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우리 동네의 모든것! 김시덕 박사님과 함께 낱낱히 파헤쳐 드립니다! 첫번째 가볼 동네는 마포! 마포구에서도 용강동을 시작으로 마포구의 역사부터 우리가 살고 있는 마포구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지금 확인하세요! #마포 #용강동 #공덕 #홍대 #부동산 #김시덕
Пікірлер: 7
@2월25일 Жыл бұрын
홍대입구는 망리단까지 어마하죠. 인천공항연결도 편하고 문화가 넘 잼남. 주말은 완전 외국.
@박경여-s7s Жыл бұрын
안녕 하세요 좋아요 꾸욱 누르셔요 😍
@torutomaktu Жыл бұрын
저도 용강동 사는데... 경의선 숲길 따라 홍대쪽으로 늘 산책가면서 느끼는 건 이곳은 서울에서 가장 국제적인 도심으로 발전하겠구나 싶죠. 외국인들이 매해 늘어나고 있는 게 보임. 이제 국제커플은 거의 매일 보고.. 연남-망원-홍대-상수, 향후에는 광흥창까지 서울에서 가장 번화하고 거대한 젊은이들의 상권이 될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강남이 너무 비싸거든요. 강남은 그들만의 리그가 될 것이고, 그 비싼 강남을 피해 성동으로 가는데 동쪽은 성동, 서쪽은 홍대가 상권의 중심이 될 거라 봐야죠. 특히 홍대 상권은 여의도 금융산업이 발전하면서 계속 돈이 유입될 거고 대흥역 중심으로 학원가가 형성되면서 소득이 높은 중년층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더 버프를 받을 겁니다. 문제는 신촌이 같이 따라서 발전해주지 못하고 있는데 박원순 시장 때 찻길을 막아버리면서 그렇게 됐었죠. 차없는 거리 만든다면서 차량 유입을 아예 막아서 오히려 상권이 죽어버림. 근데 이마저도 이제 철폐되면서 신촌도 서서히 돌아오고 있고 결정적으로 이마트가 생겨서 다시 부활의 기회가 생김. 마포프레스티지자이도 이대역 부근에 생기면서 이곳 주민들이 신촌상권을 살려줄 가능성이 있음. 게다가 심야 자율주행 버스가 합정에서 광화문까지 생기면서 이제 이쪽 라인은 거대한 하나의 도시로 자리잡고 있죠. 망원부터 광화문까지 연결되는 라인이 핵심. 이제 강남가지 않아도 모든 것이 해결되는 상황이 되고 있고 나또한 강남 가본지가 오래됨. 서울은 이제 여러개의 도시의 합으로 봐야해요.
@spicedberry Жыл бұрын
프레스티지 자이가 이대에 더 가까운데, 신촌처럼 찻길 막지도 않았는데 이대 상권은 왜 그리 점점 죽어갈까요? 말씀대로 프레스티지 거주민들이 신촌으로 쇼핑이나 맛집 찾아갈것 같지 않은데요 거기 그닥 뭘 제대로 먹을만한 곳이 없어요 신촌 찻길을 열었어도 원래부터 주차도 마땅찮고... 차라리 홍대부근으로 가겠죠. 신촌 상권이 죽은건 차를 막고 걷는 길을 만든 때문이 아니라 홍대와 합정부근으로 큰 흐름이 옮겨가서인 것 같아요. 상수도 젠트리피케이션 때문에 예전같지 않아요. 가게들 주인도 자주 바뀌고 임대가 안되서 빈 곳도 점점 많아져요.
@spicedberry Жыл бұрын
신촌 차없는거리 차를 막아서 상권이 죽어버리는건 어째서인가요? 걸어다니는 사람이 많아야 상권이 사는거 아닌가요? 차타고 다니면 정한 목적지 앞에서 내리고 주변을 돌아다니진 않을 것 같은데요... 도시개발책에서 사람들을 걸어다니게 해야 상권이 산다고 읽었어요 😅 영상에서 레드로드라고 말하는 상수 주차장거리, 주차장도 없애고 차다니기가 더 어려워졌는데, 신촌 찻길 막아서 상권 죽었다는 님의 주정과 전혀 반대로 가고 있는데요, 구청장이 상권 죽이려고 한게 아니고 오히려 살려보자고 차진입 막고 걷게 만든거겠죠
@yka993 Жыл бұрын
13분 30초에서 홍대 상권의 위기 이야기는 "양화대교"가 아니라 "당산철교" 끊어진 것입니다. 조순 서울시장 시절이었구요. 1996년 어간이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