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와!피스 나올 때 즘 우리나라 인터넷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선 시점이라 발견되서 온갖 커뮤에 박제되다 시피 만들어서 게임까지 내놓는다는 제작사를 막아세운 커뮤의 순기능이었음 ㅋㅋ
@괴랜드정정용의제로투2 жыл бұрын
예전 우리나라는 중국 뭐라할 그건 아니였네 ㅋㅋ
@hjn00002 жыл бұрын
중국이 인구가 많아서 그렇지 비율로 따지면 거기서 거길껄.. 중국도 선민사상 미친 나라지만 우리나라도 선민사상 절여져있고.. 괜히 소중민국 하는거 아님
@박호두해외선물-q2e2 жыл бұрын
@@isonmhey 역사에 있어서도 그닥 떳떳하지는 못함
@홍차-o8e2 жыл бұрын
@@isonmhey 한국도 환빠 있잖아 전세계가 환국 땅이였고 중국은 한국 식민지였다는
@marksmithcollins2 жыл бұрын
@@isonmhey 90년대 말~2000년대 쯤에 환빠라고 지금 중국하는거랑 거의 비슷한소리하는 기괴한 사상이 있었음... 시간이 지나서 사라졌으니 망정이지 당시에는 애국적인 느낌도 주겠다 가끔가다가 그런 주장하는 단체들이 지자체에서 은근 지원받는일도 생기고 개판이었음 태왕사신기라거나 아스달연대기같은게 주류로 올라서려고 기웃거리던 케이스 '삼족오 소년단' 찾아보면 구경가능함
@김지윤-o5h6p2 жыл бұрын
@@marksmithcollins 그런 얘기를 정부가 하진 않잖아요...
@런던의주인바이에른뮌2 жыл бұрын
나라의 발전 속도에따라 표절과 저작권개념이 생기는듯 일본 > 한국 > 중국 순으로 그런시기를 겪었던건데 중국은 아직도 저러는게있는거보면 심하긴함 ㅋㅋㅋㅋㅋ
@유튜브까마귀2 жыл бұрын
중국은 저작권 살 돈이 있어도 안 삼
@트란테드_사이드5 ай бұрын
순서 정확하네 ㅋㅋㅋㅋㅋ
@캉캉캉-x8f2 жыл бұрын
아ㅋㅋㅋ 진짜 요즘 조세 폼 미쳤네 ㅋㅋㅋ 대사 하나하나가 웃음벨이여
@khalmo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번 영상을 볼때마다 중간중간 뿜을 정도로 퀄리티 최강이다ㅋㅋ 조세의 센스가 극대화된 가히 예술이라 해도 충분하구만ㅎㅎㅎ
@Crodeiran2 жыл бұрын
중학교 때까지 어머니가 생잀선물로 게임 사주겠다고 사오곤 하셨는데 어디서 샀는지 궁금한 짝퉁게임들 많았었음ㅋㅋ 저기 파워몬스터도 해봤고 했는데 게임 분량이 한시간이면 다 깨는 그런 겜도 많았던갈로 기억
@한결_youtube2 жыл бұрын
아 생잀선물 받으셨구나
@Crodeiran2 жыл бұрын
@@한결_youtube 오타 난건 이틀전에 봤는데 고치기 귀찮음
@최창원-u1n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내일 출근할 생각에 핵 우울했는데 01:50 무지개 마음 황구 소개할때 엄청 웃었네요 ㅋㅋㅋㅋㅋㅋㅋ
@spade_ace12 жыл бұрын
9:27초에서 웃긴게 (주)개구장이는 대원싸아이한테 재판에서 2번이나 승소한게 ㄹㅈㄷ ㅋㅋㅋㅋㅋ 결국 3차 공판때는 대원씨아이의 손을 들어줘서 결국회사는 폐업당하고 2012년경에는 도로확장 때문에 철거당하고 ㅋㅋㅋㅋ
@The_FInal_Boss_Veigar2 жыл бұрын
4:34 아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포켓몬 게임 있대서 사왔다가 이 포켓몬짭 게임인거 보고 진짜 속 터졌었던 PTSD가.. 이런 게임을 만들었던 사람들은 무엇을 하고 살고 있을까? 라는...
@TwoSecz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 게임이든 음악이든 만화든 장르 가리지 않고 유명한건 다 죄다 표절해서 걍 무작정 찍어 생산하는 그런 시기가 있었죠 조세님이 보여주신 게임들 말고도 찾으면 진짜 수백가지도 넘게 짭퉁게임이 나올듯 ㅋㅋㅋㅋ 특히 애니캐릭터를 이용한 짭퉁 게임들은 진짜 어린이들 코묻은 돈 이용해서 돈벌려고 하는 작자들이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시절 게임에 관심이 많았던 순진한 초딩들은 한번쯤은 다 사본 경험들이 있을겁니다
@po27692 жыл бұрын
크아 봄버맨
@Discover26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공씨디 잘팔렸던것도 이유가 있었어요
@UnKnown-bf1rc2 жыл бұрын
카트의 경우는 당시 한국닌텐도 사장이 직접 넥슨에 찾아왔을 정도로 제정신이 아니었죠 ㅋㅋㅋㅋㅋ.그걸 넥슨에서도 법원에서도 읽씹하면서 묵인되어왔던 거고...원신 처음 나왔을 때의 반응이 이미 카트에서 벌어졌던 겁니다.물론 닌텐도도 많이 봐주긴 하는데 그건 닌텐도가 봐주는 거지 그래도 괜찮다 라는 게 아닌 겁니다.
@TestifyTMI2 жыл бұрын
왠지 카트 첨했을때 슈퍼마리오 카트랑 비슷하긴했어요
@Melon0504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걸 보면 한국이 중국 표절로 욕할 자격이 없다고 느끼고 원신만 해도 젤다 표절했다고 할 때 몇몇 사람들이 넥슨이 표절 한거 말하면 넥슨은 실드치면서 원신 표절만 걸고 넘어지는 놈들도 많았죠
@에몽-v6k2 жыл бұрын
@@Melon0504 안녕하세요 당신은 중화인민공화국 어느 소속에 해당하는 당원입니까? 혹시 사이버 검열을 하는 황금방패 소속인가요?
@벌룬-r6v2 жыл бұрын
@@에몽-v6k 한국 인구수 중국이랑 똑같았음 중국을 능가하는 역대급 쓰레기나라임 ㄹㅇ 우리나라 중국 욕할 꼬라지가 아님 심각함
@에됴뎌희아무아자자2 жыл бұрын
@@에몽-v6k 잼민이
@marksmithcollins2 жыл бұрын
이제 아무도 기억 안하는것같지만 카트라이더가 마리오카트를 '창의젹 모방' 한건 역사속으로 지나가버린 것 같고 크레이지 아케이드는 지금와선 한국 한정으로 허드슨 봄버맨보다 인지도가 더 메이저하지 않을까
@잠자기장인-x3r2 жыл бұрын
창의적 모방은 무슨 표절이지
@1Punch-3Popcorns2 жыл бұрын
태권브이
@kamlious2 жыл бұрын
봄버맨도 스위치로 계속 신작은 나오는중
@Melon05042 жыл бұрын
카트 크아 다 표절인데 카트만 봐도 한국 법원이 대놓고 넥슨편 들어주니 마지못해 넘어간거지.
@user-vg8fm6sy2y2 жыл бұрын
봄버맨은 돈준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데라-e5u2 жыл бұрын
백구 게임은 정품 패키지 박스에 넣어서(스타1 cd박스 정도 크기) 2만원인가 3만원할때 어머니 졸라서 샀던 기억이 있는데
@소프트피치2 жыл бұрын
참 저작권에 무지했던 그시절... 우리나라에도 표절게임이 많았었죠. (5:04 정말 기대되네요ㅋㅋ)
@홍길동-g7o9t2 жыл бұрын
하얀마음 백구 cd 있는데 ㅋㅋㅋ 게임은 물론 바탕화면 다마고치 기능도 있어서 엄청 귀여웠음 무지개 마음 황구 진짜 뭐냐ㅋㅋㅋㅋㅋㅋ 빵터졌네
@볶읍밤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잊고있었던 친포코몬이 떠올랐습니다
@jinhong012 жыл бұрын
사무실에 전화기 한대 놓고 프로그래밍 할줄아는 대학생 한명 알바비주고 앉혀놓고 만드니 복잡한건 못하고 플랫포머만 줄창 찍어내고 팔고 폐업하고를 반복했지.. 영상에 나온 ip도 그랬고 짱구도 엄청 갖다썼음. 진짜 일본에서 작정하고 고소했으면 게임산업 전반적으로 와장창 할 정도로 개판이었다..
@-42352 жыл бұрын
와피스 없는줄 알았는데 역시 있네 ㅋㅋㅋㅋㅋ
@발컨장인삼촌쇼츠2 жыл бұрын
무슨 공포겜이냐 ㅋㅋㅋㅋ 가슴이 옹졸해진다 ㅋㅋㅋ
@keithr76952 жыл бұрын
사실 아이돌부터 가요나 드라마 소재까지 안따라한게 없던 시절이 있었지... 지금도 사실 그렇게 창의적인 건 모르겠어. 한국은 아직까지도 전문성, 창의적인 것에 대한 인정, 이런 부분들에 대해 인색한 것 같아. 대중들 또한 지적재산권에 대해 여전히 크게 인식하지 않고있고. 정체불명의 노머한(검머외)인지도 모를 국적인증도 없는 파란눈 일반인들 데려다가 맛있다 연발하는 국뽕프로그램이 여전히 공중파니 케이블이니 널려있고... 네임드 대중가요 싱어송 라이터가 나이도 지긋하고 사회적인 지위도 높은 양반임에도 자신의 표절작에 대해 원작자가 양해해줬으니 괜찮다는 뉘앙스로 얘기하지를 않나... 아무튼 어린시절 생각해보면 여전히 끔찍하긴 하다.
@왕감자-c7w2 жыл бұрын
저작권 침해는 징벌적으로 처벌해야 합니다
@GhimDoRi2 жыл бұрын
무재개빛마음 황구 ㅋㅋㅋㅋ 간만에 듣네요 2000년도 초반에 저런 게임 만든다고 나서는 영세 게임사 많았죠 발매까지는 못한 게임들까지 치면 한트럭 나올 겁니다
@chemistry20232 жыл бұрын
중국 표절: 원작의 소스코드를 빼왔는지 퀄리티는 좋긴 한 경우가 많아서 원작이 소송거는 일도 있긴 함 K-표절:원작자도 처참한 퀄리티를 보고 안습한지 봐줌 마치 디즈니도 봐줄것 같음
@madokamagika947410 ай бұрын
저 시절 대만에도 짝퉁 게임들은 많이 나왔지만, 그래도 대만산 짝퉁 게임들 저작권에 걸린다는 점만 제외하고 보면 일본 원 제작사에서 만든것으로 착각할 정도로 퀄리티, 조작감, 완성도가 뛰어난 것들도 많았는데(대표적으로 대만산 짝퉁 소닉이나 버블 히어로 1,2 같은거..), 한국 짝퉁 게임들은 퀄리티나 완성도는 물론이고 조작감, 판정도 똥망인게 많았음... 아예 원작에 대한 존중 자체를 찾기 힘들 정도로...
@nobodysidea2 жыл бұрын
저땐 방문 판매나 영업의 시대였단 말임 90년생들은 예전에 학교 앞에 초글링들 싹 몰고가서 게임CD 준다고 문제집 파는 아저씨들도 있었던거 기억 날거임. 그들도 사실상 1차 영업을 당한 2차 영업사원이고 애들 상대로 원피스 알지 원피스? 그게 게임으로 나왔다며 문제집에 끼워주거나 해서 애들이 부모한테 조르게 만듦. 나때는 스타크래프트가 바람의나라같은 알피지 게임으로 나왔다고 cd 뿌리는 아저씨 있었음. 난 진짠줄 알고 부모님한테 가서 개쫄랐는데... 예를들어 홍대 문방구에서 찐 원피스 장난감으로 대박낸 문방구 사장이 송파 문방구 사장한테 전화로 이걸 알려주는거임. 요새 원피스라고 일본 해적 만화가 있는데 이거 관련 상품이 대박이다. 들여놓고 팔아라. 그때 영업사원이 와피스 게임CD 한아름 들고 들어오는거임. 이거 한번 팔아보실래요? 요새 인기 엄청 많은 게임이라고. 그럼 그런거 몇박스씩 사는거야 그냥...'그 밀짚모자 쓴 해적 캐릭터 그려진 거' 라는 말만 듣고 사진 같은거 카톡으로 보낼수도 없으니 잘 모르니까 그게 이거구나 하고...저런 회사들이 음지에서 그렇게 돈벌었던거임
@김상민-f9m2 жыл бұрын
웜매 ;;
@애니사랑-x8y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CD게임 ) " 스피드왕 번개 & 탱구와 울라숑 " 도 있었짘ㅋㅋㅋㅋㅋㅋ
@jiminhan43332 жыл бұрын
4:38 잠깐... 이것은 색깔만 노란 "뎃치 이기응차 데스웅" 이 게임이 챰피보다 먼저였나요? ㄷㄷㄷ
@타티2 жыл бұрын
Pika ㅋㅋㅋㅋ 너무 잘만듬
@gdfakstjj2yu2 жыл бұрын
4:47 뭔 메탈슬러그 모델군 죽는소리냐곸ㅋㄱㅋㄱㅋㄱㅋ
@sonyah9480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크아가 허드슨 봄버맨과 소송싸움에서 장르의 유사성이라는 걸로 원신처럼 야숨싸움에서 피해 갔었던 사례가 있었지요. 봄버맨은 닿으면 즉사고 크아는 갇혀서 구조상황 발생으로 장르 유사성만을 들고 있는 상황이었지요. 마카랑 카트의 아이템전도 유사성이 크고 일부 기능이 겹치는 아이템이 있는데 부스트 게이지를 채워 아이템화를 한다는 스피드전으로 그 소송문제를 피한걸로 기억해요.
@elizabeth2 жыл бұрын
원작아 얼마나 인기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 ㅋㅋ
@fridaydriver2 жыл бұрын
와피스.....생각보다 어둠이 깊습니다 ㅋㅋㅋㅋ 당시 업체에서 와피스를 컨텐츠미디어전인가? 거기출품을 했었죠 그때 심사위원으로 와있던게 누구였냐면....원피스의 원작자 오다선생;; ㅋㅋㅋ 그래서 이건 대원미디어의 흑역사이기도합니다 소송을 진행했지만 1심 2심 계속 패소했거든요, 결국 분노한 인터넷에서 들고일어나서 다양한 공격이 진행되었고 그 회사(개구쟁이)는 문을 닫습니다 그래서 대원미디어는 대법원에서 부전승을 거뒀죠 참....처참한 기억이에요
@notnull6662 жыл бұрын
슈퍼디즈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와 진짜 추억이다.. 저거 그래도 어렸던 당시엔 재밌게 했던 것 같아요 ㅋㅋㅋ 이상한것도 모르고 ㅋㅋㅋ
@sixthjoe4492 жыл бұрын
1월30일 게임법개정안이 문체부 법안소위에 상정합니다. 이번 1월에 안되면 국회임기와 함께 게임법안은 자동폐기되고 새로운 국회와 함께 게임법안을 다시 시작해야합니다. 동영상이 아니라 게시글이라도 좋으니 많은 유저들에게 알려주세요. 월중도 아니고 30일 월말에 법안소위를 여는건 어캐든 게임법 막겠다는 겁니다. 정말 부탁드립니다
@song-tg7xi2 жыл бұрын
지금에서야 그나마 인식개선이 많이 되서 그렇지 몇년 전만 해도 영화는 토렌트로 보고 여러 게임이 복돌로 돌아다니던거만 봐도......
@whowascoughing2 жыл бұрын
슈퍼디즈몽 150만 유튜버보고 ㅈㄴ 웃었음ㅋㅋㅋㅋ
@MilkyWays8202 жыл бұрын
귀살의검 나오겠지 생각했는데 이 심연은 대채....
@Chaeyeon_kk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말이 안나온다 진짜 ㅋㅋ
@신우진-p5m2 жыл бұрын
저런 짝퉁겜 머리맡에 놓여져있고 다음날 아침에 확인하면 부모님한테 리액션 어케해야하는지 고민했었는데ㅋㅋㅋㅋㅋㅋ
@user-Bibliobibuli2 жыл бұрын
표절 관련해서는 넥슨이 최고봉이었죠. ㅋㅋ 크레이지 아케이드는 봄버맨, 카트라이더는 마리오카트, 던파는 여러 게임 트레이싱 등. 그리고 가장 최근 표절작 하면...역시 귀살의 칼날이 아닐까 싶네요.
내가 저 때 초딩 이였는데 일본 문화 전부 파쿠리하는 꼬라지 보고 울 나라가 존나 미개한놈들 뿐이구나 하고 환멸을 느낌
@jetvwe2 жыл бұрын
TOP10 컨텐츠도 재밌을듯 ㅋㅋㅋㅋㅋ
@SeoKhanKR2 жыл бұрын
이런 말이 있었죠. 최대 피해자는 자식들이 좋아할줄 알고 사다준 부모님들이었다고...
@Shineyongs.2 жыл бұрын
와피스.. 이건 레전드 급인 IP다
@송은숙-s8g3 ай бұрын
지금도 문제가 있는 게 그 시절 다 복돌 썼다고 복돌이 문제가 아닌 건 아닌데 이상한 놈들은 그 시절 타령하며 당당하게 말함…했을 수도 있지만 당당하면 안되는 거 아니냐고…어휴…그거 지적하면 그런 놈들은 항상 너도 했잖아..지적하는 사람들은 최소한 그게 잘못인지 알아 창피해하고 반성하며 지금이라도 정품 쓸려고 노력하는데 지랑 어캐 같냐고…
@marksmithcollins2 жыл бұрын
고리짝시절 프로그래밍 업계 역사를 뒤져보면 우리나라 게임 개발자 0세대는 스트리트파이터 PC 클론(?) 을 하면서 시작됐음. 당시에 리소스 추출이고 나발이고 없어서 게임을 비디오 녹화한 다음 정지화면을 손으로 한픽셀한픽셀 추출해서 데이터랍시고 갖다쓰질않나 '스트리트파이터2 제작자와 함께하는 게임만들기' 같은 이름으로 프로그래밍 책까지 나와서 당시 도서관에서 보고 '한국인 이름이 박혀있는데 이게 진짜 스파2 개발진이 쓴책인가' 고민했던적도 있음
@gosemf3902 жыл бұрын
와! 봄버맨과 마리오 카트를 한 ip로 즐길수 있다고? 근데 그걸 또 닌텐도가 허가해줬어?? 와!!!!
@NoOdd8882 жыл бұрын
제가 지금도 하고 있는 DNF도 그렇고 원신도 그렇고 표절 논란에서 벗어 날 수 없는 게임들도 꽤 있죠... 아 그대신 백구CD는 제 가족이 사서 플레이했고 그외 저딴 것들은 하나도 안 샀음.
@Min775392 жыл бұрын
발전 트리인가 싶기도 함. 따라가려고 짝퉁->자체 개발 -> 추월작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아주 그냥 어..
@lovejijonjose2 жыл бұрын
형 사랑해
@니은니은-z7g2 жыл бұрын
허허 다 아는 얼굴들이구만
@amg35552 жыл бұрын
난 아직도 와피스를 볼 때마다 저걸 응원하던 사람이 생각남 다른 사람들이 제정신이냐고 해도 꿋꿋하게 와피스가 흥하길 원했었지...그 사람은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Yakurt912 жыл бұрын
90~00년대 복돌,노래 저작권 개판이였지 프루나,당나귀,p2p사이트,소리바다 등ㅋㅋ 지금 중국인식 수준이 딱 우리 저 시대인거고ㅋㅋ 우리나라도 잘한거 1도 없는데 남 욕하는거보면 개웃김ㅋㅋ 지금은 클린하니까 뭐 과거는 다 무시하고 욕박아도 된다는 논리 ㅋㅋ
@제발정신좀차려-d8p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역시 표절에 근성냄비,이중성의 나라답음 ㅋ
@yopig2 жыл бұрын
슈퍼백구어드벤처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ookgon2 жыл бұрын
오락실에서 직접 미션 크래프트를 해봤지 ㅋㅋ
@미니님2 жыл бұрын
와피스 진짜 전설이였지 ...
@mandu82572 жыл бұрын
표절도 문제지만 당시 우리나라 pc게임 시장을 말아먹은 이유 중 하나가 복사였죠. 당시엔 정당한 돈을 주고 게임을 하면 ㅄ 호구라며 놀리는게 당연했을 때임. 현재의 중국처럼 말이죠. 그게 불과 20년도 안 지났는데 과연 중국을 욕 할 자격이 있을까.
@연이-d5v2 жыл бұрын
5:55 비명소리ㅋㅋㅋ
@NC-px1xx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해적판 만화 많이 봤었는데 제일 기억에 남는건 북두신권이었음ㅋㅋ 추억이네.....라이거 간지 그 자체 였는데...
@법이X같잖아2 жыл бұрын
내가다 부끄럽구나..... 하씨....
@mhwenter2 жыл бұрын
게임관련 컨텐츠 방송인데 제목보고 "설마 와피스가 언급될까?"라고 생각했던 내가 2023뇬 1월 24일 레전드다.
@T0bacco_2 жыл бұрын
와피스 나올것 같더라니 ㅋㅋㅋㅋ
@andsjc2 жыл бұрын
마리오카트랑 범버맨 회사가 타임머신타고 미래의 한국으로 와서 넥슨의 카트라이더랑 크레이지 아케이드 보고간다음 표절한거 맞죠?ㅋㅋㅋ 맞다고 해줘요..ㅋㅋ
@Full-bj1gx2 жыл бұрын
슈퍼로봇대전 발피스 라는 CD게임이 있었는데 슈로대랑은 관련도 없었고 심지어 원본도 국산겜이 아니였죠
@오마뉘반배홈 Жыл бұрын
8:23 이정현의 와!
@악당이-t4x2 жыл бұрын
와 백구cd 콘푸라이트에 붙혀서 팔때 해봤는데 진짜 추억게임이다....
@vgghh-r1o3j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겜사들이 불법복제에 ㅂㄷㅂㄷ하는데 겜사들도 저작권 인식 없는거 매한 마찬가지 ㅋㅋㅋㅋ
@GgoDan Жыл бұрын
백구가 조작감이 상쾌하고 레벨 디자인이 적절했었...나? 유사 제자리 점프와 환장할 롤러코스터 등반맵만 생각하면 우욱
@IREN4E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백구 보니까 백구 다마코치(바탕화면에 떠도는) 생각난다
@NyanYaongMeow2 жыл бұрын
백구하니 떠오르는게 저런 몹 밟아서 죽이는 겜중엔 짱구는 못말려가 제일 기억에 남는듯 ㅋㅋ
@happy_feet36092 жыл бұрын
당시 카페가입하면 스타1 파일공유하던 시절...
@hwkim15872 жыл бұрын
형아! 아이모 리뷰좀 해줘라
@Lakion2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때 친구 집에 하얀마음백구 시디 있어서 종종 플레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횡스크롤 짱구 게임도 있었는데... 그거 다 콘푸로스트 사면 그 안에 있던 시디였어요 당시에 시리얼 팩같은 거 사면 시디게임이 안에 들어있고 그랬거든요. 저도 그렇게 해서 얻은 레이싱게임 시디 하나 아직도 갖고 있고요. Direct 2.0 깔아야 돌아가요 지금은 컴퓨터 사양이 너무 높아서 시디 구동이 안되는 게 아숩..
@Rum_BA2 жыл бұрын
아....집에 디즈몽이랑 파워몬 다 있어 ㅋㅋㅋㅋㅋㅋ
@nemarine2 жыл бұрын
아재요 영상하나 만들면 다음날 목소리 나옵니까?
@Jsjddhak-b2m2 жыл бұрын
제목보고 와피스있나 보러들어옴ㅋㅋㅋ
@thencluber_gd2 жыл бұрын
6:41 8:18
@qlife11462 жыл бұрын
어.. 디즈몬 해봤던 거네 ㅋㅋㅋ
@NoBrand0 Жыл бұрын
진짜 와피스는 레전드임 ㅋㅋㅋㅋㅋㅋ
@bena9-is-slider2 жыл бұрын
저정도면 표절이 아니라 명예훼손으로 고소먹을거같은데 ㅋㅋㅋㅋ
@뿅뿅-l5o Жыл бұрын
준내웃기네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와피스파트가 진심개웃김ㅋㅋㅋㅋ
@cuqudase5532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팔고있어 에서 터졌다 ㅋㅋㅋ
@민트초코쉐이크2 жыл бұрын
존세님 최근에는 귀살의 검이란 국산 표절겜도 있었습니다.
@hicom12362 жыл бұрын
보는 내내 내 눈을 의심했다
@김주원-s5v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표절계 전설하면 70년대 말에 우주흑기사가 갑이 아닐까 합니다. 일본에서 건담 애니 하청을 줬는데 하청 결과물을 이용해 만든 건담 짝퉁이라는 충격적 물건이였죠
@칠피아2 жыл бұрын
진짜 애니매이션 중국화로 만드는 게임회사 보면 싹다 가서 테러 해버리고 싶음 ㄹㅇ
@bbbaaa30602 жыл бұрын
배틀필드1이 디도스 공격으로 아시아 서버 마비되었는데 함 다뤄줌 좋겠네요ㅋㅋ
@유튜브까마귀2 жыл бұрын
백구 엄청 좋아하네 ㅋㅋ 게임 이름에 백구가 몇 번 들어가는겨
@Ice_Galaxy2 жыл бұрын
08:14 신장 175k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뇌절 어질어질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리리-w9d2 жыл бұрын
어느 서터리미가 와피스 구해와서 하는거보고 빵터진 기억이 ㅋ
@번제2 жыл бұрын
최근 작품으로 가장 유명한건 단연 귀살의칼 정식출시 며칠만에 얻어맞고 섭종한 그 게임
@None_Nowhere2 жыл бұрын
어렷을 때 삼촌이 운영하던 피잣집 옆에 BBQ 있었음. 그러다보니 왕래가 좀 됐는데 당시 BBQ에서 뭔 이벤트로 치킨을 사면 무언가 무료(이런거 사은품 개 많았음. 장난감,딱지,물고기 키우기 등등...)CD를 동봉하더라. 그게 그 당시 유명했던 IP의 무언가였는데 얼마 안 지나니깐 짝퉁이 나오더라... 문방구에서 3000원이렇게 파는데 친구가 딱 하려니깐 30분 분량?인가 하고 끝남. 내용도 조잡했고. 암튼 어렷을 땐 별의별 짭들이 많았음...
@정덕영-z8d2 жыл бұрын
한국 피씨 패키지 붐일때.. 환상 서유기 책 서점에서 샀던.. 2.85만원에.. 헤헤..
@guruguru-2liter2 жыл бұрын
사실 아이디어 표절은 제품이라면 안가리고 베껴오던 시절이었던듯 ㅋㅋ 국내 대기업 뭐시기분들도 잘나가는거 다 읍읍.,.. 만화쪽은 아직도 심각한듯합니다 주술x전은 이토준지 소용돌이 그림을 그대로 가져다 썻다가 일본가서 도게자 하고 왔다죠 크레이지 아케이드도 양심없이 디자인 컨셉 게임성까지 배껴온게임인데 다음 영상에서 볼수있을듯 ㅋㅋ
@jsyun94962 жыл бұрын
주술회전 우리나라 만화였나요?
@guruguru-2liter2 жыл бұрын
@@jsyun9496 제가 잘못 알고있었네요 애니메이션 감독이 한국사람이었고 작가분은 일본사람이었네요
@념념냠냠-l7b Жыл бұрын
주술회전...ㅋㅋㅋㅋㅋㅋㅋ....쩝....일단 댓글로 정정하셨으니 그러려니 합니다. 우리나라도 아직도 저작권 인식 없는 사람들이 너무 많죠...
@휘파람-d6m2 жыл бұрын
하얀마음백구... 유니미니펫... 줌비니... 그립읍니다...
@정수리-p6l2 жыл бұрын
줌비니는 모바일로도 할 수 있으니 츄라이 츄라이..
@averyavellan27882 жыл бұрын
나는 분명 백구 게임 플레이하던 세대가 맞는데 표절작들 한번도 보도 듣도 못했어요ㅋㅋㅋㅋ 대체 저것들 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