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들기 전에 들으면 저절로 쌓이는 과학 상식들 (과학ASMR 몰아보기)

  Рет қаралды 781,805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과학을 보다 몰아보기를 준비해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18 고고학도 과학이다
04:25 언제부터 언제까지가 고고학일까?
06:56 고인돌 아래에는 정말 유골이 있을까?
07:27 고인돌과 피라미드는 어떻게 쌓은 걸까?
09:58 고대 벽화에 새겨진 우주선과 헬리콥터
13:07 외계인이 만든 것 같은 놀라운 고대 유적
20:36 죽기 전에 반드시 읽어야 할 책
22:30 고대 시대에 존재했던 놀라운 과학 기술
27:37 전 세계가 놀란 K-미라
32:00 이집트 피라미드의 비밀
42:17 고대 시대 별을 연구하는 방법
48:19 무중력에서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
48:34 세상에서 가장 신기한 물질
54:05 50년 만에 본격적으로 달에 가는 인류
56:44 전 세계 과학자들이 찾고 있는 우주의 수수께끼
59:54 용은 어쩌다가 만들어진 걸까?
01:00:49 만약 외계에 문명이 존재한다면?
01:03:44 태양계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골디락스 존
01:08:05 만약 30만km 막대기가 회전한다면 빛보다 빠를까?
01:10:25 문명의 발전에 성간 이동은 필연적일까?
01:12:35 외계에서 날아온 수상한 천체
01:16:55 우주의 문명에서 1단계조차 도달하지 못한 인류
01:20:55 천문학자가 낭만 그 자체인 이유
01:23:25 기준에 따라 움직임이 달라지는 이유
01:28:30 자라면서 좌뇌와 우뇌가 바뀌는 개구리
01:30:20 땅과 돌을 줄로 연결시키고 우주로 날리면 어떻게 될까?
01:33:05 부모의 경험이 자식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01:40:31 기후변화로 가속화되고 있는 새로운 종의 탄생
01:51:08 광속의 10% 속도로 움직이는 초고속 별
01:53:28 자연에서 탄생한 잡종이 신종이 되는 과정
01:55:28 잡종은 안 좋은 걸까?
01:56:43 20년 뒤 사라지는 바다 생물들
02:02:55 과학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영화들
02:12:09 생각해보니 간단했던 유명한 이론들
02:18:43 잘 알려지지 않은 동물들의 진짜 모습
02:31:32 강아지는 어쩌다 인간과 함께하게 됐을까?
02:41:41 질량과 부피가 없는 빛은 왜 블랙홀에 빨려 들어갈까?
02:43:41 질량이 없는 빛이 물체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을까?
02:44:31 시간이 멈추는 블랙홀의 충돌은 어떻게 관측이 가능할까?
02:45:21 지구로 날아온 초고에너지 아마테라스 우주 입자
02:50:32 뇌가 없어도 기억하는 식물과 세균들
02:54:47 지능이 고도로 발달된 소름 돋는 동물들
03:08:25 우주의 비밀을 풀어버릴 작은 생명체
03:11:05 인류가 단세포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
03:12:25 딱딱한 물체도 중력으로 휠까?
03:13:35 음속을 통과하면 뒤에서 나는 소리가 안 들릴까?
03:17:25 우주에서 인간은 얼마나 작은 존재일까?
03:20:36 식물 DNA를 동물에게 넣으면 광합성이 가능할까?
03:22:46 불과 몇 백 년 전에 존재했던 3m 거대 코끼리새
03:29:11 진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일까?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BODA #보다 #과학 #빅뱅이론

Пікірлер: 177
@chanwoohwang4944
@chanwoohwang4944 24 күн бұрын
정말 재밌게 보다가 잠이 드는 미스테리한 채널입니다..
@user-df7on5tt9c
@user-df7on5tt9c 25 күн бұрын
자다가 깨면 너무 중요한 질문, 자다가 깨면 너무 재미있는 질문, 자다가 깨면 너무 좋은 질문…
@tmk7959
@tmk7959 2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ㅌㅋㅋㅋㅋㅋㅋ아. 뭔지알아서 너무웃긴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ㅌㅋㅋㅋㅋㅋㅋㅋ
@user-cx4eu3wx2r
@user-cx4eu3wx2r 24 күн бұрын
아 너무 재밌어 연휴에는 몰아봐야지
@MrShhyun
@MrShhyun 24 күн бұрын
오늘 같은날 소비하기 좋은 컨텐츠 길이와 내용! 잘`봤습니다
@sshhjjj1599
@sshhjjj1599 2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배달할때 새로운 몰아보기를 들을수 있겠네요
@user-mg1iw8ro9t
@user-mg1iw8ro9t 24 күн бұрын
◁😏
@davidhbo4888
@davidhbo4888 18 күн бұрын
기초 과학부터 응용 쪽까지 궁금증도 풀어주고 또 신선한 질문으로 다각도로 생각해보게 하는 콘텐츠라 베리굿굿
@skk0613
@skk0613 25 күн бұрын
오늘밤 이거다!
@user-of9pi3le2k
@user-of9pi3le2k 3 күн бұрын
고고학과 컨튜가 되서 말씀들 하시는게 너무 신선하면서도 제 뒤통수를 자꾸 치게 합니다 다시한번 케미 해주셨으면 합니다 지금 까지본 과보 베스트 베스트입니다
@tmk7959
@tmk7959 23 күн бұрын
잘준비하고 정주행시작.
@user-fj4fy4pn8o
@user-fj4fy4pn8o 8 күн бұрын
정말 재미지고 유익해요.
@user-br5dr2kt6v
@user-br5dr2kt6v 24 күн бұрын
이대한교수님도 여기서 뵈니 반가워요!!!!
@user-hv6iq3mr3x
@user-hv6iq3mr3x 1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좋다고..
@squash6168
@squash6168 20 күн бұрын
수준있는 대화가 이렇게 풍부하며 잼있다. 요즘 좋은 유투브중 일티어임. 너무 즐거워요 무엇을 안다는게
@user-cc7ot9jq2f
@user-cc7ot9jq2f 25 күн бұрын
어른이날 어린이날 어버이날을 위한 완벽한 채널!,, ㅜㅜ 맴버쉽 끝났는데 다시 가입각......
@Linko0610
@Linko0610 22 күн бұрын
이게 어떻게 asmr입니까.. 잠이 오기는커녕 재밌어서 쭉 보다보니 새벽 4시인데;;
@mazingga21
@mazingga21 24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보고 싶습니다. 😅 과학을 보다에 자주 나와 주세요^^
@junerahm6128
@junerahm6128 25 күн бұрын
어거 양쪽에서 보다가 항상 합쳐서 하는거 생각해봤는데 정말 시도 되었네 잘 봤습니다
@user-sb5wj7qc9f
@user-sb5wj7qc9f 18 күн бұрын
Mc분 역할이 정말 없어선 안될 존재시네요 ^^ 똑똑함에 재치 + 위트까지
@sen_in_dawn
@sen_in_dawn 19 күн бұрын
하나하나 타임라인 다 달아준거 진짜 감동이다🥹
@user-oe2wh9sv7w
@user-oe2wh9sv7w 24 күн бұрын
이야 오프닝만봤는데도 흥미진진하네요 ㅎㅎ
@BODAPAN
@BODAPAN 25 күн бұрын
휴일에 낮 잠 자라고 아침에 올려주신 거죠? 근데 재밌어서 못 자
@benjaminlee5976
@benjaminlee5976 24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다
@sinamie
@sinamie 25 күн бұрын
55:31 다같이 한마음으로 지웅배 놀리기 귀여웡 ㅋㅋㅋㅋ 😂
@royun1962
@royun1962 21 күн бұрын
man from earth ... 최고죠
@user-nr1tx3if4m
@user-nr1tx3if4m 24 күн бұрын
켜두고 자러갑니다
@user-ye3mg1ni8u
@user-ye3mg1ni8u 23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만 봤었는데 역사를 보다도 정주행 해야겠네요 ㅋㅋ
@damdarang
@damdarang 25 күн бұрын
와 3시간 ㄷㄷㄷ
@yellow0707
@yellow0707 24 күн бұрын
보고또보고 듣고 또들어도 너무 재미져요 ~~~~
@user-lp1ps5qe7d
@user-lp1ps5qe7d 24 күн бұрын
와~ 드뎌 나왓네~
@user-ez9mw9ki1f
@user-ez9mw9ki1f 25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이거다!!!😊
@user-ff1kg7zi7u
@user-ff1kg7zi7u 15 күн бұрын
너무좋다………
@emil-mil
@emil-mil 24 күн бұрын
1:42:45 이렇게 김범준 교수님이 계산봇처럼 해주시는 게 넘 좋아요 ㅋㅋ
@ghemsk
@ghemsk 24 күн бұрын
아진짜 멤버들 너무좋다
@sammylee7877
@sammylee7877 24 күн бұрын
연기 최고요.❤
@Smeejang
@Smeejang 24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를 보면서 늘 느끼는건데 우리 과학자님들은 자신의 전공분야만을 좁고 깊게 공부하시는게 아니라 다른 과학분야뿐아니라 인문 철학적인 영역까지도 상당히 깊은 지식을 갖고 계시는데 놀랍습니다. 너무 멋져요 ❤
@TVHome-lv5ob
@TVHome-lv5ob 24 күн бұрын
내셔널은 보다가 잠들었는데 이거는 흥미진진해서 보다가 잠이 들ㄹㅣ....
@constantlywoody2238
@constantlywoody2238 20 күн бұрын
세시간 넘는 영상이라니 보물이다
@user-xe7rw1qd2q
@user-xe7rw1qd2q 25 күн бұрын
20:14 진짜 놀라운이야기 😂
@user-uz5nt8il2w
@user-uz5nt8il2w 24 күн бұрын
처음엔 역사를 보다를 더 기대했는데.. 지금은 과학을 보다가 압도적. 역사를 보다는 개편이 필요할 것 같기도 하고..(개취입니다..)
@Jumo888
@Jumo888 23 күн бұрын
1%도 안되는 극극소수 무슬림의 긍정적인 모습을 마치 모든 무슬림이 그런거 마냥 찬양하는 분 말고 근현대 셰계사 전문가를 모셔오는게 나을듯. 무슬림 교수분은 너무 맹목적이고 노골적임.
@user-ei7kz2cp7g
@user-ei7kz2cp7g 24 күн бұрын
ㅎㅎ 좋다좋다 이런 협업 너무좋아여
@nim9632
@nim9632 24 күн бұрын
진짜 죄송한데 이 시리즈 자기전에 틀었다가 잠 못자고 밤 샜어요..... 왜이리 재밌음.... 따이
@DKBS_TV
@DKBS_TV 24 күн бұрын
잠들기전인데 왠 아침에 업로드인가여?
@user-wu1dp2zz2j
@user-wu1dp2zz2j 24 күн бұрын
이런 거 너무 좋습니다!!
@LimGoon
@LimGoon 24 күн бұрын
6분 넘어가니 정신이 헤롱헤롱해지고 기분 좋게 꿀잠자버리기~
@user-sn4wy3jc9m
@user-sn4wy3jc9m 24 күн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질량은 무엇일까? 라고 고민하고 있는데요. 힉스 매커니즘에 따르면, 힉스장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질량이라고 들은 적이 있는데 맞나요? 맞다면, 힉스 매커니즘을 인간이 제어할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질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질량 보존의 법칙이 깨지게 되나요? 아니면, 원칙적으로 힉스 매커니즘이나 질량은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깨질 염려가 없는 것일까요? 아니면, 질량을 제어한다고 해도 다른 것이 동시에 바뀌기 때문에 질량 보존의 법칙은 유지되는 것인가요?
@user-pj7dg5fj2o
@user-pj7dg5fj2o 24 күн бұрын
와 롱타ㅡㅡㅡㅡ임 이주 죠쿠요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2 күн бұрын
진심 너무 소중한 영상입니다.
@WW_0827
@WW_0827 22 күн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우주에는 지구에 동서남북이 있듯이 방향이 존재하나요? 만약 존재한다면 그것을 어떻게 우리가 알았는지, 또 우주로 나갔을 때 방향을 찾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vp7600
@pvp7600 25 күн бұрын
새로운 모아분이네
@anytv78
@anytv78 25 күн бұрын
궁금한거 질문좀 할게요. 첫째 우주에서 존재하는 물질중 질량이 없는물질이 있나? 와 우주에서 움직이지 않는 물질이 있나? 우주가 확장되면 모든물질이 움직이는것아닌가요? 또 원자핵을 전자가 돌고 있다면 모든것은 움직인다고 봐야 하나요?
@user-tk3rw1mu2p
@user-tk3rw1mu2p 25 күн бұрын
낮잠잘때 잘쓰겠습니다
@user-le5fw1ws1x
@user-le5fw1ws1x 23 күн бұрын
액체나 기체도 병목현상이 생길 수 있나요? 아주 작은 구멍을 통과 할 때, 갑자기 많은 양의 액체나 기체가 통과 하면 순간적으로 막히거나 그 양이 줄어들 수도 있을까요?
@taiji_boy
@taiji_boy 17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밋당~~~
@antares4374
@antares4374 25 күн бұрын
여윽시 반찬은 과학을 보다 여윽시 수면제는 과학을 보다
@user-vn7qn2sx5p
@user-vn7qn2sx5p 24 күн бұрын
3시간 40분? 맛있다!
@Polaris_Rhapsody
@Polaris_Rhapsody 20 күн бұрын
이분들 떠드는게 너무 재밌음
@user-pk8ir1ge6n
@user-pk8ir1ge6n 25 күн бұрын
잘자여
@user-xs9lz1tg6f
@user-xs9lz1tg6f 21 күн бұрын
씻는거에 대해궁금한게있어요 예전에는 비누가 세균을 녹여서 위생을 지킨다하여 주류가되어 손몸발을 씻었는데 요즘은 바디워시 제품들이 주류가되어 사용하고있습니다 비누와 바디워시의 차이가있을까요? 아님 신체부위나 오염도에 따른 제품을 써야할까요
@woxor90
@woxor90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우리 과학교수님들 너무귀여우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andurii
@Tandurii 23 күн бұрын
여기 썸네일에 나온 5분들이 같이해도 재밌을거같아요 ㅋㅋㅋ 미생물, 진화생물, 물리, 천문 + 용진님
@parksungjoo2648
@parksungjoo2648 24 күн бұрын
(1)영상의 1:14:12에서 오우무아무아가 태양계 공전축의 원심력을 받아 궤도가 비틀어지고 가속을 받았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그렇게 보기는 힘들까요?, 공전의 회전방향이 해당 이미지의 진입궤도와 반대방향이었으면 해당 궤도보다는 더 큰 역회전 저항으로 인해 더 큰 궤도변경이나 감속이 발생했을 수도 있을 것 같구요. (2)회전축을 관통하는 궤도가 아닌, 공전회전축 하단(?)에서 바닥이나 원심력이나 자력 등에 반사된 것처럼 튕겨져 나간듯한 궤도로 가속한 것으로 관측(?궤도추정?)되었다는 점이랑, 그러나 태양의 자력에 끌려충돌하지 않았고(태양을 지나칠 때 관측된 것이 아닌 벗어날 때만의 추정궤도라면 윗극에 밀리고 하단극에 끌린 자력에 의한 궤도 변경이 일어난 것일 수도 있고 진입궤도가 불확실하여 그조차도 불확실할 수 있지만 해당 이미지의 궤도만으로 추론해 보기엔 축하단해서 반사되듯 튕겨져 가속하는 궤도이기에) 회전축의 하단에서 궤도가 변경됬고 변경된 궤도로 가속됬다는 점에서, 태양계의 공전체계나 자력이나 공간장력 등에 대한 여러가지 추론 및 가설근거 등의 좋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해당 이미지에 대한 사실이나 궤도, 중력, 자력, 공간장력 등에 대해 박식하신 분들 등 다른 추론이나 추론근거를 가지신 분들의 견해나 답변이 궁금합니다.
@coffee_joaa7913
@coffee_joaa7913 20 күн бұрын
3시간 넘는 시간이 정말 흥미롭고 새롭다.못알아들어도 즐거웠어!
@jack.SH1124
@jack.SH1124 23 күн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는데 만약 우주선의 속도가 우주팽창 속도보다 더 빠르다고 가정한다면 그 팽창하고 있는 끝에 다다랐을때 벽으로 되어있나요? 아니면 아무것도 없는 무의 공간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ㅠ
@nodeID
@nodeID 22 күн бұрын
우주는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우리는 빛보다 빠를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가장멀리간 보이저 1호가 광속으로 하루도 채 되지않는 거리를 갔으니 말 그대로 불가능한 가정이네요 하지만 범준교수님의 답변이 기대됩니다
@user-xe6hs8bl6f
@user-xe6hs8bl6f 24 күн бұрын
삼체 리뷰 좀 ~
@MagaliSouza-tb5dq
@MagaliSouza-tb5dq 12 күн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redmoon3764
@redmoon3764 17 күн бұрын
도련님 1년 후 더 멋진 모습 기대할게요🎉
@user-rd7yv3uk5h
@user-rd7yv3uk5h 24 күн бұрын
보다채널 밥먹을때 밥친구처럼 틀어놓는데 ㅋㅋㅋ 밥이 더 맛잇음 ㅋㅋ
@oneman33to14
@oneman33to14 25 күн бұрын
와 롱타임 롱슬립
@ohtanikoreanfan285
@ohtanikoreanfan285 25 күн бұрын
오예 최고♡♡♡♡♡
@jiu05
@jiu05 13 күн бұрын
답변 떠넘기는 건 너무 웃겨욬ㅋㅋㅋㅋ
@user-gy9yg5mo6j
@user-gy9yg5mo6j 16 күн бұрын
42:00 저희가 문과라서에서 진짜 빵터졌네여 ㅎㅎ
@nimege
@nimege 17 күн бұрын
역시 고고학은 10%과학 + 90%소설.
@user-ev7os5kq3b
@user-ev7os5kq3b 25 күн бұрын
🎉
@ISAEGAE
@ISAEGAE 15 күн бұрын
확률이 높으면 그 일이 일어난다 하는건, 확률이 낮으면 그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봐야 되는건 아닐건데요? 그쵸? 생물학자가 물리학자에게 생물학을 배우는 BODA 채널 항상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
@gong-r-e
@gong-r-e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고품질인데 웃긴 자장가.. 자면서 배워봅시다. 잠깐만.. 곰팡이..라고하니까 집중하게 되..
@user-bp7xg3rx2t
@user-bp7xg3rx2t 23 күн бұрын
민태기 박사님 한번 섭외해서 유체역학 시간 마련해주세요
@xtal7181
@xtal7181 24 күн бұрын
02:24:20 편집자님!!! 여기 자막이 틀렸어요~ 다른 영상이면 모르겠는데 여긴 과학을 보다 이니까 ^^ 유형관계가 아니라 유연관계입니다. 공통조상이 가까운가 아닌가예 대한 관계를 얘기하는겁니다.
@Dally-kv6uq
@Dally-kv6uq 1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과학을 보다에서 제발제발 다시 뵙고 싶어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chriskim5535
@chriskim5535 24 күн бұрын
경제에서는 1992년 천문학에서는 1970대부터 골디락스가 사용되었습니다 ㅋㅋ
@sewukkang
@sewukkang 25 күн бұрын
틀어 놓고 자는거알고 길게 만들어 주셨네
@jgdt2221
@jgdt2221 24 күн бұрын
ㅎㅎㅎ
@jogak_gamgak
@jogak_gamgak 17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Yujin0525
@Yujin0525 24 күн бұрын
1:03:36
@user-zp4ye5nm9e
@user-zp4ye5nm9e 5 күн бұрын
존나웃기네 이조합ㅋㅋㅋㅋㅋㅋㅋ 더 내줘요 제발
@loveijb0718
@loveijb0718 22 күн бұрын
아폴로가 달에가서 깃발도 꼽고 흔적을 남긴걸 지구에서 좋은 망원경으로 보면 보이겠네요?
@user-ck9sf3s58w
@user-ck9sf3s58w 4 күн бұрын
궁금해서 개여우 찾아봤는데 진짜 귀엽잖아!!!
@user-wx5qc9ql2f
@user-wx5qc9ql2f 23 күн бұрын
화성 같은 행성엔 미생물도 없는지 궁금하네요
@kimjunkyukimdanmi
@kimjunkyukimdanmi 22 күн бұрын
2:02:19 가림막을 라그랑주보다 태양에 더 가깝게 설치하여 태양 중력으로 태양풍에 의한 밀림이 상쇄되게 만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ㅎ
@JEJU_ITHREE
@JEJU_ITHREE 13 күн бұрын
암흑에너지는 전자의 활동 에너지 입니다.
@user-pr9tx4ze7u
@user-pr9tx4ze7u 24 күн бұрын
정프로님 선글라스 실내에서 쓴이유 뭘까요? 컨셉? 눈이 안좋다는 얘기가 있던데요 첨엔 진행해바야 얼마나 잘하겠어 했는데 약두달지나니 정영진 보다 정프로가 어울리네요 참 잘하시네요 근래 보기드문 인재
@user-nl6wi9qs9m
@user-nl6wi9qs9m 20 күн бұрын
양느!!! 한별선수 고딕체다......2화 기대됩니다. (feat...주선수 눈치좀 챙기라) ㅋ
@user-sx3ph6jc4s
@user-sx3ph6jc4s 15 күн бұрын
스위스 사람들이 산이나 호수로 놀러 가는건 보유하고 있는 현찰이 얼마 없어서예요. 물가가 상상초월이라, 점심값이 기본 10만원입니다. 집값은 말할것도 없공..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만으로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니 여가에 쓰이는 돈은 줄일 수 밖에요. 산과 호수는 입장료가 따로 없으니.. GDP는 GDP일뿐.. 돈은 언제나 일부 극소수의 부자들에게로만 쏠리지요~ 그런 진짜 부자들은 늘 따뜻한 지중해나 두바이로 날아가 돈을 쓸테구요~ 같은 예로 우리는 영국 귀족들이 검소하다고 알고 있는데, 검소한게 아니라 그 사람들도 쓸수있는 현찰이 많지 않은 겁니다. 귀족들은 주로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부동산을 많이 가지고 있고, 돌려 쓸수 있는 현찰이 부족해서 오히려 살고 있는 저택을 일부 공개하여 관광객들에게 입장료를 받고 그 돈으로 저택 지붕수리나 보수공사를 한다고 하더라구요. (들어갈 돈은 많고 옛날처럼 영지에서 세금을 못 거두니 돈은 없고.. 대따 크기만 한 저택은 돈 먹는 하마고..) 그래서 일부 귀족들은 저택을 아예 비워서 국가에 내놓고 관광객들을 받는 다고 합니다.
@user-kl7mc7uw2i
@user-kl7mc7uw2i 20 күн бұрын
질문이요 우주는 팽창하고 있잖아요 그럼 만약에 아직 팽창하지 않은 곳을 바라보면 어떻게 보일까요? 그리고 그곳에 손을 뻗을수 있으면 어떤 느낌일까요? 아직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네요
@user-cf1uq5bv5l
@user-cf1uq5bv5l 17 күн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한다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 커져 나간다는 개념이 아닙니당
@user-kl7mc7uw2i
@user-kl7mc7uw2i 16 күн бұрын
@@user-cf1uq5bv5l 그럼 우주의 부피는 커지지 않는건가요?
@taeukkim1859
@taeukkim1859 5 күн бұрын
우주가 아직 팽창하지 않은 곳이라는 개념이 없겠죠..? 우주가 팽창하지 않은 곳은 우주 바깥이라는 말인데 우주 바깥은 존재하지 않으니깐요
@user-kl7mc7uw2i
@user-kl7mc7uw2i 5 күн бұрын
@@taeukkim1859 팽창개념을 이해하기가 어렵네요ㅠ 우주의 부피는 늘어나고있나요? 아니면 계속 그대로인가요?
@user-uf2hx3qx3o
@user-uf2hx3qx3o 22 күн бұрын
질문. 한점에서 138억년전 빅뱅으로 우주가탄생했고 상반된 대척점으로 팽창했다해도 빛보다 빠를수 없기에 276억년 안에 모든 별과행성에 도달해야하는거 아닌가요?
@luxurylife2023
@luxurylife2023 5 күн бұрын
근데 정영진님은 왜이렇게 모르는게 없나요 ㅋㅋㅋㅋ 과학 수학 영화 경제 역사 모든걸 다 아시네 ㅋㅋㅋ
@younglaikim8540
@younglaikim8540 24 күн бұрын
첨성대 안에 들어가서 위를 보면 사각형 모양으로 하늘이 보일텐데 그 안에 보이는 기준되는 별의 위치로 시기를 가늠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다른 별들의 움직임을 판단했다면 첨성대가 역학의 기준이 될 수 있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KingofSealuring
@KingofSealuring 24 күн бұрын
등푸른 생선은 갈매기나 독수리 등 하늘에 떠잇는 포식자들에가 안잡혀먹히려구 등이 바다와 같은 푸른색이구 배가 하얀이유는 등푸른 생선보다 밑에 사는 포식자들에게 안잡혀먹히려고 하늘과같은 하얀색이어요🫡🤔
@user-lm4ng8pk9z
@user-lm4ng8pk9z 6 күн бұрын
저는 이걸 킨 적이 없는데 잤다 깨니 틀어져있었어요
@OOGAR
@OOGAR 21 күн бұрын
봐야지 하고, 어느순간 정신잃고 다음날 보니, 10:02초에 멈춰있네요.. 10분컷
@triangle_326
@triangle_326 24 күн бұрын
영상시간 3시간40분 ㄷ
@light-id4lv
@light-id4lv 23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머리에도 때가 있는지 궁금하다
@parksungjoo2648
@parksungjoo2648 24 күн бұрын
별개로 이건 추상적인 얘기로, 다른 고등문명의 조우가능성에 관한 얘기긴 한데, 만약 정말로 인류나 특정국가나 특정문명이 우주탐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자 한다면, 먼저 관측송수신 생산(수송)체계를 밧줄처럼 확장하여 탐사할 거라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마치 탐사생산 체계가 줄기증식 하듯이, 그리고 태양과 은하의 좌표이동에도 송수신이 유실되지 않을 망설치 속도와 간격으로, 관측송수신장치를 연속적으로 시리얼 넘버로 배치하는 형식으로요. 물론 여기에는 관측과 (시리얼넘버간의)송수신과 자체에너지공급(태양열이나 우주수급가능한 에너지)이 가능한 정도의 소형화 기술과 넘버별 설치(개별 또는 세트개별배포기기의 로켓)방식이나 좀 더 기술이 발전되면 생산원료와 연료의 송달만으로 자체적으로 생산배포(설치)하는 특수인공위성의 개발 등이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배포, 관측, 송수신만 가능해도 기기간 송수신을 통한 소프트웨어 버전업과 시리얼 기기별 관측데이터의 수신은 가능할텐데 우주단위거리면 광역 송수신 처리속도가 중요할 수 있겠네요. 물론 여기에는 몇가지 문제점, 높은 기술력과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의 추진 및 실현이나, 시리얼 넘버가 붙은 개별기기의 사고발생(운석,행성,고장,수명) 등의 시행착오, 초고등 문명(?)에 대한 추적단서 제공의 위험(?) 등을 비롯한 여러 문제나 각종 리스크가 따를 수도 있을 거라고 여겨집니다. 존재할지는 모르겠지만 애시당초 초고등문명(?)이란게 존재할 경우 최소한 완전 자생화된 인공소행성(우주미세열흡수 등 우주에너지를 통한 동력 및 자생가능한 우주 탐사선)이나 정보의 측정, 해석, 은엄폐(스텔스), 위장, 샘플관리 등 전반적인 기술문명 분야에서 최소한 우주탐사수송 분야에서는 인류의 상상조차 아득히 뛰어넘은 기술력 수준일거고 그 자체로 이미 수명, 감지감각력, 지능, 교육, 군사경제, 기술문명, 실효우주영역 등의 격차를 의미해서 신종생물집단이나 심하면 신종 개미집단 하나를 발견한 정도의 추정불가의 격차일 수도 있는데 선관측(또는 감지)하거나 대등관측한 것이 아닌 일방적인 기술문명 격차에 의해 먼저 관측당하고 먼저 접촉가능한 좌표로 접근하는 쪽이 있는 상태라면 이미 그 시점에서 교섭권이 거의 전적으로 우선관측 및 접근한(압도적 기술문명우위를 가진) 문명 측의 의사결정(상생 또는 지배 또는 계획)에 달려 있다고 봐야 할 듯 해서 상대문명(존재한다면)측에서 접근한 생명체나 탐사선을 발견하는 것 자체에는, 현재로서는 까마득한 문명격차의 기술력이 해당 좌표까지 닿았구나 정도로 인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user-pt3nt9rd1s
@user-pt3nt9rd1s 24 күн бұрын
55:5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있잖아요 ㅋㅋㅋㅋㅋ 드립 침투센스쩐다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sihirli öpücük 2 #shorts
0:32
Mert Sarı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Choices for future security! #ViviUnicornio
0:20
Vivianne Miranda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БАСПАНАҒА ТАЛАСҚАН БАУЫРЛАР/ KOREMIZ
46:53
Көреміз / «KÖREMIZ»
Рет қаралды 18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