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에 가입하여 실무 엔지니어링 정보를 얻으세요! / @nicksengineering NIXMARS 공식 강의 사이트 : nixmars.com/ Email : nickleetv2000@gmail.com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 카카오 오픈채팅방 : open.kakao.com...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 네이버 카페 : cafe.naver.com...
Пікірлер: 12
@Arthurmorgan5549fnfj4 ай бұрын
새벽에 열전달 공부하는 와중에 강의보고 글 남겨요. 영상이 잘생겼고 닉스님이 유익합니다.
@NicksEngineering4 ай бұрын
영광입니다
@bkkk30002 ай бұрын
닉님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여 제 댓글을 보시게 된다면 진로 방향성에 대한 조언 하나만 부탁드립니다. 저는 대기업 건설사 H사에서 3년 좀 넘게 주택 전기시공직무로 근무했습니다. 해당 직무로 프로젝트 전체 사이클을 한차례 경험하고나니 주택보다는 플랜트사업이, 시공직무보다는 설계직무가 좀 더 적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사내 직군전환에 한계가 있어 타사 직무전환이직을 준비중입니다. (주택사업자체가 건축이 주가 되기에 한계가 분명히 존재했고, 시공 직무는 엔지니어로서 한 분야에 기술적 전문성을 쌓는 것 위주가 아니라 협력사들 사이에서 프로젝트가 잘 굴러가도록 교통정리하는 역할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아 아쉬웠습니다. 또한, 대학 때 에너지자원공학을 전공해서 오일,가스플랜트, 발전플랜트를 배우며 흥미가 있었고, 해외이슈에 관심이 많고 개인적인 강점인 영어를 직무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싶었습니다.) 주택전기시공경험 3년으로 플랜트전기설계 경력직 이직은 현실적으로 합격률이 없을 것 같아, 직무 공부 병행하면서 해당 직무로 신입지원을 해보려합니다. 나이, 경력때문에 대기업 신입은 힘들겠지만 일단 열심히 원서는 넣어보고 괜찮은 중견,중소기업 입사 노려서 직무경험 쌓으려하는데 제가 방향성을 제대로 잡고있는 것인지 현업에 계신 선배님 입장에서 의견을 주실 수 있을까 합니다. 이상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NicksEngineering2 ай бұрын
결정과 책임은 본인이 져야한다는 것은 아시리라 생각하고 제 생각을 말씀드립니다.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한국에서 플랜트 수주 경쟁력이 약합니다. 따라서 엔지니어 수요가 주택 보다는 적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술력으로만 본다면 시공 보다는 설계업무가 조금 더 기술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당연히 주택 보다 플랜트에서 전기분야가 더 전문적이고 범위도 광범위 해지며 배울 것도 많습니다. 저라면 본인께서 생각하신대로 행동으로 옮기거니, 주택 쪽에서 설계분야로 옮겨서 커리어를 약간만 피봇 할 것 같습니다. 신입으로 다시 입사해서 힘든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한 각오가 쉽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길게 보았을 때, 회사 생횔하면서 억지로라도 영어를 접하는 환경에 속해있고, 기술을 배워 놓으면 10년 정도 이후에는 자신의 기술을 어떤 형태로든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bkkk30002 ай бұрын
@ 조언 감사합니다 새겨듣고 잘 준비해보겠습니다.
@jey6883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Diamonds-rl2yy4 ай бұрын
와 꿀팁
@모쿠슈라-x5k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닉스마스님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닉스마스님 영상을보며 공정설계 직무에 관심이생겨서 그러는데 제전공이 화공전공자가 아닌데 코피아 플랜트교육이나 건설산업교육원 공정 교육을듣고 공정설계 직무로 취업 할수있을까요??? 플랜트 회사에서 전공자가 아니면 설계직무는 뽑아주질않나요??? 제전공은 안전공학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