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감사합니다 ✨️ 정보와 영상에🍀반했습니다 ❤❤ 모든 고전, 근대, 현대 화가들을 다 살펴주시고 🙏 방송을 볼수 있길 기대합니다👍
@kwang-minkim1273Ай бұрын
50분이나 되는걸 숨 죽이고 너무 재밌게 봤네요
@saraj67236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opakaiseАй бұрын
천재랑 미친놈 사이에서 오가던 인물이네요
@daleparker14848 күн бұрын
뭔 일 있는겨? 최애 채널 기다리고 기다려도 안 올라와서. 목소리 참 좋은데 할거 없으면 그 목소리로 국어책이라 읽어요. 들으면서 잠들테니
@옹심이-e5zАй бұрын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에서 가장 인상 깊게 본 작품이었어요..
@행복한집쏠라우스27 күн бұрын
긴내용 숨도 안쉬고 봤네요. 최고입니다
@블루-e8g2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hayeonkim78382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정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다춘Ай бұрын
뭔가 설명이 웃겨요ㅋㅋㅋ 친근해서 듣기 좋습니다
@릴리의꿈Ай бұрын
대학때 듣던 미술사 강의보다 더 귀에 쏙쏙 찰지게 잘들리네요. 아무래도 그무렵엔 마음이 콩밭
@미심미심17 күн бұрын
카라바조 전시보러가기 전에.. 꼬옥 보고가야 할 영상이네요^^ 다시 카랴바조전시를 보고 싶네요^^
@Stocks_wanderer2 ай бұрын
정말 좋네요
@수평선-e1h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선 조명을 잘 못 받았던 작가였는데 이번에 열린 전시로 많은 분들이 알게 된 것 같네요. 카라바조는 바로크 시대의 문을 열어준 열쇠와 같은 존재입니다. 미술사에서 굉장히 중요한 작가라 공부하면서 꼭 집고 넘어갔던 게 생각납니다.
@난나야-l9m2 ай бұрын
저 사람은 진짜 분노조절장애인듯 열받으면 앞뒤 안가리고 사고치네
@plotmind2 ай бұрын
저번에 그리스 역사도 흥미롭게 봤는데 역시 인문학이랑이군요. 전시회 꼭 가겠습니다.
@hkw01182 ай бұрын
기다렸어 형
@springhonАй бұрын
이런 맛있는 채널을 이제 알다니....ㅠㅠ 48분 순삭
@캘러리채2 ай бұрын
카라바조에 대해 자세히 들었습니다. 셈세한 설명이 이해가 잘 갑니다. 감사합니다
@intothewishАй бұрын
썸네일로 얼핏 보다가, 우피치 미술관에서 본 사진들이 보여서 영상시청했습니다. 다시 생각나네요 ㅋㅋ 바티칸 미술관보다 피렌체 우피치가 회화측에서는 더 인상적이었습니다.
@myeongrae2 ай бұрын
지난주에 보고왔는데 딱 나오네요 전시회 자체는 정말 좋았는데 카라바조 그림자체는 많지않아서 조금 아쉬웠어요
@songhee97752 ай бұрын
우와 새영상 기다렸습니다❤ 일단 선댓글달고 감사히볼게요😊
@sophie8098Ай бұрын
카라바조와 베르니니 작품 보려고 미술관 투어까지 했는데 여기서 카라바조 올라오다니 너무 감격스럽네요
@moonsungcho31408 күн бұрын
헐~이렇게 고급 미술사와 인문학 채널이 서버 낭비충들 먹방채널 구독자수보다 적다니...😮😮 카라바조 영상 너무 잘 보고갑니다 구독 꾸욱!!
@golddust312Ай бұрын
결투는 다 이기고 다니시네; 싸움도 잘하신듯
@quince2285Ай бұрын
카라바조 최고
@gregle.m45049 күн бұрын
카라바조의 그림자를 보고 .. 감사
@dr.woodangtang2 ай бұрын
당시 교회는 성경 속 인물을 그릴 때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경외심이 들도록 성스럽고 고결하게 그리기를 요구했음. 하지만 카라바조는 우리 주변 인물 그리듯이 성경 속 인물을 그렸기에 비판을 받았던 것임.
@백준렬-w4j2 ай бұрын
아 이게 그 살인자의 그림'...
@ISAIAH-KOR2 ай бұрын
아. 나와버렸다. 내 최애 ❤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미술사 배우면서 가장 마음을 끄는 삶과 작품색을 보여준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hihelloeastwood6684Ай бұрын
조그만 셀폰으로 지급 봐도 전율이...... 16세기에 이미 종교와 신화를 깨고 예술을 인간 세상으로 현실화시킨 예술가, 예술을 인간의 것으로..
@donggi82 ай бұрын
연극적인 장치로 명화를 그린 사람
@똥찬kim2 ай бұрын
미술계의 존존스- 카라바조
@hkw01182 ай бұрын
어쩌면 맥구같기도ㅋㅋㅋ
@어둠의신자2 ай бұрын
존존스 ㅋㅋㅋㅋ
@NoJaps-n8s2 ай бұрын
비유가 차지네 ㅋㅋㅋ
@똥찬kimАй бұрын
,
@시카노코시탕탕2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영상이네요 자주 업로드 해주세요!! 내 최애 자장가 유튜버 😀😀
@이형철-z1k2 ай бұрын
까라바조 신이 내린 천재 37이라는 짧은 생을 불꽃처럼 그리다 쓸쓸히 갔고 21세기 또 한명의 불세출의 천재 중의 천재 한국의 일러스트레이터 김정기 47세라는 짧은 생애가 더더욱 너무나 아쉽습니다
@milo-lh5zbАй бұрын
카라바조랑 김정기는 좀 결이 많이다른 느낌아닌가요
@박준범-e2p13 күн бұрын
에에... 나이거 뱀파이어에 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에서 나자 인간 남친 목떨어질때 봤던 그림인뎅... 제프라고... 흐흐
@sparkbikeАй бұрын
로마의 벌꿀오소리
@ilyoilyoilАй бұрын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화가가 되..!?
@수달최고Ай бұрын
아니 인물이 왜 다 똑같이 생겼지 살 찐 샘 스미스 닮음
@raindrop8271Ай бұрын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이. 그리스로마신화 책에 삽입되어 있는 수 많은 미술작품들 중 유난히도 마음을 잡아 끌고, 강렬한 느낌에 선명하게 뇌리에 박혔던 그림들. 화풍이 워낙 독특해서 관심이 갔었고, 그의 작품들을 찾아보게 되었고, 카라밧지오 라는 이름이 거의 각인처럼 박혔었어요. 그래서 '나는 카라밧지오 라는 화가를 제일 좋아해' 라고 늘 말했었는데..ㅎㅎ 이 후에 그의 어마무시한 기행들과 난폭함, 난잡함에 충격먹었었고, 또 한편으로 '제정신인 인간은 예술의 어느 지점을 넘어 경지에 도달할 수 없으니 어쩌면 당연하다' 라는 생각도 합니다😊😊😊
@enoshimachoi39902 ай бұрын
평범한 사람들의 특징은 유독 남달라 보일려는 저열한 본능이 있다. 비범한 자는 평범함 속에서 간접적이며 우회적으로 번뜩이고....하지만 우둔한 대중들은 대게 그 반대로 인식하고 더 나아가 증명하려 듬. 그러하기에 작금의 초상화는 부조리한 것.
@고래-n9k2 ай бұрын
❤
@jeheeshin8192 күн бұрын
🎉🎉🎉🎉🎉🎉🎉😮😮😮😮😮
@user-jx6ym3tg4b9 күн бұрын
로마살때 성당에서 보고 큰 감동ㅎㅎㅎㅎㅎ 그냥 딱 보면 거장의 그림은 다릅니다. 카라바조가 누군지도 몰랐는데 그림이 워낙 강렬해서 찾아본. 그 수많은 그림들중 단연 압권이에요.
@poster9762 ай бұрын
유디트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작품이 여럿있습니다. 하나같이 목이 없거나 들고있는 그림들이죠
@hkw01182 ай бұрын
전 개인적으로 젠틸레스키의 유디트를 좋아합니다.
@돼지-g6l2 ай бұрын
@@hkw0118저도 젠틸레스키의 유디트를 제일 좋아해요! 연약한 유디트가 아닌 강하고 결단력있는 모습이 적진 한복판에서 적장의 목을 벤 실제 유디트에 가까울 것 같아서 좋아합니다ㅎㅎ
@hkw01182 ай бұрын
@@돼지-g6l 젠틸레스키는 페미니스트 화가라는 수식어도 있죠! 기존의 남성성에 자신의 재능으로 저항한 젠틸레스키의 용기와 기개, 그리고 그런 정신을 가지게 된 그녀의 삶의 자취를 알고서 보면 더욱 그 그림에 애정이 가게 되죠!
@martinsaint-t1e2 ай бұрын
나왔다 내 인문학 마약
@고독사촉법소년Ай бұрын
님그 미국과자리뷰하는사람이랑 동일인물인가여
@K돌쇠2 ай бұрын
마구니가 껴서그래~ ㅋ
@김진-q2n5eАй бұрын
35:24
@김진-q2n5eАй бұрын
31:20
@아핚핚핚-v5w2 ай бұрын
그래도 최소한 자기 폭력성은 알고있었구나... 강x까지 저지르지 않은게 어디야.
@imonperiodnow4667Ай бұрын
바이오하자드1에서 본 그림이당
@권유신-e1j17 күн бұрын
미하일 바쿠닌 해주세요..! 책을 열심히 보는 편이 아니라 건강한 좌파의 표본이라고 하는 바쿠닌을 배워보고 싶어요
@파파-b3d2 ай бұрын
32:40 "특히 17세기는 과학이 발전해" 예수님의 부활을 쉽게 믿을 수없다는 대목. 2천년 전 사망 후 1600 년대 부활 했다는 야그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