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여객기와 헬기 충돌사고! 과연 무슨일이 있었나?! 현재까지의 원인과 그 뒷이야기! [항성의 뉴스속으로]

  Рет қаралды 59,024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Күн бұрын

지난 1월 30일(한국시간) 발생한 여객기와 헬기의 충돌사고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크게 났는데,
어떻게 군용헬기가 여객기와 충돌하게 된 것일까?
희생자들의 안타까운 이야기는?!
항성의 뉴스속으로에서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2025 탄생의 역사 달력 + 유니버스 맨투맨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
#항성 #뉴스속으로 #항공기사고 #AA #헬기
◆ Thanks to
Editor: 이재현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ver.com...
◆ 안될과학 문의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181
@Hayoung-vm1hg
@Hayoung-vm1hg 5 күн бұрын
DC에서 대학교 다니고 있는 유학생입니다. 레이건 공항이 학교 근처에 있는 곳이다 보니 비행기도 많이 타보고 이착륙하는 것도 많이 봤었습니다. 제가 DC와 레이건 공항을 이용하면서 겪어본 것을 토대로 몇 가지 알 수 있는 것은 1. 레이건 공항의 33번 활주로는 착륙 활주로로 자주 쓰이지는 않습니다. 2년동안 대략 15번정도 공항을 이용해봤는데 33번 활주로에 착륙한 적이 없습니다. (1번/19번 활주로를 주로 사용합니다.) 최근에 공항 트래픽이 많아지면서 33번 활주로의 사용빈도가 상승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1번/19번 활주로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2. 밤에 DC와 포토맥 강 건너 (버지니아 주)를 보면 불빛이 상당히 많습니다. 불빛이 많은 곳에서는 비행기 불빛이 건물이나 도로 또는 차량 불빛에 섞여서 잘 안 보이는 경우도 가끔씩 있습니다 (근접해야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간투시경을 착용했는지 안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만약 착용을 하고 비행을 했다면 비행기 불빛들을 다른 불빛으로 착각했을 가능성도 보입니다. 3. D.C.는 워낙 헬기가 많이 다니는 곳입니다. 군 헬기 외에도 경찰 헬기, 국방부 소속 헬기 등등 여러 대의 헬기가 비행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비행기 트래픽도 많은 곳인데다가 미국 정부 고위관료들이 많이 있는 곳이기에 사고가 난 헬기의 비행경로를 따라 헬기가 많이 지나다니는 것을 목격했었습니다. 4. TCAS 시스템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두 비행기가 충돌 경로에 있을 때 소리로 경고음을 내면서 두 비행기에게 각자 다른 지시를 내립니다. (한 대는 위로 올라가라고 지시하고 다른 한 대는 아래로 내려가라고 지시합니다.) 그러나 비행기가 1000ft 아래로 내려갔을 때는 이 지시를 하지 않습니다. (지상과의 충돌 위험으로 인해 그렇습니다.) 또한 헬기가 TCAS가 없더라도 트랜스폰더를 갖고 있기에 비행기에게 traffic advisory(비행기 디스플레이에 충돌 위험이 있는 비행체 마커의 색깔이 변해서 보이는 것)로 경고해주기는 합니다. 다만 착륙 직전이었기에 비행기 파일럿이 이것에 대응을 늦게 했거나 못 봤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5. 이건 다른 댓글에서 언급한 부분이고 외국 비행 관련 유튜브 영상에서 찾은 것인데, 헬기의 통신과 비행기의 통신 종류가 다른 종류였습니다. 그렇기에 초반에 교신 내용에서는 이 부분이 누락되어서 헬기가 관제사의 지시에 대답을 안 했다고 잘못 추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나온 외국 유튜브 영상에서는 헬기 교신 내용까지 다 나와있습니다. 6. 관제사가 헬기에게 정확히 사고 비행기를 육안으로 확인했는지 물어보기는 했습니다만 헬기 조종사는 이륙하는 비행기나 사고가 난 비행기 뒤에서 1번 활주로를 향해 착륙을 준비하는 비행기를 봤다고 통신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헬기가 관제사에게 visual separation을 요구하는 것도 나오는데 관제사가 이를 승인합니다. Visual Separation을 승인하면 이를 요청한 헬기에서 비행기를 보고 육안으로 피하겠다는 신호이기에 관제사가 충돌 우려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교신을 하지 않습니다. 7. 마지막으로 근 몇 년동안 미국에 있는 모든 공항에서 비행관제사를 많이 고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교육을 끝낸 관제사들만 세봤을 때 정원의 70%만 충당되었고 교육을 받고 있는 훈련 관제사들까지 다 합해도 정원의 79%만 충당되었다고 나옵니다. 최근 미국 공항들에서 near miss (이상접근)이 증가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기도 합니다. 즉, 레이건 공항 같이 복잡하고 트래픽이 많은 곳에서 정원보다 적은 인원이 관제를 하고 있었기에 미연에 확인하지 못하고 사고가 났을 가능성도 큽니다. 위에 내용들을 종합하였을 때 나올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으로는 (제 추측이긴 합니다만) "숙련된 헬기 조종사들이 야간 불빛들로 인해서 비행기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레이건 공항의 주 이용 활주로가 아닌 33번 활주로로 착륙하는 비행기를 놓쳤고 헬기 조종사들은 주 이용 활주로인 1번 활주로에 착륙하거나 이륙하는 비행기에 집중을 하였다." "Visual separation을 허가 받은 상황에서 관제사들은 헬기보다 착륙 및 이륙하는 비행기들에게 집중을 했고 헬기의 TCAS가 없더라도 트렌스폰더를 통해 비행기에서 경고가 나왔지만 착륙 직전의 상황이라 비행기 파일럿이 착륙에 집중을 하여 이 경고를 늦게 보고나 반응하지 못하였다." "관제사가 헬기에게 다시 교신을 했을 때는 너무 늦었고 관제사들도 정원보다 적은 수의 인원으로 관제를 해야됐기에 헬기에게 미리 경고하거나 다른 지시를 내리지 못하였고 두 비행기는 충돌하였다." 아직 초동 조사 결과의 발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것들이 확실하지 않고 위에 적은 가능성은 온전히 제 추측일 뿐 입니다. DC 살면서 헬기랑 비행기를 자주 보고 타본 사람으로써 언제 한 번 충돌하는 거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들었는데 그 불안감이 현실이 되어서 많이 참담합니다. 이번 사고로 돌아가신 67분 모두의 명복을 빕니다.
@라봉씨
@라봉씨 2 күн бұрын
너무길어도 공감댓글은 얻을수없다
@island6623
@island6623 6 күн бұрын
충돌 직전에 영상을 보면 인근의 다른 여객기가 움직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 저 여객기를 보고 관제소 말하는 여객기라고 생각을 하고 정작 가까이를 못 보지 않았나
@Erythrocyte1900
@Erythrocyte1900 6 күн бұрын
통계적으로 보면 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극히 낮지만, 지금처럼 한 번의 참사가 발생하고나면 그것이 트리거가 되어서 멀쩡하게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정신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고 평소보다 더 쉽게 평정심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user-6626
@user-6626 6 күн бұрын
참...비행기도 충돌을 대비해서 획기적인 에어백같은게 나왔으면...
@elvenisar
@elvenisar 6 күн бұрын
@@user-6626 자동차처럼 땅위에서 미끄러지는게 아니라 추락하기 때문에 에어백은 아무 의미없음. 낙하산도 실용적으로 불가능함. 원래 공중충돌사고는 비행기 역사속에서도 손에 꼽을만큼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임. 대부분의 사고는 이륙/착륙중에 일어남.
@lily9025
@lily9025 6 күн бұрын
트럼프가 항공 안전 예산 삭감하고 사람들 잘랐다던데.. 확실한 이유가 시스템적일거라 보는데 검사가 나와야 알거 같음
@Bosin1001
@Bosin1001 6 күн бұрын
어찌 같은 날 한달차이로 이런 비행사고가...
@SATELLITECASTIEL
@SATELLITECASTIEL 6 күн бұрын
'항성의 뉴스속으로' 처음 인지함
@oceanbreezehj
@oceanbreezehj 6 күн бұрын
어제 우리동네 메디컬 플레인도 사고가 났어요 차가 엄청나게 많이다니는 도로에 떨어져서 운전자도 한명 사망 맘 아픈일이 계속 일어나네요
@greenjake44
@greenjake44 6 күн бұрын
그 사이에 추락사고가 하나 더 ㅠㅠ
@kyw1125
@kyw1125 6 күн бұрын
아무리생각해도 헬기 대응이 이해가 안됨 솔찍히 착류시퀀스 시작한 항공기는 항로가 정해져 있으니까 어쩔수 없다지만 헬기는 X든 Y든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눙한데 그걸 못한다고?
@skyeye8519
@skyeye8519 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뒷쪽에 런웨이01 내리는 항공기를 계속 봤고 실제 피해야할 항공기를 못봤다는거 말고는 설명이 안되긴함여.
@enter_channel_name_1a84
@enter_channel_name_1a84 6 күн бұрын
항로고 나발이고 3차원 공간이라 사람이 조종해선 박고싶어도 박기 엄청 어려움. 걍 운명의 억까임
@hughkeem
@hughkeem 6 күн бұрын
@enter_channel_name_1a84 비행기 충돌사고 생각외로 은근히 많아요..
@enter_channel_name_1a84
@enter_channel_name_1a84 4 күн бұрын
⁠@@hughkeem은근히 안 많아. 그리고 이 경우엔 같은 항로를 쓰고 고도를 맞춘 경우도 아냐. 벼락 맞아 죽은 사람 몇명 있으면 벼락 맞는건 억까가 아니게 됨?
@hughkeem
@hughkeem 4 күн бұрын
@enter_channel_name_1a84 가장 유명한 이것보다 훨씬 빠르고 고도가 높았던 위버링겐 사고도 있고, 나무위키 가서 항공기 공중 충돌 카테고리 함 보고 와.
@Moonlights2024
@Moonlights2024 6 күн бұрын
기술적으로 충돌감지, 헬기는 특히 TCAS,자동회피 기능이나 알람기능 등 시스템 보완이 필요해보이네요 ㅠㅡㅠ😢 관제탑도 헬기기준 정확히 몇시 방향에서 오는 비행기 보이냐고 소통체계 문제도 있어보이고.. 사람은 실수의 동물이라
@나그네-y8p
@나그네-y8p 6 күн бұрын
결국 2명이 관제해야 하는데 1명이 일찍 조기 퇴근
@enter_channel_name_1a84
@enter_channel_name_1a84 6 күн бұрын
저건 진짜 아무리 악재가 곂쳤어도 실 던졌는데 바늘구멍에 들어간거라 보면 됨. 내고싶다고 낼 수 있는 사고도 아니고 그냥 말도안되는 억까로 일어난 사고임.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억까 아님 걍 헬기 조종사 과실임
@dlwwid8537
@dlwwid8537 6 күн бұрын
@@hykjang8870 억까가 그 뜻이 아니라 과실을 해도 그 넓은 하늘에서 충돌은 진짜 개억까라는 소리임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 교신 내역이 이미 공개되고 시간이 흐른 2월 1일 시점 현지에서는, ATC의 경우 헬기에 시야에 보이는 CRJ를 보고하고 해당 기체의 뒤로 돌아가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며, 이후 두 차례 추가적으로 해당 기체 CRJ를 확인한 것이 맞냐고 질문하여 세 번 모두 군인 헬기 조종사에게서 기체가 시야에 있다는 확답을 받은 상황이기에 필요한 의무를 이행했다고 보는 여론이 우세하다. 걍 헬기 조종사 잘못임. 몇번을 알려줘야 의구심 가짐? 1000시간이면 루키도아니구만 뭔 걍 자만과 무시로 일관한 운전으로 인한 헬기 조종사 잘못임 억까 절대아님
@Kangbmw
@Kangbmw 6 күн бұрын
보통 그런 사고가 나는 배경에는, 안전수칙을 무시하던 관행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이 우연히 바늘에 들어간 게 아니라, 들어갈 때 까지 계속 실을 던져댄 것이죠.
@enter_channel_name_1a84
@enter_channel_name_1a84 4 күн бұрын
@@hykjang88703차원 공간에서 유도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또 고의적 충돌을 의도하지 않고 양측 다 고속으로 순항중인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진짜로 얼마나 될 거 같음? 이게 니네 집 주차장에서 접촉사고 나는거랑 비슷해 보이냐? 이건 진짜 베테랑이 박으려고 작정을 해도 거의 일어날 수가 없는 일이고 니는 그냥 거기에 대한 이해가 눈꼽만큼도 없이 아는 척 해야되고 착한 척 해야되고 빨리 누구 욕하고 정의구현 하는 느낌 느끼려고 하는 저질스러운 짓이나 하고 있는거야. 역겨우니까 좀 작작 좀 해라
@hughkeem
@hughkeem 6 күн бұрын
😮아마 영상 제작 (라이브) 시에는 없었던 정보 였겠지만 정확한 정보 제공 하고자 합니다 (출처 NTSB 브리핑) 1. 고도는 CRJ가 ADS-B하고 FDR 정보 상 325피트 (+-25피트) 였다고 하고, 블랙호크는 아직 검증중에 있으며, 타워 레이더 고도상으로는 200피트였다고 함. 2. 블랙호크 야간 투시겅의 경우, 착용/사용하였는지 아직 검증 중. 착용했는지, 정상작동하였는지 여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음. 3. 블랙호크의 통신은 UHF 였고, CRJ는 VHF를 사용 하였음. 그렇기에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녹음본은 UHF 레코딩이 없으며 그래서 대답이 없었다고 잘못 추정했을 가능성이 있음.
@루이-f4e
@루이-f4e 6 күн бұрын
참고로 H-60헬기윽 야간투시경 C-NITE는 이런 환경에서 사용하면 조종사가 실명합니다.
@ozphantom5981
@ozphantom5981 5 күн бұрын
참고로 ADS-B 정보는 29.92 기준이라 실 고도가 아닙니다. 블랙호크 조종사의 야간비행착각이죠. 트래픽을 잘못 본 착각..
@Ariel-b2e
@Ariel-b2e 6 күн бұрын
관제탑은 옆 비행기 봤냐고 물었는데 헬기는 앞에 이륙비행기를 봤다고 하고 서로 착각했을수도
@stylefactory4833
@stylefactory4833 6 күн бұрын
야간투시장비는 생각보다 더 시계가 좋지 않죠 TCAS(보통 발음하기 편하게 '티카스'라고 부름)는 여객기끼리나 적용되는 것이고
@나그네-y8p
@나그네-y8p 6 күн бұрын
정확한 듯 그리고 영상에 위로 이륙하는 비행기가 보이는데 헬기조종사는 그걸 본듯
@yozefgil5199
@yozefgil5199 6 күн бұрын
1978년 샌디에이고에서 일어난 PSA항공 공중충돌의 악몽이 되살아난듯한 사고였습니다. 그 사고로 공중충돌 방지장치인 'TCAS' 를 개발하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중충돌사고는 사라지지 않고있네요.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sca7531
@sca7531 6 күн бұрын
참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ㅠ
@j.j7634
@j.j7634 6 күн бұрын
헬기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 했다고 말한 민항기는 다른거 였을수도? 바로 지근거리에 보였으면 어떻게든 피했을탠데 그냥 뒤에서 따라오던 다른 항공기 보고 거기에 매몰된듯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교신 내역이 이미 공개되고 시간이 흐른 2월 1일 시점 현지에서는, ATC의 경우 헬기에 시야에 보이는 CRJ를 보고하고 해당 기체의 뒤로 돌아가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며, 이후 두 차례 추가적으로 해당 기체 CRJ를 확인한 것이 맞냐고 질문하여 세 번 모두 군인 헬기 조종사에게서 기체가 시야에 있다는 확답을 받은 상황이기에 필요한 의무를 이행했다고 보는 여론이 우세하다. 걍 헬기 조종사 잘못임. 몇번을 알려줘야 의구심 가질래? 1000시간이면 루키도아니구만 뭔 걍 자만과 무시로 일관한 운전으로 인한 헬기 조종사 잘못임
@Blackjinju
@Blackjinju 5 күн бұрын
전문적인 해석은 미국 파이럿이나 관제탑에서 일하시는분들이 사고 나자마자부터 상세하게 해놨어요. 관제탑과 파이럿 대화에 대해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거 같네요. 관제탑에서 헬기한테 여객기 위치를 처음에 정확하게 말해줬어요. 헬기가 봤다고 두번이나 말했죠. 그런데 그 비행기를 본게 아니고 주변에 있던 비행기를 본거죠. 헬기는 규칙을 어기고 고도를 높게 날고 있었고 방향도 정해진 항로에서 이탈을 한거에요. 야시경을 쓰고 있었고 그리고 주변 빌딩에서 나오는 불빛 때문에 제대로 보질 못한거라 100 헬기 잘못이에요.하지만 이런식으로 늘 하고 있었다네요. 100피트(30미터) 정도의 고도의 차이를 두고 자동이 아닌 눈으로 직접 보고 알아서 비켜가는 시스템이래요. 미친거죠. 그래서 파이럿들이 불만을 수년간 토로했는데 아무런 조치가 없었고 거의 예견된 사고라고 하네요. 지역에 특성상 수많은 헬기들이 그렇게 날라 다니고 여객기도 33번 활주로가 난이도 높은 힘든 코스라 온신경 집중해서 착륙을 해야 해서 주변을 신경쓰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이번 계기로 문제점이 바뀌겠죠.
@mufama9995
@mufama9995 6 күн бұрын
항공사고 영상은 CCTV가 정답이지..방송사 영상은 아님
@이누야샤-h6i
@이누야샤-h6i 6 күн бұрын
딥시크 관련 영상도 만들어주세요🙏
@mr.charles1642
@mr.charles1642 5 күн бұрын
블랙호크 승무원 출신들은 알거임..야간비행 MVG 야간투시경 사용하고 지상조명 사이로 비행기 들어가면 구분하기 매우힘듬. (색구분 불가) + 렌즈 초점도 수시로 변경해야하는데..당연 시아폭, 시아 거리도 확인하기 빡샘.
@davidkim4527
@davidkim4527 6 күн бұрын
워싱턴 포토맥 강은 밤에도 밝아서 야간투시경 필요 없을 것이다. 착륙비행기는 시속 200km 정도라 빠르지 않다. 측면에서 거대한 헤드라이트 비추며 오는 비행기를 모를 수가 없다. 최소한 회피할 시간이 10초는 됬을 것이다. 블랙호크은 엔진 힘이 좋아, 회피 기동이 쉽다. 그런데 충돌했다. 이해가 안된다.
@Paulwish
@Paulwish 6 күн бұрын
야투경은 훈련 이라고 했지요 답답
@왕왕-t2r
@왕왕-t2r 5 күн бұрын
내가 언제 죽을지 모르는 항공 사고.....돌아가신 분들 오늘 내가 죽을줄 몰랐다.....안타까운 사고다
@HHms77
@HHms77 6 күн бұрын
미국 혼잡한 공항 비행하다보면 관제사가 조종사한테 눈으로 봤으면 너가 알아서 피해 라는 식으로 관제 많이합니다. 각각의 비행기에 레이더벡터,헤딩을 줄 여력이 없을 정도로 바쁘고 혼잡하다는 건데 이때 헬기조종사가 접근중인 해당 비행기(traffic) 을 insight 했다라고 응답했기 때문에 그 뒤로 회피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헬기가 가져가는 겁니다. 여기서 의문은 대답해놓고 왜 갔다 박았냐. TCAS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나 입니다. 설령 헬기 조종사가 인근에 다른 비행기를 보고 착각했다 하더라도 TCAS 시스템에 의해 조종사에게 회피기동을 충돌하기 몇십초전 워닝과 함께 계기판에 지시했을텐데 그 시스템이 군용헬기에는 없는가 하는 의문이 드네요
@이윤창-i6h
@이윤창-i6h 6 күн бұрын
군용헬기에도 Tcas가 있긴했지만 비행기가 착륙중일때는 작동하지 않는다네요
@신엠엠
@신엠엠 6 күн бұрын
고도가 낮으면 Tcas가 경고를 안준다고 하네요. 착륙에 집중하는 조종사를 혼란 스럽게 하기 때문에
@HHms77
@HHms77 6 күн бұрын
@ tcas시스템이 공중에서는 상승 하강 각각의 비행기에 서로 반대로 지시하게끔 작동하는데.. 착륙 중인 일정고도 이하의 비행기에는 지표면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승 RA만 나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예 안주지는 않고요. 의문이 많네요 공중충돌 방지의 최후의 보루인 TCAS가 역할을 못한건지..
@01_Birch
@01_Birch 6 күн бұрын
미국 관제탑 녹취파일 사고직후 바로 다 공개됐는데 관제사가 블랙호크한테 경고한것도 나옴. 헬기가 다른 비행기로 착각해서 앞의 비행기를 못본거고 헬기 운전병의 과실이 100이라고 미언론에서 정리. 한국 무안공항 관제탑 녹취파일은 왜 안풀리는지 그게 더 의문임.
@용하재
@용하재 6 күн бұрын
안타갑네요 항성님 바쁘시네요 한사건 더 남았네요 필라델피아
@루이-f4e
@루이-f4e 6 күн бұрын
생각보다 단순한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했을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제사가 관제할때 설명했던 비행기와 관제사가 설명해서 헬기조종사가 인지했다고 생각한 비행기가 다른 비행기였던것입니다.. 이건 굉장히 단순하게 관제를 했어야 합니다.. 헬기조종사에게 제자리에서 선회하면서 대기하라고 했으면 충돌하지 않았을 상황인데 관제사는 헬기조종사에게 비행기 보이지 그 뒤로 움직이라고...관제를 합니다. 의도는 비행기가 보이지 착륙하면 그 다음에 너는 지나가 이런 의미의 관제였던것인데 헬기조종사는 상황파악이 제대로 안되어 관제사가 말한 비행기를 착오한 헬기가 계속 기동을 했기 때문에 충돌한것 입니다.. 참고로 야간 기동훈련이라고 해서 무조건 야간투시경 C-NITE를 착용하는건 아닙니다.. 야간투시경은 주변 조도가 낯을때 조명탄등의 밝은 광원의 노출 우려가 없을때 착용합니다.. 실제 전장에서 야간기동하는 헬기를 무력화시키는 방법이 조명탄 사격이기도 합니다...
@HYO0320
@HYO0320 5 күн бұрын
속속 밝혀지는 정황들 보면 사고가 아니라, 사건일수도...
@장대영-q4u
@장대영-q4u 6 күн бұрын
항성 선생님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 그러는데 우주는 진공이잖습니까? 그럼 어떠한 물체에 스핀을 주면 구기종목 스포츠 처럼 휘어 질까요????
@상하이-x7r
@상하이-x7r 6 күн бұрын
400ft면 120m 인데 헬기가 120m 이하로 도심지 운행하면 더 이상한거 아닌가요?
@abs2664
@abs2664 6 күн бұрын
우연이 여러번이네요?
@서용주-r8q
@서용주-r8q 4 күн бұрын
뭔가 일부러 헬기가 들이 박은 것 같다는 느낌도 드는데.. 여기에 음모론을 더하면 여객기가 비행중에 뭔가 보면 안되는 것을 봐서 헬기에 명령해서 들이 박은 것은 아닌지..
@SusanKang-v6p
@SusanKang-v6p 4 күн бұрын
영상 봤는데 밝혀진 두명의 남자 조종사 말고 공개안했던 여조종사의 녹음된 영상이 목소리는 남자더군요 DIE정책으로 실력보단 경험도 없는 트렌스젠더나 소수 인종을 고용했다는 의심이 갑니다
@이경재-n9m
@이경재-n9m 5 күн бұрын
BBC코리아 보니까 사고난 공항이 저거 말고 전에도 여러번 충돌할뻔 했다고 관제탑에서 뭔가 실수 한듯
@aquarius418
@aquarius418 6 күн бұрын
이거 사고 헬기 경로 찾아보세요.. 진짜 기괴한게 여객기 2대랑 사고내려다가? 넘어가고? 마지막에 저 여객기랑 충돌한건데, 경로 보면 굉장히 의도적임...
@enter_channel_name_1a84
@enter_channel_name_1a84 6 күн бұрын
경로는 그냥 강 따라 간거임
@hughkeem
@hughkeem 6 күн бұрын
@@aquarius418 괜한 억측으로 음모론에 힘을 싣는 이런 의견은 지양되었으면 합니다.
@지성주의
@지성주의 6 күн бұрын
@@hughkeem 억측이 아니라 증거가 있는데... 기록 보세요 PAT25 경로와 여객기들 항적을 찾아보세요 충돌 전 3번의 니어미스 사고가 연속적으로 났고, 특히 3번째 니어미스는 아예 대놓고 여객기에 돌진하듯이 경로를 확 틀었습니다.
@naronoo
@naronoo 6 күн бұрын
교차지점에서 같은시각 절묘하게 같은 고도인게 문제였던거고 고도가 다르면 경로가 겹치는건 아무 상관없죠 그저 위아래로 지나가는건데
@humbless1373
@humbless1373 6 күн бұрын
25년 겨우 1달만에 흉흉한 일이 많네요
@TV-op6uq
@TV-op6uq 6 күн бұрын
왜 헬기가 혼잡한 공항 피크 타임에 여객기 착륙 활주로 상 주 항로로 마치 자기가 제왕인 양 비행한 거는 한참 잘못 되어도 잘못 된 것임
@피트레신
@피트레신 6 күн бұрын
야간이니까 헬리콥터 조정하던분은 나이트비전도 있었을듯한데 안타깝네요
@iruis
@iruis 6 күн бұрын
TCAS를 무조건 우선시한다는 규정도 있고 관제사의 잘못으로 발생할뻔한 사고가 예방된 사례도 있는 와중에 헬기에는 TCAS가 없었다는게 놀랍습니다. 군용은 여러 항공기가 동시에 훈련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충돌방지장치의 경고로 훈련에 방해가 되기때문에 없는건지 모르겠지만 안전수칙은 피로 쓰여진다던데 이런 비극을 방지하기위해 최소한 단독, 민간항공기 경로를 통과해야 할 때는 필수적으로 작동시켜 민간 항공기와의 충돌 방지를 위해 필수가 되어야 할거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안타깝습니다.
@master-m3v
@master-m3v 5 күн бұрын
실수로 난 사고라고 추정하는것도 음모론. 고의로 사고 유발 했다는것도 음모론. 그래서 수사가 필요한거고. 발표전까지 유튜버는 맛있는 이야기 거리.
@rockhard99
@rockhard99 6 күн бұрын
관제사와 헬기 조종사의 교신으로만 볼 때는 관제사의 애매한 지시와 조종사의 착각이 아닌가 한다는...관제사는 착륙하는 비행기를 말 한 것이었고 헬기 조종사는 이륙하는 비행기로 인지 했을거라는 ...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애매하게 지시안했음 3번이나 말해줬음. 걍 헬기 조종사 과실임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교신 내역이 이미 공개되고 시간이 흐른 2월 1일 시점 현지에서는, ATC의 경우 헬기에 시야에 보이는 CRJ를 보고하고 해당 기체의 뒤로 돌아가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며, 이후 두 차례 추가적으로 해당 기체 CRJ를 확인한 것이 맞냐고 질문하여 세 번 모두 군인 헬기 조종사에게서 기체가 시야에 있다는 확답을 받은 상황이기에 필요한 의무를 이행했다고 보는 여론이 우세하다.
@이정환-x7p
@이정환-x7p 6 күн бұрын
헬기는 정지 호버링이 가능한데 왜 계속 날아간거냐? 안보인건가? UH60은 상당히 고성능헬기인데 ...
@hughkeem
@hughkeem 6 күн бұрын
@@이정환-x7p 정지할 이유 즉, 보이지를 않았으니 인지하지 못하고 당연히 계속 날아갔겠죠.. 고성능인 것과는 별개입니다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hughkeem 걍 방심임 1000시간이나 운전한 조종사인데 3번이나 재차 물어보면 의구심을 가져야하는데 그냥 무시하고 이동함 ㅋㅋ
@spider.science
@spider.science 6 күн бұрын
미국 언론 보면, 헬기가 고위층 긴급이송 훈련중이었다던데.....
@김박이-t9w
@김박이-t9w 6 күн бұрын
​@@CereJYP08 훈련 뜻 모름?
@falconinthesky3810
@falconinthesky3810 6 күн бұрын
@@CereJYP08 고위직 긴급이송 훈련입니다.. 실제 이송하는 상황이 아니고요.. 훈련중 상황이라고 미언론이 언급했습니다.. 훈련입니다.. 댓글을 잘 못 보신듯하네요
@jordanlee289
@jordanlee289 6 күн бұрын
사고 다음날 미국 유투버가 올린 영상을 보다가, 1978 샌디에이고 공항 사고가 떠오르더라구요. 하필 주변에 햇갈릴만한 다른 비행기가 존재했다는 것도 그렇구, 관제탑의 항공기 확인 통신에 확인했다고 답한 것도 그렇고.. 그래서 비슷하게 통신을 통해 사고 항공기의 존재를 듣고 확인했다고 까지 했으나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감시한 항공기는 관제탑이 말 한 것과는 다른 항공기였던 것로..
@Silkroad-w1i
@Silkroad-w1i 5 күн бұрын
블랙호크 원격조종가능하다고 나왔었습니다 그즉슨 해킹도 가능하단소리죠?
@이건개발-p8n
@이건개발-p8n 6 күн бұрын
자석을 붙였나 왜박지
@컨디션난조-j7k
@컨디션난조-j7k 6 күн бұрын
제주도 입항할때 보면 해안가 네온사인 때문에 시각상 RD와 혼돈을 일으키는 경우가 정말많죠. 헬기 조종사가 비행기불빛을 다른걸로 착각했을것같은 느낌이 듬
@creaditmr9289
@creaditmr9289 6 күн бұрын
헬기는 직진방향이라 보기 더 쉬웠을텐데... 흐음..
@CereJYP08
@CereJYP08 6 күн бұрын
무슨 근거로 UH60 TCAS없다고 말하는지 모르겠네. 중요한건 TCAS에 대한 이해가 없는것 같은데. 그리고 TCAS 둘다 있더라도 고도가 낮아서 회피권고(RA)가 안될거임. 교신기록 들어봤다면 헬기 크류의 잘못된 상대 기체 인지와 그로 인한 잘못된 교신이 사고원인임. 헬기 책임. 물론 NTSB 보고서 나올때까지 기다려야 하지만 행정적으로도 1) 관제사가 관제를 하다기 보다는 관망하는듯한 교신들을 함. 2) 아무리 봐도 위험한 항로들에 수년간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음.(실제로 사고 하루전 해당 공항 북쪽에서 짧은 시간동안 헬기 한대가 비행기 3대와 충돌경보를 뜨며 지나가는 상황이 기록됨) 이게 일상이었던 거임.
@jhsong7840
@jhsong7840 6 күн бұрын
미국에 비행이 또 추락했던데.... 요즘 무슨일인지 참
@01_Birch
@01_Birch 6 күн бұрын
뭘 또 비행기 추락임? 워싱턴디시 플레인사고는 헬리콥터때문에 충돌사고지 비행기에 문제있어서 추락했냐? 무안공항은 둔덕때문에, 부산에어는 보조배터리 화재사곤데 언제 추락했는데? 어휴 또 몰아가는 거 보소. 필라델피아 플레인 빼고 추락한게 없는데 뭘 또 추락이래
@jhsong7840
@jhsong7840 6 күн бұрын
@01_Birch 필리 이야기 한건데 왜케 이사람 화가났냐 그리고 뭘또 몰아간다는건지 뭔 소리인지 알수가 없네
@Bdobdod
@Bdobdod 5 күн бұрын
@@01_Birch븅 ㅋㅋ
@01_Birch
@01_Birch 5 күн бұрын
@@jhsong7840 그러니까 필리만 추락한건데 어디가 “또” 추락했냐고 말귀 못알아듣나 에휴
@01_Birch
@01_Birch 5 күн бұрын
@@Bdobdod 자기소개하지말고 텅텅아
@cocopapa2
@cocopapa2 5 күн бұрын
헬기의 항적을 보면 의도적으로 비행기 항로로 다가가기 위해 계속 항로를 변경한것처럼 보인다. 비행기의 착륙에 맞추어 부딪칠려고 하는것처럼…
@user-cmsbass
@user-cmsbass 6 күн бұрын
관제탑이 비행기 보이냐 물었으면 이륙직전이던 착륙직전이던 발견을 했으면 관제탑의 다음 지시를 위해 호버링이라도 했어야 할것 아닌가. 심지어 관제탑이 지시를 했다는 발표가 있는 이상 헬기의 과실이 95 이상이라 본다. 공항의 특성상 혼돈의 도가니라 할지라도 관제탑이 없었으면 모를까 베테랑 조종사였다면 비행이 여럿 겹치는 악조건인 곳이라 두세번 확인하고 지나쳤어야 옳다고 본다. 하늘이 넓다지만 그들에게는 정해진 길이있다. 교통사고로 따지면 진출입로에서 대형 버스가 큰길로 달리며 들어오는데 교통경찰이 저기 버스 옵니다. 라고 했더니 반대차선 버스보고 알았다 하고 전달한 군용트럭이 그대로 들어와서 박은 격 이랄까.
@히해-f3f
@히해-f3f 6 күн бұрын
이거 일부러 들이 받은거 아니냐?!.... Ai답변을 들어보죠 날씨가 좋은 야간이었다면 시야 확보 문제는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30초가 헬기의 선회, 감속, 높이 조정을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었는지는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블랙호크 헬기의 속도와 기동성 블랙호크 헬기의 순항 속도는 약 280km/h(150노트), 최대 속도는 360km/h(195노트) 정도입니다. 저속에서는 빠르게 선회하고 감속할 수 있지만, 높은 속도에서 급격한 기동을 하면 실속(Stall) 위험이 있거나 기체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만약 사고 당시 헬기가 순항 속도 이상(예: 200~300km/h) 으로 비행 중이었다면, 30초 안에 감속 및 선회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30초 동안의 회피 가능성 조종사가 즉각 반응했다면 30초 동안 상당한 조작이 가능했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헬기는 몇 초 내에 선회를 시작할 수 있으며, 10~15초 내에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다만, 여객기와 너무 가까운 거리에서 충돌 경로로 진입했다면, 30초 내에 충분한 회피 기동을 하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3. 조종사의 반응 시간과 통신 지연 관제사의 경고 → 조종사의 인지 → 조종간 조작 과정에는 몇 초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만약 관제사가 경고한 순간 헬기가 이미 여객기와 수백 미터 이내에 있었다면, 기동할 시간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충분한 시간 vs. 불가능한 상황 헬기가 저속(100~150km/h)으로 비행 중이었다면, 30초는 회피 기동을 하기 충분한 시간입니다. 하지만 고속(200~300km/h) 상태였다면, 30초 만에 급격한 감속과 회피가 어려웠을 수 있습니다. 또한, 두 항공기의 상대적 거리와 속도, 충돌 각도가 중요한 변수입니다. 즉, 30초라는 시간이 이론적으로 충분했을 수도 있지만, 실제 조종사가 반응하고 회피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했는지는 사고 조사 결과를 봐야 확실해질 것입니다.
@그누가
@그누가 6 күн бұрын
공항(인근)에서 헬기가 고속으로 비행했을까 싶네요.
@나그네-y8p
@나그네-y8p 6 күн бұрын
헬기조종사 답변이 여유로웠음 디른 비행기로 오인한 듯
@히해-f3f
@히해-f3f 6 күн бұрын
위에서 관측한 비행경로 사진을보니 마주오고 있었는데 마지막엔 미사일이 따라붙듯이 두 비행체가 근접각(좌.우회전)으로 만납니다. 상하고도에서도 헬기는 61m이하 고도가 정상범위인데 충돌5초전 급상승하여 91m.(회피기동으로 봐야하지만) 민항기는 121m에서 91m으로 하강중. 의아스러운점이 입체적으로 볼때 항공기를 따라가는 헬기의 궤적이네요. 사고가 나려니까 별이상하게도.
@kwangjinoh
@kwangjinoh 6 күн бұрын
내용은 무거운 주제를다루고 있었는데 끝날때 인사는 졸라 해맑어~!
@JJOEL_
@JJOEL_ 6 күн бұрын
헬기가 컨텍 햇다 하는 비행기는 조금더 높은고도에 있는 비행기가 아니었을지.... 옆에서 오는 비행기는 못봣을 가능성이 있네요
@skyeye8519
@skyeye8519 6 күн бұрын
헬기가 공항 북동쪽 포토맥강이 꺾어지는 구간에서 선회해서 남하할때 그 두 항공기가 헬기에서 봤을때는 사실상 같은 축선이었더라구요. 심지어 고도가 더 높았던 뒷쪽 항공기가 사고기보다 조금 더 대형인 A319였기도하고, 뒷쪽에 있는 항공기가 터치다운 해야할 지점이 더 남쪽, 즉 실제고도가 더 높음에도 강하 경로가 헬기의 입장에서 보기엔 더 낮게 보이기때문에(쉬운예시로 500미터밖 9층에 있는 창문이 100미터 밖 1층의 창문보다 각도는 더 낮을 수 있음) 뒷쪽 항공기가 피해야할 항공기라고 충분히 착각할만하겠다싶기는한데...
@cosmicdust22
@cosmicdust22 6 күн бұрын
200피트는 하한선이겠지. 상식적으로 상한선이 말이 되나?
@d_gomdol
@d_gomdol 6 күн бұрын
블랙호크 조종사가 이정도 이송훈련기동중 인적과실로 사고내는경우는 호랑이랑 나랑 다이다이해서 내가이길확률보다 낮음
@jodhi2068
@jodhi2068 6 күн бұрын
헬기조종사가 야간투시경을 써서 눈이부셔 충돌했다고 함❤
@cat.walk.
@cat.walk. 6 күн бұрын
사망을 했다...?
@가나다라-t8f
@가나다라-t8f 5 күн бұрын
헬기 조종사를 조사해야됨 이거 테러야
@eclipstt2071
@eclipstt2071 6 күн бұрын
헬기가 갓다 들이박은건데... 누가봐도...터러행위인데
@대명야인
@대명야인 6 күн бұрын
코비드19포함 전세계에 魔가 끼인것 같어요....
@깔라만시탄소주
@깔라만시탄소주 6 күн бұрын
kzbin.info/www/bejne/fn3Od2B5a7ODgpIsi=s4qC6tenS3DpdVlI&t=196 외국 유튜버가 분석 하기론 블랙호크 조종사가 관제탑에서 말한 비행기를 다른 비행기로 착각 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있네요.
@skyeye8519
@skyeye8519 6 күн бұрын
올려주신 영상이랑 VASA, 공항 차트하고 헬리콥터 경로지도 다 찾아봤었는데, 솔직히 말씀하신 그 케이스 말고는 적절한 설명이 가능한 상황이 없기는 하네요...
@el100
@el100 6 күн бұрын
관제사의 미숙함이 원인???? 두 항공기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관제사가 두 비행기의 속도 고도 방향을 지시했어야 하는 것이 아닌지???
@skywalkerlee3579
@skywalkerlee3579 4 күн бұрын
잘 모르시네
@bbani_bottle
@bbani_bottle 6 күн бұрын
RIP
@cynicyoky
@cynicyoky 6 күн бұрын
대회에 참가했던 피겨 스케이트선수 한국인 두명과 가족들도 사망했다고 하네요 안타깝습니다.
@포스리컨
@포스리컨 5 күн бұрын
이번엔 전 정권 탓하지 않냐?
@라봉씨
@라봉씨 2 күн бұрын
박고싶어도 못박것다
@만섬군가
@만섬군가 6 күн бұрын
과학이나 잘하자
@게임플레이어-r2w
@게임플레이어-r2w 6 күн бұрын
조회수 없음 ㄷㄷㄷ 34초전 ㄷㄷㄷ 3빠 ㄷㄷㄷ
@SATELLITECASTIEL
@SATELLITECASTIEL 6 күн бұрын
@김혁-f4b7u
@김혁-f4b7u 6 күн бұрын
근데 미국이 한국도아니고 이등병한테도 일반 육군도 장비값만 최소 15이상의 장구류를 지급하는나라인데.... 야간투시경있으면 봤을텐데?
@Denverian
@Denverian 6 күн бұрын
야간투시경은 DCA 공항 주변이 너무 밝아서 안쓰는 경우도 있다고함. 그리고 거리나 각도상 안보이는 각도기도 하고 트레이닝 중이었다는거 보니까 숙련자가 아닌것 같음
@hi_happy19987
@hi_happy19987 6 күн бұрын
말도 제대로 못하는 틀니가 내려치기는 겁나하네 ㅋㅋㅋㅋ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Denverian 1000시간이면 충분히 숙련자임 베테랑은 아니여도 숙련자는 맞음 1000시간이 숙련자가 아니면 루키임?
@Denverian
@Denverian 6 күн бұрын
@@hykjang8870 당시 비행중이던 copilot은 500시간 채운상태였고 1000시간 instructor 감독하에 테스트/운항평가중이었음. 비숙련자 맞음.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 뭔소리를함 누가 500시간하고 1000시간을 비숙련자라고함 ㅋㅋㅋ헛소리를하고 계시네
@hiharbor2
@hiharbor2 6 күн бұрын
누가봐도 고의로 갖다박은겨
@코딩폼올랐다
@코딩폼올랐다 6 күн бұрын
블랙호크 무인자율 운행 시스템의 해킹을 통한 테러의심.... 아래 링크는 블랙호크 무인자율조종 시험 성공에 대한 뉴스영상... kzbin.info/www/bejne/g2TFYp58p6eHbacsi=e-cJ3glxVxMZDMts
@sunkim4040
@sunkim4040 6 күн бұрын
오오
@유느1017
@유느1017 6 күн бұрын
아 밑 뭐야 짜증
@2023MooHyeon
@2023MooHyeon 6 күн бұрын
트럼프가 바이든 탓을 할 만도 합니다. 관제사가 조금만 더 똑똑했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사고인데 말이죠. 그냥 니 왼쪽에 착륙하는 여객기 보이냐? 이렇게만 말했어도..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교신 내역이 이미 공개되고 시간이 흐른 2월 1일 시점 현지에서는, ATC의 경우 헬기에 시야에 보이는 CRJ를 보고하고 해당 기체의 뒤로 돌아가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며, 이후 두 차례 추가적으로 해당 기체 CRJ를 확인한 것이 맞냐고 질문하여 세 번 모두 군인 헬기 조종사에게서 기체가 시야에 있다는 확답을 받은 상황이기에 필요한 의무를 이행했다고 보는 여론이 우세하다. 도대체 3번이나 물어보면 의구심을 가져야하는거아님? 몇번을 알려줘야 생각이 바뀜?
@Why_250_Vortex
@Why_250_Vortex 6 күн бұрын
@@hykjang8870 관제사가 무슨 말을 했는지 실제로 찾아보지도 않았고, 들어봐도 그게 무슨뜻인지 모를 사람들은 어차피 생각 안바뀝니다
@lydiaj.6071
@lydiaj.6071 6 күн бұрын
관제사 멘트가 너무 헛갈리게 했음
@hykjang8870
@hykjang8870 6 күн бұрын
교신 내역이 이미 공개되고 시간이 흐른 2월 1일 시점 현지에서는, ATC의 경우 헬기에 시야에 보이는 CRJ를 보고하고 해당 기체의 뒤로 돌아가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으며, 이후 두 차례 추가적으로 해당 기체 CRJ를 확인한 것이 맞냐고 질문하여 세 번 모두 군인 헬기 조종사에게서 기체가 시야에 있다는 확답을 받은 상황이기에 필요한 의무를 이행했다고 보는 여론이 우세하다. 뭘 헷갈리게함 걍 3번이나 물어봤으면 의구심을 가져야할법한데 1000시간이나 되는 조종시간으로 자만한거지 내눈엔 안보여 걍 가도됨~ 몇번을 물어봐야 의구심 가질래?
@ihaveadream5395
@ihaveadream5395 6 күн бұрын
정황상 의도적인거 같은데.... 실수는 아닌거 같다
@dlwwid8537
@dlwwid8537 6 күн бұрын
가족에게 얼마를 준다고 해야 저렇게 고의적으로 박을까.. 아님 원격조종이었나
@gomddingi
@gomddingi 6 күн бұрын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사고는 '무안사고'가 아니라 '제주항공 사고'라고 부르는게 맞겠네요
@クモハ-i6o
@クモハ-i6o 6 күн бұрын
공식명칭은 강제하라고 있는 게 아니죠. 무안사고라고 해도 됩니다.
@Ssssssdd-f4d
@Ssssssdd-f4d 6 күн бұрын
왜요
@율밤
@율밤 6 күн бұрын
명칭: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Ssssssdd-f4d
@Ssssssdd-f4d 6 күн бұрын
이번 에어부산 화재는 왜 김해공항 화재라고 하는거죠 언론들 뉴스에 김해공항 화재라고 나오던데요
@송지훈-z8y
@송지훈-z8y 6 күн бұрын
무안공항 사고인데요?
@도레미도레미-o6y
@도레미도레미-o6y 6 күн бұрын
복잡계를 설명하는 이론중에 모래성실험처럼 자연계 현상은 특정한 임계점에 도달하면 우연발생이 아니라 자연발생한다고 보고 있음 산불 지진이 통계적으로 그러한 경향이 있다는데 갠적으로 전쟁이나 대형참사같이 인재같아 보이는 것들도 복잡계현상을 따라가지 않나 망상해봄... 군대의 지휘관들이 이를 경험적으로 잘 아는데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곧이어 연달아 문제가 터지니까 위에서는 원인을 해결할 생각은 못 하고 다들 겪어봤을 임시적인 엉뚱한 해결책을 자꾸 하달함... 높은 사람들이 시스템 전반을 돌아보겠다라는 말이 전혀 틀린말은 아님
@elvenisar
@elvenisar 6 күн бұрын
모래성실험은 모래알 하나하나의 위치와 질량과 운동속도를 하나하나 관찰하고 계산하는게 불가능하니까/해봤자 사고를 예측/예방하는데 실용적으로 의미가 없으니까 그런거구요...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AI발전으로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지면 달라질꺼라고 봐요.
@zircon6566
@zircon6566 6 күн бұрын
미군은 이런 관리 수준에 대해 중국과 싸우고 세계를 제패할 생각을 하고 있는가? 에이,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
@김정식-d7v
@김정식-d7v 6 күн бұрын
미국아, 군용 항공기 모두에 TCAS를 장착, 미국과 우방국가 어디에서든, 전시나 작전출동 아닌, 일상 훈련중인 경우엔 TCAS를 켜고 움직이게 법제화 해라 ~
@soojeonghang
@soojeonghang 6 күн бұрын
대개 이런 공중 충돌 상황은 관제사의 경력부족 실수 오판 과다업무환경 등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도 그런거 같다. 위버링겐 사고 이후 좀처럼 나오지 않는 사고인데 군용기라면 좀 다른 유형이네
@Why_250_Vortex
@Why_250_Vortex 6 күн бұрын
22년 미국 B17- P63 23년 아파치 두대, 콜롬비아 전투기 2대, 우크라이나 젅투기 2대 24년 말레이지아 헬기 두대 이거 말고도 경비행기같은 경우 지난 9월만 해도 캘리포니아에서 경비행기 2대 다 공중추돌입니다 뉴스에만 안나오는것 뿐임
@s-park777
@s-park777 6 күн бұрын
정말 안타까운 사고네...
@hiharbor2
@hiharbor2 4 күн бұрын
아니 고속의 전투기가 박았으면 이해가 되지. 헬기가 박는게 고의가 아니면 이해가 어떻게 됨?
@keivnkang
@keivnkang 6 күн бұрын
저정도면 테러지..전날에도 충돌위험으로 또다른 여객기가 활주로를 변경하면서까지 착륙했다는데..그다음날 사고를 친거보면...작정하고 직진한거라고 보임
@kojian0620
@kojian0620 6 күн бұрын
충돌시 바로 폭발 ?
@나김-s1l
@나김-s1l 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불 미국은 항공사고 ㅋㅋ 사람잘 뽑아야하는이유 ㅋㅋㅋ
@정신철-r6g
@정신철-r6g 6 күн бұрын
영상으로봐서는 헬기가고의로 들이받았는데.왜그랬을까?
@대차게살자
@대차게살자 6 күн бұрын
최신 전투헬기 일텐데. 최첨단 장비가 없을리가 아무리 야간장비를 써도.
@그누가
@그누가 6 күн бұрын
군용 헬기라서가 아닐까요. 드론을 예로 들면 각종 센서로 날리긴 쉬우나 일정 이상의 공간이 필요한 센서드론과 날리긴 쉽지않지만 좁은 공간에서 조종자의 의지로 장애물을 피해 자유롭게 날릴 수 있는 메뉴얼 드론의 차이가 아닐까요. 좁은 실내에서 센서드론은 사방에 장애물로 인식해서 조종이 안되거나 엉뚱한 쪽으로 가버리지요.
@leeslideparker4651
@leeslideparker4651 6 күн бұрын
저는 이 사고와 관련하여 더 근본적인 의문이 있습니다. 그것은 왜 군용헬기가 여객을 취급하는 공항 근처를 날고 있었느냐는 겁니다. 그 공항 또는 주변에 어떤 시설이 존재하는 지를 파악해 봐야 할 것입니다. 저는 아무래도 트럼프가 내린 행정명령에 따른 상황이 이번 사고의 근원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그누가
@그누가 6 күн бұрын
무슨 행정명령일까요?
@kw5995
@kw5995 6 күн бұрын
근처에 펜타곤이 있으니 군용헬기가 다니는겁니다. 억측은 자제바랍니다.
@hughkeem
@hughkeem 6 күн бұрын
@@leeslideparker4651 억측일 뿐 입니다. 해당 DCA 공항근처는 원래 헬기 교통량이 많은 곳이고 사고 전에도 헬기로 인해 어프로치 하던 항공기가 고어라운드하는 일도 있었다 합니다.
@Why_250_Vortex
@Why_250_Vortex 6 күн бұрын
헬기가 거기서 온건 아니지만 사고지점에서 1.5km만 북서쪽에 가면 미군 헬기 기지 있고 마린 원도 거기서 뜹니다
The statement of the roommate that changed the situation #YouQuiz
16:07
유 퀴즈 온 더 튜브
Рет қаралды 594 М.
99.9% IMPOSSIBLE
00:24
STORROR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I Spent 100 Hours Inside The Pyramids!
21:43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