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레버는 좌우로 설치가 되어 있는데 떨어졌다고 얘기를 할까? 차단이 되었다고 해야 할 것 같은데.... 과거의 습관이 자연스레.... 서울로 가는 것을 올라 간다고 얘기를 하죠 서울 북쪽은 내려 오는데.....
@상상넷Ай бұрын
메모 1:42 👍👍👍👍👍👍
@불꽃처럼-o9f13 күн бұрын
낙뢰를맞거나 강풍이 불어도 전류는 오르락내리락 하고 시설물 오래쓰면 부식이나 노후화 문제도 있습니다
@gjrngjsskf-f5z4 күн бұрын
저걸 왜 일일이 선 빼고 측정하는지? 그냥 차단기 내려진 상태면 그냥 재면 되는데. 거기다 어떤 집은 누전차단기에 물 들어간 경우도 있으니 거기도 재야 되고. 메거로 이상 없으면 누전 차단기 한번 교체헤보고
@박영식-z1yАй бұрын
누설 전류계 고조파 (용량성 비숫한 말 저장성 전류) 제거 기능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확실한 차폐 기능까지
@희망나눔19 күн бұрын
부하쪽 다 꽃아넣고 체크 해보세요
@sunrise_5002Ай бұрын
차단기 불량의심~
@주홍준-n2uАй бұрын
메인 1차 누설전류값은 누전경보기 설정값 이하면 정상이다 이거죠 선배님?
@정주김-o3h6 күн бұрын
안녕 하세요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설전에 한전에서 안전점검을 받았는데 7개정도 배선차단기에서 누전차단기로 교체 하라고 해서 교체했는데 125A누전차단기로 교체후 부하쪽을 올리니가 차단기가 내려갑니다 참고로 1층 분기에서 3층 으로 올라가는 메인 인데 1층은125A3p배선용이고 3층 에서 받은125A4p배선용차단입니다 그런데 1층 분전함을 보니까 N상이 분전함 N상에다 물리고 나머지R.S.T은 찬단기에 연결 되있는데 왜 누전차단기로 교체 하라고 했고 125A3p누전차단기로 교체 했는데 왜 차단기가 떨어지나요
@보안관-h3n24 күн бұрын
차단기를 누가 내린겁니다 누전이나 과부하 쇼트 등의이유로 누전차단기가 떨어지면 트립 위치에 중간에 걸리게 됩니다 완전한 off는 임의로 내려논것입니다
@코코리니24 күн бұрын
PC많이 쓰는곳 아니면.....누설전류 체크를 잘 하지 않음
@12k-w9zАй бұрын
경험 상 화장실 전열 트립은 여사님들이 화장실 청소할때 튀기는 물이 원인이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그다음이 비데나 손건조기 불량이었던 경우가 있으나 많지는 않습니다. 그런 기기가 불량인 경우에는 애초에 상황파악이 힘든게 평상시엔 찍히는게 없습니다.. 작동이 될때 트립이 되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임의로 작동시켜 보고 판넬 앞에서 지켜보는게 최선으로 생각됩니다... 순간온수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오래된 건물이면 콘센트 한번 뜯어보는것도 좋습니다. 많은 유지보수를 거치면서 피복이 상해있고 열화되어 말단이 녹아내린 케이스도 딱 한번 있었네요.
@이병순-m6k3 күн бұрын
메인배선차단기 용량 선정은 어떻게 하나요
@김재웅-c1dАй бұрын
누설전류보다 메가가 더 정확한거아님? 누설전류는 ic값도 포함되서 부정확할텐데
@참빛-k8v6 күн бұрын
횡설수설
@엘사-i3qАй бұрын
차단기는 왜 떨어진건가요?
@sjaendАй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누설전류 측정하신 부분이 선로이면 전열에 꼽혀 있는 콘센트 다 제거 하셔서 측정 하신건가요? 직무고시 누설전류 측정은 선로에 대한걸로 알구 있습니다. 콘센트에 기기 꼽혀 있으면 정확한 값이 아닌거 같습니다.
@sunrise_5002Ай бұрын
정확한 값은 아니지만 절연값 좋으면 상관없고 절연값이 안좋게나왔다면 전열기구 전부 빼서 다시측정해보면 됩니다
@단호박-j1c13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검은 선은 맨 밑에 접지 에 꽃혀져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렇게 알고 있는데 검은선이 부저 쪽에 꽃혀있는것이 맞는건가요?
@박수형-v9l9 күн бұрын
저도 동일하게 생각 되는데요…메가의 체크선을 잘못 꼽힌채로 측정이 된거 같은데요..부저에 꽂혀 있는데….
@장지운-x5gАй бұрын
메가 측정시 ELB와 연결된 2차 결선을 굳이 풀지 않고 2차 단자 볼트에 찍어도 문제 없지요...?
@edrjejuАй бұрын
예스
@풋청량고추Ай бұрын
ELB는 NFB와 달리 ELB는 차단기 자체에 zct회로가 구성되어있어 2차측 배선 분리하지 않으면 절연저항이 나쁨으로 나와 2차측배선 분리 후 측정해야 정확한 누전값을 알 수 있다는..
@장지운-x5gАй бұрын
@@풋청량고추 감사합니다 ~
@skysoszzangАй бұрын
누전차단기 이상하면 무조건 교체 답이다
@대마킹-t4z11 күн бұрын
차단기 불량이 많음
@홍승헙28 күн бұрын
실내 내선의 절연저항값이 어떻게 100메가 오옴이 나올수 있나요? 기껏 1~5메가 오옴 정도 나고고(이정도면 매우 양호암) 통상 0.2~0..5 mega 오옴 나옵니다 절대로 100 메가 이상 나올수 없습니다. 나아가 누설전류계는 인근 전선의 영향을 받아 매우 부정확합니다 CT, 차단기, 코일(모터 등), 아답터(콘버터) 등에서 나오는 고조파,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누설전류 값이 매우 부정확합니다 단지 참고용으로 만 쓰입니다 특히 정전 작업을 할수 없어서 전령저항을 특정할수 없는 장소에서는 부득이하게 누설전류를 측정해서 절연저항 값으로 이게 매우 부정확합니다 대체하는데
@ten1010-w3n27 күн бұрын
전 300mega까지 나오는것 보았어요 전열에서요
@youngjunkim944926 күн бұрын
@@ten1010-w3n 그래서 용량성 누설전류계가 아닌 저항성 누설전류계를 써야한다고 하죠. 저항성 누설전류계가 그래서 가격도 많이 비쌉니다.