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결론을 내리기까지 과정의 고민과 노력을 생각해하니 감탄만 나오네요~ 수고하셨고 감사합니다~
@WonsikJeong-i6u9 ай бұрын
의과대학에서 기생충학은 저학년때 한학기 배우는데... 시험공부는 딱 하룻밤 합니다. 이미 발전을 끝낸 학문... 그래서 교수도 없고 대부분 지금은 미생물학에 편입되서 들어가 있어요. 입질님이 이렇게 세부 아종들을 길게 설명할 일이 아닌데, 아마 공부하면서 재밋으셨나봐요. 치료제도 알벤다졸 이라고 1년에 한알 사먹으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선 천원인데 미국에선 만원이상 할거에요.
@a1artist8159 ай бұрын
실치 기생충 제보자인데 영상에 소개되니 신기하고 뿌듯하네요. 언제나 오류없는 정보를 위해 노력하시는 입질의추억님 항상 응원합니다~!😊😊
@lovely-hyun-a9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이게 판명되고 또 나와도 환불을 안해주는 상인이 문제 같아요
@scottlee93789 ай бұрын
제보 감사드립니다 님 덕분에 좋은 정보 얻었습니다
@neogeo18269 ай бұрын
회 자체를 먹지 마세요 암걸려요
@innovationbeam9 ай бұрын
@@neogeo1826 그건아니고
@노달수9 ай бұрын
@@lovely-hyun-a 환불의 문제는 아닌 거 같은데요. 우리 몸에 해를 끼치는 것도 아니고. 잡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으니까. 불결하다 생각 되면 그냥 안 드시면 될꺼 같아요. 맛있는거 많은데 굳이 실치를 먹어야 할 필요가 없잖아요.
@모모고9 ай бұрын
고객의 알 권리를 조목조목 따져서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cigb69949 ай бұрын
진짜 이 채널 보면서 해산물에 대한 오해도 많이 풀고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도 되게 많이 알아감
@emiya-moolzomdao9 ай бұрын
날거는 웬만하면 자주 안먹는게... 자주 먹으려면 많은 정보를 갖고 먹어야 될 것 같음..
@burro29869 ай бұрын
전 비형간염 보균자인데 의사샘이 절대 날생선 먹지말라고 하더라구요 다익혀 먹으라고
@정찬홍-p6k4 ай бұрын
간염있으면 날것 먹으면 간에 피해가 커요
@그럼에도불구하고-u6j4 күн бұрын
진짜 먹고싶어서 홈플러스가서 방어회사서 먹다가 모두 버렸어요~~ 어찌나 맛이 없던지... 가격도 만만치 않은데.. 2월1일날 배아파서 죽다살았어요. 구충제먹었어요~~
@성경애-r8d3 күн бұрын
날것은 전부 간에 안좋아요.무조건 익혀먹어야해요.생각만해도 토할것같아요
@Comet_crusader9 ай бұрын
가뜩이나 치어처럼 생겨서 거부감 드는데 저 기생충 비스무리한 거까지 있다니 더더욱 못 먹을듯...
@kimlance71809 ай бұрын
실치가 치어인걸로 알고 있는데 오히러 이런 식으로 못 먹는게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종 유지나 그런 거 생각하면 인간의 소비 속도가 어마무시한 거 같기도 하고 여러모로 안 먹는게...
@저나라텐션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그렇게 자연산자연산 거리는데 자연산횟감 저런거 엄청나게 많아
@거짓말못하는아이9 ай бұрын
숭어 훌치기 한다고 뭐라하던데 살아있는 치어를 초장에 비벼서 맛있다고 먹는거 보고 경악함..
@johndilo99229 ай бұрын
전 그래서 양식 아니면 그닥... 전 항생제 풀도핑해서 기생충 없는 애들이 좋음
@mrham36959 ай бұрын
치어처럼이 아니라 치어 맞음... 안먹어야지
@misunghong54059 ай бұрын
주부입니다. 트.더 광어필렛 움직이는거, 드디어 알게되네요. 썰어진것 보다 조금 저렴해서 샀는데, 칼질했는데도 툭툭 움직여 너무 징그러웠거든요. 네이버 아무리 검색해도 모르겠던데, 와 진짜 감사합니다😊😊😊
@김현빈-s4n5 ай бұрын
정말 흥미있게 봤습니다. 오류없는 정보를 위해 노력하시는 입질의추억님 항상 응원합니다.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junhyeukchoi37159 ай бұрын
근데 참 횟집이나 수신물 시장에서 파는 날생선들을 손님들이 알수있는지,,,,, 갔따주면 그냥 먹는데..... 한번도 먼가 확인하고 먹어본적이 없어서.... 바다 낚시도 하는지라. 회를 먹고 뭐 배탈 비슷하게나 설사 복통 등도 격어보았지만 그게 그거때문이지??? 병원갈정도는 아니였어서 그냥 넘어가곤했는데... 물은 더 오염되고 생각지도 못한 것들이 많이 발견되니.. 좀 걱정이 되고 조심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내요!!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YH-kh6ii9 ай бұрын
가까이서 쓱~ 훑어보면 보여요~ 스캔 한번 하시고 드시면 됩니다.~
@dolgum8266 ай бұрын
갔따-->갖다(가져다)
@sewankim8929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받아들이는것이 다르갰지만. 이번영상에는 진실의 힘을 초반부터 보았네요. 이분의 말은 듣는것이 이득이란걸 깨달았어요.
@갓스피드-z9k9 ай бұрын
먹지말아야지 애초에 치어인데 기생충까지면 이걸 어거지로 먹을 이유가 없음
@ftru26789 ай бұрын
실치는 저게 다자란거
@갓스피드-z9k9 ай бұрын
@@ftru2678 모르면서 아는체 마세요. 베도라치 치어가 실치입니다.
@frankkim31209 ай бұрын
@@갓스피드-z9k 베도라치 종류중에 하나인데 다커도 새끼손가락길이정도 되요, 해마다 잡히는 양이 줄어든다면 경각심을 가져야겠지만 조업자체가 철저한 허가제 운영으로 오히려 어획량이 늘고있다네요 아마 상위포식자가 줄어서일듯요
@망고얌-k8e9 ай бұрын
뱅어포만드는게 실치로 만들어요~ 실치는 딱 한두달정도만 먹어서 어획량에는 문제없다고합니다
@user-3817transfer9 ай бұрын
실재로 영상에서 소개된 원리가 뉴스에서 보던 '인수 공통 감염'이란 키워드에 내포된 원리와 같습니다. 같은 과, 속에 속한 서로 다른 두 종이라도 어떤 종은 병원성을 지닐 수 있고, 어떤 종은 비병원성을 지니는 것. 이것이야 말로 확실하게 와닿는 진화의 예시이자 생물 다양성의 아름다움인 것 같습니다.
@네메시스869 ай бұрын
9:30 정소와 정자는 엄연히 다른 개념인데요. 정소는 정자를 품고있고(비 전문가들에게 이해가 쉽게 설명), 성성숙이 일어나면서 성숙이 되어, 배출되기 전에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남성호르몬 분비 역할도 하나, 여기서는 설명 불필요) 정자 사진을 띄워주셨는데 정자의 크기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이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볼 수 없습니다. 끝이 뭉뚝하고 어쩌고 한것을 식별할 수 없다는 겁니다. 그리고 사람의 정자와는 아주 많이 너무 심하게 다르게 생겼습니다. 정정하셔야 할 것 같네요 (제가 발생학자라 생식세포관련으로는 정답을 알고 있어 말씀드립니다)
@Handl9499 ай бұрын
정자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엄청나게 작은데..... 그림만 보고 사람들이 착각들 많이 하는듯
@CrowKarasuGgamagui9 ай бұрын
발생학자ㄷㄷ 발생생물학 너무 어렵던데요
@산마을이야기23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하게 시청합니다~❤
@KKKK-mk5it9 ай бұрын
식사중인데 맛있게 봤습니다.
@joogina56789 ай бұрын
저도요. ㅋㅋㅋ
@seaman1099 ай бұрын
꿀맛이시겠네요ㅋ
@Yayo5099 ай бұрын
음. 밥 한공기 더 퍼 옵니다.
@천지-k3e9 ай бұрын
군침 싸악 도노~
@lqssfourloo52559 ай бұрын
신기하당
@leisure58709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요즘은 기자들이 조사를 해서 언론에 보도 하는게 아니라 입추님 같은 분들의 정보를 긁어다 보도하니 참 안타깝습니다. 메이저 언론이 더 좋아야 하는데 입추님이 정확하고 좋으니 말이에요.
@무지성-w5m9 ай бұрын
혼낚힐링유저인데 객관적이고 유용한 방송감사합니다
@littledevil-o4m9 ай бұрын
너무 흥미있게 봤습니다~ 글고 안구정화ㅋㅋㅋ 빵터졌네요ㅋㅋ 앞으로도 부탁드립니다 ^^;;
@김양유-u5e9 ай бұрын
정말좋은정보네요 감사합니다ㅋ
@잠실고라니9 ай бұрын
실치회는 오래전부터 저의 고향인 서산 당진 지역에서 먹어왔고 4월 초순이 지나면 억세지고 내장이 커서져인지 쓴맛이 나 주로 이후에는 실치 시금치 된장국으로만 먹습니다. 일년중 한달내로만 먹을 수 있고 어릴적 추억으로 먹는 음식인데 상업적으로 과대 포장되고 소비되는 감이 있네요
일본엔 아니사키스 문제 빈번한데 회사동료도 이자카야에서 물회먹고 병원가서 내시경으로 뽑아냈슴 생선코너에도 써놓고 있고 병원에선 흔한일이라 했음 (미친듯이 아프다고) 단 며칠 얼려 놓은 회에는 죽어버린다고 해서 횟감을 꽁꽁얼리곤함
@바나나-v4e9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회는 이제 방어회로다가?
@허웅철-c3z9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득템했어요 감사드립니다
@billionairemultiАй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soosazang9 ай бұрын
실치가 맛있고 없고는 크게 문제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ㅎㅎ 모든 음식과 입맛은 천차만별이기에 그럼에도 정확한 정보전달과 꿀팁까지 전해주시는 입추님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유튜브 채널 개설했습니다!! 혹시라도 댓글 보시게되면 구경이라도 조금 부탁 드리겠습니다ㅎㅎ 항상 잘 보고있어요 화이팅🔥🔥
@bgmnewage67959 ай бұрын
신기방기한 기생충의 세계..징그러운건 안좋아하지만 호기심에 못이겨 보게되네요ㅋㅋㅋㅋ
@murrago9 ай бұрын
전문 유투버로는 최고 이신것 같습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rosielee95679 ай бұрын
궁금했는데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korea-aliexpress8 ай бұрын
내과의사인데 맨날 아니사키아시스 내시경으로 끄집어냅니다 초반에 나온것들은 고래회충이라기엔 많이 긴 형태인데 검증까지해서 사촌이라고 해주시니 정말 믿음이 가네요 아나고, 오징어에 많습니다
@BBrookie839 ай бұрын
이제는 개그에도 도전하시는건가요? 전혀 예상 못하고 있다가 빵 터졌네요. 재미있게 봤습니다 ㅎㅎ
@꿈꾸는재택근무자Ай бұрын
아ᆢ썸네일 숟가락사진 넘 충격입니다ᆢ 숟가락에 저런게 묻을수있단 사실에 이제 식당가면 숟가락 체크부터 할거같습니다ᆢ
@miy0073479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oogina56789 ай бұрын
생선요리 먹고 여러번 탈나서 고생한 1인으로 감사히 시청하였습니다.
@todong10049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칠두-f9j9 ай бұрын
으 이래서 날음식은 싫다니깐 보는걸로 대리만족합니다 ㅎ
@lovely-hyun-a9 ай бұрын
@지민 선생님. 해당 영상 좀 더 검토 부탁드립니다 2014년 실치 기생충관련 민원을 넣은 분이 계셨고 낚시 카페에 해당 민원 결과 또한 기재되었습니다. 결과는 아나사키스 심플렉스 7 : 히스테로텔리시움 3 비율로 확인되었으며 문맥이나 해석의 차이는 불분명하지만 3기로 저는 생각했습니다. 댓글 규정상 링크는 메일을 주시면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이제 해석에 따라서 실치에서 나오는 기생충은 1,2기다 또는 무해한 히스테로텔리시움로 잘못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2014년 민원 결과를 보시고 확인 및 검토부탁드립니다.
내가 생고등어 엄청 좋아했었는데 어느날 손질하다가 바글바글한거보고 소름돋아서 그뒤로 잘 안먹음 그냥 거의 안먹음
@네네호구9 ай бұрын
결론은 알아서 먹든지 말든지...... 옛말에 사과같은 과일은 불없는 곳에서 먹어라..... 과속에 있는 애벌레 같은 것이 안보이는 상태에서 먹어라는 것을 비틀어서 말한 듯..... 이처럼 알고 있는 상황에 신선도 따진다면서 회를 먹을려면 머리 아프죠..... 그럼 결국 기생충이든 아니든 대부분 회보다는 탕으로 구이로 팍 익혀서 먹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또 옛적에 뭐 지금도 많이 먹는 방법 특히 민물고기 같은 잡어나 소형어류 먹는 방법중 최고는 어죽이죠.. 민물고기와 야채와 쌀과 된장 고추장 같은 것으로 왕창 때려 넣어서 뭐가 뭔지 모르게 먹게하는 것... 결국 알든 모르든 각자가 알아서 선택해야죠
@박현호-v2t8 ай бұрын
복숭아는 밤에 먹으라는 이야기 생각나네요^^벌래먹은게 더달긴했는데 ㅋ ㅋ 어른들 이야기 틀린게읍네유
@풀이무서워9 ай бұрын
14:49 이 친구 사람 참좋다..심성이 아름다운분.ㅎㅎㅎ 참 섬세하시다^^
@마스터우붕어낚시TV9 ай бұрын
붕어낚시 유튜버 입니다. 붕어 아가미에 아가미회충도 한번 다뤄주세요~!!!
@limkyungchun838 ай бұрын
실치 기생충 동영상 제보 했는데 이렇게 나오니 뿌듯 하네요!
@ringoshena299 ай бұрын
입문철 제일 재밌어요!!!!!!!!!!!!!
@종성안-g7p9 ай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낚시 좋아해서 생선 자주 먹는데 조심해야겠네요
@maxheadroom73099 ай бұрын
맛의 달인이였나 카이바라가 저거 비슷한 이야기 함 미식가들이 날것으로 먹어야 제맛이라고 하지만 기생충 있다고 먹지말라고 함
@이종혁-m4d9 ай бұрын
항상 전문가 답게 정리를 잘하심......
@믕믕-c3z9 ай бұрын
다이어트 중인데 입맛 떨구기 좋군요.. 감사합니다
@traveller_Kimteamjang9 ай бұрын
회를 좋아해서 자주 먹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대박황성9 ай бұрын
몇년전 아는 형님부부가 장고항 실치축제가서 실치회를 먹고 4일 내내 장염으로 고생했다는 얘기듣고 그 이후로 안먹습니다.
@신강환-h1p9 ай бұрын
대단 하십니다 ㆍ~~감사합니다 ㆍ
@ongs55269 ай бұрын
제가 저저번주 장고항 갔는데 식당 이모가 날이 지나면 충 나온다고 그랬거든요 먹을거면 일찍 먹어야한다던데 그런걺가요
@ajuga93928 ай бұрын
와 팩트 체크해서 제대로 알려주시는 입추님.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홍기현-r6s9 ай бұрын
저도 10년 전에 낙지 기생충으로 입질의 추억에 문의 드린적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게 놀랍네요
@NogarD859 ай бұрын
11:17 여름에 생태탕 먹으면 이따금? 자주? 보이는 녀석이네요.. 처음 봤을 땐 입맛 뚝 떨어져서 진짜 1년은 해장국으로 즐겨 먹던 생태탕을 쳐다도 안 봤네요.. 근데 또 이게 동태 안 쓰고 생물 (생태)만 쓴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라는 얘길 들었어요. 당연히 얼린 놈에선 이미 다 죽어서 저렇게 살 밖으로 튀어나올 일이 없겠죠.. 😢 어쨌거나 저 정도로 심하면 밥맛 떨어지겠지만 이제 입질님 말씀 대로 그냥 이것도 단백질 이려니.. 하고 몇 마리 정도는 신경 안 쓰고 먹습니다. 평소에도 모르는 사이에 얼마나 기생충 세균 병균 다 먹고 사는 게 인간인데요 뭐.. ㅎㅎㅎ
@박부성-q3b9 ай бұрын
역시 호불호가 생길수 밖에 없는 생선... 오늘도 고등어를 뜯습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돼지고기도 소고기도 기생충 있지 않던가?... 결국은 생식이 위험한건가
@aruing19 ай бұрын
시각적으로 직접 보이는 기생충에게 생리적으로 거부감이 드는건 어쩔 수 없긴 하지만. 사실 생태계의 거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게 기생충이고 인간도 대부분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사실상 지구상 모든 생물은 기생충과 공존하고 있다고 봐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