 일본인 교사입장에서 조선은 말도 안통하는 시골이였기에 일제는 가봉, 사택료, 벽지수당, 조선어 장려수당을 따로 챙겨주면서 일본인 교사들을 조선으로 넘어오게 합니다. 그와 동시에 일제는 조선 전국에 사범학교들을 보급하면서 조선인 교사들을 양성합니다. 1942년에 조선에 12개 사범학교가 있었고 6,233명의 조선인 재학생들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배출된 조선인 교사들 덕분에 일제말기의 국민학교 취학률은 전체 43%였고 남자의 경우는 60%에 육박했습니다. 1943년에 조선에 공립 보통학교만 3,717개였습니다. 해방이후 이승만의 의무교육이 가능했던것도 일제가 양성한 조선인 교사들이 있었기때문입니다. 산업화의 엔진을 만들었다는 박정희도 일제가 만든 대구사범학교 출신입니다.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9 ай бұрын
그래서 해방후까지 문맹률이 80에서 90%여서 좌우 독립운동가들과 미군정이 친일 공무원들을 등용했냐?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9 ай бұрын
@@user-kt8yp5ho2y 해방직후에 문맹률 높은 이유중 하나는 일제시대 조선인들한테는 국어가 일본어였기때문입니다. 학교에서 일본어만 배웠는데 한글문맹률은 당연히 높을수밖에 없습니다.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9 ай бұрын
@@user-cg9cq7yq3r 일본어도 마찬가지 였음. 왜냐하면 당시 교육은 공교육이 아닌 오늘날 학원처럼 학비를 내야지 다닐수 있었던 시스템이라 돈이 없는 사람들은 초등학교 1학기만 다니고 농사나 공장에 가서 노동을 했음. 그러니 문맹률이 높으니 좌우 독립운동가들 부터 미군정도 친일파를 등용했지.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9 ай бұрын
@@user-kt8yp5ho2y 해방직후에 문맹률 높은 이유중 하나는 해방직후에도 인구의 상당수는 조선왕조시절에 학령인구였기때문입니다. 1930년 국세조사에서 15세이상 전체조선인의 문맹률은 69.9%입니다. 그런데 연령별로 보면 15-24세(57.7%) 25-39세(64.6%) 40-59세(73.4%) 60세 이상(79.8%)입니다. 일제의 학교보급으로 낮은연령대에서는 문맹률이 떨어지고 조선왕조시절에 학령인구였던 높은연령대에서는 문맹률이 높은걸 확인할수있습니다.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9 ай бұрын
@@user-kt8yp5ho2y 1945년 해방직후에 78%가 나왔다는 문맹률조사는 정확하게는 남한지역의 국문 해독자 수를 조사한겁니다. 해방이후에 국문은 당연히 한글이고 학교에서 일본어를 국어로 배웠던 조선인들의 한글문맹률이 높았던건 너무도 당연한겁니다.
@user-un4vu4zv7v
@user-un4vu4zv7v Жыл бұрын
학폭이 나를 더 강하게 만들었다는 거와 무엇이 다릅니까? ???: 아빠가 어렸을때 힘없을때 겁나 맞았는데 이게 날 키우는 원동력이 되었어! 너도 맞아도 이게 널 강하게 해준다고 생각해! 학폭이 나쁘다고만 생각하면 안돼! ???: 아빠! 난 안 맞고 잘 배우고 살면 안되는 건가요?
@user-dw1vq1xr8i
@user-dw1vq1xr8i Жыл бұрын
좀 그렇게 멍청하고 단순하게 이해하지마세요. 국제정치나 역사를 학폭따위로 단순하게 치부하면 어떡함?
@KS-ci9cu
@KS-ci9cu Жыл бұрын
학폭 범인 = 이씨왕조
@ChunSik262
@ChunSik262 9 ай бұрын
그래도 일제강점기라는 어둠 덕분에 민주주의를 포기한 일본제국과는 달리 민주주의 강국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다고 생각함. 그걸 반증하는게 3.1운동과 대한제국이 아닌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JH-wr4gl
@JH-wr4gl 9 ай бұрын
정말 멍청한 비유네요 세계사를 좀만 관심 있게 보면 그렇게 간단하게 비유할 문제가 아니란걸 알텐데
@user-wp7zb6lg5l
@user-wp7zb6lg5l 7 ай бұрын
1945년에서 한국전쟁이 벌어진 50년까지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태평양 전쟁때 일본은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 기술력의 백분의 일이라도 한국이 갖고있었나요? 자동차한대 만드는데 해방되고도 몇십년이 걸렸습니다. 그 말은 기술력 0 상태에서 배우면서 시작했다는 겁니다. 일본의 유산같은게 아니라는거에요. 근대화설을 주장하시려면 근대화이 될만한게 뭐가 있었는지를 말하셔야죠?
@NICKNAME-ig9vh
@NICKNAME-ig9vh Жыл бұрын
역사를 프레임으로 보는것만큼 바보같은짓이 없지
@ldi01288
@ldi01288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안경테 브랜드나 명칭 알수있나요?
@dayeongjeong3516
@dayeongjeong3516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 애들이랑도 보고 같이 얘기하고 싶은 책이네요. 좋은 책 감사합니다.
@user-yp7fr8xv1r
@user-yp7fr8xv1r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채널
@2939bp
@2939bp Жыл бұрын
졸업은 못했지만.. 나름 역사 좋아했었고 진심이었기에 역사학과를 갔었고 또 역사왜곡에 핏대를 세우며 싸운적도 있었습니다. 현재는 역사와 관계없는 사회인으로 살면서 여러 역사컨텐츠를 접하고있는데 그럴때마다 생각한건 너무 우리역사, 우리나라 기준으로만 생각했던건 아닐까? 감정적으로만 우리가 옳다고만 생각했던건 아닐까 하고 고찰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심용환 작가님 영상들을 접하고 나선 그래도 우리민족이 아픔을 당한 것은 사실이고 지금도 그것이 이어지고 있으며 그런 객관적인 사실을 우리가 알아감과 동시에 외부에 왜곡에 맞서 당당히 맞서야함을 잊어선 안된다는 것을 다시한번 지각하게 했습니다. 이번 신간도서 정말 기대가되고 읽어볼 수있는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닉네임, 연락처와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sundubuzzigaematnam
@sundubuzzigaematnam 7 ай бұрын
우리민족이 아픔을 당했다고 부터가 굉장히 가치판단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데 역사학과 맞으신가요? 사실판단으로 점검해야 하진 않을까요?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8 ай бұрын
1930년 조선국세조사보고에서 15세이상 조선인 문맹률은 69.9%입니다. 1930년 문맹률을 연령별로 보면 15-24세(57.7%) 25-39세(64.6%) 40-59세(73.4%) 60세 이상(79.8%)입니다. 일제의 교사양성과 학교보급으로 일제시대에 학령인구였던 낮은연령대에서는 문맹률이 떨어지고 조선왕조시절에 학령인구였던 높은연령대에서는 문맹률이 높은걸 확인할수있습니다.
@jjangjjang_1409
@jjangjjang_1409 Жыл бұрын
좋다, 이런 분이 더 많이 이야기를 정확하게 만들어주기를 바랍니다.
@hjj5370
@hjj5370 Жыл бұрын
일뽕들 ㅋ ㅋ 그때일본이근대화를 했으면 아나키스트나 공산주의는 왜척결못했냐 ㅋ ㅋ 결국 식민지근대화론은 ㄱ소리임
@demian-rt2zr5gf2r
@demian-rt2zr5gf2r Жыл бұрын
60년대 일본 작가가 쓴 인간의 조건 이라는 실화 바탕 소설에서 중국인들은 피해자로 일본인들은 가해자로 조선인들은 일본인들 밑에서 중국인들을 깔보는 마름으로 나오더군요. 어릴 때 읽고 충격 받았다는... 일제강점기에 대한 추억이 친일파냐, 독립운동가냐, 평범한 백성이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개개인마다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Жыл бұрын
조선인은 자기들이 제국의 2인자이고 일본인하고 동등하다고 여기긴 했죠. 실제로도 내선일체 정책으로 일본인화 할려고 했으니. 후기 변절자들 주장도 독립은 힘들거 같으니 최대한 협력해서 승리의 열매를 나눠먹자였음.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만주군이 중국인에게 마약을 팔아서 군자금을 마련하려 하는데 실제로 마약을 팔러다닌 사람은 조선인들이었다 합니다. 조선인들이 일제 시대에 조선에 살던 중국인들을 학살한 적도 있어요. 일본인의 비호하에 일어난 일이죠. 다른 나라의 역사를 봐도 흔한 일입니다.
@user-oy6hg4we1h
@user-oy6hg4we1h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사람마다 다르죠 그리고 일본인에 특성상 일본관련 글은 신뢰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반화 시키는 것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일제 빌붙은 것들은 잘 살았겠지만 아닌자들은 힘들었겠죠. 일제보다 더 드러운 놈들이 빌붙은 놈들이에요. 후손까지 대대로 우리 땅에 딛지 못하게 싹을 제거해야 합니다.
@maple4801
@maple4801 Жыл бұрын
동남아에서도 조선인을 증오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일본이 인도차이나반도를 점령하고 조선인을 관리 감독 직으로 임명했거든요. 오죽했으면 일본놈도 싫지만 조선 놈은 더 싫다고 수기에 적었겠습니까? 이런 인식은 임시정부가 외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 받는데 큰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Moresteponemore
@Moresteponemore Жыл бұрын
@@maple4801 싱가폴 리콴유가 자기가 처음 본 조선인이 점령한 일본군 군속이었다고 했죠.
@user-qy8mr9xr4i
@user-qy8mr9xr4i Жыл бұрын
이성적으로 팩트 팍팍! 너무 좋아요~
@user-wh6wi8eb1z
@user-wh6wi8eb1z Жыл бұрын
사고방식이나 정치이념이 다를 수는 있지만 보편적 상식(인권,주권,생명과 자유,평등의 중요성)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잘못된 것(ex)일본의 한국 식민지화 및 태평양전쟁 중의 반인륜적 행태, 해방 후 이념대립 시기의 테러와 민간인 학살, 북한의 6.25남침, 5.18 광주학살, 고문과 독재,부정선거 등)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user-cn5in4ue1l
@user-cn5in4ue1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그런데 경제 발전을 비교할 때 왜 뉴라이트 진영의 자료가 아닌 수량통계학적 자료를 써야하나요? 뉴라이트 진영에서 제기한 자료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수량통계학적으로 어떤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산출하길래 수량통계학적인 자료를 사용하는것인가요?
@user-eg4ns3lj9z
@user-eg4ns3lj9z Жыл бұрын
그냥 각건에대한 사실에 근거한 평가, 그리고 인정 우기지않고 왜곡하지않는... 하지만 지금은 정치적 이점에따른 너무오랫동안 왜곡이 지속되오고있는것 같아 안타까울따름입니다 인정이 이렇게어려운지 모르겠습니다
@user-jq9rw5it2d
@user-jq9rw5it2d 2 ай бұрын
식민지는 근본적으로 나쁜 것이나 그 안에서 다양한 모습을 복합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이 인상깊었음. 심용환님의 역사관에 100% 동의는 못하지만 균형 있고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하는 역사가라는 생각이 든다. 다른 채널의 황씨나 설씨는 아예 역사 공부가 안된 궤변론자들인데... 나는 심용환님이나 김용삼님이나 다 그 주장과 근거에 대해 귀기을여 들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스스로 끊임없이 균형을 잡아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근거는 삭제하고 자주 거짓말하는 황씨나 설씨는 멀리해야 한다고 봄.
@kmlee8302
@kmlee8302 5 ай бұрын
보여준 그림에서 Y축인 1인당 소득을 절대값으로 표시하면 매년 동일한 성장률로 성장했더라도 최근에 훨씬 더 성장한 것처럼 보입니다. 일부러 왜곡하려고 그렇게 그린 것은 아니겠지요? 연간 경제성장률로 그림을 그리거나 그게 어렵다면 소득의 로그값을 취해야 합니다.
@user-yd2ot9il8c
@user-yd2ot9il8c 10 ай бұрын
저들 필요에 의해 개발한게 발전시킨건 아니지
@SangDaeDeung
@SangDaeDeung Жыл бұрын
3.1운동 홍보글에 3.1운동 에 참여하지않으면 집에 불을 지르겠다는 벽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일본인들이 한국인들 성노예 만들고 강제징용하고 가미카제 태운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Жыл бұрын
@@user-solarsurvival 일본이 대공황 이후 완전히 광분의 길로 흘러서 스스로 패망의 길로 들어선것과 그 과정에서 저지른 범죄 행각은 다들 인정하는 바입니다. 그럼 대한제국 고종이 권력욕에 빠져서 개혁을 줄줄이 좌초시켜 국운을 망국으로 이끌고 을미의병 일으킨 유생들이라는 것들은 상투만 자르면 매국노니 뭐니 몰아대며 광란을 펼친데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요? 고종, 유인석 같은 인간들 계속 미화하는게 옳은가요?
@mseiksby4541
@mseiksby4541 Жыл бұрын
​@@user-solarsurvival 이광수같은 사람들은 일제에 적극 협력해서 전쟁에 참여하고 정치적 발언권을 얻고 군사기술을 익혀 장래에 해방을 맞았을 때 건국에 도움이 되는 인재가 되라고 젊은이들을 독려했습니다. 당시 한국인들이 전부 강제로 떠밀려 나갔다는건 커다란 착각입니다.
@user-solarsurvival
@user-solarsurvival Жыл бұрын
@@mseiksby4541 이광수 같은 놈을 변절자, 친일파라고 합니다 일제에 자발적으로 협력한 게 자랑입니까? ㄹㅇ 샤를 드골이 나치 협력자들 싸그리 사형시킨 것처럼 대한민국도 변절자들 싸그리 족쳤어야 했는데 아쉽네요
@user-rh1ti5hm3r
@user-rh1ti5hm3r Жыл бұрын
비폭력운동인 3.1운동에 참여한 사람들 학살하고 그런적 없다고 발뺌하는 일본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덴노의 옥음명령에 따라서 귀축영미에 폭탄과 죽창들고 옥쇄하지 않은 일본인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xe4ee1nv1s
@user-xe4ee1nv1s Ай бұрын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는데 식민지 기간동안 발전을 한것은 사실이지요.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식민지배가 없었다면 우리 스스로 열강의 시대에 근대화를 이루었을 역량이 되었을지도 조금 의문이 드네요. 그 산적한 문제들을 풀어낼 역량이 되었을지? 주권 침탈후 왕권 회복을 위해 독립운동을 한 지식인들이 많았는데 성리학에 빠져 지낸 지식인들이 열강의 시대를 헤쳐나갈수 있었른지
@nasyonaru9333
@nasyonaru9333 Жыл бұрын
8:54 6.25 전쟁의 몇 안되는 순기능 : 신분제 철폐
@user-zs4zs9hu1g
@user-zs4zs9hu1g Жыл бұрын
집에 도둑이 들었는데, 도둑이 뒤진 덕분에 있는지도 몰랐던 비상금을 찾게되서 다행이라느니 켜져 있던 불을 도둑이 껐으니 우리 가정을 근대화시켜줬다느니 하는 것 같아 참 안타깝습니다.
@user-ev8pg2kg6r
@user-ev8pg2kg6r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도둑이 못들어오게 문단속을 철저히 해야되는게 당연한거 아님?? 당시 조선은 문단속은 커녕 오히려 도둑을 자기 스스로 불러들인 상황이었지 도둑을 자기집으로 불러들이고서는 이제와서 도둑놈에게 왜 우리집 도둑질하냐고 따지고 사과를 요구하는게 더 이상한거 아님?? 도둑을 불러들인 당시의 상황과 역사를 스스로 반성하고 다신 그런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는게 제대로된 역사인식 아님??
@Sputnik_tebe
@Sputnik_tebe Жыл бұрын
​@@user-ev8pg2kg6r 너같은 놈들 때문에 지금 저기 나와서 설명하시는 거잖아. ㅉ
@user-ev8pg2kg6r
@user-ev8pg2kg6r Жыл бұрын
@@Sputnik_tebe 내말이 틀린게 있냐!! 스스로 문단속도 못하면서 도둑(외세)을 왜 끌어들이냐고!!! 그래놓고 수탈이다뭐다 징징되는게 더 한심한거다!!!
@user-jx9pz9wp7j
@user-jx9pz9wp7j Жыл бұрын
이런댓글 싸는놈들을 위한 영상인데도 굳이 똥글싸서 투기장여는 목적이 뭐야?
@user-zs4zs9hu1g
@user-zs4zs9hu1g Жыл бұрын
@@user-ev8pg2kg6r 그래봤자 도둑이 나쁜짓한 건 명백한 사실이죠. 그 뻔한 사실을, 우리가 자기단속을 못했으니 '징징대는 한심한거다'라고만 치부하시네요. 우리가 문단속 제대로 못했다고 도둑이 도둑질을 해도 되는 건 아니니까요. 우리가 가정을 잘못 꾸린 우리 잘못을 먼저 명시하면서, 도둑은 우리가 '불러들였다'고 단정짓고 그러므로 도둑의 잘못을 따지는 게 '이상하다'라고까지 물타기하네요. 당신의 그 마음 속 의도가 정말 우리가 반성할 부분을 잊지 말자는 순수한 의도인지는 당신 자신만이 알겠지만, 그렇게 동의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전개네요.
@user-pn8eo1qi6l
@user-pn8eo1qi6l 7 ай бұрын
공자님 맹자님 찾는 무능한 지배층들 덕분에 일본에게 나라를 빼긴 것에 대해서는 언급을 왜 안하는지? 빼앗은 건 잘못이지만 뺏을 수 있는 나라를 만든 지배층에 대한 비판은 일절 하지도 않고 무조건 일본이 나쁘다? 일반 서민 입장에서는 단순히 수탈의 대상이 바뀐 것일 뿐임
@user-nw1be9yj2j
@user-nw1be9yj2j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present030
@present030 Жыл бұрын
쌤님 책사서 읽는중이에요 여러가지 정상적이지않은 의견에 냉철하게 반박할 말발이 안선달까...? 아무튼 누가 이런 개소리를하면 이런식으로 말하면 되겠다 하고 정리할수있게 되어있어 너무 잘 읽혀요 물론 한민당이나 김병로 같은 사람은 전 처음알게되서 근현대역사를 좀더 자세히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도드네요 🤓🤓
@user-zp4dv5rl9r
@user-zp4dv5rl9r Жыл бұрын
권위에 기대어 남이 바로보라는 역사를 맹목적으로만 바라보지않고 역사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교훈을 찾아가는 스스로를 바라보며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닉네임, 연락처와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user-cw5px8fl5x
@user-cw5px8fl5x 9 ай бұрын
근대화를한이유가 수탈을편하게하기위함이지 역사는 진짜 감정이아니라 지금내 상황이어떡고 어떡게해야되는지가 중요한거지 지금우리는 일본과 협력할때다 단 협력은절대매국이아니다 우리는 친일을한다하면 매국처럼말하는경향이있다
@koreahong3445
@koreahong3445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면서 유시민 작가가 방송에서 했던 말이 생각났습니다. "질문의 답을 찾지 못하면 질문이 잘 못 되었는지를 생각하고 질문을 바꿔 보라"고 한 이야기입니다. 책 제목이 잘 못된 질문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역설적으로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라는 것이 불가능한 것임을 인정하는 것이 ‘한국사를 이야기하는 법’의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감히 생각해 봅니다. 오랜 기간 역사를 연구하고 다양한 분들을 만난 경험이 있는 작가님이 책 제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실 것이라고도 생각됩니다.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다고 하는 잘못된 질문이 답을 찾지 못하는 선에서 머무르지 않고 오히려 더 큰 싸움을 유발할 수 있기에 걱정이 됩니다. '공격과 싸움이 아닌 위로와 사랑으로 한국사를 이야기하는 법' 정도를 연구하시는 것이 지금의 책 제목보다는 더 실효성이 있을 것입니다.
@paradoxrussell2200
@paradoxrussell2200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공부하고 알면 알수록 조선역사는 쉴드 쳐주기가 힘들죠 고종이 수치 그자체 일본이 모든게 옳았다 라는건 말이안되지만 도움이 된 지대한 영향이 있던건 팩트라서 뭐라 못하고 참 복잡합니다
@user-tu4nd4dv7k
@user-tu4nd4dv7k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그런 생각도 들어요. 역사를 배웠다고 해서 무조건 가해 나라를 배척하고 혐오하는게 맞을까...식민지를 당했다는 역사는 기억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 일본은 비판을 받아야 합니다. 그만큼 지금 현재 상황에서 일본에게서 어떤 점을 배우고, 어떤점을 배격할지, 그러한 점도 생각해야 할 부분인거 같아요. 비단 일본 뿐만 아니라다른 국가에도 마찬가지 라고 생각해요. 그래야 우리나라가 두번 다시식민지 상태처럼 돌아가지 않을 테니까... 보통 우리나라 사회가 일본 따라간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건 아니니까...
@hope9170
@hope9170 Жыл бұрын
근현대사보면 식민지될 것 같으니까 부랴부랴 근대화 추진한 것 아닌가? 그래서 난 어느정도는 도움을 줬다고 생각함. 세계정세를 보게되는 계기도 되었고
@wirition
@wirition 9 ай бұрын
일본이 설령 조선을 발전시켰어도 6•25전쟁(사변)으로 국토가 황폐화되고 그나마 남은 공장, 발전소 같은 것들마저 북한에 넘어가고 전쟁으로 노비 문서, 토지 대장 따위가 소실되어서 신분질서나 기득권이 파괴된 게 더 크지요 그렇지만 일본이 악해서 그랬다기보다는 당시 시대상이 문제였으니 그랬던 것이고 일본은 패전국이기도 하니 그 책임을 톡톡히 치르면 될 뿐이지 일본을 평생 적대시 해야한다거나 고종과 민비 등이 피해자다라는 주장은 너무나도 비약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중국을 견제해야 하는 입장에서 일본과도 척을 지면 한국은 포위되거든요 여튼 요점은 역사와 국제정치의 교훈으로 말미암아 국익을 위해 행동해야지 뭐가 선했네 악했네 하며 언쟁하는 조선시대식 방식은 버려야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오랑캐라 무시하는 후금이 청을 세우고 명보다 훨신 넓은 영토를 얻었으니 말입니다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두 가지를 전제합니다 1) 일본은 한국을 위해서 근대화를 추진한 적이 없고 일본의 이기적 목적으로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2) 일본이 근대화를 해서 결과적으로 이득이 되었다고 해서 한국인이 일제시대에 이루어진 근대화에 대해 감사할 필요는 없다. 그 바탕 위에서 다음을 주장합니다 3) 다만 근대화를 우리가 이룰 수 있었다거나, 실제로 어느 정도 이루었다는 주장은 너무 지나친 과장이다. 지금도 한국인의 의식에는 근대성이 없는데, 어떻게 150년 전에 스스로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인가?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이 동영상 제목이 틀렸습니다. 식민지 근대화론은 일본 덕분에 근대화가 되었다는 주장이 아닙니다. 일본이 근대화를 이뤘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일부 사람들이 그것 때문에 일본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을 말릴 수는 없지만, 근대화가 조선 사람들을 위해 추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상기해주면 될 일입니다. 일본인들이 자기 좋자고 한 일에 왜 우리가 감사를 한다는 말입니까? 그런 주장을 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자는 한 명도 만난 적이 없어요.
@user-rh1ti5hm3r
@user-rh1ti5hm3r Жыл бұрын
ㄴㄴ님이야말로 틀렸음. 식근론자들의 가장 중요한 쟁점은 2)=> '근대화와 문명을 번역해 내려준 일본에 대한 감사함을 모르는 한국인의 미개한 의식'임. 그렇기에 그게 님이 주장한 3)번의 한국인의 의식에 근대화가 없다는 민족성 폄하 로 이어지는거임. 감사함도 모르는 민족 당장에 친일시위하고 일장기들고 시위하시는분들, 그리고 이번 3.1절에 일장기 걸어놓으신분들이나 인터넷에서 식근론 퍼나르면서 이야기하는거보면 '일본에 감사해야한다' 스탠스 그대로 있는데 뭔 아닌척해요 ㅋㅋ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Жыл бұрын
@@user-rh1ti5hm3r 식민지 근대화론의 괴수가 누군지 아시나요? 김용삼입니다. 김용삼이 하는 말 들어보셨나요? "일본은 언제까지나 자기들을 위해 그런 일을 한 것이다" "자비로운 제국주의라는 것은 세상에 없다" 자, 누가 틀렸나요?
@user-wp7zb6lg5l
@user-wp7zb6lg5l 7 ай бұрын
1945년에서 한국전쟁이 벌어진 50년까지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태평양 전쟁때 일본은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 기술력의 백분의 일이라도 한국이 갖고있었나요? 자동차한대 만드는데 해방되고도 몇십년이 걸렸습니다. 그 말은 기술력 0 상태에서 배우면서 시작했다는 겁니다. 일본의 유산같은게 아니라는거에요. 근대화설을 주장하시려면 근대화이 될만한게 뭐가 있었는지를 말하셔야죠?
@user-lz1ob5vf6i
@user-lz1ob5vf6i Жыл бұрын
자기가 필요해서 강제로 데려다가 온갓 인프라 다 설치하고 필요한 비용도 다 털어서 했는데 도대체 뭘 고마워해야 되냐
@user-yl8wv9gv9v
@user-yl8wv9gv9v Жыл бұрын
그 투자해줘서 조선에 그인프라 설치하려면 조선이 줘 쨔도 안나올걸 본토에서 끌어다쓴예산이 얼만데 근데결국 그게 투자란거
@wholot
@wholot 9 ай бұрын
​@@user-yl8wv9gv9v조선총독부 세입세출표 보세요. 예를들어 철도 건설에 쓰인 비용은 30년대 중반쯤 다 회수 됩니다.
@kimchi_taco
@kimchi_taco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통계를 정확히 말하지 않는데요, 위키에 있는 통계를 보면, 1910년 부터 1940년 까지 통계는 계속 좋아집니다. en.wikipedia.org/wiki/Korea_under_Japanese_rule 공교육 진학률: 1910: 2%, 1920: 5%, 1930: 17%, 1940: 40% 농업 생산성: 1910: 200, 1920: 1000, 1930: 700, 1940: 2000 경공업 비중: 1910: 5%, 1920: 13%, 1930: 25%, 1940 43% 인구: 1910: 1.3천만, 1920: 1.7천만, 1930: 2천만, 1940: 2.4천만 철도 길이: 1910: 0, 1920: 2000km, 1930: 4000km, 1940: 6000km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Жыл бұрын
그거야 문서상 좋게 나온거지
@mseiksby4541
@mseiksby4541 Жыл бұрын
으따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있당께?ㅋㅋㅋㅋ
@ordinary3652
@ordinary3652 Жыл бұрын
해방후 네이산보고에 따르면 국민소득 67달러에 국민 대부분 농민. 그것도 50%가 소작농이었다고 나옵니다. 여전히 한반도,조선인은 가난했다는거죠. 그리고 그런식의 통계 주장은 중국이 티베트 지배하며 주장하는것과 똑같습니다. 중국도 티베트지배에 대해 인구가 늘어났다, 도로 철도가 전부 깔렸다, 교육수준이 좋아지고 삶의 질이 좋아졌다. 라고 주장합니다. 그럼 우리는 중국의 티베트 지배를 지지해야 하나요? 타국가를 지배하는건 그 자체 나쁜것 입니다.
@javaxerjack
@javaxerjack Жыл бұрын
함정 : 농업 국가였던 조선의 총 성장율이 2%수준. 몇년전까자 공업국가인 한국의 성장율이 더 높았음.
@trecime
@trecime Жыл бұрын
[식민지배는 무조건 나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힘드네요. 한반도의 경우, 유구한 역사가 있고, 이미 민족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식민화가 되었으니 대부분은 식민지배를 안 좋게 생각하지만, 대만의 경우는 식민지배를 고맙게 생각합니다. 실제로 대만의 근대화에 일본의 식민지배가 큰 영향을 미쳤고요.
@ordinary3652
@ordinary3652 Жыл бұрын
탈식민지를 미국과 세계유엔연합국이 해낸 결실물인데 식민주의를 찬양하는건 제국주의를 찬양하는것과 같죠. 중국이 티베트 지배하며 똑같은 소리 하는건 아십니까? 티베트 경제발전되고 삶의 질이 좋아졌다고, 그럼 중국의 티베트 지배는 착한 지배 인가요?
@user-ch6jy7hs1e
@user-ch6jy7hs1e Жыл бұрын
제주도도 고려에 병합됐는데 나쁜건가요?
@change9517
@change9517 Жыл бұрын
@@user-ch6jy7hs1e 4.3 사건 같은걸보면 무조건 좋다고 볼 수는 없음...
@user-im1ol4uh2t
@user-im1ol4uh2t Ай бұрын
무능하고 멍청한 조선이 망했으니 식민지배가 차라리 낫긴 함
@user-el6yk1gm7t
@user-el6yk1gm7t 7 ай бұрын
조선은 썩은 나라였다는 것은 변하지 않아요
@masonjo5386
@masonjo5386 3 ай бұрын
조2현2병 친2일아 일본으로 가라
@user-im1ol4uh2t
@user-im1ol4uh2t Ай бұрын
이건 맞지.ㅈㄴ 무능해서 전쟁도 안하고 나라 뺏김
@user-vp4nk7hs9z
@user-vp4nk7hs9z Ай бұрын
니네일본은 마비키 요바이 있던 나라
@mtseok
@mtseok Ай бұрын
역사를 이해할려면 당시 시대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했는지를 우선 살펴봐야한다...지금의 관점에서 당시 사건들을 오역 왜곡하는것은 오만이고 무지이다...일본제국시대에는 방구좀 뀐다는 지식인들은 일본으로 몰려가서 배우고 기회를 잡으려 노력했다 그러한 사람들 중에는 손문 주은래 김옥균 박영효 등등 많은 인물들이있었고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경제적 기회를 잡으려 일본행을 선택했었다...지금은 출산을 하려고 일부러 출산여행을 미국으로 가는 사람들을 매국노라 하지는 않는다...조선시대에 인구 조사를 안한 이유를 먼저알아야지?
@user-oe1ev8fo2o
@user-oe1ev8fo2o 3 ай бұрын
일본은 나뿐일만 했다..그것이 우리 역사학자가 지켜야될 사명이다..잘하고있다 일본은 나빠야 우리 민족 정기가산다
@user-im1ol4uh2t
@user-im1ol4uh2t Ай бұрын
다시 말해 무지성 반일한다는거네요
@spinoffnote
@spinoffnote Жыл бұрын
제가 댓글 싸움할 때 쓰던 논리가 "박정희 때랑 일제시대랑 비교해봐라. 박정희때 훨씬 더 성장했잖냐. 왜 일본이 아니었다면 성장을 못하고 물질적 풍요를 못누렸을거라고 하냐"였는데 똑같은 생각을 여기서 보게될 줄은 몰랐군요. 최근 오팔육들 욕먹는거 보면 좌파쪽에서 스스로 "불의에 저항하는 정의로운 약자"라는 자기최면에 빠져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이제는 잘 알려진 것같습니다. 그런데 비슷한 경우로 우파쪽에 식민지사관에 사로잡힌 사람들 보면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못난 우리자신'이라는 진실을 받아들이는 지성인"이라는 자기최면에 빠져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잘 알려져있지 않은 것같습니다. 좌파들의 '정의로운 자' 프레임이나, 우파의 '진실된 지성인' 프레임이나 전부 다 "세상이 모두 속고 있는데 깨어있는 잘난 나"라는 선민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좌우를 불문하고 가장 지독하게 현혹된 자들이 즐겨쓰는 말이 "깨어있다"라는 말인 탓에 본뜻으로는 긍정적인 의미인 "깨어있다"라는 그 말이 이제는 정말 혐오스럽군요.
@spinoffnote
@spinoffnote Жыл бұрын
@@user-cg9cq7yq3r 아 그 밑거름설 말할려고 하시는구나. 일본이 한국이 발전하기위한 밑거름을 다 마련해 준거다 라는 그 설 말이죠? 그럼 전후 한국과 일본을 비교해보면 되잖습니까? 1945년에서 한국전쟁이 벌어진 50년까지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보라구요. 태평양 전쟁때 일본은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그 기술력의 백분의 일이라도 한국이 갖고 있었나요? 자동차 한대 만드는데 해방되고도 몇십년이 걸렸습니다. 그 말은 기술력 0 상태에서 배우면서 시작했다는겁니다. 일본의 유산같은게 아니라는거에요. 밑거름설을 주장하시려면 밑거름이 될만한게 뭐가 있었는지를 말하셔야죠? 산업인프라도 없고 기술자도 없고 뭐가 밑거름이죠?
@spinoffnote
@spinoffnote Жыл бұрын
@@user-cg9cq7yq3r 지금 당신의 말이 인식을 잘 보여주는겁니다. 일본이 아니었으면 교육도 안 시키고 과학문명도 안 받아들이고 사회제도 그대로고 말그대로 조선시대 그대로 였을거라고 생각하는거 아닙니까? 그래놓고 일제시대 우리가 발전한 것과 해방후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을 비교해보면 독자적으로 움직일때 휠씬 발전했다고 하면 해방 후 발전은 일제가 밑거름을 깔아줬기 때문이래. 일제가 무슨 밑거름을 깔아줬냐고 물으면 또 다시 조선시대랑 비교함. 무슨 도돌이표입니까? 문명이 전파되는 것은 물컵에 잉크를 떨어뜨리는것과 같아요. 자연스럽게 퍼지게 되어있어요. 일본이 아니었어도 한국은 근대화를 이룩하게 되어있어요. 애초에 일본의 근대화도 서양에서 배워 온거지 산업화가 일본에서 생겨난겁니까? 해방후 우리는 기술도 자본도 인프라도 없는 상태에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일구어냈어요. 이로 미루어보면 일본이 없이 36년을 보냈어도 우리는 근대화를 해냈을거라고 자연스레 추정할 수 있는겁니다. 오히려 더 잘해냈을겁니다. 박정희가 미국의 경공업 위주로 경제발전시키라는 압력을 물리치고 중공업 위주로 산업을 육성했죠. 우리가 미국의 식민지였다면 얄짤없이 경공업 위주로 산업을 육성시켰고 지금의 발전은 이루지 못 했을겁니다. 이를 대입해보면 일본이 던져주는건만 먹어야하는 식민지에 비해 나라가 독립된 상태였다면 우리에게 필요한걸 찾아서 먹었을거라는걸 알수있죠. 이는 무려 36년간이나 같은 정부의 통치를 받았음에도 일본은 항모와 전투기를 생산하고 우리는 자전거 한대 제대로 못만들었다는데서 드러납니다. 36년 세월에 비해 기술격차가 너무 하잖아요. 우리가 남태평양이나 아마존같은 오지에 있는 나라도 아니고 세계문명에 가깝게 접근해 있는 나라인데 근대화가 전파되는건 필연이죠. 님은 혹시 우리나라가 이런 자연스러움에 거슬러 근대화 이전 사회에 계속 머물러있었을거라는 근거가 있습니까?
@ozmaofoz3708
@ozmaofoz3708 Жыл бұрын
​@@spinoffnote 👍👏👏👏
@seomelong
@seomelong Ай бұрын
여기서마저 좌파니 정의로움에 자기최면 되어있다느니, 해야하는 겁니까?
@user-dy6hg1pm4s
@user-dy6hg1pm4s 2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영원히 깨어있을 수가 없습니다. '깨어있다'는 건 실현 불가능한 표현입니다.
@sugarfree97
@sugarfree97 9 ай бұрын
심용환씨의 주장도 지금 현대에 이르러서는 굉장히 낡은 사고 방식입니다. 오로지 국가 국민 민족 이러고 있거든요? 그래서 시민들의 삶은요? 그걸 말씀하셔야죠? 근대화? 근대화는 중요한게 아니다? 맞습니다. 나치 독일은 근대 국가거든요? 나치 독일이 살만한 나라일까요? 아닙니다. 우리가 대한민국을 선택하는 이유가 뭐죠? 단순히 내가 태어난 나라가 대한민국이기 떄문에?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아주 낡은 사고거든요. 대한민국이 가장 자유로운 나라기 때문입니다. 만약 대한민국이 조선이나 북한처럼 자유로운 시민사회가 형성이 되지 않고 국민들이 사실상의 국가의 노예가 된다면 이 나라는 살 가치가 없는 나라가 되는 거에요. 그렇다고 해도 국가 국민 민족을 떠들껍니까? 그럼 정권 정치인의 나팔수 밖에 안 되는 겁니다. 시민 사회가 제일 중요하죠. 왜 가장 중요한 걸 먹어요? 그렇다면 일제시대의 시민사회는 어땠느냐를 조명하셔야죠. 조선보다 핍박 받았나요? 대중 민중들의 삶은 어땠냐고 묻고 있느 겁니다.
@cellian8488
@cellian8488 Жыл бұрын
일본때문에 근대화가 되건 안되건이 뭐가 중요한가요? 근대화가 되었다 한들 조선정부가 원해서 해준건가요?
@user-dy6hg1pm4s
@user-dy6hg1pm4s 22 күн бұрын
식민지 근대화론은 도덕성 등등의 요소도 개입돼 있어서 역사만으로 접근하면 안되고 다양한 철학적 논쟁이 필요할 듯 하다
@SLuv-jl5uo
@SLuv-jl5uo Жыл бұрын
어렵고 긴 시간들도 필요하지만 쉽게 내려놓거나 맞지 않는다며 단절이나 외면도 말고, 서로 생각이 확연히 다를지라도 각자의 다름을 인정해주고 어떻게 하면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상생할것인가를 논하는 것입니다 너무 정치색을 나타내지 않고 깊이있는 생각으로, 이당이니 저당이니를 떠나서 인물 위주의 대화보다는 현재에 처해진 공통적인 주제로 대화를 이끌어 나가면 좋을 거 같아요. 처음에는 우선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부터 토론식으로 대화를 하며 제대로 된 비판이 아닌 상대의 이야기부터 경청하는 자세로 존중해주며 나 역시 쓸데없는 아집따위로 분위기를 흐리지 않아야 되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점점 경험을 쌓아가다 보면 나중에는 더 훌륭한 토론의 장에 속한 하나의 일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요.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역사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하는 것인데 제 생각도 그렇고 선생님의 말씀처럼 무조건 책. 결국에 책 속에 모든게 있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책을 고르는 안목도 길러야 제대로 된 책을 볼 수 있겠죠. 그래도 다행인 건 선생님은 거의 유일무이하게 검증된 국민 역사 선생님이셔서 선생님께서 집필한 책을 믿고 볼 수 있어서 참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추천 해 주시는 책들도 마찬가지. 끝으로 개정판 내신 거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nowstory
@nowstor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사는 심용환 제작진입니다^^ 이벤트 참여 감사드리며 alive@we-alive.com로 성함과 닉네임, 연락처와 수령처를 보내주세요 : )
@twoxnine5650
@twoxnine5650 Жыл бұрын
반일종족주의에 대항하는 법 최종편을 본거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다ㅎㅎ 역시 심용환 작가님 촥오!ㅋ
@busseyde2996
@busseyde2996 Жыл бұрын
역시 가짜뉴스에는 이야기하는 것보다 이야기하지 않는 것을 봐야하는구나
@user-ii6dh4ce3k
@user-ii6dh4ce3k 2 ай бұрын
식민지 근대화론이 어처구니없는 미친 소리인 이유.. 제국주의 시대에 식민지가 된 수많은 나라들은 그럼 다들 식민제국 덕분에 잘 살고 있어야 한다는 소리인데..말이 되냐. 애초에 식민지를 만드는 이유가 자원, 식량, 노동력 수탈과 시장확보 때문인데 근대화를 통해 발전했다는 황당무개한 논리가 어떻게 나올 수 있는거디?
@user-ot6hb5nn7z
@user-ot6hb5nn7z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좋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역사이야기가 굉장히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이 빠지기 쉽지않죠. 특히나 요즘은 대혐오의 시대이니.. 그래서 더더욱 비난이 아닌 비판 조롱이 아닌 설명으로 토론하는일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응원합니당~
@junghyun7900
@junghyun7900 Ай бұрын
파이브 아이즈(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이런 국가에서 인터넷을 개발했고 군사적 목적으루 활용하다 인터넷을 전세계에 풀ㅇㅓ주었다 와이파이는 호주가 개발했음 우리는 평생 파이브아이즈 국가에게 빚을 지고 있는거다 감사하게 생각해야한다
Became invisible for one day!  #funny #wednesday #memes
00:25
Watch Me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Дибала против вратаря Легенды
00:33
Mr. Oleynik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근대1] 근현대사 시작(시대구분 & 식민지 근대화론)
12:47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395 М.
일본의 침략 때문에 근대화가 되었나(박시백)
16:33
편의점 클라쓰e
Рет қаралды 21 М.
친일과 반일의 역사전쟁... 그리고 반일종족주의
27:01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654 М.
일본이 가진 이중성, 그 역사적 근원은 무엇인가? : 일본의 굴레 1부
1:04:45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Became invisible for one day!  #funny #wednesday #memes
00:25
Watch Me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