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스페셜 - 2,500년 전 한반도는 전쟁 중이었다 / KBS 19990717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542,906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Жыл бұрын

◼︎ 1996년부터 발굴한 진주 남강 대평리 유적지에선 집터와 밭자리 그리고 무덤들이 확인됐다. 그런데 무덤에는 목 없는 인골들과 부서진 화살촉들이 있었다.
이 남강 대평리 유적을 통해 2천 5백년 전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당시의 생활상을 살펴본다.
역사스페셜 36회 - 2,500년 전 한반도는 전쟁 중이었다 (1999.7.17.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265
@user-rw5fw9ll5h
@user-rw5fw9ll5h Жыл бұрын
제 고향이 전북 남원인데 냇가에서 마제석기 시대 화살촉 두개를 주웠었지요 방학숙제로 제출했는데 제것은 돌려주지 않았어요 동네 에 도굴된 석ㅘㄱ묘도 있었구요 야산에 석곽묘로 보이는 돌 무더기 보여서 형이랑 발굴하려다 포기한곳도 있었어요 지금은 산이 우거져서 들어가기도 힘들어요
@user-xq3ug8lj7t
@user-xq3ug8lj7t Жыл бұрын
ㅋㅋ
@user-mc3gj9fv3e
@user-mc3gj9fv3e Жыл бұрын
발굴??>>>>>도굴 ㅎ
@user-vc3jt5wi1j
@user-vc3jt5wi1j Жыл бұрын
발굴 ㅇㅈㄹ 도굴이겠지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ㄷㄷㄷ 그 석곽묘 어쩌면 남원가야 묘일수도 있것네요
@Hansyn59
@Hansyn59 Жыл бұрын
내가 하면 발굴 니가 하면 도굴.
@youngseokshin540
@youngseokshin540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시절 역사스페셜 진짜 열심히 봤는데, 다시 유투브로 보니 새롭네요.
@TV-iy2ej
@TV-iy2ej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다시 방영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by4by9wk7l
@user-by4by9wk7l Жыл бұрын
ㅋㅋ쭝꿔 왜너엄 혼열 또 씨부리러 오겠네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Жыл бұрын
동아시아 고대사를 한중일 및 북방유목족을 포함해 공시적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어느 영상을 보다가, 저는 1999년 7월 방영된 이 역사스페셜 '2,500년 전 진주 남강전투' 영상에서, 고대사도 당대 세계사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단 생각이 들었었는데 오늘 이 영상을 보니, 중국 춘추시대 시작. 진시황의 통일. 묵특선우의 등장. 한반도 3국 시대. 일본 야요이, 조몬시대 등등이 무슨 '운동회 줄다리기' 또는 '이어달리기(계주)'를 보는 듯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연관성'이 있단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역사스페셜의 주무대인 '2,500년전 진주 남강전투' 때로 거슬러 올라가면, 2,500년전 전후 즉 기원전 6세기~7세기는, 페르시아 제국이 출현을 준비하던 시기로 동시에 전 세계질서의 판도가 격동하던 시대였습니다. 페르시아 제국이 태동하기 직전엔 그 지역엔 메디아, 리디아, 메디나, 바빌로니아 등등 세계사에 이름을 올리는 강대국들이 각축전을 펼치다가 키루스 대제(고레스 왕)가 출현하여 중동 지역. 터키 아나톨리아반도에서 인도 북부 파키스탄 지역까지 아우르는 페르시아 대제국이 건설 되는 인류역사 최초의 세계 대제국이 출현한 게 기원전 530년 직전입니다. 특히 기원전 530년 직전엔 페르시아 대제국 군대와 스키타이 대군(지금의 카자흐스탄.중앙아시아 일대)이 격돌하여 키루스 대제가 사망했네 아니네 하는 논쟁이 지금도 이어질 정도로 엄청난, 세계대전 급 전쟁을 치른 시대였거든요(키루스 대제 패배. 사망설은 가짜뉴스였을 확률이 큰 것이 통설). 서양철학의 시조로 칭하는 '탈레스(Thales기원전 624~545)'가 활동하던 시기도 동시대였고, '탈레스'는 기하학을 이용해 '사람의 키와 그림자의 크기가 일치하는 시점일 때 이집트 피라미드의 그림자의 길이를 재서' 피라미드의 높이를 정확히 쟀으며, 천문학에도 밝아서 "기원전 585년 5월 28일에 일식이 일어난다"는 걸 정확히 예측했고, 국제정세에도 밝아 강대국 리디아가 동방의 신흥 세력이던 페르시아에 맞서자고 동맹 제안을 해 왔다는 소식을 듣고서 밀레토스 총독에게 달려가 "결사반대"하는 바람에, 그의 고향도시 밀레토스는 페르시아의 침략과 약탈을 피할 수 있었고 '밀레토스 학파'라는 서양 철학의 초석을 마련한 것도 같은 시기였습니다. 즉 2500년 전에 스키타이 등 중앙아시아 유목민(둥근 집터 거주민)들이 연쇄적으로 그 전쟁에 휩쓸리고, 일부는 피난에 오르고 하는 등 대격변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들 중 일부는 '초원길'을 통해 흉노제국. 중앙아시아~몽골초원~ 한반도로도 피난, 이주를 했을 것이고, 일부는 중국으로도 들어가 춘추전국 시대를 여는 기폭제로도 작용했을 듯 추정됩니다. 공자 출생 연도를 기원전 551년으로, 석가 싯다르타는 그보다12년앞(기원전560년)으로 보니까, 공자나 석가는 청장년 시기에 키루스 대제(재위 기원전 559~530년)의 '명성'을 듣고 자랐고 사회활동을 했을 개연성이 매우 크다고 추정됩니다 ^^ 키루스 대제가 페르시아 제국의 국교로 삼았던 '조로아스터(짜라투스트라)교'가 싯다르타의 불교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거든요. 기원전 3,000년 즉 약 5,000년 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말에 바퀴를 단 마차와 전차가 발명되었고, 공자도 마차(요즘의 자가용~관용 승용차)를 타고 다녔다는 논어의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또 석가의 할아버지가 사자왕이란 명성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인도북부 즉 지금의 네팔 출신인 '싯다르타도 마차 경주 선수'였다는 기록이 신빙성이 있다고 추정됩니다. 즉 2500년 전 석가, 공자가 태어나고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동서양 따질 것 없이 전세계가 '전쟁통 또는 북새통'이었다는 걸 감안해서 이 역사스페셜 속의 진주 지역의 '목 없는 시신들'의 의미를 유추해 본다면, 네모난 주거지(농경민) 그리고 동그란 주거지(유목민) 사이의 역사적 상황을 추론해 보는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어쩌면 이들(동그란 주거지 유목민)이 후대에 '신라' 또는 삼한. 삼국을 세우는 주축세력으로 성장해 갔거나 '원주민'이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 이젠 국사든 세계사든 공시적 통시적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안목을 길러야할 때가 아닐까요? '민족'이라는 현미경으로만 역사를 보려는 시각을 지양하고, "인류는 하나"라는 열린 역사관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가 온 게 아니 이미 왔는지도 모르겠군요. 우리만 조선말의 정저지와 입장에 머물러 있는 건 아닌가 싶어 등골이 서늘해지네요^^ 귀하고 소중한 영상, 재삼 감사드립니다 👍👍👍😍😍😍
@user-kp8tg8yo1w
@user-kp8tg8yo1w Жыл бұрын
동이족의 지배계급은 북방의 초원길을 통해서 동유럽을 비롯한 서유럽은 물론이고 로마와 이집트까지 수많은 왕족들과의 결혼동맹으로 백인혼혈계통까지 확대,확장 시켜왔고 한반도의 신라계통의 왕족들 상당수가 백인혼혈계통으로 이어져 왔기때문에 중국대륙인들 보다 신장,눈,코,머리등 모든면에서 크고 우세한 열성다 유전자가 나오는것임
@user-kp8tg8yo1w
@user-kp8tg8yo1w Жыл бұрын
한반도는 단일민족이라는 어원자체를 언급해서도 안되고 아주오래부터 다양한 민족과 교류로 문명,문화,언어,풍습,결혼까지 혼혈되어왔고 교류해온 북방으로 초원을 누비고 삼면의 바다로는 해양국가로서 남방문명과 교류도 활발했던것을 알수 있는것은 한국인들의 생김새로 보면 알수있다. 50~60세 이상 한국인들을 보면 서양인,아프리카인,동남아시아인,인도인,아랍인,일본인,중국인등 매우 다양한 유전형질이 분포 되어있다는것을 알수있다.
@user-kp8tg8yo1w
@user-kp8tg8yo1w Жыл бұрын
유럽도 북방민족과 남방민족있고 아프리카도 북방과 남방인들은 현격하게 차이가 난다. 5000년에서~1만년 인류역사에 그긴시간대에 북방의 아시아계와 북방의 유럽민족은 같은 유목민들끼리 수십,수백번 부딪치고 동맹,결혼등 반복되어왔고 교류되어오면서 문명과 문화,풍습이 발전해 올수밖에 없다. 그리이스의 알렉산더대왕이 인도까지 정복하면서 서방과 동방문화가 합쳐 졌듯이 북방의 수많은 유럽종족과 동방종족들의 유목민족들의 융화는 당연한것이며 동방의 유목국가들이 북방유럽민족들과의 혼인관계가 있는것은 당연하며 동방의 동쪽끝에 신라지배계급에 백인혼혈계통의 흔적이 역역하게 남아 있는것도 당연한것이다. 한마디로 특히 동이족의 왕족계통과 유럽의 북방계통(동유럽,서유럽) 왕족계통은 친인척관계로 봐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신라의 백인혼혈이 성골이고 백인혼혈과 동이계통과 결혼한 후손이 진골이 되는것이다.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Жыл бұрын
@@user-kp8tg8yo1w 저만의 상상 또는 추론이 아니고, 과학적 근거가 있었단 말씀이군요? 👍👍👎
@user-ef6uu8pi1j
@user-ef6uu8pi1j Жыл бұрын
학식이 대단하고 놀랍습니다.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Жыл бұрын
한반도 구,신석기,청동기 시대에 유물을 한곳에 모아서 전시하는 국립 중앙 박물관 처럼 된 박물관이 없어서 각 지방 작은 박물관,대학 유물 창고에 쳐박혀 있는 유물들이 더 많을것 같다 창고에서 신문지에 뚤뚤 말아서 보관중인 인골을 보관할 정도이면
@bumbum0923
@bumbum0923 Жыл бұрын
저 당시는 님말이 맞는데, 이제 각 지역별로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박물관이 엄청 들어서서 이제는 괜찮아요
@Jacob-lp4oz
@Jacob-lp4oz Жыл бұрын
@@bumbum0923 ㅁ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알음.
@CapJJangggg
@CapJJangggg Жыл бұрын
님 말도 맞는데, 우리나라 유물의 수는 실로 어마어마 하고 99프로 이상은 수장고로 갈 운명입니다. 수장고 공간도 부족한걸요... 의미와 맥락이 없는 유물은 특히나 더욱요.
@Hyuchan1002
@Hyuchan1002 11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막상 박물관에 가보면 엉뚱한 영화나틀고 실제 전시된 유물은 몇 개 없어서 부실하게만 느껴집니다 기존 박물관이라도 좀 잘 활용했으면 싶어요
@user-xm8vw8bc2j
@user-xm8vw8bc2j Жыл бұрын
아. 1999년 7월 17일 방송. 대학교 다닐때네. 저 당시로 돌아가고 싶다. ㅠㅠ
@Bbangsub
@Bbangsub Жыл бұрын
미투
@krnomadian1618
@krnomadian1618 Жыл бұрын
20세기가 살기 좋았죠~😢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막상 돌아가도 미래를 기억하지 못하면 결국 똑같아요
@user-vj4qs3xe7q
@user-vj4qs3xe7q Жыл бұрын
​​@@grx1988 ㄹㅇ 팩트네요 ㅋㅋ
@user-sv6vf9ux3c
@user-sv6vf9ux3c Жыл бұрын
저는 야자 도망가서 빠따맞고 있었음
@user-pr7sc3mm7v
@user-pr7sc3mm7v Жыл бұрын
이렇게해서 청동기박물관이 생겄었네 우리동네 있지만 한번도 못가봤지만 시간가서 한번 애들이랑 다녀와야겠네요
@kkk-gs2kw
@kkk-gs2kw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발굴 현장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AnDamiii
@AnDamiii 3 ай бұрын
수몰됐습니다
@user-pi1pz3mj8n
@user-pi1pz3mj8n Жыл бұрын
어쨌든 전쟁은 비극이죠. 저시대 사람들 얼마나 불안한 삶을 살아야 했을까요?
@user-rf9wp4oy4s
@user-rf9wp4oy4s 7 ай бұрын
근처에 하동군 옥종면이 있고 옥산이 있습니다 옥이 난 고이 지명에도 남아있네요
@user-vj4qs3xe7q
@user-vj4qs3xe7q Жыл бұрын
아앙^~~😢너무 무섭땅 저 시대는 너무 무셔
@Ambitious189
@Ambitious189 Жыл бұрын
신문지에 뚤뚤 말아서 보관중인 인골이 인상적입니다.
@user-xq3ug8lj7t
@user-xq3ug8lj7t Жыл бұрын
ㅋㅋㅋ
@chunyi3304
@chunyi3304 Жыл бұрын
​@@user-xq3ug8lj7t ㅁㅁ
@CapJJangggg
@CapJJangggg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한지로 보관합니다 ㅋ.ㅋ
@BOSS-13579
@BOSS-13579 Жыл бұрын
지금시대에 발굴했으면 훨씬더 정확하고 과하적이였을건데 조금 아숩네요 근데 저시대에 돌로 저런 정교한 화살촉을 만들었다는게 정말 놀랍네요 지금 우리보다 만들라해도 힘들건데
@user-by4by9wk7l
@user-by4by9wk7l Жыл бұрын
매금이가 몰려옵니다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user-by4by9wk7l 매금왕은 신라 마립간들인데 매금이는 신라인이던지, 신라로 이주한 모용씨들인지
@user-fd5yc6gx4x
@user-fd5yc6gx4x 7 ай бұрын
지금이면 과학이고 나발이고 아파트.올라가 있었을텐데
@vegancafes6602
@vegancafes6602 10 ай бұрын
와 청동기시대의 한반도. 궁금합니다..
@ChickenDelivering
@ChickenDelivering Жыл бұрын
고대사 스페셜 개추
@kor22-24
@kor22-24 4 ай бұрын
💝💝💝💖💖💖
@user-xv8js6st9q
@user-xv8js6st9q Жыл бұрын
진주에서 지금으로부터 2500년 전에 남강 대평리 고분에서 무엇이 발견되었기에 역사 스페셜에 나오게 되었을까요? 약 2500년 전에 남강 대평리 고분에서 발굴된 고분에서 머리가 없는 유골이 발견되었다는 것일까?
@JK-qe5lh
@JK-qe5l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KBS수고많습니다 특히 존경하는 유선생님 언제나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도 아주 먼 옛날로 돌아가서 감상 잘했습니다 제작하신 많은 선생님 고생하셨습니다 유선생님 정말수고하셨습니다 건강하세요
@user-rv4un1zg9s
@user-rv4un1zg9s Жыл бұрын
유인촌이를 존경해? 그럼 쥐박선생은 신이겠네?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Жыл бұрын
@@user-rv4un1zg9s / 그럼 업적 1개도 없는 뇌물현,문재앙이 위대하냐?,,, 뇌물현 문재앙 업적 1개씩이라도 아냐? 니가 지금까지 살면서 받은 혜택 99%는 보수정권이 만든 것이라는걸 알고는 있냐?
@evanrogers9961
@evanrogers9961 Жыл бұрын
@@user-rv4un1zg9s 으따 우덜은 김정은 위원장님과 시진핑 주석님을 존경한당깨
@user-pw4ni1bk9x
@user-pw4ni1bk9x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부족간 전쟁 시대를 지나 삼한, 나아가 신라, 백제시대로 발전하는 중간 시대의 유물 , 시대상황이 궁굼해 진다.
@heewonyang9240
@heewonyang9240 Жыл бұрын
헐 신문지!
@user-od5ct5ne5v
@user-od5ct5ne5v 5 ай бұрын
대평면엔, 상촌리. 중촌리. 하촌리.내고향이네요
@user-gp1hk6tp6o
@user-gp1hk6tp6o 4 ай бұрын
내고향인데요 대평면 대평리 시장통
@hjkim5893
@hjkim5893 Жыл бұрын
아스달연대기실사판이네
@hyun-changshin7811
@hyun-changshin7811 7 ай бұрын
저때는 유인촌과 고두심이 굉장히 젊었었지.
@user-xh5bg6jw3s
@user-xh5bg6jw3s Жыл бұрын
전쟁터에서 목이 잘렸나 보군
@user-xy8yf8jr5z
@user-xy8yf8jr5z 6 ай бұрын
저 당시 황해가 수심이 낮아 강이거나 대륙과 이어져있었다면 춘추전국시대의 전쟁시대의 영향이 있었을것이다
@seo9340
@seo9340 8 ай бұрын
카메라 줌 조심하세요
@user-bs3dd4gy6i
@user-bs3dd4gy6i Жыл бұрын
군사기지였나봅니다?
@user-ln8pd9yf4u
@user-ln8pd9yf4u Жыл бұрын
대평면거긴가 보네 아재들 항아리 같은거 줍줍해서 들고 간걸로 아는데
@user-rq5zn7bx9g
@user-rq5zn7bx9g 6 күн бұрын
고대 역사는 참 재미있음
@2sdle112
@2sdle112 Жыл бұрын
99년이라지만 2500년전 인골을 신문지에 보관하다니...........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말해 중국도 저렇게 미개하게 일처리하지 않음
@user-ln3jf8og4i
@user-ln3jf8og4i Жыл бұрын
저 사람들이 설마 니같은 놈보다 몰라서 그러겠냐 저 때는 신문지가 제습에 좋으니 쓰겠지
@user-xx5wx2sz2l
@user-xx5wx2sz2l Жыл бұрын
광수아저씨 미개하데 ㅋㅋㅋ 불판대신 석면 슬레이트에 고기 구워 먹는거 보면 원시인류라고 그러겠네ㅋㅋ 그땐 다들 그러고 살았습니다. 2050년대에 봤을때 미개한 아저씨야ㅋㅋ
@user-tq2pw2le9r
@user-tq2pw2le9r Жыл бұрын
여기서 글 말하는 요점은 이런부분은 아끼자말고 투자하라는 댓글이죠...신문지가 제습효과 좋긴하지만 충분히 대처가능한 소모품이고 2020년대 넘어 온 지금도 아쉬운 부분
@2sdle112
@2sdle112 Жыл бұрын
@@user-ln3jf8og4i ㅄ이 뭐래
@user-du1we1no2i
@user-du1we1no2i Жыл бұрын
반만년 이라며?
@user-vm8bw8sc7s
@user-vm8bw8sc7s Жыл бұрын
시문지 보관은 습도 부식을 막기위해 보관을 합니다~~~
@bottomeline
@bottomeline 8 ай бұрын
임진왜란 때 진주성 2차 전투 - 일본군이 진주성내에 있던 군관민과 어린 아기들까지 포함해서 살아 숨쉬는 모든 생명 6만여명을 모두 학살한 잔혹한 역사에 대해서도 재조명해 주시죠.
@parkpphyoungkyu9757
@parkpphyoungkyu9757 Жыл бұрын
지금 아마존 원주민들 집하고 똑같다,,
@user-xy8yf8jr5z
@user-xy8yf8jr5z 6 ай бұрын
부족과 식량을 지키기위해 전장에서 돌화살을 맞고 전사한 영웅의 무덤 유골
@hjlee8260
@hjlee8260 Жыл бұрын
공자 맹자 유대교가한창일때네요.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저 방송당시 계속 발굴상태라서 신문에 싸놓은 것이고 발굴 모두 마치면 전문가들이 약처리하고 보관하는 방법이 다 있습니다 발굴중에 방송보고 신문에 쌌네 뭐네 헛소리들 하는지 저정도 되면 중앙국립 박물관으로도 가고 일부는 지방에 남고합니다 경주 왕관들도 중앙박물관으로 다 갔고 경주에는 모조품 전시했습니다 경주박물관에 본품도 많이 있지만요
@user-em9kg8ze2v
@user-em9kg8ze2v Жыл бұрын
몸에 박혀 있던 화살촉
@user-si4yl9ho5n
@user-si4yl9ho5n Жыл бұрын
티브이 보다가 놀라서 들어왔다.. KBS가 정말 시청료받는 국영방송 맞냐??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청동기 시대 중기? 우리의 직접 조상은 맞는 듯한데....
@user-bb9or2gl9l
@user-bb9or2gl9l 4 ай бұрын
한반도는 여전히 전쟁중😮😮😮
@user-vj6pj6dv2o
@user-vj6pj6dv2o 9 күн бұрын
몸에 밖혀있던 화살촉 ㆍ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머리없이 매장? 혹시 전쟁으로 전사한 왕? 장군? 전쟁에서 패한 왕의 묘?
@user-vd4sb1cg1n
@user-vd4sb1cg1n Жыл бұрын
참 말도아니요 장난칩니다 화살촉 만드는것 그당시 쓰던 도구를 가지고 만들어야지요
@user-if6xp5kq7b
@user-if6xp5kq7b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의 주무대, 터전은 지금의 북경, 산동반도, 만주 등인데, 왜 자꾸 한반도를 거론하냐? 식민사학을 추종하냐?
@user-yd5ie6jy1y
@user-yd5ie6jy1y Жыл бұрын
이런유적지는 수몰되면안되지 유적지로 보전해야지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이스라엘 (가나안 팔레스타인) 지역보다 한반도 지역이 문명 수준이 많이 늦었나?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저 시대에 나무로 관을 만드는 기술이 안 됐나 보네.
@user-ps5ry1iz9f
@user-ps5ry1iz9f Жыл бұрын
옹관도있습니다. 석기시대,옹관은도자기관을말합니다. 석곽~>돌무덤,목곽~>목재판, 부산곽종윤,
@raincho7809
@raincho7809 6 ай бұрын
삼국은 대륙에 있었다. 이 멍청아
@user-gdeyuda235
@user-gdeyuda235 Жыл бұрын
재수사해야한다
@hukkn9uy
@hukkn9uy Жыл бұрын
"찍지마!찍지마! 아 ㅅㅂ 열받네"
@user-qy8yj1rr1g
@user-qy8yj1rr1g Жыл бұрын
지금으로부터 약 4600년 전인 기원전 2600년 무렵에 이집트에는 피라미드가 건설되기 시작했고, 중앙아메리카의 마야문명은 지금으로부터 약 2300년 전인 기원전 300년 무렵부터 피라미드가 건설되기 시작했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인 기원전 1275년에는 지금의 튀르키예를 중심으로 한 중동의 신흥강국인 히타이트가 인류 최초로 사용한 철제 무기와 고대 이집트의 청동기 무기가 격돌한 카데시 전투에서 6000여 대의 전차가 맞붙는 초대형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인 기원전 500년 경 중국은 춘추전국시대로서 청동기 무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철제 무기도 막 도입되던 시기입니다. 당시 한반도는 청동기 시대 말기로서 철기가 도입되기 직전인데 돌 화살이라니 의외네요? 혹시 연대 측정을 잘못한 것은 아닌지....
@user-hc8xf4sc8c
@user-hc8xf4sc8c Жыл бұрын
2500년 전에는 한반도라고 하지 않았다. 반도半島라는 말은 일본사람이 섬나라의 열등감에서 만들어낸 얼토당토 맞지 아니한 말입니다. 섬이 아니면 육지인데 대륙이 아니면 지륙枝陸이지요.
@jamesroh3247
@jamesroh3247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한반도가 철기문화가 엄청 늦네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한반도 남부는 청동기와 철기가 같이 시작을 해서 이주민들에 의해 문화가 빨리 이어집니다. 일본도 같고,,,,청동기와 철기 사이의 갭이 거의 없음
@user-ps5ry1iz9f
@user-ps5ry1iz9f Жыл бұрын
김해박물관에가면철기 문화자료를많이볼수있습니다. 6가야의문화발생지, 김해,고령,창령등,
@user-fb1nk3wv1e
@user-fb1nk3wv1e Жыл бұрын
참 아까운 유인촌.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Жыл бұрын
그때 중원은 잘먹고 잘사는 문명사회였음
@STARGATE_SGC
@STARGATE_SGC Жыл бұрын
고위계층들만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이였죠!
@hibury6373
@hibury6373 Жыл бұрын
춘추전국시대가?
@ykpark5289
@ykpark5289 Жыл бұрын
잘먹고 잘사는? 어케알어? 살아봤어? 웃기고 있네
@user-pr8vz1pi5f
@user-pr8vz1pi5f Жыл бұрын
그래픽이 조선메타게임 같은데
@user-jd6cv5xz5w
@user-jd6cv5xz5w Жыл бұрын
기원전 500년전이라면 이집트에비해 너무 미개햇네
@jungking4033
@jungking4033 Жыл бұрын
인골의 DNA추적을 해봤었으면..타 지역과 일본 후쿠오카 규우슈의 유적지를 비교해봤으면...비슷한것이 많이 보이는데,,,.토쿄장기거주민..
@_Feint_The_Journey_ftVeela
@_Feint_The_Journey_ftVeela Жыл бұрын
2500년전 반도 남부에서 전쟁이라 ㅋ
@user-de7yu4lw8s
@user-de7yu4lw8s Жыл бұрын
2500년 전이면? 바벨론 느브갓네살 시대 정도
@graycain
@graycai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남쪽은 2500년전까지 청동기도 아니고 석기시대 였군. 그런데 세형 동검이니.. 단군 신화가 5000년이라...
@CapJJangggg
@CapJJangggg Жыл бұрын
청동기시대에 북쪽도 대부분의 도구는 마제석기를 사용했습니다... 대부분의 집단이 그랬어요, 청동기는 생산하기도 힘들고 단가도 높으며 실용성과 효율성도 떨어졌거든요... 그래서 청동기는 항상 극소수, 제사장이나 집단 유력자가 의례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redtommy11
@redtommy11 Жыл бұрын
방송 당시 저때는 미처 몰랐지만, 진주 남강 유적의 후속연구 결과 일본 신석기 시대와 관련된 유적도 함께 발굴되었음. 한반도와 일본 열도는 선사시대부터 교역을 한 흔적이 보이므로, 저 지역에 교역을 목적으로 한 일본계 고대인들이 정착했거나 원주민들과 함께 거주했을 가능성도 있음. 다시 말하면 진주 남강 유적의 전투 흔적은 단순히 식량 때문에 뺐고 뺐기고 문제가 아니라, 언어가 다른 이민족끼리의 갈등이나 물물교역 문제로 생긴 충돌일 가능성도 있다는거~ 부여 송국리 유적과는 달리 조금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한 유적임
@2sdle112
@2sdle11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우리 고대사에서 바로잡아야될 부분중 한부분이 일본지역에 대한 인식입니다. 만주는 우리민족의 활동무대라고 생각하면서 일본은 한반도와 완전히 분리해서 설명할려고 하거든요. 당시 한반도에 살던 사람들이나 일본에 살던 사람들은 같은 계열의 집단입니다. 일본이라는 국가가 생기고 일본민족이라는 개념자체가 8세기는 되야 생기는데(한반도도 마찬가지로 한민족이라는 개념은 통일신라시기 가서야 생김) 저시기 고대에는 한반도집단과 일본지역의 집단은 서로 교역도하고 싸우기도 하는 같은 문명권이라는 점을 다수의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서 댓글을 남깁니다.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한반도 남부인이 이주한 마한세력과 전쟁을 해서 패한 후 일본으로 이주한 것이고, 이두한 사람들이 일본의 야요이인 입니다 신석기인들이고, 유적들의 연대ㅐ가 하나ㅏ반도 남부가 빨라서, 한반도에서 일본 큐슈로 이주한 것이지 교류한 것은 이닐 듯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돌 화살을 사용한 전쟁 이라면, 엄청 오래된 무덤인데 2500년 전 이면 철기시대인데, 3천년전에도 철을 사용 했었는데...기원전 1000년 정도- 간단히 3천년 전에도 현 이스라엘, 팔래스타인 지역엔 철 전차(말이 끄는 전투용 마차)를 사용.
@user-ub5rj5ut7g
@user-ub5rj5ut7g Жыл бұрын
4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뭔 철기 잘하면 청동기 시대인데요 중국 춘추전국시대도 청동기로 마차 싸움 하던 때인데
@user-tt5ri6bu1r
@user-tt5ri6bu1r Жыл бұрын
444ㄱ
@user-cy6we1cs1n
@user-cy6we1cs1n Жыл бұрын
로마때나와야 철기썻을텐데
@jipark_2373
@jipark_2373 Жыл бұрын
3천년전 한반도 청동기 및 철기시대임
@younghwanson5226
@younghwanson5226 Жыл бұрын
한반도 삼한에 북방족을 끄러들린 역사를 마들가 두렵다
@jinhong198481
@jinhong198481 Жыл бұрын
야 이미 지배계급은 신석기때부터 있었어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누가 가진 재산이 엄청 많았나? 한반도 남부 사람들은 큐슈에 정착한 야오이인과 같은 뮨화를 가지고, 벼농사를 짓던 신석기인이라서 전쟁을 할 이유가 없었는 듯하지만 이주민이 정착민을 노예로 삼을려고 하니, 전쟁 또눈 일본으로 이주를 한 듯하다
@user-sw2sm1kz2g
@user-sw2sm1kz2g 10 ай бұрын
요즘 역사스페셜 존나 노잼 ㅋㅋㅋㅋㅋㅋ 고대사는 아예 하질 않음 ㅋㅋㅋ
@user-pc3yg6qt1j
@user-pc3yg6qt1j Жыл бұрын
화살촉이 사람에게 맞아서 여러개의 화살촉끝이 부셔졌다고 믿기는 어렵습니다.
@user-wk9qk1os7f
@user-wk9qk1os7f Жыл бұрын
뼈에 맞으면 부서지겟지 뭘 믿기 어려워 요즘 처럼 잘 만든 화살촉도 아니고 2500년전에 대층 만든 화살촉인데 대가리 꽉 막혀가지고 생각 좀 해바바
@blueblack1228
@blueblack1228 Жыл бұрын
​@@user-wk9qk1os7f ㅋㅋㅋ선생님 저분 안그래도 나이 있으신분 같은데 골다공증 때문에 너무 세게 뼈 때리면 아야 하세요..
@user-iw7fj3hp3q
@user-iw7fj3hp3q Жыл бұрын
박힌 화살을 빼면서 부서졌겠지요.
@CapJJangggg
@CapJJangggg Жыл бұрын
..... 고고학적 맥락을 보아 사람에 맞은걸로 판단이 되는겁니다. 석곽묘 안에는 완형의 석촉을 넣거든요, 유실 되더라도 석촉 끝만 3점이 확인 되는 경우는 0.01프로 이하의 확률이거든요.. 묘광내 유물의위치도 마찬가지 입니다.
@soosoosoo1234
@soosoosoo1234 Жыл бұрын
ㅡㅅㅡ 총알 사람한테맞아서 탄두찌그러지고 깨진거보면 기절하긋네????
@user-xq3gn7bz3o
@user-xq3gn7bz3o Жыл бұрын
고고
@user-gg2se8pt4c
@user-gg2se8pt4c Жыл бұрын
낵가 보기엔 기원전 2500년 이라 해야 맞다
@stylesharry6014
@stylesharry6014 Жыл бұрын
원형 주거지 방형 주거지.. 그냥 네모 동그라미 라고 말하면 되지 설명 드럽게 어렵게 하네,,
@user-vf2ih5pk9g
@user-vf2ih5pk9g Жыл бұрын
진양 대평이라! 의미가 있네.
@user-ul7np2vv4j
@user-ul7np2vv4j Жыл бұрын
관우가 여기 잠들다
@Jeong-eun
@Jeong-eun 5 ай бұрын
돌이네
@annyoo3541
@annyoo3541 Жыл бұрын
뭔가 원시적인 유적은 열심히 발굴하고 연구하고 방송 만드는데, 훌륭한 유적은 17년 방치해서 몽땅 도굴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식민사학입니다. ===▶도굴꾼 놀이터된 가야시대 고분(2022.10.11/뉴스데스크/MBC경남)
@annyoo3541
@annyoo3541 Жыл бұрын
식민사학의 지침이 있음. 조선의 역사를 짧게, 조선의 강역을 작게, 조상을 후지게, 치욕을 크게, 영광을 작게... 이 지침에 따라 대한민국 사학계만이 아니라 언론, 공무원 모두 작동하고 있다는 것임. ① 춘천중도 고조선 유적 파괴 = 고조선이 평안도와 황해도를 넘지 못했다는 식민사학 이론인 소고조선설에 위배되기에 레고랜드로 파괴되는 것을 방치함 = ▶식민사학 지침 : 조선의 강역을 작게에 따라 작동함 ② 고인돌 = 마제 석검이 나오는 등 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친 유적임이 명백한데, 석기 시대면 한반도에서 의 역사라니!!! 도 인정 안 하는 판에!!! 따라서 고인돌 파괴 방치, 구한말 10만 기를 넘어서던 고인돌이 현재 3만 기 = ▶식민사학 지침 : 조선의 역사를 짧게에 따라 작동함 ③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전성기 하남 위례성 복원 미니어처에서 7칸 짜리 초미니 궁궐로 복원해 놨다가 슬며시 30칸으로 재복원 = ▶식민사학 지침 : 조상을 후지게에 따라 작동함 ④ 부산 수안역 지하철 동래읍성 임진왜란 전시관에 지하철 공사 중 발견한 임진왜란 당시 해자에 던져진 민간인들의 유골을 유리벽 뒤에 전시해 둠 = ▶식민사학 지침 : 치욕을 크게에 따라 작동함 ⑤ 한국 국보83호 이 자칭 일본 국보1호 이 보다 크기가 큰데, 일본은 입을 다물고 한국은 홍보를 안 함에 따라 일반 대중은 모름. 기자들이 비교 사진들을 교묘하게 배치하여 사실 일반 대중들은 일본 반가사유상이 훨씬 크고 한국 반가사유상은 주먹만한 것으로 알고 있음. 심지어 정부관계기관인 정부 예산 수백억씩 쓰는 사학관련 3대 기관 중 하나인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업로드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버젖이 일본 국보1호의 크기를 불상만 125cm라고 써 놓음. 검증해보나 마나 조작일 것임. 이분들이 이런 미심쩍은 조작을 한 것이 한둘이 아니라서 그럼. = ▶식민사학 지침 : 영광을 작게에 따라 작동함
@annyoo3541
@annyoo3541 Жыл бұрын
한 개씩만 예를 든 것이고 우리 안에 식민사관이라는 이덕일씨 책제목처럼 대한민국이 식민사학 그 자체임. 링크를 못 달게하니 책으로 알림. 책 참조..
@user-sg8lb4xh6y
@user-sg8lb4xh6y Жыл бұрын
스승의 업적을 무조건 승인하고 답습해야 하는 학계의 풍토가 문제입니다. 스승의 업적에서 훗날 오류가 있더라도 부정하면 안되는 학풍..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얘기는 바로 이러한 치명적 문제점을 지적한 것입니다.
@annyoo3541
@annyoo3541 Жыл бұрын
@@user-sg8lb4xh6y 식민사학 이론가들은 단순 스승을 따르고 정도의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식민사학 이론가의 태두인 이병도가 죽기 전 평생 친구이며 같이 학술원 회원인 최태영 박사의 간곡한 설득에 단군조선의 실체를 인정한 1986년 조선일보 기고문이 나갔습니다. 그런데 제자들이 스승을노망났다라며 매도하고 입막음한 일이 있었습니다.
@annyoo3541
@annyoo3541 Жыл бұрын
@@user-sg8lb4xh6y 아마 지금 어느 원로가 나서서 식민사학을 인정하고 정상사학의 길로 가려고 하면 사학계의 무서운 아이들이라는 위가0, 안정0, 기경0이 앞장서서 모욕주고 매도할 것입니다. 그냥 식민사학입니다. 스승 존중 문화가 아닙니다.
@Crisleean
@Crisleean Жыл бұрын
아니 뭔 2500년 전에 한반도에 무슨 원시인이 살았던 것처럼 얘기하네?
@user-tf4yt2hh1t
@user-tf4yt2hh1t Жыл бұрын
원시인은 저런집에서 살지않죠.
@uhmmaa3
@uhmmaa3 Жыл бұрын
고조선을 부정하다 보니 부여도 부정되고 이젠 고구려도 부정하려는 움직임이 보입니다. 2500년 전이 선사시대라고 하는 이유는 일본국의 개국보다 늦었다라고 쇄뇌시키기 위한 작업이죠.
@user-ck6kc5gx9g
@user-ck6kc5gx9g 3 ай бұрын
철기시대라고 철제무기가 초기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된건 아닙니다 어디에서 최초로 철기 사용해 국력이 강해졌다 ==> 군사들도 일정부분만 철제무기 사용함 청동 무기랑 함께 사용했고 저 시대 진주라면 철기가 시작되지도 않았으니 청동이랑 석기가 함께 사용되었지요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춘천 중도에는 7000년 전 맥족문화 유적지와 유골이 있는데 최문순이 국가부채 2000억원으로 래고랜드를 지었습니다. 춘천 중도는 유네스코에 등재시켜야하는 곳입니다.
@user-hq2up4qd2l
@user-hq2up4qd2l Жыл бұрын
래고랜드 추진 안하면 강물에 몸을 던지겠다던 그때 국회의원 김진태가 생각나는군
@user-Mocushura
@user-Mocushura 7 ай бұрын
거긴 예족 지역 입니다..
@CyprusKorean
@CyprusKorean 5 ай бұрын
7천년후에 레고랜드를 유네스코에 등재 하려는 큰 그림입니다.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5 ай бұрын
진심이 아니시기를 진심으로 빕니다. 아직 젊으신 것같은데 헛소리로 들립니다.@@CyprusKorean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5 ай бұрын
대안이나 적어도 현실적인 노력을 기대했었습니다. @@CyprusKorean
@user-pt3hb7pb3f
@user-pt3hb7pb3f Жыл бұрын
쯧쯧쯧 그러게 말입니다 국가 문화제 예산이 한지라도 살 형편이 안된단 말인가 ? 원래 인골은 한지로 싸지안는 가 지금이라도 한지로 싸라 신문지에 인쇄인크가 인골에 손상을 줄수도있다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Жыл бұрын
이전투는 싫다 난 학자가 아니다.
@zujupaareadi9367
@zujupaareadi9367 Жыл бұрын
돌화살 맞고 죽은 사람이지..사설이 많다.
@rommelhermann163
@rommelhermann163 Жыл бұрын
인골의 상태가 불량하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고인의 대한 예우로 인골의 상태가 열악하다고 연구원이 이야기 해야 한다. 시신이 불량할 수 없다. 우리 선조다. 예의를 갖추라.
@alanshore8440
@alanshore8440 Жыл бұрын
아니야 인골의 (보존) 상태가 불량 즉 양호하지 않은 거니까 불량이 맞아. 열악이면 못할열 악할악 이니까 의미적으로는 더 비천하게 취급하는거야~
@gms8251
@gms8251 Жыл бұрын
한자어가 문화어라는 잘못된 인식. 불량과 열악 사이에는 예의 수준에 차이가 없으며. 바른 표현을 하자면 그냥 인골의 상태가 나쁘다. 하는게 좋음.
@user-iz1gq7oq3p
@user-iz1gq7oq3p Жыл бұрын
인골의 보존상태가 나쁘다하면 될 듯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Жыл бұрын
고인의 대한x, 고인에 대한o
@user-gg2se8pt4c
@user-gg2se8pt4c Жыл бұрын
기원전 2500년 이면 고조선의 역사 반먼년 헌반도 역사가 맞다
@user-bk2hk1vo1k
@user-bk2hk1vo1k Жыл бұрын
제목은 끌렸지만 유인촌이 나와 패스한다.
@user-qy3jz3sh7r
@user-qy3jz3sh7r Жыл бұрын
가지가지 합니다
@user-te8ly7vk7l
@user-te8ly7vk7l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양 프로에는 맞는 사람이 나와야지 사나워 보이는 눈은 시청자를 겁나게 한다
@riso2156
@riso2156 Жыл бұрын
니 눈이 문제 있을수도 ㅎ
@user-qm8ml9ew7q
@user-qm8ml9ew7q Жыл бұрын
6 인천 당신은 말할 자격이 없어 왜 그건 네가 더 잘 아니까
@user-xz5fj6gc2b
@user-xz5fj6gc2b Жыл бұрын
여기서도 찌질이짓을 허냐
@user-qm8ml9ew7q
@user-qm8ml9ew7q Жыл бұрын
장관 시절에 학생한테 한 말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 나네요 정말 보기 싫다
@younghwanson5226
@younghwanson5226 Жыл бұрын
한반도에 중국 청동 그릇나왔다고 삼한이 중국땅 안니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2500년 전에 이 땅에 인구가 몇명이나 있었을거 같냐 전쟁이라고 개구라 치지 마라 서기꾼들아
@kevin60to30
@kevin60to30 Жыл бұрын
이사람들 상상력 보소 돌도끼? 2500년 해봐야 춘추전국시대인데 마치 몇만년 원시인들 부족 대하듯 하네 한심 또 한심
@user-gc2ih9im3l
@user-gc2ih9im3l Жыл бұрын
유인촌 보기가 좀 그렇다.
@user-se8zz1xc7y
@user-se8zz1xc7y Жыл бұрын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는데 공영이라는 방송사가 시대가 어느 때인데 이 따위 방송을 한단 말인가...
@user-wd4od6hw4g
@user-wd4od6hw4g Жыл бұрын
촌 재수 없다
@user-vg1tv4xx3l
@user-vg1tv4xx3l Жыл бұрын
6.25 북한 인민군 남침이나 재조명했으면 좋겠다
@VV-gt3gf
@VV-gt3gf 23 күн бұрын
구라,
@user-sv5fj7tt3s
@user-sv5fj7tt3s 11 ай бұрын
제가 활과 화살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화살대가 화살촉보다 4배 무거워야 좋은 화살이라고요? 어이가 없네요. 화살촉이 화살대보다 무거워야 잘 날아가고 목표물에 잘 박히는 화살이 됩니다. 또 안타까운 점은 흉노족 서식지인 영남지방에서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면 거액을 들여 정성스럽게 발굴하지만, 기호와 호서와 호남과 관동 등 영남 외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우리 배달족의 유적과 유물은 은 훼손하다시피 함부로 발굴한다는 것입니다. 기호, 호서, 호남의 백제 유적과 유물은 물론 관동의 춘천시 중도 청동기 유적과 유물은 정성스러운 발굴이 아니라 파괴와 약탈 수준입니다.
@user-bx3kl7sx6t
@user-bx3kl7sx6t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흰 그릇에 물을 담아 놓고 절 했는데, 귀하게 다루고 새벽에 몸 단장하면 꼭 절하였습니다. 제가 평생 기독교 신자로 있다가 증산도로 옮겨서 흰 그릇에 절 하는 것 보고 즉시 느낀 것 입니다. 족속 이라 하는 무리를 이룰 수 있는 유일의 최초의 방법, 아무 것도 없을 때 조상 님이 주신 그 몸을 쓸 수 밖에 .... 짐승의 상태를 벗어나게 해 주는 최초의 고귀한 그릇이었을 것 입니다. 생명의 유지에서 물보다 더 필요한 것은 없고, 꼭 대접 만큼의 충분한 크기가 되지요.
@user-fd7um4io9p
@user-fd7um4io9p 5 ай бұрын
사회주의 옹호하는 당.
@hyukjang7794
@hyukjang7794 Жыл бұрын
아씨 또류인촌이네 끄자
@user-rx3ws7ep8k
@user-rx3ws7ep8k Жыл бұрын
2500년 KBS가 역사왜곡을 하는건가? 신라 1000년.고려500년.조선500년만하더라도 2000년으로 국내 강단식민사학자들의 논리를 말한다
@user-oo7qj7mn3u
@user-oo7qj7mn3u Жыл бұрын
볼려다 유개촌 보기싫어 그만 본다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7 СЕРИЯ ФИНАЛ
21:3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252 М.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A Taffy Seller Transforms Scrap Metal into National Treasure
15:1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KBS역사스페셜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47:50
다큐프라임 <강제혁신> 1부. 권력의지
46:17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66 М.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