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기념관은 국가기관도 아니고 공공기관도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ㅠㅠ 예산도 생각보다 굉장히 작구요 좀 아쉬운 부분이죠
@MMZTV11 ай бұрын
저 영상 촬영 이후로 한번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이상한 색상은 벗어났지만 조금 더 신경 써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범-t4c2 жыл бұрын
전쟁기념관 가서 느꼈던 단점을 매우정확하게 지적하셨군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MZTV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현재는 개선이 되었다고 합니디.
@Travel_over_sea6 ай бұрын
저도 간만에 봤을때 당황스러운 색이라... 왜 이렇게 칠했지 하는 의문이 든 차량들이네요.. 참 그러고 보니 근래에 검색해보다 소뮤아 박물관의 티거2도 갑자기 도색과 차량 번호가 바뀌어서 뭔일이 있었나.. 했던것도 생각나네요.
@MMZTV6 ай бұрын
요즘은 저 때와 달라졌다고 하는데 기회되면 방문해 봐야 겠습니다.
@장우룡-p1r Жыл бұрын
이전부터 줄곧... 한 나라의 가장 큰 전쟁 기념관이 당시의 고증에 있어서 그 중심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 나라에서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는 지를 반증하는 것이고, 더불어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참전용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되기도 합니다. 항상, 계속 안타까워요. 진심으로 이제 그만 안타까우면 좋겠습니다. ㅠ..ㅠ
@MMZTV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유물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아직은 볼거리 정도로 생각되는것 같습니다. 근현대사 이후의 모든 역사적 사건들이 진영논리의 영향을 받아 해석된다는 것도 안타까운 현실이죠.
@EBC_11425 ай бұрын
요근래 새로칠한 호랑이 패튼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여?
@MMZTV5 ай бұрын
제가 자세히 보질 못해서 뭐라 말씀을 못 드리겠습니다.
@Me_and_Mr._Fox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이제야 봤지만 이 영상보니 저희 참전한 친 고조 할아버지 의 전투를 모습이 상상가네요...( 고조 할아버지의 참전 연세 18세 *저희 할아버지들 쪽에는 일찍 결혼했습니다.*)
@강대웅-c8k8 ай бұрын
0:52 실제로 6.25전쟁에서 f-86과 미그-15가 매일 기관총을 쏘아대며 공중전을 펼쳤습니다
@user-yd4cp9dk2o Жыл бұрын
어째 어렸을때 봤던 색깔과 다른거 같았는데 그냥 어린기억이라 그런가보지 했습니다만 진짜 색이 다른거였네요ㅠ
@MMZTV Жыл бұрын
현재는 다시 색칠되어 있습니다.
@신영준-w8g Жыл бұрын
한국전쟁 디오라마 제작에 관심이 생겨서 고증연구하려고 박물관 방문예정이었는데 선생님 영상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 갑니다~ 혹시 6.25전쟁 관련해서 전차나 미군군복은 타미야 ts캔 스프레이 기준으로 어떤게 제일 고증에 맞을까요?~😂
@MMZTV Жыл бұрын
현재는 색칠을 다시 했습니다. 조금 더 실제와 비슷해진것 같습니다. 미군 전차와 군복은 색상이 다른데 전차를 기준으로 타미야 캔 스프레이를 선택하려면 2차 대전 전차는 올리브드랍 선택하시면 TS-5나 TS-28을 쓰면 될것 같습니다. 타미야 제품은 설명서에 캔 스프레이 지성색이 있을겁니다.
@신영준-w8g Жыл бұрын
@@MMZTV 가르쳐주싱 ts5랑 ts28중에서 너무 고민인데 좀더 녹색의 느낌을 받고 싶으면 어떤걸 써야할까요? 설명서에서는 그냥 올리브드랍이라고만 써있어서 ㅠㅠ 그리고 오늘 다녀왔는데 선생님 말씀대로 색을 다시칠한거 같더라구요!! 🤣 딱 제가 원하는 색이었습니다.
@MMZTV Жыл бұрын
@@신영준-w8g TS-5 쓰면 될것 같습니다. 28은 조금 더 카키톤이 많은 색상인데 2차대전 이전과 초기에 미군이 썼던 색상입니다. 만일 한국전에 미군에 적용하려면 TS-5 보다 진한 녹색톤으로 타미야 스프레이에는 색상이 없습니다.
@신영준-w8g Жыл бұрын
@@MMZTV 감사합니다~~😄
@드림온-l3b Жыл бұрын
80년대에 여의도에 있던 안보전시관에 자주 갔습니다. 그 때 전차, 항공기 등 전시물이 지금 생생하게 기억 납니다. 여러 기억 들속에, 전시물 중 T-34가 있었고, 전면 장갑 해치가 조금 열려 있었습니다. 그 때 국민학생이었는데, 그 전차의 내부가 너무도 궁금했고, 호기심을 참지 못 하고 전면 장갑 해치가 열려 있는 사이로 내부를 봤습니다. 내부는 온통 검게 그을려 져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 때 저는 어린 나이임에도 전차병들이 모두 죽었을것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여의도 전시관에 있던 T-34는 실제 한국전쟁 시 피격된 전차였다고 합니다.
@MMZTV Жыл бұрын
현재 그 전차는 육사 교정안에 있습니다. 국내에 있는 T34 중에 유일하게 한국전 참전 전차입니다. 낙동강 유역에서 발견되어 여의도 안보전시관에 전시했었죠.
너무나도 공감합니다. 전쟁기념관은 특히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곳이며 분단국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한국전쟁에 더 많은 관심을 갖더라구요. 더욱이 당사자 국임에도 불과 1세기도 지나지 않은 우리 땅에서 일어난 전쟁의 군 장비에 대한 최소한의 관심과 복원 노력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어 아쉽습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네. 거의 30년이 되는 시설인데 있는 발전이 없다는 것이 많이 아쉽습니다.
@Kevin-ps9yf2 жыл бұрын
이 박물관에서 재일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하는게 7:55 저 두 차량인데 제 몇년전에 봤을때 보다 더 먼지가 쌓였네요. 차라리 이름을 전쟁박물관으로 바꾸고 전시품을 청소하고 유지 관리하는데에 돈을 더 투자 했다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맨들기3 жыл бұрын
저에게 전쟁기념관은 항상 설레며 갔다가 나올 때는 아쉬워하며 돌아오는 곳입니다.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인 것 같네요.
@MMZTV3 жыл бұрын
아마 다 그럴거에요
@resa8894 Жыл бұрын
썬창인생 3년 여기있는 탱크와 전투기 이름을 모두 외우게 되었다
@dorothyLeeLee3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앵발리드에 갔는데 하루에 보기에도 벅차고 너무나 대단해서 진짜 진짜 놀랐어요.. 용산전쟁기념관도 가봤지만 맞아요 좀 아쉬운거 많았어요 ㅠㅠ 당연히 의국전쟁이랑 다르게 갑자기 전쟁을 하게됐으니 이해는 하는데 안타깝긴해요 좀 더 관리를 잘했으면 그런 마음이 크네요
@MMZTV3 жыл бұрын
네 세월이 지나면 발전을 해야하는데 너무 달라지는게 없네요. 아쉽습니다.
@마이크-s5x3 жыл бұрын
7:58 제 차보다 더럽다는 말씀이 왜 이리 웃프죠. 저도 가서 관리를 하는 데 손을 더해주고싶습니다.ㅠㅠ
@MMZTV3 жыл бұрын
먼지털이로 털어주고 싶었습니다. ㅎ
@JungDam_03 жыл бұрын
공산당 장비들과 색상차를 두어 피아간 차이를 내고 싶다는 누군가의 전시 컨셉 혹은 입김이 강하게 들어간 결과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주조질감을 지저분하니까 지워버린 것과 비슷한 맥락이죠. 유뮬로써의 박물이 아닌 전시로써의 박물관인 것 이죠...
@MMZTV3 жыл бұрын
칙칙하다 좀 밝게해라 이런 합리적 의심이 듭니다.
@Skydreamup Жыл бұрын
현장에 갔을때에는 잘 못느꼈는데 영상으로 보니 도색이 많이 다르긴하네요… 현장 관람때에는 당연히 검증된 도색이라는 생각이 있어서 그랬던것 같아요
@08_j0y42 жыл бұрын
미군 전차들의 스프라킷 색상을 올리브로 통일 시켜야하는데 왜 타이어도 아니고 테두리를 검은색으로 도색해 놨는지..........
@윤상철-f3n3 жыл бұрын
영국 보빙턴의 탱크뮤지엄이 생각나는군요...... 영국 작은도시에 박물관하나로 관광객이 몰리는 그런 곳인데 서울 한복판에 홀륭한시설을 가지고도 운영을 못하는게 한심합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조직 자체가 관료적이고 관장이 임기나 임명방식등 발전이 어렵습니다.
@marblecat44643 жыл бұрын
직무유기가 맞네요 ㅠㅠ 도색도 도색이지만 영상에서도 보이는 손자국과 먼지는 정말 말이 안나오네요.
@user-ce3qw2bh5c3 жыл бұрын
전쟁기념관에서 저런 이상한 색으로 도색한것에 대해 변론을 하자면 이번 실내로 들어온 전시물들은 대부분 야외전시장에서 비바람 맞으며 장비의 내외부가 부식이 심한 상태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이상의 부식을 방지하고 보존하기위해 위해 폴리우레탄계 도료를 사용했습니다. 이 도료는 다른 도료들 보다도 강한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어 전차와 같은 금속 물질의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데 탁월한 도료이죠. 하지만 다른 폴리 우레탄계 도료는 에나멜같은 도료들에 비해 나와있는 색이 적고 조색도 힘들어 원하는 색상을 마음대로 만들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나마 비슷한 색상으로 저런 색을 고를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모델러의 시선에서는 한없이 부족하고 한심한 전시물이겠지만 전시물의 보존처리를 위한 어쩔수없는 선택임을 알고 이해하셨음 좋겠습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부분은 하도에 해당됩니다. 즉 베이스 코트 이야기죠. 제가 이야기 하는 것은 보전 처리를 위한 베이스 페인팅이 아닙니다. 그 위에 칠해지는 페인트 색상을 이야기한 것인데 기념관의 설명과 말씀하지 부분은 보전 처리를 위한 하도만 칠했다는 설명이 되지요. 그리고 색상뿐 아니라 차체와 휠, 트랙등을 칠한 모습을 보면 작업자가 작업 지시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거나 관리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애초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M36인지 M46인지 정확한지 않은데 바퀴를 반만 칠해 놓은 것도 있죠. 전 세계에 군사 박물관이 참 많습니다. 그 중에 유독 한국에 분포한 전시장의 차량들이 유독 이상한 색상으로 칠해지는 것은 뭔가 공통된 이유가 있는것 같습니다.
@user-ce3qw2bh5c3 жыл бұрын
@@MMZTV 폴리우레탄 도료 위에다가 다른 성분의 도료를 뿌리면 각 도료간의 점도 차이때문에 위에 올라간 도료가 오래 못가고 금방 떨어집니다...
@슈프림-z1k3 жыл бұрын
전차 도색안하고 그상태 그대로 보존 하면 안되나요? 무슨 문제가 생길려나 탄흔도 남아있으면 더 멋진 전차가 될것같은데
@MMZTV3 жыл бұрын
그럼 녹이 쓸어서 안될겁니다. 색도 계속 틀색되서 결국엔 거의 흰색이 됩니다.
@박준호-h8n9g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나같은 하급 아마추어 모델러만 데려다 놔도 저것보다는 색감 잘 맞출듯... 청소라도 좀 하지...20년 전에 한번 가보고 안가고 있음. ㅋ
@MMZTV3 жыл бұрын
시원하고 한가해서 좋은면도 있습니다. 한번 구경 가 보세요^^
@kilyounglee13 жыл бұрын
설명잘들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도색부분에서는 너무 한심한공무원들에 관행이보입니다 도색업자가 알아서 하길바라고 자기 모른다 하겠죠.. 이런문제는 우리 모형인들의 관심과자긍심으로 건의나 충고.. 조언...청와대 청눤이던 뭐었이던 시정요구를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저도 자주가겠지만 관리인을 보면 바른소리 하겠습니다 충성~!!!
@나다-u8g4u3 жыл бұрын
0:38 개인적으로 이집트 문화에 관심이 많아서 투탕카멘전 볼겸 겸사겸사 방문해보려고 했는데.... 전차들 도색이 너무 합니다 정말... 녹차 아이스크림이 생각나네요. 얼핏 듣기로 한국 전쟁 기념 재도색 예산이 너무 적게 책정되었단 소리도 있던데 뭐가 되었든 정성의 문제인 거 같습니다. 차라리 재능 기부 형식으로 해서 전국의 모델러 분들이 오셔서 도색 웨더링까지 다 해주시는게 더 낫지 않나 싶네요
@MMZTV3 жыл бұрын
예산은 어디에 쓰고 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나난-n3z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도색대기중 엠48 이녀석 도색이 그나마 란 멘트에 빵 터지다가도 가슴이 아파옵니다 ㅡㅡ 예전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군장비 전시 도색 복원 하시던 퇴역하신 군 출신 및 군 근무 무지원 관련 분들이 많으셨습니다. 지금은 그냥 입찰 계약. 이러니 ㅡㅡ 플라모델보다도 못한 ㅠ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신선의경지3 жыл бұрын
전쟁기념관인데,꼭 전차를 저렇게 깨끗한상태로 공장출고버젼으로 도색해야되는지,실제 전쟁에서 운용되던상태로 재현되는게 더나은거같은데,아쉽습니다. 대부님.
@MMZTV3 жыл бұрын
어떤 설정을 한다면 그렇게 하는게 맞는데 일반 전시는 출고 상태라도 색이나 복원은 신경쓰는게 좋겠죠
@이종성-r1v2i3 жыл бұрын
공무원들 하는게 그렇죠 뭐 발주 잘못해서 페인트 잘못칠한거 같은데 버릴수도 없고 일반인들이 뭘알겠어 하면서 대충 칠한거 같네요
@MMZTV3 жыл бұрын
답변상으로는 비슷한 색상을 선택해 칠했다고 합니다. 궁색한 변명이지만요.
@flyernight50733 жыл бұрын
K1 전차 시제품을 500원짜리 동전을 넣으면 움직이는 장난감으로 만들어 놓은 것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리고 전시물 재도장시 그냥 앞뒤 안가리고 도색을 해 원래있던 깨알같은 마킹등이 죄다 사라져 버리는 것을 보면 진짜 안타깝더군요.
@MMZTV3 жыл бұрын
지금 수준도 마찬가지입니다. k1 프로토타입도 재도색을 기다리고 있던데 어떤 모습이 되었는지...
@shruuup21903 жыл бұрын
몇번을 가도 항상 먼지가 수북합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안타갑지요. 청소도 예산이 부족한지...
@반즈중사3 жыл бұрын
여전하네요 ㅠㅠ.기념관 안간지가 언 15년은 넘은것 같은데 마인드 바뀐게 없네요 취재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그냥 공무원을 뽑을게 아니라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특채라도 뽑아야 될듯 합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저기도 엄청 관료적이고 경직된 조직이라 ....
@coloradouss30853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전쟁유물 도색이며 검수며 말이 많던 곳인데, 역시 괜찮은 거 보려면 전쟁기념관보다 잘 하는 지방 박물관(항공기는 제주도까지?)에 가거나 포기하는게 나을지도 모르겠어요. 대한민국이 특히 군사 문화에 무지,무관심해서 군사유물도 저따위인건지, 아님 아직까지 박물관 전반에 대한 인식이 장르불문 원시적인데에 머물러 있는 문제가 큰 건지... 솔직히 쳐 망할때까지 무능력한 국립으로 냅두는것보다, 유능하게 관리할 수 있는 민간에 맡겨 민영화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돈은 몇천원이든 만원이든 내줄 수 있으니까요. 가능하면 외국계 회사가... 이 나라에서 군사에 애정 쏟을수 있는 곳(기업체)을 찾으려고 해고 눈 씻고 봐도 별로없으니 외국에서 찾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민영화하면 놀이동산될겁니다. 아나 셔먼이 핑크색으로 칠해질지도... 개인적으로 제주도 우주항공박물관은 좋았습니다.
@coloradouss30853 жыл бұрын
@@MMZTV 나쁘게 말하면 돈 먹는 하마일수 밖에 없는 시설이 군사유물 박물관인데, 튼실한 기업(특히 군사에 애정이 남다르거나, 군수산업에서 잔뼈 굵은 기업, 외국계)이 아니고서야 빚더미에 앉거나, 흉물로 만들기 쉽상일겁니다. 안그래도 최근 몇 년간 전쟁기념관이 박물관인지 공연장인지 혼동될 정돈데... 제주항박이야말로 진짜 돈 줘서라도 가고싶었던 곳이죠. 수많은 박물관, 특히 밀리터리 박물관이라면 제주항박의 반이라도 쫓아갔으면...
@MMZTV3 жыл бұрын
제주는 기획 자체를 아는 사람이 했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코로나 사태등으로 운영이 악화되어 있을텐데 차후 운영에 문제가 없을지 모르겠네요. 용산은 구조 자체가 돈만 먹을 수 밖에 없는데 그 해결책을 예식장이나 상관없는 행사로 풀어 나가는 모습이 안타갑습니다.
@folhy74283 жыл бұрын
실내전시물은 작년 8월에 제가 봤을때 그대로입니다. 1년 이상 되었단 이야긴데, F86F40에다 F86A도색(미공군 박물관 전시품)을 칠해놨고 나머지도 그나마 나름 신경을 썼다는게 저정도더군요. 도색만큼은 평양 박물관만도 못하달까. 그나마 야외전시 안하는게 다행이랄까요...한동안 실내공간을 다른 용도로 많이 쓰느라 실내에 있던 물건들도 야외전시로 내보냈었죠.야외는 작년에는 비행기들 위주로 도색 등 복원(?)작업을 하더니 올해는 지상장비를 하고있나 보군요. 전쟁기념관이니 사실 예전 여의도에 있던(지금은 사천에 있는) B-29나 B-26, 콜세어 등 한국전 참전기체를 전시했다면 좋았을텐데 기념관 개장 때 구해온 B-52나 한국전 때 사용되지 않은 구형 한국군 차량 항공기들이 많은 점은 정말 아쉽긴 합니다. 국내에서 그나마 가장 좋은 관련 전시관인데(사실 규모는 세계구 급인데) 이제는 개관한지 30여년이 되어가다 보니 시설이 조금씩 퇴락해 보이더군요. 그 때문에 나름 애써서 재정비 중인 모양인데 역시 공무원식 일처리라 그런지 좀 모자란 점이 나오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MMZTV3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있던 소장품이 많이 안 보입니다.
@silnot82352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저렴하게, 아니 무급이라도 모델러들을 섭외하면 하겠다고 자원하는 사람들 많을겁니다. 저부터 그렇고요. 왜이리 역사의 보존이란 중대한 일을 가벼이 여기는지 모를 일입니다 정말.
@MMZTV2 жыл бұрын
아직은 유물이란 인식이 적은것 같습니다. 요즘은 새로 칠했다고 합니다.
@crabcrab1493 жыл бұрын
혹시.. 참수리호 내부는 관람이 불가능한가요..?
@MMZTV3 жыл бұрын
제가 갔을 때는 입구가 막혀있었습니다
@user-ce3qw2bh5c3 жыл бұрын
원래는 가능했는데 코로나때문에 지금은 내부출입을 막아놨어요
@AFVFactoryClubWWII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전쟁박물관은 기대할수 없다고 봅니다 신경을 안쓰니까요 예전에 여의도 안보 전시관에 전시된 차량들이 정확한 색상과 비슷해 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MMZTV2 жыл бұрын
요즘 도색을 변경했는데 북한군은 또 그대로...
@jadenjeong97023 жыл бұрын
진짜 머선색인지 오묘하네요.....
@MMZTV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K2_blackpanther202 жыл бұрын
보빙턴쪽에서 배워오던가 하던지.. ㅡ ㅡ 뭐하는 짓인지 너무 실망스럽더군요. 저거보고 실망 많이 했습니다.
@화학왕물리3 жыл бұрын
M48A5는 최근에 반입된 차량인가요?
@MMZTV3 жыл бұрын
그런것 같습니다.
@김태헌-w7z9x3 жыл бұрын
외부전시관에 공원만들면서 전시품들이 많이 사라진것 같던데 이런건 다 어디로 간걸까요... 폐기처분 해버린건 아닌지 걱정도 되네요... 전시상태는 정말 처참하더군요.. 아시아 최대규모면 뭐합니까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데
@MMZTV3 жыл бұрын
보통 다른 전시 공간으로 보내던가 이번에 전북함처럼 폐기하기도 합니다
@inboyoun89783 жыл бұрын
에고, 역시나네요..
@johnryu83723 жыл бұрын
국민의 수준을 국가가 담아내지 못하네요 반성하고 시정하라
@ROUTE-ix4cn3 жыл бұрын
전시되어있는 대잠헬기 킬마크를 걍 지워버린게 생각나는군요.. 안타깝네요
@darreh43703 ай бұрын
아저씨 말씀대로 청소라도 열심히 했으면....
@voidcore87203 жыл бұрын
올리브드랍을 화사한 파스텔톤으로 만들고 싶었나봐요 ㅎㅎ 작업병들 시켜서 칠해놓은 놓은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