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스페셜 - 천 년 전 이 땅에 또 다른 문자가 있었다 / KBS 2002.10.12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213,982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3 жыл бұрын

1443년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도 이 땅에는 또 다른 우리 문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구결이 바로 그것이다. 구결이란 한자의 획을 줄여 우리말의 조사와 어미를 표시한 문자이다. 불가에서는 최근까지 그 전통이 계승되어왔다. 제작진은 성철스님의 유품에 남아있는 구결문자를 취재했다.20여 년 전 초조대장경 속 각필점토구결의 발견으로 우리나라 구결의 역사는 새롭게 써졌다. 각필점토구결은 사슴뿔이나 대나무 끝을 뾰족하게 깎아서 점(·)과 선(-)을 새겨 400여 가지의 우리말 토시를 표현한 것이다.
육안으로 쉽게 구별되지 않아 그동안 존재를 알지 못했던 것이다. 최초로 각필을 발견한 일본 고바야시 교수는 일본 가나문자의 기원을 한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가나문자 제자원리와 우리 구결의 제자원리에서 유사성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각필점토구결의 제자원리는 훈민정음 창제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
과연 구결은 훈민정음의 기원일까?
역사스페셜 178회- 천 년 전 이 땅에 또 다른 문자가 있었다 (2002.10.12.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1 400
@BymeByu
@BymeByu 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폐셜 다시 시작했으면 좋겠다 지금은 예전보다 더 많은 역사와 사실들이 밝혀졌을텐데 뭔가 칼세이건의 코스모스처럼 역사스폐셜도 다시 나오면 좋겠다~
@user-ty3zl2jo5n
@user-ty3zl2jo5n 3 жыл бұрын
@모깔콘 ㅇㅡ
@ailaoot
@ailaoot 3 жыл бұрын
스폐셜->스페셜
@kieunlee3826
@kieunlee3826 3 жыл бұрын
@모깔콘 .
@ohsehoon6974
@ohsehoon6974 3 жыл бұрын
ㄱ,
@TV-vg4up
@TV-vg4up 3 жыл бұрын
네 역사스페셜 프로 다시 만들어주세요. 국민들 지적수준이 매우 높아지고 진실된 우리역사를 알고 싶어요
@user-uo9fw8uz8s
@user-uo9fw8uz8s 3 жыл бұрын
우리조상들의 지혜 정말대단해요
@chihinman2379
@chihinman2379 3 жыл бұрын
정말 꼼꼼하고, 철두철미한 학자분들이다.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nl5mq1zb5m
@user-nl5mq1zb5m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학자의 빛이, 학자의 기질이 가장 잘 발현되는 부분이 꼼꼼, 철두철미, 세밀한 체계. 시간적 고증등등입니다
@respectnature8682
@respectnature8682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었을텐데요. 구결문자 2편 제작 부탁드립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pv4gu5lh3g
@user-pv4gu5lh3g 3 жыл бұрын
희희덕 거리는 오락프로 역사그날이 아니라 전문가와 연구자들로 구성된 역사 스페셜이 보고싶다
@poiuyt09876
@poiuyt09876 3 ай бұрын
ㄹㅇ 개 쓰레기프로 꺼지고 역사추적 역사스페셜 돌려내라 수신료의 가치를 살현해라
@womynalwaysright_
@womynalwaysright_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소오름이 몇 번이나 돋았는지..! 온고지신으로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기지와 정신에 감동했습니다.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nl5mq1zb5m
@user-nl5mq1zb5m Жыл бұрын
신미스님이 한글 만들때의 숱한 사연들이 많이 생략 된 영화지만 나랏말싸미라는 영화를 보시면...
@oceansilber2987
@oceansilber2987 3 жыл бұрын
한자(삼국이전)→향찰,이두,각필구결(삼국)→직간구결,간소체(고려)→훈민정음(조선초)→현대국어. 즉. 우리나는 불편한 한자로 표현못하는 우리말을 표기하기위해 끊임없이 문자를 연구했고 그래서 결국 훈민정음이 탄생한거네요ㅋ그리고 구결문자와 간소체는 일본으로 넘어가서 거의 모양 그대로 원시가타카나 히라가나로 되었구요. 지금 생각하니 일본어가 한자를 표현하는 방법이 직간구결이랑 완전 똑같네요. 하지만 일본어가 발음안되는게 너무 많죠. 그게 우리조상들이 구결문자를 쓰다가 느낀 한계였을텐데 일본은 그냥 계속 그걸 갖다써서 향상시킨거고 우린 한단계 더 발전시켜 만든게 훈민정음.
@jonginkang1001
@jonginkang1001 2 жыл бұрын
.
@user-nl5mq1zb5m
@user-nl5mq1zb5m Жыл бұрын
세종황제+ 신미信眉?스님= 한글...
@Delcron2902
@Delcron2902 Жыл бұрын
내용 이해한 거 맞음? 이상하게 썻네
@Delcron2902
@Delcron2902 Жыл бұрын
발음안되는 게 많다는 게 뭔소리임
@lovelyCorea
@lovelyCorea Жыл бұрын
추론이 잘못됨. 동이족이 한자(갑골문)를 특권층만 사용하다 너무 어려워 다른 문자를 연구했고 그러한 연구의 결론이 한글로 귀착된 것이라 봐야함.
@user-ry2ew3ng6q
@user-ry2ew3ng6q 3 жыл бұрын
제발 ㅠㅠ 역사스페셜 다시 제작해 달라구요!!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3 жыл бұрын
단비 왜 우는거임?
@oxkhann
@oxkhann 2 жыл бұрын
인건비가 너무 많아... 저런거 못 만든답니다... 그래서 호시탐탐 수신료 올리려 눈치만 보고 있다네요...
@sjkhairpulled
@sjkhairpulled 2 жыл бұрын
고두심인줄알고 있었다가 양촌리 청년회장에서 장관까지한분이....
@tokkoutai-fb6ul
@tokkoutai-fb6ul 2 жыл бұрын
@@oxkhann 돈을 제작비에 안쓰고 지들 주머니로 다 들어가니 문제지요. 1400억정도 나눠 먹었던데..ㅎ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suntaekim1264
@suntaekim1264 3 жыл бұрын
구결문자는 대한민국 시절에도 쓰였습니다. 내겐 1960된 [소학] 책이 있는데, 손밑의 동생이 서당에서 배우던 책입니다. 그런데 이 책에 지금 방송 중인 내용과 같은 구결이 펜으로 써 놓은 책이 남아 있습니다. 필요하시다면 이 책의 사진을 찍어서 보내 드릴 수도 있습니다. 제가 어린 시절까지만하여도 서당에서는 당연히 이런 구결을 썼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끔 가서 보기도 하였고, 구결을 읽는 법도 약간 익혔던 기억이 있습니다.
@user-cr2pb6fe9s
@user-cr2pb6fe9s 3 жыл бұрын
아주 귀한 역사적인 자료입니다. 혼자 보관할 것이 아니라 한글학회나 한글학 교수에게 사진파일을 전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꼭요
@issue9532
@issue9532 3 жыл бұрын
민족 역사학 하시는 선생님 계십니다. 이덕일 티비라고 유투브도 있어요. 아무 역사학자한테나 보내지 마시고, 이덕일선생님께 공유하시는 게 좋을것 같습니다. 아무 역사학자한테 보여주시면, 잘못하다가 식민사학자에게 전달될까 걱정됩니다.
@triump3411
@triump3411 3 жыл бұрын
한자책을 왜 한글학회에 보냅니까. 그 사람들이라고 믿을수 있답니까. 다른 연구하는 분 조심스럽게 찾아서 보내십시오.
@olivetree7366
@olivetree7366 2 жыл бұрын
KBS에도 보내주셔서 구결만 특집으로 한번 만들어 지면 좋겠어요... 그게 안된다면... 유튜브하는분 중에 국어학또는 역사학 (이덕일 혹은책보고)하시는 분한테 자료를 보내주셔서 영상 기록으로 남겼으면 좋겠네요
@jason-kim
@jason-kim 3 ай бұрын
대박이네요
@davysihn2633
@davysihn2633 3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역사자료 잘 보고 갑니다..
@neowillneowill3728
@neowillneowill3728 3 жыл бұрын
진정 ... 역사 다큐의 레전드다.
@stellakim6805
@stellakim6805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우리말에 토달지마 ~하는구나 ~~~ 전해 내려오는 말은 다 뜻이 있네요~~~
@sun-sinyi4202
@sun-sinyi4202 3 жыл бұрын
😍👏👏
@kimokk12
@kimokk12 3 жыл бұрын
토씨하나 틀리지말고 말해~라는것도 ㅋㅋ
@user-le5rm9qd3c
@user-le5rm9qd3c 3 жыл бұрын
토 나온다는곳도
@user-unknown4972
@user-unknown4972 3 жыл бұрын
아 토나와 윀
@7zlko
@7zlko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런 배운 드립 너무좋아...
@wonderfulwon9079
@wonderfulwon9079 3 жыл бұрын
통감(通鑑)에도 한자옆에 구결문자가 붓으로 작게 쓰여져 있음을 오늘 역사 스페셜을 보고 직접 옛 서책에서 보면서 확인할수 있어서 좋았어요. 저번에 댓글을 올렸는데 수정이 되지 않아 다시 올립니다. 한기가 아닌 통감으로 수정함.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fr5bq4qy3j
@user-fr5bq4qy3j Жыл бұрын
글과 글을 연결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 문자가 아닌가도 싶네요~우리나라 한글은 세계 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글자이고 위대한 글자라봅니다.
@nigh885
@nigh885 7 ай бұрын
맞아요
@TV-ew7fv
@TV-ew7fv 3 жыл бұрын
역사 잘배우고 갑니다. 건강도 잘챙기세요.
@user-ow1tv4gu7l
@user-ow1tv4gu7l 3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보면, 우리나라 문화 너무 낮게 평가되어 있다는 걸 뼈저리게 느낀다.
@sin1231000
@sin1231000 3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Y5Othnx8ftV5hc0 천부경 - 우주는 시작도 끝도없이 무한하다.
@jml4773
@jml4773 3 жыл бұрын
우리역사에 대해 스스로 존중감을 가지면 됩니다
@Sangalchee
@Sangalchee 3 жыл бұрын
식민사관 때문
@mmmijuo5407
@mmmijuo5407 3 жыл бұрын
불타서 사료들이 사라진게 크죠ㅜ 원간섭기 임진왜란 강점기 625 ㅜㅜ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ss5rv6lw4i
@user-ss5rv6lw4i 3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vc3sy1hi8h
@user-vc3sy1hi8h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TV에서 본 다큐멘터리군요. 학교에서 이두와 훈민정음은 배웠지만, 구결이 있다는 건 이 다큐멘터리를 보기 전까지는 몰랐죠. 그래서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 걸 기억합니다. 여기서 이 다큐멘터리를 다시 보다니, 정말 기뻐요. 부디 앞으로는 한국 중/고등학교의 [역사] 교과서나 대학교의 교재에서 구결을 만날 수 있기를 빕니다.
@letme409
@letme409 11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한반도에서 구결을 사용했다는 것을 방송 2년전인 2000년에야 일본인(히로시마 명예교수 '고바야시 요시노리')이 발견했으니... 요즘 어찌 가르칠지 궁금...
@user-yy7dg2mt5y
@user-yy7dg2mt5y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
@userwhat3133
@userwhat3133 3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용 기대가 되네요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3 жыл бұрын
진짜기대되네혹시 통일신라시대신문왕 정치좌문겸6두품관리 원효의아들 설총의구결문자아니가??
@jaynee4287
@jaynee4287 3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우리나라에 대하여 아직도 우리는 잘 모르는것 같습니다. 부끄러워요.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3 жыл бұрын
🦌 사슴뿔 조각해서 각필을.... 🦌 한문 한자마다 점과 압인자 의미는 성철스님 공부참선 붓으로 기호는 우리말의 조사와 어미를 표시한...고려시대 구결문자이다 ᆢ 고려대장경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BianJinyan
@BianJinya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v3sw1od4x
@user-nv3sw1od4x 3 жыл бұрын
극단적 단순화를 통한 디지털 문자... 하여간 우주 최고의 단순함과 무한능력을 가진 문자인건 명확하고 어디까지 확장될진 우리국력에 달린듯
@user-jt2dk1oe3q
@user-jt2dk1oe3q 2 жыл бұрын
역사 스페셜이 방영되고 책으로 나온지가 벌써 20년이 지났습니다...역사 스페셜, HD 역사 스페셜...이제 다시 역사를 재조명하고, 그 동안의 성과에 따른 후속 방송이 나와야 될 때라고 생각합니다. ...강단 사학의 아집을 벗어나서 진정한 한국사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jungji4604
@jungji4604 3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은 우수하고 지혜로웠습니다. 한족이 쓴 한자 문장을 우리는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해를 했어도 우리가 쓴 한자 문장은 한족들은 재대로 이했을 못했을겁니다. 그리고 그들끼리 편지를 주고 받어도 사람의 성향에 따라 뜻이 다르고 해석이 다른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구결문자를 사용하면 정확한 해석이 가능 했겠네요. 그것은 우리 선조들이 한자를 만들었다는 증거 입니다. 그래서 보안적 장치로 구결문자를 사용했다는걸 알 수 있겠네요. 역시~~~~~👍👍👍👍👍🤗🤗🤗
@k-8972
@k-8972 3 жыл бұрын
각필 자국이 천년이 지나도 펴지지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점도 고맙고 신기하다.
@user-ue8vo6gu8x
@user-ue8vo6gu8x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
@firelife777
@firelife777 3 жыл бұрын
한문 읽을 때 왜 원문 그대로 안 읽고 현토를 추가하는 지 궁금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냥 리듬감을 살리려고 달았나보다 생각했는데 지금 보니까 중국어와 다른 어순에 음독, 훈독이 있으므로 그걸 편하게 읽기 위해서 나온 것이었군요. 한문은 세로로 쓰여지는데 순독 구결과 역독 구결을 통해 문장을 간명하게 파악하고 읽을 수 있으니까요.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사와 동사인데, 동사 왼편에 구결이 달리게 되면 우리 어순에 맞게 표현되는 것이지요.
@na14642
@na14642 3 жыл бұрын
매사에 섬에서 육지로 전해지나 육지에서 섬으로 전해지나? 우긴다고 될일이 아니라고~~~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3 жыл бұрын
고대에 영국에서 프랑스를 거쳐 로마로 문화가 전파되엇다라고 하는 꼴이죠
@user-wo7qu8kk9p
@user-wo7qu8kk9p 3 жыл бұрын
각필은 성철스님 책에서도 나오고 최근 까지 썼는데 무슨.....
@user-ue8vo6gu8x
@user-ue8vo6gu8x 3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려서 썼습니다.
@keumsyu5763
@keumsyu5763 Жыл бұрын
일찍이 문자가 있었으니 우리 한글도 만들지 한국 역사가 이제야 빛을 발하는 구나 멋지다 훌륭합니다 .
@user-yo3oi6bu9x
@user-yo3oi6bu9x 3 жыл бұрын
캄솨..세종태황님
@user-vh9fr1zg3p
@user-vh9fr1zg3p 3 жыл бұрын
2002년도꺼네요 요즘도 역사스페셜같은 다큐하나요? 고증 검증 거쳐서 볼만한 다큐 좀 제작해주세오
@Kim-ig3qq
@Kim-ig3qq 3 жыл бұрын
Kbs역사저널 그날...반일나치즘 평화파시즘 전도사 최원정이란 여자가 진행 요즘 kbs mbc등 공중파방송은 정권에 완전히 장악되었습니다. 1988년 노태우 정부이후 요즘처럼 완벽히 정권의 개노릇하는 방송 처음 봅니다. 정권을 풍자비판하는 개그프로 완전 사라지고 정권의 비리 조국 윤미향 울산부정선거 유제수부패사건 라임옵티머스 추미애아들사건 박원순성추행사건 등을 심층취재보도하는 프로 본 적이 없습니다. 오로지 정권의 입맛에 맞추어 반일나치즘 평화파시즘 선동하고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 비하하기에 광기를 내뿜고 있죠. 정의는 사라지고 허위와 위선으로 무장한 사악한 세력에 지배당하고 있는 자유대한민국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Hayan_Yeou
@Hayan_Yeou 2 жыл бұрын
이후 고바야시 요시노리는 연구를 해서 일본의 카타카나가 신라의 각필에서 온게 확실하다 주장합니다. 저분이 일본인이고 아니고는 중요하지 않음. 국가를 초월한 학자로서의 명예와 진실을 밝히려는 그 자세를 우리도 배워야함. 일본 우익들이 빼액 하는데도 주장을 굽히지 않고 계심.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kcr2307
@kcr2307 2 жыл бұрын
@@hiroono1 ㅆㄹㄱ ㄴㄹㄴ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kcr2307 - 한국인은 "金李朴"가 많다. 성이 없었던 조선의 농민과 노예 일본이 성을 가진 권리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노예는 귀족의 성을 좋아했다. 현재 "金李朴"의 대부분은 노예 출신이다.
@petsurtr
@petsurtr 2 жыл бұрын
@@hiroono1 일본 새끼들이 하도 역사가지고 조작하고 판타지 소설로 써서 세계 역사 학자들에게 무시당하지. 니들이 쓴 판타지 역사 소설은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
@smithkim1358
@smithkim1358 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 재방 말고 계속 진행해라 오락프로는 오래 안가지만, 이런 프로는 무기한이로 보는거야 혈세 쓰는 핏값을 해야지
@Since_NineteenSixtyFour
@Since_NineteenSixtyFour 3 жыл бұрын
동의. 절대 동의.
@alrgdegidkf2127
@alrgdegidkf2127 3 жыл бұрын
ㅇㅈ수신료 받아서 다 어따 쓰는지 한심..
@ILovekorea365
@ILovekorea365 3 жыл бұрын
예능 폐지!!! 역사 방송 지지!!!
@user-lb8uu4hb5w
@user-lb8uu4hb5w 3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ef5sc7mo6e
@user-ef5sc7mo6e 2 жыл бұрын
옳으신말씀....^^
@user-vq3wh3bg1q
@user-vq3wh3bg1q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모든 역사는 축소되었다. 한반도의 역사가 5천년이라고 말하지만 최소1만년전부터 이어져내려온다고 봐야할 정도로 많은 문헌과 물건들이 발견되고있다
@jiyou8073
@jiyou8073 3 жыл бұрын
신라에서 만든 구결이 가타가나와 한글에 영향을 줬다는 거군요. 특히 천지인 모음은 정말 유사하네요.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YouMoya
@YouMoya 7 ай бұрын
이건 일본 학자도 인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Love-Peace-Culture_KimGu.37
@Love-Peace-Culture_KimGu.37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되고, 현재와 이어져 있다.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3 жыл бұрын
me name 언어의 속성들 중 연속성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user-li8ys9to6z
@user-li8ys9to6z 3 жыл бұрын
확실한건 일본어가 한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것입니다. 일단 어순이 같은이유는 반도에서 건너간 우리 선조의영향입니다
@user-yl7uj7tl1u
@user-yl7uj7tl1u 2 жыл бұрын
@@user-li8ys9to6z 일본어랑 한국어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을 거임. 그리고 전세계 언어중 거의 반은 SOV아니면 SVO어순임/
@anamorris485
@anamorris485 3 жыл бұрын
Very interesting
@weonnk
@weonnk 3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들의 지혜가 정말 놀랍습니다
@freedom-lz7cg
@freedom-lz7cg Жыл бұрын
우리가 한자를 만들고 읽는 방법(1글자 1발음)도 만들어 놓고 시대가 흐르면서 글의 사용이 많아져 이두도 만들고 해보다가 결국 한글이라는 지구상 최고를 발명하게 되었다.
@louaciel7090
@louaciel7090 3 жыл бұрын
앳날 인재들이 kbs로 모이던때는 티비로도 이런 다큐를 봤는데.. 아쉽다.
@user-dh4il2pu5k
@user-dh4il2pu5k 2 жыл бұрын
와아 👍
@user-ch8nw9nk5c
@user-ch8nw9nk5c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역사를 모르면 미래가 없어요 요즘방송 보면 먹방방송으로 통통한 한국사람 만들지 말고 꼭필요한 우리민족 바로알기 역사다큐스페셜 만들어 주세요 항상 응원하고 감사합니다 화이팅 ^^
@user-yp1sj1zm5k
@user-yp1sj1zm5k 3 жыл бұрын
구결문자가 발견된게 2년 밖에 안되었다는 멘트는 잘못된 것 아닌가요? 고려대장경에서 구결이 발견된 것이 2년 되었다고 해야하지 않습니까? 구결문자의 존재는 매우 많고 조선시대 문헌에서도 매우 흔하게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cbkim9578
@cbkim9578 2 жыл бұрын
잘못된 멘트에요. 구결문자 가림토문자 이거 옛문헌에 많이 나타나요. 대장경에서 나타난게 2년전이겠죠.
@user-im2xn9hm6v
@user-im2xn9hm6v 2 жыл бұрын
우리아버지가 쓴 명심보감에도 구결문자를 써서 한글로도 해석해 놓은 게 있습니다. 우리아버지는 내가 어릴 때부터 앉아서도 책을읽고 누워서도 책을읽고 혼자 방 안에 계실 때에도 항상 책을 읽으니 우리 옆집 아주머니께서 우리집에 책 읽는 소리가 안나는 때는 낮에는 출장(외출)을 가셨거나 밤에는 잠드셨을 때라고 나에게 말씀했습니다.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Жыл бұрын
참나.. 영상에서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을 보고도 도무지 이해를 못 하는 사람들이 많네... 한자를 간략화한 구결 문자 : 옛날부터 알고 있었음 "점과 획으로 만든" 구결 문자 : 영상만든 때부터 2년전에 발견 했음.
@blueminlee7173
@blueminlee7173 3 жыл бұрын
우리조상님들께...감사드립니다.
@no11kim33
@no11kim33 3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한자에다 각필까지공부해야했구나 조상들은...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aom5203
@aom5203 3 жыл бұрын
난 이런게 너무 좋아요~~
@user-wh8vx1bc3x
@user-wh8vx1bc3x 3 жыл бұрын
삼국시대 전후로 극동지방 국가들의 뿌리는 크게 2갈래로 고구려, 백제의 몽골계와 명, 신라의 투르크계로 이들은 국가는 달라도 뿌리가 같아서 서로 문화를 공유했을 가능성이 크죠
@Bmmlove1
@Bmmlove1 3 жыл бұрын
유인촌 씨 발성과 호흡, 발음이 굉장히 듣기 좋네요. 진행자, 사회자의 역할이 왜 중요한 지 알겠어요.
@user-pq9bj1lp4u
@user-pq9bj1lp4u 3 жыл бұрын
성곽 곽에 기역 받침대신에 니은 받침인 음성자음으로 대치하면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볼 관으로 관에서 아라는 양성모음 대신에 음성모음 어로 대치하면 권으로 관리할 권력 권이란 한자가 나옵니다. 이렇게 한자를 체계적으로 가르쳐야만 된다는 말입니다. 내려다 볼 관에서 telescope망원경에서 pipe모양인 수도관 모양인 관이 나오고 열쇠구멍으로 몰래 엿보다는 peep이란 영어단어가 생긴답니다. 주먹 권을 권으로 발음하는 근거는 바로 쌍안경에서 파이프모양인 대롱 권으로 주먹을 꽉 쥐라고 하는 이유는 곽의 된소리 발음인 꽉>곽>권>관
@user-pt4du7je1b
@user-pt4du7je1b 2 жыл бұрын
재밌다.
@sonjungbun
@sonjungbun 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 다시 시작해 주세요.
@user-bs1bw1ub5s
@user-bs1bw1ub5s 2 жыл бұрын
한자를 만든 은나라는 동이족의 나라, 우리는 그 동이족의 후예!
@padkeepca2797
@padkeepca2797 3 жыл бұрын
9:29 뭔 소리를 하는가? 내가 대학원 졸업할 당시 2000년도에 남풍현 교수님이 각필문서를 연구하고 계셨는데, 각필이 발견되지 않았다니? 일본에서 진행된 연구는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면서 국내연구 진행사항은 파악도 못하고 있는건가?
@user-bo1pi8vq6d
@user-bo1pi8vq6d 3 жыл бұрын
각필문서랑 각필이 같냐.... 연필로 쓴것을 연구한게 연필을 찾은 거랑 같니?
@joshua0415
@joshua0415 3 жыл бұрын
이지훈 그 비유는 좀..
@kdsbsb
@kdsbsb 3 жыл бұрын
2002년 10월 12일 방송이니...그 당시라면 국내 연구 진행사항 제대로 파악 못했을지도 모르겠네요...역사 전문가들이 아니라 방송인들이 준비해서 만들었을테니까요...안타까운 현실이죠...
@oyazine
@oyazine 3 жыл бұрын
@@user-bo1pi8vq6d 먼 헛소리 하냐....니말은 문서를 연구했다는거냐 각필을 연구했다는거냐..다른거냐?
@hyunjunglee5584
@hyunjunglee5584 3 жыл бұрын
@@user-bo1pi8vq6d 각필이 쓰여진 문서가 각필문서 아니니?
@user-hn3ks4vm9i
@user-hn3ks4vm9i 3 жыл бұрын
등장불밑이나 초불밑에서 보면 잘보이겠네요 글자가
@user-ue8vo6gu8x
@user-ue8vo6gu8x 3 жыл бұрын
오! 그러네요~ @@ 맞아요, 등잔.. 촛불.. ~
@sklee7071
@sklee7071 3 жыл бұрын
천지인을 상징하는 모양을 쓰다보니 하늘을 뜻하는 아래아 •는 첨에는 창제원리에 따라 동그랗게 만들수 밖에 없었을 것.
@dckim9622
@dckim9622 3 жыл бұрын
고바야시는 고구려계 성씨라고 들었습니다.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cutycjt7
@cutycjt7 3 жыл бұрын
EBS보다 수신료 많이 가지고 가면서 이런거나 계속 방영해주지...
@user-im2xn9hm6v
@user-im2xn9hm6v 2 жыл бұрын
글자 끝 오른쪽에 乙은 한글 조사 을로 알고 있습니다. 옛날에 우리 아버지가 그렇게 표시했습니다.
@chulgim1
@chulgim1 3 жыл бұрын
국내 대학연구진과 공동연구를 수십년째 하고잇다던 일본교수를 보면, 이건 한일관계를 떠나서 문화로서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드네요. 이두와 향찰 각필은 한자를 읽기위한 것이었을뿐이고, 한자를 대체할 새로운 수단으로 만든게 '한글'인거지 ㅎ
@6153f9pk
@6153f9pk 3 жыл бұрын
신라 각필이 히라가나 가타카나
@youngimkim5881
@youngimkim5881 3 жыл бұрын
가림토는요? 얼마나 사용되어왔는지 궁금..
@user-bd9qd9qk4r
@user-bd9qd9qk4r 3 жыл бұрын
우리선조님들은 ~~ 정말정말대단하시고지혜로우셨습니다자긍심이팍팍팍~~~
@user-nx8vs9md4i
@user-nx8vs9md4i 3 жыл бұрын
400년 넘은 옥편을 물려받아 가지고 있읍니다 한글 연구에 필요하시면 빌려드리겠읍니다
@issue9532
@issue9532 3 жыл бұрын
이덕일선생같은 민족사학자와 공유하세요. 잘못하면 넘쳐나는 식민사학자들에게 들어갑니다.
@user-jb5nu4ft1c
@user-jb5nu4ft1c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학자들 장님학자인가. 일본 사람들이 연구해논 것만 가져다가 내가만든것인양 지금까지의 행실이 아닌지 임라설을 그대로 인정하는어리석은 짖을 서슴치 않고도 학자려니 하나봐. 창피한줄 모르고
@candleproducer3106
@candleproducer3106 3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이 얼마나 빡쳤으면 한글을 만들었을까.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fiiumer
@fiiumer 3 жыл бұрын
@@doenjangstew4438 정신병이 심각하네요. 근데 한국인 아니죠. 한국인이면 절대로 안할 실수를 했네요.
@doenjangstew4438
@doenjangstew4438 3 жыл бұрын
@@fiiumer 누가 정신병이 심각할까? 언어적 장벽에 갇혀 우물안 개구리를 세뇌시켜 너처럼 분노하게 만든 사람들이? 넌 정신병 아니다. 다만 모르고 세뇌된 대로 그들이 프로그래밍한데로 분노할 뿐...
@candleproducer3106
@candleproducer3106 3 жыл бұрын
@@doenjangstew4438 한글과 비슷하게 생긴 문자가 여러개 있습니다. 중요한건 한글이 살아 남았다는 것이고 후대에 계속 발전하여 지금의 한글 자음과 모음이 조화롭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 인류의 발달사는 과거가 있기에 발전된 현제가 있는 것입니다. 한글은 위대한 글자입니다. 다른 유사한 글자에 비해서 완벽하지 않나요.
@doenjangstew4438
@doenjangstew4438 3 жыл бұрын
@@candleproducer3106 그럼요 이렇게 접근 해야지... 한글이 원조가 아니라고 한국인이 아니라고 뒤집어 씌우는 이런 바보같은 사람들이 99%가 있으니 한국이 이제 망할 때가 와버림. 완전 통제된 언론 교육 포털 모든 정보유통 속에서 민주주의를 못한 체로 파쇼사회가 만들어져 버린 것이 안타까울 뿐...
@user-fd5jc1ur3g
@user-fd5jc1ur3g 3 жыл бұрын
설득력이 있네요
@user-oh9je3hi2s
@user-oh9je3hi2s 3 жыл бұрын
한글는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아름답고 우수하다.
@user-vg7yu7rr2e
@user-vg7yu7rr2e 2 жыл бұрын
미적 감각으로는 각진글자쳬로 그리 아름답다고 보기는 좀 긱 글자는 나름 다 독특한 아름다움을 기지고 있음
@yunsookim1117
@yunsookim1117 3 жыл бұрын
한자를 왜 중국의 글자라고 할까?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아직도 남아 있는 정신적인 사대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는 중국을 영어권에서 부르는 지나(차이나)라고 불러야 한다.
@AKorean
@AKorean 3 жыл бұрын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hehe9400
@hehe9400 3 жыл бұрын
중국에 영어로 전화하면 서양 문화에 침략 당했다는 뜻입니까?
@USINTECK
@USINTECK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알고 쓰고 있는 한자가 중국 고대 후한(後漢)시대때에 비로서 혜서,즉行書(楷書)의 서체가 만들어 졌기때문에 그렇게 부르는것이 아닌가 생각되어 집니다. 한자의 변천은, 갑골문자>전서>예서>행서>초서(草書;흘림체)>,지금의 중국 간자체(简体字;1964년 촤종 공표),했습니다.
@z0222
@z0222 3 жыл бұрын
불교경전뿐아니라 신라시대나 고려때 편지나 문학등 일반언어도 표기했을거같은데 그런 자료도 궁금해요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3 жыл бұрын
불교 경전을 제대로 분석하는 사람이 없나 일본의 화엄종(공명당)이라고 해봐야 고려의 대장경 복사해가서 해석한 정도라던데 8만 대장경 원판을 주지 않은 것이 다행
@god-wife-brother
@god-wife-brother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우리 관악고교 역사선생님께서 이런 흔적 찾으셨어요. 한자가 우리 것이라고요. 한자로 중국 발음 다 표기 못한다고 했죠
@user-uc5jl3dg9w
@user-uc5jl3dg9w Жыл бұрын
토달지 말라는 말이 이렇게 유서깊은 말이군요.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자료가 많이 남아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
@dokdohanbokarirangfandance8225
@dokdohanbokarirangfandance8225 3 жыл бұрын
6세기경이나 그 이전부터 일본에 넘어간 한반도인에 의해 일본의 문자가 생성된듯
@user-om2rv9vl4z
@user-om2rv9vl4z 2 жыл бұрын
양반님이 구대멸족 죄로 도망치셔서 가르치셨을수도
@sexyguy8563
@sexyguy8563 Жыл бұрын
제가 역사스페셜 정말 좋아하는데 다시 부활할수없을까요??
@user-eu4mw3gg3x
@user-eu4mw3gg3x 4 ай бұрын
17:15 구결(조사,어미) 문자 : 고려대장경에서는 각필로 쓰여 있고 붓글씨로 써 놓는 경우도 있다. 한문에서는 조사 어미가 없어서 우리가 한문을 이해하에 어렵고 혼돈이 올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22:15 22:27 고려대장경 각필 구결
@user-zf6gk3il1t
@user-zf6gk3il1t 3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은 6하 원칙에 의해서만들어진 세계유일한문자 그거면 충분하다 세종대왕님 만세 ~~~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파스파문자는 조선초기엔 쓰이지도 않았는데 뭔 ㅋㅋㅋㅋ 그리고 옛문자가 파스파문자로 국한되는 근거는 뭔데? ㅋㅋㅋ 아시아에 옛문자가 파스파문자밖에 없는줄아나 ㅋㅋㅋ 에초에한국에도 구결이 삼국시대부터 있었는데 옛문자는 오히려 구결과 비슷하겠지 ㅋㅋㅋ 또 중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그럼 옛이응이나 그 많은 모음들은 왜있는데? 중국어엔 연구개비음없고 모음 끽해봐야 6~8개밖에 안되잖어? ㅋㅋㅋ 훈민정음에서 한자어만 중국발음으로 읽었고 나머지는 한국어로 읽음 오히려이건 훈민정음이 발음을 구현하는데 우수했다는 증거지 중국어를 표기하기위해 만들었다는 근거가 어디있는데?ㅋㅋㅋ 그리고 일본인이 한국 문법에 영향을 미쳐? ㅋㅋㅋ 조선말 말살정책을 일으킨 일본이? ㅋㅋㅋ 국문신문을 모두폐간시킨 일본이? 일본이 조선어를 그렇게 소중히 여겼다면왜 미국인이 한국어 교재를 정리할때까지 아무 성과가 없었지? 최초의 한글날은 독립운동가들이 제정한거지 일제가 제정한것도 아닌데 일제시대때만들어졌다는게 대체 무슨 근거가되는지 모르겠네 ㅋㅋ
@gaplee5214
@gaplee5214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백제 중국사들- 전라왜국임나 일본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aplee5214
@gaplee5214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백제 중국사들- 전라왜국임나 일본사 그래서 한글은 어느나라만 쓴다고요? 누가 만들든 저쩌고 필요없고 대한민국만 씁니다 어느 전 세계 어느 나라든 만든 나랏말 씁니다 한글로 배우고 글 읽고 쓰는것 대한민국에서 태어난것에 감사하게 생각하시길
@courttiko0324
@courttiko0324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정신병자
@gaplee5214
@gaplee5214 3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백제 중국사들- 전라왜국임나 일본사 일제의 침략으로 생겨난 단어들인데 그게 웃을일임?? 국권을 잃었는데 새로 만든 한자어? 새로 만든 단어가 생기겠어요? 님은 그냥 일본어로 댓글 다세요 한글 쓰지말았으면 합니다
@user-so8oe6je3l
@user-so8oe6je3l 3 жыл бұрын
구결 영향받아 훈민정음 창제하셨네요. 세종께서도 자방고전이라 해서 옛글자를 모방했다고 했죠.^^
@user-lz3eb2xc6z
@user-lz3eb2xc6z 3 жыл бұрын
요즘 말로 컨닝페이퍼네요 읽는 음을 표기한 것이군요 잘못 읽을까봐 컨닝페이퍼를 만들어 놓으시다니 참 그때도 힘드셨겠네요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그럴줄알앗다 일본은 설총의 이두를 가져다 썻고 우리는 이두를버렷다
@aripoor
@aripoor 3 жыл бұрын
이두 따위를 쓰고 있으니 오늘날 일본 문자가 그꼴이 난거임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3 жыл бұрын
이두가 뭐에요
@sunj0cohkisun543
@sunj0cohkisun543 3 жыл бұрын
@@user-mi8ln4pe3f 신라 때쓰던 한국식 글입니다 그게 지금의 일본어 조상급으로 보면됭니다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3 жыл бұрын
한자의 음을 빌려서 한국말을 표현하는 방법 일본은 한자의 음을 빌리기도 하고 뜻을 빌리기도 해서 한자를 적고도 음을 읽어야 할지, 뜻부분을 읽어야 할지 한마디로 땜질식 언어입니다 이런 방법은 한국에서 불경을 읽을때 쉽게 읽고, 뜻을 전달하기 위해, 각필이라는 쇄기 문자를 사용한 형태가 발견이 되어서 일본의 가타가나? 는 신라에서 전해진 것으로 일본 학자가 연구해서 발표했습니다 민족성이 여기서 나오는 데 한국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서 해결했고 일본은 기존의 것을 개량하고, 또 개량해서 해결해왔는데 이제 디지털 시대에 기술 습득 및 활용 속도가 이런 민족성의 차이로 해서 영원히 일본은 한국보다 디지털 문명에서 한국을 따라잡지 못했습니다.
@thestrongestmanintheworld
@thestrongestmanintheworld 2 жыл бұрын
@@aripoor 이두 따위라고 하지 마라 한글 이전에 우리말을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문자 중 하나다
@user-ed1lx6ok6l
@user-ed1lx6ok6l 3 жыл бұрын
일본 nhk에서 카타가나가 한국 것이라고 방송했다고함.
@Sangalchee
@Sangalchee 3 жыл бұрын
어찌 보면 당연한 것 같음. 우리 문화도 절반은 중국에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땅 넓고 기후 온화한 곳에서 문화가 융성하기 마련이고 그것이 주변으로 퍼졌다고 보는게 마치 진화론처럼 너무 자연스럽죠. 일본이 인정하지 않는게 이상할 따름
@user-ue8vo6gu8x
@user-ue8vo6gu8x 3 жыл бұрын
정말?
@user-ed1lx6ok6l
@user-ed1lx6ok6l 3 жыл бұрын
큐슈의 어느 일본인 학자의 연구
@user-rq3gc4os2s
@user-rq3gc4os2s 3 жыл бұрын
@@Sangalchee 근데 솔직히 모르겠음 중국에서 왔다고는 하는데 고조선의 영역이 어디까지 였는지가 확실치 않기 때문에
@user-go5yn4tf9h
@user-go5yn4tf9h 3 жыл бұрын
@@Sangalchee 문화가 중국에서 왔다는건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의 합작품이예요. 중국은 문화라고 할게 없었어요. 중국이 본인들의 문화라고 주장하는게 알고보면 전부 한국의 문화에서 기원한거예요. 한국의 문화가 뛰어난 이유는 우리 민족의 조상님들은 지구상에 살던 비문명화된 인간들이 아닌 북극성에 계신 하느님을 섬기며 신선의 경지에 다다른 성현 군자들이 하강하여 문명을 전파했기 때문에 애초에 완성형이었어요. 한국 문화의 깊이와 정수를 안다면 그 수준이 남다름을 알 수 있고 현대의 기술로도 재현할 수 없는게 많아요. 앞으로 우리가 잘 못 알고있고, 축소하고 왜곡하고 잃어버렸던 역사들을 계속 찾거 될거예요. 우리가 스스로 우리의 역사를 잃어버렸듯, 그것을 다시 되찾을 시기가 됐거든요. 그럼 그때 제 글 내용을 이해하게 되실거예요.
@catherinel9372
@catherinel9372 3 жыл бұрын
공부하길 좋아하는 민족이라...여러 방법을 생각 했을듯...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wujingim297
@wujingim297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신기해
@user-qh3hv9pm3s
@user-qh3hv9pm3s 2 жыл бұрын
구결이 2년전에 발견되었다는 것은 좀... 84년 출가해서 88년에 능엄경을 배웠는데 그때 선배들은 미리 현토 라고 하여 토 다는 방법이 정리된 것을 주었다. 2년동안 목만본을 영인한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 화엄경을 보는데 직접 토를 달아가면서 보았다. 그 당시 모든 강원(승려교육기관)에서 그렇게 경을 보았고, 그때 외운 것은 동대에서 공부할때도 지금도 가끔씩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나 이전의 선배들은 한문을 해석하는데 당연하게 써왔다는 이아기가 된다.
@user-hm6wh9si4n
@user-hm6wh9si4n 2 жыл бұрын
역사 스페셜 다시 부활시켜라
@user-xm6dn7zl2c
@user-xm6dn7zl2c 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이 이때가 진짜죠!!
@adoopark9868
@adoopark9868 3 жыл бұрын
대장경 글자를 제외하고 표시만 따로 촬영해보면 어떨런지ㆍㆍ
@IIllIll
@IIllIll 3 жыл бұрын
26:55 구결문자 쓰는 법
@cipalnom1
@cipalnom1 3 жыл бұрын
나도 고딩때 일본어 배우면서 왠지 모르게 아주 쉽게 느껴졌는데 다 이유기있었구만 역시 우리 조상들이 쓰던 언어라서 내 유전자던 무의식이던지에 벌써 각인 되어 있던 글자였구나. 일본 히라가나와 카타가나는 엤날 우리 조상들이 쓰던 글자였다는거 확실하구만 그렇다면 히라가나아 카타가나는 우리 말의 한글 이전 고대 필기 방식이란 말이네
@asahn2110
@asahn2110 3 жыл бұрын
정신차려...
@user-xn7pb2op5g
@user-xn7pb2op5g 3 жыл бұрын
? 러시아어 쉽게 배웠다 그럼 내 조상은 동유럽인이라는거냐?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 3 жыл бұрын
다만 한반도에서 건너간 당시 학문에 조예가 깊은 대 승려가 당시 미개인에 불과했던 열도 원주민들에게 여러가지 문명과 문물을 전하였는데…(이것 또한 일본 우두머리가 직접 머리를 쪼아리고 자국으로 초청하려고 삼고초려를 할 정도로 애를 썼다고 합니다) 비단 종교만이 아닌 다양한 사상들도 전파를 했으며 자신들의 정신적 지주가 된 스승 같은 한반도에서 건너온 승려를 깊히 동경하며 잘 따랐다고 합니다 그러던중 학문에 조예가 깊은 스승에게 자신들의 문자를 개발해달라며 간곡히 애원합니다 처음엔 거절하던 스님이 끝내 저들의 애절함을 끊지 못하고 연구 개발을 수년간 하게 되는데… 고심하며 천신만고 끝에 만들어진 일본어 기초를 만들고 문자들을 채 완성도 하기전에 몸져 눕게 되고 끝내 사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본어는 현재까지도 미완성인 체로 존재하는겁니다 (훗날 저들은 미완성 일본어만을 사용하기엔 턱없이 부족해서 한문도 같이 병행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이걸 비밀로 할수 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우린 이미 잘 알고 있습니다. 일본내 히라가나가타가나 관련 비석 유적도 발견되었는데 그걸 절대 인정하지 않을뿐 아니라 되려 왜곡질을 서슴치 않는 행각을 보입니다.
@user-ec6vg1zs3n
@user-ec6vg1zs3n 3 жыл бұрын
한반도난민 언어 = 일본어. 고대 한국어가 일본으로 전파되고 전해진 거. 일왕도 백제계에 수많은 귀족층들이 열도로 간 흔적들은 무수히 많다 야마터 > 야마토 아침해 > 아사히 눈물 > 나미다 ~니까 > 까 있다 > 이따 ~부터 > ~마데 (~까지) ~까지 > ~까라 (~부터) ~요리 > ~으로 귀여워 > 카와이이 가엾소 > 카와이소우 난은(고구려수사 7) > 나나 밀(고구려수사 3) > 믿쯔 새로이 > 사라니 어째 > 나제 (왜) 사발 > 사라 어떻게 > 와케 (이유,까닭) 곰 > 쿠마 너울 > 나미 가야 > 가라 큰나라(백제) > 쿠다라 나라 > 나라(나라현) 이리 > 이누 너구리 > 네코(고양이)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2 жыл бұрын
언어 문자도 구분 못하면서 일본어 쉽게 배웠다 ㅇㅈㄹ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3 жыл бұрын
각필스코프 대장글들에 비치면... 각필글씨가 선명하게 드러낸다 쌍계사 감로탱화 속에 악기 경쇠 = 경자 = 염불시 타경한다
@vegetator
@vegetator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구결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 한글을 늦게 뗐거든요 ^^;; 그래서 점으로 찍었었습니다~~^^*
@user-iz9xp6fg6e
@user-iz9xp6fg6e 3 жыл бұрын
붓과 먹이 귀해서 그런듯
@kwanheehan5664
@kwanheehan5664 3 жыл бұрын
구결문자라는 것도... 궁금하네요.. 주시경 선생이 이름 붙인 한글의 원래 이름 훈민정음은 이미 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완전성을 갖춘 문자입니다. 단순한 몇가지 글자로 복잡한 소리체계를 신기할 정도로 정확하거나 비슷하게 표기하지요.. 마치 하늘에 흩어져 날아다니는 소리를 종이라는 땅에 잡아놓은 듯이 말입니다. 세종대왕님 다시 한번... 아니... 무한히 감사합니다.
@faintcorona1726
@faintcorona1726 3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28자에서 중국발음 다 빼고 24자 한글로 만든 사람이 후쿠자와 유키치. 주시경선생도 그의 제자였음.
@user-tx6qw4ne7z
@user-tx6qw4ne7z 3 жыл бұрын
@@faintcorona1726 이 무슨 망발이야.
@faintcorona1726
@faintcorona1726 3 жыл бұрын
@@user-tx6qw4ne7z 후쿠자와 유키치 모르냐? 알람떠서 놀랐네. 후쿠자와 유키치는 근대에 생겨난 한자단어를 영영사전보고 만든 사람이다. 민주주의 공산주의 공업 화학 경제 물리 등등...이런 단어들을 영영사전보고 한자를 만든 사람이지. 현대에 쓰는 한자단어 40%를 만들어낸 사람이고 중공인들도 똑같이 따라쓰고 있다. 이 사람이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명칭 바꾸고 24자로 바꾼 사람이야. 유키치는 조선의 김옥균같은 개화파들을 지지했고 일본 혼자서 서양열강에 대적하기 힘드니 조선과 같이 힘을 합쳐서 힘을 함께 기르자고 했던 사람이거든. 고종이 갑신정변 이후 개화파들을 몰살시키자 한탄하면서 일본만이라도 유럽처럼 변해야한다고 했던 사람이다. 이 사람은 아마 일본지폐에도 있을꺼야. 고종이 개화파 죽일때 3살짜리 갓난애기도 다 죽인거 알제??
@user-wm5jr4sd7f
@user-wm5jr4sd7f 2 жыл бұрын
@@faintcorona1726 일본극우들이 하는말 그대로 지껄이고 있네 학술적 증거를 내놔봐 말로 씨불이지말고 애초에 일본은 우리 조상들이 한글조차 배우지 못하게 문화말살 정책을 펼쳤는데 얼어죽을. 설마 학술증거랍시고 어디 유튜브나 블로그 링크다는거 아니지?
@natural4014
@natural4014 2 жыл бұрын
@@faintcorona1726 주시경 선생이 일본에 간적도 없고 후쿠자와 유키치 또한 조선에 들어온 적이 없는데 무슨 제자? 헛소리 쳐하시네ㅋㅋ 꿈꿨냐?
@Jeong-hun_Park
@Jeong-hun_Park 3 жыл бұрын
시청 좀 하렸는데 승질 뻗쳐서 나 원...
@indivg
@indivg 3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러네요. 보긴 해야겠고 자꾸 구역질이 나네요.
@mcsarpshooter172
@mcsarpshooter172 3 жыл бұрын
무심코 댓글 보다가 뿜었습니다. 유인촌의 어록이죠. 국감장이었나? 거기서 "XX 승질 뼏쳐서..!!" 이 말 ㅋㅋㅋㅋㅋㅋㅋ
@user-qx5kc4vj5n
@user-qx5kc4vj5n 3 жыл бұрын
제목만보고 낚인 듯, 내용은 별거없다는.... 전 50대 후반입니다. 어렸을때 책을 좋아해서 고서적 뒤적이며 따라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사용ㅎ지않아 지금껏 잊고 있었다는!!
@user-rx9sc7eh9u
@user-rx9sc7eh9u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 스페셜의 내밀하고 중요한 연구내용이 일본학자에 의해 밝혀지는 아이러니
@user-ix5ic4hv5n
@user-ix5ic4hv5n 2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 자료 다 훔쳐갔으니..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한 일본인의 바보가 카타카나가 조선의 발상지라고해서 한국인은 기꺼이 그 이론은 사회에서 부정되고있다. 카타카나는 표음 문자이지만, 증거라고 신라의 문서에있는 '尹'자를 왕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원래 '尹'의 발음은 일본과 한국에서 전혀 다르다. '尹'은 카타카나의 「イ」의 근원 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과 신라의 문서는 아무 상관이 없다. 또한 한글은 일본의 신대 문자에서 태어났다. 함께 표음 문자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그리고 한글을 조선인에 넓힌도 일본이다. 그래서 현대 한국어의 어휘의 70 %가 일본어 인 것이다. 주의, 민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추상, 철학, 회사,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Sulpen yeong-won 현대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인이 가르쳤다. 당신이 여기서 쓴 '어휘', '추상', '철학', '개념', '이론', '침략'도 일본어이다.
@hiroono1
@hiroono1 2 жыл бұрын
@@user-vg7yu7rr2e 지금도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유래이다. 한국인은 말을 가르쳐 준 일본에 감사하라.
@user-vg7yu7rr2e
@user-vg7yu7rr2e 2 жыл бұрын
@@hiroono1 그 일본어의 원조는 한국어리는 사실 감사해라
@user-dn4pu5wz5d
@user-dn4pu5wz5d 2 жыл бұрын
한글의 기원은 가림토문자.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신게 아니라 단군조선부터 잊혀져있던 고대 가림토문자를 복원하신 대단한 업적의 대왕이시죠.
@tjfqlsths
@tjfqlsths 3 жыл бұрын
원효의 아들 설총이 정리한 이두가 신라어 구결문자였고 그것이 각필로 새겨져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문자의 기원이 되었군요. 세종대왕은 구결문자를 응용해 한글을 창제하셨구요. 한글은 붓글씨로 곡선으로 쓰기보다 각필로 딱딱 꺽어쓰는 형태이지요.
@wj8671
@wj8671 3 жыл бұрын
일본어가 아니라 일본문자!
@tjfqlsths
@tjfqlsths 3 жыл бұрын
@@wj8671 네. 수정했습니다.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3 жыл бұрын
설총 이전에....이미 이두가 있었습니다.
@tjfqlsths
@tjfqlsths 3 жыл бұрын
@@user-lr2jk2su4m 이두를 정리한 건 설총이지요.
@1824Hebe4everyoung
@1824Hebe4everyoung 3 жыл бұрын
오직 우리 지혜로운 선조님들께 감사할 따름입니다...지금의 대한민국 사람들이 머리가 좋고 똑똑한 이유가 지혜로운 선조들의 유전자때문인듯...
@user-jq2em1cz2r
@user-jq2em1cz2r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똑똑해서 허구헌날 다른 나라에 처맞고 살았냐?
@piesunny
@piesunny 4 ай бұрын
❤간송 전형필 선생님 ❤간송미술관 훈민정흠 혜례본 간송본 훈민정음 혜례본 상주본 도둑 ❌배익기❌ → 1,000억 요구했다가 정부에서 관심 안주니까 → 500억원 + 세금 0원 조건
역사스페셜 - 한글은 집현전에서 만들지 않았다
59:0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KBS 역사스페셜 - 추적! 환단고기 열풍 / KBS 1999.10.2 방송
58:46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9 МЛН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가장 과학적인 문자, 한글 / YTN 사이언스
40:2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566 М.
KBS 역사스페셜 - 추적! 발해황후묘는 왜 공개되지 못하나
47:0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KBS 역사스페셜 - 정감록, 조선의 운명을 말하다
43:51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KBS 역사스페셜 - 후백제 대왕 견훤, 왜 몰락했는가
57:3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비밀/ YTN 사이언스
41:4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우리가 모르는 한글 이야기
45:22
SERICEO
Рет қаралды 430 М.
KBS 역사추적 - 삼별초는 오키나와로 갔는가
43:15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890 М.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