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공부하는데 교수님이 해주시는 말들이 너무 요약적이고 이해하기 힘들어서 공부가 힘들었는데 전병칠 선생님 강의 덕분에 도움이 정말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Bgkim11134 жыл бұрын
전박사님 감사합니다. 46년전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회사에서 주로 건설과 시운전 그리고 정비업무로 38년을 일하고 드뎌 퇴역했읍니다. 지금은 농촌으로 귀촌하여 조그마한 농토에서 과수를 키우면서 남는시간을 보람되게 보내려고 유튜브를 통해 이런 저런 영상을 보다가 전박사님의 교육적인 영상에 꼿혀 열심히 보고 있읍니다. 아주 쉽게 이해하도록 천천히 말씀하시는 강의 방법에 감명과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ElninoRecall4 жыл бұрын
현직종사자로서 상당히 도움됩니다. 실무를 하다보면 시험공부와 다르게 매번 반복적인 일만 합니다. 그러다보면 이론적인 부분은 망각하게 되는데 원장님의 강의는 그런부분을 상기시켜주시고 또 실무와 연계되어서 좋네요. 마치 교향강의를 듣는것 같아 부담도 없습니다. 하루 20분만 투자하면 많은것이 쌓이는 기분입니다. 새삼 세상 참 좋다고 느낍니다.
원장님 강의가 참으로 쉽소. 한 번 들으면 바로 이해가 되는데 왜 다른 선상님 강의는 여러번 들어도 귀에 안 들어오는지 ? 많이 알아도 전달력이 떨어지는 사람 조금 알아도 전달력이 좋은 사람 많이 알면서 전달력도 좋은 사람 전원장님은 많이 알면서 전달력도 좋은 사람.따봉
@elec75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제 영상을 보시는 분들이 가급적 어렵지 않게, 그 분들의 마음으로 들어가서 생각하도록 하겠습니다.
와,,, 정말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시네요ㅠㅠㅠㅠㅠㅠ 밥풀비유도 이해를 돕는 데에 한몫,,,ㅠㅠㅠ 저 전기전자 이쪽 진짜 어려워서 싫어했는데 이번학기 과목중에 전자기학을 듣게되서 찾다찾다 이 영상까지 왔네요. 영상으로 배우다보니 고등학생때부터 극혐했던 전기파트에 점점 흥미가 생겨요 진짜 살다살다 이런 일도 있네요ㅠㅠ 정말정말정말 감사합니다 구독했습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0-BbangKo-02 жыл бұрын
@@elec7 저도요! 살다살다 전기가 재밌어지는 날이 오네요!!!! 별 일... 고등학생 때 이 분을 알았더라면 내 인생이 달라졌을건데.... ㅜㅜㅜ
@메리크리스마스-k9f2 жыл бұрын
전병칠 선생님 처음부터 끝까지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민연대-b2v4 жыл бұрын
전병칠원장님은 전기강의의 신입니다.. 이렇게 멋지게 아주쉽게 강의하는 사람은 본적이 없네요...이건 정말 신급입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맥클릭5 жыл бұрын
정말 쉽게 잘 설명을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IllIIII5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부터 궁금했던게 콘덴서에 절연물질이 있는데 전기가 어떻게 흐르지? 였는데, 이번 영상으로 확실히 이해할 수 있게 됐네요. 전기가 흐른다기보단 전하가 축적되는 과정이며, 전하가 충분히 축적되서 전압과 같아지면, 전기가 더이상 흐르지 않는거네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문슬람-t5z4 жыл бұрын
병칠이 원장님 영상 증말 유용하고요 한국의 전기발전을 위해 노력해가 감사드려요
@김군인-r9n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도 몇번 들으니 개념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영어혁명반쌤성인영어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어쩌다 보니 영어쌤을 하고 있지만, 원래 전자공학이 전공이라서 예전에 학교 다닐 때 전기 통론 시간에 무수히 듣던 내용인데 설명을 아주 쉽고 깔끔하게 잘 해 주시네요. 예전의 추억이 새롭습니다. ^^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장재훈-j4v5 жыл бұрын
밥은 안먹었지만 배부르네요. 차분하고 쉬운설명 좋네요. 종합설비업무라서 전기가 항상 아쉬운데 많은 도움 받습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zasepro4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를 무료로 해 주시다니 정말 고맙습니다.
@jdouble6491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이런 좋은강의 볼수있어 너무 좋아요!! 원장님 강의가 이해가 잘되서 왕초보전기편도 3편까지 들었어요~~
@elec72 жыл бұрын
즐거운 전기공부가 되셨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호기심으로 계속 전기를 공부해 주시는 것이 저의 바람이기도 합니다.
@JH-mu3lx5 жыл бұрын
밥풀로 설명해주시니 정말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최고의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ssr_seoda3 жыл бұрын
왜 이제야 알게되었을까요ㅠㅠ 설명 너무 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r.084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밥그릇에 밥을 눌러서 담으면 밥이 더 많이 담기지요. 그때 누르는 압력이 콘덴서에선 전압이 되고, 그 압력을 너무 크게하먼 깨지죠 그게 내압
@HJ-wh6tg4 жыл бұрын
차분하고 듣기 좋은 목소리와 톤 쉬운설명까지.. 구독~ 좋아용~
@소옰5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와요~ 직장인이 전기하는데 원장님 같은 설명을 들어본 적이 없어요. 쵝오!
@elec75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신다니 저도 기쁘게 생각합니다.
@조한직 Жыл бұрын
보통 밥 한공기의 쌀알은 5000개정도 입니다.
@nznitrokim5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전기기사 공부해도 공식뿐이라 뭔지 몰랏는데. 정말 이해가 잘됩니다!! 원장님 책 이년전에 다산에듀서 삿다가 몇 페이지 보고 그냥 쌓아놧었는데.. 이렇게만 설명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즐거운 공부 되시길 바랍니다.
@Johan-ij2wm2 жыл бұрын
언제 다시 봐도 너무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money_crafts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덕분에 전기를 포기하지 않고 계속 배울수 있어서 좋아요~~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ulpass174 жыл бұрын
적절한 그림으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정원보-c4d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ᆢ건강하셔요 ᆢ
@woosunghwang96624 жыл бұрын
전병칠선생님 늘 쉽고 좋은강의감사합니당 사랑합니당 ㅎㅎㅎ
@elec74 жыл бұрын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밝게맑음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임정수-q8z3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장난아니시네요 화학관데 이해가 정말 잘되요
@임정수-q8z3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 다까먹었어요
@이동하-q7f4 жыл бұрын
책의 한계랄까 ...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신건재-d1k2 жыл бұрын
항상 쉽고 재미있는 설명 감사합니다 ~~^^
@dano40632 жыл бұрын
전기강사의 혁명 . 현장에 있다보니 사수나 경험자도 이해를 못시키는데 현장 실무자들이 들었으면 합니다. 좋은내용 감사드립니다.
@sanyaroo5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잘 배우고 가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구려yhy5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정말 훌륭하신분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왕파리-b3h4 жыл бұрын
와따! 빙7이가 참으로 차분하게 강의를 참 잘 하는구나.
@아일랜드피버-c4s4 жыл бұрын
역시 명강의 최고에요 ㅋ 원장님 최고
@elec74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w00y0ungmi84 жыл бұрын
와 졸음이 오다가도 달아나네요 너무 잘 가르치세요!
@ppulddak5 жыл бұрын
좋으신 설명 항상 고맙습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윤성진-o1s2 жыл бұрын
정말 도움많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berry8096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잘해주십니다. 너무 어렵웠는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몽순이언니-d4d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최순규-r3p5 жыл бұрын
쉽게쉽게 이해가 되내요.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내면의아이5 жыл бұрын
커패시터와 커패시턴스가 헤깔렸는데,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ElectricalEngineerrr4 жыл бұрын
완전 감사합니다.
@JS-wu8bg5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 드립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행복전기3 жыл бұрын
원장님 덕분에 전기기사 합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지만 전기의 개념은 재미있으면서도 어렵네요 ㅎㅎ 13:26에 교류일때, 주파수가 높으면 전기가 흐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 이말이 이해가 잘 안되서 바로 뒤에 나오는 부분도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elec73 жыл бұрын
좀 어려운 내용이 맞습니다. 합격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김성호-d3c9 ай бұрын
밀도를 높여 주는 방법 발을 갈아서 가루로 담거라 떡을 만들면 공기층을 제거 하리 밥이 더들어가지요 ㅎ
@sudal1913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쉽게 이해돼요
@달가는길2 жыл бұрын
멋진 비유네요..^^
@mozart3002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네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신세균-m2s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감사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honmatteng4 жыл бұрын
밥그릇 예시가 진짜 적절쓰하네요 ㄷㄷ
@드라이-k3z3 жыл бұрын
전기 맛집 인정합니다👍
@LHJ-f2n5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쏙쏙 되는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커패시터의 응용 분야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그런데 응용분야가 너무 많네요. ㅠ
@개아들-g6t4 жыл бұрын
베터리
@seogg16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lightshine60444 жыл бұрын
콘덴서에 대해 질문있는데요 미니 알루미늄 깡통 처럼생긴 콘덴서 크기는 지름 5mm 길이는 13mm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radial. 이콘덴서 새것으로 사서 쓰지않고 창고에 오래 두면 못쓰게 되나요? Shelf life가 어는 정도인가요?
@SK-yw6ty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13:20보면,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경우는 직류일때가 최대라고하셨는데, 그렇다면 직류에서 캐패시터가 전하의 저장의 역활뿐만아니라,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의 역활도 한다고 볼수있는건가요? 감사합니다 !
@yongsiklim58295 жыл бұрын
우아 최고로 쉽게 알려 주시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즐거운 공부되세요~
@BJChung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궁금한것이 근래에 수퍼차져를 자동차 받데리에 병렬로 장착들을 합니다. 많이 회자되는 것이 16V 83F 를 Ali에서 직구하여서 장착들을 하는데 자동차의 엔진용량등등에서 아반떼 등등과 같은 소형차에 장착들을 하더군요. 하지만 정작 동절기에 필요로 하는 경우는 중장비나 버스등등 디젤엔진으로 용량이 큰 차량일 것입니다. 한예로 3000CC디젤 12V(=현실적으로 Battery 용량이 12.6V 이하에서는 시동이 원활치 못합니다.) 혹 위의 16V 83F의 것을 장착한고 하여도 문제가 없을지요? 박사님의 고견을 기다립니다.
@하루하루-t2z5 жыл бұрын
전기 초보한테 도움 많이 됩니다. 꾸준히 구독하려고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yjang2 жыл бұрын
플리커가 있을때 커패시터를 병렬연결해서 해소하는 것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직류를 사용하는 led의 특성상 직류를 차단해서 완전히 소등을 시키는 거 같은데... 그럼 흐르는 교류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전등을 켜는데에도 간혹 플리커가 (불빛이 흔들리는)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건 어떤 원리이고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Kasaonohoshi2 жыл бұрын
전병칠선생님 항상좋은강의 감사합니다. 항상좋은 공부가되고있습니다.개인적인 질문인데 괜찮을런지모르겠네요. 태양판넬에서 전압은생성이되어 10V이상이 나오고 있는데 전류는 거의0 상태입니다 외부장치를 사용해서 전류를 높일수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elec72 жыл бұрын
전류는 회로가 연결되어 있어야합니다. 먼저 회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류를 다시 측정해보시기 바랍니다.
@박준언-t7j4 жыл бұрын
에디슨도 이해가 잘 되겠어요.
@jewook.yeon_5 жыл бұрын
용량 리엑턴스가 교류일때는 밑깨진 항아리에 물붓기
@elec75 жыл бұрын
좋은 표현이네요.
@jaehyeokchoe69194 жыл бұрын
설명 진짜 깔끔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OUNGGYOUJUNG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안녕하세요. 캐패시터 중 선풍기 또는 환풍기 모터에 사용되는 모터에 "CBB61" 이란 문구가 있는데요, 이 문구의 의미를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인덕션에는 "MKP," "MKPH" 문구가 있는 캐패시터가 사용되는데요, 이 문구의 의미도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꼭 좀 알려 주세요~~
@안녕-b4x4 жыл бұрын
C가 큰데 왜 Xc가 작아지는지 식으로는 이해가 되는데 흐름상 잘 이해가 안되네요. 저장 능력이 커지는 것과 전기의 흐름을 방해받는 성질이 작아지는 게 어떤 상관을 가지나요? 콘덴서의 용량이 커지면서 저장하기까지 많은 흐름이 있기때문에 방해를 덜 받는다고 하는 건가요 ㅠ 12:30 쯤에 교류가 흐르는 것 같은 착각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바로 다음에 전류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이 일부 들어가있다고 하신 말씀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용량성 리액턴스 Xc가 주파수가 클수록 용량성 리액턴스는 작아집니다.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이렇게 됩니다.
@김경철-j9q5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고맙 습니다
@jeonggon-Electricity5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김정훈-z9d3e5 жыл бұрын
짱짱 교수님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정훈-z9d3e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nghunLee-ez8nc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그럼 캐패시터가 직류일땐 저장 장치로 쓰여 필요시 쓸수있고 교류때는 저항으로 쓰인다는 말씀이신지요?
@진진스르2 жыл бұрын
와.....감사합니다 선생님
@남도다리5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이상철-g3u3k5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ㅎㅎ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빠머-z4z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장님 직류 콘덴서에서 전류가 흐르는 쪽엔 +전하가 쌓이는거는 이해가 가는데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건너쪽에는 어떻게 마이너스 전하가 쌓이나요?
@감귤귤귤감귤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구독해서 잘듣고있습니다 근데 전기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것이 단순히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한다는건가요? 그 방해한다는게 값을 감소시킨다는건지, 아니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건가요? 구체적으로 잘 이해가되지 않아 여쭤봅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일단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콘덴서의 절연물질 유전체가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합니다.
@빠르-s5r4 жыл бұрын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rael4lov5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최고이십니다 !!! // 저도 제 컴퓨터로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필기하고 싶은데요, 사용하시는 프로그램, 태블릿 기종 알려 주시면 같은 기종으로 구입하고 싶습니다. ^^ , 이참에 참고할 유튜브 영상, 또는 직접 사용방법을 영상으로 찍어 올려 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elec75 жыл бұрын
저는 아이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스스로 찍고 편집하고 있는데, 제가 이걸 누구에게 보여드리기가 창피할만큼 아직 실력이 오르질 못했습니다. ㅠ
@rael4lov5 жыл бұрын
@@elec7 아 네. 아이패드요. 감사합니다~
@goldfishblue Жыл бұрын
직류에서는 콘덴서가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면서 어떻게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는 직류가 최대라는 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전기를 저장한다는게 바꿔말하면 전기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건가요? 그렇다면 직류나 교류 둘 다 모두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건가요?
@qdbqfbrb2 жыл бұрын
저온저장고가 있는데 거기서 서지전압이 발생하는건지 과전압이 발생하는건지 Cctv 메인보드가 자꾸 나가네요ㅠ 전기적인 문제같다는데 원인은 모르겠다네요 혹시 메인차단기쪽에 콘덴서 달면 효과가 있을까요? 서지프로텍터는 설치되있습니다
@garlinghousebrad4942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장님, 좋은 영상때문에 콘덴서의 개념을 알수있어서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결국, dc에서는 전하를 저장만하고, ac에서는 방해하는 성질이 약해져서 전류를 통전하는데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개념은 잘 알았으나, 결국 콘덴서는 왜 회로에서 쓰이는 걸까요? 어떤 역할을 하기 때문에?? Z는 R과 L만 있어도 충분히 전류를 방해하는 능력이 될 것인데, 왜 굳이 콘덴서를 쓰냐 이게 궁금합니다. 보통 흔히,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쓰인다. 이런 형식적인 답변대신 정말 왜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콘덴서는 어떻게 다른 것과 조합하느냐에 따라서 완전히 역할들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jesusloveryeol Жыл бұрын
1:27 밥알이 몇개고?
@cresign-215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감사해요 근데 궁금한게 교류에서 콘덴서는 무슨 용도인가요? 단지 방해만 한다면 저항으로 쓰면 될듯한데
@elec75 жыл бұрын
교류에서 커패시터는 교류는 통과하고 직류는 불통하는 역할을 합니다. 커패시터 1개만으로 특정 기능을 한다기 보다는 L과 R을 조합하여 여러회로를 만들게 됩니다.
@fairfax7_cho3904 жыл бұрын
Capacitor는 저주파에서는 고임피던스 고주파에서는 저임피던스 성질이 있어 주파수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됩니다. 오디오에서 Equalizer는 Capacitor용량을 바꾸어 저음을 강하게 하거나 고음을 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fairfax7_cho390 고맙습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bigshort7189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 그럼 캡에 충전할 수 있는 전압은 내압까지 인가요? 내압이 50v 면 50v볼트 살짝 못되게 인가하면 인가전압을 다 캡에 저장할 수 있나요?
@brianjun80032 жыл бұрын
콘덴서 이걸 왜 쓰는 건가요? 소방설비기사 직류회로 하다가 갑자기 교류회로 나오면서 뜬금없이 두둥~ 하고 등장..
@운두령-n4o Жыл бұрын
전해콘덴서가 똑같은내압, 똑같은 용량인데 크기가 두배나 차이가 나는것은 왜그렇나요?
@jejubuja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강의잘 보았습니다. 하지만 원초적인 질문이 풀리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왜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한쪽극에는 + 전하가 쌓이고 , 반대쪽 극에는 - 전하가 쌓이는지요? 캐패시터의 내부에 절연체라서 전류의 흐름이 없지 않나요? 이 질문이 해결이 안되네요~ 도와주세요~
@이흥우-x8e Жыл бұрын
전류가 살아있는 전선을 단절 시켜서 이 단절된 면을 서로 가까이 하면 즉 거리를 좁히면 좁힐수록 단절된 전선 사이의 전하장의 세기가 강하여 집니다. 이러면 비록 서로 접촉되지는 않고서도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대개 찌찌하는 불꽃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이 불꽃이 일어나는 전기에너지를 불꽃이 일어나기전에 위치에너지로 바꾸어 놓는 특수물질을 같다놓으면 전기저장이 되겠지요. 이 특수물질이 바로 콘덴서 입니다. 이런데 영상에 설명은 전기초보자 분들이 가장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느라 그렇게 설명한 겁니다.
@케이형아5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보고 구독을 눌러버렸어요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angsuk19792 жыл бұрын
캐새시터를 트위터 스피커에 물려서 고음을 분리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요? 전기 문외한입니다. ㅜㅜ
@audilonk2883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근데요 그런 콘덴서는 결론적으로 전자전기제품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되어지나요? 전기를 저장하고 흐름을 막고...그런작동원리들이 결론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어서 떤 결과를 가져오는 건가요?
@elec75 жыл бұрын
일반적으로 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통하여 정류회로와 같은 곳에서는 더 좋은 직류를 만들수 있습니다. 또한 충전과 방전을 통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sksdksckddn5 жыл бұрын
@@elec7 그러면 만약에 전기의 파장이 60hz 이면 콘덴서를달경우 파장이늘어나나요 힘이더쎄지나요 혼자사는 풀수없어 질문합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콘덴서는 양극 음극의 전압을 조절하는데 쓰임니다. 유튜브에서 본 내용입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sksdksckddn 60hz의 전류의 교류에서 직류만 전류를 정류해서 통과시킵니다. 60hz의 주파수는 콘덴서 전압세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가요. 전병칠 강사의 주파수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거기서 내용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바람나그네-i2j4 жыл бұрын
콘덴서는 전류의 전압을 조정하는데 쓰임니다.
@김성주-q6w4 жыл бұрын
커패시터 자체가 전하를 저장하는 소자로서 직류를 사용하면 되는데 교류에서 사용하기 위함인지 모르겠으나 전류가 마치 흐르는것 처럼 보이고 또한 방해를 하는데 굳이 f와 c를 높여서 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교류에서 사용하는 쉬운 예가 있을까요??
@김정기-u3k3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배터리 제거하고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감압모듈 그다음에 캐패시터 그리고 폰에 연결하려면 캐패시터를 얼마짜리 구매해서 어디에 연결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jena1821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캐패시터가 특정 주파수 필터링 역할을 하는 이유는 결국 리액턴스와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차믈께요2 жыл бұрын
15:20 부터 멘탈 흔들립니다. 쉽게 이해하는거 맞죵? ㅎ
@하후후-j1n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콘덴서가 더 좋은 직류회로를 만들고 노이즈를 제거하신다고 하였는데 그게 전하를 축적하는 콘덴서의 메인역할인가요?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