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의 와이-델타 운전에 대한 이해

  Рет қаралды 292,210

전병칠

전병칠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전병칠원장입니다.
3상 유도전동기의 운전에서 필요한 Y-델타 결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산에듀(www.e-dasan.net)

Пікірлер: 159
@user-qw7zh6bn1m
@user-qw7zh6bn1m 2 жыл бұрын
Y 델타 이해하기쉽께 감탄스럽게 배웠습니다 늘감사드립니다 전 교수님~
@user-vd7qx3gz6i
@user-vd7qx3gz6i 4 жыл бұрын
정말 국익에 도움되시는 선생님입니다. 현장에서 이제 시작하는 신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격려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junjoker3203
@junjoker3203 3 жыл бұрын
전기를 유튜브영상으로 배우고있는데 이해가 정말잘되게 가르쳐주시는 것 같아요
@jmdp6876
@jmdp6876 2 жыл бұрын
차분하시고 설명잘하시네요 구독꾹 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fx7hf1gz1f
@user-fx7hf1gz1f Жыл бұрын
다신에듀 교제로 전기산업기사 준비 중입니다. 이론서 한권씩 공부하여 이제 전력공학을 공부 중입니다. 예습하고 최종인 원장님 강의 듣고 나서 복습 후 머리 식히기 위해 전병칠 대표님의 짧지만 중요한 강의를 1편식 보고 있습니다. 전기의 개념을 쉽게 정리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전기 공부하시다가 대표님 강의 한개씩 들으면 개념이 잡혀서 너무 좋내요. 전기 공부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을 많이 덜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ark5532009
@park5532009 4 жыл бұрын
좋은 지식 및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donohjumsu-dat
@user-donohjumsu-dat 4 жыл бұрын
역시 유투버보다는 선생님 입니다!!!! ^^ 언제나 구독하고 잼게 보고 있습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oz2pg5md6p
@user-oz2pg5md6p 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전기 전자부문의 좋은 선생님이 됩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ws8bq8vd5l
@user-ws8bq8vd5l 3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감사드립니다~^^ 영상에~자막때문에 그림설명들이 제대로 보이지가않네요^^ 글씨자막을~없애주시면~~ 좋을것같은데~~안될런지요~?^^~
@user-zi4gy4vo4n
@user-zi4gy4vo4n 4 жыл бұрын
기다림의 영상 매일 재밌게 시청및 공부하구가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계속 해 보겠습니다.
@user-sk3sp4db5k
@user-sk3sp4db5k 4 жыл бұрын
참 설명 나긋나긋하게 잘하십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dp2ul6tr3v
@user-dp2ul6tr3v 4 жыл бұрын
명쾌한 강의 감사합니다 .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zr2oi3rr6u
@user-zr2oi3rr6u 4 жыл бұрын
너무 잘보고있습니다.수고에 다시금 감사드립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Mountain369
@Mountain369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댓글을 안쓸수가 없네요, 정말 유익한 영상 입니다.
@user-le1mt2jl4h
@user-le1mt2jl4h 4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드립니다 최고입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Five-Hundred-Angels
@Five-Hundred-Angels 3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이해가 잘되네요^^
@user-pe8lm2qk8u
@user-pe8lm2qk8u 4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미국에서도 항상! 열공중입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멀리서나마 응원보냅니다.
@skywns77
@skywns77 3 жыл бұрын
설명지리십니다 ㄹㅇ 감사합니다.
@joonkim5863
@joonkim5863 3 жыл бұрын
전기가 이렇게 재미 있었나요? 전기관련 문제에 많이 부딪치면서 회사 생활을 했지만 의문이 생겨도 기본이 없었기 때문에 질문도 한계가 있었는데 교수님 알기 쉬운 강의에 감사 드립니다.
@user-kk1xe7sk6q
@user-kk1xe7sk6q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대표님.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즐거운 전기공부되세요~
@user-cr1pu3rn8s
@user-cr1pu3rn8s 4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진짜 자세하시네요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unsinee6175
@sunsinee6175 4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와이델타 기등을 쉽게이해했습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appiness_JJ
@Happiness_JJ Жыл бұрын
지렸다 진짜 사람을 이해시키는것도 능력이다
@kj-sf8cc
@kj-sf8cc 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user-ic3gy4hn2x
@user-ic3gy4hn2x 10 ай бұрын
👍 최고십니다.
@sg3743
@sg3743 4 жыл бұрын
전기 공부하면 무조건 이해해야할 부분 설명 감사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eoulin6925
@seoulin6925 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zg7hf6xn6t
@user-zg7hf6xn6t 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wsm3815
@wsm3815 4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qw3jn7bd7i
@user-qw3jn7bd7i 2 жыл бұрын
실무강의 좋습니다.
@user-gg6dn4nr1w
@user-gg6dn4nr1w 4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올해 필기합격이 목표인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래도 걱정부터 앞서네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지치지말고 한걸음씩 걸어가시면 꼭 원하는 목표를 이루실 것입니다. 화이팅!
@cmlee6423
@cmlee6423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 배워갑니다. 그동안 잘 몰라서 Y or delta 로만 결선해서 썼는데 구동과 운전을 결선병행해야 하는군요..
@user-dg4uv4cz2n
@user-dg4uv4cz2n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d1zt1mg9e
@user-od1zt1mg9e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궁금했던 와이델타를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혹시 전동기 기동방식에 대한 방법 강의(종류, 방법, 장단점 등) 부탁드려도 될까요? 특히 직입기동과 와이델타기동의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user-dq3wc1ro7i
@user-dq3wc1ro7i 3 жыл бұрын
이해 쏙쏙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4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넘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렇게 격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cb6ql8gp2u
@user-cb6ql8gp2u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을 너무 늦게 접하다보니... 더욱 알쏭달쏭하네요...^^ 전동기 쪽 관심이 생겼는데 어디부터 봐야 할까요? ^^
@elec7
@elec7 3 жыл бұрын
일단 전동기의 기본원리는 전기이론부터 시작합니다. 꼭 자격증이 목표가 아니어도 괜찮으니 '전기기능사필기 이론'을 보시면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3 жыл бұрын
무한 반복 합니다.
@ngcold
@ngcold 4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오늘도 한가지 배워갑니다. 영상 관련 질문좀 드리고싶습니다. 1. 교류에서 전류의 값은 저항값이 아니라 임피던스 값에 의해 결정되게 되는데, L값과 R값의 계산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R값 만 가지고 계산했을 때 3배 차이가 나는것만 보고도 Z값 또한 3배 차이가 나는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인가요? 2. 8분 57초의 회로에서 열동계전기와 MAIN KM3에 걸리는 전류값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KM2와 KM3에 전류가 분배 되는지의 여부를 질문 드리는 것입니다.
@user-um6tm5vm4b
@user-um6tm5vm4b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7275fdcful
@7275fdcful 2 жыл бұрын
y기동-델타기동이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고맙습니디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쁘게 생각합니다.
@user-qc8qx4oi5z
@user-qc8qx4oi5z 3 жыл бұрын
원장님께서 우째~ 이리도 잘 하시는지.. 업어주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n9dq8yl5o
@user-kn9dq8yl5o 4 жыл бұрын
기사책에는 이런거 없엇어요 감사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xr9nl2yw8j
@user-xr9nl2yw8j 4 жыл бұрын
감사 합니다. 제대로 이해 하였습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Y 기동중 델타로 변경하면 회전에 문제가 생가지 않는지요?
@it2306
@it2306 4 жыл бұрын
늦은시간에 고생많으세요😀덕분에 전기기능사한번에 붙었어요ㅎ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와우~ 축하합니다. 잘 해내셨어요^^
@ahnhsc
@ahnhsc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kdng5
@kdng5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학습자료 Y결선도 그림(Circuit Globe)자료 (8분18초자료~8분42초)에서 결선 A2와 C2의 연결이 바뀌어 연결 된 거로 보입니다.? 선생님 말씀 이해는 가는데 그림이 잘못 된건 아닌지요?
@user-zr2oi3rr6u
@user-zr2oi3rr6u Жыл бұрын
잘보고있습니다. 자꾸관심이 가져지네요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주보면 즐거운 내용이 될 것입니다.
@user-ry6kq6uw6t
@user-ry6kq6uw6t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is6xx9ry5v
@user-is6xx9ry5v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와이결선이 델타결선보다 저항이 3배 크면 전류가 3분의1배로 흐르니까 결국 와이결선과 델타결선은 같은 전압이 걸리게되는거 아닌가요? 전압을 낮춰서 시작하기위해서 와이결선으로 시작한다고 하셨는데 ㅇ해가 안됩니다 ㅠㅠ
@user-ql2ux3ep4u
@user-ql2ux3ep4u 2 жыл бұрын
옴의법칙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초기운전시 낮은 전류를 흐르기 위해 전압을 크게 걸어주기 위해 Y결선을. 초기 기동후에는 와이결선 전압의 1/3인 델타결선을 해줌. 전류 I는 V/R 이니까 전압이 커지면 전류는? 작아지까
@user-jy3fo9re2x
@user-jy3fo9re2x 2 жыл бұрын
필~~~승 707 감사합니다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 3 жыл бұрын
접촉기 앞 전기 내려도 안 띠어 나옵니다 1 2 구별 선택 사용 1 접촉기 고장 항시 들어감 상태 외부 2 선택 1 선택 아니 해도 1 기동 됩니다 1 접촉기 교체 레일식 다른 설비 때문 빼기 안 됩니다 접촉기 기동 운전 따로 있읍니다 기동 운전 모두 들어간 상태 장기 운전 모터 탑니까
@user-kt6ql3rs8g
@user-kt6ql3rs8g 2 жыл бұрын
저항이 포인트
@yongsankim2756
@yongsankim2756 4 жыл бұрын
전류가 적다는것은 전압이 세다는것? 스타트할때 전압을세게해서 큰물체를 돌린다 ? V=IR ? P=VI?
@user-hs1ej6rp6y
@user-hs1ej6rp6y 4 жыл бұрын
혹시 모터 123456 번호 없을때 와이 델타 결선해야 된다면 모터 번호 찾아서 해야되는데 14 25 36 한 코일 인데 와이 델타 결선시 번호 지정하기 어려워서요 예를 들어서 14번 순서 바뀌어서 41번 으로 지정해버리면 운전이 잘 안되지 않나요?
@user-zh4gf4xw8w
@user-zh4gf4xw8w 4 жыл бұрын
Mca와mcb에 동시에 전류가 들어 오면 어디로 전류가 빠져나가는지요 쌤~~~???
@leedakam2361
@leedakam2361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7분05초 부분에서 모터의 출발기동시 Y결선을 이용하는 이유가 낮은 전압을 주기 위해서라고 설명해주셨는데 낮은 전류가 맞는말이 아닌지 혼란스럽습니다.
@user-vv5ro7fd6r
@user-vv5ro7fd6r 4 жыл бұрын
상전압과 중성점에 전압계로 체크하시면 220V가 나옵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도 작아지게 됩니다.
@bestick9587
@bestick9587 4 жыл бұрын
v는 i에 비례하죠 수식을 생각하시면 좋을듯해요
@user-sj4do5eg6v
@user-sj4do5eg6v 4 жыл бұрын
초기 기동전류를 낮춰주기 위한 감전압 기동 방법중 하나로 v 가 낮아지면 i = V/R 즉 전압에 비례하여 전류값이 낮아집니다
@user-sj4do5eg6v
@user-sj4do5eg6v 4 жыл бұрын
@@zicodvwnfred.5729 Y결선시에 상전압과 선간전압에 대한 전병칠 대표님의 강의를 보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겁니다
@user-ky9pv1ux9c
@user-ky9pv1ux9c 3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 하려는건 충분히 공감합니다 하지만 Y-d 은 전압을 낮추는데서 시작을 하는거죠 설명하시는 저항 그림으로 하면 전압의 루트3배 저하되는게 헷갈릴수 있는 소지가 보입니다 때로는 쉽게 설명 하려다 보면 본질을 깨뜨리는 실수가 있다고 봅니다
@user-gk1ic8ts2h
@user-gk1ic8ts2h 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와이 델타 기동회로에서 Y상에 V1 , V2 가 결선되어있네요. 모터 이차측 V2 하고 U2 자리 바꿈하면 되겠네요. 확인 바랍니다.
@user-bw6by8th2w
@user-bw6by8th2w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상하다 싶었네오
@user-he6tz8vi9q
@user-he6tz8vi9q 3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보심
@flowerofone
@flowerofone 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안녕하세요 영상 설명에서 궁금한 것이 있어 글 남겨 봅니다. kzbin.info/www/bejne/p6OwlHenr7RjZ9U 위에링크 등가변환 설명에서 06:00 부분에서 설명되는 초기 Y기동에서 델타변환후 운전전류 1/3로 줄여 든다고 설명 됐는데 이 영상에서는 반대로 설명이 되어 있어서 제가 어떤 부분을 다시 생각 해야 되는지 궁금 합니다.
@user-oj8dd1fe9b
@user-oj8dd1fe9b 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안녕하세요~9분57초 그림을 보면 델타운전시 R상과 B상은 모터결선시 각각 다른 상이랑 연결 되어있는데 Y상은 그대로 Y상과 연결되어 있네요. 이렇게 결선해도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qd8wk1sb4f
@user-qd8wk1sb4f 3 жыл бұрын
Y결선시 3개를 콤몬 잡게되면 0v 가 된다고 들었어요 그럼 3개의콤몬을 mcc에서 220v를 주면 220v가되고 380v를 주면 380v가 되는건가요?
@user-mi2qi5dl3b
@user-mi2qi5dl3b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123-645결선을 했는데 역회전을 하면 직입구동시 처럼 S상과 T상만 바꿔주면 안되지요?
@user-fg6er9mt5v
@user-fg6er9mt5v 3 жыл бұрын
혹시 엔진펌프의 스타트모터(세루모터)도 Y기동인건가요?
@user-tx2jt5sr4n
@user-tx2jt5sr4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교수님, 동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여기까지 와서 글을 남기네요..ㅠ_ㅠ (아무리 뒤져봐도 답이 안나와있어서요..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 와이결선에서 4,5,6을 공통으로 묶고, 1,2,3을 각각 R,S,T에 물리는거자나요? 근데 만약 오래된 모터라서 선에 마킹도 되지않은 상태여서 도통시험으로 임의의 1-4,2-5,3-6 을찾은상태에서 4,5,6를 공통이 아닌 1,2,3을 공통으로 연결해도 큰 상관이 없나요? 혹은 1,5,6을 연결해도 무방한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궁금해서 잠이안옵니다 ㅠ.ㅠ
@thinwood
@thinwood 4 жыл бұрын
저는 전기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3상모터 윗쪽에 mc A에서 내려온 선은 U1, V1, W1 인데 모터 오른쪽은 W2, V2, U2라고 써 있습니다. 그런데 오른쪽 W2가 MC B가 붙었을때 MC1의 1번 라인으로 연결되는데요그 라인이 U1인데 W2라고 써있는데 도대체 이해가 안되네요.. L1, V1, W1 --- L2, V2, W2 이렇게 써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전기를 잘몰라서 물어봅니다.
@sogood3279
@sogood3279 Жыл бұрын
강의잘들었습니다. 380v 와이결선 220v 델타결선 인데 와이델타기동시 380v와이결선하면 델타 결선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와이델타기동시 220v델타결선하면... 와이델타는기동은 어떻게 되는 거지요???
@trumpeter-k7070
@trumpeter-k7070 9 ай бұрын
직장에서 정량펌프구동용으로 0.2kw모터를 전원380v에 델타결선으로 오랜기간 사용중입니다. 3상에는 와이결선을 하라고 명판에도 표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델타로 써도 문제가없는 것인지 무슨 목적이 있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AndrewBambiliano
@AndrewBambiliano 4 ай бұрын
원장님 항상 감사드려요.델타 연결 Contactor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U1과 W2 연결/V1과 U2연결/W1과 V2 를 연결해야 하는데 지금 그림을 보면 V1과 V2가 연결되어 있고 W1과 U2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이 옳은 연결 방법인가요?
@parkpark1568
@parkpark1568 3 жыл бұрын
와이결선380v , 델타결선 220v 사용하는 모터에 와이결선으로 380v기동하다가 델타결선으로 바꾸면 모터 안 타나요?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4 жыл бұрын
380v/220v 겸용모터는 380=Y결선, 220=델타결선으로만 운전해야하는데 이 모터는 와이델타 운전을 하고싶어도 못하는 거 맞죠?
@user-ql2ux3ep4u
@user-ql2ux3ep4u 2 жыл бұрын
내가 유튜브 시작하고 최고의 채널을 논하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없이 이 채널이라고 말할 것 이다.
@LLROEL
@LLROEL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궁굼한게 있는데요 아예 스타결선을 해놓고 사용하는건 정격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건가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스타결선일때의 정격전압이 공급전압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에는 속도를 낮게 하기 위해서 스타로 고정하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arasio4966
@tarasio4966 4 жыл бұрын
전기에 관한것을 너무도 자세히 설명해 주시어 잘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선생님 영상에서 설명과 틀린부분이 하나 있는것 같군요. 영상 8분20초 부분에 델타결선의 설명을 보면 전동기코일 U1=W2 , V1=U2 , W1=V2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영상 10분 5초 부분의 설명에서는 델타결선이 U1=W2 , V1=V2, W1=U2에 연결되게 그리며 설명하고 계십니다. 영상 10분 5초 부분의 그림이 잘못 그려진것 같군요. 초보라서 이해가 안되어 한참을 보았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였나요? 바쁘시겠지만 제 의문에 대하여 답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dong-hyunkim9824
@dong-hyunkim9824 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부분이 헷갈려서 한참 보았는데, tarasio님께서 보신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전병칠 선생님의 명쾌한 답글이 있었으면 깨운할 것 같은데...
@robot3430
@robot3430 4 жыл бұрын
서보모터의경우에도 Y D 결선이 유효한가요?? 빈번하게 기동 스탑 반복하는데요 ㅜ 궁금하네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와이델타는 기계적인 간단한 구조이니, 조금더 세련된 제어는 인버터등을 이용하여 기동전류와 기동토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user-on7rb4cq7t
@user-on7rb4cq7t 3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와이결선은 380볼트용. 델타는 220볼트용. 왜 제가 생각하는거랑 반대이죠. 1.2.3을 RST결선하고 456은 common. 보통의 380V모터 결선인데..와이기동 델타결선이 아니라 덜타기동 와이결선인거 같은데..무지해서 회로를 이해못한것일까요? 알려주세요^^ 머리가 나빠요^^
@user-hy8rj7iu1n
@user-hy8rj7iu1n 4 жыл бұрын
회로도의 가운데 마그네트 결선이 델타결선이 아닌 역회전 결선인데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감사합니다. 해당부분은 조금더 섬세히 보고 개선토록하겠습니다.
@user-sj4do5eg6v
@user-sj4do5eg6v 4 жыл бұрын
저건 역회전도 안되는 회로에요 c mc는 항상 여자되어 있는상태로 b mc의 2차측 결선을 풀러서 a mc, 2차측 uvw에 각 각 접속하여 결선하여야 정 역 회로가 될 수 있어요 b mc 1차측 결선도 임의의 두 선을 바꿔 접속해야 하구요 또 a와 b mc가 동시에 여자되지 않도록 보조회로에서 인터록 관계를 가지도록 결선해주어야 합니다
@cw73589
@cw73589 3 жыл бұрын
Y 델타 결선에서 저항값 산출할때 위상차 영향이 없습니까
@user-xd5xb9un5j
@user-xd5xb9un5j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자막이 나와서 내용을 자세히 볼수가 없습니다. 어떻게하면 안나오게 할수있는지요?
@user-dingddoni
@user-dingddoni 2 жыл бұрын
모바일로 보시는거면 우측 상담에 cc 를 클릭하시면 자막이 꺼집니다! 피시로 보시는 거면 영상 화면 우하단에 있는 아이콘 중에 빨간줄 쳐 있는게 있을거에요 누르시면 빨간줄 없어지고 자막이 꺼집니다!
@user-zi6yi9uo5h
@user-zi6yi9uo5h Жыл бұрын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대신에 EOCR 달때는요?
@user-xy7bb3fe1q
@user-xy7bb3fe1q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와이 기동후 델타로 넘어 가지 못하고 지속 와이 운전하게 되면 전동기가 과여자되어 소손한다고 들었는데 어떤과정 인지 궁금합니다.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전기 접촉기 들어가고 나오지 않습니다 개폐기로 온 오프 하려 합니다 접촉기 판넬 내부 레일식 빼기가 곤란 타 설비 다 빼고 조립 해당 것 빼기 힘 듭 아니 못 뺌 기동 운전 동시 온 기동 시간 지나면 기동 정지 운전 유지 모터 손상 없게죠
@user-mm1kt8wb8q
@user-mm1kt8wb8q 3 жыл бұрын
궁금해서 그러는데 델타결선시 1.6 2.4 3.5 또는 1.5 2.6. 3.4 아닌가해서여. 저기보니 2.5가 같은결선인데 상관없나여? 1.4 2.5 3.6같은상이라
@user-mf8we9xg9b
@user-mf8we9xg9b 2 жыл бұрын
님 말이 맞음
@user-je7pq5xo2n
@user-je7pq5xo2n Жыл бұрын
도면보고 2초이내에 엉터리 도면이라는걸 척하고 캐치해낼수있어야 프로임니다.
@user-wl7nu8pi2b
@user-wl7nu8pi2b 4 жыл бұрын
쌤 그럼 높은 전력을 사용할땐 타이머를 달면 안되나요??? 예를들어 모타가 첫 동작일때 10볼트 먹고 10초후에 5볼트를 먹는다하면 타이머로 조절은 불가할까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10V먹고, 5V먹는다는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necoberry
@necoberry 4 жыл бұрын
설명 미쳤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ye8qb9xv3i
@user-ye8qb9xv3i 4 жыл бұрын
델타결선은 Y결선에서 1-4 , 3-6 , 5-2 로 결선 하면 되나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1상이 1개의 코일로 가서는 안됩니다. 예를들어 R상이 1번과 4번에 걸리면 코일의 양단에는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회로가 구성될 수 없습니다. 전동기에 써 있는 결선법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user-gi7rh2kh5m
@user-gi7rh2kh5m 4 жыл бұрын
@@elec7 1번4번 2번5번 3번6번을 결선하면 전위차가 없다는건 이해를 했는데ᆢ 실무에서 실수로 이렇게 결선했는데ᆢ회전을 하여 이상하게 생각을 했어요 그리고 와이델타 회전을 바꾸고 싶으면 차단기 2차측 두선만 바꾸면 되나요 아님 123456단자에서도 가능한가요
@user-rr6qw7pg8r
@user-rr6qw7pg8r 3 жыл бұрын
봐줫다.
@user-sh5hg1eq5b
@user-sh5hg1eq5b 4 жыл бұрын
와이가 기동전류 낮추고 델타운전때는 전류가 높아지면 부담가는건 매한가지아닌가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전동기는 델타결선일 때 정격으로 운전하게 됩니다.
@user-sh5hg1eq5b
@user-sh5hg1eq5b 4 жыл бұрын
@@elec7 영상과는 무관한데 전압과 주파수관계에서 인버터로 주파수를 낮추면 전압도 떨어지게되나요?
@JOSEFINA_
@JOSEFINA_ 2 жыл бұрын
와이결선이 델타결선보다 저항이높은대 어떻게 전압이 와이결선이 낮은거죠.. 짧은저의지식으로는 이해가어렵습니다. 전압은 저항이높을수록 높은거아닌가요? 07:06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전압이 걸렸을 때 Y결선은 코일에 걸리는 전압이 분배되므로 더 낮은 전압이 걸리고, 전류도 작게 흐르게 됩니다.
@user-yt4my4vu8u
@user-yt4my4vu8u Жыл бұрын
스타결선으로운전을하면어떻게됩니까
@user-wn3qp1qo6d
@user-wn3qp1qo6d 2 жыл бұрын
MC-B와 MC-C 붙고 떨어지는건 PLC 출력신호가 있어야하나요?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PLC에서 신호를 줄 수도 있고, 시퀀스회로로 만들어서 신호를 줄 수도 있습니다.
@user-tu9yy7ei3u
@user-tu9yy7ei3u Жыл бұрын
MCb에서v1하고v2가 연결된게 잘못된거 아닌가요?
@user-uh5gi1mz7v
@user-uh5gi1mz7v Жыл бұрын
제가 영어로 올렸는데 사진과 도면만 보아도 전기인이면 어렵지않게 이해할 수 있을것입니다 필요하신분은 메일 주소를 주시면 저의 자료를 전송하겠습니다. 그리고 저의 유튜브상의 동영상과 사진 및 도면은 그 누구라도 공유 가능하니 파워 유튜버이신 분께서 한번 다뤄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amazing contactors 로 올렸으며 컨택하고자하는 업체는 schneider입니다..
@user-zi3bz5gh7r
@user-zi3bz5gh7r 3 жыл бұрын
제가 잘못 생각하는건지 모르겠는데요 ㅜㅜ Y델타 회로도에서 델타회로가 제대로 그려진거 맞나요? 삼각형이 안그려져서요 ㅜㅜ
@sun12758
@sun12758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6선식 모터결선을 잘못했을때 발생하는 현상에대해서도 영상 제작 건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예) 모터터짐. 모터 와이 델타 넘어갈때 아예죽어버림 등등
@user-st5xd2er6z
@user-st5xd2er6z 4 жыл бұрын
♡♡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unsookim2148
@hyunsookim2148 4 жыл бұрын
델타회로도가 맞는건지?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회로도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user-wq5gv8rh6e
@user-wq5gv8rh6e 4 жыл бұрын
단자대를 U1, V1, W1 / W2, V2, U2 -> U1, V1, W1 / W2, U2, V2 로 바꿔주면 되겠네요
@user-fx4my7rc2k
@user-fx4my7rc2k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안가네.. 기동시 전류가 많이 필요하니까 전류를 더 보내줘도 모자를판에 왜 3배되는 저항으로 전류를 막는거지... 그리고 y,델타기동이랑 y,델타전원연결이랑 다른거 아닌가???
@user-xe3ul3ff3o
@user-xe3ul3ff3o 4 жыл бұрын
1등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bc5yc5hl2s
@user-bc5yc5hl2s 4 жыл бұрын
빠야빠야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220V와 380V가 루트3배 차이인 이유-전기실무
9:3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86 М.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상전압과 선간전압 개념잡기
14:19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54 М.
AC삼상모터 케이블결선방법 Y결선  스타결선 motor 결선
15:04
단상유도전동기와 콘덴서기동의 원리
14:42
전기혁명
Рет қаралды 57 М.
EOC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_전기실무
16:03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33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