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146,190
아파트 매매가격의 바로미터는 전세가격이죠. 그런데 이 전세가격의 하락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이미 침체가 시작된 지방을 필두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고, 연말까지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연간 평균으로는 13년 만에 처음으로 아파트 전세값이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이 상황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를 어렵게 하고, 또 이미 '갭투자'로 집을 산 사람들은 집을 팔아도 전세값을 돌려줄 수 없는 이른바 '깡통 주택' 사태를 맞게 했다는 건데요. 자세한 전세값과 현황과 부동산 시장 전망까지 짚어보겠습니다.
Q. 최근 매번 물가든 뭐든 오른다는 소식만 전해드렸던 것 같은데, 정말 오랜만에 내리는 이슈로 모셨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떨어졌다고요. 추이부터 좀 짚어주시죠.
Q. 사실 부동산 침체기에는 오히려 전세값이 오르는 것이 정설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최근 상황은 좀 기현상으로 보이기도 하고요. 아파트 전세값 하락의 배경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Q. 서두에도 말씀드렸지만, 이렇게 아파트 가격은 떨어지고, 갭투자로 대출 끼고 집을 산 분들이 전세값을 돌려줄 수 없어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진다는 건데 특히 심각한 지역이라면 어디를 꼽을 수 있을까요?
Q. 창원, 거제 이런 지역들이 유독 이런 깡통 아파트 사태가 심각한 배경, 역시 경제 상황, 때문일까요?
Q. 저희도 이 시간을 통해서 깡통 전세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해야 한다, 이렇게 설명도 여러번 드렸는데 보증 가입이 좀 늘어났나요?
Q. 결과적으로 깡통 전세 문제가 좀 사그라들려면 집값이 원래 샀던 금액만큼이라도 보전이 되야 하는 건데, 이 부분은 또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이 워낙 강하다보니, 쉽게 가격이 돌아올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어떻게 보세요?
Q. 최근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를 좀 보면서 설명해주실까요?
Q. 이런 가운데 경기도 내 아파트를 외지인들이 매입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고 하더라고요. 얼마나 늘었나요?
Q. 아무래도 그동안 서울 아파트는 오를 대로 올랐고,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의 초점이 서울에 모여있다보니 경기도로 자연스럽게 수요가 몰렸다, 이렇게 봐야 할까요?
Q. 정부가 강력한 부동산 규제를 적용하면서 투자가 경기도로 몰리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진행되고 있는 건데 생각해보면 수도권 중에서도 이미 규제로 묶인 지역이 많지 않습니까?
Q. 많은 분들이 지금 궁금해하시는 건 지금 아파트 가격 하락, 그로 인한 전세가격 하락, 이런 것들이 과연 정부의 규제가 먹혀드는 이른바 가격 하락의 고착화인가 일시적인 조정인가 이 부분, 아니겠습니까? 위원님 어떻게 보시는지요.
◇이슈앤 (월~금 오전 8시~10시,앵커: 손석우, 이정민)
◇출연: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슈앤 페이지 바로가기 : goo.gl/TidRd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