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항공용 SAR를 이용한 정찰 장비 개발에 참여했던 사람입니다. 저는 하드웨어는 아니고 소프트웨어 쪽이었습니다. SAR 영상의 range 방향으로는 C, X밴드의 chirp 파형을 사용했었는데 저는 파워 걱정은 안 했었죠. 인공위성에서 SAR 처리를 위한 전력을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군요. 암튼, 한국의 여건으로는 위성 관련 산업의 규모가 커지기는 힘들 것 같기는 합니다. 요즘은 자율 주행 덕분에 라이다(LiDAR) 시장은 꽤 커진 것 같은데... 암튼, 한국도 기술 인력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풀이 커져야 할텐데 걱정입니다. 한국은 소수의 산업 분야만 기형적으로 커져있어서 하나가 휘청대면 국가 전체가 타격을 입는 구조라... 삼성 전자의 HBM이 한 번 휘청대서 영업이익이 폭락하니 국가의 위기로 진단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그렇게 소수의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한 덕에 한국의 경제를 단기간에 상당히 키울 수 있었는데....이런 방식은 한계가 뚜렷합니다. 그래서 여러 필드의 엔지니어링이 교차되는 분야 예를 들어서 전투기 설계 같은 분야는 제대로 못하죠. 미국처럼 거의 모든 분야가 순환 상승적으로 같이 커가는 구조를 만든다는 것은 이미 늦었으니 일본의 장인들의 프로페셔널리즘이나 독일의 마이스터 제도와 비슷하게 해서...한국도 여러 분야에 인력들이 진출해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산업 구조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그 전에 기업들의 꼰대 문화와 노동력 착취 문화를 바꿔야 하겠지만.... 한국 민간 시장의 부정부패는 사실 공직 사회보다 더 심각한 편이라.... 과연 바꿀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솔직히 듭니다. 그런데 그런 개혁 없이는 한국은 한 발짝도 못 나갑니다. 지금 있는 자리에서 추락하게 될겁니다. 착취 당하는 노동자들이 수준 높은 엔지니어링을 구현 할 수 없습니다.
@마산아저씨-d9u2 ай бұрын
RnD 예산 삭감 여파가 여기까지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싶다.
@주영안-p2m2 ай бұрын
100만까지 갈수 있을거라 봅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Joo-ry1gt2 ай бұрын
로켓이 올라가서 수거하고 재진입해서 착륙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스타링크가 어마어마한 시도를 하긴 한거구나... 이런것에 가장 근접해있으니 부품 교체 및 수정 데이터 수집등이 잘 되겠는데...
@jujudaddypark93622 ай бұрын
우주까지 커버하는 프로파일럿 오늘도 잘 보겠습니다 분명 라이브로 봤지만.... 기억이....처음 처럼 잘 보겠습니다
@propilot2 ай бұрын
언제나 감사합니다!
@uookim91722 ай бұрын
예산이 빵구나서 돈들어가는 사업 취소...엄청난 경기침체에 외국자본 이탈 중, 지금 환율 방어 할 돈도 없다고 하죠...방산도 예산이 없어 KF-21 불록2 업그레이드 중단, 가오리 개발 중단 등..지금 k방산 k2, k9, 천무 수출 해도 당장 돈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돈만 많으면 뭔들 개발 못할까요...
@richardlee4952 ай бұрын
보이지 않는 곳에서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하는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KSFlowers-f8h2 ай бұрын
원자력 전지라는게 있지 읺나요? 그게 힘이 좋다고 하는데😊
@ElanVital272 ай бұрын
이미 10와트급 소형 원자력 전지는 한국 원자력 원구원에서 개발했습니다만....전류량이 0.1암페어 정도로 작고 출력도 10와트로 작은 모델입니다. SAR를 비롯한 전자 장비들을 구동하는 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스마트폰 하나 정도 충전할 수 있는 전력이죠. 100와트급 정도가 되면 무게가 수십 kg이 되고요. 반면 가로, 세로 1미터 짜리 태양 전지판으로 대략 100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sinaburoe2 ай бұрын
레이저 쏘는 위성 ---> 이건 우주태양광 설비 가능해지면 할 수 있음 그러기 위해서는 재활용 로켓, 반도체 기술의 성숙하면 가능해 보임 10~20년 사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상상만 해도 극강의 무기입니다.
@aigumoney2 ай бұрын
인공위성을 쏘면 검은 날개판 같은거 펼치잖아. 그거 태양광 패널이야. 오래전 부터 위성에 태양광 패널 장착해왔어. 지구보다 오히려 사용하기 쉽지.
@jinshiksung2 ай бұрын
렌즈
@GOR-z8c2 ай бұрын
국산화하세요 현재 미래에 살길입니다
@보라빛따르릉2 ай бұрын
우주 레이저 반사판으로 지상에서 발사한 레이저를 목표 방향으로 반사해 주는 위성 반사판 장치는 의미가 없는지요?
@sfk10312 ай бұрын
보라매 예산 삭감이 문제지.
@gospzmvkruw2 ай бұрын
갑분 마이트가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뭐여 ㅋㅋㅋㅋㅋㅋ순간 다른영상 틀어진둘
@propilot2 ай бұрын
제작진의 기호가 들어간 자료화면입니다^^ 마이트가인 아시는 군요~
@gospzmvkruw2 ай бұрын
@propilot ㅋㅋㅋㅋㅋ아 당근알죠ㅋㅋ제작진분들도 저와 비슷한 나이대인가 싶어서 반가웠슴다
@user-lq3ol8jt6t2 ай бұрын
진태범 조종사분이 빠져서 아쉽네요. 안보겠습니다
@maligunaguno90262 ай бұрын
제발...사람을 갈아 넣는 짖좀 그만하자...외계인이들도 아니고... R&D예산 삭감하지 말고 인력충원해서 쫌 행복하게 개발할수 있게 해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