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이 아무도 모르게 10년 동안 꽁꽁 숨긴 물리 현상(실제로 우주에서 발견..) ㅣ과학을 보다 EP.66

  Рет қаралды 831,855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정영진 님과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님, 생물학자 이대한 교수님, 뇌과학자 우충완 교수님 그리고 우주먼지님을 모시고 ‘ ‘동물들의 짝짓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27 태양이 갑자기 사라져도 지구는 그대로 돌까?
04:29 우주가 팽창할 때 중심은 어디에 있을까?
10:31 소련이 10년 동안 극비로 숨긴 물리 현상
15:09 동물은 배운 적도 없는 짝짓기를 어떻게 할까?
28:46 동물들은 언제 짝짓기를 하고 싶을까?
32:59 짝짓기를 위해 전략까지 짜는 생물들
37:21 인간의 통증을 완전히 끊어낼 수 있을까?
42:41 별은 어떻게 또 다른 별을 만들까?
📖 '과학을 보다'가 첫 번째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각 서점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뇌 #생물 #우주 #짝짓기

Пікірлер: 823
@boda100
@boda100 27 күн бұрын
드디어 책 2탄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과학을 보다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책 2탄 예약판매를 5월 31일부터 6월 11일까지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448322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26847336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0497579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15 күн бұрын
몽상가들은 지구에 외계인이 오기를 기다린다. 하지만 그럴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 AI 로봇 외계인이라면 혹시라도 가능한가? 그것도 불가능인 거 같다 어느 정도는 무한정 에너지가 가능하다면 몰라도...?
@user-fd5se6md7f
@user-fd5se6md7f 23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자주 나와주세요 넘 기다렸습니다~ 생물 분야뿐만 아니라 과학 전반에 지식이 풍부하시고 이야기도 참 논리적이고 흥미롭게 잘 하세요 ❤ 우충완교수님 연구 분야 이야기하실 때 표정이 달라지시는게 매력적이네요😊
@user-zp4ye5nm9e
@user-zp4ye5nm9e 29 күн бұрын
교수 박사님들의 토크쇼 이거 진짜 존잼이거든요ㅋㅋㅋㅋㅋ 고품격 티키타카 오진다 ㄹㅇㅋ
@bikesellable
@bikesellable 28 күн бұрын
정프로 대충 듣는거같지만 잘모르는 분야인데도 다 듣고 요약정리 잘 하는거보면 대단하다고 느끼지네요.
@user-nt1bw8dp7o
@user-nt1bw8dp7o Күн бұрын
←👀
@user-jw7bb5uj5v
@user-jw7bb5uj5v Күн бұрын
⬆😩
@user-dm7lm5fg3b
@user-dm7lm5fg3b Ай бұрын
28:27 빵 한조각 고르실때도 아주 섬세하신 범준교수님 ㅋㅋㅋ
@user-dp1ni2xx4k
@user-dp1ni2xx4k Ай бұрын
쁘띠범준 먹기전 입맛 다시기😂❤
@user-vj5vo9fw4h
@user-vj5vo9fw4h Ай бұрын
귀여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큐ㅠㅠㅠㅠ
@gongnam05
@gongnam0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samsoon_nani
@samsoon_nani Ай бұрын
최종적으로 그래 이거야! 하는 표정으로 집으심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29 күн бұрын
@@user-dp1ni2xx4k 쁘띠범준 미쳤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밍찌 아주 단어 사용이 귀여워~ 딸기라떼 한잔 먹으러 갈까?
@user-by9zy7rc1e
@user-by9zy7rc1e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 과학자 분들 보면 하나같이 다 천재 같습니다 특히 김범준 교수님은 범접할수 없는 천재 같으십니다 물리학뿐아니라 다방면으로 지식이 넘치시는듯🎉
@tracygrace6866
@tracygrace6866 28 күн бұрын
물리는 정말 아이큐 140 이하들은 접근도 하지 말아야하는 과목 같아요
@user-kx6yd9si2x
@user-kx6yd9si2x 29 күн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빵드시는거 보다가 도저히 못참고 빵사러갑니다 ㅜㅜ
@Smeejang
@Smeejang 29 күн бұрын
42:15 먼지님이 가장 행복한 순간이 박사 됐을 때가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고 말하는 순간 교수님들 빵 터지는게 너무 재밌네요. 😂😊
@Zeddy272
@Zeddy272 27 күн бұрын
그건 격렬한 공감의 빵터짐입니다.🤣 저도 박사 고민 중인데 그 과정이 얼마나 힘들지 대충 짐작이 되니 저도 그 대사에서 100% 공감 했어요.😂
@Smeejang
@Smeejang 27 күн бұрын
@@Zeddy272 제 주위에 많은 박사들이 얼마나 힘든 과정을 겪었는지 많이 보았기 때문에 잘 알고 있죠. 제디님도 힘든 시간 잘 이겨내시고 좋은 결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Zeddy272
@Zeddy272 27 күн бұрын
@@Smeejang 아이구~🌹님 응원 감사합니다🙏 훈훈한 댓글 참 오랜만에 받아보니 기분이 좋네요~🌹에게도 행복한 순간이 찾아오길 바랄게요🤞
@anyyou79
@anyyou79 Ай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유익해요~~❤❤
@dajoy1245
@dajoy1245 Ай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재밌고 유익했어요!! 그나저나 마지막 영상 언제볼수있나요 (기대)
@user-kl6ef7dp2w
@user-kl6ef7dp2w Ай бұрын
요즘 보다보는 재미로 살아요 ㅠㅠㅠ 유일하게 멤버쉽 가입한 채널인데 컨텐츠 많이 내주세요🥺🙏
@Dally-kv6uq
@Dally-kv6uq 25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반가워요!!!!!!!!!!!!!!!!!!! 너무너무 기다렸습니당 극호감캐릭터에 유익하기까지...!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28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습니다.
@inkinno
@inkinno 29 күн бұрын
28:28 짝짓기 이야기 하는데 옆에서 빵고르는 표정 항상 귀여우시고 최고야..ㅋㅋㅋ 책 잘 읽었습니다
@uiraspberry
@uiraspberry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반가워요! 보다에 나오실 때마다 너무 재밌고 유익한 얘기해주셔서 고맙습니당
@user-fd5se6md7f
@user-fd5se6md7f 23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너무 유익해요
@kman3822
@kman3822 2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수준 높은 지식의 장을 흥미롭게 잘 시청 했습니다. 다음을 기대해 봅니다.
@hnads04
@hnads04 29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와 역사를 보다에 출연하시는 교수님들이 대단하시다고 생각되는게 모르는건 확실히 모른다고 하시는게 정말 대단한듯. 자기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모른다고 하시는 용기가 존경스럽습니다.
@Nnmjgddzyhjk4
@Nnmjgddzyhjk4 27 күн бұрын
원래 전문가들이 모르는걸 더 모른다고 확실히 말하시는게 아닐까요…?? 그래야 자신이 아는 분야에 전문성도 더욱 공고히 되고, 시간이 지나 애매하게 아는 것을 우기면 자신의 언행의 신빙성 저하( 전문가의 자질 논란, 자신의 주장의 오류 등을 겪게 됨) 그리고 전문가들은 자신의 언행이 얼마나 많은 책임이 필요한지 인지하는 사람들이라… 확실하지 않은 부분에 쓸데없는 고집을 피우지 않는 거 같아요..
@user-xv7cc6zf9g
@user-xv7cc6zf9g 24 күн бұрын
24:58 교수님 설명하시는 표정이 너무 행복해 보이시고 흥분하신 게 느껴져서 이 스토리 자체를 너무 재밌게 느끼시나보다 생각하면서 듣고 있었는데 안 그래도 너무 좋아하는 스토리라 아내한테 얘기하는데 아내가 잔다 얘기하시는 ㅋㅋㅋㅋㅋㅋㅋㅋ
@klee5310
@klee5310 Ай бұрын
아니 마지막 뭐죠 빨리 올려주세요 현기증나요 ㅋㅋㅋㅋㅋ
@Kkhyu0113
@Kkhyu0113 28 күн бұрын
메가박스 에티켓 영상이더군요. 영화관에서 보고, 넘 반가웠어용
@user-pi9he5pp7i
@user-pi9he5pp7i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했어
@okk7286
@okk7286 2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 과학 한끼 잘하고 갑니다~~ 여기 맛집이야 맛집..ㅋㅋ
@AH-ld9pf
@AH-ld9pf Ай бұрын
그냥 너무 재밌어요 ❤
@artislifeisart
@artislifeisart Ай бұрын
대화의 장이 깊어 비하인드 영상까지 시청했습니다 ㅋㅋ 질문이 있는데 관찰자 시점이 AI로 대체 되고있는 학과들이 궁금합니다 더 폭넓은 바운더리 생기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어 물어봅니다
@user-xi9bm8ff4v
@user-xi9bm8ff4v 29 күн бұрын
유익😊
@user-vh2sj2eb3d
@user-vh2sj2eb3d 29 күн бұрын
항상 너무재밌어요^^ 다른분들도 그렇지만 특히 이대한님은 어투나 말씀하시는거부터 예의가 정말 바르신거같아요!!
@worldnuri
@worldnuri Ай бұрын
보다가 올라왔다 아.힐링됩니다♡
@coopersheldon1589
@coopersheldon1589 Ай бұрын
보다가 드디어 200만에 가까워지는군요 ㅜㅠ감격...더더 무럭무럭 커주십셔 ㅜㅜ
@user-vk1vk6nw7u
@user-vk1vk6nw7u Ай бұрын
피식대학도 300만이 넘던데 우리 과학을 보다가 200만 미만이라니 😂 더 힘을 내야겠군 ㅋㅋ
@user-gm1dp3pk7z
@user-gm1dp3pk7z 29 күн бұрын
질문 드립니다! 영하 18도로 설정된 냉장고에 30분 정도 탄산수를 넣었을 때 이미 차거워져있는 다른 식품에 탄산수 병을 맞닿게 놓는 게 더 빠르게 시원해질까요? 아니면 그냥 공기를 전면적에 다 통하게 두는게 더 빠르게 시원해질까요?
@Art-Joe
@Art-Joe 28 күн бұрын
별 차이 없음
@user-rt3bc6ft4y
@user-rt3bc6ft4y 18 күн бұрын
공기와 다른 식품 둘다 영하 18도겠지만 공기보다는 밀도가 있는 다른 식품에 닿게 하는게 더 빠를거임 추가로 냉기가 공급되는 것을 감안해도 다른 식품에 붙여두면 전체면적이 넓어서 냉기흡수도 많을 거임
@carokkr
@carokkr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제가 저번에 물어 봤었던 중력과 빗의 상관관계의 질물을 그대로 해 주셔서 진짜 풀렸습니다 궁금증이 역시 과학을 보다 입니다
@user-yc3ug8vk8s
@user-yc3ug8vk8s 28 күн бұрын
과학자 여러분 진공상태에서 공기 저항이 없어서 깃털이랑 볼링공이랑 같이 떨어지는데 혹시 탱탱볼을 떨구면 계속 튕기나요?? 아니면 지면에서 닿았을때 마찰열이 생겨 에너지가 조금씩 분산돼서 점점 줄어드나요? 그럼 높이가 줄어드는데 공기가 있을때 보다는 더 오래 튕기나요??
@666dizzypatterncat
@666dizzypatterncat 21 күн бұрын
다음부터는 쁘띠범준 몇빵했는지 영상 구석에 카운트좀 해주세요ㅠㅠ
@sn-pm4ig
@sn-pm4ig 11 күн бұрын
딴 부턴, 빵 고를때 범준님 좋아라 하는 빵을 마니 갖다 놓길...
@user-ev4ei2zl6e
@user-ev4ei2zl6e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밌게 볼게요 ㅎ😊
@99755-ll.i
@99755-ll.i 29 күн бұрын
역시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들이 계시니까 더 재밋네요👍🏻 이대한교수님 덕에 초파리에 감정이입하며 봣어요 ㅋㅋㅋㅋㅋ
@user-fb1do6ph6s
@user-fb1do6ph6s 25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재밌었다❤
@parksh6911
@parksh6911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 출연. 😅 쉽게쉽게 얘길 해줘서 늘 기다림.
@0d5lesel
@0d5lesel Ай бұрын
10:01 풍선("구"라고 가정) 표면에서 한방향으로 직진해서 이동하면 다시 원래자리로 돌아오자나요~ 그럼 우주의 경우에도 차원을 하나 높여서 생각하면(그리고 우주가 팽창하지 않는다면) 한방향으로 직진하면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올수 있을까요?
@dhhthankyou
@dhhthankyou 29 күн бұрын
풍선부는건 팽창을 설명하기위한 비유고 실제 공간은 풍선표면이 아닌 풍선 내부같은 입체기 때문에 불가능함
@billykim7179
@billykim7179 29 күн бұрын
​@@dhhthankyou우주가 4차원 구라고 가정하고 우리가 그 4차원 구의 표면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가능함 2차원에 사는 개미가 풍선의 표면에서 앞으로만 쭉 나아가다가 다시 원래자리로 돌아오는 것과 같이 그걸 차원을 하나 더해서 2차원을 3차원으로 바꾸고 3차원을 4차원으로 바꾸면 됨
@Frye_de_Bacon
@Frye_de_Bacon 29 күн бұрын
우주가 '닫힌 계'이냐 '열린 계'이냐에 따라서 답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만,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 너머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알 도리가 없기 때문에 아마 답변이 어려운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user-sx2hr5xk2v
@user-sx2hr5xk2v 28 күн бұрын
이것과 관련된 게 푸앵카레 추측으로 알고 있어요!
@Zamkkaebi
@Zamkkaebi 27 күн бұрын
보다 팬인데 질문 어디에다가 할수있나요? 요즘 우연히 911테러 영상다큐를 재미있게 시청하다가 비행기충돌이후 건물이 너무 빠른시간에 무너졌다는 음모론이 나오곤 하는데. 실제로 비행기 충돌이후에 화재로인하여 1~2시간이내에 건물이 수직으로 붕괴되는것이 가능한건가요?
@pppxckr1
@pppxckr1 Ай бұрын
드디어 과학을 보다 시간!
@user-Seige.Breakers
@user-Seige.Breakers 29 күн бұрын
재밌었닼ㅋㅋ
@ming9738
@ming9738 Ай бұрын
과학자가 네분이나 있으니 엄청난 대화들이 티키타카가 되는게 그저 재밌네요 ㅋㅋㅋㅋㅋ
@user-lv7lu4jw5c
@user-lv7lu4jw5c 27 күн бұрын
빛보다 더 빠른 속도의 무언가를 찾을 가능성이 아예 없는건가요? 아니면 일말의 가능성은 있는건가요? 공간과 시간은 ’물질‘로 볼 수 있을까요???
@user-hl8kh4vo8c
@user-hl8kh4vo8c 26 күн бұрын
궁금한 것이 있는데 도파민 수용체가 사람마다 차이가 있나요? 이 차이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담배랑 술같은 중독 물질에 쉽게 중독되지만 어떤 사람은 중독이 안될 수 있나요?
@jaysonlim6777
@jaysonlim6777 28 күн бұрын
역시 박사님들보면 전공분야가 아니지만 공통적인 과학적지식들이 있으셔서 연결짓고 이해하시는것들이 무척 빠르시네요. 박사는 역시 다양한 분야를 연결짓고 이해하고 꿰뚫어보는 시야를 가지고있어야 박사가 되는것이군요. 대화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좋은 이야기들 감사합니다.
@666dizzypatterncat
@666dizzypatterncat 21 күн бұрын
이과학문들은 물질계로 공리계가 통일되어있어서 이과학문끼리는 상호보완성이 좋아 발전속도가 빠릅니다. 반면 문과학문들은 각 학문마다 각자 공리계가 달라서 보완성이 많이 떨어지는 바람에 산업혁명이후 일부 몇개 학문을 제외하고 어쩔 수 없이 쇠락할 수 밖에 없지요.
@NoobJaeHope
@NoobJaeHope 29 күн бұрын
10:40 진짜 극호감이닼ㅋㅋㅋ케이스 ㅋㅋㅋ 친근감 ㅋㅋㅋ미쳤다
@user-ng3ed2do4x
@user-ng3ed2do4x 28 күн бұрын
요즘 나의 최애채널~
@user-ck1uu3np1h
@user-ck1uu3np1h 26 күн бұрын
진짜 재밌네요
@laggumi
@laggumi 29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
@aceone9346
@aceone9346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 살 빠졌네요!!!❤❤❤
@ziyeoungdoh6453
@ziyeoungdoh6453 25 күн бұрын
이번것도 재미있어요 🎶
@mingtube8470
@mingtube8470 19 күн бұрын
와... 열기가 장난 아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user-lr1cr3zv2c
@user-lr1cr3zv2c 27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우주가 밀도가 낮으면 발사체를 보낼때 에너지만 있다면 속도를 무한하게 올릴 수 있는건가요? 지구에서 특정 행성으로 발사체를 보내면 시간이 오래걸리는것 같아서요
@LEEGENDSTUDIOS
@LEEGENDSTUDIOS Ай бұрын
중력장이 빛의속도와 일치한 속도(몇 % 인지?정해진게 있다면)로 작용한다는 이론이나 실험이 있을까요? 빛의속도는 많지만 중력장도 빛의 속도로 작용한다면 여러가지 재밌는 음모론을 낼 수 있을 것 같아요. 가령 빛이 태어나기 이전에 중력장이 먼저? 였고 등등
@oboroo
@oboroo 10 күн бұрын
우리가 빛의 속도라고 할때 그 속도는 진공 상태에서의 빛의 속도이고, 그건 이 우주에서의 일종의 한계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력장의 경우 관측전에 빛의 속도여야 한다고 예상되었고 관측 결과 확인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아니라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중력과 빛의 탄생의 경우 4대 힘(전자기력, 강력, 약력, 중력) 중 빅뱅 후 가장 먼저 분리된 것이 중력이라고 예측되고 있습니다. 현재 통일장이론(위의 4대 힘이 다 하나였다는 이론)이 중력을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기에 (중력 외 세가지 힘은 초고온일 경우 하나의 힘으로 칠 수 있다는게 이론적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그렇게 예상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 참고로 하니의 힘으로 칠 수 있다는 말의 의미는 어떤 조건에서 세가지 힘을 구분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GooksanGom
@GooksanGom 7 күн бұрын
초끈이론에서 중력을 매개할 것으로 예측되는 중력자의 조건이 스핀이 2이고 질량이 없어야 한다고 교양과학책에서 읽은 적이 있어요. 초끈이론은 잘 모르지만 질량이 없는 입자는 항상 광속으로 이동해야하고, 이 속도는 공간에서 인과관계가 전달되는 속도의 제한이라고 들은 적이 있어요. 그러니까 그 속도의 제한에 걸려있는 것중에 우리가 가장 먼저 발견한 것이 빛이라서 우리가 광속이라고 부르는 것 뿐이라면, 중력이 전달되는 속도가 왜 하필 광속일까 하고 생각할 필요가 없는게 아닐까요.
@user-tc3yr9ez1w
@user-tc3yr9ez1w 28 күн бұрын
역시 네분의 과학자들과 명MC~ 역시 오늘도 지식의 향연이~~^^
@arcus1224
@arcus1224 28 күн бұрын
진짜 유익하고 재밌고 수준높은 방송..항상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abigplot
@abigplot 28 күн бұрын
4:28 와 몇 달 전에 무식해 보이는 걸 무릅쓰고 질문 남겼던 건데 드디어 답을 듣네요😲 관측가능한 우주에서 중심은 지구인데 우주에서 우리은하의 위치가 어디인가, 이거 여쭤봤는데 드디어 답을 들었어요! 물론 정영진님의 질문에 답변해주신 거긴 하지만ㅋ
@user-nu8wd6ln6c
@user-nu8wd6ln6c 26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정주행 자주하는데 우주중심 설명 세번정도 나온거 같음요 물론 보고나선 또 햇갈리지만
@juliahong577
@juliahong577 29 күн бұрын
이 조합 좋아요 ❤
@user-hb9dj5bd3w
@user-hb9dj5bd3w 29 күн бұрын
우주메 관해 듵으니 '홀로그램 우주론' 이 생각났어요 우리가 사는 우주는 실제는 2차원 모습인데... 우리가 인식하는 모습은 3차원으로 보여진다는 가설을 다큐로 보았는데... 이 주제도 다루어 주십사 부탁드립니다 꾸벅
@hyeonmin7379
@hyeonmin7379 27 күн бұрын
블랙홀 질문있습니다! 블랙홀에 들어가면 들어가기 직전을 영원히 본다고했는데 만약 한줄로 들어가면 맨마지막 사람만 보이나요? 아니면 모두 겹쳐서 보이나요?
@chwaclit
@chwaclit 27 күн бұрын
항상 너무 재밌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얘기하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만약에 달이 뿅하고 사라지면 달이 끼치던 중력의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저는 달이 사라지면 달의 중력장 자체가 사라지니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도 바로 사라질것이라고 했고 다른 친구는 중력역시 빛의 속도로 전달되므로 약 1.2초 후에 지구에서 달의 중력영향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듣고보니 그럴것 같기도 한데 이해할수 있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보다.화이팅!
@Minigg3729
@Minigg3729 27 күн бұрын
꿈 속 자각몽 관련 영상을 봤는데, 제가 예전에 유명하신 과학자분께서 꿈 속 사고실험을 진행했다는 글을 본적이 있는데.. 에디슨이었나 니콜라 테슬라였나.. 어쨌든 혹시 이런건 진짜 가능한 일 일까요???
@antimaz1
@antimaz1 29 күн бұрын
지구의 자기장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게 내부 유체 회전이 저런 원리로 바뀌어서 그러는 걸까요.
@misunchun1382
@misunchun1382 28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gek2sound
@gek2sound 29 күн бұрын
빵할아버지 빵 잘잡숫는거 보면 너무 마음이 좋음 푸근함.
@starbooks988
@starbooks988 29 күн бұрын
할아버지라뇨...아직 젊으신데.
@user-eq6bu8fj5t
@user-eq6bu8fj5t 28 күн бұрын
할아버지라뇨오 ㅠㅠ
@franceair5114
@franceair5114 27 күн бұрын
구지 할아버지라는 표현을 써야되나 교수님이라는 호칭 쓰면될걸 못배운 티좀 내지마 좀 중국인들이 보통 많이그럼
@gek2sound
@gek2sound 22 күн бұрын
@@starbooks988 할아버지도 젊은 할아버지 있죠 왜요
@iDCOCOA
@iDCOCOA 22 күн бұрын
오프닝 영상보고 질문 올립니다 만약 팽창중인 우주가 있고 은하와 은하가 멀어지고 있다고 한다면 은하가 어느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뜻인데 2차원이든 3차원이든 팽창하면서 서로가 멀어지려면 원형 또는 구형의 모양으로밖에 설명이 안돼는데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팽창하면서 지나온 자리에는 새로운 천체가 생성되는중인가요??
@tame1679
@tame1679 27 күн бұрын
혹시 과학 잘 아시는 분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ㅠㅠ 태양과 지구가 중력장에 있어서 굴곡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때 태양이 갑자기 사라지면 중력장은 밑으로 움푹한 모양에서 다시 평평하게 돌아온다고 이번 영상에서 본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을 제가 잘못 이해했다면 설명해주세요!) 그렇다면 움푹 패여있던 중력장이 평평한 모양으로 복원될 때 관성에 의해 위로 한 번 출렁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마치 패여있던 면직물이 돌아올 때 출렁이는 것 처럼요. 그럼 중력장에 파장이 생겨 지구도 중력장에 수직방향으로 출렁이는 운동을 하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설명 부탁드려요 ㅠㅠ
@zinilee6764
@zinilee6764 28 күн бұрын
범준 교수님 빵 고르시는 모습 너무 러블리~~! 교수님 드시는 모습 보는 재미도 보다의 재미 ^^ 여러번 느낀 건데........종종 bgm이 너무 크거나 거슬려서 아예 빼시면 좋겠다는 말씀 조심스레 드려요^^
@hys1299
@hys1299 7 күн бұрын
바깥에 1분만있어도 노화가되나요? 선크림을 굳이 안발라도되는 외출시간은 어느정도가되려나요..?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29 күн бұрын
그래두 카드와 폰 동시에 보호가능해서 좋아요. 그리고 색깔이 멋져요.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Ай бұрын
드디어 토요일이 돌아왔군요. 제일 행복한 날 = 과학을보다 업로드 되는 날
@nommoz
@nommoz Ай бұрын
ㄹㅇ
@user-tx3ze2yb7j
@user-tx3ze2yb7j 29 күн бұрын
범준교수님께 궁금한것이 있어요! 요즘 밤에 운전하면 차에 벌레 사체가 붙는 계절이 와서 피곤한데요, 차가 고속으로 이동하면 공기가 차체 주변으로 흐를거잖아요? 그럼 제 짧은 생각으로는 날파리처럼 작고 가벼운 녀석들은 그 공기의 흐름에 휘말려서 같이 흘러 지나가버려야 할 것 같은데 왜 차 앞유리같은 곳에 부딪혀 죽어버릴까요?
@skyeye8519
@skyeye8519 28 күн бұрын
일반적인 형상으로는 바람이 날려버리는 힘으로는 벌레만한 질량이라하더라도 차량에 갖다 박는 속도를 이겨낼 수 없어서 그렇지 않을까요? 쉽게 말하면 에너지 부족... 극단적인 설계로 차량 후미에 엔진을 놔두고 전면엔 빈 자리만큼 대형 흡기구, 여길 통해서 유리창 쪽 좁은 틈으로 바람이 흘러들어가게하면 어느정도 방어되는 경우가 있지않을까 싶기도하구요 ㅋㅋ
@EUNG66
@EUNG66 28 күн бұрын
죽고싶은가보지
@user-wu2ns6pe9k
@user-wu2ns6pe9k 25 күн бұрын
공기보다 무겁고 그 날파리 숫자가 너무 많아서 밀도가 높아서 그런듯...
@user-ol3ui7pl7i
@user-ol3ui7pl7i 24 күн бұрын
공기도 운석에 부딪혀 압력에 눌려 열이 발생하듯 벌레도 부딪히는건 당연하지않을까요?,
@zfqhdjgyb2222
@zfqhdjgyb2222 14 күн бұрын
속도 차이. 빠르면 물총도 흉기가 되고.. 느리게 달리면 벌레 아무리 많아도 차맞고 디지진 않음
@alibabji
@alibabji 27 күн бұрын
저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초파리같이 15일정도 사는 생물들도 계절이라는 개념을 아나요? 조금 더 자세하게는 초파리는 자기 생에 한 계절 (봄,여름,가을,겨울)밖에 보지 못하지만 곧 겨울이 온다, 봄이 온다, 이런 정보들을 인지하나요?
@user-er7cd8bx9q
@user-er7cd8bx9q 27 күн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1. 숨참기대결 같은거 가끔 하잖아요... 못참겠을 때 숨을 왜 내뿜는걸까요? 상식적으로 폐속에 산소가 없어서 그런거니까 들이마시는것부터 시작해야 될꺼 같은데 왜 그런지 궁금하네요 2. 나노단위(?) 굵기의 선같은 것이 몸을 관통하고 지나갔다면 사람몸은 괜찮을까요? 어느 정도의 굵기까지 사람이 고통을 느끼거나 피부층이나 내부 장기에 문제가 없을까요?
@user-cq2xq3le8n
@user-cq2xq3le8n 28 күн бұрын
퓨리오사 보고왔는데 보다분들이 스크린에 나와서 반가웠습니다 ㅎㅎ
@user-sc1kw9lv5d
@user-sc1kw9lv5d Ай бұрын
뭔가 저번주 요번주 꽉찬 느낌이네요~
@user-ru1og5nu4s
@user-ru1og5nu4s 29 күн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너무 좋으세요.😄
@yaya_hoho
@yaya_hoho Ай бұрын
영화관 오랜만에 갔다가 아는 얼굴들 나와서 신나게 나댔더랬죠ㅋㅋ멤버십에서 풀어주시다니 증말 하나도 아깝지 않은 멤버십이네요(?)
@user-xy8fs7sl1u
@user-xy8fs7sl1u 24 күн бұрын
궁금한 게 풍선의 표면에 점을 찍으면 점도 살짝 커지는데, 그것처럼 우주에서도 입자들이 커지나요? 가장 기본적인 구조 외에도 분자나 분자, 원자나 원자 사이도 점점 벌어지고 있나요?
@user-dy3hb8ue4l
@user-dy3hb8ue4l 29 күн бұрын
48분이라니!!!!감사합니더 감사합니더ㅜㅜㅜ
@pinkbear1011
@pinkbear1011 24 күн бұрын
이대한 교수님은 여기서 편하게 말씀하시는게 더 좋아보이고 멋있어 보임 ㅎ^^
@KongGae
@KongGae Ай бұрын
우주 전체 성분은 어케 알아낸건가요? 작은 부분만 계산해서 평균으로 말하는건가?
@user-wu5or9mq7e
@user-wu5or9mq7e 26 күн бұрын
보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저 궁금한게 있습니다 매 회에 보면 가장빠른속도는 빛의속도라고 많이 언급하시며 이 회차에서는 태양이 사라지면 빚이 지구까지 오는시간인 8분30초동안 빛을 받는다고하시는데 시각속도는 속도로 볼수없는가요? 사람이 태양을보면 바로보이지 8분30초있다가 태양이보이고 그러진않잔아요 그럼 시각속도가 빛의속도보다 월등히 빠른건아닌지..한번 여쭤봅니다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Ай бұрын
10:40 김범준 교수님 아저씨(?) 폰케이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tdfyotizgfixxit
@itdfyotizgfixxit 29 күн бұрын
팽창 이야기 할 때는 우주의 공간이 수학적으로 무한하다는 것이 전제로 깔려있는 건가요?? 그렇기 때문에 중심도 정의되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게 맞는 건가요??
@dbstjrwls2002
@dbstjrwls2002 25 күн бұрын
풍선 표면의 아무 점을 중심으로 봐도 다른 점들이 그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게 보이기 때문에 중심을 논하는게 의미가 없다고 하는 것 같아요
@user-lk3tb3ws8y
@user-lk3tb3ws8y 23 күн бұрын
질문 합니다! 지구가 갑자기 자전을 멈추면 원심력으로 우리는 우주로 튕겨나갈까요? 그렇담 혹시 비행기안에 있으면 어떻게 될지도 궁금하네요ㅋ
@user-eg3hs5rv1s
@user-eg3hs5rv1s 10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과학에 관심이 많은데 공부하다보니 궁금한점이 생겨 찾아도보고 학교과학선생님께도 물어봤는데 잘모르겟다거하셔서 그런데 실례가 안된다면 질문을 해도될까요?
@user-nr3so5nu8c
@user-nr3so5nu8c 29 күн бұрын
범준교수님 배가 역풍에서 어떤 원리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han-dm5zj
@han-dm5zj 29 күн бұрын
이번편 역대급으로 재밌는데ㅋㅋㅋㅋㅋ
@Jone3203
@Jone3203 23 күн бұрын
초반 개꿀잼이었어요 ㅋㅋ
@arakim754
@arakim754 29 күн бұрын
초파리에 공감하게 되는 날이 올 줄이야 ㅋㅋㅋ 힘내라 청춘 초파리들!! 그 와중에 새초롬하게 빵을 고르시는 빵범준 교수님 ㅎㅎ
@samsoon_nani
@samsoon_nani Ай бұрын
43:47 의도치 않게 최신곡 해석을 해주고 계시는 우주먼지님 (에스파 수퍼노바)
@user-bw7pe6se5j
@user-bw7pe6se5j Ай бұрын
정엠씨 첫질문 날카롭네요. 아인슈타인이 그 의문을 가졌고 그 답이 일반상대론이었죠
@user-sx5zd4vz5c
@user-sx5zd4vz5c 25 күн бұрын
어? 제목이랑 썸네일이 바뀐건 기분탓인가
@user-qy5ph4it8k
@user-qy5ph4it8k 23 күн бұрын
나도
@user-ft9im8zi4k
@user-ft9im8zi4k 23 күн бұрын
늘 궁금한데 지구가 우주선을 날려서 안에 인공지능 기계(과학 발전해서 무한동력)를 넣어둬서 그 인공지능 기계가 혼자 우주선 청소하고 말하고 생각하고 있으면 그걸 발견한 외계인들은 기계를 생명체라고 볼까요? 아니면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기계인걸 눈치챌까요. 심장도 없고 번식활동도 없지만 움직이고 말하고 생각해서 대답까지 하는 인공지능을 보면 외계인들은 대부분 생명체라고 생각할거 같은데. 그럼 마찬가지로 우리도 만약 외계인을 발견한다면 그게 생명체인지 혹은 기계인지 혹은 누군가의 피조물인지 기준점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외계에서 날아온 물체가 움직이면서 말하는데 심장은없고 피도 없으면 막 뭐 물어도 다 대답해주는데도 기계라고 생각할까요? 아니면 외계에는 생명체가 심장,피 세포없이도 탄생하는 곳이 있겠구나 싶어할까요..
@user-dm9no6xz7n
@user-dm9no6xz7n Ай бұрын
정영진님이 좋아하실 질문인 것 같은데.. 질문 1. 우주의 팽창률을 계산할 수 있다면 한 점에서 출발한 우주의 크기, 관측 가능한 우주가 아닌 실제 크기를 계산은 할 수 있지 않느냐? 더불어 질문 2. 만약 광속 이상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디고 가정하고 전체 우주의 지도? 분포도를 그린다면 그 이후에는 무엇이 있을까 궁금하네요.
@user-og6dq2ts8c
@user-og6dq2ts8c 6 күн бұрын
1. 팽창률을 안다고 해도 현재 우주의 총 크기를 알 수 없기에 계산이 안됩니다 2. 실제로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는 빛의 속도를 넘어선 속도로 팽창하는 중이며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 실제로 시야에 아무것도 잡히지 않으며 설령 볼 수 있다 하더라도 1번과 같이.. 우주의 실제 크기를 모르기때문에...
@skh1043
@skh1043 28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에 계신분들은 오류나 실수 착오에 대해서 스스로에게는 솔직하고 상대방에게는 배려가 느껴집니다. 쉽게 말해서 우기거나 꼬투리 잡아 늘어지지 않는다는것이 잘 느껴지네요. 각분야에 전문가들로서 매우 바람직하고 훌륭한 태도라고 여겨집니다. 내용도 충실하고 대화도 성숙한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bh3or5st8d
@user-bh3or5st8d 27 күн бұрын
은하안의 행성들간의 간격도 팽창의 영향을 받나요?
@user-qo5xh7vk7f
@user-qo5xh7vk7f Ай бұрын
질문이요!!! 그럼 별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새로운 다른 원소가 생길 수 도 있나요?
@NeCessary_DYnamic
@NeCessary_DYnamic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로 항성 내부 핵융합으로 철까지, 초신성 폭발로 우라늄까지가 자연현상으로 생길 수 있는 원소의 한계고 넵투늄부터는 인공합성된 원소인 것으로 압니다
@user-zi3jp3jr9u
@user-zi3jp3jr9u Ай бұрын
태양은 몇세대별일지 넘 궁금합니다..!
@-law9000
@-law9000 29 күн бұрын
50분 너무 알차다 ㅎ
@user-yq8nt7kz8p
@user-yq8nt7kz8p 29 күн бұрын
이대한님은 사람 놀리기 좋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Final muy increíble 😱
00:46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08 М.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58 М.
암흑물질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8:08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642 М.
ToRung short film: 🙏baby save water😍
0:28
ToRung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 or 2?🐄
0:12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天使与小丑心灵感应#short #angel #clown
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天使与小丑心灵感应#short #angel #clown
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