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동포 사회도 의견 분분 [글로벌 NOW] / YTN korean

  Рет қаралды 178,941

YTN korean

YTN korean

Күн бұрын

캐나다에선 집값 안정을 목표로, 올해부터 2년간 외국인이 주택을 사지 못하게 했습니다.
외국 자본이 집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인데, 다양한 이주민으로 이뤄진 나라인 만큼 현지에선 의견이 분분합니다.
한인 사회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은경 리포터입니다.
[기자]
올해 1월 1일을 기점으로 2년간 외국인은 캐나다의 주택을 사들일 수 없습니다.
집값 안정을 위한 조치인데, 최근 2년간 집값이 50% 넘게 오른 데에는 외국인들의 투자가 있었다고 당국이 분석한 결과입니다.
캐나다의 외국인 투자 규제 조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밴쿠버가 있는 브리티시 컬럼비아주가 외국인 취득세를 20%까지 올렸고,
여러 중에서 6개월 이상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주택에 이른바 '빈집세'까지 부과했습니다.
올해부턴 연방 차원에서 외국인의 구매 자체를 금지한 겁니다.
캐나다 시민권자와 한국 국적자가 뒤섞인 한인 사회도 이 소식에 들썩이며 의견이 갈립니다.
[민동필 / 캐나다 밴쿠버 : 외국에서 취득할 수 있는 사람은 이미 기득권들, 투자 목적으로 취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봅니다. 자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캐나다인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
주택 구매 금지 법안이 최소 3년 이상 캐나다에 세금을 낸 유학생과 외국인 노동자는 예외로 뒀지만,
'방문자 비자'로 들어와 예외 조항에 해당하지 않는 유학생 부모로선 가혹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박현옥 / 캐나다 밴쿠버 : 유학생 엄마 같은 경우에는 세금을 낼 수 있는 비자를 갖고 있지 않잖아요.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부분에서는 약간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전문가들 사이에선 비판적인 의견이 우세합니다.
외국인 주택 구매 비율이 높지 않아 실효성이 미미하고, 근본 원인은 따로 있다는 분석입니다.
[브랜든 어그문슨 /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부동산협회 수석 경제전문가 : 세계 어디서든 주택가격 상승의 원인은 공급 부족에 있죠. 외국인 투자자를 탓하며 공급 문제를 피하는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앤디 킴 / 캐나다 회계사·부동산 중개인 : 정부에서도 매년 40만 명 정도의 새 이민자를 받겠다는 정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매년 40만 명의 신규 이민자가 늘어나면 그분들이 살 집을 구해야 하는데 캐나다 자체에 전체적인 주택 공급량이 그만큼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해 캐나다가 받아들인 이민자 수는 사상 최다를 달성했습니다.
캐나다 정부가 이민자 포용과 집값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묘안을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YTN 월드 이은경입니다.
#캐나다 #부동산 #글로벌now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YTN korean 유튜브 채널구독: goo.gl/gcKeTs
▶ 모바일 다시보기 : m.ytn.co.kr/re...
▶ Facebook : / ytnworld
▶ Naver TV : tv.naver.com/y...
[전세계 750만 코리안 네트워크 / YTN korean]

Пікірлер: 851
@yunkyeonglee68
@yunkyeonglee68 2 жыл бұрын
여기 캐나다인데요 진짜 집값문제 너무 심각합니다 ㅠㅠ 대부분 돈 있는 중국인들의 마구잡이 집 구매 때문에 진짜로 집이 필요한 가족들, 신혼 부부들 피해가 많아요 ㅠ
@Innerpeace90
@Innerpeace90 2 жыл бұрын
미국도요. 집살때 올케시로 내는 중국인들한테 맨날 밀림.
@Sleeppage
@Sleeppage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나 미국이나 이민 정책때문에 그런거 같던데요 특히 부동산이 있을때 영주권 취득이 쉬운 조건이 문제인것 같아요. 중국인들 대부분은 집이 목적이 아닙니다. 영주권이나 국적이 목적이죠
@IamChoA_X
@IamChoA_X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bthyzz6565
@bthyzz6565 2 жыл бұрын
돈에 눈멀어 파는사람이 문제지 누가 강제로 산대?
@suwonlee5175
@suwonlee5175 2 жыл бұрын
저도 캐나다 영주권자 인데. 2년전에 미국서 살다사 캐나다 왔어요. 올해 에드먼튼에서 벤쿠버 쪽으로 이사생각 중인데요. 제가 하와이 호놀룰루, 유타주 솔렉시티, 텍사스 달라스 살았었는데요. 벤쿠버는 인프라에 비해 집값이 넘 비싼듯요 ㅠㅠ 아무래도 살만한 곳이 벤쿠버 정도 밖에는 없는지라.. 토론토도 겨울에 추워서 점 그렇고요. 외국인들, 특히 중국인들 주택구매 제한은 잘한듯요.
@HuckUTub
@HuckUTub 2 жыл бұрын
이건 좋은 거죠 사실 중국 처럼 나라에서 믿을 수 없는 돈을 뻥튀기 해서 기업에 나눠주고 그 부를 바탕으로 외국 부동산을 사들이기 하고 있는데 이걸 사실상 막으려면 외국인이 땅을 부동산을 못 사게 해야 됩니다. 임대만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gregory000
@gregory000 2 жыл бұрын
국평오 오지네..중국나부랑이 때문에 공산국가가 되는게 맞나...
@gregory000
@gregory000 2 жыл бұрын
자유라는 측면 에서 접근해야지 재산 형평성 이러고 앉았으니 자기가 노예가 되는걸 모르지..
@prolinko
@prolinko 2 жыл бұрын
중국이 돈을 뻥튀기한다는건 무슨소리냐. 캐나다가 위안화로 집 팔겠냐 미국이나 캐나다 달러로 팔지. 중국이 달러보유고가 높아서 예전 일본 황금기처럼 외국 부동산으로 달러가 쏟아져 나가는 거임.
@민재김-k8t
@민재김-k8t 2 жыл бұрын
@@gregory000 우리나라에 외국인 투자를 이유로 내국인보다 외국인이 주택 구하기 더 쉬운건 아시는지??? 국평오가 누굴까???
@gregory000
@gregory000 2 жыл бұрын
@@민재김-k8t 중국공상은행 보증으로 국내은행 대출 100퍼 나오는거 아는데... 님 자유보다 우선순위임? 대출을 막아야지 재산권의 근본을 건드림? 님 국평오 맞는건 확실. 미안한데 난 아님.
@TimChoi1
@TimChoi1 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한줌안되는 외국인이 돈을 마구뿌려 가격을 크게 올린다는게 문쩨지. 주택구입제한 매우 합리적 조치
@JosephJRyu
@JosephJRyu 2 жыл бұрын
벤쿠버의 경우 차이나 캐시가 가격을 엄청 불려놓아서 타 주에 비해 많이 비싸더군요
@njun1382
@njun1382 2 жыл бұрын
팩트: 워킹비자, 스튜던트 비자, 영주권 있는 사람 다 살 수 있음 ㅋㅋ
@write2nick
@write2nick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이 가격올려 놓고 렌트비 또한 올려버렸습니다. 집 없으신분들은 엄청 힘들어요.
@write2nick
@write2nick 2 жыл бұрын
@@monmon4268 바보야. 너 중국인 이지?
@김상순-n8i
@김상순-n8i 2 жыл бұрын
@mon mon 빙신아 너혼자 살아라
@learjet3871
@learjet3871 2 жыл бұрын
국민들을 위해서 참 잘하는 겁니다. 전문가들인란 자들은 부동산업자들이죠, 부동산이 오르면 이득을 보는 집단이라,,,
@wlaks9792
@wlaks9792 2 жыл бұрын
정당한 조치임. 돈 있는 외국인들이 실거래가 보다 웃돈을 주고 구매하다 보니까 매년 집값이 오름. 유학생 부모를 콕 찝은건 중국이나 인도에서 오는 유학생들 이름으로 부모들이 집을 한채 두채 사두거든요 투자용으로...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뉴스좀 다 보시고 댓글다세요 벤쿠버 8%타주 4% 외국인이 집값을 올렸다고요? ㅋㅋㅋ
@jhk1356
@jhk1356 2 жыл бұрын
@@flat-coatedretriever4033 집값이 어떻게 올라가는지는 아세요? 수요와 공급 맞는말이지만 우리나라 공급 부족하지않습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올라갔을까요? 공급이 없어서 다들 비싸게 주고 사서 그럴까요? 아닙니다 특정 몇명이 최고가로 사면 중개업자랑 집주인들이 이 가격에 팔렸다면서 가격 올리고 담합하고 누군가 빨리 팔려고 싸게 올리면 찾아가서 협박합니다.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jhk1356 그니까 8 %4% 외국인 전체인데 거기에 중국 인도인책임으로 말하면 편하세요?
@haroldb.7687
@haroldb.7687 2 жыл бұрын
밴쿠버같은 캐나다 대도시나 가보고 댓글을 달아라. 홍콩 이양시기부터 얼마나 홍콩과 중국본토등에서 온 중국인들이 집값을 올려놓았으면 밴쿠버를 홍쿠버라 한다. 해안가 경치좋은 곳들은 거의 중국인 부동산업자들이 집값을 다 올려놓았단다. 원래 캐나다 본토인들은 집값을 비상식적으로 그렇게 올릴 돈도 없었단다.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haroldb.7687 어이 나 캐나다 시청공무원이여 이민자 중 중국인 8%로도 커버 못하는 나라가 건전한 나라여? 그게 이민자 40만명 받는다는 캐나다여? 정부의 주택안정화책임을 일부이민자에게 책임지울려는 정부를 비판해야 하는거여 캐나다라면
@Kimhon607
@Kimhon607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이겠지 중국인 구매를 금지 시켜야지
@pureangel1348
@pureangel1348 2 жыл бұрын
이미 중국인들만 집 취득세를 엄청 물렸는데도 투기가 잡히지 않아 내놓은 정책입니다. 이마저도 이민자는 쉴세없이 몰려오고 집은 부족해 사실 무의미하긴해요
@njun1382
@njun1382 2 жыл бұрын
팩트: 워킹비자, 스튜던트 비자, 영주권 있는 사람 다 살 수 있음 ㅋㅋ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뉴스좀 보고 댓글 쓰시길 벤쿠버 8% 타주 4 % 외국인이 짒갑을 올렸다고? ㅋㅋㅋ
@dy4951
@dy4951 2 жыл бұрын
그냥 상호주의로 중국, 베트남 같은 나라는 다른 나라 집 못 사게 해야하는 게 맞다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ᄋᄋ 좋덴다! 연변족보다 더 가난해서 행복하겠다
@jjung164
@jjung164 2 жыл бұрын
1. 영원히 금지한다는 것도 아니고 막았다 풀었다 하면서 적당히 수요공급 조절하겠다는거다. 외국자본 완전히 막는게 정부가 원하는게 아니다. 2. 외국인이 집을 사서 직접 살고 경제활동을 하면 도시와 국가한테는 이득이다. 하지만 분명히 주인들이 다 있는 집인데 유령마을이 되버리는게 문제가 되어왔다. 3. 유학하면 무조건 집을 사야되는거도 아니고 렌트해서 사는게 보통이다. 4. 또한 유학생과 그 부모가 집을 못사는건 불평할만한 게 전혀 아니다. 100%에 가깝게 일시불로 살거 아니면 애초에 원칙상 무비자, 관광비자, 스터디비자로 모기지가 통과 되서는 안된다(브로커 통해서 어찌저찌 하는사람들이 있는거 같기는 하다만). 집을 사고 싶으면 공부를 끝내고 일을 해서 영주권을 따고 그때 사면 된다. 한 나라에서 제대로 된 신분없이 외국인으로 산다는게 원래 서러운 법이다.
@tentmaker417
@tentmaker417 2 жыл бұрын
님처럼 사실적인 것들을 객관적으로 이해할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우왕좌왕하지 않고 승승장구 할것입니다. 실로 전문가이십니다.
@물불-m3g
@물불-m3g 2 жыл бұрын
ㅇㅈ 유학생 맘이라고 하는 사람이 왜 집 못산다고 저러는지 모르겠음 어차피 자식이 영주권 얻고나서 모기지 신청해도 충분한 시간일건데; 아마 집에 돈이 많아서 그냥 캐나다 부동산에 투자 목적으로 하나 사려고 했던거 아닌가 싶음
@onigirigizou0
@onigirigizou0 2 жыл бұрын
왜 반발 하겠어 사재기꾼들이지 다
@U-COPY
@U-COPY 2 жыл бұрын
제가 캐나다에서 20년살아서 이거는 제가 확실히 말씀들리수있는게, 서쪽에 있는 벤쿠버 땅값이 과거 2000년도 초반에 홍콩 시위가 있고나서 돈많은 투자자들이나 사람들이 벤쿠버에와서 아무가격이나 주택을 사면서 땅값이 급속도록 올랐습니다. 제가 6년전 벤쿠버 살았을당시 허물한 집조초 10억이 됬죠. 저는 이번에 이렇게 외국인 주택구매 금지는 좋은 방안이라봅니다. 안그러면 여기 살고있는 사람들은 안그래도 인플레이션과 금리상승으로 불안한 시장에서 높은 주택가격 상승이 일어나면서 집사기가 더 곤란해지죠.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뉴스좀 다 보시고 댓글 다세요 ㅋ 벤쿠버 최대 8 % 타주 4% 외국인이 집값을 올렸다고요?ㅋㅋㅋ
@chopchop6878
@chopchop6878 2 жыл бұрын
@@flat-coatedretriever4033 ㅇㅇ 올림
@softcowcandy
@softcowcandy 2 жыл бұрын
니콜라스님께 궁금해서 질문요. 한국은 금리인상으로 집값이 많이 내리고 있고, 다른나라들도 마찬가지인 걸로 알고 있는데… 캐나다는 현재 집값이 상승중인가요?
@Mamemimomu-f1c
@Mamemimomu-f1c 2 жыл бұрын
@@softcowcandy 아니요 지금은 주춤한 상태인데 한국처럼 확 떨어지지 않아요. 아무리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는다고 하지만 밀려오는 이민자들을 수용할 주택이 없다보니 집값은 절대 떨어질 수가 없는거죠. 정부가 정말 바보같은게 이민자는 일년에 40-50만명씩 받아 들이면서 집을 짓도록 허가 해주는거 자체가 1년 2년씩 걸리고 또 허가도 잘 안해줘서 공급이 안돼 문제가 커지는거에요. 외국인들이 집값을 올려놓긴 했지만 지금은 그것만이 원인인건 아니죠. 전세가 없는 캐나다는 집을 사든가 월세인데 집값이 오르니 월세도 천정부지로 올라서 이도저도 못하는 상태가 돼버렸어요.
@U-COPY
@U-COPY 2 жыл бұрын
@@softcowcandy 한국정도로 타격은 입지않았는데 제가 콘도 다운타운 토론토에있는데 3년전보다 올랐어요. 지역마다 틀린거같에요. 아버지가 갖고있는 콘도 번 쪽은 별로 안올랐구요. 지금 현재 미국도 금리 거의 피크 찍을거같아요. 저번주 CPI 물가지수 6.5% 나왔고 저번달 7.1% 보다 꽤 내려와서 슬슬 금리도 줄이기 시작할것같습니다. 주식시장도 마찬가지로 바닥찍고 반등 준비할거같고 앞으로 이번년도 내년에 주식시장과 주택시장 다시 반등 할듯 보입니다.
@hwadong486
@hwadong486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상호주의에 따라야 한다. 중국인의 한국 부동산 소유 금지토록 하자.
@고구려-h3r
@고구려-h3r 2 жыл бұрын
돈많은 한국인들은 중국에두 다 건물이 있다 ㅉㅉ
@ya-nol-ja
@ya-nol-ja 2 жыл бұрын
@@고구려-h3r 돈많은 한국이 왜 쓰레기를 사?ㅋㅋ
@고구려-h3r
@고구려-h3r 2 жыл бұрын
@@ya-nol-ja 라면인생은 빠져라 ㅋㅋㅋㅋ
@JiJiJic39
@JiJiJic39 2 жыл бұрын
??? 상호주의라며, 그러면 캐나다인의 부동산 소유가 안 돼야지
@lee123.4
@lee123.4 2 жыл бұрын
@@ya-nol-ja 초가삼간 빌라 원룸에서 살아온 당신이 뭘 알겠어요
@ggmind
@ggmin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거 해야 된다
@An-mp1ty
@An-mp1ty 2 жыл бұрын
@@Aloha-Friday 외국민 뿐만아니라 군 구민 시민 까지 확대해야됨
@njun1382
@njun1382 2 жыл бұрын
팩트: 워킹비자, 스튜던트 비자, 영주권 있는 사람 다 살 수 있음 ㅋㅋ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초고가때 구입해서 지금 완전꾕됬음
@채동훈-c9t
@채동훈-c9t 2 жыл бұрын
울나라는 우리국민들이 집값뻥틔기해서 돈벌라는 수작으로 구매하는거기때문에ᆢ캐나다하고는 다름ᆢ
@rlaqudrjs12
@rlaqudrjs12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부동산가격 상승위해 미분양도 세금으로 사준다는데 ㅋㅋㅋㅋㅋㅋ
@slowlife21
@slowlife21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가 옳은선택을 했네
@MelodySorrow
@MelodySorrow 2 жыл бұрын
밴쿠버 사는데 솔직히 외국인 주택 금지가 큰 실효성을 보이긴 힘들다고 봄 ㅋ 주택 공급량
@SenseMachine
@SenseMachine 2 жыл бұрын
@@MelodySorrow 그럼 강남으로 와 ㅋ
@MelodySorrow
@MelodySorrow 2 жыл бұрын
@@SenseMachine 왜 이야기가 그렇게 되나???? 이미 생활터전 다 캐나다에 있고 회사문화도 달라서 강남가도 적응 못할거 뻔하니 안감. 게다가 뉴스에 매번 뜨는 입주전 아파트 하자 문제 생각하면 그냥 맘편히 캐나다에서 집을 사겠음.
@iljoongkim9291
@iljoongkim9291 2 жыл бұрын
중국애들때문에 다른 아시아사람둘 너무 피해 많이 본다
@부처님-k4k
@부처님-k4k 2 жыл бұрын
왜 저랑 이름이 같으세요? 광산김씨세여? 숫자도제가쓰는 숫자랑 1개 다르네요 소오름
@usksr-qr9lv5vp6ydwj
@usksr-qr9lv5vp6ydwj 2 жыл бұрын
@@부처님-k4k 김씨면 다 친척이라 부를넘이네
@iljoongkim9291
@iljoongkim9291 2 жыл бұрын
@@부처님-k4k 광산 김씨 맞습니다… 중짜 돌림 친척들 다 이름이 중으로 끝나요
@Sunnnnn-xb4ph
@Sunnnnn-xb4ph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벤쿠버에 살고 있고 한국인이지만, 나는 저 조치 이해하고 자국민을 위해 잘 하고 있는 규정이라고 생각함. 벤쿠버 쪽 집값 가격이 너무함 … 자국민을 위해 낮춰지도록 할 필요가 있음.
@Sunnnnn-xb4ph
@Sunnnnn-xb4ph 2 жыл бұрын
@@날씨왜이래 그 나라 시민권을 따는 경우 그 나라 사람이 되겠지요. 학생비자, 영주권자, 워킹비자로 있게 되는 경우 여전히 한국 국적의 한국인이랍니다. 그 나라에서 산다고 다 그 나라 국적이 되는게 아니랍니다.
@hyejeongcho2447
@hyejeongcho2447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한국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의 부동산 구입을 제한해야함
@seongjijang3389
@seongjijang3389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산지 10년이 넘었는데 실제 한국유학생 부모가 본인들 살 집 말고도 더 사서 렌트 주고 하는 경우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밴쿠버 집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기 때문에 유학 마치고 돌아갈 때 집 팔면 유학비 뽑는다(?)고도 합니다.
@허태영-v2z
@허태영-v2z 2 жыл бұрын
@@하늘을나는돼지-n8e ㅣ
@Lil-y9j
@Lil-y9j 2 жыл бұрын
@@하늘을나는돼지-n8e 할배 그거 아니에요ㅋㅋ
@initiativegoo6167
@initiativegoo6167 2 жыл бұрын
@@하늘을나는돼지-n8e 아재 글좀 읽어요ㅠ 유학생부모가 퍼밋신분으로 집투자해서 월세받아서 그돈 매꾼다는 애기자나요
@songmiahn9046
@songmiahn9046 2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든 중국인이든 불법적으로 부동산구입으로 인한 버블현상을 부추기는 부류들은 처단해야 마땅하다.
@MasterL-cq8qp
@MasterL-cq8qp 2 жыл бұрын
그 적폐들이 거래하면서 내는 세금들로 복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죠 취즉세, 재산세, 종부세, 양도세
@민주진보
@민주진보 2 жыл бұрын
신라고려조선 모두 토지 문제, 부동산 문제가 심각했습니다. 고려 같은 경우는 극단적으로 권문세족들의 토지문서 다 불태우고,, 과전법이라는 새로운 토지 제도 시행했고. 조선 후기에도 균전제니, 여전제니, 한전론이니 다 토지 분배에 대해 고민했죠. 신라는. 자영농 없어지니까. 도적떼로 변했고. 임시정부가 하듯이 토지 국유제가 맞아요. 빨갱이라 욕할게 아니고. 진짜 환경 파괴 너무 심합니다. 이번에도 과감하게 그린벨트 풀겠다고 했죠.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요. 담보가치가 증가되어서. 대출이 더 많이 나와요. 그래서 돈 풀기 효과가 있습니다. 부동산 급등하면 물가가 급등합니다. 자산 가격 상승은 가진자들이 누리는데 물가 상승의 고통은 못 가진자들이 다 겪죠. 이들은 애초에 부동산 투기 하지도 않았는데 그 부정적 효과는 지격탄으로 맞죠. 물가 상승으로 비명 질러대는데 백화점 가면 바글바글하죠. 자산 가진자들이죠.
@MasterL-cq8qp
@MasterL-cq8qp 2 жыл бұрын
@@민주진보 그린벨트를 푼다는 것은 중요지역에 즉 수요가 많은 지역에 주거용 부동산을 공급하겠다는 의미가 아닌가 싶습니다. 중심지의 그린벨트를 풀어 주거용 주택을 공급하면 환경오염이 심화된다는 근거는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요? 그린벨트의 정의에도 환경오염을 억제한다는 말은 없습니다. 다만 도시팽창을 억제하고 ~~~ 한다라는 이야기만 있을 뿐입니다. 오히려 중심지에 밀도가 높은 주거용 부동산을 공급하는 것은 기존의 임프라와 직주근접을 유도하여 추가적인 사회기반시설을 만들지 않아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JP-su8ls
@JP-su8ls 2 жыл бұрын
@@MasterL-cq8qp 어쩌라고
@MasterL-cq8qp
@MasterL-cq8qp 2 жыл бұрын
@@JP-su8ls 정신과 눈 똑바로 뜨고 살라고
@gordonko2836
@gordonko2836 2 жыл бұрын
형평성이고 나발이고 국가정책은 한목표를 위해서는 필요하다. 과감한 정책이 필요할땐 모두를 만족시켜 줄수 없다
@까마귀-y9n
@까마귀-y9n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한테 그만큼 시달렸다는 반증
@jhk1356
@jhk135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필요한 정책이다 중국도 외국인이 집을 사고 싶다고 살수 없다 여러조건 채워야한다 우리나라도 빨리 시행되었으면
@user-mk6bx4gy8w
@user-mk6bx4gy8w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시급하다. 다른 나라들 보면 외국인들 집, 땅 구입 못하게 하는 곳 많다. 특히 동남아 국가는 거의 다 그렇고 우리나라도 중국에 팔려나간 땅들보면 울화통이 터진다.
@shengzhen6501
@shengzhen6501 2 жыл бұрын
제주도 땅은 원희룡이 다 팔아먹었죠.
@rntwkdsla
@rntwkdsla 2 жыл бұрын
시급하지만 우리나라는 국회의원과 집값떨어지길 개같이 싫어하는사람이 많아서 절대안할듯.. 지금도 집값조금 떨어져도 매물 일부러 안내놓고 실거래가 형성 안시키는게 우리나라 현실..
@오로라-s1w
@오로라-s1w 2 жыл бұрын
저게 선진국이지 외국인이냐 아니냐를 따지는 게 아니라 살지도 않으면서 매매차익으로 돈 벌려는 걸 막을려는거지 임시주택을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텐데
@TheJinlee106
@TheJinlee106 2 жыл бұрын
십몇년전부터 중국인들이 집을 마구잡이로 사서 집값 오르고, 치솟은 세금을 못내는 캐나다인들 쫒겨 나가고 데모도 했었는데 정책이 좀 늦었네요. 부동산 에이전트가 중국애들은 돈이 얼마던 상관없이 현금으로 샀다고 하대요. 그러다 코로나때 못들어와 빈집도 많이 생겼었고...
@hancary7046
@hancary7046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시행하라! 젊음바쳐 만들어 놨더니 죽쒀서 개주게 생겼다. 외국인 (중국인)주택 건물 보유및 대출 공개해라!!
@Kim00_AIAnimation
@Kim00_AIAnimation 2 жыл бұрын
에휴 이미 우리나라도 있음 .. 그래서 한국인 바지사장 내세워서 산거잖슴..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 강남 최고가때 매입해서 지금 이자 갚느라 등꼴 빠지고있음
@rlaqudrjs12
@rlaqudrjs12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부동산가격 상승위해 미분양도 세금으로 사준다는데 ㅋㅋㅋㅋㅋㅋ
@gracey5512
@gracey5512 2 жыл бұрын
@@flat-coatedretriever4033 그런데 중국인들 보통 현금으로 많이 삼
@flat-coatedretriever4033
@flat-coatedretriever4033 2 жыл бұрын
@@gracey5512 지금 중국인욕하는건 정부에서 융자 잘준다고 욕하는것임..현찰이든 융자든 비싸게 사서 싸게 팔고 가면 우린 좋은거죠
@황금사과-d7b
@황금사과-d7b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이런것 부탁해요 특히 전세계적으로 집 공구하는 그들요!!
@Cheolyoungwoo
@Cheolyoungwoo 11 ай бұрын
나무도 많고 거의 목조 주택이고 이민자 노동럭도 많고 땅도 넓은데 왜 그러지 정치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 주는것 같다
@은하수-u1g
@은하수-u1g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시행해야!! 특히 중국인들~절대로 못사게 막아야한다.영주권자도 포함해서..
@rlaqudrjs12
@rlaqudrjs12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부동산가격 상승위해 미분양도 세금으로 사준다는데 ㅋㅋㅋㅋㅋㅋ
@joonchung7078
@joonchung7078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시민권자 입니다. 이것 조금 와전 된것인데. 외국인이던 내국인이던 다 주택자가 투기 목적으로 다수 집을 사서 비워둔것을 단속하는 사안 입니다. 다 주택자라도 다른 사람에게 랜트하거나 외국인 본인에 경우도 거주 목적은 제외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tombrown8443
@tombrown8443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영주권 아니면 시민권만 가능합니다. 외국인 부동산 매입이 가능한 경우는 STUDENT VISA 5년동안 캐나다에서 살았거나 아니면 spouse가 캐나다 시민권 아니면 3년동안 캐나다에서 일하고 세금낸 사람만 가능합니다. 외국인이 거주목적이 있다고 위처럼 해당안되며 2년동안은 부동상 못삽니다.
@hurjihye80
@hurjihye80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인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 벤쿠버에 high-rise condo 지으면 실제 거주 하지 않을거면사 한층을 다 사는 중국인들 많았다고.....
@magnopark3565
@magnopark3565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가 신의 한수군요, 집값이 떨어질 때 외국인들이 사지 못하게 하니 가격이 왕창 오를때캐나다국민의 이익을 위해서 외국인들이 사라는거군요!! 오르면 팔아도 캐국민은 손해가 없으니--.
@sin6033
@sin6033 2 жыл бұрын
영주권자에 한해 주거목적 이라면 허용 해야 하고 투기목적이면 금지 해야죠~!
@forgettmenot
@forgettmenot 2 жыл бұрын
뉴질랜드인으로서도 격하게 동의합니다. 런던에 있는 거주지의 반 이상이 투자용이라 사는 사람없이 비어있다는 얘기도 듣고 대단하다 느꼈네요 ㅎㅎㅎ 그것도 많은 부분이 러시아 올리가르히들이 가지고 있는거라…
@성이름성이름성
@성이름성이름성 2 жыл бұрын
천박하게 투기나 하는 교민들이 정작 한인회나 교민을 위해서 하는 일 하나도 없음. 돈자랑만하면서 고작 투기나 하는게 자랑할 짓이 아니다.
@polarisk.8801
@polarisk.8801 2 жыл бұрын
일반화 시키는 건 무리... 근본은 중꽁인들이다...캐나다에서의 비밀경찰 등으로 발칵 뒤집어진거...시진핑과 직접스탠딩 면담한거 보면 모름...???
@completeman916
@completeman916 2 жыл бұрын
@@polarisk.8801 근데 넌 왜 중국인 일반화함 ㅋㅋㅋ
@LittleBearPolaris
@LittleBearPolaris 2 жыл бұрын
@@polarisk.8801 이게 팩트
@njun1382
@njun1382 2 жыл бұрын
팩트: 워킹비자, 스튜던트 비자, 영주권 있는 사람 다 살 수 있음 ㅋㅋ
@hellokorea2649
@hellokorea2649 2 жыл бұрын
우리도 특히중국인, 외국인 주택구매금지하라, 외국 부유층및 투자자본에 빼앗겨 일반국민은 더욱 내집마련의 기회가 없다
@sanfran59
@sanfran59 2 жыл бұрын
미국도 도입이 시급합니다. 외국인들이 외국에 집사서 투기만하고 떠나면 현지인들이 너무 힘듭니다.
@linkang3604
@linkang3604 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중국인들이 너무 사놔서 집값이 너무 오르니 이렇게 하나보네요
@케라케라
@케라케라 2 жыл бұрын
제도가 잘못 됬음...외국인 전체 주택 구매 금지가 아니라... 중국인 주택 구매 금지를 시켰어야 함..
@jisookjang5202
@jisookjang5202 2 жыл бұрын
Korean have a problem too.not only Chinese.
@SBC_Nomadism
@SBC_Nomadism 2 жыл бұрын
구매하지말고 렌트하면 되지 유학부모는..
@footlog8290
@footlog8290 2 жыл бұрын
형평성? 외국인에게는필요에 따라 주택소유를 금지시키는게 형평성에 맞는거다. 캐나다의 주택상승은 대부분 홍콩, 중국 자본이다. 그들을 막지 못한다면 나라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 문제다.
@ybeakb81
@ybeakb81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얼마나 설쳤으면 우리나라도 이런의견이 많죠
@bthyzz6565
@bthyzz6565 2 жыл бұрын
돈에 눈멀어 파는사람이 문제지 누가 강제로 산대?
@annehkwon
@annehkwon 2 жыл бұрын
북미는 고스트 하우스가 문제이기도 한데... 집을 사고 거주하지 않고 관리를 않하는 거죠. 그리곤 시세 올라가면 팔고... 특히 (중국에서 온) 중국인들이 좀 많이 그래요. 현지 거주 중국인들은 사람들을 모아서 공동으로 구매하고 임대를 주는 투자형태가 많구요.
@jungjakwon7320
@jungjakwon7320 2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선 베를린 같은곳은 젊은이들이 살기좋게 지역인 .학생들. 이 먼저 집사고 세주고 남는집은 외국인 살수있게 몆년을 묶어놓았다 지금은 풀었다 ... 풀자마자 바로 집값오름 .
@chul-habaik5649
@chul-habaik5649 2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새로 추가되는 이민자의 수가 너무 많아서 캐나다가 자국으로 이민 온 사람들에게 줄 집도 모자르기 때문에 이민 목적이 아닌 외국인들에게 대한 주택구매를 금지했다는 것입니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캐나다 입장에서는 더 많은 집들이 공급되기 전까지는 합리적인 결정이라는 생각이 드는 군요. 그리고 지금 캐나다는 주택을 지어 파는 주택업자들에게는 엘도라도와 같은 지역이 되겠다는 생각이구요!
@write2nick
@write2nick 2 жыл бұрын
지금 집갑 떨어져서 이것들 집 일부로 천천히 짓고 있죠. 정부에서 아무리 공급좀 빨리 하라고 해도 건설회사들이 협조를 안한답니다. 자기네 세금 공제 해주고 공사 허가비등 제외 해주면 일 빨리 한다고 협박질도 했더군요. 맞아요. 지네들이 갑 이에요.
@brandonjun1830
@brandonjun1830 2 жыл бұрын
@@write2nick 절때 공감못합니다 몰라도 한참모르고있네요. 코로나때 정부측이 이미짓고있는 집은 짓더라도 새로 짓는 집은 permit은 안줬어요. Inspector 들도 무슨 일도안하다가 나중에 이메일로 비디오찍어서 보내면서 inspection 하구요. 하지만 이민자들은 똑같이받음. 결과적으로 이민자들은 많아지고 집은 못지으면서 집갚도오르고 렌트는 뭐 말도안되는 현상이 일어나고있는겁니다. 덤으로 코로나때문에 원자재가격도 늘어나면서 건축회사등 관련회사들을 많이 힘들게했구요. 아주여러가지 이유가다섞여있긴하죠. 전 캐나다 HVAC 일하는사람이라 압니다 확실히 무능한 정부탓맞구요. 한국말이 좀 딸렸다면 미리사과드립니다.
@alubsky
@alubsky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가 잘하고 있다고 본다. 국가의 정책은 국민들을 위한 것이지 외국인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
@tonykim7195
@tonykim7195 2 жыл бұрын
중국때문에 이런사태가 일어났다
@꺼믓꺼믓
@꺼믓꺼믓 2 жыл бұрын
남의 나라 가서 형평성 따지네 ㅋㅋㅋ
@ruttatata2023
@ruttatata2023 2 жыл бұрын
@TiiNG9 특히 한국
@son7797
@son7797 2 жыл бұрын
제주 시작으로 서울,부산도 중국인들이 집값 다 올려놨어요!
@threepartmaster
@threepartmaster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가는건 어짜피 유학인데.. 집을꼭 사야하나?? 유학생들에게 대리 구매시키기 위한 투기세력 아닌가??
@선반영-i4b
@선반영-i4b 2 жыл бұрын
저 얼굴까고 형평성 어쩌고 인터뷰한 분 얼굴 두껍네요 ㅋㅋㅋㅋㅋ 진짜 ㅋㅋㅋㅋㅋ 누가 애들 유학 따라와서 집을 사서 삽니까?
@esther_kg
@esther_kg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같은 생각!
@선반영-i4b
@선반영-i4b 2 жыл бұрын
@MOONSTER 살 수 있음 사는게 맞지. 불법도 아니고 안말림. 근데 케나다 정부가 막겠다는데 세금도 안내는 다른나라 국민이 와서 형평성을 얼굴 까고 논한다?? 그건 부끄러움을 모르는 멍청한거지 ㅋ. 중국 유학생이 엄마 달고 와서 서울에 형평 되서 집사다가 한국 정부가 막으니 형평성 주장한다고 생각 해봐 어이털리지 않겠어?
@무화과-o1z
@무화과-o1z 2 жыл бұрын
그게 한국인들이 안사는거지 중국애들은 부모님이 집 사주고 그래요 ㅋㅋㅋㅋㅋㅋ학교다닌다고
@minson8579
@minson8579 2 жыл бұрын
밴쿠버 거주자 입니다. 집도 있고 차도 있지만... 밴쿠버 주택문제 물가문제 심각합니다. 처음에 집값을 올린건 중국인들이 맞습니다. 집값이 3억이면 4억 5억 이런식으로 올려서 구입하겠다고 업 계약을 하곤 했죠. 중국에서는 땅을 소유하지 못하니 해외에 자기집을 사서 가지겠다는 거죠.. 정확히 2013년 부터 그렇게 시작 되었습니다. 그러다 2016년 부터 본격적으로 한해에 30% 40%씩 집값이 오르기 시작했구요. 여기서 또 다른 문제는 주택이 부족하다는 거구요. 콘도 포함 해서... 또 다른 이유는 밴쿠버는 캐나다 내에서도 인기 높은 도시 입니다. 캐나다 다른 지역에 비해 날씨가 좋고 살기 좋습니다. 하지만 굳이 비교 하자만 부산? 과 비슷한 지역 구조상 주택을 많이 건설하기에는 평야지대가 많이없습니다. 또 2020년부터는 중국돈이 아닌 인디아 머니가 급속도로 유입되면서 또 한 번 집값을 올리는 원인이 되었구요. 캐나다는 어느 정도 사회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한국 마인드로 접근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법이나 상식들이 많습니다. 한국은 민주주의를 표방한 자본주의 지만 캐나다는 민주주의를 표방한 사회주의 국가입니다. 예를 들며 한국에서 전기차 보조금은 소득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지급 되지만 캐나다에서는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연 1억 이상 수입이 있으면 아예 아무 혜택도 못받습니다. 적게 벌면 그 만큼 많은 세금 혜택이나 기타 혜택을 많이 주고 많이 벌면 사회에 많이 환원해야하는 시스템이죠. 그래서 캐나다에서 연봉 1억 버는 사람과 연봉 5000만원 버는 사람의 실제 수익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정부 정책 자체가 중산층을 두텁게 만든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중산층을 보호하기 위해 외국인 구입을 일시적으로 막는거구요. 일단 자국민 우선주의 인거죠. 2013에서 2022년 까지 외국인 주택 구매를 안 막았다기 보다는 주수상(도지사?개념)이 바 뀌면서 올해부터 시작된 정책이라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새로운 주 수상이 예전에 국토부 관리 였던 점을 생각하면 앞으로도 부동산 정책에 많이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2023년 크게 바뀌는 BC주 부동산 정책 몇가지 안내 해드릴게요. 참고 하세요. New housing plann in BC Canada 1. BC flipping Tax: After buying a home and sale for 2 years, need to pay extra tax 2. Removing rental restrictions on strata properties: usually before build at 2010 have strata rule(50% can rent) 3. Removing age 19+ restrictions on strata properties 4. Legalizing Secondary Suits Across the Province 5. Adding Density in Our Unban Centers
@Kim00_AIAnimation
@Kim00_AIAnimation 2 жыл бұрын
돈많으면 사는거지 ㅋㅋㅋ 중국, 인도 부자들은 차원이 다름. 나 아는 동생도 남친이 20대 초반에 한국 유학왔는데 엄마가 그냥 여친이랑 살라고 잠실에 아파트 한채 바로 사줌 ㅋㅋㅋ 님 기준으로 생각하니까 남들도 못산다고 생각하는거...
@polarisk.8801
@polarisk.8801 2 жыл бұрын
중꽁인들 때문에 이리저리 피해보는군... 예외규정을 적용시켜야함... 어딜가나 패턴이 똑같다면...공산당 지령따라 움직이는거라보면 되지...
@jacklee8786
@jacklee878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시급한 정책이다!! 특히 제주도... 도지사가 제주도를 영주귄을 빌미로 팔아 먹기 시작하면서 진심 전망좋은 해안가는 서울못지않은 거품이...
@user-drj2ghyrf
@user-drj2ghyrf 2 жыл бұрын
빈집세는 빨리 도입해야 함…..
@udod342
@udod342 2 жыл бұрын
다 필요없고 상호주의원칙만 적용하면된다
@notwhy8510
@notwhy8510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 중국인이라는거겠지 하여간 여기저기 민폐만 끼치는구만
@jeanyork6163
@jeanyork6163 2 жыл бұрын
좋은 벙법이다 외국의 부동산 투기부대가 큰돈을 들고 살지도 않으면서 전문적으로 부동산 투기를 하여 집값을 마구 마구 올리고 그 차액을 챙기고 경제와 자국민의 생활에 커다란 피해를 주는것을 막아야하며 더 나아가 외국 자본의 기업헌팅도 막아야한다 전쟁보다 더 무서운 자본의 돈의 힘 돈으로 남의 나라땅과 집을 야금 야금 먹어치운다면 후세는 그 빚과 혼란을 어찌 다 감당하리오?
@jjjun2906
@jjjun290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야 말로 이런 조치를 취해야 하지 않을지? 우리 집값 상승에 중국인(조선족)인들의 투기도 큰 몫을 했다고 보는데 우리 행정당국은 대체 뭘하고 있는건지?
@wildwoodnj7736
@wildwoodnj7736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는.중국인이.다 집값올려놈... 아주잘한거라고봄...
@아폴로파더
@아폴로파더 2 жыл бұрын
이미 늦었음 오를만큼 올라서 이곳도 작년에 산사람만 꼭대기에 산거임.
@NewYork7914
@NewYork7914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이든, 한국인이든,, 자기나라에서 부동산 투기하 던 광풍으로 미국이나 캐나다 부동산에 손대면 결국에는 큰 손해 봅니다. 이곳 사람들이 생각하는 집은 대부분 살아있는 동안의 주거가 목적이지 일본, 중국, 한국인들 처럼 단기 투기로 부를 쌓는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juokkwon2193
@juokkwon2193 2 жыл бұрын
그렇지도않아요 지난몇년간 투자목적으로 사는사람은 아시아인제외하고도 캐내디언도 많이그러고있어요 특히 토론토같은곳에서 그렇지요
@hwadong486
@hwadong486 2 жыл бұрын
홍콩, 싱가포르, 런던, 뉴욕, LA, 도쿄, 북경, 상하이....뭘로 설명하실래요?
@NewYork7914
@NewYork7914 2 жыл бұрын
@@hwadong486 모든 법칙에는 예외가 있다는 걸 아시는지요. 전 분명,, 미국과 캐나다의 "대부분" 이라고 써 놓았는데요. 글을 정확히 읽으시길...
@NewYork7914
@NewYork7914 2 жыл бұрын
@@juokkwon2193 지난 몇년간 미국 부동산이 급속히 오른 것은 코비드로 인해 돈을 많이 찍어내며 이자율을 제로 수준으로 낮추었기 때문이죠. 지금은 다시 연방은행에서 이자율 올리고 있어 집 값이 안정을 찾고 있어요.
@juokkwon2193
@juokkwon2193 2 жыл бұрын
@@NewYork7914 기본경제는아는데요, 제가 첫댓글에서 말한거처럼 토론토나 벤쿠버는 타격이 한국과 다르게 별로없어요. 아시다시피 이 나라는 전세구조도없고 인구는 계속 유입되고 힘든만큼 월세에 녹여버리다보니 버텨지더군요. 어디사시는지는모르겠지만 아직도 토론토 콘토 분양현장보면 하루가멀다고 여전히 솔드아웃현상나고있고요. 안정화를 어디까지보시는지는모르겠지만 5년전 10년전 가격으로 갈일은없어보여요. 다만, 그 밖에 지방도시는 제법 내려가기를 기대해요. 또 갑자기생각났는데 캘거리같은경우는 오히려 3%올랐죠 애초에 다른 주에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일어난현상이라고는 생각이들어요. 아무튼 주요도시들은 아직 여파가 미미하거나 올랐네요.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애초에 토론토시장이 터지기시작한건 코비드가아니고 그보다 훨씬 전입니다. 이민을 엉청나게 받기시작했거든요
@신구-m4q
@신구-m4q 2 жыл бұрын
리만 사태도 중국 자본의 부동산점거에서 시작됐잖아... 미국까지 휘청이게 만들 정도였는데 캐나다가 견딜수 있을리가 없음. 극단적인 방법을 써서라도 막는게 맞음. 우리나라도 진작 했으면 지금 이꼬라지는 안났겠지. 캐나다 정부의 결단력이 존경스럽다.
@PostNemo
@PostNemo 2 жыл бұрын
얼마 되지 않는 외쿡인이라도 집값 폭등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미 중꿔자본의 폭격을 받은 벤쿠버, 시드니 등 중꿔런들이 선호하는 해외 일부 도시는 매매시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소수라도 가격 불문하고 매집하는 중꿔런들때문에 집값이 미친듯이 폭등하여 지역민이 점점 외곽으로 밀려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곧잘 발생하곤 했다. 이민으로 인한 꾸준한 새로운 주택수요가 있으니 주택공급도 이에 맞춰서 충분히 이뤄내는 정책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겠지만 동시에 "투기수요"를 차단하는 정책도 당연히 쓸 수 있다고 본다.
@tomkmkint.o.4361
@tomkmkint.o.4361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는 이미전부터 외국인이 주택 구입시 세금 더 청구했다.그 외에도 빈집과 다주택 소유자면 세금 더 내고 집담보 대출 기준도 높다. 이런것들이 주택을 투기가 아닌 오롯이 거주지의 목적으로 구입되길 바라고 집값 안정을 위해서 이다. 현 윤정부의 다주택소유자 세금 깍아주는 어이없는 정책은 뭘 위한건지
@jisookjang5202
@jisookjang5202 2 жыл бұрын
In 2023 empty house 🏠 should call until department of Canada in February.
@soondori3364
@soondori3364 2 жыл бұрын
저 유학생엄마 좀 황당하네 캐나다 시민권자 국민도 아닌주제에 형평성을 운운해?
@NB-xd4fj
@NB-xd4fj 2 жыл бұрын
ㅇㅇ. 캐나다에 세금내지 않는데, 형평성을 이야기 한다는 점이 웃기긴 함. 권리와 의무에서 의무는 하지 않으면서, 권리만 요구하는 것으로 보임. (케나다 규제 반대의견으로 국가간 형평성, 즉, 우리나라는 외국인이 살 수 있는데, 라는 논리는 이야기 할 수 있을 듯.)
@soondori3364
@soondori3364 2 жыл бұрын
@@NB-xd4fj 맞아요 국가간의 형평성은 논할수있죠. 그점에선 우리나라도 중국인국적자의 한국에서 부동산 매입은 반대해야죠.
@kphong4215
@kphong4215 2 жыл бұрын
국민이 편하게 살 수 있게하는거 그게 정치인데...한국의 투기판 부동산 시장을 보면서 적어도 캐나다처럼 중국인들 부동산 투기 금지시켜야하고... 부동산전문가라는 사람이 진짜 전문가인가???하면 아니고 국민이 아닌 누군가의 대변인임
@4차원다큐
@4차원다큐 2 жыл бұрын
중국의 부동산 취득만 막아도 어느정도 잡을 수 있음.. 우리나라도 도입해야 함..
@LE_SSERAFIM
@LE_SSERAFIM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 못사게 먁으면 더 오르지. 바보들인가.
@davidmin7496
@davidmin7496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국민입장에서 잘한조치임 중국인들이 캐나다 집값 미친듯이 올려놓음 우리나라도 도입해야됌
@scott21784
@scott21784 2 жыл бұрын
이미 다주고 나서 뒤늦게 막으면 불이 꺼지냐. 미국도 알면서 지켜만 보고 있다. 돈에 눈먼 쓰레기같은 정치인들이 문제임
@WS-is1bn
@WS-is1bn 2 жыл бұрын
이 정책의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그리 큰 영향이 있을 것 같진 않음. 이유는? 모든 외국인 주택 구매를 금지한 것은 아님. 외국인이지만 캐나다에서 일을 하고 있거나 1년(?) 이상 거주하고 있거나 유학하고 있거나 아니면 그 유학생의 보호자인 경우는 제외 되기 때문임. 대부분 중국인들의 주택구매 금지가 목적인데 그들은 유학생 자녀가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 법안이 크게 유효할 것 같진 않음. 이보다 빈집세를 주택 가격의 10%까지 부과하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1Punch-3Popcorns
@1Punch-3Popcorns 2 жыл бұрын
이민자를 저렇게나 받고있는데도 트러블 없이 나라가 굴러가는게 신기방기.
@mgj2090
@mgj2090 2 жыл бұрын
@@user-tc6dj1oj9i 뭔소리지이건ㅋㅋㅋ캐나다 사는데
@expoexpo21
@expoexpo21 2 жыл бұрын
@@mgj2090 원래 외국 못살아 본 애들이 어디서 영화 줏어보고 뇌내망상 퍼뜨리는거...
@SenseMachine
@SenseMachine 2 жыл бұрын
@@user-tc6dj1oj9i 잘생긴 남자분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ime_to_the
@time_to_the 2 жыл бұрын
땅덩이가 넓어서 마음도 넓은듯
@BOCHOBYUNG
@BOCHOBYUNG 2 жыл бұрын
공급 부족이 아니라 다주택자 중과세가 먼저지, 유학오면 공부만 해야지 몇배로 뽑아가는건 문제지
@kbsmd0
@kbsmd0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 주택보유세를 만들고 매각 시 이익 일부를 환수해야 합니다. 토지는 개인소유이지만 중요한 국가관리 대상입니다. 한국도 정신차려야 하는데..
@k-shorts1097
@k-shorts1097 2 жыл бұрын
국내 도입 시급
@sajostory
@sajostory 2 жыл бұрын
토론토가 전세계 집값 버블순의 1위다 진짜 말도안되는현상
@luckyblue2758
@luckyblue2758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집사고 집값 올려놓고 비워놓아서 빈집이 많다고 하더니 ㅉㅉ
@서른어택-r7h
@서른어택-r7h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 부동산 금지는 부동산 전망이 암울하다는것 같아요.
@장고흐-s9g
@장고흐-s9g 2 жыл бұрын
아니? 캐나다 땅 엄청넖고 인구적고. 북쪽으로가면 평당1000 원짜리도 수두록한데
@PARK-n1j
@PARK-n1j 2 жыл бұрын
옳게 된 나라. 당연한거지.외국인이 부동산에 투자하는 게 정상이냐???
@MrJoongwook
@MrJoongwook 2 жыл бұрын
왜 우리는 저렇게 못 하지? 우리도 중국인들이 한국 부동산에 손 못 대게 만들어야 합니다!!!!!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2 жыл бұрын
자국민위해서는 아주 잘하는 정책입니다.중공인들 이제 집 못사겠네요
@aimeecho5156
@aimeecho5156 2 жыл бұрын
미국도 그리 해야합니다.2016년도 시애틀 에서 중국인들 144명 이 중국인 소유집 을 사려고 cash offer 넣은 사람에게 팔렸답니다. 땟놈들도 학군 이라면 한국 과 똑같지요. 그때를 시작으로 미국도 집값이 3배 는 뛰었답니다. 미국도 막아야 합니다
@chrisk8505
@chrisk8505 2 жыл бұрын
투자가 아닌 투기로 집값 올려놓을대로 올려놓고 갚을 능력 안된다고 나라에서 책임 지라고 징징대는 인간들 보고 나니까 어느 정도 규제는 필요하다고 보여요
@호건-d2z
@호건-d2z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은 세금을 더 내게해서 집값이 올라도 투기를 하지 못하게 한다면은 그게 더 좋을거 같으다. 집을 삿다가 20년안에 팔게 되면은 세금 50프로. 투기목적으로 구매를 한건지 진짜 그곳에서 살기위해 구매를 했는지 알수 있을듯.
@pureangel1348
@pureangel1348 2 жыл бұрын
이미 중국인들에게 집 취득세로 배로 물리고 빈집세도 걷고 몇년간 재판매시 세금도 물리지만 안잡혔어요 ㅋ 그래서 나온 정책이지만 이것도 무의미하다는 반응이 지배적입니다.
@호건-d2z
@호건-d2z 2 жыл бұрын
@@pureangel1348 10억에 판매를 했다면은 세금이 5억인데 이것도 먹히질 않는다는 이야기 인가요? 20억에 판매하면은 세금이 10억 입니다. ㅋㅋ
@pureangel1348
@pureangel1348 2 жыл бұрын
@@호건-d2z 넵 먹히지 않았습니당.. 그리고 밴쿠버 취득세가 그정도로 비싸지도 않아요. 거기에 중국인들끼리 직구매도 심했기때문에 잡히지 않았어요. 올해도 작년보다 집값이 평균 15~20%정도 올랐고 2021년에는 30%정도 올랐고요, 작년에 부동산이 하락세였는데도 상승을 했으니 올해는 더 오른단 소리죠. 취득세보다 여기 집 가진 사람들 Property tax 가 자꾸 올라 힘들어요 ㅠ
@투와이스-l7u
@투와이스-l7u 2 жыл бұрын
2년 기간한정이면 실효성이 미미할듯. 기간 정하지말고 시행해야지. 실제로 중국인들의 매수로 부동산 미쳤음.
@J.s.80
@J.s.80 2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제대로 돌아가기 전까지 우리나라도 몇 년간 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 해야 할듯 하다.
@맛집전문가
@맛집전문가 2 жыл бұрын
이민자는....월세로 지내야함..저게 정상이지 나라 이익으로 따지면. 한국도 똑같이 해야합니다
@asjasj123
@asjasj123 2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이 현금으로 집과 건물을 엄청 사서 그래.
@ohlaksil
@ohlaksil 2 жыл бұрын
입장바꿔 생각해 보면 외국인 매매 금지해야죠. 제주도를 보세요. 예전에 중국인 때문에 치솟은 집값을요.
@DreamingSwan백조를꿈꾸며
@DreamingSwan백조를꿈꾸며 2 жыл бұрын
형평성을 따지지마라!! 어딜가든 절대적 평등은 없다!! 법적용에 있어 반드시 잘라야 되는 부분이 있고 그걸 형평성 반한다고 불만을 갖는다면 법치주의는 실현 불가능하다!! 근데 유독 한국에서만 외국인 우대정책 비스무리게하게 해서 오히려 내국인을 차별하지!! 어느나라를 가든 기본은 내국인 중심이라는 것이다!!!
@jeju-healing
@jeju-healing 2 жыл бұрын
이런 현실적인 결단과 실행을 할수있는 시스템이 부럽네요.
@banyajeong9576
@banyajeong957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따라해야한다. 집값 땅값 거품에 중국인도 한몫하고 있다는것은 다 아는 사실
@ysr1916
@ysr1916 2 жыл бұрын
중공만 막아도 반타작은 할꺼다. 너무 늦은거 아니냐? 집꼬라지에 비해 가격보면 미친거 같음. 이렇게 넓은데!!
@gokinnation1034
@gokinnation1034 2 жыл бұрын
미국도 캐나다처럼 법안 추진해야됨 중궈애들이 물다흐려놔서 진짜 집값이 미쳣음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2 жыл бұрын
너무 늦었다 암튼 저 나라 정치인들은 일을 하네 부럽다
@soonwook5307
@soonwook5307 2 жыл бұрын
대책이 너무 늦었네 중국인의 블랙머니가 엄청나게 들어왔지 한국인도 껴있고
@katehan9129
@katehan9129 2 жыл бұрын
타이밍이 참 아쉽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금부터 2년동안이면 지금 어차피 계속 집값이 떨어지고 거래량도 떨어지고 있는데..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 캐나다에 사는 많은 사람들도 구매 포기하고 지켜보고 있거든요. 2년동안 규제 시행해보고 수정보완해서 시행을 계속 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근데 진짜 문제는 공급이 너무 없어요. 너무 느리고....
@TOR-CAN
@TOR-CAN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주택시장에 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보다 지금 시장에 더 영향을 미치는건 중국의 경제 상황이지. 중국이 자국 부동산 경기 거덜나게 생겨서 자국 내수 시장 살리려고 돈도풀고 부동산 규제도 완화하는 동시에 외국으로의 자본 유출을 막기 시작했으니 캐나다를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들의 부동산 시장이 휘청이기 시작한것임. 중국으로부터의 돈 유입이 위축됐으니까. 게다가 그동안 중국놈들이 캐나다에 가져온 돈들중에 상당액이 중국 지방성의 지방은행들로부터 불법으로 대출 받아 가져온 자금이 많다더만… 그 돈들중에 상당액이 중국놈들 계좌에 있던 자기 자본이 아니었던것… 지금 중국정부에서 그 불법대출들 솎아내고 자금회수하기 시작하면 캐나다 주택시장 폭락한다 두고봐라~~ 그런 중국애들에 빌 붙어 돈 좀 벌어보려는 한국인 리얼터들과 이민자들도 아주 쌩양아치인게지~~ 얼마나 캐나다 주택시장이 비정상이냐면 인구 천만도 안되는 광역토론토에 최근까지 등록된 리얼터만 8만명이 넘는댄다. 아주 다 미친게지~~ㅉㅉㅉ
@godstudio2385
@godstudio2385 2 жыл бұрын
중국애들이 캐나다 집값 조져놓은게 팩트긴 해서 뭐... 중국만 막아도 되었을텐데 좀 과도한 규제가 있긴 하네요 ㅎㅎㅎㅎ
@소심-o7w
@소심-o7w 2 жыл бұрын
캐나다가 생각을 좀 하네 우리나라 투기세력 케나다는 못가겠네 빈집세도 굿!
@summersday9613
@summersday9613 2 жыл бұрын
저건 정말 잘한거다...한국중국그외 외국인들이 집값...10년간 7배올려버림.
@gurumwoo123
@gurumwoo123 2 жыл бұрын
괜찮은거같은데 유학생도 3년이상살면 구매할수있다는건데
@hawkman8596
@hawkman8596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한국인을 위한 나라이고, 캐나다는 캐나다인을 위한 나라이다. 지구상의 어떤 나라도 자국인과 외국인을 동등하게 대우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사람은 자국에 사는 것이 좋다. 비주류의 설움을 안 당해도 되니까...
@ddochi86
@ddochi86 2 жыл бұрын
남의 나라에서 살아 보는 것도 좋지만, 그곳의 국민들과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 생각합니다
@나락-x7q
@나락-x7q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중국을 위한 속국아닌가요? 중국한테 이미 먹혔잖아요
@Kina-yv7fe
@Kina-yv7fe 2 жыл бұрын
@@나락-x7q 너가 중국인이니까 속국처럼 생각하겠지 중국으로 가라
@나락-x7q
@나락-x7q 2 жыл бұрын
@@Kina-yv7fe 속국이 맞습니다 중국이 단교하면 우리나라 경제 파탄납니다..
@오대박-k9z
@오대박-k9z 2 жыл бұрын
@@나락-x7q 뭘 먹혀 조선족아 헛소리하지말자 조선족은 중국으로 제발 돌아가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he made herself an ear of corn from his marmalade candies🌽🌽🌽
00:38
Valja & Maxim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