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처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헬기보다 빠르게 비행하는스마트무인기! 세계 두번째 틸토로터형 항공기 개발에 성공한 연구원들이 밝히는 틸트로터형 항공기의 모든것 지금 '날쏘돌'에서 시작합니다!
Пікірлер: 118
@신사의책방2 жыл бұрын
최고최고
@kmpeter36563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럽고 뿌듯합니다. 참여하신 모든 분들이 많이 알려지지 않은 기술의 도전이라 힘이 드셨을 것이고 밤늦게 까지 연구하고 노력하신 그 수고가 더해져서 오늘에 도달한 것 같습니다. 부디 이 기술이 사장의 논리에 사장 되지 않고 널리 상용 하게 되어서 자주국방과 기술 한국에 크게 빛을 내기를 바랍니다. 진심으로 항상 응원합니다~
연구원님들 그리고 관련 엔지니어 분들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여러분들이 계셔서 대한민국이 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진순-w5b4 жыл бұрын
개발 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이 기술이 중국쪽으로나 북한 쪽에 유출이되지않게 자료를 비밀화해서 계속연구하시고 미래산업으로 육성하셨으면 하는 간절함이 헬기분야 근무했던 사람으로서 바람이있습니다. 바로 애국이 이곳에 있어 보이지 않나요? 개발에 애쓰신분들께 감사드리며 영광이 있기 바랍니다
@안진순-w5b4 жыл бұрын
사회자분이 여성분이라 이 분야가 생소할 수 있는데 질문내용이나 진행에 있어 전문가 수준으로 돗보입니다 수고하셨고 이 영상을 관심 있게 볼 수 있게 제작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김대식-m9s4 жыл бұрын
멋진분들 이네요 꼭 꿈을 이루시길 기원 드립니다! 미래를 생각해서 과감한 정부 지원이 필요할것 정부 지원 꼭해주세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서!
@하늘땅-o1b4 жыл бұрын
응원 드립니다. 여러분 같은 분들이 계셔서 이 나라가 이렇게 발전하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고 있읍니다. 힘든 길 가시는 여러분이 진정한 이 나라의 애국자 이십니다. 원 하시는 바, 기필코 성취하시길, 기원 합니다.
@donghanlee27575 жыл бұрын
불철주야 개발하신다고 힘써주신 연구원님 들이 계셔서 감사합니다 더발전해서 좋은용도에 쓰였으면 좋겠고요 군용으로는 활용이 안되는지 해군용 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용도로 정찰기.초계기 .무인군용기도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상업용 이나 군사용도 가능하다면요
@최훈희-x6f4 жыл бұрын
우리 연구원님들 짱! 짱 ! 짱이네요... 이 사업 너무 빛을 못 보고 있는거 같아.. 아쉽네요... 몇년전부터 지켜봐 왔는데, 어디에서 실무에서 배치되서, 제 역할을 하고 있나해서 기사 찾아보면, 아직도 대한항공에서 개발하고 있다는 식으로 나오니... 아까운 기술이 사장된다는 것 같아... 너무 아쉽네요. 앞으로 빛을 봐서.. 대박나는 기술이 되서 더 많은 지원 받아, 더 좋은 기술이 접목된다면 좋겠네요....
@유주호-y1u4 жыл бұрын
이 기술이 계속 개발 되길 기원합니다.
@supia20934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가 보고 싶습니다!!!!!!
@씬유-o6d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과 그동안의 노고에 감사드립다 저도 무인비행체 개발하고 있지만 공감가는 말씀이 많았습니다 고정익의 단점을 보안한 VTOL기체나 Tilt Rotor가 계속적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고 봅니다. 틸트로터는 회전익 드론과 달리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더 좋은것 같습니다.
@김소진-b4d4 жыл бұрын
멋집니다. 틸트로터 동력을 프로펠러가 아니라 제르엔진으로 할 수 있으면 항모에서 운용 할 수 있는 멋진 전투기에 응용 할 수 있겠네요!
@김동춘-x4p4 жыл бұрын
늦었지만 방사청에서 수직 이착륙형 정찰용 무인 항공기 사업에 착수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좋은 소식이 있으면 좋겠네요. 엔지니어분들 화이팅..
어서 연구예산 확충으로 See State 5 후속 과제가 해결되어 함상에서 틸트로터 무인기가 실용화되는 모습을 기대합니다.
@김명성-x5t3 жыл бұрын
그문제는 지금 한전과 통신사 하수구 수도 통합체계 안도여 매일 도로 파헤치고 있는거나 다르없으니 종합대책연근 계속 건의할수있게 협조하여 실용화되게 많들어보세요
@jamsean91167 жыл бұрын
헬기나 경비행기 제조사들이 다 싫어하고 음해 및 사장을 위해 정치권에 로비도 하겠죠... 우리는 경비행기나 헬기 제조에 걸음마 수준이기 때문에 신 먹거리로 계속 개발하고 실용화 시켜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항공분야에서 우리가 세계를 선도 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라고 생각 합니다!!! 정부에선 계속 개발 유지 시킥ㅎ... 삼성이나 현대가 투자좀 해주길...
@퐝퐝-e9c4 жыл бұрын
틸트로이드 무인기!!!~~~ 반드시 실용화 하여야 합니다!!!~~~ 군용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대한민국 파이팅!!!~~~
무인기도 용도가 있겠지만 크기를 키워서 실제 항공기 크기로 유인기로 만들어 군사용으로 우선 개발하는것도 좋지 않을까요? 병행해서 민간용으로 개발해도 좋을듯. 우리나라 헬기산업도 척박하고 이기술이 실제 항공산업에 적용되면 좋을듯 합니다. 카이가 왜 이런 분야를 활용하지 못하는지..
@봉화-i5q3 жыл бұрын
바른 말씀 입니다 너무 앞서가면 않됩니다 유인기로 만들고 가장 좋은 엔진을 사용해 안전하고 실용적으로 만들어야 시장성이 생깁니다 군용 함제기로 비사고 고비용 비효율적인 F35B 사지말고 이런 틸트로터를 개발한다면 얼마든지 세계시장을 석권할수 있을겁니다!
@박충식-l4o2 жыл бұрын
열심히 개발했더니 군에서는 폄훼하고 신경도 안써서 사장시켜 버린 틸트로터기... 미국산이었으면 사달라고 난리쳤을텐데...
@이계용-t3j4 жыл бұрын
좋네요
@HappyManKR4 жыл бұрын
기대하고 있습니다
@황진규-x7w5 жыл бұрын
고정은 간단해요 스프링+ 쇼바판에 위에 고정된 전자석에 찰싹 붙여요 10 에도 절대 안떨어져요
@킬마하봉4 жыл бұрын
아‥전자석‥ 좋은생각요~ 그리고갑판자체가 파도에도 평행유지할수있는기능추가
@botwindy37526 жыл бұрын
군사용 제트 수직 이착륙기는(UAV / AI 인공지능 기반) 계획이 없나요???
@enerpulse04255 жыл бұрын
꼬리쪽에도 엔진이나 프로펠러가 있어야 민첩성이 있겠네요.
@시민-k3u4 жыл бұрын
제발 국방쪽에서 무인기 개발이 계획에있을건데 이런 기술 좀 키워보길..
@이영진-i5u9o4 жыл бұрын
기술 유출 조심하십셔 안밖으로 도둑놈들이 너무너무 많아요
@ZELLO_LTE_WALKIETALKIE4 жыл бұрын
선박위의 헬기착륙 지점을 카메라 짐벌같은 자이로를 적용하면 배가 흔들려도 헬기 착륙 상판은 어느정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지 않나요? 착륙이 완료되면 자이로 기능 꺼서 고정 시키고. sea state2 이상일때를 대비해서 착륙 지점 원 속에 착륙하면 헬기 지지대 봉을 자동 고정 시켜주는 락장치를 추가해서
@어처구니-d9q4 жыл бұрын
착륙 후속 과제 선박에서의 바다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선박의 착륙판을 반원형으로 만들고 선박에서의 반원판을 중심제어하는 방식으로 자이로와 지구 중력에 맞게 선박은 흔들려도 착륙판은 평행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착륙판 상판은 전기적 자석 판으로 하거나(헬기가 시동을 꺼도 상시 고정될수 있도록) 헬기에서의 전기적 자석 방식으로 헬기발로 하면 되고요(헬기시동를 끄면 전기 자석은 안되니까요) 헬기가 내리면 자석으로 잡아주고 서서히 착륙판을 선박의 움직임과 똑같이 맞추어 가는 방식은 어떤가요?^^ 틸트로터 리어에 원형 스크류를 추가하면 더욱 빨리 날아갈것 같아요 ㅎ,.ㅎ
@ibk73924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 본게 나오고 또나오고 어떻게 거기서 발전이 없냐
@나대감-e4r4 жыл бұрын
틸트로터는 헐기보다 다방면으로 (무장 속도 편리성)등 우월하다면 헬기 개발보다 틸트로터를 전문 개발할것으로 보는데 상승후 음속으로 비행등 다양하게 활용할수 있도록 연구개발 부탁합니다 헬기보다 편리하게 전투기 항공기등 비교해서 개발이 다양하다고 봅니다 계속 어느기준이든 기존 목적의 비행기와 틸트로터의 특성을 살리면 힛트 할것입니다
@arcyoon3 жыл бұрын
저걸 크게 잘 개발하면 미국 고속헬기도 따라잡을 신무기가 되지 않을까요?
@김명성-x5t3 жыл бұрын
빠리 실전배치하여 계옥연구 진화하고 때론 제트기제즈사와 합작으로 속도 통신 우주화로 세계 최고 전세계를상대로 운용 힐수있는 좋은 기술입니다
@부활-c8b4 жыл бұрын
로터 방향을 뒤로 하면 무장을 달수 있지 않나요.
@다정한미소띈4 жыл бұрын
KF-X도 '틸트로터'와 같은 원리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게 되나요?
@김명성-x5t3 жыл бұрын
엔진 회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충전하는것 태양이용충전등 연구 접목해보세요 생긱해낸것은 개발도 가능한것으로 생각합니다
일단 틸트로터 형 공격기를 개발합시다. (아파치 무장급) 이면서 빠른 이동을 장점으로 독도함 밋 마라도 함에 헬기처럼 수직이착륙할 수 있는 기능을 살린 공격기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해병대가 육지로 상륙 시 아파치보다는 빠른 이동으로 장거리 후방에서 공격 지원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텔스 기능이나 방어 기능 밋 빠른 속도에 이동이 가능한 엔진이 개발된다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꿈같은 소리 일지 모르지만 시간이 걸릴 지라도 시도해보면 좋을 듯합니다.
@상하이조-z5e6 жыл бұрын
틸트로터에 아파치무장을 달기에는 너무 큰 무리인것같습니다 무장이 헬파이어 미사일 8발 히드라 미사일 72발 정도를 달려면 정말 큰 틸트로터가 필요하고 안정성도 좋지는 않기에 경무장 정도면 좋을 것 같네요.. 미국도 틸트로터는 추락율이 매우 높습니다
@angeltiedme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이거 만들어놓고 군사용으로도 만들었다면서 왜...보이지가 않지...
@shj32085 жыл бұрын
군사용을 바로 공개한다는것도 이상하지 않을까요~?
@angeltiedme5 жыл бұрын
@@shj3208 개발한지 수년이 넘었는데요?
@이창훈-d2l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과학자님들을 존경합니다 기업가 연구자여러분은 우리나라대들보 입니다
@알고싶다그것이-f3z4 жыл бұрын
계속 관심과 연구가 필요 할거 같네요! 3년전이니 지금은 어떻게 발전 했을지 궁금 합니다~^^
@계산기-q1x7 жыл бұрын
군용은 언제쯤 나오나요?
@snowflakeperv7 жыл бұрын
목적성없이 개발된이상 군용으로선 회의적이네요.. 어따 쓰라고요. 그냥 정찰만 할꺼라면 더싸고 가볍고 오래날고 좋은 드론 많습니다.
@garimbi050917 жыл бұрын
틸트로터가 원래 미군에서 개발했는데 정작 만들어놓으니 군사용으로는 기대이하의 성능으로 실패작으로 끝났죠.
@계산기-q1x7 жыл бұрын
Garimbi 그래도 대테러작전에는 수송기로 씀. 우리는 그럴일이 거의 없지만
@강필성-e8c4 жыл бұрын
미해병대 오스프리 잘 쓰고 있지않나요?
@리얼리리얼리-p9q6 жыл бұрын
이 상 보면서 틸터로터를 항공기로 개발하는 것 보다 위그선 처럼 수면에 살짝 접촉해서 배와 물과의 접촉 저항을 최대한 줄이면서 고속으로 운행할수 있는 여객선으로 응용하는게 어떨지 생각하게 되네요. 그러면 좀 더 안전하지 않을까요.
@펄라5 жыл бұрын
용도가 다르죠
@dol3220034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이것으로 미군의 오스프리처럼 운용하자!
@present58874 жыл бұрын
과감한 투자를 하든 유치해서 500km/h이상과 군용기 수준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그냥 RC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게된다.
@parkbaegoon4 жыл бұрын
아쉽습니다 이 좋은 기술을 더 개발해서 공경용 으로 만들면 최고였을 텐네요 ㅜㅜ
@길영철-s9x7 жыл бұрын
로타대신 제트엔진을 달면 어떻게 될라나? 수직이착륙 제트기 되면 좋을건데.
@YangYANG-vx9st6 жыл бұрын
가능할껄요 .. 단지 연료 소모율이 심하고 양쪽 제트엔진으로 인해서 날개에 충격이 더 심해지고 열이 발생하고 제트엔진의 안좋운 특성이 로터 보다 힘은 좋지만 그 힘이 넓게 퍼지는게 아니라 한곳에 집중 되다 보니 ... 균형 잡는게 어렵지 않을까요? 진동과 균형을 해결해야 겠죠.. 양쪽에 나무 기둥 잡고 있는거 하고 양쪽에 대나무 사이즈의 기둥 잡고 균형 잡는 수준이겠죠 ..
@농직이7 жыл бұрын
전 자석 쓰면 안 될까??? 착륙 하자마자 전 자석 작동시키면 잠시나마 안착 시 잡아주지 않을까 쉽네요
@YangYANG-vx9st7 жыл бұрын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오히려 + 해줄거 같네요 그리고 그런식으로 가능하다면 전용 착륙장아니면 위험하다는 뜻이 되겠죠 ㅎ 실재 핼기도 착륙할때 저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게가 가벼워서 그런점도 있죠 미세 컨트롤 문제이도 하고 착륙할때 충격흡수를 못하면 기체에 힘이 가해저서 날개.프로펠러.엔진.전자기기 의 힘이 가해저서 항공기 내부 구조가 박살날수도 있죠
@YangYANG-vx9st6 жыл бұрын
충격 흡수 안되서 좆됨 차석이 잡아줘지만 충격은 어디로 가야할지.. ㅋㅋㅋ 헬기의 랜딩의 디자인은 착륙시 충격 흡수를 위한 디자인입니다 ... 실물도 착륙하는거 보면 바닥에 팅팅 ~ 팅겨요 중력때문이죠 강재로 그거를 자석으로 잡으면 자석의 자력으로 접합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착륙시 발생하는 충격을 기체가 받아야 하는데 위험하죠 영상중에 그거 있죠 자석 2개 나두고 가운데 사과 나두고 자석 살살 밀어서 접합 되는거 구경하는거.. 자석이 박살나죠 ..충격으로
@hyunheehong43214 жыл бұрын
법제도가 중요함 우리나라 오토바이가 대만과 일본에 밀려서 망하기 직전에 있는데 이모두가 법제도 때문입니다.
@heungsikhan76855 жыл бұрын
북한의 무인기가 수백 km 를 날아왔다는것이 웃기는거죠. 얼마나 언론의 보도나 군의 발표가 거짓이 많은겁니까. 그런데 돈 퍼주는것 보단 이런분 연구비 증액해서 주는게 더 필요합니다
@user.luke.22.422 жыл бұрын
K방산의 순풍을 타고 다시 한번 웅비하자!
@김제이-n3d4 жыл бұрын
무능력한 사람들 때문에 사업화에 실패한 세계2위의 기술.
@dongsukim99327 жыл бұрын
공개채용이 아니라 한국에서 돈 얼마 주면 일반인도 로켓타고 행성 화성갈수있을까요?
@YangYANG-vx9st6 жыл бұрын
우선 님 후손을 갈수 있을꺼임..
@joong-ockmoon90244 жыл бұрын
유인기는?......주무시나?
@kim-nx3qo3 жыл бұрын
나라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서 무기용도로 개발 사용하면 될덴데..
@ksc32764 жыл бұрын
가까운 기술이 사장되는거 같아 아쉽네요..
@madox01764 жыл бұрын
저거기술 중국으로 들어간다는 이야기있던데
@sh-ester4 жыл бұрын
👍👍👍👏👏👏👏👏👏
@kyongwonyi699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꼭필요한 기종인듯 해병대랑 육군에 있쓰면 요기하게 쓸수있쓸듯 국방부는 이런 물건을 알고나 있는지 제발 이런 기술을 발전 시켜 주세요
@어쩌다쿡4 жыл бұрын
그냥무인기를 이용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별 메리트가 없을듯 합니다
@younggullkim21324 жыл бұрын
0:59에 젊은박사가 Tilt roter 라고 말합니다 영어로는 Rotor 가 맞습니다. 왜 이렇게 틀린내용을 방송하지요?
@정지일-r3g4 жыл бұрын
이기술을 중공 이슬람국가 들이 눈에 불을켜고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사실!
@김명성-x5t3 жыл бұрын
대통령님께 건의 법규제도 규제상세설명 좋은 방향이 됬음하네요
@정지일-v5b4 жыл бұрын
조만간 이기술도 이슬람국가 중공으로 넘어갈것 같다!
@songhjhungbyuk76566 жыл бұрын
미안하지만 실용적이지 못해, 제대로 되려면 엔진을 꼬리에 또 달아 이착육과 화물의 불균형에도 무난하도록 해야 한다. 남의 것만 따라할거만도 아닌 발상의 전환도 중요하다. 꼬리엔진은 삼각형유지로 안전도도 높고 방양전환도 겯들일 수 있어 절대 필요할것
PAV: Personal Aerial Vehicle, 개인비행체. en.wikipedia.org/wiki/Personal_air_vehicle
@HappyManKR4 жыл бұрын
특정 장소 스펙 등 정보노출에 신경쓰기를...,
@정지일-r3g4 жыл бұрын
이슬람 후진국가 인니를 계약위반으로 뺀다면 기뻐하고 좋아할일인데, 왜 매국단체 왕사청은 기를쓰고 반대를 하는가? 왕사청=방사청!
@다정한미소띈3 жыл бұрын
기술입국이 조국선진화의 길이고, 민족중흥의 길입니다. 우리 학도들은, 거짓말을 안하는 과학의 길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아나운서가 너무 예쁘시면 안되겠네요~ 한시간 넘게 뇌졸중 걱정하게 만드시니... ;;
@남성호-o1v6 жыл бұрын
us20160362178검색해보심 대한민국 기술
@김순자-r5p4i5 жыл бұрын
과학자 엔지니어분들 존경합니다 당신들이 이나라를 이만큼 발전시켰읍니다 또한 박정희대통령의 과학입국의 실증 또한 존경합니다 지금 이나라는 박정희의 박물관 현실판입니다 위대한 나라가 따로 있읍니까?
@kkhanskhan59527 жыл бұрын
아직은 갈길이 먼듯... 아마추어 냄새가 난다... 장난감인가? 몇년전에부터 가끔 보는데 아직도 시험단계야? 참 계발이란 지루한 것이군요...2020년이면 뭔가 실용버전이 나오려나? 예산타령만 하다 말려나? 군수용으로 개발하는게 젤 빠를듯..인공위성도 못쓰고? 참 장난감이네... 아마추어 수준...
@YangYANG-vx9st7 жыл бұрын
... 저 물건에 기관총 장착하고 카메라 하고 조절해서 아파치 처럼 움직이도록해서 기본 200발 장착해서 높은 고도에서 님을 따라다니며 사격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장난감인가... 미국도 항공기 개발하는데 기본 20년 이상 잡습니다.. 한국이 특이하게 빠른거에요 미국이 기초적인 성공후 제품이 출시하기 전부터 개발에 들어갔으니 저정도도 못만드는 나라가 많습니다 ... 장난감 RC하고 다르게 무게가 다르고 안에 들어가는 장비가 다르고 실시간 통신 기술이 다름니다.. 라디오 주파수로 영상 겨우겨우 100~200미터 안에서 흐리게 전송하는 영상 수준이 아니죠 찰영용 드론도 수천만원짜리도 실재 찰영 영상을 보지만 매우 낮은 화질로 전송되는 거를 보면서 실재 카메라는 고화질로 찰영합니다 ... 그 전송 기술이 어려워서 그런거죠 드론 고글로 쓰고하는 화질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나오는 화질은 정말 구리죠.. 80년대 TV보다 화질이 구림니다 예산이 문제죠... 저런 기체 하나 만드는데 억 단위 가격이 들어가죠 ..카본이나 여러가지 소재를 대량생산이 아닌 1대를 위해서 틀 부터 제작해야하죠... 수재 스포츠카 라고 보시면 됨니다 그런 차량들이 비싼 이유죠... 물론 그런차량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수백대 단위로 판매하죠 특별 차량(기넘) 그런거라면 디자인만 다르고 엔진부터 기계 적인 부품은 대부분 예전모델의 부품이 호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거도 수리하려면 주번해서 제작해서 오는거라서 수천만원이지만...)
@k.bm176 жыл бұрын
비행기만드는게 쉬운일은아니죠...
@masterediy6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지금도 그대가 유튜브할지모르나... 가급적이면 인터넷조차도 하지말고 방구석에만있기를... 아쉽다 이런 쓸데없는 말하는사람... 뚝딱하고 나오는거아닌걸 아는사람일텐데...
@키워드-w9y Жыл бұрын
아니 속도가 아니면 뭐할라고 그걸써 헬기를쓰지 속도가 중요한다. 헬기도 200 300키로로 나는데 문제는 그 항공기는 이착륙시 매우 부란하다는거다. 그와 같은방식의 미국 유인기도 매우 사고가 많이나서 문제가 지적된다. 그리고 착륙 할 때 배가흔들리거나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매우 불안전하다. 군사용으로 다른 항공기개발로 눈을 돌린걸로 알고있다. 착륙 문제 해결 못하면 답 없다. 최소 600 800키로 속도는 나와야 쓸만한거다. 유인기 무인기로 매우 좋고 방향이다. 속도가 중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하다. 어떤 환경에서도 착륙 이륙시 좋아야한다. 그리고 중량이 매우 중요하다. 이중 하나라도 빠지면 쓰레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