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의 발견] 『빈곤 과정』 저자와의 만남 (조문영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9,173

한국고등교육재단(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

한국고등교육재단(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0
@kfasvideo
@kfasvideo Жыл бұрын
✔️ 영상이 재업로드 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liyhan275
@liyhan275 Жыл бұрын
학술서에서 문학적 감수성을 진하게 느껴본적은 처음일정도로 독특하면서도 불온한 해방감을 느낀 책입니다 작가님 얘기 잘들었습니다 진행자님 말씀대로 기본 소득 정책을 꼭 필요한 사람들이 누릴수 있도록 작가님의 역할을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kfasvideo
@kfasvideo Жыл бұрын
👉본격 리뷰 01:55 책 『빈곤 과정』을 쓰시게 된 계기? 04:48 교수님께서는 빈곤을 어떻게 정의하시나요? 10:22 자립&의존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점? 13:53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누가 빈곤한가요? 16:04 정량적 지표도 참고하시나요? 18:00 참여하는 연구자, 계기가 있으신지? 21:51 중국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25:57 교수님께서 보시는 청년 세대? 31:04 기본소득에 대한 교수님의 입장? 38:11 『빈곤 과정』, 어떤 분들께 추천하시나요?
@grcosoms
@grcosoms 4 ай бұрын
충실한 인터뷰 기획 감사합니다. (쉽지만은 않은) 책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네요. 인터뷰어님의 기여도 훌륭하신데, 그 분에 대한 정보도 (성함이라도) 제목이나 정보창 안에 같이 올려주시면 좋겠다고 생각됩니다.
@장금석-b9t
@장금석-b9t 10 ай бұрын
과제물 작성 하기위해 책을 구입해서 읽는데 어려운 부분이 있었으나 본 방송 덕분에 한결 자신감이 생김니다. 감사합니다
@김영옥-i5p7o
@김영옥-i5p7o Жыл бұрын
과제를 쓰기위해 자료를 찾다가 만난 방송입니다. 빈곤 과정을 읽고 써야하는 과제인데 책이 너무 두꺼워 들척이기만 하고 책장이 넘어가지 않아 고민중이었는데 이제 읽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haksooshin6284
@haksooshin6284 Жыл бұрын
참 잘 쓴 책이라 생각합니다. 작가의 진정성도 느껴졌구요. 작가가 10년쯤 젊었더라면 운동가로 사셨을 겁니다.
@alrud1716
@alrud1716 10 ай бұрын
내용이 공감도 되고 멋진 글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기본소득이라는 개념을 긍정적으로 보신다는 교수님의 의견은 조금 궁금증과 염려도 생깁니다. 공평한, 모두의 불안을 줄여주는 사회는 훌륭한 마음이지만 그 기준의 객관성과 근거가 확보되기 어렵다는 점, 또한 그것이 유토피아적 생각이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한춘석-l8d
@한춘석-l8d 9 ай бұрын
법학과 사회문화론 과제가 '빈곤과정' 읽고 독후감 내는 것 이었는데 쭤메이가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결국을 포스콘을 떠나 고향에서 결혼을 한 후 아이를 돌보며 생활을 해야 했기에 고향의 조그만 공장에서 일을 하며 살아가게 되어 결국은 빈곤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 . . '빈곤사회연대'의 직원들도 소개되고, 아랫마을도 소개되고 . . .
@Joecho7777
@Joecho7777 3 ай бұрын
빈곤의 개인의 차원이다.
UFC 287 : Перейра VS Адесанья 2
6:02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486 М.
[리뷰의 발견] 『은둔기계』 저자와의 만남 (김홍중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59:53
한국고등교육재단(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
Рет қаралды 4,1 М.
01.22(수) 계명산의 아침
26:44
KBS충주
Рет қаралды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