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liberal arts a pip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666,049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humanities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wisdom
#reasoning #decisionmaking #judgment #ethics #sage #guru
Are humanities, history, and philosophy really impractical?
Edit: NJT Minister (Kim Yeop)
Design: NJT Vice Minister (Park Hyejin)
NJT's Instagram: / njttock

Пікірлер: 1 600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에서 표현하는 단어(ex. 인문학, 과학)의 범주가 참 광범위 하다보니, 정의가 달라 갸우뚱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영상에서는 설명을 위해 각 분야의 프로토타입으로 설명을 했지만요. 저는 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인문학이든 딱 딱 구분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solrasi56780
@solrasi56780 Жыл бұрын
@Akaps3321
@Akaps3321 Жыл бұрын
저도 동의합니다! 모든 학문을 구분하려고 하는 것은 밥 먼저 먹고 반찬 먹는 거랑 반찬 먼저 먹고 밥 먹는 것 수준의 행위라고 봅니다!!!
@yoonseulchoi
@yoonseulchoi Жыл бұрын
수학같은것도 배우다보면, 인생의 원리가 녹아들어있더라고요.. 학문이란건 참 신기한 것 같아요.
@heeslee3610
@heeslee3610 Жыл бұрын
전문은 공과지만 스스로 배우고있는 것은 인문학. 삶에 감미료를 첨가한 느낌
@hahiri
@hahiri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이유과 근거니까요..
@user-os8ut7up5g
@user-os8ut7up5g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이 필요하고 실수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역사가 필요하고 인생을 올바르게 가기 위해서는 철학이 필요하다
@Riton7738
@Riton7738 Жыл бұрын
@user-jb9kx6kh5g
@user-jb9kx6kh5g Жыл бұрын
@@Riton7738 인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
@user-ig2de3gy8i
@user-ig2de3gy8i Жыл бұрын
@@Riton7738 지극히 맞는 말을 틀이라고 치부하는 그 지적 수준도 틀과 다를 바 없는 거 같은데.
@Riton7738
@Riton7738 Жыл бұрын
@@user-jb9kx6kh5g 자기만의 전문적인 기술이 없어서 노가다 뛰는 사람 ㅋㅋ
@Riton7738
@Riton7738 Жыл бұрын
@@user-ig2de3gy8i 응 너틀
@Forever_Dreamer
@Forever_Dreamer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울었습니다... 그전부터 가족들이 왜 그렇게 취업에 쓸데없는 것만 좋아하냐고 했을 때 제대로 반박을 못했거든요... 삶을 살아가는 지혜라든가, 융복합적 인재가 되기 위한 소양이라든가 하는 이야기는 인문학에 빠져보지 않는 이상 다들 공감을 잘 못해주더라구요ㅜㅜ 인문학 교과서에는 "왜 윤리/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같은 단원으로 시작하는데 과학 수학 교과서에는 그런 게 없는 것부터가 뭔가 인문학이 변명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고요...! 이 영상이 제가 하고 싶은 말을 모두 반영하면서도 한층 더 깊은 인사이트로 나아간 것 같아 너무 감동했어요!! 그리고 사실 누가 뭐라해도 인문학 공부하고 나서 훠얼씬 행복해지고 성숙해지고 정신이 건강해지고 성실해진 건 제 자신이 아니깐요! 오늘도 변함없이 풍부하고 설득력 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gahye63
@gahye63 Жыл бұрын
@user-lq8nd4ii3u
@user-lq8nd4ii3u Жыл бұрын
보다가 나도모르게 울컥했는데 이런이유로 울컥했었구나 ㅠㅠ
@user-cx5jj3br2c
@user-cx5jj3br2c Жыл бұрын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ㅠㅠㅠ
@user-md4kh2ef7k
@user-md4kh2ef7k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은 엔드컨텐츠에 다가갔을때 있어야 할 뭔가죠. 마치 인성이나 평판이 당장사는데는 필요없어 보여도 나중에 성공에 다가갔을때 없으면, 하드모드나 베드엔딩을 맞는것과 비슷한 무언가죠. 돈이 많은 사람이 명예를 찾는것과 같은 이유임
@wlqrkrhtlvekwlsWk
@wlqrkrhtlvekwlsWk Жыл бұрын
제가 철학을 좋아한 이유를 여기서 찾았네요ㅋㅋ 저는 예체능 입시생인데 ‘대한민국 미술계 현실’,’대학간판 권위하락’,’AI그림’같은 유튜브 알고리즘을 보면서 삶이 좀 무기력했었거든여..그때 혼자서 생각해보니 ‘나는 단지 돈을 벌려고 그림을 그린건가?’,’인정받지 못하면 나는 가치가 없나?’’난 왜 사는거지?(진짜 말 그대로 삶의 이유가 뭔지임)’,’난 뭘 하고 싶은거였지?’,’세상은 왜이렇게 내맘대로 안되는거지?’따위의 당연한 질문에 제대로 된 답을 찾지 못하거나 그리 현명하지 못한 답을 가진 제 모습을 보게되었죠..딱 선생님이 윤리와 사상시간에 말해준 철학자들의 구절이 생각났고 뭔가 제 상황에 대입이 되는 것 같더라구요. 그 이후부터 니체, 쇼펜하우어,스토아학파같이 지금 이 답답한 상황에 내가 뭘 하는것이 나한테 좋은 일인지에 대한 여러 철학들을 찾아보고 제 상황에 대입하고 하면서 멘탈관리도 됐지만 무엇보다 저는 뭔가 진짜 ‘나’라는 정체성이 만들어지는 것 같았습니다(이걸 마음의 풍족함이라 해야하나 뭐라 제대로 설명하기 힘들지만 ‘아 이게 나였지’라는 것을 알게 된달까..?).내가 누군지 제대로 알면 인생에서 무엇이 나를 위한 일이고 무엇이 나에게 무의미한 것인지, 나는 어떤 삶을 살고싶은지,나는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면 잘 살았다는 생각이 드는지같은 판단도 자신있게 하게 되는 것 같고 또 그게 뭔가 인생게임 하는 기분이 들어서 삶에 매력이 느껴지기도 합니다ㅋㅋ 소올직히 이건 쓸데없는 시간낭비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물질적인 풍요로움은 당연히 좋겠지만..뭔가 저는 그래도 죽기전에 ‘나’라는 인생을 의미있게 살고 가는것도 정말 좋은것이라 생각합니당.. 짧은 인생인데 괴로움보다는 기쁨을 느끼는 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user-mn1yo4kc4j
@user-mn1yo4kc4j Жыл бұрын
당신이 딱 한 권의 책을 읽을 수 있다면 과학, 경제에 관련된걸 읽어라 그러나, 당신이 훨씬 많은 책을 읽을 수 있다면 인문학을 읽어라.
@oruimt9319
@oruimt9319 Жыл бұрын
이거지..
@sim1069
@sim1069 Жыл бұрын
과연.... 9수의 격노검....
@mr.q4860
@mr.q4860 Жыл бұрын
한권도 안 읽을꺼면요?
@user-pj9gs5es5h
@user-pj9gs5es5h Жыл бұрын
@@mr.q4860 질문이 딱 한권도 안읽을 사람이 할만한 질문이네요
@user-hc2xs1yu5i
@user-hc2xs1yu5i Жыл бұрын
배고픈 시절엔 실학이 중요하고 배부르고 등 따시면 인문학이 발달하징
@_jam6031
@_jam6031 10 ай бұрын
인문학을 배운 사람이 인문학적 소양이 전혀 없는 이공계 사람과 대화를 하면, 딱 느끼게 되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아... 과학도 결국은 인간을 위해서 사용하는 건데... 이 사람의 과학에는 '인간' 이라는 주제가 빠져 있구나. 과학을 위한 과학만 있고, 인간을 위한 과학이 없는 그 느낌.
@Starlight_melody
@Starlight_melody Жыл бұрын
실용학이 성과를 만드는 손을 선물한다면, 인문학은 지혜를 보는 눈을 선물한다고 생각해온 저에게는 너무나도 반가운 영상이네요! 인문학의 본질과 탐구의 산물에 대한 제시를 보니 인문학적 깊이를 더한 삶이 얼마나 매력적인지 다시금 깨닫습니다. 성과없는 지혜는 환상이고 지혜없는 성과는 참상이니 결국 가치들의 조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늘 나이스한 영상을 제작해주시는 섹☆시가이 너진똑님께 왕감사~
@user-blesseveryone
@user-blesseveryone Жыл бұрын
댓글에서도 농익은 김치마냥 깊이가 있네요 보기 좋습니다.
@maekjin
@maekjin Жыл бұрын
크... 멋있는 댓글에 멋있는 답글
@user-vn9il6mc2t
@user-vn9il6mc2t Жыл бұрын
멋있는 댓글의 멋있는 답글의 멋있는 리뷰...
@user-zc6ky2kw9g
@user-zc6ky2kw9g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공감이요
@0Target0
@0Target0 4 ай бұрын
“성과없는 지혜는 환상, 지혜없는 성과는 참상”이라는 말 정말 와닿네요 덕분에 깨닫고 갑니다
@dennyhong6198
@dennyhong6198 Жыл бұрын
살면서 개돼지 취급 받기 싫으면 인문학이 필요하죠…. 스스로 생계유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 인문학을 공부하세요…. 살면서 필요한 결정을 할 때 필요한 지침이 인문학에서 나옵니다… 인문학 외에 다양한 분야의 기본 상식이 있으면 더 좋지요… 결국 책을 10년 정도는 탐독하면서 친구처럼 가까이 해야 통찰력이라는게 몸에 스며듭니다…
@user-dx6fv3oj9p
@user-dx6fv3oj9p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인문학을 공부하면 남에게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가질 수 있는 철학과 힘이 생기는 것 같아요. 영상에서 말했듯이 수천 년을 지낸 든든한 현자들이 옆에 있으니 내 주장의 근거가 더 탄탄해지니까요. 그리고 인문학은 과학에다 의미를 부여하거나 그것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 같기도 해요. 과학은 현실에 대한 문제들만 해결해주지 그 너머의 문제들에 대해선 제대로 된 답변을 못합니다. 또 실험결과에 의미를 부여할 수도 없죠. 전 이런 과학의 한계를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이 대신한다고 봅니다.
@HJYoon-kn2vf
@HJYoon-kn2vf Жыл бұрын
이과출신으로서 과학과 인문학을 비교해보고 왜 인문학이 무시당하는 이유를 말해보겠음. 과학과 인문학의 차이를 쉽게 표현하면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한 학문이고 인문학은 가치판단을 위한 학문임》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해 존재하고 그렇기에 수 많은 변수를 통제해서 수십ㆍ수백번의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증명해서 팩트라는 결론을 도출함. 반면 인문학은 가치판단을 위해 존재하며 가치판단은 정답이 있는 영역이 아닌 개개인의 주관적 가치관이 개입되는 영역임. 그렇기에 과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도 없고. 그런데 인문학이 왜 무시당하냐면 교수부터 학부생까지 절대 다수가 가치판단과 사실판단을 구분조차 못 함. 지들 사고실험(좋게 말해 사고실험이지 걍 뇌피셜ㆍ망상임)을 통해 나온 이론을 팩트로 착각한다는 것임. 인문학의 이론을 과학에 비교하면 그냥 실험연구 하기전에 세우는 '가설' 수준임. 즉, 타인의 생각ㆍ가치관ㆍ가설(=뇌피셜)을 공부하는 것임. 물론 이게 무가치하다는 것은 아님. 일단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한 학문이기에 갖는 객관성ㆍ정밀성ㆍ타당성ㆍ신뢰성이 높은 결론은 내릴 순 있지만 가치판단을 내리는 데는 도움을 주지 않음. 즉,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 지는 알려주지만 어떤게 옳은 건지에 대해서는 안 알려주는 학문이라는 것임. 이게 과학이 갖는 한계고 과학은 이걸 잘 인지하기에 자신의 영역 밖으로 잘 안 나감. 문제는 인문학은 그 어떠한 검증ㆍ증명도 없는 지들 뇌피셜을 팩트라고 착각하고 사실판단의 영역으로 들어온다는 것임. 그 이론의 대전제가 사실인지 아닌지도 학인하지 않고 문헌을 통해 얻은 내러티브에 대한 지식을 근거로 뇌피셜 주장을 펼치는데 그걸 본인들이 과학적 논리적 팩트를 알고 있는 것 마냥 확신하고 있다보니까 발생하는 것임. 예시로 과학은 남녀의 격차에 대해 생물학적 차이같은 팩트를 기반으로 왜 그러한 격차가 나타나는지 설명하고 끝남. 어떤 결과가 옳은 지에 대해 말을 하지 않음. 근데 인문학은 어떤 결과가 옳은 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건 좋은데 그걸 '팩트'라고 착각하고 과학적 사실을 무시한채 이상한 이론을 만들고 씨부림ㅋ 당연히 사회현상ㆍ현실이란 사실판단의 영역에선 과학에게 완패를 하고 꼭 하는 말이 "세상은 과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어요" 같은 추한 대사나 뱉음. 가치판단의 영역에선 과학이 설명할 순 없지만 사실판단의 영역에선 과학만이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름ㅋㅋ 내가 인문학 전공한 놈들의 뇌에 각인 시켜놓고 싶은 말은 《인문학엔 그 어떠한 팩트도 없고 니들이 공부한 지식은 타인의 뇌피셜이다》라는 것임. 인문학 전공자들아 니들이 그 전공으로 해야 할 일은 과학적 사실을 인정하고 그 이후의 가치판단을 내리는 것이지 사회현상의 이유에 대해 뇌피셜씨부리거나 설명하는 것이 아님. 사회현상 설명한다고 인문학 들고오는 교수들, 학도들 보고 있노라면 바보들 집합소가 따로 없음. 현상에 대한 설명과 어떻게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은 과학이, 그 결과들을 보고 그러함에도 어떻게 해야할지를 결정하는게 인문학임. ☆ 인문학자ㆍ인문학도들에게 당부한다. 니들이 씨부린 인문학을 팩트라고 착각하지 마라. 팩트는 과학적 사실을 말하는 것이고 니들이 공부한 것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사람들의 뇌피셜이란 걸. 과학이 사실판단을, 인문학이 가치판단을 담당해서 상호보완이 되어야지 본인 영역부터 헷갈려하니 인문학의 위기가 온 것임.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아득히 높은 세상을 배우는거고 인문학은 아득히 낮은 스스로를 배운다고 생각합니다 아득히 높은곳을 세운들 높은 세상에 내가 묻힐 뿐이지만 아득히 낮은곳을 채운다면 채워진 발판에 내가 서는것이니까요 결국 기반을, 스스로를 세운 후에 세상을 세워야 맞는것이겠죠
@user-dx6fv3oj9p
@user-dx6fv3oj9p Жыл бұрын
@@HJYoon-kn2vf 제 댓글에 대해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지금 보니 댓글을 '인문학이 최고고, 과학은 한계를 가지니 아무튼 인문학이 짱이다'라는 식으로 적은 것 같습니다. H.J Yoon 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과학은 사실판단, 인문학은 가치판단을 위한 학문입니다. 사실판단과가치판단은 서로 상호 보완적 관계를 맺기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H.J Yoon 님께서 인문학에 대해 지적하신 점은 인문학이 사고실험을 가지고 가치판단 외의 것, 즉 사실판단을 하려 든다는 점입니다. 미시 세계에선 뉴턴 역학이 효력이 없듯이 인문학의 사고실험은 현실에선 큰 효력이 없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은 그것을 억지로 적용시키려 들죠. 이는 마치 정치에서 '무조건 진보만이 옳다', '무조건 보수만이 옳다'라 주장하는 것과 같습니다. 진보와 보수는 각자 장단점이 있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인데 극단으로 치우쳤을 때, 즉 진보 또는 보수적으로만 국가를 운영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이와 같이 사실판단을 뒤로 한 채 가치판단만을 고집한다면 답글에서 언급하신 남녀에 관한 괴상한 이론들이 세상을 지배해 혼란스러워질 것입니다. 좋은 답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제 오만함을 깨달았습니다.
@HJYoon-kn2vf
@HJYoon-kn2vf Жыл бұрын
@@user-dx6fv3oj9p 제 생각을 정말 잘 이해해 주셨습니다. 과학은 가치판단에 도움을 못 줍니다. 하지만 사실판단에 그 어떤 것보다 도움을 줍니다. 인문학도 사실판단에 도움을 못 줍니다. 하지만 가치판단에선 그 어떤 것보다 도움을 주고요. 과학에겐 객관적 사실을 타당하고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정밀한 결론을 도출하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은 가능해도 어떤 선택이 더 가치있고 올바른지 모릅니다. 인문학은 분명 객관성도 없고 타당성ㆍ신뢰성ㆍ정밀성이 떨어집니다. 비논리적이고요. 하지만 인간의 역사와 함께 쌓인 많은 사람들의 생각ㆍ사상ㆍ가치 등이 담겨 있습니다. 이걸 이용해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고 무엇을 추구해야할지 계속 생각해보고 나아갈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 있죠. 각자의 영역에서 서로 상호보완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smokemirror1583
@smokemirror1583 Жыл бұрын
철학의 경우에는 가치판단을 다루는 가치론도 있고, 논리학 등 논리적 명제들을 다루는 합리론도 있습니다. 다만 합리론의 경우에는 문과로 분리하는 것이 옳으냐 하는 논쟁들이 많이 있지만, 어쨌든 현재는 인문학으로 분류되어 있으니 모든 인문학이 가치판단만을 다룬다고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user-hm4lx5bu1y
@user-hm4lx5bu1y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이과는 문명을 만들고, 문과는 문화를 만든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그리고 최근 사회에서 생기고 있는 문제 대부분은 문명의 발전과 문화의 퇴화가 엮이면서 생겼다고 보는 입장이라...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ryudejakeiru0727
@ryudejakeiru0727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본 퀄리티가 ㅋㅋㅋㅋㅋㅋㅋ 말이 안나오는 수준이네요… 항상 감탄하면서 보고있습니다
@yjy9972
@yjy9972 Жыл бұрын
국어교육을 전공했는데 교수님께 듣거나 공부하며 깨달았던 부분이랑 굉장히 맞닿아있어서 깊이 공감하며 봤어요 많은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면 좋겠네요
@Orang_Fantasy
@Orang_Fantasy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이 쓸모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인문학을 공부해 보지 않은 사람 뿐이다" -오랑의 판타지 사전
@justgoby
@justgoby Жыл бұрын
인문학적 통찰은 '스킬'이 아니라는 말이 정말 와닿아요. 문사철 가운데 사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있지만 철학 교수님들조차 '나는 철학 전문가가 아니다'라고 하시거든요. '철학은 스킬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가 존재할 수 없다'라는 말씀이셨어요. 철학이든 사학이든 사고의 영역이기 때문에 누구나 멋진 아이디어를 낼 수 있고, 또 누구나 궤변을 늘어놓을 수 있어요. 그래서 그렇게 공부를 많이 하신 교수님과 일개 학생인 제가 동등하게 대화를 나누고 서로 인사이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을 알아야 한다는 게 제가 생각하는 인문학 공부의 목적이었습니다. 끊임없이 마주하는 선택의 기로에서 그 선택의 기준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게 인문학이라고 생각을 했거든요. 물론 저는 그 사고 과정 자체가 너무 재미있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사고의 즐거움을 모른다는 건 인생에서 상당히 큰 손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인지라... 인문학은 재미있다고 당당히 말하고 싶네요. ㅎㅎ
@웅나웅나
@웅나웅나 Жыл бұрын
인문학 책을 읽는것도 중요하지만, 그걸 다듬고 걸러내고 나 자신만의 기준을 만드는것도 중요함. 책 한 시간 읽고 8시간동안 고민하고 생각을 짜내면 그건 분명 무대뽀로 책 10시간 읽는것보다 가치있을거임.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지식을 답습하는것 뿐만이 아닌 스스로의 사유로 변환내는 과정까지가 공부인거죠
@user-hd5pp1hn2s
@user-hd5pp1hn2s Жыл бұрын
내가 부동산 투자를 시작하면서 책을 읽으면 저자들이 하나같이 인문학을 공부하라고 해서 공부해봤는데 실제로 많은 도움이 되었는데 그걸 어떻게 표현을 하기 참 힘들었는데 이 영상하나로 모든것이 정리되는군요.. 정말 최고입니다..
@gichae
@gichae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제가 느끼고 있는 게 뭔가 인문학 읽다보면 가치관? 정신?이 건강해지는 느낌이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영상에 나온 거 처럼 책을 읽는 거 자체가 ' 나는 책을 읽는 sexy한 사람이다 ' 라는 생각을 심어줘서 자존감도 올라가는 것 같아요 아님 말고~
@user-le6dd9zy4l
@user-le6dd9zy4l Жыл бұрын
저도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발전하는게 자랑스럽기도 하고 가분 좋아요 ㅎㅎㅎ
@user-gm8fw9gf1g
@user-gm8fw9gf1g Жыл бұрын
그런 "느낌"밖에 못받는단것 자체가 인문,철학은 쓸데없다는 증거다 ㅋㅋ
@user-dn5ed6cw8s
@user-dn5ed6cw8s Жыл бұрын
@@user-gm8fw9gf1g 그럼 문사철이 아닌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을 배우면 가치관이나 정신이 건강해지나요? 건강해지는 '느낌'이 든다는 점에서 지적하셨기에 여쭈어봅니다.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user-gm8fw9gf1g제가 학교에서 강조하는 수학 과학 공부하다 정신 뒤질뻔한 인간인지라 뭐... 그런 느낌이라도 받는게 그런 느낌을 받을 대가리를 박살내는것보단 좋잖아요?
@Txtzt110
@Txtzt110 Жыл бұрын
@@user-gm8fw9gf1g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를 스스로 증명.
@knowledgemeerkat
@knowledgemeerkat Жыл бұрын
문과는... 영원하다!!! '인문학을 많이 알고 공부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해상도가 높아진다'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재미없고 별 필요도 없는 역사책을 왜 찾아보고잇어?'라고 물어보지만 저에게는 말씀하신 좋은 직관을 길러주는 소중한 분야입니다. 패시브 스킬!! 이번 영상은 특히나 너무 공감되고 좋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woW-vd9cm
@woW-vd9cm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가성비는 이과만한게 없지
@user-nr4nk4xp3p
@user-nr4nk4xp3p Жыл бұрын
영원하긴 하죠. 굶주리지 않다고는 안했지만
@K_ASMR106
@K_ASMR106 Жыл бұрын
@@woW-vd9cm 이과 가성비 엄청 떨어지는데
@kmh9106
@kmh9106 Жыл бұрын
공대생에게 철학을 가르치는 게 인문학 전공자에게 기술을 가르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니까 이과로 가세요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IronJong
@IronJong Жыл бұрын
영상 구성이나 편집, 알찬 내용, 재치, 몰입을 이끄는 이야기 흐름, 완성도… 종합세트네요. 너진똑님을 멘토로 삼을게요. 구독합니다. 기획이나 제작과정에 참여해보고 싶어요. 저 또한 언젠가 반드시 양질의 컨텐츠로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hks-lg8ip
@hks-lg8ip Жыл бұрын
11:19 케인 침투력 무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same_star
@1same_star Жыл бұрын
케인인님
@user-mj2fs1sx5r
@user-mj2fs1sx5r Жыл бұрын
한판해요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나는!
@philip9587
@philip9587 Жыл бұрын
ㄱㅇㅈㅇㄱ
@user-hu2oi9cu2q
@user-hu2oi9cu2q Жыл бұрын
재밌고 가슴을 울리는 말과 편집으로 인문학을 다뤄주시는 진똑님 덕분에 확실히 인문학이라는 학문에 관심도 생기고 삶을 대하는 태도도 전보다 확실히 건강해졌다는걸 느낌
@user-xo3jp5cq6t
@user-xo3jp5cq6t Жыл бұрын
너진똑님 영상들을 볼때마다 진짜 미치도록 존경합니다 또 게임만 하던 저를 독서의 길로 인도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user-fw6gp5np8t
@user-fw6gp5np8t Жыл бұрын
아가야 인문학은 다른 걸로도 배울ㅈ수 있어 굳이 전공을 그쪽으로 안가도 말이야 문사철나와서 취업안되는걸 학생들도 인지하여서 다들 전과하는게 현실이란다...
@Retter_
@Retter_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공부해야 되는 이유를 알고는 있었지만, 막상 설명해야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막막했었는데 이 영상이 제가 평소에 얼추 알고는 있었지만 정리는 되지 않았던 영역을 정리해주는 걸 넘어 제가 모르던 영역까지 알려주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HJYoon-kn2vf
@HJYoon-kn2vf Жыл бұрын
이과출신으로서 과학과 인문학을 비교해보고 왜 인문학이 무시당하는 이유를 말해보겠음. 과학과 인문학의 차이를 쉽게 표현하면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한 학문이고 인문학은 가치판단을 위한 학문임》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해 존재하고 그렇기에 수 많은 변수를 통제해서 수십ㆍ수백번의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증명해서 팩트라는 결론을 도출함. 반면 인문학은 가치판단을 위해 존재하며 가치판단은 정답이 있는 영역이 아닌 개개인의 주관적 가치관이 개입되는 영역임. 그렇기에 과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도 없고. 그런데 인문학이 왜 무시당하냐면 교수부터 학부생까지 절대 다수가 가치판단과 사실판단을 구분조차 못 함. 지들 사고실험(좋게 말해 사고실험이지 걍 뇌피셜ㆍ망상임)을 통해 나온 이론을 팩트로 착각한다는 것임. 인문학의 이론을 과학에 비교하면 그냥 실험연구 하기전에 세우는 '가설' 수준임. 즉, 타인의 생각ㆍ가치관ㆍ가설(=뇌피셜)을 공부하는 것임. 물론 이게 무가치하다는 것은 아님. 일단 과학은 사실판단을 위한 학문이기에 갖는 객관성ㆍ정밀성ㆍ타당성ㆍ신뢰성이 높은 결론은 내릴 순 있지만 가치판단을 내리는 데는 도움을 주지 않음. 즉,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 지는 알려주지만 어떤게 옳은 건지에 대해서는 안 알려주는 학문이라는 것임. 이게 과학이 갖는 한계고 과학은 이걸 잘 인지하기에 자신의 영역 밖으로 잘 안 나감. 문제는 인문학은 그 어떠한 검증ㆍ증명도 없는 지들 뇌피셜을 팩트라고 착각하고 사실판단의 영역으로 들어온다는 것임. 그 이론의 대전제가 사실인지 아닌지도 학인하지 않고 문헌을 통해 얻은 내러티브에 대한 지식을 근거로 뇌피셜 주장을 펼치는데 그걸 본인들이 과학적 논리적 팩트를 알고 있는 것 마냥 확신하고 있다보니까 발생하는 것임. 예시로 과학은 남녀의 격차에 대해 생물학적 차이같은 팩트를 기반으로 왜 그러한 격차가 나타나는지 설명하고 끝남. 어떤 결과가 옳은 지에 대해 말을 하지 않음. 근데 인문학은 어떤 결과가 옳은 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건 좋은데 그걸 '팩트'라고 착각하고 과학적 사실을 무시한채 이상한 이론을 만들고 씨부림ㅋ 당연히 사회현상ㆍ현실이란 사실판단의 영역에선 과학에게 완패를 하고 꼭 하는 말이 "세상은 과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어요" 같은 추한 대사나 뱉음. 가치판단의 영역에선 과학이 설명할 순 없지만 사실판단의 영역에선 과학만이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름ㅋㅋ 내가 인문학 전공한 놈들의 뇌에 각인 시켜놓고 싶은 말은 《인문학엔 그 어떠한 팩트도 없고 니들이 공부한 지식은 타인의 뇌피셜이다》라는 것임. 인문학 전공자들아 니들이 그 전공으로 해야 할 일은 과학적 사실을 인정하고 그 이후의 가치판단을 내리는 것이지 사회현상의 이유에 대해 뇌피셜씨부리거나 설명하는 것이 아님. 사회현상 설명한다고 인문학 들고오는 교수들, 학도들 보고 있노라면 바보들 집합소가 따로 없음. 현상에 대한 설명과 어떻게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것은 과학이, 그 결과들을 보고 그러함에도 어떻게 해야할지를 결정하는게 인문학임. ☆ 인문학자ㆍ인문학도들에게 당부한다. 니들이 씨부린 인문학을 팩트라고 착각하지 마라. 팩트는 과학적 사실을 말하는 것이고 니들이 공부한 것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사람들의 뇌피셜이란 걸. 과학이 사실판단을, 인문학이 가치판단을 담당해서 한쌍의 날개처럼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해야지 자신의 영역부터 혼동하면 현재의 인문학처럼 되는 것임. 인문학의 위기? 내가 보기엔 인문학이란 멀쩡한 학문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가치판단과 사실판단도 구분 못하는 현재의 인문학자들이 문제임.
@Retter_
@Retter_ Жыл бұрын
@@HJYoon-kn2vf 어.. 이 글을 왜 제 댓글의 답글에 적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잘 봤습니다 말투는 뭔가 커뮤니티에서나 볼 법한 어투인데 내용은 좋네요
@HJYoon-kn2vf
@HJYoon-kn2vf Жыл бұрын
@@Retter_ 음슴체로 써봤습니다ㅋㅋ 저는 과학과 인문학은 상호보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은 가치판단에 도움을 못 줍니다. 하지만 사실판단에 그 어떤 것보다 도움을 줍니다. 인문학도 사실판단에 도움을 못 줍니다. 하지만 가치판단에선 그 어떤 것보다 도움을 주고요. 과학에겐 객관적 사실을 타당하고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정밀한 결론을 도출하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은 가능해도 어떤 선택이 더 가치있고 올바른지 모릅니다. 인문학은 분명 객관성도 없고 타당성ㆍ신뢰성ㆍ정밀성이 떨어집니다. 비논리적이고요. 하지만 인간의 역사와 함께 쌓인 많은 사람들의 생각ㆍ사상ㆍ가치 등이 담겨 있습니다. 이걸 이용해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고 무엇을 추구해야할지 계속 생각해보고 나아갈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 있죠. 각자의 영역에서 서로 상호보완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근데 인문학에서 그걸 놓치는 경우가 많아서 도움이 되시라고 적어봤습니다ㅎㅎ 좋은 하루 되시길 ^^b
@dicat16
@dicat16 Жыл бұрын
@@HJYoon-kn2vf 인문학이 신뢰도는 떨어져도 비논리적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귀납 추론을 바탕으로 하는 건 과학이나 인문학이나 비슷하니까요. 그 타당성의 정도가 다른 거죠. 완전히 비논리적이고 가치만 전달한다면 그게 아이의 칭얼거림과 다른 게 뭐가 있겠습니까.
@HJYoon-kn2vf
@HJYoon-kn2vf Жыл бұрын
@@dicat16 논리학에서 논리란 생각이나 추론이 지녀야 하는 원리나 법칙입니다. ‘논리성’을 평가하는 잣대는 논증 구조를 형식적으로 잘 갖추었는지를 따지는 것이며 이는 수학법칙과 같습니다. 사물을 감각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식별하거나, 기억 또는 상상에 의해서 깨닫는 직관과는 다르죠. 인문학이 비논리적이지 않다고 하셨나요? 그럼 인문학 이론에 논증이란 검증과 증명이 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그런게 있다면 논리적이겠죠. 고고학ㆍ언어학ㆍ분석철학 등 이라면 인정하고요. 실제로 과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상당수(대학교 인문학부 대부분)가 아니라는 건 이런 식의 인문학의 필요성에 대한 영상이 올라오고 인문학의 위기 소리까지 듣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죠. 취업률 안 좋고 기대임금이 적은 건 자연과학도 마찬가지임에도 수학의 필요성, 물리학의 필요성 같은 걸 따지고 설명하지는 않잖아요? 제가 본 대부분의 인문학은 가치중립적이지도 않고 자신들의 이론 대전제가 참인지조차 확인도 안하는 것들이더군요. 이걸 논리적이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논리란 수학공식처럼 검증하고 증명하는 '논증의 구조'를 말하는 것이니까요. 물론 모든 인문학이 다 비논리적이다라고 하면 일반화의 오류겠죠. 정확히는 상당수의 인문학이 비논리적이다가 맡겠죠. 세세하게 구분지어 말한 것이 아니다보니 뭉뚱그려 말하게 되었네요.
@user-xm3bv6pi9n
@user-xm3bv6pi9n Жыл бұрын
살면서 처음 유튜브로 후원을 해봅니다 약 2년전부터 쭈욱 너진똑 채널을 보는 사람입니다 봐왔던 영상들 모두 정말 즐겁게 그리고 많은걸 느끼게해주고 새로운 걸 깨닫게 해주는 고마운 채널입니다 정말 축하스럽게도 구독자수도 많이 느셨고 뭔가 나만 알고있는 소중한 채널이었으면 하는 마음도 생기지만 이렇게 대단한 채널이 그럴수는 없겠죠.. 항상 건강하시고 마지막으로 너진똑님 에세이같은게 책으로 나오면 읽어보고싶네요 혹시 책 집필을 생각하고 계신가요??
@NJT_BOOK
@NJT_BOOK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확인이 늦어 죄송합니다ㅠㅠㅠ 정말 감사드립니다!! 책은 아직 생각 중입니다!!
@smtoonworld
@smtoonworld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은 가장 좋은 직관을 주니까 크으 새해선물 너진똑 아주 조쿠만 ㅋㅋㅋㅋ
@mmjinxx
@mmjinxx Жыл бұрын
내가 군대에서 인문학과 철학에 빠진 근본적인 이유.. 그 전까진 실용적이지도 않고 의미없는, 허상에 빠진 이야기들일 뿐이라고 생각했지만 진짜 내가 힘들 때, 무얼 해야할지 모를 때, 모든 것이 고민될 때 인생의 기준과 틀을 잡아준 길라잡이같은 역할을 해줬다. 가치관에 변화가 온다는 느낌이 이렇게 짜릿한 것인지 몰랐음. 개인적으로 책은 데미안,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추천드립니다. 일단 잡숴봐
@Shin_Jongwoo
@Shin_Jongwoo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확실히 역사는 저와는 거리가 좀 떨어져 있는 분야 같긴 하지만, 다른 분야를 접하면서 싫어하는 분야까지 나아간다면 더 좋을 것 같네요! 확실히 책은 지식을 얻을 때 정말 가성비 좋은(?) 도구 중 하나 이고 인류가 발전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sunghw21
@sunghw21 Жыл бұрын
직관을 위해서라는게 소름돋개 동기부여가 되네요.... 인문학 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 다요.. 아 인문학이 모든 학문이랬지... 암튼요... 취업후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를 못받고 있었는데 단연코 최고입니다..
@user-mw9bl7tj7w
@user-mw9bl7tj7w Жыл бұрын
👆 👆 미친듯이 흔들어대는 빨,,통 대박!! 👆 👆 👆 👆 삭 제 되기전 스 피 드하게 👆 보 .예 .노 .지 👆 검색 ㄱ ㄱ 👆 👆
@user-ki5qm6up5u
@user-ki5qm6up5u Жыл бұрын
👆 👆 수 위,, 지 리 기로 유명!!! 최신근황 ㄹㅇ 👆 👆 삭 제 되기전 스 피 드하게 👆 보 .예 .노 .지 👆 검색 ㄱ ㄱ
@pax8043
@pax8043 Жыл бұрын
올해로 20살이 된 대학생입니다 중학교 도덕시간부터 고등학교 시절 생윤윤사 배우면서 철학이 유난히 집중이 잘되고 관심이 많았는데 그 이유가 뭘까 궁금해했습니다 그 이유를 이제서야 알게되네요 인간이 살아온 수천년의 시간동안 배우고 느낀걸 알려주고 그 것이 경험치가 되어 내가 살아갈 때 도움을 주는 것.. 이렇게 정확하게 알게되니 기분이 되게 좋네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user-hw5fy1dp7z
@user-hw5fy1dp7z Жыл бұрын
울림을 주는 영상 제작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몸이 아파 운동을 못하면서 운동했을 시간에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게 벌써 2년이 흘렀어요. 제 입으로 말하긴 민망하지만, 아내가 말하길, 저가 2년동안 많이 성장한 것 같다고 하네요. 다른 사람들에게 '남편을 존경해요'라고 얘기를 합니다. 책을 몰랐다면 어쨋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고마워요 너진똑님^^
@user-gk3bb9ly8b
@user-gk3bb9ly8b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재미없는 내용을 이렇게 재밌게 설명할 수 있을까.. 대단합니다. RESPECT합니다....
@sydjuly
@sydjuly Жыл бұрын
재미와 의미에 충실한 영상들 늘 감사드려요 ~❤
@cheong-wol
@cheong-wol Жыл бұрын
책을 읽다보면 그 사람의 지혜를 빌리는 느낌이 듭니다. 특히 사람의 생각이 담긴 글은 저에게 새로운 세상을 알려줍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인문학을 읽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시간을 2천년, 20년 등의 단위로 표현한 것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책에는 저자의 인생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인생을 빌려 제 세상을 조금 더 편하게 살아가려고 인문학을 읽는 것 같네요. 물론 재미도 있지만요😆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언어를 통한 지식의 축적이 곧 다른 동물과 인간의 가장 큰 차이점이기 때문에 만약 우리 인류가 지식을 쌓는것을, 지혜를 계승하는것을 포기하는 순간부터 인간은 인간 스스로 생각하는 인간의 지위를 유지할수 없으리라 봅니다. 물론 재미로 보면 더 좋죠 재밌는걸 할수록 더 행복한 법이니까요
@ljhosep9404
@ljhosep9404 Жыл бұрын
지식을 얻는것이.. 뭐 나쁜건 아닌데 책의 장점은 작가의 “사고력”을 따라가며, 특별한 경험이 없어도 “사고력”을 배웁니다 그리고 이런 사고력이 없이 지식만 채운다면 헛소리를 진실이라고 추앙하는 “책한권만 읽은 사람”됩니다
@cheong-wol
@cheong-wol Жыл бұрын
@@ljhosep9404 동의합니다. 저도 지식을 얻을 때 주의하는 것 중 하나가 결론만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을 공부할 때 공식을 외우기 보단 공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선호하는데요, 그래야 하나의 법칙을 온전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이 답글 덕에 최근에 제가 "사고력"을 마음에 새기고 있는지, 결과를 새기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ljhosep9404 중요한건 적당히 믿고 적당히 팩트체크하고 적당히 이해하는거겠죠 결론은 ‘알잘딱 하자’ 입니다
@rargigi7932
@rargigi7932 Жыл бұрын
회사에 취직하기 위해서는 그닥 쓸모없지만 취직하는순간 인문학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낍니다
@user-rn7jz1qi4l
@user-rn7jz1qi4l 8 ай бұрын
적어도 유튜브 보면서 시간 때우는 것보다는 백배 천배 더 가치 있다고 봄. 싸우는 댓글창 봐서 뭐할건데. 이 시간에 철학책이든 뭐든 다른 책 읽으러 가는게 낫지
@makne8427
@makne8427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에 올라오는 영상들의 퀄리티가 좋은 건 늘 있는 일이지만 이 영상은 단순한 웰메이드를 넘어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뭔가 울컥 치밀게 하네요... 그냥 유난인가 싶었는데 댓글창 보니 저와 비슷한 감정의 동요를 겪으신 분이 많은 것 같아서 기분이 묘합니다. 덕분에 앞으로도 인문학을 좋아할 힘을 얻어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yeolnimmm
@byeolnimmm Жыл бұрын
매일 1일 1 너진똑 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애껴보는중… 인문학 왜 필요하지? 라는 물음이 있었는데 명쾌하게 답변 주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항상 행복하시구 더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user-nh6xv9tc1p
@user-nh6xv9tc1p Жыл бұрын
최근 현실적인 부분에 중점을 둔 사람으로써 인문학이라는 직관적인 영역이 왜 중요한지, 싫은 반찬이지만 왜 젓락질을 해야 하는지 설득력있게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쪽으로 치우친 사람이 아닌 균형잡힌 사람으로 세상을 살아가겠습니다. 좋은 통찰 너무나 감사합니다 :)
@user-oo1xh2bt2y
@user-oo1xh2bt2y Жыл бұрын
철학과 진학을 결정하고 잘못된 선택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내가 왜 철학을 좋아하는지 왜 철학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대답을 들은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만든 영상인 것 같아서 좋았음
@namooot
@namooot 10 ай бұрын
'유쾌하고 이해하기 쉽고 기발하게 시야를 넓혀주는 감사한 영상' 너진똑을 항상 챙겨보지는 않지만 어쩌다 끌리는 주제를 볼때마다 느끼는 저의 느낌입니다. 오늘도 정말 감사해요😊
@garden3672
@garden3672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좋아하는 과학도인데 제가 항상 하던 생각을 영상으로 잘 풀어주신것 같아 정말 편--안하게 봤습니다. 내심 저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더있을까 싶었는데 여기있었군요 ㅋㅋㅋ
@robert-shin
@robert-shin Жыл бұрын
저는 다른 사람들에게 인문학을 왜 읽냐고 질문받으면 항상 '너의 삶의 줏대(철학)' 를 만들어 주기때문에 읽는다고 답합니다 (사실 그 자리에서 장황하게 늘어놓는게 귀찮아서기도 하지만요 ㅎㅎ). 여러가지 철학자나, 역사학자들의 책을 읽으면서 그 저자들의 생각을 그대로 복사붙여넣기해서 따르는 것이 아닌, '이렇게 대단한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했었구나~' 생각하게 되면서, 그에따라 나는 어떤 철학을 가지고 살아가야할까?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견지해야할까? 하면서 끊임없이 생각하면서 한 사람만의 철학이 완성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google-noodle-idle
@user-google-noodle-idle Жыл бұрын
한국 사회는 그대로 "복붙"을 해왔기에 이 모양인거라고 생각함. 한국인들은 역사를 공부했어도 진정으로 한것이 아니기에 과거의 잘못을 현대에도 깨우치지 못하고 반복중임.
@user-bz7in4th3i
@user-bz7in4th3i Жыл бұрын
물질적 풍요는 그 사람의 생존을 판단하지만 정신적 풍요는 그 사회의 생존을 판단한다.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i1kg3mx4f
@user-fi1kg3mx4f Жыл бұрын
내가 가지고 싶은 것은 오직 높디높은 문화이다 -김구
@jimin3085
@jimin3085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너진똑님!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user-su2te7lb4f
@user-su2te7lb4f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배워야 할 이유를 잘 알려주셨네요! 중학생 때 그쪽 분야의 책들을 읽을 때는 스스로 생각하는 수준이 나름 괜찮다고 느꼈는데 고등학생이 된 후로 책을 아예 읽지 않고 살아오다보니 점점 미성숙해지고 선택을 해야할 때 제 신념과 주관이 타인에 의해 좌지우지하게 되더라고요. 다시 인문학 책을 읽기 시작해봐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D1079
@J.D1079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을 보지만 항상 생각을 하게되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건 인문학과 과학의 결합은 현재 핫한 ai로 기로가 정해질 것 같기도 하네요. 과학의 기법과 인문학의 빅데이터가 만나서 개개인이 누릴 수 있는 시대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에 많은 기대와 걱정이 오갑니다. 잘 봤습니다!
@dark_go_ggio
@dark_go_ggio Жыл бұрын
감동과 재미와 교훈... 너진똑 폼 미쳤다
@mytoday-ji1rd
@mytoday-ji1rd 7 ай бұрын
진짜 샘이날 정도로 영상전달력이 좋네요. 배우는 마음으로 시청하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roa1231
@roa1231 Жыл бұрын
인문학에 대한 사이다같은 영상이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io1gc4tk2n
@user-io1gc4tk2n Жыл бұрын
"문과가 이긴다" 라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도 필요하다'가 핀트인 것 같습니다.
@user-mr4cv2ce5i
@user-mr4cv2ce5i Жыл бұрын
문과는 패배했다
@sebastian9728
@sebastian9728 Жыл бұрын
문과가 이긴다
@kjmin1004
@kjmin1004 Жыл бұрын
취업을 하고 현실을 사는데는 이과가 유리할진 몰라도 스스로를 세우고 현실 너머를 보는데에는 문과밖에 답이 없죠
@user-qn5dr9bt5r
@user-qn5dr9bt5r Жыл бұрын
팩트)적어도 부자가 아닌 이상 대한민국에서는 취업 못하는게 불효고 패배자다
@user-bo3ff3gj7n
@user-bo3ff3gj7n Жыл бұрын
이기진못한다...
@Minseo3939
@Minseo3939 Жыл бұрын
저는 완전 이과형 인간이였는데 최근들어 철학과로 전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정도로 인문학에 관심이 생기고 중요하다고 되었습니다. 제가 중요하다는 추상적인 이유를 체계적으로 설명해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항상 좋은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n2kh2ql1d
@user-wn2kh2ql1d Жыл бұрын
저도 군대에서 자아성찰 하면서 똑같은 증상이 있었지만 복학하고 철학교양 하나 들었더니 싹 치료됐습니다
@adhana5679
@adhana5679 8 ай бұрын
이과하고 철학은 멀리 떨어져있지 않습니다. 이과와 문과가 본격적으로 분화되기 전까지 철학자들은 대부분 수학에도 몰두했고, 논리학과 언어학은 여전히 수리와 통계를 중요한 분석 대상이자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jax2332
@jax2332 3 ай бұрын
문과는 취미로
@user-mc8ds6sy7i
@user-mc8ds6sy7i Жыл бұрын
너진똑님 고마워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늘 도움받고 있어요^^
@user-pg3em6cu9l
@user-pg3em6cu9l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너무너무 잘봤습니다 저도 인간에 대한 이해를 늘리고 인생을 잘 살아가기 위해 인문학을 열심히 읽어봐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chabori3540
@chabori3540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에요. 사람은 돈과 지위 뿐만이 아니라, 교양과 덕성으로도 평가받으니. 인문학을 통해 이를 단련하자는 말씀 잘 들었습니다.
@christmassongs9457
@christmassongs9457 Жыл бұрын
지위도 필요없다 ㅋㅋ 사람은 돈이 전부다 ㄴㅋㅋㅋ
@mingoopark1396
@mingoopark1396 Жыл бұрын
@@christmassongs9457 정답입니다.결국은 돈으로 마물ㅠ
@Nightynight43
@Nightynight43 8 ай бұрын
돈도 지위도 없는 놈들이 꼭 그걸 무시하지. 애초에 인문학이 교양과 덕성을 논할 순 있고?
@user-ur2gy2zk5q
@user-ur2gy2zk5q 2 ай бұрын
​@@Nightynight43 '뿐 만 아니라'
@volume_d
@volume_d Жыл бұрын
11:20 교양 채널까지 개입을 조이는 나
@user-kw4zb1bw3j
@user-kw4zb1bw3j 4 ай бұрын
나는! ㅅㅅㄱㅇ
@user-pk6hx4kp5h
@user-pk6hx4kp5h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시원한 영상이다. 답답했던 곳이 속이 뻥.
@qghdqja4472
@qghdqja4472 Жыл бұрын
매번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짜 좋은 인싸이트 얻고가요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인문학 진짜 좋아하는데 ㅜㅜㅜ 문과의 끝이 아사 아니면 치킨집 사장님이라는 걸 보고 나서는.... 이공계열도 좋아하는 입장에서는 머리 터졌죠.... 진짜 고대 그리스처럼 문사철과수까지 다 할 수 있었으면 ㅎㅎ
@user-wd6di6hn4j
@user-wd6di6hn4j Жыл бұрын
이과의 끝은 과로사 아니면 치킨집 사장님인데... 사실 치킨집 사장님들은 문이과 융합형 인재가 아닐까?
@NoijongyangDao
@NoijongyangDao Жыл бұрын
미대생은요?
@lexibelle7545
@lexibelle7545 Жыл бұрын
ゲームがクラッシュ 🥺🤭🤣 youtubeei.com/watch?v=SIjJvH6LWna 彩愛🌸𝕊𝚊𝚁𝕒( ॢᴗ͈ˬᴗ͈)♬*゚・*
@Warboy-mk1
@Warboy-mk1 Жыл бұрын
@@NoijongyangDao 자살(고흐) 아니면 총통이노 ㅋㅋㅋㅋ
@user_skxk93jfnd7e
@user_skxk93jfnd7e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하면서 아사를 면하고 싶으면 가톨릭 성직자의 길도 있습니다...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에 철학까지 배우는 인문학의 끝판왕! 본사(교황청)에서 꼬박꼬박 월급까지 나오는데 고용보장성도 높다?? 야 미쳤다 이건 무조건 해야함
@jinogura4026
@jinogura4026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이 모든 사람에게 필수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인문학을 좋아하고 많이 읽은 사람에서 풍기는 분위기는 매력적이죠. 짧은 단편적인 시선을 가진 사람들로만 가득한 세상보다는 인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인 그룹 혹은 나라가 더 성숙할 거라고 생각하고요. 결국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것을 추구하는지 어떤 사람과 어울리고 싶은지에 달려있지 않나 싶습니다.
@kim_beer
@kim_beer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해도 되는데 본인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시간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자신이 인간으로써 부족한 부분은 다른 인간이 쓴 책, 다른 인간이 만든 기술과 영상, 다른 인간과의 관계 등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는게 없네요.ㅎ 오늘도 모르는 분야에 호기심을 가지고 독서를 해봐야겠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Flying_bobs
@Flying_bobs Жыл бұрын
너진똑님 이번 편 영상미 최고네요! 잘보고 갑니다.
@lminsu0405
@lminsu0405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은 인간을 편견없이 바라보게 해주는 통찰력이자 패시브이다."라는 부분이 정말 인상깊네요. 분명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 있나하면 대화를 나누거나 들으면 1차원적인 만족이나 물질적인 아름다움에 대해서만 말하는 피곤함과 허무함이 남는 적이 있었는데 오늘 동영상에서 그 이유를 알아가네요. 물론 객관적으로 뭐가 더 좋다고 판단할 수 만은 없겠지만, 저는 대화에서 배울 점이 있는 그런 사람들이 더 멋져보였고, 인문학이나 시사 등 여러면에 있어서 많이 알려고 노력하더군요.
@user-mg8uw2ks6k
@user-mg8uw2ks6k Жыл бұрын
최근 인공 지능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는데, 인문학적 지식이 풍부하다면 보다 이상적인 인간에 가까운 인공 지능을 만들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로도 두 분야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있더라구요. 모든 학문은 결국에는 인간으로부터 탄생했고, 서로가 서로에게 영감을 주기도 하는 등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기에 인문학은 인문학, 과학은 과학이라고 딱 잘라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enpinsgame
@jenpinsgame Жыл бұрын
너진똑님은 항상 좋은 내용을 유튜브에 올려주셔서 많이 감사하면서 보고있습니다!! 항상 응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시면 고마울 것같아요
@user-hr2cc4dt7u
@user-hr2cc4dt7u Жыл бұрын
철학 책을 재미로 읽었었는데 그 사람의 생각을 더 잘 이해해 보려고 역사적 배경 그 사람의 생계까지 찾아보며 읽다보면 시간 순삭😅 이제는 생계 위주 공부를 하는데 옛날 그 철학을 이해하려고 했던 경험들이 모든 것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네요. 사회적 속도는 남들보다 많이 뒤처진 게 사실이지만요.
@mje3169
@mje3169 Жыл бұрын
이런 엄청난 동영상을 만드신 것만 봐도 왜 인문학을 배워야하는지 나오네요ㅎㅎ 많이 고민하시고 생각하신 게 느껴져요. 잘은 모르지만 내 꿈, 인간으로서의 가치, 존재 이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목표등에 대해 고민 할 제 나이에 인문학이 특히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책 한 권 읽었을 뿐인데도 지식이 늘어나고 시야가 넓어지는 듯한 그 느낌을 정말 좋아했었는데(아 물론 한권으론 부족하단거 알지만) 참 요즘은 그것도 귀찮아서 거의 안읽고 있단걸 깨달으며.. 반성하고 지나갑니다,,
@user-nr1vm7er4t
@user-nr1vm7er4t Жыл бұрын
진짜 책읽을 시간 없는 현대인을 위한 내인생 최고의 유익한 유투버.. 앞으로 시간날때마다 정주행 할게요 ㅇㅅㅇ
@smtoonturkce
@smtoonturkce Жыл бұрын
재미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인문학을 왜 해야 되는 지에 대해 정말 알차게 챙겨주셨네요
@dreamligion
@dreamligion Жыл бұрын
진짜 잘 설명해주셨네요ㅎㅎ 과학은 가설 검증, 통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통한 사실증명만 해줄 뿐 과학에서 사람의 가치를 넣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과학은 가치중립성을 띄게 되어 사람들이 믿음이 아닌 신뢰하는 학문이죠. 가치를 넣게 되면 인문학으로 빠지게 됩니다. 내가 가진 가치와 신념이 무엇이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 기준을 세우고 싶으면 인문학을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catharu0501
@catharu0501 Жыл бұрын
저에게 있어서 과학은 철저한 증명, 확실한 자료, 정확한 답을 얻을수 있는 지식이라면, 인문학은 인간으로써의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식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둘 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중요 요소라고 생각하구요. 결국 인문학이있어야 과학이 발달하고, 과학이 있어야 인문학이 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는 상호보완적 관계 같은거죠. 어렵게 생각할필요 없이 둘 다 재미있게 읽는다면 그것만큼 좋은건 없는것같아요.
@user-cu6zx3kt2h
@user-cu6zx3kt2h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넘 좋아서 감명 깊게 듣고 있다가 ㅅㅅㄱㅇ 음악 나올때 빵터졌네욬ㅋㅋㅋㅋㅋㅋ세상은 ㅁㅌㅇ로 이루어져있다..
@Q_20
@Q_20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으시네요. 포근하고 안정적이고 편안해서 잠이 아주 잘 와요.
@nonnome677
@nonnome677 Жыл бұрын
여러모로 생각이 많아져요 문학을 공부한 제게 늘 후회밖에 안남아서 과학계에서 일을 하는데 문학을 공부하지 말고 일찍히 과학을 수학할걸..하고 후회에 사로잡혔거든요 이 영상을 보니 그간 했던 선택들이 후회가 좀 덜 되네요!
@psi4923
@psi4923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인문학은 삶의 문제해결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기때문에 충분히 공부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user-ex9vn5tn5t
@user-ex9vn5tn5t Жыл бұрын
아 역시 너진똑 너무 좋다..♥
@kgzo8681
@kgzo8681 Жыл бұрын
오옹! 나이스~
@nikoplina5542
@nikoplina5542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은 사람을 보는 "시야"를 넓혀주어서 재미있는거 같아요 시야를 한두번 본다고 전부 볼 수 없듯 넓히면 넓힐수록 얻는것도 커지기 때문이죠
@user-kt8pm8ln2o
@user-kt8pm8ln2o 7 ай бұрын
애초에 인문학은 인간을 다뤄야하는 소수의 지배자가 해야하는 학문인데 노예 위치에 살 수밖에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 배우면 당장 돈이 안되니까 소외 당하는 듯
@cosmoshu5499
@cosmoshu5499 Жыл бұрын
진짜 명쾌한 진술과 설득력 최고...
@Mk_.2
@Mk_.2 Жыл бұрын
얘! 너진똑똑이야 항상 좋은 영상 고맙단다!
@user-gb8gw8cm4g
@user-gb8gw8cm4g Жыл бұрын
너진똑님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자연계나 이공계는 물론 모든 분야의 학생들에게 큰 영감을 줄 수 있을만한 책입니다!! 물론 한계점도 명확하지만 다뤄주시면 재밌는 영상이 될거 같아요!!
@smokemirror1583
@smokemirror1583 Жыл бұрын
여기가 철학 전문 채널까지는 아닌 것 같아서 방법서설을 다루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NJT_BOOK
@NJT_BOOK Жыл бұрын
님들 일부러 저 자극해서 데카르트 하게 만드는 거죠..?
@timefree788
@timefree788 Жыл бұрын
@@NJT_BOOK ㄹㅇㅋㅋ
@user-ur2gy2zk5q
@user-ur2gy2zk5q 2 ай бұрын
​@@NJT_BOOK 암암 데카르트는 너무 어렵긴하죠
@user-pg6zs3ji2s
@user-pg6zs3ji2s Жыл бұрын
코난 오브라이언이 하버드에서 문학을 전공했잖아요 근데 오브라이언 쇼 영상 오브라이언 연설 영상을 찾아보면서 느낀건데 진짜 사람이 폭넓게 생각하고 많이 알고 그 지식을 사람을 웃기는데 사용하니까 진짜 상상도 못한 개드립 부터 언변 그리고 사람에 따라 다르게 처세하는 것 이런게 눈에 들어오는데 진짜 대단한 사람이라는 걸 느꼈어용
@wonnugget
@wonnugget Жыл бұрын
저도 인문학을 참 좋아하는데 많이 배워갑니다
@user-dv8gg9np4m
@user-dv8gg9np4m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gramen37
@gramen37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때부터 타인과 괴리감이 있어서 타인이 어떤생각을 하는지 보다 어떻게 사고하는지 궁금해했는데 호기심을 해결해주는데 도움이 되던게 의외로 과학보단 인문학이었습니다. 의외로 쌓아놓았을 때 직접적이고 응용가능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한권만 읽으면 성급한 일반화의 제물이 되겠지만 읽다보면 세상보는 눈이 바뀜을 느껴주게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최소 일년에 한번쯤이라도 인문학 찍먹 추천드립니다.
@KIMSEUNGWOO_08
@KIMSEUNGWOO_08 6 ай бұрын
인간 실격
@Noname-uo3lx
@Noname-uo3lx Жыл бұрын
책 읽는 취미가 최근에 생겼는데, 비문학만 읽다가 문학을 읽어야 할 이유의 참고가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frostmoon4398
@frostmoon4398 Жыл бұрын
수준 높은 영상 감사합니다.
@ino647
@ino647 Жыл бұрын
언젠가 책을 내신다면 꼭 보고싶어요! 채널명 그대로 똑똑하시네요 지혜로워요
@K_ASMR106
@K_ASMR106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배우려면 다른 것보다 난 세계고전 읽은 것을 추천함. 시대가 달라도 지금도 소설 속 인물들과 똑같이 느끼는 부분이 수도 없이 많이 나옴. '테스' 이거는 세계고전 치고 결말도 좀 충격적이라 강추!
@user-ls8mr7bw9t
@user-ls8mr7bw9t Жыл бұрын
댓글 안단지 1,2년은 넘은것같은데.. 막 수능도 끝났고 시간도 널널한 때인데 영상보고 많이 든든했습니다 비록 이과를 선택했고 진학도 이과 관련이지만 수험생활 동안 다닌 영어학원의 선생님께서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계속해서 강조하셔서 감화되었었는데 이후로 빈말이든 아니든 문과쪽을 멸시하는 여러 주장들에 마음속으론 불편했지만 텍스트만 봤을 때는 틀린말이 없어 보여서(취업이 안된다. 기술적 생산적인 능력이 결여되어있다 등) 그런 말들에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길을 찾지 못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여러모로 느낀 바가 큽니다. 이과 중에서 자연과학의 경우 수많은 자연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고 지금은 IT, 건축 등등 실용적인 학문과 기술들도 모두 이과의 범주 안에 들어가는 반면 문과는 '실용적이지 않은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으니까요. 영상에서 그랬듯 실제로도 생산적인 무언가를 준다는 느낌보다는 인문학에서 제공하는, 인간의 행동과 생각이 어땠고 그것들의 주위 맥락들이 어떻게 작용했는지에 대한 빅데이터를 천천히 쌓아가다 보면 사람과 상황을 보는 눈이 생기고, 표현하신 것처럼 그런 눈이 '패시브' 로 작용하는 것이라고요 또한 패시브처럼 '내가 인문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책을 읽었기 때문에 얻을 수 있었던 이익이야!' 라고 정확하게 느끼기는 힘들어도 분명 짧지 않은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할, 그리고 필요했을 순간들이 분명 많을 것이고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엔 마음속 깊이 있던 지적인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욕망까지..ㅋㅋ 아무튼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하는 영상입니다.
@artcaster로렌리
@artcaster로렌리 Жыл бұрын
헉 이 유튜버의 융복합적 사고!!! 최고다👍 내 직관적 인문학적 지식이 이렇게 말해주고 있네요
@DBHer-uz2we
@DBHer-uz2we Жыл бұрын
단편적인 시선이라는 말이 참 와닿는다, 더 많고 깊은 시선이 있을거라는 가능성을 내포한 말로 들리기에. 이 영상을 보고 너진똑채널은 예나지금이나 한결같다고 느꼈습니다. 언제나 초심잃지않고 좋은 영상 볼수 있게해줘서 정말 감사합니다. 좀더 적극적으로 '독서'해보겠습니다.
@suquemi
@suquemi Жыл бұрын
구직 때는 쓸모 없는게 맞는데 구직 후 직장, 사회생활에서 문사철은 걍 바이블임 ㅋㅋ 역설적으로 커리어의 지속성과 인생 밸런스를 도와주는 패시브 스킬 같은 느낌이랄까
@user-mi6ib4ip4s
@user-mi6ib4ip4s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 이런채널이 있다는거에 눈물난다 진짜 행복함
@user-ce6ns6ld3y
@user-ce6ns6ld3y Жыл бұрын
스토리텔링보소 쩌네요 감사합니다
@Sevendays_mm
@Sevendays_mm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우리가 ‘사는 것’, ‘생존’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어떻게‘ 사는지, ’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하고 도움을 주는 것은 인문학이네요. 두 분야 모두 중요하다는것에는 이견이 없겠지만 유난히 인문학을 경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말그대로 답없는 사회로 가게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
@user-mm6jb6dp5n
@user-mm6jb6dp5n Жыл бұрын
철학 전공생입니다, 댓글에 전공으로 오지 말라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물론 공감합니다만,,, 오고싶으면 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살아갈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고
@user-hf2xz6fw4w
@user-hf2xz6fw4w Жыл бұрын
내 옆에는 수천년을 살아온 현자들이 있다... 이 말 진짜 가슴을 뜨겁게 만들어주는 문장이네요. 더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ㅎㅎ
@user-fz6fu5oz6y
@user-fz6fu5oz6y Жыл бұрын
멋진 답변입니다
@story-story55
@story-story55 Жыл бұрын
저는 인문학은 마치 집에서 나와 놀아주는 고양이 같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은 나와 나가서 같이 산책을 하는 강아지 같고요. 인문학을 열심히 배우는 것을 굳이 남에게 설명하려고 하지마세요. 그냥 조용히 인문학과 재밌게 놀면 됩니다. 인문학의 가치를 낮게 판단하는 사람만큼 설득하기 어려운 사람도 없습니다. 세상이 인문학과 과학중에 하나만 선택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면 더더욱 설득하지마세요. 만약 인문학이 설득이 되는거였으면 애초에 공자는 그렇게 거절만 당하고 살지 않았을겁니다. 논쟁할 시간에 그냥 우리 모두 오늘도 너진똑님과 함께 풍요로운 하루를 보내는게 어떨까요~
[Sapiens] Masterpieces that everyone agrees on
15:26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948 М.
People who work hard but fall behind (feat. Confucius)
8:37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898 М.
БАБУШКИН КОМПОТ В СОЛО
00:23
⚡️КАН АНДРЕЙ⚡️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Best Toilet Gadgets and #Hacks you must try!!💩💩
00:49
Poly Holy Yow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How to Toughen Up While Criticizing Others
30:49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566 М.
대한민국이 망한 이유 (뻔한 얘기 아님)
24:15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97% of people are using their smartphones incorrectly.
17:17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hat Happened To Google Search?
14:05
Enrico Tartarotti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How to Work More Efficiently than Others (5-volume key points summary)
11:41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822 М.
Don't Be Deceived Anymore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17:16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931 М.
[My Struggle] Tried Making It into an Anime.
16:51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When life feels empty because you're too smart
23:24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82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