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맨] '일방통행 서울민국' 1편 제2의 도시가 바뀐다? (2020.09.12/뉴스데스크/MBC)

  Рет қаралды 1,197,712

MBCNEWS

MBCNEWS

Күн бұрын

건국 이래, 아니 단군 이래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수도권이 이렇게 커지는 사이, 지방 도시들은 어떤 위기를 겪고 있을까요? 이번주부터 전국 구석구석을 다니며 길 위에서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imnews.imbc.co...
#지방도시 #수도권 #일자리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Пікірлер: 5 400
@THUG_CLUB.
@THUG_CLUB. 4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경산 20년 살면서 느낀거지만 뭐 특별한거 문화 축제 패션위크 다 서울임 그래서 난서울가서 살아야겠다 맘먹었고 아래지역에선 그런거 하는걸 거의못봄 다 서울임 어쩔수없이 구조가 그렇게 사람을 몰리게만들고있음 땅값 ㅈㄴ오르겠네 전세구해야하는데
@dj_semmo
@dj_semmo 4 жыл бұрын
ㅇ어 그래그래 영바이 어서오고 밸끼 아이라~
@난끝까지간다
@난끝까지간다 4 жыл бұрын
경산사세요? 헐
@건너마을돌돌이
@건너마을돌돌이 4 жыл бұрын
욕심도 많다 부산사람들...부산은 부자들이 많이 살고 돈도 많고 금융에 투자도 많고.. 병원도 제일 많은 도시 아닌가? 바로옆에 울산공단 조선도등등 살기 좋은데 손 벌리는거는 양심이 없네..
@kyeonghyeonnam8855
@kyeonghyeonnam8855 4 жыл бұрын
@@건너마을돌돌이 바로옆이라고 하기엔 고속도로로1시간걸림 공항이전하고 그부지 다 공단으로 하는게유일한방법이였는데
@imhungry.
@imhungry. 4 жыл бұрын
부산에 축제가 얼마나 많은데 무슨소리? 서울은 넘사벽이고 2위 지키는데 힘을 쓰는게 낫지
@AlphaGo27
@AlphaGo27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꿈이 있어서 지방을 떠나는게 아니다. 지방에 꿈이 없어서 지방을 떠나는거다.
@T_QQQ
@T_QQQ 4 жыл бұрын
띵언이네요. 저도 고향이 지방이고, 지방에서 살고싶지만 직장이 없어서 서울에 삽니다.
@김형준-r7s5b
@김형준-r7s5b 4 жыл бұрын
그럼 서울에는 꿈이 있어서 지방을 떠나는거네요
@hollywood_man
@hollywood_man 4 жыл бұрын
@@김형준-r7s5b 그렇죠 각종 대기업 일자리들이 서울에 몰려있으니까
@향미조향미
@향미조향미 4 жыл бұрын
옛말 하나 그른거 없다고 봅니다. 말을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한양으로 보내라는 말이 있었지요.
@조합거리
@조합거리 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의사들이 왜 지방을 떠날까요? 의사는 지방에서도 할수 있는데 말이죠
@김윤하-j8h
@김윤하-j8h 4 жыл бұрын
진짜 몇년전부터 서울민국 서울공화국 이ㅈㄹ해오는데 변하는게 하나도 없고 더 악화되고있냨ㅋㅋㅋㅋ
@koosm0
@koosm0 4 жыл бұрын
저걸 자꾸 해결하라 그러면 안됨 신도시 만들어서 서울에서 경기권으로 밀어내도 수도권 인구만 쭉쭉 올라가잖아 자본주의 국가에서 절대 정부가 나서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고 정부 맘대로 해결해서도 안되는 내용임
@wataxn
@wataxn 4 жыл бұрын
이러다가 서울에 핵맞으면 인구의 절반이 사라지누... 이거 타노스 루트인데
@북극여우-p2n
@북극여우-p2n 4 жыл бұрын
그냥 서울에 다 살고 나머지 국토 버려라 일본 줘버려 ㅋㅋㅋㅋ 왜 지키고있어.. 정부 보고있나?
@oooo-ie4vc
@oooo-ie4vc 4 жыл бұрын
방법은 하나.다른 지방 도시로 수도를 옮긴다~> 서울권 시민들 집값 떨어진다고 폭동 일으킨다~>다시 없던일 된다~> 서울 인구 폭발. 팩트🤣🤣🤣🤣
@kimys8724
@kimys8724 4 жыл бұрын
@@koosm0 계속이대로 놔두면 또 욕할거 아닌가? 수도권 과밀화 현상은 나라발전을 저해할 수 밖에 없음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인력을 분산시키는게 답임 인간들이 그렇게 해결하라고 난리치는 부동산 문제도 결국은 수도권 과밀화현상이랑 연결되어있음 땅덩어리는 좁은데 인간들이 다 모이니깐 자꾸 문제가 생기는거 캐나다처럼 수도를 아예 옮기는것도 나쁘지않은듯 한국으로 따지면 세종즈음이 되겠지
@jindao600
@jindao600 4 жыл бұрын
이건 정치권에서 일부러 이렇게 만든거임. 지들이 전부 서울에 집 여러채 갖고있으니 떨어질까봐 지방 분산 안하는거임. 세종시 수도 이전 죽어도 안하는 이유임.
@pl4647
@pl4647 3 жыл бұрын
세종시 집값 땅값 폭등인데??ㅋㅋㅋ 정치인들 한따까리 하는놈들은 세종시나 주변에 이미 하나씩은 다 가지고있을걸ㅋㅋㅋ
@북극여우-p2n
@북극여우-p2n 3 жыл бұрын
@@pl4647 세종시 산대요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l l 수도는 안옮겨도 최소 지방살리기는 해야지 그럼ㅋㅋ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3 жыл бұрын
이거 노무현때부터 할려고 했는데 누가 반대하고 누가 방해했나? ㅋ
@arcadiheaven4017
@arcadiheaven4017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세종시 국회 이전한다고 전국에서 땅값 제일 많이 올랐는데? 대깨문이세요?
@edwardjeon3255
@edwardjeon3255 4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 이게 무슨뜻이냐면 이제 지방균형발전을 하자고 했을때 과반 이상이 반대할거라는 거다. 앞으로 브레이크가 고장난 것 마냥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거라는 얘기다. 한마디로 우리나라가 이제 본격적으로 ㅈ될거라는 소리지.
@그란데헤이즐넛
@그란데헤이즐넛 4 жыл бұрын
진리네..
@Jo-nu1lp
@Jo-nu1lp 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결정된결과임 난 이제넘었다는게 논라울뿐임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핵 5방만 뿌려도 우리나라는 멸망할듯 ㄹㅇㅋㅋ
@숏은신이야
@숏은신이야 4 жыл бұрын
@@YJ-- 수도권에 집중하며뉴미사일 한방맞고 끝나는건데??
@마들-k3d
@마들-k3d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다 몰리면 미사일 가성비 개꿀이지 ㅋㅋ
@alt-mz6qf
@alt-mz6qf 4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줄면 부동산 값이라도 싸야지 젊은이들이 들어오지. 노인들만 사는 지방 부동산 값은 왜 계속 오르는지
@rewqqwer9783
@rewqqwer9783 4 жыл бұрын
부산이 젤 이해안가긴함 부동산은 ㅋㅋㅋㅋㅋ 진짜 대학생들하고 체감으로 느낀 사람들은 부산 글쎄
@sonj.w5819
@sonj.w5819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사는 부자들이 투기하는 거죠.
@DodgeGoUp
@DodgeGoUp 4 жыл бұрын
서울 오르고 부산 오르고 대구 오르고 대전 오르고 마치 짠 듯이 순서대로 올라감 ㅋㅋ
@chlee6033
@chlee6033 4 жыл бұрын
그런 지방 노인들 재산의 상당량이 부동산에 매몰되어있으니 땅값떨어지면 뒤지는줄 아는 거죠.
@최재민-l7g
@최재민-l7g 4 жыл бұрын
대학생입장에서 보면 허탈하기만합니다.. 꿈이루려고 아둥바둥하는데 이룬다고해서 집한채 살수는 있을까..
@user-gugumang
@user-gugumang 4 жыл бұрын
당장 뉴스들만 봐도 알수 있음... 얼마전 태풍경우에 진짜 부산 역대급 물난리였는데 뉴스에 언급 얼마 안됐다. 물론 서울도 피해 심한건 맞지만, 뉴스의 언급횟수와 노출량이 말도안되게 차이가 심했음
@circle_jun
@circle_jun 4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진짜 맞는 말인거 같아요... 저번에 80mm 폭우 내려서 지하차도에서 3분께서 안타깝께 목숨 잃었을 때 너무 심각한거 같아서 KBS 틀어보니까 정규방송 그대로 하고 있더라구요.. 그 때부터 KBS는 잘 안봅니다... 원래도 안봤지만ㅋㅋ
@YedamHS
@YedamHS 4 жыл бұрын
@@circle_jun 강원도 산불때도 그렇고 kbs는 재난방송의 본질을 잃은 듯 ㅋㅋㅋ 서울에서 난리 안나면 무조건 안냄
@KIM_HS_0228
@KIM_HS_0228 4 жыл бұрын
부산 지역 방송은 그냥 설치한거니? 지역 방송국 있잖아. 그게 왜 존재하는건데? 지방 소식을 수도권에서도 계속 진행하면서 봐야겠니? 에휴. ㅉ 그리고 태풍 바로 오기 직전엔 수시로 틈틈히 계속 보도했었어. 니가 검색도 안 하고 안 찾아보고 니 눈에 안 띄었다고 뉴스에 얼마 언급 안 되었다고 ㄱ 소리 작작 짓껄여. 지방 부심 어휴 ㅉ 경남 하동 전남 구례 쪽 소식이라면 모를까 부산쪽은 대도시라서 충분히 계속 라디오 유튜브 등등 매체에서 재난 방송 내보냈거든? 니가 찾아서 안 들은거잖아 !
@YedamHS
@YedamHS 4 жыл бұрын
@@KIM_HS_0228 그딴 논리면 서울 40도일때 kbs에서 하루종일 서울 얘기만 나왔는데 지방에서 왜 하루종일 그 소식만 들어야함? 서울 지역 방송에서 듣던가? 그리고 kbs가 국가 재난 방송인데 강원 산불, 부산 물난리는 국가 재난이 아니고 그깟 서울 40도는 국가 재난임? 대구 41도 밀양 43도 올라갈 때는 기상 예보에서나 나오더니 생각 좀 하고 ㄱ소리 지껄이셈
@KIM_HS_0228
@KIM_HS_0228 4 жыл бұрын
@@YedamHS 국가 수도하고 일개 지방도시하고 비교할 수준이 되나요?
@FireInTheHole18
@FireInTheHole18 4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도 그렇다는 사람 있는데 몰라서 그럼. 미국, 일본 등 각 지역별로 발전된 곳 많음.
@dnys1905
@dnys1905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좀;;
@ZB-xt2lp
@ZB-xt2lp 4 жыл бұрын
@@dnys1905 일본은 우리 상황이랑 다를게 없고 미국이나 프랑스,러시아등은 땅이 넓어서 대도시가 많아서 이런 문제가 안생기는거 아님?
@dnys1905
@dnys1905 4 жыл бұрын
@@ZB-xt2lp 다른게 있으면... 토요타시?
@하나무-v9k
@하나무-v9k 4 жыл бұрын
일본도 간토는 도쿄중심현 간사이는 오사카 중심현으로 발전함 물론 도시건축물(아파트, 오피스텔, 문화산업건물)이 적어서 한국보다는 덜하지만 도시중심문화는 맞는듯
@송시원-y4q
@송시원-y4q 4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요코하마가 오사카 인구 넘어선지 한참됨.. 다만 땅이 넓어서 지방 인구도 많긴 함. 물론 그 지방인구도 다 줄어드는 추세지만..
@일급수청정
@일급수청정 4 жыл бұрын
부산대출신입니다... 부산 진짜 살기는 좋습니다. 문제는 다닐만한 회사가 없습니다. 그거 하나 때문에 애들 다 떠납니다. 남은 애들은 공무원 공사 다니거나 수도권의 살인적인 집값 때문에 못가는 애들입니다. 수도권 사는 애들도 만나면 하는 말이 돌아가고 싶다입니다. 사람대우 해주는 회사들만 있어도 애들 80%는 돌아올겁니다.
@밤냥갱
@밤냥갱 3 жыл бұрын
쌉ㅇㅈ
@jakean3234
@jakean3234 3 жыл бұрын
ㅇㅇ 맞아 연고가 있는 상경인들을 다시 고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을 해야 맞는거임 지방에 연고도 뭣도 없는 애먼 수도권 출신 보고 등떠밀어서 지방에 가라고 해봐야 혁신도시 꼴 나는거임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jakean3234 수도권출신도 내려와야 인구분산이되고 지방발전이되지 지방에 연고있는 사람만 돌아오면 별로 효과가 없는데?? 혁신도시하곤 전혀 다른 얘기임
@JJUANI73
@JJUANI73 3 жыл бұрын
근데 부산에 놀데가 뭐 있음? 난 진짜 부산 토박이 커플들한테 물어보고싶음 데이트 어디서 하냐고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JJUANI73 서면,남포동,센텀,부산대,덕천,화명,하단등등 많은데?? 부산이 놀데없으면 우리나라에서 서울빼면 다 놀데없음
@후니-j7q
@후니-j7q 4 жыл бұрын
지역 불균형 너무심함 수도권에 너무 치우쳐있고
@박민수-l7l
@박민수-l7l 4 жыл бұрын
반대의견입니다. 지방에 공기업 공공기관 왜 이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지방 투자한다고 직장인들도 힘들고 기업의 이익도 떨어지고 정부부채는 커지고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언제까지 지방을 살리려고 발버둥쳐도 결국은 빠질수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카오-j7v
@카오-j7v 4 жыл бұрын
ljh 수요= 대기업임 대기업이 안내려오면 의미 없음 아니면 균형발전 없음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4 жыл бұрын
@@박민수-l7l 애초에 지방 살리려고 발버둥치지도 않았습니다 그 공공기관 공기업도 하필이면 대도시안쪽도 아니고 허허벌판에 지어나서 망한거였지 취지는 아무문제없었구요
@박민수-l7l
@박민수-l7l 4 жыл бұрын
@@트리레몬-i4g 팩트긴 한데 공기업/기관이 이전한다고 지방으로 거주지 이전하는 경우는 드물더라구요 대부분 자차나 통근버스타지
@드리머-t5u
@드리머-t5u 4 жыл бұрын
이제 20년 정도남음 지방 대도시말고 군급 행정지역보면 70-80대가 대부분임 20년뒤에는 소멸할껀데 50프로는 빈집될듯
@일만하는김삿갓용달
@일만하는김삿갓용달 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입니다. 모든 것이 서울 왔다가 내려갑니다.
@ston.k444
@ston.k444 4 жыл бұрын
@흑 형 분당은 웬만한 서울보다 비싸. 판교는 강남급이고. 일산이 가격이 안오르는건 당연한거지. 경기 북부가 사실 메리트있을게 전혀없어
@이노무시키-s7o
@이노무시키-s7o 4 жыл бұрын
그 논리면 유럽도 공화국이네요ㅋㅋㅋㅋㅋㅋㅋ 웃겨죽겠네
@Freddy-fd2xz
@Freddy-fd2xz 4 жыл бұрын
초중고 서울에 있는 학교 안나왔으면 서울로 못오게 법으로 만들어야 한다
@임채영-i4t
@임채영-i4t 4 жыл бұрын
@@Freddy-fd2xz 그러면 인구가 더 서울로 집중되겠지ㅋㅋ 지방은 일자리도 없는데ㅋㅋ
@이까묵
@이까묵 4 жыл бұрын
심지어 회도 노량진으로 모였다가 흩어짐ㅋㅋ
@문이얼어요
@문이얼어요 4 жыл бұрын
가장큰 문제는 취업자리가 없다. 지방 취업 기업들은 중소기업들 이지만 그마져도 ㅈㄴ 개구대기 스타트업기업들이라고 입사하고십지만 그런기업들은 대부분 접근성이 좋아야하기에 수도권에있음
@뱀뱀이-i9s
@뱀뱀이-i9s 4 жыл бұрын
부산의 문제점 1. 갈만한 기업이 없음. 중소가 99% 2. 할만할 일자리가 없음. 다양성 부족 3. 경력쌓기가 힘듦. 죄다 경력직 4. 임금이 너무 낮음. 2400도 잘없음 5. 인프라나 좋은 기회가 수도권에 쏠림 6. 노인인구 너무 많음. 진짜 많음. 진짜 7. 시발 떠나고 싶다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4 жыл бұрын
결국에는 양질의 일자리가 최고의 문제인데 인프라는 부산도 충분히 좋은겁니다
@봐뭘-h6w
@봐뭘-h6w 4 жыл бұрын
시발 난 그중에서도 노인네 제일 많은 구에서 살고있는데 하필이면 병원상권이라 와 이리보고 저리봐도 할머니 할아버지뿐... 후
@yukip8312
@yukip8312 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덕질할때가 북컬쳐 한곳밖에 없음
@beyondthepinnacle5467
@beyondthepinnacle5467 4 жыл бұрын
아 나 초등학교 때 부산에서 왔다고 한 여자애 기억난다. 시골에서 왔다고 엄청 조롱하고 무시하는 풍조가 있었는데. 2007년도에.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4 жыл бұрын
@@beyondthepinnacle5467 그 여자애가 부산에서 어디로 갔었는데요??
@하하하-o4x9j
@하하하-o4x9j 4 жыл бұрын
경상도는 그나마 나은상황이지ㅋㅋ 과거에 몰빵한 산업들로 버티다가 이제서야 인구유출 걱정하는거지 다른동네들은 유출될 인구도 없다
@경민-j7m
@경민-j7m 4 жыл бұрын
경상도 충청도 제외 나머지는 ㄹㅇ 씹창난거임 그리고 경상도랑 충청도도 그나마 낫다 이거지 괜찮다는건 아니니까,,
@졸려용
@졸려용 4 жыл бұрын
강원도는 영서는 그나마 서울경기랑 붙어있어 낫지 영동이 문제임 영서의 원주 춘천인구가 강원도 인구의 반이니 말다했지
@rmkddmmsqndaa
@rmkddmmsqndaa 4 жыл бұрын
강원도는 원래 사람적었음
@dbfbbf
@dbfbbf 4 жыл бұрын
שלום אני גואנג מוני 너 핸드폰으로 너가 쓴 댓글에 답글 달아봐 뭐라 말해야할지 모르겠는데 글이 제대로 안써진다 아이디 때문인가 tmi긴한데 알려주고싶었어
@INF_.
@INF_. 4 жыл бұрын
@@dbfbbf 닉네임에 적힌 문자자체가 로마자나 한글처럼 좌측에서 우측으로 써가는 문자가 아니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써지는 히브리어라서 그렇게 표기가 됩니다.
@T_QQQ
@T_QQQ 4 жыл бұрын
의료? 문화시설? 그런거는 부차적인거고 직장이 수도권에만 몰려있다는게 제일 크다. 나도 지방 출신이고 지방에 살고 싶지만 직장이 없어서 서울에 살 수 밖에 없다.
@5상사
@5상사 4 жыл бұрын
그치 이게 정답이지 지방에 살고싶어도 일자리가 서울수도권에 몰려있으니 어쩔수없음
@yjnw1013
@yjnw1013 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고향에 살고싶음...
@114dog
@114dog 4 жыл бұрын
정답
@timothy378
@timothy378 4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일자리 공기업을 지방에 갖다놔도 어떻게든 서울에서 출퇴근하려고 하고 주말에 서울로 올라오는데
@ryuwanne460
@ryuwanne460 4 жыл бұрын
Bryce 주말이면 다행이죠 음성 원주 이런데는 아예 서울로 통근버스가 다닙니다..
@jinsungpark1643
@jinsungpark1643 3 жыл бұрын
부산 사는 입장에선 부산이 참...놀기도 좋고 살기도 좋고 볼것도 많은데 일자리만 없는ㅋㅋ애매한 상황이죠ㅠ결국 나이들면 떠나야 한다는 게 너무 싫어요
@이승훈-x9u
@이승훈-x9u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전 직장따라 수원으로 올라옴
@이승훈-x9u
@이승훈-x9u 3 жыл бұрын
저도 부산에 초중고 다나왓는데ㅜㅜ
@우주-t9z
@우주-t9z 3 жыл бұрын
맞아ㅋㅋㅋ 놀기 좋고 볼것도 많은데 일자리가 진짜 없음
@크레이지하트
@크레이지하트 3 жыл бұрын
부산은 떠나는게답 노인과바다
@맹꽁이-m9f
@맹꽁이-m9f 3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 가거도 시장 뽑았어야지 펀드 부동산 시장 뽑았나?
@it-hing1042
@it-hing1042 4 жыл бұрын
무작정 오지에 신도시 때려박아서 균형발전을 할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인프라 갖춘 광역시를 중심으로 발전을 해야 권역별 발전이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결국은 기업들이 골고루 분포해야 국토균형발전이지, 방향도 없고 철학도 없이 공공기관 갖다 박는다고 발전하는 것도 아니고... 차라리 광역시 도시철도 연장길이 제한을 완화해 주든가.
@경민-j7m
@경민-j7m 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abcdcd7164
@abcdcd7164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광역시 인프라를 퍼지게 해야지 아에 없는 동네에 신도시 지어놓으니 인프라 없다고 안가지.
@ChoboUnjeon
@ChoboUnjeon 4 жыл бұрын
길이제한이 있음?
@timothy378
@timothy378 4 жыл бұрын
세종시 만들었더니 충청권이라고 기어이 서울에서 출퇴근하고 대구나 부산에 공기업 만들면 ktx 일일생활권이라고 기어이 서울에서 출퇴근하고 춘천이나 원주에 공기업 이전해도 기어이 서울에서 출퇴근하려고 하는데 아예 그런 생각 자쳬를 못하게 나주나 전주같은 도시에 모든 공기업 공공기관을 이전하는게 최선이죠 가까운 강원도나 충청도는 무조건 안되고 ktx 교통이 편리한 대구 부산도 아니죠 지역대도시 위주로 발전하고 싶어도 자꾸 서울에서 다니려고 하니까 오지에 신도시 만드는거죠
@frankjung1993
@frankjung1993 4 жыл бұрын
@@timothy378 국민연금 그래서 어떻게 됐냐? ㅋㅋㅋ 나주 전주 말고 경북 김천이라고 아주 좋은곳이 있어요.
@inkinno
@inkinno 4 жыл бұрын
여러분.. 정말로 부산이 이정도면 나머지 권역들은 어떨까 심히 .. 상상이 되시죠...?? ㅠㅠ
@inkinno
@inkinno 4 жыл бұрын
r r 영상에대한 정확한 댓글이시지만 .... 제가 사는 지역은 탈출할 인구가 없는지 오래대써요 ㅠㅠㅠㅋㅋㅋ
@동대구역-c9m
@동대구역-c9m 4 жыл бұрын
다른 지방도시가 다 부산같은줄 아냐 ㅋㅋㅋ 똥푸산 산동네 시골 거지 촌놈들 지들이 무슨 지방 대표도시인줄 아나보네 ㅋㅋㅋㅋ
@kevinkim3199
@kevinkim3199 4 жыл бұрын
@@동대구역-c9m 그럼 지방대표도시가 뭔데? 뭐 혹시 광주라도 말할까? ㅋ
@이건어때-e3l
@이건어때-e3l 4 жыл бұрын
@@kevinkim3199 위에 ㅅㄲ가 말 ㅈ같이 하긴했는데 광주를 왜때리누ㅠㅠ
@클리닉-r3h
@클리닉-r3h 4 жыл бұрын
@@kevinkim3199 ㅠㅠ 광주 부산보다 기업없고 교육관련 해도 뭐없음 ㅠㅠ
@아수라장-d3l
@아수라장-d3l 4 жыл бұрын
진짜 수도권, 서울에서 태어나서 사는 것도 스펙이다
@아기재수생-i2u
@아기재수생-i2u 4 жыл бұрын
서울토박이인데 스펙 ㅆㅅㅌㅊ!?!??!!??
@그냥사람-r7f
@그냥사람-r7f 4 жыл бұрын
@@아기재수생-i2u 집이있으면?
@o5k-m6p
@o5k-m6p 3 жыл бұрын
요즘 스펙 맞는거 같은데?
@편집공부영상
@편집공부영상 3 жыл бұрын
@@이이이-f9o3e 일부러 그러는거임?
@Kkw1299
@Kkw1299 3 жыл бұрын
@@이이이-f9o3e 청량리 부근이면 ㅎㅌㅊ ㅋㅋ
@지니게임즈
@지니게임즈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서울 토박이인 저는 일자리만 보장되면 한적하게 내려가서 살고싶네요 서울 너무 미어터져요 차도 너무많고 문화시설 있어봤자 모든걸 다 누리면서 사는사람 몇없다고 봅니다.
@skuu5361
@skuu5361 3 жыл бұрын
문화시설도 한두번이지 요즘 대부분 여자남자 할거없이 집콕좋아함 그냥 집값때문에 좋은거
@austin8456
@austin8456 3 жыл бұрын
나도 서울 토박이 인데 시골 텃세만 없으면, 시골에서 살고 싶네요.
@cheol_6517
@cheol_6517 3 жыл бұрын
지방 안살아봐서 이런 소리 하는거임 처음에야 좋지 지방 내려가면 할것도 없고 결국엔 서울 다시 유턴임 괜히사람들이 서울 사는게 아니지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cheol_6517 지방도 소도시인가 대도시인가에 따라 다 다르지 서울사는건 인프라도 있지만 일자리문제도 큼
@wp_dbs
@wp_dbs 3 жыл бұрын
있는데 안 누리는거랑 없어서 못 누리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죠
@쏘하-y9c
@쏘하-y9c 4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려운 문제다. 기업은 이윤 추구가 최우선인데. 물류비 만큼만이라도 세금혜택을 주지 않으면 기업은 절대 지방으로 이전하지 않을 듯. 그나마 현대가 아직 울산에 있다는 게 다행. 이러다가는 현대도 곧 수도권 혹은 충청도까지 올라 올지도.
@sfdream9332
@sfdream9332 4 жыл бұрын
현대중공업? 조선업이라 바닷가에 있는거지 아니면 벌써 올라갔을걸?
@쏘하-y9c
@쏘하-y9c 4 жыл бұрын
SF dream 현대 자동차요.
@totumas
@totumas 4 жыл бұрын
@@쏘하-y9c 자동차도 철강재 바로 들어올 수 있는 철강공장 근처에 입지하는게 유리하죠 소비지향공업이 아니라 원료지향공업이라서 소비지에 입지하면 오히려 물류비가 상승함 철강공장 역시 원료지향공업이라 또 항만 근처에 입지하는게 물류비가 절약되고 그래서 현대차 공장도 현대제철 공장(포항, 당진)에 가까운 울산, 아산에 있는거임 뭐 그래도 본사건물은 이미 양재동에 들어와있긴 하지만
@쏘하-y9c
@쏘하-y9c 4 жыл бұрын
김건우 그렇군요. 본사가 서울에 있는 건 어쩔 수 없는 거 같기고 하고, 각 기업들의 본사들이 지방 쪽으로 간다면 수도권 인구 집중도 좀 해소가 되지 않을까 싶지만 그럴 가능성이 아주 낮아 보이긴 하네요. 몰랐던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blueroof8528
@blueroof8528 4 жыл бұрын
본사만 서울에 있고 핵심은 전부 지방에 있음
@desich-t8h
@desich-t8h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집값이랑 가족, 친구 때문이라도 고향가서 살고 싶지 일자리만 있으면 내려가서 살 젊은이 많을거임
@dalloki4751
@dalloki4751 4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죠 자기가 살던 곳이 편하죠 일자리가 .....
@k.bm17
@k.bm17 4 жыл бұрын
ㅠㅠㅠ
@클램-s7e
@클램-s7e 4 жыл бұрын
@@dalloki4751 순천에 사는 급식인대 서울가서살고싶다
@shy4231
@shy4231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고향에 일자리만 있으면 바로 가고싶음
@찰옥수수빵
@찰옥수수빵 4 жыл бұрын
진짜..내려가고싶음
@Rangsyong
@Rangsyong 4 жыл бұрын
부산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랫지방 지역들 전체를 묶어서 얘기하는 거잖슴ㅋㅋ. 그 대표가 부산인거고
@serendipity0923
@serendipity0923 3 жыл бұрын
ㅇㅈ 부산이 저정도면 대구 광주 울산 이런데는 말할 필요도 없음. 그나마 대전이 서울까지 ktx로 한시간 거리니까 조금 그런거지.
@Dhfusv-m3k
@Dhfusv-m3k 3 жыл бұрын
@@serendipity0923 참고로 대전울산이 부산보다는 상황이 낫습니다 부산은 그냥 소비도시에요
@김인직-j6v
@김인직-j6v 3 жыл бұрын
@@Dhfusv-m3k 울산은 유령도시인데 무슨 대전은 요즘 세종때문에 괜찮고
@moonsick65
@moonsick65 3 жыл бұрын
대전은 애당초 큰 대도시가 아니잖아요.
@moonsick65
@moonsick65 3 жыл бұрын
세종에 다 빨리고 있는 게 대전인데ㅋㅋㅋ
@hyooon9504
@hyooon9504 3 жыл бұрын
서울에서 뚝 떨어진 지방, 경상도 출신입니다. 저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족과 친구는 여전히 지방에서 직장생활을 잘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덕에 집도 장만하고, 가족들과 오순도순 잘 살고 있습니다. 병원이 없는 것도 아니고, 학교가 없는 것도 아니고, 차가 없는 것도 아니고, 대중교통이 발달되지 않은 것도 아니고, 인프라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누구는 교육을 위해서 서울로간다고 하지만, 이곳에서도 똑똑하고 뜻이 있는 아이들은 SKY로 진학합니다. 가끔씩 서울에서 좋은 공연과 전시회가 있으면 KTX를 타고 가족들이 여행하듯이 즐겁게 서울 나들이를 한다고 합니다. 풍요속의 빈곤이라고, 항상 불평만하는 서울 사람들과 달리 가끔씩 서울 나들이를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생활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방송에서 하는 "서울에서 내집 마련 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하는 이야기를 이들은 자신 소유의 집에서 "오!" "우와, 비싸네" 하면서 듣고 흘립니다. 이런 뉴스를 들을때면 혹시 방송에서 편파적으로 "서울과 서울권" 에 답이 있다고 팔랑귀 젊은이들을 홀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저도 지금은 서울을 떠났고, 너무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enceladus9502
@enceladus9502 3 жыл бұрын
현명하십니다
@Chalow0512
@Chalow0512 2 жыл бұрын
다 맞는 말이네요 다들 서울을 너무 우러러보는 것도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김새우-x1d
@김새우-x1d 4 жыл бұрын
부산에 정말 있을건 진짜 다 있음... 근데 먹고 살만한게 없음 정말 씨가말랐음 고객응대직도 월급에 소금쳤음 짜디짜서 나가리임 ㅂㅂ 그나마 부산이라서 저렇게라도 방송에서 나오는거지 광역시급 미만도시는 첨부터 끝까지 무수리였음
@kjp3911
@kjp3911 4 жыл бұрын
그건 있을게 다 있는게 아니죠.. 그냥 쓰고 살기는 좋다는건데...
@락동죽돌이
@락동죽돌이 4 жыл бұрын
@@abceueue ㅇㅈ ..... 반박 불가...
@kalina_winter
@kalina_winter 4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공무원 하기 좋은 도시. 비슷한 월급에 비교적 저렴한 물가.
@김새우-x1d
@김새우-x1d 4 жыл бұрын
@@kalina_winter 대전이나 대구, 부산급에서 공무원하기 딱좋죠 이 3곳은 월세 안비싸고 물가 안비싸고 어지간한 인프라 다 갖춰있고
@kecheol
@kecheol 4 жыл бұрын
@@바다-g3l1f ? 광주는 그래도 괜찮지...
@defabc8385
@defabc8385 4 жыл бұрын
사실 살고싶은곳은 지방인데.... 취업하려면 서울에 있어야하는게 현실....
@naldoko461
@naldoko461 4 жыл бұрын
저도요 자차로 인천으로 출퇴 하는데 내가 서울와서 이막히는 도로에서 왜 고생하고 있나 싶음 직장만 아니면 지방서 살고 싶어요
@영주ip
@영주ip 4 жыл бұрын
@흑 형 그게 도시에서 살고싶다는 말이랑 뭐가 달라
@k.bm17
@k.bm17 4 жыл бұрын
이벤트도 서울이 넘사벽...
@San-gr3vl
@San-gr3vl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공무원은 지방이 더 인기
@hoshino-u7t
@hoshino-u7t 4 жыл бұрын
@@Elims-Smile 222
@나는나-p3b
@나는나-p3b 4 жыл бұрын
본가가 수도권인것만으로도 엄청난이득이다 남들 대학이나 일자리로 고속버스타고갈때난 시내버스 지하철타고간다
@user-oe2vi6wy9q
@user-oe2vi6wy9q 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족발-n7e
@족발-n7e 4 жыл бұрын
본가가 인서울이면 개쌉 ㅇㅈ 스펙임
@뽀송한인절미
@뽀송한인절미 4 жыл бұрын
진짜 집이 서울인게 스펙이되는 시대임 ㅋㅋ
@족발-n7e
@족발-n7e 4 жыл бұрын
@@뽀송한인절미 ㅋㅋㅋ 제가 교육받고싶은 수업이 있어도 지방에 개강 잘안해줌 ㅋㅋㅋ
@Freddy-fd2xz
@Freddy-fd2xz 4 жыл бұрын
지방출신들은 서울로 올라오지마세요
@roy4224
@roy4224 2 жыл бұрын
인천살고있는 김해 사람입니다. 부산에서 학교를 나왔고 취업을 하다보니 인천으로 왔습니다. 인천은 부산보다 더 커질수 밖에없습니다. 서울 옆이라서도 있지만 송도 청라와 같은 신도시에 대기업 유치를 계속 해내고 있고 덕분에 인구유입이 증가하고있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부산에는 제2의도시가 맞나 싶을정도로 대기업과 질 높은 일자리들이 없습니다. 오히려 창원이나 양산이 차지하고있구요..참으로 비참합니다. 고향 혹은 부산으로 돌아갈수 있게 부산이 힘내줬으면 합니다. (아.. 부산가고싶다 )
@hofffnung
@hofffnung 2 жыл бұрын
인천도 이제 개발할 땅이 얼마 안남았지만.. 갯벌 매립해서 싼값에 공급하는데 누가 안오겠습니까ㅋㅋ 서울이랑 항구 공항 다 빼고 땅값에서 게임이 안됩니다. 지방광역시도 마지막 불꽃 태우느라 개발하는데(부산강서, 명지, 대구 수성알파시티 등) 토지원가부터가 다름...
@user-ht7xy9sx7p
@user-ht7xy9sx7p 2 жыл бұрын
어떤일 하는데요?
@user-ht7xy9sx7p
@user-ht7xy9sx7p 2 жыл бұрын
@@roy4224 차설계는 부산에도 할수있지 않나요?
@user-ht7xy9sx7p
@user-ht7xy9sx7p 2 жыл бұрын
@@roy4224 혹시 어떤대학나왔나요?
@roy4224
@roy4224 2 жыл бұрын
할수야있겠죠 하지만 그곳에선 배를 채울수가 없습니다
@San-gr3vl
@San-gr3vl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런 뉴스 너무 좋네요 기자님들 더 만들어주세요
@separk906
@separk906 4 жыл бұрын
인천은 서울 옆에 있고, 국제 공항이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수도권이 계속 이런 상태를 유지 한다면 부동산부터 미세먼지 등의 다양한 문제 해결을 할 수가 없어요
@bbubbuiam
@bbubbuiam 2 жыл бұрын
국토부는 지방 공항이 더 커지는걸 원하지 않거든요.. 김해공항이 연간 이용객이 1000만명에 달하고, 활주로 수용용량이 100%를 넘어도, 신공항은 계속 미뤄지고 심지어 장거리 노선은 취역조차 못하게 합니다
@user-jeondongmin
@user-jeondongmin 2 жыл бұрын
@@bbubbuiam 왜 국토부가 비수도권 공항 커지는게 싫은가요?
@라이프킴
@라이프킴 Жыл бұрын
​@@user-jeondongmin06:08
@레아-i7y
@레아-i7y 4 жыл бұрын
부산의 문제점... 대기업 유치는 못하고.. 기존 공단 다 외곽으로 내보내면서 첨단도시 만든다고 밀었더니 아파트 들어서고.. 중소회사만 밀집되어 있으니 임금낮아서 청년들은 수도권 가니 인구 빠져나가서 주택 공실 생기더니 아파트도 공실 생기기 시작함(정관신도시)
@chan2gim
@chan2gim 4 жыл бұрын
그런데도 부동산값은 집하나끌어안고 사는 틀딱들 때문어 내려올생각을 안하지 ㅋㅋㅋ
@시카다3301
@시카다3301 4 жыл бұрын
장담하는데 앞으로 점점 똥값됨니다 그이유는 자연재해때문에 10년만지켜 보십시죠
@가우디-b1k
@가우디-b1k 4 жыл бұрын
김집사 그래도 마린시티 나름 고급이란이런대도 싸자나요 서울생각하면 진짜 저려미임
@chan2gim
@chan2gim 4 жыл бұрын
@@가우디-b1k 서울이랑 비교하면 안되죠 부산은 서울에 비빌 사이즈가 아닙니다 마린시티나 부산에서 부촌이라고 불리는 지역들만 비싼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수요나 도시규모에 비해 거품이 낀부분이 있어요
@가우디-b1k
@가우디-b1k 4 жыл бұрын
김집사 근대 서울에살다보니 가끔 지방집값보면 나가야하나도 생각이들긴해요 서울변두리아파트인곳이사는대 3달동안 비정상적인 2.5억이올라 실거래가되었습니다 현재 전세살아 나가야합니다 참 빡빡해요..
@지방-e7u
@지방-e7u 3 жыл бұрын
도 (면적 순으로 나열) 1. 경상북도 19,030km²(2,636,747명) 2. 강원도 16,875km²(1,548,750명) 3. 전라남도 12,247km²(1,849,795명) 4. 경상남도 10,533km²(3,336,045명) 5. 경기도 10,171km²★(13,471,757명)★ 6. 충청남도 8,204km²(2,119,542명) 7. 전라북도 8,067km²(1,801,319명) 8. 충청북도 7,433km²(1,599,122명) 9. 제주도 1,849km²(675,137명) 광역시 (면적 순으로 나열) 1. 인천 1,063km²(2,941,705명) 2. 울산 1,057km²(1,132,953명) 3. 대구 883.5km²(2,413,191명) 4. 부산 770.0km²(3,387,761명) 5. 서울 605,2km²★(9,648,606명)★ 6. 대전 539.8km²(1,462,064명) 7. 광주 501.2km²(1,447,953명) 수도권 인구(서울,인천,경기도) (면적 11,839.2km²) 26,062,068명 그 외 지역 (면적 87,989.5km²) 25,759,601명
@lljsiiizca
@lljsiiizca 3 жыл бұрын
울산 100만안되지않나요??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lljsiiizca 113만인데요?
@kyj4160460
@kyj4160460 4 жыл бұрын
간만에 제대로된 보도하네
@SirCardogan
@SirCardogan 4 жыл бұрын
로드맨이 좀 해
@user-lf5qz9vx1p
@user-lf5qz9vx1p 4 жыл бұрын
로드맨은 그래도 제대로된 보도하는 몇 없는 기자분
@성이름-l4l3m
@성이름-l4l3m 4 жыл бұрын
민식이법 끝까지 옹호하는 여느 채널보다는 나은듯
@ychipping_norton3655
@ychipping_norton3655 4 жыл бұрын
MBC 는 항상 옳습니다. 다른 방송에 비해..
@user-jt8ce3jd7c
@user-jt8ce3jd7c 4 жыл бұрын
로드맨은 재밌음...
@jolibee461
@jolibee461 4 жыл бұрын
하나만 얘기할게. 동해남부선 부산에서 울산구간 그 짧은거리 복선화 하는데 30년 넘게 걸렸다. 일명 모종삽 공사였지. 수도권이었다면 얼마나 걸렸을까? 균형발전? 그럴 생각은 있기나 한건지....
@경감
@경감 4 жыл бұрын
수인선도 30년 걸림... 걍 코레일이 국가자본으로 깔면 엄청오래걸려요.. 민자로 깔아야함
@TransparentUmbrella
@TransparentUmbrella 4 жыл бұрын
코레일은 원래 티스푼으로 공사하는데 능한 기업입니다.
@jakean3234
@jakean3234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이런 soc사업은 그냥 탑다운으로 밀어붙여 버리는게 훨씬 빠름 경부고속도로 건설하는데 2년도 안걸렸음 지금은 절차도 많고 타당성 조사도 해야하고 이해관계 조정도 해야하고 잡스러운 일이 많으니까 오래 걸리는거임 지금도 돈만 제대로 투입하면 공사기간 자체는 그리 길지 않음
@비공개-q7f
@비공개-q7f 4 жыл бұрын
수인선은 티스푼공사로 25년만에 재개함!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4 жыл бұрын
@r r 개소리야ㅋㅋㅋ 수도권분산이 최고로 중요하고 우선인데 왜 수도권보다 약한 경상도발전을 흩어놔야하지?? 어쩔수없긴ㅋㅋㅋ 수도권에서 서울아니면 몰릴이유가 없는데
@찬이-c8x
@찬이-c8x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금 부산사는 20대로써 뭔가 부산 점점 생기를 잃어가는게 보임
@사도자-d8h
@사도자-d8h 4 жыл бұрын
그건 다른 곳도...
@ppk2217
@ppk2217 4 жыл бұрын
ㄹㅇ 문제는 부산뿐만 아니라 대구 경주 광주 등등 대부분의 지방도시들이 빠른 속도로 쇠퇴하고 있음
@ejcofjeksk
@ejcofjeksk 4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 바로 눈에 보이는건 저런 문제보단 코로나 때문에 경제가 많이 죽어서 그런거같고 코로나 다음 문제가 이거라고봄 사실 예전부터 이 문제는 꾸준히 거론되어 왔는데 지금와서 뒷북 맨날 문제 제기해도 이 큰 그림을 바꿀 사람이 요지부동인데 바뀔 리가 .. 그러니 서울 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오지
@이전닉네임
@이전닉네임 4 жыл бұрын
경주는 이유가 살짝 다른 느낌
@만두만듀-e5b
@만두만듀-e5b 4 жыл бұрын
그나마 부산은 생기가 잃어가는게 보이기라도 하지 다른 소도시는 이미 관짝에 들어가서 문닫기 일보직전임
@명품탈곡기
@명품탈곡기 2 жыл бұрын
결국 지금 출산율 땅바닥인것도 서울민국 때문이라는게 엄청 큰데 진짜 분산 시켜야 실수요가 줄고 집값 안정화가 될텐데 그래야 당연히 결혼도 늘고 출산율도 늘고 하지
@tyler1612
@tyler1612 2 жыл бұрын
어느 미친놈들이 자꾸 수도권 과밀집을 해소하라니까 자꾸 수도권 경기도에 자꾸 사업을 시작하네... 적어도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를 중심으로 개발하고 각도는 대도시 중심으로 개발하면 되는데...
@magnificent7etn
@magnificent7etn 4 жыл бұрын
부산이 저정도면 다른곳은 더 노답이지
@동대구역-c9m
@동대구역-c9m 4 жыл бұрын
뭔 노답이야 똥푸산 산동네 시골 촌구석에 사냐 똥푸산만 쳐망해가는데??
@kevinkim3199
@kevinkim3199 4 жыл бұрын
@@동대구역-c9m 홍?
@imoshutddanaerye4196
@imoshutddanaerye4196 4 жыл бұрын
@@뿐타치 저건 삭은내가아니라 그냥 썩은내인데
@하으니-t
@하으니-t 4 жыл бұрын
@r r 맞어 근데 웃긴게 부산에서 서울로 탈출해서 노는 애들 태반임 ㅋㅋ 그러다 쫓기듯이 다시 부산으로 감
@sun-h2r
@sun-h2r 4 жыл бұрын
@@동대구역-c9m 라도는 ㅋㅋ 끼지도 못하면서 조용히 하자
@양반김-n7s
@양반김-n7s 4 жыл бұрын
노무현....앞서 갔지......정부청사를 옮긴다......참 좋은 기획이였는데....정권바뀌면 손발 다짤리고.....결과적으로 공무원들 ...부동산 차익만 높여주고.... 교통이 좋아지니....서울에서 출퇴근을 하게 됐지......한국은....지역균형 발전 안되면.....망해....지금도 이지경인데......거기다 다문화 정책도 엉망이지...이 두가지가 실천 안되면 한국...희망없어...... 첨엔......일자리였지? 그다음......의료시스템 붕괴 .....유입이 안되니....노령화..되고.......슬럼화 되겠지? 그 자리 누가 채울까? 외노자....조선족들이겠지... 여기서 또 문제가 터지지....그럼 점점 폐쇄되거든...우리나라도 이젠 외국인들 많아...그럼 외국처럼 ....지역 갈등이 인종갈등으로 번질거고....일베들은 또 난리칠거고....ㅋㅋㅋㅋㅋ 지금제대로 못잡으면 진짜 심각해~
@logan-us3wg
@logan-us3wg 4 жыл бұрын
노무현때 부동산 폭등한 거나 보고와. 순진한 척 하지 말고.
@아띠-u7n
@아띠-u7n 4 жыл бұрын
@@logan-us3wg 무식하면 용감해지지 말고 왜 폭등하게 되었는지 공부부터 해라.
@이주환-d4g
@이주환-d4g 4 жыл бұрын
@@logan-us3wg 뭐 들은걸로 씨부리는 같은데 제대로 알아보고 말해라
@longwid294
@longwid294 4 жыл бұрын
@@logan-us3wg 그게 노무현 탓이냐? 친일적폐놈들이 그런거지
@서호-c4r
@서호-c4r 4 жыл бұрын
@@logan-us3wg 집좀 많이 사 놓지 주식도 사이드카 개 폭등 했는데 ㅋㅋ 개 좋은 시대 였지...
@soonchicken
@soonchicken 4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집중이 나날이 심해지면 심해졌지... 과밀 현상을 막기 위한 신도시를 만든다면 아파트만 우후죽순 만들지말고 배후일자리를 잘 만들어야됩니다... 2기 신도시만 해도 운정같은 경우엔 아파트촌인데 판교같은 사례를 보면 산업, 상업, 주거, 문화, 여가 등등 모두 다 조화가 잘 되어있어요. 교통도 편하죠. 지방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면 집만 지어놓고 출근은 서울로 오고가게끔 하지 말고, 공기업 무작정 지방에 때려박는 것처럼도 하지말고, 모든 기능이 골고루 충족된 계획이 필요해보입니다... 세종시만 하더라도 노잼도시라고 서울에서 출퇴근하잖아요.
@rlagns0802
@rlagns0802 4 жыл бұрын
이거다
@권지용-f8c
@권지용-f8c 4 жыл бұрын
세종사는 시민입니다 우울증걸릴거같아요
@TastyBusan
@TastyBusan 3 жыл бұрын
@@권지용-f8c 세종이 노잼도시를 탈피하려면 즐길거리를 위해서라도 대학 몇개 내려오고 놀이공원이나 워터파크 하나 만들고 해야하는데 그러기엔 이미 세종도 투기열풍의 최전방에 서 있어서 힘들 것 같네요
@힐러타임
@힐러타임 2 жыл бұрын
판교 진짜 멋진뿜뿜~ 판교는 살고 싶더라 판교는 누가봔도 멋진 도시 살고 싶은 도시에 사는게 다 같은 마음이겠죠
@eh3dus7
@eh3dus7 3 жыл бұрын
서울 말고도 대전, 광주, 대구, 부산쪽만이라도 발전해야 할텐디...
@user-pj8hl3tv2u
@user-pj8hl3tv2u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대전,대구,광주는 경쟁력이없음 부산이야 울산중공업,포스코 근처에있고 부산항으로 수출이 원활해서 경쟁력이있는데 딴데는
@eh3dus7
@eh3dus7 3 жыл бұрын
@@user-pj8hl3tv2u 맞아요. 서울의 대척점인 부산권 도시들이 광역전철로 연결ㄱ됐으면..
@korean_vocaloid_lab
@korean_vocaloid_lab 3 жыл бұрын
서울-수도권 광역 급행 철도 대전-충청권 광역전철 대구-대구권 광역전철 광주-호남권 광역전철 부산-동해선 광역전철, 부전-마산간 광역전철
@gudals178
@gudals178 3 жыл бұрын
산업자체른 나눴으면.. 대전 정부청사,공기업 부산 제조업 광주 it산업 이런식으로 나뉘서 발전시키면 좋으련만..
@이건우-b7c3x
@이건우-b7c3x 3 жыл бұрын
광주는 이제 끝물 아닌가 한전 하나 믿고 가는 거 아님?
@Sneak-er
@Sneak-er 4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참 좋은 취지라고 생각합니다.
@뭐야저게
@뭐야저게 4 жыл бұрын
컨텐츠 좋은듯
@김인화-r6f
@김인화-r6f 4 жыл бұрын
좋은 것 같습니다.
@꿈꾸는모험가
@꿈꾸는모험가 2 жыл бұрын
같은거 좋습니다
@거베라-r1s
@거베라-r1s 4 жыл бұрын
부산에 문제점만은 아니다 대구 부산 광주 전라도 남북. 경상도 남북 강원도 일자리 전체가 수도권에 집중되어있어서 지방 학생들은 답이 없다 수도권에도 안되면 걍 해외로 가는게 더 현명하지 않는가?
@EXSEZEXS
@EXSEZEXS 4 жыл бұрын
해외가는건 공짜로보내주냐? 현명같은소리하내 ㅋㅋ 외국나가서 취직해서 사는게 서울취직보다 더어려워 개소리를 장황하게 늘어놨내
@거베라-r1s
@거베라-r1s 4 жыл бұрын
@@EXSEZEXS 백날천날 집에서 인터넷 워리어로 사느니 해외갈돈 돈이라도 모으겠다 외노자 수입1위가 한국이란것만 알아둬라
@EXSEZEXS
@EXSEZEXS 4 жыл бұрын
@@거베라-r1s 그래서 당신의 현실은 지금 어떤대? 정작 현실개백수 인터넷워리어는 본인 얘기아님?? ㅋㅋ
@vacant3360
@vacant3360 4 жыл бұрын
@@EXSEZEXS 헬마우스 어서오고
@user-ul1rf8yj8u
@user-ul1rf8yj8u 4 жыл бұрын
지방 병사
@맞아요맞아
@맞아요맞아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인구가 과밀집 되는 것은 교육만 해도 소위 명문대학교가 서울에 밀집해있습니다 결국 지방 인재들은 대학교를 가기 위해서 싫든 좋든 서울로 몰리게 됩니다 같은등급의 성적 혹은 조금 더 떨어지는 인서울 대학교와 지방국립대 고르게 되면 요즘 풍토는 대부분 인서울 대학을 택합니다 이미 20대부터 서울로 몰리게 되고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닌 취업자리 또한 서울에 대기업 포함 여럿 기업과 일자리가 있습니다 취업을 향하다보면 또 남아있는 지방인재들도 서울로 향하게 됩니다 이렇다 한 실정에 기존 서울인구까지 합하다보니 사람은 많고 땅은 좁고 집은 없고 부동산 값은 거품이 잔뜩끼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거기다 곧 죽어도 서울 살거라는 허영심 가득한 사람들도 포함이라 더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다 보니 지방은 청년층이 얇아지고 서울의 청년들은 먹고살기 빠듯해서 출산은 고사하고 결혼까지 거부하는 실정입니다 근본적인 문제에서 출산율 문제까지 이어지고 이를 해결하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정책이 필요한데 지금 어떻습니까? 사회취약계층은 굶어 죽어가는데 정치권은 그저 북한 아니면 정치적 보복 및 밥그릇 싸움만 해댑니다 이미 기득권에 들어선 자들이라 사회취약계층은 관심도 없고 본인들의 자리의 본연업무가 무엇인지 망각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100년도 못채우고 폐망합니다 국민들이 정신차려야 되는데 또 생계에 치이다보니 거시적으로 보지 못하고 사탕발림에 투표하고 이념으로 투표하고 있습니다 나라 진짜 암울합니다
@김덕배-s9z
@김덕배-s9z 4 жыл бұрын
미래가 없는 이런쓰레기같은 나라는 망하는게 후손들은 위한거임
@도망쳐-w9q
@도망쳐-w9q 4 жыл бұрын
맞는말임
@토냥-i8q
@토냥-i8q 4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맞는 것 같긴한데 곧죽어도 서울 산다는 사람들이 다 허영심 때문에 그런건 아니에요ㅋㅋ 저만해도 서울에서 나고자랐는데 지방 아무곳이나 가도 지하철 있는줄 알았음. 그 유명한 서울촌놈이라고... 암튼 서울에서 나고자란 사람들이나 익숙해진 사람들 입장에선 서울이 너무 편해요. 교통부터해서 여러가지 문화생활(특히 연극, 뮤지컬 같은 여러 사람들이 모여야하는 문화생활)과 대기업, 교육환경 등등 서울을 떠나고싶을 이유가 없는거임ㅇㅇ 지방에서 올라온 엄마말을 들어보면 서울이랑 다른곳이랑 공기차이부터 많이나서 서울같은 도시만 오면 숨이 턱턱막히고 지방가면 공기가 좋다고 하는데 그 조차도 서울에서 태어났으면 잘 몰라요.. 어차피 본인이 나고자란 고향이 제일 편한건 모두가 그렇지 않을까 싶은데 서울에 인구가 많다보니까 서울이 고향인 사람도 많아서 더 서울에서 벗어나고싶지 않다고 하는게 아닐까 싶어요.
@토냥-i8q
@토냥-i8q 4 жыл бұрын
아 근데 좀 그런건 있음. 서울사람들끼리는 서울이 고향이라고 소속감이 생기는 경우가 없는데 대구, 부산 등등은 사투리로 서로 알아보고 으쌰으쌰하는 분위기가 있더라고요. 처음엔 신기했는데 갈수록 부러워짐ㅋㅋ
@coonpersovenita1951
@coonpersovenita1951 4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대학이 '명문'이라서 몰리는게 아니라 '서울'이라서 몰리는게 맞다고 봅니다. 명문이라 할 수 있는 상위권 대학 몇몇 빼고는 지거국보다도 못한 입결도 가지고 있죠..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인구의 대부분은 2~30대 청년층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학업 및 취업이구요. 젊은 층 인구가 지방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삶을 보장해줘야 수도권 유입이 적어지고 지방이 살 길인데, 수도권과 지방의 연봉차이는 갈수록 커져가고 양질의 일자리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니 어쩔 방도가 없습니다..
@heyboy4982
@heyboy4982 4 жыл бұрын
부산은 망했으요.. 정치인들 지들 밥그릇 싸움한다고.. 부산시민은 뒷전 입니다. 노인만을 위한 지역.. 앞으로 부산은 코로나로 인해 안그래도 관광객 줄어들어서 줄줄이 망하고 있는데 젊은층들은 다 서울로 가고.. 부산은 앞으로 제2의 도시가 아님... 팩트
@틀딱폭행전문
@틀딱폭행전문 4 жыл бұрын
니들이 국짐당 뽑았으니까 알아서 하셈 ㅋㅋ 누굴원망해
@sdgd-jv5bx
@sdgd-jv5bx 4 жыл бұрын
@@틀딱폭행전문 전시장 오거돈이 언제부터 국짐당이였누 ㅋㅋㅋㅋㅋㅋ
@틀딱폭행전문
@틀딱폭행전문 4 жыл бұрын
@@sdgd-jv5bx 누가 시장 말했음? 난 국회의원 국짐당 14석 민주당 3석 말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틀딱폭행전문
@틀딱폭행전문 4 жыл бұрын
@@sdgd-jv5bx 14석 만들어줬으니까 양심 있으면 민주당 원망하면 안되지
@skuu5361
@skuu5361 3 жыл бұрын
근데 제2의도시는 부산아닌가요? 인천이라는사람들 이해안감..
@usgto마요미1225
@usgto마요미1225 4 жыл бұрын
제발 균형개발했으면 좋겠다.. 서울하고경기만 개발하니까ㅡ.ㅡ 거기로 모였어..서 다른 소도시.. 인구가 감소하는데? 국회의원 뭐하지?
@user-qr2xq7db8ye
@user-qr2xq7db8ye 4 жыл бұрын
ㅇㅈ이요 ㅠㅠ 다 그쪽으로 몰려있으니까 서울쪽은 집값도 그렇고 회사 경쟁도 더 치열해질텐데.. 하
@안녕빵꾸똥꾸삥뽀루삥
@안녕빵꾸똥꾸삥뽀루삥 4 жыл бұрын
지역 개별성 특성화개발이 활발해지면 좋겠네요ㅜㅜ
@dynastiummappinganimationp4046
@dynastiummappinganimationp4046 4 жыл бұрын
강원도는 그렇다 쳐도 호남 호서같은 데에도 영남에 준하는 개발은 해줬으면...
@pmrjang1322
@pmrjang1322 4 жыл бұрын
회사들이 바보도 아니고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니 다 서울에 몰리는 거겠죠..? 장점이 없는데 기업이 지방으로 갈 이유가 없어요 공장같은거만 내려보내고 본사는 서울
@753
@753 4 жыл бұрын
@@pmrjang1322 회사는 그렇게 하는게 당연한데 바꿀려면 나라를 쪼개는수밖에 없을듯. 영국처럼 국가가 쪼개져있으면 맥주회사를 하나만들어도 자기나라에 본사가 있겠지.
@jb7284
@jb7284 4 жыл бұрын
일자리없지 문화시설등 인프라도적지.. 사람도없지 그나마있던 사람들도 꿈을찾아 수도권으로 몰리는거지 다아는 사실이지만 해답을 찾기는쉽지않는문제..
@레몬좀나르고빚갚으리
@레몬좀나르고빚갚으리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난 지방에서 살고싶다 일자리만 있으면.... 서울은 집이 넘 비싸다...
@레몬좀나르고빚갚으리
@레몬좀나르고빚갚으리 4 жыл бұрын
@Korea South 지방에 대기업 많아요.. 사실 지방이 서울보다 대기업이 많아요 공장으로 따지면요.. 울산이 대표적이고 여수 대산 이런쪽에 일자리 엄청나죠.. 다만 들가기 어려울뿐
@이전닉네임
@이전닉네임 4 жыл бұрын
밀집된 수도권이랑 전국에 퍼져있는 공장을 비교할 수는 없죠ㅎㅎ. 그마저도 대기업있다고 할 수 있는 곳은 울산 구미 뿐인데 이 곳의 일자리도 계약직 아니면 평범한 스펙의 사람들이 갈 수가 없으니 대기업이 없다고 볼 수 있죠 = 탄탄한 일자리도 없고요
@mnbvcxz3709
@mnbvcxz3709 4 жыл бұрын
글쿠나.. 서울 살기 힘들어서 몇년 있다가 지방에서 살려고했더니ㅠㅠ
@이전닉네임
@이전닉네임 4 жыл бұрын
@@mnbvcxz3709 아녜요 오세요 서울보단 싸요
@yangaa87
@yangaa87 4 жыл бұрын
그일자리 때문에 서울 오는거죠ㅠㅠ
@user-xr7zx8gx2b
@user-xr7zx8gx2b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노는것도 사는것도 부산이 좋은데 부산사람이라면 다 공감하지않을까싶다 다들 부산에 살고싶어하는데 센텀시티부터 해서 동백섬 벡스코 해운대 볼거리도 많고 서면 특유의 분위기랑 서울에 비교안되지만 너무 붐비는 서울보다 적당히 놀기좋은곳 데이트할곳도 찾아보면 괜찮은데 일자리랑 출산율감소가 제일 문제가 아닌가싶다
@가을냄새-r4r
@가을냄새-r4r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서 부산을 자주가고 서울은 사람구경
@라이프킴
@라이프킴 Жыл бұрын
부산출신이자 인천 5년째 사는 사람입니다. 맞습니다 부산이 너무 살기 좋죠. 관광도 잘되있고 ㅠ 기후도 좋고 사람 인심도 좋고요. 근데 인천와서 살아보니깐 왜 수도권이 좋은지 알겠더라구요. 모든게 다 있습니다. 부산에 없는 인프라 인천에는 너무 많으니깐요. 혹 없어도 근처 경기권이나 서울에 있으면 건너가기 쉽고 생활권도 공유가 가능해서 삶의 질이 대폭 상승하더군요. 개인적으로 부산이 참 잘되었으면 하는데 아쉽습니다
@호잇호잇-y9f
@호잇호잇-y9f 4 жыл бұрын
이거 부산만의 문제가 아님 괜히 공공기관 뿌리고 수도 이전하자고 하는게 아님 사실 저출산의 문제는 소득(직업의 안정성과 함께) + 자산격차(정확히는 부동산문제) 인데 이중 부동산문제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한축임 사실 지방에서는 서울에서 벌수 있는 소득정도면 부부가 10년정도만 고생하면 아니 5년정도만 고생하면 은행 대출받아서 충분히 집살수가 있음 결국 대한민국의 저출산문제의 원인이 전부 수도권 집중때문이라고는 할수 없지만 수도권 집중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건 부인할수없는 사실임 적어도 50프로이상은 그때문이라고봄
@김인화-r6f
@김인화-r6f 4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중요한 이유를 모르는게 안타깝죠.. 집값잡을려고 무리하고, 수도이전 이야기하는게 괜히 나오는게 아닌데말이죠..
@호잇호잇-y9f
@호잇호잇-y9f 4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사람들도 각성해야되는게 도시라고 아무런개발없이 영원히 쓸수있는게 아님 지속적으로 낙후된곳을 순환시켜서 개발해야 도시의 인프라와 퀄리티가 유지되는데 이렇게 뭐만 하려고하면 부동산폭등일어나서 수도권은 수도권대로 아무것도 못하고 지방은 지방대로 죽어나감 그때되서 인프라 뿌릴라하면 이미 나라가 초죽음 상태임 하루빨리 지역 마다 거점 도시들을 서울마냥 키워서 그 해당지역의 서울이 되게끔 해야 균형이 이뤄짐 충청도는 대전세종청주 전라도는 전주 광주 경상도는 대구 부산 울산 강원도는 원주 춘천 강릉 등 이미 그잠재력이 있는 도시들이 있는데 왜 이리 답답한지 에휴ㅜ
@불공뿔공
@불공뿔공 4 жыл бұрын
부산이 어렵다? 서울 경기도 인천 빼고는 다 ㄴ답이라고 보면 됨
@Slowdy15
@Slowdy15 4 жыл бұрын
수원아이가
@클리닉-r3h
@클리닉-r3h 4 жыл бұрын
아아 뼈맞음
@YedamHS
@YedamHS 4 жыл бұрын
부산이 어렵다라기 보다는 부산조차 어렵다가 더 정확할 듯
@MYNIGGA1
@MYNIGGA1 4 жыл бұрын
수원 평택 성남 고양 시흥 의정부 부천 김포 안양 군포 용인 이천 남양주 2019 통계청발표 경제지표 급등지역 인구급등지역 지역고용호황지역
@norang2jjindor2
@norang2jjindor2 4 жыл бұрын
@김진우 sk하이닉스
@Eroica_01
@Eroica_01 4 жыл бұрын
부산에선 일자리가 없습니다. 그나마 있는 것들도 경력직 신입을 선호하는 이른바 월급 후려치기도 심합니다. 그래서 부산사람들은 부산에서 취직하는건 호구짓이라는걸 알고 떠나는겁니다.
@highblue364
@highblue364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ㅠ 부산취준생인데 힘드네용ㅠ
@lastlight3974
@lastlight3974 4 жыл бұрын
친구가 수원에서 일하는데 부모님 가까이 살고 싶어서 부산 올려고 직장 알아보다가 포기했다고 하더군요. 이유가 같은 일 하는데 월급이 100만원이나 적다고;;;
@5752380
@5752380 4 жыл бұрын
지방도시들의 공통적인 문제인듯해요... 제가 광주에 살다가 서울로 올라와서 생활하고있는데요... 지방중의 지방 소도시에서 방학때 단기알바 때문에 잠시 머문적이있는데 사람이없어서 차라리 월급을 많이 부르더라고요.(17년도인가 그때 대학다니며 3학년때..? 호텔에서 백오피스 기본만 3천 불렀었음 지방이 오히려 돈을 많이불러서 일하러 다녔던...) 근데 광주에서는 같은직무에 일은 더 많은데 최저를 줌. 그리고 서울을 올라오니 여기도 다를바없던... 근데 서울의 장점은 기반시설이 좋다는게 장점. 어차피 같은 돈 벌꺼면 지방도시가아니라 서울에서 살지... 완전 소도시쪽은 차라리 돈이라도 많이주지; 살기도 힘들고 문화공간은 없는데 돈까지 안주는 지방도시? 살 이유가 없음... ㅠㅠ
@변사또-b4o
@변사또-b4o 4 жыл бұрын
부산은 그나마 좋은겁니다. 전남쪽이나 강원쪽은 그나마 그런일자리도없습니다...
@soonhoney4419
@soonhoney4419 4 жыл бұрын
제2외국어 능통자뽑는데 초봉2500준다고 하더라구요 부산ㅋㅋ 100인 정도 기업인데
@장은실-g6m
@장은실-g6m 3 жыл бұрын
부산은 공기도좋고 관광도갖추고있는데 일자리만 있어면 정말살기좋은 도시인데
@강태공-l6y
@강태공-l6y 2 жыл бұрын
부산시장한테 따지는게 좋을것 같네요 존재감 전혀없고 부산L시티 2채인가 분양받았던데 본인 사리사욕만 채우는거 아닌지요? 말많은 건물 2채분양이라 안봐도 알것 같네요 일자리를 만들만한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를 유도해야죠
@Xbow_master
@Xbow_master 2 жыл бұрын
과연.. 편리함은 인간의 욕심 끝판왕인데
@uuunanda6270
@uuunanda6270 2 жыл бұрын
@@강태공-l6y 정치병자들 지난 5년간 부산시장이 누구였는데?
@진주류씨
@진주류씨 2 жыл бұрын
@사용자 확실히 이좁은나라안에서도 지역갈등 조장하는 잡놈이 많은듯 생각하는꼬라지가 답이없는듯
@223handy
@223handy 2 жыл бұрын
@@moojin2yo 동래>평양이었음?
@잭팟-r4b
@잭팟-r4b 4 жыл бұрын
부산은 그래도 경치좋고 인구빨이라도 있지. 지방도시 10만명 간신히 유지하는곳은 죽을맛임. 물론 부산도 요즘 힘든거 아는데 지방소도시 죽여놓고 서울만 잘살면 뭐하냐.
@dmsqlths16
@dmsqlths16 3 жыл бұрын
옆동네보다 돈이 더 많은데 인구가 적은 도시에 사는 1인
@민몽-v7k
@민몽-v7k 3 жыл бұрын
통영사는 사람인데 시장이라는 사람이 관광지활성화, 뉴딜사업 ㅇㅈㄹ하면서 섬을 잇는 다리를 짓고, 이상한 타워를 짓는다고 하지를 않나, 폐조선소를 청년창업 어쩌고 하면서 개조한다고 하고, 별의별것 다하는데 나라돈 빌려서 몇천억 쏟고 정작 일자리 문제는 해결된게 1도 없어요. 물가는 수도권보다 오히려 비싼데 경제는 점점 안좋아지고 있고, 중견기업이 하나도 없어서 일자리 찾기도 정말 힘듭니다
@yoyo-xr8ie
@yoyo-xr8ie 3 жыл бұрын
@@강아지고양이-g3o 그런기업이 지방으로갈까요?
@손채윤-i7v
@손채윤-i7v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나라망친 관료 사대부들이 현시대엔 서울 수도권에 살고있으니 .........힘들지
@dreamer5958
@dreamer5958 4 жыл бұрын
정치권 책임이 크지. 말로만 국토 균형 발전을 외치면서 서울에 최소 집 한 채 이상 가지고있는 국회의원들이 한둘인가? 심지어 지역구 연고의 의원들조차 서울에 집이 있으니...
@이윤섭-q8n
@이윤섭-q8n 4 жыл бұрын
아니 근데 국회의원들은 국회에 출근해야하니까 국회 주변에 집 있어야지ㅋㅋㅋ
@Jo-xk4fw
@Jo-xk4fw 4 жыл бұрын
하나만 있으면 모를까.. 과연 지 사는집만 가지고 있는 국회의원이 있을까?
@janebaek9550
@janebaek9550 4 жыл бұрын
@@이윤섭-q8n모국회의원 서울 투기지역에 집만 사놓고 거주는 다른 곳에서 전세로 삼.
@초록송아지-t7u
@초록송아지-t7u 4 жыл бұрын
집있는건 둘째치고 광역시단위에 광역전철이나 설치해주면 되는데 그걸 안함
@최공일
@최공일 4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정지가 잘못해서 이렇게 됬다고 얘기하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 서울쏠림현상은 대한민국의 압축성장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게 무슨 전철하나 만들고 건물나 지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님. 부산을 발전시키려면 결국 부산에 기업들이 들어오고 산업이 발전해야 하는데 기업들 입장에서 수도권보다 부산이 갖는 메리트가 없다 보니까 지자체나 나라에서 뭘해도 안되는 거임. 말한마디로 이렇다 얘기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한다.
@user-kb8xd3uk5h
@user-kb8xd3uk5h 4 жыл бұрын
경기 사람인데 요세 우리지역도 사람이 많아진게 느껴짐. 좀 제대로 인구 배치 되도록 지방 기업유치에 힘 좀 썼으면 좋겠음. 그럴려 하면 젊은층이 지방에서 살고싶게 만들어야 함. 계속 저 상태면 인구감소는 더 심해질거임 결국 국가 성장력도 마이너스로 진입할거고
@lilillliilililll6088
@lilillliilililll6088 4 жыл бұрын
지방 유치를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임 효율적이지 못하니까
@Kidfrom4kron
@Kidfrom4kron 4 жыл бұрын
ㄹㅇ 수원에 사람들 너무 많아짐
@user-kb8xd3uk5h
@user-kb8xd3uk5h 4 жыл бұрын
@@lilillliilililll6088 가능하게 만들라는 소리임. 지금 이 상태가 지속되면 돌이킬 수 없음 심각해요 지금...
@user-kb8xd3uk5h
@user-kb8xd3uk5h 4 жыл бұрын
@@Kidfrom4kron 최소 4대째 수원 태생 경기 토박이인데 분명 어릴때는 그래도 밭도 있고 그랬는데 이제는 건물만 수두룩빽빽 하더라구요 동시에 인구도 엄청나게 늘어난듯... 수원 살다가 용인 왔는데 용인도 마찬가지구요...경기도 지역은 다 유입으로 인한 인구 증가세인듯
@빌클린턴-n3u
@빌클린턴-n3u 2 жыл бұрын
인천 부천이 더 심하던데 지하철보면 사람이 항상많음
@세상이-b9q
@세상이-b9q 3 жыл бұрын
서울에서 전문의까지 마치고 복잡한 서울이 불편하고 연로하신 부모님때문에 34세에 부산으로 내려와서 20년이 지났네요. 아이들 생각하면 괜희 낙향했나 싶기도 할만큼 지방에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네요.ㅜㅠ
@아이디-k2s
@아이디-k2s 4 жыл бұрын
그래.. 제발 지방 발전 좀 시켜줘.. 서울 머리아프다. 서울 떠나면 먹고 사는거부터가 해결이 안 되니까 어쩔 수 없이 붙어있는거지. 새로운 곳으로 자유롭게 좀 떠나고 싶다. 제발.
@명익-h4m
@명익-h4m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게 웃긴 딜레마게 지방을 발전시키고 싶은데 사람이 없어서 투자를 안하고 사람들은ㄴ 지방이 발전이 안되어 있어 지방으로 안가는 상황임
@숭덕04년생김성준
@숭덕04년생김성준 4 жыл бұрын
제발
@Glaysia
@Glaysia 4 жыл бұрын
@@바다-g3l1f 킹기도
@오렌지주스-o7t
@오렌지주스-o7t 4 жыл бұрын
@@바다-g3l1f 현재 서울 살고 있는데 나중에 경기도 남양주 쪽 살고 싶음..ㅎㅎ 자리 잡으면 말이죠~ 살기 좋은 동네같더라구요!
@bignosehikiknit53
@bignosehikiknit53 4 жыл бұрын
@@오렌지주스-o7t 수원 오십쇼
@ddoong-i
@ddoong-i 4 жыл бұрын
균형발전정책을 안 하는 게 아니라 그 방법이 잘못됐다. 지방 거점 도시가 다 죽어가는 상황에서 지방 소도시에 투자 100년 해봐. 이런 식으로는 몇백조를 쏟아부어도 지방 발전 안됨.. 도쿄-오사카를 생각해보길
@qkrwpsghkscnjsghks
@qkrwpsghkscnjsghks 4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수도권이 성장하는 속도보다 지방이 죽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거죠.. 지방이 살아야 우리나라 출산율도 회복되고 합니다. 우리나라 초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이 서울몰빵이죠... 서울청년들은 서울의 인구과밀로 인한 살인적인 집값 때문에 애못낳고 지방청년들은 희망.미래가 없기 때문에 애를 못낳는겁니다. 지방이 발전할 희망이라도 있으면 애를 낳겠죠..
@김민성-e8j4e
@김민성-e8j4e 3 жыл бұрын
미국처럼 각 '도'별로 미국의 상원의원 같은 의원직 만들어서 지역균형발전 시켜야함. 지금 수도권으로 인구유출 계속되면 지금 같이 국회의원을 인구수로 분배하면 지방은 힘이 더욱 약해짐. 경기 강원 충청 경북 경남 전북 등 각 시도별로 상원의원 2 명씩 임명해서 균형발전시켜야한다고 봄.
@빌클린턴-n3u
@빌클린턴-n3u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부산을 제2도시로 키워야합니다 오사카처럼
@내사람-u1z
@내사람-u1z 4 жыл бұрын
인천이 제2의 도시라기보다 서울의 외연이 확장되는 것뿐임 부산도 차라리 김해양산 등 주변 위성도시랑 같이 크는 방법밖에 없다
@박한솔-q3n
@박한솔-q3n 4 жыл бұрын
그게 가능 하다 생각하면 진짜 망구 방구석 생각임...
@박한솔-q3n
@박한솔-q3n 4 жыл бұрын
그게 될려면 부산에 직장이 있고 부외각이 배드타운이 되야하는데 그렇지도 않거니와 부산은 둘글지 않고 극단적으로 가로로 길기 때문에 맞지 않음. 부산은 죽었다 생각하고 포기 하는게 맞음. 부산사람으로써 진심으로. 걍 어촌이나 부두로 활용해서 사는 방법 밖에 없음. 억지로 부산에다 집어넣어 봤자 아무것도 안됨. 세계 허브는 진짜 개소리고 정치놀음임. 그거 위해서 힘쓰는 정치인 봤음? 선거철에나 입으로 씨부리지 저 위에 정치하고 지가 다스린다 생각하는 인간들은 당신들이 고통이 찌들려 괴롭게 살다 죽어가는게 개돼지들의 당연한 삶이라 생각함. 그러니까 저렇게 지 자식 꼽아 넣고 개돼지들이랑 다르다는걸 보여줄려고 하지.
@yong.yong_95
@yong.yong_95 4 жыл бұрын
김해 창원 양산이 부산이랑 같이 크는게 아니라 부산 빨아먹고 큼. 차라리 마창진이 부산보다 더 가능성 있을지도 모름 그 나물에 그 밥이지만 산업 기반은 더 확실하고
@박한솔-q3n
@박한솔-q3n 4 жыл бұрын
@@poiuytrewqlkjhgfdsamnbvcxzqwer ㅋㅋㅋ 그놈에 관광도시 특화 도시 소리는 개하면서 지방자생이 개소리임. 특화 도시가 어떻게 자생을 함 ㅋㅋㅋ 걍 다 거르고 봐야함
@skjnaslknd6790
@skjnaslknd6790 4 жыл бұрын
대구나 부산이나 비슷한 처지네 대구는 좀 더 극단적으로 생산 없이 소비만 하는 처지긴 한데
@김상록-r7d
@김상록-r7d 4 жыл бұрын
진짜 인구도 개말아먹고 남은 인구조차 수도권에 모인다 걍 ㅈ된거임 이미 시한폭탄임 늦었어
@753
@753 4 жыл бұрын
인구야 가진자들과 정치인들이 조선족 받는걸로 퉁치겠지 ㅋㅋ 대통령제의 한계지. 극우, 극좌가 무시되는 정치체계라.
@blueberry13117
@blueberry13117 4 жыл бұрын
🔴 문통님 덕에 경제도 좋고, 뉴딜정책으로 🔴 난 1억6천에 BMW X6 구매하고 여유있는데, 🔴 살기 팍팍하다는 서민은 어떤 부류인지? 🔴 💲💲오늘도 수입차 타며 즐깁니다 난💲💲
@dosto8
@dosto8 4 жыл бұрын
ㄹㅇ 내가 고딩때 한국지리 공부하면서 수도권집중화가 문제라고 배운 게 벌써 10년인데 바뀌긴 개뿔 더 심해지는중 진짜 노답인듯
@Abc_cbA_Abc_cbA
@Abc_cbA_Abc_cbA 4 жыл бұрын
경제 말아먹고 있는건 박정희 이후 죽 있었는데 오로지 문통바라기 ㅋㅋㅋ 늙다리들은 세뇌 당하면 무섭던데
@숩재
@숩재 4 жыл бұрын
@@blueberry13117 ㅋㅋㅋㅋㅋㅋ 아무도 관심 안주는거 개웃기네
@seo_hui_0412
@seo_hui_0412 4 жыл бұрын
울산 사람인데..부모님 고향은 부산이고..경상도는 진짜 .. 일자리가 다 죽고.. 청년들을 위한 정책도 적고 정말 지방은 없어요..제 주변에도 일이 없어서 다 상경하고 있어요..
@kno1rich829
@kno1rich829 4 жыл бұрын
그걸 전라도는 1970년대 부터 겪음 이미 끝났어요.
@성이름-t9
@성이름-t9 4 жыл бұрын
경상도는 그나마 타 지방에 비해 선방한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
@빡빡머리0
@빡빡머리0 4 жыл бұрын
경상도권은 그래도 조선이랑 부산이있어서 공단이랑 그런것도좀 있는대 전라도는 이미조져서 아무것도안남았어요..
@cristinashin2501
@cristinashin2501 3 жыл бұрын
대전은 기업도 없고,더군다나 노잼도시로 문화컨텐츠는 더욱 타광역도시에 비해 열악하고, 정치적으로도 홀대한다는ㅠㅠ 슬픔니다.제 여동생 부부 5인가족인데 45년넘게 살아온 대전을 떠나 2년정도 공들여온 직장따라서 주말부부로 지내다가 올7월에 경기도주민으로 떠나갑니다. 눈물이 납니다.대전에서 살고싶어 했는데요~피부로 와닿은 요즘입니다~
@sunlee3672
@sunlee3672 3 жыл бұрын
대전은 공무원 연구원 도시니까 뭐..
@lrvihsyeind
@lrvihsyeind 2 жыл бұрын
대전은 너무 좁은게 문제임 땅덩이가 좁다는게 아니라 번화가가 한개밖에 없음. 둔산동이 끝임. 은행동 대흥동은?이라고 할텐데 은행동 망한지오래고 대흥동이랑 둔산동은 비교도안됨ㅋㅋ 택시기사들 밤에 가는곳보면 답 나오는데 싹다 둔산동감 대흥동 안감ㅋㅋ 번화가가 하나밖에 없으니까 가면 아는사람 또마주치고 또마주치고 익명성이 없음. 이거 진짜 심각한 한계고 그래서 결국은 안가게됨 에휴...
@tanoshiofficial3893
@tanoshiofficial3893 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수도권 아니면 해외 취업이 답이지 지방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대부분이 별로 좋지 않다는 건 익히들 알고 있고, 더군다나 인프라도 제대로 마련 돼 있지 않음. 지방과 수도권의 기회의 차이가 진짜 크다고 본다.
@너만을사랑해-e7m
@너만을사랑해-e7m 4 жыл бұрын
@희hee ㅇㅇ 님 말이 맞음 한국에서도 노력도 안해놓고 정부탓 사회탓 하는 루저는 어딜가든 실패하는건 맞지만 한국에서는 충분히 노력을해도 그 노력을 노력 취급도 안해주는데에서 사는것보단 그 노력을 더 높게 사주고 대우도 더 좋은 해외로 가는건 어쩌면 당연한게 아닐까요?
@그만올리라곡소리
@그만올리라곡소리 3 жыл бұрын
@Sun nny82 해외는 아직 기회있
@최지훈-p6d6s
@최지훈-p6d6s 2 жыл бұрын
좆소기업이라고 부르는 회사들 외국애들은 못가서 안달 ㅋㅋㅋ
@risco-g2r
@risco-g2r 2 жыл бұрын
해외취업을 너무 쉽게 보는데ㅋㅋ
@tot2818
@tot2818 2 жыл бұрын
중소기업은 전국 어디나 근무환경이 별로 안좋음... 지방에서도 굵직한 중견정도 회사 괜찮은데 많습니다..
@알바트로스-s4h
@알바트로스-s4h 4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이 저렇게만든거지 특히 전라도같은경우 많은 기업을 정치적으로 죽여버리니 다 서울경기로 올라가지 지금 시골을 가면 다 노인밖에없다 50-60대가 청년회장을 할정도면 말다했지
@aimini123
@aimini123 4 жыл бұрын
우덜 기업은 이번에도 초부실기업인데도 수조원 지원해주던데?ㅋㅋ
@WoodyPride-d4e
@WoodyPride-d4e 4 жыл бұрын
통수치니까 서울경기로 떠난것 같은디
@김인화-r6f
@김인화-r6f 4 жыл бұрын
위에댓글둘은 정말 역사적으로전라도경제권이 왜약화됐는지모르는구나..
@알바트로스-s4h
@알바트로스-s4h 4 жыл бұрын
@@김인화-r6f 댓글달아줄 가치도 없는것들이에요 일본이 전라도를 쉽게 먹지 못해서 그런가 친일파새끼들이 통령 해먹으면서 전라도 죽이기에 여념이 없었죠
@HanaMaru_TUNA
@HanaMaru_TUNA 4 жыл бұрын
인구 분산이 인구 감소 해결의 첫 걸음임 지금처럼 수도권 집중 현상이 계속된다면 이 나라에 미래는 없다고 봐야겠지
@지-s9l
@지-s9l 4 жыл бұрын
이제 좀 있으면 분산 시킬 청년 수도 없음 ㅋㅋㅋ 나라 꼬라지
@박성준-u8x5b
@박성준-u8x5b 4 жыл бұрын
이이이게에 나아라냐고오오오오오오오~~~~~!!!!!
@네모-c1k
@네모-c1k 4 жыл бұрын
최종목적이 인구 분산이죠 그 첫걸음으로서 일자리창출 주거지원 지역복지 등이 있는거구요
@HanaMaru_TUNA
@HanaMaru_TUNA 4 жыл бұрын
@@네모-c1k 문제는 인구 감소의 원인을 저출생에서 찾고 애꿎은 출생률만 높이려는게 문제죠. 물론 출생률 문제가 맞긴하지만 그 저출생의 주 원인 중 하나가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에 있는 것이니 정부가 스탭을 잘못 밟고 있는거죠 물론 인구 분산이 쉽진 않으나 현재까지 출생률 높이려고 버린 돈만 해도 조 단위를 아득히 넘어가는데 그걸 직접적인 출생률 해결에 쓸게 아니라 인구 분산 방향에 썼다면 오히려 자연적으로 출생률은 늘어날건데 말이죠 이렇게 써놓으니 최종 목적은 인구 분산이 아니라 출생률 증가 및 국가 보존이겠죠
@norang2jjindor2
@norang2jjindor2 4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나라의 미래에 저해 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오히려 수도권에 집중화 되었기에 우리 산업 구조에 유리한 부분이 더 많습니다. 산업구조가 바뀌지 않는 이상 아무리 돈을 쏟아붓고 정책을 내놓아도 수도권 집중화가 완화되진 않을거라 봐요.
@whitebear0712
@whitebear0712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수도를 옮겨야 한다. 청와대 및 국회와 대법원늘 옮기고 대기업 본사는 각지역 특성화를 살려 지방이전시키고 서울에 집중된 대학들 및 대학병원들도 각 지방으로 분산시켜야 한다. 그래야 지역활성 및 서울 집중화를 막을 수 있다. 지금도 늦었다. 빨리 시작해야 한다.
@lulukim1724
@lulukim1724 2 жыл бұрын
수도를 옮길수가 있나? 외국의 모든 수출 입이 인천항에서 들어오는데, 운송비 들여가면서 그걸 바꿀 이유가 없지 특히 모든 제품은 중국에서 들어오는데,
@lulukim1724
@lulukim1724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지방 자치제를 왜 하는데요 지방 자체가 알아서 살아 남아야지요 국가에서 지원도 해주는데, 맨날 징징
@flynn6095
@flynn6095 2 жыл бұрын
@@lulukim1724 그렇다면 지방 발전소도 그 지방에서 자치로 운영해서 수도권에는 전력 및 수도 공급 끊어도 되겠네요 ㅋㅋ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2 жыл бұрын
옛날 부산 출신 노무
@내사랑곰빈
@내사랑곰빈 2 жыл бұрын
기업 유치를 해야하는데 지역감정 골이 심해서
@입문-r7f
@입문-r7f 4 жыл бұрын
부산은 다른 지방에 비하면 양반 아니냐? 에휴...다른지방 진짜 심각하다
@Arizona3955
@Arizona3955 4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제2의 도시가 이따구 수준이라는게 문제하는거잖아. 제2의 도시조차 이정도니까 다른도시들은 더 하다 라는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이 동영상에서 뭘 부산은 양반이니 이지랄들이지
@북극여우-p2n
@북극여우-p2n 4 жыл бұрын
@@Arizona3955 그냥 국토 90퍼센트 일본 주자니까 ㅠㅠ
@한국집-z8t
@한국집-z8t 4 жыл бұрын
하남은 살만함
@yodkssudgktp_1424
@yodkssudgktp_1424 4 жыл бұрын
@@북극여우-p2n 돈 아무리줘도 섬하나 안주는게 국제사횐데 국토90%는 뭔 말같지도 않은 개소리냐ㅋㅋㅋㅋㅋㅋ
@성이름-l9p9x
@성이름-l9p9x 4 жыл бұрын
@@북극여우-p2n 이건 뭔 대깨문보다 더한 정신나간놈이네
@roket1213
@roket1213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일자리찾아 서울 올라온지 4년째입니다...고향인 부산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요
@hs-ru1bt
@hs-ru1bt 4 жыл бұрын
ㅇㅈ ㅇㅈ
@ONEPOINT-e9v
@ONEPOINT-e9v 3 жыл бұрын
나도 부산 살고 싶은데...일자리 찾기 너무 힘들어요. 급여도 너무 낮습니다
@whitegotham2818
@whitegotham2818 3 жыл бұрын
가서 노가다 뛰어라 말만 돌아가고 싶다고 하지 돌아갈 생각도 없구만. 니가 그렇게 돌아가고 싶으면 해운대 아이파크가서 경비라도 하겠다
@이재희-m2s
@이재희-m2s 4 жыл бұрын
울산 사는데 할아버지 수술 받으시려고 서울에 가셨는데 이유가 서울이랑 울산이랑 서울 인프라 차이가 10년이 난다며 우스갯소리로 말하셨다.. 근데 웃을 수가 없더라
@Haejeon12
@Haejeon12 3 жыл бұрын
20년 차이나는거같음 .. 문화시설이 울산은 예전이랑 비슷비슷
@실시간대응
@실시간대응 3 жыл бұрын
울산은 10년이상 노후되서 옛날이나 지금이나 달라진게없음
@voninctrl
@voninctrl 2 жыл бұрын
판교처럼 꼭 수도권에 없어도 되는 산업을 내륙 중간즈음에 위치시키고 주변에 전워주택에서 재택 근무 할 수 잇게 하면 좋을거 같은데.. 영상의 송도 처럼 도시를 만들어도 좋고. . 지방에 직장들이 창원처럼 공단이나, 부산 물류, 대구 구미 이쪽도 생산직종들위주.. 좀더 젊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기업으로 유치 했으면 하는생각도 드네요.
@AA-ty5zq
@AA-ty5zq 2 жыл бұрын
불가능해요. 젊은 사람들이 좋아한다는 직장 전부 인구가 집중되어야만 하는 산업들이에요.
@이재명-대표님-파이팅
@이재명-대표님-파이팅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다 지어 놓으면 고스펙 인재들이 안와서 망함.
@user-vq2fn8sg6d
@user-vq2fn8sg6d 2 жыл бұрын
It기업은 오히려 수도권에 남으려하죠. 제조업과 달리 인재가 중요해서요.
@hofffnung
@hofffnung 2 жыл бұрын
차라리 반도체면 몰라 IT로 재택근무하는데 내륙 중간으로 이사를 왜감? 젊은 사람들은 전원주택 전혀 살고 싶어하지 않음. 60대 할베세요?
@tpK-kx8lc
@tpK-kx8lc 2 жыл бұрын
재택근무 가능하다면 제주도 가서 살고싶네요..
@ckmnam91
@ckmnam91 4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뉴스 인거 같습니다 많은것을 느끼는 기사네요!
@선인장님부스
@선인장님부스 4 жыл бұрын
제2의 도시인 부산에서도 저런 앓는 소리가 나오는데, 여느 중소도시들은 오죽하겄나. 이러니 죄다 공무원에 목을 메지
@Spica_00
@Spica_00 4 жыл бұрын
지방대를 키워야 한다고 생각함. 어디든 대학 주변이 상권이 좋음. 지방대학을 활성화시키는게 급선무로 생각. 그리고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 매력을 느끼고 잔류하게끔 취직, 창업 지원 등이 있으면 좋겠지만 만약 지방대에게 취직 가산점이라던지 해당 지역 기관 취직시 유리한 점이 있게 한다던지 하는 것은 또 서울, 경기권 대학 졸업생들과 형평성이 어긋나므로 상당히 어려운 난제일 거 같긴하네..... 우리나라 발전하려면 안그래도 땅덩이도 작은 나란데 골고루 잘 활용하는게 관건이 될 거 같긴함.
@thinsilkconehat
@thinsilkconehat 2 жыл бұрын
벌써 취직에서는 지역군형제도가 있습니다. 저는 취업같은 결과론적 보상으로 유인할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으로 거금을 들여서 카이스트 포스텍 같은 유수의 대학교를 더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kanyeeast2634
@kanyeeast2634 2 жыл бұрын
@@thinsilkconehat ㅇㅈ합니다
@VOID-ez5uy
@VOID-ez5uy 2 жыл бұрын
대학좋은 경북대, 부산대있어도 기업이 없음
@Spica_00
@Spica_00 2 жыл бұрын
@@thinsilkconehat 저는 솔직히 이제 대학을 더 만드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카이스트나 포공은 탑3 공대니까 논외로 치고 ist대학들만 해도 다들 공부만 하러 가지 놀 때는 주말에 다 서울 올라옵니다. 그리고 애초에 ist가는 사람들은 대학원을 가는 길이 잘 깔려있어서 유학가거나 아까 말한 탑3 대학을 대학원으로 갈텐데 결국 그 지역에 잔류하는 사람은 적을 것 같습니다 제 친구도 ist 중 하나인데 처음 입학 때 주변 상권보고 바로 수특폈다가 다시 맘잡고 학교 다니고 있습니다. 이미 있는 지방 주요 대학들 상권부터 키우는게 우선이라고 봅니다.
@jupitermaker
@jupitermaker 2 жыл бұрын
지방에 기업이 없어요. 아무리 대학 키워봤자 전부 다 수도권으로 감. 그리고 현실은 지방대 탑 경북대 부산대도 지잡대 취급하는 현실.. 제가 사는 경남은 서울쪽에서는 경상대가 지거국인지도 모름 ㅋㅋ 그리고 여기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들 금요일 퇴근시간에 가보면 서울로 바로가는 퇴근버스 거의 100대 가까이가 빠져나갑니다. 수도권 집중화 매우 심각함
@톰브라운조아
@톰브라운조아 3 жыл бұрын
대기업 유치가 엄청 중요한게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음 예를들어 삼성 디스플레이공장 하나만 생겨도 고용인원이 10만명이 생긴다는데..범 정부적 차원에서도 조금씩 세금면제나 여러가지 혜택 등으로 주도했으면 어땠을까..싶음
@Jin-sm9ng
@Jin-sm9ng 4 жыл бұрын
전국을 어정쩡하게 고루 키우려고 하기보다 부산을 집중지원해서 서울을 견제하게해야 균형발전의 기초가 만들어진다. 젊은애들이 부산을 떠나지 않을곳으로 만들어야한다. 잠깐 머물다마는 단순 서비스업, 상업, 관광이 아니라 기초산업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기업, 국책사업 유치와 그에대한 혜택부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호잇호잇-y9f
@호잇호잇-y9f 4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이요 각도에 거점도시 만들어서 옛날 서울키우던마냥 키워야 서울로 안가고 또 그지역을 중심으로해서 수도권마냥 주위의 해당지역도 크는데 말이죠
@새싹보리-q9x
@새싹보리-q9x 4 жыл бұрын
소올직히 애초에 카이스트를 부산이나 부산가까이에 만들었으면 지금이랑 상황이 달랐을거라고 생각함 실리콘밸리같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을텐데 요즘은 세종시까지 만들어서 충북에 몰빵하기에는 원래가진 인프라와 물류에서 이점이 적고 부산에 몰빵하기에는 세종시랑 충북이 아깝고 그런 느낌
@내알바아님-p1v
@내알바아님-p1v 4 жыл бұрын
ㄹㅇ분산개발보단 거점개발이 좋은듯
@user-dt2mg3kl1h
@user-dt2mg3kl1h 3 жыл бұрын
ㄹㅇ 그냥 일단 다른 도시들 키우기 전에 부산부터 존나 키우고 나서 생각하자.
@sscsyj
@sscsyj 2 жыл бұрын
부산은 딱 은퇴한 돈 많은 사람들이 휴양하면서 살기 좋은 도시지
@kimsy1612
@kimsy1612 4 жыл бұрын
서울거주 중인 부산사람인데 서울 사람들 진짜 부산에 대해 모르는게 많음 부산에 그렇게 일자리가 없냐고
@FROZENVC
@FROZENVC 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부산포함 지방 일자리 없음ㅋㅋ
@byoom_byoom
@byoom_byoom 3 жыл бұрын
알아야하나요...
@이순신-n9m
@이순신-n9m 3 жыл бұрын
2017년7월기준 우리나라 1000대기업 지역별 비율 설40.9퍼 부산5.4퍼 인천7.1퍼 대구 3.2퍼 대전3.1퍼 광주 1.9퍼 인가 그럼 인구 대비 일자리로치면 대전>>부산 대구 입니다.
@gegegec
@gegegec 3 жыл бұрын
ㅇㅇ
@유연한사고-p7v
@유연한사고-p7v 3 жыл бұрын
스까국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라도?
@abcdcd7164
@abcdcd7164 4 жыл бұрын
예타제도가 국가 예산을 아끼는데 도움 되긴했어도 서울 수도권 집중화를 가속시켰지. 수도권 아니면 예타 통과가 안되서 인프라를 못지어
@마이마이-u7s
@마이마이-u7s 4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이제서야 예타 면제니 뭐니해도 이미 대한민국 인구 50%이상이 수도권에 살게된 마당에 의미없죠. 점점 더 지방도시는 몰락할겁니다. 미래가없어요. 답이없습니다 한국은
@김태수-j8e
@김태수-j8e 3 жыл бұрын
나는 부산사람은 아니지만 가까운 창원이 고향인 지방출신 사람임. 아주 어렸을때 티비를 보는데 무슨 음악회인가 공연인가 한다고 광고가 나오는데 세종문화회관 에서 한다고 하더라. 거기가 어디냐고 가까운데 있는거냐고 엄마한테 물어보니 서울에 있는거라고 한게 아직 기억남. 어린시절 인데도 그럼 창원사람은 서울이라는 곳까지 (서울이 어딘지, 또 얼마나 먼 지는 몰랐지만) 저걸 보러 가야하나? 생각을 했었음. 커서 생각해보니 그때의 기억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인프라가 집중되어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것 같음. 지금이야 지방대도시 (대구, 부산, 광주 등)에도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고 이런 저런것들이 생기긴 했지만 아직까지도 지방에서적당한 일자리가 없어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청년들이 많다는 사실을 보면 갈 길이 먼 것 같음.
@jdasan11
@jdasan11 4 жыл бұрын
인구 50 퍼센트가 아니라. 지방인구 두배 네배 되도 정신 못차리고 경제성이니 이딴거 따지며 서울로 수도권으로 몰려갈걸? 인구 90 퍼센트가 몰려있을때 이넓은 땅덩이 두고 이게 뭔짓이냐머 여기 저기 말 나와도 암것도 없는 지방으로 누가 갈까? 그땐 이미 끝
@qqqqjjjj-w6t
@qqqqjjjj-w6t 4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임 ㅋㅋㅋ 수도도 이전하고 서울 인구 중에 수백만이 분산 될 수 있도록 해야함 그때 나도 좀 탈서울하고싶다
@qqqqjjjj-w6t
@qqqqjjjj-w6t 4 жыл бұрын
@@深雪-s8k 조금 내려가지않겠나? 이것저것 할 수 있는건 다 해야지 서울인구가 분산되지 한두개 큰거한다고 분산효과는 없을걸
@성이름-i2i
@성이름-i2i 4 жыл бұрын
@@深雪-s8k 수도를 이전하는 순간 수많은 공무원들이 움직여야하고 그에 따라 도시에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며 자연스레 상권이 형성되겠죠. 당장 서울인구가 절반으로 준다거나하는 극적인 효과는 아니어도 공무원들이 옮겨간다는 건 꽤 큰 효과를 미칠 겁니다.
@_flyquest3522
@_flyquest3522 4 жыл бұрын
공무원 움직인다고 해도 해결되는거 아님 공무원이 움직이는게 아니라 기업 본사가 이동해야지
@성이름-i2i
@성이름-i2i 4 жыл бұрын
@@_flyquest3522 기업본사가 스스로 서울을 벗어나길 기대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이니 수도라도 이전해서 공무원부터 옮기고 수도라는 이름 하에 구축되는 인프라와 지역 발전이라도 기대하는 거. 본질적 해결책이 아니라는 건 알지만 이 방법보다 실현 가능하면서 효과적인 걸 찾기 어려우니 항상 언급되는 거고.
@qkrwpsghkscnjsghks
@qkrwpsghkscnjsghks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인구밀도 높고 엄청나게 미어터졌다고 하는데 이는 큰 착각이죠... 미어터졌다는건 너무 서울에만 몰빵되어 있다보니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지... 지방은 호주 내륙오지를 연상케할 정도로 텅텅빈곳이 많은게 중론이죠... 지방에는 정말 한적한 곳이 많습니다. 서울과 부산의 차이도 어마어마하고 서울살다 부산내려오면 부산이 한적한 어촌마을처럼 느껴지실 겁니다.
@석몽린
@석몽린 4 жыл бұрын
그놈의 관습헌법 때문에 이 지경이 됐지...오로지 서울,서울,서울
@라플배미룬
@라플배미룬 4 жыл бұрын
지방에서 사는게 말이 많누 ㅋㅋㅋㅋㅋㅋ
@smartk5654
@smartk5654 4 жыл бұрын
논리가 없냐
@영갓-r8m
@영갓-r8m 4 жыл бұрын
장담하는데 2000년대 초반에 세종으로 천도했으면 지금 이꼴은 안났다
@김춘수-g2s
@김춘수-g2s 4 жыл бұрын
9주 5소경 해라 ㅋㅋㅋ 이 논쟁한지가 1000년은 넘었다 ㅋㅋㅋㅋ
@호잇호잇-y9f
@호잇호잇-y9f 4 жыл бұрын
@오서빈 그래서 노무현이 수도 옮길라고 했는데 온갖 방해가 ㅎㄷㄷ
@nickn1991
@nickn1991 3 жыл бұрын
아니 부산부터 살려야 할 거 아니야;; 인구의 50%가 한반도 중부의 수도권에 집중되는게 말이나 되냐고;; 서울 집값 내리려면, 부산을 살려야 한다.
@user-oq2im1xu1m
@user-oq2im1xu1m 3 жыл бұрын
옳소!
@고모씨-s5u
@고모씨-s5u 3 жыл бұрын
부산 촌놈들 공감박은거 보소 꼬우면 서울오든가
@user-ut5dc2uj7u
@user-ut5dc2uj7u 3 жыл бұрын
@@고모씨-s5u 4:32 눈이 있으면 좀 봐라 장식품으로 들고 다니지 말고 ㅠㅠ 대기업본사들은 대도시에 짓는거 중딩 고딩들도 아는 건데 촌놈이러네 ㅋㅋㅋㅋㅋ 어느 시대에 멈춰있는거임 ㅋㅋㅋㅋㅋ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3 жыл бұрын
@@고모씨-s5u 꺠우먠 섀울오든걔~~~ 저 능 아티 ㅈㄴ난다ㅋ
@욕박는계정
@욕박는계정 3 жыл бұрын
@@고모씨-s5u 기사 이해도 못하고ㅋㅋㅋ 저능아 티내노ㅋㅋㅋ 제2의도시라는 부산마저도 저렇게 서울 경기로 올라가는데 다른 지방도시들은 오죽하겠냐? 부산뿐만 아니라 다른지방도시사람들도 서울 경기로 올라가는 추세인데 이런 개빡대가리들은 무슨 부산에 억한 감정있나ㅋㅋㅋㄱ 부산 해운대에 놀러왔다가 양아치새1끼들한테 쳐맞았나보네ㅋㅋㅋㅋ
@k2mhsk404
@k2mhsk404 4 жыл бұрын
파주 토박이로서 말하는데 15년간 바뀐게 정말 눈에 띕니다. 그때는 딱 아파트 창문가서 밖 보면 그냥 산, 황무지, 논이었거든요. 근데 이제 공원, 상가단지, 대규모 아파트단지 병원 정말 많이 바뀌었습니다. 곧 있으면 GTX도 들어온다 하고요. 전국적으로 이렇게 발전하고 있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불균형이 심한 걸 보니 문제가 심각한 게 느껴집니다.
@bertha917
@bertha917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입니다.. 그러네요.. 수도권이 성장 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어가는구나... 고루고루 발전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며..
@신밧드-o5b
@신밧드-o5b 3 жыл бұрын
인천 오래살면서 인천은 자급자족이 다 되어서 서울까지 안가도 경기도 부천시 이안에서 다 해결이 되어가서 그런지?서울?. .글쎄요. 인천 송도. 청라 영종도 빼고는..그닥 인천이 제2의 도시라..첨알았네요. 쓰레기소각장에 중국타운에 노후화된 지역에 교육여건 그리고 공장지대에... 개선 할것 많습니다. 수원보다는 좀 낫네
@user-op4bq3yp5c
@user-op4bq3yp5c 4 жыл бұрын
인터뷰하는 자세가 눈높이를 낮춰서 하는게 보기 좋네
@일상을담다-p5m
@일상을담다-p5m 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말고 전주도 일 자리 만들어주고 발전도 많이 해줬으면 좋겠다...
@강지-o8e
@강지-o8e 2 жыл бұрын
전주는 문씨정권에서 공공기관 팍팍밀어줫음
@킴진수-d4g
@킴진수-d4g Жыл бұрын
제2의 도시가 바뀐다는데 뜬금없이 전주가 나오네 비빔밥이나 먹으쏘
@김경근-s2h
@김경근-s2h 4 жыл бұрын
서울사는입장에서 할말없긴한데 개인적으로 고층종합병원이 잠옷입고 갈정도로 가까운건 사실임 그옆에 고층약국도 있는게웃겨
@앙드레코타보
@앙드레코타보 4 жыл бұрын
그옆에 고층 약국은 뭔데??? 나도 서울 살고있는데,, ㅋ ㅋ ㅋ
@ju_nu9229
@ju_nu9229 4 жыл бұрын
@@앙드레코타보 구에 따라 다르지 솔찍히 집값 빼고 퀄리티만 보면 미국이랑 한국 보는 것 처럼 차이남
@토냥-i8q
@토냥-i8q 4 жыл бұрын
유명한 종합병원.. 몽유병으로 걸어가서 접수할만큼 가까웠는데 망했음ㅋㅋ 동네에 약국만 10개는 있는데 다 망함. 아무리 서울이어도 기업의 행정이 중요하다고 느낌.. 집세는 안떨어졌는데 아마 주변 집값은 떨어졌을듯
@dnjstjr1162
@dnjstjr1162 4 жыл бұрын
결국 일자리임 공기업 다옮기고 사기업들 많이 생길수있게 법인세 낮추고 청년 창업에 더 도움줘야함
@호호록-q4e
@호호록-q4e 4 жыл бұрын
공기업 직원 몇명이나 된다고... 지금도 억지로 이전하는 바람에 비효율은 말할것도 없고, 주말부부 양성으로 주말되면 유령도시로 변하는데. 요즘 맞벌이 가구도 많고. 공기업은 무조건 순환근무라 2,3년 마다 지역 옮겨야 하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그 동네 원룸 오피스텔은 좋을수도 있겠군요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4 жыл бұрын
공기업 다 옮겨도 기존 도시로 옮겨야지 인구는 주는데 허허벌판에 공기업 서너개 들어간 혁신도시를 세우고 앉아있으니ㅋㅋㅋㅋㅋㅋㅋㅋ
@asdfg3751
@asdfg3751 4 жыл бұрын
도쿄-오사카, 베이징-상하이, 뉴욕-캘리포니아 이 도시들은 인구나 경제규모가 비슷해서 경쟁이 되는데 서울-부산은 너무 차이가 많이남. 인구부터 시작해서 경제, 인프라자체가 한국이 반쪽짜리 나라라는 증거같음. 통일되서 서울-평양 구도로 많들어야 하는듯
@breaseroto8552
@breaseroto8552 4 жыл бұрын
평양? ㅋㅋㅋ 인구도 부산보다 적고 산업도 허접한 평양이 잘도 그리 되겠다 ㅋ 그리고 일본 중국 미국은 다 인구 1억 넘는 대국들이고. 게다가 오사카 인구도 니가 생각하는 거보다 훨씬 작아 . 오사카 인구는 부산은 커녕 평양보다도 작은 도시다. 부산 인구 정도 되는 도시도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
@서범철-r8f
@서범철-r8f 4 жыл бұрын
통일되어도 서울은 원탑이고 부산,인천,평양 삼각구도로 제2의도시로 치열할듯.여기서 인천이 유리함.
@asdfg3751
@asdfg3751 4 жыл бұрын
@@breaseroto8552 오사카 인구 1천만인데요
@이동욱-j3c
@이동욱-j3c 4 жыл бұрын
@@breaseroto8552 오사카 인구가 부산 평양보다 어캐 적어요 님 비행기 한번 안타봤죠?
@breaseroto8552
@breaseroto8552 4 жыл бұрын
@@이동욱-j3c 바보들아 오사카 시 260만이다. 같은 시 단위로 비교해야지. 주변부에 영혼까지 끌어모아서 비교하냐? 비교에 기본도 못하는 바보들이 나대네ㅋ 오사카 부에 속한 시 다 끌어 모아도 천만 안 돼. 바보가 뻥튀기까지 하네. 그리고 넌 인구를 비행기 타고 세냐?ㅋ가소롭다
@teammadmax4905
@teammadmax4905 2 жыл бұрын
정말 집이 서울에 있다는것이 너무 축복받은세상입니다.. 지방에서 태어나 자라 서울에 올라와 살면서 집 월세로 얼마를 더썼는지 ... ㅜ 상경하신 모든 분들 화이팅입니다 일자리가 지방에많이생겨 균형있는 대한민국을 꿈꾸어 봅니다 !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ddddddddddd514
@ddddddddddd514 4 жыл бұрын
혁신도시보다도 지방 광역시들을 키워야함. 특히 광주,대전 같은곳 ㄹㅇ
@genius1978
@genius1978 4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좀 거리이름에 안붙였으면 좋겠어요!!
@아로우리아로
@아로우리아로 4 жыл бұрын
ㄹㅇ
@totumas
@totumas 4 жыл бұрын
@@아로우리아로 땡땡로데오 땡로수길 지겹다 진짜 따라쟁이로 하다보니 투기꾼들 치고 빠지고 나면 땅값만 올라있고 프랜차이즈가 우후죽순 들어와서 토박이들 내쫒으니 특색있던 지역상권도 무너지고
@doChairsExist
@doChairsExist 4 жыл бұрын
경리단길 짝퉁도 많음
@Erica0200
@Erica0200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로데오거리 대전에도 있는데 다른데도 있나요?
@Bless_sky
@Bless_sky 4 жыл бұрын
@@Erica0200 로데오거리 많죠. 대구 동성로에도 있고 진주 유흥가쪽에도 있고 서울은 말할것도 없고..
@flytb77
@flytb77 4 жыл бұрын
부산에 24시간 운영되는 신공항이 생기면 인청공항의 수입이 30%정도 줄어든다고 정치권에서 반대한다고 들었습니다. 기득권이 수도권에 있는한 영원한 발전은 없을것 같아요
@bigboyb3961
@bigboyb3961 3 жыл бұрын
공항잇는데 세금으로 무슨 공항을 또 만들어요? 수십년간 대기업,대도시 밀어주는게 애국이라고 주장햇던게 경상도분들 아닌가요?미국일본땜에 온갖시설다짓고 본인동네 이득볼때 입다물고 잇다가 망하니깐 이제서야 지역발전?ㅋㅋ
@IIllIIllIIlloo
@IIllIIllIIlloo 3 жыл бұрын
@@bigboyb3961 그래서 이용률 전국꼴찌 무안공항 지은거임??
@ch-bf5zo
@ch-bf5zo 3 жыл бұрын
@@내가맞나 김해공항이 일제시대때 만들었다는 소리는 처음 듣는군요~
@설락
@설락 2 жыл бұрын
@@bigboyb3961 어떻게 딱 좌빨들이 좋아하는 미국일본 거들먹 거리시는지 ㅎㅎ 서울사는 전라도 출신이신가요
@김효진-k4b7o
@김효진-k4b7o 3 жыл бұрын
몰랐다. 인천이 이정도로 성장했는지...
@rfuuhfdtsdf7528
@rfuuhfdtsdf7528 4 жыл бұрын
인천이 서울 옆 아니면 저리 크지도 못했음. 위성도시의 성격이 강함. 일본에도 요코하마가 도쿄 바로 옆이라 큰성장을 한거임. 대도시는 거점 역할을 해야함.
@shawn4795
@shawn4795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도쿄-요코하마-오사카가 딱 한국으로 치면 서울-인천-부산이죠. 오사카가 그래도 제2의 도시 타이틀을 갖고 있었는데 인구가 요코하마한테 역전당했죠
@김수민-c5n2z
@김수민-c5n2z 4 жыл бұрын
@@shawn4795 요즘엔 일본이 걸어간 길을 우리나라가 걷고 있다는 생각이 자주 드네요 혹 해외에 서울과같이 밀집되어 있다 해소된 사례가 존재하나요?
@정찬영-r9r
@정찬영-r9r 4 жыл бұрын
@@김수민-c5n2z 프랑스?
@트리레몬-i4g
@트리레몬-i4g 4 жыл бұрын
@@shawn4795 지금도 오사카가 제2의 도시타이틀 가지고 있습니다 인구는 오사카가 땅크기가 너무 작아서 인구가 적어보이는거고 오사카부로 따지면 인구 훨씬 많습니다
@shawn4795
@shawn4795 4 жыл бұрын
@@트리레몬-i4g 요코하마는 "시"인데 오사카부랑 비교하면 안되죠;; 그리고 면적은 인천도 부산보다 훨씬 큰데 요코하마나 인천이나 면적이 커서 사람이 몰리는게 아니고 수도권 근처니까 몰리는거죠
@밍구리가간다-c9q
@밍구리가간다-c9q 4 жыл бұрын
경기권만 살아도 서울은 지하철만 타도 가니까 편하지...도로는 막히고 출근은 더 빡세지고 ㅋㅋ
@서선희-o6w
@서선희-o6w 4 жыл бұрын
제발 지방분산 좀하면 좋겠다. 대학교들이랑 관공서 대형회사 본사들등.. 서울 지옥철이고 코로나는 서울.수도권 밀집지역에 많이많이 생긴다.
@김춘수-g2s
@김춘수-g2s 4 жыл бұрын
통일신라처럼 9주5소경해라 ㅋㅋㅋ 이딴 논쟁한지가 벌써 1000년은 넘게 지났다 ㅋㅋ
@회기동_나그네
@회기동_나그네 4 жыл бұрын
절대, 분산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느 누가, 손해를 보면서까지... 절대, 이 나라는 손해를 보면서까지 강행하지 않습니다...
@kwangj3394
@kwangj3394 4 жыл бұрын
편의시설 인프라라... 강원도 오지 및 도서 지역빼고 웬만한 시 정도 규모면 편의시설 인프라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지만 그 질이 엄청나게 차이남
@dongyoungkim2468
@dongyoungkim2468 4 жыл бұрын
@@jinwoopark955 니가 지방오면 안 되냐?
@김미경-o3q
@김미경-o3q 4 жыл бұрын
제발 부산에서 우리딸 취직했으면하는 바램입니다. 정치권에서는 서울중심만 한국인가요?
@양씨형-k6b
@양씨형-k6b 4 жыл бұрын
서울떠나본적 없는 토박이로써 정말 지방은 가끔 갈때마다 느끼는데 지역감정은 없지만 뭔가 서울에 비해 부족하다라는 생각이든다. 집앞에 한강공원, 수많은 일자리, 집앞에 대학병원… 괜히 대한민국이 서울 공화국이 아니다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234년 전, 조선시대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도시 TOP17
12:15
도시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Practical Ways to Create an Ideal City
19:05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312 М.
한국 도시에 트램이 필요할까? 도시건축 Q&A 총정리!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