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350만 년 전부터 이어져 온 인간의 삶을 너무나 소름 끼치게 표현한 단편영화...

  Рет қаралды 1,557,338

엠터

엠터

Жыл бұрын

영화 제목: LAL
풀영상 링크: • Sci-Fi Fantasy Short ...
--------------------------------------------
영화 리뷰 추천은 메일로!
gamtice0802@gmail.com
--------------------------------------------
Written,Directed and Produced by:
Gökalp Gönen
Animators:
Ferit Yücel
Gökalp Gönen
Texturing of the characters:
Ecem Okumuş
Modelling/Texturing/Rigging/Rendering/Post-production:
Gökalp Gönen
Sounds and Music
Gökalp Gönen
#엠터 #단편영화

Пікірлер: 771
@mter
@mter Жыл бұрын
영화 제목은 LAL이라고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네요... 여러분은 LAL이 무엇의 약자라고 생각하시나요? 풀영상 링크: kzbin.info/www/bejne/m2PYoYV4Yq99Y8k
@Ellena-tr5oq
@Ellena-tr5oq Жыл бұрын
lal은 mute 래요! 근데 저는 live a live 로 읽고 싶었어요 ㅎㅎ
@bandiera_rossa9424
@bandiera_rossa9424 Жыл бұрын
풀영상 링크 타고 감독님 댓글 읽다보니 제목 뜻이 페르시아어로 "말 없는 사람" 혹은 "혀가 없는"이라고 하시네요.
@user-gy2qu7us9c
@user-gy2qu7us9c Жыл бұрын
저는 Late, At Last(의역하자면 '결국엔 늦었다' 정도?)라고 생각해봤습니다. 영화 결말에 덧붙이자면 누구의 잘못인지 명확히 규정 지을 수도 없고 그걸 깨달았을 땐 그저 악습이 계속 반복될 뿐이라는 게 믿기 힘든 현실이네요.. 근데 혹시 이런 단편영화들만 모은 사이트가 따로 있나요? 어디서 이런 좋은 단편들을 찾으시는가 싶어서요! 리뷰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maybemaybe30
@maybemaybe30 Жыл бұрын
Los Angeles Lakers?
@babosaeyo
@babosaeyo Жыл бұрын
Leave me ALone!!
@otrfilm
@otrfilm Жыл бұрын
엠터님.. 이 영화 너무 좋아요 기가 막힌 설명과 리뷰는 말 할 것도 없구요. 잘 봤습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맨날 알고리즘에 뜨던데 나중에 봐야지 하고 다 몰아두다가 한번에 정주행하고 댓글 남깁니다. 너무 재밌네요..... 채널 초반부터 뜨던데 그때 미리 구독해둘걸 싶을 정도로요. 너무 재밌는데 하루에 영상 하나씩 안될까요...? ㅎㅎ ㅋㅋㅋㅋㅋㅋㅋ 다음 영상도 기대할게요 ㅎㅎ 잘 부탁드립니다.
@user-by7in9io1q
@user-by7in9io1q Жыл бұрын
단편영화의 매력이 듬뿍 담겨있네용~♡
@sevenking7
@sevenking7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라는 말이 굉장히 잘 어울리는 단편영화 같네요
@user-ie1ps6yf7q
@user-ie1ps6yf7q Жыл бұрын
악마의 장난감입니당
@user-zz2yg1nd2g
@user-zz2yg1nd2g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무의식은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양육 받아온 패턴 무의식 심리적 패턴대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무의식적 심리적 패턴은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반복됩니다. 한 마디로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지요. 그것을 바꾸는 것이 무의식적 심리적 패턴을 바꾸는 것이 eft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똑같은 것을 죽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Eft가 가장 빠르게 바꿀 수 있지요.
@manstudy
@manstudy Жыл бұрын
​@@user-ie1ps6yf7q와 표현 지리네요
@kancho359
@kancho359 Жыл бұрын
@@user-zz2yg1nd2g eft는 한국 상담심리학회의 산하기관인가요? 솔직히 좀 사이비 같네요. 부계정으로 따봉 누르신 것 같은데..
@kancho359
@kancho359 Жыл бұрын
@@user-zz2yg1nd2g 과학적인 기반을 통해 성장한 (임상)심리학은 무시하고 그저 중국 마사지마냥 경락 툭툭 건드리면 트라우마가 치료된다는 사이비 치료법이네요... 거친말 해서 죄송합니다
@user-ee4ct2is1h
@user-ee4ct2is1h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질문을 던지는 영화나 전달하는 메세지로 생각을 하게끔 하는 영화가 좋습니다. 가장 기대되는 부분은 언제나 마지막 엠터님의 해석입니다. 오늘도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kkebi5000
@kkebi5000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자기가 옳다'라고 생각하며 살아가는데 영화는 그걸 잘 표현한듯 합니다
@user-ly8io6sg4g
@user-ly8io6sg4g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저는 감마가 옳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런 세상 저런 환경이 되엇을때 환멸감 들지 않나요 인생이란 무엇일까 싶으면서 적어도 현실세계에선 안그런데 그런 경험이 닥쳣을때 이 세상이 살 수 없는 세상인걸 인지하고 인정햇을때가 제일 안정적으로 문제가 해결되고 인정 안하고 그냥 해결만 하면 무한 반복에 환멸감만 심해지던데 살 수 없는 세상이다..? 그럼 다같이 죽어야지 뭐.. 그걸 받아들인다면 저는 죽음도 받아들여지네요 근데 계속 뭐가 없으면 무엇을 희생해서 또 없으면 또 희생해서 본능적으로 살아남으려고 한다면 죽음에 대한 공포도 날로 심해지겟네요 살고싶은건 본능이지 인생의 행복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무섭고 살고싶은건 자연스러운거지 나쁜건 아닌게 맞는거 같아요.. 현실세계에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잇단 댓글에 공감하고 억지 환경을 미디어 매체에 심어서 인류 감축해야 한다는 공산 민주당 주의자들이 현세대의 모양 같아요 민주주의는 자유가 붙어야 진짜 민주주의인데(기독정신 기반의..?) 공산당은 그냥 민주주의니깐..? 주워들은거라 기억은 잘 안나는데..ㅎ 하나도 빠짐없이 대놓고 눈모양이 잇는걸 보면...
@user-vg9uk3fh9y
@user-vg9uk3fh9y Жыл бұрын
@@user-ly8io6sg4g 님이 옳다고 생각하는거죠
@user-pl7bf4ml5h
@user-pl7bf4ml5h Жыл бұрын
@@user-ly8io6sg4g 근데 알파나 베타가 옳다는게 아니라 누구든 자신을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한건데 감마가 좋다는 의견은 어떤 댓글에 어떤 대답임?
@sunbee5555
@sunbee555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성경에서 예수님은 선한분은 오직 하나님뿐이라고 하셨죠. 하나님의 독생자지만 인간의 육신으로 세상에 왔기에 자신조차도 완전한 선은 될 수 없다는 고백일겁니다. 인간은 육신의 한계안에 있는 이상 선악을 구분한다 착각하고 선이라 생각하는것을 추구하려 노력할 뿐 결코 선할 수 없다는 말씀이겠지요. 우리 주변의 예를 들어 진보와 보수의 극렬한 대립과 서로에 대한 비난, 내로남불 , 독선들을 지켜보며 양쪽 다 자신들이 옳고 다른쪽은 악하다고 떠드는데 과연 어느쪽이 선할까요? 아니면 양쪽다 악할까요? 혹은 저같은 중도가 선한걸까요? 인간은 선악을 큰 개념적으로 정의할 능력은 있을지 모르나 이기심,착각 , 기억의 오류 , 탐심 ,시기 , 분노 , 교만 등등 수많은 덫에 사로잡혀 살기 때문에 결코 완전한 선을 이를수도 없으며 그것에 대한 분별도 불가능하다. 극도의 노력, 자기성찰과 철저한 금욕주의의 삶을 통해 그나마 육신의 한계를 벗어나려 노력한 사람들..그들을 우린 선인,성자라고 부를 뿐.
@religion-is-psychosis
@religion-is-psychosis Жыл бұрын
@@sunbee5555 선과 악이라는 것은 허상에 불과함. 그저, 권력자들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거임.
@user-zi3cw8go2b
@user-zi3cw8go2b Жыл бұрын
여러 생각을 하게하는 단편영화네요 ❤
@nolboo_korea
@nolboo_korea Жыл бұрын
서로 싸우다가 마지막 생존자가 영화 첫장면처럼 한줌의 부스러기로 돌아가면서 문명의 반복을 암시함. 우리 문명은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
@hijgggffhhddg
@hijgggffhhddg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욕망 이상의 것을 찾지 않는 이상 불가능.
@user-ho5ri9dz8m
@user-ho5ri9dz8m 3 ай бұрын
우리 문명이.. 지구에서 과연 처음일까?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ай бұрын
저는 그래서 우리 현생 인류 이전의 인류는 엄청난 과학발전을 이룬뒤 자멸하고 다시 태어난게 우리라생각해요 계속해서 반복 반복 반복.. 같은 실수로 반복해서 자멸하는 인류요.
@whygurim
@whygurim Жыл бұрын
단편영화는 짧은만큼 참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해주는 것 같아요
@NaNa-jd8sp
@NaNa-jd8sp Жыл бұрын
시스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감마의 옳지 못하다는 생각에서 부터 시작된다고 봐야죠. 옳지 못한건 서로에 이해를 통해 조금씩 고치며 끈임없이 근본적인 해결에 다가가는 것 그것만이 지성체의 올바른 진화이며 멸망을 거부하는 유일한...
@AwesomeAbalone
@AwesomeAbalone Жыл бұрын
최근에 봤던 영화중에 제일 인상깊었네요 감사합니다 이런건 어떻게 찾아내시는건가요?
@hippie_-
@hippie_- Жыл бұрын
진짜 잘만들었다..
@user-lu2wx7ge9i
@user-lu2wx7ge9i 8 ай бұрын
통찰력있는 해석덕분에.또다른 영화를 보는거같아요
@user-mr5lc9kf2y
@user-mr5lc9kf2y Жыл бұрын
신선한 단편영화 너무 감사해여
@user-vc7ev1xl2u
@user-vc7ev1xl2u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흥미로운 영화 소개 감사합니다!
@notUNDERSTANDABLE
@notUNDERSTANDABLE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질문이 더욱 알차게 해주네요 🤓
@user-og6jz4qw8f
@user-og6jz4qw8f Жыл бұрын
보다보니까 캐릭터들 친근감 생기네 ㅋㅋ 잘만든듯요
@astromelon
@astromelon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삶에선 작용이 있으면 반드시 반작용이 있고 극과 극은 서로 닮았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걸 영상으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apleBera.
@MapleBera. Ай бұрын
마치 이재명과 윤석열을 보는것같군요
@yijun825
@yijun825 Жыл бұрын
인간, 사회의 모든걸 다 합쳐 놓은거같네요. 무언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allenlogan7306
@allenlogan7306 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하류인생들이 생각할법한 영화네 ㅋㅋㅋㅋㅋㅋ 위에 올라가본적이 없으니, 위에 올라간 뒤의 망상을 하지.
@jihunpark9115
@jihunpark9115 Жыл бұрын
와....생각할 게 많은 영화네요 짧은데 강렬하네요
@user-iz3sb7mk1v
@user-iz3sb7mk1v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면서 '최후 생존자가 감마 아닐까'라는 생각 잠시 해봤습니다 내가 직접 그 상황 겪어보면 결국 똑같아진다 뭐 그런 원초적 메시지 같은 거? '혀'라는 일종의 권력도구 제거가 좀 걸리기는 하지만 최후 생존자가 감마인 게 더 재밌긴 해요 그나저나 오늘 여기 좋은 채널 발견해서 기분 좋네요 ㅎㅎ
@yellpi5881
@yellpi5881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가요!
@mk0154
@mk015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입니다
@user-op9jj4pb1q
@user-op9jj4pb1q 11 ай бұрын
각인 이라는 표현 대단하네요 구독하게 만드는군요
@north7star
@north7star Жыл бұрын
오 정말 심오한 주제에 표현이군요 일단 마지막 보면 먹지 않으면 죽음 헤체가 되는거 같네요 필요악이라고 살기 위해선 먹어야 하는거니 그건 그것대로 맞는거 같고 제 3자 감마입장에선 정말 끔직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인데 그것 또한 맞는것이죠 입장의 차이 일뿐 업보를 쌓으며 살아 갈것이냐 기다리는건 죽임뿐이지만 바르게 살것이냐 하지만 알파 베타 감마 셋 다 사회에 필요 합니다 상황에 따라 시기에 따라 옳고 그름이 정해 질뿐 자신들에게 필요한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이나 그에 순응 하는 사람이나 잘 못된것에 대해 목소리를 내거나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그 시대에는 그게 맞는 시스템이였지만 시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사람에 따라 그게 잘 못 된거란걸 알게 되는 시점은 언젠간 오죠 그래서 좀 더 나은 시스템으로 좋은 상황 환경을 만들어 가는게 인간사회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스템을 바꾸는데는 대부분 많은 피의 희생이 따르죠
@Ukigy
@Ukigy 4 ай бұрын
헤체 x 해체o
@north7star
@north7star 4 ай бұрын
@@Ukigy ㅇㅋ
@user-zz7rt9qm1e
@user-zz7rt9qm1e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가장 골치아픈 고민인듯.. 인생에 정답이 없다는건.. 근데 확실한건 주인공은 본인이고, 본인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그러니 남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선에서 본인을 누려라
@arstyle3226
@arstyle3226 Жыл бұрын
​@@liiiii1076 살아있는 것들은 고통을 느끼기에 나 또한 고통으로 아프다는 걸 잘 알기에 남들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 자체가 잔인한 것 아닐까요? 인간이 만든 법적질서와 중용이 없다면 이 사회도 유지되기 힘들겠죠.
@Flyer2074
@Flyer2074 Жыл бұрын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user-darkdoor
@user-darkdoor Жыл бұрын
오 멋지다
@OrdinaryKorea
@OrdinaryKorea Жыл бұрын
포스터에서는 LAL이 아닌 lal로 적혀있기에 절댓값 a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부호가 반대인 두 수가 원점으로부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 처럼 이념이 다르다한들 생존을 목표로함은 같으며 또한 마지막 장면에서 알파인지 감마인지 구분할 수 없게 표현한 것은 어떠한 이념이 +인지 -인지 알 수 없다라는 것을 표현하고싶었던 것이 아닌가 싶네요
@adofai_gay
@adofai_gay 11 ай бұрын
와..
@Youtube_Anonymous_21
@Youtube_Anonymous_21 11 ай бұрын
찢었다
@HSKhan-sy4xd
@HSKhan-sy4xd 10 ай бұрын
오 좋은데?
@user-qf8ke9ul3b
@user-qf8ke9ul3b Жыл бұрын
생명이라는 시스템이 부여되는 것 자체가 저주 라는거임.. 누군가 체제를 만들고 군림하고 어떤 삶을 사는가, 얼마나 잘살고 못살든가, 최후는 결국 허망한 죽음뿐임.... 작중 그 누구도 잘못되지 않음. 그저 처음 각인된 성향에 후천적으로 주변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최종적인 성향이 명시되는데, 결국 인간 또한 마찬가지로 유전적 성향과 그에 따른 호르몬 체계 때문에 모든게 결정됨.. 후천적 영향들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결단코 없음. 세상에서 통용되는 정의나 죄악들 모두 선악으로 정의 할 수 없으며, 죽음이라는 필연적인 허무 앞에선 전부 의미없다는 내용임
@user-ur8kd7et3p
@user-ur8kd7et3p Жыл бұрын
알파 감마 베타를 구분할 수 없도록 하고 결말을 냄으로써 열린 결말을 유도.... 캬... 물론 알파일것 같겠지만 오랜만에 정말 퀄리티 높은 작품을 보네요. 감사합니다.
@user-kg7el7bx6o
@user-kg7el7bx6o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남은 인형이 알파가 처음 먹어치운 인형이랑 너무 똑같이 생긴것도 소름이다...악순환의 반복...ㄷㄷ
@namuio5o3
@namuio5o3 Жыл бұрын
ㄹㅇ....ㄷㄷ
@soso-tm3rj
@soso-tm3rj Жыл бұрын
수미상관 개쩔음...ㄷㄷ
@user-tr8ci8pv7r
@user-tr8ci8pv7r Жыл бұрын
멸종으로 이어질수 있겠지만 다르게 보면 또다시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는 말이 떠오르게 된다. 사회는 또다시 만들어지며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Michael-gx5in
@Michael-gx5in Жыл бұрын
혐오주의,허무주의,공허주의,사실주의 사회생활을 하며 느끼는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를 함축적으로 잘 표현했네..
@newfacekorean
@newfacekorean Жыл бұрын
농업과 과학이라는 요소가 빠져있는 영화이긴 하지만..
@user-qw1jz9jq5w
@user-qw1jz9jq5w Жыл бұрын
@@newfacekorean 과학을 통해 인류의 멸종만은 회피할수있으나 아무리 우주로 진출하고 은하의 모든 에너지를 활용하는 우주의 끝이 오지않는한 영원불멸할수있는 문명이 되어서도 결국 그 문명의 나 자신이라는 개체가 살아가는 사회속에서 또 다른 개체들과 분쟁이 일어나며 목숨을 잃는 일은 허다할겁니다. 그저 그 개인이 수도없이 많이 그리고 온 우주에 넓게 퍼져있기때문에 종의 멸망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것 뿐이지 저 영화를 만들고 그걸 보고 듣고 해석하는 개인 과 먼 미래에 범우주적존재가 되는 그 개인 으로써는 굴레를 벗어날방법은 없을겁니다. 오로지 혼자서 외로이 수억년동안 온 우주를 여행하는 개체가 있다면 그 개체에게만은 허용되지않아보일수있는데 이도 영원에 가까운 긴 수명시간, 거시세계에서의 관점에서 영화속 굴레에 벗어난것처럼 보이는 거지 그 개체가 영원에 가깝게 살아가는 원동력이나 혼자서 지낼만한 공간을 유지하는 에너지 등등 그 개체를 굴레에 벗어나게끔 보이게해주는 장치들을 미시세계관점으로 본다면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 자체도 결국 입자들 각자만의 성질만을 우선하여 벌어지는 과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것이기때문에 입자들은 인간과 달리 자의식이 없을뿐이지 그 미시세계에서도 굴레는 존재하는것이죠 아니 애초에 인간이 생각하는 자의식이 실제로 존재하고 자유의지를 가진다는것에도 아직 정확한 증거가 없기때문에 인간은 자의식에 의한 굴레에 살고있어서 미시세계의 무의식 굴레와는 차이점이 있다고 보는것도 문제가 있을수있겠네요. 미시세계에서 입자간에 본인들의 상호작용을 우선시하려는 경향과 인간을 포함한 거시세계의 본인을 우선시하려는 경향은 결국 같은것일수도 있겠군요. 농업이나 과학이나 그 어떠한 요소를 넣어도 우주라는 시스템에 접속해있는 모든 것 들은 모두 다같은 굴레속에 존재하는것일지도요.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1 ай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최근 5년간 가족간 칼부림 50% 증가!!!!! 부모는 자식이 부모 뜻대로 안따라 준다고 , 자식은 부모가 남들처럼 지원 안해준다고 칼부림 급증!!!!!! 힘들어 지면 핏줄을 한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동반 자살)가 매우 흔한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 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 터키 여성과 결혼 약속한 한국 남자가 터키 가서 여자의 부모님 만났는데 부모님이 남자에게 학력, 소득 , 재산 , 사는곳 , 나이 ,직업 ... 이런걸 일체 물어보지 않아서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Demacia365
@Demacia365 5 ай бұрын
사실상 인간의 가장 자연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철학적 영화죠
@user-rv6et8zy8w
@user-rv6et8zy8w Жыл бұрын
나름의 인간세상을 바라보는 철학적인 시선이 많이 담겨 있네요.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네....
@RocoLapin
@RocoLapin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된다 라는 말이 딱 맞는 단편영화네요 잘봤습니다
@kodasoo
@kodasoo 4 ай бұрын
엠터 님의 해설이 없었다면 이 영화의 내용을 어떻게든 이해하는 게 쉽지만은 않았을 것 같네요... 흥미로운 영화였습니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user-ci7vr9oo2e
@user-ci7vr9oo2e Жыл бұрын
서로 간극을 벌이며, 사람들을 일반화하고 나누던 인간의 끝은 한 사회의 멸종으로 이어진다는 결말에 공감하며 갑니다
@user-sz9dx3op6q
@user-sz9dx3op6q Жыл бұрын
결말과 오프닝이 반복되는걸로 생각하면 멸종은 아닌것 같은데.
@FightAgainstDogsPigs
@FightAgainstDogsPigs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애초부터 멸종이 운명인 구조라는 것. 그 원인은 욕심.
@user-rs3wh5qx2o
@user-rs3wh5qx2o Жыл бұрын
​@@user-sz9dx3op6q 유지되지않는 사회를 사회라 칭하나요? 멸종이라는 표현이 정확한듯한데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1 ай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최근 5년간 가족간 칼부림 50% 증가!!!!! 부모는 자식이 부모 뜻대로 안따라 준다고 , 자식은 부모가 남들처럼 지원 안해준다고 칼부림 급증!!!!!! 힘들어 지면 핏줄을 한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동반 자살)가 매우 흔한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 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 터키 여성과 결혼 약속한 한국 남자가 터키 가서 여자의 부모님 만났는데 부모님이 남자에게 학력, 소득 , 재산 , 사는곳 , 나이 ,직업 ... 이런걸 일체 물어보지 않아서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mj2iu1wy8r
@user-mj2iu1wy8r Жыл бұрын
크으 이 영화 너무 멋지다
@ubanac2208
@ubanac2208 Жыл бұрын
자막 좋다 알바도중에 볼 수 있어서..
@user-ky8fm9pq2j
@user-ky8fm9pq2j Жыл бұрын
주어진 상황이 너무 극단적인 듯 싶다 남은 자가 알파든 베타든 감마든지 상관없이 배에 구멍뚫린 상태로 일정시간 후에 부서지는 것을 보면 저들이 타인을 희생시키지 않고 살아갈 수가 있나? 타인을 인정하면서 부서질 때까지 굶주림에 시달리던지 아니면 타인을 밟고 배를 채울것인지 아니면 아래쪽 건물처럼 보이는 곳으로 뛰어내릴 것인지 선택은 그대의 몫
@choibc08
@choibc08 3 ай бұрын
nice!!
@user-cc8mk5jj6y
@user-cc8mk5jj6y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한 영화다!
@lavita6928
@lavita6928 Жыл бұрын
정말 철학적입니다
@user-gl3st1kg8f
@user-gl3st1kg8f Жыл бұрын
짧지만 과학, 신학, 철학, 사회학이네요,,,,, 잘 보았습니다.
@user-wj1ii3lf4v
@user-wj1ii3lf4v Жыл бұрын
재밌당...
@user-bp7js9dh5j
@user-bp7js9dh5j Жыл бұрын
갈라치기가 팽배해진 지금 세상에 딱맞는 영화 00년대만 해도 이정도는 아니었는데..
@Tony-vl1tv
@Tony-vl1tv Жыл бұрын
끝없는 배고픔은 저주네요. 동족 외엔 먹을게 없는 시스템이라니..
@destinythe5247
@destinythe5247 Жыл бұрын
저 아래에 얽힌 것들을 처음 봤을땐 우리 뇌속에 있는 뉴런이 떠올랐는데, 아래는 무의식의 영역이고 위의 발판이 의식의 영역이 아닐까요? 우리의 본능에 저항하는 단체들과 본능을 받아드리는 단체의 싸움인거죠.
@user-qf5up1jk3x
@user-qf5up1jk3x Жыл бұрын
음향효과가 정말 좋다
@user-hf4fz9lk9t
@user-hf4fz9lk9t Жыл бұрын
와~~~👍👍👍👏👏👏
@user-kj7ey4dp8y
@user-kj7ey4dp8y Жыл бұрын
명작인데..... 인간은 다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할수 있지 않을까하는 희망이 있죠
@testtest-ir8wv
@testtest-ir8wv Жыл бұрын
직장같네요... 첨엔 말 잘듣고 맘에 맞는 직원과 일하다가 의문을 갖는 감마가 하나 들어오면.... 그 이후로 새로 들어온 직원 입장에서는 개판이고 정치질이 난무하고 체계와 시스템이 붕괴되고 자신이 입사한 이유도 망각하고 분리된 집단의 이익을 위해 싸우죠 생산을 해서 이익을 추구해야 하는데 어느 순간 동료를 이용하고 업적과 노력을 갈취하려 들죠 제 삶에 너무나도 공감하는 내용이네요
@Mr.kim.7942
@Mr.kim.7942 Жыл бұрын
진짜 개명작이다ㄷㄷ
@user-dc7kj9sz6f
@user-dc7kj9sz6f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댓글을 포함해서… 대안없는 비판과 비난이 얼마나 본인과 공동체에게 독이 되는 것인지 생각을 한 번 해 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
@redson4586
@redson4586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현대미술 아닐까...
@gyuhyeonhwang9872
@gyuhyeonhwang9872 Жыл бұрын
영화가 참 심오하고 좋네요. 사람이 왜 근본적인 질문들을 던지게 됐는지 조금은 더 잘 알게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역시 아직도 우연과 전제는 미스터리로 남아있네요.
@jkl701
@jkl701 Жыл бұрын
나뭇조각 존맛탱
@guilmont3718
@guilmont3718 Ай бұрын
인간에게만 교훈을주는 영상 .. 세상은 아무런 교훈도 주지 못한다 ..
@Youtube_euduudwj
@Youtube_euduudwj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실수는 게속 반복된다는 사회적 생각을 정한것 같습니다.
@user-pf8zt3uv8z
@user-pf8zt3uv8z Жыл бұрын
재밌네
@futurey-kv3fw
@futurey-kv3fw Жыл бұрын
알파냐 베타냐가 중요한 게 아니고 처음으로 돌아오게 만든 이 시스템을 누가 만들었으며, 폭력적이 아닌 방식으로 세계구조를 바꿔볼 방법을 찾아보는 존재가 되려는 전개는 없었을까 하는게 더 궁금합니다
@user-jc4hg5ok5z
@user-jc4hg5ok5z Жыл бұрын
저런공간을 인간의 머리로 상상할수있다니 너무 잼있네요.
@user-jj6wg8qx1k
@user-jj6wg8qx1k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은 끝이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chaejeong
@chaejeong Жыл бұрын
오오
@ej-bm5wc
@ej-bm5wc Жыл бұрын
와..영화가 주는 시사가 크네요.. 이런게 작품이지..
@Pro-Western9391
@Pro-Western9391 Жыл бұрын
ㄷㄷㄷ
@Tommy-kang
@Tommy-kang 11 ай бұрын
엠터님 덕분에 갈등이론에 근거한 멋진 단편애니를 보게 되었네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갈등상황을 두 개의 집단으로 한정함으로써 현대사회에 나타나는 권력 관계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단순화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부분인 듯 합니다.
@mandaglasanno6489
@mandaglasanno6489 Жыл бұрын
전쟁이 생기면 강한 쪽 그쪽으로 모이게 되어있고 그것이 모이면 무리가 돼고 무리가 모이면 조직이 되고 조직이 모이면 국가가 돼고 국가가 모이면 행성이 되고 행성이 모이면 은하가 돼고 은하가 모이면 우주가 되고 일단은 여기까지 우주밖은 몇년 뒤에...
@istp-a4124
@istp-a4124 9 ай бұрын
자식들 생김새만 봐서는 음식도 필요없어 보이던데 그걸 죽이냐ㅋㅋㅋㅋㅋㅋ아니 근데 엠터님은 어케 구분해서 부르는거에욬ㅋㅋㅋ 다 똑같이 생겻던데욬ㅋㅋㅋㅋ
@user-tq9wg3tr1m
@user-tq9wg3tr1m Жыл бұрын
캬...뼈아픈 걸 잘 담아냈네... 그래 결국은 자멸이지 공생의 조화는 생명을 담는 그릇같은 것. 나를 살리기위한 명분이 아무리 타당하다해도 조화를 벗어나면 그릇이 깨진다는 것.. 생은 아무것도 아니다.
@daramzi222
@daramzi222 Жыл бұрын
다 옳은 판단이네
@vansnow_
@vansnow_ 10 ай бұрын
와..
@user-hv2zlfzr8d
@user-hv2zlfzr8d Жыл бұрын
헐 마지막 소름 ㅋㅋ
@user-js5ch3fi4p
@user-js5ch3fi4p 5 ай бұрын
진짜 심도있는 수백수천가지의 생각을 하게만드는 작품이네요
@amazed75830
@amazed75830 Жыл бұрын
나의 모습 누군가 속이고 내가 어떻게 하느냐 어떻게 생각하느냐 달라지는법 왠지 지구 세상의 인간의 본성을 표현한게 아닌가? 생각이 듬 오늘의 당신은 어떤 생각 하셨습니까?
@narishin2011
@narishin2011 6 ай бұрын
지금의 출산장려가 이 애니메이션과 같네요😊
@user-qj5pt7dp5k
@user-qj5pt7dp5k Жыл бұрын
어렵다, 그런데 흥미롭다...
@skeptics1689
@skeptics1689 Жыл бұрын
저 영상 다시봤는데 그 탐욕의 조각에 아예 손을 대지 않았다면 저들의 미래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메세지네요.먹어도 먹어도 더 고파지는 욕망
@enterlab
@enterlab Жыл бұрын
역시 더스트의 단편답네요
@user-hh7yj9kp2z
@user-hh7yj9kp2z 7 ай бұрын
마지막이 처음과 이어지네요
@jhkim395
@jhkim395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단편영화를 못끊지요
@user-rk2lg1wm4t
@user-rk2lg1wm4t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만드는 천재들이 계속 나오네
@user-yc3dh6se9d
@user-yc3dh6se9d 4 ай бұрын
오 재밌
@KangSW72
@KangSW72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지금까지의 사회중에 자본주의와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좋은 시대인것만큼은 느낍니다. 다들 힘들다고 하지만 그 어떤시대도 이렇게 누워서 안전히 유튜브를 보는 시대는 없었죠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4 ай бұрын
한국은 그 자본주의 덕에 망했는데?
@user-inyourface
@user-inyourface Жыл бұрын
공허를 잘 표현한 영화같음
@boijoe69
@boijoe69 Жыл бұрын
우와
@knox9798
@knox9798 Жыл бұрын
자원과 서비스의 한계는 어쩔 수 없는 문제고 물질의 창조또한 사실은 다른 에너지의 형태변환이기에 에너지 총량은 절대적으로 적어질 수 밖에 없죠. 그렇기에 이 한정된 자원을 생산하고 나누는 문제 하에서 나온 정치체제가 사회주의냐 민주주의냐 하는 것이며 경제체제도 공산주의냐 자유시장주의냐로 나뉘는 것이죠. 이 발전된 사회경제체제도 결국 처음에는 더 한정된 자원생산에서는 군주제로 작용하기도하고 더 나아가 독재로까지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인간은 그저 땅에 떨어져있는 자원을 곧바로 이용하려들지않고 변환해서 자신에게 더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용하고자하는 마음이 있는 동물입니다. 그럴만한 지능도 되니까 더더욱 그렇구요. 그치만 이 이용하고자하는 마음을 물리적으로 제한된 자원과 서비스가 따라가는것은 최근에서야 몇몇 선진국에서 이뤄진일이고 이 상호작용또한 완벽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굴레를 벗어던지기 위해 자원에 목메이지 않는 정신상태를 강조하고 설득하려 종교가 있는 것이고 여기서 이타심도 생기는 것이죠. 결국에 모든 것을 통제해버린다면 그 결과는 굴레 속에 빠져있는 모든 사람들의 분노를 사 사회가 파멸해버릴테니까요. 이 어쩔 수 없는 물리적제한상태는 완벽히 해결될 수 없기에 이 짧은 영상에서 보여주듯 적절한 타헙없이는 자멸해버리는 모습을 보여주곤 합니다. 핵융합을 통해 전기가 무제한적으로 생산된다고해도 핵융합시설을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스타트렉의 물질재조합장치가 실제로 있다고해도 지구상 모든 인간이 이 장치앞에서 삼시세끼를 제공받을 수는 없는것이죠. 시공간적으로 한계가 존재하니까요. 결국 이 억겹의 굴레 속에서 탈출하는 것은 끝내 죽어버리는 식의 극단적 평온이외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석가모니가 보여준 일이기도합니다.
@dong-yoonhyun7985
@dong-yoonhyun7985 9 ай бұрын
세상의 모든 문제는 내가 사라지면 같이 사라진다. 애당초 아무것도 없었어야 했다.
@coffeedreamer4778
@coffeedreamer4778 Жыл бұрын
인간의 탐욕은 모든 과학기술과 지식과 지혜와 발명과 발견을 넘어설 정도로 무식하고 단순한 것 같습니다. 인류의 번영과 행복, 그 공공선을 향하지 않고 항상 서로 죽이고 빼앗고도 계속 탐내고 또 죽이고 또 빼앗는걸 보면요... 짧지만 인류 전체를 꿰뚫는 영화라 웰메이드라 생각되고 생각할 거리를 주는군요. 그냥 제 개인적으로 맘대로 찍어본 추측이지만(틀렸을 가능성 99.99%) LAL은 life and live의 약자가 아닐까...하고 걍 맘대로 생각해봤습니다 ㅎㅎㅎ
@lomica
@lomica Жыл бұрын
근본적인 해결책이없다는게 이 세상이 잔인한 이유.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Жыл бұрын
신이 되면 됩니다 인공지능 신 초단위로 모든 문제를 바람직하게 해결
@user-vj2sk7hx9l
@user-vj2sk7hx9l Жыл бұрын
무한 츠쿠요미가 답입니다
@user-iueun00
@user-iueun00 Жыл бұрын
@@user-vj2sk7hx9l ㅋㅋㅋㅋㅋㅋㅋ 이것두 어찌보면 답이 될지도요..ㅋㅋㅋㅋ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Жыл бұрын
그것을 부조리라고 합니다
@user-sn7ih6vz6p
@user-sn7ih6vz6p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세상이 재밌는 이유가 되기도 하지 않을까요?
@natsudeshita
@natsudeshita 7 ай бұрын
누구나 자신만의 정의가 있죠
@sprout550
@sprout550 23 күн бұрын
삶을 보는 하나의 시각일수 있겠지만, 이런 틀 하나로만 보는 건, 삶 자체를 더더욱 끔찍하게 만드는것 같네요...
@user-us3kt3lt5v
@user-us3kt3lt5v Ай бұрын
싸우지 말고 나눠 먹자..
@user-ni9wo9tw1x
@user-ni9wo9tw1x Жыл бұрын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user-go7xl9hi8u
@user-go7xl9hi8u Жыл бұрын
결국 차악을 선택하는 것...
@user-hb6kb6uu7k
@user-hb6kb6uu7k Жыл бұрын
인생의 정답은 자신이 정하면 됩니다.
@user-sf9lb7hi7l
@user-sf9lb7hi7l Жыл бұрын
알파 화이팅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顔面水槽をカラフルにしたらキモ過ぎたwwwww
00:5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Отец помог Дочке 🥹❤️ #shorts #фильмы
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