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스페셜 - 책을 뚫고 현실로 나아가라, 남명 조식 / KBS 2012.7.5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65,947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3 жыл бұрын

- 칼을 품은 처사
1501년 경상남도 합천 출생인 남명 조식은 조선 처사의 상징이다. 처사란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은둔하면서 학문에 정진하는 이를 일컫는다.
누구보다도 학문을 강조하고 숱한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남명은 책에서만 길을 찾은 선비가 아니었다.
그는 늘 몸에 방울을 달고 칼을 차고 다녔다.
‘성성자’라고 불린 방울을 차고 다닌 이유는 걸을 때마다 그 소리를 들으며 스스로 경계하고 반성하기 위해서였고 ‘경의검’이라고 불린 칼을 품고 다닌 이유는 사욕이 일어나면 단칼에 베어 버리기 위해서였다. 치열한 자기 수양과 실천으로 일관했던 남명은 조선 최고의 학자이자 처사로 우뚝 선다.
- 행동하는 지성
남명에 대한 소문이 퍼지면서 조정에서는 끊임없이 벼슬을 제안하지만 그는 단호하게 거절한다. 1555년 단성현감을 제안 받았을 때 썼던 남명의 사직상소는 조선을 뒤흔든다.
문정왕후를 과부로, 명종을 고아로 표현하면서 타락한 권력을 질타한다. 또한 남명은 이론만 앞세우고 현실을 외면하는 학자들도 통렬하게 비판한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남명의 제자 50명이 의병장으로 분연이 일어났던 것 역시 평소에 이론보다 실천을 강조한 스승의 가르침 때문이었다.
- 지리산을 열 두 번이나 오른 이유
권력에는 한 줌 욕심이 없었으나 지리산에 대한 남명의 사랑은 지극했다. 지금도 오르기 쉽지 않은 지리산을 살아 생전 열 두 번이나 오른 것이다. 더이상 지리산을 오를 수 없는 나이가 되자 남명은 아예 지리산 천왕봉이 보이는 곳에 집을 짓고 자신의 마지막을 지리산과 함께 한다.
부조리한 현실과 결코 타협하지 않으려고 했던 선비, 그러나 나라에 위기가 닥치면 책과 칼을 들도록 가르쳤던 선비. 남명 조식이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를 되돌아본다.
신역사스페셜 107회 - 책을 뚫고 현실로 나아가라, 남명 조식 (2012.7.5.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645
@whehslrlaltlqkf
@whehslrlaltlqkf 3 жыл бұрын
남명선생은 우리 창녕조씨 집안의 큰자랑이자 우리나라 유학의 거산으로 늘 자부심을 느끼게 합니다. 이렇게 자랑스러운 우리 선조할아버지께서 계셔서 매우 기쁩니다. 배움을 책속에 머물지않고 국가와 사회와 백성을 위해 실천하고 불의에 타협하지 않은 선비로 사셧기에 더더욱 그인품이 고귀함을 느낍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Жыл бұрын
자랑할만 하죠^^
@user-lj9bx6tq5t
@user-lj9bx6tq5t Жыл бұрын
지금 이시대에 꼭 계셔야 하실분 입니다 충절=남명 조식..
@user-dw6xv2oj1j
@user-dw6xv2oj1j 10 ай бұрын
이넘조넘 섞여 개잡동성씨 되었오 !!!!! 이놈저놈 다 한국인이요 안붙어먹고 지금우리가 있을까여?
@bby2958
@bby2958 9 ай бұрын
근데 후손들은 왜 다 믿거조일까
@ohkyunghee5290
@ohkyunghee5290 3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남명 조식 선생님 께서 남기신 뜻을 조금 이나마 따를까 하옵니다.
@kingjoseph4375
@kingjoseph4375 2 жыл бұрын
퇴계 이황은 학문과 정치에 집중하였고(성리학 이론 중심으로 행하여 좀 다르네요) 남명 조식은 학문과 실천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희대의 진정한 선비였네요. 그 누구보다 훌륭한 학자였다고 생각합니다. (실천 성리학 중심으로 행하였네요) 조식 선생의 경의사상이 제자들로 하여금 임진왜란에 목숨을 내걸고 이 땅을 지켰네요. 정말 그 누구보다 위대한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잘 봤습니다. 한 번 유적지 답사를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귀鬼귀신 면冕면류관 살煞죽음사 풍風바람 ᆢ 귀면살풍 50책 9권 구성 김부식의 삼국사기 날조자들아🇰🇷 선각자 단재 신채호 역사만이 희망기대입니다 왜곡자들아🇰🇷 역사왜곡 처벌법 법제화가 시급하다 대한민국 식민사학의 계繼 보保 자者놈들... 제1세대 이병도 신석호 손진태 제2세대 김철준(전 서울대 교수) 제3세대 노태돈(서울대) 이기동(동국대) 주보돈(경북대) 잊지말라 한국 🇰🇷 역사왜곡 🇰🇷 바로 세우는 혁명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1170년 무인 시대의 농민들이 일어나다 ⏰️ 1177년 천안 홍경사의 망이망소난 명학소 탐방동숯꼴 충남 가야산 농민군 가야사寺절 🎏안동김씨 ᆢ 김사미의 난 운문사寺절 ᆢ 운문댐 경주 영천 운문산 집결 오烏까마구 체屍시체 ᆢ 향소부곡 삼대묘祠 김씨 권씨 장씨
@user-jc1np8wv1r
@user-jc1np8wv1r 8 ай бұрын
무엇으로유학자을논하나 재산없는양반이라면 어림도없엊을처세네 어진임금을못모신것도불충으로본다
@user-mz4ge8rh1x
@user-mz4ge8rh1x 3 жыл бұрын
남명조식선생이야 말로 우리나라 역사에 존경할사람으로 남을만한 위대한 선비입니다 퇴계,율곡,신사임당 못지않는 위대한선령으로 한국지폐에 십만원짜리 지폐에 등록되길 기대하며 강력추천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user-lg4qw5xx5w
@user-lg4qw5xx5w Жыл бұрын
ㅎ, ...고봉을 언급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불신할 수밖에 없넹, 솔까 퇴계보다 남명이 훨씬 나았다고 보는데 우째 생각 하는감???!!!!!!!!!!!!!
@user-lg4qw5xx5w
@user-lg4qw5xx5w Жыл бұрын
...솔까 퇴계의 패쇄(?)적인 학술 학풍이 선말과 대한제국 멸망과 치욕의 근원이라는 생각은 40 여년전 부터의 생각이다!!!!!!!!!!
@hmjeon8609
@hmjeon8609 Жыл бұрын
실천했다는 면에서는 누구보다 뛰어난분.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hmjeon8609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pi5yb2kc9v
@user-pi5yb2kc9v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 존경합니다!
@user-ee5gw9ig5w
@user-ee5gw9ig5w 3 жыл бұрын
아침마다 신책길에 산해정을 지나며 남,명선생님께 경배한다.
@user-ej2xf4lc3m
@user-ej2xf4lc3m 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배터지게 먹고 어린애들부터 어른들까지 타령이나 하는 방송만 보여주니 안타깝습니다 이런 교육프로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값진 가르침 감사드림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rc2ly9eq5e
@user-rc2ly9eq5e Жыл бұрын
흐르는강줄기처럼..역사는흐르네요!남영조식,선비이자학자!마음의마음을..뭉클합니다.역사의그날!!감사합니다
@kimdokju
@kimdokju Жыл бұрын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user-iv5xs8mk6d
@user-iv5xs8mk6d Жыл бұрын
선생의 후손 되시는분들 부럽습니다 위대한 스승이자 조상 을 두셨으니 어찌 자랑스럽지 않겠 습니까
@user-se1fr8uz8h
@user-se1fr8uz8h 3 жыл бұрын
스페인에 있는 산티아고 순례길도 좋지만 한국사람이라면 남명 조식 지리산 산행길도 가보고 스토리도 널리 홍보 했으면 합니다~^^
@user-lx1bo9mn5o
@user-lx1bo9mn5o 3 жыл бұрын
지리산 설악산 한라산은 다들 가보는거로 알고 있는데...내같은 경우 고2 수학여행 설악산 대1 지리산 그리고 졸업여행 제주도 가면서...지리산은 60이 다되어가는 나이에 10번 정도는 간것같음..이병주선새ㅐㅇ의 지리산도 생각나네..조선의 의병이 남명선생의 제자였다는게 우연이 아님...
@user-ht9sc1mf1d
@user-ht9sc1mf1d 3 жыл бұрын
@@user-lx1bo9mn5o ㅂ
@user-ph4fu7vr1z
@user-ph4fu7vr1z 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이런 선비 없나?
@Kim-ig3qq
@Kim-ig3qq 3 жыл бұрын
@@user-ph4fu7vr1z 그런선비는 까막소 가요, 요즘은 프레임 잘짜고 선전선동에 능한 늠들이 출세하죠.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mo8pn4qr7w
@user-mo8pn4qr7w 3 жыл бұрын
이런 프로그램이 많아야 할텐데요.... 존경에 존경을 더할만한 진정한 선비십니다..
@june35679
@june35679 3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우리에게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드는 분이란 생각이듭니다. 편협함 없이 교류하고 수양과 실천을 통해 뜻을 이루려 하신 모습에 많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우리도 잊지말고 그 뜻을 잘 이어받아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csdo8705
@csdo8705 3 жыл бұрын
단성소는 지금의 kbs기자들이 반드시 새겨야할 내용입니다. 권력에 대한 비판은 언론인의 본분입니다.
@user-xg9ow1sl7b
@user-xg9ow1sl7b Жыл бұрын
윤재앙 시다바리 개비에스엔 굳이 그런 말 할 필요가.. 엠비시면 모르겠네요.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6 ай бұрын
산청 합천 진주 김해 서울 등에 남명선생 실천의식ᆢ일어납니다 재경 경상국립대 동문간부들 남명 특강 들으며 송년모임 가짐
@user-sq7by1pz2p
@user-sq7by1pz2p 4 ай бұрын
지금 ㄹㅇ 들어야됨
@ro_markmark
@ro_markmark 3 жыл бұрын
대학생때 지리산 2박 3일 풀코스로 등반했던 기억이 나는 데 10년이 지난 지금, 한국에 간다면 꼭 남명 선생님이 지나가신 그 길로 한번 가봐야겠습니다. 행동하는 지식인. 초야의 선비. 남명 조식 선생님을 알게되어 기쁩니다. 선생님과 같은 삶을 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주 태국 외노자 노동혁 올림
@user-iy5gk4mq6v
@user-iy5gk4mq6v 3 жыл бұрын
สู้สู้
@ro_markmark
@ro_markmark 3 жыл бұрын
@@user-iy5gk4mq6v ขอบคุณครับผม 고맙습니다 ㅎㅎ
@user-iy5gk4mq6v
@user-iy5gk4mq6v 3 жыл бұрын
@@ro_markmark 저도 라용에서 2년 정도 살았습니다. 고향분 만난 것 같네요
@ro_markmark
@ro_markmark 3 жыл бұрын
@@user-iy5gk4mq6v 우와!! 영광입니다 선배님. 같이 공부했던 친구들이 선배님의 후배가 되어 촌부리 라영 등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user-iy5gk4mq6v
@user-iy5gk4mq6v 3 жыл бұрын
@@ro_markmark 방콕에 계시면 혹시 Thaioil PJT에 참여하고 계신지요?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이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울림을 주시는 분이군요 성리학자하면 선입견과 편견을 가지고 봤었는데 이렇게 실천을 중요시하는 분도 계셨군요 이시대의 참스승이네요
@BlessUsAll
@BlessUsAll Жыл бұрын
매년 지리산 산행을 홀로하는 나의 마음과 남명 조식 선생님의 마음이 같았군요! 끊임없는 자기 성찰! 탐욕적인 이 세상에 뜻을 접은후 10년이 흘렀습니다. 이제 나는 삶과 죽음에 대한 자세도 정립 되었습니다! 붓다와 예수를 추종하는 자가!!
@user-jy7vk6ke7e
@user-jy7vk6ke7e 3 жыл бұрын
지리산처사 남명 조식... 조선시대 이렇게 깨어있는 선비들은 대부분 최후가 좋지 않거나 당시에 빛을 발하지 못했지... 안타깝다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그당시 주류 양반세력들에게 저들은 이단으로 보였을겁니다
@user-hr9vp8wr8t
@user-hr9vp8wr8t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선생의 단성소에 그야말로 행동하는 양심이 나타나는군요 악녀 여왕이라고 까지 했던 문정 왕후시대에 직소 했던분 존경해 마지 않습니다 지금 시대에도 빛나는 스승이십니다
@user-dv3cs8du8m
@user-dv3cs8du8m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분이시네요.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 Жыл бұрын
조식어르신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어르신.
@user-fj1qc5qr9r
@user-fj1qc5qr9r Жыл бұрын
내 인생의 표본으로 삼고 따르고 싶은 분이로구나... 남명처사님의 티끌 만큼일 지라도...
@user-dk7kj6xs8r
@user-dk7kj6xs8r 3 жыл бұрын
조식선생님 존경합니다
@jea6127
@jea6127 3 жыл бұрын
지리산의 하늘을 향한 의가~~~!!! 닮고싶고 하늘과 맞 닿아있는 지리산이 부러우셨을 겝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귀鬼귀신 면冕면류관 살煞죽음사 풍風바람 ᆢ 귀면살풍 50책 9권 구성 김부식의 삼국사기 날조자들아🇰🇷 선각자 단재 신채호 역사만이 희망기대입니다 왜곡자들아🇰🇷 역사왜곡 처벌법 법제화가 시급하다 대한민국 식민사학의 계繼 보保 자者놈들... 제1세대 이병도 신석호 손진태 제2세대 김철준(전 서울대 교수) 제3세대 노태돈(서울대) 이기동(동국대) 주보돈(경북대) 잊지말라 한국 🇰🇷 역사왜곡 🇰🇷 바로 세우는 혁명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1170년 무인 시대의 농민들이 일어나다 ⏰️ 1177년 천안 홍경사의 망이망소난 명학소 탐방동숯꼴 충남 가야산 농민군 가야사寺절 🎏안동김씨 ᆢ 김사미의 난 운문사寺절 ᆢ 운문댐 경주 영천 운문산 집결 오烏까마구 체屍시체 ᆢ 향소부곡 삼대묘祠 김씨 권씨 장씨
@user-hw6rm7kf7b
@user-hw6rm7kf7b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살아가며 알아야할 지식은 지금까지 나와있는 책으로도 충분하다 이제부터는 그 실천이 필요할뿐이다.. 하셨다지요.. 약 50여명 제자의 기억에 모여진 일부말씀을 모아놓은 책을 사서 읽은 기억이 있네요 실천주의 존경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zf8wx2tb5u
@user-zf8wx2tb5u 3 жыл бұрын
아들의 방을 청소하며 "남명 조식 선생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습니다" 특히,선비로서 관직에 나가지 않고 지리산을 오르 내리며 배운 "통찰력"에 대해서 저의 저에겐 여운이 되어 남아 있습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fn6lr4iu4p
@user-fn6lr4iu4p 9 ай бұрын
머리도 울고 가슴도 우는걸 느꺼요 가슴에 묵직한 무엇이 올려진 느낌 입니다 이렇듯 실천하는 학문으로 울림을 주시는 분 이었는데 여지껏 예사로이 들어 참으로 죄송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이 시대의 본보기가 되시는 분이 한분이라도 있어서요~~😂😂
@user-zf8wx2tb5u
@user-zf8wx2tb5u 9 ай бұрын
2년만에 다시 이 영상을 오전 독학으로 전부는 아니지만,신념의 실천을 행하고서,다시 집배움터에서 청소배움을 시작으로,모든 영상의 "받아쓰기"는 할 수 없으나 글자가 들리는 것이 2년전과 달라서 매순간이 감동입니다. 제가 쓰고 싶은 글이 있어서, 다시 듣고 깨달음의 시간을 가져봅니다.😊
@user-yr9ss5jb6q
@user-yr9ss5jb6q 3 жыл бұрын
지리산 정기를 온몸 받고 살아오신 남명선생님 정신력!
@user-do6wv4yb3o
@user-do6wv4yb3o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이런학자와 스승이 있었네요ㅡ조우식 학자 감사합니다
@user-uv6ng1ej4w
@user-uv6ng1ej4w 3 жыл бұрын
경상도 의원님들 남명 조식 할베의 바른 정신세계 심성을 바르게 쓰신분 벼슬에 욕심이없고 사회에 이익됨을 크게 이바지 하신분 훌륭하신 분이시 다.남명 조식 할베를 닮도록 적극적인 노력합시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소탐대실 ᆢ 소고기궁 탐낸 놈이 대통령 잃었지 🐕이죄명 청와대 뒷산 이름이 바뀌었는데,,, (적폐청산) 그 속에 절을 하나 지어서 이름을 지었는데 그 절 이름이 (불법사찰) 그 불상 앞에 연못을 꾸며놓았는데 그 연못 이름은,,, (미꾸라池) [新 故事成語] 1. 백문불여일견 (百文不如一犬) 백명의 文이 犬 한마리보다 못하다. 2. 동문서답(東文西答) 文이 동쪽을 가리키면 서쪽이 答이다. 3. 우문현답(愚文現答) 멍청한 文이 집권한 현 정부에서는 答이 없다. 4. 두문불출(杜文不出) 두번 다시 文같은 놈이 나오면 안된다. 흑수저 이죄명씨 이제는 감옥행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1443년 세조대왕 업적을 확대공급 추진하자 동자동음 ᆢ 50% 같다 자음법칙 ᆢ 신숙주 동국정운 동공 🚭 똥공 탁하고쎄다 모음법칙 ᆢ 펼침법칙 태 ➡️ 타이 마오 ⬅️ 모 평 ➡️피 받침법칙 중국 🇨🇳 ㄴ ㅇ뿐이다 출발 ➡️ 추바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3 жыл бұрын
14:14 요즘 유튜브에서 유교의 퇴폐를 비판하는 영상들이 봇물처럼 쏟아지는데 그 이전에 남명 조식 선생님께서 그 당시 유교의 퇴폐와 관리들의 성리학 논쟁과 그로인해 백성들의 고통을 지적을 하셨다니 참으로 대단하네요.
@adenyang4398
@adenyang4398 3 жыл бұрын
주류 유교와 성리학자들과는 달리 도가와 타 사상에 열려있었던 유학자 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youngso3326
@youngso3326 3 жыл бұрын
유교와 성리학은 다름 유교는 공자의 사상인데.성리학은 그 유교를 주자가 나름해석해서 만든 학문인 주자학에서 파생된 거
@user-li2on9du7g
@user-li2on9du7g Жыл бұрын
남면조직 선샘님에 후손 이라는 자부심으로 살아 갑니다 현정치인들이 한번쯤 돌이켜 보시길
@user-bz1de2il5g
@user-bz1de2il5g 22 күн бұрын
2024 06 08,, 넌 공부좀 더해야겠다 작문이 좃같다..
@ethanjeon5064
@ethanjeon5064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ef.4726
@chef.4726 3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선생 문하 3대 의병장중 정 인자 홍자 쓰시는분이 저의 조상이시죠.
@user-mk1hd8tv5h
@user-mk1hd8tv5h Жыл бұрын
훌륭한분 이십니다.
@doturak0
@doturak0 Жыл бұрын
@@user-od2tv4tw3f 네! 저는 "규" 자 항렬입니다
@user-od2tv4tw3f
@user-od2tv4tw3f Жыл бұрын
@@doturak0 아부지 항렬이시네요 저는 현 자돌림요ㅎㅎ
@doturak0
@doturak0 Жыл бұрын
@@user-od2tv4tw3f 그쵸! ^^ 무더우에 건강조심하시고 헤나 여개나시거든 산천재,덕천서원,기념관에 함 들러보시길... 늘 행복 한거슥이길 바랍니다~
@user-ce9pk9ke2y
@user-ce9pk9ke2y Жыл бұрын
ㅣ11ㅣ
@HRmocap
@HRmocap 3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이 하두 많으니 다른 내용하나 짚어볼께요. ㅎㅎ 지리산을 당시 12번이나 오른건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당시에는 호환이 끊이지 않던 시기입니다. 식솔을 데리고 오르는 것도 큰 용기가 필요한 일입니다. 지금이야 호랑이나 표범, 늑대등의 짐승이 없으니 산을 오르는게 쉬운일이지만 당시에는 다른 동네로 넘어가는 것 조차 무리를 지어가야 할 만큼 산길은 위험했습니다. 겨우 12번? 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당시 조선의 범은 크 성격과 크기가 놀라울 만큼 컸습니다. 지리산에 사는 호랑이들도 산군이라 불릴만큼 크고 위험한 범들이 있었겠지요? 그런 산행을 12번이나 한 것은 선비로써 강인한 정신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bm5xk1cs5s
@user-bm5xk1cs5s 3 жыл бұрын
'ㆍㅇ'
@user-yb5bm3ro6g
@user-yb5bm3ro6g 3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ll4lt5ng2z
@user-ll4lt5ng2z 3 жыл бұрын
다른시각에서 볼수있는 내용이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Since_NineteenSixtyFour
@Since_NineteenSixtyFour 3 жыл бұрын
당장 신발부터 생각해 보세요. 두툼한 좋은 등산화 신고도, 길이 잘 정비된 등산로 따라가도 발이 피곤한데 당시 정비도 안됐을 산길로, 신발이라봐야 당시에 형편없는 걸 신고 올라갔을 테니.
@andy780216
@andy780216 3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지네요
@user-cz9es8mp8q
@user-cz9es8mp8q Жыл бұрын
남명 선생님! 진정 존경 합니다! 이 땅의 사이비 정치인! 고위 공직자!들아 너희들이 어떻게 처신!헌신!해야하는지 즉 수신! 재가!는 이 유투버 3번만 경청하면 끝난다!
@user-dx8ql3bd9k
@user-dx8ql3bd9k Жыл бұрын
소인의 14대조 동강 김우옹 선생도 제자이자 외손서 사위셨지요~ 경의검은 내암 정인홍에게 성성자는 우리 할아버지에게 주셨다고 하내요~영광입니다 소인도 지리산으로 낙향하여 덕천서원 선비대학에서 주겨야독으로 공부한 기억이나내요~남명선생 대단하시고 후손들은 자부심을 가질만 합니다
@sososolar1491
@sososolar1491 3 жыл бұрын
제 조상님도 조식선생의 제자중 한분이십니다. 욕천이라는 유명한 시를 지으실때 동행했던 일행중 한분이셨지요. 남명선생의 학문이 국정에 반영 되었다면 조선이 저렇게 끝나지는 않았을겁니다. 우리집안은 지방에 학생대신 처사라고 쓰는데 남인집안이라 그렇게 쓰는줄 알았는데 남명선생 영향이 있지 않나 싶네요.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sungim3693
@sungim3693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rickykim4621
@rickykim4621 3 жыл бұрын
요즘으로 치면 제대로 진보성향의 유학자라고 볼 수 있죠. 제자인 정인홍, 곽재우 등도 마찬가지 입니다.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그당시 주류층 사대부들한테 빨갱이라고 얼마나 모욕을 받으며 살았을까요
@Close_To_Me
@Close_To_Me 2 жыл бұрын
@@vivalavida497 광해군 폐위되자마자 토사구팽ㅜㅜ
@ohhyuncho9387
@ohhyuncho9387 Жыл бұрын
@@vivalavida497 전국에 구름같은 선비들이 존경햇읍니다,왜 지리산산행이 군수와 현감들이 동행합니가,방송을 귀로 들었나,,,,,,입으로 들엇나,성균관 유생 500명이 집단 상소를 올렷다고 분명히 방송에 나오는데.모욕은 무슨 모욕.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진보같은 소리마시길...지들 양반 재산,권력 지킬려고 발악한거임.
@user-ig8wl2hs8r
@user-ig8wl2hs8r 3 жыл бұрын
퇴계 이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선비가 남명이다 퇴계는 사색형 남명은 행동파 두 분 다 조선선비의 롤 모델이다
@lg4215
@lg4215 3 жыл бұрын
이황이나 이이율곡이 위인이니까 조선이 그따구였지
@user-ny2gl3es9u
@user-ny2gl3es9u 3 жыл бұрын
사상이라고 할만한 것들이 후대에 전해지지 않은 영향도 크죠. 퇴계나 율곡 선생은 사상이나 이론이 정립될 수 있었지만 남명 선생님은 실천경향 때문인지 전달되는 바가 너무 적어요..
@user-ny2gl3es9u
@user-ny2gl3es9u 3 жыл бұрын
@@lg4215 성리학을 정쟁에 이용한 정치세력이 문제지 성리학이 무슨 문제입니까? 그 자리에 성리학이 아니라 실학이었어도 만들어서 정쟁할 놈들이에요
@quarizmi9887
@quarizmi9887 3 жыл бұрын
잘 모르면 다무는게 예의란다
@adenyang4398
@adenyang4398 3 жыл бұрын
이병철 동학이나 독립운동 지식인들의 입장에선 남명 조식이 도가 등 타 사상들에 수용적이었던 만큼 더 좋아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user-km3jp1ww4m
@user-km3jp1ww4m 3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프로 어린아이들도 많이 봤으면 ..
@user-yy7if5ft2v
@user-yy7if5ft2v 3 жыл бұрын
인조반정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남명조식의 평가는 달라졌을듯 합니다. 수제자 정인홍 차제자 곽제우의 평가도 달라졌을듯 하고요...
@user-ce9yg9wu5u
@user-ce9yg9wu5u Жыл бұрын
수제자 함양인 오건 입니다
@taemixstudio
@taemixstudio 2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 선생의 대해 알 수 있는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user-sk9ct1yp6n
@user-sk9ct1yp6n 10 ай бұрын
창녕조씨. 위대한 집안, 위대한 선조 조식. 존경합니다
@user-vv5ov4fc5m
@user-vv5ov4fc5m 3 жыл бұрын
조식 할아버지께 이나라 후대로서 감사드립니다.
@user-ky3dc9qw4l
@user-ky3dc9qw4l 2 жыл бұрын
이런 사람을 중심의 드라마를 만들면 좋겠다 정치가와 엘리트들이 많이 보도록
@user-dx7rf3wh8y
@user-dx7rf3wh8y Жыл бұрын
제가 가장 존경하는 위인중의 한사람 입니다. 처사라는 개념을 정확히 알게해준 진정한 선비입니다.
@hennyjo7593
@hennyjo7593 3 жыл бұрын
저희 할아버님에 대한 내용이라 반가우면서도 할아버님 명성에 누가 되는 삶을 살지 않으려고 합니다... 문중분들 , 그리고 남명선생을 아시는 분들은 주위에 그분의 깊은뜻과 높은기상을 전하며 실천하며 살도록 해요...
@shiningstar4252
@shiningstar4252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가족이군요
@user-bh5dc4bj2t
@user-bh5dc4bj2t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훌륭한 조상님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실감 지금 이세상에도 이런분이 계셔 쓴소리좀 하시면 좋으련만
@user-uv1ty4mo2w
@user-uv1ty4mo2w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선생님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e1vp3cj5d
@user-ke1vp3cj5d 3 жыл бұрын
사림이 조식의 십분의일만 배우고 닮았으면 붕당정치에서 세도정치까지의 그런 망국의 꼴을 안봤을 수도있지않았을까?
@user-wb5jc3cx7n
@user-wb5jc3cx7n 3 жыл бұрын
정치쓰레기들 조식선생말씀 가슴속에 새겨들어야될듯 혈세빨아먹는 충이되지말고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3 жыл бұрын
만약 조선의 사대부들과 선비들이 남명 조식과 같았다면 조선이 저 지경에 이를지 못했지. ㅜㅜ ㅠㅠ
@jbonghae1
@jbonghae1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성리학자들이 소중화 의식이 강해서 조식도 다 마찬가지임. 성리학자 누구인들 생각 자체가 중국이 어버이라는 의식이 있는 사람들임. 조식도 마찬가지
@Since_NineteenSixtyFour
@Since_NineteenSixtyFour 3 жыл бұрын
@@jbonghae1 조식한텐 소중화 사상이 적어요. 방송에도 나오죠? 공자나 부처나 매한가지라고. 이 사람은 별의별 학문을 두루 섭렵했어요. 유학에서도 고리타분한 관념론보다 수신을 목표로 소학을 중시했고. 조선 후기였으면 사문난적으로 몰렸을 사람. 실학에 몰두했을 거고.
@user-fv1me1co7g
@user-fv1me1co7g 7 ай бұрын
백봉선생님 이리 전생도 멋찌셨습니다 울컥하는 마음으로 ᆢ허공으로서의나
@user-kh2qk9lm4n
@user-kh2qk9lm4n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우리역사관 존경합니다
@user-ts6js2tk5e
@user-ts6js2tk5e 3 жыл бұрын
이방원 말 이 맞네 외척이 나대면 나라가 망한다더니...
@user-xh9nt7ow9b
@user-xh9nt7ow9b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암군 선조 시대에는 정말 큰인물들이 많았다고 다시한번 느끼고 가네요. 남명 조식 선생님 너무 앞서서 태어나신분 같네요. 지금 시대에도 꼭 필요하신분인데..
@user-zx8xl1pb8q
@user-zx8xl1pb8q 3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합장 글속에도 무한생명? 숨쉬고 있다 ! 고맙습니다
@changekim2735
@changekim2735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시대에 이런 선각자의 가르침이 필요합니다. 지식의 깊이와 넓이 그리고 실행을 통한 증명~
@user-hl3zv5qh6e
@user-hl3zv5qh6e 3 жыл бұрын
성리학 실천의 중요성과 실제로 실천으로 옮긴, 재야 남명 조식선생. 한번도 관직에 오른 적은 없으나(관직을 사양하기도 했었다.)퇴계 이황 선생은 성리학의 원론주의 였다면 남명 조식 선생은 철저한 실천주의였다. 동갑내기 이황 선생보다는 몇살 연하인 율곡 선생과 비슷한 점이 많다 라고 본다.
@user-ck2nc8ks6l
@user-ck2nc8ks6l Жыл бұрын
자신을되돌아보게하네요~~그리고뭉클해집니다~~남은 내자신의삶을 한번다시생각하게됩니다~~행복했읍니다. 시청하는시간이
@user-jp1ft8mn5l
@user-jp1ft8mn5l 2 жыл бұрын
남명선생이 퇴계,율곡보다 더 크다~
@user-zx8xl1pb8q
@user-zx8xl1pb8q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b9go6rh4h
@user-rb9go6rh4h 3 жыл бұрын
화폐에 조식 선생 입각해야한다
@user-mz4ge8rh1x
@user-mz4ge8rh1x Жыл бұрын
지당한 말씀입니다 10만원 지폐발행되면 남명선생 초상화 들어갔음하고 기대해봅니다
@COREA1971
@COREA1971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Жыл бұрын
10만 원 지폐예요^^
@user-dz5jf3jl1b
@user-dz5jf3jl1b 2 жыл бұрын
사상과 학문,시대를 초월한 의인이요, 성인이시다.
@user-yl7qx3fy9p
@user-yl7qx3fy9p 3 жыл бұрын
좋은 체널감사합니다
@user-xp3gs5vl2x
@user-xp3gs5vl2x 3 жыл бұрын
채널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8 ай бұрын
남명 조식이라는 분을 알게되어서 그날 고맙습니다.
@joeykim6331
@joeykim6331 3 жыл бұрын
예수네.천재.석가 공자보다.깨달은자.끊임없이 방울, 칼로 道안에 거하기를 날선 칼같이 실천해간 성인이십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삼장마을 조지서 ᆢ 갑자사화 ᆢ 연산군시대 정승군자. 한유한 逸士 신병주 역사선생 건국대학교 최치원 사유 일두 정여창 악양정 ᆢ 무오갑자사화 남계서원 함양장지 외손녀 사위인 곽재우 의병장 정인홍 ᆢ 남명조식 제자들
@user-xl1yb2hp4j
@user-xl1yb2hp4j 2 жыл бұрын
고려대학교 철학과 김충렬 교수(김용옥 교수 스승)께서 강조하는 인물 : 남명 조식
@user-youngjae930
@user-youngjae930 3 жыл бұрын
진짜 개인적으로는 이번 편 약간 한국사전(?) 거기에 어울릴 만한 위인인데.... 한국사전 그 프로그램으로 해서 만들었으면 하는... 한상권 아나운서님이 중간중간에 나오시는 줄 알았는데... 아니네. 그래도 잘 보고 갑니다~ ㅎㅎ
@user-ht9jt1tp4k
@user-ht9jt1tp4k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선비이십니다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Жыл бұрын
같은 시대 경상좌도 퇴계 경상우도 남명 남명 조식 선생 연구는 경상국립대학교가 계속 연구해 갑니다
@user-sd5cv1vz3v
@user-sd5cv1vz3v Жыл бұрын
조식 남명파는 실천학파로서 행동을 중시하였고 임진왜란중 대부분의 의병활동은 그의 후학들이 하였다 정인홍 곽재우 등등등
@user-tt2ko9yg1k
@user-tt2ko9yg1k 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왜 공부해야하는지 이번편에 답이있네. 아ᆢ 아쉽다. 나라를 바로 세울분이셨는데.
@user-ve9lp6zr5o
@user-ve9lp6zr5o 3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 조선시대 수많은 의병장을 길러낸 행동파 지식인. 조선시대 유학자 가운데 이런 인물이 나왔다는 게 놀라운 일이다. kzbin.info/www/bejne/bKmYZYSAl6aloJY
@ahwastation
@ahwastation 5 ай бұрын
엄마 고향이 합천 삼가면인데 갈때마다 '남명 조식 선생 생가'라는 표지석이 어릴적부터 있었습니다. 실제 생가 방문은 아직 못해봤지만 합천 삼가면(옛 삼가현)의 자랑이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삼가면의 삼가장터는 3.1 만세운동이 함께 이루어진 옛 삼가현의 중심입니다. 경남 합천군은 초계군과 삼가군(삼가현), 합천군, 세 곳이 모인 지역입니다. 아울러 초계군도 역사적으로 잊을 수 없는, 권율장군의 '도원수 부'가 있던 곳이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길의 중심인 곳입니다. 또한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에 있는 해인사 대장경판(고려 대장경판)또한 고려를 굳건히 지킨 호국의 상징입니다.
@jesusrealphoto3793
@jesusrealphoto3793 Жыл бұрын
감동받고 구독하고 갑니다.
@user-qz5sm3kr9b
@user-qz5sm3kr9b 3 жыл бұрын
조정에 가면 허구헌날 멍청한임금밑에서 모략과 이간질을 하는자들이 득실거리는데 어찌 조식선생이라도 무사햇을까...
@user-gf7nw6jc2o
@user-gf7nw6jc2o Жыл бұрын
역시 역사는 재밌어~나의체질😁🥀
@user-rb9go6rh4h
@user-rb9go6rh4h 3 жыл бұрын
작금에 정치인들은 좋은 학벌 갖고도 자기뜻을 펼치지 못하고있다 눈치만보고 조식같은 정치인이 많이 나왔읍 한다
@nahyunkim6335
@nahyunkim6335 9 ай бұрын
앎삶됨을 실천한 진정한 학자…
@kilsueo3819
@kilsueo3819 3 жыл бұрын
조선 시대의 학자들 중에 그래도 인물이 한 사람은 있었네.....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그 제자들 중에서도 괜찮은 분들 몇몇 계십니다 기축사화로 돌아가신 정여립같은분은 시대를 얖서간 성리학자로 생각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南녘 명冥어둡다 ᆢ 산해정 한유한 고려시대 逸士선비 방울 성惺깨닫다 惺득도 자者 ᆢ 성상자 ᆢ 경敬의義검劍 경經 공부는 성리학문이요 ᆢ 퇴계이황 경經 실천 행行도導인도합니다 ᆢ 남명조식 ᆢ 홍의 곽재우 20년후 임진왜란 1592년4월30일 선조대왕 몽진하다
@user-lr4bj9dv8e
@user-lr4bj9dv8e Жыл бұрын
@@vivalavida497 444
@user-xe3do2ju1h
@user-xe3do2ju1h 3 жыл бұрын
피는 못속인다 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bby2958
@bby2958 3 жыл бұрын
조국?????
@user-fy3bn6cp8r
@user-fy3bn6cp8r 2 жыл бұрын
조국 장관님~~
@user-qb7ep8rg8b
@user-qb7ep8rg8b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우리 조(曺)씨 조식(曺植) 조국(曺國) 조봉암(曺奉巖)
@user-pf1nc1cs8j
@user-pf1nc1cs8j 3 жыл бұрын
이이가 더욱 알려졌지만 조식이나 유성룡같은 사람이 더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조식의 정신은 후대의 독립운동으로 계승되지만 이이의 제자들은 서인 노론 수구세력으로
@user-rx3ws7ep8k
@user-rx3ws7ep8k 3 жыл бұрын
수구세력이고 기득권세력이고 보수꼴통세력이 율곡 이이 후예들인 조선 후기시대 서인을 이은 노론세력들로 나중엔 친일파로 연결된다.
@bby2958
@bby2958 3 жыл бұрын
졌으니까 고평가 받는거지 북인 일당들이 광해군 시절 나라 거덜내놓은거 보면 서인이랑 뭔 차이가 있을까 싶은데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bby2958 광해군시절 뭐를보고 나라 거덜냈다고 말하나요 광해군이 임진왜란 끝나고 피폐해진 백성들의 삶 나아지게 할려고 대동법도 시행하고(물론 양반 사대부들의 반대로 경기도에서만 시행되었지만) 외교에서는 청과명사이 중립외교도 하던 나름 개혁군주인데 인조반정이 없고 광해군이 더 왕위를 오래했더라면 조선후기의 모습이 조금은 변했을지 모를일이죠
@vivalavida497
@vivalavida497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좋은의도를 가지고 좋은이론을 가진 세력이라도 오래 권력을 잡으면 기득권이 된다는겁니다 조선시대에는 세도정치 붕당정치을 견재할 시스템이 결국은 왕권인데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후기에는 왕권이 약해지다 보니 나라가 개판이 된거죠 조선전기처럼 왕권이 강했을땐 그나마 백성들이 살기엔 나은 면이 있습니다
@ryu_geom
@ryu_geom 2 жыл бұрын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기득권은 부패하기 마련이며 그 부패한 기득권층의 기득권주의는 기회주의로 변모되기 마련입니다. 일본에 나라를 갖다 바친 사람들의 대부분의 출신성분이 노론인것은, 노론이 구한말의 기득권층이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에 불과합니다. 아마 삼남지방의 남인 계열에서 독립투사가 많이 나온 것은... 이인좌의 난 이후 출사길이 막히면서 그들이 기득권층에 편입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부패할 수가 없었고, 그로인해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게 되어 독립운동에 많이 뛰어들게 된 것 아닐까요??? 제 생각입니다. 각설하고, 조선후기에는 거듭되는 옥사, 환국으로 당파싸움이 절정에 달하였는데, 이렇게 당파싸움이 격화되기 훨씬 전의 사람인 율곡 이이 선생이 3-400년 뒤 나라를 팔아먹은 족속들의 뿌리로 폄하되는 것이 안타깝네용...
@user-zx8xl1pb8q
@user-zx8xl1pb8q 3 жыл бұрын
남명 조식 ! 우리선조님! 고맙습니다 합장
@user-cm8qh9wh9s
@user-cm8qh9wh9s 3 жыл бұрын
후손 조국이가 선생님 얼굴에 똥칠을 했다는 것은 아셔야죠.
@user-qv5ns7wo2k
@user-qv5ns7wo2k 3 жыл бұрын
조국은 후손이아닙니다 남명선생이 워낙 크신분이라 같은 조씨라는 이유로 팔아먹은겁니다 제발 조국과 엮지 마시오 조국은 남명의후손이 아니고 남명의후손은 지금다른 분입니딘 정말 창피합니다 조상까지 바꾸시니
@user-cp3kb6bh1x
@user-cp3kb6bh1x 3 жыл бұрын
무슨말씀을 ?조국을뭣때문에 보수꼴통들이 제거하지못해 안달을하나요? 조국만큼 깨끗한사람 나와보라하세요 좋은후손을 두셨네요
@kic7054
@kic7054 3 жыл бұрын
@@user-cm8qh9wh9s ??
@GritBear
@GritBear 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여기서 조국이름이 나오는 것도 남명 선생께 부끄러운데 옹호하는 댓글까지 보이니 제가 다 수치스럽군요...
@user-eo3re9hq9c
@user-eo3re9hq9c 3 жыл бұрын
조식 선생의 삶이 고려 서경덕 대학자와 비슷한 면이 많고나.
@user-zx8xl1pb8q
@user-zx8xl1pb8q 3 жыл бұрын
명종실록 남명의 직언!
@user-cz9es8mp8q
@user-cz9es8mp8q Жыл бұрын
남명선생님! 혈세! 단 한 푼도 받지 않고도 오직 조국!을 위해 희생하시다! 이 땅의 지도자들아! 단 한번 이라도 선생님의 선산!을 찾아 엎드려 읍소하랴!
@user-ms8bo8cw6e
@user-ms8bo8cw6e Жыл бұрын
조식 후손으로 저도 불의엔 목숨도 버릴각오.ㅡ 존경합니다 ㅡㅡㅡㅡ!
@user-lq9jf7cc5l
@user-lq9jf7cc5l Жыл бұрын
믿거조 는 해도 남명은 못참지.. 대단한 위인이지 존경합니다
@user-js7dt3js2g
@user-js7dt3js2g 3 жыл бұрын
현실을 뚫고 역사의 정도를 걷다.
@sanmicheal6754
@sanmicheal6754 3 жыл бұрын
아침밥 할배 진짜 대단하신분임
@jay-ou1fb
@jay-ou1fb 2 жыл бұрын
아침밥ㅋㅋ 조식선생님 ㅜㅜㅜ
@contiguous1
@contiguous1 3 жыл бұрын
조식의 경의검 앞에 지리산의 모든 맹수들은 줄행랑을 쳤다. 문무의 최고경지에 이른 생사경의 고수 조식의 검술은 지리산자락을 진동시키며 검기와 검강을 뿜어댔다.
@rhizalyn8239
@rhizalyn8239 3 жыл бұрын
곽재우가 의병을 일으킬 수 있었던 이유는 어마어마한 부자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천명 의병을 먹여살렸다는것이 이를 증명한다 우리 조상 남명 할아버지께서 산청 시골에서 제자를 육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재산이 많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렇지 않았다면 곽재우같은 부자와 사돈이 되지 않았을꺼다
@hukjuk1392
@hukjuk1392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조상님을 두셨군요. 남명 선생처럼 큰 위인이 많이 나왔으면..
@ksmsugok8925
@ksmsugok8925 3 жыл бұрын
처가가 부자였다고
@swan4425
@swan4425 3 жыл бұрын
시대는 달라도 재산이 많아 욕먹기는 쉬워도 옳게 쓰는 건 쉽지 않은 일이지요.
@kic7054
@kic7054 3 жыл бұрын
재산이 많아지면 다음순서는 권력욕이 따르겠지요?
@Close_To_Me
@Close_To_Me 2 жыл бұрын
@@kic705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지키겠다고 의병을 일으켜 좋은곳에 썼다는 것을 보아 남명 선생님의 가르침이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user-mo1tc8kz3n
@user-mo1tc8kz3n 3 жыл бұрын
이런위인있어 우리가 작은성취에 만족하지않고 나를체찍질하고 달리려는 유전자가 있는모양이다 성성자와 단도가얼마나 우리에게 무거운교훈인가? 50명의 의병장을 길러낸 남명선생 대한의 사표로다
@user-mj2yw3ei2m
@user-mj2yw3ei2m 3 ай бұрын
창녕조씨 자부심을 갖고 사세요. 😊 처사 남명 조식 멋져요 공자 ...이황 맹자 ...조식 지리산, 두류산 12번 산행 아하....지리산 산행을 통해 학문이 완성됐군요.
@user-mc6xd1mw1h
@user-mc6xd1mw1h 3 жыл бұрын
남명학파에 관한 방송도 기대해봅니다
@user-jr9uk3ji1r
@user-jr9uk3ji1r 3 жыл бұрын
창녕 조가의 자랑입니다
@byungchiljeong3620
@byungchiljeong3620 Жыл бұрын
아니죠~ 나라의 자랑입니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명처사 창녕조식 선조祖 가르침을 가슴속에 심습니다
@user-cp3kb6bh1x
@user-cp3kb6bh1x Жыл бұрын
조봉암 조국 다 자랑스런 창녕조씨입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user-cp3kb6bh1x 삑살이가 문제지요 ㅎㅎ 창녕조식 위대한 약속 위대한 처사 입니다 ᆢ 이씨조선 신분평등 🔥 제법무아 불이행 🔥 일본압제 당했구요 ᆢ 북한군 조선인민공화국 반토막 국가로... 지금까지 살고 있네요 창녕조식 대단합니다 ㅎㅎ
한국사전 - 기인(奇人) 개혁을 꿈꾸다, 토정 이지함
48:11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613 М.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DO YOU HAVE FRIENDS LIKE THIS?
00:17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KBS 역사스페셜 - 고려부인 염경애 / KBS 19990619 방송
57:2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28 М.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34 М.
남명의 생애와 삶의 방식_최석기
54:15
길 위의 인문학, 지혜학교
Рет қаралды 10 М.
KBS 역사스페셜 - 국보 180호, 세한도에 숨은 비밀
48:5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58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