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이 셈을 해서 길을 찾았다 라고 단정 짓기는 애매한 것 같네요. 후각, 시각, 청각, 자외선, 별자리, 열 감지, 주파수 등 길을 찾는 방법은 다양하니까.
@bsidevievv2 ай бұрын
썸네일 진짜 맛집이야. 졸귀탱 ㅠㅠ
@Lucky_beaverАй бұрын
일단 꿀벌이 뉴런이 내 반 만 있어도 나보다 똑똑할것 같네..
@bsidevievv2 ай бұрын
애니메이션 졸귀탱 😊
@narangoosainjargal5463Ай бұрын
저수학 공부 열심히해 요^^♡♡♡
@죠률죵2 ай бұрын
오늘은Bee와Bee례Bee분을배울것이에요
@heumheum3842 ай бұрын
근데 보기가 두개인데 정답률 60%인거는 사실상 찍은거랑 비슷한수준 아닌가 둘중에 74%도 대부분의 벌이 확실히 안다! 라고 말할수준은 아닌거같은데.. 보기를 좀 늘려봐야 찍는건지 진짜 아는애들이 많은건지 알수있지않을라나
@user412452 ай бұрын
보기가 2개라도 시행횟수가 많으면 충분합니다. 일례로 동전을 던지면 앞/뒤 두 가능성 밖에 없지만 1000번을 던지게 되면 앞면이 550번이상(55%이상) 나올 확률은 0.1%미만입니다. 반대로 100%라는 극단적인 정답률을 얻었어도 시행횟수가 단 몇 번에 그치면 신뢰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영상 설명란에 논문을 보니 통계적 검정 결과도 충실히 실려있고 수치들을 보면 우연에 의한 결과로 보이지는 않네요.
@heumheum3842 ай бұрын
@@user41245 큰수의 법칙을 몰라서 하는말이 아닙니다. 수학을 하는벌이 아예 1도 없는가? 라는 명제가 참일확률이 0.1%미만이라는거겠죠. 제말은 아예 없다는 뜻이 아니구요. 전체벌을 1이라고 하고, 진짜 수학을 해서 정답률이 100%인 벌을x, 찍어서 50%확률로 맞추는 벌을 1-x라고 합시다 그럼 운이든 수학이든 맞춘 벌은 x+(1-x)/2 가 되고 전체벌은 1인데 이게 0.6이니까 x를 풀어보면 0.2가 나옵니다. 상위 20%만 정답을 알고 나머지는 찍었다는 소리가 되잖아요 74%로 맞춘 덧셈도 상위 48%만 확실히 안거고 나머지는 찍었다는 소리구요. 시행횟수는 따로 자료를 안찾아봐서 영상에는 안나와있길래 그냥 시행횟수 적게해서 오차범위 안인거 아닐까 싶어서 한말인데요 님 말씀대로 시행을 많이해서 오차범위 밖이라고 해도 상위 20%만 0을 이해하고 상위 48%만 덧셈을 이해한다면 벌이 수학을 한다 라고 할수있을까요? 제생각이지만 적어도 70%정도는 수학을 해서 정답률이 85%는 돼야 '벌은 수학을 한다' 라고 할수있지 않나 싶은데요. 애초에 맞춘벌도 다른 방법은 절대 봉쇄해 확실히 수학을 해서 맞춘건지도 확실하지않고 이런 변수많은 실험에서 굳이 보기를 2개밖에 안만든 이유도 이해가 안갑니다. 논문을 보셨다니 하는말인데 논문에는 변인통제한 방법이나 보기를 2개만 놓은 이유에 대해 나와있나요? 제생각에는 수학훈련 없이 미로찾기 훈련만한 대조군도 수학외의 방법으로 50% 이상의 확률로 맞출수 있을거 같거든요. +제가 배움이 짧아 논문은 못보고 관련 뉴스같은건 찾아보니 howard 라는 사람이 14마리 벌에게 훈련한게 100번이고 실험한건 각각 10번씩 테스트를 했다고 여러 뉴스에서 동일하게 나오는데 논문에는 다르게 나와있나요? 뉴스대로라면 확실히 시행횟수가 부족한거 같거든요. 애초에 표본이 14마리뿐이면 몇천번 실험해서 그중의 7마리가 수학을 안다는게 확실해져도 모집단이 10만은 넘을건데 의미가 있나 싶지만요.
이거 사람으로 치면 갈림길 초반에 2- 등의 수가 있고 갈림길에 -3과 -1이 있어서 맞추면 달콤한 초콜릿 같은거 틀리면 원칩같은거 먹이는 방식인가?
@KOREA-167252 ай бұрын
bee각 함수를 배워봅시다 beeeeeeeeeeeeee여러분
@뽀뽀이-l5d2 ай бұрын
벌이 미래에 수학 천재가 되는거야!?
@청보라-b8d2 ай бұрын
꿀벌은 인수분해도 못하잖아요 전 할 수 있습니다
@개똥112 ай бұрын
그말은 기계에 비유하면 계산기는 유튜브도 못보잖아요 컴퓨터는 할수있습니다 입니디
@mo-sh5km2 ай бұрын
오늘은 대머리 아저씨와 유령이 거의 안나오고, 대신 꿀벌이 주인공이네요 ㅎㅎ
@zero17862 ай бұрын
은잡지님 음 생명실험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왜 생쥐를 더 많이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이걸로 영상 한번 만들어 주세요
@은잡지2 ай бұрын
kzbin.info/www/bejne/rl6Te3eCaLOMqaM 실험동물로 왜 쥐를 사용하는가에 대한 은잡지 영상입니다 😀
@Drawingsoyi2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은잡지 영상 감사합니다. 좋아요 눌러주세용
@jjoc2072Ай бұрын
1:24 이게 무슨 소린지 이해 돼...?
@FireBear_불곰2 ай бұрын
벌에 이어 개미도 이런 연구를 하면 어떨런지??
@Snowflake_tv2 ай бұрын
귀여웡
@youdieee2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우리가 자연수만 알았을때에는 꿀벌은 정수을 알았으니, 더 수학을 잘했다는 뜻인가
@핫초코라떼2 ай бұрын
꿀벌이 집을 잘 짓는게 선천적으로 건축학이나 수학을 잘하는 곤충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정말 그런가보네.
@피노키오-j3l2 ай бұрын
수학 확률에서 말하는 큰수의 법칙을 생각해 봅니다. 과연 얼마나 많은 벌을 실험에 동원했을까~^^
@RoWorld777772 ай бұрын
오늘 시험 보고 왔는데, 중3상 망침 ..
@빵운빨2 ай бұрын
괜히 비동사가 아니네;;;
@유느2 ай бұрын
오호
@Purple-x7o2 ай бұрын
❤
@실프리아2 ай бұрын
우리는 이걸 산수라고 하기로 합의 했어요
@아이언맨광팬2 ай бұрын
산수가 수학인데요?..
@실프리아2 ай бұрын
@@아이언맨광팬 산수 5 算數 1. 명사 계산하는 방법. 2. 명사 수의 성질, 셈의 기초, 초보적인 기하 따위를 가르치던 학과목. 수학 5 數學 어휘등급 명사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대수학, 기하학, 해석학 및 이를 응용하는 학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둘 다 논리를 기반으로 한 학문인 건 맞지만 수학이 산수를 이용할 뿐 둘은 다릅니다.
@실프리아2 ай бұрын
@@아이언맨광팬 추가로 여기서 한 건 산수의 2번도 아니라 1번만 했네요.
@아이언맨광팬2 ай бұрын
@@실프리아 와!! 지능이..........ㅋㅋㅋㅋㅋㅋㅋ 사자 고양잇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2미터, 꼬리는 90cm, 어깨의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보통 엷은 갈색이고 새끼는 어두운 갈색의 반점이 있다. 머리는 크고 몸통은 작은데 수컷은 뒷머리와 앞가슴에 긴 갈기가 있다. 사냥은 주로 암컷이 한다. 백수의 왕으로 불리고 나무가 없는 초원에서 4~6마리가 무리 지어 사는데 아프리카와 인도의 초원에 분포한다. 동물 생물계의 두 갈래 가운데 하나. 현재 100만~120만 종이 알려져 있고 그 가운데 약 80%는 곤충이 차지한다. 원생동물부터 척추동물까지 23개 문(門)으로 분류된다.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운동, 감각, 신경 따위의 기능이 발달하였다. 소화, 배설, 호흡, 순환, 생식 따위의 기관이 분화되어 있다. '사전적 의미가 다르기에 사자는 동물이 아니다'는 주장을 하고 계세요.. 네이버 사전에 '산수' 검색해 보세요 무슨 카테고리에 묶여서 설명되고 있는지
@실프리아2 ай бұрын
@@아이언맨광팬 그럼 그렇게 생각 하세요. 즐거운 금요일에 굳이 무식한 사람과 말싸움 하기 귀찮아서 님이 그렇다는데 그렇다고 하죠 뭐 ㅋㅋㅋㅋ
@朴神抽2 ай бұрын
오늘은 Bee적분을 배워보겠습니다. …………………..더보기
@강윤식-k7z2 ай бұрын
😮
@회오리-w8c2 ай бұрын
제발 손을 계속 비비면 화상입을까??? 영상 언제 만듬???? (ToT)
@Aesculapius76112 ай бұрын
4:14
@sunggyulee12392 ай бұрын
오늘은 me적bun 을 배울거에요
@유느2 ай бұрын
난 수포자
@luansen02 ай бұрын
벌 보다 시험성적이 나쁜 애들 어떻하냐?
@user-rw3fy5wx2v2 ай бұрын
너도 이과구나
@유느2 ай бұрын
아직 다른 사람 댓글 없네
@푸이마루2 ай бұрын
1/2확률 정답률 60프로면 ㅋㅋ 걍 망한 실험이네
@user412452 ай бұрын
논문에 기재되어있는 통계치들을 보면 실험 자체는 성공했다고 보입니다. 시행횟수를 고려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우연으로 발생하기 어려운) 정답률이 나왔다고 볼 수 있으니까요. 다만, 벌이 수학을 할 줄 안다는 이야기는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써는 다소 표현이 과하다고 볼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