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전★소설 소년이 온다] 1980년 5월 18일 그리고 2024년 12월 3일 | 역사는 재밌다_45

  Рет қаралды 41,570

최태성 2TV

최태성 2TV

Күн бұрын

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명예로운 수상인만큼,
이번 역사는 재밌다는 소설 보기전으로 준비했습니다.
그런데, 소설 속 이야기가
비단 역사에만 한정되지는 않은 듯 합니다.
소설 '소년이 온다' 읽기전!
역사는 재밌다로 먼저 봅시다!

역사는 재밌다 콘텐츠 시리즈는
영상 콘텐츠의 배경 지식 등을
별님들과 함께 재밌게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콘텐츠 내 광고 표기가 없는 경우는 광고가 아니니
이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역사는재밌다 #소년이온다 #소설 #한강 #노벨문학상 #노벨상 #한강작가 #518민주화운동 #민주화운동 #광주 #전남도청 #민주화 #123비상계엄 #비상계엄 #사랑 #역사는 #큰별쌤 #최태성2TV #최태성1TV #최태성초등TV #최태성유아TV

Пікірлер: 134
@오리오리밍
@오리오리밍 2 ай бұрын
목소리 내시는 최태성 선생님 덕에 힘이 납니다
@김뷰태시기
@김뷰태시기 2 ай бұрын
계엄이 왜 무서운 일이냐구요? 그건 우리의 일상을 망가뜨리기 때문이죠. 어느날 하하호호 하면서 같이 지내던 평범한 옆집 아저씨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질수도 있는.... 그게 계엄령이거든요.
@gukbabbuking
@gukbabbuking Ай бұрын
계엄이 무조건 나쁘다라는건 잘못된 전제
@홍승진-k4z
@홍승진-k4z Ай бұрын
ㄱ😊😊😊😊ㅂ
@홍승진-k4z
@홍승진-k4z Ай бұрын
😊ㅂ
@김뷰태시기
@김뷰태시기 Ай бұрын
@gukbabbuking 명분도 없고 법적인 조건도 충족 안되는 계엄이니깐요. 지금이 무슨 전시나 사변 상황도 아니고 정치적인 이유로 계엄을 때린다는게 무슨....
@user-gg7ir1xd1m
@user-gg7ir1xd1m Ай бұрын
@@gukbabbuking독일처럼 계엄 시에도 헌법을 보장하게 해야함. 아무리 위급 상황이라도 언론검열, 인권 탄압이 가능해지는게 문제가 있는거임.
@mind2590-p8s
@mind2590-p8s 2 ай бұрын
`소년이 온다` 읽고 다시는 일어날 수 없는 비극의 역사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이번 계엄으로 놀랐어요. 하지만 젊은 군인들의 행동, 시민의 의식을 보면서 희망을 가집니다. 감사합니다.
@Lil-y9j
@Lil-y9j 2 ай бұрын
이분이 진정한 역사교사지
@빛의바다-d7m
@빛의바다-d7m 2 ай бұрын
정말 고맙습니다.우리 빛고을이 더이상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선생님 같은 분들이 있어서 우린 힘을 얻습니다
@berrycat34
@berrycat34 2 ай бұрын
소년이 온다, 참 마음 아프게 읽었습니다 21세기 계엄의 망령이 다시 부활할 줄이야... 응원봉 구입해서 토요일 여의도 상경합니다
@ys1124godqhr
@ys1124godqhr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그 날 저도 갑니다! 같은 하늘아래 함께해요!
@산사의봄-e3p
@산사의봄-e3p 2 ай бұрын
눈물이 납니다. 고맙습니다
@죤피터
@죤피터 2 ай бұрын
지금이 마지막 기회입니다. 이걸 놓치면 두고 두고 통한의 눈물을 흘릴겁니다. 모두 힘을 냅시다.
@user-yw6hh9ct8m
@user-yw6hh9ct8m 2 ай бұрын
요즘 세대에 꼭 필요한 책과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EIEI_061
@EIEI_061 2 ай бұрын
선생님 ㅠㅠ 저 정말 요즘 살고 싶지 않다는 좌절감과 우울감에 힘듭니다. 제발 나라가 바로 섰으면 좋겠어요.
@이소영-g4y
@이소영-g4y Ай бұрын
1년만 더 인내해 보세요 힘든 이 순간을 현명하게 지나보내고 나면 경험해보지 못했던 위대한 대한민국이 당신을 보듬을 겁니다. 함께 살아갑시다, 우리.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Ай бұрын
시험입니다. 현세는 시험이에요. 포기하면 시험 포기에요.
@혜경화-p2n
@혜경화-p2n 2 ай бұрын
목소리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빌런당 역사를 들여다 보면 앞으로도 표 주면 안된다
@향숙김-o6p
@향숙김-o6p Ай бұрын
가슴아픈 5 18의역사가 다시반복됄수도잇엇지요 끔직한일이-국민들이지켜냇습니다 멋진우리국민들이 감사하고감사합니다
@songyc7
@songyc7 Ай бұрын
스토리텔링 너무 좋습니다. 문학과 역사와 정치현실을 이렇게 울림있는 메시지로 엮어내는 실력. 감동입니다
@cky0091
@cky0091 2 ай бұрын
최근에 소년이온다를 읽고 참 그때 광주는 아팠겠구나 생각했는데 지금 또 한번 이런 짓을 시도하려고 했다는 사실이 참... 그들을 꼭 벌해야 합니다.
@김라시-z6r
@김라시-z6r 2 ай бұрын
오래 전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단순 학문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닌 깨어 있는 시민이 되라는 메시지를 받아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30대가 된 지금도 스스로 생각하는 시민이 되자는 생각을 마음 깊이 가지고 있구요.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opchi2045
@opchi2045 Ай бұрын
최태성 선생님 항상 응원합니다❤
@Mmm-h6r2t
@Mmm-h6r2t Ай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한국사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역사를 배우면서 화가 나는 순간들이 많았는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나라의 혼란스러운 상황에 화가 나고 슬픕니다. 하지만 선생님처럼 밝은 목소리를 내주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이번에 일어날 뻔한 참혹한 사태를 막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역사는 온 국민이 반드시 제대로 배워야 한다고 느낍니다. 이번 주 탄핵이 가결되어 편히 잠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렇게 목소리를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엄마니까-l3g
@엄마니까-l3g 2 ай бұрын
반복되는 이 역사가 너무 슬프네요
@bbclu
@bbclu 2 ай бұрын
역시 최태성선생님~👍
@소나무-c2l
@소나무-c2l 2 ай бұрын
역사는 되풀이된다 어쩜 이리 정확한지...자기를 죽이려했던이들에게 충성을 다하는 대구 부울경...반성없이 오더니 결국 이런 괴물을 만들어 다른 국민에게 피해를 주네 역사는 넘 중요하다 학생 공무원들에겐 특히 교육이 더 시급하다
@한효은-x2i
@한효은-x2i 2 ай бұрын
가르치는 학생들에개 선생님의 역사의 쓸모1,2 꼭 읽으라고 하고 있습니다!ㅎㅎㅎ
@ejcho8750
@ejcho8750 2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역사의 쓸모를 읽고 역사에 대한 인식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평면이였던 역사를 문학이 입체적으로 만든다는 말씀에 동감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소년이 온다를 힘들게 읽었는데요 오늘날 이런일이 다시 일어났다니 믿기지 않습니다. 느끼지 못하고 있었는데 요즘은 나 역시 역사의 한가운데에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tx9bd4vs4b
@user-tx9bd4vs4b 2 ай бұрын
최태성 선생님 감사합니다
@여자김미숙-d6x
@여자김미숙-d6x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민주주의를 지켜주세요
@hohooo483
@hohooo483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김아무개-m4b
@김아무개-m4b 2 ай бұрын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정의는 승리할 것입니다.
@watchout8119
@watchout8119 Ай бұрын
목소리 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어서 불안한 하루하루입니다.
@sanhaeyang
@sanhaeyang 2 ай бұрын
사랑합니다 선생님❤❤❤❤❤❤
@im.so_precious
@im.so_precious 2 ай бұрын
그래서 역사를 배울 때 문학을 함께 읽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로열헌트
@로열헌트 Ай бұрын
79년생 광주 시민입니다.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그에 관한 많은 경험과 생각을 하고 간접 트라우마가 평생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광주에 빚을 지었다는 분들 감사합니다. 부디 그 빚을 원수로 갚는 분들도 좀 줄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김수인-k8i
@김수인-k8i 2 ай бұрын
최근에 소년이온다를 읽었어요. 읽고 있는데 이번 12.3사태를 보고 광주5.18민주화운동이 절로 떠오르게 됐어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역사는 지도와 같다고 하시는데 공감을 했어요. 평면화처럼 보이지만 실은 입체화된다는게 공감이 됐습니다 정말 이 시국에 걸맞는 영상 아닌가 싶습니다
@이재영-n6r
@이재영-n6r 2 ай бұрын
한강작가는 6.25에 대한 관념이 틀렸어요.
@백지혜-h7w
@백지혜-h7w 2 ай бұрын
멋진 작품에 그만큼 멋진 해설이네요. 감사합니다!
@Wtau
@Wtau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바른 역사 지켜내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아몰라-l3b
@아몰라-l3b 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tv-pz4zz
@tv-pz4zz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ㅜ. 큰별쌤😭
@userLeeglue
@userLeeglue 2 ай бұрын
선생님이 제공해주신 무료 강의 보고 한국사 1급 합격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참 많이 분노하고 슬퍼하는 제 양심은 그동안 제가 했던 역사공부, 역사적 이야기에 가슴 아파하고 뿌듯하기도 했던 그 순간들에서 기인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이런 기억들을 위해 힘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niceinturn
@niceinturn 2 ай бұрын
광주가 아니었으면 자신들이 그 비극을 겪었을 가능성이 높은 부산, 마산...너희들은 부채의식도 없냐?
@bb-3263
@bb-3263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역사를 공부하며 한번의 삶을 소중히 그리고 의미있게 살겠습니다.🕯
@한효은-x2i
@한효은-x2i 2 ай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MDSOB-bangsong
@MDSOB-bangsong Ай бұрын
해설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저는 제주인입니다만, 슬프지 않기 위해 "Here comes the boy"는 읽지 않습니다. 축하합니다. 한캉 작가님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
@윤현우-x2q
@윤현우-x2q 2 ай бұрын
굿요 샘
@TV-jw9ds
@TV-jw9ds Ай бұрын
한강작가.최태성 선생님 최고로 멋져요
@유성현-p4j
@유성현-p4j 2 ай бұрын
최고세여ᆢ🎉
@Loe_YS
@Loe_YS 2 ай бұрын
우리 역사를 기억하고, 역사에 무임승차하지 않겠습니다! 새로운 역사를 쓰러 여의도 국회로 향합니다🕯
@이뜬구름
@이뜬구름 Ай бұрын
어두운 시기에도 시민 의식으로 군인과 탱크를 막아선 시민들과 머뭇거린 젊은 군인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왜곡된 역사 인식과 민주주의와 헌법에 대해 배워본 적이 없는 세대인 극우 아스팔트들에게 올바른 역사와 민주주의, 헌법에 대해 의무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엉-1990-djdk
@엉-1990-djdk 2 ай бұрын
큰별!!❤❤❤
@annajung799
@annajung799 2 ай бұрын
20년전도 최태성선생님 교재로 국사, 근현대사 공부했던 사람입니다. 역시나 멋지십니다.
@blessedlove9
@blessedlove9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지금 현실이 너무 개탄스럽습니다! 역사를 떠올리니 선생님이 떠올라요 ..
@이재영-n6r
@이재영-n6r 2 ай бұрын
뭐가 개탄스럽단겁니까?
@gijeongnam921
@gijeongnam921 2 ай бұрын
참 선생님이십니다 존경합니다
@세계아이디어거래소
@세계아이디어거래소 2 ай бұрын
당시 행불자3000~5000명 대부분 못 찾음.
@숲-y8n
@숲-y8n Ай бұрын
성생님 정말 고맙습니다. 지금은 그 때와 같은 시기가 아닌가 싶어요. 꼭 12.12사태랑 비슷해서. 윤씨의 담화문에서... 정말 끔찍스런 말을 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고, 한강 작님의'소년이 온다는- 꼭 읽어 보겠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는 늘 듣고 있습니다.
@user-fnql
@user-fnql 2 ай бұрын
5.18과 아무 관련 없는 나도 지금 사태가 이렇게 화나는데 그때 갖은 수모를 당하셨던 분들은 오죽할까 싶음
@r6u-e1f
@r6u-e1f 8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거의 십년만에 이렇게 다시 영상을 찾아보네요. 역알못으로 한능검시험이 넘 어려웠는데 선생님ebs무료강의로 수월하게 1급 합격했었습니다. 아직도 이렇게 좋은 강의를 해주고 계시다니 넘 감동입니다😭 흐릿해진 근현대사 내용을 다시 공부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이것저것
@이것저것 2 ай бұрын
선생님이랑 공부하면서 한국사를 더 자세히 알게 됐고, 더 자랑스럽게 여기게 됐어요. 그런데 이런 참담한 사건이 또다시 벌어져서 무척 실망스럽고 화가 납니다. 하지만 선생님이 말씀하셨듯 우리는 지난 44년 동안 끊임없이 배워왔죠! 주권은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요. 그러니 두 눈 똑바로 뜨고 역사의 가운데 서서 모든 순간을 지켜보려 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든든합니다. 감사해요.
@hbp6009
@hbp6009 2 ай бұрын
큰별샘 😢
@May10th
@May10th 2 ай бұрын
평평한 지도가 되어버린 역사에 입체감을 부여해 아픔과 고통에 공감할 수 있게 한다..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송송송-f8g
@송송송-f8g Ай бұрын
말씀만 들어도 아프네요 80년생 광주시민인데도 저는 아직 이 책 읽을 용기가 안나요 그 아픔을 아직은 직접 감당 못하겠어요😢😢
@daphnekhang7577
@daphnekhang7577 Ай бұрын
감동적입니다. 한국인으로 태어나 한국사회에서 산다면 이런 역사의식 사회의식이 있어야 합니다. 윤석열 때문에 역사가 역행했습니다. 기여를 못한다면 피해라도 주지 말아야 하는데, 이건 다 망하자고 그런 최악의 지꺼리를 저지르다니.
@legeno.
@legeno. 2 ай бұрын
소년이온다 오늘 첨 읽기시작했는데 유튭영상에 딱 떠버리는 우연이ㅣㅣㅣㅣㅣ~?
@이유진민서
@이유진민서 Ай бұрын
예전에 몰랐던 한국사를 얼마나 잼있게 공부했는지...머리에 쏙쏙 들어오게 강의해주신 덕에 3년전 60세 나이에 1급(94점)통과했습니다. 넘 감사합니다. 저도 소년이 온다읽으면서 흐르는 눈물땜에 책을 몇번이나 덮었는지 모르겠어요ㅠㅠ 큰별쌤. 목소리 내어줘서 넘 감사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
@혜경화-p2n
@혜경화-p2n 2 ай бұрын
구독하고 봅니다.^^
@youn1003
@youn1003 Ай бұрын
역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최태성선생님 고맙습니다. 눈물이 납니다.
@좐슨앤용쓴
@좐슨앤용쓴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데미안-Sinclairs
@데미안-Sinclairs 2 ай бұрын
하..좋아요 😂😢
@우연-e8f
@우연-e8f Ай бұрын
한강의 노벨상 수상이 계업보다 먼저여서 다행인듯.
@박지연-j9j
@박지연-j9j 2 ай бұрын
ㅠ.ㅠ
@frog-e8x
@frog-e8x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선생님 (__)
@discipline2727
@discipline2727 Ай бұрын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
@다시뛰엉몽살이
@다시뛰엉몽살이 Ай бұрын
아 NCT 도영군이 최태성쌤 영상으로 한국사 시험 공부하던데 ㅎ 반갑습니다 ㅎ
@허웅용
@허웅용 Ай бұрын
역시 큰별쌤!!!!
@시스터헌터
@시스터헌터 Ай бұрын
근대사를 제대로 한번다뤄줬음좋겠습니다. 일제해방이후 민주화까지 아이들이 근현대가 너무 곡해되는 부분도 많아 아쉬웠거든요
@대한민국멋쟁이
@대한민국멋쟁이 Ай бұрын
우리 아픈 역사를 잘 설명해주시는 최태성 선생님 감사합니다 🙏
@Joyce-xy6eo
@Joyce-xy6eo Ай бұрын
역사는 2차원의 평평한 지도 소년이 온다는 그 평평함을 입체화시킨 것 표현이 멋지네요 수능한국사 19번이 역사를 지키고 있었군요 ❤
@starjune84
@starjune84 2 ай бұрын
몇달전에 알쓸범잡2 다시보기에서 김상욱교수님 추천으로 구입해서 읽기 시작했는데...아직까지 완독 못했어요ㅜㅜ화려한 휴가,택시운전사 등 관련 영화들도 봤지만..이상하게 책이 더 가슴아프게 다가오더라구요ㅜㅜ
@ys1124godqhr
@ys1124godqhr 2 ай бұрын
ㅜㅠ 저도 그랬어요.. 정말이지 한장 넘길때마다 아프고 슬퍼서 눈물이 나오는데 마음껏 울지도 못하겠더라고요.. 눈물조차 그분들께 왠지 죄송한 마음이 들었어요. 따뜻한 방에서 책읽는것도 여유'라는 생각이들었던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읽어주세요!
@김정은-x2j
@김정은-x2j 2 ай бұрын
임영웅이 계엄사태에도 정치인들이 하는일이라고 말했어요 그러고 그후 개랑찍은사진을 올렸네요 와 진짜 실망이 큽니다 벌만큼 벌었다는건가 임영웅은 이제 잘가라
@roooooooooor
@roooooooooor 2 ай бұрын
이번 계엄 문건을 보면 부마민주항쟁을 부산소요사태, 제주 4.3 사건을 제주 폭동으로 작성하였다지요. 계엄령을 내린지 벌써 일주일이 흘렀건만 부역자들은 권력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을 위한다는 말이 거짓이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처벌을 받기 위해 내려오십시오.
@이재영-n6r
@이재영-n6r 2 ай бұрын
4.3은 폭동이죠.
@polubo55
@polubo55 Ай бұрын
계엄선포 후 2~3일 지난 어느 오후에 헬기 수십대가 지나갔어요. 그 소리에 너무 불안하고 공포스러웠습니다. 2차 계엄을 준비하는 것 아닌가 해서요. 그 순간 갑자기 광주분들은 5.18 이후 얼마나 극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리셨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눈물이 펑펑 났습니다. 저도 적지 않은 나이라 광주항쟁 자료도 많이 접했고 '소년이 온다'도 읽어서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어딘가 남일처럼 생각했달까 피부로 실감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던 게 사실입니다. 이번 12.3 내란 사태로 계엄이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피부로 확 다가왔습니다. 광주 분들은 제가 느낀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큰 공포를 느끼셨을 테고 세대를 넘어서는 트라우마였겠죠. 그것도 모자라서 저열한 차별을 받으면서 수십 년을 살아오신 거잖아요. 그런 생각이 일시에 밀려 들면서 한없이 죄스러웠습니다. 한국의 민주주의가 광주에 빚졌다는 말이 무슨 의미이고 어떤 무게를 지니고 있는지 이번 내란사태로 벼락처럼 깨달은 느낌입니다. 진정으로 "1980년 5월이 2024년 12월의 대한민국을 구했"고, 광주의 아픔이 우리 모두를 이끌었네요. 고개를 깊이 숙입니다....
@임청하-n5v
@임청하-n5v Ай бұрын
이번 계엄령은 내란이 아니라 부정선거를 밝히기 위한 계획입니다.전라도가 민주화 운동을 한건 잘한것이긴 하지만 그 사이에 그들에게 주사파 세력이 침투해서 전라도라는 지역은 그후 좌경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시작 했습니다.그래서 김대중때부터 북한에다 국민 세금을 마구 퍼주기 시작하고 빚을 여러 나라에 지게 되었고 그 결과 김영삼때 IMF 경제 금융 위기가 나타 났습니다.또한 김대중의 여성 가족부 설립은 훗날 문재인 정부때 그들의 젠더 갈등인 남녀를 갈라치는 도구로 이용 됩니다.그래서 전라도가 시작은 좋았으나 주사파 세력의 영향을 받고 결국 좌경화 되어 비도덕적이고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는 종북 주사파 세력으로 안타깝게 변질된 것입니다.물론 전라도라고 좌파만 있는건 아닐 것입니다.그런데 518때 침투한 좌파 사상에 물들어 대부분이 좌파가 되었습니다.전라도 사람들은 다시 한번더 깨어나야 합니다.그리고 국회 의석수를 보겠습니다.진보 계열의 민주당편이 192석이고 우파 계열이 108석인게 말이 됩니까? 왜 국민들의 지지도와 선거의 결과는 다르게 나올까요? 이것도 의문을 가지셔야 합니다.그리고 더이상 계엄령은 앞으로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왜냐? 이미 선관위를 털었으니까요.진짜 목적은 국회가 아니라 선관위의 부정선거를 밝히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그리고 선관위에서 투표 용지라고 주장한 형상 기억 종이를 아시나요? 종이는 한번 접으면 완전하게 복구되어 자동으로 펴질수가 없다는걸 아시고 계실 것입니다.그러나 선관위는 투표 용지를 집어 넣을때 익명성을 위해서 한번 반으로 접어서 집어 넣어도 종이가 다시 원상 복구되어 펴진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억지 주장을 펴고 있는 것입니다.그런 종이가 있다면 값도 엄청나게 비쌀 것인데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투표 용지에다 그만큼의 값어치인 종이를 사용 했을리도 없습니다.또한 그런 종이가 실제로 있다면 노벨상 수상감 입니다.그들은 논란이 생기자 그 문제의 영상을 지웠습니다.재검표 현장에서 투표한 용지가 뻣뻣하고 접혀있지 아니하며 메모장처럼 때어내는 증거를 확보했다 합니다.이제 진실이 밝혀질 것입니다.부정선거는 국가의 존망과 안보와도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muni2828
@muni2828 Ай бұрын
선생님 응원합니다
@himchage
@himchage Ай бұрын
힘차게 힘차게 힘차게 [청정심(평기허심) 박치우]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역사학과(한국사학과)룰 개설해서 여러 다양한 사람들이 역사를 공부할 수 있도록 하고 사람들은 한가지 역사관에 매몰되지 않고 바른 역사관을 가져야 한다
@오흥숙-f3d
@오흥숙-f3d Ай бұрын
5.18당시 공수부대원들은 사흘 굶겨 이상한 약을 먹인 후 광주에 투입했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 어찌나 잔혹하게 잔인하게 데모도 안하는 지나가는 시민들을 마구 잡아 찌르고. 때리고.밟고 했기 때문에 나온 유언비어 일지도 모르겠어요. 도저희 믿을 수 없이 참혹한 현장을 광주시민들은 많이 봤어요. 최태성 쌤 감사합니다
@하양고래
@하양고래 Ай бұрын
이 시대의 참 어른이십니다. 이런 어두운 역사는 외면하고 뉴라이트에 편승한 강사분들은 반성 좀 해라!
@노벨상대한민국
@노벨상대한민국 Ай бұрын
표헌 말 한마디가 중요합니다
@남희정-e6j
@남희정-e6j Ай бұрын
양심은 하나님의 씨.😊 챠크라라고도 해요.양심이 존재한다는 걸 알수있는 방법은 교육이예요.대한민국 어머니들이 눈물과노고의 주름진 손으로 수확물로 거두기 시작한 거예요.다른나라들보니 올바른 정보와 배움의 지식이 참 중요하구나? 우리 국민들 한사람.한사람이 교육자이고 학생 이였어요.
@TV-zr5xt
@TV-zr5xt 2 ай бұрын
... 너무 늦은.... 선생님! 역사 선생님으로 존경해 왔지만. 작금에 상황이 한주나 지났어요. 밖으로 나온 국민들도 권력 두려워합니다.
@비츠로-i8j
@비츠로-i8j Ай бұрын
윤석열 패거리는 죄가 없다고 합니다
@히휵
@히휵 2 ай бұрын
ㅇㅅㅇ은 이책을읽긴햇을까..
@신승환-v3f
@신승환-v3f 2 ай бұрын
경거망동 하지말길…역사가 되풀이 된다는 것은 역사학자 스스로에게 되묻는 말입니다.
@이재영-n6r
@이재영-n6r 2 ай бұрын
전 솔직히 한강 작가를 좋아하지 않아요. 6.25에 대해 왜곡된 발언을 해서요.
@제비짹
@제비짹 2 ай бұрын
저도 솔직히 님이 싫어요. 개소리를 해서요.
@ys1124godqhr
@ys1124godqhr 2 ай бұрын
어떤발언 일까요..? 처음들어서 궁금해서요.. 정확하게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오해라면 풀었으면 좋겠어요.)
@이재영-n6r
@이재영-n6r 2 ай бұрын
@@ys1124godqhr 6.25가 미국과 소련 잘못이래요. 이 말이 틀린게 침략의 주체는 김일성이거든요. 그리고 승인한건 소련이죠.
@Prajñā_432Hz
@Prajñā_432Hz Ай бұрын
@@이재영-n6r세계사공부하시면 본질적인 접근
@김봉주-q4o
@김봉주-q4o Ай бұрын
6.25는 당연하게 북침이지만 그 이전8.15해방이후 북은 소련이 남은 미국이 관리했다..친탁통치의 개념..근데 하나의 나라를 왜 반반 통치했지? 전범국 일본이 항복했고 반반 나눠져야 하는거 아니냐? 미국,소련이야 각국의 이익을 위해서 그렇게 했지만 왜 우리나라를 반으로 갈라서 결국 6.25터지는 비극을 만들었나.. 이런것에 대한 관점이다..
@임청하-n5v
@임청하-n5v Ай бұрын
kzbin.infobh0igJgvzO4?feature=shared 부정선거가 음모론이 아닌 이유이며 사실인 영상
@veronica-9900
@veronica-9900 Ай бұрын
양아치 안정권 집회나 다니며 연설하고 다니는 민경욱TV에서 하는 헛소리를 믿는 당신.. 당신 같은 사람들 때문에 계엄이 일어난겁니다. 부끄러운 줄 아세요.
@watchout8119
@watchout8119 Ай бұрын
어우 부정선거병 그만좀
@이제는행복-k3k
@이제는행복-k3k 2 ай бұрын
최태성선생님과 황현필 선생님 수업을 듣고 한국사 심화 자격증을 땄더랬죠...우리나라 역사를 마주보기 싫어서 한국사는 정말 공부하기 싫었지만, 한강 작가님의 말씀처럼 그 고통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맞서보니... 실상을 알수 있었고, 그만큼 더 깊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당당선생
@당당선생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최태성 선생님.
@유프Yoo
@유프Yoo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Exclamationmarkss
@Exclamationmarkss Ай бұрын
홧팅
@의정열권
@의정열권 Ай бұрын
안중근 장군.
@봉래조-m5y
@봉래조-m5y Ай бұрын
소년이오고 윤석열과김건희도왔다. 진보할줄모르는슬픈역사는왜 반복되는가?
@임영순-s5z
@임영순-s5z Ай бұрын
아무리 숨길려고 🐕 지랄 해도 숨길수 없다 ㅋㅋㅋ
@lululala1234-q7j
@lululala1234-q7j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llIIllII1010
@llIIllII10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역사] 노벨상 작가  한강의 소년이 온다에 나온 5.18 총정리 : 왜 광주였는가?
13:30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23 М.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2024 Nobel Literature Prize Winner | 'Han Kang' Yeosu Travel Vlog from Her 20s
20:31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역대 노벨문학상 심사평 완벽해석🥇 | 한강, 채식주의자
24:29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328 М.
Sigma Kid Mistake #funny #sigma
00:17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