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취업비자 H1B 전략 - 미국유학 이후의 취업과 취직비자 딜하기 전략, 미국 취업영주권으로 가는 디딤돌!

  Рет қаралды 18,819

글로벌 공대인

글로벌 공대인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학부 또는 대학원 졸업 이후 보통 OPT로 체류 연장하며 인턴을 하던지 취업 문을 두드리게 됩니다. 그 때 비자 문제를 가벼이 여기다 체류 신분을 연장하지 못하고 한국으로 컴백하는 안타까운 사례들이 많습니다. 알아두면 반드시 실패하지 않는 H1B 정보와 회사와 비자 써포트 네고하는 방법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습니다. 이번 영상도 개인적으로 생각할 떄 매우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글공 신문기사에 출연하다!
저의 인터뷰가 2021년 2월 7일자 기술IN 뉴스레터의 탑기사로 송출되었습니다. ^^;;
↓↓기사보기 아래링크↓↓
www.gisulin.kr...
채널에 가입하셔서 값진 혜택을 누려보세요!
채널 멤버십 소개영상보기↓
/ @globalengineer
채널 멤버십 가입 후 카카오톡 비공개 채팅방 입장 코드가 부여되며, 글공대표와 직접 대화도 나누고 다른 분들과 여러 정보도 교환 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PE 및 한국기술사 네트워크 비공개 카톡방(멤버십 여부와 별개로 기술사라면 라이센스 인증 후 입장 가능합니다)
open.kakao.com...
가입신청: glongineer@gmail.com
================================================================================
[Image License]
Thunbnail image : Designed by Freepik
Background image : Designed by Freepik
www.freepik.com
#미국취업비자 #H1B #H1비자 #미국공대취업 #미국취업 #해외취업 #미국유학 #미국석사 #미국박사 #미국정착 #공대취업 #미국기술사 #미국엔지니어 #미국공대 #PE #FE공부 #미국FE #미국기사 #FE공부요령 #FE시험 #취업성공 #취업준비

Пікірлер: 101
@jyhong29
@jyhong29 4 жыл бұрын
저도 석사 유학 나와서 영주권 받았고, 현재 이민법 로펌 사무실에서 일하는데..정말 필요한 이야기 해주시네요! 이 영상이 널리 퍼졌으면 좋겠네요. H1B나 PERM 할때 안타까운 케이스들 많이봐서..PW에 관해 본인도 몰랐고 심지어 회사도 잘 몰라서..(디씨쪽에 있는데..공대쪽 기업들은 외국인 고용 많이 해서 잘아는데..문과계통 기업에 경우 외국인 고용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음) 한국 돌아가시는 분들 수두룩하게 봤어요 ㅠ ㅠ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huiiii333
@huiiii333 4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기억-f7u
@기억-f7u 2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용하고 정확하고 정리잘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정말 재능기부세요 많은 유학생들이 이영상 보면서 시행착오를 줄였으면 합니다 정말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윤혜성-b7u
@윤혜성-b7u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시는거 넘 재미있고 넘 귀여우세요~~ 😅❤❤
@jiyounkim4988
@jiyounkim4988 Жыл бұрын
업청난 인사이트입니다! 절대 경험하지 않고는 알 수 없는 조언이에요😮
@우진이-n8h
@우진이-n8h 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향후 5~7년 안에 미국에서 영주권을 받고 쭉 생활하고 싶은 학생입니다. 지금 국내 거주 중인데 졸업 직후 바로 j1비자를 통해 미국에 인턴으로 가는 것이 나은지 국내 대기업에 일단 진출을 해 경력 쌓고/능력 인정받고 기업이 비자를 스폰해주고 이민국과 법적절차 진행하여 h1b로 가는 것이 나은지 어느 방안이 조금이라도 더 가능성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알 수 있을까요??
@daeyunjo735
@daeyunjo735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너무 유익해서 도움 많이 되었어요. 11월에 풀타임 오퍼를 받았고 (Big 4 accounting firm) 며칠 전에 담당 recruiter가 어떤 sponsorship이 필요한지 연락왔거든요. 이 영상 보기전에, OPT부터 신청할 예정이라 딱히 필요한 서류없다고 답장하긴했는데, 제 경우에도 4월 1일에 H-1B lottery 지원해달라고 요청해도 되는건가요? 참고로 아직 학교 졸업 전이라 OPT경험이 없고 당연히 EAD도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EAD 받기 전에 H-1B Lottery 먼저 돌려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일단 빅4에 합격하신 것 너무 축하드립니다 외국인 신분으로 빅4에 합격하신 것 자체가 너무 대단하신 거 같습니다. H1은 로터리라 가능한 많이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계쪽이라면 stem이 안될 것 같은데 그리되면 내년 4월에 기회가 한번밖에 없지 않나요? 그 때 로터리 떨어진다면 체류신분이 없어 골치 아픈 상황이 발생할텐데요 올해도 넣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
@daeyunjo735
@daeyunjo735 3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감사합니다 :) 방금 리쿠르터랑 연락했는데, 아마 이번년도 로터리 리스트에 등록시켜주신 듯 하네요. 앞으로 글공님 영상 찾아보며 이민루트에 관한 공부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를 담은 소중한 영상들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njfblh2
@njfblh2 Жыл бұрын
@@daeyunjo735로터리 당첨돼셨나요?
@jw8553
@jw8553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보다가 궁금한점이 생기는데요, opt로 회사 면접볼때, 일 할수 있다고 대답하고 H1B나 greencard 관련해서 말을 안하는게 좋다고 하신거 같은데, 4월 1일보다 일찍 취업 결정이 날 경우 미리 진행을 하는게 좋다고 말씀도 하시고, 어떤게 가장 좋은 길인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입사 전에는 얘기 꺼내지 마시고, 입사 후에는 가능한 빨리 말하자 전략 입니다 ㅎㅎ
@jin_007
@jin_007 Жыл бұрын
이 디딤돌도 이제 잘 안 먹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ㅠㅠ 이 동영상이 올라왔을때 지원자가 아마 30만명, 작년 48만명.. 이제는 70만명 80만명? h1b 당첨 자체가 장벽이 되 버리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제 석사 캡으로 로터리 세번을 돌려도 한번도 당첨이 안될 확률이 50%가 넘어갑니다. 저도 당사자고 주변에 stem opt다 소진하고도 h1b 한번도 당첨 못한 친구들이 많네요..
@Landyrl
@Landyrl Жыл бұрын
이제 그럼 NIW말고는 사실상 못가네 ㅋㅋ
@ori5581
@ori5581 11 ай бұрын
훠훠 돌아오십셔
@zoo2836
@zoo283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익한 내용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싼 학비 때문에 최근 주립대에서 International business 전공을 9개월동안 Graduate Certificate 프로그램으로 듣는 과정을 보고 있는데요, 어떤 블로그에서 해당 과정은 9개월이지만 OPT를 제공한다고 들었습니다. 허위광고인진 모르겠으나 이런 경우, 석사 과정 대신 서티과정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솔직히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개월 과정이 끝나고 취업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까요? ㅠㅠ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Жыл бұрын
블로그 글을 어찌 믿을 수 있나요? 진짜 OPT를 쓸 수 있는지 학교에 직접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9개월만에 취업은 얼마나 준비를 하느냐에 달린 것입니다 당연히 쉽지는 않지요
@long_fellow
@long_fellow 4 жыл бұрын
Full-time 오퍼를 받고 재직 중이지 않은 상황 (2-3월)에도 지원이 가능한건가요? 대기업인 경우, 네고는 오퍼 레터 보내준 HR에 직접 요청하면 될까요? (대기업인데 졸업하는 연도 지원 찬스를 놓친 1인) FLCData 관련해서 석사 졸업생은 Level 2로 보면 되나요? 그리고 본인 연봉은 Tax Return에 찍히는 총액(보너스 포함)으로 보면 되나요 아니면 계약서 상 Base Salary만 인정되나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보통 오피셜한 오퍼레터만 가지고 회사와 함께 H1B를 바로 신청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PW괸련해서 석사는 보통 레벨 2-3인 것 같습니다.ㅡ 그리고 H1B가 시작되고 난 다음의 본인 받을 연봉기준이기 때문에, 과거의 W2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진급을 감안한 새로운 포지션으로 넣는 사례도 많습니다. 이 부분은 제가 확실하진 않지만, 가변적인 금액인 보너스를 포함하지 않은 Base Salary 기준인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long_fellow
@long_fellow 4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
@jasonnoh6180
@jasonnoh6180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학부 유학으로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유학생 입니다. 곧 cc에서의 2년을 마치고 cs전공으로 편입을 앞두고 있고, 인턴쉽을 알아보며 cpt와 opt관련 정보를 찾다가 공대인님의 영상을 보게 되었고 모르고 있던 정보를 많이 알게되어 너무 감사드립니다! 질문을 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코멘트를 남깁니다. 영상 초반에 기본 1년 OPT + 2년의 STEM OPT 기간 중에 가능하다면 꾸준히 H1B에 지원하라고 이야기 해주셨는데요. 운 좋게 OPT 기간 중 H1B를 받게 된다면 그 기간의 적용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가령, 21년 5월 1일 ~ 22년 4월 30일이 기본 OPT 기간이고, 추가로 STEM OPT를 발급 받아 그 기간이 22년 5월 1일 ~ 24년 4월 30일 이라고 가정하고, 22년 4월 1일에 H1B를 신청하여 컨펌을 받는다고 한다면 H1B 기간은 영상의 설명처럼 STEM 기간과 중복되어 22년 10월부터 시작이 되는건지, 아니면 STEM OPT 기간 종료 후에 적용이 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기간이 중복 되어 두 가지다 살아 있는 것입니다 ㅎ
@jimmy4747
@jimmy4747 4 жыл бұрын
H1B, Sponsorship을 미국회사에서 유학생들한테 해주는 이유가 궁금해용! 만약 제가 미국회사 고용주라면, 입사 지원자들중 능력이 아주 월등한 1등이 아니면 유학생은 전혀 안뽑을거 같아서요.. 회사입장에선 부담큰 지원자보다 무조건 native를 선호하지 않아요?? 새해복 많이받으세여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맞아여 그러니까 어려운 거에요 그런데 은근히 네이티브들이 없는 분야들이 있어요 그 중 하나가 공학이죠.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문제만 아니라면 능력도 보통은 외국인이 좋은 경우가 많아요. 또 능력이 월등하지 않아도, 여러가지 이유로도 외국인 뽑는데요. 네이티브는 임금을 너무 많이 요구해서, 네이티브는 자주 이직을 하는데 외국인은 비자 때문에 장기적으로 오래 일 하는 경우가 많아서 혹은 그냥 이 외국이 정이 가고 좋아서 등등 많습니다 ㅎ
@seanlee1106
@seanlee1106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영상 감사합니다. 학교 다닐때는 막연히 봤는데 이제 인터뷰 보고 하는 입장에선 조금 떨리네요 ㅎ. 혹시 면접 마지막 단계에서 연봉얘기할때 h1b 얘기를 꺼내야할까요? 연봉 깎아가면서 까지 할 의향은 있는데, 어떤 전략을 갖고 다가가야할지 여쭙고 싶어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먼저 얘기는 꺼내지 마세요 어차피 고용하려면 회사측에서 물어볼 겁니다 연봉협상할 때 비자까지 고려해서 한번에 협상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자세한 답변은 단톡방이나 개인 상담으로 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Hatt4372
@Hatt4372 3 жыл бұрын
지금 j1비자로 인턴쉽한 후에 h1b를 신청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저는 미국유학 경험도 없고 한국에서만 디자이너로 1년정도 일했었어요ㅠ 근데 미국에서는 적어도 2년에서 3년은 일하고 싶은데 비자때문에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만약 j1비자로 미국을 가게 되면 언제쯤 h1b를 신청하는게 좋을까요?
@Hatt4372
@Hatt4372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미국에서 j1으로 일하면서 스폰서가 가능한 대기업에 지원하면 혹시 가능성이 있을까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제가 이 댓글을 못 봤었네요^^;;; J1은 한국에 2년간 반드시 돌아가야 한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바로 다른 비자로 갈아탈 수 있게 웨이버 받는 방법이 있다더 군요. 이 점을 잘 유의해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plttji2615
@plttji2615 3 жыл бұрын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h1b 관련해서 한가지만 여쭤봐도 될까요? 예를들어 MS Data Science를 했는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하거나 프로덕트 매니저를 하게되면 h1b 신청자격이 없는건가요? (h1b를 신청할때 job description이 중요한것인가요 아니면 job title이 중요한건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연관된 전공과 스킬을 요구하는 잡이면 신청자격이 있습니다. 잡 타이틀과 디스크립션이 극단적으로 다를 수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간혹 타이틀이 좀 연결이 안되어 보여도 디스크립션에 설명이 충분하면 문제 안 되는 것 같습니다
@hyunjungkim4577
@hyunjungkim4577 4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제가 내년5월 졸업인데 그럼 예를 들어 내년 2월에 오퍼를 받고 졸업전 4월달에도 h1b지원이 학교졸업전인데 가능한건가요? 또 혹시 제가 수학전공인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지원할려고 하는데 이게 연관성을 많이 보나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학교에서 졸업예정서를 받아서 하시면 됩니다. 5월 졸업을 앞두고 많이들 4월에 H1B을 진행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아마 학교 별로 policy가 다를 겁니다. 전적으로 학교에 문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취업되면 회사 변호사와 상의하면서 실수 없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nev6250
@nev6250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H1B 및 영주권 취득 시 valid passport 가 필수인지, 없어도 가능한지 여쭙고 싶습니다 그리고 탑 엔지니어들은 학부 졸 후 기업 채용과 동시에 영주권 진행하는 (Green card sponsor from day1)거도 있다고 하던데 현실적인가요? 영상 쭉 정주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지원 당시에 한국 여권이 살아있어야 하지요 첫날부터 영주권 스폰은 10년 얘기구요 요즘엔 거의 찾기힘들긴 합니다 구래도 협상하기 나름이긴 하죠 ㅎ
@David-u7u2u
@David-u7u2u 3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f1 OPT 상태에서 영주권을 신청해준다고 했는데 문제없을거라고 했습니다. 일단 이번년도 h1b 등록은 해놨습니다. 따라서 h1b가 떨어질 경우 바로 영주권 신청할 거라고 했는데 f1이면 무조건 영주권 가능성이 적다고 보시나요? 제 보스도 F1 비자에서 바로 영주권 신청해서 된 케이슨데, 같은 변호사 통해서 영주권 신청할거랍니다. 이런경우는 변호사 역량에 달려있는건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원칙적으로는 비이민의도 비자로 입국 후 영주권 신청하는 것이 리스크가 있지만, 많은 분들이 F1에서 다이랙트로 영주권 받으시는 것 같습니다. 직업만 확실하다면 이민국에서 문제삼지 않는 듯 합니다. 변호사 역량도 크구요
@dohunkim2922
@dohunkim2922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조만간 군복무 마치고 24년 1월에 복학 준비하는 대학생입니다 (학교 2년 다녀서 현재 Junior). 2년반이라는 기간동안 학교를 떠나있었기에 isss에서 제 sevis record와 f1 visa status가 아예 초기화 됬다고 알려줬습니다. 그래서 비록 학교를 2년 다녔지만, cpt qualify되기위해서는 1년을 더 다녀야되는 상황입니다. 인턴도 그래서 운좋아야지 한번정도 할 수 있을거같네요.. 전공은 수학 이고 컴공도 추가 예정이고 희망 직종은 개발자 입니다. 운 좋게 잡오퍼만 받는다면 opt는 상관이 없을거같은데, 인턴 경험이 한번 밖에 없어서 취업시 마이너스 요인이 될까봐 걱정이 되네요. 한국에서 인턴을 한다면 회사에서 그런것들도 다 고려 해줄까요? 또 글공님이 중요하다고 말하시는 이때까지의 i-20등의 서류들 잘 챙겨야되는거 저도 해당이 될까요? 아니면 이미 record가 다 초기화됐으니 괜찮은가요? 관리를 소홀히해서 몇개가 없네요.. 영상 항상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영주권 신청시에 미국에 체류했던 모든 기록을 다 봅니다 없어진 I-20는 나중에 영주권 신청할 때 변호사에게 물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 인턴은 되도록 하지 마시고 최후의 보루로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dohunkim2922
@dohunkim2922 2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댓글 감사합니다! 그러면 한국에서 인턴할 시간에 차라리 미국에서 인턴기회 얻기위한 공부하는데 시간쓰는게 더 좋다는 말씀이실까요??
@plttji2615
@plttji261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글공님! h1b승인되면 opt는 자동으로 소멸되나요? 학교 international office에 알려야되나요? 아니면 제 스스로 sevis에 업데이트해야되는 지 여쭤봐도 될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plttji2615
@plttji2615 2 жыл бұрын
글공님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OPT를 사용하면서 H1B를 지원할때 대학원 졸업 month 가 May인게 December 보다 유리하나요? 아니면 별 차이가 없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별차이 없을듯 합니다
@plttji2615
@plttji2615 2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답변감사합니다!!
@윤혜성-b7u
@윤혜성-b7u Жыл бұрын
넘 필요한거 잘얘기해 줘서 넘 감사해요🎁 울아들 내년에 30에 대학원 컴공으로 미국 유학가려고 하는데 너무 많은 도움이 돼요~~ 울아들 조지아택 가고 싶어하는데 졸업하고 미국에서 취업도 하고 싶어 해요 울 글로벌 공대인 샘 잘 사시는거 보니까 텍사스로 가도 좋을거 같아요. 학교정하는거 팁좀주세요^^
@earthtwo7379
@earthtwo7379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OPT신분인데 캘리포니아 한국 대기업 지사에서 잡오퍼를 받았는데, 그 동네 Prevailing wage는 $80000 수준인데 제가 받은 오퍼는 $65000입니다. 회사에선 H1B스폰을 해준다곤 하는데, 이 정도 급여로는 스폰을 받지 못하는것 아닌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pw보다 본인의 급여가 높아야 합니다 그 회사에 이전에 H1B 스폰 사례가 있는지 알아보면 좋을 듯 합니다
@earthtwo7379
@earthtwo7379 2 жыл бұрын
그 전에 스폰 사례는 있었는데 제가 받은 오퍼가 PW보다 낮은데 회사측에선 H1B 스폰을 전제로 진행한 채용이라고 해서 앞뒤가 안맞는 것 같습니다..
@josephkim9315
@josephkim9315 3 жыл бұрын
현재 2학년 4년재 학사 재학중인데, 작년에 아직 마이너라서 여름방학때 잠시 한국에 있다가 왔는데 혹시 이게 신분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나요?? I-20 챙겨갔었고 입국심사나 이럴때는 크게 문제 없었어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방학 때 한국 다녀오는 것은 전혀 문제될 게 없는듯 합니다 더군다나 I20 지참에 문제없이 입국했다면요
@josephkim9315
@josephkim9315 3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앗 답변 감사합니다!!
@dlalsdndlalsdn
@dlalsdndlalsdn 4 жыл бұрын
저희 가정이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아서 유학을 못 갈 것 같은데 OPT없이 취업도 가능할까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유학 없이 다이렉트 취업도 가능은 합니다만 현실적으로 힘들어 보입니다 일단 미국에 올 기회가 되면 와서 기회들을 찾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justinkim3081
@justinkim3081 4 жыл бұрын
방송 너무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ㅎ 못처럼 귀에 쏙쏙 박힙니다 ㅋ 질문이 있는데요 마지막에 transfer가 쉽다고 하셨는데, 동종직군에만 가능한가요? 기회되시면 H1B 이직 절차에 대해서도 자세한 설명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최초에 H1신청할 때 잡 포지션과 동종직군이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a-sg8yp
@aa-sg8yp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h1b 추첨대상 eligibility 중 하나가 직종 지역별 wage level 1이상이여야한다고 지난번에 얘기해주셨는데 유튜브에 다른 변호사님한테도 물어보니 전혀상관없다고 답해주셔서 혼란스럽습니다;; 뭐가맞는걸까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추첨은 됐다 가정해도 미니멈 pw도 못 맞추면 이민국 리뷰 때 떨어지지 않을까요? 전 이민 변호사가 아니고 신청 의뢰인 입장에서 만든 영상이니 참고 하시길요, 제가 모르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minjungsim2871
@minjungsim2871 4 жыл бұрын
👍👍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yesssssir
@yesssssir 2 жыл бұрын
구독!!!!!!!!!!!!!!!!!!!!!
@김순미-d2m
@김순미-d2m 2 жыл бұрын
I-485(신분조정) 신청 후 영주권 받기 전에 대학원에 진학하게 되면 영주권 수령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이건 제가 잘 모르는 영역이라 함부로 말씀드릴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민 변호사께 상담을 받아보길 권해드립니다 신분 관련한건 돈이 좀 들어고 확실하게 집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배안나-q1g
@배안나-q1g 2 жыл бұрын
오늘 딸이 ASU(화공)졸업식을 했네요. 졸업식 참석 차 미국 들어왔다가 글공님 영상을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습니다. 모레 새벽이면 다시 한국 들어가는데 마음이 많이 무겁습니다. 이런 정보들을 조금 더 일찍 접했다면 인턴도 하고 했을 텐데 취업에 대해 아무 준비없었던 딸이 많이 걱정됩니다.. 앞으로 영상 보면서 많은 도움 받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이미 지나간 시간은 어쩔 수 없으니 깨끗이 잊으시고 지금부터라도 전략적으로 준비하면 될거라 봅니다!
@MiMi-yl1ve
@MiMi-yl1ve 4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그럼 학부는 한국에서 하시고 미국은 대학원 과정으로 가셔서 취업하시고 미국에 계시는건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국내대학 졸업후 국내기업 다니다 퇴사하고 미국 석사 유학 후 미국취업 했습니다.
@MiMi-yl1ve
@MiMi-yl1ve 4 жыл бұрын
답변 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학부를 졸업하고 회사를 다닌 경력이 있는 것이 나중에 미국에서 석사 후 취업을 하는데 더 유리한가요? 학부 졸업후 바로 석사로 진학하는것 보다? 우리 애가 지금 한국에서 국제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미국에서 영주권을 받고 살고 싶어합니다. 근데 아시다시피 미국 취업이 넘 어려운 상황이라 전공은 뭘해야 좋을지부터 고민이 많습니다 ㅜ 글공님의 성공사례가 늘 힘이 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제가 이 댓글 못봤었네요 죄송합니다 경력이 있으면 석사 진학에 조금 유리한 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학부 학점이 좋지 않은데도 석사 과정에 합격이 된 이유가 실무 엔지니어링 경력이 도움이 된 것 같았거든요. 그렇다고 해도 시간 딜레이 없이 몇년 빨리 석사를 오는 것 보다 큰 메리트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정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하루라도 빨리 나오는 것이 정답이라고 하는 사람이라서요^^ 학부 후에 재정적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유학을 나올 수 없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국내 기업 다니면서 돈도 모으고 경력도 쌓아야 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빨리 나와서 적응하고 기회를 보는 것이 더 좋다고 봅니다. ^^
@MiMi-yl1ve
@MiMi-yl1ve 4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바쁘실텐데 이렇게 친절히 답변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귀한 정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잘 되시길 응원합니다 ^^
@Amolang991
@Amolang991 4 жыл бұрын
미국 학부일때 cpt로 아니면 opt로, 인턴쉽 오퍼 받는법 꿀팁 같은거 있나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인턴쉽 오퍼는 왕도가 없는것 같습니다. 정석대로 학교 공부 성실히 하고 많은 회사들에 어플라이 하면서 확률을 높이는 수 밖에 없는듯해요. 별도로 레쥬메 / 링크드인 / 어플라이 / 멘토찾기 / 인터뷰 연습 등을 따로 공부하고 연습하셔야 겠죠 제 채널에 관련 영상들을 올렸고 앞으로 더 올릴 예정입니다 ^^
@MultiLJY
@MultiLJY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의 비자관련 영상 3번째 잘 정독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질문 있습니다. 1.학교 졸업 후 잡 구할때 prevailing wgae를 못 맞추는 회사에 합격했더라도 유학생 입장에서는 일단 다니는게 좋은거겠죠? 2.석사졸업생들도 wage1 레벨로 취업비자 신청 가능한가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1. 옵션이 그것 밖에 없다면요 일단 다니면서 다른 회사를 준비해야겠습니다 2.네 석사 학위가 있지만 연봉이 낮아 학사 캡으로도 많이들 넣습니다
@chaeya7445
@chaeya7445 3 жыл бұрын
헉 그럼 가고싶은 대기업의 연봉이 PW level 2를 넘는 지역으로 석사를 가야하는건가요? 어렵네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유학 단계부터 pw를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학교는 동부에서 나오고 서부에 취직하는 경우 처럼요
@힛헤헿-u5i
@힛헤헿-u5i 3 жыл бұрын
H1B하고 영주권 빨리 해줬음 좋겠다는 얘기는 매니저한테 하나요, 인사과에 하나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매니져를 통해 HR에 해야합니다 HR 단독으로 할 수도 없고 결국 매니져가 HR에 강력하게 어필해 줘야 하기 때문에 매니져가 완전 내 편이어야 하지요
@힛헤헿-u5i
@힛헤헿-u5i 3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그렇군요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dream_catcher430
@dream_catcher430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대학원을 막 졸업한 유학생입니다^^ 얼마전에 OPT를 받고 최근에 첫오퍼도 받았어요🎉 그런데 그쪽에서 H1b 스폰을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검토중이에요..기다리는동안 이런저런 정보를 찾다보다가 유튜브의 알고리즘 덕분에 이렇게 좋은 채널도 발견했네요! PW를 알수있는 싸이트는 전혀 몰랐는데 그외에 유용한 정보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시원시원하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정말 와닿고 저에게는 오아시스같아요🙏 수고가 많으시구요 늘 건강하시길 바래요! ☺️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준비 잘 하셔서 취업비자와 영주권까지 한번에 쭉 받으시길요 ㅎㅎ
@alan-hl1jr
@alan-hl1jr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마지막 학기고 12월에 학부 졸업을 해서 1월부터 일을 하기로 한 회사가 있는데요, engineer 로 가서 stem opt 가 되는지, H1B 도 해준다고 합니다. 그럼 저 같은 경우에는 pw 에서 level 1 보다 높은 연봉을 약속 받으면 되는게 맞나요? 저도 주변에서 pw 에 대해 얘기를 들은적이 없었어서 확인 차 여쭤봅니다!!
@alan-hl1jr
@alan-hl1jr 3 жыл бұрын
아 그리고 저는 운좋게 연봉 얘기가 잘 되서 entry level 로 들어가지만 level 2 까지도 만족하는 연봉이긴합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3 жыл бұрын
네 레벨2도 만족하신다면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alan-hl1jr
@alan-hl1jr 3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lan-hl1jr
@alan-hl1jr 3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heCitygear
@TheCitygear 4 жыл бұрын
wage 임금 계산할 때 RSU도 포함인가요? 연봉계약이 BASE + RSU(확정금액) 입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저는 지원할 때 반영이 안 되었습니다 보너스나 RSU는 포함이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너스는 줘도 되고 안줘도 되는 소득이라 잡히지 않았고, 주가는 계속 변하고 극단적으로 휴지 조각이 될 수도 있는 가변 자산인데 그리고 vesting 기간도 있어서 바로 모두다 현금화 할 수도 없구요 하지만 저도 이 부분은 확실치가 않네요
@JungMinPark-Is-Idiot
@JungMinPark-Is-Idiot 4 жыл бұрын
영주권 스폰 관련해서 변호사랑 상담해보니 22000불을 요구하더군요.. 이게 정상적인 가격인가요?? 원래 이렇게 비싼지..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취업영주권이면 이렇게 요구해도 회사에서 상당수 지불을 해야할텐데요 niw는 혼자 다 비용을 감당해야 해서 좀 돈이 많이 들긴합니다만 2만불은 안 넘을거라 예상이됩니다
@JungMinPark-Is-Idiot
@JungMinPark-Is-Idiot 4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네 변호사가 일단 학생비자 만들어서(여기까진 제가알아서) 미국와서 취업비자 받고 후에 영주권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 학생비자로 와서 변호사가 무슨 수로 취업비자 주고 영주권을 주겠다는 건지요? 혹시 취업알선 업체인가요? 이런거 조심하셔야 합니다 진짜...
@JungMinPark-Is-Idiot
@JungMinPark-Is-Idiot 4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변호사 말로는 뭐 일단 오면 회사에 직접 지원서 넣고 잡오퍼 받는 방식이다 라고 했어요 구글에 검색해보니까 법률 사무소는 조지아주에 있더라고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어떤 회사에요? 어떤 회사인데 변호사가 합격을 100% 보장하는 것이죠? 심히 의심스럽습니다
@duckhorn
@duckhorn 2 жыл бұрын
J1 으로 갔는데 H1B 가 안나오면 어떻하죠 . .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2 жыл бұрын
J1에서 H1B로 갈아탈 수 있습니다
@duckhorn
@duckhorn 2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네 H1B 가 뽑기라고 들어서요 혹시 안되면 F1 밖에 없을까요
@levelofconsciousness2818
@levelofconsciousness2818 4 жыл бұрын
어휴.. 저도 받는 wage가 석사인데도 level1 급인데.. 석사로 h1b 지원하고 level1 으로 하면 100% RFE 맞게될까요?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변호사랑 상담을 해 보시면 이럴 경우 거의 학사캡으로 넣어보자 할 것 입니다
@levelofconsciousness2818
@levelofconsciousness2818 4 жыл бұрын
@@globalengineer 변호사는 level 2에 맞는 타이틀로 해보자네요 석사로 하고
@globalengineer
@globalengineer 4 жыл бұрын
네 그럼 좋습니다 잡타이틀 이름을 변경할 수만 있다면요 저도 그렇게 해서 석사캡으로 넣었어요 그런데 잡타이틀을 바꾸려면 회사와도 협의가 되어야 해서 좀 복잡합니다 화이팅이에요!
Quando A Diferença De Altura É Muito Grande 😲😂
00:12
Mari Maria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We Attempted The Impossible 😱
00:54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Quando A Diferença De Altura É Muito Grande 😲😂
00:12
Mari Maria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