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평 소매점 직영건축하고있습니다. 총 비용은 댓글 창에 한번 더 정리하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198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42평 직영건축 콘크리트 타설 편 총 비용 결산!! 레미콘 843만원 = 72+1 루배 펌프카 66만원 타설&미장 인건비 90만원 식대 5만원 총 1004만원 지출했네요. 별탈없이 준공 날 수 있도록 응원해주세요!!!
@박박대욱 Жыл бұрын
24-120 104,000 주고 쓰는디
@박박대욱 Жыл бұрын
요즘 미장이 자바라 잡나보내
@박박대욱 Жыл бұрын
인건비는3~4인디 식대는5인 이네 아님 비싼거 드셨나봄ㅋ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박박대욱 화이팅!!!
@유외식-x9d Жыл бұрын
거품짐임대비.얼.인가요
@8515 Жыл бұрын
가격과 과정을 소비자입장에서 이야기해주시니 훨씬 와닿고 좋습니다. 대박입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뿌듯하네요!
@youngpark313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세대가 바뀌면서 직영건축에 관심있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으니, 꾸준히 지금처럼만 하시면 흥하실거라 생각됩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로 또 칮아뵙겠습니다
@namjungnaee Жыл бұрын
. 안 해보셨을 텐데 처음 하시면서 진짜 대단하시네요
@최용규-e8r Жыл бұрын
응원 합니다.
@Seung-hoonLee Жыл бұрын
하는 일 번창하길 기원~ 구독신청
@TV-eb5os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안전시공 하시고 홧팅~^^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화이팅!!!! 안전시공하겠습니다
@Kiminsong193 Жыл бұрын
수고 하셨어여
@뻥카ppungka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사공이 많네요 무엇보다 건축업자 돈마니 번다는 말에 거품물고 반박하시는분들 엄청 많네요 건축업하시는분들 시공사에서 자재비나 인건비 입금늦어지거나 해서 나락가신분들 많이봤어요 그만큼 리스크가큰 사업이죠 그럼에도 건축업 하는이유는 그만큼 버니까 하는거 아닐까요? 건축업자들 자재비 인건비 마진 엄청나게 남기는건 대한민국에서 현장일 해본사람은 다아는 기정사실인데 마니 버는거 아니다? 그들 기준에서 많이버는건 대체 얼마만큼의 마진인가요? 그렇게 안남는 장사면 영상주인분은 뭣하러 발품팔아 시간내가며 직영공사 하시겠어요 업자 견적서랑 최종 공사비내역 비교해보면 거기서 답을 찾을수있겠네요 그리고 인건비 싸네 어쩌네 하시는분들도 있는데 하청 인력비용하고 직영인건비가 같을수가 없죠 당연히 여기 오신 분들은 직영이니 그만큼 오너 마진없이 각 개인 인건비로 측정하고 오셨을테고 그만큼 저렴하게오셨겠죠 현장에서 팀오너가 업체서 받아가는 금액 그대로 일당 지급해주나요? 까는 댓글싸지말고 젊은 친구가 비용절감해보려 하나하나 배워가며 발품팔아 직접 건축하는것이 얼마나 큰 용기이고 도전인가요 이런 젊은이를 응원이나 조언은 못해줄망정... 댓글쓰시는 분들 내용으로 보아하니 영상주인보다 연장자거나 경험 많으신분들 같은데 어른이 되어서도 그런 마인드로 세상을 살아가니까 세상이 이모양으로 돌아가는겁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원창연-e6c8 ай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 저도 직영으로 하고 있습니다
@낭만꼰대cdb Жыл бұрын
부자간에 하는 모든일 부자되세요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불량주부-t6p Жыл бұрын
일사천리로 진행 하시네요. 많은정보 얻어갑니다.역시 젊은사람이라 깔끔하고 명쾌합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많은정보를 얻어가셨다니 영상을 만든 보람을 느낌니다. 감사합니다
@333movie Жыл бұрын
잘 마무리 좋이요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앵호-q6w Жыл бұрын
바닥에 스티로풀 까는 거를 이야기 많이 하는군요 단열도 있지만 일단 습때문입니다 스티로풀 없이 공구리로만 치면 습이 엄청 납니다. 그래서 돈이 더들어가도 스티로풀을 까는 겁니다 그렇다고 공구리를 덜치지는 않습니다 스티로풀이 들어간만큼 더치는겁니다 스티로풀 1.25T 들어가면 그만큼 공구리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지역마다 인건비 자제비에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 이분 영상은 그냥 참고만 해주는게 좋습니다. 저도 이분 영상보면은 이해가 가는부분도 있지만 이해가 않가는 부분도 많습니다
@허복회 Жыл бұрын
주택 설계도는 건축사무소에서 설계비용을 지불하고 면이나 동에 건축허가 신청을 해야 되는거잖아요? 설계도 비용은 얼마나 들었습니까? 지금 이 유튜브 시청하시는 님들 포함하여 이 유튜버님 좀 답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침일찍-n8b 가격도 가격인데 레미콘업체가 일반적으로 일정 캔슬해서 한번 틀어졌엇거든요... 그래서 오천원 더 비싸고 신뢰도있는업체 썻어요
@아침일찍-n8b Жыл бұрын
@@LeeDongGyu92 아주 삼표 쌍용 이렇게만 써요 저희는 메이져 아니면 진짜 ㅋㅋ 지들맘대로 합니다
@이성원-r5b Жыл бұрын
40
@예담-j4y Жыл бұрын
이분은영상마다 금액이 달라지내 ㅎㅎ 이러니 건축업자들이 나쁜 사람 되는겁니다 정확한 내용을 전달 하셔으면하내요 ...
@younchulpark2826 Жыл бұрын
레미콘 다짐 장비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레미콘 슬럼프가 너무 높아 콘크리트 강도가 제대로 나올까 모르겠네. 레미콘 타설 전에 슬럼프 테스트는 했어야지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헉... 강도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sky98park6 ай бұрын
슬럼프랑 강도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동일한 강도에 슬럼프가 높을수록 가격이 비싸지죠 본인이 얘기하시는건 현장 가수를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대체로 슬럼프가 낮으면 콘크리트가 된 상태라 타설하기가 쉽지 않고 바이브레터를 꼼꼼히 대주지 않으면 곰보가 잘 나기 쉽습니다 타설부위에 따라서 슬럼프를 달리 시켜야 하지만 작은 현장 대부분 가격이 싼 낮은 슬럼프를 주문하고 바닥 마감지을때쯤 닦기 편하게 물을 타는경우가 많죠 이게 콘크리트 강도를 떨어지게 하는 원인입니다 강도랑 슬럼프는 레미콘 송장이나 거래명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면에 표기된 강도로 타설 시공하셔야 합니다
@재욱변-c8k Жыл бұрын
레미콘 타설 미장에 95만원 사실임? 좀 가루쳐 주삼.... 기계미장 하는것만 50만원 넘게 달라고 하던데....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발품 많이 팔았습니다....
@땅개-k3o Жыл бұрын
휘니샤 오래간 만에 보내요 ㅋㅋ 미장 팀도 2명은 되야 일이 되는데 ㅋ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땅개-k3o 깔끔하게 마무리되었습니다 ! ㅎㅎ
@보여도 Жыл бұрын
폼3장 기초도 2번에 마무리하는데 폼한장기초가지고 덴바도 안높구만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아기 걸음마라 생각해주세요
@yonghu1292 Жыл бұрын
철근 몇톤 목공 인건비 전기 설비 는
@천안홀덤박사 Жыл бұрын
이쁜놈
@유태진-l8p Жыл бұрын
설비및전기 공사비가 빠진거같은데요?
@massacrebathory30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바닥만 튼튼해
@changeview3211 Жыл бұрын
기초 바닥은 단단하고 튼튼해야 합니다. 근데 왜 왜 물렁한 스티로폼을 깔까요? 바닥난방때문에 그런것 같은데 바닥난방을 포기하던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단열을 해야지. 기초밑에 스티로폼을 까는 것은 정신 나간 짓입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하지만 허가받은 건축도면대로 진행했습니다!!
@changeview3211 Жыл бұрын
@@LeeDongGyu92 설계사무소에 지적을 해야 합니다. 항상 의심하고 꼼꼼히 따지고 해야 나라가 변해요. hdc랑 gs건설 아파트는 왜 무너졌을까요? 통령부인 명신이는 박사인데 정말 믿어야 할까요? 정말 똑똑할까요? 설계사는 다 믿어도 될까요? 신신애가 부른 세상은 요지경 한대목 읊어드립니다 "여기도 짜가 저기도짜가 짜가가 판을 친다" 속지말고 살려면 항상 의심하고 꼼꼼이 살피고 해야 합니다.
@vhstv1511 Жыл бұрын
모든 건축 동영상에 비닐 스티로폼 철근 순서로 하던데 이 모든게 잘못된 건데 잘모르고 따라하는건가요?
@changeview3211 Жыл бұрын
@@vhstv1511 항상 생각 하고 기본이 무엇인가를 따져봐야 합니다. 기초가 무엇입니까? 건물 하중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곳입니다. 위 동영상에 기초는 테두리로 하중이 받쳐줄만큼의 집무게일때만 가능한 것입니다. 주변 테두리가 감당가능 범위를 넘어서면 집이 기울거나 주저 앉습니다. 하중은 면적당 구합니다. 면적이 넓으면 그만큼 하중을 많이 견딥니다. 테두리에만 하중을 맡기기엔 위험합니다. 완공후에도 혹시 주변에 다른집 공사때문에 땅을 파면 위험해 집니다. 테두리와 가까우니까요. 또하나 바닥난방 단열때문에 설계사무소에서 저렇게 설계하는것 같은데 그건 맞지 않습니다. 요행이에요. 기초를 제대로 할려면 바닥은 테두리에만 보가 있으면 안되고 중간에도 보가 있어야 합니다. 한자로 입구(口)가 아닌 밭전(田)자 방식으로 바닥에도 보를 해야 합니다. 이것을 생략하는 것은 딱딱한 땅과 맞닿아 있다는 가정에서 안하는 것입니다. 위 동영상처럼 스티로폼을 깐다면 반드시 밭전(田) 방식의 보를 해야 합니다.
@vhstv1511 Жыл бұрын
@@changeview3211 구조학적으로 물리학적으로 맞는 말씀같습니다. 근데 전문가라는 건축사들은 왜 저런 기초방법(바닥에 스티로폼 까는것)에 대해 누구하나 문제 제기를 하지 않을까요? 그게 신기하네요
@감나무-q8s Жыл бұрын
쨩♥️
@ceoman8 Жыл бұрын
견적은 말도안되게 받고 직영은 비싸게 했네요 공부 좀더하시길 ㅠㅠ
@강찬규-u5l Жыл бұрын
혼자 해먹든지 말든지 천안이란 단어는 빼고해라,,,,ㅡㅡ
@tvej-b2p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묽은데 강도가나오나?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다음편도 기대해주세요!!!
@yonghu1292 Жыл бұрын
직영건축 돈만 있으몬 다함 관리자 한명만 잘 구하몬됭
@jayhan349 Жыл бұрын
건축업자가 돈을많이버네 뭐하네 등등의 표현은 많이 어이 없어보이네요
@카빈-v9f Жыл бұрын
거푸집 터지면 거푸집 시공한쪽에서 비용부담하는거아니였나요?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중간에 목수 철수하고 제가 직접 마무리했네요 이전편을 봐주세요! 망치질잘하나 ㅎ
@감나무-q8s Жыл бұрын
업자에게 맏기면 얼마드나요?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추후에 정리해서 영상 업로드하겠습니다! 아직 정리가 덜 되었네요 ㅠ
@colorpepsi7516 Жыл бұрын
미장기계는 진짜 최고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베테랑이시더라구요!
@박철규-z2p Жыл бұрын
레미콘은 거리가 멀면 비싸지네요 거리하고도 연관되있어요 저도 건설일하네요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날씨 더워지는데 더위 조심하세요!
@yjw09h96 Жыл бұрын
바닥 포크레인.목수비 모두 빠지고 타설 만 말하면 모르는이는 이게 다 인것으로 오해 😂😂😂
@박철규-z2p Жыл бұрын
콘크르트 타설하면' 가운데도 엑설 많이 지저야 되는데 초반에만 대고 안대는데 그럼바닥 크릭 감니다
@LeeDongGyu92 Жыл бұрын
에엥! 잘 이해하지못햇습니다 ㅠ
@박철규-z2p Жыл бұрын
@@LeeDongGyu92 레미콘은 거리가 멀면. 가격이 비쌰요 콘크르트타설 할때 발브라액서 초반엔 그리 안지저도 되죠 콘크르트 중간쯤 차면 액선 대서 계속 대야죠 가운대. 많이 액선대야되죠 그렇지 않음바닥에 금 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