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에서 발견한 지구에 이미 다른 지성체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증거

  Рет қаралды 134,335

지식보관소

지식보관소

Күн бұрын

Instagram ID @archiveyoutube
#MIT #AI #고래 #언어 #Coda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마전 MIT 연구팀은 바다에서 인간 이외에 지성체라고 부를만한 생물을 발견했으며 이 내용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시되었습니다.
www.nature.com...
www.bbc.com/ko...
• Exploring the Mysterio...
맴버쉽 가입: / @20000s
※ 후원 : toon.at/donate...
--------------------------------------
제보 및 비지니스 문의
E-Mail : asdfg3663@gmail.com
Blog : blog.naver.com/...
Instagram : / archiveyoutube
--------------------------------------
BGM 정보
Savfk - Ultra : • Ultra by Savfk [CC-BY ...
웅장한 느낌의 곡 - TTRM

Пікірлер: 432
@20000s
@20000s 8 ай бұрын
얼마전 MIT 연구팀은 바다에서 인간 이외에 지성체라고 부를만한 생물을 발견했으며 이 내용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시되었습니다. www.nature.com/articles/s41467-024-47221-8 www.bbc.com/korean/articles/c72p4635jgno kzbin.info/www/bejne/jKewZoR7odB_mKMsi=qSc1hoaUD783-MEO ------- 제보/소통/질문 ------- Instagram : instagram.com/archiveyoutube/ Blog : blog.naver.com/asdfg3663 ------- 부계정(보관소TV) ------- kzbin.info/door/jjPpn-_LcSQXlOKiQWiiMw ------- 비지니스 문의 ------- E-Mail : asdfg3663@gmail.com
@Gogumagamzaza
@Gogumagamzaza 8 ай бұрын
고래가 지능이 높은 동물인 건 사실이지만 앵무새, 영장류들보다 확실히 높다고는 말할 수 없음. 다른 동물들의 지능은 우리의 생각보다 너무 과소평가 돼 있음. 밀웜만 해도 많고 적음을 구분할 수 있으며 금붕어도 훈련을 통해 돌고래쇼 수준의 묘기를 구사하는 걸 보면
@조민수-x5o
@조민수-x5o 8 ай бұрын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고래 영상들을 보면서 어떻게 알고 저렇게 도와달라 할까 궁금했었는데 자기들끼리 대화하면서 인간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도와준다더라 하는 꿀팁이 공유된거였네 ㄷㄷ
@DDol_Pan555
@DDol_Pan555 8 ай бұрын
흰 배경에 붉은 점 찍힌 천을 달고다니는 배는 피하라고도 얘기했으면
@smartITkr
@smartITkr 8 ай бұрын
일본인은 X됐을지도... 일본 지들 잘났다로 조약 탈퇴하고 고래 쳐잡고 있는데... 고래들 사회에서 이미 찍혀있을지도??? 이런이런 모습하고 이런 이런 소리내는(일본인 특징) 인간들이 주로 우리 동료들 잡더라 조심해 이렇게 소문 퍼신 상태...
@pign5229
@pign5229 8 ай бұрын
​@@DDol_Pan555와 진짜 병이다...병원 가보세요
@Fugging771
@Fugging771 8 ай бұрын
@@DDol_Pan555대놓고 잡는 일본의 연간 고래 포획량: 300~400마리 포경을 금지하지만 우연히 잡힌건 허용한다는 한국에서 연간 “우연히”잡힌 고래 수: 2000마리 피해야할 건 우리였고~
@user-mn9yk6xd1h
@user-mn9yk6xd1h 8 ай бұрын
일본은 연구목적이랍시고 고래 해외에서 구매 해와서 연구 하는둥 마는둥 하다가 우연히 남은 고기를 전국으로 유통하기 때문에 안그래도 씨가 마른 고래를 잡을 필요가 없어서 그렇제​@@Fugging771
@joaquinsorolla5860
@joaquinsorolla5860 8 ай бұрын
숭악한 범고래가 가급적 인간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으려고 하는 것도 높은 지능과 관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듬. 어쩌면 범고래는 자신보다 인간 개개인의 물리력이 약하다고 몇몇을 먹이로 삼았다가는 인간에게 몇배로 당할걸 인지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하시네요
@하시네요 8 ай бұрын
아ㅋㅋㅋ 바퀴벌레 수백마리가 군집해있는걸 보고 바퀴벌레 알을 건드릴 생각을 하겠냐구요ㅋㅋㅋㅋ
@DDol_Pan555
@DDol_Pan555 8 ай бұрын
coda가 어느수준까지 상호번역 가능한 수준까지 오면 심해 연구에 막대한 연구기 가능할듯. 고래와 모종의 거래로 인간이 쉽게 가기 힘든 영역 생태계, 생물종, 횐경 등등 구두로 듣기만 해도 최소 원시적 자료를 얻을 수 있고 그걸 토대로 연구 방향성이라도 잡기 좋으니까
@현복자-j7h
@현복자-j7h 8 ай бұрын
ㅡㅡㅡㅡ33333ㅡ9
@JayPChoi
@JayPChoi 8 ай бұрын
고래 언어가 같은 종이라도 지역, 무리별로 달라서 사투리 같은 개념도 있고 심지어 다른 지역의 고래들 끼리는 언어가 안통하는 경우도 있어서 통역가 고래도 있을 거라고 하더라고요... 분명 인간만큼의 혹은 인간 이상의 언어체계가 있을 텐데 앞으로 연구가 더 기대되네요
@Gogumagamzaza
@Gogumagamzaza 8 ай бұрын
애초에 고래가 할 수 있는 것들은 다른 동물들도 가능한 경우가 많음 금붕어만 봐도 훈련을 통해 돌고래쇼 수준의 묘기를 구사할 수 있고
@lampas7087
@lampas7087 8 ай бұрын
다음 생은 고래로 태어나야지
@user-13579yoursno
@user-13579yoursno 2 ай бұрын
응, 술고래.
@_achaean8545
@_achaean8545 8 ай бұрын
인간의 관점을 벗어나는 것이 인간이 다음 단계로 진화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닐까요
@user-ss5wr8zr7v
@user-ss5wr8zr7v 8 ай бұрын
불이 문명에 가장 필요한 조건인데 물이라 불가능 물이라서 종이라던가 벽화라던가 유산을 남길수가 없음
@user-samoyed_darong
@user-samoyed_darong 8 ай бұрын
인간의 진화는 인공지능이 자신의 신체를 유기체로 만들어낼 수 있고 현생인류를 멸망시키는게 인류문명의 진화임
@나의한조각
@나의한조각 8 ай бұрын
그냥 위 두개의 답을 잘 봐야줘
@TV-xu9ih
@TV-xu9ih 8 ай бұрын
@@user-samoyed_darong 머하러 유기체로 만들어내냐 그보다 강하고 내구성 좋은 물질들은 널렸는데;;
@user-ce5ss8yo1j
@user-ce5ss8yo1j 8 ай бұрын
그럼 말만힌지말고 님이 직접만드세여;; 제가 일론머스크 지인이라 일론머스크랑 이야기를 나눠보면서 같이 개발하고 술도마신 사이인데 님 댓글대로 만들기 쉽지않습니다 직접해보고 말하세요제발좀​@@TV-xu9ih
@mrdragonrider
@mrdragonrider 8 ай бұрын
'히차이커스 가이드 투 갤럭시'에 기억에 남는 내용이 있는데 그게 이겁니다. 인간은 자동차를 만들고 공장을 만들고 기계를 돌리고 도시를 만드는 동안 고래들은 바다에서 희희락락 놀기만 했기 때문에 인간은 고래가 매우 멍청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고래들은 정확히 같은 이유로 인간은 매우 멍청하다고 생각했다.
@observancechoi
@observancechoi 8 ай бұрын
만약 고래들이 인간과 비슷한 혹은 심지어 뛰어난 지능과 감성을 지닌 존재들임에도 손이 없고 바다에 살아 도구를 만들지 못해 문명과 과학을 발전시키지 못한 것이라면 인간의 사냥으로 동족이 학살 당할 때 그들이 느끼는 공포와 슬픔, 무력감은 얼마나 클까. 진화의 트리에서 땅이 아닌 바다를 택한 것이 그들의 한계가 되었네.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손있어도 개체수가 많아야 문명을 만들수 있어요. 개체수가 많아질려면 농업이 필수고...
@야코시브
@야코시브 8 ай бұрын
​@@user-hakjeong농업은 마음만 먹으면 바다가 더 좋죠. 연안에서 해야된다는 리스크가 있지만
@air_g-string_nala_narang_nolza
@air_g-string_nala_narang_nolza 8 ай бұрын
육지에서 바다로 들어간 포유류.. 고래 왜 바다로 들어갔을까...
@tearsofryze
@tearsofryze 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지성체라는것이 인간만의 특권이라고 생각하는것은 정말 오산이지요. 도구를 쉽게 다룰수 있는 형태로 진화의 방향이 이뤄지지 않아 인간처럼 고도문명을 이뤄내지 못했을뿐 고래 역시 우리와 똑같이 느끼고 소통하는 존재라는것을 알게되었네요. 다른 포유류 동물들도 마찬가지로 우리와 다를바 없이 희노애락을 느끼며 살고 있는거지요.
@탑건교관쾌걸행맨
@탑건교관쾌걸행맨 8 ай бұрын
식물도..
@AVGVSTVS-63
@AVGVSTVS-63 8 ай бұрын
버섯도 지들끼리 소통한다던데 ㅋㅋ
@고무-b7e
@고무-b7e 8 ай бұрын
이게 사실이면 성경은 거짓임 근대 ㅋㅋ 우기죠 응 유일신ㅋㅋ 진짜 종교왜믿는거임?
@Kevin-re7kt
@Kevin-re7kt 8 ай бұрын
솔직히 언어를 만들어서 그걸 이용해 사람들 호구 만들어 가두는게 종교, 문화임. 예전에야 그게 잘 먹히지만 요즘같이 과학이 너무 발전하면 다들 잘 빠져나옴. 근데 걔네들 나름대로 또 마지막 발악중이긴함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개체수가 중요함. 호모사피엔스도 농업하기 이전엔 문명이 탄생하지않았음. 충분히 많은 개체수가 집단을 이뤄야 문명으로 발전할수있음
@Lighthouse-k8y
@Lighthouse-k8y 6 ай бұрын
애초에 사람은 육지, 고래는 바다에서같이 서로 생존하는 환경이 다른데 인간과 비슷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언어)를 써야한다는 것도 인간의 관점에서만 내린 편협한 지성체의 정의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래는 물 속에서 살아가는데 거기에서 더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방법이 존재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초음파로 아주 멀리 떨어진 고래에게도 메시지를 가진 신호를 전하는 것처럼요. 아직 우리가 이해하지 못한, 어쩌면 우리가 가진 수단보다 어느 면에선 더 뛰어난 면모가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gomdorij3213
@gomdorij3213 8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이네요^^* 지성체를 인간 중심으로 정의하니, 지구상의 다른 생명들이 지성체 에서 빠지겠죠 ^^;;
@kimsthovan50
@kimsthovan50 8 ай бұрын
고래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들과 소통하게 되는 날에는 그들이 인간 이상의 지성체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단지 바다라는 환경과 몸의 제약으로 그저 바다 지성체로 살아가고 있을 뿐이겠죠. 일전에 KBS에서 고래가 부르는 실재 노래의 멜로디를 녹음하고 오케스트라로 연주한 적이 있는데 충격이었습니다. 명백한 프레이즈가 있는 또렸한 멜로디였습니다. 충격이었죠. 그 부분을 따로 녹음한 걸 갖고 있어요. 저는 앵무새를 키우면서 그들의 언어가 선택적 단어인가를 연구하는데 100% 선택적 단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입증됩니다. 고래가 사용하는 단어가 300개 이상이고 선택적 단어, 형이상학적 단어가 있다면 그들은 지성체일 확률이 100%입니다.
@PRING-2023
@PRING-2023 8 ай бұрын
고래의 입장에서는 초음파로 대화하는게 훨씬 편한데 굳이 성대를 이용하냐? 라고 생각 할 수 도 있겠죠? ㅎㅎ
@User0083rrt5vxssoervzjkboz
@User0083rrt5vxssoervzjkboz 8 ай бұрын
그니깐요ㅋㅋㅋ비효율이라고 생각할수도...ㅋㅋ
@닉네임임시
@닉네임임시 8 ай бұрын
???: 그럼 물 속에서는 어떻게 소통해??
@amaranth6687
@amaranth6687 8 ай бұрын
굳이 소리로 소통할까요?
@junchun2424
@junchun2424 8 ай бұрын
물에서 말이 전달이 안되니 초음파로 언어를 만든거지
@대기레이스
@대기레이스 8 ай бұрын
이제 고래고기는 먹지 않는걸로...
@김앵무-w4u
@김앵무-w4u 8 ай бұрын
모 소설에서 고래가 지능 2위, 인간이 3위인 세계관이 있었는데 문명도 건설하지 않고, 더 나아지기 위해 투쟁하지 않으며 그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하루하루 살아가는 고래가 왜 인간보다 지능이 높지? 라는 의문에 고래도 정확히 반대로 생각한다는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구지면흑탄두
@구지면흑탄두 8 ай бұрын
소설제목좀 부탁드립니다 !
@정찬영-d3n
@정찬영-d3n 5 ай бұрын
@@구지면흑탄두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찬란할나날
@찬란할나날 8 ай бұрын
문어도 똑똑함이 고래못지않죠ㅋ 심지어 문어는 육지도 올라와요ㅋ
@오리-r3y
@오리-r3y 7 ай бұрын
고래가 지능이 높아도 인간처럼 문명을 이룰수 없는 이유가 뭐냐면 고래는 손이 없어서 도구를 만들수 없기 때문이다 진화에 있어서 손 이라는 존재는 문명을 이룰수 있는 최적의 신체이다 아무리 지능이 높아도 도구를 만들고 사용할 손이 없다면 문명을 만들고 더 나은 쪽으로 진화가 불가능 하다 그렇지만 영적인 성숙도는 인간보다 낫지 않을까 생각 된다 사랑하고 베푸는 마음 탐욕을 멀리하고 선한마음으로 살아가는 마음은 어쩌면 인간보다 더 진화 했을지 모른다
@sade22223
@sade22223 3 күн бұрын
지능은 인간보다 떨어져도 영적성장은 인간보다 나을수있죠
@johnyu2003
@johnyu2003 8 ай бұрын
은하수를 여행하는 ~가이드 라는 영화를 보면 외계인이 지구를 우주고속도로에 방해된다고 아작내기로 결정했을때 고래들은 이미 외계인의 의도를 알아채고 지구인에게 경고했지만 못알아 먹었죠..감독 천재네..
@Lesmu
@Lesmu 8 ай бұрын
영성계에서는 이미 알려진 내용입니다.. 인간보다 영적으로 굉장히 순수하고 높은 존재들이며, 지구 정화를 위해 큰 역할을 하고 있기에, 돌고래나 고래를 사냥하고 포획하는 일은 굉장히 머리석은일이라 말합니다..
@박쿠다스
@박쿠다스 8 ай бұрын
Ai를 통해 고래와 대화가 가능할 날이 머지 않았네요
@노지호-o1r
@노지호-o1r 8 ай бұрын
가끔 올려주시는 귀한영상 매번끝까지 재밌게 시청하고있습니다 그중에서 이번영상은 더 재밌네요 뇌수술후 환자를 케어하는 신경외과 병동 간호사인데 굉장히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언어재활받는 환자들이 떠오르기도하고요
@celsius200do
@celsius200do 8 ай бұрын
고래는 이미 다른차원과 교신하고 있고 인간이 아둥바둥 사는모습을 귀엽게 보고 있다면?
@이매망량-q3v
@이매망량-q3v 8 ай бұрын
근데 고래도 충분히 잔인한 모습을 보여주기에 잔인함은 오히려 생존의 요소나 아니면 지능의 부과물일지도 모릅니다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잔인함은 인간이 만든거지 원래 자기앞에 방해물제거는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데 꼭필요한 행위임. 잔인한 행위를 생명체들은 거부감느끼게 진화했는데 어떤이유로 인해서 그런 거부감을 무시하는것에 불과함.
@MrGurikyu
@MrGurikyu 8 ай бұрын
지능높은 외계인도 잔인할수있음
@모레오
@모레오 8 ай бұрын
애메하게 높으면 잔인하고 폭력적임. 더 높아질수록 이기심이 위선으로 승화되면서 겉으론 젠틀하게 보임. 인간도 똑똑한애들이 대외적으론 말조심하고 예의바르듯이
@호이-b6y-h7b
@호이-b6y-h7b 8 ай бұрын
7:40 깊이 동의함 전쟁은 진정한 의미의 지성체라고 불릴 존재가 할만한 행동은 아닌것 같긴 합니다 고래가 지성체이든 아니듯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8 ай бұрын
처음본 강아지 고양이를 귀여워하며 입으로 머리를 쓰다듬는 돌고래 영상을 보고 얘네는 보통 동물이 아니라는걸 느낀적 있었죠.
@JK-li1ve
@JK-li1ve 8 ай бұрын
고래 개그 들어보고 싶은 사람 개추
@user-rg7fg9iw1c
@user-rg7fg9iw1c 8 ай бұрын
고~~~뤠~~??
@크레용사님일어나세요
@크레용사님일어나세요 8 ай бұрын
고래와 난 Death까?
@gulaya18
@gulaya18 8 ай бұрын
캬캬~캬캬까~~~~으응~~
@신짱구-j1n
@신짱구-j1n 8 ай бұрын
개콘구독해라
@다이핀
@다이핀 8 ай бұрын
​@@신짱구-j1n고래사이에서는 고콘
@_Bippy_
@_Bippy_ 8 ай бұрын
AI 기술이 점차 무서워지고있네요.. 우리가 알고있던 상식과 개념들이 완전히 뒤집어지는 세상이 오지 않으려나 싶습니다.
@Kevin-re7kt
@Kevin-re7kt 8 ай бұрын
이미 뒤집어지는중. Ai들끼리는 이미 인간의 언어가 엄청나게 비효율적이라 자기네들의 언어로 소통한다고 함.
@fuga9
@fuga9 8 ай бұрын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인지능력이 이 있어야 그들의 종족 생명을 유지해나갈수 있다고 본다 그들만의 삶의 질서와 환경을 극복해 가는 과정에 소통이 없다면 생명의 유지와 계승이 불가능 할것이라 생각됨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은 상호 영향하에 있고 영향을 주고 받기때문에 모든 개체에 대한 생명 존중은 지성체가 가져야 할 덕목임
@정세현-t1c
@정세현-t1c 8 ай бұрын
여담인데 AI의 발전으로 암호, 언어해독 기술적 향상이 엄청나게 빠르다 하더라구요. 기존의 인간의 힘으로 패턴찬고 분석한걸 , 최근엔 AI라는 도구로 방대한 데이터 안에서 인간이 찾지 못한 규칙을 찾고 그걸 패턴화하여 분류하기에 핵심 키워드를 확보하면 수만 수십만 가지 가능성 있는 해석본에서 언어의 패턴을 고려하여 가장 확률이 높은 몇 가지를 추려낸다는데, 고래어도 마찬가지로 의미가 확실한 키워드를 확보한다면 머지않아 해석본이 나올거라 예상합니다. 과연 어떤 문장구조로 이루어저있고 템포나 리듬이 정확히 기능을 하는지 너무나 궁금하네요.
@minkim6879
@minkim6879 8 ай бұрын
개미의 언어 해독도 기대되네요 : )
@CH_Sudal
@CH_Sudal 8 ай бұрын
소설 보섰나 봅니다
@없음-e5p
@없음-e5p 8 ай бұрын
와 그럼 고래랑 의사소통만 할 수 있으면 바다에 있는 비밀들도 알겠네여 ㄷ
@junchun2424
@junchun2424 8 ай бұрын
일단 보물선 침몰위치부터 ㄱㄱ
@Jorjia425
@Jorjia425 8 ай бұрын
인간과 고래는 가청 주파수대가 달라서 사실상 우리가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기 힘듦. 우리가 못듣는 대역의 주파수로 그들이 언어소통을 할지도 미지수임. 기계로 잡아내는데도 한계가 있으니.
@jos7709
@jos7709 8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집악령
@집악령 8 ай бұрын
고래의 지성체 여부를 확정지으려면 얘네가 자신들의 소통 방식을 '기록'하여 보존하고 전수하는지 확인해봐야 할 듯...
@Ltidj
@Ltidj 8 ай бұрын
고래의 능력보단 고래언어를 해석한 AI의 발전이 무섭네요.. 더 발전해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되어 빨리 우주여행 시대가 왔으면합니다
@Moon-qd9nr
@Moon-qd9nr 8 ай бұрын
와우... 혹등고래에게 팔다리를 붙여주고 뭍 위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해주면 그들만의 문명이 건설될 수도 있겠네요.
@7dr401
@7dr401 8 ай бұрын
진정한 지성체는 소중한 무언가를 지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추구하는 정의로운 존재라 생각됩니다.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보존하고 생존을 위해 우주만물을 이해하고 나아갈 수 있는가가 핵심 아닐까요. 지구라는 거대한 지성을 가진 생명을 잉태하는 존재가 인간을 잠시(찰나) 선택한거라 봅니다. 우리에겐 희망과 사랑을 이해하고 깨닫고자하는 의지가 있습니다. 함께 서로 이해하고 태어남에 있어 감사하고 나아지려고 하며, 사랑하는 진정한 지성체로 거듭나길 바래봅니다 ^^
@dwbhh
@dwbhh 8 ай бұрын
그런 관점으로 본다면 개개인은 지성체라고 부를 만할지 모르나 무리는 어쩜 이리 야만적인가 싶네요.. 인류는 현재 궁극적으로 무엇을 지키며 무엇을 보존하며 어딜 향해 나아가고 있는걸까요. 그저 각자가 자기 눈 앞만 보며 생존해나가고 있을 뿐인 것 같아요
@ykj1630
@ykj1630 8 ай бұрын
고래들은 사투리도 있고 지역이 다르면 언어도 달라진다며? 그리고 미러테스트 통과한 2종 중 하나가 돌고래 라고 하죠.
@김경룡-c9k
@김경룡-c9k 5 ай бұрын
이것을 모티브로 한 Star Trek 중의 한편의 영화가 있습니다. 결국 미래에서 과거로 시간 여행을 하여 혹등고래 한마리를 우주선에 실어서 미래로 돌아와 지구를 구하게 되지요.
@user-coscos
@user-coscos 8 ай бұрын
과거 인간이 고래잡이 많이 하던시절 인간 공격하면 큰 화를 당한다고 고래들끼리 소문나서 지금도 인간을 공격 안한다던 설이 있었는데 진짜인가
@Youtube블루-q5y
@Youtube블루-q5y 8 ай бұрын
고래라면 그럴법하긴함 워낙 사례가 많아서
@Kevin-re7kt
@Kevin-re7kt 8 ай бұрын
그거 옛날 로마시절 킬러웨일이 그렇다고 잘못 소문나있음. 애초에 인간이 고래들을 대규모 학살한 적이 없음
@좋은느낌-e2h
@좋은느낌-e2h 8 ай бұрын
​@@Kevin-re7kt일본
@양은정-y7m
@양은정-y7m 8 ай бұрын
@@좋은느낌-e2h인터넷 낭설임😊
@onzia5602
@onzia5602 8 ай бұрын
일본 포경으로 씨가 마를뻔한건 학살임
@hushocking
@hushocking 8 ай бұрын
03:45 유일하진 않아요. 아프리카에서 한 초식동물이 그늘 밑 사자에게 천천히 코앞까지 다가갔고, 스스로 죽음을 태하는 장면이 목격됐고, 그 영상도 인터넷 뉴스에서 본 기억이 납니다.
@lightpurple3147
@lightpurple3147 8 ай бұрын
저도 그 영상 기억나네요 가짜인지 진짜인지는 모르겠지만
@joohyungsuh1483
@joohyungsuh1483 2 ай бұрын
어느 생물이나 엄청난 스트레스로 자살하는 경우는 가아끔씩 있을걸요.
@sasa-ky8ud
@sasa-ky8ud 8 ай бұрын
언젠가 고래 언어를 번역해내는 날이 온다면 고래와의 대화를 통해 대중들에게 단순한 말못하는 짐승일 뿐이었던 동물을 같은 인격체로 바라보게 되는 전환점이 올 것이고 그런 시대가 올 때 동물실험이나 도축 등 동물복지 관련 어떤 변화가 올지.. 만약 법으로 그런 것이 금지된다면 앞으로 인류는 대체육이나 식물류만 먹게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만약 식물의 언어가 발견된다면?
@감기조심하세요
@감기조심하세요 8 ай бұрын
애플tv플러스의 시리즈인 2050 벼랑끝 인류의 에피소드중에 지구에 마지막으로 단 한마리 남은 혹등고래와 대화를 하는 과학자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과학자가 네가 지구에 남은 마지막 고래라고 진실을 알려주는데 고래는 나의 목소리를 기록해 이후의 존재들에게 우리 존재를 알려달라고 하죠.. 정말 눈물남 ㅠㅠ 어머니 보다 넓은 마음의 고래 아줌마 ㅠㅠㅠㅠ
@paloma184
@paloma184 8 ай бұрын
고래의 언어를 해석할 수 없다면, 고래에게 인간의 언어를 학습시킨 후에 그 고래에게 거꾸로 교육받는 방법도 있겠네.
@cerebrat2
@cerebrat2 8 ай бұрын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8 ай бұрын
고래 : 꾸엉꾸엉(인간님 진도가 너무 빠릅니다)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8 ай бұрын
참고로 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원시 인류들을 멸종시켰다는건 정설이 아니예요 여러가지 가설이 있지만 유전적 다양성이나 기후변화에 다른 원시인류보다 더 잘 적응했기 때문이라는게 더 주된 생물학계 의견입니다. 2022년 네이쳐지 모델링이나 2023년 시뮬레이션에서도 그런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그럼 다른 포유류보다 훨씬 뛰어난 집단을 이루고 훨씬높은 지능을 가진 네안데르탈인이나 기타 고인류종이 현인류를 제외한 다른 포유류보다 생존경쟁에 뒤쳐졌다는뜻인데 근거가 너무 부실하네요.
@seojunkim8517
@seojunkim8517 8 ай бұрын
인간은 특정 구간에서 생존하는데 유리함. 극한 상황에서 그 부분이 뛰어나서 생존했을 수 있음
@정찬영-d3n
@정찬영-d3n 5 ай бұрын
4:10 고래 개그도 꽤 재밌네요ㅎㅎ
@disafear525
@disafear525 8 ай бұрын
뇌파를 이용한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고래들에게 자신의 생각만으로 조종할 수 있는 양팔과 두 손 이라는걸 줄 수 있다면 어떻게 활용할지 궁금하네요. ..하긴, 양 팔과 두 손이라는 것 역시 바다 생활엔 오히려 조금도 필요 없는 거추장스러운 기능일지도..쩝.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팔이있던 인류도 농업사회이전엔 좀똑똑한 영장류중에 하나였음. 농업을 시작한 집단들은 여지없이 모두 자신들의 문명을 발전시킴. 문명에 손보다 중요한건 개체수임. 농업으로 식량을 비축할수있고 충분한 인구가 자유시간을 가질수있게 되면서 문명이 탄생한거임.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때부터 꽤 좋은손을 가지고있던 사람속영장류들은 3~500만년간 문명을 만들지못함.
@김경룡-c9k
@김경룡-c9k 8 ай бұрын
Star Trek의 "Voyage to Home"을 보면 외계우주선이 혹등고래를 찾으러 오는데....
@mink9066
@mink9066 8 ай бұрын
그렇지. 굳이 불을 사용하고 철을 녹여 건물을 짓고 자동차를 만들고 미사일 쏘아대는 인간만이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동물이라고 볼 수 없지.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살아가는 고래가 더 현명하고 똑똑한 생명체 일지도.
@시간여행-z4l
@시간여행-z4l 8 ай бұрын
옛날옛적 백인은 다른인종은 인간으로 보지않았다고 합니다..고래도 같은 처지같네요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8 ай бұрын
인간이 멸종하고 나면, 고래가 다음 지구를 지배하는 종이 될 듯. 제발 다음 종은 서로 죽이기 위해서 살지 않기를...
@HAEIL-s3o
@HAEIL-s3o 8 ай бұрын
범고래도 인간이 지성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인간에 해를 가하면 보복을 당한다는 개념도 알고 있어요.
@장민재-h1y
@장민재-h1y 8 ай бұрын
온라인에선 이 범고래가 유독 인간을 만나면 공격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는 얘기가 떠돌고 있다.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건 과학적 근거가 없는 낭설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장민재-h1y
@장민재-h1y 8 ай бұрын
범고래만 유일하게 인간에게 우호적이라는 소문 자체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다른 동물도 사실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가 많지는 않다
@Free_Sugar
@Free_Sugar 7 ай бұрын
구독 합니다
@KibuKim
@KibuKim 6 ай бұрын
문제는 학습능력이죠 베버는 나무로 댐을 만들지만, 콘크리트벽을 만드는 방법을 학습 못하죠. 이것이 인간만을 지성체로 부를 수 있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golden2420
@golden2420 8 ай бұрын
외계인들도 저런식으로 의사소통할 가능성이 높겠다. 우리에게는 동물 울음소리 같겠지만 다 복잡한 의미가 있는…
@겜부TV
@겜부TV 8 ай бұрын
마지막말이 와닿네요.. ^^
@날소스
@날소스 8 ай бұрын
'그럼이만' 이요?
@파란곤충
@파란곤충 8 ай бұрын
영상 초기에 잘못된 설명이 있어 첨언합니다. 인간과 영장목에 속하는 생물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 사람만 '사람과(Hominidae)'에 속하진 않습니다. 침팬지나 고릴라, 오랑우탄도 어면히 사람과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그 밑 분류도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사람과도 사람아과(Homininae)와 오랑우탄아과(Ponginae)로 분류되고 사람아과는 고릴라족(Gorillini)과 사람족(Hominini)으로 나뉘며, 사람족은 사람속(Homo)과 침팬지속(Pan)으로 나뉩니다.
@minkim6879
@minkim6879 8 ай бұрын
고래의 언어가 전부 완벽히 해독 되는날이 오겠네요 그물이나 줄에 걸려 줄을 끊어야 하는데 힘든 상황 혹등고래 돌고래 범고래 가 주변인간에게 도움을 청하는 ... 인간이 상어로 부터 위험할때 고래가 와서 도와준다던가... 범고래가 유일하게 인간을 공격하지않는다 그것도 구전으로 이어저 학습한다는건 정말 흥미로웠죠 ㅎ
@알럽잭팟
@알럽잭팟 8 ай бұрын
도움을 청하는게 아니라 그물치지말라고 하는거 아님?ㅋㅋ
@bitsun286
@bitsun286 8 ай бұрын
고래들이 서로 초음파를 활용해 의사소통한다고, 어느 책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runnable
@runnable 8 ай бұрын
그들은 모든것을 버리고 평화로운 바다로 돌아갔다
@투람바르
@투람바르 8 ай бұрын
흑동고래가 아니라 혹등고래요 자꾸 그러면 우영우씨가 화냅니다
@딸기-f3v
@딸기-f3v 8 ай бұрын
고뢰?
@jongwoolee2613
@jongwoolee2613 8 ай бұрын
흑동 계속 나와서 어질어질하네요
@kjane4204
@kjane4204 5 ай бұрын
👏👏👏
@HS17J
@HS17J 8 ай бұрын
내가 포항에서 지성체의 고기를 먹은거였구나....
@anycall147
@anycall147 8 ай бұрын
혹등고래를 자꾸 흑동고래라고 발음하시네
@k가즈아-j7z
@k가즈아-j7z 8 ай бұрын
외계생명체 얘기 인줄 알고 듣다가 끝나고보니 고래얘기네..
@김상훈의자연계
@김상훈의자연계 8 ай бұрын
거울을 보고 자신의 모습임을 자각할 수 있는 자의식을 가진 동물은 포유류 중에서는 유인원과 고래, 조류 중에서는 까지류 정도입니다.
@pdplove
@pdplove 8 ай бұрын
개나 고양이 하고 번역기로 대화 할 수 있으면 좋겠다.
@qhan3235
@qhan3235 5 ай бұрын
나도 이 생각한게 애니'나디아'에서 고래가 지성체로 나오는 씬이 있었는데 인간의 관점에서 자연을 정복해야 지성체라 기준두지만 만약에 자연과 동화된 지성체라면 기준이 다를거같다고 생각함. 우주의 진리 알지만 정복과 동화의 차이점이라면 인간만이 지성체라 할 수 있을까?
@Healing타임
@Healing타임 8 ай бұрын
지성체를 떠나서 동물과 소통될수잇스면 ...과연 어떤 결과를 초래할까요..? 저의 뇌피셜 이였습니다. ㅋㅋㅋ 좋은 주말 보네세요^^
@이준-m8b
@이준-m8b 8 ай бұрын
저 프레리도그를 연구하는 박사님이 프레리도그가 언어가 있다고 하길레 그 유튜브 찾아서 들어가봤는데 프레리도그들도 주어 목적어 보어나 형용사로 구성된 언어가 있다고 해요. 근데 실험에 나오는 여러 다른 옷입고, 멀리 서보고, 가까이서보고 하는 대상은 대학원생이었음
@기백-m6s
@기백-m6s 7 ай бұрын
영화유튜버는 과학 영상 올리고.. 과학 유튜버는 미스터리로 가고..
@world-traveler
@world-traveler 8 ай бұрын
고래가 완전 지성체라고 볼수 없는 이유는 지식의 전수에 있는거라고 생각... 문헌이나 글자로 후세에 지식 전수를 못하니 천만년이 지나도 고래는 그냥 고래일듯...똑똑하되 더이상 발전하지 못하는...
@sade22223
@sade22223 3 күн бұрын
지성이랑 지능이랑은 다른개념아닐까요 문명이발전없던 도구도 사용못하던 원시인들이랑 비슷하겠죠
@seolhs
@seolhs 8 ай бұрын
즉 고래는 뮤지컬 배우라는 소리구나 늘 노래하면서 대화하는군
@footbong
@footbong 8 ай бұрын
몇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언어란 선대 개체들에 의한 학습으로 존속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인데 추가적인 교육의 과정이 없이 복잡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가? 혹은 우리가 악센트라 여기는 본능적 의사표현이 극도로 발달한 것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고래의 언어도 여러가지가 있어야 할 텐데 학계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이요한-k5z
@이요한-k5z 8 ай бұрын
같은 종의 고래라도 서로 먼 곳에 있던 개체들끼리는 의사소통이 안된다고 합니다.
@footbong
@footbong 8 ай бұрын
@@이요한-k5z 정말인가요? 손이 아니라 지느러미로 진화한게 천운이네요
@최성진-x4s
@최성진-x4s 8 ай бұрын
@@footbong 지역 마다의 사투리가 있고 완전히 다른 지역에서 사는 고래들이 만나면 의사소통 가능
@이요한-k5z
@이요한-k5z 8 ай бұрын
@@footbong 손이 있었다 한들 물속이라는 환경이 문명을 만들기에는 매우 적대적인 환경이라 글쎄요... 일단 물속에서 불을 쓰는 방법을 터득하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야 하고 인간의 문자처럼 오래도록 지속되는 지식 전달 체계를 만들려 한다 해도 거센 해류의 흐름을 견딜 수 있을만큼 견고한 재질에 무언가를 새기는 작업을 하는 법을 터득하는 것도 극악의 난이도인데 그걸 안전하게 오래도록 보관하는 것도 육지랑 비교도 안될 만큼 어려울거고 바닷속에서 농사를 짓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을리가 없고 그렇다고 양식을 하는 방법을 터득할수 있을리도 만무하죠 건축을 하려해도 육지에 살았던 인류는 가볍고 쉽게 가공 가능한 재질들로 움막 짓는것부터 시작해서 차근차근 무겁고 튼튼한 재질을 다루는 법을 터득해왔는데 바닷속에서 뭔가를 건설하려면 처음부터 크고 튼튼하고 무거운 석조건물을 짓는법을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의 선행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터득해야 하는데 이게 또 극악의 난이도고 설사 뭔가를 짓는데 성공했다 한들 바닷속에서 그걸 오래 유지보수하기는 육지의 그것과 비교도 안될 만큼 어려울 것이고 바닷속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은 생명체의 특성상 해와 달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기가 극도로 까다로울 것이고 기계장치를 만들고 유지하는 측면에서도 바다가 육지보다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가혹하고 각종 화학 실험을 하기도 거의 불가능 할거고 불도 발견할 수 없는 환경에서 전기를 어찌 저찌 알아냈다 한들..바닷속에서 전기를 가지고 실험을 했다가는 바로 황천길 가는거고. 그냥 문명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들로 가득한뎁쇼?
@GIniki-h8t
@GIniki-h8t 8 ай бұрын
@@이요한-k5z이것 또한 인간 중심적 사고가 아닐지 현대 인류가 파악한 테크말고 다른 테크가 있을 수도 있잖슴
@ikim6326
@ikim6326 7 ай бұрын
앞으로 고래고기 안먹어야겠다
@카누앤보우
@카누앤보우 8 ай бұрын
인간과 동물을 나뉘는 기준은 생긴 몸의 모양이나 지능이 아니라 인간과 같은 영靈Spirit을 공유하느냐 아니냐로 나뉘어야 합니다. 영적으로 보면, 인간 다음으로 영적으로 진화한 것은 원숭이가 아니라 개와 고양이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인간의 영이 없는 동물이지요. 돌고래와 고래는 동물이 아니며, 인간과 같은 영靈을 공유하는 인간이라고 합니다. 돌고래와 고래가 복잡한 언어를 사용하고 고도의 사회 의식과 연민을 가지고 위험에 빠진 인간이나 다른 종의 동물을 구해 주는 사례가 보고 되는 것도 그러한 이유이죠. 모든 동물을 살생해서는 안 되지만, 특히 돌고래과 고래가 자기들 동족이라 주장하는 시리우스의 외계인들은 상업포경은 살인 행위에 해당한다고까지 주장 합니다. 아주 옛날에 현 인류가 있기도 전에, 레무리아와 아틀란티스가 있기도 전에, 고래는 원래 육지에 살았는데, 수백만년 전에 지구에는 파충류형 인간들과 공룡형 인간, 고래형 인간들의 종족이 육지에 살며 서로 공존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 고래는 지성을 가지고 두발로 걷는 육지형 인간이었지요. 그것이 파충류형 인간들과 서로 공존하다가 이내 외계에서 온 다른 파충류형 인간들의 이간질로 이들 종족은 전쟁을 통해 파괴되고 지구문명은 종말을 고하게 되고 살아남은 고래 인간의 일부는 우주 밖으로 나가 고래자리 성단으로 가고 일부가 바다로 들어가서 그들의 높은 의식을 사용해 자기 몸을 수생 생활에 맞게 차츰 변형 시킨 후 오늘날의 돌고래와 고래가 된 것이라고 합니다. 두 종의 지성체로서, 인간(호모사피엔스)은 원래 육지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역활을 담당하고 돌고래와 고래가 바다를 담당하는 역활를 하기로 하였던 것인데(고래의 노래 소리는 바다 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생태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 인간은 그 역활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귀마초보
@귀마초보 8 ай бұрын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에도 고래의 지능 및 의사소통(음파를 통한)을 소개하고 있죠
@hmmteresting6014
@hmmteresting6014 7 ай бұрын
다른 지성체가 있더라도 사회가 발전하면서 노예로 부려먹기는 힘들텐데 애초에 노예제가 워낙 비효율적이라서 결국 공존하는 형태가 될꺼같음
@AVGVSTVS-63
@AVGVSTVS-63 8 ай бұрын
와... 고래가족들은 수개월 동안 잠항하고 있는 원자력 잠수함에서 콜드런치 방식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거 구경하면서 무슨생각할까...
@이기영-y3u
@이기영-y3u 8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 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비취빛-q1k
@비취빛-q1k 8 ай бұрын
지금도 저게 인간이 맞나 싶은 지능을 가진 원시인만 못해 보이는 지성을 가진 동물이 인간 행세하는 거 많이 보이긴 하죠 어차피 지금도 70억 인구는 극소수의 천재들이 이끌어 가는 거지 인류역사 수천 년 간 매년 나오던 극소수의 그런 돌연변이(일반 인간이상의 지능을 가진 천재들) 없었으면 솔직히 지금도 인류는 만년 전 원시인이랑 별반 차이 없었을 것 같음
@annuity_man
@annuity_man 8 ай бұрын
'The 8 show의 1, 2, 3층행 일게 뻔하다'가 무슨 뜻인지 알려주세요. ㅠㅠ
@깨끗한책상
@깨끗한책상 8 ай бұрын
넷플릭스 시리즈 The 8 show를 보시면 알거에요(저도 안봤어요)
@Someone111ify
@Someone111ify 8 ай бұрын
흥미롭네
@hyjoo3214
@hyjoo3214 8 ай бұрын
우영우가 좋아하겠네요
@제나-i8q
@제나-i8q 8 ай бұрын
살자까진 아닌데 발을 다친 사슴비슷한 동물이 맹수 근처로 걸어가서 가만 있는건 봤어요
@healing_spots
@healing_spots 8 ай бұрын
우리 고양이 지성체입니다
@intotheSKY67
@intotheSKY67 8 ай бұрын
고래는 지구에서 가장 넓은 지역인 바다의 왕이고 개체수도 많지 않아서 경쟁할필요도 발전할 필요도 없지. 그냥 즐기다 가면 되지. 고래가 보는 인간은 참 불쌍하다고 생각할듯.
@honeykkukku
@honeykkukku 8 ай бұрын
자막은 '혹등고래'라고 제대로 써놓고 자꾸 '흑동고래'라고 읽는 건 왜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
@hkbayarea365
@hkbayarea365 8 ай бұрын
이제 곧 고래한테 용왕님 어디 사시는지 물어 볼 수 있는 날이 오겠군요.
@Kqjwhe-o5k
@Kqjwhe-o5k 8 ай бұрын
뭐 지금까진 말이죠😂😂
@npc0129
@npc0129 8 ай бұрын
범고래와 혹등고래는 인간과 네안다르탈인의 차이인가 백인 흑인 차이인가, 언어는 서로 통하는가 궁금하네요.
@RGOAT7
@RGOAT7 8 ай бұрын
문자가 없고, 개체수가 적어서 ㅠㅜ 안정적으로 유지 발전하긴 어려워보이네...ㅠㅜ
@yhkim80
@yhkim80 8 ай бұрын
이제 포경 금지!
@김밥-r3p
@김밥-r3p 8 ай бұрын
돈까스 먹어야하는데😂
@최성진-x4s
@최성진-x4s 8 ай бұрын
우리가 지성체를 잡고 있었네 ㄷㄷ
@smartITkr
@smartITkr 8 ай бұрын
일본에게 말해야죠. 포경금지는 꽤 오래되었는데 일본만 조약탈퇴하고 쳐잡고 있는데...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8 ай бұрын
내 껍데기...돌려줘...
@user-hakjeong
@user-hakjeong 8 ай бұрын
이미했는데;
@syk4902
@syk4902 8 ай бұрын
그러면 밈인줄 알았던 범고래의 인간 사냥 금지 같은 것도 ㄹㅇ로 범고래 끼리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는 걸수도?ㅋㅋㅋㅋ
@이상화-i2d
@이상화-i2d 8 ай бұрын
전직 고래입니다. 지금 닝겐은 지구를 파괴하고 있어요.. 이러다 다 ~ 죽어 ~
@국천호
@국천호 8 ай бұрын
인간은 언어의 저주로 텔레파시 능력을 상실했죠 ㅋㅋ 인간 제외한 모든 동물이 갖고있는 능력인데요 물론 아주 극히 일부 인간은 미세하게나마 능력이 남아있긴 함
@jjjijjjijjj
@jjjijjjijjj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visions91
@visions91 8 ай бұрын
코다를 풀어내면 고래와 대화가 가능하겠네요.
@앵구예삐
@앵구예삐 8 ай бұрын
먼가 지금까지 하지않았던 생각을 하게 되네요.. 재미있습니덩 ㅎㅎ
@user-pq6db7lp3n
@user-pq6db7lp3n 8 ай бұрын
고래들이 침략을 준비한다 모두 대비하라
@이태연-t7j
@이태연-t7j 8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들은 폰을 만들지 못했다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UFC 310 : Рахмонов VS Мачадо Гэрри
05:00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최근 우리은하 중심에서 발견된, "삼체"의 현장 ㅎㄷㄷ
11:3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2,5 М.
What if you just keep zooming in?
21:29
Veritasium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혹등고래 파고든 500Kg 그물···잘라주려 했더니
2:20
포크포크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단일 빛 알갱이의 모양이 밝혀졌다
5:57
지식보관소
Рет қаралды 16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