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관한 가장 어이없는 착각 (이주량 박사, 남재작 소장)

  Рет қаралды 170,729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2 жыл бұрын

#농업 #식량
📢언더스탠딩 특강시리즈 1탄,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강의가 출시되었습니다.
이철 박사가 5시간 압축 강의로 전하는 진짜 중국 이야기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시진핑의 계획과 중국의 변화를 한발 앞서 만나보시죠.
👉 apps.3protv.com/3pro/home/lec...
📢 텍스트로 핵심정리 '삼프로TV 하이라이트', 네이버에서 검색하세요.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443
@MH-ek6jb
@MH-ek6jb Жыл бұрын
농업의 성장이 없었다면 제조업은 압축성장도 힘들었다는 이야기 정말 허에 찔릴 정도로 좋았습니다 그리고 모르는 사람을은 흑백 논리로 자꾸 이야기 하는데 절충 논리가 필요해 보이내요 예를 들어 식량주건을 반드시 지켜야한다 안해야 한다가 아니라 최소 몇프로 정도는 지켜야 안전하다 또는 어떤방식으로 지켜야한다는 방안적 제시가 더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user-jx7xo9vx7j
@user-jx7xo9vx7j Жыл бұрын
하드웨어적인 농촌지원 예산이 문제입니다. 예를들자면 비닐하우스를 짖는데 50% 지원이 나옵니다. 실제로 자체제작하려면 60~70%면 충분합니다. 50%지원사업이다보니 100% 이상으로 가격이 형성됩니다. 결론은 30~40%는 눈먼 돈이 되는게 현실입니다. 하우스만이 아니라 각종 농기계값도.. 거름도.. 비료도.. 지원사업으로만 지정되면 그 만큼의 가격이 오릅니다. 이런게 문제일 듯 싶습니다.
@tranqui57
@tranqui57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보조사업의 문제는 항상지적되어 왔죠. 그렇다고 지원을 안해줄 수 없는 노릇이고.. 지금 농촌에 있는 분을을 위해서도 농업쪽 지원은 있어야 하나 가끔은 과도할 정도로 지원이 많은 부분도 있는건 사실입니다. 딜레마입니다
@user-xc1lf9fc2xx
@user-xc1lf9fc2xx Жыл бұрын
부가가치라고 생각되기도 하고, 공무원의 능력이 부족하기도 하고... 농촌 지원예산 사업을 위해... 엄청난 서류, 허가 관련 작업을 해야 하니... 비용이 증가하는 측면도 있어서...
@OI-np8bk
@OI-np8bk Жыл бұрын
다른 관점에서 한번 생각해 볼까요? 자체제작 시스템이나 체계적 기반이 있다면 좋겠죠. 공장 제조업 사장님들은 큰돈이 되지 않으면 접근을 할까요? 무분별한 혹은 일괄적으로 지원정책도 문제이긴 하나 이런 정책이라도 나이드신 농부입장에선 비료비싸도 대체 약품도 없고 사료값 비싸도 사야 하며 지원사업으로 빚져서 농사짓다가 자연재해로 피해를 본다면 그해 소득은 망하게 되죠. 쉽게 말해 어쩔수 없는 현실, 농민입장에서 큰돈 벌려고 농사 짓으려 하지 않죠. 때론 마지 못해서 때론 지원금에 빚진 대출금 상환에 자식들 쌀이라도 주고 싶은게 농민들 본심이 아닐까 쉽어요. 주변에 도시 생활 힘들어서, 젊은 농부들,은퇴해서 시골에서 할수 있는게 고부가가치 온실 하우스재배 쪽으로 몰릴수 밖에 없고 초기투자 비용이 엄청 나게 들어갈수 밖에 없어요. 이렇듯 무척이나 절실한 생계가 달린 부분이라 세밀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abcdefuace
@abcdefuac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가격체계의 상당부분이 그렇게 됩니다.. 전세도 지원금 주면 지원금만큼 올라가고, 국가에서 지원금 주면 가격체계가 이상하게 변질되죠.. 지원금이 아닌 다른 지원방법으로 지원을 해야된다는 생각입니다
@user-ji4gl4fr8w
@user-ji4gl4fr8w Жыл бұрын
​@@abcdefuace 그럼 어떻게? 대안 제시 부탁드립니다. 저 농업관련 분야 종사자이며 보조사업 관련 실무 경험이 있고 또한 납득할 만한 대안이시면 정책 결정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루트도 알고 있습니다. 보아하니 대안이 있으신 모양인데 님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user-xv1yz9zg5q
@user-xv1yz9zg5q Жыл бұрын
농업분야에서 이런 품종 개발한 박사님들 정말 존경합니다. 아프리카에 농사법도 가르쳐 주시고 많은 좋은일 하고 계십니다.
@user-gz3wh2ty8n
@user-gz3wh2ty8n Жыл бұрын
농업은 공부하지 않으면 절대로 생명을 키울 수 없는 직업 입니다. 용접공이나 자동차 정비공같은 기능직은 전문학교에서 일 이년 공부시키고 육성하면 몇년안에 숙련공으로 수급이 되기때문에 큰 문제가 안되지만 농사꾼은 10년을 공부시키고 실습을 시켜도 10번밖에 실습도 못할 뿐더러 10번 농사 지었다고 실력있는 농사꾼도 안됩니다. 적어도 20년은 되어야 이작물 저작물 심어보고 실력도 늘고 수확량도 늘고 상품 가치가 있는 상품을 재배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농업은 겉으로 보는 농업과 속으로 보는 질적 차이가 엄청난 괴리가 있다는 겁니다. 농사 전문 인력 하나 키우는데 적어도 15년 이상 시간이 필요하고 농사가 전멸했다고 생각하면 각종 기후변화와 전쟁 등으로 식량 불안으로 여러 나라가 동시 다발 적으로 식량 수출 금지 시켰을 시에는 그 땐 폭동이 일어날 정도로 심각해 집니다. 기름은 수입되지 않더라도 폭동으로 번지지 않지만 식량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당장 굶기 때문에 국가 존립을 걱정해야 하는게 식량주권 입니다. 수입 못하면 농사지어 먹으면 된다는 사람들 있는데 농사는 봄 부터 가을까지 기다려서 한번만 수확하고 그 한번으로 수익을 실현하는 직업 입니다. 더구나 날씨 영향으로 수확량이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고 수확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농업이란 불확실한 직업이고 그 농산물로 한 나라의 국민이 먹고사는 겁니다. 풍요의 시대에서는 모두 사먹어도 생활이 가능 하지만 각종 기후변화 즉 가뭄이나 홍수 태풍이 빈번한 기후변화에 시달리는 시대가 도래하고 농업적 빈곤의 시대가 온다면 분명한 사실은 식량이 무기가 되고 식량 자급이 낮은 국가들은 우리나라 요소수 사태처럼 일시적인 수급장애로 굶어죽는 사람도 나올 수 있습니다. 농업은 절대로 쉽게 보거나 경제적인 관점으로 계산하면 안됩니다. 극심한 기후변화 시대에 접어든 지금 시점에서는 적어도 식량 자급도 40% 이상은 되어야 한 국가가 유지됩니다.
@user-fb6we1cd4c
@user-fb6we1cd4c Жыл бұрын
넘 길어
@sungminkim9698
@sungminkim9698 Жыл бұрын
식량자급도 40%이상? 웃기는 소리. 노인들이 농사 지어봐야 뻔하지. 경작지를 기업이나 영농조합에 팔아서 대규모, 자동화 농사를 지면 당장이라도 100% 도달한다.
@user-qj6jz9il2m
@user-qj6jz9il2m Жыл бұрын
중요함을 새삼 느끼게 해주시는군요.감사합니다.
@user-uc9os2zd7c
@user-uc9os2zd7c Жыл бұрын
일면의 타당성 그 이론에 존경하나 강요하는 것은 아닐듯
@user-rv1ol5fj6j
@user-rv1ol5fj6j Жыл бұрын
@@sungminkim9698 우리나라 농업과 미국 호주등의 농업과 다른 점은. 우리나라는 다품종 소량생산이고. 미국 등은 소품종 대량생산입니다. 한국농업이 중요한 이유는 한국사람들이 먹는 농산물은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다양하죠 먹는 나물만 해도 수백가지죠 미국이나 유럽 사람들의 식재료는 몇가지 안됩니다. 100% 자급자족을 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도 몇가지 식재료만 먹을 수 있고. 지금처럼 다양한 한식은 먹을수 없겠죠
@user-mm1gn4jt1d
@user-mm1gn4jt1d Жыл бұрын
경쟁력이 약한 이유중 하나는 비료 농약의 원료가 거의 대부분 수입인듯합니다 비료와 농약이 차지하는 비중이크고 2022년엔 너무 많이 인상됐습니다 원료를 만들어 내는 외국이 분며히 있는데 우리국가는 왜 생산을 못하는거죠? 그리고 농업정책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시는 박사님들께서는 실제로 농업경영을 해보신 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실제 경영을 해보시면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정책 기조들이 수립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농민의 한사람으로 궁금한점이 또 있습니다 농업에관련된 지도관리등 국가 기관과 농협등의 규모와 종사자의 비중괴 실제 농민의 비중이 어떻게 될까요? 어쩌면 농민보다 비중이 비슷하거나 커질지도 모르겠다는 느낌입니다 농민 농업에 대한 관리감독지도 중요합니다 실제 농사하고 농업경영의 경험이 전혀 없는분들이 할수있는 일이 절대 아닙니다 제발 농업을 너무 쉽게 판단하지 말아주십시요 특히 농산물품질관리원의 정책은 농사를 방해하는 정책이 너무 많습니다 보조금 정책에 대해서는요 같은 규모 사업을 시행할때 총 공사비 약 4500만원 정도의 사업이라면 자가시공의 경우 약 3500만원 정도이면 가능합니다 왜 이렇게 차이가 나야할까요? 보조사업은 대부분 행정기관에 등록된 업체만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검증되지않은 기술력에 영세업체도 너무많아 몇녀지나면 as도 되지 않는경우가 많습니다 보조사업자 선정기준도 문제입니다 꼭 필요한 농가일부는 이런저런 이유로 제외되고 있습니다 지금의 보조사업은 원칙적인 문제해결책이 아니라 업체들 배불려주는 농민들에게는 원칙을 회피하는 사탕발림 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발 소중한 예산을 제대로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user-ht2qj4gv9q
@user-ht2qj4gv9q Жыл бұрын
언더스탠딩은 정말 보물같은 채널입니다. 매번 패널분들 섭외력도 좋고 전문가와 일반인들의 사이의 정보의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도 너무 좋습니다~~ 오래오래 하세요~!!!!
@jisukwon39
@jisukwon39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브리핑도 최고 너무 재밌어요 직접 토론에 참여한 듯 생생하고 흡입력 강했어요 감사합니다
@user-db9pc7mm9g
@user-db9pc7mm9g Жыл бұрын
농업도 요소수 같은 거 아닐까요? 수입산이 더 쌀 수도 있지만 수입에 너무 의존하게 되면 나타나는 문제들 같은 것들요. 경제적 효율성 외에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은 것이 농업 같아요.
@kimdui3467
@kimdui3467 Жыл бұрын
25%이상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극단적경우 수입이 않될때 세끼 먹던거 한끼 먹으며 견디는거랑 세끼 먹던거 한끼도 못먹는것 의 차이라고 들었습니다. 농업은 어떤일이 있어도 지켜야하는 이유죠
@ricksnow6997
@ricksnow6997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릴때 농사일 도왔는데 진짜 농사일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땅은 땀흘린만큼 돌아온다고 하지만 기후에 너무 민감하니 고생만하고 추수할 때 눈물 나는 경우를 몇 번 보고나니 어린마음에 장래희망을 회사원이라고 적었던 기억이 나네요.
@user-hg4rj6me3k
@user-hg4rj6me3k Жыл бұрын
지금같이 기후가 급변하니 더욱 그럴것 같아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Жыл бұрын
왜 60,70년대 시골 청년들이, 무작정 상경해서 공장에서 장시간 노동착취 당하면서, 쥐꼬리 만한 봉급 받으며, 손바닥 만한 기숙사에서 새우잠 자면서도 다시 시골로 돌아가지 않았는지 생각해 보면 간단한일.
@user-bq9ez5ds7j
@user-bq9ez5ds7j Жыл бұрын
대학나온 친구아버지 수십년 농사를 하지만 매일 동네분들과 토론을 하시더라구요 농약이나 기후 시기 병충해등 그거보고 놀랬어요
@fgd3476
@fgd3476 Жыл бұрын
역시 스마트팜이 답이다
@slownjoy342
@slownjoy342 Жыл бұрын
농업 구조에 대한 진지한 고민.. 이런 이야기를 이렇게 할 수 있다는 자체가 가능성을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 소장님 말씀에 진실성이 보여서 더 공감이 됩니다. 이런 진지한 고민을 하는 분들이 인정받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user-em9ms5zq7u
@user-em9ms5zq7u Жыл бұрын
저희집이 농사지었어서(임차농) 초등학교들어가기전부터 농약줄 잡고 배봉지 나르고 등등 일 도왔는데, 농사일 지이이이인짜 힘듭니다. 이젠 직장다니는데 돈이 한 3억쯤 모여서 땅사서 농사지을까 벼농사, 고구마농사정도는 바쁠때만 좀 사람쓰고 연차내고 가족들 동원하고 고생하면 직장병행되지않을까 알아봤더니 수시입출금통장에 넣어놓는게 더 이득이겠더군요... 진짜 오늘방송 특히 뒷부분 다 공감합니다.
@user-tf8gm1lq3b
@user-tf8gm1lq3b Жыл бұрын
주말농장한다고 2고랑 짓다가 죽을뻔했어요 수확은 깻잎 한 2000원어치 ..가지 조금..고추 좀 . .농작물이 벌레먹고 작고 하.. .땡볕에 고생 직살나게하고 .. 종자값도 안나오는듯..약을 덜 치고 내손으로 지어서 뿌듯함으로 먹는거지 종자값도 안나옴..
@jj-vu2gx
@jj-vu2gx Жыл бұрын
농업쪽 25년차입니다. 유튜브에서 처음으로 현실을 잘인식하고있는 전문가를 뵙네요. 귀농인들 성공확률 10프로미만입니다. 전문농민이 되기위한 과정은 냉정하게봐서 어럽습니다. 귀농귀촌에 관심있는 많은분들 참고하세요.
@user-ws9cb9jz4s
@user-ws9cb9jz4s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되었습니다 농업의 중요성은 어렴풋 인지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알게되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po6og4zv6n
@user-po6og4zv6n Жыл бұрын
농산물에 대해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이 정말 많구나 인식도 못하게 안정적으로 조절하시는게 정말 대단하네요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농사하는집 하루만가서 일해보삼? 농사안해본사람들이 쉽게생각한다 농촌에 자란사람 농촌에 살기싫어함 육체노동강임 땡볕일해야함 쌀농사는 그나마나은데 기본 땅이 100마지있어야되고요 기계 3대4대 그이상. 비싼거있어야되요 물려받은거아님 돈 엄청드는데 수익은? 의료보험 병원다니기 자녀학비 저축 등등 다 농사지어서 해결하려면 100마지기이상있어야 남아요 그냥 회사다니는게 좋은거에요 ㅎ
@TV-ip8bq
@TV-ip8bq Жыл бұрын
그것의 대부분을 외국인 노동자가 종사하고있습니다 ㅠ.ㅠ
@user-le3mz9dp3k
@user-le3mz9dp3k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user-cx1ox8ns9h
@user-cx1ox8ns9h Жыл бұрын
잘아시네요 농축산업이 생각보다 진입장벽 엄청높죠 부모기반없으신분들은 시작할돈으로 부동산사서 임대받는게 이득이죠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TV-ip8bq 논농사보다 밭농사를 외국인을 많이쓰죠 논농사는모판할때만 사람많이필요해요 ㅎ
@user-em9ms5zq7u
@user-em9ms5zq7u Жыл бұрын
농사꾼 딸래미입니다. 첫줄부터 막줄까지 다 공감이예요. 수익이 땅팔아서 건물사서 임대료받는게 더 많을정도로 논농사는 남는게 없죠....... 인문계 고3인데, 생일날까지도 밭에가서 일했던 악몽이 새록새록....
@syukaforever
@syukaforever Жыл бұрын
전문가들 입장에선 논할 가치도 없는 질문이 해당분야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논할 가치가 있을법한지라 충분히 저런질문 해주셔야된다 봅니다. 전문가는 소수고 비전문가는 다수니깐요
@syukaforever
@syukaforever Жыл бұрын
어릴땐 우리밀 상품들이 외국제품들에 비해 덤탱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이걸보니깐 제생각이 짧았던걸 요즘와서 느끼네요 생협,한살림과 같은 곳들이 국내 농업활성화를위해 정말 엄청 도움이 된다는 생각도 듭니다
@usinokaori
@usinokaori Жыл бұрын
팟방에서 듣고 다시 듣습니다.농업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남박사님….화면으로뵈니 왠지 이프로님에게 다 물어봐!!!하시는데요 내용 너무 훌륭하고 감사합니다
@shinjiseop
@shinjiseop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농업인구 고령화 되었는데 이게 다른 말로 하면 농업보조금을 주는건 노령연금 주는게 됩니다 농업보조를 안하면 농업포기하고 고스란히 도시자녀의 피부양인구가 되는거죠. 어차피 강제조정할 수 있는게 아니면 자연스레 구조조정 될 때까지 버티는것도 정책이죠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Jbohwa
@Jbohwa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지만 언더스텐딩 정말 좋은 취지를 가진 프로그램인것같습니다. 이런분야도 있었구나! 또는 이런것도 여기에 들어가는구나 란 깨우침을 주는 프로네요. 고맙게 잘 들었습니다.
@user-hj7fx8jx4j
@user-hj7fx8jx4j Жыл бұрын
오천년동안 권력자와 대부분 소작농과 노비인데 얼마나 우리 같은 국민들이 핍박을 받고 살아는지 아예 초대헌법에 소작농 금지하고 유산몰수, 유상분배를 하여 더 이상 수탈을 당하지 않고 지주는 제조업으로 농민은 임금노동자로 다시 금융업등을 제1,2,3차산업이 골고루 분포하는 선진국이 되었습니다.
@user-ge8yh4gl1w
@user-ge8yh4gl1w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하게 들었습니다 우리 기초산업 농업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었습니다
@syjeong4627
@syjeong4627 Жыл бұрын
농업만 보조금지급허는 거 아니죠...학교/중소기업 엄청들어가는데... 성과 안내놓고 돈만 받아가는 경우 엄청 많은데 왜 농업보조금만 눈먼돈이러고 하는지...?
@atomfarmer4331
@atomfarmer4331 Жыл бұрын
70~80년대에 소가 쟁기질하던 시대에서 경운기>트랙터 손모내기>이앙기 처럼 농기계의 보급과 신품종개발능력, 종자보급,인재개발이 가능해져서 한국이 엄청나게 발전했죠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논도 반듯반듯하게 다시 정리한곳도많아져서 비행기나 드론으로 약치는것도 한몫하죠 ㅎ
@a_little_farmer
@a_little_farmer 8 ай бұрын
농업의 다원적 가치를 잘 설명해 주셨어요 많은 분들이 농업=농산물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났으면 좋겠어요
@andykim1646
@andykim1646 Жыл бұрын
호주는 백인들이 주류인 나라이고 빵이 주식인 나라인데도 쌀을 생산도 하고 수입합니다. 호주내에서 쌀을 주로 소비하는 아시안들이 10퍼센트정도인데도 2007ㅡ2008년도에 동남아에서 쌀이 흉작이라 쌀가격이 올라간 이후 더이상 쌀가격이 내려가지않습니다. 쌀 생산을 호주에서 해도 이런데 만약 호주내에서 쌀생산이 없다면 10배이상 올라갈겁니다. 한국은 주식이 쌀인데 쌀을 수입만한다면 흉작일때 가격이 살인가격이될겁니다. 그래서 한국에서 쌀농사는 계속 유지해야되는 이유이기도하고 여름 장마때 저수지 역활도 하고 장마피해를 줄일수있는거죠.
@user-le3mz9dp3k
@user-le3mz9dp3k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농업 현실의 전반적인 모습과 문제점을 알 수 있게 해 준 아주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gt9po5zr4i
@user-gt9po5zr4i Жыл бұрын
농업? 남보기에 쉬워 보이지만 "그케 쉽고 재미있으면 니가 해봐!" 제가 늘 하는 말이 "남 하는건 다 쉬워!" 입니다.
@user-ol3rl7vk8g
@user-ol3rl7vk8g Жыл бұрын
오늘 이프로님 질문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농업에 대규모로 세금을 투입하기위해 국민들을 설득하려면 이런 기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완전한 논리가 있어야 해요 전문가입장에서는 어이없는 질문으로 느낄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질문이라고 생각됩니다
@user-cz4hq1ns9d
@user-cz4hq1ns9d Жыл бұрын
늘 중요하게 생각하고 관심 갖고 있던 분야에 대해 자세하게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user-hjsoh
@user-hjsoh Жыл бұрын
농업에 대한 편견 제대로 깨고 갑니다. 이전에 신의 경제사 특강 김두얼 교수님이 토지개혁이 우리 경제 발전에 초석이었다는 이야기 들었던 이후 엄청 큰 충격이네요. 진짜 최고입니다.
@zoetrope76
@zoetrope76 Жыл бұрын
오늘 뭐할까 고민하다 복습차 n차 시청합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은 늘 제 시간을 값지게 하네요. 모두 감사합니다.
@Han.Solo..
@Han.Solo..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질문 좋아요!! 원래 모르는 제 3자의 입장이 더 객관적인 법입니다. 전문가일 수록 이런 질문에 더욱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있는 답을 주어야 합니다. 비호감이지만 이프로 파이팅!!!!
@user-kt7gn3rw1r
@user-kt7gn3rw1r Жыл бұрын
벼는 책으로만 배우고 시험에 맞춰서 그저 외우기만하고 나현실에서는 나무에서 쌀 이 자라는줄 알고 컸었지요. 지금도 저처럼 어릴때 농사를 경험 해보지 못한 불씽한 아이들이 존재하겠지요. 이런 깊은내용을 언더스탠딩 에서만 들을수 있는 특혜 너무 감사드립니다.
@jm-pi6cf
@jm-pi6cf Жыл бұрын
저는 30살 넘도록 쌀은 흙에다 뿌리면 자라는지 알았어욬ㅋㅋㅋ 모내기법 직파법 중학교 국사시간에 외우기만 했죠. 모로 키워서 물에 잠기게 심는것도 모르고 사는 사람 의외로 많아요~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시골안살아보면모르죠 ㅠ
@bipaslee6162
@bipaslee6162 Жыл бұрын
이번에 러시아 가보니 전쟁 시작후에 놀리던 농토를 많이 다시 농지로 돌리고 있었습니다. 우리도 언젠가 다시 농지를 살리는 일이 올수도 있어보임.
@알비노
@알비노 Жыл бұрын
농업학교 나와서 소장님, 박사님이 하시는 말씀 대부분 귀에 박히도록 들어서 당연하게 생각했는데 일반인들의 시선이 어떤지를 많이 느끼네요 우리나라농가의 수가 너무 많다는 것도 새로 알았고요 좀더 농업에 대한 관심이 늘기를 기원합니다
@Agricultureschool
@Agricultureschool Жыл бұрын
농업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농업연구개발지도체계 농업시스템이 필요한 상황 농업은 시스템과 인프라가 중요한 상황 농업 압축성장 전국민에게 농업에 대한 기초교육이 중요한 사항 농업인구 농촌인구 일반인들: 농업에 투자하는 비율이 부족하지않나요?! 너무도 당연하게 건강한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국가기본 건강할 권리가 필요하다
@user-wl4fp5yi4p
@user-wl4fp5yi4p Жыл бұрын
식량 자급율이 정부 정책에서 최우선 과제가 되는 이유는 식량을 외부에 의존하면 시장가격이 굉장히 불안하게 되는 요인이 발생. 특정 국가에 의존도가 높게 되면 그 국가의 정치적 이슈에 나라의 물가가 쉽게 흔들리는 불안요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싱가폴이 식량자급율을 10%에서 30%로 올리려는 노력을 하는 이유도 영농이 불리한 나라 여건상 30%가 굉장히 힘든부분인데 식량 자급율을 높이게 되면 될 수록 가격의 안정적인 방어가 가능해진다는 점이 큽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의 원조로 밀농사를 짓지 않게 되었는데 지금 현재 전세계의 밀 가격에 따라 밀을 원료로 하는 라면, 빵등의 가격은 쉽게 방어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지금 여건에서 하루아침에 밀 자급율을 높인다? 종자, 사육기술, 그리고 쌀농사를 주로 하는 농민들에게 쌀농사 이상의 수익을 보장해주지 않으면 밀 자급율은 절대 10% 이상 올라가기 어렵습니다. 국산이 비싼건 사실이나 자급율이 0%면 외부세계에서 농산물을 무기화하여 금수조치를 하면 식량안보상의 문제가 굉장히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user-we7fm7fo8w
@user-we7fm7fo8w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좋은 방송감사합니다
@jongheelee4808
@jongheelee4808 Жыл бұрын
세계적 기상 이변으로 돈이 있어도 곡물수입이 안되면 뼈저리게 느끼죠 석유파동때 돈이 있어도 석유 수입을 못해서 난리였으니 같은 상황이겠네요 요소수 대란 시멘트 대란 등등
@user-od4dk9vq4j
@user-od4dk9vq4j Жыл бұрын
끝까지 보진 못했는데 많은 국민들이 농업에 대해서 이 프로님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돈 버는데 집중하고 외국에서 사다 먹자 ^^)무엇보다 국민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이는데 그 역할을 누가 해야할까요?
@user-ht2qj4gv9q
@user-ht2qj4gv9q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이요~~~!
@user-mg4jm1sy3m
@user-mg4jm1sy3m Жыл бұрын
필리핀 인가 이미했었죠 농지를 공장으로 돌리고 쌀은 사먹자 쌀은 전략산업 은 산업이 맟나 소르겠네요 안먹을수업고 조금먹을수는 있겠죠 과거에 비슷한 일들이있었는데 배우는게 업네요 밥 안먹으면 되죠 아니면 다른 나라에서 사먹으면돼죠 안 타깝지만 힘든 문제입니다 나라를 떠난 보트피풀이힘들듯이 견딜수 있을까요? 소수만이 영향안받고 대부분이 받겠죠 당신은 어느쪽인가요?
@user-cn1qr4nx3n
@user-cn1qr4nx3n Жыл бұрын
많은 것을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프로님 감사합니다
@user-kn9kh8gt1i
@user-kn9kh8gt1i Жыл бұрын
남재작박사님은 못참지!!!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농업이야기
@salmong2
@salmong2 Жыл бұрын
지금 아들 둘 (유딩 초딩)이 자연스럽게 전문 농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자 전주에 있는 한국 농어촌대학교 근처로 이사를 가고자 합니다. 분명히 지금 아이들의 성인 시대의 농업은 기회로 작용할 듯 하지만 농업의 농자도 모르는 부모이다 보니 환경과 제도에 아이들을 노출시켜 자연스럽게 전문가로 자라나도록 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농업인으로 양성을 위한 유소년 양성제도라던지 교육기관이라든지 참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다른분야는 영재교육이다 유소년 프로그램이다 있는데 왜 농축산업에는 이런것이 없을까요? 아이들 힘든 농업 종사자로 몰아가는 이상한 부모라 생각될지 모르지만 저는 농업을 바라보는 생각이 다르며, 저와 같이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기에 이런 질문겸 의견을 남겨 봅니다.
@yeongseokkim2193
@yeongseokkim2193 Жыл бұрын
지금 농사짓는분들 하나둘 돌아가시는데 아이들 클 즈음이면 기회가 오지 않을까요? 지금은 노인복지때문에 억지로 비효율적 농업을 하지만 20년뒤면 충분히 기회가 크게 열릴거 같아요 전문가는 아니지만...
@user-iv2gp3im2b
@user-iv2gp3im2b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런생각을 많이해요. 귀농귀촌 .청년프로그램은 많은데 아이들 교육은 건너뛰고 있는건 아닌지 의문이 생기는 부분이었어요
@user-uk7oo5sq9t
@user-uk7oo5sq9t Жыл бұрын
농업을 알게 모르게 후진 직업이라 여겨서 그래요 인문계 실업계 학교 나누는데 실업계에서도 공고 상고 농고 수고중에 농고 수고가 후진것처럼요.
@sangillee4153
@sangillee4153 Жыл бұрын
전주 농수산대학교 전액 국비 무료고 기숙사도 있고 좋습니다~
@user-kr4gt3qt2c
@user-kr4gt3qt2c Жыл бұрын
짝짝짝 응원합니다 넘 멋진 부모님이시군요. 지금 농촌이 넘 많이 변하고 있습니다. 저두 서울에서 나고 자랐고 미래 농업이라 생각해 아들 설득해서 토마토농사 짓는데 주먹구구 소농 아닌 전문가들 소득 나쁘지 않습니다. 슬슬 젊은 친구들도 많구요. 지금 선택이 옳은 선택이란거 아실꺼예요
@ftghyfpjjh
@ftghyfpjjh Жыл бұрын
얘네들 서울에 살면서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후려친 싼 값에 농산물 공급 받아서 싱가폴 고통을 모르는 것임. 실컷 반도체 공장에서 고생해서 돈 벌었더니 한 달에 식량 값으로 2-3백만원씩 지출해봐라. 어떤 기분일지... 그게 싱가포르 현실임.
@hongju122
@hongju122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은 가보고 말하는건가요? 식당가서 밥 먹으면 한국하고 가격차이 없어요.
@airwolf4naver
@airwolf4naver Жыл бұрын
용병도 싸워서 이길수 있는 전쟁에서 싸우지 질것 같으면 도망가요...
@martinasru5577
@martinasru5577 Жыл бұрын
식량을 무기화 하는걸 막기 위해서도 식량 생산은 해야지
@johnswanson217
@johnswanson217 Жыл бұрын
언젠가는 100% 버티컬팜으로 가야죠. 싱가포르에서 4층짜리 비닐하우스에서 벼를 수경제배하는걸 봤습니다. 농약이 필요 없고 4부작을 한다더군요. 어차피 대기업이 못하게 할거면 개인사업자가 스마트팜에 소규모로 투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먼들어야죠.
@young-sookbruckner4491
@young-sookbruckner4491 Жыл бұрын
많은 정보와 지식 들 더욱 이프로님에 예리한 질문들 거기에 정확한 답변을 해주시는 전문가님들 잘 이해할수있도록 답변을 주시는 그 해박한지식에 존경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moonmary
@user-moonmary Жыл бұрын
언더스탠딩이 늘 재밌는 주제를 던져주셔서 항상 흥미진진합니다! 언더스탠딩 화이팅!!
@asdf01212
@asdf01212 Жыл бұрын
무식한척? 하면서 충분히 가질만한 질문을 해주는 프로님들덕에 많이 얻어갑니다
@user-ye8gv4ni3u
@user-ye8gv4ni3u Жыл бұрын
농업에 관심많은 학생입니다~~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현장 경험 풍부하신 이인규 교수님의 영상도 보고 싶습니다!
@rice5bakgok480
@rice5bakgok480 Жыл бұрын
농업도 에너지처럼 포트폴리오의 일종인거지 효율성으로 접근할 문제가아님. 효율성 따질거면 전력생산 100% 원전으로 지었어야지 . 농업도 마찬가지. 국방도 마찬가지. 이세상은 돈과 효율로 따질 수 없는게 너무 많음.
@user-dz1ly9ts6g
@user-dz1ly9ts6g Жыл бұрын
자급력 25%유지 한다는건 기후적.정치적 어떤 위기가 왔을때 다른 해결점을 찾을때까지 시간을 벌어준다는게 아닐까요?
@brandnewlee5269
@brandnewlee5269 Ай бұрын
대단한 기획이십니다 일시적인것이 아니라 우리 농업이 자리 잡을때까지 끝까지 가시지요!!!! 언더스탠딩 화이팅!!!!!!!
@tv7022
@tv702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주제이네요. 두분의 탁월한 설명에서 많이 배웁니다.
@jwahn58
@jwahn58 Жыл бұрын
오늘 봤는데 이주량, 남재작 두박사의 통섭적인 해석이 농업 및 타 산업과의 연계성을 설명하고 앞으로 존재의 당위성을 잘 이해해주게 하는 설명을 일반시민도 알게 했으면 더욱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strontyoon
@strontyoon Жыл бұрын
오늘 회차 너무 좋았습니다 ㅋㅋ 완전 캐치프레이즈처럼 쉽고 유익하고 재미있었네요
@sarahchung482
@sarahchung482 Жыл бұрын
유료 악플, 역시 이프로님 👍
@user-iy4kk9ic7m
@user-iy4kk9ic7m Жыл бұрын
1-2억 으로 안됩니까? 이 이야기 들으면서 허탈한 웃음이 드네요. 농지구입도 도시 인근 땅값이 올라 1천평에 3-5억 입니다. 비닐하우스 지으면 몇억입니다. 요즘 농사는 아무나 들어올 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거 다 장만했다고 해도 농사져서 제대로된 농산물이 나와야 하는데 그것도 그냥 되는게 아니죠. 그래서 1-2년 공치면 빚만 몇천 올라갈꺼예요. 이프로가 얘기하시는것 봐도 일반인들이 농업을 얼마나 쉽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네요.
@iraf27
@iraf27 Жыл бұрын
저도 농알못이라 그런데, 도시 근처에서 땅을 구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시골은 평당 5~10만원이라 비교적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ejjejejenrt4500
@ejjejejenrt4500 Жыл бұрын
원래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런 식으로 본인은 이미 아시는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시고는 하셔서요....
@user-iy4kk9ic7m
@user-iy4kk9ic7m Жыл бұрын
@@iraf27 기존 농업인들이 하는 농사방법이나 작물을 해서는 지금 진입하는 귀농인들은 답이 안나옵니다. 그들과 경쟁하는게 의미없거든요. 귀농인들이 딸기를 많이 하는데 딸기를 따서 파는것도 로컬매장에 판다고 해도 너무 멀면 경비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이것도 다 비용입니다.) 체험프로그램등을 같이 해서 부가가치를 높여야 할텐데 도시랑 너무 멀면 도시인들의 접근성이 떨어지죠. 귀농인들은 시골 깊숙한 저렴한 땅에서 하는것보다 조금 작더라도 도시인근땅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적은 면적에서도 최대의 효율을 낼 수있는 스마트팜이나 식물공장등이 늘어나는 것도 그런 이유일 거예요.
@user-iy4kk9ic7m
@user-iy4kk9ic7m Жыл бұрын
@@ejjejejenrt4500 아.. 그러시군요. 요즘 농업은 쉽지 않습니다.
@user-kr4gt3qt2c
@user-kr4gt3qt2c Жыл бұрын
@@iraf27 저희가 강화도 3년차 입니다. 수확한 농삿물 도시로 보내야하잖아요. 부여~딸기,토마토 밀양~고추, 담양~딸기...등 이렇게 모여 있어야 농협차 수매가 가능해요. 농협차가 돌면서 농가에 수확물을 박스당400원 정도씩 받고 경매장에 배달해줍니다. 농협차 없이는 수확물 팔기가 쉽지 않습니다. 혼자 떨어지면 판로가 없어요. 직접 도시로 배달한다는건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user-ib6pl6iy7z
@user-ib6pl6iy7z Жыл бұрын
이런질문하는게 유튜브죠 그래서 공중파보다 좋은거에요
@user-ox6zf7fl4q
@user-ox6zf7fl4q Жыл бұрын
혹시나 해서 들어왔다가 끝까지 재미있고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jx4px2nh9p
@user-jx4px2nh9p Жыл бұрын
농촌과 농업의 현실을 잘 말씀 해주시네요
@sinic4482
@sinic4482 Жыл бұрын
와! 최고에요 감사합니다♥
@kimjch7508
@kimjch7508 Жыл бұрын
맨몸과 녹슨 포크래인으로 김치담그는 중국것에 비유는 부적절하다. 우리가 IMF를 극복할 수 있었던것도 농촌이 살아있기 때문이었다. 직장을 잃었던 사람들이 부모님이 계신 농촌에 의지해서 살 수 있었다. 트랙터, 이양기 구매하면 2~3억든다.
@dbu6111
@dbu6111 Жыл бұрын
이런 전문가들 볼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한분야에서 전문가가 된 분들의 모습은 은근 다 멋있음.
@user-rv1ol5fj6j
@user-rv1ol5fj6j Жыл бұрын
ㅡㅡ
@FIREBRUSH
@FIREBRUSH Жыл бұрын
농업이 역사라는 말이 좀 이해가 안됬었는데... 말씀하시는 것들을 듣다보니 왜 그런이야기를 하셨는지 알것도 같네요
@user-eh6pp2fj2j
@user-eh6pp2fj2j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영상을 보고 느낀점 - 대상이 일반인으로 상정할 때 설명이 너무 어지러움 - 비유를 알기 쉽게 풀어주었으면 함 - 조만간 농업에 대한 이슈가 부각될텐데 이때 국민을 잘 설득하려면 국민 눈높이게 맞춘 설득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됨. 기회가 있으면 잘 잡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요약 - 농업은 전략물자임. 용병을 비유로 들면, 용병은 전쟁에 이길때는 잘 싸우지만 전쟁이 지기 시작하면 다 도망감. 결국 끝까지 남아서 나라를 지키는 것은 그 나라 병사임 농업은 최소한의 자국군대를 의미함. 과거 조선시대에 병자호란때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을 하였음. 당시 병력이 모자랐지만 그나마 농성이 가능한 것은 수천명의 조선병사가 있어서 가능함. 만일 용병으로 다 채웠으면 누가 남한산성까지 따라와서 인조를 지켜줌? 농업도 똑같음. 사실상 섬인 한국이 어떤이유 예를 들어 미중전쟁으로 무역로가 다 막히면 한국은 식량을 자급자족해야 함. 이 이유 때문에 농업을 유지해야 하는 것임 즉 농업은 가성비나 경제성으로 보조금주고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산업이 아님 60만 대군을 유지하는 것이 가성비 있음? 전쟁이 날지 안날지도 모르는데? 그래도 있어야 하는 이유와 동일함. 따라서 농업문제에서 가성비를 따지는 것 자체가 넌센스임 한국의 농촌문제는 고령화에 있다고 생각함. 방송을 들어보니 한국농업의 보조금은 사실상 농촌거주 주민의 복지보조금으로 생각됨. 농촌 지역사회가 붕괴되지 않게 하려면 최소한의 인구와 사회경제시스템이 유지되어야 함. 이게 붕괴되면 지역사회자체가 붕괴됨. 농촌지역사회가 붕괴되면 농업자체도 붕괴됨. 은행시스템이 붕괴되면 뭐 돈이고 자본이고 뭐고 없는것과 똑같음. 농업이 있기전에 농촌시스템이 있고 농촌지역사회가 있는 것임... 따라서 지금은 농촌사회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금을 주는 것은 당연한 것임. 지금의 목적은 농촌지역사회를 붕괴시키지 않고 일단 끌고 나가는 것이 목적이 되야 함 그런데 이걸 인구 두수별로 주어야 할 것 같은데 왜? 농토와 농작물에 비례해서 주는 것임? 자꾸 고령화되면 농토와 농작물경작이 어려워지고 그러면 보조금이 줄어들게 됨 그러나 고령화될수록 여러가지고 돈 들어갈 것이 많아짐. 그래서 명당 보조금으로 주어야 함. 농촌사회가 붕괴되면 고령인구가 도시로 모여들게 되고 그러면 여러 사회문제가 됨 그래서 농촌 사회- 농촌 인구 - 고령인구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도시에도 좋은 것임 따라서 도시민들이 농촌에 보조금준다고 와와되는것은 웃기는 일임. 농촌 사회가 붕괴되어 농촌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면 도시 인프라및 도시민의 복지 보조금등을 같이 나누어야 함 한국의 인구가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그리고 가성비가 한계가 있고 상대적으로 고되고 인식도 좋지않은 농업에 한국의 젊은층을 유도하기 힘듬. 결국 방법은 외국인 노동력이 필요함. 한국과 비슷한 작물을 심고 인종적으로 비슷하고 문화적인 공감이 비슷한 국가에서 계획적으로 농업이민을 받아들여 한국 농촌 시스템을 유지해야 함. 짧은 생각에는 라오스가 어떤가 생각함 국가가 농업을 전략적으로 경영하기 위해서는 공기업하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함. 매년 고추파동 양파파동을 보면서 느낀 것은 국가가 계획경제로 계약재배를 통해 소위 선물등으로 헷징을 하거나 혹은 공기업이 농토를 대여받아 농토주인에게 일정양의 대여금을 주고 만일 농토주인이 자신의 농토에서 일하고자 한다면 우선채용하는 것도 괜찮음. 이게 매년 되풀이 되는 농작물 파동을 궁극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함, 어차피 농업은 가성비가 떨어지는 산업임. 그걸 인정하고 변동성만이라도 줄이는 전략으로 가야 한다는 이야기임 유투브를 시청하는 사람은 부류로 나눌수 있음 - 업계 관계자… 여기서는 농업정책을 펴는 사람등이 되겠음 - 업계 종사자 … 여기서는 농민 - 투자자 …………. 나 같은 사람. - 그냥 우연히 들르는 사람 … 일반국민 업게 관계자나 종사자는 사실 다 알고 있는 내용이므로 들을 필요가 있을까? 댓글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많이함 만일 국민을 설득하려면 그냥 우연히 들르는 사람을 타깃으로 설득전략을 해야 함... 회색지대의 국민을 우리편으로 만들어야 함 그럴려면 평소 설득할 기술을 만들어야 함. 휼륭한 내용이라도 적절하게 전달하지 못하면 좋은 기회를 놓치게 됨 저는 농업에 대해 잘 모릅니다. 그리고 한국농업보다는 농산물ETF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연히 듣게 되었는데, 많은 사실을 알게 되어서 좋았습니다 조만간 세계적인 식량위기가 생길텐데, 이떄가 아무도 관심이 없는 한국농업에 대해 기회가 올것올 것 생각됩니다. 이때 국민들을 잘 설득시키고 나아가서 좋은 정책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에 이것저것 써 보았습니다. 내용을 줄이기 위해 음습체로 써 놓았고 쓸데없는 인사치례 생략했습니다. 다음번 방송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eungmingt
@seungmingt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
@a-jin1309
@a-jin1309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의 오프닝부터 시작이 좋네요~ 감사함으로 선댓후감하겠습니다. 👍❤️
@sohuhwhat1702
@sohuhwhat1702 3 ай бұрын
이런 분들의 강의를 삼프로나 언더스탠딩 최준영 박사님 같은 프로그램 아니면 어디서 들을 수 있겠어요. 늘 감사합니다.
@MH-ek6jb
@MH-ek6jb Жыл бұрын
다음에는 현제 우리 나라 농업의 현실을 이야기 하면 어떨까요? 제로썸께임이란것도 상당히 충격적이네요 제로썸을 해결할 수출에대해서도 필요해 보입니다
@user-sz1hx7rn1v
@user-sz1hx7rn1v Жыл бұрын
오늘 넘무 유익한 시간이 었습니다
@user-sd5qo4tb6w
@user-sd5qo4tb6w Жыл бұрын
유통정보를 통합 제공해야된다.종자판매량,인근국가 작황상황과 가격,산지 작황,날씨상황,시장반입량등을 한꺼번에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해라.
@kgkang1469
@kgkang1469 Жыл бұрын
할머니댁이 농촌이라서 자주 갔었습니다. 갈때마다 농업과 농촌사회에 대해서 뭔가 개선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구체적으로 뭘 해야되는지는 막막해서 그냥 외면했던 일이 많았습니다. 저는 외면했지만은 현실을 당당하게 마주보고 연구하고 노력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감사하기도하고 또 죄송하기도 하네요. 뭔가 주제를 논할 때 농업은 대게 관심밖 후순위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는데 언더스탠딩에서 주제로 다루어 이야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y5yz5nu6l
@user-ky5yz5nu6l Жыл бұрын
전세계 10대 다국적 기업(미국 중국 프랑스 일본등)의 농작물 종자 시장 점유율은 7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한국정부는 다가오는 식량위기를 대하며 뭘 준비 하고 있나요?
@confident9671
@confident9671 Жыл бұрын
방송 정말 잘 보고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lee44742
@lee44742 Жыл бұрын
유익합니다!
@jiseo6298
@jiseo6298 Жыл бұрын
출연하신 박사님. 소장님은 경제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시는데 오히려 진행자들이 이념적으로 몰아가네요. 게스트 분들은 신토불이 이런 얘기를 하지 않는데 진행자들이 게스트를 신토불이로 찍어놓고 이야기를 자꾸 하려고 하네요.
@Young_Ruya
@Young_Ruya Жыл бұрын
사회자들의 자질이 떨어지는걸 여러 영상에서 보고 느낍니다. 내내 설명했는데 엉뚱한 소리도 꽤 하네요.
@iamgeoji
@iamgeoji Жыл бұрын
잘들려요
@zyh0803
@zyh0803 Жыл бұрын
식량 생산을 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농촌에 사는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노인들이 도시로 와서 어디서 뭐 먹고 살 것인가. 도시의 노동력이 늘어서 좋은가? 도시에 사람이 몰려서 집값 오르니 좋은가? 농촌에서 먹고 살 수 없으면 그나마 부족한 인프라와 경제가 무너진다. 도로, 전기, 수도 관리를 뭐하러 하나. 사람이 없는데. 농기구, 비료, 종자 관련 산업도 그렇지만, 읍내에서 장사하는 사람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다. 농촌에 사람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치안 관리도 되지 않을 것이다. 도시를 나가면 지금보다 위험한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그 지역에 존재하지 않으면 그 지역의 문화가 사라지는 것이다. 식량 안보 측면에서 최후의 보루라는 점이야 당연한 것이고... 농업과 관련해서는 차라리 유통에 대한 얘기를 하는 것이 훨씬 생산적일 것이다.
@yejinan6036
@yejinan6036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굉장히 관심 가지는 내용입니다 다만 진행자분들이 너무 개입하여 몰입감을 번번히 방해하십니다 게스트분이 준비하신 방향대로 진행하시질 못한거같습니다
@gomflow_
@gomflow_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질문 아주 좋았습니다.
@kairos521
@kairos521 Жыл бұрын
국방과 농업은 다른 문제가 아니라 비슷합니다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해선 안된다는거죠 둘다 무기화할수 있는 것들이라...
@user-ej4oh9qn8v
@user-ej4oh9qn8v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네요ㅡ일 하면서ㅡ계속 듣습니다. 고추1만포기..한우..바닷굴 배달ㅡ 눈 뜨면 또 한해가 지나가겠쬬 50대의 전 앞으로 어떻게 살고 있을까 궁금하네요
@user-kr6mu7tb1u
@user-kr6mu7tb1u Жыл бұрын
프로님의 무지한 질문을 잘 설명해줄수 있는 고수들이 농업분야에 존재합니다 모시지 못할뿐입니다 ㅋㅋㅋㅋ
@user-pj6xm3os6w
@user-pj6xm3os6w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센스 진짜 최고! 강의듣는중에 농담 한 마디가 전체를 유쾌하게 합니다!
@hikoseijuro2219
@hikoseijuro2219 Жыл бұрын
요즘 언더스탠딩 정말 재미있어요.
@user-ni5ku1hb5z
@user-ni5ku1hb5z Жыл бұрын
구박받아도 기초질문 필요해요~
@user-qf7gr4cv2z
@user-qf7gr4cv2z Жыл бұрын
오프닝에 감동 먹음 여태꺼정 장난으로 놀린것 급 사과 ㅎㅎ
@user-nq9id1us3v
@user-nq9id1us3v Жыл бұрын
무식한 자들을 한 자리에서 가느치려는 건 무식한 시도라는 걸 잘 보여주는 거네. 농업은 대가 끊기면 되살리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무식한 진행자는 이해못하는 건성건성 ㅉㅉ
@iamSexyDaDa
@iamSexyDaDa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martintc8369
@martintc8369 Жыл бұрын
1:50:00 밭때기하더라도 상인들은 계약금만 손해봅니다 물건 출하할때 가격안나오거나 시세 오르기기다리는동안 농민들은 다른작물 못심고 피해를 보고있는게 현실 농촌구조입니다
@martintc8369
@martintc8369 Жыл бұрын
그해 년도에 병충해 자연 재해로 생산량 자기들 생각만큼 안나오면(?? 그냥 매년그러는거같음) 출하 담보로 목줄 잡고 작물 뽑지도 못하고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2000만원 계약했으면 1500 1200 에 넘기는게 현실 농촌 현실이에요 왜냐면 빨리 수확하고 다른작물 들어가야하니깐요
@user-dj9vg1ej2q
@user-dj9vg1ej2q Жыл бұрын
계약할때 기간도 정해놔야지 돈안된다고 밭에 농작물 놔두는건 말이 안되지 계약잘해야
@martintc8369
@martintc8369 Жыл бұрын
@@user-dj9vg1ej2q 대부분 농사하시는 분들이 정보에 차단된 노령분들이에요 계약 안해줄까봐 걱정하십니다... 농촌 생활몇년 하면서 느낀건 농사만 할줄아는 노인분들과 노인분들 고립된 정보력 이용해먹고 기생하는 업자들이 있을뿐이에요
@user-kd4el5nu2w
@user-kd4el5nu2w Жыл бұрын
남소장님 가끔 모셔서 농업문제 짚어주세요^^
@예원입니다만
@예원입니다만 Жыл бұрын
이프로님 질문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용병과 반도체는 정말 기막힌 예시입니다
@user-zf5bp5ff3p
@user-zf5bp5ff3p Жыл бұрын
촌에 사람이없어서 밭농사 기계화안된 농업은 못함... 저희시골도 밭을 논으로 바꾸고 논 농사가 대부분임 인력문제가 심각함 인력이도 있어도 인건비감당안됨
@hunterjoe6062
@hunterjoe6062 2 ай бұрын
에쿠스급이라니까, 어쩐지 요즘 내가 밥을 많이 먹더라.라는 유머감각 정말 실망입니다. . 어쩐지 요즘 내가 밥을 제일 빨리 먹더라.라고해야 더 웃기지요
@user-we7fm7fo8w
@user-we7fm7fo8w Ай бұрын
최소 10회 부탁드립니다
@fsar3598
@fsar3598 Жыл бұрын
석유와 농작물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 무식함이 놀랍네요. 농작물은 기상재해로 전세계 곡물 가격이 폭등하는 일이 있고, 식량은 생존의 문제입니다. 석유는 중동 나라들이 석유를 자신들이 소비할수도 없고, 가격이 예측가능한 수준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석유 대체제로 원자력과 태양열, 풍력, 조력 등등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농작물이 25% 자급을 목표로 하는데, 석유는 대체 에너지가 25%를 훨씬 넘습니다. 그런데도, 석유를 모두 수입하니까 농작물도 모두 수입하는게 더 효율적이라는 식으로 떠들고 있으니, 역시 문과 출신의 무식함이 돋보이네요.
@cory-gd3nc
@cory-gd3nc 2 ай бұрын
석유를 에너지쪽으로만 보니까 그렇죠,, 사회전반적인 모든곳에 쓰이는게 석유입니다
@arjenkim4555
@arjenkim4555 Жыл бұрын
이프로가 콘스탄티노플의 역사를 안다면 저런 용병드립은 안쳤을텐데..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Жыл бұрын
ㅋㅋ 그래서 역사를 공부해야되는거죠 토전사 그립네요 ㅠ
메뚜기가 뭉치면 괴물로 변하는 이유 (곤충전문가 갈로아 작가)
55:0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6 М.
Sigma girl and soap bubbles by Secret Vlog
00:37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2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Alex hid in the closet #shorts
00:14
Mihdens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신재생 에너지 가고 신재생 농촌이 옵니다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남재작 소장)
1:07:5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1 М.
티몬·위메프 폭탄, 시작에 불과합니다 (이용우 전 의원)
1:07:0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42 М.
과학자가 말한다...이대로 가면 다죽어! (국립과천과학관 이정모 관장)
1:13:28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45 М.
한계 다다른 대학병원, 이러다 무너집니다 (한국병원정책연구원 박종훈 원장)
1:20:1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77 М.
휴전선을 버려야 군대가 살아납니다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1:02:5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53 М.
건강보험이 무너진다. 50세 이상 주목!!! (박한슬 작가)
1:12:3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91 М.
Sigma girl and soap bubbles by Secret Vlog
00:37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