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ㅋㅋㅋ 이게 실화라고? 단 한 사람의 농담으로 인해 화장지 = 돈이 되어버린 세상

  Рет қаралды 260,486

엠터

엠터

Күн бұрын

영화 제목: Out of Stock
제작사: ​⁠‪@BoxFort‬
풀영상 링크: • Out of Stock | Dir. Br...
--------------------------------------------
영화 리뷰 추천은 메일로!
gamtice0802@gmail.com
--------------------------------------------
Directed By Bryan Taira
Produced By Mariah Hall
Written By Meg Greene & Alex Schultz
Cinematography By Enrique De la Garza
Production Design By Connie Ticho
Edited By Alex Joyce
Sound Design By Tori McJunkin
Starring:
Julie - Ray Connelly-Gonzalez
Gary - Paul Burt
Floyd - Jake Frazier
Mrs. Moore - Linda Benedetti-Leal
Garth - Nick Gabriel
Stoner - Benen Weir
#엠터 #단편영화 #단편

Пікірлер: 324
@엠터
@엠터 Жыл бұрын
실제로 1973년 일본에서는 화장지 대란이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본인들은 재난 발생 시 물이나 통조림 등의 식품이 아닌 화장지를 가장 먼저 구매한다고 하며 화장지의 비축량을 점검하는 것이 국가적 재난 대응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합니다 제작사: Boxfort. TV 영화 제목: Out of Stock 풀영상 링크: kzbin.info/www/bejne/npnOfnWiaaakfq8
@Q_uestion
@Q_uestio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shigh8778
@shigh8778 Жыл бұрын
멀리 갈것도 없이 코로나 초기때도 미국에서 화장지 대란이 일어 났죠.
@nolboo_korea
@nolboo_korea Жыл бұрын
비데를 만든 나라가 화장지 떨어질 것을 두려워 하다니 ㅎㅎ
@Herbivorist
@Herbivorist Жыл бұрын
@@shigh8778 호주도 비슷한 시기에 화장지 대란이 있었어요.
@gang-q4f
@gang-q4f Жыл бұрын
요즘 오타가 너무 많아 지신거 같은데.. ㅋㅋㅋㅋ 내가 대충 본것만 2개...
@ethanryu6551
@ethanryu6551 Жыл бұрын
이거 코로나때 미국에서도 생긴 일임... 화장지 사려고 코스트코에 줄 서서 들어가고 그랬는데... 막상 사재기 안했는데 사람들이 하도 사재기 하고 그러니까 회사나 식당에도 화장지가 없어서... 집에서 가져와 들고 다녔어야 했음... 한심...
@kevinpark5123
@kevinpark5123 Жыл бұрын
부동산 가격, 마스크 가격, 예술품 가격 다 비슷한 맥락이 아닌가, 구매자들이 상품을 기꺼이 그 돈 주고 사려고 하면 거래가 되는 것이지.
@30billion-bx1wm
@30billion-bx1wm Жыл бұрын
수요공급이죠
@김재현-m7r7u
@김재현-m7r7u Жыл бұрын
영상안봄? 소비자의 심리도 경제에 관여하는 부분이 크다고요
@30billion-bx1wm
@30billion-bx1wm Жыл бұрын
@@김재현-m7r7u 부동산 가격, 마스크 가격도 사람 심리에 맞춰서 급등 급락할때가 있고 그것들 다합쳐서 수요공급이라고 해요
@미띤
@미띤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크긴하다..ㅋㅋ
@2ttitude
@2ttitude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하니 코인으로 망하는 놈들이 셀수없는거지
@duritom
@duritom Жыл бұрын
시청률 높은 TV프로가 얼마나 사람들을 잘 선동하는지 보여주는 예시.
@nasansnmw3527
@nasansnmw3527 Жыл бұрын
이게 풍자다.. 훌륭하다
@Blue.Raptor
@Blue.Raptor Жыл бұрын
지금 천일염 이슈 있는대 그게 생각나네요. 어느 업체가 천일염 고가에 사재기하고있고 그로인해 시장천일염 공급에 문재도 생기고 가격도 오르는중...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일반 대중들은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정확히 알기 힘들죠.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중매체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역으로 생각하면 미디어에 의해 쉽게 조종당하는 게 사람들이라는 거죠. 2차대전 때 독일 나치의 괴벨스가 그런 기전을 아주 잘 알았고, 제대로 악용했었죠. 그 이후로도 그런 미디어의 권력은 계속되었고요. 요즘은 그나마 1인 미디어도 많이 생겨서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좀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여건이 좀 생긴 거 같습니다. 그리고, 미디어의 발달과 상관없이, 예나 지금이나 일부 사람들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경향이 있더군요.
@김치-3
@김치-3 Жыл бұрын
불과 몇년전 코로나사태때 마스크 품절 사태랑 같은거같아서 뭔가 공감가네요 저희 어머니께서 마스크를 산더미처럼 사둔것 보고 정말 코로나시대가 안끝날것만 같았는데 결국 끝나고 쓸일없는 휴지조가리가 되었지만요
@성이름-i9k5g
@성이름-i9k5g Жыл бұрын
미세먼지 때문에 그래도 다 쓰긴 쓸껄요 ㅋㅋㅋㅋㅋ
@jurashin8404
@jurashin8404 Жыл бұрын
문재인이 만든 현상이었지..
@dgdagdt7863
@dgdagdt7863 Жыл бұрын
도대체 그때 중국에다 마스크는 왜 갖다 준건지..
@user-vh6gn1xi7z
@user-vh6gn1xi7z Жыл бұрын
요즘도 미세먼지 심각한 날들은 써야되네요...
@Jisunggosu
@Jisunggosu Жыл бұрын
​@@dgdagdt7863문재앙 ㅋㅋㅋㅋ대가리터짐
@sunnybegood334
@sunnybegood334 Жыл бұрын
다분히 현실적인 이야기.. 최근에도 있었쟎냐... 불과 얼마전의 펜데믹때 그랬고, 좀더 이전에는 97 년 IMF 때 어떤 창고업 하는 사람이 떼돈을 벌었는데 창고에 휴지가 가득 했었다는 말도 있었음.
@elmo7816
@elmo7816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때도 미국이랑 캐나다 코스코랑 월마트때 후지가 없었음. 초창기에 마스크랑 손소독제, 휴지, 등등 가격도 항상 품절이었지
@SugarFreeSalt
@SugarFreeSalt Жыл бұрын
마스크 겨우산거 기억나네.... 결국 알바생은 마트 때려친거고, 사장은 짧고 굵게 땡기는거로 끝났네요 ㅋㅋ...씁쓸하네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Жыл бұрын
불과 몇년 전 코로나19 떄 실제로 미국에서는 화장지 대란이 벌어졌습니다.
@solgae32
@solgae32 Жыл бұрын
진짜?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Жыл бұрын
@@solgae32 마스크 제작에 펄프가 부족해진다는 헛소문에 휘둘린 국민들에 휴지를 사재기하자, 공급량에 비해 소요가 급격히 높아지다 보니 그런 사태가 발생했죠
@수호-j7t1c
@수호-j7t1c Жыл бұрын
마스크보다는 비트코인이 맞는 표현 같은데 현금 달러 종말론에 공포를 느낀 사람들이 미친듯이 비트코인을 사기 시작하고 처음에는 몇몇이였지만 코인이 정말로 몇천까지 오르더니 미친짓이라고 하던 사람들도 하나둘씩 사기 시작하고 그와중에 머스크 같이 영향력 큰사람들 말에 시장이 미친듯이 움직이는게 딱 코인시장같네
@vincentr6567
@vincentr6567 Жыл бұрын
몇몇이였지만x 몇몇이었지만o
@Designbyappleincalifornia
@Designbyappleincalifornia Жыл бұрын
휴지 제조에 나무들이 썰려나가듯 그래픽카드들이 갈려나갔던 비트코인..
@minhyek150
@minhyek150 Жыл бұрын
조금 다른게 코인은 공포심리가 아닌 기대심리와 기회주의 작용이죠
@user-xe8pn1bf8g
@user-xe8pn1bf8g Жыл бұрын
마스크는 실제로 필요성이 커지고 수요가 늘어나니까 품귀해졌던건데 마스크에 비유하는 애들은 나랑 같은 영상을 본게 맞나 싶음
@markhunt3892
@markhunt3892 Жыл бұрын
비트코인도 엄연히 다른 경우임 투기 때문에 과열된것이지
@사슴노루고라니
@사슴노루고라니 Жыл бұрын
지금 3~40대는 기억할지 모르겠지만 90년대에는 북한에서 미사일쏠때마다 다시 전쟁이 일어나는줄알고 마트에서 라면이랑 생수 사재기하곤 했습니다ㅋㅋㅋ 이제와서 돌아보면 헛웃음이 나오지만 공포 앞에서는 이성이 참 쉽게 휘둘리는것 같네요 그리고 초반에 안개낀 마트정문에 사람형체 보이는게 고전영화 미스트 같다고 생각했는데 노린걸까요ㅋㅋ
@MrLee-go1hm
@MrLee-go1hm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남북전쟁이 실제로 일어나면 그때가 정상이 되고 지금이 안전불감증이라고 회자되면서 헛웃음이 나올수도 있음.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그때는 진짜였습니다. 당시 클린턴 대통령이 미군 항공모함 2척이랑 함정들 보내서 북한 핵개발 시설을 폭격하려고 했어요. 주한미군 가족들을 미군수송기에 실어서 일본으로 대피시키고요. 그런데, 실제 전쟁이 발발하면 생길 수 있는 피해를 시뮬레이션 해 보니까 너무 심각해서 클린턴 대통령이 막판에 취소한 거에요.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기억나고 말구요!! 95년? 96년이였나요??!! 🤔
@강수-p3q
@강수-p3q Жыл бұрын
흐릿한 창문 너머로 사람형체가 보이는 건 좀비영화의 흔한 클리셰 중 하나입니다 저기에 창문에 대고 손바닥 수십 개가 덮이면 완벽하져
@vincentr6567
@vincentr6567 Жыл бұрын
@@fireeggkimpaul4758 년이였나요x 년이었나요o
@강수-p3q
@강수-p3q Жыл бұрын
3:00 They call a Television 'Programming' for a reason. 번역자가 a reason을 eraser로 착각했나 봅니다. "티비 프로그램이라 부르는 덴 다 이유가 있어요."가 맞는 번역입니다.
@J5698
@J5698 Жыл бұрын
에이 설마 의역했겠죠 ㅋㅋ 번역가가 reason이랑 eraser 로 헷갈렸겠어요 문법도 말이안되는데.. 저는 한국에서 예전에 바보 박스로 불리니 뇌를 지운다 이런 의미로 자연스럽게 의역 잘했네 하고있었는데
@J5698
@J5698 Жыл бұрын
아 전문 번역가가 한게 아니려나요 ㅋㅋ
@강수-p3q
@강수-p3q Жыл бұрын
@@J5698 저 문장에서 for a reason 대신 for eraser가 들어간 경우가 문법에 안 맞고, 또 for eraser가 아니라 for an eraser가 맞습니다. 앞에 부정관사가 붙은 명사와 연결됐으니까요. 또 for an eraser를 쓸라면 call 대신 use나 made를 써야 말이 맞죠.
@mitchellkim7299
@mitchellkim7299 Жыл бұрын
당시 자니카슨쇼 시청률이 어마어마했죠. 재이 래노나 데이빗레터먼이 후계구도를 그리며 경쟁했었고 두사람 인기 합친 만큼 인기 있었다고들 하죠
@안민이-i8y
@안민이-i8y Жыл бұрын
휴지나 돈이나 사람들의 합의로 만들어진 문화적인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하게 되군요. 이제는 진짜 돈을 화폐로 보는 경우가 거의 없어진 것 같아요. 돈은 점점 물질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생각합이다.
@cheerup-power
@cheerup-power Жыл бұрын
휴지가 어떻게 문화적 산물인지 모르겠어요 돈이 화폐로써의 가치를 가진 문화적 산물이란 것은 이해되는데 휴지는 뭔가를 닦기 위한 기능적 필요에 의해 탄생한건데 어떻게 휴지와 돈을 같은 선상에 놓을 수 있는지 이해가 잘 안돼요.
@안민이-i8y
@안민이-i8y Жыл бұрын
@@cheerup-power영화 속에서 휴지가 현실에서의 돈과 같은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에서 둘다 문화적 산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문화적 산물을 가치가 평가된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현실에서의 휴지도 문화를 반영하고 있긴 하지만 돈과는 그 위상이 다르죠.
@vvs2580
@vvs2580 Жыл бұрын
화장지는 생각외로 중요하다. 없다면 그만큼 불편한것도 없을듯
@숭구리당당-w6t
@숭구리당당-w6t Жыл бұрын
신선한 영화내요
@to_the_blue-sky
@to_the_blue-sky Жыл бұрын
미친 상상력...ㅋㅋㅋㅋ 인 줄 알았던니 실화였구나... ;;
@Mingdan
@Mingdan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버블이끼고 사람들은 포모를 느껴 풀매수를 시작한다
@michasung
@michasung Жыл бұрын
ㅎㅎ코로나 초기에 독일에서도 화장지 품귀현상이 있었지요. 가격이 오른건 아니지만 사람들은 사재기를 했었죠.
@붉은남작-z8h
@붉은남작-z8h Жыл бұрын
코로나 기간 때 외국에 화장지 대란은 진짜 얐음.
@김용관-n6e
@김용관-n6e Жыл бұрын
시기적절하네요 소금사재기...
@Berserk90523
@Berserk90523 Жыл бұрын
본가 갔더니 아부지가 소금을 포대로 사 놓고 있길래 뭔가 했음..
@청정지구
@청정지구 Жыл бұрын
쓰임새가 액체닦는거랑 응가하고 닦는거밖에 없는데 평소보다 좀 덜 쓰고 행주 대체재도 있고 응가하고 물로 씻으면 한 롤로 얼마나 오래쓰는데 그게 품귀까지 간다니...
@vezitamax
@vezitamax Жыл бұрын
독립영화도 이렇게 재미있을 수 있군요. 아니, 그래야 하지 않을까?
@cgl9901
@cgl9901 Жыл бұрын
최근 소금도 비슷한거같아요
@ht30
@ht30 Жыл бұрын
꼭 주식 5연상 가는 종목 보는거 같네요 결국엔 하한가 연타로 가는데...
@소주-y3q
@소주-y3q Жыл бұрын
삼인성호 하나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느무 감사해요
@빵딜갤러리
@빵딜갤러리 Жыл бұрын
9:32 "엄청난"
@Jellybam92
@Jellybam92 8 ай бұрын
zz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런 병맛 너무 좋아
@No-yu8gv
@No-yu8gv Жыл бұрын
비데있으면 해결될일이네요 ㅋㅋㅋ
@seankim9829
@seankim9829 Жыл бұрын
저 모습이 결국 우리 모습인 것을 뭘 비웃고 있는가. 버블과 폭락의 이면에는 사람의 탐욕과 공포가 자리잡고 있고 그 누구도 거기서 자유롭지 못할텐데
@nvdcxcv
@nvdcxcv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예로 허니버터칩과 포켓몬 빵이 있죠ㅋㅋㅋ
@SecretYoun
@SecretYoun Жыл бұрын
영화 내용 그대로 다이아몬드 대입하면 됩니다 보석의 가치도 없는 돌덩이를 물량 조절하며 최고의 마케팅으로 성공해냈죠
@palpalpalsapal
@palpalpalsapal Жыл бұрын
Giffen goods?
@BigT-r1p
@BigT-r1p Жыл бұрын
놀랍지만 진짜 해외에서 실제로 있던 일들이다 ㅋㅋㅋ
@레온하르트-q5s
@레온하르트-q5s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초반에 마스크 대란이 일어났던게 생각나네요
@5375
@5375 Жыл бұрын
화장지숭배에서 웃고말았다....
@refham
@refham Жыл бұрын
너무 웃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잘 만들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욱이아빠
@지욱이아빠 Жыл бұрын
코로나에 소독제마스크 몇배비싸는데
@떡전골오렌지족
@떡전골오렌지족 Жыл бұрын
마스크는 다른상황이죠들 .. 그건 농담에서 시작된게아니라 전 지구적 펜데믹현상에의한거였으니까요
@떡전골오렌지족
@떡전골오렌지족 Жыл бұрын
@ryu8685 그럼 최소한의 방어도 안했나요?ㅋㅋㄱㄱ
@개판이군
@개판이군 Жыл бұрын
@ryu8685 응~ 전파속도 늦추는데는 성공했어~ 빡대가리야
@na650012
@na650012 Жыл бұрын
그 진정한 승자는 저 회사 주식을 미리 대량으로 산 사람 일겁니다...
@조냠냠-y8t
@조냠냠-y8t Жыл бұрын
허니버터칩 대란때도 이랬는데 ㅋㅋ
@18kkak
@18kkak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도 일어났네요. 소금 사재기... ㅋ
@pencil0
@pencil0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이사가서 우리집에 휴지 엄청 많은데^^
@박기준-g8u
@박기준-g8u Жыл бұрын
비트코인 같은 느낌인듯.... 비트코인이 ㄹㅇ 그랬으니깐.. 거의 7년 전에는 1비트로 아무것도 살수 있는게 없었는데 이젠 1개만 있어도 스포츠카도 살수있으니깐..
@환우-d3s
@환우-d3s Жыл бұрын
생존템이었던 마스크도 현재 마기꾼용 입가리개로 바꼈듯이 비트코인도 아무런 가치도 없는 데이터조각으로 바뀌길 기대해봅니다
@reroro7083
@reroro7083 Жыл бұрын
12:40 나만 이 부분이 웃긴건가?
@원터풀레드
@원터풀레드 Жыл бұрын
그 와중에 영화 보는 내내 휴지 냥비가 보였네요..ㅇㅅㅇ
@qwerty-ly2wj
@qwerty-ly2wj Жыл бұрын
마스크는 불안감보다도 의무로 써야하는 규정이 있었잖음
@vnr8875
@vnr8875 Жыл бұрын
두 나라가 같은 역사를 두번씩 반복할동안 우리는 처음에도 막아냈네 ㅋㅋㅋㅋ
@김강민-n1z
@김강민-n1z Жыл бұрын
타르코프에서도 이랬으면
@gomdorij3213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저런일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지요 ^^;;
@우명호-v1m
@우명호-v1m Жыл бұрын
몆년전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훨신 옛날이네요 근데 재난상황에 기름이랑 생수 음식은 이해되는데 화장지는 머지?
@만사인사-h3i
@만사인사-h3i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코인사태의 미래버젼 일수도
@Unprotected_rightturn
@Unprotected_rightturn Жыл бұрын
지금이 코인사태인가요??? 8천만원 찍었을때 마지막 파티라고 그랬었는데 ㅎㅎ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코인사태가 아닌 소금사태를 겨냥해서 올리신거 같습니다 ㅎㅎㅎ
@NAEMAMFILM
@NAEMAMFILM Жыл бұрын
한국에 아파트 와 비슷 하구만
@olihin
@olihin Жыл бұрын
매스컴으로 국민을 이렇게 쉽게 통제가 가능한 현실. 항상 의심하고 의심해야 할 듯 이미 코인으로 뒤통수 씨게 맞어봤으니까. 하지만 인간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겠지.
@jizzac1435
@jizzac1435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코로나때인가 마트에 라면 털린거보고 웃었음😂😂😂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Жыл бұрын
오호~!!~ 70년대에도 David Letterman이 투나이트 쇼를 진행했군요~! 😅👍 👴
@rnagpie
@rnagpie Жыл бұрын
2020년대에도 일본에서 화장지 대란 사건 일어난적이 있었는데 아침7시부터 어르신들이 쭉 줄서있는거봤을때 생각나네요
@Minority1376
@Minority1376 Жыл бұрын
아니 마스크는 실제로 건강과 관련된거라 그렇다 쳐도, 휴지는… 없으면 물로 닦아도 되는데…
@COCO0903-i7u
@COCO0903-i7u 3 ай бұрын
인플레이션
@j.blossom459
@j.blossom459 Жыл бұрын
불과 1~2년 최근에도 화장지대란이일어난적있음... 화장지때문에 마트에서 실제로 폭행사건이 일어나기도했고, in aus
@ingen368
@ingen368 Жыл бұрын
크게는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이겠지만 작게는 허니버터칩, 맛집, 원소주, 아사히 생맥주, 오마카세, 코로나 마스크 등,, 사실 잠시 기다리면 떨어집니다. 곧 저 수익률을 보고 여러 제조업체가 생겨나거든요.
@TM-bo2hs
@TM-bo2hs Жыл бұрын
현시점에서 소금을 말하고 싶은건가싶네요??
@JoJonber
@JoJonber Жыл бұрын
왜요
@약탈자-x1n
@약탈자-x1n Жыл бұрын
좌빨민주당의 선동에 또 넘어가는 우매한 인간들은 여전히 잇네요.. 광우뻥선동, 사드 전자파 선동, 미군철수선동등에서도 교훈을 얻지못한.. 말그대로 역사를 잊은 민족이라 미래가없다는걸 몸소 보여주는 진성 좌빨들..
@nobody-ow8gu
@nobody-ow8gu Жыл бұрын
다음달7월 일본에서 방사능 오염수 방류한다고 해서 바다가 방사능으로 오염되는 것 때문 소금 사재기하고 있어요 미역이랑 김도
@nobody-ow8gu
@nobody-ow8gu Жыл бұрын
​@@user-fr1gu1kr6i맞죠 하지만 공포심에 사재기하는건 같은 맥락
@약탈자-x1n
@약탈자-x1n Жыл бұрын
@@user-fr1gu1kr6i 소금도 느그 좌빨당의 비과학적 정치목적 선동에 넘어간 사람들때문에 생긴 시장 왜곡이니 똑같죠.
@diaragon6
@diaragon6 Жыл бұрын
농담을 진심으로 받는 사람하고는 어울리기 힘들고…. 저런 공포심리에 의한 매수도….지양해야지 주식, 코인, 부동산도 나만 못 사면 어떡하지? 하는 심리로 자기 돈 태워서 가격 상승을 부추키고 남들 사니까 사는 거….물론 군중심리이고 가격이 상승하면 버는 것이긴 하지…. 그러니까 적당히 오르면 팔아야 하는데 계속 오른다고 추가 매수하다가 망하는 거지…. 마스크는 팬데믹에 수요가 급증하는 건 맞으니 품귀가 되는 건 당연한데…. 그걸 프리미엄 붙여 팔고 이미 몇 달간 쓸 양을 확보하고도 계속 사는 건 확실히 공포 매수가 맞다. 그럴 필요는 없거든 품귀가 나면 생산 시설을 늘릴 테고 그럴 시간만큼 쓸 분량만 있으면 되는 거야. 사회 공급망이 파괴 되기 전에는 사재기 할 필요가 없는 거지….. 전쟁이라도 나면 모를까? 근데 전쟁 났는 데 나만 어떤 물건을 많이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온전히 내 것 일까? 사람들이 폭도가 되어서 다 가지고 가버릴 수도 있어. 강도짓 아니냐고? 전쟁은 그런 사회규범이 무너지는 상황이거든 뭐든지 과하면 좋지 않아. 코로나 때 발생 초기에 마트에서 50% 세일하는 마스크 200매 짜리 하나 사오니까 일주일 뒤 품절 대란 뜨더라…. 200개 다 쓰기도 전에 다시 시장에 풀렸음….. 가격은 종전의 2배가 되었지만. (운이 좋았던 건지 병원 다니고 있었는데 병원에서는 마스크를 쓰기 시작할 때여서 나는 일찍 구매함) 공포가 정신을 지배하는 건 리스크가 큼…. 그걸 컨트롤 하는 법을 스스로 익혀야 함. 허니버터도 마트에서 처음에 1+1 했었어 싸다고 샀다가…..내 취향 아니어서 겨우겨우 먹었는데 또 1주일 쯤 픔절 대란 어쩌고 하더라….(먼가 제조사에서 망한 줄 알고 생산량을 줄이려는 같았는데…..갑자기 먼……물론 일부 취향저격일 순 있음) 암튼 지금은 쳐다도 안 봄
@gunheekim-et9ej
@gunheekim-et9ej Жыл бұрын
2006월 모평 금융 안정 정책의 추진
@LeeCY-v7o
@LeeCY-v7o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은 다행이야 물티슈써서
@삼다수가최고야
@삼다수가최고야 Жыл бұрын
불안심리라는 게 현대 경제에서는 무시 못할 요소이기는 하지 당장 몇 달 전에 일어난 미국 은핸 파산 사태만 봐도 불안 심리 하나 때문에 뱅크런 일어나서 몇 십년동안 멀쩡하던 은행 1-2개월만에 망한 걸 보면 대중이란게 멍청한 것 같으면서도 무시하기에는 너무 영향력이 크니 아이러니함
@Tasini_타시니
@Tasini_타시니 Жыл бұрын
저게 현실이면 내 친구는 밤에 해피타임을 즐길수가 없네?
@nino7008
@nino7008 Жыл бұрын
남이 불안한 것에 공감해서 같이 '해소'할 수 있는 건 인간만의 능력이지만, 본인이 불안하지도 않은 것을 자기일 마냥 근거도 없이 불안해 하는건 동물도 할 수 있는 짓이다....
@유튜-c5w
@유튜-c5w Жыл бұрын
실제로 화장지로 의자를 만들어 앉은것도 리얼하게 재현했네요
@강산-b7r
@강산-b7r Жыл бұрын
비트 코인을 풍자한게 아닌가 생각하게되네요
@USER_LJW
@USER_LJW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베네수엘라 에서는 휴지 살 바에 지폐로 닦는게 더 저렴하다 하죠?
@유재학-t7b
@유재학-t7b 2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뱅크런은 이렇게 일어나지
@Jongatuna
@Jongatuna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에 사회주의를 첨가해먹어야 하는 이유
@ssuduruk
@ssuduruk Жыл бұрын
코로나때 휴지 사재기나 지금 소금 사재기랑 똑같네요.
@독심술사
@독심술사 Жыл бұрын
여주 너무 이쁘다
@코코-u4b
@코코-u4b 14 күн бұрын
코로나 터지고 마스크를 써야한대서 다음날 마트에 갔더니 1000원짜리 마스크가 2500원이되어있었고 그나마도 몇 장 안남았다 너무 비싸서 4장만사고 돌아갔다 더 갖다두겠지 했는데 그뒤로 시중에 모든 마스크가 사라졌다 같은 마스크를 계속 써야했고 소독약을 겨우구해 뿌려서 사용함 그렇게 공포스러웠던 1주일이 여가 지나고 다시 남은 마스크 한장두장씩 보이기 시작함 싹쓸이 대열에 합류하지않은 스스로에게 잘했다고 생각하지만 당시에 마스크 사재기는 대다수가 선택한 행동이었고 마스크가 없다고 좀 달라고 할수도 없었다무슨 산소호흡기나 생명유지장치인양 마스크를 달라는건 대단히 무례한행동이었다 집단 행동에 대한 공포를 처음 경험함
@이해원-f6o
@이해원-f6o Жыл бұрын
코로나 한창때 미국에서 또한번 휴지 대란이 일어났던거 보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SilverLightening
@SilverLightening Жыл бұрын
비데가 없는 미국적 상상력 ㅎㅎ
@gajbhsdhyun
@gajbhsdhyun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소금이 핫해져서 업자들이 쟁여놓고 저렇게 간보며 풀고있다던데 ㅋ
@O_OKIN
@O_OKIN Жыл бұрын
저거 요소수 대란이랑 비슷한 거 같기도 하고 ㅋㅋ
@Hyuk-ks5du
@Hyuk-ks5du Жыл бұрын
아는 지인 두명이 코로나때 마스크랑 손세정제 사재기로 상상하기힘든 금액 벌어들인거 생각난다
@vezitamax
@vezitamax Жыл бұрын
휴지코인..ㅋㅋㅋ
@SharkHunter-s1g
@SharkHunter-s1g Жыл бұрын
엄마가 휴지 아껴쓰라 그래서 맨날 아껴쓰는데 언젠가는 휴지로 저런 짓 해보고 싶다.
@teemocpt1400
@teemocpt1400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때 두루마리 휴지 엄청 사재기하더만 이거 때문인가
@포카포카
@포카포카 Жыл бұрын
인도: 저게 먼데? 우리에겐 바다가 있다
@eddieyorkkim7802
@eddieyorkkim780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풍자한듯
@무창우
@무창우 Жыл бұрын
어쩌다 중3 사회를 공부하면서 여기까지 왔는가…
@HmHuMing
@HmHuMin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마스크 사재기네 ㅋㅋㅋㅋㅋㅋ
@julielee-qp2xp
@julielee-qp2xp Жыл бұрын
호주에 살고 있는데 코로나 터졌을때 마트에 휴지 없었음 다 사가서.. 태어나 처음으로 똥을 못 싸나 하고 공포를 느낌….
@jwh4423
@jwh4423 Жыл бұрын
😮
@Let_s_go1004
@Let_s_go1004 Жыл бұрын
맥주,빵스티커,마스크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휴지 왕좌의 게임 ㅋㅋ
@kr_ryutip6766
@kr_ryutip6766 Жыл бұрын
휴지코인 미쳤다...
@정환-r3o
@정환-r3o 10 ай бұрын
비트코인 꼬라지가 딱 이꼴인데 현실은 휴지보다 쓸모없는
@gang-q4f
@gang-q4f Жыл бұрын
요즘 오타가 너무 많아 지신거 같은데.. ㅋㅋㅋㅋ 내가 대충 본것만 2개...
@ChevroletRocher
@ChevroletRocher Жыл бұрын
없다고 굶어 죽는 것도 아니고 참 신기하네..
@chstk858
@chstk858 Жыл бұрын
군중심리가 제일 무섭죠 ㅋㅋ 집단은 냉정하게 판단을 못함
@pkpkpk17
@pkpkpk17 Жыл бұрын
멀리 갈것도 없이 코로나때도 화장지 사재기 엄청 하더만... 전 외국 사는데.. 이해가 가질 않더라구요.. 차라리 물 라면 통조림 이런거를 사야지 왜 화장지를 사대는건지.. 위급상황이란 가정하에 똥을 못딱는게 그리 중요한가.. 그냥 물로 해결하면 되지 않나..? 수도가 막힌건 아니자나..
New Colour Match Puzzle Challenge - Incredibox Sprunki
00:23
Music Playground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