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우주에 대한 시각을 완전히 바꿔버린 그 사건, 안드로메다는 사실 '이것'이다?

  Рет қаралды 2,936,700

리뷰엉이: Owl's Review

리뷰엉이: Owl's Review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100
@리뷰엉이
@리뷰엉이 2 жыл бұрын
오늘의 영화 리뷰는... 안드로메다의 위기(1917)입니다.
@jinsikkim8408
@jinsikkim8408 2 жыл бұрын
옹 뭔소리예요? 리뷰엉이에 리뷰위기 아니고요?
@user-rest128
@user-rest128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의 리뷰위기?
@Dream_Bird
@Dream_Bird 2 жыл бұрын
영화도 참 가지가지 있네 ㅋㅋㅋㅋㅋ
@호박죽맛단팥죽
@호박죽맛단팥죽 2 жыл бұрын
사이엉이로 바꿉시다!(사이언스+부엉이)
@SODA_IS_DOG
@SODA_IS_DOG 2 жыл бұрын
별 영화가 다있군요
@byungyunjang2681
@byungyunjang2681 2 жыл бұрын
보면 볼수록 경이로운 우주도 놀랍지만 이 위대한 발견을 한 천재들의 탐구욕과 끝없는 도전정신에 경의를 표합니다. 우리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알게 해준 고마운 분들
@초코빵-l8z
@초코빵-l8z 2 жыл бұрын
진짜 개씹 재능이다 발성자체도 그렇고 톤도 그렇고 과학이나 영화에 이렇게 적합한 목소리가 없다 온갖 과학튜브,영화튜브봐도 결국 리뷰엉이가 짱임 나중에 할거없으면 역사도 다루십쇼 개쩝니다 리얼
@GO3BYUG
@GO3BYUG Жыл бұрын
수면영상으로 좋음 켜놓고 10분내로 잠이오고
@jongppak
@jongppak Жыл бұрын
@@GO3BYUG 진짜 재미없고 지루해서 잠 온다는게 아니라 흥미롭고 재밌는데 특이하게 이형님 영상만 보면 잠듦..
@btobmelody
@btobmelody Жыл бұрын
​@@jongppak 톤이 좋아서 그런 것 같아요 일정하고 편안한 톤이라. 저도 자기 전에 엉이님 영상 찾아옴...ㅋㅋㅋㅋ
@Harry_Mione
@Harry_Mione Жыл бұрын
​@@jongppak 어 나도 맨날 리뷰엉이 틀어놓고 잠들어서 끝까지 못 들은 거 다음날 잘 때 또 듣는데 ㅋㅋㅋㅋ 그래서 긴 거는 네 번까지 틀어놓은 적도 있음 ㅋㅋㅋ
@JIGU_WANG
@JIGU_WANG Жыл бұрын
@@GO3BYUG ㅇㄱㄹㅇㅇㅈ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2 жыл бұрын
17:14 안타깝게도 허블은 노벨상을 받지 못했는데 살아있을 때는 노벨상에 천문학 관련 노벨상이 없었고 천문 관련 노벨상이 만들어진 뒤엔 허블이 이미 고인이 된 지 오래였기 때문이죠
@경현왕-p8j
@경현왕-p8j 2 жыл бұрын
~
@jappa748
@jappa748 Ай бұрын
천문 관련 노벨상은 여전히 없습니다 다만 천체물리학은 노벨물리학상에 포섭됩니다
@NA_Bonnng
@NA_Bonnng 2 жыл бұрын
그림 계속 보게된다ㅋㅋ 그린실력 묘하게 늘고있는거같고.. 학자들 성대모사(?)연기(?)도 점점 잘해져ㅋㅋㅋ
@고라파덕-m5r
@고라파덕-m5r 2 жыл бұрын
늘 느끼는 거지만 나 같은 사람은 똑똑한 사람들에게 엄청난 빚을 지고 살아가고있어... 과학자들 땡큐
@sujini5444
@sujini5444 5 ай бұрын
아니요,그와는 정반대입니다 보통 그들은 자신보다 멍청한 사람들로 인하여 많은 돈이나 명예를 얻어 갑니다
@illiliililllili
@illiliililllili 4 ай бұрын
​@@sujini5444 멍청해서 도태될 뻔한 걸 똑똑한 애들이 의도치 않았더라도 도태되지 않게 해줬으니 원댓처럼 고마워할 수도 있지ㅎㅎ 넌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지진아 같은데, 애 낳지 말고 도태 추천함
@love100jy
@love100jy 2 жыл бұрын
도시에서 태어나 쭉 살다가 10살 무렵(1995년쯤?) 우연히 알게 된 이웃집 아저씨를 따라 (내)나로도로 첫 캠핑을 떠났는데, 텐트를 치고 잠을 자다가 새벽에 소변이 마려워 텐트 밖으로 나왔을때, 하늘 빼곡히 가득찬..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숨막힐 정도로 수 많은 별들을 보며 경외감을 느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주도로
@주도로 3 ай бұрын
그걸 별이라는 걸 아는 현대인도 경외를 느끼는데 고대인들은 더 선명하게 미스테리하고 종교적으로 보았을듯.
@와타시는갠키데스
@와타시는갠키데스 3 ай бұрын
여름이였겠네요
@jangsarah2496
@jangsarah2496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당연하게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갈릴레이선생님이나 허블선생님덕에 이렇게 누워서 천문학 역사를 보고있으니 너무 행복하네요. 리뷰엉이님 늘 고맙습니다
@블베-z5i
@블베-z5i 2 жыл бұрын
갈릴레이가 퀘이사존이네
@Claymore-chobo
@Claymore-chobo 2 жыл бұрын
허블이 정말 뛰어난 업적을 낸 천재 천문학자이네요
@이름을입력하세요-c1y
@이름을입력하세요-c1y 2 жыл бұрын
노노 부엉이님이 영상 안만들었음 우리도 갈릴레이 허블 선생님들 얘기 못 들었을 겁니다ㅋㅋ 역사를 만든 건 과학자 선생님들, 누워있는 우리 입에 떠먹여주는 건 리뷰엉님 ㅋㅋㅋ
@핸들_쉽지않다
@핸들_쉽지않다 Жыл бұрын
사실 허블 이전에 허블과 같은 이론을 냈던 과학자가 있었습니다
@jangsarah2496
@jangsarah2496 Жыл бұрын
@@핸들_쉽지않다 오???!!!!
@우주얌
@우주얌 2 жыл бұрын
요새 리뷰엉이 과학 목록만 반복 재생으로 틀어놓고 자는 사람으로써 새로운 영상에 18분짜리는 아주 귀하군요 ㅠ 우주 관련해서 많이 올려주세요
@일희일비하지말자-l5x
@일희일비하지말자-l5x 7 ай бұрын
모음집 올려주세요. 수면용
@김영화-e2t
@김영화-e2t 2 жыл бұрын
우주관의 변천사를 일목요연 잼나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허블 망원경의 그 천문학자였군요. 거기서 발전한 제임스웹 망원경까지 우주를 향한 인간의 호기심과 연구는 놀랍습니다.
@senouis
@senouis Жыл бұрын
0:01 불과 얼마 전의 미국에서도 아직도 저걸 믿는 사람들이 있었죠 과학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그 지식을 리뷰엉이님 같은 사람들이 성공적으로 보급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ClTY-HUNTER
@ClTY-HUNTER 2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는 사실 개념이다.
@jinsikkim8408
@jinsikkim8408 2 жыл бұрын
흠..ㅣ 맞는말인지 잼민이라서 모르겠다....
@lliker
@lliker 2 жыл бұрын
우리의 개념이 모여있는 그곳
@Krysjanus
@Krysjanus 2 жыл бұрын
"제 개념은 안드로메다 은하로 관광 보냈습니다"
@say_annyeong
@say_annyeong 2 жыл бұрын
"모두의 개념이 모여있는곳"
@문하나-q4x
@문하나-q4x 2 жыл бұрын
ㅋㅋ
@k1945k1
@k1945k1 2 жыл бұрын
허블은 얼마나 재미졌을까.. 마치 진실의 상자를 하나 씩 까보는 느낌 아닐까.
@참잘했어요-u2p
@참잘했어요-u2p Ай бұрын
그냥 그저 그런 삶을 살는것보다 저사람처럼 아무도 발견못한 사실을 찾고싶어요
@등록중
@등록중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설명 잘했다 ㄷㄷㄷㄷㄷㄷ 너무너무 재밌게 잘 봤어요!!
@geunii5418
@geunii5418 2 жыл бұрын
나어릴적 20년전만해도 도시밤하늘을 올려다봐도 수많은 별들이 보였는데 이젠 시골이나 공장지대없는 외지에나 나가야 볼수가있고 천체망원경 없으면 잘볼수도없으니 이런거 생각하면 과거가 너무 그립내요.핸드폰이 없어도 편히 살았는데 이젠 폰이없으면 불편한 시대니 슬퍼집니다ㅠㅠ.
@yaong-i-nyaong
@yaong-i-nyaong 2 жыл бұрын
밤이 너무 밝아서.....
@garlicbroccoli
@garlicbroccoli 2 жыл бұрын
저는 정선 산골에서 은하수보면서 컸는데 여전히 산골이지만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카지노 스키장등등으로 인해 은하수를 볼수 없어서 너무 아쉽답니다. ㅜㅜ
@담울
@담울 2 жыл бұрын
서울에서도 70년대 후반까진 은하수가 보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80년대부터는 별이 점점 안보였어요.
@관찰자-d7y
@관찰자-d7y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지방하늘에는 잘 보입니다
@mmiinnggyyuu
@mmiinnggyyuu 2 жыл бұрын
@@garlicbroccoli 여름에 타임캡슐 공원 가면 잘 보여요~
@채채-f9y
@채채-f9y 21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봤어요!
@giungpark8674
@giungpark867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어렵고 많은 심오한 지식을 저같이 천문학 1도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18분으로 풀어내 버리는 리뷰엉이 그는 대체….
@educo2896
@educo2896 25 күн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jinsikkim8408
@jinsikkim8408 2 жыл бұрын
우리를 위해 날아서 안드로메다에 갔다온 리뷰엉이에게 박수!
@리뷰엉이
@리뷰엉이 2 жыл бұрын
짝짝짝
@jinsikkim8408
@jinsikkim8408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ㅋㅋ
@김수용-g7g
@김수용-g7g 2 жыл бұрын
여러분 예수님 믿으세요 그러면 천국 갈수 있어요 보이는 세계가 전부가 아니에요 보이지 않는 세계가 존재해요 저는 귀신이랑 저승사자도 봤어요 사후세계가 존재한다는 말이잖아요? 그 사후세계를 누가 만드셨겠어요? 믿으세요 하나님 실제로 계세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아멘 하나님께서 이처럼 세상을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요한복음 3장16절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다 하시니라 요한복음6장 51절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마태복음 11장 28절
@김수용-g7g
@김수용-g7g 2 жыл бұрын
@ㅁㄴㅇㄹ 천국은 하나님 나라에요
@김수용-g7g
@김수용-g7g 2 жыл бұрын
@ㅁㄴㅇㄹ 환각이 아니라 존재하니까 보이는거에요 믿으세요 영적으로 깨달으시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아멘
@Love-zl4dz
@Love-zl4dz 2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잠도잘오고요~~😊
@bakgong8512
@bakgong8512 2 жыл бұрын
형 1일1영상하면안돼? 진짜 봤던거 또봐도 재밌어
@sangbeenpark7144
@sangbeenpark7144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자겠습니다
@다코타패닝-t9k
@다코타패닝-t9k 2 жыл бұрын
밝기로 거리측정 ㄷㄷ과학자들은 진짜 똑똑한듯
@Opheliabuckingham
@Opheliabuckingham 2 жыл бұрын
기원전 사람들도 지구가 둥근거 알았는데...영상은 매번 잘 보고 갑니다. 최고의 영상임
@EA-qn4hm
@EA-qn4hm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은 과학자이신가요? 직업이 궁금해요. 아무리 인터넷에 많은 자료들을 찾아볼 수 있다 한들 이렇게 고퀄리티로 만들려면 어느정도 전반적인 지식이 있어야 할 것 같아 보여서요.
@ARI-uu2sj
@ARI-uu2sj 2 жыл бұрын
머리터진 부엉이입니다.
@볼드모트-v3d
@볼드모트-v3d 2 жыл бұрын
물리학을 전공하신 과학자이십니다.
@WassupHong
@WassupHong 2 жыл бұрын
영화배우 입니다
@페이1년
@페이1년 2 жыл бұрын
쿠퍼입니다
@cartmaneric887
@cartmaneric887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인터스텔라가 ㅋㅋㅋㅋㅋ
@zzzi_ng
@zzzi_ng 2 жыл бұрын
빨리 다음영상주새요 너무 궁금해 너무 재밌어!!!!!!!!!!!!
@user-bv2ju1gi3v
@user-bv2ju1gi3v 2 жыл бұрын
정확히 알아듣지는 못하지만 너무 재밌고 유익합니다
@PCH-c8r
@PCH-c8r 2 жыл бұрын
리만가설 관련 영상 가능한가요 😢
@Pineblue5
@Pineblue5 Жыл бұрын
와 이걸 이렇게 쉽게 설명 해주는거 자체가 너무 대단하신거 같네요,,,우주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는데 영상 보면서 점점 더 관심 가지게 되고 이해도 쉽게 돼서 더 재밌는거 같습니다ㅎㅎ
@최미경-c6y4j
@최미경-c6y4j 2 жыл бұрын
올한해동안 가장 제게 즐건 시간을 만들어준 채널이에요 덕분에 아들과 과학얘기도 좀 나누게 되구요 ㅎㅎ 감사하다는 말씀으로 오늘 성탄축하 대신합니다
@수정만해
@수정만해 2 жыл бұрын
매주 잘보고있습니다! 우주관련해서 너무 좋아하는데 설명 쏙쏙 들어와요! 혹시 영화 투모로우에서 지구가 점점 추워지는걸 리뷰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이번에 뉴스보다가 미국이 냉동고처럼 되었다는거 보고 너무 궁금해져서요!
@Kayle_K
@Kayle_K Жыл бұрын
깊다 깊어.. 즐감했습니다 ^^
@Cosmos_80
@Cosmos_80 2 жыл бұрын
영화 리뷰 안 하는 리뷰엉이가 조으다. 쵝오
@karmakim3457
@karmakim3457 7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 처음 보는데 정말 재미있네..완전 몰입해서 보게 되네..영상 해설 완벽하네
@Stsci
@Stsci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재밌는 영화였다
@Jonathan79428
@Jonathan79428 3 ай бұрын
영화 리뷰는 언제 하실 껀가요~~~
@yeonwoonah4953
@yeonwoonah4953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ㅋㅋ 저도 어떻게 오래전부터 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는데 이 사실을 알고나서 흥미로웠습니다.
@serienz7583
@serienz7583 2 жыл бұрын
하라는 영화리뷰는 안하고! 이지만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sangohju8536
@sangohju8536 2 ай бұрын
영화보고 감상평이나 적으려고 했는데 인터스텔라를 너무 감명깊게 보셨나.. 분명 첨 볼땐 영화채널이었는데말이지..
@boyaknam
@boyaknam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좋은 정보 얻었습니다.
@certain7023
@certain7023 2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 배우고있는데 이런영상 너무 좋습니다
@dreamlike12
@dreamlike12 2 жыл бұрын
1920년 윌슨산 천문대 릭 천문대 논쟁 보면서 딱 100년 제임스 웹으로 보는 우주는 완전 다른데 또 100년 뒤엔 지금 하고 있는 논쟁들이 얼마나 하찮아 질까 싶네요
@리뷰엉이
@리뷰엉이 2 жыл бұрын
정말 100년 후엔 또 어떤 발견을 해낼지.....
@sunkim3999
@sunkim3999 2 жыл бұрын
글쎄요...하찮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인류가 우주에 대해 한발씩 내딛은 자취인데, 그게 하찮다고 한다면 그 후손인 현재의 자신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 되요.
@TON-yz9wb
@TON-yz9wb 2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과학유튜브채널
@sjl8891
@sjl8891 2 жыл бұрын
중간중간 직접 그린듯한 그림 진짜 하찮고 귀엽다 ㅋㅋㅋ
@dongwonkim1223
@dongwonkim1223 2 жыл бұрын
허블 시절은 카메라 현상하느라 바빴겠네요. 지금은 그냥 아마추어들도 노트북 하나면 바로 보이는데, 선배들이 참 고생이 많았네요.
@김창조-y1r
@김창조-y1r 2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지구 어머니는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16억년을 걸려서 왔다는 사실!!! 다양한 생명을 기르는 깨달음의 별 지구🌏에서의 삶은 너무나 소중하다고 한다!👍
@CoIdBro
@CoIdBro 2 жыл бұрын
맨날 틀어놓고 자고있는데 한시간짜리 만들어주시면 좋겠어요
@정발산기슭곰발냄-l6v
@정발산기슭곰발냄-l6v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대체 어느정도로 큰걸까 상상조차 안되네 거의 무한대 수준같다
@hyhyhy45kbma1
@hyhyhy45kbma1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끝이 있다면 죽고 나서라도 보고싶다 진짜
@kathekbhinds
@kathekbhinds 2 жыл бұрын
👆 👆 완전 리 얼 ~ 올 누 드 & 사 생 활 👆 👆 원하는대로 너무 쉽게 보 여주는것 아냐?!! 👆 👆 검색 ㄱ ㄱ
@김용현-y4c5t
@김용현-y4c5t 2 жыл бұрын
우주적 시간과 거리는 진짜 상상할수가 없는게 맞음.. 우리 기준 고대 피라미드가 한 4000년전에 지어졌다고 치고. 대충 100년전에 비행기 만들어지고 100년후에 달 갈수있는 기술력이 발전했는데 이 추세로 멸망없이 꾸준히 기술발전의 한계에 봉착하지 않고 발전했다치면 한 10만년뒤에는 태양만한 건물을 지을 수 있겠죠. 그러고도 또 10만년뒤에는 태양계만한 건물을 지을수 있겠죠..그러고도 또 한 10만년지나면 그 건물 전체를 생명화시켜서 인공지능마냥 알아서 움직이고 생각하고 번식하게 시켜서 태양계 크기만한 생물체를 만드는게 가능하다고 쳐도!(예입니다 가능하다는게 아니라 설령 이렇게까지 상상조차도 못할 기술발전에다 어마어마한 크기를 상상해보라는거임) 고작 30만년 지난거에요. 우주의 나이는 못해도 130'억'년이고. 태양계만한 크기래봐야 1광년도 안돼요..근데 우주의 크기는 반지름이 못해도 700'억광년'입니다.. 반지름 제곱으로 곱하면 뭐 말할것도 없죠.. 이미 우주 어딘가에 태양만한 생명체가 한번 잘때 10만년동안 자고 있다고 해도 100프로 불가능하다고 단언할수가 없다고 봄 우리가 아는 과학상식. 법칙또한 100프로가 아니기에
@hyhyhy45kbma1
@hyhyhy45kbma1 2 жыл бұрын
@@김용현-y4c5t 이렇게 보니깐 그냥 우주는 범접하고 이해할래야 할수가 없네요..
@김용현-y4c5t
@김용현-y4c5t 2 жыл бұрын
@@hyhyhy45kbma1 ㄹㅇ 말이 안돼요.. 솔직히 그냥 외계생명체는 100프로 존재한다고 확신할 수 있는데 인간처럼 고지능 생물체가 있어서 우주로 우주선을 날릴 생물체가 또 있을수 있나? 단 하나도 없을거처럼 회의감이 들다가도 저 수십만년단위로만 또 태양계 크기만으로 상상해도 빡센데 130억년이라는 시간과 700억광년이라는 거리와 그의 제곱이라는 넓이를 생각하면 인간과 동급이상의 존재들이 한 10만곳에서 있어왔다고 해도 전혀 무리가 없을건만 같아요 ㅋㅋ 0일수도 있고 진짜 무수히 많을수도 있고 도저히 알수가 없음
@라이언-t6i
@라이언-t6i 2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상 진짜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geunii5418
@geunii5418 2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은하보다 훨씬더 크니깐 우리은하에있는 생명체들보다 더많이 존재하겠죠? 다른은하에 살고있는 외계인들도 지구인들처럼 다른지적생명체를 생각할려나...보고싶다 내생에 다른 행성에 존재하는 지적생명체들을ㅠㅠ
@kin-ho7kl
@kin-ho7kl 2 жыл бұрын
다른 행성의 생명체가 있을 확률도 불분명한데 그 생명체가 지적이고 문명을 이뤄서 우주로 비행선을 띄울만큼 진화 했을 확률도 참 어렵죠.
@건너마을돌돌이
@건너마을돌돌이 2 жыл бұрын
봐서 뭐해요...못생겼을텐데...
@Preston-Garvey
@Preston-Garvey 2 жыл бұрын
@@건너마을돌돌이 못생겼다고 안볼거면 자기얼굴은 왜 볼까요
@그녀에게고백
@그녀에게고백 2 жыл бұрын
@@Preston-Garvey 워워!!! 초면 부터 니킥 날리나??
@damski5243
@damski5243 2 жыл бұрын
@@Preston-Garvey찢었다
@프링글스-w4l
@프링글스-w4l Жыл бұрын
중3과학 복습하기 딱이네요. 감사합니다.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2 жыл бұрын
철학자 칸트의 육감도 대단했군요! 이 분은 과학을 전공하셨어도 잘 하셨을듯 합니다. 그리고 윌리엄허셜 이 분은 전문 기술직으로 일하셨어도 성공하셨을거 같네요.
@나하-n5p
@나하-n5p 2 жыл бұрын
칸트는 실제로 모든 분야에 굉장히 박식했죠 철학자이자 과학자이기도 하고요
@양원석-t5l
@양원석-t5l 2 жыл бұрын
윌리엄 허셜 이분은 원래 전문 기술직에서도 잘나가던 분이었습니다. 영국에서 오르가니스트 중에선 탑5 안에 드는 분이었습니다. 그분의 아들도 사진쪽에서도 중요한 것을 만드셔서 지금도 사용하는 기술이지요. 가문 자체가 전문직으로도 잘 나가는 가문입니다.
@아수라짬타
@아수라짬타 2 жыл бұрын
그당시 철학자 과학자 뭐 이런애들은 전부다겸용수준이었어요
@demiankim9052
@demiankim9052 2 жыл бұрын
칸트는 대학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전공자이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현재 은하탄생에 대한 주류학설인 "성운"설을 당시 거의 아무도 주장하지 않을 때 과학적 근거를 통해 주장한 대단한 선구자이기도 했죠.
@양원석-t5l
@양원석-t5l 2 жыл бұрын
다른 답글 단 분들의 것에 보충하자면 당시 과학은 과학이라 안 부르고 "자연철학"이라고 불렀습니다. 짬뽕 될 수 밖에 없는 분야였죠. 세분화 된게 의외로 얼마 안됩니다.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의 경우도 당시에는 생물학자가 아닌 박물학자로 불렸구요.
@akthfdyd
@akthfdyd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영상이군요 재밌게 봤네여
@hyaho3729
@hyaho3729 2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은하보다 훨씬큰 은하인데..,우리은하도 작은편은 아님 우주는 너무 광활해서 진짜 더 거대한 은하도 많고..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2 жыл бұрын
병맛컨셉 진짜 좋아요 리뷰엉님 ㅎㅎ
@새별㐅
@새별㐅 2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궁금해서 묻는건데 우주의 나이가 약 138억년인데 어떻게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이 약 930억 광년이 될 수 있나요?
@은쿨피스콜스
@은쿨피스콜스 2 жыл бұрын
그걸 알면 노벨상~~~~
@jinsikkim8408
@jinsikkim8408 2 жыл бұрын
@@은쿨피스콜스 응 아냐~~ 실제로 빛보다 빠르게 팽창했다고 합니다.
@yulee8088
@yulee8088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끝은 빛의속도보다 더 빠르게 팽창하고있기 때문
@김용현-y4c5t
@김용현-y4c5t 2 жыл бұрын
전자는 시간을 표현한거고 후자는 거리를 표현한거죠...
@한국상남자-y3r
@한국상남자-y3r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은하들이 등속도로 멀어 지는 것이 아니라 가속도로 빛보다 빠르게 멀어지므로 우주의 지름이 나이보다 크게 됩니다. 현재 까지는요..
@깡은하
@깡은하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 이렇게 다정히 불러주는거 너무 좋아요. 물론 제가 아니라는건 알지만ㅜㅜㅋ
@YH-ti1mk
@YH-ti1mk 2 жыл бұрын
얼른 다음 영상 올려주세요요요
@가전수리맨
@가전수리맨 Жыл бұрын
해박한 지식의 리뷰엉이님 과학자들도 참 대단해요
@보충제에밥말아먹기
@보충제에밥말아먹기 2 жыл бұрын
바다의 끝이 낭떠러지 라니 ㄷㄷ 그럼에도 발전한거 보면 인간은 존재 자체가 아이러니 한듯
@jin_times_2
@jin_times_2 2 жыл бұрын
공부한 내용 복습 딱 좋네요
@모름-n1c
@모름-n1c 2 жыл бұрын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상수 허블은 정말 천문학계에 공을 많이 세웠구나
@눌림목매수
@눌림목매수 2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가 허블은 우리은하와 90만 광년 떨어졌다고 했는데 지금의 관측 결과로는 250만 광년이 떨어 진걸로 나옴.
@junchun8064
@junchun8064 2 жыл бұрын
죽었다 1억번 깨어나도 못가는곳이네 안드로메다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면 제임스웹을 말하나요?
@justinkim4561
@justinkim4561 2 жыл бұрын
@@peaceful_world5 그러겠죠? JWST말고는 다른 옵션도 없을걸요
@jambread848
@jambread848 2 жыл бұрын
200만 광년이랬다가 175만 광년이랬다가, 또 더 줄어 100만 광년도 안된다고 하더니, 이젠 다시 많이 멀어져 250만 광년이 됐군요…
@이민규-r5d2z
@이민규-r5d2z 2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 😄
@강릉몽키
@강릉몽키 2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라는 영화가 이 채널에 어떠한 영향을 끼친 것인가 ㄷㄷㄷ
@weq6513
@weq6513 2 жыл бұрын
형 전자 스핀에 대한 영상도 올려주실수 있나요?
@Zeddy27182
@Zeddy27182 2 жыл бұрын
# 참고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서 "옳지 않음"이 증명됐습니다. 중력이란 뉴턴이 얘기하는 두 물체 사이의 만유 인력이 아닌,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얘기하는 물체의 무게에 의해 시공간이 휨으로써 생기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만유 인력의 법칙을 배우고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계산된 결과값이 같기 때문입니다. 즉, 일반 상대성 이론까지 안 배워도 중력을 계산할 수 있다는 얘기이고, 공식은 훨씬 간결하니 그래서 계속 쓰고 있는 거죠😅 참고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고등학교 물리 선택에서 기본만을 다루고, 대학 과정에서 다시 다루게 됩니다.🙂
@qwertyuiop73103
@qwertyuiop73103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혹시 지구가 짱아별처럼 되면 어떻게 될까요???????????????????
@crucifix9247
@crucifix9247 2 жыл бұрын
그리스신화의 안드로메다공주 이름을 딴 안드로메다은하... 렘브란트가 그린 사슬에 묶인 안드로메다 공주 그림과 안드로메다 은하가 묘하게 오버랩됨.
@sooah6377
@sooah6377 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rape-human
@grape-human 2 жыл бұрын
덴젤 워싱턴 주연의 "영화" 데자뷰 리뷰 기원 1회차
@ys3249
@ys3249 2 жыл бұрын
우주전쟁 리뷰해주세요!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2 жыл бұрын
저 은하 하나에만 1조개의 별이 있으니까 골드락스존에 있는 행성들에는 얼마나 많은 생명체들이 살고 있을까? 수억개? 수십억개?
@bbmania2
@bbmania2 2 жыл бұрын
0 < 1 개 정도, 조건이 너무 많음,,
@배관식-z5n
@배관식-z5n 2 жыл бұрын
골드락스존에 수많은 생명체가 살고 있겠죠 우리가 발견 할수 없을뿐이죠
@MongaMongaTheory
@MongaMongaTheory Жыл бұрын
팬미팅 안하나요?!?
@유투브-u5o
@유투브-u5o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제가 영상하나를 제작하고 있는데 마음에 드는 우주관련 인서트가 있는 사이트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요..;; 혹시 우주관련 영상 소스를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조은나라-e4g
@조은나라-e4g 2 жыл бұрын
우주만큼이나 무한한 인간의 지식 지능도 대단합니다
@keepcalm2573
@keepcalm2573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힘내세요! 리뷰엉이님 컨텐츠는 리뷰엉이님껍니다. 재벌집막내아들도 어찌 못하죠.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moonfull9488
@moonfull9488 2 жыл бұрын
은하수 한번 보는게 소원인데 ㅋㅋ 얼마나 이쁠가요 부모님 어렸을 땐 보였다는데 ㅠㅠ
@enrico134
@enrico134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누가 관측했냐? 잘했다.
@jak-yh4dp
@jak-yh4dp 2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우주개발 사업을 대한민국 정부가 달 무인탐사 뉴스 보도 도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국방부 관계자 들은 무기개발 보다는 우주선 건조기술에 연구투자 하고 자연생태계 환경을 보호하고 연구개발을 국가 정부정책 을 새로운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우주 미스테리 비밀의 양자역학 까지 야생동물 까지 보호 통찰 연구투자 해야합니다.
@youngcho05
@youngcho05 2 жыл бұрын
절대밝기를 알아냈다고 하는 부분에서 ..거리측정을 어떻게 했는지 자세히 설명 부탁해요 ....
@건너마을돌돌이
@건너마을돌돌이 2 жыл бұрын
내말이....그게 어떻게 신뢰가 되는건지...빛이 오다가 가려서 약해질수도 휘어서 왜곡도 되겠는데..9만광년동안 빛이 오면서 심심해 디질텐데..
@Preston-Garvey
@Preston-Garvey 2 жыл бұрын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이고 절대 등급이 별이 지구로부터 10파섹 대략 32광년 의 거리에 놓았음을 볼때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인데 빛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니까 따라서 M = m - 5(log10d−1) M (절대 등급) m (겉보기등급) d (거리)로 해서 세페이드 변광성 같은 경우에는 변광 주기와 별의 절대 밝기가 비례하니까 사실로 별의 절대 등급을 구해서이를 통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거임
@박재윤-x3o
@박재윤-x3o 2 жыл бұрын
@@Preston-Garvey 별의 변동주기와 절대밝기가 비례한다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ㅠㅠ
@drmphy
@drmphy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어떤 영화를 리뷰했다는 언급조차 안하네ㅋㅋㅋㅋ 그래도 영화 유튜버로서 정체성을 고집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그것조차 포기함ㅋㅋㅋㅋㅋ 이제는 그냥 과학 유튜버임ㅋㅋㅋ
@뉴스보는너구리
@뉴스보는너구리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어떻게 보는가 에 그 아름 다운 곳 입니다 리뷰엉이님 화이팅 하세요
@최성욱-e8h
@최성욱-e8h 2 жыл бұрын
천재들은 진짜 천재다.. 어떻게 저런 걸 알아내지..
@으으아읃
@으으아읃 2 жыл бұрын
저런 역사를 보면 우주에 대해 알아가는게 인간의 본능인거 아닐까 싶음
@이정진-g7u
@이정진-g7u 2 жыл бұрын
그 다음 영상에 안드로메다가 우리은하랑 충돌한다는 얘기가 나올텐데 여기서 질문이 빛의속도보다 더 빠르게 팽창하는 우주에서 250만 광년떨어진 은하가 어떻게하면 우리은하랑 부딫힐수가 있는지 궁금해용
@4cusable
@4cusable 2 жыл бұрын
거리에 따라서 멀어지는 속도가 다릅니다. 그러나 가까운 은하는 서로 멀어지는 속력보다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따라잡는 속력이 더 빠르게 됩니다. 따라서 은하가 서로 충돌+합병을 하게 되고 거대한 새로운 은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JVMWILD
@JVMWILD 2 жыл бұрын
@@4cusable 때문에 -> 그러나 호응 관계 따져서 접속사 씁시다 ^^
@4cusable
@4cusable 2 жыл бұрын
@@JVMWILD 네네 순간 생각이 안 났었네요 감사합니다~
@jjangdol78
@jjangdol78 2 жыл бұрын
영상 늘 잘 보고 잇습니다.... 오늘 영상보다가 급 생긴 궁금증이 있는데요...중간중간 등장하는 뷰엉이들은 직접 그리시는건가요...?
@조형래-q5w7f
@조형래-q5w7f 2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리뷰엉이를 통해 배웠어요! 자랑스럽게 말할수있다구?
@NIKO_Kor
@NIKO_Kor 2 жыл бұрын
옛날 우주 나올 때마다 듣던 브금이 안 나와서... 뭔가 허전하네요 오디오가 ㅠㅠ
@Kkunje95
@Kkunje95 2 жыл бұрын
겉보기등급… 수업시간에 재미 없던게 이제야 재밌네….
@파나-z5s
@파나-z5s 2 жыл бұрын
수업시간은 정해진 진도를 나가야하니까 "뉴턴이 이런일이 있었고 어쨌고.." 사족 붙이기 시작하면 절반도 못나감 선생님들이 저런것들 더 알면 알았지 재미없게 가르친게 아니라 우리나라 교과과정이 재미없는거임
@kimkimi7
@kimkimi7 2 жыл бұрын
난 수업에서도 재밌었는데 ㅎㅎ 사람마다 공부에 타고나는 재능이 달라서 그래요~ 너무 자책 마세요 ㅎ
@Howcouldieverstop
@Howcouldieverstop 2 жыл бұрын
@@kimkimi7 누가알면 세상에서 젤 똑똑한줄 알겠다 ㅋㅋㅋ 얌마 사람들이 느그 어매 욕한다 자식 오만하게키웠다고ㅠㅋㅋ
@kimkimi7
@kimkimi7 2 жыл бұрын
@@Howcouldieverstop 남의 부모 욕하는 싸가지없는 인성을 보니 그쪽이야말로 어매 욕 좀 먹이고 다니시겠어요 ㅎ 저는 위로를 드린 것 뿐입니다.
@모멘텀-f5d
@모멘텀-f5d 2 жыл бұрын
우주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영상을 보다보니 빅뱅때 우주가 생긴게 아니라 우주공간은 원래 있었고 큰 덩어리만 폭발해서 떨어져나온 파편들이 별이 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별들간의 거리가 아닌 우주공간 자체가 넓어지고있다는 단서가 있나요?
@gulaya18
@gulaya18 2 жыл бұрын
지구의 모래알 갯수세기 보다 훨씬 힘든 별 갯수세기..
@demiankim9052
@demiankim9052 2 жыл бұрын
>< 임마누엘 칸트에 대한 오해 1. 철학자라 수학, 과학을 잘 모른다. 》칸트는 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 수학, 물리학을 공부한 사람이었음. 그는 당시의 수학과 물리학의 최신이론들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학자였음. 대표적으로 현재 은하탄생의 기원에 대한 주류학설인 "성운설"을 당시 거의 아무도 주장하지 않을 때에 만류인력의 작용과 반작용 법칙을 근거로 주장하기도 한 선구자였음.
@회상-t5z
@회상-t5z 2 жыл бұрын
은하수의 1년은 얼마일까요?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데 1년 즉 365일인데. 태양계가 은하계를 1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수 있을까요? 몇년일까요?
@kdgpg
@kdgpg 2 жыл бұрын
2억5천만년정도로 추정하고있습
@중고뉴비-q5v
@중고뉴비-q5v 2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이 발달한 시대 몇몇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합니다.
@11-29한수빈
@11-29한수빈 2 жыл бұрын
멍청한 사람들이거나 아니면 사이비에 빠졌거나 둘 중 하나지
@ysg7675
@ysg7675 Жыл бұрын
설마 성대모사 혼자서 다하신건가요? 우와~안드로메다보다 더 충격!
@Guntare
@Guntare 2 жыл бұрын
언잰가 인류가 우주를 정복하고 지배하고 컨트롤하는 시대가오겠지 근데 그때는 내가 없을때라는게 너무 슬프다
@두부두부두-o1w
@두부두부두-o1w 2 жыл бұрын
그전에 인류는 멸종할거라고 봅니다
@Guntare
@Guntare 2 жыл бұрын
@@박아무개-y6c 인성ㅋ
@씅-h4c
@씅-h4c 2 жыл бұрын
형님 언잰가x 언젠가o 입니다
@dgb3112
@dgb3112 2 жыл бұрын
그때 인류가 있을까요? 그때는 로봇이 지배
@박근수-x3p
@박근수-x3p 2 жыл бұрын
계속윤회해서 과거를 기억못할뿐 경험할겁니다..
@Family_Joonwoo
@Family_Joonwoo 2 жыл бұрын
와 퀄리티 지린다.... 팬티 갈아입고 갑니다
@홍차-o8e
@홍차-o8e 2 жыл бұрын
이미 예수탄생 이후 100년후부터도 세계는 둥굴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많았고 실제로 프톨레마이우스같은 지도도 있었음
@aLminSHIN
@aLminSHIN 2 жыл бұрын
에라토스테네스처럼 기원전에도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꽤 알려져 있었죠.
@blink1030
@blink1030 2 жыл бұрын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사람들 지금 지구를 평평하다고 생각한다면 우주선을 왜 발사하는데
@짱짱-n1t
@짱짱-n1t 12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답니다. 우리는 모두 다 속고 있다네요. 답답해 죽겠다고, 자기 가슴까지 치면서... ㅋ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스탠퍼드 뇌과학자가 깨달은 자아의 충격적인 진실
15:38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342 М.
Anomalies in the Universe. Immersion in Deep Space
3:05:22
Kosmo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