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혀 논란이될문제가 아닌건데....당연히 가구를 구매한사람의 소유이지만 입주할때있던가구를 버렸다면 복구를해놓던가 그에맞는 보상을 하고나가는게 맞지
@박준혁-b4f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우문현답 근데 사람들의 욕심이 문제
@dankeschon56214 жыл бұрын
그니깐요. 이게 뉴스에까지 나올 일인가요?
@Unm-o7z4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건데....ㅋ
@요술램프-k5m4 жыл бұрын
그냥 빌트인가구포함 가격을 매매가격으로 하면 될텐데. 흠~
@bjbjcgogogo4 жыл бұрын
방송소재가 떨어졌었나봄
@유재석-b7z4 жыл бұрын
아니ㅋㅋㅋ 초반에 ㅋㅋㅋ 육아휴직이며 퇴직을 생각하고 있다라는 저런 얘긴 왜 해?ㅋㅋㅋㅋㅋ 육아휴직했으면 법적으로 뭐 더 이점 있나? ㅋㅋㅋㅋㅋㅋ 그냥 이사가려는 사람이라고 하면 되지....
@공진영-b8k4 жыл бұрын
맞아요~ㅎㅎㅎ 쓸대없는 말을 하네요 ㅎㅎㅎㅎ
@지구인-k8w4 жыл бұрын
나도 부모지만 저런 놈년들땜에 창피해죽겠다 뭐만하면 애기들도있는데~~ 가정이있는데~~ 면죄부여? 애들도 있으면 더 똑똑하게 처신해야지 저리 멍청해서 애들 우째 먹여살릴까나 ㅉㅉ
@ejcofjeksk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육아하는거랑 집 판거랑 뭔 상관인지 심보 못되 먹어가지고 희안한 논리 펼치나보네 ㅋㅋ
@나무-n1r4 жыл бұрын
방송 분량뽑으려고 ㅋㅋㅋㅋㅋ
@kmindbaby5122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그냥 이사할 생각이 없어서 좋은걸 설치했는데 이러이러한 사정에 의해 어쩔수 없이 이사를 결정하게 됐다를 얘기하기 위한이라고 그냥 편하게 생각하면 될듯한..데요;;
@내꿈은상냥한사람4 жыл бұрын
이게 뭐 논란거리가 된다고 참나.. 말이 되나.. 기본옵션의 가구들을 보관해뒀다가 다시 원상복구해서 가던가 아니면 기본옵션했던걸 그냥 버렸으면 보상을 하고 나가던가 해야지 아무것도 안해놓고 그냥 바꾼것만 가져간다고하니까 그런거지.. 양심적으로 행동해야지. 논란거리가 될것도 아니네
@wild.cat.4 жыл бұрын
ㅇㅈ 설치한사람이 매도인이나 부동산에 미리고지를 안해서 집산사람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집보고 산다고 한건데 뒤늦게와서 내가산거 때감.........이러면 집산사람은 뒤통수맞는거지..........
@제니훈-r5d4 жыл бұрын
그 아파트 건축시 원래 빌트인이 기본옵션인 경우, 낡은 아파트라 그런게 없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면 떼가려면 당연히 복구해줘야하고 사전고지없이 계약했다면 사기지.
@맨두-w8t4 жыл бұрын
아니죠 원상복구가 문제가아니라 저상태의 집을 보고 계약한거니 상황이 달라지면 계약을 안했을 수도 있는 문제며 금액두 달라지는 문제가 되겠죠 기본옵션 다시 복구한다구 끝날문제는 아닌거죠
@bjbjcgogogo4 жыл бұрын
방송은 해야하는데 소재가 오링나서..
@jaewonlee86154 жыл бұрын
@@맨두-w8t 이사 하실때 쇼파 tv 냉장고도 놓고가시겠네
@meitian112 жыл бұрын
새주인은 같은 건물 낚은 가전있는 매물과 비교되니 샀을텐데 가져가고 싶었으면 계약할때 말했어야하는게 맞다
@amil86002 жыл бұрын
"같은 건물 낚은 가전있는 매물"이 무슨뜻인지 저만 모르겠나요?
@99gaga312 жыл бұрын
@@amil8600 '낡은'인가봐요
@moonsunmo_92 жыл бұрын
@@amil8600 같은 건물에 낡은 가전만 있는 방이랑 비교된다는 뜻 같아요 반박 시 님 말이 맞음
@호롱나무-d4m2 жыл бұрын
@@amil8600 새로 들어오는 입주자는 같은 건물에 낡은 가전제품있는 집과 이 사연 속 빌트인 제품이 포함된 집을 비교해서 이 집에 메리트가 있다고 계약했을 거다 근데 새 입주자 입장에서 빌트인 가구를 빼간다고 하면 메리트가 사라지니 계약 때 제대로 언급할 필요가 있다 는 말같네요
@염세남4 жыл бұрын
기본 욕조가 구려서 전 주인이 고급 욕조로 바꿨다. 고급 욕조이니 내가 이사갈때 가져 가겠다 이거지. 그럼 새로 온 사람은 욕조 없이 텅빈 공간만 남는거지. 당연히 전 주인은 기본옵션으로 복구해줘야지.
@joshp51894 жыл бұрын
복구까지 해줘도 문제가 생겨요. 매수한 사람은 고급욕조를 보고 계약을 한거잖아요. 매도인, 매수인 둘 중 한명이 확실하게 계약 전에 얘기를 하지 않은 이상 서로 자기 이익을 위주로 생각하기 마련이라...
@샤샤슈슈-u1f4 жыл бұрын
욕조랑 가전,가구 랑은 다르지ㅎㅎㅎㅎㅎ
@조정일-t7g4 жыл бұрын
개약하기전 정확히 얘기해야지요
@supyoo4 жыл бұрын
곰팡이 나지 말라고 이지보드 보수 수리하고 튼튼하게 이중창 했던걸 보여주고 계약을 했을텐데 계약 후에 이건 떼간다구요? 원복해줘도 문제가 됩니다. 현재상태를 보고 사기로 한거니까요. 말 안해도 이동식 가구는 가져갈거라는게 이사 상식이지만 빌트인되어있는것은 집안 설치내용이라고 보고 '수리'내용을 보고 계약한거니 떼간다면 계약후 돈을 주기로 한 물건을 안주는거랑 가까워요. 저한테 중고책을 사가실껀데 제가 책 겉장에 보석으로 아름답게 비싸게 개인적으로 꾸며 놓으면 그걸 보고 맘에 들어거 구매 하셨을텐데 원래 이 책은 보석 없어요. 하면서 다 떼고 주실건가요? 애초에 그 부착 상태가 계약가치였을겁니다.
@강서구까치산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매매할때 다따져봐야한다고요 계약서잘보고 잘쓰세요 한두푼하는거아니잖아요 눈으로봣다고 다내꺼임?
@hotchoco38234 жыл бұрын
요약해드림. 계약할때 가져 간다고 미리 말 안 하면 묵시적으로 놓고 간다는 뜻이 되기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그럼 집 매매계약을 하기전에 뗄건 떼겠다하고 하고팔아야지... 새로 계약한 사람 입장에서 얼마나 황당하겠냐 빌트인가구 옵션까지 고려한 금액으로 생각해서 계약했을텐데 ㅋㅋㅋ 계약한 뒤에 떼겠다고 하면 이것도 엄연히 사기지
@허로또3 жыл бұрын
제말이요....
@sa0ka0i04 жыл бұрын
집 팔때 얘기 안하면, 사는 사람이 황당할듯... 빌트인 따로 구매한것이고 가져간다고 미리 얘기 해야 됨
@파커-p6m3 жыл бұрын
가만히 있다가 저러니까 문제가 되지... 입 꾹다물고 있다가 매매하기로 하고 나서 띄어간다니까 문제가 되는거지
@wkaud973 жыл бұрын
부동산 구매자가 집볼때 물어봤어야되는거 아닌가 ㅋ
@DH_FlowerSong3 жыл бұрын
떼어내는것 뿐만 아니라 기존 싱크대 원복해야함
@사랑한-b1e3 жыл бұрын
기본적이로 옵션 내용을 물어보고 알려줘야지 부동산이 잘못했음
@longlong-wu2fp2 жыл бұрын
팔사람이 미리 가져간다고 중개사한테 고지를 해줘야지. 사는 사람은 빌트인이니 있는 그대로를 보고 사는거라서 협의가 안되면 계약파기도 가능하다봄
@eng-n6d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개인이 산 물건을 "나 이거 가져가요" 하고 미리 알려는 하야하고 왜 계약자인 사람은 미리 확인할 필요를 말하지 않는거죠? 왜 항상 문제가 발생한 사람이 그걸 해결해야 하냐고요 이건 전혀 상관없는 얘기지만 예시로다가 범죄가 발생했는데 왜 피해자만 증거를 내야하고 발생하는 모든걸 감당해야만 하는거죠? 원인이 발생하기에 결과가 있다지만 거지근성
@hungsukim2 жыл бұрын
@@eng-n6d 집이사할때 싱크대도 떼가나요? 빌트인은 그냥 싱크대랑 같다고 보면 됩니다. 빌트인 빼가면 .. 싱크대 새로해야할수도있는데요..
@eng-n6d2 жыл бұрын
질문의 의도를 알고 답하면서 질문해주세요
@5252runrunrun2 жыл бұрын
@@eng-n6d 빌트인은 통상 주택에 부합된 것으로 보아 주택의 일부로 봅니다. 집을 살때 문한짝 일일이 확인하지 않는 것처럼 빌트인 가전제품도 주택의 일부로 보아 가져가지 않을 것으로 판단 하는것이 통상적일 것입니다. 더불어 계약에 있어 특정한 사항에 대하여 언급되지 않은 부분은 일반적 사회통념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빌트인은 일반적으로 부합으로 보기에 주택에 포함되는 것으로 계약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결국 위 경우는 매도자가 특약사항이 있음에도 그것을 표시하지 않고 이를 주장하며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문제입니다. 그리고 제시하신 예시는 잘못되었습니다. 위 사례는 사적계약으로 사인간의 문제이며 범죄는 형범상 문제로 그 행위 자체가 위법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범죄의 피해가 있는 경우도 피해에 대한 입증이 필요한건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한 근거 없이 누군가를 수사할 수는 없는 노릇이죠. 즉 범죄에 의한 피해 입증이 있어야만 그에 대한 배상을 물을 수 있습니다. 다만 범죄의 입증 및 형사적 처벌은 피해자가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잘못알고 계신듯 합니다.
@Ynr-s9r11 ай бұрын
@@eng-n6d피해자는 물건 산 사람이 아니라 집주인이죠 세입자가 빌트인 바꾼다고 해서 허락해줬더니 이사가몀서 가져가면 빠져나가 그 공간은 어케되는거임…? 가져갈거면 원래있던 제품들을 처리하지말고 보관하고있다가 원상복구를 해놔야지 당연한걸 세입자들이 걍 떼쓰는거임
계약할 때 꼼꼼히 해야 한다. 항상 계약 때 꼼꼼히 하세요. 살려는 사람(매수인)은 한푼이라도 덜 낼려고 팔려는 사람(매도인)은 더 받을려고 하는 맘 보편적인 생각이다.
@제네실수-u2x3 жыл бұрын
빌트인이 진리지 ㅋㅋ 툭튀어나온거보면 짜증나지 ㅋ
@thekorean1233 жыл бұрын
걍 집이랑 같이 묶어서 팔면 되는건데 오바는 ㅡㅡ
@톨레랑스3 жыл бұрын
시스템에어컨 다는 사람들 이해안감. 경제적인 측면에서 소멸되는건데 굳이..
@uyuipunch4 жыл бұрын
1. 자기가 설치한 가구를 떼가려면 기존가구를 재설치하는게 도의상 옳음 2. 그거랑 별개로 집을 사려던 사람은 집의 현 상황을 보고 옵션을 다 고려하고 샀을테니 3. 가구 교체시에 확실하게 명시해야함. 이건 재설치를 하든 그냥 꽁으로 뜯어가든 간에 반드시 사전에 얘기를 해줬어야함. 4. 아무튼 합의 잘 해보셈
@asgrimm8165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이사오면서 리모델링 할건데 전의 가구가 뭔 소용임?
@두둠칫둔두루누2 жыл бұрын
이거지!
@물여우-q3l2 жыл бұрын
막줄 핵심 ㅋㅋㅋㅋㅋㅋ
@뭐봐일2 жыл бұрын
@@asgrimm8165 옵션이 있냐 없냐의 가격차이임 그리고 이사오면 무조건 리모델링한다는건 말이안됨 할수도있지만 있는것들 그냥 쓸수도있지않음?
@루키아빠2 жыл бұрын
에어컨도 놔두고 와야함?
@ibbai28822 жыл бұрын
쟁점을 못잡는 분들이 태반...빌트인이냐 아니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계약당시 해당물품이 빌트인이면 특약사항에 고지 안했다면 집의 일부로 보는게 맞음. 가져가려면 고지를 했어야지 고지 안했으면 집주인이 가져갈 생각을 하는 자체가 계약위반
@jjdko22 жыл бұрын
계약 안하기전에 미리 말했으면 계약을 안할까바 그런듯.. 이젠 계약도 다 했겠다 자기가 원하는건 가져가겠다는 못댄 심보네요
@희망진아 Жыл бұрын
@@jjdko2맞아요
@jklasdfgh699610 ай бұрын
맞음. 이건 사전에 고지했어야지. 저도 집주인이 사는집 전세끼고 샀는데 그 집주인이 본인이 10년동안쓰던 빌트인 가스렌지 고장났다고 계약하고 2년된 나한테 청구함. 내가집주인이라고ㅋㅋ 어쨌든 빌트인가전은 사전고지없음 매입한사람꺼임
@neoeobz4 жыл бұрын
결론 : 빌트인은 집의 일부로 본다.
@ddurrlelab95023 жыл бұрын
이 댓글좀 위에 고정좀
@하이볼-n7t3 жыл бұрын
계약서 다 쓰놓고 개 ㅈㄹ 뜨는거지. 자동차 매매 계약서 다 쓰놓고 갑자기 튜닝해놓은 오디오,휠은 가져갈게요 이 ㅈㄹ 뜨는거잖아.
@로데오-c2q3 жыл бұрын
시간 ㄱㅇㄷ
@달위니-h2x3 жыл бұрын
그게 결론이냐. 계약할 때, 집 보러올때 이야기하면 되는 거야
@neoeobz3 жыл бұрын
@@달위니-h2x 예를 갖추는 글이 더 보기 좋다고 봅니다. 말보다 계약서 특약으로 적는것이 더 좋죠.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모호한 상항이나 인지적 당연성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를 사전에 미리 문제를 예측하고 고지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그런 경우도 너그러이 봐주세요.
@pisapasa4 жыл бұрын
집 샀는데 화장실의 유일한 전등을 바꿨다고 떼어간 기존 세입자가 생각나네요.. 기본으로 설치돼있던 것들은 자기가 원상복구해놓고 가는게 예의죠. 비데나 도어락 가져가려면 반드시 기존에 있던 변기커버나 열쇠손잡이를 도로 부착해놓고 가야하듯이..
@athena54192 жыл бұрын
제일 잘못한 사람은 중개인. 이런 경우를 미리 짚었어야 하는거고, 인덕션은 두고가고 냉장고 식탁 등은 가져가는 것으로 협의하는 정도면 어떨까 합니다.
@seon9982 жыл бұрын
@@athena5419 중개인은 책임지지 않더라구요 소액 재판하는것도 귀찮고..
@김선달-v7m2 жыл бұрын
이분 말씀이 정석
@임윤빈-q5g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다른데요...기본으로 설치돼있던걸 궂이 내가 설치를 해줘야 하는건좀... 대신 구매 조건에 명시해놔야하겠죠 판매자가 이사갈때 가져가는 품목이 뭔지 놓고가는 품목은 뭔지 그래야 사는사람 입장에서도 아 뭐뭐가 남고 뭐뭐가 빠지는구나 그럼 얼마가 추가로 들겠구나 하겠죠. 이건 원상복구 문제가 아니고 판매자와 중개인간의 소통의 부재로 구매자의 지출이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unknown_nec76712 жыл бұрын
@@임윤빈-q5g 본인이 들어갈때 그대로 해놓는게 정상아냐? 넌 그돈으느 그것까지 사놓고 왜 덜주려그래?
@joinerce4 жыл бұрын
당연히 미리 말했어야지 저건 원물을 그대로 보여준게 아니기에 계약해지요건에 해당됌.,,,
@snowflakeperv4 жыл бұрын
먼소리에요 산사람꺼지요. 주자창에 자동차가 있으면 자동차도 이사온사람한데 줄래? ㅋㅋㅋ 집에설치한 에어컨 냉장고 전부 산사람꺼지요. .어딜봐서 입주민껑미? ㅋㅋㅋ 꼬우면 제값주고 사던가. 이런상식적인 사람이 옵션에 대해 한마디도 안물어본다는게 개소름이네. ㅋㅋㅋ 원룸인경우 걍 집주인이 제값에 매입해서 옵션으로 제공하더라. 어짜피 팔때마다 가격이 포함됨. 중고가로 팔면안되고 집주엔에게 새값에 팔면됨.
@spacedoge35084 жыл бұрын
@@snowflakeperv 합리적으로 집에 포함된 걸로 판단되는 경우엔 상의가 있어야함
@장희준-s9y4 жыл бұрын
@@snowflakeperv 그래서 꼬우면 집을 팔지 말라는 거잖아 애초에 저게 옵션으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입주민이 새로 사야한다는걸 알고도 원가격으로 입주 할려는 사람을 찾아야지 뭔 자동차 드립이냐? 빌트인 가구가 뭔뜻인지 모름?ㅋㅋㅋㅋ
@장희준-s9y4 жыл бұрын
@@snowflakeperv 이 논리 대로면 계약할때 집위에 비행기 지나가면 비행기도 달라고 하지 그래?ㅋㅋㅋㅋ
@oplegnathusfasciatus77564 жыл бұрын
@@snowflakeperv 당연히 산사람껀건 맞는데 계약전에 가구 포함 여부를 말하지 않은게 문제죠. 계약할때는 풀옵션값 다받고 싹다 가져가면 안되지... 제대로 설명 안한게 집주인인지 부동산인지는 모르겠지만요. 이사오는 사람도 집보러왔을때 안물어봤나?
@nadanawhy2 жыл бұрын
거래 성사 후 가져가겠다는건 잘못. 처음부터 거래조건으로 가져간다고 했어야 살 때는 그런 가치까지 고려된 것
@@leedvis808 빌트인 입니다 주택에 붙였다는거죠 빌트인은 주택가격에 포함하는게 맞습니다 집에 샷시 내가 했다고 이사할때 샷시 떼고 가시나요?
@Allallall7882 жыл бұрын
@@leedvis808 이건 중개인과 상관없이 당연한걸 억지부리는 경우죠 님같이
@ಠಒ್ರಠ4 жыл бұрын
미리 말을 했어야지... ㅡㅡ...... 아님 빌트인 전으로 만들어 놓던가..... 요즘 빌트인 가전이 많아서........ 당연 첨부터 있는줄 알지.... 빌트인 가전 포함해서 가격 매긴거아님??? 흠.. ㅡㅡ;;, 가전 가격은 빼고 계약했나?? 모르겠다.. 어렵네.. 첨부터 말하는게 정답인듯.
@ukuuku5074 жыл бұрын
이거는 일방적으로 계약해지해도 크게 뭐라 할말없을듯 ㅋㅋ
@blueberry131174 жыл бұрын
문 ⃢⃢재인(문.통) 덕에 경제도 좋은데, 대충 돈 좀 편하게들 쓰세요. 세탁기 꼴랑 얼마 한다고, 실랑이를 벌이는지 참.. 이해안가네 경제도 좋구만.
@parksoohwan94824 жыл бұрын
아니면 미리 물어봤어야...
@wmwm22514 жыл бұрын
@@blueberry13117 병싱
@bobjwo2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처음 알아보러 왓을때 얘기를 했어야지…뒤늦게 아쉬워서 가져갈려고 하는거면 좀 얌채고, 깜빡했다고 하면 입주오는사람이랑 얘기 해야하는게 맞다
@lawon5378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뭐 딱히 불쌍하지 않는데?? 내 자취방 옆집도 기존꺼 복도 구석에 두고 다시 이사갈때 설치하고 가던데 기존꺼 버리면 보상해줘야지
@주는나의목자강하고담4 жыл бұрын
뉴스거리가 없나보죠 기자들이 노력은안함으로 보임
@뜨거운안녕-x6z4 жыл бұрын
이해를 완전히 잘못하셨습니다. 틀린 말씀도 아니고 그렇게 해야하는게 맞는건데 애초 전제가 다릅니다. 말씀하신 예시는 남의 집에 들어가 사는 경우에 옵션을 말씀하시는거고 위 문제는 내 소유의 내 집입니다.
@aimertv72354 жыл бұрын
사전에 해줄게 이이야기가 없다면 아닌거고 집에 사전에 거래시 문제사항 그러니까 특징덕인 재산은 사전에 이야기가 없다면 법적 효력 없어요
@조성현-p9g4 жыл бұрын
@@뜨거운안녕-x6z 소유의 집이여도 계약전에 미리 말해줘야함 이사갔더니 변기 냉장고 싱크대 다 때간집 누가 들어오고 싶겠음? 아줌마가 집값 안떨구고 빨리 팔려고 수작부린거 맞음
@SNKim-ml8lt2 жыл бұрын
계약전에 가져간다고 얘기를 했어야죠. ~~ 가져 간다고 하면 집이 매매 안될까봐 말을 안했네요 빌트인은 두고 가셔야죠!!
@wantury3 жыл бұрын
저런 건 공인중개사가 계약 전 미리 짚어서 서로 오해 없이 진행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ChrisP03182 жыл бұрын
중개비 호로록
@9689ojgg2 жыл бұрын
중개사도 뜯어갈줄 몰랏지
@IamSuperDancer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안되는 걸 다 특약하냐 그런식이면 집 문도 협약하지 왜?
@studyforbuying2 жыл бұрын
중개사들 조또아는거없음
@succeed-32 жыл бұрын
어찌됐든 사전에 중개사에게 말하지 않은 집주인이 우선적으로 잘못함
@hahaha83314 жыл бұрын
빌트인은 내장품 개념이라 사전에 매매 미포함이라고 얘기를 했어야지. 저 이상한 여자의 논리대로라면 벽지랑 타일이 고급인 경우에는 벽지,타일도 전부 뜯어가고 흉물로 놔둘 기세.
@erichawk14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어떻게 되는건가 하고 봤는데, 벽지 타일 얘기를 보니 바로 느낌을 알겠네요 ㅋㅋ
@나미-m5q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이아줌마 아주 뽕을뽑아가려하네
@hdi084 жыл бұрын
자동차 매도하면서 매매계약 다 채결하고 중고차 딜러가 차 가지러 오니까 그때서야 "이 휠은 제가 따로 돈 주고 바꾼 것이니 빼가겠습니다." 하는 꼴임 진짜 ㅋㅋㅋㅋ
@뿌우-w2o3 жыл бұрын
그집에 살던 바퀴벌레도 챙겨가라고 전해주세요
@루디-j7g3 жыл бұрын
근데 일반적으로는 빌트인은 두고가죠. 보통매매에 포함하는게 일반적임
@소나무와달3 жыл бұрын
이런 건 당사자들이 직접 집을 볼때 확실히 말하고 계약해야합니다. 근데, 진짜 1분짜리를 10분짜리로 만드네. 기술 좋아.
@John_Taiwan3 жыл бұрын
진행 진짜 ㅋㅋ 고구마 천개 먹는기분이랄까 졸라 일부러 길게 끄네요.
@유챙이-f8e3 жыл бұрын
@@John_Taiwan ㅇ
@48childman793 жыл бұрын
사전고지없었으면 사기맞음. 계약파기해도됨. 이건 중개인책임임.
@choirichard39032 жыл бұрын
빌트인 가져갈꺼면 미리 특약 조건이 있어야 함. 계약전에 말 안했으면 당연히 두고 가야한다.
@공부말4 жыл бұрын
원상복구하면 되는게 아니라 매매 시 별도로 말 없었으면 빌트인 제품은 놓고 간다는 뜻이라 가져가면 안됩니다 따로 협의해서 그만큼 집값에서 빼 주고 가져가든지 하셔야 해요
@blueberry131174 жыл бұрын
문 ⃢⃢재인 덕에 경제도 좋고, 호화스럽게 살지 그깟 세탁기 얼마 안다고 실랑이들이지 ㅋ 돈이 없는.서민들인가.. 난 문통 뽑고, 사업 대박 났는데. 문프님의 축복받고, 다들 여유롭게 살아보셔요 다들.
@농부의꿈-k4b4 жыл бұрын
붙박이장도 띁어가고 형광등도 다 뜯어가라 ㅋ
@hun1484 жыл бұрын
@@blueberry13117 세탁기랑 문재인이랑 뭔상관임
@huchununa4 жыл бұрын
Soo이와중에 정치충
@검룡소4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bakingred73614 жыл бұрын
본인이 기본 옵션이 아닌 붙박이 가전을 설치했으면 집을 팔때 원상복구를 해놓으면 간단할걸 왜 어거지를....
@고스트낚시왕4 жыл бұрын
집보러왔을때 집도마음에들고 기본옵션도 괜찮은거같아서 계약을 한거일수도있잖아요 근데 계약끝나고나서 새거는 자기들이 가져간다고하니 황당할수있죠 미리말을하던가 어떻게 보면 사기일수도있습니다
@MrSon-nx9yj4 жыл бұрын
@@고스트낚시왕 동감합니다ㅋ
@loseyourself35274 жыл бұрын
아니 저 분은 계약 전 제품을 다시 설치하고 나가면 된다는 얘기아닌가요
@bluerationality4 жыл бұрын
이재민 보여줬을 때 설치 해 놓은게 기본 옵션이랑 다른걸 말 안 하면 집 보는 사람은 모르죠. 그럼 마찬가지 문제.
@bakingred73614 жыл бұрын
@@loseyourself3527 그게 아니고 집을 보러 오기전 원상복구 해놓고 맞이하던가 아니면 집을 보러 왔을때 원상복구 해놓고 나가겠다고 하던가 하면 될걸 왜 집을 보고 계약을 해놓고 이상한 소릴 하는냐 이거죠.완전 사기인거죠.집을 볼때 붙박이 제품은 집을 고를때 아주 큰 요소입니다.실제로 예전에 우리 아파트를 팔때 옆집이랑 우연히 같이 내놨는데 집을 보러 오신분이 우리집 붙박이장이 맘에 들어서 우리집으로 결정했어요.그집은 띄어 가겠다고 하니...
@cleango38244 жыл бұрын
계약전에 말했어야지 팔때는 말 안 하다가 계약 끝난후에 가져가겠다니
@lilicsky2 жыл бұрын
빌트인은 통상적으로 붙어있는 것이고 계약시에 언급하지 않으면 사는 사람은 포함해서 사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계약한 것이고 계약취소나 해당비용 빼주는게 맞지.
@김수한무거북이와멍멍2 жыл бұрын
‘통상’ 같은건 없음. 모든건 계약서 내용대로
@꿀잼-v1l2 жыл бұрын
개빠가사리들이 많아서 빌트인의 개념도 모르나 봅니다 ㅎㅎ
@jamjam-jro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지들이 사서 넣엇다는 거 같네여
@바다-d8n4 жыл бұрын
이건 첨부터 논란거리도 안됨 내가 필요한거 설치했고 이사할때 가저갈거면 기존에 설치되있던거 복구 해놓으면 다 해결됨
@userjun884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이네
@스모크햄-q3i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엔 전세계약했던 집이 아닌데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계약전에 협의 했어야 하는게 맞지 계약후에 일방적으로 가져가겠다는건 나쁘게 보면 사기 같은 거라 생각 되네요.
@쪼떠어어언-o8o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게 맞는 말씀인거 같네요
@고스트낚시왕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집팔아야될때 기본옵션 새로 다 교체해서 집보러오는사람한테 기본옵션인것처럼 꾸며서 말도안하고 팔면되겠네요 계약 다 끝나면 헌거로 바꿔서 넣어주고 원래 헌거로 되있는거라고 말하면 끝??? ㅋㅋㅋ
@헿-h4t4 жыл бұрын
이 댓글은 억지다ㅋㅋㅋ
@집념-i7p4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거래시 미리 말을해야 하는거지 계약을다해놓고.. 나중에 이건가져가겟다하면 들어오는사람 입장에선 뭔가사기당한 기분인건 당연한건데... 서로들 미리조율하는것만이 추후 언쟁필요무
@timethe75454 жыл бұрын
빌트인 이전 가구 원상태로 하고 가던가 두고 가던가 둘중에 골라라. 중고 말고 그전에 설치한 그 물품이다.
@timethe75453 жыл бұрын
@@오안나-v1z 기존 제품
@L제이-d4i Жыл бұрын
계약전에 이야기했어야지.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 당연히 있을줄알고 계약하지 그걸 떼갈거라고 어찌생각할까.
@user-sdfljsldkfsd3 жыл бұрын
이게 논란거리냐?? 부동산에 집 내놓을때 빌트인 가구 가져간다고 명시하고 그래도 살 사람은 사라 하면 끝인 걸.... 계약 할때 뭐는 가져가고 안가져가고 정확히 명시해야 이런 분쟁이 안생김.
@user-lt3uh5km4m3 жыл бұрын
계약할때는 두고갈것처럼 좋은집으로 보여서 비싸게 더 받거든. 떼간다 그러면 분명 오백에서 천만원네고오겠지.
@Chireha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했어야됐는데 그렇게 안해서 생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건지에 대한 논란인건데 애초에 그렇게 안했으면 되었지 않느냐라고 해버리기에는 핀트가 안맞지 않나요..
결론은 합의를 잘해라..그거잔아..ㅋㅋㅋ 아...10분동안..말 돌려서 참~~ 잘하네들.....어휴..난또..먼 해답이 있나했다........
@y.bluesky4 жыл бұрын
요약 감사요 ㅎㅎ 10분 아꼈네요
@김진숙-e8u4 жыл бұрын
😄~~댓글이 재밌어서 십분 아끼고 웃고 갑니다~^^
@jisounkim4 жыл бұрын
인정 ㅋㅋㅋ 십분동안 왜들 저렇게 얘기하는건지 ㅋㅋㅋ
@Turn_off4 жыл бұрын
영상 마지막에 정리해주는데요..??? 일반 가전이 아닌 빌트인 가전은 사전에 말을 안하면은 사는사람에게 넘긴다고 간주한다고.
@user-fd7tu2pj5d4 жыл бұрын
@@Turn_off 그걸 하루종일 기다려야하는게 문제
@mjkim39764 жыл бұрын
계약전에 말해야 됩니다. 집 구매하는 사람은 집 상태를 보고 수리 비용까지 예산에 넣어서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떼어갈 생각이면 미리 말하고 집 가격을 조정하든지 다른 사람한테 팔았어야 합니다!
@나디아-d1m2 жыл бұрын
이게맞지..첨부터 집주인새끼가 말을했어야함. 이거 떼갈꺼라고..
@희망진아 Жыл бұрын
집 팔아 먹고 싶은 욕심에 입꾹닫 하고 있었네 집주인
@행마력2 жыл бұрын
파는사람이 가져간다고 미리 말을 했어야 하는거 아닌지.... 빌트인되어있는건 당연하게 그상태로 보고 집계약을 하는거지.,,, 그리고 빌트인 하면서 떼어내고 나서 원래대로 복원까지 싹 해주고 가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이세상-y6m2 жыл бұрын
올소. 미리 집 보여 줄 때 알릴! 의무입니다 중간 쯤에 알면 황당하지요.
@wjl87712 жыл бұрын
맞조 기존 빌트인 뺄 때 집주인한테 말해서 집주인이 보관이라도 하게 해줘야지 그냥 버리면 안 되죠 .. 제가 사는 원룸 집주인분도 빌트인 냉장고 뺀거 계단쪽에 보관하거나 저 하나 더 주심..
@user-PADO2 жыл бұрын
근데 원룸이나 오피스텔이 아닌 아파트에 물건을 두고 간다는 생각을 하진 않을거 같습니다 요즘 아파트는 신축분양시 인덕션 세탁기등 설치가 되있나요?
@땅꼬-x1s2 жыл бұрын
@@user-PADO 세탁기는 모르겠는데 인덕션은 있는경우 있습니다.
@땅꼬-x1s2 жыл бұрын
@@wjl8771 이 사연의 경우는 제보자가 집주인이었던거 같아요. 집주인이 따로 있었으면 이렇게 못하죠.
@솔라아재4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쓸 때 특약으로 정하면 됨. 근데 보통 현상태에서 매매한다는 조항이 있죠. 계약서 꼼꼼히 안본 부주의네요.
@blueberry131174 жыл бұрын
문 ⃢⃢재인(문.통) 덕에 경제도 좋고, 여윳자금도 넘치는데, 그깟 세탁기 얼마 한다고 실랑이를 벌이지?? 문통님 덕에 경제도 좋은데, 그냥 돈 좀 여유있게 좀 쓰며 사세요. 구두쇠처럼 살지 마시구요.
@kongmatt4 жыл бұрын
컨셉이죠?
@oscargim58674 жыл бұрын
중개사의 책임이 더 크다 생각한다.
@김나현-e8s4 жыл бұрын
옛날 공인중개사님들은 현상태하의 계약이다 라는 특약을 맨처음 쓰기도 했지만 요즘은 그 특약 거의 안씁니다 분쟁의 소지가 너무도 많기 때문이죠 꼼꼼한 중개사들은 계약서가 3장으로 끝나는것이 아니라 옵션등에 대해서도 리스트를 만들어 첨부하기도 합니다.
@odradek_014 жыл бұрын
현상태 매매가 ㅋㅋㅋㅋㅋ 진짜 "현재 상태로 매매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분양 당시의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다. 왜냐면 우리 민법은 계약 당사자들이 그 조항을 무슨 뜻으로 이해했느냐까지 따지거든요. 현상태조항이고 뭐고 하자 발견되면 매도인이 수리해 줘야 하고요, 분양때 있던 가구는 떼어가면 안 되고, 분양이후 바뀐 가구라면 떼어가면 기존가구로 채워줘야 합니다. 그 빌어먹을 현상태 매매 조항은 사람들 착각하게만 하고 진짜 없애버려야 됨...
@깨끗한공기를마시고싶4 жыл бұрын
빌트인까지 보고 매수를 한것이기 때문에 계약전 아무말이 없었다면 놓고 가셔야 합니다. 만일 일부 가전 제품 제외 라고 했다면, 매매가 힘들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하민호-w8k4 жыл бұрын
조건의 문제같은데 너무 러프하게 보는거 같아요
@gogocho4 жыл бұрын
보통 메매힐때 빌트인은 가격 포함 댄다고 생각 하는게 룰이면 계약전 말하는게 맞는거 같음
@이기영-w6i8y2 жыл бұрын
구매자도 빌트인이 유지인지 재설치 헤 해야하는 상황인건지 확일해야할 의무는 있는거 같네요.. 구매자가 아닌 중개인이 중간에 껴있다면 중개인이 지대로 전달 못 해준 책임 일테고.. 그래서 중계인이 있는거지... 중계인이 돈 안받고 중계해주는것도 아니고...
@gamespot38432 жыл бұрын
@@이기영-w6i8y 너는 그럼 집 살때 이 장판도 아파트 가격에 포함된거지, 현관문도 포함된거지, 벽지도 포함된거지 다 확인함?
@Sadasu2 жыл бұрын
빈집에 빌트인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면 모르지만 집에 다른 가구도 많은데 계약전에 말 안하면 그것도 놓고 가야 되나요? 보통 포함이라고 말 안한건 당연히 불포함 입니다
기존 설치되어 있던게 있던 상태에서 세입자가 교체했고, 후에 그걸 떼어가고 싶다면, 먼저 있던 걸 다시 설치해 놓고 원상복구 해 놓고 가는 것이 맞고(그것도 사전에 얘기를 미리 했어야 하는 거고..) 만약 그걸 갖다 버렸거나 해서 원상복구가 불가능하다면 아무리 자기가 설치했다해도 못 가져가는 게 맞다고 봄~
@풀꽃빛물흐르듯2 жыл бұрын
계약자가 본 그 상태로 계약하는 거임. 전의 것 원상복구 시키면 계약해지사유임.
@김수한무거북이와멍멍2 жыл бұрын
세입자 아니고 매매라고 매매 매매매매매매매매매 다 지들처럼 세입자 팔자인줄 아나 ㅋㅋㅋㅋㅋㅋ
@gh-fn4nk2 жыл бұрын
@@김수한무거북이와멍멍 음... 매매라면.. 그렇다면 안 가져가는 게 맞네요.. 계약 후에 그런 일이 있다해서 세입자의 행동인 줄..ㅋ 그런데, 언어순화 좀 하자구요~^^
ㅋㅋㅋ 파는 사람이ㅜ말을 처음부터 안하면 어찌알아? 옵션으로 구성되있는걸로 생각 할수도 있지 단세포적인 생각을 하네
@royalpudding3 жыл бұрын
@@쇼콜라-k2u 물어봐야지 ㅡㅡ
@쇼콜라-k2u3 жыл бұрын
@@royalpudding 통상적인 거래를 봐도 빌트인은 기본 옵션으로 거래가 되서 잘 안물어보게 된다. 니 말대로면 집안에 모든 인테리어 다 누가 했냐고 물어볼래? 그리고 파는 사람도 잘못한게 계약이 되고나서 저 빌트인 가전이 자기꺼라고 말했다자나 ㅋㅋ 내가 하고싶은 말은 부동산 업자 혼자만의 잘못이 아니란거다. 이 색안경 낀놈아!
@jsjsjdjeek3 жыл бұрын
@@royalpudding 맞아 이 사람앙!
@慣性ドリフトうひょおおお3 жыл бұрын
@@쇼콜라-k2u 그 잡음을 없애는게 중개인이다
@박수지-j6i3 жыл бұрын
집매매할때 이야기 하는게 맞는듯요
@굳세라윤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매매든 임대든 미리 얘기 하는게 맞죠
@너울-i4q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 지금 저 집 구매자는 사기당한 기분이지 . 집을 보러갔을때 구조랑 빌트인 인테리어 구조를 보고 계약한건데 . 그땐 아무말없다가 도장찍고나니깐 빌트인가구를 뺀다고 ? 처음부터 확실하게말해야지 . 그럼계약 못맺거나 그만큼 감가될까봐 암말안하고 계약한 악질임
아파트(또는 오피스텔)라면 분양 당시 상황을 기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비로 설치한 인덕션을 가져가려면 그 자리를 원상복구(가스렌지 등으로) 해야 합니다.
@bo9120022 жыл бұрын
법이 임차인들을 위해 만들어져있는데 임차인보다 임대인들이 더 빠삭하게 공부함ㅋㅋ
@bo9120022 жыл бұрын
@@jjin225 임대인 동의 여부가 중요하죠 임대인 동의없이 임차인만의 편익을 위해서 했는가? 아니면 임대인 동의 하 임차한 물건 편익을 높였는가? 그럼 매수청구권이 있을 거고요
@메모장-e9h2 жыл бұрын
진짜 중개인들은 하는 일이 뭔지 모르겠다. 저런 사소한 것들도 제대로 처리 못 하면서. 중개인이 책임 지면 되겠네. 최소한의 의무도 안 하니까 직방 다방 등장에 도태되지 ㅉ
@imjuju2 жыл бұрын
저도 몰랐는데 얼마전에 월세를 주게 되면서 알게 됐어요 계약할때 조항에 안들어가 있어서 원상복구에 대한 조항 넣어 달라고 했네요 저도 처음이라 몰랐는데 다 넣어있대서 당연한줄 알았는데 계약서 확인 잘 해봐야할것 같더라구요
@펙트체크-u8p2 жыл бұрын
@@imjuju 좋겠다 건물주
@youngsunseo98662 жыл бұрын
붙어 있던 제품이나 가구는 집주인이 계약할때 반드시 가져간다고 계약서에 적어야 된다!! 매수인이 지금상태의 집을 보고 산거지!!! 말 안한 주인이 잘못!!!
@joowon-jung3 жыл бұрын
그냥 매매 대상인 "집"의 범위가 빌트인 가구를 포함하는가 아닌가만 따지면 되는 거 가지고 뭐 이렇게 주절주절...
@조호로록-w8j3 жыл бұрын
시간 날려서 짜증났네 ㅋㅋㅋㅋ
@Qwertyu-z2d3 жыл бұрын
빌트인된것을가져간다고하니 문제지요 아까우면 그냥 살지
@Qwertyu-z2d3 жыл бұрын
전원주택에서 아파트로 이사해본사람인데 주택은 아파트와 달라서 살림이 굉장히 많고 바깥살림도 엄청 많습니다 그래서 이사오시는 분하고 놓고가는 물건 가져가는 물건 확실하게 조율이 돼야해요 그래서 제가 매매계약할때 주의사항같은거 꼼꼼히 읽어봤어요 매매계약하고 명의변경 하고나면 그어떤물건에도 손 못대요 그렇게 명시돼있었어요 그리고 상식적으로 집보러올때 미리 말을하는게맞죠 빌트인을 가져간다고하는사람은 첨보네요
@리순자-n6t2 жыл бұрын
빌트인 가구를 중간에 바꿔서 살다 팔려고 하니 문제지
@원샷스킬-s7v2 жыл бұрын
집거래하기전 집볼때 중개인이 당연히 이런부분에 조율은 끝내야 하는게 맞다. 양측에 몇마디 물어보면 끝날일을 왜 일을 키운건지 이해가 안간다. 수수료 받고 계약서 하나 덜렁 쓰면 끝이냐?
@hyunhochoi87052 жыл бұрын
빨리 처리하려고 수 쓴 것 같아요
@희망진아 Жыл бұрын
집주인은계약전에 부동산에 얘기도 안해주고 왜 입꾹닥 하고 있어요?묻지 않아도 뜯어 갈것 같음 계약금 받기전 얘길해야지
@axiiy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비슷한 일 당함. 낮에 이사하고 저녁에 불을 켜려고 보니 안 켜짐. 알고 보니 집 안에 모든 전등이 뜯겨 있었음. 전 주인이 새로 설치한 거라고 다 뜯어간 거. 집을 처음 사본거라 원래 그런가 했는데 이제보니 억울하네.
@mavelyaromi2 жыл бұрын
죄송해요 전 처음 집팔때 당연히 떼가는줄알고 가스벨브를 떼어갔어요ㅠㅠ돈으로 돌려드림;;
@함께가자-x1r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전주인이 현관 도어락까지 떼가서. . 이사가고 가보니 완전 어이가 없었슴ㅠㅠ
@HKkimdo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매매 계약을 할때 계약서에 이런 이런 내용을 반드시 기입 해야 합니다
@South.Korean2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
@giannakim1192 жыл бұрын
집 팔때 더 비싸게 팔면 되는거지. 새로 설치한 빌트인 가전제품이다 하고 집 보러 온사람 한테 설명하고, 돈 몇백 더 받음되는거지. 몰 설치한걸 다시 빼. 답답하네.
그런걸 협의하라고 있는게 계약임ㅋ 싹다 가져가고 후처리 안하면 그만큼 인테리어값만큼 집값을 싸게 내놓아야 집을 사겠지ㅋ
@김태률-m8g2 жыл бұрын
@@준혁-e7g 맞음..첫구매라면 잘모르기에 그래서 중개사가 먼저생각해주고 집주인이 이야기를 해줘야하는 부분임..
@eunlee635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부동산거래에 시스템을 미국처럼 바꿔야할듯요. 모든 사항들을 계약서에 명시해야합니다. seller's disclosure 라고 집파는사람이 모든걸 명시하고 집사는사람과의 협의가 최종싸인히기전에 이루어져야합니다..ㅜ
@Cindymungmung2 жыл бұрын
보통 미국서 이사할 땐 냉장고 세탁기 드라이어는 기본인데 저희는 집 살 때 에어컨,냉장고, 디시워셔, 오븐, 세탁기 드라이기 다 있었어요. 팔게되면 이사올 집이 본인 것이 있다면 우리가 가져가고 본인들이 하겠다 하면 가구라도 놔두고 오기도 해요. 팔아놓고 떼어 가겠다는건 문제가 있지 않나요?
@안기오-p5x2 жыл бұрын
부동산 중개인이 하는 말이 옳아요! 매수자 입장에서 그 상태대로 넘겨준다는 암묵적 조건이 있어서 계약한 것이지, 계약 끝나고나서 이것저것 떼가겠다 하면 매수자는 뭐가 됩니까. 원래는 협의도 어려운 일인데, 그래도 서로 오해를 줄이려고 협의해 보라고 .. 중개인이 잘 처리 했네요. (매매계약) 사전 협의가 아니라 사후 협의지요. 매수자가 협의의 취지대로 일부는 동의해 줬네요. 현재 주인이 아쉬운 사후협의지요. 그 정도면 적당하네요. 계약 전이었으면 그 집값에서 차감되지요. 물건들 뽑아가겠다는데 .. 새 주인이 해야 될 것 아닙니까.
@초식곰-m9v3 жыл бұрын
계약하기전 미리 고지했으면 내꺼 아니면 통채로 새입자꺼 끝
@come-0n3 жыл бұрын
10분이 10초가 되는 매직
@졸귀탱-f7m3 жыл бұрын
같은생각요
@신경숙-d4d3 жыл бұрын
맞어
@michael_k92 жыл бұрын
부동산 중개인도 잘못한거같은데요. 전부 빌트인 집주인과 의논해서 알려주고 부동산계약할때 계약서에 빌트인가전 품명까지 요즘 월세든 전세든 매매든 다알려주고 기록해주는데...저건 부동산중개인잘못아닌가???
@은은-b6h2 жыл бұрын
사전에 얘기안함 중개사도 모르겠죠
@myaomyao4372 жыл бұрын
두고 가는 게 너무 상식이라 상상도 못했겠지. 계약서에 안적혀 있다고 보일러 떼가겠다고 하는 사람 없잖아.
일도 손해 보려 하지 않는 이기심과 무지함에서 오는 생각이다...집을 구매한 사람은 구매당시 빌트인이 되어있고 고쳐져 있는 집을 구매한 거고, 집을 팔아야 할 경우 쉬운 매매를 위해 일부러 리모델링해서 파는 경우도 많은데... 집을 팔아놓고 빌트인 가구를 가져 가겠다니...상식에서 너무 먼 요구....
@11_Gaius_Julius_Caesar2 жыл бұрын
일단 법적으로 집주인이 개별적으로 사서 붙인 인덕션 기기들은 집주인 소유가 맞습니다. 해당 기기를 넘기려면 집 가격에 해당 기기값을 붙여서 같이 팔던가, 해당 기기를 제외한 휑하게 되는 부분을 잘 설명한 세일가로 구별해서 부동산을 판매를 해야 합니다.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거래하면 사기죄가 성립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져갈 부분 모두 초 정밀하게 계약서에 잘 적어두셔야 사기가 안 됩니다. 제대로 안 보고 구매하는 상대가 띠어가는 사실을 모른체로 이사를 감행했다면 100% 사기가 되겠죠. 이런걸 방지하기 위해 공인중개사를 이용하는 건데..., 초짜인가 봐요? 일을 제대로 안하네요? 그리고 세든 집 이사랑 집 구매랑 혼동하시는 사람이 많습니다. 차이 설명합니다. 세든 집 즉 월세방인 경우엔 들어올 때 그대로 해놓고 가는 것이 정상이지만, 자가집으로 구매되는 경우엔 복구할 의무가 없습니다. 옵션으로 띠어져 갈 것과 추가로 가구나 기계 구매를 따로 정해야 합니다. 자기 소유의 집 구매는 남의 집에 세드는 것과는 다릅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간단한데요. 해당 집의 소유권이 없기 때문입니다. 소유권이 없는 집에서는 들어올 때 그대로 복구를 하지 않으면 집에 대한 재물손괴죄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원상복구를 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집 소유권을 이전받는 집 구매인 경우엔 재물손괴죄가 절대 발생하지 않으므로 옵션으로 기기값을 추가로 물어 구매하던가 다 띠어가도 되며 심지여 집 수리를 안한 똥집 상태에서 구매도 가능합니다. 대신 이러면 집의 가격을 후려쳐 싸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항의 경우엔 집 가격만 적용되어 있지 기기값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사전에 구매자와 재 계약을 해야 합니다. 1. 기기값을 추가로 더 내고 기기까지 다 구매하던가. 2. 기기값을 내지 못하겠다면 집 계약을 해지 하던가 선택해야 합니다. 제대로 설명되지 않고 만약 이미 이사가 서로 완료가 된 경우엔 구매자가 기기값까지 포함인데 판매한 전 집주인이 이걸 무시했다면서 사기로 민사소송을 걸 수 있습니다. 기기값 만큼의 손해배상이 나오는 상황이 오게 될 수도 있으니 집 판매시에는 이걸 잘 봐야 합니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중개인이 일을 못해서 생긴 일입니다.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아마추어처럼 계약을 중개했으니까요. 집 판매자는 나는 제대로 설명했는데 중개인이 빼먹은 것이라고 우기면, 결국 법정에서 판결이 나오기를 모든 책임은 중개인이 전부 다 져야 합니다.(즉 중개인이 해당 손해배상금을 다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함)
@tsjun93034 жыл бұрын
매매 계약시 주택의 현상태를 기준으로 계약을 한건데 너무나 상식적이고 당연한거 아닌가? 만약 빌트인 및 옵션등을 해체해 가져갈려면 미리 계약때 명시를 했어야 하고 협의를 했어야 하지.
@BBB-ti9hg4 жыл бұрын
아니지 원래설치되어잇던걸 다시 복구해놓는게 맞는거지
@소최4 жыл бұрын
아니죠설치되어있던걸다시들여야죠
@이빠이-h5l4 жыл бұрын
그건 계약서를 봐야 알죠..
@박세진-l4h6l2 жыл бұрын
이건 계약 위반이지..애초에 팔때 빌트인된 제품은 가져간다 라는 걸로 매매 올렷으면 공인중개사도 고지를 햇을껀데...
@뭥미-e2l4 жыл бұрын
"된다 안된다" 결론 부터 말해라.. 질질 끌지말고..
@아이릭-l1z4 жыл бұрын
영상 10분 넘겨볼라고 질질질질질 ㅋ
@rlaqudrjs124 жыл бұрын
알아서 해라
@Turn_off4 жыл бұрын
영상 마지막에 정리해주네.....빌트인은 사전에 철거해 가겠다 말한게 아니면은 사는 사람에게 넘어가는거다 라고.......아무말 없이 팔고 떼가는게 양아치네....
@hjmsoccer94 жыл бұрын
이게 처음부터 얘기해야하는거아닌가? 집을보여주면서 이거이거 포함입니다 또는 미포함입니다
@jmt54702 жыл бұрын
계약때 협의본거아니면 그대로 놓고가야함
@Lee-ro2rq2 жыл бұрын
빌트인으로 설치되어 있는건 그대로 놔두고 가는게 옳은것 같고, 빌트인이 아니고 개별적으로 떨어져 있는 가전제품은 가져가는게 맞습니다. 빌트인을 떼어내면 그자리는 다시 메꾸기가 어렵고 씽크대를 다시 설치해야할 경우가 있어요. 요즘 새로 분양하는 아파트에 옵션으로 선택해서 설치하는 가전제품과 마찬가지입니다.
@무한자유-p1q2 жыл бұрын
이게 상식이죠 다만 계약때 서로 꼼꼼히 확인해야합니다
@김민석-s4m2 жыл бұрын
빌트인 가전 다 개별적으로 떨어져요 ^^ 못이나 나사로 박은게 아닙니다.
@섭섭이-k8r2 жыл бұрын
@@김민석-s4m굳이굳이 내가 그 사이즈에 맞춰서 구매하고 설치해야 하잖아요..^^ㅋ
@Lee-ro2rq2 жыл бұрын
@@김민석-s4m 계약할때 미리 떼간다고 했다면 계약을 안했을수가 있고, 대부분 빌트인은 부착물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매매가에 영향을 줬다고 생각됩니다.또 그런 빌트인 가전이 있기때문에 매수를 결정했을수도 있기때문에 떼가는건 어려울듯 싶네요
@Yunn.__.W122 жыл бұрын
@@섭섭이-k8r 하시면 되잖아요
@fireball8903 жыл бұрын
처음 계약할 때 정했어야지 안 그러면 붙박이는 못 가져감
@레드메이플아저씨2 жыл бұрын
계약전에 미리 말을했어야지 집을 산사람은 당연히 그것도 포함해서 집가격을 생각했을텐데 누가 빌트인을 따로 가져간다고 생각하겠어?
@ggururu2 жыл бұрын
그게 왜 당연한지 모르겠네
@레드메이플아저씨2 жыл бұрын
@@ggururu 부동산계약에서 그런것들을 미리 말하는게 당연한거다 부동산거래 안해봤으면 그냥 조용히 입다물고 지나가라 잼민아 아이디도 중2병처럼 지었네
@ggururu2 жыл бұрын
@@레드메이플아저씨 첨부터 확실히 말안한 사람, 다 포함인지 안물어보는 사람 둘다 잘못인거지 너야말로 계약은 커녕 집구경도 안해봤니? 구경하는집만 가도 이것,저것 물어본다 이것도 포함인지 그냥 꾸며놓은건지. 세상에 당연한게 어디있누? 니생각대로면 집주인입장에서보면 지돈 주고 샀으니 가져가는게 당연한거 아니겠냐? 내가 주고가면 고마운거고 아님 마는거지. 거기다 맘에 안들거나 후졌으면 오히려 안쓰니까 처분해달라했을거 아냐? 내가 처분하면 돈들거나 번거로워질텐데?
@ggururu2 жыл бұрын
@@레드메이플아저씨 지는 닉이 메이플아저씨면서ㅋㅋㅋㅋㅋ잼민아 법으로 문제가 없는데 뭣도 모르고 당연하다고 씨부리고는 바로 발작하냐?
@레드메이플아저씨2 жыл бұрын
@@ggururu 니만 그렇게 생각하고 살아라 다른 사람들 다 당연한게 생각하는데 혼자 아니라구 우기고 자빠졌네
@LE_SSERAFIM2 жыл бұрын
미리 말했어야지. 고지 여부의 문제임.
@johnkim97222 жыл бұрын
미리 말하고 원상복구하면 문제 없음 미리 말안했으면 문제됨 근데 웃긴건 입주때 받은 빌트인세탁기 우린 빌트인안하고 밖에 놔두고 그자리는 서랍으로 만들어놨는데 중개인이 자꾸 놔두고 가라고 생 ㅈㄹ 하더군요 매수인이 봤을때 그대로라 우린 그럴의무없다했어요
@young-fj3ej3 жыл бұрын
빌트인 이면 매매 계약 이전에 매수자에게 미리 고지하지 않으면 나두고 가는게 맞습니다. 이게 기본 상식 아닌가?
@폐지주워기름값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애초에 집볼때 얘기해야함
@Qwertyu-z2d3 жыл бұрын
말을 안했다는게 황당하네요 이사경험이 없었나보네요 가져가는건 집주인마음이죠 하지만 계약을 했다면 말이 달라지죠 저것을 가져간다고했다면 계약을 안했을수도 있잖아요 너무 얌체같네요
@josepina20203 жыл бұрын
아니면 맨처음 가격을 책정할때 빌트인을 뺀가격을 책정하고 고지해야합니다.
@raraland10042 жыл бұрын
빌트인을 가져갈 생각이 첨부터 있었다면 집을 내놓구 집을 보러오셨을때 오래 살아서 고장나고 낡아서 내가 다 구입을 해서 바꾼지 얼마안되었으니 가져가고싶다 미리 양해의 말씀을 먼저 하시는게 순서 아닌가요 . . 😅 그럼 그때 서로 돈을 맞춘다거나 했을텐데 . . 이제와서 그럼 새로 매입하신분은 본인만 손해라고만 생각하시는게 당연할듯하네요 . . 미리 고지 못하셔서 오해의 여지를 주셨으니 본인들의 잘못인듯해요 ~ 어쩔 수 없네욤 ~ 😰
@Komiopa3 жыл бұрын
캐나다 사는데요, 여기서는 되게 간단한 일이고 답이 정해져 있는 내용이네요. 빌트인은 다음 집주인과 딜을 합니다. 집 가격과는 별개로 중고시세로 딜을 해서 오케이 하면 파는거고 아니면 가져가요. 본인이 가져가고 싶은 경우엔 그냥 가져가면 되고요. 대신에 집을 거래할때 빌트인이 포함인지 아닌지 명시합니다.
@jasonkim97512 жыл бұрын
간단한 일을 잘못알고 계시네요. 캐나다 20년 살면서 집 3번 사고 팔았는데, 기본적으로 빌트인도 집값에 다 포함입니다. 포함을 안하려면 컨디션에 명시를 해야합니다. 간단하게 얘기해서 집을 뒤로 뒤집어서 떨어지지 않는 물건은 집 거래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택도 주택이지만, 요즘 캐나다 최근 콘도 냉장고가 빌트인 아닌데 있나요?
@Komiopa2 жыл бұрын
@@jasonkim9751 제가 쓴 글을 잘 읽어보시면 같은 얘기를 하시는걸 알수 있으실겁니다.
@DDDDTTTTDDDD2 жыл бұрын
캐나다도 도시와 시골이 다른갑네
@msaquarius04154 жыл бұрын
내가 산건데 빌트인이라고 소유권 주장을 못한다고? 건물 매매 할때 가전가격 빌트인설치 가격 추가해서 판것도 아닌데? 다만 입주할때 있던대로 복구는 해놔야지
@supyoo4 жыл бұрын
근데 중고차량을 팔때 차량을 개조한 부분 다 떼고 프레임만 파나요? 본인이 사용하던 개조내용을 모두 포함해서 그 전체를 파는게 중고판매아닌가요? 살던 집 또한 중고판매인데 이걸 판다고 하고 집을 보러 왔을때 보러온사람들은 이동식 가구가전은 다 나간다고 판단하지만 누가 빌트인이 없어질꺼라고 판단하고 집을 삽니까? 애초에 계약할때 모든걸 논의하면 좋겠지만 그게 안되었다면 집에 '설치' 되어 있는건 안가져가는게 기본이죠. 집이라는건 내일 바로 들어와도 살수 있어야지 가스, 수도, 전등 같은걸 빼가는경우는 없죠. 이경우는 빌트인이라고 무조건 소유권을 주장하는건 이상해보입니다.
@요한클라우저2세4 жыл бұрын
@@supyoo 중고차량의 비유는 좀 다른거 같습니다 중고차량같은 경우는 개조하면 차량가격이 하락합니다
@supyoo4 жыл бұрын
@@요한클라우저2세 무슨 소립니까? 모닝 1억 튜닝하고 팔면 중고가격이 순정1000만원 입니까? 아니면 5천만원 8천만원 받겠습니까? 보스스피거 16채널 단거 보고 사는 사람이 그 개조비용을 안쳐준다고요?? 집도 올 수리 하면 2천 정도 더 쳐주는데 애초에 그건 수리 보고 쳐주는거고 계약 후에 내가 돈들여서 빌트인 한거라고 결로방지 수리 이딴거 다 떼어가면 계약 위반이죠. 차도 현재 상태 그대로 보고 하는건데 계약 다 한후에 내돈주고 들인거니 순정으로 돌려주겠다 하면 사기죠. 애초에 산사람은 장착된거 보고 전체적으로 평가한건데.
@seungjaeyoo98144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경우 튜닝비용은 중고차 매매시에 적용안되요. 외제차에 만소리나 브라부스 급으로 튜닝한거나 특수 사용 목적으로 튜닝한게 아니라면 말이죠. 그래서 차에 고가의 스피커를 설치하는 경우에 원복하고 파는 경우 많아요.
@JOOOOOONG4 жыл бұрын
@@supyoo ㅋㅋㅋㅋ중고차 매매안해보신듯
@그랬나봐-v7g4 жыл бұрын
입주시 기본 옵션으로 원복해놓을거 아니면 놓고가야지
@하얀민들레1234 жыл бұрын
원상 복구가 맞다
@데네볼라4 жыл бұрын
계약할때 그 이야길 안하면 그것도 세로 들어올 사람은 뒤통수겠죠. 자기는 빌트인 된거 다 포함인줄 알고 계약했는데, 바뀌어있으면... 원상복구든 뭐든 일단 계약할때 이야길 했어야 하는거죠.
@박빠따-i5b4 жыл бұрын
원상복구해도 안된다잖아 ㅡㅡ
@80층오페라하우스4 жыл бұрын
근데 원복했을시 살때의 느낌이 안나기 때문에 집계약안했을수도 있지않을까요? 영상에서 이야기한것처럼 집주인이 내가한거라 이거는 가져가겠습니다라고 계약이 된거면 상관이 없을텐데, 빌트인이라 뜯어가면 공간이생기고 거기에맞는 가구나 가전주문해야되서 그사람도 계약시 생각을해볼텐데 당연히 말없으니 두고간다고 생각하고 그 집전체 인테리어를보고 계약을했겠죠. 원상복구를 해놓는게 아니라 팔기전에 원상복구하고 집보여주는게 아니면 팔고 원상복구는 의미없다고 보여지네요
@화양연화-j7w2 жыл бұрын
계약전 매매 가에 포함된 옵션과 불포함된 품목도 리스트로 정리해서 삼자가 함께 다 체크하면서 계약을 진행하시면 서로 뒷탈 없죠 .. 저는 처음으로 집을 부동산에 내 놨을때 집 내부 동영상 촬영부터 집 값에 포함된거랑 제가 가져갈거랑 심지어 소품(예 : 샹들리에 ,카페트, 이중 커텐 등등)디테일 부분 까지 다 명시를 해서 부동산에 넘겼어요 .. 집 사는 사람 참고 할 수 있게 ..
@따구깡-g8f4 жыл бұрын
MC들이 사설이 기네 답답 팩트만 짚으라
@smileyface0011312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앞에서 한말 되풀지 않고 답만 알려주면 2분영상이 될거를..
@SexyGuyK4 жыл бұрын
이사람들은 말을 길게해야 돈을버는 사람들이라 ㅋㅋㅋ 이해해줘영
@JM-sf1fq4 жыл бұрын
jtbc패널들 좀 답답함
@yb80284 жыл бұрын
정해진 시간이 있겠죠 ㅎㅎ 조절하는건 mc고 다른 유사한 사항이나 주의사항을 했으면 좋았을꺼 같다는 생각...ㅎ 시사하는애는 처음 사설 왜 하는지 저도 이해 안됐음 ㅋ
@7534 жыл бұрын
원래 좌파들은 쓸데없이 말이 김
@시로-q6u4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 아냐.!? 빌트인 다가져간다면 누가 계약하냐... 그럼 계약하기전에 이야기하던가....
@이런-o5h4 жыл бұрын
기기자체는 동산으로 취급 될 지라도 빌트인은 이미 설치된 이상 해체하면 그 기능을 잃기때문에 부동산 취급인데 기기가 없으면 빌트인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니까 문제가 될듯 만약 가져간다면 그 기능을 원상복구시켜야 하는 의무가 생길듯
@user_curiosity2 жыл бұрын
이건 빌트인이냐 아니냐 이게 아니라 계약 당시와 말이 바뀐게 문젠거지.
@sungpark36752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쓸때 당연히 얘기하고 기재했어야하는 사항
@kyuri04174 жыл бұрын
집보러왔을때 미리 말하지...
@rokseong39844 жыл бұрын
계약서를 작성할때 미리 협의가 되어야지요. 옵션 얼마..그러나 이미 사용한 것이므로 감가삼각비를 계산해야지요.
@김미경-x4b5z4 жыл бұрын
인덕션도 떼어가고 번호키도 떼어가고 이사짐 들어갈때아랐어요ㅋㅋ
@rlaqudrjs124 жыл бұрын
집주인이 나쁜거죠 뻔이 알면서 속인 겁니다
@박경희-l1o4 жыл бұрын
보여주기식,쇼 윈도우를 하셨네! 참,무서운 세상! 앞으로는 꼬치꼬치 따져보고 사야겠네!
@_days96434 жыл бұрын
처음 있던 빌트인 가전 가구 들을 다 때버리고 본인 사서 넣어놧으면 이사 갈때 처음 있던 빌트인 가전 가구들 다 복구 시켜놓고 본인이 구매한 가전 가구 가져가면되고 처음 있던 빌트인 가전 가구가 없으면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해야지 그리고 계약전 상세하게 설명을 해야지
@강서구까치산4 жыл бұрын
내집내가삿는데 빌트인에있는전자기기도 다내꺼아님?? 왜복구해야하죠?? 인테리어내가해놧어도 난 처음분양받을때인테리어좋으니 복구하고가세요라고하나요? 매매인데?
@_days96434 жыл бұрын
@@강서구까치산 처음에 시공사에서 설치한 빌트인 가전가구가 있던거라면 당연 시공사가 건축한 건축물에 포함이니 그건 복구가 맞고 집을 구매 했는데 빌트인 가전 가구 자리만 있고 없어서 내가 구매를 했다면 본인이 가져 가는게 맞음 근대 저 뉴스의 영상에는 처음부터 건축물에 포함된 빌트인 가전 가구를 본인 마음대로 바꾸고 복구 해야될 가전 가구를 버려버렸으니 저 빌트인 가전 가구를 놓고가던 본래 있던 가전 가구 보상금을 내던 해야 한다는거임
@_days96434 жыл бұрын
@@강서구까치산 그리고 매매당시에 현 시설물 상태로 매매 계약을 하니 빌트인 가전 가구를 옵션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으니 처음 매물을 내놓을때에 이를 분명히 명시를 해야 하고 빌트인 가전 가구가 있었던 건축물인 경우 본래 있던 빌트인 제품을 복구 해놓는게 맞는거죠
@겁쟁이-e7p3 жыл бұрын
@@강서구까치산 빌트인의 개념 좀 알아보고 와야되겠어요~~ 무식해서 그런 게 아니라 몰라서 못 배운 거라고 생각할게요!! 빌트인이랑 원상복구라는 개념부터 이해하고 영상 보시길...
@강서구까치산3 жыл бұрын
@@겁쟁이-e7p 말똑바로해 몰라서 못배운게아니라 못배워서 모르는거아니냐? 너나 문법을 다시 배우고 와라 무식하면답도없고 입도거지같다더만 너보고하는소린가보다
@마철수-u3l2 жыл бұрын
빌트인을 가져갈거면 계약서 쓰기 전에 말했어야지
@williamkim77232 жыл бұрын
이건 판매자가 잘못한거 같은데? 빌트인이라는건 집에 붙여놨다는거고, 그럼 당연히 집에 포함된 옵션이라고 보는게 상식적이지. 입주할 때 돈 들여서 벽지 새로 발랐다고 이사갈 때 그 벽지 때서 가져가나? 아니잖아. 집을 구매하는 사람도 빌트인은 집에 포함된 옵션이라고 생각하는게 당연한거지, 저걸 문제삼으면 집 사는 사람은 집 살 때 집주인한테 "벽지 때가실 거에요? 전등 뽑아가실 거에요? 마루 장판 뜯어가실거에요?' 하고 물어봐야 하나? 아니잖아. 만약 자기가 빌트인 가전을 가져갈거라면 애초에 중계인한테 미리 그 부분을 고지 했어야지. 집 계약 다 해놓고 이사갈 때 되서 빌트인 가전은 때가겠다? 이건 그냥 계약 사기임. 밑에 다른 댓글 단 사람이 비유 기가 막히게 해 줬는데, 중고차 살 때 너무 마음에 들어서 구매 결정했더니 갑자기 중고차 판매자가 "이 차 타이어는 내가 신경써서 골라서 원래 있던 타이어랑 교체한거니, 타이어를 빼고 차를 인도하겠다"라고 하면 그게 말이 되겠냐?
@RealtimePain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집보러 갔더니 집주인이 식세기 자랑하면서 '이건 좋은거라 집 사실때 가격에 따로 포함시킬거에요' 강조하던데 어찌보면 그게 현명한거네. 근데 집 후져서 안살거였는데 TMI였음...
@일취월장-v3t2 жыл бұрын
집을 빌려온 임차인 경우에는 본인 비용 설치한 경우 떼어 갈 수 있지만, 소유자가 설치한 경우 빌트인은 통상적으로 두고 간다 그러나. 매도 매수인 서로 고지하고 협의 해야 한다.
@NeoSpell_RubyDrag3 жыл бұрын
부동산 중개인이 미리 확인해야 될 내용을 확인하지 못한거 아닌가? 중개인이 그런것들도 확인안하면 하는일이 뭔가.
@김현우-t6b3 жыл бұрын
중개요
@김나도몰라3 жыл бұрын
중계인은 그냥 중계수수료만 받으면 그만인듯.
@안기오-p5x2 жыл бұрын
붙박이물건은 안 떼어간다는 것이 상식이고, 원칙이지요. 중고차 매매할 때, 애지중지하던 카스테레오 떼어갈 것인데, 매매계약할 때 아무 이야기 않으면 '안 떼어간다는 상식'으로 알지요. 이러면 고의로 이야기 않은 것이 증명되면, 절도죄가 될 수 있습니다. 비상식적인 일을 하려거나 변칙 사항은 설명의 부담을 당사자가 져야 온당합니다. 이런 의무 없으면 .. 집을 정상적으로 암묵적 상식에 입각해서 매매했는데, 이사하려 봤더니 기둥과 바닥만 남기고 뜯어가도 된다는 어처구니없는 몰상식한 사건들이 잦게 됩니다.
@희망진아 Жыл бұрын
입주때 있던건 말할 필요도 없이 그대로 두고 가는데 저건 계약시 특약으로 서로 얘기가 되서 적어야죠
@이병찬-i7o2 жыл бұрын
자기가 설치한 빌트인가전, 가구를 가져가려면 원래 분양받을때 있었던 주방가구와 동일한 가구를 설치해 놓고 가져가면 된다.. 하지만 그냥 두고 가는것은 원상복구 하는것이 더 비용이 많이들 수 있기때문인 것이다.. 결국 주택의 기본시설물을 떼어가려 하는 발상이 문제있는거 아닌가?
@tv-ph4uv2 жыл бұрын
개소리, 물건을 보고 계약한건데 전에 것 달아도 계약해지 2배 배상해야 함.
@어우르스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분양할때 옵션이야
@stellar20152 жыл бұрын
집보러오면 물어보던데 가져갈꺼냐 두고 갈꺼냐. 또 내가 설치한건 원상복구하거나 보상하고 가라던데.
@ggururu2 жыл бұрын
분양할때 그거 다 포함 내돈주고 몇억주고 산거잖아ㅋㅋ그거 다 버리던말던 뭔상관 이미 돈 다 주고 매매한거잖아?
@dogyunkim9662 жыл бұрын
@@ggururu 이게 맞음 몇억주고 사서 쓰고 집을 파는거지 가전을 파는게 아니잖음... 왜 쓸때 없이 가전까지 꽁으로 먹을라는 심보가 문제인거임 집을 사는거지 꼬우면 중고 사지말고 새집분양받는게 맞는거
@nameless-oj1ze3 жыл бұрын
처음 이사올 당시 설치되어 있던거 원위치에 다시 복구해놓고 사비로 설치한 걸 가져가면 됩니다 아니면 집주인이 적당히 가격을 흥정해서 놓고가게해야죠
@@김미경-x4b5z 원래 번호키는 전 주인이 두고 가면 좋은거구 안두고 가도 어쩔수없는거죠.. 열쇠키로 복원되있는거니까요..
@김미경-x4b5z4 жыл бұрын
@@chorongp6103 그냥 열쇠만 받아가면 다행이죠^^ 사정이 있어서 다른지역에 있는데 벽지아저씨께 열쇠를 드릴수없어서 부동산에 찾아가라 마라 씽크대아저씨께 열쇠 부동산에 맞겨라 부탁하고 나중엔 얼굴도 못본 경비아저씨께 부탁하고 이게 무슨 짓인지 미리말해줬으면 번호키를 어떻게일찍 했을텐데 쩝
@Daa_aan2 жыл бұрын
이걸 이제서야 보네. 빌트인은 아니지만 작년에 딱 저랬는데. 집주인이 이사당일에서야 가스렌지부터 거실전등까지 다 떼감 ㅋㅋㅋㅋㅋㅋㅋ 인덕션 지들이 샀고 거실전등은 선물 받았다고. 도어락 고장난 것도 당일에 말함.. 계약전에 말해줘야하는 거 아님??? 그래야 미리 준비를 하고 이 가격이 저걸 뺀 가격이구나 알수있는거고. 덕분에 우리는 며칠을 전등과 가스없이, 현관 잠금도 없이 지냈다ㅎㅎㅎ 빌트인 떼갈수있다 나도 떼갈거다. 근데 집 보러 온 사람한테 여기서 이거이거는 가져갈거예요라고 무조건 말 해야 맞다
@환타맨-g4d2 жыл бұрын
떼간거 복구는 해줬나요?
@Daa_aan2 жыл бұрын
@@환타맨-g4d 부동산에서 도장 다 찍은 후에야 말해가지고 중개인이 전등값이라도 줘라 이래서 그나마 10만원 돌려받았습니다..ㅎㅎ
빌트인은 당연히 부동산에 소속되어 있다고 봅니다. 확인할 필요 없어요 딱히 말이 없다면 당연히 놓고 가는겁니다. 뭐만하면 다 중개인 걸고 넘어짐.
@alice6283 жыл бұрын
계약전 미리 고지 안하면 사러온 사람은 당연히 놓고 간다고 생각할거같음..사는 사람은 빌트인 있는거 까지 생각해서 사는거니까..
@무한행복-n6r2 жыл бұрын
계약 당시에 말을 안한게 웃기네 ㅋㅋ 여기 댓글들 보면 빌트인의 개념을 모르는사람이 많네... 여긴 모델하우스 보여주는경우가 아니잖아 ㅋㅋ 살던집을 구매하는데 당연히 보러와서 빌트인가전 다 봤을텐데 ㅋ 누가 그걸 가져갈거라고 생각하냐 ㅋㅋ 만약 빌트인 다 뺀다고 했으면 뭔가 조치라던 그만큼의 금액을 빼달라고 했겠지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