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일본 장기침체 시작하고 똑같아"...벼랑 끝에 내몰린 한국, 올해가 진짜 중요한 이유① (ft.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Рет қаралды 298,139

VIDEOMUG

VIDEOMUG

3 ай бұрын

"작년에 중국으로부터의 수출이 21%나 줄어버렸어요. 소위 수출이 경착륙 해버린 거죠. 이렇게 경착륙 해버리면 경제가 충격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통상국가고 수출이 경제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출에서 이런 충격이 오면 경제가 푹 꺼져버려요. 그래서 이게 이제 작년에 경제성장률이 갑자기 1%대 성장을 기록한 그 원인이고 이제 올해는 그렇게 수출에 충격이 오면 그다음에는 내수에 충격이 옵니다."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IMF 보고서에 미국하고 중국 하고 이렇게 부딪히면 최대의 피해국이 한국이 될 거라고 적시해 놨어요. 왜냐하면 우리나라에 있어서 중국은 제1 교역국이고요, 미국은 제2 교역국이에요. 그런데 제1 교역국 하고 제2 교역국이 싸워버리면 한국이 충격을 받는 거는 너무나 당연한 거죠. 그렇더라도 한국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뭔지를 거기에 적시돼 있어요. 그 방법이 뭐냐 하면요. 아무리 미국하고 중국이 싸우더라도 중립을 지키라는 거예요. 중립을 지키면서 한편으로는 미국 하고도 거래하고 한편으로는 중국 하고도 거래하면 한국 경제는 피해가 없을 거라고 적시돼 있습니다. 근데 한국 정부가 그 보고서와는 정반대의 선택을 해버렸어요. 그리고는 미국 중심의 글로벌 웨스트에 들어간 데다가 특히 중국으로부터 ‘기업들아 빨리 빠져나와라’라고 탈중국 선언을 해버렸어요."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크리에이티브디렉터: David / 영상취재: 주용진·김태훈 / 콘텐츠디자인·편집: 채지우 / 작가: 유진경 / 인턴: 권도인
[교양이를 부탁해] 문의: davidhan@sbs.co.kr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자영업붕괴 #잃어버린30년 #경제침체 #일본경제 #탈중국 #교양이를부탁해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2 000
@user-wk2cc1vs1e
@user-wk2cc1vs1e 3 ай бұрын
틀린점이 있지 일본 노인들은 부자들이 많다 우린 거지들이 많다 30~40대도 거지들이 많다
@shindy3963
@shindy3963 3 ай бұрын
​@@MrJunGeol 논점을 모르나.. 일본은 노인이라도 부자지만 우리나라는 노인도 거지라고 젊음 애들은 어느나랄가든 돈없는게 디폴트고
@art0411
@art0411 3 ай бұрын
와...답글 읽고 소름이 돋기는 처음입니다...날카롭네여~~ㅎㅎ
@jaehoonha6
@jaehoonha6 3 ай бұрын
한국 노인들은 연금 처 먹을려고 자슥들 한테 다 퍼주고 연금 처 먹어서 그래
@sydney-dev
@sydney-dev 3 ай бұрын
@@MrJunGeol 와 진짜 능지수준 개답답..
@sawmoonfilm8684
@sawmoonfilm8684 3 ай бұрын
@@shindy3963노인이 거지라는 증거가 어디있음 ㅋㅋㅋ 토지재산이나 주택자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게 50대 이상의 중년 노년층인데 뭘 좀 알고 얘기하쇼 융자기간 다끝내고 실자산 가진 사람은 거의 다 50대 이상인데, 일본부자 한국거지 이러고 앉았네 ㅋㅋㅋㅋㅋ
@user-mf1bj6cf4r
@user-mf1bj6cf4r 3 ай бұрын
일본은 가계 부채보다 기업 부채가 많았던 상황이었기에 기업들이 많이 망했었죠. 다만, 가계 부채가 적어 내수만으로도 30년을 버티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정규직 평생 직장도 한몫했죠. 그런데 우린 다릅니다. 우린 내수가 굴러갈 정도의 돈이 가계에 없습니다. 가계 부채가 압도적이라. 결국 일본처럼~이 아니라 일본보다~ 더 심각한 상황도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jwj6371
@jwj6371 3 ай бұрын
2찍 업보입니다
@user-bg5xl2zh8o
@user-bg5xl2zh8o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요 우리 조선은 닛뽄 보다 항상 밑이죠 더 처참하게 망할거예요
@JohnLee-yr7wt
@JohnLee-yr7wt 3 ай бұрын
@@jwj6371 님 같은 사람들이 2찍 공장장임.
@sra2389
@sra2389 3 ай бұрын
정답 입니다..
@ab-xo6xl
@ab-xo6xl 3 ай бұрын
​@@jwj6371가계부채가 느그문재인때 집값2배만들어서 가계부채가는건데 우리 1찍이는대가리가 깨졌나?
@user-lk6vr1st7q
@user-lk6vr1st7q 3 ай бұрын
일본의 재산은 대부분 고령노인들 소유였고, 젊은사람들은 돈이 없었으니 우리와는 다르지. 우린 고령이든 젊은사람이든 돈 없는사람이 대부분이고 그 대부분또한 빚때문에 힘들어 하고 있고, 일본은 우리와 달리 투자보단 근검절약하자라는 마인드가 이미 박혀 있어 버티기가 가능했던거고, 우리는 그런게 없음. 일본은 고령화 대비도 잘 되있지만 우린 준비는 커녕 방치수준임. 저출산도 문제이지만 고령화 준비가 시급함.
@user-kr3js1mi6n
@user-kr3js1mi6n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일본이 절대로 성공 못하는거임
@ZXCV592
@ZXCV592 14 күн бұрын
일본도 근검절약 마인드는 원래부터 있던거 아니다.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바뀐거다. 그거때문에 30년을 버틴거라고 보기엔 억지다. 가계부채가 적어서 가능했던게 더 크다.
@user-hu5pe7gz4w
@user-hu5pe7gz4w 4 күн бұрын
🔼📕
@user-qw9ri9uz3d
@user-qw9ri9uz3d 3 ай бұрын
국내기업들이 해외로 다 나가면 국내 제조업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중소기업들 다 나가리 될텐데요. 서울 수도권에 쏠리는 현상을 빨리 벗어나야 합니다. 지역마다 산업단지를 차별화 해서 국내외 기업들 적극 유치하고 젊은층들이 직업 때문에 서울 경기권으로 쏠리는 것을 지방에서 살면서 직장생활이 가능하도록 유인해야 합니다. 출퇴근이 자유로운 문화를 만들어줘야 해요.
@rocksin7906
@rocksin7906 3 ай бұрын
기업이 손해보면서 지방에 투자하는건 장기적으로 봐도 이득 될게 없죠 지방 소멸은 피할수 없습니다 경기도 주변 신도시 계획중인것만 봐도 지방 살릴생각 없음 너무 비효율적임
@leeja1294
@leeja1294 3 ай бұрын
​@@rocksin7906근데 지방 망하면 수도권도 망하는데
@ajvcrjksojhbjv
@ajvcrjksojhbjv 3 ай бұрын
이미 서울민국이지
@user-px7rg7qk9j
@user-px7rg7qk9j 3 ай бұрын
결국엔 전문가도 탈중국 안된다는데 그걸 시도한 윤두광ㅋㅋ
@user-us4qn8my3s
@user-us4qn8my3s 2 ай бұрын
중국 대수출이 줄은건 윤정부 정책탓도 있겠지마는 어려워진 중국내 사정도 감안해야지. 요즘 중국도 경제때매 죽는소리하더만.
@leonardlee2278
@leonardlee2278 3 ай бұрын
몇년전 만 해도 각종 매체에 나오셔서 일본 다시는 각종 지수나 닛케이등 반등 못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예측하신 걸 틀리셔서 그런가 일본에 대해 많이 유하게 말씀하시네요... 이젠 급락하는 출산율까지 정신승리는 너무한거 아닌가요. 지난번에 무슨 대한민국 청년들은 희망에 차 있다고 예시로 든 자료가 뭔 국회 조사인걸 보고 그냥 방송사랑 짝짝꿍 하네 라는 생각 바로 들었는데
@fullstacknology1142
@fullstacknology1142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예측 틀려서 당황한듯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2 ай бұрын
그냥 민주당 듣기좋은소리하고 떡고물 받아먹는 시대의 부스레기 그이상 이하도 아님
@user-eu9ck8fd5v
@user-eu9ck8fd5v 2 ай бұрын
상황이 바꼈자나
@ckdghm
@ckdghm 2 ай бұрын
@@sgwuqgeuqjahdjwydjw4434 맞음 이분 실제로 문정권에서 사퇴당함 말하는거 묘하게 꼴리는데로 꼬는거 같아서 이상했는데 정치인임;
@dreamcatcher4446
@dreamcatcher4446 Ай бұрын
원래 교수가 예측잘하는거 보셨수...그냥 학자요....
@surisuri4280
@surisuri4280 3 ай бұрын
정말 중요한건 일본은 2위찍고 엔화가 거의 기축통화에 가까운 금융구조를 만들었으니까 그나마 저정도 버틴거지. 한국은 남미처럼 될 걱정을 해야되는게 맞는겁니다ㅡㅡ 한국이 그정도는 아니라는 안일한 생각들을 하는데. 망한 나라들도 잘나갈땐 다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johne9927
@johne9927 3 ай бұрын
아르헨티나를 보라!
@jgkim4660
@jgkim4660 3 ай бұрын
일본 4 위로 추락~ 엔저현상으로 대기업만 좋고 중소기업 문닫는곳많고~ 국민들도 지갑 닫았는데~ 뭔~ 기축통화?? 댓글달려면 공부좀 더~~ 하시고 ~ 난 도쿄에살고 있음
@surisuri4280
@surisuri4280 3 ай бұрын
@@jgkim4660 님도 공부좀 하세요. 한국이 일본처럼 장기저금리에 국채찍어낼수있는 나랍니까? 경상수지 흑자로 장기무역적자 감당 되나요?
@sur1849
@sur1849 2 ай бұрын
​@@jgkim4660그래도 4위라고 생각해야하는게 맞지 않냐?ㅋㅋㅋ
@user-kd9xi6xd5y
@user-kd9xi6xd5y 2 ай бұрын
@@jgkim4660 그건 엔저라서 수치를 달러로 표시하기때문에 일본이 내려간거뿐임
@user-kl6xf4tb9k
@user-kl6xf4tb9k 3 ай бұрын
상호신용금고 뱅크런 및 부동산PF 문제를 한국 정부가 잘 막아서 금융위기가 없는게 일본하고 다르다는 건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그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며 금년에 뇌관이 터지지 않을까요
@jojozzang
@jojozzang 2 ай бұрын
부도액에 1/10을 은행에 주면 됩니다.
@user-ez9uy7tj5m
@user-ez9uy7tj5m 2 ай бұрын
정답^^
@user-pt5qt2uz5r
@user-pt5qt2uz5r 2 ай бұрын
그쵸 잘 막은게 아니죠 저는 오히려 과도한 정부 개입이라고 봅니다. 일본이 30년을 버티고 다시 부활하고 있는게 저 사람이 말하듯이 전부 대외적인 영향으로 부터 온게 아니죠. 경제 위기속에서 기업들 구조조정이 자연스럽게 진행되었고 동아시아에서 제일 낮았던 출산율도 잘 방어해서 지금은 제일 높아졌죠. 생산 가능인구가 제일 유지가 잘되고 가계 자산 구성에서 금융 자산 비율도 높고 내수도 튼튼해서 앞으로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데 역시 한국인들은 감성으로만 바라보니 한국은 일본보다 나을거라고 믿고 싶은거겠죠. 모든 지표가 일본 버블 붕괴보다도 처참하다는 사실을 기를쓰고 외면하고 있는겁니다…
@user-dx2yl1fq7u
@user-dx2yl1fq7u 2 ай бұрын
아니 국제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시는 조ㅈ문가 데려다가 가스라이팅 오지게 하네요??
@hihappy82
@hihappy82 2 ай бұрын
20년 대중 연구하고있는데. 중국은 한국에 더이상 사줄게 없습니다 예전엔 신발 옷같은걸 사갔어요 지금은 반도체 장비빼고는 경제규모로보면 나머지는 약소합니다 줄을 스던안서던 이제더이상 한국물건을 많이사주던 중국은 옛날에 중국이 아닙니다 오히려 중국에서 수입을 많이하죠 대중적자가 정치적인이유라는건 편견입니다
@jhonneyKim
@jhonneyKim Ай бұрын
화장품, 삼성핸드폰, 엘지 에어컨 안사가고? 20년 대중연구? 풋!
@jeendeer
@jeendeer 28 күн бұрын
​@@jhonneyKim중국산에 비해 경쟁력이 없음.한국선 중국산은 싸구려라고 홍보하지만 사실 대부분 럭셔리도 중국산임.
@myungjinpark3133
@myungjinpark3133 23 күн бұрын
@@jhonneyKim 거 경제 기사는 읽고 그런 댓글 다시쥬..? 한국산 제품중에 10% 넘는거 어디있다고 그럽니까.... 제발 한국 언론 선동좀 믿지마세요. 거기 그냥 기득권 프로파간다 뿐인데
@JaeWon.Lee.
@JaeWon.Lee. 12 күн бұрын
저사람 문재인 비서실장 출신임 뭔 정신나간소리하나 했더니만 문재인 비서실장출신이라 아직도 중국에 관해서 우호적인 얘기하고 다니는거임 이미 무역적자국 돌아선지가 오래됬는데 sbs도 이딴 사람을 데려와서 강의하도록 시킨거 보니 의심스러움
@JaeWon.Lee.
@JaeWon.Lee. 12 күн бұрын
저사람 문재인 비서실장 출신임 탈중국 하면 안된다 하면서 과할정도로 중국과의 무역에 대해 과장해서 얘기하는거 보고 이상하다 싶어서 찾아보니 역시나..
@munzajomba
@munzajomba 3 ай бұрын
자영업자들이 너무많은것도 기형적인 나라발전 저하에도 한몪하고있죠. 자영업이 번성하려면..관광산업이 필수인데..이것 또한 현상황에선 어렵다는게 문제입니다.
@user-ky8jq6ds2b
@user-ky8jq6ds2b 3 ай бұрын
정치가 이래서 중요한데...자기자리보전을위해 있는것들이 나라를 좀먹고있는중
@user-zg6gf5mb4k
@user-zg6gf5mb4k 2 ай бұрын
둘다 틀림 한녀가 문제님
@user-bk2jb2vd6p
@user-bk2jb2vd6p 2 ай бұрын
@@user-kr3js1mi6n 정작 집값때문에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들었고 대한민국이 생환할 마지막 기회에서 산소호흡기를 뗸건 문재인정부 ㅋ
@user-hk3cy8tr9e
@user-hk3cy8tr9e 2 ай бұрын
​@@user-kr3js1mi6n문재인 5년 무역수지그래프보세요 5년동안 기업규제를 했으니 기업이 망하는건 당연한거죠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2 ай бұрын
사기치는 김현철...암람보고서엔 탈중공기업들 정착지가 ....일본이 아니라 싱가폴이 1위 그다음이 한국이라는 사실.....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2 ай бұрын
문재인때문에 나라가 사실상 망함
@user-hn5qw2xt2f
@user-hn5qw2xt2f 3 ай бұрын
마지막 위기인 내수, 가계대출이 세계 최고이고 기형적으로 많은 자영업자 비중에 자영업자들 월평균 소득이 165만원인 점 등을 가만하면, 마지막 위기인 내수문제, 터질 수 밖에 없을거같아요.
@user-mc5rg9zm9t
@user-mc5rg9zm9t 3 ай бұрын
책임지는 어른이 없다. 한심한 대한민국.
@KM-ul1dv
@KM-ul1dv 3 ай бұрын
이미 이승만 정권이 들어서면서 답은 이미 나왔었죠.
@user-kr6ss5wx7t
@user-kr6ss5wx7t 3 ай бұрын
@@KM-ul1dv 그 이승만 정권이 안 들어섰으면 넌 지금 아오지에 있어 멍청아ㅋ
@MCMH5.23
@MCMH5.23 3 ай бұрын
그럼 북한가던가 ㅋㅋㅋㅋㅋㅋㅋㅋ
@leeck_anderson9492
@leeck_anderson9492 3 ай бұрын
무정부상태 ㅋ
@user-to1yr5du4k
@user-to1yr5du4k 3 ай бұрын
정치인들이 해쳐먹을 결심만 있지
@user-hk3cy8tr9e
@user-hk3cy8tr9e 2 ай бұрын
중립은 힘이 있어야가능한거다 주한민군 없으면 한국은 내일 이라도망할수도있는데 중립드립치네 바로나간다
@allerbeste8443
@allerbeste8443 23 күн бұрын
주한 미군이 없으면 망한다고?
@germanwatcheskorea
@germanwatcheskorea 3 ай бұрын
일본과 한국의 태산과 같은 차이점: 1.. 일본은 돈을 무한대로 찍어내도 기축 2.. 내수시장 규모 3.. 원천 기술 (조립만 빨리하는 한국과는 차원이 다른) 4.. 일본은 실제로는 미국
@2odhwka
@2odhwka 3 ай бұрын
@user-bm9oy2yy1r 일본은 엔화가치가 떨어져도 그걸 내부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다 장치를 마련해놓았다는 뜻인거 같네요. 실제로 그렇구요. 일본은 금융으로 먹고 사는 나랑닙니다.
@user-gy9kt8fc8u
@user-gy9kt8fc8u 2 ай бұрын
네 헛소리 잘 들었습니다 1. 무한대로 찍어내면 지폐휴지조각 되어서 베네수엘라 됨 상식 있음? 2. 소부장? 결국 완제품만드는 회사가 매출이 높음 대만봐라 얼마나 임금이 적냐 3. 내수시장? 장난침? 일본도 내수시장 가지고는 살아남을 수 없음
@user-wk9jg8gz5i
@user-wk9jg8gz5i Ай бұрын
​@@user-gy9kt8fc8u 말이 그렇다는거지 진짜로 무한대겠냐고 아 ㅋㅋ
@JaeWon.Lee.
@JaeWon.Lee. 12 күн бұрын
1.돈을 그렇게 찍어내서 현재 국가부채 세계 1위 2.고령화로 내수 시장 박살난지 오래됨 3.원천기술 하나는 인정해줄만함
@daritol
@daritol 3 ай бұрын
자산에 대부분이 부동산에 있는데(게대가 부채끼고) 그게 떨어지면.. 무섭다
@kmc9520
@kmc9520 3 ай бұрын
아 몰랑 그래도 집 값은 오를거야~~ ㅋㅋㅋ
@user-wx1xm7te2z
@user-wx1xm7te2z 3 ай бұрын
과연? ㅋㅋ
@SNIPER-XYZ
@SNIPER-XYZ 3 ай бұрын
부동산 유튜버들이 장기적 우상향 뽐뿌질 하면 오를거에요 ㅎㅎ
@jihwanlee3327
@jihwanlee3327 3 ай бұрын
과거 부동산은 오르지 않게 정부가 최대한 잡아야 했음 이제 부동산 잡으려 하면 나라 망할 지경임 ㅠㅠ
@user-px7rg7qk9j
@user-px7rg7qk9j 3 ай бұрын
@@user-ex3ym5bs5j뭐가 기쁘냐 2찍아ㅋㅋ
@user-bz8bn4jr2s
@user-bz8bn4jr2s 2 ай бұрын
이분 말이 틀린게 중국 경제가 나빠서 의존도 높았던 우리나라 경제가 충격받은거임 중국의존도 높았던 독일은 지금 마이너스 성장임 중국의존도 줄여서 인도등으로 분산해야함 교수라는 분들도 이념에 매몰되면 무식할수가 있구나 느끼고 갑니다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2 ай бұрын
ㄴㄴ 한쪽이 듣기좋은소리해서 떡고물 받아먹고 비례대표 한자리나면 대박이고 그런거지
@gudangkim7191
@gudangkim7191 2 ай бұрын
1:56 // 영상을 다시 보세요;;
@todietfordietbydiet3814
@todietfordietbydiet3814 Ай бұрын
​@@gudangkim7191영상 다시 봤다. 그래서 교수말이 틀린거지. 넌 뇌를 다시 바꿔라
@kan3238
@kan3238 Ай бұрын
이념에 매몰된건 똑같아요. 님도 책 한권 읽고 아는척임.
@user-gh9dc1rb9g
@user-gh9dc1rb9g 14 күн бұрын
@@gudangkim7191뭘 봐?
@etce117
@etce117 3 ай бұрын
한국의 소비감소는 가계부채 과다로 개인들 가처분소득이 줄어서임. 결국 집값을 대출로 끌어올린 정부 책임이큼.
@Hoectun
@Hoectun 2 ай бұрын
문재인!
@user-qx4fr5bn8h
@user-qx4fr5bn8h 2 ай бұрын
@@Hoectun 윤석열이 오히려 상류층들한테 실질혜택 주는게 더 많은데..? 집값 내린다더니 오히려 더 오르고잇음 ㅋㅋ
@stc9866
@stc9866 2 ай бұрын
문재인 정부때 영끌 못하게 대출 막는다니깐 아주 길길이 날뛰면서 욕하던 사람들 생각남 ㅋㅋㅋ
@etce117
@etce117 2 ай бұрын
@@stc9866 누군가요?
@user-tn5zc5uw7r
@user-tn5zc5uw7r 2 ай бұрын
@@Hoectun 똥싸는소리 전세계적으로 금리탓으로 오른거지. 집사지 말라고 경고많이 햇음.
@user-fj1qw3mm7n
@user-fj1qw3mm7n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음. 일본 많은 기업들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데 성공했고 이로 인해 지방 경제가 살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함. 우리나하는 지금 출산율 0.6명대인데 미국이나 일본이 이미 보여준 지방의 대학, 경제 활성화를 통한 저출산 문제 해결이라는 답이 있음에도 이를 참고 하지도 않고 자출산 문제를 해결할 의지도 없어보임. 대한민국이란 나라는 단기간에 불같이 타올랐다가 불같이 사라질 운명인가봄.
@Bismuth-ig5ru
@Bismuth-ig5ru Ай бұрын
ㄹㅇ 발해랑 평행이론
@yosub1225
@yosub1225 3 ай бұрын
미국이 자신들의 편으로 안 선다면 한국 반도체 산업을 죽일텐데.. 중립이라.. 가능 할까요? 중립외교를 할려면 인도처럼 아쉬울게 없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아쉬울게 투성인나라임. 그렇다고 제1교역국 중국에게 붙자니. 중국은 이미 한국을 소국으로 보고 기술탈취를 일삼는데. 중국이 한국에게 어떤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저는 오히려 해답은 미국에게 확실한 동맹으로서 요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의 편 하면 우린 제1교역국을 잃는다. 그러니 그에따른 이득도 우선적으로 우리에게 달라. 그렇게 말하는 대통령이 없으니 이런 꼴 당하는거 아닌가요?
@danano
@danano 3 ай бұрын
이래서 대통령이 중요한거죠! 당신의 논리대로라면 그나마 지금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죠!!! 본인의 역량과 정부적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응력은 차원이 다르죠! 본인의 짧은 생각만으로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한심할 뿐!
@yosub1225
@yosub1225 3 ай бұрын
@@danano ㅋㅋㅋㅋ 그런 넌 무슨 대단한 생각이 있는지 들려줘. ㅋㅋㅋㅋㅋ
@yosub1225
@yosub1225 3 ай бұрын
@@danano 말투가 한국사람 아닌거 같은데?. ㅋㅋㅋ
@yosub1225
@yosub1225 3 ай бұрын
@@danano 남의 생각을 짧은 생각이라고 비하하기엔 당신은 아무런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음 ㅋㅋㅋㅋㅋ 대통령을 잘 뽑으면 된다? 진보와 보수가 번갈아 가면서 집권하는 나라인데. ? ㅋㅋㅋㅋ.
@yosub1225
@yosub1225 3 ай бұрын
@@danano "당신의 논리대로라면 그나마 지금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죠!!!" -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의 정부 관계자가 미국을 선택하라 라고 까지 이야기가 나왔음. 그리고 사드배치 이후로 중국은 대 놓고 한국의 산업에 제재를 가하고 있음. 대한민국이란 큰 배는 그렇게 쉽게 뒤집히지 않음 천천히 힘이 빠지는 거지. 중국과 미국은 한국을 자기편으로 끌어 오기위해 협박을 하고있는 것임. 인정? "본인의 역량과 정부적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응력은 차원이 다르죠!" - 국가의 역량과 개인의 역량을 비교하는 거 차제가 바보같은 이야기임. 허나 한 명의 시민으로서 국가의 방향에 대한 개인적 주장은 할 수 있음. "본인의 짧은 생각만으로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한심할 뿐!" - 이 말도 바보 같은게 본인의 말에도 자기의 주장과 생각이 담겨 있음. 누구나 주체적인 시민으로서 국가의 방향에 의견을 제시 할 수 있음. 그거 하라고 유튜브 댓글 창이 있는거임. 생각의 다름에 있어 존중받지 못하는건 상관 없는데 남의 이야기를 생각이 짧다고 비하하는 당신의 태도를 보면 당신 역시 대단한 주장이나 생각이 있어 보이지는 않음. 그리고 내가 왜 방법이 없다고 했음? 군사동맹이고 반도체산업의 파트너인 미국과 더 교류를 강화하자는게 내 방법인데 문제 있음? 본인과 생각이 다르다고 생각이 짧네 마네 무시하는게 더 나은 사람의 의견인가? 나랑 도긴개긴 같은데>?
@ji-seockyun2350
@ji-seockyun2350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이미 소멸중입니다. 내수는 점점 더 쪼그라들 것이고 내수에 의존하는 소상공인 자영업 경제는 더 폭망할것이란건 누구나 상상 가능한것이죠. 망했어요.
@naziium
@naziium 2 ай бұрын
한국 경제탈출구 진짜 어딘지 못찾겠어요.. 망했다는 직감이 듭니다..
@user-im8ix7qq3w
@user-im8ix7qq3w 3 ай бұрын
인스타 보면 다들 잘 살어~ 아무 걱정하지 말어~ 나도 오늘도 점심 컵라면이야~
@DonaldJohnTrumpV2
@DonaldJohnTrumpV2 3 ай бұрын
아재 밥좀 드소.... 밥 먹고 힘내요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3 ай бұрын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한국에도 국가사회주의가 필요할 시기라고 봅니다.
@user-bf5sv6de2r
@user-bf5sv6de2r 3 ай бұрын
인스타로 경제를 파악하노 ㅋㅋㅋㅋㅋㅋ한심하다 ㅉㅉ
@user-pw3wj5tp4h
@user-pw3wj5tp4h 3 ай бұрын
​@@user-bf5sv6de2r돌려까기.
@user-px7rg7qk9j
@user-px7rg7qk9j 3 ай бұрын
@@user-bf5sv6de2r스벅이나 이런데 가면 사람 ㅈㄴ많다ㅋㅋ 이쯤해도 경제가 잘 돌아가는지 판단할수있다ㅋㅋ
@smj5295
@smj5295 2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아무리 중국을 싫어한다고 해도 중국 사람들이 여행오면 소득 늘어나고 중국에 수출하면 우리나라 성장에 도움되는 건 사실임 국제정치는 감정으로 해결하면 안됨 정부도 국민 감정 따라 가는데 그러면 안되는데....
@JIGU-
@JIGU- 2 ай бұрын
오히려 그래서 더욱 중국과 손절해야한다고 봄 중국은 지속적으로 한국의 기술을 빼돌리고 문화,역사를 흡수해 여전히 하나의중국을 밀려고 하는중임 그런나라에 당장 눈앞의 이익을 위해 관계를 유지한다고? 그리되면 머지않아 한국이란 나라 자체가 없어지는거임
@wonlee8153
@wonlee8153 3 ай бұрын
이사람아 이제는 반도체 ,몇가지 품목빼고 중국으로 수출할만한것이 없네, 이제는 거의 모든물품에서 경쟁상태가 되었는데 ,무슨 헛소리를 하는가? 그나마 미국덕분에 ,삼성이 살아남을수 있었고 이나라가 ,살수 있었네, 미안하지만 중국이 흥한다면 이나라는 미래가 없내. 중립???????????? 말로는 정말 너무너무 달콤한소리지,
@user-zq7ql9dv6u
@user-zq7ql9dv6u 3 ай бұрын
이 사람 청와대에서 일하다 헬조선 거리지 말고 동남아나 가라던 분 아닌가 ㅋㅋ 양심이 없네 ㅋㅋ
@dddk236
@dddk236 2 ай бұрын
일본이 싸구려 국가고 부가가치가 낮은 생산을 하고 있다고... 김현철말고 세상 어느 누구가 이런 🐕 참신한 얘기를 할까 😅
@kimjuhyun0124
@kimjuhyun0124 3 ай бұрын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략한 와중에 중립이라 ㅋㅋㅋ 대학교 공자학원 나왔나요? ㅋㅋㅋ
@wjdclgu
@wjdclgu 3 ай бұрын
중립외교가 쉽지 않죠...그리고 어차피 이제 중국에서 반도체 빼고는 죄다 자체생산하는 분위기라서 이전처럼 수입을 많이 해주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미국 제재가 없었으면 반도체마저 중국에게 밀렸을 가능성이 있죠..지금은 정부의 말대로 중국은 중국대로 하고 수출을 다변화하는데 힘써야 합니다. 그게 살길입니다.
@catfather4487
@catfather4487 3 ай бұрын
ㅇㅈ.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이 자동차,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들인데, 이미 자동차랑 석유화학 제품들은 중국에 어느정도 따라잡혔다고 봐야 함.
@daviddk9290
@daviddk9290 3 ай бұрын
원론적으로 다변화는 맞는데 문제는 너무 공식적으로 탈중국을 천명하고 중국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는게 문제임
@daeyeol4424
@daeyeol4424 3 ай бұрын
무식한 윤정권의 무능한 친미 정치로 미국,일본.대만등등 다른 나라들에게 중국의 노다지를~~ 전년도 금융과 수출입 통계가 우리나라의 무식한 외교의 영향임,,,
@leeck_anderson9492
@leeck_anderson9492 3 ай бұрын
수출 다변화도 안하고 미국 눈치보면서 다자고짜 탈중국 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이 사단 났는데 정부는 아몰랑 빤스런 ㅋㅋㅋㅋㅋ
@jae-hyoungkim7538
@jae-hyoungkim7538 3 ай бұрын
이 교수가 현장을 잘 모름..탈중국 일본은 거의 끝냈고..구미도 상당 부분 진행.. 중국에 기대 발전하는 시대는 지났음..
@user-ku1qo8jd3t
@user-ku1qo8jd3t 2 ай бұрын
근데 중립이 가능해요? 미국은 지금 우리에게 역할과 부담의 분담을 요구하는데 그리고 중국의 1도련선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의 접전에 한반도가 있는게 어떻게 중립이 가능해요??
@Football_Fan693
@Football_Fan693 Ай бұрын
노력은 했냐? 뭐만하면 친중 빨갱이 거리는 (자칭)우파들은 발목 안잡고 가만히 있었고?
@user-ou9oz4wk7y
@user-ou9oz4wk7y 2 ай бұрын
이 교수도 잘못 아는 것 같은데 경제 탈중국은 어쩔 수 없다고 보는데... 옛날에 중국이야 한국이랑 중간재 경쟁자가 아니었지만 지금은 전자제품, 자동차에서 중간재 경쟁하는 경쟁국으로 치고 올라왔기 때문에 중국이 점점 자국 물건을 이용하지 한국 거 이용 안 하는데 계속 경제 이익을 위해 중립 지키고 기업 나가지 마라는 건 좀 어불성설
@Kingscos
@Kingscos Ай бұрын
이미 한국의 고점은 지낫고 내리막만 남앗음 한국이란 나라의 모든 메리트가 없어짐 쥐꼬리만한 나라가 용케 여기까지 버텨온것만으로도 천운이었음 이제 시작임 진짜 각자도생이고 한국은 다시 외세침략까지 생각해야되는 지경임
@user-jj9tt4ql7z
@user-jj9tt4ql7z 3 ай бұрын
중국으로의 수출감소는 탈중국 탓도 있겠지만, 중국의 부동산 버블 붕괴와 부동산경기 폭망으로 중국이 어마어마하게 침체에 빠진 탓도 큽니다.. 당장 자기들 먹고살기가 힘든데 무슨 한국에서 수입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님께서 탈중국을 비판하는 의견으로 너무 편중되신 것 같아 첨언하자면,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탈중국은 중국 자신이 스스로 초래한 결과라고 보는것이 맞습니다. 걸핏하면 한한령, 사드 제재, 민족주의적인 불매운동 등 자신들의 경제력과 자원을 무기삼아 주변국의 내정에 너무 무례하고 강압적으로 간섭을 많이했어요. 이로인해 롯데마트등 한국기업들이 설비값 건물값등 본전도 못건지고 철수해야 했죠. 이런점들이 중국편중된 경제의 리스크를 부각시켰어요. 어느 나라든 경제는 중요하지만, 안보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나라는 없을것입니다. 그래서 탈중국으로 귀결된것이에요
@art0411
@art0411 3 ай бұрын
네...맞는 말씀입니다....하지만 탈중국을 너무 선언적으로 행동 한 것이 아쉽다는 것이겠죠.....
@user-zu2dz7di3e
@user-zu2dz7di3e 3 ай бұрын
그럼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가야 하는걸까요? 탈중국 말로는 외치지만 중국으로의 수출만 줄이고, 수입은 여전히 하고 있는게 탈중국?
@wsanghyo
@wsanghyo 3 ай бұрын
동감. 중국 자체가 가라않고 꿀 빨던 것이 빠진 것이지, 탈중국 선언으로 빠진것이 아님.
@sss75651
@sss75651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그리고 이분은 그 말씀하시는 중립이 현실적으로 외교적으로 가능한건지.. 발음은 중국발음느낌이나네요
@user-vl5ds8mc5m
@user-vl5ds8mc5m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왜 중국에 수출 날개 달았나
@user-jp3ur9yc9z
@user-jp3ur9yc9z 3 ай бұрын
홍콩싱가포르는 출생률 낮아도 최저임금 적용안되는 저임금 외국인 사용 가능해 성장률 유지하는거라봅니다
@hkhkhkhkhk
@hkhkhkhkhk 2 ай бұрын
둘 다 금융허브로 자리 잡았다보니, 고소득 외국인 노동자도 엄청 많은 도시기도 합니다.
@HK-ws8ro
@HK-ws8ro 3 ай бұрын
다들알지 나라 망한거. 그런데도 아무것도 안하자나 지금 기득권애들은 아직도 부동산 거품 키우기만 할려고 하지.
@OO-zm4qm
@OO-zm4qm 2 ай бұрын
금리 인하 될꺼라고 사람들 부추기는중 ㅋㅋ
@kck2090
@kck2090 2 ай бұрын
손쓸수가없는거지 이미말기암인대
@sevenoh9397
@sevenoh9397 3 ай бұрын
중국이 아직도 한국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너무 현실을 모르는 듯.
@DIY-vj1uo
@DIY-vj1uo 3 ай бұрын
중국은 중국이고 일본은 일본이로다~~ ㅎㅎ 깔 이유도 없고 치켜세울 이유도 없음.
@user-js8rf7yp8k
@user-js8rf7yp8k 3 ай бұрын
중국은 그냥 큰 시장일뿐 입니다. 아래 위가 아니라 .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3 ай бұрын
우리가 중간재를 중국에서 수입한다고 해서 중국이 한국을 쥐락펴락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당장 한국이랑 무역을 중단하면 중국은 반도체 수급 어디서 받을려고요? 미국? 대만? 일본? 다 사이 드러운데요
@user-jt4qk9sx5v
@user-jt4qk9sx5v 3 ай бұрын
문재인 대통령이 경제보좌관에 김현철(55)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를 임명했다.]]] (끄덕끄덕)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x7rg7qk9j
@user-px7rg7qk9j 3 ай бұрын
@@user-jt4qk9sx5v애도 2찍이네ㅋㅋ
@user-ts4qi9ti5z
@user-ts4qi9ti5z 3 ай бұрын
The lecture is very useful and interesting. I learned a lot. Thank you, professor.
@kapohh1
@kapohh1 3 ай бұрын
이미, 중국은 한국의 중간제등이 필요없이 자급가능한 수준으로 올랐고, 그러므로, 한국에서 수입할 물건이 별로 없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 친중을 한다해도 수출은 힘든상황... 다른 곳으로 수출을 다변화해야....
@leeck_anderson9492
@leeck_anderson9492 3 ай бұрын
수출 다변화는 안하고 탈중국만 주구장창 외쳐된 결과 참혹하죠? 2찍들이 책임지고 전부 자산 반납해야합니다
@Basseul
@Basseul 3 ай бұрын
반일, 최고동맹감비아, 반미, 친북, 친중을 외친 그 당이 그립습니다ㅠㅠ
@soonyounglee2526
@soonyounglee2526 3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내수만으로 활황인 국가아닌 고금리어못버티는 한국경제는 망하게되있지
@skimadragg
@skimadragg 2 ай бұрын
탈중국을 미국 탓하는 부분에서 그냥 거른다 ㅋㅋㅋ 이력 찾아봤더니 역시는 역시네. 그럼 태평양에 전쟁분위기 조성하는 중국의 자금줄을 막지 말고 걔들이 맘놓고 타국 침공할 수 있는 전비를 세계인의 지갑에서 각출해줘야 한다는 말인가? 예로부터 중국이 망하면 반도가 흥하고 중국이 강성하면 반도가 쇠했다. 혹세무민하며 사람들 현혹하지 마시길. 진짜 학자라면 학자의 양심에 맞는 길을 걸으세요.
@skimadragg
@skimadragg 2 ай бұрын
그리고 대중무역에서 적자가 나기 시작한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중국을 보이콧해서가 아니라 중국 산업이 고도화되어 우리와 경쟁관계가 되었기 때문인데 왜 이부분은 쏙 빼놓고 우리가 의도적으로 중국과 통상하지 않았다는 식으로 왜곡하십니까? 그리고 저렇게 중국 산업이 단기간에 고도화된 것은 중국인들이 한국의 기술을 각종 편법으로 빼돌리고 베꼈기 때문이라는건 왜 입 꾹 다물고 언급 안하세요? 처음부터 끝까지 아주 가관도 이런 가관이 없네요. 지금 중국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 잡아먹는 것을 마지막 목표로 하고 있고, 우리는 이 마지막 밥줄을 지키기 위해서 미국의 대중국 포위망을 적극적으로 따라갈 수 밖에 없는겁니다. 반도체 현업에서 구르는 사람들은 이미 다 아는 이야기를 나름 대한민국 굴지의 명문에서 강단에 서시는 분이 모르실리는 없을테고 참... 이런식으로 학자로서의 양심을 버려서야 되겠나요?
@user-zc2zy3rn2l
@user-zc2zy3rn2l 3 ай бұрын
교수님 어서 들어가세요.. ... 교수님이 예전부터 말씀 하신것들을 한번 돌아보세요... 다 틀렸습니다... 뻔뻔스러움.
@user-vm7lo9fx3d
@user-vm7lo9fx3d 3 ай бұрын
정치가 최대 리스크
@user-rd8md8mq6v
@user-rd8md8mq6v 3 ай бұрын
나이스🎉
@user-wq7up9oe7s
@user-wq7up9oe7s 3 ай бұрын
"탈중국" 하지않는다면 얻는것보다 잃는게 더많을수있습니다. 지금도 "기초산업"을 빼앗겼다고도 보입니다.
@user-sv5xe6rc9r
@user-sv5xe6rc9r 3 ай бұрын
중국의 기초산업은 인건비 설비 투자 따라가는거라 자연적으로 이동한거고 중국에서 동남아로 또 이동할껀데 일본이 더 문제지 일본이 경제적으로 공격을 매년 해왔는데.. 나라는 방치.. 철근덤핑공격 도 국제 소송도 안검 . 오염수도 나중에 2차피해가 올지안올지 확실이 모르는데 일단 방류허락... 일본에 퍼주는 이유가 뭔지... 중국은 그래도 이득이라도있었지..
@user-hj7hf7zc5e
@user-hj7hf7zc5e 3 ай бұрын
말씀 참 쉽고 차분하게 잘하시네요... 잘들었습니다 ^^
@hiabc5628
@hiabc5628 3 ай бұрын
13:27 일본은 20년간 출생률 많이 내가지고 투입 많이 하지 못했는데, 했다는 식으로 말하네요ㅋㅋㅋ 요새 하기 시작해서 호황을 누리고 있는데 ㅋㅋㅋㅋㅋ
@yjk8524
@yjk8524 2 ай бұрын
일본이 임금을 올려서 내수침체를 벗어나는거랑 과거 문재인때 최저시급 인상하는거.... 사실 일본이 우리나라를 보고 배운거 아닌가여? 교수님 말씀하시는거 보면 일본을 보고 배우자로 들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기업이 해외로 나가면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일자리는 줄어드는거 아닙니까? 미국도 그런이유 때문에 제조업이 부실해 지면서 중산층이 붕괴되었는데 이해가 되지 않네요
@user-wb9en5cn6y
@user-wb9en5cn6y 3 ай бұрын
중립하고 양쪽과 잘지낼수만있으면 좋겠지만 이건 말. 뿐인 이상론일뿐.. 현실적인 이야기를 원합니다.
@yongminyoo7
@yongminyoo7 2 ай бұрын
여태까지 어느 한쪽에 너무 치우치지 않고 쭉 살아왔었지. 지금 석렬이가 하는게 너무 이상한거요. 정신차리소 ㅉㅉ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2 ай бұрын
​@@yongminyoo7여태까지 ai고 서맛터폰이고 인터넷이고 그런거 없었제잉 세상이 계속 그렇게 흘러갈거랑께
@ckdghm
@ckdghm 2 ай бұрын
@@sgwuqgeuqjahdjwydjw4434 랑께 거리는거 보니까 눈깔돈 경상도 하나 있네 ㅋㅋㅋ
@user-ck8ex2jy2c
@user-ck8ex2jy2c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오천년 유사이래 지정학적 특수성을 잊지말아야, 어느 한쪽에 편중한 제왕이 제대로 국정운영한 제왕은 없지요, 국가의 대사를 , 중론을 수렴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이게 대한민국의 한계임, 그 한계점의 원인, 해결책은 다 알고 있으나, 국론분열, 조선시대 당파싸움과 비슷함
@jjonpark44
@jjonpark44 3 ай бұрын
미래에서 왔어요 대한민국은 잃어버린 50년 됩니다
@indora2928
@indora2928 2 ай бұрын
중국처럼 막 나가는 국가랑 계속 친하게 지내자는게 더 황당함...탈중국하고 대신 새로운 시장으로 동남아시아랑 가까이 지내야함.. 그게 정상임.
@inv0019
@inv0019 3 ай бұрын
이사람 서울대학교 교수 맞아? 균형을 잡으라고 그게 말이 되는 소리인가. 미국과 중국이 싸우는데 균형을 어떻게 하라고? 미국에게 중국따위가 감히 대적할수 있다고 생각하는건가? 나라 사이즈 크다고 인구 많다고 다 초강대국 하는거 아닌데. 우리나라 이제 첨단 제조산업 아니면 답 없다. 중국이 예전에 대한민국으로부터 중간재를 많이 사서 우리 보통 제조업들 다 순풍이었지. 다들 그렇게 미국에 간접적으로 수출 했지만 이 중국 친구들도 이제 좀 컸다고 우리나라거 안쓰고 다 지내꺼 만들어서 팔아. 그래서 지금 대중국 무역이 폭망하고 있는거지 그래서 굳이 미국에 밉보이면서 까지 중국이랑 친하게 지낼 필요가 없어. 그리고 일단 첨단 제조산업 특허며 기술이며 소프트웨어가 다 어디꺼냐. 미국꺼야. 까딱하다간 중국 화웨이 처럼 골라간다. 트럼프가 행정명령 한방에 날려버린거 못보셨나. 오히려 미국에 찰싹 붙어서 외교나 안보같은거 들먹이면서 더더욱 기술을 뜯어내고 특허도 막쓰게 해달라하고. TSMC 처럼 무시할수 없는 강력한 제조기술로 안보와 산업을 모두 지켜내야지. 삼성전자가 이제는 정말 큰일 해 줘야해. 평택에 10배럭 짓는거 저거 잘 되야해. 나라의 운명을 건 일이 되었다.
@user-bn5vy2ni5k
@user-bn5vy2ni5k 3 ай бұрын
중립이 말이 쉽지. 양옆에서 압박하는데!! 초격차 기술이 있거나 강력한 군사력이 있어야지 중립을 지킬수있지
@user-mr7pj4vy8o
@user-mr7pj4vy8o 2 ай бұрын
흠 탈중국은 세계의 흐름인데 잘못된 선택이라는건가?
@economicstatistics3219
@economicstatistics3219 2 ай бұрын
미국의 흐름이겠지
@user-hm2qk9vz6o
@user-hm2qk9vz6o 3 ай бұрын
내수가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다음 바로 출산율은 성숙 경제 상황에서는 크게 의미가 없다라고 하시는 부분에서 영상 돌립니다 ㅎㅎㅎ
@user-ur6tg4rw3z
@user-ur6tg4rw3z 3 ай бұрын
ㅠㅠ..
@user-xt5qs7vi8i
@user-xt5qs7vi8i 3 ай бұрын
중국은 정치적 이유를 빼더라도 더이상 우리물건을 사지않는다 중국에 너무 집중하지말고 다변화를 지향하는게 맞다고생각한다 어차피 중국빨아도 개네들이 우리물건안산다고 중국같은 양아치시장에 공들이지말자 한류가 사드위기로 더 잘나가듯 일시적으로 침체가생길수잇더라도 전보다 더잘나갈거라 믿는다 대한민국. 모두힘냅시다
@_F_Y_
@_F_Y_ 2 ай бұрын
이런 사람이 서울대 교수라니… 참 심란하다.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무지인.
@user-le7ld2cj9o
@user-le7ld2cj9o 3 ай бұрын
김현철교수님은 너무 친중이시네요. 말씀을 들으니 현실과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 듭니다.
@yonghyunyoun
@yonghyunyoun 3 ай бұрын
생존에 친중 친미 논쟁이 무슨 소용인가.. 실리 외교로 생존했고, 특기가 실리 외교인 민족이 극단으로 치우치니 망하게 됐지..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3 ай бұрын
정말 친중 교수들 영상은 못 보셨나봐요 친중만 아닌게 아닙니다. 다른것도 있어요 대학교수들 영상들 다보고 있는데 교수님들은 학자들이라서 현실성이 떨어지는것도 있지만 철저하게 누군가의 대변인으로 말을 하는 이들이 많더군요 그나마 사업가들이 정확하게 말해주는데 일본과 중국쪽은 죄다 교수님들밖에 안나오고 일본쪽은 일본이 당장 망할것 처럼 애기하고 중국쪽은 세뇌도 아니고 아니면 중국경제가 아주 위험하다거나 모아니면 도 중동쪽은 아예 대박이니 이렇게 포장되고 근대 그건 교수만 사업가분들은 아니더군요
@user-le7ld2cj9o
@user-le7ld2cj9o 3 ай бұрын
@@yonghyunyoun 미중갈등으로 예전과 달리 어느 쪽이든 한쪽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중국은 자신보다 약해보이면 전랑외교로 깡패짓을 하니 선택의 대상이 아닙니다. 시대가 바뀌었음을 인정해야죠.
@yjkim8703
@yjkim8703 3 ай бұрын
@@user-le7ld2cj9o 시대가 바뀌였으니 더 신중하게 선택하야죠 .. 윤정부가 극단적으로 미국 선택해서 미국이 뭐 해줬지? 한국기업 미국에 끌어들이고 미국 경제 살리는데에 열중하는것 더 이상도 아니라는것 안보이나요 ? 한국이 점해있던 중국 반도체 시장 점유율 ,미국으로 흘러가는 추세 안보이세요? 그래서 외교는 모호성이라고 하는것입니다. 어린아이들이 소꿉놀이처럼 니가좋다 쟤가 좋다 라고 선택하는게 아니라 .
@user-kr3js1mi6n
@user-kr3js1mi6n 3 ай бұрын
@@user-le7ld2cj9o그건 너같은 2찍같은 애들이 ㅇㅈ을 안하는거지ㅋㅋ
@user-xn2it5rt3u
@user-xn2it5rt3u 3 ай бұрын
@user-tz7vx5tf6g
@user-tz7vx5tf6g 3 ай бұрын
망해가는 중국에서 빨리 빠져 나오는 것이 답이지 뭔 소리를 하고 있노. 서방국가들도 탈 중국하는데 한국이 뭔 재주로 버티냐..제1 교역국을 다국적으로 바꾸면 되지..중국에 속박되면 중국이 우리나라에대한 협박과 간섭이 심해질거고 또한 믹국과의 사이도 멀어질거다. 이 양반 중국 중국 하는 것이 수상하내 중국한테 돈 먹었냐
@user-ir7dc9qt6v
@user-ir7dc9qt6v 3 ай бұрын
+혈 1350원이 고환율??? 일본이 저리 된 것은 다 외국으로 기업이 다 나가서 그런것 아닌가요. 한국도 반도체, 이차전지, 재생에너지 등등등 최첨단 산업이 전부 미쿡으로 가고 있는데 뭔 소린지 원. 부가가치의 의미를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진짜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은 사람이 필요하지 않는 산업인데. 지금 50~60만씩 쏟아지는 일자리는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요. 지금 태어나는 20만명대 세대는 한국에 있으면 개폭망입니다. 킨샤샤콩고 의대, 탄자니아 공대 이런곳으로 가야지 서울대(?) 가면 미래가 나락으로 떨어질 것 입니다.
@monstershonda
@monstershonda 2 ай бұрын
교수가 멍청한소리만 하네
@user-gw6jm9bf1s
@user-gw6jm9bf1s Ай бұрын
저환율로 수출은 괜찮은듯 내수는 워낙 작으니 ㅠㅜ 서민들만 힘들듯
@netts8970
@netts8970 3 ай бұрын
전문가 맞냐? 이제 중국도 우리나라에서 수입할게 없음 다른부분들은 중국이랑 경쟁하는 단계에 접어들어서 앞으로도 교역 규모는 줄어드는게 어쩌면 당연한거다
@allennam9740
@allennam9740 3 ай бұрын
이분 서울대 교수라는데, 경제학적 근거는 하나도 없이 탈중국 때문이다가 끝임? 지금 경기침체 요인이 환율, 인플레이션 등이 주요하고, 중국에 수출을 금지한 것도 아닌데 정치적 레토릭 수준의 탈중국 선언으로 이 상황을 다 퉁진다고? 그리고 출산율은 장기 경제 성장의 동력이니까 경제적으로 당연히 중요하지, 뭔 도시국가 수준의 나라들이랑 비교해서 괜찮다고 하고 있네.
@fullstacknology1142
@fullstacknology1142 3 ай бұрын
ㄹㅇ 가만히 들어보니 도시국가랑 비교함 얼척이 없어가지고 ㅋㅋㅋㅋ
@user-qo1uj3qt2q
@user-qo1uj3qt2q 2 ай бұрын
그냥 고금라 안플래이션 못막은건데 교묘하게 정부 돌려까네 본질을 봐야지
@budabang
@budabang 2 ай бұрын
중립을 하면 좋은데 그게 되나요? 미국이 아니면 중국이 가만두지않습니다 중립은 우리가 핵이 있거나 강한 경제력이 뒷받침되지않으면 어렵지않을까요?
@globalkid117
@globalkid117 3 ай бұрын
경영학자가 경제학 약을 판다 ㅎㅎㅎㅎ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2 ай бұрын
저런 모든게 정부탓이라는 말을 해야 비례대표 떡고물 주워먹거든
@seoulb4491
@seoulb4491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사회적 지위나 지식 수준이 높다고 해서 합리적이라고 단정 할 수 없지만 그런 판단을 하시려면 최소한 책은 읽고 판단을 하시길 바래요
@SW-hq6do
@SW-hq6do 2 ай бұрын
아.. 어지간하면 댓글안다는데 이 교수님은 비약이 좀 심한것같네요. 대중국무역이 외교만으로 감소한것도 아니고, 저성장이니 자영업 여파니 이것도 최근 갑자기 발생한 것도 아님. 최저임금 급격히 올린 것에 대한 여파도 있고 글로벌 인플레 여파도 있는 건데.. 너무 이념이 씌워져있네요 이런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안됩니다.
@User18773
@User18773 14 күн бұрын
이사람 교육 현장에만 있었던거 같은데 중국에서 탈출 제때 안하면 ㅈ대는거 하나도 모르고 정부가 멍청하다고 말하네 .. 중국에서 건설현장 한국 회사들이 수주받아서 가곤했는데 그당시 장비를 컨테이너 하나에 최대한 많이 집어넣어서 갔지 근데 되돌아갈땐 컨테이너 하나에 한개씩만 넣어갈 수 있다고 하면서 건설장비를 다 뺏어가버림 그게 공산당이고 중국임 중국버리고 탈중국하고 친미 하는게 국익은 훨씬도움되는게 세상물정인것을 ...
@user-xq8sp5tn3r
@user-xq8sp5tn3r 3 ай бұрын
저 교수님은 중국이 언제까지나 한국물품을 수입할거라 생각하는걸까요? 중국은 한국이랑 산업분야가 매우 겹치는 경쟁국가 입니다.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3 ай бұрын
지난 10년 전부터 한국의 경제학자, 사회학자들이 모두 경고했지만, 기업들과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당장의 이익에만 몰두한 결과죠.
@user-yj7mg3yk6i
@user-yj7mg3yk6i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rayna2698
@rayna2698 3 ай бұрын
니가교수해라ㅋ
@evecrec
@evecrec 3 ай бұрын
식품 의류 신발 자동차 우리는 못 만들어서 외국에서 수입하나? lg 생건 아모레퍼시픽 작살나는 거 봐라
@user-nr4eg6sp2u
@user-nr4eg6sp2u 3 ай бұрын
탈중국때문에 작년 무역적자났다는 헛소리는 첨들어봄. 저양반 정치인인듯
@rlo5941
@rlo5941 3 ай бұрын
중립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셨지만 두가지를 어떻게 지킬지보다 미국보다 중국이라는 입장의 의견을 내시네요. 그리고 문제만을 집중해볼게 아니라 복합적으로 맞물려 있는 큰 상황이 서로 어떻게 맞물려 생겨나고 진행되고 있는지 말씀해주셨으면 하는데 비판과 주장은 있으시지만 중립은 어디 있는지 모르겠네요. 여파가 양쪽을 넘어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게 일어나고 있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더 진행되면 생각보다 더 큰 문제가 엮일겁니다. 문제는 출산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한다면 현재 태어나는 사람들이 계속 힘들거란거죠. 그럼 그 사람들이 자기 돈 모으기도 힘든데 국가 세금은 많이 필요하고 결국 사람들이 지칠텐데 성장율을 더 원할까요? 여유를 더 원하게될까요? 그리고 일본은 바다 건너 있지만 바로 위가 북한 휴전 상황인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해서 러시아도 북한 같이 동맹국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거 아시죠? 결국 이게 러시아가 전쟁 중단하기전에 중립이 먼저 될 수 있는 상황입니까? 한국은 브라질처럼 남미에 있는 것도 아닌데요. 다른 유럽 국가들도 나토로 확장되가고 있고 동남아 국가의 정치 후보자들도 중국 미국을 두고 가볍지 않은 논쟁이 많은데 한국이 글로벌 입지도 높아지는 와중에 중립이 가능하겠습니까
@user-hj9ht7qc8y
@user-hj9ht7qc8y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dia4816
@dia4816 3 ай бұрын
중국은 어차피 한국의 모든 산업을 넘어 서려고 했죠 한국은 끝났다봄
@kkangeto3669
@kkangeto3669 2 ай бұрын
편견 갖지 않고 끝까지 봤습니다. 근데 절대 동의하지 부분도 꽤 있더군요. 첫째는, '탈중국은 안된다, 중립외교를 해야한다'는건데 그건 너무 정치를 모르고 하는 말씀이신거 같습니다. 반도체만 놓고봐도 우리가 애매하게 중립노선을 타게 된다면 미국의 제재로 더욱 힘들어질거라는걸 모르시나 봅니다. 둘째, 돈을 풀어야 한다고 보시는데, 지금 상황에서 돈을 풀면 물가는 더욱 올라갑니다. 저소득층에 핀포인트로 지원하는것도 결과적으로 시장에 돈 푸는 효과가 될겁니다. 셋째, 이미 문재인 정권때 돈을 무지하게 풀었습니다. 세상에 절대 공짜 점심이란건 없습니다. 그만큼 부작용이 있는 것이고, 미국이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고 있는것처럼 우리도 더욱 강하게 조여야합니다. 물가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폭등했고, 특히 부동산은 이해할수없을 정도로 폭등했습니다. 지금 돈을 푼다면 부동산의 현재 가격이 고정되는겁니다. 이건 미친짓이죠
@user-oooooooooooooooo
@user-oooooooooooooooo 3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이 영상의 초반부에 말씀하셨듯이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수출국가입니다 그런데 출생률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는것은 그 교수직에 의구심을 품게 만들정도입니다 무엇이되었든 저희는 IT나 금융으로 성장한 나라도 아닐뿐더러 그 부분에서 글로벌로 뻗어나간 사례도 적은 말 그대로 반도체 만들어팔고 자동차 만들어파는 생산직의 비중이 압도적인 국가인데 이걸 너무 당연한 그냥 생산성(아웃풋)이 적어서 그렇다 라고 퉁치고 끝내기에는 이건 국가의 존망을걸고 모든 생산체계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해도 가능할까 말까의 문제이고 결국 쉽게 바뀔수없으니 앞으로 이 생산직 체계를 유지할기간이 적지가 않은데 그걸 낙관적으로 바라보시는건 너무 안일한 시각인거라 보입니다 그리고 대중 수출감소가 장기적으로 보면 타당하다고 보는게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 주요품목들은 중국이 대부분 국산화 가능하거나 하고있는중입니다 가전에서 가격경쟁력이 대표적이겠죠 오히려 대중관계악화로 타격을받은건 관광업이었죠 그리고 고임금이 되어야 고급인력이 된다는 전혀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글로벌 시대입니다 우리의 인건비는 세계에서 비춰 봐야하는 문제인데 오히려 생산성이 낮은데 원화로 높은 금액을 줘야한다면 우리 원화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게될거고 결국 원화가치 하락으로 이어질거고 서민들의 삶이 더 팍팍해지겠죠 인플레이션이 왔을때 버티지못하는건 서민주머니니까요
@sunkoolee5424
@sunkoolee5424 3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이 교수님 대체 무슨 교수님이신지 모르겠어요. 국제정치도 아닌것 같고 경제학도 아니신거 같고...무슨 조선시대 사대주의자 같은 말씀을 하시는데 서울대교수님이시라니 당황스럽네요.
@user-kr3fv1jm5s
@user-kr3fv1jm5s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이교수님은 뭐를 배우신 건지 모르겠습니다. 옛날 10년전의 중국을 생각하시는건 아닌지. 지금은 중국에 부품을 대는 위치가 아닌 놔두면 그보다 더 커진 대부분을 중국이 만들고 있는 상황인 것을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책에 빠져 시대를 알지못하니 우리나라가 어디로 가야할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중국은 지금 1년전까지만 해도 아파트가 수십배 오르고 그에따라 임금이 올라 세계공장으로서의 위치가 상실됨으로써 타국의 기술을 훔쳐 모든걸 만들려는 국가적 침략정책을 펼치는 나라인데 아시는지 모르시는지...
@user-fb6we1cd4c
@user-fb6we1cd4c 3 ай бұрын
님이 강의하는게 나을듯
@garden8531
@garden8531 3 ай бұрын
​@@user-fb6we1cd4c 공감~ 이 댓글자가 강의하는게 나을듯~😍😍😍👍👍👍
@user-yx5sr6jp6c
@user-yx5sr6jp6c 3 ай бұрын
댓글보다 못한 직함과 영상이네요. 교수되기 쉽구나..
@xxpk9901
@xxpk9901 3 ай бұрын
이분은 좀 뭐하는 분인지는 몰라도 기본적 경제에 대해서 거의 지식이 없는 사람이 경제문제를 다르는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user-kr3js1mi6n
@user-kr3js1mi6n 3 ай бұрын
그럼 넌 잘 아니?ㅋㅋ
@todietfordietbydiet3814
@todietfordietbydiet3814 Ай бұрын
​@@user-kr3js1mi6n 넌 입을 열지를 마ㅋ
@user-fn3em2ec9c
@user-fn3em2ec9c 3 ай бұрын
무식한 나의 짧은 생각으로 잘 구술려서..중국에서 더 빼 먹었어야 하고... 중간에서 이쪽 저쪽 잘 구슬려서 돈 벌어야 될 놈이... 바보 같이... 한 쪽에 들러 붙는 실수를 해서고... 우린 일본과 다르다...일본은... 우리가 범접할 수 없을 만큼 이미 이루어 놓은게 많아서..야금야금 빼 먹고 몇 십년 버텼으나...우린 모래성이라 금방 말아 먹을 수 있어서... 일본이 미국이라면... 우리는... 남미라는 밑에 님 말씀에 동의한다... 결국...우리의 선택은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고... 그래서...투표도 잘 해야 먹고 산다는 얘기다...광해군 몰아내고... 선조가 한 일은... 임진왜란 뿐이었다...
@jeff8715
@jeff8715 2 ай бұрын
우리경제 위기론 이런얘기 벌써 수년째. 일본 망했는다는 전문가들 얘기 벌써 십수년. 여전히 일본은 글로벌경제 5위권, 우리나라 여전히 10위권. 부정적인 면 반대급부로 경제 살리려는 고군분투도 늘 있음. 아가리파이터는 쉽지만 일본이나 한국이나 경제인들 목숨걸고 일함
@user-uq4rq5uy3g
@user-uq4rq5uy3g 3 ай бұрын
저 교수님은 중국이 언제까지나 한국물품을 수입할거라 생각하는걸까요?
@user-ic8gf7yn8g
@user-ic8gf7yn8g 3 ай бұрын
중립이라는 헛소리 그만해라. 마키아벨리가 군주론 쓰면서 빅데이터 내보니까 중립한 국가 다 망했다. 마키아벨리는 중립 지껄이는 자는 사기꾼으로 간주할 정도였다.
@user-yu9cq9oq3u
@user-yu9cq9oq3u Ай бұрын
그 책이 진리입니까?
@ann8m894
@ann8m894 Ай бұрын
언제적 마키아벨리냐고. 마키아벨리밖에 모르는건 아님? 마키아벨리가 누군지는 아냐?
@Mooso-lb4wt
@Mooso-lb4wt 2 ай бұрын
중국... ㅎㅎ;; 이 사람 뒷돈 받았나... 중국에 내수잠식에 대중국 수출은 계속 줄어들껀데...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지껄일까...
@user-vl2jw4sy5b
@user-vl2jw4sy5b 3 ай бұрын
이미 일본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초월한 단계임.
@user-kr3js1mi6n
@user-kr3js1mi6n 3 ай бұрын
그걸 다 지금 윤두광이가 결과로 증명해내고 있지ㅋㅋ
@user-xl8xf4xh8h
@user-xl8xf4xh8h 2 ай бұрын
저 교수가 중립을 할수 있는 방법은 제시 하지 못하네 미중이 바보인가?우리가 중립을 타면서 양쪽을 빨아 먹는걸 허용 하겠냐고?좀 현실을 알아야지 답답하다 당장 둘중 하나를 선택하기를 강요 받을거다 미국을 버리고 중국을 택한다? 그게 정답일까? 답도 제시 못하는 저런자가 전문가이고 교수라니..훈수는 누구든 둘수 있지
@jeendeer
@jeendeer 28 күн бұрын
모두다 같은 수준이니까 이딴 대통령을 뽑지.
@boduckazy7861
@boduckazy7861 3 ай бұрын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던 독일은 왜 마이너스 경제로 갔나요? 중국의존도가 높은게 오해려 독이 되었죠. 세상에 양다리 걸쳐서 양쪽 이익 다 받아먹고싶지 않은 사람과 국가가 어디에 있습니까? 중국은 이미 모든산업에서 우리의 라이벌입니다. 주식하는 사람 다 알아요. 일반인 이하의 경제상식으로 혹세무민하지 맙시다.
@user-el5bs3zy6h
@user-el5bs3zy6h 3 ай бұрын
독일 마이너스 아니에요
@budabang
@budabang 2 ай бұрын
중국수출이 떨어진건 탈중국이 아니라 중국내수가 무너지고있고 미중패권전쟁으로 중국이 제재를 받기 때문 아닐까요?
@user-qr2uk3dg5b
@user-qr2uk3dg5b 2 ай бұрын
사람들 착각 하는게 뭐 한국이 오늘내일 한다 생각하지만 자산 - 부채 = 총 자산, 즉 국부 규모로 한국 총 국부를 5130만 국민들 1/N로 나누면 최소 와꾸 나오는 인구 100만명 넘는 나라 중에서 17위 임 열거하믄, 영국.노르웨이.스웨덴.덴마크 독일.네덜란드.벨기에.프랑스.스위스.오스트리아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싱가포르.대만 그리고 한국 이렇게 총 17개국 얘네 국민들 1/N 자산규모가 세계 1위~17위 합니다 한국, 경제 탄탄하고 사람들 잘 삼 고로 난 못 탄다만 일본 만큼 벤츠 몰고 댕기는건 이상한게 아니져..
@jjkang03
@jjkang03 3 ай бұрын
중국이 자국위주로 깡패같이 하는데 중국에 매달린다구요 중립 좋은거 누군 몰라 그게 안되잖아여 말만 번지르르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2 ай бұрын
아따 중국이 국산화를 한게 아니라 정부가 성님들 심기를 거스른게 문제랑께 ㅋㅋ
@Go2b
@Go2b 3 ай бұрын
늘 제일 먼저 죽는건 낮은 곳의 사람들인데. 나는 너무 힘이 없구나..
@user-yj2te2ym7o
@user-yj2te2ym7o 3 ай бұрын
탈중국을해서 나오는 결과는 앞으로 지켜봐야하는거고 탈중국이 무조건 잘못된 선택이다 라고 단정지어서 얘기하는건 좀 아닌것같은데요 현재의 선택을 잘한건지 못한건지 구분하려면 그건 미래에 판단가능한거죠
@user-ms4bh1gr1m
@user-ms4bh1gr1m 3 ай бұрын
우리는 미국이 있어요.
@TheLimeCurd
@TheLimeCurd 3 ай бұрын
경제석학…이라기 보단 그냥 민주당 지지자로써의 행보가 더 두드려져서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왜 그렇게 말 하는지 의도가 뻔함.
@sj9858
@sj9858 2 ай бұрын
V자 L자에 대한 그래프를 보려면 어떤 지수를 봐야하나요?
@Noregret113
@Noregret113 Ай бұрын
블랭핑크
@user-jx8mm7vd3m
@user-jx8mm7vd3m Ай бұрын
월급을 많이 받아야 생산성이 올라간대! 히히~ 최저시급을 2만원으로 올리면 전반적인 임금이 2배가 되고 생산성도 2배가 되나 히히~
@libsu601
@libsu601 3 ай бұрын
반중으로 일본과 인도가 수혜를받고있죠 미국 우리나라 반중시켜놓고 일본밀어주고 일본이중국 수출물량 늘고있죠
@user-cu3xp5xw1p
@user-cu3xp5xw1p 3 ай бұрын
한국 현실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도덕적 헤이. 정치 경제 사회 국방 금융 증시 모든 분야에서 일어나는 문제의 원인이다. 도덕적 헤이가 만연할때 올바른 지도자는 강화된 법적 처벌. 공평한 형집행뿐.
@khj-bo9fw
@khj-bo9fw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도덕적으로 선진을 이룰때 비로서 행복한 나라가 될수있다고 봅니다 진정한선진국이라 일컫는 나라들 보면 우선 기본적으로 국회의원이나 정치인들 거의 봉사 수준으로 박봉이며 국가국민의 대한 인식 자체가 다르더라구요 우리니라 고위직들 정부가 지원하는거 보면서 엄청 놀라더군요. 정부나 기업이 도덕적 선진을 이루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서민은 그저 노예로 남겠죠
@user-hc3cj3du7x
@user-hc3cj3du7x 3 ай бұрын
공감과 지지가는 좋은 내용 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fm1ez3ye1f
@user-fm1ez3ye1f 3 ай бұрын
부동산 위기를 잘 막고있는게 아니라 조금씩 바람을 빼야하는 풍선을 불고있는거 아닌가? 4월 총선 끝나고 터질거라던데? 4월이후 어찌저찌 조금더 버티더라도 미국 상업용 부동산 터지면 연쇄폭발 각 아닌가? 뭔가 교수가 말이 이상하다 싶었더니 서울대네 ㅋㅋ 서울대가 그렇지
@sgm8508
@sgm8508 3 ай бұрын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개인의 생각일뿐
@-dr7977
@-dr7977 2 ай бұрын
국가경제와 국가안보가 충돌 할때는 국가안보가 우선입니다. 국제정치에서 동맹국이 중립을 지키면 동맹관계가 깨지고 맙니다. 중국, 러시아, 북한과의 동맹관계는 강화될 것입니다.
@michaelp6441
@michaelp6441 28 күн бұрын
뭐? 중국 러시아 북한과 동맹관계를 강화해야한다구요?😂
@xxpk9901
@xxpk9901 3 ай бұрын
2017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보좌관으로 임명되었으나,[3] 2019년 1월 29일 자신의 발언에 대한 논란으로 인하여 경제보좌관과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 등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였다. (출처 나무위키) 이사람 뭐하던 사람인지 찾았다 ..ㅋㅋㅋㅋㅋㅋ
@Janghun13
@Janghun13 3 ай бұрын
그런데 영상 후반부에 말하는 경기가 침체 될 거니 해외로 나가라? -> 맞음. 근데 그 사례로 드신 일본이 잃어버린 30년 중 20년동안 못나갔다 하시는데, 일단 그 전 버블(일본 엔화 고)일때 해외 자산 열심히 취득했고 그 후엔 당연히 자산 취득은 어려웠어도 수출엔 덕을 본 셈(엔화 저) 인데..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