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물이 끓기 전에 면을 넣어도 맛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40,551

짧게 보다

짧게 보다

Күн бұрын

영상 풀버전 보러가기👇
• 우주에서 라면을 못 끓여먹는 이유 (과학...
[과학을 보다]의 놓치면 안되는 포인트 클립!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보다 #라면 #과학 #과학자

Пікірлер: 121
@김정수-d5k
@김정수-d5k 5 күн бұрын
정말 배고프고 정말 추울때 딱 한개 남은 라면의 맛은 그 어떤 방법도 넘어설수 없겠지요
@Mr.Knighthood
@Mr.Knighthood 4 күн бұрын
한개 끓일땐 빨리 끓어서 비슷한데 여러개 끓이면 물이 느리게 끓어서 라면 식감이 뽀글이 비슷하게 됨 겉은 불어있고 안은 덜익음
@긋긋긋-s6y
@긋긋긋-s6y 5 күн бұрын
라면 진짜 맛있게 먹고싶으면 차끌고 부둣가가서 엄청찬 바닷바람 맞으면서 먹으면 진짜 맛있음 + 겨울바다면 2배 더 맛있음
@나그네-m5g
@나그네-m5g 6 күн бұрын
정요원 얘기들으니 생각난다!😅 찬도시락에 라면국물 얻어먹던거!😂 전 갠적으로 1커피향 2초코향 3라면향 입니다!😊
@여어느
@여어느 6 күн бұрын
찬물부터 끓인 라면 먹어 봤는데 일반적으로 끓인 라면 보다 더 빨리 불어버리는 느낌을 받았음
@연복돌복순깐돌깐순
@연복돌복순깐돌깐순 6 күн бұрын
저도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Happy_umami
@Happy_umami 5 күн бұрын
라면 맛있게 끓이는.방법은 저녁 10~1시 사이에 끓이면 가장 맛있습니다. 계곡에서 물놀이 하고허기질때 먹음 최고입니다.
@봉태규-y3r
@봉태규-y3r 6 күн бұрын
찬물에 계란 빼고 다 넣고 일단 끓여...그리고 면이 꼬들할때 면만 다 건져 올림...그리고 국물에다가 계란만 두개. 파 조금 풀고 끓여서 면 위에다사 국물 부음....맛난게 먹음...
@johnsmith-sf2yy
@johnsmith-sf2yy 10 сағат бұрын
물놀이 입술 파래질때까지 하고 나와서 팔팔끓인물로 만든 신라면 소컵 물 약간 적게 넣고 익힌거 먹으면 미슐랭5스타입니다.
@kmm00007
@kmm00007 21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라면도 잘 끓이는 사람이 있음
@Autoclave-l9d
@Autoclave-l9d 5 күн бұрын
정보) 석학들 모아놓고 라면 끓이는 법 토론하는중
@cotton_swab
@cotton_swab 6 күн бұрын
사발면은 행군 하면서 먹은게 최고였음
@다한페이뤼스
@다한페이뤼스 3 күн бұрын
그냥 행군뛰고 몸 힘들고 추울때 먹으면 맛있음~
@SocratesHog
@SocratesHog 4 күн бұрын
면은 꼬들하게 끓여야 한다. 퍼지게 익힐거면 밀가루 죽 먹는 것하고 뭐가 다른거냐. 따라서 스프넣고 펄펄 끓을 때 넣어야 정석이다.
@leo_8383
@leo_8383 4 күн бұрын
7:44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안다는게 여기서 또 적용되네요 ㅋㅋㅋㅋ
@삼오-l9t
@삼오-l9t 6 күн бұрын
80년대초 중학교 겨울방학때 눈이 발목까지 싸였을때 삼양라면을 들고 친구들과 높은산에 올라가서 눈을녹여 끓여먹은 라면맛은 지금도 1등으로 쳐줄만큼 맛있었지.. 천상의 맛이었어요
@Pass1ngbyebyeby
@Pass1ngbyebyeby 5 күн бұрын
낭만 1등 경험 1등
@방여울-x1o
@방여울-x1o 5 күн бұрын
정말..맛있게 이야기하신다...
@user-Ariana0615
@user-Ariana0615 5 күн бұрын
입 맛이 까다롭지 않아서 바로 한번에 넣고 센불로 짧고 굵게 끓임🍜
@포레-i5y
@포레-i5y 5 күн бұрын
라면은 물양이지 짠맛이 더 맛있게 느껴지니까
@akdhueejdj
@akdhueejdj 2 күн бұрын
적어도 한개 기준으론 한강라면 같은건 일단 다 집어 넣고 물 나오고 끓이는데 진짜 맛나고 면도 탱글하죠. 이게 과학과 현실의 갭인가
@김이박-v7q
@김이박-v7q Күн бұрын
과학과 현실에 갭이 어딨습니까 ㅋㅋㅋ 한 개 끓일 땐 그 영향이 미미하니 크게 체감이 안 될 뿐이지 갭 이러네 ㅋㅋㅋㅋ
@sh.m8872
@sh.m8872 5 күн бұрын
과학자가 알려주는 라면 맛있게 끓이는 방법: 과학자가 와서 끓여준다
@정국아형이야
@정국아형이야 4 күн бұрын
남이 끓여주는 라면이 최고임
@bluecheshirecat
@bluecheshirecat 3 күн бұрын
맞음 😁👍
@O.B.E271
@O.B.E271 6 күн бұрын
영화 식객 마지막에 그러지 않던가 군대 선임이 후임한테 봉지라면 주면서 반드시 배고플 때 먹을 것
@오귀스트-q7f
@오귀스트-q7f 6 күн бұрын
ㅋㅋㅋ 나도 그것생각남
@antenna..
@antenna.. 5 күн бұрын
우린 라면에 진심이구나 ㅋㅋ이걸 토론
@Phanavel
@Phanavel 3 күн бұрын
6:16 행군 중에 먹는 육개장
@1-xp6tn
@1-xp6tn 3 күн бұрын
저 과학자는 계산도 안해보고 상식선에서 얘기하네.. 계산해보면 찬물이나 뜨거운물이나 차이가 없다.
@김대영-t5f
@김대영-t5f 6 күн бұрын
유격행군하다 중간에 휴식지점에서 먹은 육개장 사발면이 제일 맛있었습니다. 심지어 끓는 물도 아니고(끓는 물을 수백명에게 한번에 보급하기 힘드니까 ) 약간 뜨거운 물에 불리듯이 해서 3분 보다 좀 더 기다려서 먹었었는데 아직도 그 맛이 안 잊혀집니다. 확실히 몸이 힘든 상황이라서 그런지 더 맛있게 느껴졌던 것 같아요.
@everglow1767
@everglow1767 3 күн бұрын
나도.. 그건왜그런걸까? 항공사처럼 데일까봐 일부러 미지근한 물 주는건가 아니면 끓는통 기능이 별로라그런가 둘 다인가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6 күн бұрын
군대 갔다오면 가장 맛있는 라면이 뭔지 알게 되지 추운 겨울 밤 찬바람 맞으며 외곽근무 서고 들어와서 먹는 라면이 젤 맞있지 뽀글이 라면 먹어도 맛있어
@BK-fm1fd
@BK-fm1fd 5 күн бұрын
이등병때 새벽에 한딱까리 하고 고참이 사주던 뽀글이봉지라면 ㅠ 상병만 되도 그맛이 안남 ㅋㅋ
@hanyoungkim8726
@hanyoungkim8726 7 күн бұрын
과학적으로 면의 온도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내가 먹어봤는데 맛있던데요 이러고 있으니까 ㅋㅋㅋ
@qdbkpqdbkp
@qdbkpqdbkp 4 күн бұрын
수영장에서 수영하고 나와서 먹던 왕뚜껑맛은 잊을수가없음
@ironMan-1go
@ironMan-1go Күн бұрын
다 의미 없다… 절대미각이 아니고서야 거기서 거기
@라하르트
@라하르트 Күн бұрын
참치액젓 한숟갈넣어 레스토랑으로 변한다
@user-master_yong
@user-master_yong 6 күн бұрын
아 라면땡겨
@jellygun
@jellygun 7 күн бұрын
라면은 그릇에 옮겨 담으면 맛있습니다. 그릇이 국물의 열을 뺏어가거든요. 그래서 그릇에 옮긴 라면은 불지 않아요. 놔둬도 국물이 남습니다. 반면 냄비에 둔 라면은 놔두면 국물을 다 흡수하죠. 냅두면 밥 못 말아요. 그런 경험 많으실 거예요. 그리고 다른 이유는 온도가 내려가면 짠맛 역치가 내려갑니다. 더 짜게 느끼죠. 분식집 라면이 맛있는 이유가 조리 방법의 차이도 있겠지만, 그런 온도 차이도 있습니다. 양은냄비 같은 알류미늄 재질에 끓이면 맛있다는 것도 그런 이유죠. 금방 식거든요. 군대에서 먹는 라면도 추위에 떨며 먹으니 더 맛있죠. 반대로 뚝배기에 두고 먹으면 먹다 보면 죽이 됩니다. 면 요리 뚝배기에 내오는 것 거의 못보셨을 거예요. 다 풀어집니다. 요약하면 조리는 뜨겁게 먹을 땐 식혀서. 물 적게 끓인 뒤, 조리 끝나자마자 얼음 넣어도 되긴 하죠.
@501gyu
@501gyu 3 күн бұрын
썸네일 보고 가수율 같은거 얘기할줄알았는데 ㅋㅋㅋ 댓들 단 사람들이 라면 더 많이 끓여봤을듯 ㅋㅋ 가소롭네 ㅋㅋㅋㅋㅋ
@김이박-v7q
@김이박-v7q Күн бұрын
과학자한테 가소롭다 이지랄이네 ㅋㅋㅋ부모가 일찍 돌아가셔서 만19세까지 보육원 생활 하느라 교육 제대로 못 받으셨나 ㅋㅋ
@라면먹고자자
@라면먹고자자 7 күн бұрын
라면은 추억이내요
@우니-n9h
@우니-n9h 5 күн бұрын
그냥 라면은 다 맛잇다.
@한상철-m6y
@한상철-m6y 6 күн бұрын
맛있게 먹으려면 물 적게넣으면 됨
@sewankim892
@sewankim892 5 күн бұрын
과학보단 경험 인것 같은데요. 10년전인가 20년전인가 유재석MC가 그냥 찬물에 끓이는 라면은 맛없다고 손절 하다가 막상 먹어보니까. 아니 이게 왜 맛있지.. 하던게 기억 나네요.
@user-wj8edbasket
@user-wj8edbasket 6 күн бұрын
물리학자들도 잘몰라 첨부터 찬물부터 스프 라면 다넣고 끓이면 물끌고넣는5분끓이는거보다 첨부터넣으면3분30초로 더빨리익고 빨리먹을수있기도하고 쫄깃함이 떨어지지도 않아요 좀 본인들도 테스트없이 얘기하진맙시다 ㅋ 하나끓일때는 진짜갠챦아요 해보세요
@kbsmd0
@kbsmd0 5 күн бұрын
맛있는 면에 대한 정의가 중요한건데 빠졌어요. 빨리 끓이는게 맛있는건지, 익기의 정도가 적당한 분포가 될 때일지.. 퍼짐의 정도일지... 빨리 익히는거라면 물을 끓일 때 증기에 노출시킨 다음 끓는 물에 담구는게 가장 빠를것 같아요.
@손군
@손군 5 күн бұрын
아니 라면관계자는 왜 안부름???ㅋㅋㅋㅋ
@듸궥뜍
@듸궥뜍 3 күн бұрын
요세라면 진짜 죄다 맛이 없음 재료들이 보면 거진 다 가짜임
@prosong1271
@prosong1271 6 күн бұрын
배고플때 먹으면 어떻게 끓여도 다 맛있습니다
@바람의혼-g4c
@바람의혼-g4c 7 күн бұрын
실제로 화력만 충분하면, 라면 1~2개는 찬물부터 끓여도 별 차이 없음. 처음 조리법이 연구됐을 때는 연탄불이나 풍로를 이용했으니까 지금 가스렌지보다는 화력이 약했을 것 같음.
@어설픈킬러
@어설픈킬러 7 күн бұрын
냄비에 물넣고 불켜기전에 면넣고 스프도 넣고 그래 끌여 먹으니 면이 적당히 퍼져서 맛이 더 좋던데요.. 뭐... 일단 제 기준 입니다.. 제일 맛있었던 라면은 군에서 훈련 마치고 먹었던 컵 라면 이네요..ㅎㅎ 그당시는 새참컵면 이라고 해서 나왔었네요..
@후쿠오카곤방와
@후쿠오카곤방와 5 күн бұрын
라면을 맛있게 먹는 방법은 라면을 절대 풀지 말고 끓인후에 면을 차가운 식기에 옮깁니다. 그러면 꼬들한 식감이 살아있습니다. 거기에 선풍기를 틀어서 불지않게 바람이 불어주면서 먹으면 최상의 라면 식감을 느낄수 있습니다. 거기에 맛있는 김치가 있다면 금상첨화 입니다.
@문새로이-b3h
@문새로이-b3h 4 күн бұрын
1. 찬물 vs 끓는 물 2. 린스 먼저? 샴푸 먼저? 3. 스킨 먼저? 로션 먼저? 4. 최수종·하희라, 차인표·신애라 부부 항상 헷갈린다는 점
@user-1dfn2782x
@user-1dfn2782x 5 күн бұрын
역시 이과들은, 찬물 라면이 괜찮다는게 억지라는걸 잘 아는것 같네요 ㅎㅎ 몇몇 방송에서 찬물 괜찮다고 하는 바람에.. 그것도 좀 유명한 사람이 그러니까 앞뒤 안재고 찬물라면 찬양바람이 불어가지고서는...
@somedeep-everythingwide
@somedeep-everythingwide 3 күн бұрын
저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정도가 되려면 식극의 소마에 나오는 신의 혀를 가지면 가능함. 보통 사람이라고? 헛소리하지마!! 똑같애.
@byoongsin
@byoongsin 5 күн бұрын
에혀... 분식집 하는 형이 답을 줄게... 화력 차이야, 가정집의 가스렌지불은 말도 안되게 화력이 작아서 물 언제 끓나 기다리는 수준이고 식당은 가정집보다 다섯배 이상 화력이 쎔, 식당서 라면을 끓인다? 그냥 550ml에서 600ml 까지 물 때려넣고 라면 넣고 스프 다 풀고 끓이는거임 왜 처음부터 넣는지 또 중요한게 금방 물이 끓어오르지만 물이 한참 끓을때 스프를 턴다? 개 뜨거움 그리고 열이 쎄서 스프가 위로 날아가 건더기 스프는 넣지도 못해 뜨거워서 입구가 녹아서 봉해짐.. 암튼 이러 저러한 이유로 라면은 가정집과 식당 라면이 맛이 다른거야 가정집에서 식당라면 맛 느끼고 싶으면 라면 반만 끓이고 반은 전자렌지에 계란넣고 2분만 더 돌려 그럼 됨
@byoongsin
@byoongsin 5 күн бұрын
반만 끓이라는게 라면 좀 덜 익게 끓이라는거임
@김솔-f6z
@김솔-f6z 6 күн бұрын
가스레인지면 무조건 물 끓을때 인덕션이면 무조건 다 때려넣고 시작해야함 인덕션으로 가스레인지 처럼 끓이면 ㅈㄴ 맛없더라 뭔가 ㅋㅋㅋ 스프가 물에도 면에도 안풀어진 느낌이라해야되나 충분히 스며들지 않은 느낌임 인덕션 원리때문인지는 모르겠음 바닥만 뜨거워져서 그런지...
@김이박-v7q
@김이박-v7q Күн бұрын
비과학의 정수시네 ㅋㅋㅋㅋㅋ 개소리 컷
@김솔-f6z
@김솔-f6z Күн бұрын
@ 원리는 과학자들이나 밝혀야지 현상이 나타났는데 ㅋㅋㅋ
@돼지-k7z
@돼지-k7z 6 күн бұрын
예전엔 뜨거운물에 스프넣코 면 넣코 그랫는데 요세는 찬물에 라면계란다때려넣코 뚜껑닫고 5분끄려먹음.. 귀찮으니깐 어차피 비슷함맛은
@samsoon_nani
@samsoon_nani 5 күн бұрын
저도
@bio4349
@bio4349 4 күн бұрын
그냥 찬물에 물 스프 라면 한바엥 넣고 강한화력에 3~4분 정도 지나면 맞똑같다
@life-tg6yh
@life-tg6yh 6 күн бұрын
설명서에도 물이끓은후 면을넣어라되잇다
@yalbndokja
@yalbndokja 5 күн бұрын
찬물과 끓는물 끓여놓고 먹어봐도 구분 안됨요 ㅋ 실험 한번 해보삼요 분간이 되나
@bethesoultree
@bethesoultree 6 күн бұрын
뭐지? 여기서 영상을 끝낸다고????????
@인간기적
@인간기적 5 күн бұрын
조미료는 물 잘마추는게 최고다
@HanJasen
@HanJasen 2 күн бұрын
댓글에 무슨 그런 느낌이고 그런것 같아요라고 말하시나요. 과학적으로 글루텐은 찬물에서 안녹아요. 그래서 찬물에 넣어도 상관없어요. 끓는물에 몇분이라는 레시피는 누구나 똑같이 만들라는 가이드라인일뿐. 그리고 맛이라는건 개인적인 좋아하는 맛이있지만 전문가의 관점에선 최종적 추구하는 맛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요리 심사 하는 방식이 그렇데요. 점점 요리는 화학이고 과학인걸 증명하고 인증하는 시대에 증명도 없이 논리도 없이 이렇다 저렇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네요.
@Chi_worker
@Chi_worker 6 күн бұрын
여러분 물 용량과 끓이는 시간은 재시고 조리 방법의 조자라도 말 꺼내시는 거죠?
@화이트미루
@화이트미루 5 күн бұрын
물을 기존보다 50미리 적게 넣고 끓이고 기존시간보다 30초 적게 끓이고 30초 웨이팅하고 먹는게 제일 맛있다. 물의 온도는 의미 없다.
@꿀장비
@꿀장비 7 күн бұрын
다 틀렸음..다 익기전에 건져올려 바람을 불어넣어줘야 쫄깃하고 맛있음..^^
@k-ottogi
@k-ottogi 7 күн бұрын
이게 정답. 집게로 풀어서 들었다 놨다 찬 공기랑 접촉 시켜줘야함 😊
@초라니-t4n
@초라니-t4n 7 күн бұрын
그건 덜익은거라고 들었습니다
@꿀장비
@꿀장비 6 күн бұрын
@@초라니-t4n 떼갈부터 틀려요..분식점 라면 떼깔 나옵니다. 해보시길..^^
@happymode-
@happymode- 5 күн бұрын
갠적으로 90년대말부터 궁금했던건데 시각과 청각은 디지털화가 되었는데 후각은 대체 언제 디지털화가 될런지..... 저 옛날에 본 기사가 2000년대가 되면 인터넷 쇼핑으로 꽃향기를 맡고서 주문을 할 시대가 올거라고 했는데 30년이 다 되도록 안오네~ 이과 뭐함~???????????? 일하라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rock8380
@rock8380 6 күн бұрын
저거 두개 끓인다음 블라인드 시키면 구분못함
@simon-bx4py
@simon-bx4py 7 күн бұрын
10년동안 찬물에 면 스프 계란 파 다 때려놓고 끓여 먹었는데 똑같음.
@장덕기-x8n
@장덕기-x8n 7 күн бұрын
미각이란게없으면 똑같다고느낄수있음
@JAN-.
@JAN-. 6 күн бұрын
@@장덕기-x8n 블라인드 테스트 하면 80%는 구별 못 할 듯.
@davelee3588
@davelee3588 6 күн бұрын
​@@JAN-.쫄깃함이 다릅니다.
@PU-hi6tg
@PU-hi6tg 6 күн бұрын
찬물에 말아 먹는다 대단합니다
@김헌규-q2b
@김헌규-q2b 6 күн бұрын
상당히 다르던데요...?
@박영선-s7r
@박영선-s7r 6 күн бұрын
과학자들이 실험으로 증명하면 될텐데 이론만 가지고 말로 증명하려 하니까 신뢰성이 떨어져요. 블라인드 테스트 하면 결과가 재미 있을듯 합니다.
@aziktn
@aziktn 5 күн бұрын
주렁주렁 자기 주장하는 거 없으니까 훨씬 낫네 먼지씨 그치만 모세관은 종잇장이 아니니까 '얇은'이 아니라 '가는'입니다...
@ppoppkang3182
@ppoppkang3182 5 күн бұрын
희연이방 라면이 최고였다
@albatirx9
@albatirx9 5 күн бұрын
더 맛있는 라면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측정할수 있을까요? 결국 맛있다는 건 주관적인 기준입니다. 본인들만의 방식을 넣고 하면서 나온 결과물에 주관적인 의견을 더해 이게 더 맛있다 저게 더 맛있다 하게 되는겁니다. 스프 먼저 넣으면 끓는점이 더 올라갈수야 있겠지만, 그게 몇도나 올라갈 것이며 그게 면에 얼마나 차이를 줄까요? 면을 들었다 내렸다 하는게 또 뭐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그런 정성을 한두개 더하는 경험이 맛을 상승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면보다 스프를 먼저 넣으면 물이 튀는 위험성이 높아지고, 너무 고온에 바로 들어가면서 오히려 향이 좀 날아갈수도 있다고도 합니다. 그냥 내가 맛있다고 생각하는대로 드시고 별거 아닌걸로 굳이 논쟁을 할 필요가 있을지 ㅋㅋ
@psh6116
@psh6116 6 күн бұрын
남자는한끼에 라면5개 밥한공기까지 다먹어야정상。
@부에노스아이레스-i7e
@부에노스아이레스-i7e 6 күн бұрын
교수님...전제가 다르다... 아니 틀린 것 같습니다. 입맛은 개취 입니다. 라면을 끓이는 면의 온도가 언제가 적당 하느냐? 어느 시점에 면을 넣으면 맛있다? 이게 가능 한 얘기 입니까? 이건 개취 문제 입니다. 물리학이 접근 할 문제가 아닙니다. 끓는 물에 넣든 찬물에 넣든, 뭐가 맛있다? 과학으로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gooholee2504
@gooholee2504 7 күн бұрын
패널들 솔직히 찬물에 라면 끓여보고 이런 소리하는건가요?... 생라면 찬물에 2개든 3개든 미리넣고 끓여도 뜨거운 물이랑 별차이 없습니다. 그걸로 절대 온도 안떨어 집니다. 찬물에 생라면 10개 넣고 끓여도 별차이 없이 맛만 좋습니다.
@Sdb-ix2uf
@Sdb-ix2uf 7 күн бұрын
패널들도 글쓴분과 같은의견이시던데 어떤의미로 단댓글인가요?
@강형진-f6m
@강형진-f6m 6 күн бұрын
1개 양인 550ml 물 끓는 시간하고 뭐 한 3개 끓일때 1200ml 물 끓인 다고 하면 그거 끓는 시간이 같겠냐? 거기에 면 이라고 하는 불순물 까지 들어가서 끓는 시간은 더 늘어나겠지 그러면 그렇게 늘어난 시간만큼 면은 찬물 미지근한 물 안에서 그냥 뿔고 있는거다 이게 맛있냐 맛없냐는 그냥 개인취향 문제이지만 만약 설탕을 전혀 안넣은 떡볶이가 있다고 해보자 일부는 맛있다는사람 있겠지만 그렇게 만든 떡볶이를 맜있는 떡볶이 라고 하진 않듯이 저렇게 때려넣고 끓인 라면도 보편적인 시각에서 맛있는 라면 이라고 할 수 없다는 뜻이다
@user-kv2pk4ig6w
@user-kv2pk4ig6w 6 күн бұрын
이 빡대가리는 영상은 제대로 보고 이딴 소릴 씨부리나 ㅋㅋ
@나그네-m5g
@나그네-m5g 6 күн бұрын
찬물로 끓여도 별차이 없던데요!😅 컵라면 렌즈돌리면 면에도 양념이 확실히 베고 국물도 깊은맛이 납니다!😊
도대체 바다는 왜 짠 걸까?
12:23
짧게 보다
Рет қаралды 32 М.
Хаги Ваги говорит разными голосами
0:22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Every team from the Bracket Buster! Who ya got? 😏
0:53
FailArmy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미국인들이 비만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미국 4]
24:03
세계는요지경 YOZIGYEONG
Рет қаралды 12 М.
Fish merchants will be in trouble once this video is released
15:09
입질의추억TV jiminTV
Рет қаралды 202 М.
Хаги Ваги говорит разными голосами
0:22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