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이론할때 이해가 안됬는데 이렀게 실물을보고하니 이해가 쉽네요 앞으로도 실제로 보여 주시는 강의부탁드려요 ~~~ 늘감사합니다 ~~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네..방문 감사 드립니다. 가능하면 실무 위주로 영상을 만들겠습니다.
@TV-cx6xp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유툽서핑 중 우연히 곳을 알게됏네요. 이론적이 아닌 실무적인 차원에서 도움주는 값진 영상이 무척 많군요. 자주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방문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jangjihyun_c4 жыл бұрын
아...정말 감사합니다. 저거 외울려고 종이에 엄청 썼는데...영상 한 번에 머리속에 쏙 들어와 버리네요...정말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저도 전기 공부 시작 할때 장지현님 처럼 그렇게 적었습니다..^^
@김양태-h4x3 жыл бұрын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jeonggon-Electricity3 жыл бұрын
댓글 고맙습니다.
@bkkim249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잘봤습니다. 전기자기학에 나오는 내용들이 어디쓰나 했는데 이런데 쓰는거였군요. 역시 이론은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네....이론이 실무를 만날때.. 전기인의 꽃이 피는 거 같습니다. 이론이 토양이라면 실무는 열매와 같은 거 아닌가 싶습니다
@mozart30023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너무나 자세하게 잘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최고의 강의입니다!!!
@jeonggon-Electricity3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commandpost85774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강의같음.... 이론은 아는분들 많겠지만 그걸 이렇게 실무에 적응못하는 사람은 태반일겁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ingeyechoi93062 жыл бұрын
자주방문해서 공부해보겟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궁정동발바리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jyjeong4894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토롱-b8g Жыл бұрын
와!!!! 선생님 전기의 모든 공식 을 이렇게 실물로 보여주시면서 설명 해주시는 영상들 꼭 좀 만들어주셔요 ㅜㅜ
@jeonggon-Electricity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ElexZwei4 жыл бұрын
첨듣는 훌륭한 강의입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byeongseokkim18904 жыл бұрын
전기 기능사 필기만 합격한 상태라서 실무를 전혀 모르는데 조금씩 알아 가는 과정이 재미있네요. 자세한 설명이 있어 이해가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일취월장 하시기를 바랍니다.
@yhs68021045 Жыл бұрын
@@jeonggon-Electricity12222
@모모아-r7z8 ай бұрын
😂 굿입니다. 책에서 그냥 그런가보다하고 암기했는데, 이제야 콘덴서가 뭔지 알겠네요
@서승현-t1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하... 어렵네요 교수님. 계속 반복 들으면서 공부해야할 듯..
@jeonggon-Electricity Жыл бұрын
열공 하세요.
@Jamescjk2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kim5993946 Жыл бұрын
짱입니다😂😂
@너루리-x5t4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ㅎㅎ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잘 지내시지요..댓글 감사 합니다.
@주님의교회-o3t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배움-c3k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콘덴서(캐패시터) 강의 잘 보았습니다. 강의 중에 방전 시연중 두단자를 단락 시키는 부분, 안전에 관한 말씀 강의를 보시는 분들이 잘 받아들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방전 지그를 하나 만드셔서 그것으로 시연을 안전하게 해주시면 더 높은 양질의 강의가 되지 않을까 주제 넘게 의견 드려봅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정성이 가득한 댓글 감사 합니다 방전 지그를 다음에는 준비 하도록 하겠습니다. 편안한 저녁 되세요..
@오일남-0013 жыл бұрын
대박 어느정도 공부하고 보니까 더 재밌는거 같습니다
@jeonggon-Electricity3 жыл бұрын
전기는 알수록 재미가 있습니다.
@oHdOoQu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배워갑니다. 乃
@jeonggon-Electricity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휘센01874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자주 방문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꼬맹이형아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방문 감사 합니다.
@방소-d4y2 жыл бұрын
아 이제 정리된다 감사해요
@electricnewbie4 жыл бұрын
책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아주 유용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분을 만나서 반갑습니다
@s-Ham.J.A4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전자 수업을 해보네요 옛날 공업수업 할때 생각이 나네요 ! 좀은 배우고 갑니다 ^^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가수 함준아님 반갑습니다. 노래 잘 들었습니다. 저도 취미로 기타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자주 오세요..
@PhilLim-ix4lx9 ай бұрын
감사 감사합니다
@Bangbang_TV08014 жыл бұрын
와 머리에 쏙쏙 감사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댓글 감사 합니다
@JinyoungLees2 жыл бұрын
25년 전에 이런 영상을 볼 수만 있었다면...... 진짜 후한이 맺힐 뿐이네요... ㅜㅠ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푸라고4 жыл бұрын
전기랑 상관도 업는 사람인데 재밋네요 ㅋㅋ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그런가요?? 함께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윤선생-d5f4 жыл бұрын
단락전류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아크가 일어 나므로 방전저항을 이용하면 안전할것 같아요.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좋은 생각 입니다. 활기찬 월요일 출발 하세요.
@tspark10714 жыл бұрын
용량별 특징과 용도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면 더 좋을듯 합니다. 밧데리와 같은 원리지요? 저장용량과 시간이 다를뿐.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도움 되는 댓글 감사 합니다. 용량과 용도를 언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밧데리 충전 방법 하고는 조금 다릅니다. 밧데리는 전해액이 충전과 방전을 도운다면 콘덴서는 유전체가 도움을 주네요..
@wtsnu Жыл бұрын
400V 콘덴서의 +와 - 단자를 쇼트해서 잔류전하를 방전시킬때 진공관 회로 같은 경우 400V 근접한 고압이 순간 가해질수도 있는데 이때 콘덴서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지요?
@월야-p4h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두가지 질문좀 드릴게요 1.5볼트를 연결하니 1.5볼트가 나오는게 신기하네요 1. 그럼 2볼트를 연결하면 2볼트가 나오는 건가요? 2. 콘덴서 용량이 베터리 용량보다 크면 베터리 용량을 모두 저장할테고 , 저장한 전하는 다시 1.5볼트 건전지 처럼 전구를 연결해서 빼서 쓸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1. 2볼트를 연결 하면 2볼트가 나옵니다.. 2. 콘덴서는 일시적으로 전하를 저장했다가 일정량이 넘어서면 전류가 흘러 갑니다.. 즉 밧데리를 대신 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양태-h4x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드립니다
@이름근육4 жыл бұрын
와 원장님 너무 신기합니다!! 자기학에서 이론적으로만 봤던것을 실제로 보니.. 궁굼한게 있는데 1. 콘덴서 실제로 분해하면 안에 판이 들어있는건가요? 2. 대지와 접지하면 0V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공부했을때 지구의 정전용량은 매우커서 많은 전위가 축적 되어도 지구의 전위는 일정하다고 이론적으로만 공부했던 기억이 있는데 영상을 보니 자연상태의 전위는 mV로 나오는걸 알게 됐습니다. 똑같은 원리 인가요?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ㅜㅜ 너무 좋은 자료인거 같습니다 ㅜㅜ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1. 콘덴서를 분해하는 영상을 준비 하겠습니다. 2.지구는 콘덴서의 어머니 입니다. mv맞습니다 때로는 우리는 그것을 허상전압 이라고도 합니다.
선생님, 감사히 잘 배우고 있습니다. 혹시 상간 임피던스 측정및 계산 방법에대한 가르침을 주실수 있으신가요? 용도는 아무래도 상이 꼬이거나 했을경우를 대비함입니다. 절연저항으로는 알수없는 부분이라 생각하여 요청드립니자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심도 있는 내용의 댓글입니다 언제 기회가 될때 강의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김진영-r5j2k4 жыл бұрын
컨댄서 축적 에너지(w) 공식산출에는 극판면적, 극판사이거리, 전압만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충전 시간은 영향이 없는가요? 일반 충전용 배터리가 충전시간이 걸리는 것과 달리, 건전지를 대자마자 콘덴서는 완충이 되는건가요?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충전되는 양이 미미 합니다. 그래서 일반 충전용 배터리와는 사뭇 다르네요. 댓글 감사 합니다.
@101abacus2 жыл бұрын
제 오디오 샤프 sx-3500 열어보니 전해 콘덴서가 85v에 10,000uF입니다. 그런데 85v를 구할수 없고 80v, 100v 밖에 없는데 어떤걸로 해야 하는지요? 그리고 10,000uF인데 12,000uf 나 15,000uF로 하면 어떤지 고수님이 가르켜 주세요
@hyokim4193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콘덴서는 충전지와 같은 역할을 합니까? 전류도 나온다는거죠? 전하의 이동이 전류니까..전류가 흐른다는거죠?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충전지의 역활 합니다만, 사실 실무에 있어서 콘덴서의 역활은 역률개선용 입니다..때에 따라서는 다이오드의 브릿지회로에서 전원의 평활을 담당 하는 역활도 합니다.
@김홍열-b5x3 жыл бұрын
*콘덴서의 역할 1. 전류와 전압의 위상을 최대한 일치시킴으로써 역률을 개선하여 전력에너지 사용의 효율을 높임(부하와 병렬 연결시) 2. 정전 시 시정수만큼의 전류방전을 통하여 회로에 전원 공급(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전기공급) 3.단상모터에 있어서는 기동권선에 위상을 발생시켜 모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 4, DC회로에서는 전원측과 접지에 연결하여 교류를 제거(최대한 순수한 DC를 만들고자 할 때) 5. 정류 평활회로에서는 맥류를 최대한 DC가 되도록 평활시킴 6. 코일과 조합하여 공진회로 구성 (고역여파기, 저역여파기) 7. 전원, 부하와 직렬로 연결하여 미약하나마 고조파 제거도 일부할 수 있음(임펄스회로) 8. 전압강하 시 보상도 가능(낮은 전압 사용 개소)
맞습니다.. 진공의 유전율이라고 가정 하고 유전율을 언급 한겁니다. 백seung Jin님 글이 백번 맞습니다. 원칙적으로 말하면 유전율이라고 해야하고 유전율은 진공의 유전율과 비유전율의 곱이라고 해야 하는 거 맞습니다.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임준-x8e2 жыл бұрын
건전지를 9볼트 짜리로 하면 9볼트가 저장 되어 있나요? 전압이 지속되는 사간은 얼마나 되나요?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콘덴서 용량이 크면 가능 하지만, 직접 실험 하지는 마십시요..높은 전압을 걸면 콘덴서가 폭팔 할 수 있습니다.. 지속시간 또한 콘덴서용량에 비례하나 그 시간은 짧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임준-x8e2 жыл бұрын
@@jeonggon-Electricity 전해콘덴서 세라믹콘덴서 종류가 많은데 각 기능이 있을건데 그런 설명 동여상이 있나요?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시험에 나오는 부분에는 깊은 내용이 없어서 영상을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푸른하늘-n8e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질문 하나드리고 싶습니다! 혹시 보일러 순환펌프에 커패시터가 달려있는데, 커패시터가 정상인지 고장난건지 저항 측정으로 판단이 가능한가요?가능하다면 수치가 궁금합니다! 늘 자료 보고있지만 처음으로 댓글 달아봅니다!
@푸른하늘-n8e4 жыл бұрын
추가적으로 가동 시 차단기 트립현상이 발생합니다. 콘덴서 소손으로 인해 차단기 트립이 되는건 아닌거 같은데.. 모터 교체 후 정상가동 중입니다만.. 갑자기 한번에 2조가 다 고장이났습니다. 원인이 궁금하네요...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푸른하늘님 ! 실무에서 작은 전동기라면 콘덴서의 고장 유무는 보통 신품의 콘덴서로 교체해서 동작을 시켜 보면서 고장의 유무를 판단 하곤 합니다. 멀티테스터기로 저항에 놓고 콘덴서의 양단자를 대어보면 처음에는 제로위치로 갔다가 다시 무한대의 위치로 서서히 바늘이 떨어지는 걸 보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단 하기도 합니다만, 정확이 이방법이 맞다고는 제가 확신을 못하네요. 콘덴서와 코일이 동시에 고장이 났다면, 아마도 콘덴서가 고장나면서 기동이 안되서 코일이 나갔거나,또는 코일이 나가면서 콘덴서가 소손 되었거나,,이 둘중에 하나일 거 같습니다. 또는 배수펌프 같은 경우에는 펌프의 임펄러에 이물질이 끼어서 전동기가 동작 하지 못해 eocr이 보호를 못해서 고장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고하세요.
@푸른하늘-n8e4 жыл бұрын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야간비행-u4q2 жыл бұрын
커패시터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원통형 전해 커패시터를 예로 들었는데 왜 원통형인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 조금은 아쉽네요. 그리고 다른 모양의 커패시터도 많이 있다는 것도 설명했으면 더 좋았을 것을... (이것은 이해가 됩니다. 주로 전기회로에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한 것이어서 그렇겠죠)
@jeonggon-Electricity2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주셔서 감사 합니다. 유투브를 시작하고 나서 세월이 지날 수록 만들었던 영상에 대한 부족함을 많이 느낍니다. 지금은 전기실무에 관한 책을 집필 중이라, 책이 끝나고 나면 보충해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건강 하세요.
@야간비행-u4q2 жыл бұрын
@@jeonggon-Electricity 아마 전기를 주로 하는 분과 전자공학을 하는 저와의 시각차이라 생각합니다.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좋은 내용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김홍열-b5x3 жыл бұрын
콘덴서 잔류전하 방전 방법 설명시 콘덴서 (+)와 (-)를 단락시킨다고 하시는데 대단히 위험한 잘못된 설명입니다. 방전는 접지와 연결해서 해야 됩니다.
@jeonggon-Electricity3 жыл бұрын
제가 한 실험은 1.5볼트라서 그렇게 설명 드렸는데 , 김홍열님 말씀 대로 높은 전압이라면 대단히 위험 할 수 있겠습니다. 앞으로 만드는 영상에는 꼭 명심 하겠습니다.
@전기통8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배달통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NSKang5 ай бұрын
전해콘덴서 등 일부만 극성 있는 것으로 길이 색 등 표시된 것 수리 중 미표시 콘덴서 혹 착각했는지 확인결과임 결국 포기 터지기 전 콘덴서 고장여부 나중 테스터기 구입후 확인예정
최종곤님 어디에 충전 하신다는 예기신지요. 콘덴서의 원래 목적은 전하를 충전해서 실생활에 사용 하는 건 목적이 아닙니다..혹시 충전기를 이용한 밧데리를 말씀 하시는 건지요..
@최종곤-i1l4 жыл бұрын
@@jeonggon-Electricity 충전해 스폿 용접기처럼 이용할수 없을까 했어요
@어짜피국민은4 жыл бұрын
전자제품이 고장나면 십중팔구는 콘덴서가 가장 먼저 망가지던데 원인이 무엇일까요?? 궁금합니다!!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저는 다음 두 가지라고 생각 합니다 첫번째는 전자제품의 잦은 동작 입니다. 보통 저압 콘덴서 같은 경우는 3분이 지나서 정지 후 투입이 되어야 하지만, 사실 가전제품에서는 불가능한 인터발입니다 두번째는 외부적인 요인으로써, 번개나 차단기 개폐기의 동작에 의한 서지전압 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행복전기4 жыл бұрын
AA건전지로 콘덴서를 충전 후의 AA건전지의 전압은 0이 왜 안되는건가요?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콘덴서에 전류를 보낸 후에도 건전지 자체에는 전위가 남아 있어서 그렇습니다. 방문 감사 드립니다.
@user-senstiveАй бұрын
400v...보기만 해도 무섭네요
@yyk91654 жыл бұрын
손가락이 콘덴서의 양쪽 단자에 동시에 닿으면 굉장히 위험 하죠? 콘덴서에 충전 해 두고 가만히 놔 두면 언제까지 분극 현상이 유지 되나요? 과충전 하면 폭발 할거 같은 콘덴서에 충전시 어느 정도 충전 됐는가 실시간 확인 할 수도 없고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세개의 콘덴서가 병렬 연결 되어 있으니 몸이 닿지 않도록 조심 하세요. 콘덴서 충전전류는 자기방전으로도 전하가 없어지기도 하지만,,그 시간을 정확이 알 수가 없음으로 무조건 콘덴서 내부에 잔류전하가 있다고 생각 하셔야 합니다.. 특히 비상발전기와 연결된 밧데리는 기동시 많은 전류가 투입될때 조심 하셔야 합니다.
@sangoon-ang4 жыл бұрын
잘봣습니다 ㅜㅠㅜ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김찬후-q3p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질문이있어서요 DC용이나 AC용 콘덴서 방전 방식은 똑같이 단락시키면 되나요 ?
@jeonggon-Electricity4 жыл бұрын
네 김찬후님 원래 큰 용량은 방전코일 이라는게 설치 되어 있습니다..하지만 단락 시키지는 마십시요..아크가 발생 되면서 콘덴서가 망가집니다
@stanleyjang4015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잘보고 있습니다,,그러나 선생님처럼 그렇게 단락시키는 영상을 보여주시면 많은분들이 콘덴서는 단락시켜도 되는가보다라고 생각할수도 있지않을까요? 아주 위험한 행동일수 있습니다,,,,,,,,,,,걱정도 되고요 꼭 방전기나 저항,부하를 연결해 일정전압으로 떨어뜨리는걸 원칙적으로 알려주셔야 할것같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