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의식을 가져야 해

  Рет қаралды 1,115,173

정승제사생팬

정승제사생팬

2 жыл бұрын

승제쌤 인스타
▣ / seungje.chung
승제카페
▣cafe.naver.com/mathkiller

Пікірлер: 1 700
@user-rz1hz9qd8j
@user-rz1hz9qd8j 2 жыл бұрын
ㄱㄷ
@user-bw9sv4uz1n
@user-bw9sv4uz1n 2 жыл бұрын
뭐야 ㄱㄷ이잖아ㅜ
@rejamong
@rejamong 2 жыл бұрын
@user-kq8ho8sh5s
@user-kq8ho8sh5s 2 жыл бұрын
아악
@user-ki4zv7pw6b
@user-ki4zv7pw6b 2 жыл бұрын
ㄲㅂ
@user-rz1hz9qd8j
@user-rz1hz9qd8j 2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되네 ㅋㄹㅋㄹㅋㄹㅋㄹㅋㄹㄹㅋㄹ
@user-zilizili88
@user-zilizili88 2 жыл бұрын
이 이야기 너무나도 공감. 의사,변호사 등 아무리 잘난 전문직도 프로의식이 없으면 사람 인격이 떨어져보임. 하다못해 편의점 알바생이 매장 정리 깔끔하게 해놓고 친절하면 어느 전문직보다도 프로다워 보이고 멋있음.
@worldtutorial8731
@worldtutorial8731 2 жыл бұрын
ㅁㅈㅁㅈ 편의점 알바도 진짜 뭔가가 느껴지는 분들이 있음 오오..? 하면서
@ifonly5524
@ifonly5524 2 жыл бұрын
근데 슬픈건 이렇게 제대로 생각하는 분들이 10% 정도 이고 나머지 90%는 편의점 알바라면 무시하고 의사 변호사 라면 오오 함....
@flyingpan2639
@flyingpan2639 2 жыл бұрын
@@ifonly5524 왜냐면 90%끼리 서로 물고 빨아주기 때문
@hawwah3393
@hawwah3393 2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인정. 그런 분들은 뭘 해도 성공.
@user-xo2mz8gi2x
@user-xo2mz8gi2x 2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 하다가 다시 수능 친 분들은 개공감할듯 ‘원래그렇다’
@aton7058
@aton7058 2 жыл бұрын
이 사람 말 맞음 회사에서도 40대 친구들이 해결할 생각도 못한 일을 신입사원이 해결해버린 경우가 꽤 있었음 능력차이가 아님 보니까 의지의 차이이고 호기심의 차이임
@user-yn6se1mr99
@user-yn6se1mr99 2 жыл бұрын
ㄷㄷㄷㄷㄷㄷㅇㄱㄹㅇ
@lilllili7463
@lilllili7463 Жыл бұрын
관심과 끈기
@user-gh9iz1qk9f
@user-gh9iz1qk9f Жыл бұрын
나중에 그 신입사원들도 40대넘어가면 사회어찌들어 자기할일만하는게 정석..
@user-xz1kf5sj5u
@user-xz1kf5sj5u Жыл бұрын
해결하면 뭐함ㅋㅋ 내위상과 위치는 안변하고 사회생활잘하는놈한에만 포상이가는데 위에사람한에 잘보이는게 1순위인 세상임
@iilliliilllillii4690
@iilliliilllillii4690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뭔가 해결하면 다음부터 그게 내 일이됨. 그러니 40대쯤 되면 모르쇠 하는게 습관이 되어버림. 일 잘하고 열심히 하는애랑 어차피 월급차이 얼마 안나거든
@SJYoon29
@SJYoon29 2 жыл бұрын
회사 다니면서 느낀점이 프로의식 가진 사람이 많은 집단에 가면 내가 비약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었어요. 말씀하신 90% 집단에 있다가 10% 집단에 소속되게 되면 확실히 인생이 달라지더라고요.
@user-iw3jd9il6u
@user-iw3jd9il6u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반대로 10%집단에 있다가 90%로 옮겨지면 못버티는 것 같아요 반대의 경우에는 버텨두요
@hottthings
@hottthings Жыл бұрын
작은 건설회사다니다가 대기업가니 조금한것이라도 자극받는게 있더라구요. 그 점이 인지가 안되는데 슴슴하게 제게 영향을 미쳤겠거니 생각이들어요
@Cvfgrtedx
@Cvfgrtedx Жыл бұрын
님이 대단하신 거예요. 제 경험은 그런 경향이 있는 사람만 그렇게 변하더라고요. 대부분은 그런 집단에 가도 배울생각 없이 예전처럼 하다가 내쳐지거나 주변 물들여서 개판 만드는 경우가 허다하다라구요.
@hottthings
@hottthings Жыл бұрын
@@Cvfgrtedx 진짜요? 이게 성향이란게 있어서 좀 아싸기질이 있고 독립적인 사람은 기름처럼 조금은 따로국밥이 가능한것같아요ㅎㅎ 솔직히 매우 기뻐요. 집단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니까 분명 자극받는게 있을거라 생각해서요😍
@bobkim5801
@bobkim5801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10%의 귀찮은 집단에 가야 내가 발전함. 근데 내 태도가 안따라주면 말짱 황이고… 태도와 의지가 인간을 결정한다…
@casamia857
@casamia857 2 жыл бұрын
제가 고객센터 상담원 일해봐서 매우 공감합니다. 90%는 저런식으로 주먹구구 상담하고 대충 끊어서 실적 채우지만 저는 무조건 남들이 해결못하는것도 끝까지 파고들어서 해결하고마는 스타일이였죠. 하지만 현실은 인정해주는건 주변사람들과 고객뿐이지 위에선 콜수 실적 생산성만보고 평가 하기때문에 저는 능력미달 상담원 취급을 받았고 그렇게 몇년을 버티다 결국 회의를 느껴 스스로 그만두었죠. 국내 고객센터 대부분이 아웃소싱이고 저런식의 쥐어짜는 환경에서 이직률이 높다보니 프로의식을 가지고 일할수가 없는 구조입니다. 지난 기억이 떠올라 씁쓸하네요.
@YMtv321
@YMtv321 2 жыл бұрын
헐 미친...
@danalee8231
@danalee8231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제대로 좋은 평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생기면 좋겠네요 ㅠㅠ
@user-bf6se1wx2g
@user-bf6se1wx2g Жыл бұрын
그 회사나 일이 님 그릇에 맞지 않는거임
@Bennysbens
@Bennysbens Жыл бұрын
그래 이렇다니깐.. 회사는 아무리 열정적으로 일해주고 진취적으로 일해도 그냥 일해주는 소모품 그 이상 이하도 아님... 직장인들이 내 회사처럼 일 하지 않는 이유가 있다고.. 열심히 하면 개호구로 얕잡아보고 일 짬때리고 우습게 본다고
@uuyeye3849
@uuyeye3849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까사미아님이 주인 의식을 갖고 일했던 게 언젠가 빛을 발할 거예요. 당장은 티가 안 날 수 있어도요 + 회사는 맞는 방법이 아닌 것 같네요. 시스템만 배우고 나와서 다른 일을 하시면 성공하실 것 같아요
@AA-ty5zq
@AA-ty5zq Жыл бұрын
수많은 인강을 들었지만, 기억에 남는 선생님은 정승제 밖에 없음. "좋은 대학 갈 필요 없지만, 최선을 다하는 습관이 중요해. " 이 한 마디로 지금도 살아감. 수학 1 받았음에도 다른 걸 조져서 좋은 대학은 못 갔지만, 그래도 그 시절 노력했던 내 모습이 지금도 열정적인 사람으로 만들었음. 사랑해요
@fifaboy425
@fifaboy425 Жыл бұрын
공감. 내 최선이 빛을 발휘하는 모습을 내가 보고 경험치로 갖는게 중요하다.
@Y-NOT-
@Y-NOT- Жыл бұрын
그걸 사랑이라 하는거에요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Жыл бұрын
@@Y-NOT- 응애❤
@0Bae
@0Bae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지금 뭐먹고 사는데?
@PARKTAEJOONMANGA
@PARKTAEJOONMANGA Жыл бұрын
@@0Bae 뭐 먹고 사는것을 떠나서 한가지 의미있는 일을 얻었잖아요 이걸로도 충분한거 아닌가요?
@gy7236
@gy7236 Жыл бұрын
10%끼리만 경쟁하고 서로 끌어준다는 말 대박 공감하고… 저도 몇달전에 무슨 문제가 있어서 IT 부서에 문의한 적 있었는데, 간단한 줄 알았던 문제가 결국은 줌미팅까지 할 정도로 의외로 꼬여있었는데 결국은 이 분이 집요하게 포기하지 않고 해결해주니 달리 보이더라구요. 존경스러웠고 고맙다는 말을 몇번이나 했는지 모릅니다. 프로의식은 아름다운 거 같아요
@user-hu6uo4mb1r
@user-hu6uo4mb1r Жыл бұрын
정승재가 주장하는 바는 그런게 아니야 난 항상 10퍼센트 안에 들어왔고, 너희들은 다 ㄱㅂ시옷이다 이거지.
@Kiwi_247
@Kiwi_247 Жыл бұрын
@@user-hu6uo4mb1r 왈왈
@fenneszkr204
@fenneszkr204 Жыл бұрын
@@user-hu6uo4mb1r 왈왈
@KJS2
@KJS2 Жыл бұрын
멍멍!
@user-dq4py5un4d
@user-dq4py5un4d Жыл бұрын
​@@user-hu6uo4mb1r 닉값은 본인에게 해야할거 같고 마인드가 인생을 반영하고 닉에도 반영된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thanks5118
@thanks5118 Жыл бұрын
신발을 정리하는 일을 맡았다면, 세상에서 신발 정리를 제일 잘하는 사람이 돼라 그러면 세상은 당신을 신발 정리만 하는 심부름꾼으로 놔두지 않을 것이다 -고바야시 이치조
@husky5986
@husky5986 Ай бұрын
크..
@rohae
@rohae Ай бұрын
ㅋ ㅑ ....
@pdw3426
@pdw3426 2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되는게 예전에 집 인터넷이 먹통이 돼서 기사를 불렀는데 이것저것 만져보더니 계속 안 되서 "밖에서 뭐 좀 확인하고 올게요" 하고 나갔다 오더니 해결이 된거임. 먹통이 된 이유가 뭐냐고 물었는데 아파트 중앙통제실에 회선이 어쩌구저쩌구 하면서 이유를 얘기해줬음. 근데 똑같은 방식으로 몇 달 뒤에 인터넷이 또 먹통이 됐는데 그 때 부른 기사는 그냥 무조건 공유기만 바꾸라는거임. 그래서 내가 "저번에 온 기사님은 이렇게 하시더니 해결 되던데요." 라고 했는데 "그런 이유 같진 않을 거 같은데.." 하면서 못마땅하게 나갔다 오더니 해결이 된거임. 그냥 이 기사는 그런게 있다는 걸 알면서도 안 했다는거지. 이런 사람들이 항상 끝나고 하는 말이 서비스 점수 높게 달라고 하고 있으니 참 안타까운 현실임.
@gmk7952
@gmk7952 Жыл бұрын
핵공감 저렇게 일 대충하고 표면적으로만 번드르르
@soaik2702
@soaik2702 4 ай бұрын
알고 있던 게 아니라 모르고 있었던 거 아님?
@donwookjo5330
@donwookjo5330 3 ай бұрын
공유기바꾸면돈벌잖아
@user-qr6qt9ol6d
@user-qr6qt9ol6d 2 ай бұрын
그게 모르는거 ㅂㅅ아
@joongkijang
@joongkijang Жыл бұрын
약간 결이 다른 이야기일 수 있는데 한번은 눈에 다래끼가 나는 것 같아서 안과에 갔습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어디가 불편해서 오셨냐고 물어보셨고 전 "다래끼가 아직 난건 아닌데요 다래끼가 곧 날 것 같은 느낌이라서 왔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의사 선생님은 절 한 번 쳐다보시더니 "다래끼가 날 것 같은 느낌은 뭐죠?"라고 물어보시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느낌에 대해 자세히 설명 드리자 제 눈을 계속 살펴보시더니 본인 소견으로는 현재 다래끼나 다른 증상들이 보이지는 않으나 환자 분이 그렇게 느낀다면 그게 맞고 심리적인 부분이 작용해서 그렇게 느낀거라면 그것까지 해결해드리는게 의사가 해야하는 일 이라고 하시며 눈 마사지하는 방법고을 알려주시고 안약을 처방해주셨던 적이 생각나네요. 제가 만났던10퍼센트의 사람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user-bk9wo2hx3q
@user-bk9wo2hx3q Жыл бұрын
캬.. 멋지네요
@xyzabc7514
@xyzabc7514 Жыл бұрын
와~의사쌤 정말 대박이네요.
@v8_6200
@v8_6200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진 의사네요
@Z_E__
@Z_E__ 11 ай бұрын
요즘 병원가면 의사도 몰라요 하는 의사 많은데..ㅠㅠ 그 분은 진짜 의사시네요..👏🏻
@duf1997
@duf1997 11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만 다래끼가 나면 그때 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날 것 같아서 간건 이해가 안되네요 그냥 저라면 "다래끼가 날래나" 하다가 나면 가고 안나면 안갈것같은데
@real-big-wave
@real-big-wave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을 가지고 사회생활하면 불합리한 상황에 놓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충분한 보상이 주어지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빼앗기기도 하고요. 알아주는 사람도 없는데 뭐하러 열심히 하냐는 말도 듣고 스스로 그런 생각에 괴롭기도 합니다. 그런데 결국 그 노력은 배신하진 않는 것 같아요. 그렇게 살아온 지인들은 결국 다 올라가더군요.
@gomslab.2905
@gomslab.2905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이 있는 분들은 사업하셔야 합니다. 저도 항상 느낍니다.
@user-yy4lx4mw3e
@user-yy4lx4mw3e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을 갖는 사람들이 회사 동료들에게 항상 듣는 말은 "융통성 좀 가져라!" 입니다.프로의식을 갖으면 동료들은 불안해 합니다.꼴보기 싫어하고 시기질투하고 융통성 없이 답답한 사람취급하죠.하지만 결국 인정 받고 승진하게 되죠.융통성 좋아하는 사람치고 일 잘하는 놈을 본적이 없습니다.
@real-big-wave
@real-big-wave 2 жыл бұрын
@@gomslab.2905 그것도 맞는 말이네요.
@real-big-wave
@real-big-wave 2 жыл бұрын
@@user-yy4lx4mw3e 조직 문화가 훌륭한 곳도 있어요. 물론 드믈죠. 엉망인 조직의 경우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다 떠나고 고인물만 남더라고요. 저도 도망나왔는데 새로운 직장에서는 인정해주더군요. 근데 일을 다 시키네요. 일 배분해달라 했는데 무능한 조직장이 나몰라라. 그래서 또 도망나왔어요. 쉽지 않네요.
@real-big-wave
@real-big-wave 2 жыл бұрын
@@user-jy7ge2ck2z 하아 그런 조직은 직접 경험한 적이 없어서 참 놀랍네요. 적당히 하려면 적당히 돈 받아가면 될 것을 열심히 하는 사람 질투는 왜 한대요? 좋은 조직의 경험을 조금 이야기해드리면 일단 팀장이 좋았어요. “우린 프로니까 껄껄껄”하면서 본인도 팀원도 열심히 하도록 유도했어요. 그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분이었는데 나중에 생각해보니 그게 그 팀의 슬로건이었고 팀원들이 세뇌되었던 것 같아요. 다들 열심히하고 서로 돕고 그랬었죠. 회사기 엉망이되어서 다들 이직했는데 그 팀 자체는 정말 좋은 기억이네요. 위에 분들 다들 열심히 하시고 한 만큼 아니 그 이상 보상 받는 인생 사세요!!! 홧팅입니다!!!
@BBANG_Z
@BBANG_Z 2 жыл бұрын
부지런하더라도 의미 있는 곳에서 부지런 해집시다 우리^^ 매사에 열정 뿜뿜하다가 다 소진되버려서 정작 필요할때 번아웃 와버리면...
@user-py7zt6uc5c
@user-py7zt6uc5c 2 жыл бұрын
이게 가장 정답에 가까운거같네요. 본인에게 있어 의미있는 일, 꼭 필요한 일에만 노력하면 되는 겁니다. 항상 노력해야 그런 일이 왔을때 노력이 된다고요? 인생은 전쟁인데 누가 전쟁을 그딴식으로 합니까ㅋㅋ 수백만 대군도 행군만 계속하면 전쟁 집니다 ㅋㅋㅋㅋ
@user-iw3jd9il6u
@user-iw3jd9il6u 2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갑갑니다....... 열정 총량의 법칙 ㅜㅜㅜㅜㅜ 열정페이가 무서운 이유
@user-gn8yd9rv3r
@user-gn8yd9rv3r Жыл бұрын
진짜진짜 너무 공감!!
@0-0a.
@0-0a. Жыл бұрын
이댓글에만 왕따봉 눌러주고 싶네용 ㅋㅋ 의미있는곳에 자기 에너지를 써야지 별로 가치 없는곳에 의미부여하고 자기 에너지 소진해봤자 번아웃 오고 정작 중요한 인생의 순간에 쓸 에너지가 저장되어있지 않은 불상사가 생길수가 있는거… 자기가 노력한만큼 올라갈수 있는 운좋은곳에 있으면 열심히 기회를 타서 하시고 늪같은 곳에 빠져 잇다면 늪에선 헤엄치면 칠수록 더욱더 가라앉으니 그런 환경에서는 조용히 에너지를 아끼는게 현명한거죠
@user-wn1hb5od6n
@user-wn1hb5od6n Жыл бұрын
하 이거 진짜 공감
@samh8159
@samh8159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덧붙이면, 프로의식은 프로들이 모인 우수집단에서만 가져야합니다. 대부분의 조직, 특히 공무원 조직에서 가지면 본인만 고생하고 욕먹다가 지쳐버리고 흑화될 수 있어요.. 꼭 먼저 우수집단으로 가서 능력을 발휘하세요
@user-kv4bg6mz5e
@user-kv4bg6mz5e 2 жыл бұрын
이게마따 프로의식발휘에서 성장하면 좋겠지만 하위집단에서 그짓하면 덤탱이 다쓰고 이익은 윗대가리들이 다 가져감. 시작부터 우수집단에 있던 사람들은 이해 못할듯
@user-sn3ij7pd7v
@user-sn3ij7pd7v Жыл бұрын
진짜 ㄹㅇ 대기업 가야하는 이유가 물이 다름. 좆소쪽으로 갈수록 정력과 양기를 발휘할수록 그 정수가 다른 이의 이익으로 치환되서 증발함 (경험자)
@dolphin6046
@dolphin6046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임. 90% 집단에서 온갖 프로의식 부렸다가 눈총 맞기 쉬움.
@yj8829
@yj8829 11 ай бұрын
뭣도 없으면 프로의식을 가져야 상위 리그로 올라갈 수 있음. 애초에 뭣도 없는데 우수집단에 발 들이기는 불가능함.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11 ай бұрын
공무원이 만만해 보이시나 ㅋㅋ 지방직 9급 정도만 공무원으로 보시니 그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착각하지 마셔야 할 게 이 나라에서 가장 큰 기업은 대한민국 정부임. 이 나라 국민, 경제, 산업 전반을 책임지는 초거대 서비스 대기업이지. 지방직 9급 공무원은 그 기업에서 텔레마케터 정도 위치고. 텔레마케터 보고 삼성전자를 평가하는 거나 다름없죠 ㅋㅋ 삼성전자를 평가하려면 삼성 본사의 최소 대리급부터 봐야지 무슨 소린가요? 그 정도면 대한민국 정부에선 중앙부처 7급 정도임. 그 사람들 박봉받으면서 새벽까지 일합니다. 4급쯤 되어야 사기업으로 치면 부장 정도 위치? 중앙부처 공무원의 세계가 얼마나 살벌한지 알면 깜짝 놀라실걸요. 그 사람들이 만드는 문서 한 글자에 한국 전역에서 수백, 수천억원의 흐름이 바뀝니다. 그 사람들이 그리 헐렁한 사람들이었으면 한국 진작 망했어요 ㅋㅋ
@user-nl5gw7ph8t
@user-nl5gw7ph8t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어느 조직이건간에 어느 사회건간에 90%는 게으르고 귀찮아하죠. 그 게으르고 귀찮아하는 인원의 비율이 적은 조직일수록 조직이 성공하구요. 기업체에서 일하다보면 매년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과 아닌 기업이 눈에 보이는데 그 이유가 딱 저거더라구요.
@user-dp8ns8qe2w
@user-dp8ns8qe2w 2 жыл бұрын
근데 꼭 그렇지만은 않은게 개미와 벌의 70프로가 게을러서 노는게 아닙니다. 수억년에 걸친 생존전략인데 그냥이 있겠습니까. 모든 개미가 늘 성실하게 일하면 조그마한 비상상황이나 변수에도 쉽게 조직이 방전되고 무너집니다. 그래서 늘 그럴 때를 대비해 적당히 노는 개체들이 있는 거에요. 물론! 그 논다는게 아무 쓸모도 없는 인간이 돈만 타 쓴다는건 아니고 위기 상황에 기가막힌 능력을 발휘한 유능한 사람이 놀아야 한다는 거죠. 다들 허둥댈 때 어휴 이리줘봐 하고 해결할 만한 사람. 그래서 조직이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노는 사람을 줄이는게 아니라 노는 사람 중에 무능한자와 유능한 자를 구분하고 솎아내는 것에 있죠.
@user-dp8ns8qe2w
@user-dp8ns8qe2w 2 жыл бұрын
정승제 쌤 말 뜻은 알지만 그냥 어디서 들은 게 문득 생각 나서 써봤네요
@kittyhendrix5247
@kittyhendrix5247 2 жыл бұрын
@@user-dp8ns8qe2w 개미 조직은 정말 조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런건지 잘모르겠지만 인간 조직은 모든 조직원이 늘 성실하게 일하면 조그마한 비상상황이나 변수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의식 없는 사람은 위기가 왔을때 뒷짐지고 원래 그런거라고 구경만 하는 사람이지 지금까지 조용히 있다가 슥 나서서 일을 해결해주는 환상 속의 존재를 말하는게 아님. 일 안하는 사람은 끝까지 안하는데 이건 승제쌤처럼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름
@user-lv8lp8fh4i
@user-lv8lp8fh4i 2 жыл бұрын
@@user-dp8ns8qe2w 한국인게이야..
@52Room_
@52Room_ 2 жыл бұрын
@@user-dp8ns8qe2w 사람은 개미가 아닙니다. 논다의 개념이 좀 다르게 느껴지는데 10명 몫의 일을 10명이 하는것보다 여유를 두어 11명 12명 스페어를 두게해서 일을 할 때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게 맞죠 하지만 실상 11명 12명두면 9명 놀고 3명 일합니다 그리고 비상상황시 3명이 커버 다치고 9명은 구경하거나 3명이 시킨일을 조금 할 뿐이죠 세상이 한가지 이론만으로 돌아가지 않더라구요
@min-sf6fc
@min-sf6fc 11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중요함. 나도 사람 고용하는 입장이 되니까 확실히 알겠음. 뭔가 된다. 뭔가를 한다고 하는 사람은 정말 적음. 문제는 그 비중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줄어들고 있다는 것임. 이것은 습관이라..... 돈 조금 더준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 잠깐이야 바뀌지만 그 약빨은 1달도 안감. 스스로 프로의식을 가져야 모두가 행복하다. 직원한테 급여도 좀 더 올려줄 수 있고 프로의식 없는 것 눈에 보이면 정해진 것 이외에 아무것도 해주고 싶지 않음.
@DTEX2
@DTEX2 7 ай бұрын
전체 직원이 진취적이게 하는 성과급 인센티브나 어떤 유인동기가 있어야 할텐데 쉽지 않죠
@user-bg8iz2vn6b
@user-bg8iz2vn6b 2 жыл бұрын
마즘.. 90프로에 해당하는 사람인 내가 봐도 그럼 글고 우리나라는 가끔 저렇게 프로의식있고 책임감잇는 사람 꽉막힌 사람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잇음.. 난 이걸 핑계로 대충 사는듯.. 올해부턴 달라지자 ,,
@user-jb5me9si9b
@user-jb5me9si9b 5 ай бұрын
엽전은 안 된다. 오래된 생각이다.
@blacksilver8855
@blacksilver8855 2 жыл бұрын
저거 맞는 말임 어릴때부터 환경이 그닥 좋은게 아니라서 사람이 좀 부정적이였음 그래도 부지런하게 살다보니까 나도 모르게 능력이 생기고 사람이 좀 더 적극적으로 하니까 이젠 재능이 되어버림 사소한 일이라도 열심히 해보세요 몇년뒤는 본인이 달라집니다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2 жыл бұрын
그 어떤 직종에서도.. 프로 의식이 없으면.. 타인에 인격 대응이 귀찮아 지기 때문에.. 타인을 시기하고, 질투하며, 타인에 대한 열등감에 빠져서..타인을 부정적으로만.. 올바른 생각 못하고, 올바른 사람 다 놓치고, 오직 자신에게만 긍정적으로 변해버려.. "나는 그래도 잘 하고 있어" "나는 보편적인 평균이다" 착각 속에 산다. 진정한 프로 의식은 직업에 상관 없이.. 0.1초 마다 "자신을 확인 한다" 그래서 일 잘하는 사람은 미쳐 버리는 경우가 많지.. 비교 쟁이 인간들과 집단 안에서 겹치고, 부딪히게 만들면.. 뛰어난 그들은 마음(정신)병 걸린다. 때문에 능력 있는 사람들은 선택을 해야 할 시기가 온다. 프로 의식이 없는 인간들을 하등 한 인격 채로 생각하고, 내 갈 길 가는 소시오패스가 되던가.. 남들과 맞춰서 삶의 방식을 맞추거나.. 혼자 쓸쓸하게 죽어가거나..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2 жыл бұрын
ㄴㄴ 대중들 하등하다 생각하면 안됨. 그냥 자연현상이라 받아들여야됨. 하등하다 생각하면 너도 삼류.
@user-gn6ti4fc1z
@user-gn6ti4fc1z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살고계실까요? 고독하시죠? 생각 하는 힘이 있으신분같아요
@user-ef9zu3eh9o
@user-ef9zu3eh9o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를 장황하게 적어놨네
@user-qi1hm4gs7p
@user-qi1hm4gs7p Жыл бұрын
매일매일 계속 자신을 갈고 닦으면서 진취적으로 성장해나가는 인간이랑 자기계발을 놓고 사는 사람하고 비교하면 당연히 후자가 열등한 인간인거 맞지, 무슨 열심히 사는 사람들을 소시오패스 취급을 하며 자위질하고 앉았네, 평생 열등하게 사쇼. 알아서 자연도태 되겠지만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Жыл бұрын
@@user-qi1hm4gs7p 뭔가 착각한 거 같은데 나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 전부를 소시오 패스로 보는 게 아니야 소시오 패스 중에는 자기 할 일 열심히 했기 때문에 다른 감정을 배제 하게 된 사람도 있다는 거다. 내 이야기에서 중요한 요지는 묵묵히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 중에는 그 일이라는 것에 열중하고 집중 했기 때문에 대인 관계가 파탄 나는 경우를 빗대어 말한 거다. 그래서 이 아저씨도 살아가면서 여러 사람을 만나고, 아직도 인생을 경험하면서 배우는 입장에서 보면.. 세상은 [끼리끼리] 라는 거다. 비슷한 것들끼리 모여서 살아가는데.. 과연 유언비어, 시기와 질투를 못하는 교감인자를 가진 그들이 열등한 것인가? 그들은 달라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단방에 구분해 놓고 가능성의 무게를 재어 보고 거기서 왜? 왜? 왜? 왜? 왜? 라는 의문을 자신에게 수백 수천번 되내인다. 결국엔 그들은 일가견을 이룰 수 있는 최적의 생각을 가졌다는 거야.. 하지만 그렇게 일가견 이라는 타이틀을 이뤄내고도 쓸쓸히 혼자 죽어가는 사람도 있다는 거다. 그건 업보와 같아서 자신이 어떻게 해볼 수가 없다. 몸에 베어 버린 습관과도 같고, 사주팔자에 액이 끼인 것 과도 같고, 사이비 종교에 매번 빠지는 것과 같고, 호스트빠 선수만 꼬이는 미녀의 인생과도 같다. 사람 운이라는 건 노력해도 안되는 사람도 있거든.. 습관을 전부 버릴 수가 없으니까.. 이게 과연 열등한 걸까?? 타인의 이야기를 성욕 발산에 빗대어 말하는 지능으로는 이해 못할 거다. 니가 방구석에서 그 짓거리 한다고 타인도 그럴거라 생각 하는 것은 니가 지금 그러고 있다는 반증이니까
@user-ou9uo5zd5c
@user-ou9uo5zd5c 11 ай бұрын
프로의식 가지고 했더니 주변에서 이용만하고 나만 죽어나 심신이 안 좋아지더라고요. 지속가능한 프로로 있고자 한다면 기업이나 리더를 잘 만나던가 운기가 좋아 내 사업을 하던가 고액의 프리랜서가 되시는 걸 추천합니다.
@choihunjae
@choihunjae Жыл бұрын
수험생이 듣는 강의이지만 20대의 끝에 다다른 지금도 많은 영감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zm1nm6gk6b
@user-zm1nm6gk6b 2 жыл бұрын
시험전날에 보고있는데 엄마가 인강보는줄알고 좋아해요
@JazzPianojimusic
@JazzPianojimusic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ovian28791
@jovian28791 Жыл бұрын
아 웃겨요ㅋㅋㅋㅋ
@hyejinkim5646
@hyejinkim5646 Жыл бұрын
“인생 강의”
@cdbsr3833
@cdbsr3833 Жыл бұрын
인강보다낫다 이게
@user-hx2nd1zn2w
@user-hx2nd1zn2w 2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 카페가서 메뉴 설명 물어봤을때 정말 반짝거리는 눈으로 설명해주는 바리스타분이 있는가하면 예예? 아.. 이러면서 걍 입에 지퍼잠가주는 알바분있음. 이분께는 바리스타라고도 하지 않겠ㅅ음... 물론 신입이시면 그럴수 있지만 제가 지금 견습?중이라 여쭤보고 알려드릴까요 라는 지 어떤 직업이든 알바든 소비자/고객보다는 프로의식을 갖고 임해야한다.. 는게 내 생각임..
@user-nf4zm1zk6s
@user-nf4zm1zk6s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개공감. 진짜 인생 살아가다보니까 말하시는거 확실히 느낍니다. 진짜 지들이 일하는 분야에 왜 프로의식이 없지? 일단 안된다고 하면 본인스스로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해봐야지. 원래 그렇다가 어딨어? 기기가 작동이 안하거나 소리가 나는건 뭔가 어딘가 문제가 있다는건데. 진짜 그래서 나는 너무 짜증나서 모든걸 나 스스로 해결하고 싶은데 그 지식의 한계가 있어서 넘 짜증남. 내가 특히나 기계때문에 고생도 좀 했는데 기계공학과를 갔었어야 하나 싶음.
@user-pt3fj5wm1w
@user-pt3fj5wm1w 7 ай бұрын
제조업 사무직인데 기계공학과 공감되네요
@JJInmandudu
@JJInmandudu Жыл бұрын
역시 승제쌤 또 깨닫고갑니다 그냥 그럴것이다 라고 넘어가는 저의 모습을 반성합니다. 수학 공부할때;; 항시 의심하면서 문제를 접근하는 태도를 갖춰야겠습니다 그래야 더 나은 발전된 생각을 하게되더라구요
@user-pc7lt1nb3i
@user-pc7lt1nb3i 2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일할 때 아주 많은 도움이 되는 조언이네요
@pillyahn1278
@pillyahn1278 11 ай бұрын
회사생활 해봐도 마찬가지입니다. 딱 적정선에서 원래 그렇다, 이게 맞다 우기고 넘어가려는 직원...안될 가능성이 높은 거 뻔히 알면서 기어코 나서서 해결하려고 하는 직원으로 나뉩니다. 옆에서 보면 후자 직원이 좀 미련해보이는대요. 나중에 보면 후자의 경우가 더 빨리 승진하거나 좋은 기회 잡아서 스카웃 되어 갑니다. 세상 이치가 그래요. 뭔가 반드시 해결해야 프로가 아니라,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자세와 마인드를 갖고 있는 사람이 프로입니다. 그리고 이런 마인드로 살아가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나를 제외한 모든이가 나를 평가하고 뒷담화하거나 칭찬합니다. 안 보이는 곳에서요. 이게 무서운 겁니다. 이게 우리가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계속 고뇌하고 연습하고 노력해야 하는 이유에요.
@user-od4ws4sy1s
@user-od4ws4sy1s 2 жыл бұрын
진짜 쌤심정 이해가 가는게..울 남편은 매~~~~~~일 그거 안돼..안돼는거야~~하고 난 계속 고민하다가 해결하고..그게! 십육년째 반복하고 있다는거야~~
@jm8143
@jm8143 Жыл бұрын
되게 공감되는 영상이네요. 제가 항상 느꼈던 의문이었는데 사람들은 대부분 정말 대충 살려고 하고 노력하지 않는 게 디폴트라는 걸 느꼈어요..^^ 그런 괴리감이 좀 힘들긴한데 다 나랑 같지 않다는 걸 생각하고 또 남들과 같아지지 않기 위해서 중심을 잡아야겠다고 느낍니다. ^^
@user-ct9xi4dk2p
@user-ct9xi4dk2p Жыл бұрын
느끼긴 뭘 느껴 변태냐? 즈그엄마를 쏙 빼닮았네 아주
@junghunlee9941
@junghunlee9941 Жыл бұрын
내가 이래서 이 양반을 좋아해......이 사람은 수학이 아니라 인생 사는 태도를 가르쳐
@user-do9vk4ez4x
@user-do9vk4ez4x Жыл бұрын
그냥 별내용없는 영상인줄 알았음 맨처음에는.그냥 공유기 고장난 썰 푸는줄 알았는데 보다보니까 굉장히 동기부여가 되고 힘이 되는 영상이네요.
@gabriellarhee2737
@gabriellarhee2737 Жыл бұрын
현실은 프로로 일해도 알아주지 않는 현실이 존재. 나혼자 진상처리반 되고 나혼자 힘든 일 다 하는 사람이 되는게 아주 자주 일어나는 사회의 현실..그래서 내가 열정적으로 열심히 몸 받쳐 일 할때 나를 알아주는 오너나 상사를 만난다는 자체가 큰 행운이 아닐까 싶다.
@user-ze9wb1ee6x.
@user-ze9wb1ee6x.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ㅋㅋ 픵시들끼리 공감ㅇㅈㄹ ㅋㅋ 사람들이 멍청해서 손 놓은줄 아나 ㅋ 현실에서 보상이 안따르니까 그렇게 된거지 ㅋㅋ
@uhh9611
@uhh9611 Жыл бұрын
난 직장을 밥먹듯이 옮겨 다녔는데 딱 30살에 날 인정해주는 상사를 만나서 일 배우고 지금은 나와서 그 분야 개인사업함 벌써 7년째 아직도 그 상사와 시너지효과 보면서 영위중임 내 의지와 일에 대한 곧음을 인정해주는 사람을 만나면 그게 큰 발판이 되더라
@romadi1761
@romadi1761 3 ай бұрын
ㄹㅇ 프로의식가져도 보상이 안 따라오면 그냥 동태눈으로 사는거임
@zbrnke1357
@zbrnke1357 2 жыл бұрын
어릴땐 몰랐는데.. 내가 내 좋아하는 미친듯이 하니까 이 말이 너무나 공감됨 ㅋㅋㅋ 사실 무엇이든지 마스터가 되려면 의사만큼 공부해야된다는 것을
@DaNE-KIM
@DaNE-KIM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의사는 너무쎔 ㄷㄷ
@user-xl5ti3hr5p
@user-xl5ti3hr5p 2 жыл бұрын
의사는 넘사지 ㅋㅋ 초인계지 뭐 의사에 견주거나 더 대단한 사회적 직업적우위나 경제적수준을 목표하면 또 얘긴다르지만 ㅋㅋ
@DaNE-KIM
@DaNE-KIM 2 жыл бұрын
@@user-xl5ti3hr5p ㄹㅇ 그 분야는 타고나는것도 있겠지만 유딩때부터 고딩까지 1등을 놓치지 않는 완전 신계 분야죠, 오죽하면 그 분야 형누나들이 말하는 얘기가 " 내가 공부를 제일 잘하는걸 알고 있는데 내가 제일 열심히 한다" 이 마인드와 꾸준함으로 10일도 아니고 10개월도 아니고 10년 이상을 준비해도 . 될까말까하는 영역임
@thqwl
@thqwl 2 жыл бұрын
의사들도 근데 모름 환자들에 대해
@zbrnke1357
@zbrnke1357 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의사 리스펙하고 대단한거 맞는데 인생 길게보면 그렇게 대단한 인간들도 사실 별로 없지 않나? 여의도에서 탑급 트레이더들이나 슈퍼개미들이나 아님 구글 아마존 리드 엔지니어나 그런 사람들 전부 워커홀릭이지 초인에 대한 관점이 다른거 같은데ㅋㅋ 진짜 초인들은 폰노이만 같은 역사적인물이지 그 머리로 월가에 갔으면 떼돈을 벌었을텐데 ㅋㅋㅋㅋㅋ 한해에 우리나라에서만 수천명씩 나오는 사람들마다 "우아 초인이다, 천재다" 이럴거야?ㅋㅋㅋ 직업적 윤리랑 3대 욕구중에 전자를 많이 택한 사람들을 보통 천재라고 표현하긴 한다만...
@jaesoulchildhan6579
@jaesoulchildhan6579 2 жыл бұрын
대공감. 상위10%갈 수 있는 회사에서도 적극적으로 문제해결하려는사람 10%밖에 안됨. 나머지 90%는 무임승차 또는 현실안주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2 жыл бұрын
ㄹㅇ 90%는 특별한게 뭔지모르는 보통 사람 맞는데 ㅋㅋㅋ 뜨끔해서 지들 욕하는 소리 들리면 ㄱ같이 물고 달려듬 ㅋㅋㅋ 특 : 대중은 좋다. 대중은 멋지다 이런 늬앙스로 커버침 ㅋㅋㅋ 설민석이 그랬지? 난세 때 평범한 사람들한테서 영웅이 난다고? 미안한데 독립운동가들은 원래 휼륭한 사람이 될 수 있는 기질이 쌓읻 사람들이라서 그런 큰 일을 할 수 있었던거임 ㅇㅇ 일제시대때 국민들 0.2% 직접항쟁, 19.8% 간접도움. 80%는 운동에 관여하지 않고 현생을 살았음.
@user-yk3xj3lf3u
@user-yk3xj3lf3u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인터넷의 발달이 정말 좋은듯. 소비자가 평가하고, 그걸 공유함으로써 다른 소비자도 그 생산자를 찾게 되고, 그 생산자는 매출이 올라가고
@sero3527
@sero3527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댓글알바도 생기고 그런거죠
@user-bdbdbdbdbdbd
@user-bdbdbdbdbdbd 2 жыл бұрын
@@sero3527 ㄹㅇㅋㅋ
@white_zone
@white_zone 2 жыл бұрын
@@sero3527 창조경제!
@zermadouble6
@zermadouble6 Жыл бұрын
정말 딱 맞는 말씀. 실질 경쟁률은 그리 높지 않음. 어떤 경쟁이든 허수가 많지
@justicekim8156
@justicekim8156 2 жыл бұрын
우리 집 인테리어후 인터넷 재 설치하러 온 kt 기사님 , 몇번 이리저리 해보더니 인테리어 하시다가 단선이 된거 같은데요?하면서 힘들 것 같다고 하고 감. 전기 설비팀에서 그럴리가 없다고 다시 와서 삼자 대면 하니 다른 유선을 착각했고, 심지어 단선도 안됨. 그때 알았지 이 사람은 프로가 아니구나, 경력을 꽤 많이 된 듯 보였지만 자신이 하던대로 했는데 안되면 원래 그런거라고 하면서 돌려 보낸 집이 수십 가구겠구나.
@user-dq5cp4ei7d
@user-dq5cp4ei7d 2 жыл бұрын
하도 단선되는 경우가 많아서 실수로 착각한걸수도있죠. 실수 한번 했다고 그렇게까지 생각하는건 너무 비약이심한데
@_stay_with_me
@_stay_with_me 2 жыл бұрын
@@user-dq5cp4ei7d 단선이 됐으면 후속 조치를 해주든가 안내를 해주든가 해야하는데 단선이 됐다고 하고 바로 간거 잖음 책임감 ㅈ도 없는거지 차피 짤리지도 않으니까
@WINDCANDY
@WINDCANDY 2 жыл бұрын
@@user-dq5cp4ei7d 돈받고 하는일인데 실수하면 욕먹어야죠
@USbus_driver
@USbus_driver 2 жыл бұрын
@@user-dq5cp4ei7d 다음대책이 없는 대답은 ㅋ 가치도없다봄
@user-ii9du7nb9i
@user-ii9du7nb9i 2 жыл бұрын
실수한번하면 직장에서 쪼인트 뒤지게까이고 면상에 서류날라와도 그러려니 해야할 새끼들 많네 ㅋㅋ 이해해주고 넘어갈수있는일에 굳이 돈냈으니 갑이다라는 심보 지긋지긋한 헬조선 마인드 ㅋㅋ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은 와닿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진짜 이말씀 기억하고 딱 10년뒤에 꺼내보세요.. 선생님 진짜 좋은 말씀 해쥬셨네요 ㅠㅠ❤
@Coco0204
@Coco0204 Жыл бұрын
고2인데도 너무나 확연하게 와닿습니다ㅎㅎ... 지금 나이많은 어른들이 어렸을땐 철이 늦게 들어서 좀 멍텅했지만 요즘은 고1만 돼도 다 알거 알아요ㅎㅎ
@user-qq6kw8zr2g
@user-qq6kw8zr2g Жыл бұрын
@@Coco0204 그 멘트 그 자체가 진짜 철이 없는 멘트에요. 이제 몸 다 자란지도 얼마안된 고등학생이 무슨 직업의식에 대한 공감을 완벽하게 알아요. 늘 겸손하세요. 철이 늦게 들어서 멍청하다는 멘트 자체가 이미 철이 안들었다는 증명이네요
@Coco0204
@Coco0204 Жыл бұрын
@@user-qq6kw8zr2g ㅎㅎ 님을 보니까 나이는 먹어서 몸은 늙었는데 철은 못든 사람같네요ㅎㅎ 저는 님처럼 되지 않을테니 걱정마세요ㅎㅎ 뭔가 안타까워 보여요ㅠ
@dew8329
@dew8329 Жыл бұрын
@@Coco0204 와 조언 속 내용은 못알아보고 자기 기분대로 비꼬기 스킬 쓰는 모습이 정말 철 없음 거울 치료 잘 당하고 갑니다 조언자분 감사합니다
@Coco0204
@Coco0204 Жыл бұрын
@@dew8329 와 진짜 얘처럼 쿨한척하는 찐따는 되지 말아야지ㅠㅠ 거울치료 감사합니다ㅠㅠ
@user-pu9df8tx2y
@user-pu9df8tx2y 5 ай бұрын
제가 이분보다 연식이 더 되지만, 말 한마디 한마디가 가슴에 와 닿아요. 늘 배우며 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seefeppee5931
@sseefeppee5931 Жыл бұрын
와... 수험생만 보기엔 참 아깝다. 모든 직장인 사업가가 봐야될 필수 영상이다
@ireneshin828
@ireneshin828 2 жыл бұрын
사생팬님 축하드려요 ㅋㅋㅋㅋ 정승제 강사님이 청소년 권익 유튜브로 선정해 줘야 된데요 ㅋㅋㅋㅋㅋㅋ
@user-qc3yp3ob8o
@user-qc3yp3ob8o 2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을걸 배웁니당 ㅎㅎㅎ... 여윽시 일류는 달랑!!!
@bikermins429
@bikermins429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ㅎ90퍼는 안한다는거ㅎ프로의식 진짜중요한것같아요 남다른 프로의식과 집요함을 가진분들이 성공하더라구요
@user-zd8yi7my2g
@user-zd8yi7my2g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 너무나 인정합니다
@David-vc8dt
@David-vc8dt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그런경험 몇번 있습니다. 남들은 내가 아니기 때문에 더 알아볼 의욕이나 의지가 없습니다. 매뉴얼대로 하고 공임서비스 비용이나 더 청구하면 된다는 마인드죠. 확인해보고 안된다고 하면 감정소모 하지말고 내꺼는 내가 고생해서 알아보는게 가장 빠르게 노력과 비용을 아끼는 지름길입니다.
@pori3834
@pori3834 2 жыл бұрын
ㅋㅋ 생선님 화내는게 개웃겨 계속 화냈으면 좋겠다
@user-mu7ii4gy5w
@user-mu7ii4gy5w 2 жыл бұрын
와우~정승제씨 보면 볼수록 괜찮네요~역시 이런분이 성공 하시는구나~~^^
@realmadrid.99
@realmadrid.99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이네요 프로가 아니다.... 정신차리고 살도록 하겠습니다!
@user-qd1qj2cd3j
@user-qd1qj2cd3j 2 жыл бұрын
오 살면서 이런걸 생각해 보지 않은거 같아요 듣고 보니 맞네요 90프로는 직업의식 보단 빨리 쉬고 싶고 집가고 싶고 10프로들 끼리의 경쟁..
@eunjeongkim8340
@eunjeongkim8340 Жыл бұрын
직장인인데 엄청 공감된다 자극도 되고
@user-bo9er6ns1e
@user-bo9er6ns1e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이 안하려는 습성 핵공감! 목표를 이루거나 다른 욕심이 생긴다면 안하려는 습성이 드러나기 때문에 엘리트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프로의식이 없는 사람들이 태반. 비율의 차이는 있겠지만 반면 애초부터 열심히하려는 인자를 가진 사람은 어딜 가든 프로의식을 가지고 열심히 하게 되있다고 생각하네요. 어쩔 수 없는 환경 때문에 더하게 되느냐, 덜하게 되느냐의 차이일 뿐 프로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이미 스스로 자각하는 매커니즘, 루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꾸준히 열심히 해야만 만족감이 생기므로 프로의식이 아닌 것에 분노하게 되고, 스스로에 대해 덜 만족스러운 것이 항상 거슬리게 되어 어쩔 수 없이 하게 되어있음
@hajagu8813
@hajagu8813 11 ай бұрын
유전일까요 ㅠㅠ 기질
@user-fb4sr2dy6t
@user-fb4sr2dy6t 2 жыл бұрын
저 말 되게 공감한다. 그냥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최선의 최고의 방법을 게속해서 찾는 귀찮은 행동을 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것 같다. 대부분들의 사람들은 그냥 귀찮아서 생각을 안 할려하지.
@noonoo6488
@noonoo6488 2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긴 한데, 모든 사람이 꼭 성공해야 하는건 아니지 않을까요?
@user-py7zt6uc5c
@user-py7zt6uc5c 2 жыл бұрын
원래 남이 하는 건 쉬워보임 ㅋㅋㅋ 저 서비스센터 직원이 하루에 몇 명의 손님을 전화로 상담하겠냐 ㅋㅋㅋ 그런 상황에서 고객 하나하나가 겪고 있는 문제점을 다 파악해서 해결해준다? 사실상 불가능임. 아니 직원 본인에게 있어선 그래야 할 이유도 없고. 원래 노력이란건 내가 정말 필요로 하고 이 능력은 꼭 있어야 한다 정도에만 하면 충분함. 그걸 모른다면 메타인지부터가 잘못된거고.
@user-qw6vw4hp6x
@user-qw6vw4hp6x 2 жыл бұрын
@@noonoo6488 성공이라는건 사람마다 가치가 다른데 아무리 귀찮아 하는사람들도 자기가 추구하는 성공의 가치가 분명히 존재함. 물론 다른사람이 봤을때 실패한것처럼 보이는 삶조차도 그게 목표고 성공의 가치로 삼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마저도 귀찮아하는 마인드로는 도달하지 못하는게 진리임
@DoubleJY
@DoubleJY 2 жыл бұрын
@@user-qw6vw4hp6x 맞아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이 영상은 한계점이 분명합니다 남의 일이니 저렇게 쉽게 말하죠 막상 본인이 하면 생각이 달라질겁니다
@uhh9611
@uhh9611 Жыл бұрын
@@noonoo6488 성공해야 되는게 아닌게 아니라 90%는 성공못함
@user-mi4zk7yr9n
@user-mi4zk7yr9n Жыл бұрын
과외하면서도 느낍니다. 절대다수의 과외선생들이 진짜 대충하더라구요 sky 의치한에 비해서 학벌이 낮더라도 과외시장에서 충분히 상위권에 들 수 있습니다
@brightrighter
@brightrighter Жыл бұрын
이거는 고등학생때 들으면 뭔소린가 싶을 거 같음... 근데 지금 들으면 너무 공감됨 자기 전문분야인데 공부 하나도 안하는 사람 많음 백종원 골목식당만 봐도 자기 전재산으로 가게 차리고도 노력이나 공부 안함 그냥 하던 대로 하다가 망함, 그런 사람이 진짜 90%임 젊고 나이들고 차이 없이 그냥 그런거 같음 그래서 열심히 하는 것 보다 그냥 하면 다 잘 되는 거 같음 인생 난이도가 상상만큼 높지는 않은 듯
@uhh9611
@uhh9611 Жыл бұрын
손흥민 아버지 손웅정이 그랫죠 세계 벽 절대 높지 않다고 하냐 안하냐의 차이
@JaKe-pm8tu
@JaKe-pm8tu 10 ай бұрын
저는 제 일을 할 때, dignity 라고 합니다. 주인의식이든, 프로의식이든, 자긍심이든, 자신감이든 자기 일을 제대로 해내려는 마음가짐이 진짜 중요하죠.
@user-fc7lm1rv5r9
@user-fc7lm1rv5r9 3 ай бұрын
3:26 정승제 흥분 time
@user-ggeu
@user-ggeu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정승제쌤은 통찰력이...
@LL-yo3ik
@LL-yo3ik 2 жыл бұрын
아니 진짜; 통찰력이 무슨 뜻인지는 아심? 유튜브 골빈애들 천지인거 하루이틀 아니지만 볼때마다 개어지럽네
@user-ug7gi9uf8m
@user-ug7gi9uf8m 2 жыл бұрын
랄 티르 탈 솔
@user-nf4zm1zk6s
@user-nf4zm1zk6s 2 жыл бұрын
삶에서 우러러 나오는 답답함임
@db63fhe
@db63fhe Жыл бұрын
통찰력이 뭐.. 말을 끝까
@tobletobleS
@tobletobleS Жыл бұрын
@@db63fhe ㅈ
@user-xl6dg6du1u
@user-xl6dg6du1u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이네요 이걸 어떻게 해 하면서 포기하거나 귀찮아했던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네용
@Lemon-dc3xg
@Lemon-dc3xg 2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좋은 말씀들이 참 많네요
@user-og5gy2ft4x
@user-og5gy2ft4x 2 жыл бұрын
다음부턴 꼭 사용설명서 봐야겠다 3번이상 정독해야지
@jooneun4365
@jooneun4365 Жыл бұрын
그치.. 될텐데 해야 해결방법을 찾고.. 그래야 실력이 올라가고… 수학이나 인생이나 다 똑같다는걸… 역쉬 고수는 다르네👍🏻
@doffltm123
@doffltm123 11 ай бұрын
와 진짜 뼈때리는 말이다.... 감사해요..
@silnay4572
@silnay4572 Жыл бұрын
직장인 11년차 넘 공감되네요. 어떤 팀장은 맨날 안 된다고 하던데요? 라는 식.. 수동적인 태도 정말 속터짐. 안 되는 걸 어떻게든 바꾸어보려는 시도가 필요한 거고 시장을, 세상을 바꿀 수 있는건데 그 원리를 모름. 아니 알고자 하지도 않음..
@user-qi5hx6dd2e
@user-qi5hx6dd2e 8 ай бұрын
그저 월듭 루팡
@user-rw8ie3go5q
@user-rw8ie3go5q 2 жыл бұрын
1:34 급발진 진짜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g5sk4je1c
@user-dg5sk4je1c Жыл бұрын
주어진 문제를 끝까지 매달려서 어떻게든 해결하려는 사람. 그게 프로다
@rosajdrawing
@rosajdrawing Ай бұрын
정말 동감해요. 10년 넘는 사회생활을 하는 동안 몇번의 이직을 통해 느낀점은 자기분야의 일을 좋아하는 사람은 극소수, 열심히 할 생각 자체가 없는 사람들은 90%이상임~ 나는 나한테 주어진 일들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 스스로가 괴로워서 열정적으로 하는 성향인데, 그러다보니 제대로된 일은 나만하고 있고 개고생하는데, 프로의식 없는 사람들은 앞에서는 정치질, 뒤에서는 시기, 질투만 하고 있더군요:)
@jailitol
@jailitol 5 ай бұрын
세상 살아본결과.. 경쟁사회 맞습니다. 대한민국은..안되는거도 일단 된다고 하고 달려드는 사람들 많아요. 긴장하고 살아야 됩니다
@uknow6736
@uknow6736 2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이란걸 가지는게 무척이나 힘들다... 특히 회사생활에서 뭐든지 의심하며 들여다보기 힘들고 귀찮아지는것은 당연지사인것이다. 10%만이 프로의식을 가지지만 우리가 절반보다 앞서가려면 10%엔 못미쳐도 자신의 영역에서만큼이라도 프로 의식을 가져야만 한다.
@user-rc6nk9vc2e
@user-rc6nk9vc2e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 월급쟁이라 그래요 사업하면 프로의식으로 함
@hgk9921
@hgk9921 2 жыл бұрын
퇴근이나 바라는 사람에게 프로의식을 어떻게 바라겠냐고 ㅋㅋ
@user-rc6nk9vc2e
@user-rc6nk9vc2e 2 жыл бұрын
@바아아 당연히 사업생각 있는 월급쟁이면 열심히하죠 제 말 뜻은 사업 생각 없고 평범한 삶을 살려는 월급쟁이요 그리고 월급쟁이가 프로의식을 가지고 일하시는 분이 있다면 그분은 회사 갑갑해서 못다닙니다 사업 하십니다 결국은
@worldtutorial8731
@worldtutorial8731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좋아하는걸 해야함 좋아하는걸 하면 그냥 자동적으로 그렇게 됨
@w.b.1887
@w.b.1887 2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 반의 친구들 모습을 볼 때부터 느낄 수 있져...하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n8ic2ph9t
@user-mn8ic2ph9t 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BOBO-qz6py
@BOBO-qz6py 2 жыл бұрын
진짜 맞는 말이다 90프로는 안해 10프로만 하고 나머지 1프로가 변화하고 혁신하는거임
@Challenger_businessman
@Challenger_businessman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2023 개때잡 ㅋㅋㅋㅋ 2022 개때잡 들어서 똑같은거 또들었는데 좋다
@user-nl7cl4ci3c
@user-nl7cl4ci3c 2 жыл бұрын
오 조정식쌤도 똑같은 말 하셨는뎅 10%의 경쟁이라고,, 성공한 사람들한테만 보이는 진리가 있나보군,,ㅠ 나두 열씨미해야징
@user-hengji
@user-hengji 5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해요! 자기 일인데 전혀 모르는 경우가 너무 많아요. 모르면 남탓으로 돌리고 거기에 뻔뻔함까지!!!!!!!!
@HelloQNY
@HelloQNY 11 ай бұрын
캬 매력에 빠져든다
@Yumneng
@Yumneng 2 жыл бұрын
아마 와이파이 주파수를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5ghz 와 2.4ghz의 차이는 속도와 신호가 벽을 넘었을때 안정성을 유지하냐의 차이라고 알고있어요 5ghz는 속도가 빠른대신 와이파이 너머로 벽이 있다면 연결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2.4ghz는 속도가 보다 느린대신 벽너머로 신호연결이 안정적이다라고 배운 기억이 있네요 집안 전체를 움직일것을 상정한 로봇청소기 특성상 2.4ghz로 강제한 것 같아요
@yn762
@yn762 2 жыл бұрын
승제똔땡님 진짜 나랑 가치관 비슷해서 좋아
@itsible
@itsible Жыл бұрын
공유기 이야기로 이렇게 재미있게… 리스펙!
@willics
@willics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생선님!
@Harmony_Korea
@Harmony_Korea Жыл бұрын
프로의식 강한 멋진 선생님이시네요
@miteumjung2203
@miteumjung2203 4 ай бұрын
근데 프로의식 가진 사람들은 주위에서 겁나 시기함. 끝까지 문제해결해볼려고 원인찾고 해서 원인 바꾸려고 하면 타팀에서 그거 할 시간 없다면서 요리조리 피함. 그리고 귀찮게 하는 애 들어왔다고 뒤에서 욕함.
@jeongyeonseo4135
@jeongyeonseo4135 Ай бұрын
ㅍㅎㅎㅎㅎㅎㅎ😂😂😂😂😂😂😂😂 선생님의 열정.... 어찌합니까. 아들한테 보내주려다가 제가 도전받네요. 감사드립니다.
@WinTer7x
@WinTer7x Ай бұрын
굿 정보임. 와이파이로 동작하는 제품중에 2.5에서만 동작하는 기기가 꽤 있음. 안될때 저 방법 꼭 시도해봐야 함.
@user-wf4cu6jc8i
@user-wf4cu6jc8i 2 жыл бұрын
궤도민수의 개미특강 고맙다~
@TheLJH0125
@TheLJH0125 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예의있게 문의하는 데 한숨부터 푹 쉬는 놈들은 진짜 가정교육의 문제지
@user-et6yb8iw3v
@user-et6yb8iw3v Жыл бұрын
맞는 이야기입니다. ㅎㅎ
@hyeseungjung1516
@hyeseungjung1516 Жыл бұрын
5학년1학기 신청합니다♡ 아이가 5학년되니 진짜 조금 힘들어하더라고요. 서술형도 고민이많았는데 완전 좋아보여요^^
@user-so7fs8bq4d
@user-so7fs8bq4d 8 ай бұрын
프로는 디테일에서 결정된다
@user-wr8hk6el8x
@user-wr8hk6el8x 3 ай бұрын
ssap 인정
@user-em1kk8wq9k
@user-em1kk8wq9k 2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너무 아마츄어같은 프로들이 한국에는 많고, 특히 언론,사법부,행정부,입법부에는 아마츄어정신으로 가득하죠.
@user-sb5ds2mz8m
@user-sb5ds2mz8m 2 жыл бұрын
개미가 모두 일하는게 아니라 노는 개미들이 있는 이유는 귀찮아서가 아닌 적의 침입이라던지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그러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영상내용과는 상관없지만 얼마전에 봤던 내용이라 적어봅니다
@bakerk2107
@bakerk2107 3 ай бұрын
이건 제품 설명서를 먼저 읽어보는게 순서 같아요 ㅎㅎ
@SY-ow1iw
@SY-ow1iw Жыл бұрын
이런 선생님한테 배운 요즘 학생들이 확실히 4-50대 우리보다 훨씬 똑똑할 것...
@cjjm1000
@cjjm1000 2 жыл бұрын
5기가헤르츠만 뿌려주는 공유기는 거의 없고 4채널로 2.4기가 2개 5기가 2개 이런식으로 되어있는게 대부분이니까 고객센터 설명이 틀린게 맞음.
@user-ee3oo5jp9v
@user-ee3oo5jp9v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herenow1467
@herenow1467 2 жыл бұрын
핵공감 !!!!
@user-nb9vo6vz6f
@user-nb9vo6vz6f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개미들 이야기... 다른 말이 나오더라고요 일 안하는 개미들은 쉬는거라고... 100% 모두 일 하는게 아니고 일부는 쉬고 나머진 일하는 교대라서 그 일하는 무리끼리만 모아놔도 곧 그 일부가 일 안하는거라고... 쉬고있으니까... 인간도 쉬는거 꼬박꼬박하는게 자연스러운거 같으요...
@user-rl6jc4nk8l
@user-rl6jc4nk8l 2 жыл бұрын
오..
@user-jb4qh3hv2o
@user-jb4qh3hv2o 2 жыл бұрын
@@user-vk4oj4ls3i 파레토 법칙 아닌가?
@dlstj989
@dlstj989 2 жыл бұрын
김태용 ㅋㅋㅋㅋㅋㅋㅋㅋㅋ가만히라도 좀 있지
@user-kt8no2cc2n
@user-kt8no2cc2n 2 жыл бұрын
@@user-vk4oj4ls3i ㅋㅋㅋㅋㅋ파스칼은 압력이야 이양반아!
@user-yc6zs8dh8n
@user-yc6zs8dh8n 2 жыл бұрын
파레토가 여기서 왜나오누ㅋㅋㅋ경제학과인갘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h3gh4uh6r
@user-wh3gh4uh6r Жыл бұрын
저런 사고방식이 얼마나 힘든지 일해보면 알게되죠. 그걸 이겨내고 하는 10프로가 정말 대단한겁니다
@jeongaecha240
@jeongaecha240 Ай бұрын
백퍼 공감합니다!
@user-tb9cv6jm5i
@user-tb9cv6jm5i Жыл бұрын
아...맞습니다. 너무 공감해요
@user-vz4kl2gg9t
@user-vz4kl2gg9t 11 ай бұрын
저걸 느낄나이는 대략 30대초중반입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최선을 다해보는건 20대 초반까지입니다. 여기서 첫 직장생활딱 들어가보면 대략적으로 보이는데 대리를 달거나 이직을 하면 더 자세히 보입니다. 비단 연봉에서만 티가 나는게 아니죠. 열심히 해도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열심히 하는 사람의 만족도나 목표의식 행복한 정도를 따져보면 완전히 다른 결과값이 나와요
@horroRomantic444
@horroRomantic444 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오래 일을 하면 프로 의식보다 머리속에서 손익분석을 하게 됨. 그것을 못하면 번아웃이 빛에 속도보다 더 빨리 다가옴.
@chika_chika_ing
@chika_chika_ing Жыл бұрын
이건 정말 주기적으로 들어야한다.
문제에 빡쳐서 분필 내던지는 정승제
0:55
이비에스(ebsi)클립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대한민국 상위 0.01%만 아는 인생 꿀팁
9:19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07 МЛН
계획한 대로 풀리는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4:51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78 М.
백종원님을 파보면, 수학도 잡힌다. 인생을 대하는 태도... 결국은 쉬운 싸움인데.
14:14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264 М.
이 세상은 마인드의 차이야
7:17
정승제사생팬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내가 결혼을 못하는 이유 ㅠㅠ
8:44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206 М.
실패가 반복된다면 이렇게 해라! [동기부여 영상]
3:26
위험한개츠비
Рет қаралды 8 М.
마음먹기에 달렸는데..
8:01
정승제사생팬
Рет қаралды 193 М.
신경과학자: 다시는 동기부여가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3:07
위대한 뇌과학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스티브 잡스] A급 인재와 B급, C급 직원의 차이 (한영 자막)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