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모래 뭐가 다르길래? 중국 반도체가 쩔쩔매는 이유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Рет қаралды 258,849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332
@understanding.
@understanding. 27 күн бұрын
방송내용을 상세히, 그리고 더 정확히 정리한 네이버 프리밈어 콘텐츠 입니다. 참고하세요. naver.me/xec4EeWL
@user-oe4ev7we5g
@user-oe4ev7we5g 23 күн бұрын
긍부좀 더하시고 강연하세요. 내용에 오류가 많아요 !
@danielkim9216
@danielkim9216 29 күн бұрын
매번 김상훈 기자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취재의 결과로 많은 지식을 배우고 있습니다.
@ohjinmyoung7350
@ohjinmyoung7350 29 күн бұрын
어릴떄 미국 멕시코만 해변가에 놀았죠. 거기 모래는 아무리 봐도, 만져도 설탕이랑 똑같아요. 소금보다 결기 곱고 하얗다는거죠. 눈이온거마냥 하얗죠. 곱기에 하나도 발이 안 아프고 하얗기에 바다속까지 훤히 보입니다. 석영 순도 99.9퍼센트가 넘는 미친 모래. 나중에 커서 보라카이 백사장 보고 너무너무 실망한 기억이 있어요. 하얗다더니 시커멓고 거칠어서. 대만에 핸드폰 유리공장 지은 엔지니어 할아버지가 미국 그 모래가 최상의 모래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관광지로서 가치가 더 커서 공업용으로 사용을 거의 안 한다고 하더라고요.
@kloudgim3322
@kloudgim3322 29 күн бұрын
바닷가 모래는반도체로 못 씁니다
@gdtt6485
@gdtt6485 29 күн бұрын
​@@kloudgim3322 못쓰는게 아니라 안써요. 이유는 그모래 없어지면 바다 생태계가 망가져서 더 큰 손실을가져옴. 한국도 저런곳이 한곳 있는데 그걸퍼다 쓰면 되겠어요? 관광으로 버는돈이 더큰데.
@kloudgim3322
@kloudgim3322 29 күн бұрын
@@gdtt6485 생태계 파괴는 커녕 아예 못 쓴다고 ㅁ저리야
@user-lx8zp1mt4n
@user-lx8zp1mt4n 29 күн бұрын
와....
@kloudgim3322
@kloudgim3322 29 күн бұрын
@@gdtt6485 멍청한 소리 하고 개 자빠졌네 바닷가 모래 불순물이 많아서 안 된다니까 이런 빡대가리 상대해야 되나
@lazismseo1449
@lazismseo1449 29 күн бұрын
방장 사기맵~!! 아무리 땅이 커도 그렇지 뭐만 하면 다나와
@ja970425
@ja970425 29 күн бұрын
예전 모래에 관한 책 소개할 때 미국 모래 얘기 나옴
@Ssapex4137
@Ssapex4137 24 күн бұрын
NC에 살고 있는 반도체하는 사람인데요,Spruce Pine에 그런 중요한 모래가 나오는지 오늘 알았습니다. 대단한 정보력이네요. 예전에 그근처로 캠핑을 간적이 있었는데 석영광산이 있는지도 몰랐네요.
@user-MalcomX
@user-MalcomX 29 күн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늘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ALETHES
@ALETHES 29 күн бұрын
미국에는 우리 집 빼고는 없는 게 없네
@user-dn2ij4pt9u
@user-dn2ij4pt9u 29 күн бұрын
울집에미국백개있다
@user-uv6xe1bh9p
@user-uv6xe1bh9p 28 күн бұрын
세상의 모든지식중 이번건의 깊이는 정말 대단 합니다👨‍🏫
@eunjungchoi9657
@eunjungchoi9657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땅 파서 안 나오는 게 없네요
@user-pz9by7dc4e
@user-pz9by7dc4e 29 күн бұрын
외계인도 나온다느ㄴ.... 읍읍....
@user-zb5cv4qr5b
@user-zb5cv4qr5b 29 күн бұрын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대로 사는 신앙생활을 하려고 건설된 나라라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것은 당연합니다
@yamorange6379
@yamorange6379 29 күн бұрын
ㅋㅋ ㅋㅋ ㅋ​@@user-zb5cv4qr5b
@user-ox7ys4jg4b36
@user-ox7ys4jg4b36 29 күн бұрын
@@user-zb5cv4qr5b 그러면 우리도 성경대로 신앙생활 하면 축복 받아서 온갖 자원이 펑펑 나오는 거겠죠?
@arsenale-mr1no
@arsenale-mr1no 29 күн бұрын
@@user-zb5cv4qr5b 아 그렇구나 ㅋㅋ 알라의 축복이나 오딘의 축복도 그런거구나 ㅋㅋ 중국도 지하자원이 꽤 있는데 이건 고나우의 축복인가? ㅋㅋ
@user-qb7zg2im4t
@user-qb7zg2im4t 28 күн бұрын
최근 봤던 콘텐츠 중에 단연코 최고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CloudPark-to3jb
@CloudPark-to3jb 29 күн бұрын
정말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제겐 너무 새로운 세계네요 감사합니다
@user-di7vb2hd1g
@user-di7vb2hd1g 28 күн бұрын
참고로 석영도가니를 만드는 일본의 쿠어스텍, 미국의 모멘티브는 원익QnC가 인수했습니다
@heesim8437
@heesim8437 28 күн бұрын
작년에 남궁민 북칼럼니스트가 북언더스탠딩에서 같은 내용 해주셔서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어요. 모래로 지은 세계 뭐 이런 책이었는데...안기자님 질문이랑 반응이 그때랑 똑같아서 데자뷰 😂 김상훈 기자님 설명도 재미있네요!
@user-yh2wx1sx7v
@user-yh2wx1sx7v 29 күн бұрын
아니... 미국은 모래도 좋음? 빨강 사기맵 진짜...제목만 봤지만...영상 보기도 전에 또 부럽고 억울하네..
@abcdefgkkss
@abcdefgkkss 29 күн бұрын
야구장 그라운드 흙도 미국산 수입하잖어.
@homestead1862
@homestead1862 29 күн бұрын
미일 동맹이 막강한 이유가 많네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28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gerrypark5519
@gerrypark5519 29 күн бұрын
저거보다 훨씬 중요한건 반도체 공장은 미국 장비로 반도체 생산을 한다.
@user-qk3le7io1s
@user-qk3le7io1s 29 күн бұрын
미제는 양잿물도 좋다더니 하다 못해 흙도 좋네
@ygehun
@ygehun 2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fm6po4py7u
@user-fm6po4py7u 28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t1ly3lm3q
@user-lt1ly3lm3q 27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사람도 좋다 인간성 좋은 휴먼
@many2533
@many2533 27 күн бұрын
양잿물은 세제....양잿물은 원래 서양꺼....양잿물보다 순하고 잘빨리는 세제가 미국에서 나왔으니 좋을수밖에 😅
@nealkim2149
@nealkim2149 2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be_arahan
@be_arahan 29 күн бұрын
김상훈 기자님 응원합니다 from 구독자
@parkherenow
@parkherenow 29 күн бұрын
미국 유학가서 반미 운동권에게 반미하는걸 배워온 사람들,,,,,,한국의 미국유학파들,,, 공무원이 세금으로 미국유학가서 공부보단 졸업장과 반미 운동권에 기웃거리다와서는 공무원사회에 반미마인드을 형성한 웃기는 상황,,,세금으로 그짓을 한다는게 문제,,,,ㅎ
@BSSBJM
@BSSBJM 29 күн бұрын
나왔다 내 밥친구
@ljs2358
@ljs2358 27 күн бұрын
훌륭한 취재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hjungku
@hjungku 28 күн бұрын
완전히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일본의 기술이 아니면 최종적으로 반도체 생산이 안된다라고 막연히 알고 있던 내용을 조금 더 상세히 알게 되었네요. 옛날부터 일본의 원천기술이 우리에겐 없다고 들었는데 이것도 그중 하나군요.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29 күн бұрын
안녕 하세요 감사합니다
@lidongxun
@lidongxun 29 күн бұрын
중국이 공정하게 경쟁을 안하는게 문제요. 정부보조금에 특허훼손 다른나라 기술 경영권 탈취 별 드런 짓거리 다하는게 중국임
@choe7146
@choe7146 19 күн бұрын
오늘 설명해 주시는 걸로 뭐가 머리속에서 번쩍하는 느낌을 받네요. 역시 기자는 기자다..란 느낌
@oriori9580
@oriori9580 28 күн бұрын
그런 부분에 대해서도 추가 취재를 해주시면 참 좋을 듯 싶습니다
@ikropark1564
@ikropark1564 24 күн бұрын
OCI 군산 공장은 연간 4700톤 규모의 11~12-나인급 고순도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국내 주요 생산거점이다. 폴리실리콘은 반도체 원재료인 실리콘 웨이퍼 제작에 사용된다.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10-나인급 폴리실리콘) 대비 높은 순도를 필요로 한다. 전세계에서도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생산 기술을 갖춘 업체는 OCI, 독일 바커, 미국 헴록, 일본 도쿠야마 등 6개 업체에 불과하다.
@user-di9vh1xv5n
@user-di9vh1xv5n 27 күн бұрын
방장사기맵
@user-xh1hz5cg2k
@user-xh1hz5cg2k 11 күн бұрын
미제가 좋다고 하지만 모래까지 좋을 줄이야..
@knewQ
@knewQ 27 күн бұрын
오...오거스타 내셔널의 그 모래...ㅎㄷㄷ
@Oizman
@Oizman 29 күн бұрын
규소는 벨기에나 핀란드 광산에서 순도가 높은 3N9 급이 나와서 거기서 많이 사서 잉곳 뽑는다고 알고 있었는데...석영가마 도가니는 한국도 아주 오래전에 만들었는데 이제는 안만드나 보네요..고순도도 만들 수 있는데 회사가 그만 두었겠죠..시대가 지났으니 정보가 틀릴수도 있겠네요.
@user-eh9gl6gx3i
@user-eh9gl6gx3i 29 күн бұрын
이프ㅡ로님 안나오실때 어디가신 건가요?
@peso7408
@peso7408 29 күн бұрын
대만업체는 글로벌웨이퍼스 옛날미국회사 memc였음. 쿼츠는 웨이퍼회사도 쓰지만 반도체회사도 씀 디퓨전퍼니스장비, 클리닝배치장비 등등 저기광산모레 퍼다파는 회사는 미국회사임
@yarn75
@yarn75 29 күн бұрын
불순물 하나라도 들어가면 애플폰 칩에 불량 처리 폐기라는 소리군요. 반도체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가 있는것 같군요 어머니의 30년전 그릇이 석영으로 만들지 그릇이구나.
@user-ji2zz3bz3u
@user-ji2zz3bz3u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인들. 똥도약이라고. 한다는말도 옛살 나오더니만 이젠 모래도 까지 ㅎㅎ
@jeansonagilee8884
@jeansonagilee8884 29 күн бұрын
👍 Simply the best! Understanding selects the most exciting topics with in-depth knowledge. Thank you!
@neutral1664
@neutral1664 29 күн бұрын
원익qnc 자회사 모멘티브도 5위안에는 들어있군요
@jaeahn816
@jaeahn816 20 күн бұрын
제 분야를 한국의 유투브에서 보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일단 미국의 지질자원이 풍부한 것은 맞지만 중요한 것은 그 자원을 제품으로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내도록 수십년간 노력해온 엔지니어들이 있고 그 비즈니스가 성사될때까지 참고 기다릴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이 있습니다. '땅만 좋아서' 가 아니라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은 돌멩이도 제품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비즈니스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hy20120
@hy20120 29 күн бұрын
와..금요일에 여의도에서 일을 하는데 점심에 산책겸 여의도역지하도로? 로 걸어가는데 김성훈기자님을 뵙는데 너무 잘생기셔서 깜놀했어요 ㄷ
@jini_world
@jini_world 27 күн бұрын
저기 도가니 기업중 모멘티브가 한국 기업 원익QnC 자회사이고 일본 쿠어스택이 모멘티브 자회사입니다. 한국 기업도 중요한 위치에 잘 포지셔닝 하곻있어요
@user-nu2kd7rq9d
@user-nu2kd7rq9d 28 күн бұрын
자유진영이니 이정도지 중국같은 공산진영에은 이미 수출금지 시켰을듯~!!!
@user-vb8rm5nh7y
@user-vb8rm5nh7y 28 күн бұрын
어디서도 못 들은 좋은 정보네요 잘 듣고 갑니다
@fengnanjin9533
@fengnanjin9533 23 күн бұрын
실리콘은 규소라고 합니다 규소는 규석을 용광로에 넣어서 제일 처음 나오는건 금속실리콘이 되는겁니다 (모래같은 소리는 하지마시구요 )
@ljs0003
@ljs0003 29 күн бұрын
모래나 소금이나 ... 이런거 보면 반도체나 최근 트렌드 기술 기업 투자는 못하겠고 걍 ㅠㅠ 요식업이나 부동산같이 아는거나 투자해야겠다... (상업용 유통업이 짱인 것 같기도 하고...)
@JWKANG05
@JWKANG05 29 күн бұрын
애초에 게임 맵을 잘못 만든거 아닌가 이정도면…
@user-sy6bq3zu6w
@user-sy6bq3zu6w 28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땅파면 십원한장빼고 다 나오네...
@g04jee
@g04jee 29 күн бұрын
상식적으론 이미 있는 유리를 다시 녹여 만들면 될 것 같은데...쉽지 않나보네요.
@gdtt6485
@gdtt6485 29 күн бұрын
이미 그렇게 써요. 석영이라는건 합성해서 유리 만드는걸 말하는게 아니라 순수 석영 결정이 필요해요. 반도체 공정중에 쿼츠 라는게 있는데 그게 석영을 써요. 요즘에는 실리콘이 개발되서 실리콘을쓰기 시작함. 유리는 다른재료를 섞은걸보통 유리로 쓰는거고 순수 석영은 똑같은 유리 같지만 성질이 다름. 그걸 석영유리라고도 함. 용도가 달라요.
@SL-mc8jv
@SL-mc8jv 29 күн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이 소개한 *물질의세계* 에서 봤던 내용이네. 미국 광산도 감시가 심하고, 일본이 만드는 과정도 기술유출 우려 극심한 감시가 진행되고 있다고 했던것 같은데~ㅠㅠ 부럽더군.
@ruxmia
@ruxmia 28 күн бұрын
이젠 하다하다 모래까지 좋네...
@user-fh5yb8lo5k
@user-fh5yb8lo5k 27 күн бұрын
참 미제미제 하더니 모래까지 미제가 판치네요~~
@hyochulcha5931
@hyochulcha5931 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미국과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고 함께 같이가야...
@zenoarts57
@zenoarts57 27 күн бұрын
모래도 중국산은 쓰레기인가보네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26 күн бұрын
반도체 소재를 만드는 나라들은 죄다 한미일이 휘어잡고 있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한미일 동맹이 그래서 생겨난 건가 ㅋㅋㅋㅋㅋ 반도체 동맹
@user-hw9cf6gg2q
@user-hw9cf6gg2q 4 күн бұрын
반도체원천기술은 미국이 보유하고 있죠
@MrSinusu
@MrSinusu 27 күн бұрын
윤상씨가 반도체 분야도 관여하는군요.
@v10bears28
@v10bears28 28 күн бұрын
이프로도 직접 취재하면 좋겠습니다
@cats-korea
@cats-korea 29 күн бұрын
하다 하다 이젠 중국이 미국 모래 때문에 쩔쩔매는 구나 , 중국이 진짜 쌉 ㅈㅂ 인가 하나부네 잉
@MeTooYuToo
@MeTooYuToo 29 күн бұрын
참~! 별세계네요.... 신기하네요
@user-nb7pk3mq1r
@user-nb7pk3mq1r 29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MeTooYuToo
@MeTooYuToo 24 күн бұрын
@@user-nb7pk3mq1r 감사합니다만 사양합니다... 죄송..
@buffettwarrant7416
@buffettwarrant7416 29 күн бұрын
자원의 아들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d9ew2pw7g
@user-vd9ew2pw7g 12 күн бұрын
맞아요.특허를내면 공개되죠. 앞으로 특허라는개념은 없어야 .
@ubnstory5876
@ubnstory5876 29 күн бұрын
천조국은 모래까지 축복이네
@oneonly2361
@oneonly2361 28 күн бұрын
흠 . 상온 다이아몬드도만들었으니 대충 석영에 다이아몬드 코팅한다생각하면안댈라나요. 음 그래핀코팅 ㅎ
@51825
@51825 25 күн бұрын
국가 존립 전략산업은 수요가 어떻든 개발해야 된다
@currykim91
@currykim91 27 күн бұрын
기자님.. 좀더 알아보셔요. 도가니 업체인 모멘티브, 쿠어스텍 최대주주가 원익qnc에요. 2020-21년 인수 했습니다
@TheGreatDebunkers
@TheGreatDebunkers 29 күн бұрын
기자님이 중국이 처한 불리한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 안대표님은 마음이 불편하신가 봅니다.
@highermountain476
@highermountain476 29 күн бұрын
❤🎉😮
@hk-us6zh
@hk-us6zh 28 күн бұрын
미국 모래보다 일본의 기술력이 핵심이네요
@user-il8fu7ry4q
@user-il8fu7ry4q 29 күн бұрын
신장위구르쪽 모래도 엄청 곱게 보이던데
@user-ds1gk3tn9p
@user-ds1gk3tn9p 28 күн бұрын
과학적으로 순도 99.99999999999 이 정도가 되는 것을 측정은 가능한가요? 진짜 과학이 대단 하군요ㆍ
@tubeyou1490
@tubeyou1490 26 күн бұрын
그 뒤에 남는 만큼을 차지하는 물질이 뭐냐에 따라서 반도체의 성질이 완전히 바뀌기 때문에 저렇게 고순도가 필요해지죠.
@user-ju3np4dp4k
@user-ju3np4dp4k 29 күн бұрын
중국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줄때 우리업체 완전히 배제할땐 왜 다들 조용했죠? 미국 욕할거 하나 없습니다
@user-fb2ge3vq3k
@user-fb2ge3vq3k 29 күн бұрын
TESLA는 중국 자동차 회사와 동일한 보조금을 받는다. 한국은 중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나요?
@jasminteabag
@jasminteabag 29 күн бұрын
@@user-fb2ge3vq3k말투가 딱 번역톤ㅋㅋ
@user-fb2ge3vq3k
@user-fb2ge3vq3k 29 күн бұрын
@@jasminteabag yes
@ALETHES
@ALETHES 29 күн бұрын
@@user-fb2ge3vq3k cao ni ma
@nathanlee4547
@nathanlee4547 2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자유무역이라는 기조하에서 꿀빨았는데 이제 꿀통이 부서지는거 같다
@oriori9580
@oriori9580 28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앞으로 반도체는 더더욱 그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텐데 그 모래의 매장량이 현재 어느정도인지가 관건이고, 매장량이 무한하지 않을테니 결국 다른 대체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을 것 같은데
@alganmorgan
@alganmorgan 2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김상훈 기자, 이프로는 자주 쉬는데, 김상훈 기자에게도 휴식을 줍시다.
@fastdunn
@fastdunn 28 күн бұрын
순도가 낮은 실리콘 도가니로 여러번 하면 되겠네요? ㅎㅎㅎ
@user-cb1vz2dg1x
@user-cb1vz2dg1x 27 күн бұрын
방장 사기맵 실사판
@special590
@special590 27 күн бұрын
신기방기네요. 인조 석영이 그리 비싸다니
@tubeyou1490
@tubeyou1490 28 күн бұрын
결국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그 광산의 산출물에 최적화된 레시피로 얻어진 결과라는거죠. 중국은 선택지가 없이 그냥 중국 땅에서 나는 실리콘에 최적화된 레시피를 자체 개발하는 수밖에 없고, 이미 하고 있을거고, 언젠가는 만들어 낸다고 봐야할거 같습니다. 그게 언제냐가 문제겠네요.
@user-wg8rx1ek5m
@user-wg8rx1ek5m 24 күн бұрын
여수 남해화학 요소비료공장 시설 통쳬로 중국에 팔아처먹은 농협놈들 돈안된다고!
@user-bb8qf1lg9k
@user-bb8qf1lg9k 23 күн бұрын
기저님 우리나라 우리나라 원익qnc 화사 김기자님이 한번 자세히 소개해 주시면 어떤가요 중국이 넘볼수없는 대한민국만의 국뽕좀 다시 듯도싶내요
@btswt101
@btswt101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모래도 좋아? 하...
@user-fh5yb8lo5k
@user-fh5yb8lo5k 27 күн бұрын
저 오늘 커피 샀어요 잘 마셔볼께요~~ 나의 설겆이 메이크 언더스탠딩 오래오래 흥하세요!!!
@broox0304
@broox0304 27 күн бұрын
하여간 방장사기맵...
@jko9314
@jko9314 29 күн бұрын
아 치트키 쓰지 말라고~
@ttm-xu4ml
@ttm-xu4ml 29 күн бұрын
요전에 일본의 고순도 불소가 없으면 한국반도체 못만드는거라고 하던데...
@user-rh1mq7ux8u
@user-rh1mq7ux8u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아주 귀한 것이 많은 것이 아니라 자원을 이용해서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을 했기에 가능 한 것이 아닌가?
@user-sh6mx2yw2q
@user-sh6mx2yw2q 29 күн бұрын
세일 석유도 채굴 엄청 는다고 하더니. 그후로 wti 10불 올랐음. ㅋㅋㅋㅋ
@user-oy8xp2qv4o
@user-oy8xp2qv4o 26 күн бұрын
일본의 기술 ㅠㅠ
@DebbieGibson001
@DebbieGibson001 18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못 만드는게 아니고 기존에 일본이 만들고 세계시장의 거래처를 선점하다보니 굳이 바꾸려 하지 않아서 연구 투자를 안하게 되는 케이스라고 봅니다. 전 정부때 일본과 사이가 안좋을때 반도체 비중이 큰 우리나라를 굴복 시키려고 수출 제한 카드를 썼다가 고순도 불산처럼 몇개월만에 만들어낸 경우가 있었죠 그때도 못 만들 기술은 아니지만 일본 기업들이 한국기업이 자생적으로 진출하려 기술을 만들면 염가로 시장에 내다팔아서 고사 시키자 개발해놓고 생산을 안했다하죠. oci도 아마 구 이유일 겁니다.
@user-qr1pu8ts1k
@user-qr1pu8ts1k 23 күн бұрын
실트론 다니는 지인에게 들어보니 요즘엔 독일이랑 중국제 도가니도 쓴다고 좀 옛날 자료같다고 하더군요
@user-ll2ob8js9m
@user-ll2ob8js9m 28 күн бұрын
중국 모가지 잡고 흔드는 이유가 잇네....중국을 다시 농업국가로 만들자. ....
@mingchenhuang532
@mingchenhuang532 25 күн бұрын
哈哈哈,动摇中国?仔先动摇北朝鲜再来说大话吧!
@user-oe8vg3yv1q
@user-oe8vg3yv1q 2 күн бұрын
우리 국민을 지칭할 때는 '저희 나라, 저희 국가''라고 하면 우리 스스롤 낮추는 말이 됩니다. 따라서 '저희 나라, 저희 국가''라는 존대법은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두 축구 라벌인 학교가 인터뷰에서 '저희 학교가 이번엔 이길 것입니다'라고 말하면 상대방 팀이 항상 우리를 이긴 학교에 대한 존칭이 되기 때문입니다.
@user-bp8ek3jf3l
@user-bp8ek3jf3l 28 күн бұрын
죽창들고 설치다가 일본한테 한방에 골로갈수 있네요.
@usinokaori
@usinokaori 26 күн бұрын
북언더스탠딩…남궁민작가님 모래편 보며뉴정말 잘 알수있습니다.돌아와라 남궁 작가
@thomasnam2899
@thomasnam2899 29 күн бұрын
예전에 ge쿼츠임. 이름이 변경.
@user-ow7ze1qn3g
@user-ow7ze1qn3g 29 күн бұрын
방장사기맵 ㅆㅂ……
@oneonly2361
@oneonly2361 28 күн бұрын
9n 전에 일본에서한국에수출안한다해서 국내기업이성공 했다고나왔던거맞나요 수출규제로인한 국내반도체생산불가.. 그때 무슨 액체였던거같은데요
@YHJeon-ur9ni
@YHJeon-ur9ni 25 күн бұрын
국내에서 개발했는데 단가가 많이 올라감. 결론은 일본에서 수입하는게 이익.
@user-ir7br1lw7r
@user-ir7br1lw7r 2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너무 웃기다
@user-jp5jx3vy1z
@user-jp5jx3vy1z 28 күн бұрын
까불다가 아주 폭망.
@user-vr3wv9hg6i
@user-vr3wv9hg6i 29 күн бұрын
일본이 석영도가니 공급 안해주면 우리 반도체는 끝장나네..
@csj7516
@csj7516 7 күн бұрын
도가니 안쓸여면 무중력 상태서 추출하면 됨
아프리카는 중국이 싫어졌습니다 (송태진 작가)
52:4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0 М.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둔촌주공 이번에는 학교 때문에 난리 났습니다 (언더스탠딩 백종훈 기자)
33:2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7 М.
잘 쓰던 러시아산 우라늄을 미국은 왜 차버렸을까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7:1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03 М.
미국에서 한지붕 세가족이 갑자기 늘고 있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38:52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155 М.
원전에 올인했는데, 동해에서 천연가스가 발견됐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6: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71 М.
장난감을 보면 물리학이 보인다고요? (성균관대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1:13:2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8 М.
수천 년 쓸 수소가 땅 밑에 잠자고 있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36:3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95 М.
서울 점령한 정체불명 파리떼 '러브버그'. 넌 대체 누구냐?? (갈로아 과학웹툰작가)
57:20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