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MS/MS(ESI) 질량스펙트럼 해석(fragmentation) 에 대해 자세하게 알고싶습니다! EI같은경우에는 fragmentation에 대한 참고할 책이 많은데 ESI같은 경우에는 찾아보기가 힘듭니다..ㅠㅠ
@user-dk3se2nd3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LC 관련 공부할 때 교수님 동영상 많이 참고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공부를 하다 궁금한게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 이온화 파트에서 이온화를 시키는 방법 (ex. ESI, CI 등)에 관한 설명은 충분히 이해가 되었으나 물질을 분석함에 있어 ion mode, 즉 negative 를 걸어줄지 positive를 걸어줄지에 대한 기준이 궁금합니다. 저는 현재 천연물 내 기능성을 나타나내는 화합물들을 분석을 맡기는데, 대부분 negative mode로 측정을 해주시더라고요. 혹시 관련이 있을까요?
@jbc2871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혹시 lc ms와 관련해서 추천해주실만한 도서가 있을까요? 그리고 하나 더 궁금한점은 현재 아미노산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데, 어쩔 수 없이 산분해 과정의 전처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희석을 해서 인젝하고 있긴 하지만 오염이 약간 걱정이 되기도 해서요. 혹 이에 대해 조언해주실 만한게 있으실까요
@ChromMSAcademy3 жыл бұрын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산분해시 염산이나 질산을 사용하셨다면 LC-MS 인터페이스의 부식등이 조금 염려가 됩니다. 한번정도 clean-up과정을 통해서 이를 제거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도서는 본 채널 설명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jbc28713 жыл бұрын
@@ChromMSAcademy 제가 사려고 알아보고 있던 책의 저자시군요... 자주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