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셋으로 정리 가능한 중국 근현대사! | 태평천국·신해혁명·공산혁명의 주역

  Рет қаралды 69,417

현재사는 심용환

현재사는 심용환

Жыл бұрын

그들은 무엇이 달랐을까?
▶️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15분 공개
▶️ 의상협찬: 마에스트로(MAESTRO)
#홍수전 #쑨원 #마오쩌둥

Пікірлер: 120
@arthurwoo5145
@arthurwoo5145 Жыл бұрын
훌륭한 해석과 통찰입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user-mb1et1oy5t
@user-mb1et1oy5t Жыл бұрын
해당 시리즈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도 맛있게 잘 보겠습니다
@user-kn9vr4pl4t
@user-kn9vr4pl4t Жыл бұрын
중국사는 역시 심용환 작가님❤ 작가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보면서 많이 배워갑니다.
@user-zs4zs9hu1g
@user-zs4zs9hu1g Жыл бұрын
중국에 대한 표면적인 인식으로 접근하기 아까울 정도로 깊이있는 접근이네요. 이해되지 않는 자세와 행보에 많은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지만, 그럼에도 저들이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끼치고 그 규모가 계속 커져버린만큼 그저 항상 하듯이 가볍게 씹고 말아버리는 것 뿐만 아니라 저들을 내부적으로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도 참 흥미롭네요.
@juwonkim1782
@juwonkim1782 Жыл бұрын
너어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생각할 점이 많이 느껴지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zb2lh4ck3f
@user-zb2lh4ck3f Жыл бұрын
심용환 이형님에게 예전부터 항상 배우고있는데 감사합니다 지식을 전해주셔서
@user-cd4yg4on5g
@user-cd4yg4on5g Ай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좀 더 여러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user-kd8di8er5r
@user-kd8di8er5r Жыл бұрын
음~ 생각해보니 영상 말미에 작가님께서 던진 질문이 중국의 현재를 성찰적으로 바라보기 좋네요! 자국의 힘으로 공산주의 국가 건설을 이룩했다는 생각이 중국 국민이 스스로 자긍심을 느끼는 바탕이 된 듯 하네요
@yeongjinsim9185
@yeongjinsim9185 Жыл бұрын
근현대사 이야기 계속 해주새요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Жыл бұрын
참... 대한민국의 근현대사, 중국의 근현대사, 심지어는 세계강국들의 근현대사를 본다면 완벽한 선의 모습만 있는게 아니다. 라고 깨닫게 되네요 쑨원에게는 시대가 없었고, 마오에게는 지혜로움이 없었고...
@neykol2
@neykol2 Жыл бұрын
오... 뭔가 확 와닿는 말이네요...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 Жыл бұрын
중국사를 논할때 뺄수없는 인물들임엔 틀림없지만 그 한계와 단점도 매우 뚜렸했죠.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Жыл бұрын
적어도 그들처럼 전략적 시야를 가진 인물들은 한반도에 없엇죠... 그들이 일제랑 피흘려 싸울때 한반도 인들은 창씨개명하고 일본국복입고 그들이랑 싸웟져
@user-bx2rp3yh6m
@user-bx2rp3yh6m 9 ай бұрын
@@user-eh9px6qv2f뭔개소리야 윤봉길이 폭탄 테러했을때 장제스가 중국군 100만이 하지못한 일을 조선인 청년 한 명이 해냈다 라고 할정도엿는데
@DC-jt7ye
@DC-jt7ye 9 ай бұрын
​@@user-eh9px6qv2f한국은 그냥 처싸우다 일본에 엎드렸지.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9 ай бұрын
@@user-bx2rp3yh6m 장제스 립서비스를 그대로 받아드림?? ㅋㅋ 그리고 윤봉길이랑 일본압잡이들을 합장해서 안장햇다면서? ㅋㅋ
@eshanmcgee
@eshanmcgee Жыл бұрын
심작가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user-gv7wo5xd3u
@user-gv7wo5xd3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1개 배우고 갑니다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Жыл бұрын
중국 근현대사 강의 ^^ 감사합니다 .
@SLuv-jl5uo
@SLuv-jl5uo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중국사 책 기다리고 있어요!😊☺️💕
@qwertmnbvcasdfg
@qwertmnbvcasdfg 9 ай бұрын
잘 봤어요..오해안해요~~~ㅋ
@user-jq9ou9my9q
@user-jq9ou9my9q Жыл бұрын
시대가 격변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트렌드를 잘 봐야하지만 객관적인 성찰을 통해 우리 상황에 맞게 스스로도 생각하고 움직이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중국은 그렇게 했고 하고 있다..(여기서 친중이라뇨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 이런 방향으론 생각 못해봤는데 이번 편도 잘 봤습니다~!!
@0521yrc
@0521yrc Жыл бұрын
요즘 같은 시국에 이런 컨텐츠를 공개하기까지 적지않은 고민과 용기가 필요했을거 같습니다. 중국에서 살고 있는 한국사람으로써 단 하나는 분명 말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중국을 잘 모릅니다. 그들을 까내리기 바쁜 미국발뉴스와 하루에 수도 없이 나오는 반중국 뉴스들 때문에 감정적으로 멀어 질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그들이 어떤 역사를 갖고 있는 어떤 특성이 있는 민족인지 바로 이해하는 행위 자체가 죄를 짓는것과 같은 지경입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최소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라도 중국은 계속해서 한국에 영향을 미칠겁니다. 절대 무관심의 대상이 될 수없는 민족임은 분명합니다. 특히 외교정치적으로 복잡한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과 그 민족성에 대해 역사학자의 관점에서의 철저한 분석이 있었으면 합니다.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중국이 적이란 사실을 잊지 않되, 중국을 무시하거나 무슨 괴물처럼 인식하기보다 현실 속 국가이자 민족집단으로서 중국이란 나라를 정확하게 공부하여 약점을 파악하고 찔러내야 한다고 생각함. 미오쩌둥이 말한 저 원칙, 약자가 강자를 상대하는 원칙이라는 것은 중국 공산당이 중화민국을 상대할 때도 유용했지만 지금 우리가 중국을 상대하는 데도 역시 유효함.
@0521yrc
@0521yrc Жыл бұрын
@@ignisilluminati 맞습니다
@user-eh9rv1hu7g
@user-eh9rv1hu7g Жыл бұрын
​@@ignisilluminati😊
@rockugotcha
@rockugotcha 11 ай бұрын
@@ignisilluminati 중국을 적으로 여기는 건 중국을 아버지로 여기는 것만큼 실수일 것 같네요. 실제로 지난 이십 여년 간 중국은 한국의 실질적 최대 동지였습니다. 물론 중국이 아량이 넓어서 한국을 이롭게 한 건 아니죠. 걔들도 이익이 되니까 그런 건데, 이런 실리적인 면으로 접근을 해야지 무슨 적이니 맹방이니 하며 도그마를 세워 놓고 나면 그걸 넘어야 할 때 걸려서 넘어져요. 이게 한국 담론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종교적인 선악을 따지거든요. 선인이 있고 악당이 있는 양.
@user-jz9rq2ez8n
@user-jz9rq2ez8n 5 ай бұрын
중국정부가 하는짓이 잘못되었으니 이런말이 나오는 것임. 동북공정, 서남공정 서북공정 다 중공정부의 행위가 아니라고 우길거임? 파오차이 발언하며, 징기스칸도 중국인이라고 주장하며 ㅋㅋ 중국의 소분홍들같은 지성없는 애국주의 세대를 낳아버리고 ㅋㅋ 이게 다 애국주의 홍보하는 자유없는 중공정부의 행위에서 비롯된것임. 사람들을 통제하고, 중국의 존속을 위해서라지만 인권을 무시하고 21세기에 가장 야욕넘치는 국가라고 단언할 수 있음.
@user-lo9jt3nw8c
@user-lo9jt3nw8c Жыл бұрын
오스만제국에 대해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jz9vx8ji5b
@user-jz9vx8ji5b 6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모오저둥의 평가가 대단함니다 조밥에 보총을가지고 군대들을 동원하여 2만5천리 장정을하여 일본제국주의를 소멸하고 국민당 군대를 몰아내였고 전국을 해방하고 통일을 시켰다고 위대한 인물이라고 평가를 하고이습니다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4 ай бұрын
모주석이 위인이라고 불릴수잇는 이유중에 하나는 한반도 전쟁 참여임...한반도에서 미국이랑 전면대결 한반도 반토막 내놓고 이뤄놓은 중국 동부 지대의 몇십년 평화... 중국이 5대상임인사국에 들어갈수잇엇던 결정적인 이유가 한반도에서의 물리적 부결권 행사죠 ㅎㅎ
@user-kh3ej9ie2d
@user-kh3ej9ie2d Жыл бұрын
오해 안해요 ㅎㅎ 걱정마세요
@donggi8
@donggi8 Жыл бұрын
손문은 존경할만한 인물
@user-ic4rr8up9z
@user-ic4rr8up9z Жыл бұрын
마오쩌둥평전이나 조너선스펜스 책 한권읽는게 유익
@user-wt4im9zl4d
@user-wt4im9zl4d 4 ай бұрын
근현대사 재밌네
@user-fp2tp3we2g
@user-fp2tp3we2g Жыл бұрын
중국은 살아남았지만 중국의 자유가 죽은 것도 같이 봐야할 사항인 것같음
@clavemore
@clavemore 5 ай бұрын
중국 근현대사만큼 흥미로운 것도 없죠 ~
@user-jo1mr2mt2s
@user-jo1mr2mt2s Жыл бұрын
헨리조지의 사상을 받아드려서 대만과 중국의 헌법에 남아 있는 저 '민생'의 부분은 정말 부럽습니다. 만약 이념에 의한 분단정부가 아닌 통일된 정부를 수립했다면 우리도 당연히 갖추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도 해볼 수 있고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도 권력의 하부구조인 '불평등한 지대 분배'를 개혁할 수만 있다면, 그것이 사회 과학적 가장 커다란 '진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hjh93050341
@hjh93050341 4 ай бұрын
삼민주의에 영향받은 삼균주의가 있지요
@user-pc6kw4pn4y
@user-pc6kw4pn4y Жыл бұрын
마오쩌둥의 군대가 중일 전쟁에서 열심히 싸웠는가? 에 대해서는 의문이 좀 있습니다. 애초에 마오쩌둥은 일본과 싸우고 싶지 않아 했죠. 장제스 군대를 공격하는 일본군을 건드리지 말자고 했고 실제로도 공산당 내에서 일본 군과의 싸움을 회피하도록 시킨적이 많았습니다. 백단대전 외에는 공산당이 독자적으로 수행한 전투가 없었죠. 공산당이 수행한 전투는 민가 등에 파견된 소수의 군인이 우발적으로 일본군과 교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죠. 반면 장제스는 스스로를 중국의 지도자로 생각했고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해 싸웠습니다. 초기에는 일본을 놔두고 공산당을 공격하는데 집중했지만, 일본군이 일으킨 만주사변 이후 일본군과 사력을 다해 싸웠죠. 그 과정에서 부정부패 등 문제는 있었지만 그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해 싸운 의지 자체를 무시할 순 없습니다. 공산당은 이 상황에서 일본과의 전투를 피하고 세력을 확장하기에 바빴죠. 결과적으로 중일전쟁 이후 마오쩌둥의 지지율이 올라가고 국민당에 대한 민심이 부정적으로 바뀐 것은 맞지만 중일전쟁 과정에서 공산당이 마치 더 열심히 싸웠다고 오해할 수 있을만한 설명이기에 써봤습니다. 마지막은 마오쩌둥의 유명한 발언을 인용하겠습니다. "중국공산당은 일본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만약 일본의 대륙 침략이 없었다면 우리는 국공 합작이 있을 수 없고, 우리는 발전할 수 없고 최후 승리를 이룰 수 없었을 것입니다.", "우리가 (일본의 침략에 대해) 일본에 감사해야 할 일이지요."
@mo-sh5km
@mo-sh5km Жыл бұрын
영상과 관련없는 얘기네요.
@neykol2
@neykol2 Жыл бұрын
또다른 중립기어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medigar
@medigar Жыл бұрын
공산당이 일본군을 피하여 다닌게 아니라 실력이 안됬어요. 국민당은 공식적으로 전국각지에 모병도 하고 미국에서 무기도 받으니 싸울 조건이 있었지만 공산당은 국민당한테 쫓기는 처지라 공식적으로 모병할수도 없고, 돈도없고 싸울 무기도 거의 없었어요. 1936년에 장학량이 벌린 서안사변으로 국공협력을 하여서야 얼굴을 보일수 있었지만, 얼마안되서 공산당인원과 공산당 군대가 국민당에 병합되다보니 일본군과 싸운 성과는 또 다 국민당의 몫이 됬고, 나머지 공산당들이 곳곳에서 모병하고 훈련하니깐 일본과의 전쟁이 끝났던거죠. 그후로 그 전투력으로 국공내전에 참여했는데 전투력 대단했어요. 중국통일도 이뤘고, 심지어 그 후진 무기로 연합군과의 전투도 거의 상당한 수준을 보였고 북한도 지켜냈죠.
@seunghojeon3568
@seunghojeon3568 Жыл бұрын
제 생각도 같습니다 폴포트가 마오주의자였는데 마오의 근본이 어떤지 추단케 합니다 문화대혁명은 어떻고요 마오는 히틀러 스탈린 못지 않은 악당이라고 봅니다
@user-yf4ph9py4e
@user-yf4ph9py4e Жыл бұрын
일단 두 가지에 대한 이해가 전무하신듯. 첫번째는 전술교리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는 국민당과 공산당의 처지에 대한것. 당시 일제는 국공합작의 중국도 압도적으로 찍어누를만한 화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화력에서 밀리고 제공권이나 기동력도 우위를 점하지 못한게 당시 중국입니다. 이 상황에서 대도시 위주의 거점 방어와 대규모 병력 운용으로 일본에 맞서려던게 장제스가 취한 대전략이었습니다. 쉽게 말하면 한 번 막아내고 물량 모아서 밀어내자라는거죠. 문제는 장제스 생각보다 국민당 군대의 지휘체계와 무장상태는 개판이었고(장제스가 방임한 부정부패 때문에) 결국 전쟁초기 일제가 총력전으로 전환하기도 전에 국민당은 졸전을 반복하다 황하강 폭파라는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한편 공산당은 애시당초 유격전을 지향했기에 국민당의 대규모 병력투입에 동참하지 않을뿐더러 일제를 상대로 정면방어를 할 생각을 안했죠. 다만 끊임없이 지역을 옮겨다니며 보급을 탈취하고 소수병력을 요격하는 등의 활동을 합니다. 애시당초 동원 가능 병력과 보급이 열악했기에 선택한 방법이자, 공산당이 할 수 있는게 딱 이정도였죠. 개전 초기 홍군은 2만명에 불과했고 국민당은 600만명이 넘었습니다. 이 둘의 차이도 이해해야겠죠. 이런 배경을 무시한채 국민당과 공산당의 다른 행보를 항일의지의 차이 때문으로 보신다면 편협한 해석입니다.
@ryu9203
@ryu9203 Жыл бұрын
모택동 하면 딱 하나 떠오르는게 중국 근현대사의 명태조 주원장임.
@user-ug6qc7ke5i
@user-ug6qc7ke5i 11 ай бұрын
저 암기과목을 짜증나서 어찌 외우고 공부 했습니까? 본디부터 문과에 체질이었나봐요?
@alyciawang2892
@alyciawang2892 6 ай бұрын
우리도 항상 교회 조심
@sankim9123
@sankim9123 Жыл бұрын
재밌당 그런데 장제스 능력 수준 뭐져 저걸지다니..
@geiej
@geiej 10 ай бұрын
8년 항쟁한 장제스가 조스로 보이냐?
@user-uz9qn9lb9m
@user-uz9qn9lb9m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내용입니다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발음이 안좋네요..끝발음이 쳐지면서 전달력이 떨어집니다
@theduck3311
@theduck3311 Жыл бұрын
쑨원이 순수한건지 순진한건지 위안스카이와 손 잡지 않았다면 중국역사는 많이 달라젔을텐데
@user-iy3fh2rk7f
@user-iy3fh2rk7f Жыл бұрын
오해요? 당신의 사관이 그런걸 어찌합니까~~ 자고로 역사를 논할 때는 사관에 따라 말이 뒤집히는 법! 역사를 대중앞에 논하는 자가 오해를 억울하다고 하는 것은 생각이 짧은 소치 입니다~ 이 채널의 생각을 그대로 보여주네요
@neykol2
@neykol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저도 어떤 면으로 보면 편향적일 수도 있겠다 싶지만, 예전에 문화혁명이나 약진운동의 폐해를 이야기하셨고 많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만 알고 있어서 중국의 근현대사를 무조건 안좋고 의미 없다. 이런 얘기를 막기 위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번 이야기만 들으시면 오해하실 수도 있다고 생각하네요...
@user-qz7tv7gh8c
@user-qz7tv7gh8c 8 ай бұрын
뭔소리 하는지 안들림
@adamlee8920
@adamlee8920 Жыл бұрын
손문 선생이 사실상 첫번째 중국인이자 마지막 중국인 아닌감
@mzcountry
@mzcountry 6 ай бұрын
한국의 태평천국, 신천지
@user-oj8hr3wu6e
@user-oj8hr3wu6e 11 ай бұрын
마오쩌둥은 1. 1949년 당시 이미 6억의 인구를 보유한 세계 최고의 인구 대국을 일통하였다 2. 모든 악조건 속에서 세계에서 5번째로 1964년 핵개발 1967년 수소폭탄개발 1970년 위성발사(icbm개발) 을 성공시켰다 3. 1971년 대만을 밀어내고 5개국 밖에 없는 유엔 상임이사국에 등극하였다. 이는 미국의 협력이었다. 4. 1972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와서 중미 우호조약을 맺게 하였다. 1972년 일본 수상이 중국에 와서 중일 수교조약을 맺게 만들었다. 5. 그가 제창하고 토대한 중국식 사회주의는 , 무수한 서양 지식인들의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세계 2위의 굴강의 경제대국을 이끌어내는 어마어마한 토대가 되었다. 속이 밴댕이 같은 한국 조선 놈들은 인정하기 싫겠죠 ㅎㅎㅎ 이토히로부미가 얼마나 일본에서 위인인데, 그걸 제대로 팩트를 밝히자면 , 너무나 위광이 대단한 인간인걸 알게되니 , 한귝의 지식인들은 자국민에게 팩트를 전달하지 못하고 얼버무리며 , 한국의 자국민들도 지들 꿀릴거 같으니 , 덮어두고 욕만하죠 ㅎㅎ 국제 경쟁력없는 조센징들 답습니다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4 ай бұрын
내가 모주석을 위인이라고 생각하는 제일 큰 이유중에 하나는 한반도에서 미국과 전면대결 한반도 쪼개고 이뤄놓은 중국 동부지방의 평화... 한반도에서 첨으로 사용햇던 물리적 부결권 그 계기로 5대상임인사국 진출... 얼마나 대단함
@user-oj8hr3wu6e
@user-oj8hr3wu6e 4 ай бұрын
@@user-eh9px6qv2f 한국인들 5천만명 입장에서 보면 이가 갈리지만, 중국인 14억 입장에서 보면 , 대단한 수완가요, 리더 맞죠.
@싫어
@싫어 Жыл бұрын
중국근현대사 노딱안먹나요?ㅋㅋ
@user-nw1be9yj2j
@user-nw1be9yj2j Жыл бұрын
반중 정서를 이용한 혐오 장사하는 놈들보다 훨씬 낫지. 땅으로 이어지지 않아서 체감이 안되지 중국은 바로 옆나라란 걸 잊으면 안됨.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바로 옆나라기 때문에 적인 거임 우리 옆에 있는게 중국이 아니라 미국이었으면 우린 반미했을 거임. 원교근공은 외교의 기본이다.
@beerking1658
@beerking1658 Жыл бұрын
반일정서 장사만할까 ㅋㅋㅋ 심심하면 반일장사만 하는 민줫당 ㅋㅋㅋㅋㅋㅋㅋ
@kyunnyt6344
@kyunnyt6344 Жыл бұрын
심용환님은 은근히 z세대에 호응하고자 하는(?) 그런면이 있는거 같아요. 굳이 속상하다 하실 필요가 있나요..? 중국이라는 말만 나오면 일본이랑 비교해가며 까기만하고, 국내정치랑도 연관짓는 그들이 이상한 겁니다. 학자로서만 잘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어디에나 이상한 사람은 있죠.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Жыл бұрын
얘야 나중에 설민석처럼 아작나지 말고 본인 전공만 좀 파자. 나 솔직히 강의 잘 듣고 있는데 지난 번 일본 건빵에 관한 설명 듣고 뭐지??? 했다. 하나만 파. 돈에 눈 멀지 말고. 그래야 오래 가.
@user-nw1be9yj2j
@user-nw1be9yj2j Жыл бұрын
이게 유료 영상도 아니고 반말하면서 훈수질? 너부터 잘해라. 인터넷에서 이런 녀석들치곤 본인이 비난하는 사람보다 잘난 경우를 못 봄.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Жыл бұрын
@@user-nw1be9yj2j 응 다음 일뽕 나오세요.
@user-hy5ll1ew2g
@user-hy5ll1ew2g Жыл бұрын
여태껏 영상은 좋았는데... 이번 영상은 중국 올려치기가 너무 심하네 우리나라 역사 해석할 때랑은 반대로 엄청 옹호 하시네요. 오해가 아니라 해석 방법이 선택적이신건 팩트라서...
@user-iw5rv7ne2e
@user-iw5rv7ne2e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서구 언론이나 학자들에 의해 지나치게 내려치기가 되었던 것이고 우리는 죄다 거기에 세뇌되어온 거다
@user-hy5ll1ew2g
@user-hy5ll1ew2g Жыл бұрын
@@user-iw5rv7ne2e 선족이 왔니? 잘 왔다
@mo-sh5km
@mo-sh5km Жыл бұрын
@@user-hy5ll1ew2g '선족이'라고 할거면 원댓글도 원색적으로 중국 비난하지 그랬어요? 그게 더 솔직한 댓글일텐데요.
@user-hy5ll1ew2g
@user-hy5ll1ew2g Жыл бұрын
@@mo-sh5km세뇌 되었다는 답글에 옹호 하는거 보면 진짜 편향이 무섭긴 하네요. 원색적인 댓글은 님이 하는게 원색적인 댓글입니다. 앞뒤도 못따지고 자기 눈에 밟히는 것만 보고 발끈하는...
@user-hy5ll1ew2g
@user-hy5ll1ew2g Жыл бұрын
@@mo-sh5km 약간은 척수반사같은 인간이세요.
@ttpq6618
@ttpq6618 11 ай бұрын
마오쩌둥을 쳐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d6mb7qc7b
@user-td6mb7qc7b Жыл бұрын
세 명 모두 서양 사상을 중국에 맞게 해석했는데, 그 중 마오쩌둥이 나머지 두 명과 다른 점은 문화대혁명으로 본인 뒤에 올 새로운 사상가들의 씨를 말렸다는 것...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4 ай бұрын
씨를말려서 중국이 지금 강대국이란 소릴 듣고잇음? ㅎㅎ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아편전쟁부터 시진핑까지 중국 근현대사 한번에 다보기(20분순삭ver.)
26:26
로빈의 역사 기록 / Robin's Historical Records
Рет қаралды 175 М.
중국-티베트 분쟁 현대사 총정리
30:06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933 М.
도올 선생 특강 ㅣ중국 근대의 이해와 우리의 미래
2:49:36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지금 우리의 모습은 아니겠지?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